KR20130008000A -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000A
KR20130008000A KR1020120148191A KR20120148191A KR20130008000A KR 20130008000 A KR20130008000 A KR 20130008000A KR 1020120148191 A KR1020120148191 A KR 1020120148191A KR 20120148191 A KR20120148191 A KR 20120148191A KR 20130008000 A KR20130008000 A KR 20130008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ode
information
terminal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양
정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ublication of KR2013000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결제수단으로 모바일 전자지갑을 선택하고, 결제전용코드를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요청한 결제와 관련된 해당 거래자료에 대하여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금융서버로 결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전송하는 벤더서버;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 또는 홀의 테이블에 부착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거래자료를 상기 벤더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를 확인한 후 상기 벤더서버에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Payment system using cord only for pay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나 테이블 등에 설치된 특정 정보가 수록된 전자 태그를 고객(사용자)이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터치 또는 스캔하여 전자 태그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결제를 위해 상위 계층으로 제공함으로써 물품 구매나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결제과정을 한층 단순화할 수 있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드결제는 가맹점의 POS(Point of Sale)에 연결하거나 또는 단독의 카드(신용카드, 선불카드, 직불카드 등 각종 지불수단 카드) 조회기(단말기)로 구매자의 카드 번호를 획득하여 가맹점정보 및 결제대금과 함께 VAN(Value Added Network)사를 경유하여 카드사 서버로 승인을 요청하는 방식을 취한다.
도 1은 종래의 가맹점 단말기와 VAN사를 통한 가맹점 중심의 카드결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드사는 소비자가 지정된 가맹점에서 신용 구매하면, 가맹점의 카드리더기는 VAN사의 망을 통해 카드 발급사 서버에 접속하여 카드결제 승인을 받고 거래를 완성하게 된다.
카드 이용자(10)는 카드사로부터 발급받은 카드를 소지하고, 가맹점은 특정 VAN사에 접속하여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통상의 카드 승인 조회기(단말기)(20)를 구비한다. 카드 승인 조회기(20)와 VAN사의 중계시스템(30)은 소정의 네트워크망(예컨대, 전화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고 있고, VAN사의 중계시스템(30)과 해당 카드사의 거래 승인 시스템(40)은 전용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맹점 대신,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온라인 결제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VAN사의 역할을 PG(Payment Gateway:지급결제대행)(30)가 수행하게 된다.
VAN사는 카드조회기(단말기)를 통해 승인(또는 취소) 요청된 구매정보를 가맹점과 해당 카드사에 중계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PG(30)는 인터넷에서 상거래를 하고 있는 업체로부터 위탁을 받아 카드사, 은행, 전자 지불 업체 등 지불결제 업체에 대금을 청구하고 그 대금을 수령해 다시 위탁한 업체에 정산해주는 역할을 한다.
카드 소지자가 상품의 대가로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 가맹점에 자신의 카드를 제시하면서 구매요구를 하면, 가맹점에서는 카드사에 승인을 요청하기 위해 신용카드 승인 조회기(단말기)를 이용한다. 이때, 카드 승인 조회기는 이용자의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이용자의 정보, 상기 카드 승인 조회기에서 생성하는 상품주문정보, 결제금액 및 가맹점의 정보를 VAN사에 보내게 된다. VAN사는 상기 정보들을 VAN사의 중계시스템(30)을 통해 전달받는다.
결제승인 요구 데이터를 전달받은 VAN사의 중계시스템(30)은 승인신청을 하기 위해, 결제승인 요구 데이터 내의 이용자 정보에 수록된 카드사 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카드사의 거래 승인 시스템(40)으로 거래 승인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거래 승인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 카드사의 거래 승인 시스템(40)은 거래 승인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에 포함된 이용자정보, 상품주문정보, 결제금액, 가맹점정보를 각각 자사의 회원자료 또는 가맹점 자료와 비교하여 카드 이용자와 가맹점간에 발생되는 거래가 타당한지를 확인한다.
카드사의 거래 승인 시스템(40)은 거래 승인 요구에 대한 거래 승인결과를 결제승인 요구를 중계한 VAN사의 중계시스템(30)으로 전송하며, VAN사의 중계시스템(30)은 승인번호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해당 가맹점의 해당 거래 조회기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승인데이터에 근거하여 카드 거래 조회기가 지불결과를 카드 계산서에 인쇄하여 카드 이용자에게 통보한다.
이와 같은 카드를 이용한 결제방식은 카드 이용자가 카드 결제승인에 필요한 카드번호, 유효기간, 카드 발급사 등의 정보를 가맹점에 설치된 단말기에 제공하면 가맹점에서 VAN사를 통하여 해당 카드사에 거래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된 결과를 근거로 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카드 이용자가 사용할 카드를 반드시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고객의 결제카드 고유번호를 포함한 금융정보가 가맹점에 노출될 수 있고, 고객의 카드 정보를 이용한 금융사고의 발생, 제3자에 의한 결제카드 정보 복제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고객은 구체적인 결제 내용을 확인하기도 전에 카드를 건네주게 되고 인쇄된 계산서로 최종 확인을 하게 되므로, 결제할 상품이나 금액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인지하지 못한 채로 결제를 행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회원 여부에 관계없이 카드결제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인하고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결제에 필요한 거래정보와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큐알코드(QR code), 바코드, 무선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손쉽게 결제할 수 있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나 테이블 등에 설치된 특정 정보가 수록된 전자 태그를 고객(사용자)이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터치 또는 스캔하여 전자 태그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정보를 결제를 위해 상위 계층으로 제공함으로써 물품 구매나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결제과정을 한층 단순화할 수 있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 가맹점코드, 단말기 식별번호, 납기일, 고객거래번호, 상품코드 및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와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가 거래자료로 포함된 결제전용코드를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기; 및
전자지갑 프로그램 실행으로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의해 출력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여 생성한 거래자료와 결제할 카드, 사이즈, 색상, 배송지, 할부 정보 및 거래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가 입력된 결제정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전용코드는 큐알코드(QR code), 바코드, 무선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결제요청 시 해당 결제내용에 대한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할 카드와 관련된 금융서버로 승인을 요청하는 벤더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더서버는 해당 금융서버의 승인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결제결과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벤더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별로 하나 이상의 카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결제전용코드 판독시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카드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거래자료를 상기 벤더서버로 송신하여 결제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벤더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송신한 거래자료로부터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고 거래일련번호별로 상기 거래자료를 저장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벤더서버에 요청한 결제처리의 결과를 상기 거래일련번호와 상기 거래일련번호가 포함된 상기 결제전용코드로 수신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상기 거래자료를 상기 벤더서버로 송신하여 결제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벤더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송신한 거래자료로부터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벤더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일련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벤더서버에 요청한 결제처리의 결과를 상기 거래일련번호와 상기 거래일련번호가 포함된 상기 결제전용코드로 생성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벤더서버로부터 수신한 결제전용코드를 계산서로 출력하거나 모니터 또는 사인패드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계산서로 출력된 결제전용코드로부터 판독된 결제정보와 상기 벤더서버에 저장된 거래자료를 결제정보로 표시하여 비교하고, 확인된 결제정보를 본인인증 후 상기 벤더서버로 승인 요청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여 거래자료 생성시 지로용지결제로 판독되면, 납기일을 판독하여 결제요청일이 납기일을 도과한 경우는 납기후 금액을 거래금액으로 대체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결제전용코드로부터 판독한 거래자료를 상기 벤더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벤더서버는 상기 거래자료로부터 획득한 가맹점코드 또는 상품코드와 함께 단말기 식별번호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통보하여 회원여부와 상품구매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벤더서버로부터 수신한 결제전용코드 중에서 단말기 식별번호와, 가맹점코드 또는 상품코드를 이용하여 회원여부와 상품구매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결정항목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결정항목에 따라 상품 구매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된 결제정보를 상기 벤더서버로 승인 요청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거래자료와 해당 거래자료에 대하여 생성된 가맹점 단말기용 거래일련번호를 상기 결제전용코드로 구성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결제전용코드로부터 판독한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와 상기 벤더서버에서 수신한 결제에 사용될 카드정보로 결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정보를 상기 벤더서버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벤더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결제 승인이 요청되면 벤더서버용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밴더서버용 거래일련번호로 결제할 카드의 금융서버로 승인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무선태그에 터치되어 실행된다.
또한, 상기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결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 또는 홀의 테이블에 설치되며, 결제전용코드이며, 가맹점 코드, POS(Point Of Sale) 번호,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단말기 번호, 및 테이블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전자 태그;
고객(사용자)에 의해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에 대한 결제와 관련된 거래자료를 갖는 가맹점 단말기; 및
결제를 위해 상기 전자 태그를 터치하여 전자 태그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태그는 결제전용코드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갖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정보는 가맹점 코드와 함께 POS 번호, CAT 단말기 번호, 테이블 번호, 결제요청금액, 결제요청일시, 및 구매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거래자료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거래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며, 양자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결제할 카드와 관련된 해당 금융 서버로 승인을 요청하고, 해당 금융 서버로부터의 승인 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는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지불 결제를 위한 결제서버와 외부의 시스템이나 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VAN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서버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DB)는 가맹점 결제요청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금융서버는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결제요청 정보는 가맹점 코드, POS 번호, 결제요청일시, 서버접수일시, 구매정보,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은,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 가맹점코드, 단말기 식별번호, 납기일, 고객거래번호, 상품코드 및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와 가맹점결제의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가 거래자료로 포함된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a)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b)상기 (a)단계에서 판독된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를 벤더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c)상기 벤더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결제요청시 상기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고 결제할 카드와 관련된 금융서버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및 (d)상기 벤더서버는 해당 금융서버의 승인결과를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결제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b)단계는 (b-1)상기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여 거래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b-2)상기 벤더서버에 저장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별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b-3)상기 표시된 카드정보에서 결제에 사용될 카드를 선택하여 결제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b-4)상기 (b-3)단계의 카드정보가 포함된 결제정보를 상기 벤더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a-1)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a-2)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결제수단으로 전자지갑을 선택하여 상기 벤더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a-3)상기 벤더서버는 거래일련번호와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를 결제전용코드로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a-4)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상기 결제전용코드를 계산서에 출력하거나 모니터 또는 사인패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a-1)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및 (a-2)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해당 거래자료에 대한 가맹점 단말기용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가맹점 단말기용 거래일련번호와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를 결제전용코드로 생성하여 상기 결제전용코드를 계산서로 출력하거나 모니터 또는 사인패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b-1)상기 (a)단계에서 판독된 거래자료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b-2)상기 표시된 거래자료에서 납기일을 판독하여 결제요청일이 납기일을 도과한 경우는 납기후 금액을 거래금액으로 대체하여 상기 거래자료를 수정하는 단계; 및 (b-3)상기 수정된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를 벤더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b-1)상기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여 거래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b-2)생성된 상기 거래자료를 벤더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b-3)상기 벤더서버는 상기 거래자료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번호와 상기 거래자료로부터 획득한 가맹점코드 또는 상품코드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통보하여 회원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b-4)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벤더서버로부터 단말기 식별번호, 가맹점코드 또는 상품코드를 수신하여 회원여부와 상품구매정보를 확인하고 회원여부 및 상품구매정보의 확인에 따른 결정항목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5)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결정항목에 따라 입력된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벤더서버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5)단계는 (b-51)상기 벤더서버에 저장된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별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b-52)상기 표시된 카드정보에서 결제에 사용될 카드를 선택하는 단계; (b-53)상기 (b-52)단계에서 선택된 카드를 포함한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b-54)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b-53)단계에서 생성된 결제정보를 상기 벤더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은,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 또는 홀의 테이블에 설치되며, 결제전용코드이며, 가맹점 코드, POS(Point Of Sale) 번호,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단말기 번호, 및 테이블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전자 태그, 가맹점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및 데이터베이스(DB)를 갖는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에 의한 결제방법으로서,
(a) 고객(사용자)에 의해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에 대한 결제와 관련된 거래자료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의해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거래자료 수신완료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결제를 위해 상기 전자 태그를 터치하여 전자 태그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결제전용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거래 자료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확인한 후, 정보가 일치할 경우 결제할 카드를 포함한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결제요청정보를 해당 금융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하고, 해당 금융 서버로부터의 승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태그는 결제전용코드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갖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DB)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는, 현재시간과 비교하여 가장 최근의 결제요청일시에 해당되는 자료, 또는 가맹점 코드와 POS 번호 또는 CAT 단말기 번호 또는 테이블 번호에 해당되는 자료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원이 아니면서도 결제전용코드 판독기능을 갖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설치한 휴대용 단말기만 구비하면 누구나 손쉽게 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인 정보를 누출하지 않으면서도 카드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함으로써 거래정보와 거래유형을 포함한 거래자료에 대한 모든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제 내용을 확인하면서 카드를 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프라인 가맹점결제나 지로용지결제, 카탈로그결제, TV홈쇼핑 결제 등 큐알코드, 바코드, 무선태그 또는 NFC와 같은 결제전용코드로 결제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결제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나 테이블 등에 설치된 특정 정보가 수록된 전자 태그를 고객(사용자)이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터치 또는 스캔하여 전자 태그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정보와 결제 관련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 제공함으로써 물품 구매나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결제과정을 한층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맹점 단말기와 VAN사를 통한 가맹점 중심의 카드결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의 주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결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지로용지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카탈로그 및 홈쇼핑 결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결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에서의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은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여 결제 요청을 진행하는 휴대용 단말기(110)와, 결제 요청에 인터넷망(160)을 통하여 해당 금융서버(140)로 승인을 요청하는 벤더서버(130), 그리고 POS로 동작되는 가맹점 단말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결제전용코드는 거래정보와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를 거래자료로 구성한 코드정보로서, 큐알코드(QR code), 바코드, 무선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거래정보는 가맹점 단말기용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 벤더서버용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 가맹점코드, 단말기 식별번호, 납기일, 고객거래번호, 상품코드 및 거래금액을 포함한 것을 말하며, 거래유형이란 결제할 종류가 가맹점결제인 자료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거래유형이란 정보로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가맹점코드에 포함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벤더 서버용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는 거래아이디라고도 하며 휴대용 단말기(110)나 가맹점 단말기(120)에서 각각의 거래에 대한 승인요청 시마다 생성되고 해당 금융서버로 승인요청시 사용되는 고유의 거래번호로서, 통상 40자리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거래의 오류추적이나 조회시 사용되며 취소 시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가맹점 단말기용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는 가맹점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간에 직접 발생하는 거래에 대하여 생성되는 고유의 거래번호를 말한다.
가맹점코드란, 벤더서버(130)에 등록된 모든 상점에 부여된 영문 또는 숫자,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코드를 말하며 벤더서버(130)의 PG는 이 가맹점코드로 가맹점을 구분하여 거래를 처리한다.
단말기 식별번호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휴대번호를 통칭하는 것이나, 휴대용 단말기별로 식별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번호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거래유형이란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제가 이루어지는 유형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제시된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인지, 지로용지에 기록된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인지, 카탈로그에 기록된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인지, 또는 TV홈쇼핑에서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결제 유형에 따라 결제 방법 및 제공 정보 등 일부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정보를 말한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이하, '모바일 Wallet APP'이라 한다)을 실행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120)에 의해 출력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가 동작되도록 하여, 해당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여 생성된 거래자료와 결제할 카드, 사이즈, 색상, 배송지, 할부 정보 및 거래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상품구매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결제정보를 표시하고 입력된 결제정보로 벤더서버(130)에 결제요청을 한다.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10)를 직접 구동시킬 수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110)를 무선태그에 터치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판독기는 결제전용코드에 기록된 거래정보와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로 통상의 큐알코드(QR code), 바코드, 무선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판독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모바일 Wallet APP'을 실행하게 되면 큐알코드 판독기, 바코드 판독기, 무선태그 판독기 또는 NFC 판독기가 실행되는 것처럼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되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 가맹점코드, 단말기 식별번호, 납기일, 고객거래번호, 상품코드 및 거래금액을 표시하는 거래정보와 가맹점결제를 표시하는 거래유형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벤더서버(130)는 결제가 요청되면 벤더서버용 거래일련번호(TID)를 생성하고 결제할 카드와 관련된 금융서버(140)로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며, 해당 금융서버(140)의 승인결과를 가맹점 단말기(120)나 휴대용 단말기(110)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벤더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번호별로 하나 이상의 카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110)가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함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110)와 접속되고 해당 휴대용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저장된 카드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기(110)로 카드 정보를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110)는 전송된 카드 정보에서 결제할 카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고객은 별도의 카드정보가 없어도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가 있는 것이다.
가맹점 단말기(120)는 결제관련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결제를 진행하는 단말기로서, 통상의 가맹점 POS 또는 CAT와 같이 벤더서버(130)에 등록된 가맹점으로, 휴대용 단말기(110)를 소지한 고객이 결제를 요청하면, 결제수단으로 전자지갑을 선택하여 벤더서버(130)로 결제처리를 요청하고 벤더서버(130)에서 해당 거래와 관련된 거래일련번호(TID)와 거래일련번호(TID) 및/또는 거래자료가 포함된 결제전용코드를 벤더서버(130)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된다.
즉, 가맹점 단말기(120)가 거래자료를 벤더서버(130)로 송신하여 결제처리를 요청하고, 벤더서버(130)는 가맹점 단말기(120)가 송신한 거래자료로부터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고 거래일련번호별로 거래자료를 저장하고, 가맹점 단말기(120)는 벤더서버(130)에 요청한 결제처리의 결과를 거래일련번호와 거래일련번호가 포함된 결제전용코드로 수신한다.
여기서, 벤더서버(130)가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한 후에는, 가맹점 단말기(120)가 벤더서버(130)로부터 거래일련번호를 수신하여 벤더서버(130)에 요청한 결제처리의 결과를 거래일련번호와 거래일련번호가 포함된 결제전용코드로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맹점 단말기(120)는 자체 서버를 구비한 상태에서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시 이를 판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맹점 단말기(120)에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120)는 벤더서버(130)로부터 수신된 결제전용코드를 계산서로 출력하거나 모니터 또는 사인패드 화면에 출력하여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함으로써, 거래자료를 표시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결제전용코드에서 판독된 거래일련번호를 벤더서버(130)로 전송하고 벤더서버(130)는 기저장된 거래일련번호별 거래자료를 판독하여 비교하고 휴대용 단말기(110)가 결제전용코드 판독시 획득한 단말기 식별번호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이 소지한 카드를 판독하도록 동작된다.
이렇게 벤더서버(130)에서 비교된 거래자료와 결제에 사용될 카드정보를 다시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결제정보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10)는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여 거래유형이 지로용지결제로 인식되면 거래자료 생성시 지로용지에 기록된 납기일을 판독하여 결제요청일이 납기일을 도과한 경우는 납기후 금액을 거래금액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10)는 거래유형이 카탈로그 결제나 TV 홈쇼핑 결제로 인식되면 즉, 회원 가입 여부에 따른 혜택사항이 있는 경우의 결제로 판단되면, 결제전용코드로부터 판독한 거래정보를 벤더서버(130)로 전송하고 벤더서버(130)는 단말기 식별번호와 거래정보로부터 획득한 가맹점코드 또는 상품코드를 해당 가맹점 단말기(120)로 통보하고 가맹점 단말기(120)는 수신된 단말기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회원여부와 상품코드에 따른 상품구매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내용을 결제 정보에 반영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맹점 단말기(120)는 벤더서버(130)로부터 단말기 식별번호를 수신하면 회원여부를 확인하고 회원여부에 따른 결정항목 또는 상품코드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정항목인 상품구매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110)는 수신된 상기 결정항목에 따라 상품 구매에 필요한 정보가 입력된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최종 벤더서버(130)로 승인을 요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원여부를 감지한 가맹점 단말기(120)에서 해당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때도 가맹점 단말기(110)는 회원여부에 따른 결정항목을 벤더서버(130)로 송신하고 다시 벤더서버(130)가 휴대용 단말기(110)로 관련 데이터를 송신하여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방법은 거래일련번호(Transaction ID; TID), 가맹점코드, 단말기 식별번호, 납기일, 고객거래번호, 상품코드 및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와 가맹점결제에 대한 정보가 거래자료로 포함된 결제전용코드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거래자료를 벤더서버(12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면, 벤더서버(130)는 거래일련번호(TID)를 생성함과 동시에 결제할 카드와 관련된 금융서버로 승인을 요청하여 승인된 결과를 가맹점 단말기(120)와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결제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결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모바일 WAllet에 가입한 고객이 아웃백스테이크에서 식사를 마친 후 테이블에 앉아서 점원에게 결제하겠다는 의사표시를 한 후 결제요청을 한다(S210).
또는 고객이 식사를 마친 후 계산을 위해 POS 또는 CAT가 설치된 계산대로 이동하여 점원에게 결제하겠다는 의사표시를 하는 것이다.
이후, 점원은 가맹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결제처리를 진행하면서 상술한 거래정보와 거래유형이 포함된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S211).
단계 S211에서 거래유형에 대한 자료는 가맹점 단말기에 기 설정되도록 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코드 또는 거래정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오프라인가맹점결제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항목이기 때문에 가맹점코드를 비롯한 거래정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거래유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가맹점 단말기(120)에서는 거래금액 등 간단한 거래정보만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거래정보 중 가맹점코드도 자동으로 생성하여 거래자료에 포함시킬 수가 있다.
단계 S211에서 관련 거래정보가 모두 입력되면 가맹점 단말기(120)는 결제수단으로 모바일 Wallet을 선택하고 해당 거래자료를 벤더서버(130)로 전송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S213).
벤더서버(130)에서는 가맹점 단말기(120)가 요청한 해당 거래자료에 대하여 거래일련번호(TID)를 생성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결제에 관련된 거래자료와 거래일련번호(TID)를 결제전용코드로 생성한 다음(S214), 단계 S214에서 생성된 거래일련번호(TID)와 거래자료와 거래일련번호(TID)가 포함된 결제전용코드를 가맹점 단말기(120)로 송신하게 된다(S215).
이후, 가맹점 단말기(120)에서는 결제전용코드를 계산서로 출력하거나 모니터 또는 사인패드 화면에 출력하도록 한다(S216).
고객이 휴대용 단말기(110)를 사용하여 '모바일 Wallet APP'을 구동하여 출력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면, 해당 휴대용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번호와 거래일련번호(TID)가 판독과 동시에 벤더서버(130)로 전송되고(S219), 벤더서버(130)에서는 전송된 거래일련번호(TID)로 저장되어 거래자료를 판독하여 비교 검토함과 동시에, 전송된 단말기 식별번호를 사용하여 결제가 가능한 카드를 판독하여(S220) 거래자료와 카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게 되고(S221) 전송된 데이터는 결제정보로 표시되어 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S222).
단계 S222에서 휴대용 단말기(110)에 표시되는 정보로는 거래유형(오프라인거래),거래일련번호, 가맹점코드, 상품코드, 및 거래금액 등 거래자료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결제할 카드나 할부정보, 및 거래비밀번호 등 추가할 상품구매정보가 있으면 추가하여 결제내용을 생성하도록 한다(S223).
단계 S223에서 결제내용이 확정되면 고객은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본인인증 에 필요한 절차를 수행한 다음(S224) 결제 확인을 하면(S225), 휴대용 단말기(110)는 하렉스의 벤더서버(130)로 결제정보를 전송한다(S226).
벤더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10)로부터 결제정보가 전송되면 결제할 카드 관련 금융사의 금융서버(140)로 승인을 요청하게 되고(S227), 승인된 결과는 가맹점 단말기(120)로 통보함과 동시에 고객의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동작된다(S228~S229).
본 실시예에서는 결제전용코드를 벤더서버(130)에서 생성하고 가맹점 단말기(120)에서 이를 수신하여 계산서에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결제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벤더서버(130)로 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준으로 가맹점 단말기(120)에서 직접 결제전용코드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가맹점 단말기에서 직접 결제전용코드를 생성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결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WAllet에 가입한 고객이 아웃백스테이크에서 식사를 마친 후 테이블에 앉아서 점원에게 결제하겠다는 의사표시를 한 후 결제요청을 한다(S310).
이후 점원은 가맹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결제처리를 진행하면서 거래정보와 거래유형이 포함된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S311).
이때도 거래유형에 대한 자료는 가맹점 단말기에 기 설정되도록 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코드 또는 거래정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에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거래정보 중 가맹점코드도 자동으로 생성하여 거래자료에 포함시킬 수가 있다.
단계 S311에서 관련 거래정보가 모두 입력되면 가맹점 단말기(120)는 가맹점 단말기용 거래일련번호(TID)를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된 가맹점 단말기용 거래일련번호(TID)와 가맹점코드, 거래 금액 등이 포함된 거래 자료를 결제전용코드로 생성하여 계산서에 출력하거나 모니터 또는 사인패드 화면에 출력한다(S312).
단계 S312에서 출력된 결제전용코드가 기록된 계산서는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전달되고(S313), 휴대용 단말기(110)는 '모바일 Wallet APP'을 구동하여 출력된 계산서에 기록되어 있는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한다(S315).
단계 S315에서 휴대용 단말기(110)가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함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110)는 하렉스의 벤더서버(130)와 연결되어 단말기 식별번호가 전송된다(S315).
단말기 식별번호를 획득한 벤더서버(130)는 해당 단말기 식별번호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의 카드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카드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16~S317).
카드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110)는 카드정보와 결제전용코드에서 판독한 거래자료를 표시하고 결제할 카드나 할부정보, 및 거래비밀번호 등 추가할 상품구매정보가 있으면 추가하여 결제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S318).
단계 S318에서 결제할 결제내용이 확정되면 고객은 휴대용 단말기(110)에서 본인인증 에 필요한 절차를 수행한 다음 결제 확인을 하면(S319), 휴대용 단말기(110)는 하렉스의 벤더서버(130)로 결제정보를 전송한다(S320).
벤더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10)로부터 결제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거래에 대한 벤더서버용 거래일련번호(TID)를 생성하여 저장함과 동시에(S321), 결제할 카드 관련 금융사의 금융서버(140)로 승인을 요청하게 되고(S322), 승인된 결과는 가맹점 단말기(120)로 통보함과 동시에 고객의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동작된다(S323~S324).
이 경우 가맹점 단말기(120)로 통보되는 승인 결과에는 가맹점 단말기용 거래일련번호(TID)도 추가로 전송함으로써, 점주가 거래 내역을 손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이용하여 지로용지 결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지로용지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전용코드가 지로용지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110)의 '모바일 Wallet APP'을 구동하여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고(S230) 판독된 거래자료는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거래자료를 디스플레이시킨다(S231).
단계 S23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0)가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함과 동시에 하렉스의 벤더서버(130)와 연결되어 단말기 식별번호에 따른 결제할 카드 정보를 벤더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단계 S231에서 거래자료를 표시할 때 카드정보도 표시하도록 한다.
휴대용 단말기(110)가 결제전용코드에 기록된 거래유형에서 지로용지 결제로 판독된 경우는 단계 S231에서 표시된 거래자료에서 납기일이 경과되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232).
이는 통상 지로용지에 기록되는 지정된 납기일이 경과한 경우 과태되는 요금을 청구하기 위한 과정으로 단계 S232에서 납기일을 판독한 결과 결제요청일이 납기일을 도과한 경우는 납기후 금액을 거래금액으로 대체 반영하여 거래자료에 포함시키도록 한다(S233).
단계 S231 또는 단계 S233에서 판독된 결제금액을 포함한 거래자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할 카드를 선택한 다음 결제에 필요한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벤더서버(13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게 된다(S234~S236).
단계 S236에서 결제정보를 수신한 벤더서버(130)는 해당 거래와 관련된 거래일련번호(TID)를 생성하고(S237) 결제할 카드와 관련된 금융사의 금융서버(140)로 승인요청을 한 다음(S238), 승인된 결과는 가맹점 단말기(120)로 통보함과 동시에 고객에게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동작된다(S239~S240).
그리고, 본 발명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방법을 이용하여 카탈로그 결제 또는 TV 홈쇼핑 결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카탈로그 및 홈쇼핑 결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0)의 '모바일 Wallet APP'을 구동하여 카탈로그 또는 TV홈쇼핑의 화면 중 표시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고(S250) 판독된 거래자료는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킨다(S251).
이때도 단계 S250에서 휴대용 단말기(110)가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함과 동시에 하렉스의 벤더서버(130)와 연결되어 단말기 식별번호에 따른 결제할 카드 정보를 벤더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단계 S251에서 거래자료를 표시할 때 카드정보도 표시하도록 한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결제전용코드로부터 거래유형이 홈쇼핑 결제 또는 카탈로그결제로 확인되면 판독된 거래자료를 벤더서버(130)로 송신하게 된다(S252).
벤더서버(130)는 단계 S250에서 휴대용 단말기(110)가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는 순간 획득한 단말기 식별번호와 전송된 거래자료로부터 가맹점코드, 또는 상품코드를 획득하여(S253) 해당 가맹점 단말기(120)로 통보하고(S254), 가맹점 단말기(110)에서는 단말기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회원여부를 확인하고 상품코드에 의한 상품구매정보를 확인한다(S255).
가맹점 단말기(120)에서는 회원여부 또는 상품코드를 통한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정항목을 확인하여 회원여부에 따른 혜택정보와 상품구매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하면(S256), 휴대용 단말기(110)는 수신된 회원 혜택 정보와 상품 구매에 필요한 상품구매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결제할 카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257).
특히, 카탈로그 결제 또는 TV홈쇼핑결제에서는 상품에 관한 것이므로, 해당 상품의 사이즈, 색상, 배송지, 할부정보 등과 같은 상품구매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품구매정보 중 배송지에 대한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해 두고 필요할 경우 불러와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면 편리하다.
단계 S257에서 상품구매정보를 비롯한 결제정보를 모두 선택하고 나면(S258), 휴대용 단말기(110)는 최종 결제정보를 확인하여 벤더서버(130)로 결제를 요청하게 된다(S260).
단계 S260에서 결제정보를 수신한 벤더서버(130)는 해당 거래와 관련된 거래일련번호(TID)를 생성하고 결제할 카드와 관련된 금융사의 금융서버(140)로 승인요청을 한 다음(S261), 승인된 결과는 가맹점 단말기(120)로 통보함과 동시에 고객에게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동작된다(S262~S263).
카탈로그 또는 TV홈쇼핑의 특성 상 벤더서버(1300의 승인결과를 통보받은 가맹점에서는 해당 상품을 배송하면 되는 것이다(S264).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전자 태그(710), 가맹점 단말기(720), 휴대용 단말기(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 태그(710)는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 또는 홀의 테이블에 설치되며, 이 전자 태그(710)에는 가맹점 코드, POS(Point Of Sale) 번호,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단말기 번호, 테이블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수록된다. 이와 같은 전자 태그(710)는 결제전용코드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갖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태그(710)(무선태그 또는 NFC)는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 또는 홀의 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계산서판 (Bill Board)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720)는 고객(사용자)에 의해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에 대한 결제와 관련된 거래자료(예를 들면, 거래정보, 거래유형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거래자료)를 인터넷 망(760)을 통해 상위 계층[여기서는 후술하는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거래정보는 가맹점 코드와 함께 POS 번호, CAT 단말기 번호, 테이블 번호, 결제요청금액, 결제요청일시, 및 구매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730)는, 상기 상위 계층[여기서는 후술하는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기(720)로 거래자료 수신완료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결제를 위해 상기 전자 태그(710)를 터치 또는 스캔하여 전자 태그(710)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720)로부터 거래 자료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거래 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며, 양자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결제할 카드와 관련된 해당 금융 서버(750)로 인터넷 망(760)을 통해 승인을 요청하고, 해당 금융 서버(750)로부터의 승인 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720) 및 휴대용 단말기(730)로 인터넷 망(760)을 통해 각각 전송하는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불 결제를 위한 유비페이(Ub Pay:ubiquitous mobile pay) 결제서버(741)와 외부의 시스템이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VAN 서버(7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비페이 결제서버(741)는 적어도 가맹점 결제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결제요청 데이터베이스(DB)(743)를 구비한다. 또한, 금융 서버(750)는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결제요청 정보는 가맹점 코드, POS 번호, 결제요청일시, 서버접수일시, 구매정보,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벤더 즉 서비스 사업자는 금융 기관, PG사, 혹은 VAN사 등 프로세싱(processing) 회사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에 의한 결제방법이다. 즉,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 또는 홀의 테이블에 설치되며, 가맹점 코드, POS(Point Of Sale) 번호,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단말기 번호, 테이블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전자 태그(710)와, 가맹점 단말기(720)와, 휴대용 단말기(730)와, 데이터베이스(DB)를 갖는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에 의한 결제방법으로서, 먼저 고객(사용자)에 의해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은 것에 대한 결제와 관련된 거래자료(예를 들면, 거래정보, 거래유형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거래자료)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720)에 의해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로 전송한다(단계 S901). 즉, 물품 구매나 서비스를 제공받은 고객(사용자)이 가맹점 카운터(또는 오더 데스크)에서 물품 구매(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지불을 유비 페이로 결제하겠다고 카운터의 캐셔(계산원)에게 요청하면, 캐셔는 POS(또는 CAT)에서 물품 대금을 확정하고 유비 페이로 결제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 (720)로 거래자료 수신완료 정보를 제공하고(단계 S902),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730)에 의해 결제를 위해 상기 전자 태그(710)를 터치 또는 스캔하여 전자 태그(710)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가맹점 코드, POS 번호 또는 CAT 단말기 번호)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보를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로 전송한다(단계 S903).
이에 따라,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73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전용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맹점 코드, POS 번호 또는 CAT 단말기 번호)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DB)(여기서는 결제요청 DB(74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맹점 코드, POS 번호 또는 CAT 단말기 번호)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일치할 경우 해당 거래 자료(예를 들면, 해당 가맹점/POS의 가장 최근 거래 자료)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730)에 전송한다(단계 S904).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730)는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로부터 전송받은 거래 자료를 확인한 후(즉, 휴대용 단말기(730)의 사용자에 의해 확인한 후), 정보가 일치할 경우 결제할 카드를 포함한 결제요청정보(예를 들면, 가맹점 코드, POS 번호, 폰 번호, PIN 등)를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로 전송한다(단계 S905).
그 결과,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73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요청정보를 해당 금융 서버(750)로 전송하여 승인을 요청하고(단계 S906), 해당 금융 서버(750)로부터의 승인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720) 및 휴대용 단말기(730)로 각각 전송한다(단계 S907). 이에 따라 고객(사용자)은 자신의 물품 구매 및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거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상기 결제전용코드는 큐알코드(QR code), 바코드, 무선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태그(710)는 결제전용코드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갖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903에서 상기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74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73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전용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DB)(74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자료를 전송함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DB)(743)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 중 현재시간과 비교하여 가장 최근의 결제요청일시에 해당되는 자료, 또는 가맹점 코드와 POS 번호 또는 CAT 단말기 번호 또는 테이블 번호에 해당되는 자료를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가맹점 또는 홈쇼핑의 회원이 아니더라도 벤더서버에 자신의 카드를 등록하고 '모바일 Wallet APP'을 구동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한 고객들은 정보 유출없이 카드를 소지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맹점의 단말기(카운터)나 테이블 등에 설치된 특정 정보가 수록된 전자 태그를 고객(사용자)이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터치 또는 스캔하여 전자 태그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정보와 결제 관련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 제공함으로써 물품 구매나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결제과정을 한층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730 : 휴대용 단말기
120,720 : 가맹점 단말기
130,740 : 벤더 서버(서비스 사업자 서버)
140,750 : 금융서버
160,760 : 인터넷 망
741: 유비페이 결제서버
742: VAN 서버
743: 결제요청 DB

Claims (7)

  1. 결제수단으로 모바일 전자지갑을 선택하고, 결제전용코드를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요청한 결제와 관련된 해당 거래자료에 대하여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금융서버로 결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전송하는 벤더서버;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 또는 홀의 테이블에 부착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거래자료를 상기 벤더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를 확인한 후 상기 벤더서버에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전용코드는, 큐알코드(QR code), 바코드, 무선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자료는 거래정보와 거래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정보는 가맹점 코드, POS(Point of Sale) 번호,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단말기 번호, 테이블 번호, 결제요청금액, 결제요청일시 및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더서버는 지불 결제를 위한 결제서버와 외부의 시스템이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벤(VAN) 서버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서버는 가맹점 결제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결제요청 정보는 가맹점 코드, POS 번호, 결제요청일시, 서버접수일시, 및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7. (a) 가맹점 단말기에서 결제수단으로 모바일 전자지갑을 선택한 후 벤더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벤더서버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요청한 결제와 관련된 해당 거래자료에 대하여 거래일련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c)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 또는 홀의 테이블에 부착된 결제전용코드를 판독하는 단계;
    (d) 상기 벤더서버에서 상기 거래자료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를 확인한 후, 상기 벤더서버에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벤더서버에서 금융서버로 결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방법.
KR1020120148191A 2011-07-08 2012-12-18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08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8012 2011-07-08
KR1020110068012 2011-07-08
KR1020110143509 2011-12-27
KR20110143509 2011-12-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19A Division KR20130012249A (ko) 2011-07-08 2012-02-20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000A true KR20130008000A (ko) 2013-01-21

Family

ID=478382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19A KR20130012249A (ko) 2011-07-08 2012-02-20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20148191A KR20130008000A (ko) 2011-07-08 2012-12-18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19A KR20130012249A (ko) 2011-07-08 2012-02-20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0122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36A1 (ko) * 2013-07-22 2015-01-2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스마트 쇼핑 방법 및 스마트 쇼핑 관리 서버
KR20160001080A (ko) *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스마트 쇼핑 방법 및 스마트 쇼핑 관리 서버
WO2018129035A3 (en) * 2017-01-03 2018-08-3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erchant enrollment for reverse payments
KR102077805B1 (ko) * 2018-11-26 2020-02-14 (주)에이텐시스템 다중 센서를 이용한 구매 행동 패턴 분석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48B1 (ko) 2013-03-13 2014-06-23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모바일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3033724A4 (en) * 2013-08-13 2017-02-22 Blackhawk Network, Inc. Open payment network
KR20170035169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비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KR102616289B1 (ko) * 2016-05-27 2023-12-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일행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 pos 단말, 비콘 관리 서버, 비콘 신호 송출기, 일행 관리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854311B1 (ko) * 2016-08-17 2018-06-20 주식회사 피노스 자율형 테이블 결제 방법
KR101886654B1 (ko) * 2017-09-15 2018-08-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내역 정보를 처리하는 결제 단말 및 결제 단말의 동작 방법
CN110298652B (zh) * 2018-03-22 2023-09-29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基于nfc标签的数据处理方法及其系统、服务器
KR102044397B1 (ko) * 2018-06-05 2019-11-13 주식회사 로드시스템 Qr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와 세금환급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04873A1 (ko) * 2018-06-26 2020-01-02 류창화 상점 정보와 연동하는 태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162B1 (ko) * 2018-12-28 2021-01-07 롯데카드 주식회사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스틸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작동 방법
KR102337272B1 (ko) * 2019-06-21 2021-12-08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서비스 시스템
KR102622354B1 (ko) * 2020-10-27 2024-01-08 네이버 주식회사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36A1 (ko) * 2013-07-22 2015-01-2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스마트 쇼핑 방법 및 스마트 쇼핑 관리 서버
US11544734B2 (en) 2013-07-22 2023-01-03 Harexinfotech Inc. Smart shopping method and smart shopping management server
KR20160001080A (ko) *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스마트 쇼핑 방법 및 스마트 쇼핑 관리 서버
WO2018129035A3 (en) * 2017-01-03 2018-08-30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erchant enrollment for reverse payments
KR102077805B1 (ko) * 2018-11-26 2020-02-14 (주)에이텐시스템 다중 센서를 이용한 구매 행동 패턴 분석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249A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8000A (ko)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4865B1 (ko)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복합결제시스템 및 복합결제방법
US10134031B2 (en) Transaction token issuing authorities
US20200051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oken-based payments
KR101954477B1 (ko) 청구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A2898205C (en) Transaction token issuing authorities
KR101514749B1 (ko)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97078A1 (en) Mobile remote payment system
US20160086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veraging a payment authorization environment for offering and fulfilling the cross selling of products to existing customers, up selling, and acquisition of new customers
US10922707B2 (en) Facilitating consumer payments and redemptions of deal offers
US201401430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int-of-sale transactions
JP7003383B2 (ja) 取引を処理するコンピュータ実施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8024729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ng scanned item information between merchant equipment for scanning or selecting an item and a mobile device
JP2022003594A (ja) 決済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A31843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ffers from tokenized contactless payments
US201900573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geback prevention
JP2022122507A (ja) 決済処理方法
KR20130100858A (ko) 쿠폰사용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90106919A (ko) 물품 구매시 할인 방법
US20160012443A1 (en) Non-payment communications using payment transaction network
KR20210060419A (ko) 개인 신용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결제시스템
KR101615163B1 (ko) 전자상거래 복합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712320B1 (ko)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가맹점 선정을 위한 서버
KR20170087441A (ko) 개인 신용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결제시스템
KR20130070509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