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845A - 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845A
KR20130004845A KR1020110066144A KR20110066144A KR20130004845A KR 20130004845 A KR20130004845 A KR 20130004845A KR 1020110066144 A KR1020110066144 A KR 1020110066144A KR 20110066144 A KR20110066144 A KR 20110066144A KR 20130004845 A KR20130004845 A KR 20130004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ep
alive
keepalive
message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6801B1 (en
Inventor
박상천
김태진
김경식
문현호
노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바일
Priority to KR102011006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801B1/en
Publication of KR20130004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network overload caused by unnecessarily frequent keepalive message transmission by determining an optimal period of keepalive in currently accessed communication path by a client. CONSTITUTION: A client(100) includes a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110), a keepalive frequency increase module(120) and a keepalive frequency decrease module(130).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every keepalive frequency. When a keepalive message is transmitted, the keepalive frequency increase module increases the keepalive frequency. When a keepalive message is failed to be transmitted due to application of the keepalive frequency increased by the keepalive frequency increase module, the keepalive decrease module decreases the keepalive frequency. [Reference numerals] (100) Client; (110)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120) Keepalive frequency increase module; (130) Keepalive frequency decrease module; (140) Keepalive frequency retention module; (150) Reply reception module; (160) Successful transmission determination module

Description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클라이언트, 및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가 접속한 통신망의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주기를 최적화시킴으로써 킵얼라이브 메시지로 인한 과도한 트래픽 발생을 억제하고, 빈번한 킵얼라이브 메시지 전송으로 인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클라이언트, 및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 client, and a communic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excessive traffic generation due to a keepalive message by optimizing a transmission period of a keepalive message adaptively according to a situ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 client is connected. And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 client, and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client terminal due to frequent keep-alive message transmission.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메신저 서비스 서버가 각각의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통보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온라인 상태를 서버에 알려주고, 서버는 일정시간 동안 서버와 통신이 없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오프라인 상태로 관리한다. 클라이언트는 아이들 상태(Idle Mode :일정 시간 사용자 입력이 없어 클라이언트 단말이 저전력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 진입한 경우라도 킵얼라이브(keep-alive)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온라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essenger service server continuously recognizes an online state of each client and notifies another client, such as a messenger application installed and used in a client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e client continuously reports its online state to the server. The server maintains offline status of clients that have not communicated with the server for a period of time. The client maintains its online state by periodically sending a keep-alive message to the server even when entering the idle mode (the client terminal enters the low power mode because there is no user input for a certain time). Should be.

이러한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증가하게 되면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킵얼라이브 메시지 또한 증가하여 통신망 과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이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주기인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짧을수록 시간당 발생하는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숫자는 더욱 증가하게 되고, 킵얼라이브 메시지 전송을 위한 동작이 잦아지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소모 역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In such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s the number of clients increases, the keep-alive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may increase, thereby causing network overload. In addition, the shorter the keep-alive period (T K ), which is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keep-alive message, increases the number of keep-alive messages per hour. There is a problem.

한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서버는 온라인 상태로 파악된 클라이언트와 일정시간 동안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를 오프라인 상태로 간주하게 되는데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는 서버의 최대 허용시간인 서버허용시간(TS)으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설정하면 전체 킵얼라이브 메시지 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소모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of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considers the client as offline when there is no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client identified as online, and the server allowable time (the maximum allowable time of the server to keep the client online) Setting the keep-alive period T K with T S ) can reduce the total number of keep-alive messages and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lient terminal.

그런데, 통신망을 구성하는 방화벽,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등의 네트워크 장비는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이 없는 클라이언트의 커넥션을 강제로 종료하도록 설정된 경우가 많이 있다. 클라이언트의 커넥션을 유지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최대허용시간인 장비허용시간(TS) 이상으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설정하게 되면, 매 킵얼라이브 주기마다 클라이언트의 통신망과의 커넥션이 해당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강제종료되어 정상적인 킵얼라이브 메시지 전송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network devices such as firewalls and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network are often set to forcibly terminate a connection of a client without data transmiss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efficiently use network resources. If the keep-alive period (T K ) is set above the maximum allowable time (T S ) of the network device that maintains the client's connection, the connection with the client's communication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device at every keep-alive peri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nd a normal keepalive message due to forced termination.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00)가 통신경로 1, 통신경로 2, 통신경로 3을 통해 서버허용시간(TS)이 300초인 서버(200)에 접속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통신경로 1의 경우는 중간에 개재하는 네트워크 장비(311)의 장비허용시간(TS)이 350초로 서버허용시간(TS) 이상이기 때문에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서버허용시간(TS)인 300초 또는 전송지연을 고려하여 서버허용시간(TS)에 다소 못미치는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that the client 100 accesses the server 200 having a server allowable time T S of 300 seconds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1, the communication path 2, and the communication path 3,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route 1, since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S of the network device 311 intervening in the middle is 350 seconds or more than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the keepalive period T K is set to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300 seconds, or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delay, it can be set slightly below the server allowed time (T S ).

그러나 통신경로 2 및 통신경로 3과 같이 장비허용시간(TD)이 서버허용시간(TS)에 못미치는 네트워크 장비(322,331)가 있는 경우는 서버허용시간(TS)인 300초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설정하면 매 킵얼라이브 주기(TK)마다 네트워크 장비(322,331)에 의해 클라이언트(100)의 통신망 접속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if there are network devices (322,331) whos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is less than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such as communication path 2 and communication path 3, the keep-alive period is 300 seconds, which is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If (T K ) is set,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network connection of the client 100 is released by the network equipment 322 or 331 at every keep-alive period T K.

특히 이동성이 보장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100)의 경우 접속위치에 따라 통신경로가 수시로 변화하고 이에 따라 통신경로 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TD)도 다양하기 때문에 서버-클라이언트간 안정적인 킵얼라이브 통신을 위해서는 통신경로 상의 네트워크 장비들 중 가장 짧은 장비허용시간(TD)을 가지는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TD)을 기준으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설정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mobile client 100, which is guaranteed mobility, the communication path changes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access location, and accordingly,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of the network equipment existing on the communication path is also varied, thus keeping the server-client stable. For alive communication, a keep-alive period T K should be set based on a device allowance time T D of a network device having the shortest device allowance time T D among network devices on a communication path.

따라서 고정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이용하는 종래의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경우에서 안정적인 킵얼라이브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려면 접속이 가능한 모든 통신경로 중에서 가장 작은 장비허용시간(TD)을 가지는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TD)을 기준으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설정하여야 하고, 도 5의 경우는 통신경로 2의 네트워크 장비(322)의 장비허용시간(TD)인 100초 또는 100초에 다소 못미치는 정도를 킵얼라이브 주기(TK)로 설정하여야만 모든 경우에서 안정적인 킵얼라이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경로 1 및 3과 같이 보다 긴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잦은 킵얼라이브 메시지 전송으로 인해 통신망 부하가 증가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fixed keep-alive period (T K ), in order to design stable keep-alive communication in all cases, it has the smallest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among all available communication paths. The keep-alive period T K should be set based on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of the network equipment. In FIG. 5, the device allowable time T D of the network device 322 of communication path 2 is 100 seconds. 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stable keep-alive communication only in a case where it is set to a keep-alive period (T K ) that is slightly less than 100 seconds. As a result, even when longer keep-alive periods T K such as communication paths 1 and 3 can be set, there is a problem in that network load increases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client terminal increases due to unnecessary frequent keep-alive messag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클라이언트가 현재 접속한 통신경로에서 최적의 킵얼라이브 주기를 탐색하여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잦은 킵얼라이브 메시지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과부하를 방지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and frequent keep-alive message transmission by searching for and determining the optimal keep-alive period in the communication path that the client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purpose is to prevent network overload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client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메시지의 정상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프로토콜인 UDP/IP를 이용한 킵얼라이브 통신에 있어서 서버에 회신을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여 킵얼라이브 메시지 정상전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통해 최적의 킵얼라이브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keep-alive communication using UDP / IP, which is a protocol that cannot determine whether a message is normally delivered, a keep-alive message for requesting a reply to the server is sent.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an optimal keepalive period through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keepalive message is normally deliver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 또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빈번한 회신 메시지로 인한 통신망 부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load due to the frequent reply message of the server by transmitting a keep-alive message for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or a non-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ppropriately according to a situation. To reduce th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을 초과한 킵얼라이브 주기로 인해 클라이언트의접속이 해제된 경우 클라이언트의 통신망 재접속시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재전송함으로써 서버에서 해당 클라이언트를 오프라인 상태로 오인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Lastly,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transmit the keep-alive message when the client reconnects to the network when the client is disconnected due to the keep-alive period exceeding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of the network equipment. It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misrecognizing the client offline in the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를 온라인 상태로 유지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킵얼라이브 주기마다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킵얼라이브 전송모듈;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는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 및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에 의해 증가한 킵얼라이브 주기를 적용하여 전송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감소시키는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는 킵얼라이브 수신모듈;를 포함하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client transmitting a keep-alive messag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rver that keeps the client online according to receipt of the keepalive message from the client, wherein the client transmits the keepalive message at every keepalive period. Transmission module; A keep-alive period increasing module for increasing the keep-alive period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is successful; And a keep-alive period reduction module that reduces the keep-alive period when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transmitted by applying the keep-alive period increased by the keep-alive period increase module fails. A keep-alive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mess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서버가,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는 최대시간인 서버허용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은, 상기 서버허용시간 이내에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sets a server allowable time, which is a maximum time that the server maintains an online state of the client without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cluding the keep-alive message, and the keep-alive is performed. The period increasing module may increase the keepalive period within the server allowable ti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가 상기 서버허용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상기 서버허용시간으로 유지하는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keep-alive period maintaining module configured to maintain the keep-alive period as the server allowable time when the client reaches the server allowable tim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에 의해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가 감소한 경우 상기 감소된 킵얼라이브 주기로 유지하는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keep-alive period maintaining module configured to maintain the reduced keep-alive period by the client when the keep-alive period is reduced by the keep-alive period reduc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신망에 재접속하고,킵얼라이브 전송모듈은, 상기 통신망에 재접속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nnects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client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has failed, and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reconnects the keep-alive message upon re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ransmiss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킵얼라이브 전송모듈이 상기 서버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로 UDP/IP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회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회신 전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회신 전송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회신 수신모듈; 및 상기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설정시간 내에 상기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성공 및 전송실패를 판정하는 전송성공 판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transmits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requesting a reply message to the server as the keep-alive message according to the UDP / IP protocol, and the server The reply send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eply sending module configured to send the reply message to the client when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is received, wherein the client receives the reply message sent from the reply sending module. ; And a transmission success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ransmission success and transmission failure of the keepalive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response message is received within a set tim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킵얼라이브 전송모듈이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에 의해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does not request a reply message to the server when the keep-alive period is maintained by the keep-alive period maintenance module. The message is transmitted as the keepalive messa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킵얼라이브 전송모듈이 상기 서버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상기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일정 비율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transmits a non-response keepalive message that does not request a reply message to the server and the reply-request keepalive mess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tio. It is do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가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현재 접속된 상기 데이터통신망의 이동통신 사업자 식별자를 통해 식별된 상기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을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ent accesses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nd transmits the keep-alive message,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iden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dentifier of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e equipment allowance time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applied as the keepalive perio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이 설정스텝으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전송 주기 감소모듈은 상기 설정스텝으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ep-alive period increasing module increases the keep-alive period in a setting step, and the transmission period reduction module decreases the keep-alive period in the setting step. It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되,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에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상기 서버로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가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통신망에 재접속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유지하여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a client transmitting a keep-alive message to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client accesses the server; A second step of the client sending the keepalive message to the server; A third step of the client determining whether to send the keepalive message to the server; A fourth step of the client increasing the keepalive period and proceeding to the second step if the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is successfu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hird step; A fifth step of the client reducing the keepalive period and re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fail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hird step; And a sixth step of transmitting, by the client, the keepalive message by maintaining the keepalive perio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은,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상기 클라이언트를 온라인 상태로 상기 서버가 유지하는 최대시간인 서버허용시간에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가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 6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keep-alive is performed at a server allowable time, which is the maximum time the server maintains an online state without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cluding the keep-alive message. If the alive cycle is reach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xth step proceed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은,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통신망 재접속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fth step, the client retransmits the keep-alive message when the client reconnects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은, 상기 제 4 단계는, 설정스텝 단위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5 단계는, 설정스텝 단위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감소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the keep-alive period is increased in units of setting steps, and in the fifth step, the keep-alive period is decreased in units of setting steps.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은,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버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UDP/IP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회신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근거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sending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requesting a reply message to the server according to a UDP / IP protocol; and, in the third step, The method may determine whether to send the keepalive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client receives the reply messa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은,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서버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ixth step, a non-reply-required keep-alive message that does not request a reply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이동통신 사업자의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을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로 적용하고 상기 제 6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astly, the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step, when the client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e equipment allowance time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Applying in an alive cycle, characterized in that proceed to the sixth step.

본 발명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통신경로에 따라 최적의 킵얼라이브 주기를 클라이언트가 탐색하여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잦은 킵얼라이브 메시지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과부하를 방지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keep-alive period is searched and determined by the client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ath, thereby preventing network overload due to unnecessary frequent keep-alive message transmission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client terminal. Provide eff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메시지의 정상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프로토콜인 UDP/IP를 이용하여 킵얼라이브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서버에 회신을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여 킵얼라이브 메시지 정상전달 여부에 따라 최적의 킵얼라이브 주기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keep-alive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UDP / IP, which is a protocol that cannot confirm whether a message is normally delivered or not, a request for replying to the server is required. By sending an Alive messa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timal keepalive period according to whether the keepalive message is normally deliver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 또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빈번한 회신 메시지로 인한 통신망 부하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load due to the frequent reply message of the server by transmitting a keep-alive message for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or a non-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ppropriately according to a situation. Provides the effect of reducing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을 초과한 킵얼라이브 주기로 인해 클라이언트의접속이 해제된 경우 클라이언트의 통신망 재접속시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재전송함으로써 서버에서 해당 클라이언트를 오프라인 상태로 오인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Lastly,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transmit the keep-alive message when the client reconnects to the network when the client is disconnected due to the keep-alive period exceeding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of the network equipment. By doing so, the server can solve the problem of misrecognizing the client offline.

도 1은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의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non-reply keep-alive message.
2 is a block diagram of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iming diagram of transmission of a keepalive message of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ransmission timing diagram of a keepalive message of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iming diagram of transmission of a keepalive message of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0)와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illustrates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ient 100 and a server 200.

클라이언트(100)는 통신망을 통해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The client 10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o the serv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a user terminal such as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phone, a notebook PC, and a tablet PC. .

서버(200)는,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포함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100)를 온라인 상태로 관리하고, 일정 시간 동안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포함한 어떠한 메시지도 전송하지 않은 클라이언트(100)를 오프라인 상태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버(200)로는 클라이언트(100)의 온라인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클라이언트(100)들의 온라인 상태를 다른 사용자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를 예를 들 수 있다.The server 200 manages an online state of the client 100 continuously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and transmits any message including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non-client 100 performs an offline management function. The server 200 may be, for example, a messenger server continuously checking the online state of the client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ing the online state of the clients 100 to another user client 1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100)의 상세구성을 도시한다. 클라이언트(100)는 킵얼라이브 전송모듈(110),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120), 및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li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100 includes a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110, a keepalive period increase module 120, and a keepalive period reduction module 130.

킵얼라이브 전송모듈(110)은, 킵얼라이브 주기(TK)마다 통신망을 통해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110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t every keepalive period T K.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120)은, 서버(200)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수신을 성공한 경우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keepalive period increase module 120 performs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keepalive period T K when the server 200 successfully receives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130)은,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120)에 의해 증가한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적용된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서버(200)에서 수신실패한 경우 킵얼라이브 주기(TK)를 다시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keep-alive period reduction module 130 performs a keep-alive period when the server 200 fails to receive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o which the keep-alive period T K increased by the keep-alive period increase module 120 is applied. Decreases (T K ) again.

서버(200)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수신에 성공한 경우는 현재 클라이언트(100)에 적용된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적절하거나 필요 이상으로 빈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킵얼라이브 주기(TK)의 증가여지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120)은 현재 적용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증가시킨다.When the server 200 successfully receives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keep-alive period T K currently applied to the client 100 is appropriate or more frequent than necessary. Therefore,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re is room for increase in the keep-alive period T K , the keep-alive period increase module 120 increases the currently applied keep-alive period T K.

반대로 서버(200)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수신에 실패한 경우는 현재 클라이언트(100)에 적용된 킵얼라이브 주기(TK)가 통신망에 개재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TD)을 초과하여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200)의 통신망 접속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장비허용시간(TD)을 초과하지 않도록 킵얼라이브 주기(TK)를 감소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rver 200 fails to receive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he keep-alive period T K currently applied to the client 100 exceeds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of the network equipment intervening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a resul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of the client 200 has been released. Thus in this case keep alive period (T K) is reduced the equipment allows the time (T D) keep-alive period (T K) does not exceed a.

마지막으로, 서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수신하는 킵얼라이브 수신모듈(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nally, the server 200 includes a keepalive receiving module 210 for receiving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as shown in FIG.

상술한 클라이언트(100) 및 서버(200)의 구성에 따르면 현재 클라이언트(100)가 위치한 통신경로에서 가장 효율적인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자동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빈번한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부담증가 및 클라이언트(100) 단말의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lient 100 and the server 200 described above, since the most efficient keepalive period T K is automatically set in the communication path in which the client 100 is currently located, a frequent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network burden due to the transmission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client (100) terminal.

한편, 종래의 킵얼라이브 통신에 따르면, 메신저 서비스의 특성 및 아이들 모드 동작을 고려하여 수신측과의 연결설정을 하지 않는 UDP/IP(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통해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전송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 측에 별도의 회신 메시지(ack_msg)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는 서버(200)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알 수가 없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keep-alive communication,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hrough UDP / IP (User Datagram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hat does not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 receiv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ssenger service and idle mode operation ),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reply message (ack_msg) to the server 20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lient 100 may not know whether the server 200 normally receives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서버(200)의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수신여부를 파악해야지만 킵얼라이브 주기(TK)의 증가 또는 감소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의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200)의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수신에 따라 회신 메시지(ack_msg)를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이용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server 200 receives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bu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keep-alive period T 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server 200 receives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as a method for checking whether the server 200 receives the keep-alive message. Accordingly,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requesting a reply message (ack_msg) is used.

서버(200)가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수신하면 종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의 수신시와 동일하게 해당 클라이언트(100)를 온라인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더불어 서버(200)는 UDP/IP 통신임에도 불구하고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전송한 클라이언트(100)에게 회신 메시지(ack_msg)를 전송한다.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가 전송되고 이에 대한 회신 메시지(ack_msg)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초 이내로 수백초에 달하는 킵얼라이브 주기(TK)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기 때문에 클라이언트(100)는 서버(200)의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수신여부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server 200 receives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the server 100 keeps the client 100 online as in the case of receiving the conventional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n addition, the server 200 transmits a reply message (ack_msg) to the client 100 which has sent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despite the UDP / IP communication. The time required to send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and receive a reply message (ack_msg) is short enough to be negligible compared to the keepalive period (T K ) of several seconds or less. 100 may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the server 200 receives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클라이언트(100)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구성하는 UDP/IP 패킷에 약속된 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고, 서버(200)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한 UDP/IP 패킷에 약속된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100)에게 회신 메시지(ack_msg)를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As a method for implementing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the client 100 includes the promised data in a UDP / IP packet constituting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and transmits it, and the server 200 For example, if the UDP / IP packet received from the client 100 includes the promised data, the method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reply message (ack_msg) to the corresponding client 100.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100)의 킵얼라이브 전송모듈(110)은 UDP/IP 프로토콜에 따라 서버(200)에게 회신 메시지(ack_msg)를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_alive_msg)를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로 전송하고, 서버(200)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_alive_msg)를 수신하는 경우 클라이언트(100)에게 회신 메시지(ack_msg)를 전송하는 회신 전송모듈(220)을 더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100)는 회신 전송모듈(220)로부터 전송된 회신 메시지(ack_msg)를 수신하는 회신 수신모듈(150) 및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_alive_msg)의 전송에 따라 설정시간 내에 회신 메시지(ack_msg)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의 전송성공 및 전송실패를 판정하는 전송성공 판정모듈(160)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110 of the client 100 sends a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_alive_msg) to request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_msg) to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UDP / IP protocol. The server 200 further includes a reply transmission module 220 for transmitting a reply message (ack_msg) to the client 100 when receiving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_alive_msg). In addition, the client 100 transmits a reply message (ack_msg) within a set tim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reply receiving module 150 and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_alive_msg) that receive the reply message (ack_msg) transmitted from the reply transmitting module 220. The transmission success determination module 160 further determines a transmission success and a transmission failure of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based on whether it is received.

한편 킵얼라이브 주기(TK)는 설정스텝(예컨데 10초) 단위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120)은 설정스텝으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증가시키고, 주기 감소 모듈(130)은 역시 설정정스텝으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감소시키도록 구성한다.Meanwhile, the keep-alive period T K is preferably increased or decreased in units of a setting step (for example, 10 seconds). To this end, the keep-alive period increasing module 120 of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keep-alive period T K in a setting step, and the period reduction module 130 also keeps skipping in the setting step. Configure to reduce the alive period (T K ).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경로에 따른 킵얼라이브 주기(TK) 조정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킵얼라이브 주기(TK)는 서버(200)의 최대허용시간인 서버허용시간(TS)이거나 서버허용시간(TS)에 다소 못 미치는 정도로 조정될 수도 있고, 통신경로에 따라서는 통신경로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최대허용시간인 장비허용시간(TD)이거나 장비허용시간(TD)에 다소 못 미치는 정도로 조정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adjusting the keep-alive period T K according to the network pat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Keep-alive period (T K) may be adjusted so slightly short of the maximum allowable time, the server allows the time (T S) or a server permitted time (T S) of the server 200, is present in the communication path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ath, It is adjusted to the extent that the allowable time (T D ) or the allowable time (T D ) of the maximum allowable time of the network equipment.

도 5의 통신경로 1의 경우와 같이 장비허용시간(TD)이 서버허용시간(TS)보다 긴 경우는 킵얼라이브 주기(TK)는 서버허용시간(TS)으로 조정되고, 경로 2 또는 경로 3과 같이 장비허용시간(TD)이 서버허용시간(TS)보다 짧은 경우는 킵얼라이브 주기(TK)는 가장 짧은 장비허용시간(TD)으로 조정된다.As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path 1 of FIG. 5, when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is longer than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the keep-alive period T K is adjusted to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and the path 2 Alternatively, if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is shorter than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as in route 3, the keep-alive period (T K ) is adjusted to the shortest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이하에서는 최초 킵얼라이브 주기(TK)가 50초이고, 킵얼라이브 주기(TK)의 설정스텝이 10초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최초 킵얼라이브 주기(TK)는 클라이언트(100)가 서버(200)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새로운 네트워크를 통해 재접속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킵얼라이브 주기(TK)로서 네트워크 경로에서 예상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장비허용시간(TD)을 고려하여 가급적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initial keep-alive period T K is 50 seconds and the setting step of the keep-alive period T K is 10 seconds. The first keep-alive period (T K) is the smallest equipment, which can be expected in a network path as the keep-alive period (T K) is applied when the client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or to reconnect with a new network to the server 200 It is preferable to set as small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allowable time T D.

먼저, 통신경로 1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클라이언트(100)의 킵얼라이브 주기(TK)는 50초에서 시작하여 10초 간격으로 26번 증가하여 27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27)의 킵얼라이브 주기(TK)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허용시간(TS)인 300초를 초과하는 310초에 이르게 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100)는 킵얼라이브 주기(TK)가 300초인 26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26)를 전송하고 이후 이보다 10초 증가한 310초의 새로운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적용하여 27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27)를 보내게 된다. 이때 서버허용시간(TS)인 300초 이후부터 27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27)를 수신하는 10초 동안 서버(200)는 해당 클라이언트(100)를 오프라인 상태로 잘못 인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First, the keep-alive period T K of the client 100 belonging to the network of communication path 1 starts at 50 seconds and increases 26 times at 10 second intervals to increase the keep-alive period T K of the 27th keep-alive message KA27. ) Reaches 310 seconds exceeding 300 seconds, which is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as shown in FIG. 6. In this case, the client 100 transmits a 26th keepalive message KA26 having a keepalive period T K of 300 seconds and then applies a new keepalive period T K of 310 seconds which is increased by 10 seconds. Will send a message KA27. In this case, the server 200 incorrectly recognizes the client 100 as an offline state for 10 seconds after receiving the 27th keep-alive message KA27 from 300 seconds after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이러한 문제는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120)의 상한을 서버허용시간(TS)으로 설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장비허용시간(TD)은 통신경로에 따라 달라지는 반면 서버허용시간(TS)은 통신경로에 따라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서버(200)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100)는 이미 정해진 서버허용시간(TS) 이내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클라이언트(100)의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는 최대시간인 서버허용시간(TS)을 설정하고,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120)은 서버허용시간(TS) 이내에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증가시키도록 구성한다.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setting the upper limit of the keep-alive period increasing module 120 to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depends on the communication path, while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does not depend on the communication path, so that the client (100)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200) already has a predetermined server allowable time (T S). It can be set to limit the keep-alive period (T K ) within). In detail, the server 200 sets a server allowable time T S , which is a maximum time for maintaining the online state of the client 100 that does not transmit or receive a message including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and a keep-alive period. The increase module 120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keepalive period T K within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이때 클라이언트(100)는 이후의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에 대해서는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서버허용시간(TS) 이내로 유지하도록 하는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140)을 더 포함함으로써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TD)의 제한이 없는 경로 1과 같은 네트워크 경로에서는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서버허용시간(TS)인 300초 또는 그에 다소 못 미치는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lient 100 further includes a keep-alive period maintaining module 140 for maintaining the keep-alive period T K within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for the subsequent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keep-alive period T K in the network path such as path 1 without limiting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of the device to 300 seconds or less than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도 5의 경로 2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클라이언트(100)의 경우를 설명한다. 해당 클라이언트(100)의 킵얼라이브 주기(TK)는 50초에서 시작하여 10초 간격으로 6번 증가하여 7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7)의 킵얼라이브 주기(TK)는 네트워크 장비(322)의 장비허용시간(TD)인 100초를 초과하는 110초에 이른다. 이때 네트워크 장비(322)는 장비허용시간(TD)인 100초 경과로 인해 클라이언트(100)의 접속을 이미 해제해버린 상황이기 때문에 7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7)는 서버(200)에 도달하지 못한다.Next, the case of the client 100 belonging to the network of route 2 of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keep-alive period T K of the client 100 starts at 50 seconds and increases six times at 10 second intervals so that the keep-alive period T K of the seventh keep-alive message KA7 is determined by the network equipment 322. It reaches 110 seconds exceeding the allowable time (T D ) of 100 seconds. At this time, since the network device 322 has already released the connection of the client 100 due to the elapsed time of 100 seconds, which is the allowable time period T D , the seventh keep-alive message KA7 does not reach the server 200. can not do it.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100)는 7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7)에 대한 회신 메시지(ack_msg)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130)은 종전의 6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6)의 킵얼라이브 주기(TK)인 100초로 8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8)의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재조정한다. 또한 클라이언트(100)는 네트워크 접속해제를 복구하기 위해 8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8)의 전송 전에 네트워크에 재접속을 한다.Accordingly, the client 100 does not receive a reply message (ack_msg) for the seventh keepalive message KA7, and the keepalive period reduction module 130 keeps alive the previous sixth keepalive message KA6. cycle and readjust the keep alive period (T K) of 100 seconds eighth keep-alive message (KA8) (T K). In addition, the client 100 reconnects to the network before sending the eighth keepalive message KA8 to recover the network disconnection.

한편 8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8) 이후로는 네트워크 장비(322)의 장비허용시간(TD)인 100초 또는 그에 다소 못 미치는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클라이언트(100)는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130)에 의해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설정스텝만큼 감소한 경우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유지하는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14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증가하다 감소하게 되면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140)은 최적 킵얼라이브 주기(TK)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eighth keep-alive message KA8,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device allowable time T D of the network device 322 or less than 100 seconds. To this end, the client 100 of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keep-alive period T K when the keep-alive period T K is reduced by the set step by the keep-alive period reduction module 130.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keepalive cycle maintenance module 140 to maintain. Accordingly, when the keep-alive period T K increases and decreases, the keep-alive period maintenance module 140 determines that the optimum keep-alive period T K has been reached and maintains the result.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도 5의 경로 3 네트워크에 속하는 클라이언트(100)의 경우를 설명한다. 클라이언트(100)의 킵얼라이브 주기(TK)는 50초에서 시작하여 10초 간격으로 16번 증가하여 17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17)의 킵얼라이브 주기(TK)는 네트워크 장비(331)의 장비허용시간(TD)인 200초를 초과하는 210초가 된다.Finally, the case of the client 100 belonging to the route 3 network of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keepalive period T K of the client 100 starts at 50 seconds and increases 16 times at 10 second intervals so that the keepalive period T K of the 17th keepalive message KA17 is the equipment of the network device 331. accepted is 210 seconds of more than 200-second time (T D).

이 경우 전술한 경로 2의 네트워크 상황과 동일하지만 16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16) 전송부터 18번째 킵얼라이브 메시지(KA18)의 전송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410초로서 그 사이 서버허용시간(TS)인 300초가 도과하여 110초 동안 서버(200)가 해당 클라이언트(100)를 오프라인 상태로 잘못 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this case the same as the network situation of the above-described route 2, but in the 16th keepalive message (KA16) from transmission 18th keepalive message transmission is that between the server permit time (T S) as 410 seconds Time to the (KA18) After 300 seconds have elapse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erver 200 incorrectly recognizes the client 100 as offline for 110 second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킵얼라이브 전송모듈(110)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전송이 실패한 경우 네트워크에 재접속하여 재접속시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역시 재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f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110 fails to transmit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t is preferable to retransmit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when reconnecting to the network.

킵얼라이브 주기(TK)에 비해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소요되는 시간은 현저히 짧기 때문에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의 전송 이후 수초 이내에 클라이언트(100)가 서버(200)로부터 회신 메시지(ack_msg)를 수신하지 못하면 장비허용시간(TD) 도과로 인한 네트워크 접속 해제 상황으로 인식하여 클라이언트(100)는 네트워크 재접속 후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다시 전송하는 방법으로 서버허용시간(TS) 도과로 인한 서버(200)의 오프라인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time required for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keep-alive period (T K ), the client 100 replies from the server 200 within a few seconds after transmission of the request-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If the message ack_msg is not received, the server 100 recognizes it as a network disconnection situation due to the equipment allowance time T D and the client 100 retransmits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after reconnecting the network. (T S ) It is possible to prevent offline misrecognition of the server 200 due to the transient.


경로 1

Route 1

경로 2

Route 2

경로 3

Route 3

평 균

Average

고정식 KA 통신시스템(종래기술)

Fixed KA Communication System (Prior Technology)

100초

100 sec

100초

100 sec

100초

100 sec

100초

100 sec

적응식 KA 통신시스템(본원발명)

Adaptive KA communication system (original invention)

300초

300 seconds

100초

100 sec

200초

200 sec

200초

200 sec

표 1은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상황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과 본 발명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의 킵얼라이브 주기(TK)를 비교한 것이다.Table 1 compares the keep-alive period T K betwee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etwork situation shown in FIG.

종래의 경우 킵얼라이브 주기(TK)를 변경시킬 수 없기 때문에 가장 작은 네트워크 장비(322)의 장비허용시간(TD)인 100초를 예상하여 킵얼라이브 주기(TK)를 100초를 적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네트워크 경로에 따라 적응적으로 킵얼라이브 주기(TK)가 결정되어 경로 1및 경로 3에서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로 인한 트래픽이 1/3 및 1/2로 경감되고, 클라이언트(100) 단말의 전력소모 역시 1/3 및 1/2으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된다. 경로 1, 경로 2, 경로 3이 각각 1/3 씩 점유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에 비해 평균적으로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로 인한 트래픽과 전력소모를 1/2로 경감시킬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keep-alive period T K cannot be changed, the keep-alive period T K should be applied to 100 seconds in anticipation of the device allowable time T D of the smallest network device 322.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epalive period T K is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etwork path, thereby reducing the traffic caused by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n paths 1 and 3 to 1/3 and 1/2.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lient 100 terminal is also reduced to 1/3 and 1/2.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path 1, path 2, and path 3 each occupy one third,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verage of the traffic caused by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1/2.

한편,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는 서버(200)의 회신 메시지(ack_msg)를 유발하기 때문에 다수의 클라이언트(100)가 동시에 서버(200)에 접속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적인 트래픽 발생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의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클라이언트(100)의 킵얼라이브 전송모듈(110)은 더 이상 도 2의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전송하지 않고 회신요구하지 않는 도 3의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non_ackable_keep-alive_msg)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클라이언트(100)가 현재 접속한 통신 네트워크에 최적화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결정한 이후에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non_ackable_keep-alive_msg)를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Meanwhile, since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causes the reply message (ack_msg) of the server 200, additional traffic 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lients 100 access the server 200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of occurrence. Therefore, when the keepalive period T K of the client 100 is maintained,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110 of the client 100 no longer transmits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of FIG. 2.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non-reply keep-alive message (non_ackable_keep-alive_msg) of FIG. 3 that does not request a rep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fter the client 100 determines the keepalive period T K optimized for the currently connected communication network, the client 100 transmits a non-request-to-request keepalive message (non_ackable_keep-alive_msg) to reduce network traffic. do.

또 다른 실시예로서, 킵얼라이브 전송모듈(110)은, 서버(200)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non_ackable_keep-alive_msg)와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일정 비율에 따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100)는 예컨데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non_ackable_keep-alive_msg)를 10회 전송한 후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1회 전송하거나, 300초 단위에 한번씩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전송하고 그 외에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non_ackable_keep-alive_msg)를 전송함으로써 클라이언트(100)가 접속한 통신망의 환경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회신 메시지(ack_msg)로 인한 과도한 트랙픽을 방지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110 schedules a non-request request keepalive message (non_ackable_keep-alive_msg) and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that do not request a reply message to the server 200.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at a ra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client 100 transmits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once after sending a non-return request keepalive message (non_ackable_keep-alive_msg) 10 times or once every 300 seconds. By sending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and otherwise returning a non-request request keepalive message (non_ackable_keep-alive_msg), the client 100 continuously monitors the environment changes of the network to which the client 100 is connected, ack_msg) can prevent excessive traffic.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100)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에 접속하여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전송하는 경우, 현재 접속된 데이터통신망의 이동통신 사업자 식별자를 통해 식별된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TD)을 킵얼라이브 주기(TK)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ast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ient 100 accesses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nd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dentifier of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dentified through the keep-alive period T K.

스마트폰과 같은 클라이언트(100)는 WiFi 무선 LAN과 같은 일반 인터넷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할 수도 있고, W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이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일반 인터넷의 경우 같은 장소에서도 매번 라우팅 경로가 달라지기 때문에 통신경로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인터넷 장비의 장비허용시간(TD) 예측이 불가능하지만, 이동통신 사업자의 데이터통신망은 데이터통신망 전체의 장비허용시간(TD)이 일정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는 자신이 접속한 데이터통신망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 매번 해당 데이터통신망의 최적 킵얼라이브 주기(TK)를 탐색하지 아니하고, 식별된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TD)이 서버허용시간(TS) 보다 짧다면 해당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TD)을 킵얼라이브 주기(TK)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The client 100 such as a smartphone may access the server 200 through a general Internet such as a WiFi wireless LAN, or the server 200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ch as WCDMA or Long Term Evolution (LTE). ) Can be accessed. In the case of general Internet, because the routing path is different every time in the same place, it is impossible to estimate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of the Internet equipment with the smallest value in the communication path. The time T D is constant. Therefore, when the client 100 can identify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lient 100 is connected, the client 100 does not search for the optimal keepalive period T K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every time, and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of the identifi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If it is shorter than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it is reasonable to apply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as the keep-alive period (T K ).

데이터통신망 접속시 클라이언트(100)가 데이터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MCC(Mobile Country Code) 및 MNC(Mobile Network Code)를 통해 클라이언트(100)는 자신이 접속한 데이터통신망을 식별이 가능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는 각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별 장비허용시간(TD)을 서버(200) 또는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문의하여 수신된 장비허용시간(TD)을 고려하여 최적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적용하거나 특정 데이터통신망에 접속시 탐색된 최적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저장하였다가 동일한 데이터통신망에 접속시 저장된 최적 킵얼라이브 주기(TK)를 다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the client 100 may identify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lient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untry code (MCC) and the mobile network code (MNC) received from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the client 100 inquires the equipment allowance time T D for each dat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each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rough the server 200 or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 consideration of the received equipment allowance time T D. period (T K) the application or the optimum keep alive period search time of connection to a particular data communications network (T K) the storage was added to be configured to use the optimal keep alive period (T K) is stored when attached to the same data communication network back have.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100)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에 접속하여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전송하는 경우, 현재 접속된 데이터통신망의 이동통신 사업자 식별자를 통해 식별된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TD)을 킵얼라이브 주기(TK)로 적용하도록 구성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client 100 accesses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nd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he client 100 is identifi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dentifier of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configured to be applied as a keep-alive period (T K ).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킵얼라이브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클라이언트(100)가 통신망을 통해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킵얼라이브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먼저 클라이언트(100)가 서버(200)에 접속하는 제 1 단계(S10)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서버(200)는 해당 클라이언트(100)를 온라인 상태로 관리한다.In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client 100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o the serv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irst step S10 in which the client 100 connects to the server 200. Perform Through this, the server 200 manages the client 100 in an online state.

다음으로, 클라이언트(100)가 서버(200)에게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전송하는 제 2 단계(S20)를 수행한다. 이때 최초의 킵얼라이브 주기(TK)는 통신망에 개재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TD) 이내가 되도록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client 100 performs a second step S20 of transmitting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o the server 2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first keep-alive period (T K ) so as to be within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of the network equipment intervening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다음으로, 클라이언트(100)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의 서버(200)로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때 제 2 단계(S20)는,서버에게 회신 메시지(ack_msg)를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를 UDP/IP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고, 제 3 단계(S30)는, 클라이언트(100)의 회신 메시지(ack_msg) 수신여부를 근거로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클라이언트(100)는 서버(200)의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의 수신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client 100 performs a third step S30 of determining whether to send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to the server 200. In this case, the second step S20 transmits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requesting a reply message (ack_msg)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UDP / IP protocol, and the third step (S30) includes the client 100.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to send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based on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reply message (ack_msg).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lient 100 may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of the server 200 is received.

다음으로, 제 3 단계(S30)의 판단결과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클라이언트(100)가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증가시키고 제 2 단계(S20)로 진행하는 제 4 단계(S40)를 수행한다.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가 서버(200)로 정상적으로 전송된 경우는 킵얼라이브 주기(TK)의 증가여지가 있기 때문에 제 4 단계(S40)에서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증가하도록 구성한다.Next,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s successful in the third step S30, the client 100 increases the keepalive period T K and proceeds to the second step S20. Perform step 4 (S40). If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is normally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e keep-alive period (T K ) is increased so that the keep-alive period (T K ) is configured to increase in the fourth step (S40). do.

다만,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서버허용시간(TS)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경우 서버(200)는 온라인 상태인 클라이언트(100)를 오프라인 상태로 오인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클라이언트(100)를 온라인 상태로 서버(200)가 유지하는 최대시간인 서버허용시간(TS)에 킵얼라이브 주기(TK)가 도달한 경우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서버허용시간(TS)으로 유지하여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전송하는 제 6 단계(S60)로 진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keep-alive period T K increases beyond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the server 200 may misidentify the client 100 that is online in an offline stat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 keep-alive period is performed at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which is the maximum time that the server 200 maintains an online state of the client 100 that does not transmit or receive a message including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When (T K ) is reached, it is more preferable to proceed to the sixth step (S60) of transmitting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by keeping the keep-alive period T K at the server allowable time T S. .

한편, 제 3 단계(S30)의 판단결과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클라이언트(100)가 킵얼라이브 주기(TK)를 감소시키고 통신망에 재접속하는 제 5 단계(S50)를 수행한다.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가 서버(20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는 킵얼라이브 주기(TK)가 통신망에 개재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장비허용시간(TD)을 초과하여 클라이언트(100)의 통신망 접속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100)는 통신망에 다시 접속을 시도하고 장비허용시간(TD) 이하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감소시켜 킵얼라이브 통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조치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fails in the third step (S30), the client 100 reduces the keep-alive period (T K ) and performs a fifth step (S50) of re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If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does not reach the server 200, the keep-alive period (T K ) exceeds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 of the network equipment intervening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client 10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has been released. In this case, the client 100 attempts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gain and reduces the keep-alive period T K to less than the equipment allowable time T D so as to keep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table.

제 5 단계(S50)의 킵얼라이브 주기(TK) 재조정 과정에서 전술한 도 8의 경우와 같이 서버허용시간(TS) 도과로 인해 서버(200)가 해당 클라이언트(100)를 오프라인 상태로 오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클라이언트(100)는 통신망 재접속시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재전송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keep-alive period of step 5 (S50) (T K), as in the case of FIG. 8 in remediation process server allowable time (T S) due to dogwa server 200 is misrecognized the client 100 is offline This may cause problems.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lient 100 may more preferably retransmit a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when the network is reconnected.

한편, 제 4 단계(S40)는 설정스텝 단위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증가시키고, 제 5 단계(S50)는 역시 설정스텝 단위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TK)를 감소시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step S40 increases the keep-alive period T K in units of setting steps, and the fifth step S50 also decreases the keep-alive period T K in units of setting steps. desirable.

클라이언트(100)가 제 5 단계(S50)에 의해 감소된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유지하여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_msg)를 전송하는 제 6 단계(S60)를 수행한다. 증가하던 킵얼라이브 주기(TK)가 다시 감소한 것은 현재 클라이언트(100)가 속해 있는 통신망에서 최적의 킵얼라이브 주기(TK)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클라이언트(100)는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유지하여 킵얼라이브 통신을 계속 수행한다.The client 100 performs a sixth step S60 of transmitting the keepalive message keep-alive_msg while maintaining the keepalive period T K reduced by the fifth step S50. Since the increased keep-alive period T K decreases agai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ptimal keep-alive period T K has been reach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lient 100 belongs to the client 100. Keep (T K ) to continue keep-alive communication.

클라이언트(100)가 킵얼라이브 주기(TK)를 유지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이동하여 현재 네트우크 경로에서 이탈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경로로 진입하지 않는 이상주기(TK)를 변화시킬 필요는 없어진다. 따라서 킵얼라이브 주기(TK)가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ackable_keep-alive_msg)가 아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non_ackable_keep-alive_msg)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lient 100 maintains the keep-alive period T K ,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abnormal period T K unless it physically moves to leave the current network path and enter the new network path. Therefore, when the keep-alive period T K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1, not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ackable_keep-alive_msg), as shown in FIG. 2, the non-return request keep-alive message (non_ackable_keep-alive_msg) It is desirable to send it.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100)가 이동통신 사업자의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TD)을 킵얼라이브 주기(TK)로 적용하고 제 6 단계(S60)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astly, when the client 100 accesses the server 2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the equipment allowance time T D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applied as the keep-alive period T K and the sixth step S60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o proceed to).

100 : 클라이언트 110 : 킵얼라이브 전송모듈
120 :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
130 :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
140 :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
150 : 회신 수신모듈 160 : 전송성공 판정모듈
200 : 서버
100: client 110: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120: keepalive cycle increase module
130: keepalive cycle reduction module
140: keepalive cycle maintenance module
150: reply receiving module 160: transmission success determination module
200: Server

Claims (17)

통신망을 통해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를 온라인 상태로 유지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킵얼라이브 주기마다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킵얼라이브 전송모듈;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는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 및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에 의해 증가한 킵얼라이브 주기를 적용하여 전송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감소시키는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는 킵얼라이브 수신모듈;를 포함하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A client transmitting a keepalive message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server that keeps the client online according to receipt of the keep-alive message from the client.
The client may further include: a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the keepalive message at every keepalive period; A keep-alive period increasing module for increasing the keep-alive period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is successful; And a keep-alive period reduction module configured to reduce the keep-alive period when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transmitted by applying the keep-alive period increased by the keep-alive period increase module fails.
And the server comprises a keepalive receiving module which receives the keepalive me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는 최대시간인 서버허용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은, 상기 서버허용시간 이내에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sets a server allowable time, which is a maximum time for maintaining the online state of the client without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cluding the keepalive message,
And the keep-alive period increasing module increases the keep-alive period within the server allowable ti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가 상기 서버허용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상기 서버허용시간으로 유지하는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lient,
And a keep-alive period maintaining module which maintains the keep-alive period at the server allowable time when the keep-alive period reaches the server allowable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감소모듈에 의해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가 감소한 경우 감소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로 유지하는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ient,
And a keep-alive period maintaining module which maintains the reduced keep-alive period when the keep-alive period is reduced by the keep-alive period reduction modu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신망에 재접속하고,
상기 킵얼라이브 전송모듈은, 상기 통신망에 재접속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f the client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has failed, the client reconnects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keep-alive transmission system, th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retransmitting the keep-alive message when re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킵얼라이브 전송모듈은, 상기 서버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UDP/IP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회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회신 전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회신 전송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회신 수신모듈; 및 상기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설정시간 내에 상기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성공 및 전송실패를 판정하는 전송성공 판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transmits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requesting a reply message to the server as the keepalive message according to a UDP / IP protocol,
The server further includes a reply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eply message to the client when receiving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The client includes a reply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reply message sent from the reply transmitting module; And a transmission success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ransmission success and transmission failure of the keepalive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response message is received within a set time according to transmission of the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킵얼라이브 전송모듈은,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유지모듈에 의해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게 상기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of claim 6,
And if the keep-alive period is maintained by the keep-alive period maintaining module, sending a non-returned keep-alive message that does not request the reply message to the server as the keep-alive mess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킵얼라이브 전송모듈은,
상기 서버에게 상기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상기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일정 비율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keepalive transmission module of claim 6,
A keep-aliv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transmits a non-response keep-alive message not requiring the reply message to the server and the reply-request keepalive message at a predetermined rati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현재 접속된 상기 데이터통신망의 이동통신 사업자 식별자를 통해 식별된 상기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을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ient,
In case of transmitting the keepalive message by access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pplying the equipment allowance time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dentifi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dentifier of the currently connect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as the keepalive period. Keep aliv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 증가모듈은 설정스텝으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전송 주기 감소모듈은 상기 설정스텝으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keepalive period increasing module increases the keepalive period in a setting step,
And the transmission period reducing module reduces the keepalive period in the setting step.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클라이언트를 온라인 상태로 유지하는 킵얼라이브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에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상기 서버로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가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통신망에 재접속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유지하여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방법.
A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a client transmits a keep-alive message to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rver keeps the client that has sent the keep-alive message online.
A first step of the client connecting to the server;
A second step of the client sending the keepalive message to the server;
A third step of the client determining whether to send the keepalive message to the server;
A fourth step of the client increasing the keepalive period and proceeding to the second step if the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is successfu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hird step;
A fifth step of the client reducing the keepalive period and re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ransmission of the keepalive message fail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hird step; And
And a sixth step of the client transmitting the keepalive message by maintaining the keepalive peri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송수신이 없는 상기 클라이언트를 온라인 상태로 상기 서버가 유지하는 최대시간인 서버허용시간에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가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 6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ourth step,
If the keep-alive period reaches the server allowable time, which is the maximum time the server maintains the client online without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cluding the keep-alive message, the keep-alive step proceeds to the sixth step. Communication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통신망 재접속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fth step,
And the client retransmits the keepalive message when the network reconnect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설정스텝 단위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 5 단계는, 설정스텝 단위로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를 감소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fourth step, the keep-alive period is increased in units of setting steps.
The fifth step is a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reducing the keep-alive period in the setting step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버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는 회신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UDP/IP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회신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근거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step is to send a reply request keepalive message requesting a reply message to the server according to a UDP / IP protocol,
The third step, the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send the keepalive message based on whether the client receives the reply messa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서버에게 회신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 회신비요구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ixth step is
A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non-response keepalive message not requesting a reply message to the serv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이동통신 사업자의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데이터통신망의 장비허용시간을 상기 킵얼라이브 주기로 적용하고 상기 제 6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킵얼라이브 통신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step,
If the client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e keep-alive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quipment allowance time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applied as the keepalive period and proceeds to the sixth step.
KR1020110066144A 2011-07-04 2011-07-04 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KR101256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44A KR101256801B1 (en) 2011-07-04 2011-07-04 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44A KR101256801B1 (en) 2011-07-04 2011-07-04 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45A true KR20130004845A (en) 2013-01-14
KR101256801B1 KR101256801B1 (en) 2013-04-22

Family

ID=4783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144A KR101256801B1 (en) 2011-07-04 2011-07-04 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801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0832A1 (en) * 2006-05-24 2007-11-28 Motorola, Inc. UMA/GAN keep-alive mechanism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328922B1 (en) * 2006-09-27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mproving access rate point to point protocol in thereof
US8477811B2 (en) * 2008-02-02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Radio access network (RAN) level keep alive signaling
US9313800B2 (en) 2009-06-23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for wireless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801B1 (en)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2681B2 (en) Higher layer compression with lower layer signaling
US85161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a terminal and server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63454A1 (en) End-to-end delay control method for both suppressing end-to-end delay time to a standard value or less and optimizing power-save operations
US200802440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server-based mobile chat
US8984158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304201A1 (en) Delivery device, communication system, load balancing method, and load balancing program
CN108401002B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equipment
CN102780712B (en) Conversation switching method and device
US1152834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US11184799B2 (en) WiFi TCP performance in multi-radio coexistence cases
US20120077464A1 (en) Method for managing a status of a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140250165A1 (en) Method and Devices for Session Timeout Management
KR101224557B1 (en) System, client device,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WO202023889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422780A (en) Heartbeat interval adjust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long connection
KR1012568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keep-alive communication
WO2022033083A1 (en) Decoding method, decoding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2992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plink traffic from a client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8772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ransmission delay of HTTP protocol and processing load of HTTP serv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882682B2 (en) Message distributing system, message distributing apparatus, message distributing method and message distributing program
JP2014146876A (en) Message distribution system and message distribution method
US201203077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US11956328B1 (en) Avoiding stuck subscriber sessions on a disaggregated broadband network gateway
KR100864481B1 (en) Ghost server system for improving throughput of wireless internet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17351A (en) TRAFFIC CONTROL METHOD AND TRAFFIC CONTROL SERVER FOR Io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