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596A -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596A
KR20130003596A KR1020110065039A KR20110065039A KR20130003596A KR 20130003596 A KR20130003596 A KR 20130003596A KR 1020110065039 A KR1020110065039 A KR 1020110065039A KR 20110065039 A KR20110065039 A KR 20110065039A KR 20130003596 A KR20130003596 A KR 20130003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water heating
unit pane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기
김영철
김성식
황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아이
Priority to KR102011006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596A/ko
Publication of KR2013000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크기를 가지는 조립이 가능한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을 제공함은 물론, 이를 다단 조립을 통해 실내측의 각 방 바닥면에 설치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종래 배관의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적 또는 경제점 부담을 없애면서 온수 난방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Hot water heating system that use unit pannel for hot water heating and this}
본 발명은 온수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크기로서 조립이 가능한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을 실내측의 각 방 바닥면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 난방 시스템은 바닥면에 배관을 매설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바닥면에 배관을 매설하는 방식은 배관에 대한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서는 바닥면을 분쇄한 후 다시 바닥면을 시공해야 하는 등 그 유지 보수에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인 부담이 상당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크기를 가지는 조립이 가능한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다단 조립한 후 이를 실내측의 각 방 바닥면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종래 배관의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적 또는 경제점 부담을 없애면서 온수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상기 메인관과 연통되는 다단의 서브관; 및,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메인관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결안내관;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메인관과 서브관 및 상기 연결안내관은 단위패널의 내부에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안내관에는 밀폐마개 또는 결속관을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이용한 온수 난방시스템은,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이 결속관과 결합돌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실내측 방 바닥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난방부; 온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부를 이루는 다단의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에 온수를 공급하고 리턴받는 보일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난방부와 보일러장치는 상기 보일러장치로부터 인출되어 분기되는 복수의 온수 순환관 및, 상기 보일러장치로부터 인출되어 분기되는 복수의 온수 리턴관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관은 상기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을 이루는 연결안내관에 자동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이 다단 연결시, 인접하는 단위패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수 순환관과 온수 리턴관은 다단을 이루는 연결안내관에 분기되어 결합되고, 상기 온수 순환관과 온수 리턴관이 연결되지 않은 연결안내관에는 밀폐마개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메인관의 직경은 동일하게 구성하되,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서브관으로의 온수 출수 압력변화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메인관의 직경은 상기 서브관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크기를 가지면서 조립시 자동 실링이 이루어지는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을 제공함은 물론, 이를 다단 조립을 통해 실내측의 각 방 바닥면에 설치 구성한 것으로, 이에따라 종래 배관의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적 또는 경제점 부담을 없애면서 온수 난방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이 적용되는 온수 난방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은 메인관(11)(11a), 서브관(12), 연결안내관(13), 단위패널(14), 그리고 밀폐마개(15)와 결속관(16)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메인관(11)(11a)은 상기 단위패널(14)의 내부 상,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끝단에는 상기 연결안내관(13)이 결합 구성되며, 상기 연결안내관(13)에는 상기 밀폐마개(15) 또는 도 2에 도시된 결속관(16)이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서브관(12)은 상기 메인관(11)(1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메인관(11)(11a)을 연결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단위패널(14)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기 메인관(11)(11a)의 직경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메인관(11)(11a)의 직경은 상기 서브관(12)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하게 되고, 이는 상기 메인관(11)(11a)으로부터 서브관(12)으로의 난방수 출수 압력변화를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단위패널(14)은 상기 메인관(11)(11a)과 서브관(12) 및 연결안내관(13)을 내부에 구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은 실내측의 각 방 바닥면에 하나 또는 다단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보일러장치와 연결하여 온수를 공급받고 리턴하면서 난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은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 1의 구성요소인 메인관(11)(11a), 서브관(12), 연결안내관(13), 밀폐덮개(15) 및 결속관(16)을 구성하는 단위패널(14)을 다단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난방부(100)를 보일러장치(200)와 온수 순환관(L1) 및 온수 리턴관(L2)으로 연결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난방부(100)는 상기 단위패널(14)을 결속관(16)과 결합돌기(17)를 통해 자동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연속적으로 결합 구성한 후 이를 실내측 방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장치(200)는 온수탱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난방부(100)를 이루는 다단의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14)에 온수를 공급하고 리턴받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난방부(100)와 보일러장치(200)는 상기 보일러장치(200)로부터 인출되어 분기되는 복수의 온수 순환관(L1) 및, 상기 보일러장치(200)로부터 인출되어 분기되는 복수의 온수 리턴관(L2)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속관(16)은 상기 연결안내관(13)에 끼움결합이 이루어져 자동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7)는 상기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14)이 다단으로 연결될 때, 상기 인접하는 단위패널(14)을 결합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결속관(16)은 상기 연결안내관(13)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때, 그 둘레면이 상기 연결안내관(13)의 내부면과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되면서, 상기 결속관(16)과 상기 연결안내관(13) 사이의 결합부위가 자동 실링되도록 한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결속관(16)과 연결안내관(13)의 결합부위에서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7)는 실내측의 각 방의 바닥면에 단위패널(14)이 다단 연결되면서 설치될 때 상기 단위패널(14)의 뒤틀림을 방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온수 순환관(L1)과 온수 리턴관(L2)은 다단을 이루는 연결안내관(13)에 분기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온수 순환관(L1)과 온수 리턴관(L2)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안내관(13)에서는 밀폐덮개(15)를 분리시키고, 상기 온수 순환관(L1)과 온수 리턴관(L2)이 결합되지 않는 연결안내관(13)에서는 상기 밀폐덮개(15)를 분리시키지 않고 결합상태를 그대로 유지해야 하며, 이에따라 상기 난방부(100)와 보일러장치(200)는 온수 순환관(L1)과 온수 리턴관(L2)을 통해 폐루프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메인관(11)(11a)의 직경은 동일하게 구성하지만, 상기 메인관(11)(11a)으로부터 서브관(12)으로의 온수 출수 압력변화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관(11)(11a)의 직경을 상기 서브관(12)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 메인관(11)(11a)을 통한 온수의 입수량이 상기 다단을 이루는 서브관(12)을 통해 흐르는 출수량과 서로 동일해야 하므로, 상기 메인관(11)(11a)은 상기 서브관(12)의 직경보다는 크게 설계하여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위패널(14)의 다단 연결은 상기 연결안내관(13)에 자동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끼움 결합되는 결속관(16)에 의해 이루어져, 상기 결속관(16)의 양단이 각각 연결안내관(13)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안내관(13)의 내부에 실링고무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결속관(16)의 외주면에 실링부재를 형성하여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우선 보일러장치(200)의 가동으로부터 온수가 온수 순환관(L1)을 통해 난방부(100)로 공급되면, 상기 온수는 난방부(100)를 이루는 단위패널(14)내의 메인관(11)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메인관(11)에 일측이 다단 연결되고, 타측은 또 다른 메인관(11a)에 다단 연결되는 서브관(12)으로 상기 온수가 분기되어 유입된 후 상기 또 다른 메인관(11a)을 통해 인접하게 연결되는 단위패널(14)들에 순차적으로 흐르게 되며, 이렇게 순환되는 온수는 다시 온수 리턴관(L2)을 통해 보일러장치(200)로 리턴되는 바, 상기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실내측 각 방에 대한 난방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위패널(14)내의 메인관(11)으로 유입되는 일정온도의 온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단의 서브관(12)을 통해 분산되면서 또 다른 메인관(11a)으로 안내된 후 온수 리턴관(L2)을 통해 보일러장치(200)로 그 리턴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기 메인관(11)(11a) 및 서브관(12)으로 상기 온수의 출수 압력변화는 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1,11a; 메인관 12; 서브관
13; 연결안내관 14; 단위패널
15; 밀폐마개 16; 결속관
17; 결합돌기 100; 난방부
200; 보일러장치 L1; 온수 순환관
L2; 온수 리턴관

Claims (8)

  1.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상기 메인관과 연통되는 다단의 서브관; 및,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메인관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결안내관;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메인관과 서브관 및 상기 연결안내관은 단위패널의 내부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안내관에는 밀폐마개 또는 결속관을 선택적으로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의 내부에 구성되는 한 쌍을 이루는 메인관의 직경은 동일하게 구성하되,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서브관으로의 온수 출수 압력변화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메인관의 직경은 상기 서브관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4.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이 결속관과 결합돌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실내측 방 바닥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난방부;
    온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부를 이루는 다단의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에 온수를 공급하고 리턴받는 보일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난방부와 보일러장치는 상기 보일러장치로부터 인출되어 분기되는 복수의 온수 순환관 및, 상기 보일러장치로부터 인출되어 분기되는 복수의 온수 리턴관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이용한 온수 난방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상기 메인관과 연통되는 다단의 서브관;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메인관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결안내관; 및,
    상기 메인관과 서브관 및 상기 연결안내관을 내부에 구성하는 단위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이용한 온수 난방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관은 상기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을 이루는 연결안내관에 자동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온수 난방용 단위패널이 다단 연결시, 인접하는 단위패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이용한 온수 난방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순환관과 온수 리턴관은 다단을 이루는 연결안내관에 분기되어 결합되고, 상기 온수 순환관과 온수 리턴관이 연결되지 않은 연결안내관에는 밀폐마개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이용한 온수 난방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메인관의 직경은 동일하게 구성하되,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서브관으로의 온수 출수 압력변화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메인관의 직경은 상기 서브관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을 이용한 온수 난방시스템.
KR1020110065039A 2011-06-30 2011-06-30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KR20130003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039A KR20130003596A (ko) 2011-06-30 2011-06-30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039A KR20130003596A (ko) 2011-06-30 2011-06-30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96A true KR20130003596A (ko) 2013-01-09

Family

ID=4783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039A KR20130003596A (ko) 2011-06-30 2011-06-30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5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1207B2 (en) 2013-11-27 2017-10-24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B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existence with Wi-Fi networks in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KR20180109771A (ko) * 2018-06-12 2018-10-08 현웅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온수 난방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1207B2 (en) 2013-11-27 2017-10-24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B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existence with Wi-Fi networks in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KR20180109771A (ko) * 2018-06-12 2018-10-08 현웅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온수 난방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80450U (zh) 新型预制管廊抗渗检验结构
CN103967078B (zh) 一种建筑给水预埋可更换管道系统
CN104533036B (zh) 一种核设施不锈钢覆面结构及施工工艺
KR20130003596A (ko)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CN104019368A (zh) 一种管线内循环装置
US9032995B2 (en) Liquid supply with circulation via through-passing inner pipes
CN101912882B (zh) 蒸汽加热器循环加热方法
KR101194660B1 (ko) 보일러 장치의 복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난방수 배관 세정방법
KR101231173B1 (ko) 환수구조를 구비한 온돌패널 조립체
CN108332279A (zh) 缓冲水箱和热泵热水地暖系统
KR101167845B1 (ko) 합성수지관과 금속관 연결구조
CN204592672U (zh) 空气分配器
ITMN20070042A1 (it) Dispositivo di riscaldamento di un fluido vettore comprendente una caldaia a gas ed un serbatoio di accumulo comunque riscaldato.
KR20100037227A (ko) 급수설비 및 그 시공 방법
CN204114371U (zh) 直埋式供热管道
KR100780797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CN206695390U (zh) 热水器用进水管和热水器
JP5922545B2 (ja) 給水管の敷設替え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配管ユニット
KR101195615B1 (ko)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CN205350575U (zh) 一种楼板过墙管
CN205679095U (zh) 一种高效节能散热箱
CN206958447U (zh) 快接式终端管件及给水系统
JP2014171936A (ja) 配管内洗浄方法
KR20110013943A (ko) 전자석 급수밸브
KR200422725Y1 (ko) 온열 매트용 마그네틱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