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566A -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566A
KR20130002566A KR1020110063590A KR20110063590A KR20130002566A KR 20130002566 A KR20130002566 A KR 20130002566A KR 1020110063590 A KR1020110063590 A KR 1020110063590A KR 20110063590 A KR20110063590 A KR 20110063590A KR 20130002566 A KR20130002566 A KR 2013000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ssel
control system
maritim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문
이우만
정성헌
Original Assignee
동강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강엠텍(주) filed Critical 동강엠텍(주)
Priority to KR102011006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566A/ko
Publication of KR2013000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항만 또는 연안을 항해하는 선박의 해상교통을 관제하고, 또한 항만 또는 연안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항만 또는 연안을 항해하는 선박정보 또는 항만 또는 연안 해역에서 발생하는 해상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시스템(100); 및 센서시스템(110)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항 선박(10)의 해상 교통을 제어함으로써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관제시스템(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Coast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본 발명은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만 또는 연안을 항해하는 선박의 해상교통을 관제하고, 또한 항만 또는 연안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Coast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CITS)은 국내 항만 및 연안 해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해양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즉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은 관제해역에서의 선박사고 방지, 관제해역에서의 해양사고 발생시 해양 환경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긴급 대응관리 및 지원체제를 구축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으로 인하여 관제해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교통 흐름을 원할하게 관제할 수 있으며, 선박의 충돌 또는 침몰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기상정보에 따른 선박의 피항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선박을 안전한 해역으로 이동시키거나 선박의 출항 시간을 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관제해역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발명의 개발을 요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항만 또는 연안을 통과하는 선박의 교통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만 또는 연안을 항해하는 선박정보 또는 항만 또는 연안 해역에서 발생하는 해상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시스템(100); 및 센서시스템(110)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항 선박(10)의 해상 교통을 제어함으로써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관제시스템(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시스템(100)은 선박의 위치정보, 선박의 이름정보, 선박의 방위정보 및 선박의 항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인 선박정보를 입력받아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함으로써 관제시스템(200)이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시스템(100)은 항만 또는 연안 해역의 풍속, 풍향, 기온, 기압,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인 해상정보를 입력받아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함으로써 관제시스템(200)이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시스템(100)은 항만 또는 연안 해역을 시각적으로 감시한 데이터인 해상정보를 입력받아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함으로써 관제시스템(200)이 통항 선박(10)을 추적 또는 식별하여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제시스템(200)은 센서시스템(10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선박정보 및 해상정보를 전자해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제시스템(200)은 복수의 센서시스템(10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센서시스템(100)의 정상 운영상태를 판단하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 대체 가능한 다른 장비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센서시스템(1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제시스템(200)은 센서시스템(100)과 연동함으로써 통항 선박(10)의 항해자와 관제시스템(200)의 운영자 간에 음성으로 통신하며, 항해자와 운영자 간에 선박정보 및 해상정보를 공유함에 따라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제시스템(200)은 센서시스템(100)로부터 입력된 선박정보 또는 해상정보의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 형식으로 기록하여 필요에 따라 운용자가 요구하는 임의의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제시스템(200)은 타임 스탬프 형식으로 기록된 실제 데이터와 가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운용자를 교육시킬 수 있는 교육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관제시스템(200)은 선박정보 또는 해상정보에 기초하여 항만 또는 연안 해역에서 발생한 해양 사고정보를 전용망(20)을 통하여 외부 기관(300)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사고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항만 또는 연안을 통과하는 선박의 교통 흐름을 유연하게 제어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용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 훈련 데이터를 과거 실제 해상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교육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조난으로 인한 수색/구조를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으며, 선박의 충돌 및 기타 사고로 인한 정보를 정부기관 또는 관련기관에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해양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은 대략 복수의 센서시스템(100)과 복수의 관제시스템(200)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재난 구조 경보를 발하거나 관련정보를 이용하는 외부 기관(300)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단파 방향탐지기(VHF/DF)시스템(110), 기상센서(120), 씨씨티브(CCTV)시스템(130), 선박 자동식별장치(AIS)(140), 초단파(VHF)시스템(150), 및 레이다시스템(160)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서지역에 복수로 설치되어 통항 선박(10a,10b,10c)의 선박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도서지역 뿐만 아니라 항만 인근지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초단파 방향탐지기(110) 시스템은 운용자의 관제시스템(200)의 전자해도 상에 선박(10)의 방향 표시선을 그릴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통신 선박의 주파수와 방향정보(방위각)를 획득한다. 이러한 주파수와 방위정보의 일예로서 NMEA 0183 포맷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를 가공하여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함으로써 전자해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선박의 주파수는 Hz 단위로 표시하고 방위각은 도 단위로 표시한다. 상술한 통신 선박의 주파수와 방향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정보가 될 수 있다.
기상센서(120)는 센서시스템(100)이 설치된 장소의 풍속, 풍향, 기온, 기압, 또는 습도에 대한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는 관제시스템(200)의 모니터에 표시되어 운용자가 항상 볼 수 있도록 숫자 데이터 또는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상센서(120)를 구성하기 위해 풍향 풍속계, 기압계, 온도계, 및 습도계를 사용하여 구현가능하며 기상을 관찰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풍향 및 풍속 데이터의 경우 NMEA 포맷으로 제공되며, 기온, 기압, 및 습도 정보는 4 ~ 20mA의 전류로 측정된다.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도면 미도시)를 사용하여 디지털화 된 기온, 기압, 및 습도를 알 수 있다. 상술한 기상센서(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정보가 될 수 있다.
씨씨티브 시스템(130)은 항만 또는 연안의 해상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함으로써 선박의 추적, 식별, 확인 등 해상의 실시간 교통정보 및 선박의 항행정보를 지속적으로 관제시스템(200)이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레이다 또는 선박 자동식별장치가 식별하기 어려운 선박의 불법적인 운항, 정박, 또는 접안 등의 해상상황을 실시간으로 시각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관제시스템(200)의 운영자가 해상교통을 쉽게 관제할 수 있다.
씨씨티브 시스템(130)은 관제시스템(200)의 운용자가 필요한 해상상황을 보기 위해 원격으로 제어되고 또한 줌 및 팬/틸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씨씨티브 시스템(130)은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선박에 대한 데이터를 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씨씨티브 시스템(130)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정보가 될 수 있다.
선박 자동식별장치(140)는 선박(10)용 AIS 시스템의 정보와 선박의 위치정보, 선박의 이름, 선박의 항로 등을 통항 선박(10)으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한다.
선박 자동식별장치(140)는 부가적으로 센서시스템(100)의 현재 상태정보를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하여 운용자가 센서시스템(2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할 수 있도록 한다.
선박 자동식별장치(140)는 정적 데이터, 동적 데이터, 항해관련 데이터 등을 수신받으며 이외에 짧은 안전 메시지 또는 자유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정적 데이터는 MMSI(해상이동 서비스 식별부호), 이용가능한 경우 IMO 번호, 호출 부호, 선박의 이름, 선박의 길이/폭, 선박의 형태, 선박에서 GPS 안테나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다. 동적 데이터는 선박의 위치, UTC(시각정보), 대지방향(COG), 대지속력(SOG), 선수방위, 항해 상태, 회두각에 관한 정보이다. 항해관련 데이터는 선박 홀수, 위험 화물(형태), 목적지 및 ETA에 관한 정보이다. 상술한 선박 자동식별장치(140)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정보가 될 수 있다.
선박 자동식별장치(140)는 운용자가 관제 중 선박(10)과 정보교환을 위해 선박용 트랜스폰더를 구비하고 또한 텍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단파 시스템(150)은 무선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선박의 교통 상황 정보를 음성으로 통화함으로써 항해자와 운영자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술한 초단파 시스템(150)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정보 또는 해상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음성으로 운영자와 항해자가 선박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통항 선박(10)의 해역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해상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레이다 시스템(160)은 항만 또는 연안 해역에 마이크로파 정도의 전자기파를 통항 선박(10)에 발사하여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함으로써 선박(10)과의 거리, 방향, 고도 등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레이다 시스템(160)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제시스템(200)은 센서시스템(110)에서 제공되는 선박정보 또는 해상정보를 바탕으로 통항 선박(10)의 해상 교통을 제어함으로써 안전운항을 관제한다. 이러한 선박정보 또는 해상정보는 관제시스템(200)의 전자해도 상에 표시 됨으로써 운용자가 선박(10) 및 해상의 상황을 쉽게 인식하도록 하여 해상 교통을 관제하도록 한다.
또한, 관제시스템(200)은 선박 자동식별장치(14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시스템(100)의 정상 운영상태를 판단하며, 센서시스템(100)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 대체 가능한 다른 장비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센서시스템(100)에 전송한다.
이러한 관제시스템(200)은 대략 VRS장치(VTS Risk and Security)(210), VLS장치(VTS Logging Server)(220), VDB장치(VTS Database)(230), VSS장치(VTS Sensor Server)(240), VOW장치(VTS Operation Workstation)(250), VED장치(VTS Education and Drill)(260), VIS장치(VTS Integration Server)(270), 및 RAS장치(Remote Access Server)(28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VTS는 통상적으로 해상 교통 관제장치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관제시스템(200)의 일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붙인 이름이다.
한편, VRS장치(210)는 항만 또는 연안에서 해양사고가 발생한 경우 외부 기관(300)에 이를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관(300)이 선박정보 및 해양정보를 이용하여 선박의 수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해상정보에 기초하여 태풍 등이 발생한 경우 선박이 피난할 수 있는 피항정보 또는 선박의 출항 가능 시간정보를 선박(10)에 전송한다. 또한, 선박의 좌초 및 충돌에 따른 해양 환경오염에 대한 방재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외부 기관(300)에 전송한다.
이때 VRS장치(210)는 선박 및 인명의 수색구조지원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관(300)에 전송하기 위해 선박의 최종 위치정보, 풍속, 풍향, 유속의 현재 속도 및 방향, 및 현재 수색 시간과의 시간차를 고려하여 수색영역을 계산한 정보를 생성한다. 해양 환경오염에 대한 방재정보는 관공선, 예인선, 소방정, 해경함정과 유기적으로 연동함으로써 오염방재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VLS장치(220)는 레이다 시스템(160)의 레이다 영상정보, 초단파 시스템(150)의 음성정보, 씨씨티브 시스템(130)의 시각정보를 타임 스탬프 형식으로 저장한다. 이렇게 타임 스탬프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는 운용자가 필요시에 특정 시간(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설정)의 기록을 재생하기 용이하며, 또한 후술하는 운용자 교육 훈련의 데이터 자료로써 사용되기도 한다.
즉, 운용자를 교육하기 위해서 실제 발생한 데이터를 VLS장치(220)로부터 입력받아 과거의 실제상황을 재생함으로써 운용자의 상황 대처를 교육할 수 있다. 또한, 타임 스탬프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는 해양사고 발생시 해양사고 발생원인을 분석하는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VDB장치(230)는 VSS장치(240)로 입력된 선박정보, 해상정보와 관제시스템(200)의 관제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관제정보는 특정 선박의 추적에 관한 정보, 항만 또는 연안에서 발생한 해양사고에 대한 정보 등 관제시스템(200)으로 입력되는 정보와 관제시스템(200)에서 발생한 모든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한다.
VOW장치(250)는 해상정보 또는 선박정보를 전자해도 상에 표시함으로써 운용자가 용이하게 해상 교통을 관제하도록 한다. 또한, 선박 자동식별장치(1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센서시스템(100)의 현재 장비상태를 점검함으로써 정상운영 중인지 또는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한다. 장애가 발생한 경우 대체 가능한 다른 장비로 자동전환하는 신호를 센서시스템(100)으로 전송하거나 경고정보를 생성한다. VOW장치(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제시스템(200)을 포함한 관제시스템(200)과 연동되는 시스템에 대한 운영상태 및 관리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VED장치(260)는 VOW장치(250)가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비상시에 VOW장치(250)를 대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VED장치(260)는 VDB장치(230) 또는 VLS장치(220)에 저장되어 있는 해상에서 발생한 실제 상황 발생 데이터 및 가공한 가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보 운영자가 실제 관제 업무 및 위기상황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 훈련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VED장치(260)는 운영자에 의해 선별된 교육 훈련 데이터이고, VOW장치(250)는 실제 발생한 데이터이다.
VIS장치(270)는 VSS장치(240)에 입력된 센서시스템(100)의 정보를 통합하거나 가공하여 VOW장치(250)에 출력한다.
RAS장치(280)는 VDB장치(230)를 이용하여 외부 기관(300)과 전용망(20)을 통한 자료공유를 한다. 이때 RASP장치(281)는 외부 기관의 위치정보를 공유하며, RASS장치(283)는 VDB장치(23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 기관(300)에 전용망(20)으로 전송하며, RASD장치(285)는 Port-MIS(선박의 입출항 관련 업무와 선박의 안전항행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와 연동하여 선박의 입출항 관련 업무를 전산으로 자동처리한다.
상술한 센서시스템(100) 및 관제시스템(200)은 각각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도서지역 또는 항만 지역에 센서시스템(100a,100b)이 복수로 설치되어 선박정보 또는 해양정보를 관제시스템(200a)으로 전송한다. 또한, 다른 도서지역 또는 항만 지역에 센서시스템(100c,100d)이 복수로 설치되어 선박정보 또는 해양정보를 관제시스템(200b)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관제시스템(200a,200b)이 수집한 정보는 전용망(20)을 이용하여 외부 기관(300)으로 전송된다. 이때 외부 기관(300)은 선박의 안전운항과 관련된 기관으로서 일예로 해양 경찰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조난 또는 침몰이나 해상에서의 해양사고 발생시 외부 기관(300)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음으로써 해양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관련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관(300)은 선박의 안전운항과 관련한 해양 경찰청(320)이 될 수 있으며 또 정부기관(330)일 수 있다. 사용자(310)는 스마트 폰이나 기타 휴대전화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선박의 운항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볼 수 있다.
한편, VMS장치(410)(위성을 통한 선박 추적 장치) 또는 LRAIS장치(420)(선박 자동식별장치)로부터 전용망(20)을 통하여 선박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센서시스템(100)과 서로 보완할 수 있다.
또한, NAVTEX(Navigation Telex)(510)과 전용망(20)을 통하여 연동함으로써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PSC(Port State Control)와 전용망(20)을 통하여 연동함으로써 통항 선박(10)의 검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이때 NAVTEX는 IMO(국제해사기구)의 전 세계 조난 및 해상 안전제도(GMDSS)의 계획에 의하여 연안국이 운영하는 국제 해상안전 시스템이고, PSC는 외국 선박에 행하는 선박검사 시스템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0a,10b,10c : 선박
20 : 전용망
100,100a,100b,100c,100d : 센서시스템
110 : 초단파 방향탐지기(VHF/DF)시스템
120 : 기상센서
130 : 씨씨티브(CCTV)시스템
140 : 선박 자동식별장치(AIS)
150 : 초단파(VHF)시스템
160 : 레이다시스템
200,200a,200b : 관제시스템
210 : VRS장치
220 : VLS장치
230 : VDB장치
240 : VSS장치
250 : VOW장치
260 : VED장치
270 : VIS장치
280 : RAS장치
281 : RASP장치
283 : RASS장치
285 : RASD장치
300 : 외부기관
310 : 사용자
320 : 관련기관
330 : 정부기관
410 : VMS장치
420 : LRAIS장치
510 : NAVTEX
520 : PSC

Claims (10)

  1. 항만 또는 연안을 항해하는 선박정보 또는 항만 또는 연안 해역에서 발생하는 해상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시스템(100); 및
    상기 센서시스템(110)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항 선박(10)의 해상 교통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관제시스템(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센서시스템(100)은,
    선박의 위치정보, 선박의 이름정보, 선박의 방위정보 및 선박의 항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인 상기 선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제시스템(200)이 상기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시스템(100)은,
    항만 또는 연안 해역의 풍속, 풍향, 기온, 기압,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인 상기 해상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제시스템(200) 상기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시스템(100)은,
    항만 또는 연안 해역을 시각적으로 감시한 데이터인 상기 해상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관제시스템(2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제시스템(200)이 상기 통항 선박(10)을 추적 또는 식별하여 상기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시스템(200)은,
    상기 센서시스템(10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선박정보 및 상기 해상정보를 전자해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시스템(200)은,
    복수의 센서시스템(10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센서시스템(100)의 정상 운영상태를 판단하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 대체 가능한 다른 장비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센서시스템(1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시스템(200)은,
    상기 센서시스템(100)과 연동함으로써 상기 통항 선박(10)의 항해자와 상기 관제시스템(200)의 운영자 간에 음성으로 통신하며, 상기 항해자와 상기 운영자 간에 상기 선박정보 및 상기 해상정보를 공유함에 따라 상기 통항 선박(10)의 안전운항을 관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시스템(200)은,
    상기 센서시스템(100)로부터 입력된 상기 선박정보 또는 상기 해상정보의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 형식으로 기록하여 필요에 따라 운용자가 요구하는 임의의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시스템(200)은,
    상기 타임 스탬프 형식으로 기록된 실제 데이터와 가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운용자를 교육시킬 수 있는 교육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시스템(200)은,
    상기 선박정보 또는 상기 해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항만 또는 연안 해역에서 발생한 해양 사고정보를 전용망(20)을 통하여 외부 기관(300)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사고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10063590A 2011-06-29 2011-06-29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KR20130002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590A KR20130002566A (ko) 2011-06-29 2011-06-29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590A KR20130002566A (ko) 2011-06-29 2011-06-29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66A true KR20130002566A (ko) 2013-01-08

Family

ID=4783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590A KR20130002566A (ko) 2011-06-29 2011-06-29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5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9184A (zh) * 2016-11-30 2017-05-31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大数据建模的海上船舶流量预测方法
CN110111606A (zh) * 2019-03-18 2019-08-09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eemd-iaga-bp神经网络的船舶交通流预测方法
KR20230068539A (ko) * 2021-11-11 2023-05-18 (주) 지씨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9184A (zh) * 2016-11-30 2017-05-31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大数据建模的海上船舶流量预测方法
CN106779184B (zh) * 2016-11-30 2017-10-24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大数据建模的海上船舶流量预测方法
CN110111606A (zh) * 2019-03-18 2019-08-09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eemd-iaga-bp神经网络的船舶交通流预测方法
KR20230068539A (ko) * 2021-11-11 2023-05-18 (주) 지씨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통합 해상 교통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0068B1 (en) System for a marine vessel or a marine installation
US8674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tress at sea
KR101453555B1 (ko) 해상교통관제에서 레이더 심벌과 ais 심벌 통합 장치
US7047114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nd continuous monitoring, proactive warning and control of one or more independently operated vessels
KR101288953B1 (ko) 레저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973556B1 (ko) 전자해도를 이용한 소형선박 항해 및 조업 보조 시스템
BRPI0717242A2 (pt) Programação de porto baseado em vetor
KR20130093245A (ko) 멀티센서와 선박의 운항패턴분석을 통한 밀수의심선박 자동분석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분석방법
KR20070117244A (ko) 지능형 통합 해상 안전시스템
KR100404428B1 (ko) 인공지능형해난경보시스템
CN101986170A (zh) 桥梁防撞雷达预警管理系统
WO201102703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al information to electronic chart systems for visualization
KR20130002566A (ko)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KR20080004825A (ko) 통합 해상 안전장치
KR102421242B1 (ko) 레이더 장비와 연동되는 전자해도 기반 해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15684A (ko) 선박용 융합형 선박위치 자동 발신시스템
KR101186952B1 (ko)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KR20000012704A (ko) 사이버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813242B1 (ko) 해양교통시설의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202166739U (zh) 桥梁防撞雷达预警管理系统
JPH05233999A (ja) 船舶安全管理支援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60116138A (ko) 선박 항해기록의 백업장치 및 방법
CN114120709A (zh) 一种船舶安全管理系统
KR101349637B1 (ko) 해상교통관제에서 중복 물표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Morsi et al. Future voyage data recorder based on multi-sensors and human machine interface for marine accid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