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148A -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 Google Patents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148A
KR20120125148A KR1020110125800A KR20110125800A KR20120125148A KR 20120125148 A KR20120125148 A KR 20120125148A KR 1020110125800 A KR1020110125800 A KR 1020110125800A KR 20110125800 A KR20110125800 A KR 20110125800A KR 20120125148 A KR20120125148 A KR 20120125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nd
microelectronic
wire
substrat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1156B1 (en
Inventor
히로아키 사토
강택규
벨가셈 하바
필립 알. 오스본
웨이-? 왕
엘리스 차우
일야스 모하메드
노리히토 마스다
카즈오 사쿠마
키요아키 하시모토
이네타로 구로사와
토모유키 기쿠치
Original Assignee
테세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세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테세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11012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156B1/en
Publication of KR2012012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1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1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27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0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400°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17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400°C and less than 950°C
    • H01L2224/45124Aluminium (Al)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39Silver (Ag)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7Copper (C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3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4814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5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 H01L2225/0656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the devices having the same size and there being no auxiliary carrier between th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5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 H01L2225/06568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the devices decreasing in size, e.g. pyramidical st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01L2924/1815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1Disposition
    • H01L2924/19101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 H01L2924/19107Disposition of discrete passive components off-chip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PURPOSE: A package stack type assembly is provided to perform operation of assembly at high speed and to limit signaling time between devices. CONSTITUTION: A substrate(12) has a first side(14) and a second side(16) which is separate from the first side. A microelectronic element(22) is loc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within a first area. A conductive element(2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The conductive element is arranged as a first array of a first configuration. The conductive element is exposed to one or more sides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within a second area. A wire bond comprises an end side which is separated from a base.

Description

캡슐화 층의 표면에 와이어 본드를 구비하는 패키지 적층형 어셈블리{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본 발명은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electronic package.

반도체 칩 등의 마이크로전자 소자는 다른 전자 부품에 연결하기 위한 많은 입력 및 출력 접속을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도체 칩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자의 입력 및 출력 콘택은 일반적으로 상기 소자의 표면을 실질적으로 피복(cover)하는 그리드형 패턴(grid-like pattern)[일반적으로, "영역 어레이"(area array)라고 함]으로 배치되거나, 소자의 앞면의 각각의 에지에 평행하게 그리고 이들 소자의 앞면의 각각의 에지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는 길에 연장된 열로 배치되거나, 앞면의 중앙에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반도체 칩 등의 소자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의 기판상에 물리적으로 실장되어야 하고, 소자의 콘택은 회로 기판의 전기 전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Microelectronic devices, such as semiconductor chips, typically require many input and output connections to connect to other electronic components. The input and output contacts of a semiconductor chip or similar device are generally a grid-like pattern (commonly referred to as an "area array") that substantially covers the surface of the device. Or in rows extending in a row that may extend parallel to each edge of the front face of the device and adjacent to each edge of the front face of these devices, or in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Typically, a device such as a semiconductor chip must be physically mounted on a substrate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tact of the device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of the circuit board.

반도체 칩은 일반적으로 제조 과정 중에 그리고 회로 기판이나 다른 회로 패널 등의 외부 기판상에 반도체 칩을 실장하는 중에, 반도체 칩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패키지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많은 반도체 칩은 면 실장(surface mounting)에 적합한 패키지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타입의 많은 패키지가 다양한 용도로 제안되어 왔다. 가장 보편적으로, 이러한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칩 캐리어"(chip carrier)라 불리는 유전체 요소(dielectric element)를 포함하며, 이 유전체 요소는 유전체 상에 도금 처리한 또는 에칭 처리한 금속 구조체로서 형성된 단자(terminal)를 구비한다. 이들 단자는 전형적으로 칩 캐리어를 따라 연장하는 얇은 트레이스와 같은 요소에 의해, 그리고 칩의 콘택과 단자 또는 트레이스 사이에서 연장하는 리드 또는 와이어에 의해 자체적으로 칩의 콘택에 연결된다. 면 실장 공정에서, 패키지는 회로 기판상에 배치되어, 패키지 상의 각각의 단자가 회로 기판상의 대응하는 콘택 패드(contact pad)와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단자와 콘택 패드 사이에는 땜납(solder) 또는 다른 본딩(bonding) 재료가 제공된다. 패키지는 땜납을 용융 또는 "리플로우"(reflow)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본딩 재료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어셈블리를 가열하여 제 위치에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chip is generally provided in a package form to facilitate handling of the semiconductor chip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during mounting the semiconductor chip on an external substrate such as a circuit board or another circuit panel. For example, many semiconductor chips are provided in a package suitable for surface mounting. Many packages of this general type have been proposed for various purposes. Most commonly, such a package includes a dielectric element, commonly referred to as a "chip carrier," which is a terminal formed as a metal structure that is plated or etched on the dielectric. ). These terminals are typ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chip itself by elements such as thin traces extending along the chip carrier and by leads or wires extend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chip and the terminals or traces. In a surface mount process, a package is placed on a circuit board such that each terminal on the package is aligned with a corresponding contact pad on the circuit board. Solder or other bond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act pad. The package can be permanently bonded in place by heating the assembly to melt or “reflow” the solder, or otherwise activate the bonding material.

많은 패키지에서는 직경이 통상적으로 대략 0.1mm 내지 대략 0.8mm[5 내지 30밀(mil)]인 땜납 볼(solder ball)의 형태를 갖는 땜납 덩어리(solder mass)가 패키지의 단자에 부착된다. 패키지의 바닥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어레이 형태의 땜납 볼을 갖는 패키지를 일반적으로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ray: 간단히 "BGA"라고 함) 패키지라고 한다. 기판에는, 랜드 그리드 어레이(land grid array: 간단히 "LGA"라고 함) 패키지라고 하는 다른 패키지가 땜납으로 형성된 얇은 층 또는 랜드에 의해 고정 부착된다. 이러한 타입의 패키지는 매우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라고 하는 소정의 패키지가 회로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패키지 내에 포함되는 소자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더 크다. 이에 의하면, 어셈블리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판상에 다양한 소자 간의 접속을 짧게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소자 간의 신호 전파 시간을 제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셈블리의 동작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In many packages, solder mass is attached to the terminals of the package, typically in the form of solder balls that are typically between about 0.1 mm and about 0.8 mm [5 to 30 mils] in diameter. Packages having solder balls in the form of arrays protruding from the bottom side of the package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ball grid array (BGA) packages. To the substrate, another package, called a land grid array (“LGA”) package, is fixedly attached by a thin layer or land formed of solder. This type of package can be made very compact. The area that a given package, generally referred to as a "chip scale package", occupies on the circuit board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area of the device contained within the package. This reduces the overall size of the assembly,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on the substrate, and can limit the signal propagation time between the elements, thereby enabling the operation of the assembly at high speed. Will be.

패키지화한 반도체 칩은 "적층형"(stacked) 구성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하나의 패키지를, 예를 들어 회로 기판상에 제공하고, 다른 패키지를 첫 번째 패키지의 위에 실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로 기판상의 단일의 풋프린트(footprint) 내에 여러 상이한 다수의 칩을 실장할 수 있으며, 패키지들간의 짧은 상호접속만으로 고속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이러한 상호접속 거리는 칩 자체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다. 칩 패키지의 적층 구조체 내에 달성해야 할 상호접속의 경우, 각 패키지의 양쪽에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구조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패키지의 최상단은 제외함). 이러한 구성은 칩이 실장되는 기판의 양쪽에 콘택 패드 또는 랜드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콘택 패드는 전도성 비아(conductive via) 등에 의해 기판을 통해 접속된다. 하부 기판의 상단에 있는 콘택 사이의 갭을 상위 기판의 바닥에 있는 콘택에 가교(bridge)하기 위해 땜납 볼 등을 사용해 왔다. 땜납 볼은 콘택을 접속하기 위해 칩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되어야 한다. 적층형 칩 구성 및 상호접속 구조체의 예는, 미국특허 출원 제2010/023212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Packaged semiconductor chips are often provid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in which one package is provided on a circuit board, for example, and the other package is mounted on top of the first package. This arrangement allows for the mounting of multiple different chips in a single footprint on a circuit board, enabling high speed operation with only short interconnections between packages. In many cases, this interconnect distance is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hip itself. For interconnections to be achieved within the stack structure of the chip packag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ructures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on both sides of each package (except for the top of the package). This configura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contact pads or lands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chip is mounted, and the contact pads are connected through the substrate by conductive vias or the like. Solder balls and the like have been use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contacts at the top of the lower substrate to the contacts at the bottom of the upper substrate. The solder ball must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hip to connect the contacts. Examples of stacked chip configurations and interconnect structures are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2010/0232129,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길게 연장된 포스트 또는 핀의 형태로 된 마이크로콘택 요소(microcontact element)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데에 사용되며, 마이크로전자 패키징에서 다른 접속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마이크로콘택은 하나 이상의 금속성 층을 포함하는 금속 구조체를 에칭함으로써 형성해왔다. 이러한 에칭 공정은 마이크로콘택의 크기를 제한한다. 종래의 에칭 공정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어스펙트 비"(aspect ratio)라고 하는, 최대 폭에 대한 높이의 비율을 가진 마이크로콘택을 형성할 수 없다. 이웃하는 마이크로콘택들 사이의 매우 작은 피치 또는 스페이스와 상당한 높이를 가진 마이크로콘택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했다. 또한, 종래의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마이크로콘택의 구성은 제한적이다. Microcontact elements in the form of elongated posts or pins are used to connect a microelectronic package to a circuit board and may be used for other connections in microelectronic packaging. In some cases, microcontacts have been formed by etching metal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metallic layers. This etching process limits the size of the microcontacts. With conventional etching processes, it is not possible to form microcontacts with a ratio of height to maximum width, referred to herein as an "aspect ratio." It has been difficult or impossible to form an array of microcontacts with significant heights and very small pitches or spaces between neighboring microcontacts.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contact formed by the conventional etching process is limited.

이러한 종래 기술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제조하고 검사하는 데에 추가로 개선할 사항이 있다. Despite these advances in the art, there are further improvements in manufacturing and testing microelectronic packag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microelectronic package)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을 갖는 기판(substrate)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microelectronic element)는 제1 영역 내에서 제1 면의 위에 위치한다. 전기 전도성 요소는 제2 영역 내에서 기판의 제1 면 및 제2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도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전기 전도성 요소의 각각에 접합된 베이스(base), 기판 및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end surface), 및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에지 면(edge surface)을 각각 갖는 와이어 본드(wire bond)를 더 포함한다. 유전성의 캡슐화 층(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은 제1 면 및 제2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와이어 본드가 서로 분리되도록 와이어 본드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다. 캡슐화 층은 기판의 적어도 제2 영역의 위에 위치하고,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unencapsulated portions)은,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 중에서 적어도 상기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판은 리드 프레임(lead frame)이 될 수 있으며, 전도성 요소는 리드 프레임 중의 리드(lead)가 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microelectronic packages. The microelectronic package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One or more microelectronic elements are located above the first face in the first regio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is exposed to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bstrate in the second reg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ele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microelectronic elements. The microelectronic package each has a base bonded to each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an end surface spaced from the substrate and the base, and an edge surface extending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surface. It further comprises a wire bond. A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extends from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and fills the space between the wire bonds so that the wire bo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ncapsulation layer is positioned over at least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and the unencapsulated portions of the wire bond consist of at least portions of the end face of the wire bond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The substrate may be a lead frame and the conductive element may be a lead in the lead frame.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과 단부 면에 이웃하는 에지 면 중에서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산화 방지 층(oxidation protec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에 이웃하는 부분은 캡슐화 층의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전도성 요소는 제1 전도성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제2 전도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전도성 요소는 제1 전도성 요소와 접촉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요소는 제1 와이어 본드 중의 적어도 일부의 단부 면에 접합된 다수의 스터드 범프(stud bump)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may consist of an end face of the wire bond and an edge face adjacent to the end face that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The microelectronic package can further include an oxidation protection layer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The portion adjacent to the end face of the wire bond of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may be adapt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The conductive element can be a first conductive element and the microelectronic package can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ive elemen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In such an embodiment, the second conductive element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e element. The second conductive elemen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stud bumps bonded to the end faces of at least some of the first wire bonds.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는, 와이어 본드의 베이스와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실질적인 직선은 기판의 제1 면에 대하여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에지 면은, 단부 면에 이웃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에 의해 단부 면으로부터 분리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분은 제2 부분이 연장하는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may extend substantially straight between the base of the wire bond and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the substantially straight lines making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Can be.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edge face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of the wire bond may comprise a first portion neighboring the end face and a second portion separated from the end face by the first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The second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대체가능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microelectronic package)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1 면, 및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을 갖는 기판(substrate)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microelectronic element)는 제1 영역 내에서 제1 면의 위에 위치한다. 전기 전도성 요소는 제2 영역 내에서 기판의 제1 면 및 제2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도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전기 전도성 요소의 각각에 접합된 베이스(base), 기판 및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end surface), 및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에지 면(edge surface)을 갖는 다수의 와이어 본드(wire bond)를 더 포함한다. 유전성의 캡슐화 층(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은 제1 면 및 제2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와이어 본드가 서로 분리되도록 와이어 본드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다. 캡슐화 층은 기판의 적어도 제2 영역의 위에 위치하며,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unencapsulated portions)은,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에 이웃하는 에지 면 중에서 적어도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 replaceable microelectronic package. Such a microelectronic package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spaced from the first side. One or more microelectronic elements are located above the first face in the first regio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is exposed to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bstrate in the second reg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elemen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microelectronic elements. The microelectronic package has a plurality of bases bonded to each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a substrate and end surfaces spaced from the base, and a plurality of edge surfaces extending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surfaces. It further comprises a wire bond. A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extends from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and fills the space between the wire bonds so that the wire bo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ncapsulation layer is positioned over at least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and the unencapsulated portions of the wire bond consist of at least the portion of the edge face adjacent to the end face of the wire bond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캡슐화 층은 와이어 본드를 형성한 후에 제1 기판상에 유전 재료(dielectric material)를 증착(deposit)시키고 증착된 유전 재료를 경화(cure)시킴으로써 기판상에 형성되는 일체형의 층(monolithic layer)이 될 수 있다. 일체형의 캡슐화 층의 형성은 유전 재료를 몰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ncapsulation layer may be a monolithic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by depositing a dielectric material on the first substrate and curing the deposited dielectric material after forming the wire bond. Can be. Formation of the integral encapsulation layer may include a process of molding the dielectric material.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 중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단부 면 중에서 적어도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지 면의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은, 캡슐화 층의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이 가장 길게 될 수 있다. 에지 면의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으며 캡슐화 층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부분의 길이는, 와이어 본드의 단면의 폭(width)보다 크게 해도 된다. One or more portions of the unencapsulated portion may consist of a portion of the end face not covered by at least the encapsulation layer. The portion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of the edge face may be the longest in th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The length of the portion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of the edge face and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bond.

상기 언급한 실시예들 중에서, 기판의 제1 면은 제1 측방(lateral) 방향 및 제2 측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측방 방향은 기판 중의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두께의 방향을 횡단하도록 된다.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가 접합된 전도성 요소로부터 제1 측방 방향 및 제2 측방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변위(displace)되어 있을 수 있다.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는 와이어 본드의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곡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주 표면(major surface) 상에 위치할 수 있다. Amo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the first face of the substrate may extend in a first lateral direction and a second later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directions a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ces of the substrate. It is to cross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of the wire bond may be displaced in one or more of the first lateral direction and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from the conductive element to which the one or more wire bonds are bonded.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may comprise a substantially curved portion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face of the wire bond.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may be located on the major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상기 언급한 실시예 중에서,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땜납 볼(solder ball)을 접합해도 된다.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solder balls may be joined to an unencapsulated portion of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추가로, 상기 언급한 실시예 중에서, 캡슐화 층은 하나 이상의 표면(surfac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하나 이상의 표면 중의 하나의 표면에서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아도 된다. 캡슐화 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기판의 제1 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 표면(major surfac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주 표면에서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아도 된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주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어도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주 표면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캡슐화 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주 표면과,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떨어진 오목한 면(recesse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오목한 면에서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아도 된다. 캡슐화 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기판의 제1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면으로부터 실질적인 각도(substantial angle)로 연장된 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측면에서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아도 된다. 캡슐화 층은 내부에 캐비티(cavity)를 가질 수 있으며, 캐비티는 캡슐화 층의 표면으로부터 기판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캐비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forementioned embodiments, the encapsulation layer may include one or more surfaces, and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need not be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on one of the one or more surfaces. . One or more surfaces of the encapsulation layer may include a major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wherein an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of the wire bond is connected to the encapsulation layer at the major surface. It does not have to be covered by it.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major surface.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may extend above the major surface. The one or more surfaces of the encapsulation layer may include a major surface separated by a first distance from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and a recessed surface separated by a distance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does not have to be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on the concave side. One or more surfaces of the encapsulation layer may include sides that extend at a substantial angle from the first si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It does not have to be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at. The encapsulation layer may have a cavity therein, the cavity extending from the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towards the substrate, and an unencapsulated portion of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may be located in the cavity.

또한, 상기 언급한 실시예 중에서, 와이어 본드는 구리, 금, 알루미늄, 및 땜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필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는 와이어 본드의 길이에 따른 길이방향 축(longitudinal axis)을 규정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재료의 안쪽 층과,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와이어 본드의 긴 쪽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 제2 재료의 바깥쪽 층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재료는 구리, 금, 니켈, 및 알루미늄 중의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재료는 구리, 금, 니켈, 알루미늄, 및 땜납 중의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mo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the wire bond may essentially includ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gold, aluminum, and solder.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may define a longitudinal axis along the length of the wire bond, wherein the wire bo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axis with an inner layer of the first material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d may each include an outer layer of a second material having a length extending in the long direction of the wire bond. In such an embodiment, the first material may comprise one of copper, gold, nickel, and aluminum, and the second material may comprise one of copper, gold, nickel, aluminum, and solder.

상기 언급한 실시예 중에서, 다수의 와이어 본드는 제1 와이어 본드가 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마이크로전자 요소 상의 콘택에 접합된 베이스와, 콘택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와이어 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와이어 본드는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로 연장하는 에지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2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제2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 또는 제2 와이어 본드의 에지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 중의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는 제1 마이크로전자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제1 마이크로전자 요소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마이크로전자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와이어 본드는 제1 와이어 본드가 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마이크로전자 요소 상의 콘택에 접합된 베이스와 콘택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와이어 본드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제2 와이어 본드는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의 에지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제2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의 일부 또는 제2 와이어 본드의 에지 면의 일부 중에서,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wire bonds may be first wire bonds, the microelectronic package having one or more second wire bonds having a base bonded to a contact on the microelectronic element and an end face spaced from the contact. It may further include. The one or more second wire bonds can include an edge face extending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face, wherein an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second wire bonds is in the end face of the second wire bond or in the edge face of the second wire bond. It may consist of an uncovered portion of one or more sides by an encapsulation layer. The one or more microelectronic elements can be a first microelectronic element and the microelectronic package can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cond microelectronic elements located at least partially on the first microelectronic element. In such embodiments, the wire bond may be a first wire bond, and the microelectronic package includes a base bonded to a contact on the microelectronic element and one or more second wire bonds having end faces spaced from the contact, one The second wire bond may comprise an edge face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face, wherein an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second wire bond is selected from a portion of the end face of the second wire bond or a portion of the edge face of the second wire bond. It may consist of a part which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상기 실시예 중에서, 와이어 본드 중의 제1 와이어 본드는 제1 신호 전위(signal electric potential)를 전달하고, 이와 동시에 와이어 본드 중의 제2 와이어 본드는 제1 신호 전위와는 상이한 제2 신호 전위를 전달하도록 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wire bond in the wire bond delivers a first signal electric potential,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wire bond in the wire bond delivers a second signal potential different from the first signal potential. Can be.

상기 실시예 중의 임의의 실시예는 캡슐화 층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재배열 층(redistribu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배열 층은 캡슐화 층의 주 표면에 이웃하는 제1 면을 갖는 재배열 기판(redistribution substrate),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 재배열 기판의 제1 면상에 노출되고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과 정렬되고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에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1 전도성 패드, 및 기판의 제2 면상에 노출되어 제1 전도성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도성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further comprise a redistribution layer extending along the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The rearrangement layer is exposed to a redistribution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djacent to the major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a second side spaced from the first side, the first side of the rearrangement substrate and not encapsulated in the wire bond. And a first conductive pad aligned with the non-engaged portion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unencapsulated portion, and a second conductive pad ex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ad.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는 또한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판을 갖는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전자 요소는 제1 면에 실장될 수 있으며, 콘택 패드는 제2 면에 노출되고 제2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에 실장되는데,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제2 면이 유전성의 캡슐화 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위치하고, 콘택 패드 중의 적어도 일부가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가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에 실장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may comprise a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can also include a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having a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second microelectronic element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ide and the contact pad may be exposed on the second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icroelectronic element.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is mounted to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wherein a second side of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is position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pad is an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can be mounted to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so as to b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1 면, 및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측방 방향(lateral direction)으로 연장하는 제2 면을 갖는 기판(substrate)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전자 요소는 제1 영역 내에서 제1 면의 위에 위치하며, 기판으로부터 이격된 주 표면을 갖는다. 전기 전도성 요소는 제2 영역 내에서 기판의 제1 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도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전기 전도성 요소의 각각에 접합된 베이스(base), 기판 및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end surface), 및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에지 면(edge surface)을 각각 갖는 와이어 본드(wire bond)를 포함한다. 유전성의 캡슐화 층(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은, 제1 면 및 제2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와이어 본드가 서로 분리되도록 와이어 본드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으며, 기판의 적어도 제2 영역의 위에 위치한다.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unencapsulated portions)은,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 중에서 적어도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가 접합된 전도성 요소로부터 상기 제1 면에 따른 하나 이상의 측방 방향으로,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이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주 표면상에 위치하도록 변위(displace)되어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cludes a microelectronic substrate comprising a substrate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spaced from the first surface and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It's about packages. The microelectronic element is located above the first face in the first region and has a major surface spaced from the substrat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is exposed to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in the second reg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ele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The microelectronic package each has a base bonded to each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an end surface spaced from the substrate and the base, and an edge surface extending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surface. Wire bonds. A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extends from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fills the space between the wire bonds so that the wire bo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ver the at least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Located. The unencapsulated portions of the wire bond consist of at least one of the end faces of the wire bond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at least one wire bond is located in at least on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first face from the conductive element to which the at least one wire bond is bonded, wherein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is located on the major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Displaced to

전도성 요소는 미리 정해진 제1 구성의 제1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제1 구성과 상이한 미리 정해진 제2 구성의 제2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성의 어레이는 제1 피치(pitch)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구성의 어레이는 제1 피치보다 더 미세한(finer) 제2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적어도 표면의 상부에서 연장된 절연 층(insulating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층은,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표면과,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주 표면상에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을 갖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본드의 다수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주 표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elements may be disposed in a first array of a first predetermined configuration, and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may be disposed in a second array of a second predetermined predetermined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nfiguration. The array of the first configuration may have a first pitch, and the array of the second configuration may have a second pitch that is finer than the first pitch. The microelectronic package can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extending over at least the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An insulating layer can be dispos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and one or more wire bonds having portions that are not encapsulated on the major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Multiple unencapsulated portions of the wire bond can be located on the major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의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는,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판, 제1 면상에 부착된 마이크로전자 요소, 제2 면상에 노출되고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콘택 패드를 포함하는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 상에 부착되는데,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제2 면이 유전성의 캡슐화 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콘택 패드의 적어도 일부가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가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microelectronic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 second microelectronic element attached on the first side, and a contact pad exposed on the second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It can include a microelectronic package.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is attached onto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such that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is loc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pad is disposed of the wire bond. A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can be attached on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to b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nencapsulated portion.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전기 전도성 요소는 미리 정해진 제1 구성의 제1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콘택 패드는 제1 구성과 상이한 미리 정해진 제2 구성의 제2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구성의 어레이에 대응하는 제3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성의 어레이는 제1 피치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구성의 어레이는 제1 피치보다 더 미세한 제2 피치를 가질 수 있다.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of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can be arranged in a first array of a first predetermined configuration, and the contact pads of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are arranged in a second array of a second predetermined predetermined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nfiguration. Can be. At least some of the unencapsulated portions of the wire bonds of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may be disposed in a third array corresponding to the array of the second configuration. The array of the first configuration may have a first pitch, and the array of the second configuration may have a second pitch that is finer than the first pitc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인프로세스 유닛(in-process unit) 상에 유전성의 캡슐화 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인프로세스 유닛은 제1 면 및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을 갖는 기판, 기판의 제1 면에 실장된 마이크로전자 요소, 제1 면에 노출된 다수의 전도성 요소를 포함한다. 전도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프로세서 유닛은 전도성 요소에 접합된 베이스,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 및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에지 면을 갖는 와이어 본드를 포함한다. 캡슐화 층은, 제1 면과 와이어 본드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하고,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unencapsulated portions)이 적어도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 또는 에지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의,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인프로세스 유닛의 기판은 리드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전도성 요소는 리드 프레임 중의 리드가 될 수 있다.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 상에는 스터드 범프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 상에는 땜납 볼이 증착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electronic package. The method includes forming a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on an in-process unit. The in-process unit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face and a second face spaced from the first face, a microelectronic element mounted on the first face of the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elements exposed on the first f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ele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The inprocessor unit includes a wire bond having a base bonded to the conductive element, an end face spaced from the base, and an edge face extending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face. The encapsulation layer is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cover the first face and a portion of the wire bond, and wherein the unencapsulated portions of the wire bond are at least one of the end face or edge face of the wire bond to the encapsulation layer. It is formed to be made of a portion that is not covered by. The substrate of the in-process unit can be a lead frame and the conductive element can be a lead in the lead frame. Stud bumps may be formed on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Solder balls may be deposited on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캡슐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면과 와이어 본드의 실질적으로 모두의 위에 유전성 재료 덩어리(dielectric material mass)를 형성하는 단계와, 와이어 본드의 일부분이 피복되지 않도록 해서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을 구성하도록, 유전성 재료 덩어리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와이어 본드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는 전도성 요소 중의 둘 이상의 전도성 요소에 각각 접합되어 루프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유전성 재료 덩어리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 루프와 제1 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전성 재료 덩어리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 루프를,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캡슐화 층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자유 단부를 각각 갖는 제1 와이어 본드 및 제2 와이어 본드로 절단하도록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 루프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는, 와이어의 제1 단부를 전도성 요소에 접합하는 단계, 와이어를 제1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하는 단계, 와이어를 제1 면에 따른 적어도 측방 방향으로 인출하는 단계, 및 와이어를 제2 전도성 요소까지 인출해서 제2 전도성 요소에 접합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Forming an encapsulation layer includes forming a dielectric material mass on substantially both of the first face and the wire bond, and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such that a portion of the wire bond is not covered. May comprise removing a portion of the dielectric material mass to form a. As a variant, one or more wire bonds of the wire bond can each be joined to two or more of the conductive elements and extend in the form of a loop. The dielectric material mass may be formed to at least partially cover the one or more wire bond loops and the first side. Removing a portion of the dielectric material mass may include one or more wire bond loops, each having a free end uncoated by an encapsulation layer to form an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And removing a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 loops to cut into. The loop includes bonding the first end of the wire to the conductive element, drawing the wire away from the first face, drawing the wire at least in a lateral direction along the first face, and drawing the wire to the second conductive edge. By drawing up the element and bonding it to the second conductive element.

캡슐화 층은, 와이어 본드 위에서 기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기판의 제1 면과 접촉하도록 유전성 재료 덩어리를 가압하고,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가 유전성 재료 덩어리를 관통하도록 하여, 인프로세스 유닛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본드는 금, 구리, 알루미늄, 또는 땜납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와이어 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와이어 본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는 웨지 본딩(wedge bonding)에 의해 전도성 요소에 접합될 수 있다. 캡슐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캡슐화 층의 주 표면으로부터 기판을 향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캐비티는 기판상에 유전성의 캡슐화 재료를 증착한 후에, 습식 에칭(wet etching), 건식 에칭(dry etching), 또는 레이저 에칭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캡슐화 재료를 에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캐비티는, 유전성의 캡슐화 재료를 기판 및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 상에 증착한 후에,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 희생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캡슐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희생 재료의 일부가 캡슐화 층의 주 표면상에 노출되도록 하며, 희생 재료의 노출된 부분이 와이어 본드의 자유 단부 부근의 와이어 본드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하고, 캡슐화 층의 일부가 와이어 본드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는 와이어 본드의 길이에 따른 길이방향 축을 규정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재료의 안쪽 층과 길이방향으로부터 이격되고 와이어 본드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제2 재료의 바깥쪽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희생 재료의 제1 부분을 제거하여 캐비티를 형성하고, 희생 재료의 제2 부분은 베이스에 이웃하여 남아 있을 수 있다. The encapsulation layer is formed on the in-process unit by pressing the dielectric material mass to contact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from a location away from the substrate over the wire bond, and allowing at least one wire bond through the dielectric material mass to penetrate the dielectric material mass. Can be. The wire bond may consist of a wire bond substantially comprising gold, copper, aluminum, or solder. The first wire bond may comprise aluminum and the wire bond may be bonded to the conductive element by wedge bonding. Forming the encapsulation layer may further or alternatively include forming one or more cavities extending from the major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towards the substrate. One or more cavities can be formed by depositing a dielectric encapsulation material on a substrate, followed by etching the encapsulation material by one or more of wet etching, dry etching, or laser etching. One or more cavities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dielectric encapsulation material on a substrate and one or more wire bonds, then remo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from a predetermined location of one or more wire bonds of the wire bonds. Forming the encapsulation layer causes a port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to be exposed on the major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allow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wire bond near the free end of the wire bond, It can be done by spacing some away from the wire bond. One or more of the wire bonds may define a longitudinal axis along the length of the wire bond, wherein the wire bo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layer of the first material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d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wire bond. And an outer layer of the second material. The first port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y be removed to form a cavity,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y remain adjacent to the base.

기판의 제1 면은 측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가 접합된 전도성 요소로부터 하나 이상의 측방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프로세스 유닛은,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가 전도성 요소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 사이에 위치한 실질적인 곡선형 부분을 포함하도록 와이어 본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may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of the wire bon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ne or more wire bonds are displaced in one or more lateral directions from the bonded conductive element. . Accordingly, the in-process unit can be formed including forming a wire bond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wire bonds comprises a substantially curved portion located between the conductive element and the end face of the at least one wire bond.

다른 변형예로서, 기판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전자 요소는 제1 영역의 위에 위치하고, 기판으로부터 이격된 주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도성 요소는 제2 영역 내에 위치하며, 인프로세스 유닛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적어도 일부가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주 표면 상부에서 연장하도록 와이어 본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variant, the substrate may compris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the microelectronic element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region and have a major surface spaced from the substrate. The first conductive element is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and the in-process unit may be formed by forming a wire bon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extend above the major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와이어 본드는 와이어 본드의 길이에 따른 길이방향 축을 규정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재료의 안쪽 층과 길이방향으로부터 이격되고 와이어 본드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제2 재료의 바깥쪽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제1 재료는 구리로 할 수 있으며, 제2 재료는 땜납으로 할 수 있다. 제2 재료의 일부는 캡슐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제거하여, 유전성의 캡슐화 층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캐비티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본드의 안쪽 층의 에지 면의 일부가 피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wire bond may define a longitudinal axis along the length of the wire bond, the wire bond of the second material spac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aterial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d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wire bond. It may include an outer layer. In this modification, the first material may be copper and the second material may be solder. A portion of the second material may be removed after forming the encapsulation layer to form a cavity extending from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such that a portion of the edge face of the inner layer of the wire bond is not cover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1 면, 및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을 갖는 기판(substrate)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는 제1 영역 내에서 제1 면의 위에 위치한다. 전기 전도성 요소는 제2 영역 내에서 기판의 제1 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도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수의 본드 요소는 제1 베이스, 제2 베이스, 및 베이스 사이에서 연장하는 에지 면을 각각 갖는다. 제1 베이스는 전도성 요소 중의 하나에 접합된다. 에지 면은 기판으로부터 이격된 에지 면의 정점까지 콘택 패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에지 면은 정점으로부터 제2 베이스까지 연장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며, 제2 베이스는 기판의 요소에 접합된다. 유전성의 캡슐화 층(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은 제1 면 및 제2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본드 요소가 서로 분리되도록 다수의 본드 요소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사이와 다수의 본드 요소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으며, 기판의 적어도 제2 영역의 위에 위치한다. 본드 요소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unencapsulated portions)은, 정점을 둘러싸는 본드 요소의 단부 면 중에서 적어도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 microelectronic package comprising a substrate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spaced from the first side. One or more microelectronic elements are located above the first face in the first regio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is exposed to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in the second reg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ele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r more microelectronic elements. The plurality of bond elements each have a first base, a second base, and an edge face extending between the bases. The first base is bonded to one of the conductive elements. The edge face further comprises a first portion extending away from the contact pad to a vertex of the edge face spaced from the substrate, the edge fa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vertex to the second base, the second base being the substrate Is bonded to the elements of. A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extends from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and between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bond elements such that the bond eleme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fills a space between and is located above at least a second area of the substrate. The unencapsulated portions of the bond element consist of at least the portion of the end face of the bond element surrounding the vertex that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본드 요소는 와이어 본드이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기판의 제2 베이스가 접합되는 기판의 요소는 제1 베이스가 접합되는 전도성 요소가 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기판의 제2 베이스가 접합되는 기판의 요소는 제1 베이스가 접합되는 전도성 요소와는 상이한 전도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제2 베이스가 접합되는 전도성 요소는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아도 된다. 대체가능한 변형예로서, 본드 요소는 본드 리본(bond ribbon)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제1 베이스의 일부는 콘택 패드의 일부를 따라 연장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가 접합되는 요소는 콘택 패드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제1 베이스의 길이 부분이 될 수 있다. As a variant of the above embodiment, the bond element is a wire bond. In this variant, the element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second base of the substrate is bonded may be the conductive element to which the first base is bonded. As an alternative, the element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second base of the substrate is bonded may be a different conductive element than the conductive element to which the first base is bonded. The conductive element to which the second base is bonded does not hav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As an alternative variant, the bond element can be a bond ribbon. In this variant, a portion of the first base may extend along a portion of the contact pad and the element to which the second base is bonded may be the length portion of the first base extending along the portion of the contact pad.

본 실시예에서, 기판의 제1 면은 제1 측방(lateral) 방향 및 제2 측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측방 방향은 제1 면 및 제2 면 사이의 기판의 두께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와이어 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가 접합된 전도성 요소로부터 제1 및 제2 측방 방향 중의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주 표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may exten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and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directions are of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It may be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one or more wire bonds of the wire bond can be displaced in one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directions from the conductive element to which the one or more wire bonds are bonded. In addition,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one or more wire bonds may be located on the major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는 제1 면을 갖는 기판과, 기판의 제1 면에 노출된 다수의 콘택을 포함하고,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에 접합하는 단계는, 제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을 제2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콘택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electronic package. The embodiment includes bonding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manufactured by the above embodiment to a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wherein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compris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nd a substrate of the substr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acts exposed on one side, and bonding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to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wherein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of the first microelectronic package is contacted with the second microelectronic package. And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제1 면 및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을 갖는 기판, 제1 면에 노출된 다수의 얇은 전도성 요소, 및 전도성 요소에 접합된 베이스, 베이스 및 기판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 및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에지 면을 갖는 와이어 본드를 포함하는 인프로세스 유닛(in-process unit) 상에 유전성의 재료 덩어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와이어 본드 상에서 유전성의 재료 덩어리를 기판의 제1 면과 접촉하도록 가압하고, 와이어 본드가 유전성의 재료 덩어리를 관통하도록, 인프로세스 유닛 상에 캡슐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캡슐화 층이 와이어 본드가 서로 분리되도록 와이어 본드 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기판의 적어도 제2 영역의 위에 위치하도록, 캡슐화 층을 형성한다. 제1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와이어 본드 중의 일부가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도록, 캡슐화 층의 일부를 통해 연장하는 와이어 본드에 의해 형성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electronic package. Th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face and a second face spaced from the first face, a plurality of thin conductive elements exposed on the first face, and a base spaced from the base, the base and the substrate bonded to the conductive element. Positioning a dielectric material mass on an in-process unit comprising a face and a wire bond having an edge face extending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face. The method also includes pressing the dielectric material mass on the wire bond to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and forming an encapsulation layer on the in-process unit such that the wire bond penetrates the dielectric material mass. Accordingly, the encapsulation layer fills the space between the wire bonds so that the wire bo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orms an encapsulation layer such that the encapsulation layer is positioned over at least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first wire bond is formed by a wire bond extending through a portion of the encapsulation layer such that a portion of the first wire bond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제1 면 및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을 갖는 기판, 제1 면에 노출된 다수의 얇은 전도성 요소, 및 전도성 요소 중의 둘 이상의 전도성 요소가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에 각각 접합된 와이어 루프(wire loop)를 포함하는 인프로세스 유닛(in-process unit) 상에 유전성의 캡슐화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캡슐화 층은 제1 면과 하나 이상의 와이어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된다. 본 방법은 또한, 와이어 루프가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에 각각 대응하며 기판 및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을 갖는 개별의 와이어 루프로 절단되도록 와이어 루프의 일부와 캡슐화 층의 일부와 와이어 루프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본드는 베이스와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에지 면을 구성한다. 캡슐화 층은 와이어 본드가 서로 분리되도록 와이어 본드 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와이어 본드는 캡슐화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있지 않은 와이어 본드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된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을 갖는다.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electronic package. The method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spaced from the first side, a plurality of thin conductive elements exposed on the first side, and at least two conductive elements of the conductive element are formed in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side. Forming a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on an in-process unit that includes a wire loop each bonded to a base. The encapsulation layer is formed to at least partially cover the first face and the one or more wire loops. The method also includes part of the wire loop and part of the encapsulation layer and part of the wire loop such that the wire loop is cut into individual wire loops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respectively, and having end faces spaced from the substrate and the base. Removing the step. As such, the wire bonds constitute an edge face extending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face. The encapsulation layer fills the space between the wire bonds such that the wire bo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wire bond having an unencapsulated portion formed by the free end of the wire bond that is not at least partially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언급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 또는 어셈블리와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마이크로전자 패키지 또는 어셈블리와 다른 전자 부품이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 system comprising a microelectronic package or assembly according to one of the aforementioned embodiments and at least one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package.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microelectronic package or assembly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installed in the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적층형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를 나타낸다.
도 8a-8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10a-10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11-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다양한 제조 단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다.
도 16a-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다양한 제조 단계에서 그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17a-1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다양한 제조 단계에서 그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일부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의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6은 도 25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상면을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8은 도 27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of the microelectronic package of FIG. 1.
3 shows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tacked microelectronic assembly including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8E show some details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detail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10D show some details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14 illustrate various manufacturing steps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 manufacturing step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16C show some of the details in various stages of fabrication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7A-17C illustrate some of the details in various stages of fabrication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8 is a top view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top view of a portion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top view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shows a front view of the microelectronic package of FIG. 20.
22 is a front view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shows a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front view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ront view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llustrates a top surface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25.
27 is a front view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llustrates a top view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27.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microelectronic assembly)(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컴퓨터나 다른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 어셈블리와 같은 패키지형 마이크로전자 요소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이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1 shows a microelectronic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 is a microelectronic assembly comprised of packaged microelectronic elements, such as semiconductor chip assemblies used in comput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도 1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는 제1 면(14)과 제2 면(16)을 갖는 기판(12)을 포함한다. 기판(12)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유전체 요소(dielectric element)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전체 요소는 판형(sheet-like)이면서 얇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유전체 요소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에폭시(epoxy), 에폭시-글라스(epoxy-glass), FR-4, BT 레진,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유전성 복합 재료(composite dielectric material) 또는 유전성 유기 재료(organic dielectric material)로 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4)과 제2 면(16)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기판(12)의 두께를 정하는 상기 면(14, 16)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2)의 두께는 본 발명에서 대략 허용가능한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제1 면(14)과 제2 면(16) 사이의 거리는 대략 25㎛ 내지 500㎛이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제1 면(14)은 제2 면(16)의 맞은 편에 위치하거나 제2 면(1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설명과, 이러한 요소의 수직 위치 또는 수평 위치를 의미하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설명은, 도면에서의 요소의 위치와 대응시킬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of FIG. 1 includes a substrate 12 having a first side 14 and a second side 16. Substrate 12 typically consists of a substantially flat dielectric element. The dielectric element can be sheet-like and thin. In one example, the dielectric element may be made of polyimid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epoxy, epoxy-glass, FR-4, BT resin, thermoplastic or thermoset plastic materials. It may comprise one or more layers of the same dielectric composite material or organic dielectric material. The first face 14 and the second face 16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aces 14, 16 that define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2. It is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2 is within an approximately acceptable rang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ace 14 and the second face 16 is approximately 25 μm to 500 μm. For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face 14 may be located opposite the second face 16 or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ace 16. This descrip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elements as used herein, which mean the vertical position or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se element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to correspond with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and the scope thereof is limited. It is not intended to be.

바람직한 예로서, 기판(12)은 제1 영역(18)과 제2 영역(2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영역(18)은 제2 영역(20) 내에 위치하며, 기판(12)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고, 이 중앙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영역(20)은 제1 영역(18)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며, 제1 영역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기판(12)의 외측 에지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예에서, 기판 자체의 물리적인 특성은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지 않지만, 이에 적용되거나 이에 포함되는 요소 또는 처리와 관련해서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을 위해 구분하고 있다. As a preferred example, the substrate 12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8 and a second region 20. The first region 18 is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20 and includes a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12 and extends outwardly from the central portion. The second region 20 substantially surrounds the first region 18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outer edge of the substrate 12. In this exampl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bstrate itself are not divided into two regions, but are separated for description herein in connection with the elements or processes applied to or included therein.

마이크로전자 요소(22)는 제1 영역(18) 내에서 기판(12)의 제1 면(14)에 실장된다. 마이크로전자 요소(22)는 반도체 칩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자가 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마이크로전자 요소(22)는 종래의 방식 또는 "페이스 업"(face-up) 방식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제1 면(14)에 실장된다. 이러한 예에서, 마이크로전자 요소(22)를 제1 면(14)에 노출된 다수의 전도성 요소(conductive element)(28) 중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와이어 리드(wire lead)(24)를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 리드(24)는 전도성 요소(28)에 접속되는 기판(12) 내의 트레이스(미도시) 또는 다른 전도성 요소에 접합될 수 있다.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is mounted on the first face 14 of the substrate 12 in the first region 18. Microelectronic element 22 may be a semiconductor chip or similar device. In the example of FIG. 1,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is mounted on the first face 14 in a manner known in the art or in a "face-up" manner. In this example, a wire lead 24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to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elements 28 exposed on the first face 14. Can be used Wire lead 24 may be bonded to a trace (not shown) or other conductive element in substrate 12 that is connected to conductive element 28.

전도성 요소(28)는 기판의 제1 면(14)에 노출된 "콘택"(contact) 또는 패드(pad)(3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 전도성 요소가 유전성 구조체를 갖는 다른 요소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는 표현은, 전기 전도성 구조체가 유전성 구조체의 가장 바깥부터 유전성 구조체의 표면을 향해 유전성 구조체의 표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론적인 점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전성 구조체의 표면에 노출된 단자 등의 전도성 요소는 이러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거나, 표면 아래로 함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유전체 내의 홀이나 구멍을 통해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전도성 요소(28)는 패드(30)가 기판(12)의 제1 면(14)에 노출된 평평하고 얇은 요소로 해도 된다. 일례로, 전도성 요소(28)는 실질적으로 곡선형으로 할 수 있으며, 트레이스(미도시)에 의해 서로 접속되거나 마이크로전자 요소(22)에 상호접속될 수 있다. 전도성 요소(28)는 적어도 기판(12)의 제2 영역(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전도성 요소(28)는 제1 영역(18)에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배치는 마이크로전자 요소(122) 상의 콘택이 마이크로전자 요소(12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땜납 범프(solder bump)(126) 등에 의해 제1 영역(118) 내의 전도성 요소(128)에 접속될 수 있는 "플립 칩"(flip-chip) 구성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마이크로전자 요소(122: 도 3 참조)를 기판(112)에 실장할 때에 특히 유용하다. 도 22에 나타낸 다른 구성으로서, 마이크로전자 요소(622)는 기판(612)상에 페이스 다운(face-down) 방식으로 실장되고, 와이어 리드(624)에 의해 칩 상의 전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와이어 리드(624)는 기판(612)의 면(616) 등과 같이 외측을 향하는 면(outwardly-facing surface)의 상부로 연장된다. 도시한 예에서, 와이어 리드(624)는 기판(612) 내의 개구(opening)(625)를 통과하며 오버몰드(overmold)(699)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다. Conductive element 28 includes a “contact” or pad 30 exposed to first side 14 of the substrate. 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that th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another element having the dielectric structure means that the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structure from the outermost side of the dielectric structure toward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structure. It means being able to come into contact with moving theoretical points. Thus, conductive elements such as terminal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structure may protrude from,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urface, or may be recessed below the surface and may be exposed through holes or holes in the dielectric. . The conductive element 28 may be a flat, thin element with the pad 30 exposed to the first face 14 of the substrate 12. In one example, the conductive elements 28 may be substantially curved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races (not shown) or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s 22. Conductive element 28 may be formed in at least second region 20 of substrate 12.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conductive element 28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18. This arrangement allows contacts on the microelectronic element 122 to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element 128 in the first region 118 by solder bumps 126 or the like located directly below the microelectronic element 122. It is particularly useful when mounting the microelectronic element 122 (see FIG. 3) to the substrate 112 in a manner known as the " flip-chip " configuration. In another configuration, shown in FIG. 22, the microelectronic element 622 is mounted on the substrate 612 in a face-down mann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element on the chip by wire leads 624. The wire lead 624 extends over an outwardly-facing surface, such as the surface 616 of the substrate 612. In the example shown, wire lead 624 passes through opening 625 in substrate 612 and may be encapsulated by overmold 699.

일례로, 전도성 요소(28)는 구리, 금, 니켈, 또는 이러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재료 등의 고체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재료에는 구리, 금,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합금이 있다. In one example, conductive element 28 is formed of a solid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gold, nickel, or other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such use, including one or more of copper, gold, nickel, or a combination thereof. There are a variety of alloys, including.

전도성 요소(28) 중의 적어도 일부는, 전도성 요소(28)에 대응하는 요소로서, 기판(12)의 제2 면(16)에 노출된 전도성 패드 등의 제2 전도성 요소에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접속은 전도성 요소(28, 40)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도성 금속으로 피복되거나 이러한 금속으로 채워질 수 있는, 기판(12)에 형성된 비아(41)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요소(40)는 기판(12)상의 트레이스에 의해서도 상호접속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nductive elements 28 may be interconnected to a second conductive element, such as a conductive pad exposed on the second side 16 of the substrate 12, as a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element 28. Such interconnection may be constructed using vias 41 formed in the substrate 12, which may be covered with or filled with a conductive metal, which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nductive elements 28, 40. Conductive element 40 may also be interconnected by traces on substrate 12.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는 전도성 요소(28) 중의 적어도 일부에, 예를 들어 전도성 요소(28)의 패드(30) 상에 접합된 다수의 와이어 본드(32)를 더 포함한다. 와이어 본드(32)는 전도성 요소(28)의 베이스(base)(34)에 접합되고, 베이스(34)와 기판(12)으로부터 이격된 자유 단부(free end)(36)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와이어 본드(32)의 자유 단부(36)는 마이크로전자 요소(22) 또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 내에서 마이크로전자 요소(22)에 접속된 임의의 다른 전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자유 단부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자유 단부(36)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의 외부의 전도성 요소에, 땜납 볼이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른 요소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전자적 접속에 사용될 수 있다. 자유 단부(36)는, 예를 들어 캡슐화 층(encapsulant layer)(4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거나 다른 전도성 요소에 다른 방식으로 접합 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는 것은, 이러한 임의의 요소가 마이크로전자 요소(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한, 이러한 자유 단부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유롭게"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베이스(34)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전자 요소(2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 접속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되어 있지 않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4)는 실질적으로 곡선형으로 될 수 있으며, 베이스(34)와 자유 단부(36) 사이에 있는 와이어 본드(32)의 에지 면(edge surface)(3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베이스(34)의 크기와 형태는 와이어 본드(3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 와이어 본드(32)와 전도성 요소(28) 사이의 접속력, 및 와이어 본드(3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의 공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와이어 본드(32)를 제조하는 방법의 예는, Otremba에 의한 미국특허 제7,391,121호와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5/0095835호[일종의 와이어 본딩이라고 볼 수 있는 웨지 본딩(wedge-bonding)을 개시하고 있음]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기판(12)의 제2 면(16)상에 노출된 전도성 요소(40)에, 제2 면(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 본드(32)가 추가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접합되는 대체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wire bonds 32 bonded to at least some of the conductive elements 28, for example on the pads 30 of the conductive elements 28. The wire bond 32 is bonded to the base 34 of the conductive element 28 and may extend to a free end 36 spaced apart from the base 34 and the substrate 12. . The free end 36 of the wire bond 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r otherwise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or any other conductive element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within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It is characterized as a free end in that it is not. In other words, the free end 36 may be used for electronic connec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a conductive element external to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by solder balls or other elements described herein. The free end 36 is, for exampl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n encapsulant layer 42 or otherwise bonded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conductive element, such that any element is a microelectronic element. Unless electrically connected to (22), this does not mean that these free ends are not "free" as described herein. In contrast, the base 34 is not free sinc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as described herein. As shown in FIG. 1, the base 34 can be substantially curved, from the edge surface 37 of the wire bond 32 between the base 34 and the free end 36. It may extend outward. The size and shape of the base 34 depends on the type of material used to form the wire bond 32, the connecting force between the wire bond 32 and the conductive element 28, and to form the wire bond 32.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process used. Examples of methods for making wire bonds 32 disclose US patents 7,391,121 and O. 2005/0095835 (wedge-bonding, which may be viewed as a kind of wire bonding) by Otremba. Yes, the contents of this document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lternative implementation in which the wire bond 32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face 16 is additionally or otherwise bonded to the conductive element 40 exposed on the second face 16 of the substrate 12. Yes it is possible.

와이어 본드(32)는 구리, 금, 니켈, 땜납, 알루미늄 등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본드(32)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전도성 재료의 코어(core)와 같이 재료의 조합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어 상부에는 코팅이 피복되어 있다. 이 코팅은 알루미늄, 니켈 등과 같은 다른 전도성 재료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코팅은 절연 외피(insulating jacket)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와이어 본드(3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는, 와이어의 길이에 대하여 횡단하는 치수, 즉 두께가 대략 15㎛ 내지 150㎛가 될 수 있다. 웨지 본딩이 사용된 실시예를 포함한 다른 예에서, 와이어 본드(32)는 대략 500㎛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본드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전용의 장비를 사용하여, 전도성 요소(28), 패드, 트레이스 등과 같은 전도성 요소 상에 형성된다. 와이어 세그먼트의 한쪽 끝 부분(leading end)을 가열하고 와이어 세그먼트를 접착시킬 수용 면(receiving surface)에 대고 가압함으로써, 전도성 요소(28)의 표면에 접합되는 볼 또는 볼 모양의 베이스(34)를 형성한다. 와이어 본드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 세그먼트의 소망하는 길이는 본딩 툴(bonding tool)로부터 인출해 낸 다음, 원하는 길이에서 절단하면 된다. 알루미늄으로 된 와이어 본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웨지 본딩(wedge bonding)은 와이어의 가열된 부분을 표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위치한 웨지(wedge)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용 면을 가로질러 연장시키는 공정이다. 웨지 접착 방식의 와이어 본드는, 필요에 따라 상방으로 만곡시켜도 되고, 절단하기 전에 소망하는 길이 또는 위치까지 연장시켜도 된다. 일례로, 와이어 본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는 단면이 원통형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달리, 와이어 본드 또는 웨지 접착 방식의 와이어 본드를 형성하기 위해 본딩 툴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는 단면을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의 다각형으로 해도 된다. Wire bond 32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gold, nickel, solder, aluminum, or the like. In addition, the wire bond 32 may be made from a combination of materials, such as a core of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aluminum, for example coated with a coating on top of the core. This coating can be another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nickel,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coating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n insulating jacket. In one example, the wire used to form the wire bond 32 may have a dimension transverse to the length of the wire, ie,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15 μm to 150 μm. In other examples, including embodiments in which wedge bonding is used, wire bond 32 may have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500 μm or less. In general, wire bonds are formed on conductive elements such as conductive elements 28, pads, traces, and the like, using dedicated equipment known in the art. By heating the leading end of the wire segment and pressing against a receiving surface to which the wire segment is to be bonded, a ball or ball shaped base 34 is formed which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element 28. do. The desired length of the wire segment for forming the wire bond may be drawn out from the bonding tool and then cut at the desired length. Wedge bonding, which can be used to form a wire bond of aluminum, is a process in which the heated portion of the wire extends across the receiving surface to form a wedg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surface. . The wire bond of the wedge adhesion system may be curved upward as needed, or may be extended to a desired length or position before cutting. In one example, the wire used to form the wire bond may be cylindrical in cross section. Alternatively, the wire supplied from the bonding tool to form a wire bond or a wire bond of the wedge bonding method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or a trapezoid in cross section.

와이어 본드(32)의 자유 단부(36)는 단부 면(end surface)(38)을 포함한다. 단부 면(38)은 다수의 와이어 본드(32)의 각각의 단부 면(38)에 의해 형성되는 어레이 형태로 된 콘택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단부 면(38)에 의해 형성된 콘택의 어레이에 대한 패턴의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어레이는 면적 어레이(area array) 구성으로 형성해도 되고, 그 변형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구조체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어레이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인쇄 회로 기판("PCB")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다른 패키지형 마이크로전자 요소 등의 다른 마이크로전자 구조체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형 구조에서, 와이어 본드(32)와 전도성 요소(28, 40)는 다수의 전자 신호를 운반할 수 있으며, 여러 신호가 단일의 적층 구조체 내의 여러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상이한 신호 전위를 각각 갖는다. 이러한 적층 구조체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를, 예를 들어 전기적 및 기계적 부착용 단부 면(38)에 의해 전도성 요소(40)에 상호접속하기 위해 땜납 덩어리(solder mass)(52)를 사용할 수 있다. The free end 36 of the wire bond 32 includes an end surface 38. The end face 38 may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array-shaped contacts formed by each end face 38 of the plurality of wire bonds 32. 2 shows an example of a pattern for an array of contacts formed by end faces 38. Such an array may be formed in an area array configuration, and modifications thereof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structures described herein. Such an array can be used to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to other microelectronic structures,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other packaged microelectronic elements such as shown in FIG. 6. . In this stacked structure, wire bond 32 and conductive elements 28 and 40 can carry multiple electronic signals, and different signal potentials so that multiple signals can be processed by multiple microelectronic elements in a single stacked structure. Have each. Solder mass 52 may be used to interconnect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of such a laminate structure to conductive element 40 by, for example, electrical and mechanical attachment end faces 38.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는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슐화 층(encapsulation layer)(42)을 더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캡슐화 층(42)은 기판(12)의 제1 면(14) 중의, 마이크로전자 요소(2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거나 점유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상부 또는 전도성 요소(28)의 상부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캡슐화 층(42)은 전도성 요소(28)의 패드(30)를 포함하여, 와이어 본드(32)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전도성 요소(28)의 일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캡슐화 층(42)은 마이크로전자 요소(22), 베이스(34)를 비롯한 와이어 본드(32), 및 에지 면(37)의 적어도 일부를 실질적으로 덮을 수 있다. 와이어 본드(32)의 일부분은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을 비캡슐화 부분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부분에 의해 와이어 본드를 캡슐화 층(42)의 외부에 위치한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와이어 본드(32)의 단부 면(38)은 캡슐화 층(42)의 주 표면(major surface)(44)에서는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다. 다른 예에서는, 단부 면(38)을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하는 것에 추가로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에지 면(37)의 일부를 캡슐화 층(42)에 의해 덮여있지 않도록 해도 된다. 다시 말해서, 캡슐화 층(42)은 단부 면(38) 및 에지 면(37)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과 같은, 와이어 본드(32) 중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제1 면(14)으로부터 그 상부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모두 피복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 캡슐화 층(42)의 주 표면(44)과 같은 표면은 기판(12)의 제1 면(14)으로부터, 마이크로전자 요소(22)를 덮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와이어 본드(32)의 단부 면(38)이 주 표면(44)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의 실시예는, 마이크로전자 요소(22)보다 높이가 높은 와이어 본드(32)와, 플립 칩 접속을 위한 하부의 땜납 범프를 포함할 것이다. 물론 캡슐화 층(42)을 위한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캡슐화 층은 다양한 높이를 갖는 다수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단부 면(38)이 내부에 위치하는 주 표면(44)은 마이크로전자 요소(22)가 아래에 위치하는 상방을 향하는 면(upwardly facing surface)보다 더 높게 또는 더 낮도록 해도 된다.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further includes an encapsulation layer 42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In the embodiment of FIG. 1, encapsulation layer 42 is a top or conductive element 28 of a portion of first surface 14 of substrate 12 that is not covered or occupied by microelectronic element 22. Is formed on top of the Likewise, encapsulation layer 42 is formed on top of a portion of conductive element 28, which is not covered by wire bond 32, including pad 30 of conductive element 28. Encapsulation layer 42 may substantiall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microelectronic element 22, wire bond 32, including base 34, and edge face 37. A portion of the wire bond 32 may be un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n unencapsulated portion, whereby the wire bond is positioned outside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It can be used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s with the element. In one example, the end face 38 of the wire bond 32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at the major surface 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In another example, a portion of the edge face 37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in addition to or as an alternative to leaving the end face 38 un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You may also In other words, the encapsulation layer 42 is microelectronic from the first face 14 to the top thereof, except for a portion of the wire bond 32, such as at least one of the end face 38 and the edge face 37. It is possible to cover all of the assemblies 10. In the example shown in the figures, a surface, such as the major surface 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ce 14 of the substrate 12 by a distance sufficient to cover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 Thus, the embodiment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in which the end face 38 of the wire bond 32 is flush with the major surface 44, has a higher wire bond 32 than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 And bottom solder bumps for flip chip connections.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for the encapsulation layer 42 are also possible. For example, the encapsulation layer can have multiple faces with varying heights. In this configuration, the major surface 44 on which the end face 38 is located may be higher or lower than the upwardly facing surface on which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is located.

캡슐화 층(42)은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 내의 요소, 특히 와이어 본드(32)를 보호한다. 이에 의하면, 어셈블리를 검사하거나 어셈블리를 다른 마이크로전자 구조체로 운반하는 중에 덜 손상될 수 있는 견고한 구조체가 가능하게 된다. 캡슐화 층(42)은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0/0232129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절연 특성을 가진 유전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포함한다. Encapsulation layer 42 protects elements in microelectronic assembly 10, in particular wire bond 32. This allows for a rigid structure that can be less damaged while inspecting the assembly or transporting the assembly to other microelectronic structures. Encapsulation layer 42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having insulating properties such as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232129,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3은 와이어 본드(132)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10)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와이어 본드(132)의 단부(136)는 베이스(134)의 위에 일직선으로 위치하고 있지 않다. 즉, 실질적으로 평면을 이루기 위해, 2개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기판(112)의 제1 면(114)을 보면, 단부(136) 또는 와이어 본드(132) 중의 적어도 하나가 베이스(134)의 대응하는 측면 위치로부터 이들 측면 방향들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본드(132)는 이 와이어 본드의 길이방향 축(longitudinal axis)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을 이루며,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이 길이방향 축은 기판(112)의 제1 면(114)에 대하여 각도(146)만큼 각을 이루고 있다. 도 3의 단면에서는 제1 면(114)에 직각인 제1 평면을 통하는 각도(146)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와이어 본드(132)는 제1 평면과 제1 면(114) 모두에 직각인 다른 평면에서 제1 면(114)에 대하여 각을 이루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각도는 각도(14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해도 되고 상이하게 해도 된다. 즉, 단부(136)가 2개의 측면 방향으로 베이스(134)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으며, 이들 방향에서의 거리는 동일하게 해도 되고 상이하게 해도 된다. 3 shows an embodiment of a microelectronic assembly 110 that includes a wire bond 132, where the end 136 of the wire bond 132 is not located in a straight line on the base 134. That is, in order to be substantially planar, when looking at the first surface 114 of the substrate 112 extending in two lateral directions, at least one of the end 136 or the wire bond 132 is formed of the base 134. It is moved in at least one of these lateral directions from the corresponding lateral position. As shown in FIG. 3, the wire bond 132 is substantially straight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wire bond, and as in the example of FIG. 1, the longitudinal axis is formed of the substrate 112. The angle 146 is angled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114. In the cross section of FIG. 3, only the angle 146 through the first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plane 114 is shown, but the wire bond 132 is in another plane perpendicular to both the first plane and the first plane 114. You may mak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1st surface 114. FIG. This angl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ngle 146. That is, the end portion 136 may be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base 134 in two lateral directions, and the distances in these direction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일례로, 와이어 본드(132)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10) 전체를 통해 여러 방향으로 그리고 상이한 거리만큼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10)는 기판(12)의 레벨에서와 비교해서 표면(144)의 레벨에서 다르게 구성되는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는 기판(112)의 제1 면(114)과 비교해서 제1 면(114)의 레벨에서보다 표면(144)상에서 더 작은 전체 면적을 덮거나 더 작은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와이어 본드(132)는 상이한 크기의 패키지형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적층형 구성을 수용하기 위해 마이크로전자 요소(122)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138)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본드(132)는, 하나의 와이어 본드(132A)의 단부(136A)가 다른 와이어 본드(134B)의 베이스(134B)의 실질적으로 상부에 위치되고, 해당 와이어 본드(134B)의 단부(132B)는 그외의 어느 위치든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콘택 어레이 내의 콘택 단부 면(136)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2 면(116)상의 대응하는 콘택 어레이의 위치에 비해, 변경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어레이 내에서, 콘택 단부 면의 상대적인 위치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의 용도 또는 다른 요건에 따라, 필요에 맞게, 변경하거나 다양하게 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wire bond 132 may be displaced in various directions and by different distances throughout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10. With this arrangement,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10 can have an array that is configured differently at the level of the surface 144 compared to at the level of the substrate 12. For example, the array may cover a smaller overall area or have a smaller pitch on the surface 144 than at the level of the first face 114 as compared to the first face 114 of the substrate 112. In addition, some wire bonds 132 may have ends 138 located on top of microelectronic elements 122 to accommodate stacked configurations of packaged microelectronic elements of different sizes.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9, the wire bond 132 has an end 136A of one wire bond 132A positioned substantially above the base 134B of the other wire bond 134B, End 132B of wire bond 134B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nywhere else. Such a configuration can be said tha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ntact end face 136 in the contact array has changed relative to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array on the second face 116. Within such array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ntact end faces can be varied or varied as need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or other requirements.

도 4는 와이어 본드(232)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전자 서브어셈블리(microelectronic subassembly)(21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이 와이어 본드(232)의 단부(236)는 베이스(234)에 대하여 측방(lateral) 위치로 변위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 와이어 본드(132)는 내부에 곡선 부분(curved portion)(248)을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측방 변위(lateral displacement)를 달성한다. 곡선 부분(248)은 와이어 본드 형성 공정 중에 추가의 단계로서 형성해도 되고, 이러한 곡선 부분의 형성은 와이어의 일부를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해내는 중에 이루어져도 된다. 이러한 단계는 하나의 머신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시판되는 와이어 본딩 장비를 사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microelectronic subassembly 210 that includes a wire bond 232, wherein the end 236 of the wire bond 232 is lateral to the base 234. Displaced into position. In the example of FIG. 4, the wire bond 132 achieves this lateral displacement by including a curved portion 248 therein. The curved portion 248 may be formed as an additional step during the wire bond forming process, and the 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may be performed while drawing out a portion of the wire by a desired length. This step can be perform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wire bonding equipment, including using one machine.

곡선 부분(248)은 와이어 본드(232)의 단부(236)의 원하는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 부분(248)은 다양한 형태 중에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S자형 곡선이나 더 평탄한 형태(도 5에 나타낸 것 참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곡선 부분(248)은 단부(236)보다는 베이스(234)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며, 반대로 베이스보다 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곡선 부분(248)은 나선형이나 루프 형태로 해도 되고, 다수의 방향으로 또는 상이한 형태나 특징을 갖는 곡선을 포함하는 혼합형으로 해도 된다. Curved portion 248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needed, to achieve the desired location of end 236 of wire bond 232. For example, curved portion 248 may be formed of an S-shaped curve, such as that shown in FIG. 4, or of a flatter shape (see that shown in FIG. 5), among other forms. Further, the curved portion 248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base 234 than to the end 236, and conversely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end than the base. The curved portion 248 may be in the form of a spiral or a loop, or may be a mixed type including curv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or having different forms or features.

도 5는 베이스(334)와 단부(336) 사이의 상대적인 측방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와이어 본드(332)의 조합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31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와이어 본드 중의 와이어 본드(332A)는 베이스(334A)의 상부에 위치된 단부(336A)와 함께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며, 다른 와이어 본드(332B)는 단부(336B)와 베이스(334B) 사이의 약간의 상대적인 측방 변위가 있는 약간의 곡선 부분(348B)을 포함한다. 어떤 와이어 본드(332C)는 단부(336C)가 베이스(334C)로부터 단부(334B)보다 더 긴 거리만큼 측방으로 변위된 한쪽으로 휩쓸린 형태(sweeping shape)를 갖는다. 도 5는 또한 기판 레벨 어레이(substrate-level array)의 동일한 열에 위치한 베이스(334Ci, 334Cii)와 이에 대응하는 표면 레벨 어레이(surface-level array)의 상이한 열에 위치한 단부(336Ci, 336Cii)를 갖는 쌍으로 된 와이어 본드(332Ci, 332Cii)를 나타낸다.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310 having a combination of wire bonds 332 of various shapes that allows for relative lateral displacement between the base 334 and the end 336. The wire bond 332A in the wire bond is substantially straight with the end 336A located on top of the base 334A, while the other wire bond 332B is slightly relative between the end 336B and the base 334B. Some curved portion 348B with lateral displacements. Some wire bonds 332C have a sweeping shape in which end 336C is laterally displaced from base 334C by a longer distance than end 334B. 5 also shows a pair having bases 334Ci and 334Cii located in the same column of a substrate-level array and ends 336Ci and 336Cii located in different columns of the corresponding surface-level array. Wire bonds 332Ci and 332Cii are shown.

와이어 본드(332D)의 다른 변형예는 와이어 본드가 그 측면(side surfac)(47) 상의 캡슐화 층(34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유 단부(336D)가 피복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된 예에서, 에지 면(337D)의 일부는 캡슐화 층(342)에 의해 추가로 피복되어 있지 않거나, 자유 단부 대신에 피복되어 있지 않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310)의 측방에 배치된 다른 요소에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해, 또는 적절한 요소에의 전기적 접속에 의해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의 평탄화(grounding)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표면(344)보다 기판(312)에 더 가깝게 위치한 오목한 면(recessed surface)(345)을 형성하기 위해 캡슐화 층(342)의 에칭으로 제거하거나, 몰딩하거나, 그외 다른 방법으로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다. 와이어 본드(332A)와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와이어 본드는 오목한 면(345)에 따른 영역 내에서는 피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 에지 면(337A)의 일부와 단부 면(338A)은 캡슐화 층(34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땜납 볼 등에 의해, 땜납을 에지 면(337A)을 따라 위크처리(wick) 하고 단부 면(338)에 접합하는 것에 추가로 상기 에지 면에 접합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전도성 요소에 접속할 수 있다. 와이어 본드의 일부가 오목한 면(345)을 따라 캡슐화 층(342)에 의해 피복되지 않도록 한 다른 구성도 가능하며, 단부 면이 오목한 면(345) 또는 캡슐화 층(342)의 임의의 다른 표면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나타낸 다른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구성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와이어 본드(332D)의 일부가 측면(347)을 따라 캡슐화 층(342)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구성도, 캡슐화 층의 주 면의 변형예와 관련해서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하는 것들과 유사하게 될 수 있다. Another variation of the wire bond 332D is shown that the wire bond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342 on the side surfac 47. In the example in which the free end 336D is shown not covered, a portion of the edge face 337D may not be further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342 or may be uncovered instead of the free end. . This configuration can be used for mechanical or electrical connection to other elements disposed laterally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310 or for grounding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by electrical connection to appropriate elements. . 5 may also be removed, molded, or otherwise formed by etching the encapsulation layer 342 to form a recessed surface 345 located closer to the substrate 312 than the surface 344. Indicates a part. One or more wire bonds, such as wire bond 332A, do not have to be covered in the area along the concave surface 345.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a portion of the edge face 337A and the end face 338A are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34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a solder ball or the like allows the solder to be bonded to the edge face in addition to wicking the solder along the edge face 337A and to the end face 338. Can be accessed. Other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that a portion of the wire bond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342 along the concave side 345, with the end face relative to the concave side 345 or any other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342. A configuration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other configurations shown herein is also possible. Similarly, configurations in which a portion of the wire bond 332D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342 along the side surface 347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elsewhere herein in connection with a modification of the major 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Can be similar.

도 5는 2개의 마이크로전자 요소(322, 350)를 구비하는데, 마이크로전자 요소(350)가 마이크로전자 요소(322) 상에 페이스 업 방식으로 적층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310)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서, 마이크로전자 요소(322)를 기판(312)상의 전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리드(lead)(324)를 사용한다. 마이크로전자 요소(350)를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310)의 다른 다양한 요소에 전자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다양한 리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리드(380)는 마이크로전자 요소(350)를 기판(312)의 전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리드(382)는 마이크로전자 요소(350)를 마이크로전자 요소(322)에 전기 접속한다. 또한, 다양한 와이어 본드(332)를 갖는 구조체에서와 유사하게 될 수 있는 와이어 본드(384)는, 캡슐화 층(342)의 표면(344)상에, 마이크로전자 요소(3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콘택 면(contact surface)(386)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것은 다른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의 요소를 캡슐화 층(342)의 상부로부터 마이크로전자 요소(350)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전자 요소(322)에 다른 마이크로전자 요소(350)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여, 마이크로전자 요소(322)에 접속되는 리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캡슐화 층(342)에는, 표면(344)으로부터 리드(380)에 따른 지점까지 연장하는 개구(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표면(344)의 외부에 위치한 요소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리드(38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와이어 본드(332C)의 상부와 같이, 와이어 본드(332) 또는 임의의 다른 리드의 상부에, 단부(336C)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 상기 개구와 유사한 개구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예에서, 단부(336C)는 표면(344) 아래에 위치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 개구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근용으로만 제공된다. 5 shows two microelectronic elements 322, 350, which show a microelectronic assembly 310 in which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50 is stacked up on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22. In this configuration, a lead 324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22 to a conductive element on the substrate 312. Various leads are used to electronically connect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50 to various other elements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310. For example, the lead 380 electrically connects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50 to the conductive element of the substrate 312, and the lead 382 electrically connects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50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22. do. In addition, wire bonds 384, which may be similar to structures having various wire bonds 332, are contact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50 on the surface 3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342. It is used to form a contact surface 386. This can be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an element of another microelectronic assembly directly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50 from the top of the encapsulation layer 342. Leads connect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22 may be included, including when no other microelectronic element 350 is attached to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22. In encapsulation layer 342, leads 380 are formed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elements located outside of surface 344 by forming openings (not shown) that extend from surface 344 to a point along lead 380. You may be able to access. An upper portion of the wire bond 332 or any other lead, such as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bond 332C,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similar to the opening at a point far from the end portion 336C. In this example, end 336C may be positioned below surface 344, in which case the opening is provided only for access for electrical connection.

도 6은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10, 488)의 적층형 패키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서, 땜납 덩어리(452)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10)의 단부 면(438)을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88)의 전도성 요소(440)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이 적층형 패키지는 추가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중에는 전자 소자에 사용하기 위한, 예를 들어 PCB(490) 상의 콘택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형 구성에서, 와이어 본드(432)와 전도성 요소(430)는 단일의 적층체에서 마이크로전자 요소(422) 또는 마이크로전자 요소(489)와 같은 여러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의해 상이한 신호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이한 신호 전위를 각각 갖는 다수의 전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6 shows a stacked package of microelectronic assemblies 410, 488. In this configuration, the solder mass 452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s the end face 438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10 to the conductive element 440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88. This stacked package may include additional assemblies and may later be attached to contacts on the PCB 490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In such a stacked configuration, the wire bond 432 and the conductive element 430 allow the different signals to be processed by several microelectronic elements, such as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or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89 in a single stack. A plurality of electronic signals, each having a different signal potential, can be delivered.

도 6에 나타낸 구성에서, 와이어 본드(432)는 단부(436) 중의 적어도 일부가 마이크로전자 요소(422)의 주 표면(424)상의 영역까지 연장되는 곡선 부분(448)을 포함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영역은 마이크로전자 요소(422)의 외측 주변에 의해 이루어지며, 마이크로전자 요소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도 18에 나타낸 기판(412)의 제1 면(414) 쪽을 본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와이어 본드(432)는 마이크로전자 요소(422)의 뒷면 상에 위치하며,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앞면(425)에서 기판(412)에 플립 칩 접착된다. 다른 구성(도 5 참조)으로서, 마이크로전자 요소(422)는 기판(312)에 페이스 업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앞면(325)은 기판(312)으로부터 먼 쪽을 향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와이어 본드(336)는 마이크로전자 요소(322)의 앞면 상에 위치한다. 일례로, 이러한 와이어 본드(336)는 마이크로전자 요소(3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기판(312)에 접착된 와이어 본드(336)는 마이크로전자 요소(350)의 앞면 또는 뒷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10)의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요소(428)가 마이크로전자 요소를 둘러싸는 행과 열로 배치된 제1 어레이를 형성하는 패턴으로 구성되며, 개별의 전도성 요소(428) 사이에서는 소정의 피치(pitch)를 가질 수 있다. 와이어 본드(432)는, 와이어 본드의 각각의 베이스(434)가 전도성 요소(428)에 의해 시작되는 제1 어레이의 패턴을 따르도록 전도성 요소(428)에 접합된다. 와이어 본드(432)는 와이어 본드의 각각의 단부(436)가 제2 어레이 구성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 제2 어레이의 피치는 제1 어레이와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제1 어레이의 피치보다 더 미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어레이의 피치가 제1 어레이의 피치보다 더 크거나, 전도성 요소(428)가 미리 정해진 어레이로 위치하지 않지만, 와이어 본드(432)의 단부(436)는 미리 정해진 어레이로 위치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전도성 요소(428)는 기판(412) 전체를 통해 위치한 어레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432)는 단부(436)가 단일의 어레 또는 어레이의 여러 집합이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6, the wire bond 432 is possible to include a curved portion 448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436 extends to an area on the major surface 424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 This region is made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and may extend upward from the microelectronic element.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is shown in the view of the first surface 414 of the substrate 412 shown in FIG. In this configuration, the wire bond 432 is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and is flip chip bonded to the substrate 412 at the front side 425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As another configuration (see FIG. 5),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can be mounted face up to the substrate 312, with the front surface 325 facing away from the substrate 312, and having one or more wire bonds. 336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22. In one example, such wire bond 336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microelectronic element 322. The wire bond 336 bonded to the substrate 31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back sid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350. In the embodiment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10 shown in FIG. 18, the conductive elements 428 consist of a pattern forming a first array disposed in rows and columns surrounding the microelectronic elements, with individual conductive elements 428. It can have a predetermined pitch in between. Wire bond 432 is bonded to conductive element 428 such that each base 434 of the wire bond follows the pattern of the first array initiated by conductive element 428. Wire bond 43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end 436 of the wire bond can be arranged in a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second array configuration. In the example shown, the pitch of the second array can be different than the first array, and in some cases finer than the pitch of the first array.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the pitch of the second array is greater than the pitch of the first array, or the conductive elements 428 are not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ray, but the end 436 of the wire bond 432 is predetermined. Arrays located in arrays are also possible. In addition, conductive element 428 may consist of a set of arrays located throughout the substrate 412, and wire bond 43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nd 436 is a single array or multiple sets of arrays.

도 6은 마이크로전자 요소(422)의 표면을 따라 연장된 절연층(421)을 나타낸다. 절연층(421)은 와이어 본드를 형성하기 전에, 유전체 또는 다른 전기 절연성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절연층(421)은 마이크로전자 요소가 마이크로전자 요소의 상부로 연장된 어떠한 와이어 본드(423)와도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특히, 절연층(421)은 와이어 본드 사이의 전기적 단락과 와이어 본드와 마이크로전자 요소(422)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절연층(421)은 와이어 본드(432)와 마이크로전자 요소(422) 사이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전기적 접촉에 기인한 고장이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6 shows an insulating layer 421 extending along the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The insulating layer 421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or other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before forming the wire bond. The insulating layer 42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icroelectronic elemen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any wire bond 423 extending above the microelectronic element. In particular, the insulating layer 421 can prevent electrical shorts between the wire bonds and shorts between the wire bonds and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In this way, the insulating layer 421 can avoid failure or damage due to unintentional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wire bond 432 and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도 6 및 도 18에 나타낸 와이어 본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88)와 마이크로전자 요소(422)의 상대적인 크기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10)를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88) 등의 다른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88)는 일부의 콘택 패드(440)가 마이크로전자 요소(422)의 앞면(424) 또는 뒷면(426)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 내에서 어레이 형태로 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와이어 본드(432) 대신에, 필러(pillar) 등과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의 전도성 요소를 갖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에서, 전도성 요소(4428)와 패드(440) 사이의 직접 접속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구성된 곡선 부분(448)을 갖는 와이어 본드(432)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10)와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88) 사이의 필요한 전자 접속을 이루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 단부(436)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418)가,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패드 어레이를 갖는 DRAM 칩 등이고, 마이크로전자 요소(422)는 DRAM 칩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논리 칩(logic chip)인 경우의 적층형 패키지를 구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단일 유형의 DRAM 칩으로, DRAM 칩보다 크기가 큰 것은 물론,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여러 개의 상이한 논리 칩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와이어 본드(432)가 DRAM 칩과 원하는 접속을 이루는 데에 필요한 위치에 배치된 단부(436)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다른 예로서, 마이크로전자 패키지(410)를 인쇄 회로 기판(490) 상에 다른 구성으로 실장해도 되는데, 이 경우 와이어 본드(432)의 캡슐화하지 않은 표면(unencapsulated surface)(436)은 회로 기판(490)의 패드(49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변형예의 패키지(488)와 같은 다른 마이크로전자 패키지가, 패드(440)에 접합된 땜납 볼(452)에 의해 패키지(4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ire bond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6 and 18, for example, when the relative sizes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88 and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are not allowed,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10 may be replaced with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 488), and other microelectronic assemblies. In the example of FIG. 6,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88 may be in an array form in which some contact pads 440 ar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ront 424 or back 426 of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Has a size. Instead of wire bond 432, in a microelectronic assembly having a substantially vertical conductive element such as a pillar or the like, direct connection between conductive element 4428 and pad 440 will not be allowed. However, as shown in FIG. 6, the wire bond 432 with the properly configured curved portion 448 is in the proper position to make the necessary electronic connection between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10 and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88. It may have an end 436. This configuration is a stacked package in the case where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418 is, for example, a DRAM chip having a predetermined pad array, and the microelectronic element 422 is a logic chip configured to control the DRAM chip. It can be used to construct. This allows a single type of DRAM chip to be used with a number of different logic chips that are larger than the DRAM chip and of various sizes, which allows the wire bond 432 to make the desired connection with the DRAM chip. This is possible because it includes an end 436 disposed in the required position. As another example, the microelectronic package 410 may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490 in a different configuration, in which case the unencapsulated surface 436 of the wire bond 432 is a circuit board 4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d 492. Also in this example, another microelectronic package, such as variant package 488, may be mounted on package 410 by solder balls 452 bonded to pad 440.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유형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로서, 캡슐화 층(42)의 표면(44)을 따라 연장하는 재배열 층(redistribution layer)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스(58)가 와이어 본드(32)의 단부 면(3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내측 콘택 패드(inner contact pad)(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재배열 층(54)의 기판(56)을 통해 기판(56)의 표면(62)상에 노출된 콘택 패드(60)까지 연장되어 있다. 콘택 패드(60)에는, 땜납 덩어리 등에 의해, 추가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를 접속해도 된다. 기판(12)의 제2 면(16)을 따라, 팬 아웃 층(fan-out layer)으로 알려진, 재배열 층(54)과 유사한 층이 연장될 수 있다. 팬 아웃 층에 의하면,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전도성 요소(40) 어레이가 허용되는 것과 다른 구성의 어레이에 접속할 수 있다. FIG. 7 shows a microelectronic assembly 10 of the type shown in FIG. 1, comprising a redistribution layer extending along the surface 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As shown in FIG. 7, the trace 5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ner contact pad 61,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d face 38 of the wire bond 32, and the rearrangement layer 54. ) Extends through the substrate 56 to the contact pads 60 exposed on the surface 62 of the substrate 56. The contact pad 60 may be connected to an additional microelectronic assembly by a solder lump or the like. Along a second side 16 of the substrate 12, a layer similar to the rearrangement layer 54, known as a fan-out layer, may extend. The fan out layer allows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to be connected to an array of configurations other than that where the array of conductive elements 40 is acceptable.

도 8a-8e는 도 1 내지 도 7과 유사한 구조체에서,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의 구조 또는 그 부근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8a는 캡슐화 층(42)의 일부분에 캐비티(cavity)(64)가 형성된 구조체를 나타낸다. 이 구성에서,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는 캐비티(64)에서 캡슐화 층의 작은 쪽의 면(minor surface)(43) 위로 돌출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단부 면(38)은 캡슐화 층(42)의 큰 쪽의 면(major surface)(44)의 아래에 위치하며, 캐비티(64)는 단부 면(38)을 표면(44)에서 노출시켜, 전자 구조체가 단부 면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단부 면(38)이 표면(44)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거나 표면(44)의 상부로 이격된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캐비티(64)는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 부근의 에지 면(37)의 일부가 캐비티(64) 내에서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땜납 접속 등에 의해 어셈블리(10)의 외부로부터 와이어 본드(32)에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속은 와이어 본드의 단부(36) 부근의 에지 면(37)의 피복되지 않은 부분과 단부 면(38) 모두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접속을 도 8b에 나타내며, 땜납 덩어리(52)를 사용하여 제2 기판(94)에 견고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일례로, 캐비티(64)는 표면(44) 아래의 깊이를 대략 10㎛ 내지 50㎛ 사이로 할 수 있으며, 폭을 대략 100㎛부터 300㎛ 사이로 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의 구조체와 유사한 구조체를 갖는 캐비티를 나타내지만, 도 8b의 캐비티는 테이퍼링된(tapered) 측벽(6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8은 기판(98)의 표면에 노출된 콘택 패드(96)에서 땜납 덩어리(52)에 의해 와이어 본드(32)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2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94)를 나타낸다. 8A-8E illustrate various configurations that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similar to FIGS. 1-7, with or near the structure of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8A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cavity 64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In this configuration,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protrudes over the minor surface 43 of the encapsulation layer in the cavity 64. In the example shown, the end face 38 is located below the major surface 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and the cavity 64 has the end face 38 at the surface 44. By exposing, the electronic structur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nd face. Embodiments in which the end face 38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44 or spaced to the top of the surface 44 are also possible. In addition, in the cavity 64, a portion of the edge face 37 near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may not be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in the cavity 64. This configuration enables connection to the wire bond 32 from the outside of the assembly 10 by solder connection or the like, which connection is an uncoated portion of the edge face 37 near the end 36 of the wire bond. And by end face 38 both. Such a connection is shown in FIG. 8B, and the solid connection to the second substrate 94 is possible using the solder lump 52. In one example, the cavity 64 may have a depth below the surface 44 of between about 10 μm and 50 μm and a width of between about 100 μm and 300 μm. FIG. 8B shows a cavity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8A, but the cavity of FIG. 8B includes a tapered sidewall 65. FIG. 8 also shows a second microelectronic assembly 94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wire bond 32 by the solder mass 52 in the contact pad 96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98.

캐비티(64)는 원하는 영역에서 캡슐화 층(42)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의 형성은, 공지된 프로세스, 예를 들어 레이저 에칭, 습식 에칭(wet etching), 래핑(lapping) 등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캡슐화 층(42)이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으로 형성된 실시예에서, 캐비티(64)는 몰드 내에 대응하는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대해서는,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0/023212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에 의해 포함한다. 도 8b에 나타낸 캐비티(64)의 테이퍼링 형상은 캐비티를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특정의 에칭 공정의 결과로서 될 수 있다. Cavity 64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encapsulation layer 42 in a desired region. The formation of such cavities can be done by known processes such as laser etching, wet etching, lapping, and the like. Alternatively, in embodiments in which the encapsulation layer 42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he cavity 64 can be formed by including corresponding elements in the mold. Such a process is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232129, which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herein. The tapered shape of the cavity 64 shown in FIG. 8B can be the result of the particular etching process used when forming the cavity.

도 8c 및 도 8e는 와이어 본드(32) 상의 단부 부분(70)이 실질적으로 곡선형으로 된 단부 구조를 나타낸다. 곡선형의 단부 부분(70)은 와이어 본드(32)의 베이스(34)와 단부(36) 사이의 부분의 단면보다 폭이 넓은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곡선형 단부 부분(70)은 에지 면(71)을 포함하는데, 이 에지 면(71)은 에지 면(37)과 에지 면(71) 사이의 전이 부분(transition)에서 와이어 본드(32)의 에지 면(3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곡선형의 에지 부분(70)을 포함함으로써, 고정 요소(anchoring feature)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 본드(32)를 캡슐화 층(42)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에지 면(71)의 방향에서의 변화에 의해 3개의 측면 상의 단부 부분(70)을 둘러싸기 위한 위치에 캡슐화 층(42)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와이어 본드(32)가 기판(12)상의 전도성 요소(28)로부터 분리되어 전기적 접속이 불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추가로, 곡선형의 단부 부분(70)은 표면(44) 내에서 전자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표면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의 단부 부분(70)은 표면(44)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단부 부분(70)은 표면(4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는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연마 또는 평탄화될 수 있으며, 와이어 본드(32)의 단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8C and 8E show the end structure in which the end portion 70 on the wire bond 32 is substantially curved. The curved end portion 70 is configured to have a cross section that is wid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portion between the base 34 and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The curved end portion 70 also includes an edge face 71, which is a wire bond 32 at the transition between the edge face 37 and the edge face 71. Extend outward from the edge face 37 of the. By including the curved edge portion 70, the wire bond 32 can be secured within the encapsulation layer 42 by providing an anchoring feature. In this case, the encapsulation layer 42 can be provided in a position to surround the end portion 70 on the three sides by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edge face 71. This may help to prevent the wire bond 3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element 28 on the substrate 12 and thus resulting in poor electrical connection. In addition, the curved end portion 70 can increase the surface area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in which electronic connection can be made within the surface 44. As shown in FIG. 8E, the curved end portion 70 may extend to the top of the surface 44.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C, the curved end portion 70 may be polished or planarized to provide a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surface 44, rather than a cross section of the wire bond 32. It can have a large area.

곡선형의 단부 부분(70)은 와이어 본드(32)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의 끝 부분에 불꽃이나 스파크의 형태로 국부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공지의 와이어 본딩 머신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 공정은 와이어를 절단한 직후에 수행해도 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열은 와이어 본드의 끝 부분을 녹인다. 이러한 액체 금속의 국부화된 부분은 표면 장력에 의해 곡선으로 만들어지며, 금속이 냉각되면 그 형상이 유지된다. The curved end portion 70 may be formed by locally applying heat in the form of sparks or sparks to the end of the wire used to make the wire bond 32. A known wire bonding machine can be modified to carry out this process, which may be carried out immediately after cutting the wire. In this process, heat melts the ends of the wire bonds. The localized portions of these liquid metals are curved by surface tension and retain their shape as the metal cools.

도 8d는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가 캡슐화 층(42)의 주 표면(44)의 상부로 이격된 표면(38)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에지 면(37) 중에서 표면(44) 상의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부분을 따라 위크처리(wick)하는 땜납 덩어리(68)에 의해 더 견고한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캐비티(64)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단부 면(38)은 표면(42)의 상방으로 대략 10㎛ 내지 50㎛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추가로, 도 8d의 실시예와, 에지 면(37)의 일부가 캡슐화 층(42)의 표면의 상부에서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는 보호층(protective layer)을 상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금, 산화물 코팅, 또는 OSP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여, 산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FIG. 8D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in which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includes a surface 38 spaced above the major surface 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This configuration provides a tighter connection, in particular by the solder mass 68 wicking along the portion of the edge face 37 which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on the surface 44. It may have similar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64). In one embodiment, the end face 38 may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between approximately 10 μm and 50 μm above the surface 42.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8D and in other embodiments where a portion of the edge face 37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on top of the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the end is protected. layer) may be included thereon. Such layers can include an oxide protective layer, including layers of gold, oxide coatings, or OSPs.

도 9는 와이어 본드(32)의 단부 면(38)상에 스터드 범프(stud bump)(72)가 형성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스터드 범프(72)는 다른 변형된 와이어 본드를 단부 면(44)의 상단에 제공하고 표면(44)의 일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연장함으로써,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제조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변형된 와이어 본드는, 와이어를 인출해내지 않아도, 베이스 부근에서 절단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잘라낸다. 소정의 금속을 함유하는 스터드 범프(72)는, UBM과 같은 접착층(bonding layer)을 먼저 제공하지 않아도, 단부 면(38)에 직접 제공할 수 있어서, 땜납에 의해 직접 침윤(wettable)되지 않는, 본드 패드에의 전도성 상호접속을 형성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것은 와이어 본드(32)를 비칩윤성 금속(non-wettable metal)으로 형성한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리, 니켈, 은, 백금, 및 금 중의 하나 이상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터드 범프는 이러한 방식으로 도포해도 된다. 도 9는 추가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에 전자적 또는 기계적 접속을 위한 스터드 범프(72) 상부에 땜납 덩어리(68)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9 shows an embodiment of a microelectronic assembly 10 in which a stud bump 72 is formed on an end face 38 of a wire bond 32. The stud bumps 72 may be formed after fabricating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by providing another modified wire bond to the top of the end face 44 and selectively extending along a portion of the surface 44. The deformed wire bond is cut near the base or otherwise cut out without drawing the wire. The stud bump 72 containing the desired metal can be provided directly to the end face 38 without first providing a bonding layer such as UBM, so that it is not directly wetted by solder. A method of forming a conductive interconnect to a bond pad is provided. This may be useful when the wire bond 32 is formed of a non-wettable metal. Generally, stud bumps which basically comprise one or more of copper, nickel, silver, platinum, and gold may be applied in this manner. 9 shows the formation of a solder mass 68 on top of stud bumps 72 for electronic or mechanical connection to additional microelectronic assemblies.

도 10a-10d는 구부러진(bent) 또는 곡선(curved) 형상을 포함하는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는, 단부의 일부분(74)이 캡슐화 층(42)의 표면(4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있으며, 에지 면(76)의 적어도 일부분은, 예를 들어 주 표면(44)에 의해 덮여 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에지 면(76)의 상기 부분은 표면(44)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거나, 표면(4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도록 연마 또는 평탄화될 수 있다. 도 10a의 실시예는 단부(36) 중의 표면(44)과 평행하며 표면(44)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단부 면(38)에서 종단하는 부분(74)에서 와이어 본드(32)가 급격하게 구부러진 구성을 포함한다.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낸 것보다, 단부(36) 중의 표면(44)에 평행한 부분(74) 부근에서 더 완만한 곡선부를 갖는 단부(36)를 나타낸다. 도 3,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구성에 따른 와이어 본드의 부분이 표면(44)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부분을 구비하며, 에지 면 중에서 표면(44) 내의 위치에서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부분을 구비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여러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낸 실시예는 와이어 본드의 단부 상에 후크 형상의 부분(hooked portion)(75)을 포함하며, 단부 면(38)은 캡슐화 층(42) 내에서 표면(44)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단부(36)가 캡슐화 층(42) 내에서 제자리를 덜 벗어나도록 하는 견고한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c와 도 10d는 도 10a와 도 10b에 나타낸 것과 각각 유사하지만, 캡슐화 층(42)에 형성된 캐비티(64)에 의해 표면(44)에 따른 위치에서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구조체를 나타낸다. 이들 캐비티는 도 8a와 도 8b와 관련해서 설명한 것과 구조적으로 유사하게 할 수 있다. 표면(44)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74)을 갖는 단부(36)를 포함함으로써, 길게 연장되고 피복되지 않은 에지 면(75)에 의해, 표면과의 접속을 위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분(74)의 길이는 와이어 본드(3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의 단면의 폭보다 더 크게 해도 된다. 10A-10D illustrate a configuration for an end 36 of wire bond 32 that includes a bent or curved shape. In each embodiment,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is bent such that a portion 74 of the end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and the edge face 76. At least a portion of the is not, for example, covered by the major surface 44. The portion of the edge face 76 may extend upwards on the outside of the surface 44 or may be polished or planarized to extend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surface 44. The embodiment of FIG. 10A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re bond 32 is sharply bent at a portion 74 that is parallel to the surface 44 of the end 36 and terminates at an end face 38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surface 44. It includes. FIG. 10B shows the end 36 having a gentler curve near the portion 74 parallel to the surface 44 of the end 36 than shown in FIG. 10A. A portion of the wire bo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4 or 5 has a por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44 and is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at a position in the surface 44 among the edge faces. Many other configurations are possible, including configurations that include ends having non-part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B also includes a hooked portion 75 on the end of the wire bond, with the end face 38 positioned below the surface 44 in the encapsulation layer 42. Done. This can provide a rigid structure that allows the end 36 to be less in place within the encapsulation layer 42. 10C and 10D are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S. 10A and 10B, respectively, but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at a position along the surface 44 by a cavity 64 formed in the encapsulation layer 42. Represents a structure. These cavities can be structurally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8A and 8B. By including an end 36 having a portion 74 extending parallel to the surface 44, by means of the elongated, uncoated edge face 75, the area for connection with the surface can be increased. . The length of this portion 74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used to form the wire bond 32.

도 11 내지 도 15는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제조하는 방법 중의 여러 단계에서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11은 마이크로전자 요소(22)가 기판(12)의 제1 면(14)상에 그리고 제1 영역(18) 내에서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단계에서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나타낸다. 마이크로전자 요소(22)는, 도 11에서, 땜납 덩어리(26)에 의해 플립 칩 구성으로 기판(12)상에 실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립 칩 구성 대신에,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페이스 업 본딩을 사용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낸 공정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전자 요소(22)와 기판(12)의 사이에 언더필 유전체 층(dielectric underfill layer)(66)을 제공해도 된다. 11-15 illustrate microelectronic assemblies at various stages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11 shows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in a step in which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is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on the first face 14 of the substrate 12 and in the first region 18. ').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is shown in FIG. 11 mounted on the substrate 12 in a flip chip configuration by the solder mass 26. Instead of such a flip chip configuration, a face up bonding as shown in Fig. 1 may b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ocess shown in FIG. 11, an underfill dielectric layer 66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and the substrate 12.

도 12는 기판(12)의 제1 면(14)상에 노출된 전도성 요소(28)의 패드(30) 상에 와이어 본드가 도포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 본드(32)는 그 와이어 세그먼트의 끝 부분을 가열하여 연화(soften)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끝 부분을 전도성 요소(28)에 대하여 가압해서 전도성 요소(28)에 증착 본드(deposition bond)를 형성하고, 베이스(34)를 형성한다. 이어서, 와이어를 전도성 요소(28)로부터 밖으로 인출해내고, 필요한 경우, 와이어 본드(32)의 단부 면(38)과 단부(36)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잘라내기 전에, 특정의 형상으로 조작한다. 이와 달리, 와이어 본드(32)를 웨지 본딩(wedge bonding)에 의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 와이어로 형성해도 된다. 웨지 본딩은 와이어 본드의 단부에 인접한 와이어 부분을 가열하고, 그 부분에 압력을 가하면서 전도성 요소(28)를 따라 드래그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7,391,12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을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 Figure 12 shows a microelectronic assembly 10 "with wire bonds applied to a pad 30 of conductive element 28 exposed on first side 14 of substrate 12. As previously described, Wire bond 32 may be provided by heating and softening the ends of the wire segments, which are pressed against the conductive elements 28 to deposit bonds to the conductive elements 28. And the base 34. The wire is then drawn out from the conductive element 28 and, if necessary, to form the end face 38 and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The wire bond 3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luminum wire by wedge bonding, before cutting or otherwise cutting it into a specific shape. Wire part adjacent to the end And dragging along the conductive element 28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at portion, which is disclosed in US Pat. No. 7,391,121,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Shall be.

도 13에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에는, 기판의 제1 면(14) 상에 도포하고, 제1 면의 상방으로 그리고 와이어 본드(32)의 에지 면(37)을 따라 연장시킨 캡슐화 층(42)이 추가되어 있다. 캡슐화 층(42)은 언더필 층(66)을 덮도록 되어 있다. 캡슐화 층(42)은 도 12에 도시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 상에 수지(resin)를 증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바람직한 형태의 캡슐화 층(42)에 캐비티를 갖는 적절한 구성의 몰드(mold) 내에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몰드 및 몰드를 가진 캡슐화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0/0232129호에 도시 및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에 의해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달리, 캡슐화 층(4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플라이언트 재료(compliant material)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 미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유전체 재료의 컴플라이언트 특성에 의해, 캡슐화 층(42)을 와이어 본드(32) 및 마이크로전자 요소(22) 상의 위치에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와이어 본드(32)는 컴플라이언트 재료 내부로 침투하여 컴플라이언트 재료 내에 홀(hole)을 각각 형성하는데, 이 홀을 따라 캡슐화 층(42)이 에지 면(37)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전자 요소(22)는 컴플라이언트 재료를 변형하여, 마이크로전자 요소가 컴플라이언트 재료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유전성의 컴플라이언트 재료를 압축해서 외측의 면(440)상에 단부 면(38)이 노출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달리, 캡슐화 층으로부터 잉여의 유전성의 컴플라이언트 재료를 제거하여 와이어 본드(32)의 단부 면(38)이 피복되어 있지 않은 표면(44)을 형성하거나, 표면(63) 내의 위치에서 단부 면(38)을 피복하지 않는 캐비티(64)를 형성해도 된다. In FIG. 13,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 ′ is encapsulated applied onto the first side 14 of the substrate and extending above the first side and along the edge face 37 of the wire bond 32. Added layer 42. Encapsulation layer 42 is adapted to cover underfill layer 66. Encapsulation layer 42 is resin on microelectronic assembly 10 'shown in FIG. This configuration can be formed by depositing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in a mold of a suitable configuration having a cavity in the encapsulation layer 42 of a preferred form that is capable of receiving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 A method for forming such a mold and an encapsulation layer with a mold is shown and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232129,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contrast, the cap The encapsulation layer 42 can be prefabricated to a desired shape, at least in part, by a compliant material, in this configuration, due to the compliant nature of the dielectric material, the encapsulation layer 42 can be wire-bonded 32. And to a position on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In this process, the wire bond 32 penetrates into the compliant material and forms holes in the compliant material, respectively, encapsulating along the hole. The layer 42 is in contact with the edge face 37. The microelectronic element 22 can also deform the compliant material so that the microelectronic element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compliant material. The compliant material may be compressed to expose the end face 38 on the outer face 440. Alternatively, excess dielectric compliant material may be removed from the encapsulation layer. It may be removed to form a surface 44 on which the end face 38 of the wire bond 32 is not covered, or a cavity 64 not covering the end face 38 at a position in the surface 63 may be formed. .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캡슐화 층은 처음에는 캡슐화 층의 표면(44)이 와이어 본드(32)의 단부 면(38)의 상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단부 면(38)을 노출시키기 위해, 캡슐화 층(42) 중에서 단부 면(38)의 상부에 있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면(3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새로운 표면(44')이 노출된다. 이와 달리,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캐비티(64)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서는 단부 면(38)이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예로서, 캡슐화 층(42)은, 표면(44)을 미리 단부 면(3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하거나, 표면(44)이, 도 8d에 나타낸 것처럼, 단부 면(38)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캡슐화 층의 일부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면, 연마, 건식 에칭(dry etching), 레이저 에칭, 습식 에칭, 래핑 등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의 일부를 제거해야 한다면, 표면(4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단부 면(38)을 달성하는 공정과 동시에 행해도 되고, 이에 추가로 행해도 된다. 필요하다면, 이러한 공정 이후에 캐비티(64)를 형성해도 되고, 또는 도 10에 나타낸 스터드 범프를 도포해도 된다. 이후, 이상의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를 PCB에 부착하거나, 다른 어셈블리,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적층형 패키지 내에 포함시켜도 된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the encapsulation layer is initially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end face 38 of the wire bond 32. By exp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nd face 38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to expose the end face 38, a new on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end face 38, as shown in FIG. 14. Surface 44 'is expose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form a cavity 64 as shown in FIGS. 8A and 8B, in which the end face 38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As another example, encapsulation layer 42 may have surface 44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end face 38, or surface 44 may be below end face 38, as shown in FIG. 8D. It can be formed to be located. If a portion of the encapsulation layer needs to be removed, it can be removed by polishing, dry etching, laser etching, wet etching, lapping, or the like. If a portion of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is to be removed, it may be done simultaneously with the step of achieving a substantially flat end face 38 of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surface 44, and in addition thereto. You may also If necessary, the cavity 64 may be formed after this step, or the stud bumps shown in FIG. 10 may be applied. Thereafter,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produced by the above process may be attached to the PCB or may be included in another assembly, for example, in a stacked package as shown in FIG.

도 15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본드(32)를 처음에, 와이어 루프(wire loop)(86)의 부분(32')으로서 쌍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루프(86)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 본드의 형태로 되어 있다. 와이어 세그먼트를 상방으로 인출한 다음, 기판(12)의 제1 면(14)의 방향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구부려서, 이웃하는 전도성 요소(28)의 상부를 실질적으로 덮는 위치까지 끌어당긴다. 이어서, 와이어를 이웃하는 전도성 요소(28) 부근의 위치까지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끌어당긴 다음, 절단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잘라낸다. 이어서, 와이어를 가열하고, 증착 본딩 등에 의해 이웃한 전도성 요소(28)에 접속해서, 와이어 루프(86)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 와이어 루프(86)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캡슐화 층(42)을 형성한다. 이어서, 연마 또는 에칭 등에 의해 캡슐화 층(42)의 일부를 제거하고, 와이어 루프를 절단하여 2개의 부분(32')이 되도록 해서 캡슐화 층(42)상에 형성되는 표면(44)에 따른 위치에서 캡슐화 층(42)에 의해 피복되지 않은 단부 면(38)을 가진 와이어 본드(32)를 형성하도록 와이어 루프(86)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에 대하여 후속하는 마감(finishing)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15, the wire bonds 32 are initially formed in pairs as part 32 ′ of the wire loop 8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 loop 86 is in the form of a wire bond as described above. The wire segment is pulled upwards and then bent in a direction having one or more component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ace 14 of the substrate 12 to pull it to a position that substantially covers the top of the neighboring conductive element 28. The wire is then pulled substantially downward to a location near the neighboring conductive element 28 and then cut or otherwise cut. The wire is then heated and connected to adjacent conductive elements 28 by vapor deposition or the like to form a wire loop 86. Next, the encapsulation layer 42 is formed to substantially cover the wire loop 86. Subsequently, a portion of the encapsulation layer 42 is removed by polishing or etching, and the wire loop is cut into two portions 32 ′ at a position along the surface 44 form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42. A portion of the wire loop 86 is removed to form a wire bond 32 having an end face 38 that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42. Subsequently, a subsequent fini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as described above.

도 16a-16c는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를 둘러싸는, 상기 설명한 캐비티(64)를 제조하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공정을 나타낸다. 도 16a는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해서 설명한 일반적인 유형의 와이어 본드(32)를 나타낸다. 와이어 본드(32)는 단부(36)에 희생 재료 덩어리(78)가 도포되어 있다. 희생 재료 덩어리(78)는 실질적으로 구형(spherical)으로 해도 되는데, 이러한 형상은 이 희생 재료 덩어리를 형성하는 중에 희생 재료의 표면 장력에 의해 생길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희생 재료 덩어리(78)는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를 땜납 페이스트(solder paste)에 담가서 단부를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단부를 담그기 전에 땜납 페이스트의 점도(viscosity)를 조절하여, 위크처리할 땜납 덩어리의 양과 단부(36)에 부착되도록 하는 표면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하면, 단부(36)에 도포되는 희생 재료 덩어리(7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희생 재료 덩어리(78)는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 상에 가용성 재료를 증착(deposit)하여 형성해도 된다. 다른 희생 재료 덩어리(78)의 예로서, 각각의 땜납 볼이나 그외 다른 재료 덩어리를 사용해도 되고, 구리 또는 금 플래싱(flashing)과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해서 다른 수단에 의해 형성해도 되며, 나중에는 제거해도 된다. 16A-16C show a process in another embodiment of manufacturing the cavity 64 described above that surrounds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16A shows a general type of wire bond 32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S. 1-6. The wire bond 32 is coated with a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at the end 36.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may be substantially spherical, which may be caus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during format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and may b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may make it.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can be formed by dipping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in solder paste to coat the end. Prior to dipping the ends, the viscosity of the solder paste can be adjusted to control the amount of solder mass to be wicked and the surface tension to adhere to the ends 36. Thus, accordingly, the size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applied to the end portion 36 can be adjusted.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soluble material on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As examples of other sacrificial material masses 78, individual solder balls or other mass masses may be used, or may be formed by other means using other materials such as copper or gold flashing, later removed. You may also

도 16b에서, 유전체 층(42)은 와이어 본드(32)의 에지 면(37)을 따라 상방으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에 추가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유전체 층은 희생 재료 덩어리(78)의 표면 일부를 따라 연장하며, 이에 의해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어서, 희생 재료 덩어리(78)를 제거하는데, 예를 들어 용제로 세척 또는 세정하거나, 용융하거나, 화학적으로 에칭하거나, 또는 그외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희생 재료 덩어리를 제거하기 전에, 유전체 층(42)에 실질적으로 희생 재료 덩어리(78)의 음각의 형상으로 캐비티(68)를 남기고, 와이어 본드(32)의 단부(36)의 부근에서 에지 면(37)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In FIG. 16B, the dielectric layer 42 is shown added to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upwards along the edge face 37 of the wire bond 32. This dielectric layer extends along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there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is then removed, for example, by washing or cleaning with a solvent, melting, chemically etching, or using other techniques. Prior to removing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the cavity 68 is left in the dielectric layer 42 substantially in the shape of the intaglio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and the edge face (in the vicinity of the end 36 of the wire bond 32) is removed. Part of 37).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희생 재료 덩어리(78)를 와이어 본드(32)의 에지 면(37)을 따라 연장시킴으로써, 와이어 본드(32)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코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17a에 나타낸다. 이러한 코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10) 상에 형성한 후에, 와이어 본드(32)의 상부에 도포하거나, 와이어 본드(32)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와이어에 도포해도 된다. 이것은 필수적으로, 코팅된 와이어 또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예를 들어 구리로 된 내부 코어와 땜납 코팅을 포함하는 와이어가 될 것이다. 도 17b는 유전체 층(42)이 희생 재료 덩어리(78)의 에지 면(37)을 따라 연장되도록, 유전체 층(42)을 와이어 본드(32)와 희생 재료 덩어리(78) 상에 도포함으로써, 유전체 층(42)이 실질적으로 와이어 본드의 긴 쪽을 따라 와이어 본드로부터 이격된 것을 나타낸다. As an alternative to this, substantially all of the wire bond 32 can be coated by extending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along the edge face 37 of the wire bond 32. This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17A. Such a coating may be applied to the top of the wire bond 32 after being formed on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10, as described above, or to the wire used to manufacture the wire bond 32. This will essentially be a coated wire or a two part wire, for example a wire comprising an inner core of copper and a solder coating. FIG. 17B shows that the dielectric layer 42 is applied over the wire bond 32 and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so that the dielectric layer 42 extends along the edge face 37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Layer 42 is substantially spaced from the wire bond along the long side of the wire bond.

도 17c는 희생 재료 덩어리(78)의 일부를 제거해서 단부(36) 주위에 캐비티(64)를 형성하고 단부 면(37)의 일부를 노출시킨 구조체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희생 재료 덩어리(78)의 대부분 또는 적어도 일부분을, 유전체 층(42)과 와이어 본드(32) 사이의 위치에 남겨도 된다. 도 17c는 다른 마이크로전자 구조체(10A)의 콘택 패드(40A)에 와이어 본드(32)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땜납 덩어리(52)를 나타내고 있다. FIG. 17C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has been removed to form a cavity 64 around the end 36 and exposed a portion of the end face 37. In this embodiment, most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sacrificial material mass 78 may be left at a location between the dielectric layer 42 and the wire bond 32. FIG. 17C shows a solder mass 52 that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s wire bonds 32 to contact pads 40A of another microelectronic structure 10A.

도 20 및 도 21은 와이어 본드(532)가 리드 프레임(lead-frame) 구조체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51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리드 프레임 구조체의 예는, 미국특허 제7,176,506호 및 제6,765,287호에 도시 및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리드 프레임은 구리 등의 전도성의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 구조체이며, 이 전도성의 금속 시트는 다수의 리드(lead)와 추가로 패들(paddle)을 포함하는 세그먼트(segment)와 프레임(frame)으로 패턴화된다. 프레임은 리드와 패들을,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중에,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일실시예에서, 다이(die) 또는 칩 등의 마이크로전자 요소는 패들에 페이스 업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고, 와이어 본드를 사용해서 리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마이크로전자 요소를, 마이크로전자 요소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는 리드 상에 직접 실장해도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전자 요소 상의 콘택을 땜납 볼 등에 의해 각각의 리드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이어서, 리드를, 마이크로전자 요소와 전자 신호 전위를 주고 받기 위한 다양한 다른 전도성 구조체에의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조체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를 완성하게 되면,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는 상부에 캡슐화 층을 형성해도 되며, 프레임의 임시적 요소를 리드 프레임의 리드 및 패들로부터 제거해서 개별의 리드를 형성해도 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리드(513)와 패들(515)은 기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전도성 요소(528)를 포함하는 기판(512)을 형성하는 구조체의 개별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들(515)은 기판(512)의 제1 영역(518) 내에 있는 것으로 해도 되고, 리드(513)는 제2 영역(520) 내에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21의 측면도에 나타낸 와이어 본드(524)는 패들(515) 상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전자 요소(22)를 리드(515)의 전도성 요소(528)에 연결한다. 와이어 본드(532)는 베이스(534)에서 리드(515) 상의 추가의 전도성 요소(528)에 접합해도 된다. 캡슐화 층(542)은 와이어 본드(532)의 단부(538)를 표면(544) 내의 위치에서 피복되지 않은 상태로 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510) 상에 형성한다. 와이어 본드(5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구조체에 대응하는 구조체에서, 캡슐화 층(542)에 의해 피복되지 않는 추가의 부분 또는 대체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20 and 21 show an embodiment of a microelectronic assembly 510 in which wire bonds 532 are formed on a lead-frame structure. Examples of lead frame structures are shown and disclosed in US Pat. Nos. 7,176,506 and 6,765,287,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general, a lead frame is a structure made of a conductive metal sheet such as copper, and the conductive metal sheet is divided into segments and fr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leads and additional paddles. Patterned. The frame is used to secure the leads and paddles during fabrication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In one embodiment, a microelectronic element, such as a die or chip, may be face-up bonded to the paddl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s using wire bonds. As an alternative, the microelectronic element may be mounted directly on a lead which can extend below the microelectronic element. In such embodiments, the contacts on the microelectronic element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leads by solder balls or the like. The leads may then be used to form electrical connections to various other conductive structures for exchanging electronic signal potentials with the microelectronic elements. Upon completion of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of such a structure,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may form an encapsulation layer on top, or the temporary elements of the frame may be removed from the leads and paddles of the lead frame to form individual leads. To illustrate this, each lead 513 and paddle 515 can be a separate component of a structure forming a substrate 512 that includes a conductive element 528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In this embodiment, the paddle 515 may be in the first region 518 of the substrate 512, and the lead 513 may be in the second region 520. Wire bond 524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21 connects microelectronic element 22 located on paddle 515 to conductive element 528 of lead 515. Wire bond 532 may bond to additional conductive element 528 on lead 515 at base 534. Encapsulation layer 542 forms on microelectronic assembly 510 leaving end 538 of wire bond 532 uncovered at a location in surface 544. Wire bond 532 may include additional or replaceable portions that are not covered by encapsulation layer 542 in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 내지 도 26은 폐루프 와이어 본드(closed-loop wire bond)(832)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8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 본드(832)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전도성 요소(828a, 828b)에 접합될 수 있는 2개의 베이스(834a, 834b)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베이스(834a, 834b)가 모두,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의 전도성 요소(828)에 접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와이어 본드(832)는 2개의 베이스(834a, 834b) 사이에서 연장하는 에지 면(837)을 루프 형태로 형성하고, 이에 의해 에지 면(837)은 베이스로부터, 기판(812) 상의 캡슐화 층(842)의 표면(844)에 있는 정점(apex)(839)까지 각각의 부분(837a, 837b)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캡슐화 층(842)은 에지 면 부분(837a, 837b)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어, 각각의 에지 면 부분을 서로 그리고 패키지(810) 내의 다른 와이어 본드(832)로부터 분리시킨다. 정점(839)에서, 에지 면(837)의 적어도 일부는 캡슐화 층(842)에 의해 피복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 본드(832)는 다른 마이크로전자 부품이나,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 등의 별개의 요소 등이 될 수 있는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상호접속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본드(832)는 정점(839)이 전도성 요소(828)로부터 기판(812)의 표면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정점(839)은 마이크로전자 요소(820)의 주 표면 위에 위치하거나, 마이크로전자 요소(820)가 정렬된 기판(812)의 제1 영역 위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와이어 본드(832)에 대한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점(839)이,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정점(839)은 도 8a에 나타낸 것처럼, 홀 내에 피복되어 있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점(839)을 길게 연장된 형태로 해도 되고, 도 10a-10d의 에지 면에 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844) 상에서 그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부분이 피복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정점(839)을 둘러싸는 피복되지 않은 에지 면(837)의 형태로 된 접속 요소가 2개의 베이스(834a, 834b) 사이로 연장하는 와이어 본드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접속 요소를 표면(844)에 의해 규정되는 방향으로 더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24-26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microelectronic package 810 having a closed-loop wire bond 832. The wire bond 832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wo bases 834a and 834b that can be joined to neighboring conductive elements 828a and 828b, as shown in FIG. 24. Alternatively, a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which the bases 834a and 834b are all joined to a common conductive element 828, as shown in FIGS. 25 and 26. In this embodiment, wire bond 832 forms an edge face 837 in a loop form extending between two bases 834a and 834b, whereby edge face 837 extends from the base, substrate 812. It extends upwards at each portion 837a, 837b to an apex 839 at the surface 844 of the encapsulation layer 842. Encapsulation layer 842 extends along at least a portion of edge face portions 837a and 837b to separate each edge face portion from each other and from other wire bonds 832 in package 810. At apex 839, at least a portion of edge face 837 is covered by encapsulation layer 842, whereby wire bond 832 may be another microelectronic component, a separate element such as a capacitor or an inductor, or the like. It can be used for electrical interconnection with other parts that may be present. As shown in FIGS. 24-26, wire bond 832 is formed such that vertex 839 is displaced from conductive element 828 in at least one lateral direction across surface of substrate 812. In one example, vertex 839 may be positioned over a major surface of microelectronic element 820 or may be positioned over first region of substrate 812 in which microelectronic element 820 is aligned. Other configurations for wire bond 832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structure where the vertex 839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bitrary position of the end surface of a wire bond is possible, as demonstrated in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the vertex 839 may not be coat | covered in a hole as shown in FIG. 8A. Further, the vertex 839 may be elongated, or as shown with respect to the edge face of FIGS. 10A-10D, a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ength on the surface 844 may not be covered. The connecting element is supported by the surface 844 by allowing the connecting element in the form of an uncoated edge face 837 surrounding the vertex 839 to be supported by a wire bond extending between two bases 834a and 834b. It is possible to place more precisely in the defined direction.

도 27 및 도 28은 도 24 내지 도 26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와이어 본드(834) 대신에 본드 리본(bond ribbon)(934)을 사용한 예를 나타낸다. 본드 리본은 와이어 본드를 형성하는 앞서 설명한 임의의 재료로 된 전도성 재료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본드 리본 구조체는 와이어 본드와 달리 두께보다 폭을 더 넓게 해서,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해도 된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드 리본(934)은 전도성 요소(928)에 접착되어 이 전도성 요소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제1 베이스(934a)를 각각 포함한다. 본드 리본(932)의 제2 베이스(934b)는 제1 베이스(934a)의 일부에 접합될 수 있다. 에지 면(937)은 2개의 해당하는 부분(937a, 937b)에서 베이스(934a, 934b) 사이로 정점(939)까지 연장되어 있다. 에지 면 중에서 정점(939)의 영역에 있는 부분은 주 표면(944)의 일부를 따라 캡슐화 층(942)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와이어 본드와 관련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가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27 and 28 show an example of using a bond ribbon 934 instead of the wire bond 834 as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4 to 26. The bond ribbon can be a substantially flat portion of the conductive material of any of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forming the wire bond. Unlike the wire bond, the bond ribbon structure may be wider than the thickness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circular. As shown in FIG. 27, the bond ribbon 934 each includes a first base 934a that is attached to and extends alo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element 928. The second base 934b of the bond ribbon 932 may be bonded to a portion of the first base 934a. The edge face 937 extends from the two corresponding portions 937a and 937b to the vertex 939 between the bases 934a and 934b. The portion of the edge face in the region of vertex 939 is covered by encapsulation layer 942 along a portion of major surface 944.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wire bonds used in other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further variations are possible.

상기 설명한 구조체는 다양한 전자 시스템의 구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711)은, 다른 전자 부품(713, 715)과 함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710)를 포함한다. 도시한 예에서, 부품(713)은 반도체 칩이며, 부품(71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지만, 임의의 다른 부품을 사용해도 된다. 물론, 도 23에는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2개의 부품만을 도시했지만, 본 시스템은 임의의 개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710)는, 예를 들어 도 1과 관련해서 설명한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 또는 도 6과 관련해서 설명한 다수의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체가 될 수 있다.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710)는 도 2 내지 도 22에서 설명한 실시예 중의 임의의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다수의 변형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체를 임의의 개수만큼 사용할 수 있다. The structure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various electronic systems. For example, system 7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icroelectronic assembly 710 as described above, along with other electronic components 713 and 715. In the example shown, component 713 is a semiconductor chip and component 715 is a display screen, although any other component may be used. Of course, although only two parts are shown in FIG. 23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present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y number of parts.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710 described above may be, for example, a microelectronic assemb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r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electronic assembli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710 may further include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2 through 22. As another variant, many variations can be provided, and any number of such structures can be used.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710)와 부품(713, 715)은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통의 하우징(719) 내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소망하는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한 시스템은 유연성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의 회로판(717)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회로판은 부품들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도체(721)를 포함하며, 도 22에는 그 중 하나만을 도시하고 있다.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710 and the components 713 and 715 are installed in a common housing 719 schematically shown by a dotted line,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a desired circuit as necessary. The illustrated system includes a circuit board 717, such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ors 721 that connect the components together, and only one of them is shown in FIG.

하우징(719)은 셀폰(celluar telephone) 또는 휴대정보단말기(PDA)에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의 하우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스크린(715)은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마이크로전자 어셈블리(710)는 이미징 칩과 같은 감광성(light-sensitive) 요소를 포함하며, 광을 구조체로 향하게 하기 위한 렌즈(723) 등의 다른 광학 소자를 설치해도 된다. 도 23에 간단히 나타낸 시스템은 일례에 불과하며, 데스크톱 컴퓨터, 라우터 등과 같은 고정형 구조체로서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시스템도 앞서 설명한 구조체를 사용해서 만들 수 있다. The housing 719 is shown to be a portable housing that can be used in a cell telephone or PDA, with the screen 715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The microelectronic assembly 710 includes light-sensitive elements, such as imaging chips, and may be provided with other optical elements, such as a lens 723, for directing light to the structure. The system shown briefly in FIG. 23 is merely an example, and a system generally considered as a fixed structur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router, or the like can also be made us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와 응용을 예시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embodiments merely illustrate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by the claims.

Claims (1)

마이크로전자 패키지(microelectronic package)에 있어서,
제1 영역, 제2 영역,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면을 갖는 기판(substrate);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면의 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microelectronic element);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기판의 제1 면 및 제2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에 노출된 전기 전도성 요소로서, 상기 전도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전자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도성 요소는 미리 정해진 제1 구성의 제1 어레이로 배치되어 있는, 전도성 요소;
상기 전도성 요소의 각각에 접합된 베이스(base),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단부 면(end surface)을 갖는 와이어 본드(wire bond)로서, 상기 와이어 본드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에지 면(edge surface)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본드 중의 제1 와이어 본드는 제1 신호 전위(signal electric potential)를 전달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어 본드 중의 제2 와이어 본드는 상기 제1 신호 전위와는 상이한 제2 신호 전위를 전달하는, 와이어 본드;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유전성의 캡슐화 층(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으로서, 상기 캡슐화 층은 상기 와이어 본드가 서로 분리되도록 상기 와이어 본드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으며, 상기 캡슐화 층은 상기 기판의 적어도 제2 영역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캡슐화 층은 상기 기판의 제1 면과 평행한 주 표면(major surface)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을 포함하는, 캡슐화 층
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unencapsulated portions)은, 상기 와이어 본드의 단부 면 중에서 적어도 상기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주 표면에서 상기 캡슐화 층에 의해 덮여있지 않고,
상기 와이어 본드의 캡슐화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1 구성과 상이한 미리 정해진 제2 구성의 제2 어레이로 배치되어 있는,
마이크로전자 패키지.
In a microelectronic package,
A substrate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One or more microelectronic elements positioned above the first face within the first region;
An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expos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bstrate in the second reg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elemen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microelectronic element, the conductive element Is a conductive element disposed in a first array of a first predetermined configuration;
A wire bond having a base bonded to each of the conductive elements, and an end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and the base, the wire bond being between the base and the end face. An elongated edge surface is formed, respectively, wherein a first wire bond in the wire bond delivers a first signal electric potential, while at the same time a second wire bond in the wire bond is applied to the first wire bond. A wire bond, transferring a second signal potential different from the signal potential; And
A dielectric encapsulation layer exten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ces, the encapsulation laye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wire bonds so that the wire bo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ncapsulation A layer located over at least a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the encapsulation layer comprising one or more surfaces forming a major surface parallel to the first face of the substrate
/ RTI >
The unencapsulated portions of the wire bond consist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face of the wire bond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is not covered by the encapsulation layer at the major surface,
The unencapsulated portion of the wire bond is arranged in a second array of a second predetermined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configuration,
Microelectronic package.
KR1020110125800A 2011-11-29 2011-11-29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KR1019211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00A KR101921156B1 (en) 2011-11-29 2011-11-29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00A KR101921156B1 (en) 2011-11-29 2011-11-29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843A Division KR101128063B1 (en) 2011-05-03 2011-05-03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148A true KR20120125148A (en) 2012-11-14
KR101921156B1 KR101921156B1 (en) 2018-11-22

Family

ID=4751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800A KR101921156B1 (en) 2011-11-29 2011-11-29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1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866B2 (en) 2015-02-13 2020-06-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nterconnect structure for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interconnec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668A (en) * 2001-12-10 2003-07-11 Senmao Koochii Kofun Yugenkoshi Bonding wire for semiconductor pack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866B2 (en) 2015-02-13 2020-06-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nterconnect structure for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interconnect structure
US11094561B2 (en) 2015-02-13 2021-08-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US11139177B2 (en) 2015-02-13 2021-10-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156B1 (en)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4211B2 (en)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US9691679B2 (en) Method for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US9093435B2 (en)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US9349706B2 (en) Method for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KR101921156B1 (en)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US11830845B2 (en) Package-on-package assembly with wire bonds to encapsulation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