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136A -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 Google Patents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136A
KR20120124136A KR1020110041837A KR20110041837A KR20120124136A KR 20120124136 A KR20120124136 A KR 20120124136A KR 1020110041837 A KR1020110041837 A KR 1020110041837A KR 20110041837 A KR20110041837 A KR 20110041837A KR 20120124136 A KR20120124136 A KR 20120124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ressure
sound source
pressure level
sou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우
김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11004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4136A/en
Priority to PCT/KR2011/006436 priority patent/WO2012150745A1/en
Publication of KR2012012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1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7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volume or amplitu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is provided to reduce a size of a sound source under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CONSTITUTION: A sound pressure detection unit(151) detects a sound pressure level of an input sound source. In case the detected sound pressure level exceeds a 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a hearing protection determining unit(152) reduces a sound pressure level less than a predetermined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A sound source filter unit(153) reduces sound source size less than the 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hearing protection unit. [Reference numerals] (110) Sound source storage; (130)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40) Volume setting unit; (150) Signal processor; (151) Sound pressure detection unit; (152) Hearing protection determining unit; (153) Sound source filter unit; (154) Noise removing unit; (160) Controller; (170) Output unit

Description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Multimedia playback device with hearing protection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본 발명은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력 손상을 줄 정도의 강한 음압이 입력되는 경우 청력 손상을 주지 않는 음압으로 출력하는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that outputs sound pressure that does not cause hearing damage when a strong sound pressure that is sufficient to damage hearing is input. will be.

MP3 플레이어, 스마트 폰, 스마트 탭 등과 같은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 출력되는 음원을 입력받아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하여 사용자는 간편하게 음원을 청취할 수 있다.
Multimedia player for playing video or music such as MP3 player, smart phone, smart tab, etc. is recognized as a necessity of the modern man, the user can easily listen to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earphone or headphones by receiving the sound output to the multimedia player can do.

한편 사용자는 주변의 시끄러운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공급받은 음원을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하여 청취하는 경우, 주변 소음의 크기에 따라 볼륨을 높여서 듣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적으로 큰 음압 자체를 즐기는 것도 있으나 음원의 중간에 있는 작은 음압을 잘 듣기 위하여 볼륨을 높여서 음원을 청취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listens to a sound source supplied from a multimedia player through an earphone or a headphone in a noisy environment, the user tends to increase the volu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mbient noise. In addition, the user personally enjoys the large sound pressure itself, but listens to the sound source by increasing the volume to listen well to the small sound pressure in the middle of the sound source.

사용자가 볼륨을 높여서 음원을 청취하는 경우, 청력 손실에 이르는 음압이 고막에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서서히 청력에 이상이 생길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sound source by increasing the volume, since the sound pressure leading to hearing loss is transmitted to the eardrum, the user has a problem that the hearing gradually occurs without knowing himself.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력 손상을 줄 정도의 강한 음압이 입력되는 경우 청력 손상을 주지 않는 음압으로 출력하는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to output a sound pressure that does not cause hearing damage when a strong sound pressure that is enough to damage hearing is input. It is t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음원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입력받은 음원의 음압 레벨을 검출하는 음압 검출부, 상기 음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원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청력 손실 음압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음원의 크기를 상기 미리 설정된 청력 손실 음압 레벨 아래로 낮추도록 제어하는 청력 보호 판단부 및 상기 청력 보호 판단부의 제어에 따라 초과 음원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청력 손실 음압 레벨 아래로 낮추는 음원 필터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signal processing and outputting a sound source, the signal processing unit sound pressure level of the input sound source A sound press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hearing protec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ource detected by the sound pressure detection unit to exceed a pre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to lower the size of the sound source below the pre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And a sound source filter unit lowering the size of the excess sound source below a pre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under the control of the hearing protection determi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을 입력받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by perform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noise removing unit for removing nois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설정된 볼륨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볼륨값보다 낮은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음량을 출력하기 위하여 등음량 곡선에 따라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의 음원의 크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t volume value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in order to output the same volume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the sound source of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equal volume curve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increase the siz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신호처리부에 입력되는 음원의 음압이 청력 손실 음압 레벨보다 높은 경우, 청력 손실 음압 레벨을 초과하는 해당 음원의 크기를 청력 손실 음압 레벨 아래로 낮추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sound pressure of the sound source inpu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s higher than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by lowering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exceeding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below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and outputting There is an advantage to protect the user's hearing.

한편 청력 보호 기능을 헤드폰 또는 이어폰에서 구현함으로써 청력 보호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에 대하여 사용자는 간편하게 청력 손실 음압 내에서 음원을 청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implementing the hearing protection function in the headphone or earphone, the user can simply listen to the sound source within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audio playback device without the hearing protec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보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보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음량을 출력하기 위한 등음량 곡선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또는 이어폰에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 일 적용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of an equal loudness curve for outputting the same volume in all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pplication example having a signal processing unit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in a headphone or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illustrative, and merely illustrate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most useful.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Accordingly, various form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s well as not intended to provide a detailed structure beyond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1000)는 재생하려고 하는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 음원 저장부(110) 및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는 음원의 음압 레벨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청력 음압 레벨 아래로 해당 음원의 크기를 감소시켜 출력부(170)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10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을 입력받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ultimedia player 1000 detects a sound pressure level of a sound source storage unit 110 and a signal processor input to a sound source storage unit 110 that stores a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and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below a preset hearing sound pressure level. It includes a signal processor 150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output to the output unit 170. In addition, the multimedia play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0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by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음원 저장부(110)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1000)에서 재생하려고 하는 음원이 저장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저장매체일 수 있다.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a sound source to be played in the multimedia player 1000,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an SD or XD memory).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신호 처리부(150)는 디지털 신호 처리(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된 음원을 신호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음압 검출부(151), 청력 보호 판단부(152), 음원 필터부(153) 및 잡음 제거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150 performs a function of signal processing an input sound source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algorithm, and includes a sound pressure detector 151, a hearing protection determiner 152, and a sound source filter 153. And a noise canceller 154.

사용자가 작은 음을 듣기 위하여 볼륨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볼륨이 높게 설정한 경우, 높게 설정된 불륨에 따라 음원이 증폭되어 청력 손실 음압 레벨을 초과하는 음원이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소 볼륨으로 설정한 상태에서도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는 음원의 음압 레벨 자체가 높을 경우에도 청력 손실에 이르는 음압이 출력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ts the volume high by manipulating the volume setting unit 140 to listen to a small sound, the sound source is amplified according to the volume set high and a sound source exceeding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sets the minimum volume, the sound pressure leading to hearing loss may be output even when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ource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is high.

음압 검출부(151)는 음원 저장부에 있는 음원이 코덱에 의하여 디코딩되어 신호처리부에 입력되는 음원(오디오 신호)을 샘플링하여 음원의 음압 레벨을 정량적인 값으로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정량적인 값은 소정의 시간 구간 동안 누적된 에너지값일 수 있다. 또한 음압 검출부(151)는 신호처리부에 입력되는 음원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ound pressure detector 151 samples the sound source (audio signal)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by decoding the sound source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by the codec and detects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ource as a quantitative value. Here, the quantitative value may be an energy value accumulat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ddition, the sound pressure detector 151 detects a noise signal included in a sound source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청력 보호 판단부(152)는 상기 음압 검출부(151)로부터 검출된 음원의 음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청력 손실 음압 레벨을 비교하여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청력 손실 음압 레벨을 초과한 음원에 대하여 음원의 크기를 낮추는 제어명령을 음원 필터부(153)로 출력한다.
The hearing protection determiner 152 compares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ource detected by the sound pressure detector 151 with a pre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and determines whether the sound pressure level exceeds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Output a control command to lower the sound source filter unit 153.

잡음 제거부(154)는 음압 검출부(151)에서 검출된 잡음 신호를 원래 입력된 음원 신호에서 감산하는 어탭티브 필터링을 사용하여 음원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어탭티브 필터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The noise removing unit 154 removes the noise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by using adaptive filtering to subtract the noise signal detected by the sound pressure detector 151 from the originally input sound source signa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daptive filtering is omitted herein sinc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사용자가 볼륨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볼륨 설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볼륨값(청력 손실을 주지 않은 음압 레벨의 최대값)보다 낮게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원을 청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음량을 출력하기 위하여 등음량 곡선에 따라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의 음원의 크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sound source while the user sets the volume setting to be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maximum value of the sound pressure level without hearing loss) by operating the volume setting unit 140, the controller 160 In order to output the same volume in all frequency bands, a funct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size of sound sources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equal volume curv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0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보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주변의 시끄러운 환경 또는 작은 음을 청취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볼륨 설정부(140)를 동작시켜 볼륨을 높게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된 음원의 음압이 작은 경우(a.b)에는 설정된 볼륨에 따라 청력이 손상되는 음압 레벨보다 작게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러나 입력된 음원의 음압이 큰 경우(c), 설정된 볼륨에 따라 청력이 손상되는 음압 레벨보다 크게 증폭되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청력 손실의 위험이 있다(A). As shown in Figure 2a, the conventional multimedia playback device when the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ound source is low when the user operates the volume setting unit 140 to set the volume to listen to the noisy surroundings or small sound (ab ) Is amplified and output below the sound pressure level at which hearing is damaged according to the set volume. However, if the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ound source is large (c), the amplified sound output is greater than the sound pressure level of hearing damage depending on the set volume, the user is at risk of hearing loss (A).

이 경우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재생장치(1000)의 신호 처리부(150)는 입력된 음원의 음압이 큰 경우(c), 청력 손실 음압 레벨 아래로 상기 입력된 음원의 크기를 감쇠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 손실의 위험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B). In this case, when the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ound source is large (c), the signal processor 150 of the multimedia play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nuates the size of the input sound source below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and outputs the user's hearing.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risk of loss (B);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신호처리부로 낮은 음압을 갖는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선형 증폭기(Linear Amp)로 동작하고, 청력 손실 음압 레벨 이상의 높은 음압을 갖는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비선형 증폭기(Non-Linear Amp)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되는 음원의 음압이 청력 손실 음압 레벨이상일 경우, 청력 손실 레벨을 초과한 해당 음원의 크기를 낮추어 청력 손실값보다 작은 값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operates as a linear amplifier when a sound source having a low sound pressure is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and a nonlinear amplifier when a sound source having a high sound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is input. It can be operated as (Non-Linear Amp). Therefore, when the sound pressure of the input sound source is higher than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user's hearing by lowering the size of the sound source exceeding the hearing loss level and outputting the value smaller than the hearing loss valu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력 보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60)는 음원 저장부에 있는 음원이 코덱에 의하여 디코딩되어 입력되는 음원(오디오 신호)을 샘플링하여 음원의 음압 레벨을 정량적인 값으로 검출한다(S21). 다음으로 신호 처리부(160)는 입력된 음원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청력 손실 음압 레벨보다 큰지 판단하여(S23), 큰 경우 청력 손실 레벨을 초과한 시간 영역대의 해당 음원의 크기를 감쇠시키고, 청력 손실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시간 영역대의 음원은 감쇠없이 그대로 출력한다(S25).
As shown in FIG. 3, the signal processor 160 samples a sound source (audio signal) input by decoding a sound source in a sound source storage unit by a codec to detect a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ource as a quantitative value (S21). Next, the signal processor 160 determines whether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input sound source is greater than the pre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S23), and if it is large, attenuates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in the time domain exceeding the hearing loss level, and hearing loss. The sound source in the time domain that does not exceed the level is output as it is without attenuation (S25).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음량을 출력하기 위한 등음량 곡선의 그래프이다.4 is a graph of an equal loudness curve for outputting the same volume in all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음량 곡선(Equal Loudness Curve)은 각 주파수 대역별 같은 크기로 인지하는 소리의 음압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phon(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의 소리로 인지하기 위해서는 실제적으로는 100Hz에서는 50dB SPL, 1kHz에서는 20dB SPL, 3kHz에서는 15dB SPL, 10kHz에서는 35dB SPL의 소리를 사용자에게 들려주어야 한다. 즉 작은 음압의 소리를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등한 소리로 듣기 위해서는 저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에서 등음량 곡선(Equal Loudness Curve)에서 요구하는 값만큼 증폭하여 출력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큰 음압(예를 들어 80phon 이상)에서는 낮은 음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평탄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ure 4, an equal loudness curve (Equal Loudness Curve) is a graph showing the sound pressure of the sound perceived by the same magnitude for each frequency band. For example,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r as a sound of 20 phon (sound intensity unit), the user should actually hear 50 dB SPL at 100 Hz, 20 dB SPL at 1 kHz, 15 dB SPL at 3 kHz, and 35 dB SPL at 10 kHz. . In other words, in order to hear the sound of the small sound pressure equally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must be amplified and output as required by the equal loudness curve (Equal Loudness Curve). Here, relatively high sound pressure (for example, 80 phon or more) has a flat characteristic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relatively low sound pressure.

따라서 사용자가 볼륨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볼륨 설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볼륨값(청력 손실을 주지 않은 음압 레벨의 최대값)보다 낮게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원을 청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음량을 출력하기 위하여 등음량 곡선에 따라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의 음원의 크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도록 신호 처리부(150)에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Therefore,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sound source while the user sets the volume setting to be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maximum value of the sound pressure level without hearing loss) by operating the volume setting unit 140, the controller 160 In order to output the same volume in all frequency bands, a control command is output to the signal processor 150 to control to increase the size of the sound source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equal volume cur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또는 이어폰에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 일 적용예이다. 5 is an application example having a signal processing unit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in a headphone or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호처리부(150)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에 구비되어 음원이 저장된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오디오 입력부(예를 들어 DAI: Direct Audio Input 단자)(120)를 통하여 입력받아 청력 손실 음압 레벨을 초과하지 않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signal processo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input unit (for example, a DAI: Direct Audio Input Terminal) 120 that is provided in a headphone or earphone and is output from an audio playback apparatus in which a sound source is stored.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outputting so as not to exceed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즉 청력 보호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오디오 재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입력받아 헤드폰 또는 이어폰에서 청력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청력 손실 음압 내에서 음원을 청취할 수 있다.
That is, the hearing protec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a headphone or earphone by receiving a sound source output from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not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Therefore, the user can simply listen to the sound source within the hearing loss sound pressure by using headphones or earphones having hearing protection.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10 : 마이크로 폰 120 : 오디오 입력부
130 : 근거리 통신 모듈 140 : 볼륨 설정부
150 : 신호 처리부 151 : 음압 검출부
152 : 청력 보호 판단부 153 : 음원 필터부
154 : 잡음 제거부 160 : 제어부
170 : 출력부
1000 :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110: microphone 120: audio input unit
130: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40: volume setting unit
150: signal processing unit 151: sound pressure detection unit
152: Hearing protection judgment unit 153: Sound source filter unit
154: noise removing unit 160: control unit
170:
1000: multimedia player

Claims (3)

음원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입력받은 음원의 음압 레벨을 검출하는 음압 검출부;
상기 음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음원의 음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청력 손실 음압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음원의 크기를 상기 미리 설정된 청력 손실 음압 레벨 아래로 낮추도록 제어하는 청력 보호 판단부; 및
상기 청력 보호 판단부의 제어에 따라 초과 음원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청력 손실 음압 레벨 아래로 낮추는 음원 필터부를 포함하는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In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comprising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signal processing and output the sound source,
The signal processor
A sound pressure detector detecting a sound pressure level of the input sound source;
A hearing protection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ize of the sound source to be lower than the pre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when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ource detected by the sound pressure detector exceeds a pre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And
And a sound source filter unit lowering the size of the excess sound source below a preset hearing loss sound pressure level under the control of the hearing protection determin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음원을 입력받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by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signal processor
And a noise removing unit for removing noise.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된 볼륨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볼륨값보다 낮은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음량을 출력하기 위하여 등음량 곡선에 따라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의 음원의 크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청력 보호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Hearing protection function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increase the size of the sound source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equal volume curve in order to output the same volume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when the set volume value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olume value Multimedia playback device having.



KR1020110041837A 2011-05-03 2011-05-03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KR2012012413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37A KR20120124136A (en) 2011-05-03 2011-05-03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PCT/KR2011/006436 WO2012150745A1 (en) 2011-05-03 2011-08-31 Multimedia playback device having a hearing prote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37A KR20120124136A (en) 2011-05-03 2011-05-03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136A true KR20120124136A (en) 2012-11-13

Family

ID=4710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837A KR20120124136A (en) 2011-05-03 2011-05-03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24136A (en)
WO (1) WO201215074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23A (en) * 2017-08-09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33461A (en) 2022-03-11 2023-09-19 최정호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059B1 (en) * 2006-07-2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JP2008125587A (en) * 2006-11-17 2008-06-05 Baisera:Kk Hearing testing/measuring apparatus and hearing testing/measuring method
KR101459010B1 (en) * 2007-07-23 2014-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ability pro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JP5532541B2 (en) * 2008-03-07 2014-06-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Audio output device, telephone and mobi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823A (en) * 2017-08-09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33461A (en) 2022-03-11 2023-09-19 최정호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745A1 (en)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351B2 (en) In-ear headphone
KR101455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intelligibility enhancement and computing apparatus
US9486823B2 (en) Off-ear detector for personal listening device with active noise control
JP5412529B2 (en) In-ear sound detection for earphones
US11276384B2 (en) Ambient sound enhancement and acoustic noise cancellation based on context
CA2766196C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n acoustic signal
US11166099B2 (en) Headphone acoustic noise cancellation and speaker protection or dynamic user experience processing
CN105979415A (en) Noise reduction method capable of realizing self-adaptive adjustment of noise reduction gain, device thereof, and noise reduction earphone
US11153677B2 (en) Ambient sound enhancement based on hearing profile and acoustic noise cancellation
WO2020042498A1 (en) Earphone abnormality processing method, earphon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2954115A (en) Volume adjus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400559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eping output loudness and quality of sound among differernt equalizer modes
KR20120124136A (en) Regeneration apparatus of multimedia with hearing protection
KR20140006394A (en) Noise reduction processing device of earphone and headphone.
KR20150049915A (en) Earphone apparatus having hearing character protecting function of an individual
KR101493742B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howling with feedback canceller function of frequency shift method in karaoke system
CN107666639B (en) Perceptual power reduction system and method
JP2007174384A (e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CN106856537B (en) Volume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KR101341064B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GB2559858A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04040694A (en) Voice output device and circuit protection method for voice output device
WO2023243344A1 (en) Hea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hearing device
US20230421958A1 (en) Headset Audio
US9859860B1 (en) Compressor system with EQ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