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616A - Dr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r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616A
KR20120122616A KR1020110040880A KR20110040880A KR20120122616A KR 20120122616 A KR20120122616 A KR 20120122616A KR 1020110040880 A KR1020110040880 A KR 1020110040880A KR 20110040880 A KR20110040880 A KR 20110040880A KR 20120122616 A KR20120122616 A KR 20120122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m
license
user terminal
universal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게이 니코레이에비치 세레즈네브
이병래
강보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2616A/ko
Priority to PCT/KR2012/003307 priority patent/WO2012148227A2/en
Priority to US13/458,469 priority patent/US9038191B2/en
Priority to EP12776481.9A priority patent/EP2702525A4/en
Publication of KR2012012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1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 G06F21/1012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to doma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1Auditing as a secondary asp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 단말이 상이한 종류의 DRM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획득한 DRM 콘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서비스 제공자는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범용 포맷으로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범용 라이선스를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DRM 포맷으로 변경하여, 해당 DRM 콘텐츠 재생시 적용한다.

Description

DR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M SERVICE}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DRM 시스템의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자 단말에서의 DR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디지털 콘텐츠를 텔레비전, 컴퓨터, 휴대형 기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에 어떻게 유통할 것인지가 최대 이슈가 되고 있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비스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지적 자산에 대한 권리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다. 즉, 다양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로부터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콘텐츠를 유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DRM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배포, 사용 및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정보 보호가 가능하며,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권한에 따른 사용과 권리 보호할 수 있다.
DRM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이하 "DRM 콘텐츠"라 함.)를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 단말이 해당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접속하여 DRM 콘텐츠와, DRM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 data) 및, 라이선스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DRM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이며, 라이선스는 암호화된 DRM 콘텐츠를 복호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키와 콘텐츠의 접근 권한(예컨대, 횟수 및 기간 등)을 명시하는 내용의 데이터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은 DRM 콘텐츠와 라이선스가 모두 저장되면, 해당 DRM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때문에, DRM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는 해당 DRM 솔루션을 실행할 수 있는 DRM 에이전트가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현재 시장에는 서로 다른 다양한 방식의 DRM 시스템 및 CA(Conditional Access) 시스템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OMA(Open Mobile Alliance) DRM 시스템, 마린(Marlin) DRM 시스템, 와이드바인(Widevine) DRM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DRM 시스템은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제공하고,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즉, 라이선스를 이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라이선스를 표현하는 언어 또는 포맷이 서로 상이하며, DRM 서비스 실행에 사용되는 메시지의 포맷 또한 상이하다. 때문에,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가 이용하는 DRM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DRM 시스템이 상이한 경우, 상호 호환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다.
도1은 이러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DRM 솔루션 시장에는 서로 다른 방식의 DRM 시스템인 DRM A 시스템(20), DRM B 시스템(30), DRM C 시스템(40)이 존재한다. 이러한 DRM 시스템 중에서, 서비스 제공자에 해당하는 IP 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제공 장치(10)는 DRM A 시스템(20)을 이용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IP TV 단말 A(50) 및 IP TV 단말 B(60)는 각각 DRM A 시스템(20)의 솔루션 및 DRM C 시스템(40)의 솔루션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IP TV 단말 A(50)는 IP TV 제공 장치(10)로부터 IP TV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IP TV 단말 B(60)는 IP TV 제공 장치(10)로부터 IP TV 서비스를 받지 못한다.
때문에, 사용자는 단순히 자신의 기호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구입해서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이 필요한 DRM 솔루션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콘텐츠 보호에 이용된 DRM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사용자 단말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하드웨어 레벨에서 구현된 높은 수준의 안전성 보장 방법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DRM 시스템 및 CA 시스템들은 기본적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설계 되지 않았으므로 구현상 복잡성이 존재한다.
다른 방법으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복수의 DRM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하도록 강제하는 것이다. 그러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DRM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DRM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오버헤드로 작용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DRM 시스템의 종류에 상관없이 복수의 DRM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의 DRM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DRM 시스템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이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DRM 시스템 및 CA 시스템 구현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복수의 DRM 시스템 간에 호환이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호 호환이 되지 않는 복수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을 이용하여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에서, DRM 콘텐츠를 소비하며,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송수신부와, 제1DRM 시스템을 지원하는 DRM 에이전트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특정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상기 라이선스가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을 가지는 범용 라이선스인지 확인하고, 상기 라이선스가 범용 라이선스라면, 상기 범용 라이선스의 포맷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경하여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상기 범용 라이선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제1DRM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호환이 되지 않는 복수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을 이용하여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에서, DRM 콘텐츠를 제공하고,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설치된 DRM 시스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제공부와, 제1DRM 시스템을 지원하며, 특정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생성하는 DRM 서버와, 상기 라이선스를 수신할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제1DRM 시스템이 아닌 제2DRM 시스템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 장치라면, 상기 라이선스의 포맷을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범용 도메인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DRM 시스템의 종류에 상관없이 복수의 DRM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의 DRM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DRM 시스템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이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DRM 시스템 및 CA 시스템 구현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복수의 DRM 시스템 간에 호완이 가능하게 한다.
도1은 종래의 DRM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와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I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선스 획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류 해결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콘텐츠(이하 "DRM 콘텐츠"라 함.)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 단말이 상이한 종류의 DRM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획득한 DRM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범용 DRM 인터페이스(Common DRM Interface, 이하, "CDI"라 함.) 및 CDI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CDI는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 단말이 동일한 종류의 DRM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DRM 콘텐츠 실행에 필요한 라이선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단말 간에 정의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즉,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수신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DRM 시스템이 서비스 제공자가 지원하는 특정 DRM 시스템이 아닌 경우, 특정 DRM 시스템의 포맷에 따른 라이선스가 아닌, CDI 포맷으로 구성되는 범용 라이선스(common license)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은 범용 라이선스를 수신하면, 범용 라이선스의 포맷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DRM 시스템에 의해 특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해당 DRM 콘텐츠 재생시 적용한다. 라이선스는 암호화된 DRM 콘텐츠를 복호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키와 DRM 콘텐츠의 접근 권한, 예컨대, 횟수 및 기간 등을 명시하는 내용의 정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자의 일예를 도2 및 도3에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DRM 콘텐츠를 요청하고, 수신하고, 재생함으로써, DRM 콘텐츠를 소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텔레비전, 휴대폰, PMP, 음악 파일 재생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각종 디지털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계정 관리, 사용자 단말의 등록,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IP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DRM Proxy Server Agent, 이하, "DRM PSA"라 함.)(110)와, DRM 에이전트(120)와, 송수신부(130)와, 저장부(140)와, 멀티미디어 재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부(150)는 DRM 에이전트(120)의 제어하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송수신부(130)는 네트워크 또는 다른 장치들과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DRM PSA(110)로 전달하고, DRM PSA(1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및 메시지를 해당 네트워크 엔티티로 송신한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DRM 에이전트(11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디지털 콘텐츠가 저장된다.
DRM 에이전트(120)는 DRM 콘텐츠 실행시 DRM을 적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에 따라, DRM 에이전트(12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요청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실행에 필요한 라이선스 획득, 획득한 라이선스의 적용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며, 이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100)의 각 구성부의 동작들을 제어하고, 관련 메시지들을 처리 및 생성한다.
이러한 DRM 에이전트(120)는 다양한 방식의 DRM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 규격에 따라 구현된다. 예를 들어, OMA(Open Mobile Alliance) DRM 시스템, 마린(Marlin) DRM 시스템, 와이드바인(Widevine) DRM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DRM 시스템의 규격에 따른 DRM 에이전트가 될 수 있다.
DRM PSA(110)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100) 간의 CDI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DRM PSA(11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DRM 에이전트(120)로의 전달을 목적으로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의 포맷을 DRM 에이전트(120)에 의해 특정된 포맷으로 변경하여, DRM 에이전트(120)로 전달한다. 그리고 DRM 에이전트(120)로부터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의 전달을 목적으로 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의 포맷을 CDI 포맷으로 변경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송신한다.
DRM PSA(110)와 DRM 에이전트(120) 간의 통신은 DRM 에이전트(120)와 관련된 DRM 시스템 규격에 따른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DRM PSA(110)와 DRM 에이전트(120)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본 발명에서는NDI(Native DRM Interface)라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과 서비스 제공 장치(200) 간의 인터페이스 및 DRM PSA(110)와 DRM 에이전트(120)간의 인터페이스를 도4에 나타내었다.
때문에, DRM PSA(110)는 바인딩되는 각각의 DRM 시스템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RM PSA(110)를 구분하기 위한 타입(Type)이 정의 되어진다. 예를 들어, OMA DRM 시스템을 위한 OMA 타입, 마이크로소프트 플레이 레디(PlayReady)를 위한 플레이레디 타입, 마린 DRM 시스템을 위한 마린 DRM 타입, 와이드바인 DRM 시스템을 위한 와이드 바인 타입 등이 존재 할 수 있다. 하지만 DRM PSA(110)의 타입에 상관없이,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DRM PSA(110) 간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CDI가 공유된다. DRM PSA(110)는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되거나,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도 있다.
통신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100)에 구현된 DRM 시스템의 종류가 동일한 경우, DRM PSA(110)는 단순히 통신을 바이 패스(by-pass) 시킬 수 있다. 즉, DRM PSA(11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고 단순히 DRM 에이전트(120)로 전달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도5에 나타내었다. 즉, DRM 에이전트(120)와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DRM 서버(220)가 동일한 종류의 DRM 시스템에 의한 것이라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100) 간에는 결과적으로 NDI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질 것이다.
참고로 DRM 콘텐츠는 범용 파일 포맷(Common File Format) 또는 특정 DRM 시스템에 종속적인 형태로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 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범용 도메인 관리부(Common Domain Manager)(210), 서비스 제공부(230), 콘텐츠 제공부(240), DRM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40)는 복수의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고, DRM 서버(220)로부터 전달되는 암호화키를 이용해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DRM 콘텐츠를 생성하고 범용 도메인 관리부(210)로 전달한다. 이때,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의 포맷은 범용 파일 포맷(Common File Format)이 될 수도 있다.
DRM 서버(220)는 다양한 방식의 DRM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DRM 시스템 규격에 따라 구현되며, 서비스 제공부(230)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DR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정보 및 메시지를 생성한다.
DRM 서버(220)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를 결정하고,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적용될 접근 권한을 결정한다. 그리고 DRM 서버(220)는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복호키와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선스를 범용 도메인 관리부(210)로 전달한다. 이때, 라이선스 포맷은 DRM 서버(220)에서 지원하는 DRM 시스템의 포맷이 된다. 그리고 복호키와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는 복호키 및 접근 권한 자체일 수도 있고, 복호키 또는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 주소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DRM 서버(220)는 사용자 단말(100)에 DR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등록, 라이선스 제공을 위한 각종 명령 및 응답,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DRM 솔루션의 관리와 관련된 각종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범용 도메인 관리부(210)로 전달된다.
이러한 DRM 서버(220)는 다양한 방식의 DRM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 규격에 따라 구현된다. 예를 들어, OMA(Open Mobile Alliance) DRM 시스템, 마린(Marlin) DRM 시스템, 와이드바인(Widevine) DRM 시스템 등 어느 하나의 DRM 시스템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30)는 사용자의 계정 관리, 사용자 단말 등록, 서비스 제공 등과 관련된 동작 과정을 제어한다. 서비스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 등록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DRM 시스템의 종류를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할 때, 해당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DRM 시스템의 종류가 DRM 서버(220)에서 지원하는 DRM 시스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범용 도메인 관리부(210)에게 CDI 적용 통지를 전달한다.
범용 도메인 관리부(210)는 CDI를 제공하는 기능부로서, CDI 제어부(211)와 범용 라이선스 관리부(121)를 포함한다.
범용 라이선스 관리부(121)는 DRM 서버(220)로부터 전달되는 라이선스를 관리하며, CDI 제어부(211)의 제어에 따라 라이선스의 포맷을 CDI 포맷으로 변경하여 범용 라이선스를 구성한다.
CDI 제어부(211)는 서비스 제공부(230)로부터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수신 사용자 단말과 관련하여 CDI 적용 통지를 수신하면, CDI에 의해 특정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DR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DRM 서버(22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CDI 포맷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다. 그리고 DRM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의 포맷을 DRM 서버(220)에 의해 특정된 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DRM 서버(220)로 전달한다.
CDI 제어부(211)는 서비스 제공부(230)로부터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수신 사용자 단말과 관련하여 CDI 적용 통지가 수신되지 않거나, CDI 미적용 통지가 수신되면, DRM 서버(2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또는 메시지를 그대로 해당 수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100)과 서비스 제공 장치(200) 간에 DR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관계를 나타낸 실시예를 도6에 도시하였다.
도6에 도시된, 제1단말(300), 제2단말(400), 제3단말(500)은 사용자 단말(100)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다만, 제1단말(300)은 OMA DRM 시스템의 규격에 따른 제1DRM 에이전트(320)와, OMA 타입의 제1DRM PSA(310)를 포함하고, 제2단말(400)은 마린 DRM 시스템의 규격에 따른 제2DRM 에이전트(420)와, 마린 타입의 제2DRM PSA(410)를 포함하고, 제3단말(500)은 와이드바인 DRM 시스템의 규격에 따른 제3DRM 에이전트(520)와, 와이드바인 타입의 제2DRM PSA(5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와이드 바인 DRM 시스템을 지원하는 DRM 서버(220)를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들(300,400,500)과 서비스 제공 장치(200) 간의 DRM 서비스 제공시 통신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제1단말(300)과 제2단말(400)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상이한 DRM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DRM PSA(310)와 제2DRM PSA(410)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간에 CDI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DRM PSA(310)와 제2DRM PSA(410)는 각각 제1DRM 에이전트(320)와 제2DRM 에이전트(420)와 NDI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하지만, 제3단말(500)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동일한 DRM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3DRM 에이전트(520)는 메시지 또는 정보를 바이 패스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결과적으로, 제3단말(500)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NDI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7 및 표1을 참조하여, CDI 프로토콜을 설명한다. CDI 프로토콜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100) 간의 DRM 서비스 관련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CDI 메시지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DRM PSA(110)로 전달되는 CDI 트리거(trigger) 메시지(1001), DRM PSA(11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달되는 CDI 요청(request) 메시지(1003),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DRM PSA(110)로 전달되는 CDI 응답(response) 메시지(1005)가 포함될 수 있다. 각 메시지는 범용 도메인 관리부(210) 또는 DRM PSA(110)에 의해 생성되거나 처리되며, 각 메시지의 주요 역할은 표1과 같다.
메시지 종류 설명
CDI 트리거 메시지 본 메시지는 DRM PSA가 특정 동작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예. DRM PSA와 DRM 에이전트간 등록 과정)
메시지는 DRM PSA가 어떠한 연산을 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트리거 타입(Trigger Type)을 포함한다.
CDI 요청 메시지 본 메시지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게 전달되는 요청 사항을 포함한다. 그리고 DRM 에이전트로부터 서비스 제공 장치에게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메시지는 요청의 종류를 나타내는 요청 타입(Request Type)을 포함한다.
CDI 응답 메시지 CDI 요청 메시지에 대해 서비스 제공 장치가 DRM PSA에게 전송하는 응답을 포함하는 메시지이다. 또한 DRM PSA를 통하여 DRM 에이전트에게 전달 될 수 있다.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을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특정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DRM과 관련된 오류를 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 내지 도10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과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DRM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8은 사용자 단말(100)을 초기에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과정은 새로운 사용자 단말의 등록을 위한 것이다. 즉, DRM 에이전트(120)와 DRM PSA(110) 간에 수행되는 특정 DRM에 특화된 등록 과정과,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DRM PSA(110)를 통하여 DRM 에이전트(120)를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8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1101단계에서 새로운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등록 요청이 발생했음을 확인한다. 등록 요청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서비스에 가입함에 따라, 서비스 오퍼레이터 측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이러한 등록 요청은 서비스 제공부(230)에 의해 범용 도메인 관리부(2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단말 등록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상이한 DRM 시스템을 이용한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1103단계에서 CDI 트리거 메시지의 트리거 타입을 "등록(Registration)"으로 정의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DRM PSA(11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100)이1103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1105단계에서 DRM PSA(110)는 DRM 에이전트(120)와, DRM 에이전트(120)에서 지원하는 특정 DRM 시스템에 따른 단말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DRM PSA(110)는 CDI를 통해 단말 등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DRM 에이전트(120)에 대응하는 DRM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DRM PSA(110)는 이후, DRM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CDI 및 CDI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특정된 DRM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DRM PSA(110)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대신해서 사용자 단말(100)에 특정된 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DRM 에이전트(120)를 인증하고 등록한다. 이에 따라, DRM PSA(110)는 DRM 에이전트(120)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DRM 에이전트(120) 인증을 위한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DRM PSA(110)는 CDI 요청 메시지의 요청 타입을 "단말 인증(Terminal Authorization)"으로 지정하여 인증 보고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달함으로써, DRM 에이전트(120)의 인증 및 등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보고한다. 이때, CDI 요청 메시지에는 DRM 종속적인 등록 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었다는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 그리고 DRM PSA(110)에 의하여 인증된 크리덴셜(credential)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른, CDI 요청 메시지의 일예를 표2에 나타내었다.
파라미터 M/O 설명
Terminal ID M 사용자 단말 내부에 탑재된 DRM 종류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e.g. Device ID in OMA DRM). 본 메시지는 다음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Type: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DRM 시스템의 종류를 지칭
Certificate Chain M DRM 에이전트의 인증서 체인.
Selected Algorithms O 비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선정된 암호 알고리즘들의 URI.
Session Credentials O DRM 에이전트와 DRM PSA간 설정된 크리덴셜(credential)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1107단계에서 CDI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1109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등록 과정을 완료 한다.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와 크리덴셜은 DRM PSA(110)의 식별 정보에 연결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DRM 시스템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하여 저장된다.
도9는 도8과 같은 과정으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100)이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되는 라이선스는 CDI 포맷의 범용 라이선스 형식일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1201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권한 부여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한다. 권한 부여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100)이 특정 DRM 콘텐츠를 요청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고, 서비스 오퍼레이터 측에서 사용자 단말에게 특정 DRM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단말 등록 과정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DRM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범용 도메인 관리부(210)를 통해 다음 과정들을 수행한다. 1203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CDI 트리거 메시지의 트리거 타입을 "라이선스 획득(License Acquisition)"으로 지정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라이선스 획득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CDI 트리거 메시지는 라이선스 관련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선스와 관련된 DRM 콘텐츠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CDI 라이선스 획득 트리거 메시지는 표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파라미터 M/O 설명
Asset ID O 획득할 라이선스 또는 관련 DRM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e.g. it can be retrieved from DRM content file)
사용자 단말(100)이 1203단계에서 CDI 트리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DRM PSA(110)는 라이선스 획득 요청을 NDI를 통해 DRM에이전트(120)로 전달함으로써, 1205단계에서 DRM 에이전트(120)와, DRM 에이전트(120)에 대응하는 DRM 시스템에 종속적인 라이선스 획득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라이선스 획득을 준비한다.
DRM 에이전트(120)가 라이선스를 수신 할 준비가 되면, 예를 들어, DRM 에이전트(120)가 DRM PSA(110)에게 NDI를 통해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 DRM PSA(110)는 1207단계에서 CDI 요청 메시지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 라이선스를 요청한다. 이때, CDI 요청 메시지의 요청 타입은 "라이선스(License)"로 지정되며, 1203단계에서 수신한 CDI 트리거 메시지와 본 CDI 요청 메시지와의 관련성 확인을 위해, CDI 트리거 메시지에 포함되었던 라이선스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CDI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의 일예를 표4에 나타내었다.
파라미터 M/O 설명
Asset ID O 요청할 라이선스의 식별 정보 또는 관련 DRM 콘텐츠의 식별 정보(e.g. it can be retrieved from DRM content file)를 나타낸다.
Trigger ID O CDI 트리거 메시지의 식별 정보로서, 라이선스 획득 트리거 메시지와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를 연결시켜 준다.
1207단계에서 CDI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DRM 서버(220)의해 DRM서버(220)에서 지원하는 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생성된 해당 라이선스를 CDI 포맷의 범용 라이선스로 변환하여, CDI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한다. 이때, CDI 응답 메시지의 응답 타입은 "라이선스"로 지정된다. 이에 따른 CDI 라이선스 응답 메시지의 일예를 표5에 나타내었다.
파라미터 M/O 설명
Asset ID M 제공하는 라이선스에 대한 식별 정보 또는 해당 DRM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Rights
Descriptor
M DRM 콘텐츠의 접근 권한(permissions, constraints, requirement)에 대한 일반화된 규칙.
Rights
Credentials
M 라이선스에 포함되는 DRM 콘텐츠의 복호키 정보
표5의 메시지의 구성 요소들은 DRM PSA(110)로 전달되며, DRM PSA(110)는 접근 권한(Rights Descriptor)을 특정 DRM 종속적인 권한 표현 언어(Rights Expression Language)(예를 들어, OMA DRM REL)로 변환함으로써, DRM 에이전트(120)에 적합한 라이선스를 생성하게 된다.
1209단계에서 CDI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DRM PSA(110)는 1211단계에서 CDI 응답 메시지로부터 범용 라이선스를 추출하고, 범용 라이선스를 DRM 에이전트(120)에 의해 특정된 DRM 시스템의 포맷에 따른 라이선스로 변환한다.
그리고 DRM PSA(110)는 DRM 에이전트(120)에게 NDI를 통하여 1213단계에서 변환된 라이선스를 DRM 에이전트(120)에게 전달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의해 라이선스 획득 과정이 시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DRM 에이전트(120)에 의해 라이선스 획득 과정이 시작될 수 도 있다. 이 경우는 CDI 트리거 메시지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며, 나머지 프로세스는 상기 과정의 1205 단계 내지 1213 단계와 유사하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CDI 트리거 메시지에 범용 라이선스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CDI 트리거 메시지의 트리거 타입은 "라이선스 제공(License Provisioning)"으로 지정 된다. DRM PSA(110)는 상기한 과정의 1211 단계 및 1213 단계와 유사한 과정을 수행한다.
도10은 DRM PSA(110)와 DRM 에이전트(120) 간의 통신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10을 참조하면, 1301단계에서 DRM PSA(110)가 DRM 에이전트(120) 간의 통신에 있어서 오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다. 오류 이벤트는 예를 들어, DRM PSA(110)가 NDI를 통해 DRM 에이전트(120)로부터 자신이 처리할 수 없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DRM PSA(110) 1303단계에서 CDI 요청 메시지에 오류 내용을 포함시키고, 요청 타입을 "오페이크(Opaque)"로 지정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 전송함으로써, 오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CDI 요청 메시지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오류 상황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오류 내용(non-processable request) 및 기타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른 CDI 오류 확인 요청 메시지의 일예를 표6에 나타내었다.
파라미터 M/O 설명
Opaque Data M DRM 에이전트로부터 수신 되었으나, 처리 할 수 없는 정보. 본 필드는 다음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Type: 정보의 종류 (e.g. metering data).
Context Data M 서비스 제공 장치에게 non-processable request가 발생한 원인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기 위한 목적임.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오류 확인 요청을 처리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CDI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CDI 응답 메시지의 응답 타입은 "오페이크(Opaque)"로 지정된다.
CDI 오류 응답 메시지는 오류 내용(non-processable request)에 대한 해결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DI 응답 메시지는 어떻게 오류를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DRM PSA(110)에게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DRM 종속적인 프로토콜이 시작되어질 수 있다. 또 다르게, CDI 응답 메시지 대신에 CDI 트리거 메시지를 DRM PSA(110)에게 전송하여 오류 내용을 해결하기 위한 동작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CDI 오류 응답 메시지의 일예를 표7에 나타내었다.
파라미터 M/O 설명
Opaque Data M 발생 오류에 대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응답으로서 DRM 에이전트에게 전달되어야 함.
본 필드는 다음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Type: 포함되어진 정보의 종류
PSAInstructions M 발생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DRM PSA가 수행해야하는 동작을 알려주는 정보
CDI 응답 메시지 또는 CDI 트리거 메시지를 수신 후, DRM PSA(110)는 1307단계에서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에 따라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DRM 에이전트(120)에게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의 응답을 NDI를 통해 전달하거나, DRM 에이전트(120)에서 지원하는 DRM 시스템의 관련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21)

  1. 상호 호환이 되지 않는 복수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을 이용하여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에서, DRM 콘텐츠를 소비하며,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와,
    제1DRM 시스템을 지원하는 DRM 에이전트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특정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상기 라이선스가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을 가지는 범용 라이선스인지 확인하고, 상기 라이선스가 범용 라이선스라면, 상기 범용 라이선스의 포맷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경하여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상기 범용 라이선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제1DRM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복호키 정보 및 상기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는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제1메시지 및 상기 제1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의 포맷을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경하여,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DRM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되는 제2메시지 및 상기 제2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경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라이선스 획득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포맷을 가지는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는 상기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경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라이선스가 포함된 라이선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라이선스에 대한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획득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획득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라, 라이선스 획득을 준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초기 등록할 때, 상기 DRM 에이전트를 인증에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DRM 에이전트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보고하는 보고 메시지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제1DRM 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프록시 서버 에이전트는 상기 DRM 에이전트와의 통신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오류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오류에 대한 해결 정보가 포함된 오류 응답 메시지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해결 정보를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DRM 에이전트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상호 호환이 되지 않는 복수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을 이용하여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에서, DRM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가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을 가지는 범용 라이선스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가 범용 라이선스라면, 상기 범용 라이선스의 포맷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DRM 콘텐츠 재생시 상기 변경된 라이선스를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범용 라이선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제1DRM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복호키 정보 및 상기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라이선스에 대한 획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DRM 시스템을 지원하는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라이선스 획득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라이선스가 포함된 라이선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DRM 에이전트에 대한 인증을,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보고하는 보고 메시지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제1DRM 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서비스 제공 방법.
  12. 상호 호환이 되지 않는 복수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을 이용하여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에서,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지원하는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를 수신할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제1DRM 시스템이 아닌 제2DRM 시스템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 장치라면, 상기 라이선스의 포맷을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복호키 정보 및 상기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선스가 라이선스 응답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사용자 단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DRM 에이전트에 대한 인증이 상기 제2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보고하는 보고 메시지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제2DRM 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M 서비스 제공 방법.
  16. 상호 호환이 되지 않는 복수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을 이용하여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환경에서, DRM 콘텐츠를 제공하고,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설치된 DRM 시스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제공부와,
    제1DRM 시스템을 지원하며, 특정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생성하는 DRM 서버와,
    상기 라이선스를 수신할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제1DRM 시스템이 아닌 제2DRM 시스템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 장치라면, 상기 라이선스의 포맷을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범용 도메인 관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특정 DRM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복호키 정보 및 상기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도메인 관리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제1메시지 및 상기 제1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의 포맷을 상기 제1DRM 시스템의 포맷으로 변경하여, 상기 DRM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DRM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메시지 및 상기 제2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도메인 관리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선스를 포함하는 라이선스 응답 요청 메시지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 요청 메시지는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라이선스 획득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도메인 관리부는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사용자 단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DRM 에이전트에 대한 인증이 상기 제2DRM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보고하는 보고 메시지를 상기 범용 D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제2DRM 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10040880A 2011-04-29 2011-04-29 Dr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122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80A KR20120122616A (ko) 2011-04-29 2011-04-29 Dr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CT/KR2012/003307 WO2012148227A2 (en) 2011-04-29 2012-04-2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m service
US13/458,469 US9038191B2 (en) 2011-04-29 2012-04-2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M service
EP12776481.9A EP2702525A4 (en) 2011-04-29 2012-04-27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RM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80A KR20120122616A (ko) 2011-04-29 2011-04-29 Dr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616A true KR20120122616A (ko) 2012-11-07

Family

ID=4707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880A KR20120122616A (ko) 2011-04-29 2011-04-29 Dr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38191B2 (ko)
EP (1) EP2702525A4 (ko)
KR (1) KR20120122616A (ko)
WO (1) WO201214822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51B1 (ko) * 2014-12-16 2016-06-07 주식회사 디지캡 Drm으로 보호된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3176B2 (en) 2012-04-27 2016-02-02 Intralinks, Inc.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ecure content sharing in a networked secure collaborative exchange environment
US9251360B2 (en) 2012-04-27 2016-02-02 Intralinks, Inc.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ecure mobile device content viewing in a networked secure collaborative exchange environment
EP2842070B1 (en) 2012-04-27 2020-08-05 Intralinks, Inc.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networked secure collaborative exchange
US9553860B2 (en) 2012-04-27 2017-01-24 Intralinks, Inc. Email effectivity facility in a networked secure collaborative exchange environment
US9177158B2 (en) * 2012-11-07 2015-11-03 Theplatform,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content rights
US8560455B1 (en) * 2012-12-13 2013-10-15 Digiboo Ll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rental domains within a single credit card domain
US9219791B2 (en) 2012-12-13 2015-12-22 Digiboo Llc Digital filling station for digital locker content
US9356936B2 (en) * 2013-10-02 2016-05-31 Intralin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to electronic content
US9514327B2 (en) 2013-11-14 2016-12-06 Intralinks, Inc. Litigation support in cloud-hosted file sharing and collaboration
GB2530685A (en) 2014-04-23 2016-03-30 Intralinks Inc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data exchange
GB2537812A (en) * 2015-03-27 2016-11-02 Piksel Inc DRM Addition Authentication
GB2537594A (en) * 2015-03-27 2016-10-26 Piksel Inc Header translation modification
US10033702B2 (en) 2015-08-05 2018-07-24 Intralinks, Inc.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data exchange
US10193872B2 (en) * 2015-08-12 2019-01-29 Cyphyx, Llc System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nd randomly encrypting and decrypting data
US10902093B2 (en) * 2016-05-12 2021-01-26 Koninklijke Philips N.V.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anonymous digital content shar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3828B2 (ja) 2001-04-19 2008-0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ライセンス管理装置及び中継装置
KR20030022819A (ko) * 2001-04-19 2003-03-1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 라이선스 관리장치, 중계장치 및단말장치
US20040117618A1 (en) * 2002-03-13 2004-06-17 Kyoko Kawaguchi Service execution module
SE0202451D0 (sv) * 2002-08-15 2002-08-15 Ericsson Telefon Ab L M Flexible Sim-Based DRM agent and architecture
WO2004029771A2 (en) * 2002-09-26 2004-04-08 Video Furnace, Inc. Digital content delivery and viewing system and method
CA2528428C (en) * 2003-06-05 2013-01-22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roperable systems and methods for peer-to-peer service orchestration
KR20050096040A (ko) * 2004-03-29 200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저장장치와 디바이스간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이용한 콘텐츠 재생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휴대형저장장치
US20060085826A1 (en) * 2004-10-18 2006-04-20 Funk James M Aggregated program guide for download and view video on demand service
KR100761270B1 (ko) * 2004-11-06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컨텐츠가 첨부된 디지털저작권관리 컨텐츠 처리 방법및 장치
KR101213818B1 (ko) 2004-11-18 2012-12-18 콘텐트가드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장치
US7558463B2 (en) * 2005-04-18 2009-07-07 Microsoft Corporation Retention of information about digital-media rights in transformed digital media content
US8769298B2 (en) * 2006-05-05 2014-07-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ing trusted processing techniques
US20080114693A1 (en) * 2006-11-14 2008-05-15 Fabrice Jogand-Coulomb Method for allowing content protected by a first DRM system to be accessed by a second DRM system
KR20080048764A (ko) * 2006-11-29 2008-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권리객체에 대리 서명하는 방법 및 장치와 대리인증서 발급방법 및 장치
US8948394B2 (en) * 2007-02-28 2015-02-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and synchronization of cryptographic context information
US20090199287A1 (en) * 2007-06-26 2009-08-06 Luc Vantal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al access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US7870273B2 (en) * 2007-09-28 2011-01-11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dentifying a device implement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tocol
US7962947B2 (en) * 2007-10-15 2011-06-14 Verimatrix, Inc. Content delivery proxy system and method
US8856861B2 (en) * 2007-12-20 2014-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neric rights token and DRM-related service pointers in a common protected content file
EP2273409A3 (en) 2009-07-10 2013-01-16 Disney Enterprises, Inc. Interoperable keych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51B1 (ko) * 2014-12-16 2016-06-07 주식회사 디지캡 Drm으로 보호된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8227A3 (en) 2013-01-03
US20120291142A1 (en) 2012-11-15
EP2702525A4 (en) 2014-10-15
EP2702525A2 (en) 2014-03-05
US9038191B2 (en) 2015-05-19
WO2012148227A2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2616A (ko) Drm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44800B1 (ko) Drm 모듈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US9548859B2 (en) Ticket-based implementation of content leasing
US86714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US91771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digital content
US7765600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horizing features of a computer program for use with a product
JP5688364B2 (ja) プライベートコンテンツ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84854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 권리를 관리하는 장치 및방법
JP5025640B2 (ja) Drm基盤のコンテンツ提供及び処理方法並びにその装置
EP2157527A1 (en) The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forwarding the license
US20150047053A1 (en) Server, terminal, and transfer method for digital content under copyright protection
EP1903467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device content right objects
KR100988374B1 (ko) 사용권리 이동 방법, 사용권리의 발급권한 관리 방법 및시스템
US20130160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ownloada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a content service
US20120284797A1 (en) Drm service 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drm service receiving method in user terminal
JP5490319B2 (ja)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に対する消費権限管理方法及び装置
KR100693483B1 (ko) 디.알.엠 기반의 기간 정액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1083566B (zh) 音视频预览内容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828350B1 (ko) Drm 솔루션 관리 방법 및 장치
Tacken et al. Mobile DRM in pervasive networking environments
KR20100050733A (ko) 디알엠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78624A (ko) Srm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