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299A -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 Google Patents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299A
KR20120121299A KR1020110039200A KR20110039200A KR20120121299A KR 20120121299 A KR20120121299 A KR 20120121299A KR 1020110039200 A KR1020110039200 A KR 1020110039200A KR 20110039200 A KR20110039200 A KR 20110039200A KR 20120121299 A KR20120121299 A KR 2012012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3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299A/ko
Priority to PCT/KR2012/003243 priority patent/WO2012148192A2/ko
Publication of KR2012012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299A/ko
Priority to CN201380075548.6A priority patent/CN10518980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sent by anoth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Uplink Power Contro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Base Station, Uplink Power Control Method of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 단말은 서로 다른 상향링크 물리채널들과 신호들이 적절한 전력으로 기지국(셀)에서 수신되도록 물리채널 및 신호의 전력을 제어한다.
이 상향링크 전력제어는 단말의 전송 전력이 하향링크 경로 손실에 따라 달라지는 개루프 방식과 추가적으로 망이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명시적 전력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을 통하여 단말의 전송 전력을 직접 제어하는 폐루프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 적합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상향링크 전력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단말로 CRS(Common Reference Signal 또는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PU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제 1 전송단 및 단말로 PDSCH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을 탐색하는 단계; 및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 및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 또는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의 전송 전력의 정보, 및 단말로 PDS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CRS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거나,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여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단계; 및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단말로 CRS(Common Reference Signal 또는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PU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제 1 전송단 및 상기 단말로 PDSCH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을 탐색하는 전송단 탐색부; 및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 및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 또는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의 전송 전력의 정보, 및 상기 단말로 PDS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 및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CRS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거나,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여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계산부; 및 상기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상향링크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기지국에 비해 RRH가 근접한 경우 기지국에 기반하여 제어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으로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도달하는 영역을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단말이 기지국과 RRH로부터 CSI-RS를 수신할 때 시스템의 구성 및 CSI-RS의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전송단에서 물리 채널의 처리 과정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7은 RRH에서 DM-RS의 처리 과정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하나의 RRH에서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이하, 본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단말(User Equipment, UE) 및 전송단(Transmission Point)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 또는 UE(User Equipment)는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UE로 정보를 전송한다는 의미에서 UE와 통신하는 모든 장치를 "전송단(Transmission Point)"로 지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송단에는 기지국 또는 셀(cell) 이외에, 기지국과 연결된 RRH(Radio Remote Head), 릴레이 노드(relay node), 매크로 셀의 섹터(sector), 사이트(site), 기타 펨토셀, 피코셀 등과 같은 마이크로 셀 등 하나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장치를 의미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모든 장치 또는 기능 또는 특정 영역을 의미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 또는 셀은 고유의 셀 ID를 갖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기지국과 유선으로 연결된 RRH, 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된 릴레이 노드 등의 중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 외에 단말에 인접한 RRH, 릴레이 노드 등의 전송단과 통신할 수 있다.
한편, 각 셀(기지국) 또는 전송단이 동일 또는 유사한 레벨의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면서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통신시스템을 소위 호모지니어스 네트워크(Homogeneous Network)라 부를 수 있으며, 그와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이종통신망 또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호모지니어스 네트워크 및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은 동일 주파수 대역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여러 셀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무선 자원을 활용한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신호는 일정 거리 이상 전파되지 않으며, 각 기지국이 전파한 신호가 수신 가능한 영역을 셀 영역 또는 셀 커버리지 영역(cell coverage area)이라 한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각 셀 영역은 일부분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각 셀 영역에서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더라도 셀 간 간섭 없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커버리지 영역이 일부 또는 전체가 중복되는 다수의 셀 또는 전송단으로 구성된 통신망의 경우, 각 단말이 동시에 둘 이상의 전송단으로부터 신호 및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송단은 기지국, eNB, RRH, 릴레이 노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한편,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의 분포 상태 및 각 단말의 채널 상태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각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전송단 및 각 단말이 사용할 대역 등을 지정하는 스케줄링(scheduling) 기법을 통해 호모지니어스 네트워크(homogeneous network)보다 더 우수한 통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 정보 통신을 요구하는 단말이 많은 지역에 RRH를 설치한 후, 상기 지역에 분포하는 단말들에는 RRH을 통해 통신을 제공하면, 상기 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비교적 높은 수신 전력을 가지도록 통신 환경이 구성되기 때문에, 고속 정보 전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는 통신망의 전반적 통신 효율 증가를 가져온다.
최신 통신 시스템의 경우, 단말이 둘 이상의 전송단으로부터 동시에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전송단이 동일 스케줄러(scheduler)에 의해 제어되면서 협력 통신을 통해 동일 단말에 정보를 전달하는 협력형 다중 또는 협력형 다중 포인트 무선 통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x/Rx Communication system; 이하 'CoMP 시스템'이라 함)의 사용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 CoMP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 각 단말은 하나의 기지국, 하나의 RRH와는 물론, 둘 이상의 RRH 또는 기지국과 RRH와 동시에 신호 및 정보를 송, 수신하는 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또한 채널 상황 및 네트워크 상황에 적합하도록 통신을 수행할 전송단 (기지국 또는 RRH) 및 전송단의 개수를 변경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보다 높은 스케줄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는 두 가지 목적으로 전송단과 단말에 사전에 정의된 신호이다. 첫 번째 목적은 단말에서 전송단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us Information, CSI)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은 기준 신호를 통해 CSI를 측정하고 이를 전송단으로 보고한다. 두 번째 목적은 단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복조를 위한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송단이 복소 신호(complex signal)를 전송한 경우, 코히어런트 복조(coherent demodulation)를 위해서 채널 상에서 송신 신호가 어떻게 왜곡되었는지를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단말은 사전에 정의된 기준 신호를 통해 채널 응답을 추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시 채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기준 신호인 셀-특정 기준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는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CRS는 셀 내의 모든 단말에서 공통으로 사용된다. CRS는 최대 4개의 안테나에 대해 정의된다.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는 시간 축으로는 일정 주기마다 주파수 축으로는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에 해당하는 12개 서브캐리어의 영역에서 안테나 포트 별로 1개의 RE(Resource Element)만큼 할당된다. 차세대 통신 기술에서는 하향링크의 경우 최대 8개의 안테나를 지원할 수 있으며, CSI-RS 또한 최대 8개 할당된다.
물리채널, 예를 들어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복조를 위한 기준인 단말-특정 기준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 DM-RS)는 PDSCH 전송이 안테나 포트와 관련된 경우에만 PDSCH 복조를 위한 기준으로서 존재한다. DM-RS는 해당하는 PDSCH가 매핑된 자원 블록에만 전송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단말(10)이 복수의 전송단(20, 3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전송단(20, 30)은 하나의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광역의 전송단(20), 및 광역 전송단(20)의 커버리지 영역 내부에 포함되는 좁은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협력 전송단(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광역 전송단(20)은 매크로 셀의 eNB이고, 협력 전송단(30)은 RRH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바와 같이 동일한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가지는 기지국 또는 전송단과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가지면서 동일한 단말에 동시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송단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광역 전송단(20)으로서 기지국, 협력 전송단(30)으로서 RRH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핸드오버 프로세스 없이 하향링크를 위한 전송단을 전환하기 위해 기지국(20) 및 하나 이상의 RRH(30)가 동일 식별자의 셀 아이디(cell ID)를 가지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기지국(20) 및 하나 이상의 RRH(30)는 동일한 셀 ID를 가지면서 각 단말과 하향링크 통신할 수 있다. 한편, 각 단말(10)은 기지국(20) 및 RRH(30)와 단독으로 또는 기지국(20) 및 RRH(30)와 동시에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20) 및/또는 RRH(30)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상기 PDCCH 및 PDSCH에 대응되는 채널들로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PUCCH 및 PUSCH를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로 한다.
셀 내의 모든 단말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준 신호인 CRS는 셀 내에서 하나의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고,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특정 단말(10)이 기지국(20) 및/또는 RRH(30)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20) 및/또는 RRH(30)는 구분 가능한 자원을 사용하여 단말(10)로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말(10)은 PDSCH를 복조하기 위해 기지국(20) 및/또는 RRH(30)가 전송한 DM-RS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M-RS는 단말별로 특정(UE specific)된 참조 신호이다.
즉, 기지국(20)은 CRS를 전송하고, 단말(10)이 기지국(20)으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20)은 그 단말(10)로 CSI-RS 및 DM-RS를 CRS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이 RRH(30)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RRH(30)는 그 단말(10)로 CSI-RS 및 DM-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10)로 CRS를 전송하는 전송단을 제 1 전송단이라 하고, 단말(10)로 PDSCH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단을 제 2 전송단이라 한다. 한편, 상기에서 기지국(20)이 CRS를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CRS를 전송하는 하나의 전송단이 제 1 전송단이 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전송단이 동시에 CRS을 전송하는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다수의 전송단은 동일한 antenna port을 사용하여 CRS을 전송하여야 한다. 즉, 하나의 전송단이 CRS을 전송하면, 다른 전송단이 상기와 동일한 CRS을 전송하여 CRS 수신을 보조할 수 있다.
단말(10)은 전송단(20, 30)으로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복수의 전송단(20, 30)은 모두 같은 셀 ID를 갖기 때문에, 단말(10)은 복수의 전송단(20, 30) 중 하나를 특정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즉, PUCCH 및 PUSCH를 통한 신호 전송 및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ACK 신호는 복수의 전송단(20, 30) 중 하나를 특정하여 전송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serving cell)(c)이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인 경우, 단말(10)이 PUCCH를 전송할 때 서브프레임(i)에서 PUCCH의 전송 전력(PPUCCH(i))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PCMAX ,c(i)는 서빙 셀(c)에 대하여 서브프레임(i)에서 단말(10)의 최대 전송 전력이고, PUCCH 전송 전력은 단말(10)의 최대 전송 전력에 의해 제한된다.
P0_PUCCH는 PUCCH를 전송함에 있어 보장되어야 하는 수신 전력에 대한 인자이다. P0_PUCCH는 전송단에서 요구되는 수신 SINR(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을 얻기 위해 필요한 수신 전력에 대한 인자이며, PUCCH format 등에 의해 결정된다.
PLc는 서빙 셀(c)에 대해 단말(10)에서 계산된 하향링크 경로-손실(path loss) 추정값으로서, PLc = (기준 신호 전송 전력 -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식으로 결정된다.
h(nCQI, nHARQ, nSR)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에 대한 정보 비트의 수에 해당하는 nCQI, 서브프레임(i)으로 전송되는 HARQ 비트의 수인 nHARQ, 및 서브프레임(i)이 단말에 대한 SR(Scheduling Request)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nSR에 의한 전력 오프셋이다.
ΔF_PUCCH(F)는 PUCCH 포맷(F)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이다.
ΔTxD(F')는 단말(10)이 2개 안테나 포트에서 PUCCH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고려한 오프셋이다.
g(i)는 명시적인 전력 제어 명령을 통해 직접적으로 PUCCH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값이다. g(i)는 누적값으로서, 특정 양 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g(i)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포함되어 있거나, 여러 개의 단말들에 전력 제어 명령을 동시에 제공하는 특수한 PDCCH 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DCI 포맷 3/3A). g(i)는 하향링크 경로 손실에 반영되지 않은 상향링크 다중 경로 페이딩을 보상하기 위한 용도, P0_PUCCH에 반영되지 않은 상향링크 간섭의 변화를 보상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10)이 서빙 셀(c)에 대해 PUSCH를 PUCCH와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경우, 서브프레임(i)에서 PUSCH의 전송 전력(PPUSCH,c(i))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단말(10)이 서빙 셀에 대해 PUSCH를 PUCCH와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서브프레임(i)에서 PUSCH의 전송 전력(PPUSCH,c(i))은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수학식 2 및 3에서, PCMAX ,c(i)는 서빙 셀(c)에 대해 서브프레임(i)에서 단말(10)의 최대 전송 전력이고,
Figure pat00004
는 PCMAX ,c(i)의 선형 값(linear value)이다.
Figure pat00005
는 수학식 1에서 규정된 PPUCCH(i)의 선형 값이다. 수학식 2를 참조하면, PUSCH를 PUCCH와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경우, PUSCH 전송 전력은 단말(10)의 최대 전송 전력에 의해 제한된다. 수학식 3을 참조하면, PUSCH를 PUCCH와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PUSCH 전송 전력은 단말(10)의 최대 전송 전력에서 PUCCH의 전송 전력만큼의 제한 값에 의해 제한된다.
MPUSCH,c(i)는 서빙 셀(c) 및 서브프레임(i)에 대해 유효한 자원 블록의 수로 표현되는 PUSCH 자원 할당의 대역폭이다. 더 많은 자원 블록의 할당은 더 높은 송신 전력을 요구한다.
P0 _ PUSCH ,c(j)는 PUSCH를 전송함에 있어 보장되어야 하는 수신 전력에 대한 인자이다. P0 _ PUSCH는 전송단에서 요구되는 수신 SINR을 얻기 위해 필요한 수신 전력에 대한 인자이며, PUSCH 포맷 등에 의해 결정된다. P0 _ PUSCH는 전송단에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이고 간섭은 시스템 구축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망 내의 부하가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시간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준-지속적(semi-persistent) 승인(grant)에 대한 PUSCH (재)전송에 대해 j=0이고, 동적으로 스케줄링되는(dynamic scheduled) 승인에 대한 PUSCH (재)전송에 대해 j=1이며,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승인에 대한 PUSCH (재)전송에 대해 j=2이다.
αc(j)는 경로 손실을 보상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αc(j)가 1이면 경로 손실이 완전히 보상되는 것을 의미하고, αc(j)가 1보다 작으면 경로 손실이 완전히 보상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j=0 또는 1일 때, αc(j) ∈ {0, 0.4, 0.5, 0.6, 0.7, 0.8, 0.9, 1}이고, j=2일 때 αc(j)=1이다.
PLc는 서빙 셀(c)에 대해 단말(10)에서 계산된 하향링크 경로-손실(path loss) 추정값으로서, PLc = (기준 신호 전송 전력 -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ΔTF,c(i)는 서빙 셀(c)에 대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의해 결정되는 오프셋이다.
fc(i)는 명시적인 전력 제어 명령을 통해 직접적으로 PUSCH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값이다. f(i)는 누적값으로서, 특정 양 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f(i)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에 들어있다.
수학식 1 내지 3은 기지국(20)에 대해 상향링크를 할 때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식이다. 이때, 경로 손실(PLc)은 기지국(20)으로부터의 기준 신호인 CRS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기지국(20)이 아닌 다른 전송단(예를 들면, RRH(30))으로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는 수학식 1 내지 3에 의해서는 계산될 수 없다.
도 2는 단말(10)이 PUCCH 및 PUSCH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신호가 도달하는 거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은 기지국(20) 및 RRH(30) 중 적어도 하나와 상향링크 연결을 시도한다.
만약, 단말(10)이 자신과 근접한 하나의 전송단, 예컨대 RRH(30)와 상향링크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단말(10)은 기지국(20)과 연결이 된 경우보다 더 적은 전송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이 기지국(20)으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단말이 인접한 전송단(기지국(20) 또는 RRH(30))과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스펙트럼 재사용(spectrum reuse)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전송단이 동일한 셀 ID를 갖는 환경에서 기지국(20)을 제외한 다른 전송단(예를 들면, RRH(30))은 CRS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전송단으로부터의 경로 손실을 측정할 수 없다.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은 기준 신호로서 CSI-RS 및 DM-RS를 전송한다. 단말(10)이 상기 전송단(20, 30)의 CSI-RS 또는 DM-RS의 전송 전력을 알고 있는 경우, 단말(10)은 CSI-RS 또는 DM-RS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과의 하향링크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말(10)이 PUCCH를 전송할 때 서브프레임(i)에서 PUCCH의 전송 전력(PPUCCH(i))은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6

수학식 4에서, PCMAX,c(i), P0_PUCCH, h(nCQI,nHARQ,nSR), ΔF_PUCCH(F), ΔTxD(F'), 및 g(i)는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4에서 PLtp는 특정 전송단에 대해 계산된 경로 손실이다. PLtp = (기준 신호 전송 전력 -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식으로 계산되고, 기준 신호는 CRS, CSI-RS, 또는 DM-RS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단말(10)이 PUSCH를 PUCCH와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 경우, 서브프레임(i)에서 PUSCH의 전송 전력(PPUSCH,c(i))은 다음의 수학식 5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7

단말(10)이 PUSCH를 PUCCH와 동시에 전송하는 경우, 서브프레임(i)에서 PUSCH의 전송 전력(PPUSCH,c(i))은 다음의 수학식 6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6]

수학식 5 및 6에서, PCMAX ,c(i),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MPUSCH ,c(i), P0 _ PUSCH ,c(j), αc(j), ΔTF ,c(i), 및 fc(i)는 수학식 2 및 3과 같다. 수학식 5 및 6에서 PLtp는 특정 전송단에 대해 계산된 경로 손실이다. PLtp = (기준 신호 전송 전력 -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식으로 계산되고, 기준 신호는 CRS, CSI-RS, 또는 DM-RS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CSR은 모든 자원 블록(Resource Block)에서 전송되고, 각 자원 블록은 주파수 축으로 12개의 부반송파와 시간 축으로 0.5ms 슬롯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비하여, CSI-RS는 5, 10, 20, 40, 또는 80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전송되고, 각 서브프레임은 1ms의 크기를 갖는다. DM-RS는 PDSCH 전송이 해당하는 안테나 포트에 관련된 경우에만 PDSCH 복조를 위해 존재하고, DM-RS는 해당하는 PDSCH가 매핑된 자원 블록에만 전송된다.
따라서, CRS는 CSI-RS에 비하여 시간 커버리지가 크고 DM-RS에 비하여 주파수 커버리지가 크다. 그러므로,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이 CRS를 전송하는 전송단과 동일한 경우, 단말(10)은 CRS를 이용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CSI-RS 기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CSI-RS 기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20)은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전송단(20, 30)을 탐색한다(S301 단계).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동적 하향링크 CoMP를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로 하향링크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단(20, 30)을 지정할 수 있고, 하향링크를 실행하는 전송단(20, 30)은 시스템의 환경 변화에 따라 기지국(2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20)은 현재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 뿐만 아니라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전송단을 탐색한 후 최적의 전송단을 단말에 할당한다. 여기서 전송단을 할당한다 함은, 단말이 각 전송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단말에 통보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기지국(20)은 탐색된 전송단(20, 30)의 CSI-RS 전송 전력 정보 및 CSI-RS 구성 정보를 단말(10)로 전송한다(S302 단계). CSI-RS 전송 전력 정보 및 CSI-RS 구성 정보는 단말(10) 내에 테이블로 저장되거나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되어 단말(10)이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CSI-RS는 각각 패턴 p=15, p=15,16, p=15~18, p=15~22을 이용하여 1, 2, 4 또는 8개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된다.S302 단계에서, 기지국(20)은 기지국(20)의 8개 안테나 포트에 대한 CSI-RS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RRH(30)의 4개 이하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CSI-RS 전송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각 전송단(20, 30)의 안테나 포트의 수, CSI-RS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CSI-RS 패턴에 대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CSI-RS 패턴에 대한 RRC 시그널링 테이블)과 같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이 이용될 수 있다. 표 1에서, (k', l')는 CSI-RS 중 안테나 0이 할당되는 최초 RE(resource element)의 서브캐리어 번호 및 심볼 번호를 나타내며 (ns mod 2)는 해당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슬롯 번호(0 또는 1)이다. RRC 시그널링은 0~31의 값을 갖는 5 비트일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11

도 4에서 (a)는 단말(10)이 기지국(20)과 하나의 RRH(30)로부터 CSI-RS를 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때, 기지국(20)은 4개의 CSI-RS 포트를 갖고 CSI-RS 패턴은 0이며, RRH(30)는 2개의 CSI-RS 포트를 갖고 CSI-RS 패턴은 5이다. 도 4에서 (b)를 참조하면, 기지국(20)으로부터의 CSI-RS는 자원 요소에 "401"로 맵핑되고, RRH(30)로부터의 CSI-RS는 "402"로 맵핑된다. 이때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기지국(20)에서 단말에 전송되는 CRS 전송 전력 및 CSI-RS 전송 전력은 43 dBM이고, RRH(30)에서 전송되는 CSI-RS 전송 전력은 23 dBM이다.
상술한 경우,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은 [43, 23], CSI-RS 패턴 테이블은 [0, 5], CSI-RS 포트 테이블은 [4, 2]의 형태를 갖는다.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에서 첫번째 값은 CRS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상술한 CSI-RS 전송 전력 정보 및 CSI-RS 구성 정보는 상위 계층으로서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20)은 단말로 CRS를 전송한다(S303 단계). 기지국(20)이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20)은 또한 CSI-RS도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하는 RRH(30)는 단말(10)로 CSI-RS를 전송한다(S304 단계).
도 5는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프리코더(501)에서 프리코딩된 후 자원 요소 맵퍼(502)에서 맵핑되어 전송된다. CSI-RS는 CSI-RS 생성부(503)에서 생성된 후 프리코딩되지 않고 자원 요소 맵퍼(502)에서 맵핑되어 전송된다. CSI-RS의 포트 각각은 전송단의 안테나 포트에 대응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단말(10)은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 CSI-RS 전송 전력 정보 및 CSI-RS 구성 정보와 전송단(20, 30)으로부터 전송된 CSI-RS의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한다(PLtp= (기준 신호 전송 전력 - 기준 신호 수신 전력))(S305 단계). 다음으로, 단말(10)은 수학식 4 내지 6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S306 단계).
이하에서는 S305 및 S306 단계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0)은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에 대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즉, 단말(10)은 PDSCH의 복조에 사용된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계산된 경로 손실(PLtp)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단,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과 CRS를 전송하는 전송단이 동일한 경우(기지국(20)이 PDSCH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10)은 C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단말(10)이 복수의 전송단(20, 30)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PDSCH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10)은 각각의 CSI-RS에 기초하여 각 전송단(20, 30)에 대한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한다. 계산된 복수의 경로 손실(PLtp) 중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즉, 단말(10)은 PDSCH를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단(20, 30) 중 가장 인접한 전송단(20, 30)에 대해서만 상향링크를 수행한다.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이 많아서 복수의 경로 손실(PLtp)을 연산하기에는 요구되는 연산량이 기준 연산량보다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10)은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기 이전에 복수의 PDSCH 중 스펙트럼 효율(spectral efficiency)이 최대인 PDSCH를 찾아내고, 스펙트럼 효율이 최대인 PDSCH의 복조에 사용된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계산된 경로 손실(PLtp)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이 어떠한 기준 신호(CRS 또는 CSI-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할 것인지를 알리는 명령(지시자)을 전송한다. 기지국(20)은 이러한 명령을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에 포함시켜 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로 하향링크를 수행하는 전송단과 단말(10)로부터의 상향링크를 수신하는 전송단이 다를 수 있는 경우, 단말(10)로부터의 상향링크를 가장 인접한 전송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단이 수신할 수 있는 경우 등에, 단말(10)이 어떠한 전송단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CRS 또는 CSI-RS)에 기초하여 상향 전송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를 알리는 명령은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는 지시자의 예는 다음의 표 2(경로 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 신호 지시자)에 나타난다.
[표 2]
Figure pat00012

일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 1 비트의 지시자를 전송한다. 지시자는 단말(10)이 C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 또는 CSI-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를 지시한다. 1 비트의 지시자는 DCI 포맷 0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2와 같이 지시자의 값이 0이면, 단말(10)은 C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지시자의 값이 1이면, 단말(10)은 PDSCH 복조에 사용되는 CSI-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표 3]
Figure pat00013

지시자의 값이 1이고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과 CRS를 전송하는 전송단이 동일한 경우, 단말(10)은 C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지시자의 값이 1이고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이 복수인 경우, 단말(10)은 경로 손실(PLtp)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거나, 스펙트럼 효율이 최대인 PDSCH의 복조에 사용된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일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 n 비트의 지시자를 전송한다. 지시자는 단말(10)이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 CSI-RS 패턴 테이블, CSI-RS 포트 테이블에서 해당하는 기준 신호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를 나타낸다. 지시자의 비트 수(n)는 2n이 테이블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도록 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개수가 5인 경우, 지시자의 비트 수(n)는 3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 CSI-RS 패턴 테이블, 및 CSI-RS 포트 테이블은 각각 단말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SI-RS의 전력, 패턴 및 포트 개수를 저장한다. 이들 테이블에서 첫 번째 인자는 CSI의 전력, 패턴 및 포트 개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RRH가 단말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각 테이블은 기지국으로부터의 CRS 및 RRH로부터의 CSI-RS에 대한 전력, 패턴 및 포트 개수를 각 테이블에 저장하고, 각 테이블에서 인자의 개수는 5이며, 지시자의 비트 수(n)는 3 이상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 비트의 지시자가 테이블의 첫 번째 인자를 지시하는 경우, C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지시자가 첫 번째가 아닌 테이블의 인자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하는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N 비트 지시자는 DCI 포맷 0을 사용하는 링크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 또는 다른 PDCCH 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 1 비트의 지시자를 전송한다. 지시자는 현재 경로 손실(PLtp)을 측정하고 있는 기준 신호가 아닌 다른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경로 손실(PLtp)을 측정할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스위칭 지시자이다. 1 비트의 지시자는 DCI 포맷 0을 사용하는 링크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특정 PDSCH에 대한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고 있을 때, 지시자의 값이 0이면 단말(10)은 같은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며, 지시자의 값이 1이면 단말(10)은 CRS 또는 다른 PDSCH에 대한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현재 경로 손실(PLtp) 계산이 기반하고 있는 기준 신호 외에 복수의 기준 신호가 존재하고 지시자의 값이 1인 경우, 단말(10)은 현재 기반하고 있는 기준 신호 외의 복수의 기준 신호에 대해 계산된 복수의 경로 손실(PLtp) 중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거나, 스펙트럼 효율이 최대인 PDSCH의 복조에 사용된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또는, 다른 예를 들면, 현재 특정 PDSCH에 대한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고 있을 때, 지시자의 값이 0이면 단말(10)은 같은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고, 지시자의 값이 1이면 단말(10)은 현재 경로 손실(PLtp) 계산이 기반하고 있는 CSI-RS와 함께 CRS 또는 다른 PDSCH에 대한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표 4]
Figure pat00014

제 2 실시예: DM-RS 기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도 6은 전송단에서 PDSCH를 포함하는 물리 채널의 처리 과정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송될 코드워드에 대해 복소값으로 변조된 심볼은 레이어 맵퍼(601)에서 하나 이상의 레이어로 맵핑된다. 레이어의 개수(υ)는 물리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의 수(P)보다 작거나 같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최대 8개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할 수 있고, RRH와 같은 기지국이 아닌 전송단은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에서 레이어의 개수는 최대 8개이고 RRH와 같은 전송단에서 레이어의 개수는 최대 4개이다. 레이어 맵퍼(701)는 벡터 x=[x1 … xυ]를 출력한다.
프리코더(602)는 레이어 맵퍼(701)로부터 출력된 벡터 x=[x1 … xυ)]로부터 각 안테나 포트의 자원으로 맵핑될 벡터 y=[y1 … yP]를 생성한다. 이러한 변환은 y = Wx로 규정되고, 여기에서 W는 P×υ의 크기를 갖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이다.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코드북으로부터 선택된다. 코드북에서 어떠한 프리코딩 매트릭스(W)를 사용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인덱스는 DCI 포맷 1B, 1D에 포함된다.
프리코더(602)에서 출력된 벡터 y=[y1 … yP]는 자원 요소 맵퍼(603)에 맵핑되고, 안테나 포트 각각을 통해 전송된다.
DM-RS는 PDSCH의 전송을 위해 공급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M-RS는 PDSCH와 같은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프리코더(602)에서 프리코딩된다. 기지국은 최대 8개의 안테나 포트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PDSCH의 전송에 사용되는 레이어는 최대 8개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PDSCH의 전송 시에 최대 8개의 DM-RS 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서 RRH와 같은 전송단이 8개의 안테나 포트를 갖는 것은 고려되고 있지 않는다. RRH를 통한 PDSCH 전송에 사용되는 DM-RS 포트의 개수는 2개 이하이거나 4개 이하가 된다. 기지국을 고려하여 8개의 DM-RS 포트가 준비될 수 있지만, RRH에서는 5개 초과의 DM-RS 포트는 사용되지 않는다.
즉, RRH에서 레이어의 개수가 υ이고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P일 때, 프리코더(702)는 P×υ의 크기를 갖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W를 이용하여 PDSCH 및 DM-RS에 프리코딩을 실행한다. 이때, P는 4 이하의 숫자이고, υ는 P 이하의 숫자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RRH가 DM-RS의 처리 과정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M-RS 생성부(701)는 8개의 DM-RS(x1,…,x8)를 생성한다. 프리코더(702)는 입력받은 8개의 DM-RS(x1,…,x8)를 프리코딩 매트릭스(W')를 이용하여 P개의 신호(y1,…,yP)를 생성한다. 신호(y1,…,yP)는 자원 요소 맵퍼(703)에 매핑되고 P개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RH의 프리코더에서 사용되는 DM-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P×υ의 크기를 갖는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와 같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른 DM-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P×8의 크기를 갖고,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와 단위 매트릭스(I)가 결합된 형태이며,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P×υ(P≤4, υ≤P)의 크기를 갖으며, 단위 매트릭스(I)는 P×P(P≤4)의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면, RRH가 4개의 전송 안테나를 갖고 랭크 2 다운링크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경우, 4ㅧ2의 크기를 갖는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5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4ㅧ8의 크기를 갖는 DM-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6
상기 4ㅧ8의 크기를 갖는 DM-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4×2의 크기를 갖는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와 4×4의 크기를 갖는 단위 매트릭스(I)가 결합된 형태이다.
P×8의 크기를 갖는 DM-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 중 P×υ의 크기를 갖는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와 동일한 부분은 PDSCH의 복호화(demodulation)을 위해 사용되고, 이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DM-RS 프리코딩 매트릭스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DM-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 중 P×P의 크기를 갖는 단위 매트릭스(I)는 8개의 DM-RS 신호 중 하위 P개의 포트를 각 안테나 포트에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역할을 하고, PDSCH의 복호화를 위해 사용되지는 않는다. 프리코딩 매트릭스(W')를 이용하여 변환하는 것은 DM-RS를 프리코더에서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를 이용하여 변환한 후 DM-RS의 하위 P개 포트를 P개의 안테나 포트에 더하는 것과 같다.
상기 예에서, 0번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y0=(1x0+jx1)+1x4이고, 1번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y1=(jx0-1x1)+1x5이며, 2번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y2=(-1x0-jx1)+1x6이고, 3번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y3=(-jx0+1x1)+1x7이다. 각 신호(y0~y3)에서 x0 및 x1이 변환된 부분은 PDS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x4 내지 x7 중 하나가 더해진 부분은 경로 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예에서, 4×2의 크기를 갖는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를 예시하였지만, RRH에서 PD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최대 4ㅧ4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4ㅧ4의 크기를 갖는 단위 매트릭스(I)를 예시하였지만, RRH에서 안테나 포트의 수(P)에 따라 단위 매트릭스(I)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DM-RS 중 PDS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x0~x3)를 프리코딩된 DM-RS로, 경로 손실을 위해 사용되는 DM-RS(x4~x7)를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로 부를 것이다. 프리코딩된 DM-RS는 수신하는 단말에 특정되어 각 단말로 전송되는 신호에서 서로 다른 형태를 갖고,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는 각 단말로 전송되는 신호에서 같은 형태를 갖는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DM-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W')는 4개 이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RRH와 같은 전송단에서 사용되는 것이고, 8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과 같은 전송단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DM-RS의 포트들은 간섭을 적게 받기 위해 서로 직교성을 갖는다(orthogonal). 그러므로, DM-RS가 프리코딩되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각 신호로부터 각 DM-RS의 포트를 추출할 수 있다. RRH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DM-RS의 포트 중 상위 최대 4개는 PDSCH의 복조를 위하여 사용하고, DM-RS의 포트 중 하위 최대 4개는 경로 손실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DM-RS 기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20)은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전송단(20, 30)을 탐색한다(S801 단계).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동적 하향링크 CoMP를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로 하향링크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단(20, 30)을 지정할 수 있고, 하향링크를 실행하는 전송단(20, 30)은 시스템의 환경 변화에 따라 기지국(2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20)은 현재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 뿐만 아니라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전송단을 탐색한다.
다음으로 기지국(20)은 탐색된 전송단(20, 30)의 DM-RS 전송 전력 정보를 단말(10)로 전송한다(S802 단계). DM-RS 전송 전력 정보는 단말(10) 내에 테이블로 저장된다.
기지국(20)은 단말(10)로 CRS를 전송한다(S803 단계). 기지국(20)이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20)은 또한 DM-RS도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10)로 PDSCH를 전송하는 RRH(30)는 단말(10)로 DM-RS를 전송한다(S804 단계). 기지국(20)이 전송하는 DM-RS는 PDSCH를 프리코딩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W)와 같은 매트릭스로 프리코딩된다. 이에 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RRH(30)가 전송하는 DM-RS는 PDSCH를 프리코딩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W)와 단위 매트릭스(I)가 결합된 프리코딩 매트릭스(W')로 프리코딩된다.
단말(10)은 RRH(3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서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를 추출하고, 수신된 CRS 및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한다(S805 단계). 단말(10)을 계산된 경로 손실(PLtp)을 수학식 4 내지 6에 적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S806 단계).
한편, DM-RS는 해당하는 PDSCH가 맵핑된 자원 블록에서만 전송된다. 특정 단말(10)로 전송되는 PDSCH는 전체 주파수 자원 중에서 일부 자원을 통해서 전송된다. 그러므로, 단말(10)에 특정된 DM-RS는 주파수 커버리지가 작다.
수학식 4 내지 6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식은 하향링크에 대한 경로 손실이 상향링크에 대한 경로 손실과 거의 같다는 가정에 의해 성립하는 식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하향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경로 손실의 값은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10)에 특정된 DM-RS는 주파수 커버리지가 작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하향링크의 경로 손실은 상향링크의 경로 손실과 큰 차이를 가질 우려가 있다.
도 9는 하나의 RRH(30)에서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예에서 세로축은 RRH(30)가 이용 가능한 주파수 자원이다. "901"은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특정 단말(10)에 할당된 대역이고, "902" 및 "903"은 각각 8 또는 8 이후의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로 설정된 다른 단말 및 8 이전의 전송 모드로 설정된 또 다른 단말로 할당된 대역이다.
다른 단말에게 할당된 대역(902, 903)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프리코딩된 DM-RS 및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를 포함한다. 다른 단말에 특정된 프리코딩된 DM-RS의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코드북 인덱스)를 단말(10)이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말(10)은 다른 단말에 특정된 프리코딩된 DM-RS를 추출할 수 없다. 그러나,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는 모두 같은 형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말(10)은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은 자신에게 할당된 대역(901)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서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를 추출할 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에게 할당된 대역(902, 903)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서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은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할 때 자신에게 할당된 대역(901)으로 전송되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와 다른 단말에게 할당된 대역(902, 903)으로 전송되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단말(10)은 자신에게 할당된 대역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경로 손실(PLtp)은 상향링크에 대한 전력 제어에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S805 및 S806 단계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0)은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에 대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즉, 단말(10)은 PDSCH를 전송하는 RRH(30)에서 전송된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계산된 경로 손실(PLtp)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과 CRS를 전송하는 전송단이 동일한 경우(기지국(20)이 PDSCH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10)은 C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단말(10)이 복수의 전송단(20, 30)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PDSCH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10)은 각각의 전송단(20, 30)으로부터 전송되는 CRS 또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초하여 각 전송단(20, 30)에 대한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한다. 계산된 복수의 경로 손실(PLtp) 중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즉, 단말(10)은 PDSCH를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단(20, 30) 중 가장 인접한 전송단(20, 30)에 대해서만 상향링크를 수행한다.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이 많아서 복수의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기에는 요구되는 작업이 너무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10)은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기 이전에 복수의 PDSCH 중 스펙트럼 효율(spectral efficiency)이 최대인 PDSCH를 찾아내고, 스펙트럼 효율이 최대인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으로부터 전송된 CRS 또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계산된 경로 손실(PLtp)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이 어떠한 기준 신호(CRS 또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할 것인지를 알리는 명령(지시자)을 전송한다. 기지국(20)은 이러한 명령을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에 포함시켜 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로 하향링크를 수행하는 전송단과 단말(10)로부터의 상향링크를 수신하는 전송단이 다를 수 있는 경우, 단말(10)로부터의 상향링크를 가장 인접한 전송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단이 수신할 수 있는 경우 등에, 단말(10)이 어떠한 전송단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CRS 또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초하여 상향 전송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를 알리는 명령은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는 지시자의 예는 다음의 표 5에 나타난다.
[표 5]
Figure pat00017

일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 1 비트의 지시자를 전송한다. 지시자는 단말(10)이 C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 또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를 지시한다. 1 비트의 지시자는 DCI 포맷 0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시자의 값이 0이면, 단말(10)은 기지국(10)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지시자의 값이 1이면, 단말(10)은 RRH(30)로부터 전송되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지시자의 값이 1이고 PDSCH를 전송하는 RRH(30)가 복수인 경우, 단말(10)은 경로 손실(PLtp)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거나, 스펙트럼 효율이 최대인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으로부터 전송된 CRS 또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 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일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 n 비트의 지시자를 전송한다. 지시자는 단말(10)이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에서 몇 번째 인자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를 나타낸다. 지시자의 비트 수(n)는 2n이 테이블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도록 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개수가 5인 경우, 지시자의 비트 수(n)는 3 이상으로 결정된다.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은 각각 단말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DM-RS의 전력을 저장한다. 이들 테이블에서 첫 번째 인자는 CSI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RRH가 단말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각 테이블은 기지국으로부터의 CRS 및 RRH로부터의 DM-RS에 대한 전력을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에 저장하고,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에서 인자의 개수는 5이며, 지시자의 비트 수(n)는 3 이상이 된다.
예를 들면, N 비트의 지시자가 첫 번째 인자를 지시하는 경우, C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지시자가 첫 번째가 아닌 다른 인자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하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N 비트 지시자는 DCI 포맷 0을 사용하는 링크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 또는 다른 PDCCH 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 1 비트의 지시자를 전송한다. 지시자는 현재 경로 손실(PLtp)을 측정하고 있는 기준 신호가 아닌 다른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경로 손실(PLtp)을 측정할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스위칭 지시자이다. 1 비트의 지시자는 DCI 포맷 0을 사용하는 링크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특정 RRH(30)로부터 전송되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고 있을 때, 지시자의 값이 0이면 단말(10)은 같은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며, 지시자의 값이 1이면 단말(10)은 CRS 또는 다른 RRH(30)로부터 전송되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현재 경로 손실(PLtp) 계산이 기반하고 있는 기준 신호 외에 복수의 기준 신호가 존재하고 지시자의 값이 1인 경우, 단말(10)은 현재 기반하고 있는 기준 신호 외의 복수의 기준 신호에 대해 계산된 복수의 경로 손실(PLtp) 중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거나, 스펙트럼 효율이 최대인 PDSCH를 전송하는 전송단(20, 30)으로부터 전송된 CRS 또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 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또는, 다른 예를 들면, 현재 특정 RRH(30)로부터 전송되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고 있을 때, 지시자의 값이 0이면 단말(10)은 같은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고, 지시자의 값이 1이면 단말(10)은 현재 경로 손실(PLtp) 계산이 기반하고 있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와 함께 CRS 또는 다른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일예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 2 또는 n 비트의 지시자를 전송한다. 지시자는 단말(10)이 CRS, PDSCH 전송과 관련된 CSI-RS, PDSCH 전송과 관련된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 중 어느 기준 신호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를 지시한다. CSI-RS는 주파수 커버리지는 크지만 시간 커버리지는 작고, DM-RS는 시간 커버리지는 크지만 주파수 커버리지는 작다. 이를 고려하여, CSI-RS와 DM-RS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CRS를 전송하지 않는 전송단으로부터의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지시자는 2 비트이고, 지시자의 값이 0이면 C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지시자의 값이 1이면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며, 지시자의 값이 2이면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지시자의 값이 3이면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 및 CSI-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지시자는 n(n>2) 비트이고, 지시자의 값은 기 수신된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에서 몇 번째 인자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것인지를 나타낸다. 기준 전력 테이블은 단말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전송단의 CRS, DM-RS 및 CSI-RS 전송 전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N 비트의 지시자가 첫 번째 인자를 지시하는 경우, C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지시자가 첫 번째가 아닌 다른 인자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하는 CSI-RS 또는 프리코딩되지 않은 DM-RS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tp)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4개의 RRH가 단말로 PDSCH를 전송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각 테이블은 기지국으로부터의 CRS 및 RRH로부터의 DM-RS와 CSI-RS에 대한 전력을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에 저장하고, 기준 신호 전력 테이블에서 인자의 개수는 9이며, 지시자의 비트 수(n)는 3 이상이 된다.
2 또는 N 비트 지시자는 DCI 포맷 0을 사용하는 링크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 또는 다른 PDCCH 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1000)은 특정 단말에게 CRS를 전송하는 제 1 전송단 및 PDSCH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을 탐색하는 전송단 탐색부(1010) 및 탐색된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1020)를 포함한다.
CRS를 전송하는 제 1 전송단은 예를 들면 기지국일 수 있다. PDSCH를 전송할 수 있는 제 2 전송단은 기지국, RRH 등을 포함한다. 전송단 탐색부(1010)는 단말의 위치, 전송단의 위치, 전송단의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단말로 PDSCH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을 탐색한다.
정보 전송부(1020)는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 정보를 전송한다.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는 CSI-RS, DM-RS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송 전력 정보는 RRC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부(1020)는 전송 전력 정보 외에 CSI-RS의 패턴, CSI-RS의 포트 개수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전송부(1020)에서 전송되는 CRS, CSI-RS, DM-RS의 전송 전력 정보는 단말이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때 요구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100)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링크 수신부(1110), 하향링크 신호 중에서 기준 신호의 전력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20), 하향링크 신호 중에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1130), 정보 저장부(1120)에 저장된 기준 신호의 전력 정보와 전력 측정부(1030)에서 측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계산부(1140), 및 경로 손실 계산부(1140)에서 계산된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단말의 상향 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상향 링크 송신부(1150)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수신부(1110)가 기준 신호의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를 들면, RRC)를 수신할 때, 기준 신호의 전력 정보는 정보 저장부(1120)에 저장된다. 정보 저장부(1120)에 저장되는 기준 신호의 전력 정보는 CRS를 전송하는 제 1 전송단(예를 들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력 정보, 단말(1100)로 PDSCH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예를 들면, 기지국, RRH)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CSI-RS, DM-RS)의 전력 정보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수신부(1110)는 또한 CSI-RS의 패턴, CSI-RS 포트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하향링크 수신부(1110)가 기준 신호(CRS, CSI-RS, DM-RS)를 수신할 때, 전력 측정부(1130)는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한다.
경로 손실 계산부(1140)는 정보 저장부(1120)에 저장된 기준 신호 전력 정보와 전력 측정부(1130)에서 측정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차이인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경로 손실 계산부(1140)는 수신한 PDSCH에 관련된 기준 신호에 대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하거나 기지국이 지시한 기준 신호에 대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상향링크 송신부(1150)는 경로 손실 계산부(1140)에서 계산된 경로 손실을 수학식 4 내지 6에 적용하여 PUCCH, PDSCH의 전송 전력을 제어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을 이용하면, 동일한 셀 ID를 갖는 2 이상의 전송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뿐만 아니라 기지국이 아닌 다른 전송단으로의 상향링크를 위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하향링크 CoMP를 구현하는 HetNet에서 단말은 여러 전송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하향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전송단과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전송단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여러 전송단으로부터 송신되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고 하향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전송단 중 가장 인접한 전송단 또는 기지국이 지정한 전송단으로 상향링크를 하기 위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향링크 CoMP를 구현하는 경우,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전송단은 가변적이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전송단으로의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CSI-RS 또는 DM-RS 기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SI-RS 또는 DM-RS 이외의 현재 또는 장래의 단말-특정 하향링크 기준신호 기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CSI-RS 또는 DM-RS 기반 PUCCH 또는 PUSCH 전력 제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단말-특정 하향링크 기준신호 기반 SRS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특정 하향링크 기준신호들 중 하나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단말-특정 하향링크 기준신호들을 조합하여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7)

  1.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로 CRS(Common Reference Signal 또는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제 1 전송단 및 상기 단말로 PDSCH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 및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준 신호(Channel Statu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CSI-RS의 패턴 및 CSI-RS 포트의 수에 대한 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PDSCH를 복조하기 위한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M-RS는 PDSCH를 프리코딩(precoding)하는 매트릭스와 단위 매트릭스가 결합된 매트릭스에 의해 프리코딩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RS의 전송 전력 정보,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전송단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전송단을 지시하는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정보 제공 방법.
  9.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 또는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의 전송 전력의 정보, 및 상기 단말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 및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CRS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거나,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여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PUCCH의 전송 전력은 하기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Figure pat00018

    상기 수학식에서, PCMAX,c(i)는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P0_PUCCH는PUCCH를 전송함에 있어 보장되어야 하는 수신 전력, h(nCQI, nHARQ, nSR)는 CQI, HARQ, SR에 따른 오프셋, ΔF_PUCCH(F)는 PUCCH 포맷(F)에 따른 오프셋, ΔTxD(F')는 단말이 2개 안테나 포트에서 PUCCH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고려한 오프셋, g(i)는 전력 조절값이고, PLtp는 CRS 또는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계산된 경로 손실이다.
  11. 제 9 항에 있어서,
    PUSCH의 전송 전력은,
    PUSCH가 PUCCH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하기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고,
    Figure pat00019

    PUSCH가 PUCCH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하기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Figure pat00020

    상기 수학식에서, PCMAX ,c(i)는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Figure pat00021
    는 PCMAX ,c(i)의 선형 값,
    Figure pat00022
    는 PUCCH 전송 전력의 선형 값, MPUSCH ,c(i)는 PUSCH 자원 할당 대역폭, P0 _ PUSCH ,c(j)는 PUSCH를 전송함에 있어 보장되어야 하는 수신 전력, αc(j)는 경로 손실을 보상 정도, ΔTF ,c(i)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따른 오프셋, f(i)는 전력 조절값이고, PLtp는 CRS 또는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로부터 계산된 경로 손실이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준 신호(Channel Statu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CSI-RS의 패턴 및 CSI-RS 포트의 수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PDSCH를 복조하기 위한 기준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 DM-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M-RS는 PDSCH를 프리코딩(precoding)하는 매트릭스와 단위 매트릭스가 결합된 매트릭스에 의해 변환되어 전송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은 상기 DM-RS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상기 DM-RS의 변환된 신호 중 상기 단위 매트릭스에 의해 변환된 부분의 수신된 전력을 비교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은, 동일한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에 대해 특정된 DM-RS의 수신 전력 및 다른 단말에 대해 특정된 DM-RS의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RS의 전송 전력 정보,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 측정 단계에서, 상기 제 2 전송단이 상기 제 1 전송단과 동일한 경우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CRS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고, 상기 제 2 전송단이 상기 제 1 전송단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력 제어 단계는, 상기 제 2 전송단이 복수인 경우, 경로 손실의 최소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손실 측정 단계는, 상기 제 2 전송단이 복수인 경우, PDSCH의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이 최대인 제 2 전송단에 대하여 경로 손실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2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할 전송단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손실 계산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지시된 전송단에 대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할 전송단을 지시하는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2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단말이 수신 전력을 측정할 기준 신호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로 손실 계산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지시된 기준 신호에 대하여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수신 전력을 측정할 기준 신호를 지시하는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0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26. 단말로 CRS(Common Reference Signal 또는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제 1 전송단 및 상기 단말로 PDSCH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을 탐색하는 전송단 탐색부; 및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 및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7.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 또는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의 전송 전력의 정보, 및 상기 단말로 PDS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저장부;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 및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상기 제 1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CRS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CRS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거나, 상기 제 2 전송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전력의 정보와 측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비교하여 경로 손실(Path Loss)을 계산하는 경로 손실 계산부; 및
    상기 경로 손실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상향링크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10039200A 2011-04-26 2011-04-26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KR20120121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200A KR20120121299A (ko) 2011-04-26 2011-04-26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PCT/KR2012/003243 WO2012148192A2 (ko) 2011-04-26 2012-04-26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CN201380075548.6A CN105189808B (zh) 2011-04-26 2013-04-17 薄膜群、薄膜粒子以及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200A KR20120121299A (ko) 2011-04-26 2011-04-26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299A true KR20120121299A (ko) 2012-11-05

Family

ID=4707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200A KR20120121299A (ko) 2011-04-26 2011-04-26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20121299A (ko)
CN (1) CN105189808B (ko)
WO (1) WO2012148192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589A1 (ko) * 2013-01-11 2014-07-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송 지점 간 협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4175664A1 (en) * 2013-04-23 2014-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uplink in a beam forming system
KR20150100653A (ko) * 2012-12-26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034258A1 (ko) *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18203728A1 (ko) * 2017-05-04 2018-11-08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124312A (ko) * 2017-04-1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8986A (en) * 1978-07-03 1979-09-25 Polaroid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lamellar pigments
GB2326420B (en) * 1997-06-20 2001-03-14 Nippon Paint Co Ltd Metallic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multilayer coating
BR9914744A (pt) * 1998-10-23 2001-07-31 Avery Dennison Corp Processo para produção de flocos metálicos
US6270841B1 (en) * 1999-07-02 2001-08-07 Sigma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hin coating manufactured by vapor deposition of solid oligomers
FR2832736B1 (fr) * 2001-11-28 2004-12-10 Eppra Procede perfectionne de revetement d'un support par un materiau
KR101241910B1 (ko) * 2008-07-07 2013-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환경에서 사운딩 채널을 이용한 협력적 mimo 기법
KR101710394B1 (ko) * 2009-05-08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준 신호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68291B1 (ko) * 2009-07-10 2015-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기지국, 및 단말기의 동작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653A (ko) * 2012-12-26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31440B2 (en) 2013-01-11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cooperation between transmission points and method therefor
WO2014109589A1 (ko) * 2013-01-11 2014-07-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송 지점 간 협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986537B2 (en) 2013-01-1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cooperation between transmission points and method therefor
US11032800B2 (en) 2013-01-11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cooperation between transmission points and method therefor
WO2014175664A1 (en) * 2013-04-23 2014-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uplink in a beam forming system
US9544855B2 (en) 2013-04-23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uplink in a beam forming system
WO2017034258A1 (ko) *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0244482B2 (en) 2015-08-21 2019-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V2X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performing same
KR20190124312A (ko) * 2017-04-1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887842B2 (en) 2017-04-17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power control
US11864122B2 (en) 2017-04-17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power control
US10708088B2 (en) 2017-05-04 2020-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3728A1 (ko) * 2017-05-04 2018-11-08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63788B2 (en) 2017-05-04 2021-07-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762242C2 (ru) * 2017-05-04 2021-12-16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11336488B2 (en) 2017-05-04 2022-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99695B2 (en) 2017-05-04 2023-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8192A2 (ko) 2012-11-01
CN105189808B (zh) 2018-03-13
CN105189808A (zh) 2015-12-23
WO2012148192A3 (ko)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6035B2 (en) Uplink signaling for cooperative multipoint communication
JP7116274B2 (ja) 協調多地点通信のためのアップリンクシグナリング
US10721692B2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local area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8141428B (zh) 无线基站、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EP2606670B1 (en) Methods of point association for cooperative multiple point transmission
US20180255519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265052B2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8900224B (zh) 通信系统、通信系统中的网络节点、用户设备及方法
JP58140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6199768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A3057541A1 (en) Interference measur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140161093A1 (en) Terminal,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KR20140046037A (ko) 공유 셀 id를 갖는 이종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전력 제어에 이용되는 방법
WO2013103219A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 전력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41972A (ko) CoMP 방식에서의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채널상태정보 생성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
KR20130061586A (ko)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US929500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nd user equipment
WO2014148181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40032497A (ko) 업링크 전력 제어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장치
WO2013140434A1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及び無線端末
KR20120121299A (ko)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US20140192673A1 (en) Uplink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US2015038237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KR20130050267A (ko) 협력형 다중 포인트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송수신 포인트의 상향링크 통신방법, 그 송수신 포인트, 그 단말
CA3057541C (en) Interference measur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