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171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171A
KR20120114171A KR1020120035228A KR20120035228A KR20120114171A KR 20120114171 A KR20120114171 A KR 20120114171A KR 1020120035228 A KR1020120035228 A KR 1020120035228A KR 20120035228 A KR20120035228 A KR 20120035228A KR 20120114171 A KR20120114171 A KR 20120114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cell
failure
terminal
proced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5901B1 (en
Inventor
정경인
게르트-잔 반 리에샤우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CN201280027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597901B/en
Priority to US13/440,152 priority patent/US8824310B2/en
Priority to AU2012240726A priority patent/AU2012240726B2/en
Priority to JP2014503595A priority patent/JP5992995B2/en
Priority to PCT/KR2012/002556 priority patent/WO2012138135A2/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767522.1A priority patent/EP2695470B1/en
Publication of KR2012011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171A/en
Priority to US14/449,617 priority patent/US10264618B2/en
Priority to US14/604,183 priority patent/US9380632B2/en
Priority to US14/604,196 priority patent/US93986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random access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nd an apparatus thereo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allow a terminal to efficiently control a random access process. CONSTITUTION: A transceiver(801) trans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A controller performs random access for a first cell or a second cell. The controller senses failure to the random access.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random access is about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random access process according to whether to fail the random access to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Reference numerals] (801) Transceiver; (811) MAC random access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part; (821) RRC layer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반송파 집적화 동작에서의 단말기의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Efficient random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rrier integration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반송 파 집적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 중 하나로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 (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중이다. LTE는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최대 100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한편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와 달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과 채널 상황에 따라 할당할 수 있는 자원 등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통신시스템과 같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스케쥴러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자원의 양과 채널의 상황 및 데이터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전송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 중 하나인 LTE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쥴러가 무선 전송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한다. 최근 LTE 통신시스템에 여러가지 신기술을 접목하여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통신시스템 (LTE-A: LTE-Advanced)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상기 새롭게 도입될 기술 중에는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CA)이 있다. 반송파 집적 기술이란 기존의 통신에서 단말기 (User Equipment: UE)와 기지국 사이에서 다운링크 수신과 업링크 전송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여 부 반송파의 개수만큼 데이터 수신량/수신레이트나 전송량/전송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LTE에서는 주반송파로 구성된 셀을 PCell(Primary Cell, 또는 제1 셀, 이하 동일하다)이라고 하며 부반송파로 구성된 셀을 SCell (Secondary Cell, 또는 제2 셀, 이하 동일하다)이라 칭한다. 한편 중계기 및 원격 무선 장비 (Remote Radio Head: RRH/Repeater) 등의 도입으로 주반송파와 부판송파를 사용하는 라디오 송수신을 담당하는 안테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일 예로 주 반송파의 송수신 안테나는 기지국에 위치하며 부 반송파의 송수신 안테나는 RRH에 위치할 수 있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수신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타이밍과, 보다 가까운 위치의 수신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타이밍이 필요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업링크 타이밍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업링크 타이밍 획득을 위한 랜덤 액세스 동작에 대한 효율적인 핸들링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업링크 타이밍이 존재하는 경우 각 업링크 타이밍 획득을 위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되는 경우에 대한 효율적인 핸들링 방안을 정의한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communication while securing user mobility.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reached a stage capable of providing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service as well as voice communication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Recently,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is working on the specification of Long Term Evolution (LTE) as one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LTE is a technology that implements high-speed packet-based communication with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100 Mbps, which is higher than the data rate currently provided for commercialization in 2010. On the other hand, unlike a voice service, a data service can be allocated resourc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channel conditions. Therefo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anagement such as allocating a transmission resource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resources to be transmitted by the scheduler, channel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data. This is the same in LTE, one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a scheduler located in a base station manages and allocates radio transmission resources. Recently, a discussion about an advanced LTE communication system (LTE-A: LTE-Advanced), which improves transmission speed by incorporating various new technologies into an LT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in full swing. Among the newly introduced technologies, there is a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CA). In the carrier communication technology, only one carrier is used for downlink reception and uplink transmission between a user equipment (UE) and a base station in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The carrier carrier uses a subcarrier using a primary carrier and one or more subcarriers. It is a technique of increasing the data reception amount / reception rate or transmission amount / transmission rate by the number. In LTE, a cell configured as a primary carrier is called a PCell (Primary Cell, or a first cell, hereinafter same), and a cell configured as a subcarrier is called a SCell (Secondary Cell, or a second cell, hereinafter sa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tenna positio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radios using the main carrier and the subcarrier are chang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repeaters and remote radio heads (RRH / Repeater), for example,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s of the main carrier are located in the base station.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of the subcarrier may be located in the RRH), in which case the uplink timing for transmitting to a receiving antenna farther awa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for transmitting to a receiving antenna of a closer position Uplink timing may be required. That is, a plurality of uplink timings may exist, and an efficient handling scheme for a random access operation for obtaining the plurality of uplink timings is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n efficient handling scheme for a case where a random access for each uplink timing acquisition is problematic / fail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plink timings.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특히, 반송파 집적을 사용하는 이통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ntroll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by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ly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업링크 타이밍이 존재하는 반송파 집적화 동작에서, 각 업링크 타이밍 획득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문제/실패되는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PCell에서의 랜덤 액세스인지 SCell에서의 랜덤 액세스인지에 따라 별도의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 핸들링 방안을 제안한다. PCell에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되는 경우 상기 문제/실패를 탐지하는 단말기의 MAC (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에서 RRC (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로 상기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를 공지하며 RRC 레이어에서 기지국과의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동작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and the corresponding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수행하여 상기 기지국와의 연결 재설정이 성공하면 시그널링라디오베어러 (Signalling Radio Bearer)와 데이터라디오베어러 (Data Radio Bearer)를 재설정하고 암호화 (Ciphering)/무결성체크 (Integrity protection check)을 재시작한다. 반면 SCell에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되는 경우 상기 문제/실패를 탐지하는 단말기의 MAC 레이어에서 수행 중이던 랜덤 액세스를 중지한다. 반면 MAC 레이어에서 RRC 레이어로 상기 SCell에서의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를 공지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rrier integration ope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plink timings exist, when the random access procedure for acquiring each uplink timing is problematic / failure, whether the random access procedure is random access in the PCell or random access in the SCell. Therefore, we propose a separat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handling scheme. When random access is a problem / failure in the PCell,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is notified from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of a terminal detecting the problem / failure to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and the RRC layer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Performing an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and the corresponding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to reset the connection and resetting the signaling radio bearer and the data radio bearer. Restart the Ciphering / Integrity protection check. On the other hand, if the random access is a problem / failure in the SCell, the random access that is being performed in the MAC layer of the terminal detecting the problem / failure is stopped. On the other hand,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in the SCell is not known from the MAC layer to the RRC layer.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셀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을 집적하여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에 대한 실패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실패 감지된 랜덤 액세스가 상기 제1 셀에 대한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셀에 대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여부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계속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first cell and the at least one second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ted and used, the random access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may include performing random access to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Detecting a failure for the random access, determining whether the failure detected random access is for the first cell or for the second cell, and random access for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according to the failure.

또한, 본 발명의 제1 셀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을 집적하여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말은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에 대한 실패를 감지하며, 상기 실패 감지된 랜덤 액세스가 상기 제1 셀에 대한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셀에 대한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여부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계속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first cell and at least one second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ted and used, a terminal performing random access to a base station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first cell or the first cell. Perform a random access to two cells, detect a failure for the random access, determine whether the failed detected random access is for the first cell or for the second cell, and determines the first cell 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according to whether a random access to a second cell has fai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업링크 타이밍이 존재하는 경우 각 업링크 타이밍 획득을 위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되는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를 효율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uplink timings, when random access for each uplink timing acquisition is problematic / failed, the random access procedure can be efficiently handled.

도1. 3GPP 시스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2. 3GPP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3. 반송파 집적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 업링크 타이밍 싱크 절차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5. 반송파 집적화에서 복수개의 업링크 타이밍이 필요한 시나리오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6. 제안하는 반송파 집적화 동작에서의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 핸들링 방안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7. 도6 실시예에 대한 단말기 동작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8. 도6 실시예에 대한 단말기의 장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Fig.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3GPP system architecture.
Fig.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radio protocol architecture of a 3GPP system.
3.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carrier integration.
Figure 4. Figure 1 illustrates one embodiment for the need and role of an uplink timing sync procedure.
Figure 5. Illustrates one embodiment for a scenario in which multiple uplink timings are required in carrier integration.
Figure 6.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Handling Scheme in Proposed Carrier Integration Operation A flowchart illustrating one embodiment.
Figure 7.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terminal operation flowchart for the embodiment.
Figure 8.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device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일 실시예 시스템인 3GPP LTE 시스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3GPP LTE system structure, which is an embodimen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또는 Node B라 한다)(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 (130 Serving ? Gateway)로 구성된다.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next-generation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Evolved Node B, ENB or Node B) 105, 110, 115, and 120,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and 130 Serving Gateway (S-GW). It is composed of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한다)(135)은 ENB 및 S-GW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The user equip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UE) 135 connects to an external network through the ENB and S-GW. The ENBs 105 to 120 correspond to existing Node Bs of the UMTS system.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The ENB is connected to the UE 135 by a radio channel and performs a more complicated role than the existing Node B. In LTE, all user traffic, including real-time services such as Voice over IP (VoIP) over the Internet protocol, is serviced through a shared channel, which requires a device that collects the UE's context information and schedules it. 105-120).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최대 100 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는 최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One ENB typically controls multiple cells. In order to realize a transmission rate of up to 100 Mbps, LTE us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as a radio access technology in a bandwidth of up to 20 MHz. In addition, an adaptive modulation & coding (AMC) scheme that determines a modulation scheme and a channel coding rate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of the terminal is applied.

S-GW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MME는 각 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S-GW is a device that provides a data bearer, and generates or removes a data bearer under the control of the MME. MME MME is a device that is responsible for various control functions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adio protocol structure in an LT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기와 ENB에서 각각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RC (Radio Resource Control 208, 238), RLC (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 230), PHY (Physical 2210, 225)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protocol of the LTE system is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RC (Radio Resource Control 208, 238), RLC (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t the terminal and ENB, respectively. Access Control 215, 230), PHY (Physical 2210, 225).

PDCP는 IP 헤더 압축/복원과 무선프로토콜상의 암호화 (Ciphering)와 무결성보장체크 (Integrity Protection Check)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RRC는 라디오자원 핸들링을 위한 상위 레이어의 제어정보 메시지 전송 및 관련 동작/프로시져을 정의한다. PDCP is responsible for IP header compression / restore, ciphering and integrity protection checks over wireless protocols. The RRC defines the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messages and related actions / procedures of upper layers for radio resource handling.

RLC는 PDCP PDU (Packet Data Unit)을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RLC reconfigures the PDCP Packet Data Unit (PDU) to the appropriate size.

MAC은 한 단말기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MAC is connected to several RLC layer devices configured in one terminal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multiplexing the RLC PDUs to the MAC PDU and demultiplexing the RLC PDUs from the MAC PDU.

물리계층 (PHY)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physical layer (PHY) performs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on higher layer data, makes an OFDM symbol, transmits it to a radio channel, or demodulates, decodes, and channel-decodes an OFDM symbol received through the radio channel to a higher layer.

도3은 단말기에서 반송파 집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carrier aggregation in a terminal.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반송파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들어 기지국 (305)에서 중심주파수가 f1인 반송파 (315)와 중심주파수가 f3 (310)인 반송파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개의 반송파 중에서 하나의 반송파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수신하였다. In one base station, multiple carriers are generally transmitted and received over several frequency bands. For example, when a carrier 315 having a center frequency of f1 and a carrier having a center frequency of f3 310 are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305, one terminal uses data from one of the two carriers. Received.

그러나 반송파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는 동시에 여러 개의 반송파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 (305)은 반송파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 (3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반송파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330)의 데이터 수신 레이트를 높일 수 있다. 상기는 기지국에서 반송파의 송출 측면에서 설명하였으며 기지국에서 반송파의 수신 측면에서도 동일하다. 종래에서는 하나의 단말기가 복수개의 반송파 중에서 하나의 반송파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신하였으나 반송파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는 동시에 여러 개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높일 수 있다. However, a terminal having a carrier aggregation capability may receive data from several carriers at the same time. The base station 305 may increase the data reception rate of the terminal 330 by allocating more carriers to the terminal 330 having the carrier aggregation capabi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above is described in terms of transmitting a carrier in a base station, and the same is true in terms of receiving a carrier in a base station. Conventionally, although one terminal transmits data using one carrier among a plurality of carriers, a terminal having carrier aggregation capability may increase data transmission rate by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using multiple carriers.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반송파와 하나의 역방향 반송파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반송파 집적이란 단말기가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반송파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In the conventional sense, when one forward carrier and one backward carrier transmitted and received by one base station constitute one cell, carrier aggregation may be understood as a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multiple cells at the same time. . Through this, the maximum transmission rate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arriers integrated.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기가 임의의 순방향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반송파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반송파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receiving data through an arbitrary forward carrier or transmitting data through an arbitrary backward carrier includes a control channel provided by a cell corresponding to a center frequency and a frequency band that characterize the carrier; It has the same meaning as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data channel.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suming an LTE syst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도 4는 OFDM 다중화방식을 적용한 3GPP LTE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타이밍싱크절차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necessity and a role of an uplink timing sink procedure in a 3GPP LTE system using an OFDM multiplexing scheme.

UE1(이하 단말기1이라고 칭함)은 ENB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단말기를 나타내며, UE2(이하 단말기2라고 칭함)는 ENB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기를 나타낸다. 제1 전파지연시간(T_pro1)은 상기 단말기1까지의 라디오전송에 있어서의 전파지연시간(Propagation delay time)을 나타내며, 제2 전파지연시간(T_pro2)은 상기 단말기2까지의 라디오전송에 있어서의 전파지연시간을 나타낸다. UE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 1) indicates a terminal located near to the ENB, and UE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 2) refers to a terminal far from the ENB. The first propagation delay time T_pro1 represents a propagation delay time in radio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1, and the second propagation delay time T_pro2 is radio wave in radio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2 Delay time.

단말기1이 단말기2에 비해 ENB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전파지연시간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4에서 T_pro1은 0.333us, T_pro2는 3.33us를 보임). Since terminal 1 is located closer to ENB than terminal 2, it has a relatively small propagation delay time (T_pro1 shows 0.333us and T_pro2 shows 3.33us in FIG. 4).

ENB의 한 셀에서 상기 단말기1과 단말기2의 초기 업링크 타이밍은 ENB가 탐지하는 셀 내 단말기들의 업링크 타이밍과 맞지 않다. 401은 단말기1의 특정 OFDM 심벌 (Symbol)에 대한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나타내며 403은 단말기2의 상기 OFDM 심벌에 대한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나타낸다. The initial uplink timing of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in one cell of the ENB does not match the uplink timing of the terminals in the cell detected by the ENB. 401 indicates an uplink transmission timing for a specific OFDM symbol of the terminal 1 and 403 indicates an uplink transmission timing for the OFDM symbol of the terminal 2.

단말기1과 단말기2의 업링크 전송의 전파지연시간을 고려하면 상기 업링크 OFDM 심벌을 수신하는 ENB에서의 수신 타이밍은 407, 409와 같다. 즉 401 단말기1의 업링크 전송은 짧은 전파지연시간을 가지고 407의 타이밍에 ENB에 수신되며 403 단말기2의 업링크 전송은 상대적으로 긴 전파지연시간을 가지고 409의 타이밍에 ENB에 수신된다. 405는 ENB의 기준 수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407, 409는 아직 단말기1, 단말기2에 대해 업링크 타이밍 동기를 맞추기 전이기 때문에 ENB가 상기 OFDM 심벌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기준 타이밍인 405와 단말기1로부터의 OFDM 심벌을 수신하는 타이밍 407, 그리고 단말기2로부터의 OFDM 심벌을 수신하는 타이밍인 409가 각각 틀리다. 그러므로 단말기1과 단말기2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OFDM 심벌은 405 기준 수신 타이밍에서 수신되는 상향링크 OFDM 심벌과 직교성 (Orthogonality)을 가지지 않으므로 서로 간섭 (Interference)으로 작용하며 ENB는 상기 간섭으로 인해 각 OFDM 심벌을 성공적으로 디코딩 (Decoding)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Considering the propagation delay time of the uplink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the reception timing in the ENB for receiving the uplink OFDM symbol is equal to 407 and 409. That is, the uplink transmission of the 401 terminal 1 is received by the ENB at the timing of 407 with a short propagation delay time, and the uplink transmission of the 403 terminal 2 is received by the ENB at the timing of 409 with a relatively long propagation delay time. 405 represents a reference reception timing of the ENB. Since 407 and 409 are still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the reference timing 405 at which ENB receives and decodes the OFDM symbol and the timing 407 for receiving the OFDM symbol from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409, timing of receiving an OFDM symbol from two, is different. Therefore, since the uplink OFDM symbol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do not have orthogonality with the uplink OFDM symbol received at the 405 reference reception timing, the uplink OFDM symbols act as interferences with each other and the ENBs cause the respective OFDM symbols due to the interferenc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successfully decoded.

업링크 타이밍 싱크 절차는 단말기1, 단말기2, E-NB의 업링크심벌 수신타이밍을 동일하게 맞추는 과정이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싱크프로시져를 끝내면 411, 413, 415와 같이 E-NB가 업링크 OFDM 심벌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시작 타이밍을 맞추게 된다. The uplink timing sync procedure is a process of matching the uplink symbol reception timings of the terminal 1, the terminal 2, and the E-NB equally. When the uplink timing sink procedure is finished, the E-NB performs uplink OFDM as shown in 411, 413, and 415. The timing of receiving and decoding symbols is set.

업링크 타이밍 싱크 절차에서 ENB는 상기 단말기들에게 타이밍 어드밴스 (Timing Advance, 이하 TA 정보라 칭함) 정보를 전송하여 수신 기준 다운링크 대비 얼마만큼 타이밍을 조절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TA 정보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단말기가 초기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 (Random Access Response, 이하 RAR로 칭함)를 통해 전송되거나 타이밍 어드밴스 커맨드 (Timing Advance Command) MAC Control Element (이하 TAC MAC CE라 칭함)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In the uplink timing sync procedure, the ENB transmits timing advance (Timing Adv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how much uplink transmission should be performed by adjusting timing relative to the reception downlink. Inform. TA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random access respon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R) for a random access preambl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in the random access process or a timing advance command MAC control el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C MAC CE). It may be transmitted through).

도 5는 반송파 집적화에서 복수개의 업링크 타이밍이 필요한 시나리오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cenario in which a plurality of uplink timings is required in carrier integration.

F1 주파수 대역 (505)을 사용하는 매크로 기지국 (501)의 주위에 F2 주파수 대역 (507)을 사용하는 원격무선장비 (Remote Radio Head: RRH) (503)들이 분포해 있다. 만약 단말기가 매크로 기지국과 원격무선장비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즉 단말기가 원격무선장비 근처에 위치해서 F1 주파수 대역과 F2 주파수 대역을 업링크 전송을 위해 반송파 집적화함) 원격무선장비와의 다운링크와 업링크 전송은 짧은 전파지연시간을 가지며 반면 매크로 기지국과의 다운링크와 업링크 전송은 상대적을 긴 전파지연시간을 가지므로, 원격무선장비로의 업링크 전송 타이밍은 매크로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전송 타이밍과 틀리다. The Remote Radio Head (RRH) 503 using the F2 frequency band 507 is distributed around the macro base station 501 using the F1 frequency band 505. If the terminal uses both the macro base station and the remote radio at the same time (ie, the terminal is located near the remote radio, the carrier integrates the F1 and F2 frequency bands for uplink transmission) and the downlink with the remote radio. Uplink transmission has a short propagation delay time, while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with a macro base station have a relatively long propagation delay time, so the uplink transmission timing to the remote radio equipment is the uplink transmission timing to the macro base station. And wrong.

즉, 상기 반송파 집적 시나리오에서는 복수개의 업링크 전송 타이밍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초기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는 원격무선장비로 F2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여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매크로기지국으로 F1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여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각각 맞추어야 한다. 다시 말해, 캐리어 집적화에서 복수개의 업링크 전송 타이밍이 존재하면 상기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복수 셀에 대해서 필요하게 된다(상기 복수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동일 타이밍에 수행될 필요 없음). That is, in the carrier aggregation scenario, a plurality of uplink transmission timings are required. Accordingly, in order to match the initial uplink transmission tim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s performed to the remote wireless equipment by F2 to randomize the uplink transmission timing to a macro base station to F1. The access procedure must be performed to match each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other words, if there are a plurality of uplink transmission timings in carrier integration, a random access procedure for matching the uplink transmission timing is required for the plurality of cells (the random access procedure for the plurality of cells needs to be performed at the same timing). none).

본 발명에서 동일한 업링크 타이밍을 가지는 반송파들에 대한 그룹을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 (Timing Advance Group: TAG)라고 명칭한다. 예를들어 PCell에 3개의 SCell A, B, C가 집적화되고 PCell과 SCell A가 동일한 업링크 타이밍을 가지고 SCell B와 SCell C가 동일한 업링크 타이밍을 가진다면, PCell과 SCell A가 TAG#0에 속하며 SCell B와 SCell C가 TAG#1에 속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group for carriers having the same uplink timing is referred to as a timing advance group (TAG). For example, if three SCells A, B, and C are integrated in a PCell, PCell and SCell A have the same uplink timing, and SCell B and SCell C have the same uplink timing, then PCell and SCell A are assigned to TAG # 0. SCell B and SCell C may belong to TAG # 1.

이하에서는, PCell이 포함된 TAG#0을 PTAG (Primary TAG)라고 PCell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TAG#1을 STAG로 명칭할 수 있다. PCell은 주반송파의 서빙셀 (Serving cell)을 호칭하며 통상 RRC 연결을 처음에 설정 (RRC Connection Establishment)했거나 RRC 연결을 재설정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했거나 핸드오버 (Handover: HO)의 대상이 되는 셀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복수 셀에 대해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를 효율적으로 핸들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Hereinafter, TAG # 0 including the PCell may be referred to as PTAG (Primary TAG) and TAG # 1 not including the PCell as STAG. The PCell refers to the serving cell of the primary carrier and is usually the one that initially established the RRC connection, established the RRC connection, established the RRC connection, or was the target of a handover (HO). It is a cell.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efficiently handling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that may occur when a random access procedure is performed on a plurality of cells described above.

도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반송파 집적화 동작에서의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에 대한 핸들링 방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andling scheme for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in the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 (601)은 기지국 (611)에 PCell (613)로만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 반송파 집적을 설정하도록 결정한다 (621). 603은 단말기 내의 RRC 프로토콜 레이어, 606은 단말기 내의 MAC 프로토콜 레이어, 609는 단말기 내의 PHY 프로토콜 레이어를 도시한다. 기지국은 단말기를 위해 반송파 집적 설정을 결정하면 RRC 레이어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반송파 집적화를 위해 추가할 SCell (616)에 대한 구성정보를 시그널링하여 상기 SCell을 반송파 집적 대상 셀로 추가한다 (631). 이때 상기 SCell의 업링크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를 STAG id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에게 알려준다. The terminal 601 determines that the base station establishes carrier aggregation in the terminal while the terminal 601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611 only by the PCell 613 (621). 603 shows an RRC protocol layer in the terminal, 606 shows a MAC protocol layer in the terminal, and 609 shows a PHY protocol layer in the terminal. Whe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a carrier aggregation setting for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RRC layer message to signal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the SCell 616 to be added for the carrier integration, and adds the SCell to the carrier aggregation target cell (631).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uplink transmission timing of the SCell is informed to the terminal using information such as STAG id.

만약 단말기가 현재 상기 STAG id에 대한 업링크 타이밍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면 상기 SCell은 새로운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요구한다. 상기 RRC 레이어 메시지의 일 예로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If the terminal is not currently maintaining the uplink timing for the STAG id, the SCell requires a new uplink transmission timing. As an example of the RRC layer message,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procedure may be used.

기지국은 이후 상기 반송파 집적화를 위해 추가된 SCell을 필요에 따라 활성화시킨다 (633). 상기 SCell에 대한 활성화 지시 메시지의 일예로 MAC 활성화 제어(Activation MAC CE)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then activates the added SCell as needed for the carrier integration (633). An MAC activation control message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the activation indication message for the SCell.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활성화된 SCell은 단말기가 기존에 유지하고 있는 업링크 전송 타이밍 (도6에서는 613 PCell에 대한 업링크 전송 타이밍)과 틀린 새로운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필요로 함을 가정한다. SCell에 대한 업링크 전송 타이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기지국은 상기 SCell에 대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636). 상기 명령 메시지의 일 예로 PDCCH 명령(PDCCH order)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PHY 레이어 (609)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 명령을 MAC 레이어에게 알리며 (639), 상기 MAC 레이어는 전송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PHY 레이어로 알리면 (641) PHY 레이어가 기지국으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642).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activated SCell needs a new uplink transmission timing that is different from the uplink transmission timing (the uplink transmission timing for the 613 PCell in FIG. 6) that the terminal maintains. The base station instructs to perform a random access procedure for the SCell to obtain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formation for the SCell (636). As an example of the command message, a PDCCH order message may be used. The PHY layer 609 notifies the MAC layer of the random access procedure execution command (639), and the MAC layer selects a random access preamble to transmit and notifies the PHY layer (641). The PHY layer transmits the random access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642).

단말기는 상기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지 못하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재)전송한다 (645, 646, 648, 649). 상기 (재)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횟수가 일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MAC 레이어에서 랜덤 액세스에 대한 문제 및/또는 실패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651). If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a response message for the transmitted random access preamble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re) transmits the random access preamble (645, 646, 648, 649). If the number of the (re) transmitted random access preambles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and / or failure for random access in the MAC layer (651).

만약 상기 랜덤 액세스에 대한 문제가 S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라면 (651) MAC은 상기 S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지하고 더 이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재)전송하지 않는다 (653). If the problem with the random access is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for the SCell (651), the MAC stops the random access procedure for the SCell and no longer (re) transmits the random access preamble (653).

661에서는 이후 기지국이 다시 PDCCH order를 전송하여 S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것을 명령하며 이번에는 상기 S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상기 SCell에 대한 TA 정보를 획득하여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획득함을 가정한다. SCell에 대한 업링크 타이밍을 획득하였으므로 PCell 뿐만 아니라 상기 SCell에 대해서도 업링크 스케쥴링이 가능하며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에 의한 업링크 전송이 발생할 수 있다 (663). In step 661, the base station again instructs the PDCCH order to perform a random access procedure for the SCell. This tim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for the SCell is completed successfully to obtain the TA information for the SCell uplink transmission timing Assume that is obtained. Since the uplink timing of the SCell is obtained, uplink scheduling is possible not only for the PCell but also for the SCell, and uplink transmission may occur due to the uplink scheduling (663).

이후 기지국이 이번에는 PCell에 대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것을 명령한다 (671). PHY 레이어 (609)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 명령을 MAC 레이어에게 알리며 (673), 상기 MAC 레이어는 전송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PHY 레이어로 알리면 (674) PHY 레이어가 기지국으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675). The base station then instructs this time to perform a random access procedure for the PCell (671). The PHY layer 609 notifies the MAC layer of the command to perform the random access procedure (673), and if the MAC layer selects a random access preamble to transmit and notifies the PHY layer (674), the PHY layer transmits the random access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675).

단말기는 상기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지 못하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재)전송한다 (676, 677, 678, 679). 상기 (재)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횟수가 일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MAC 레이어에서 랜덤 액세스에 대한 문제/실패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681). If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a response message for the transmitted random access preamble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re) transmits the random access preamble (676, 677, 678, 679). If the number of the (re) transmitted random access preambles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 failure for random access in the MAC layer (681).

만약 상기 랜덤 액세스에 대한 문제가 P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라면 (681) MAC은 상기 랜덤 액세스에 문제/실패가 있음을 RRC 레이어 (603)으로 공지하며 상기 공지를 수신받은 RRC 레이어는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691). If the problem with the random access is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for the PCell (681), the MAC notifies the RRC layer 603 that there is a problem / failure with the random access and the RRC layer receiving the notification is connected to the RRC connection. Perform the procedure to reset the (691).

도6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를 공지받은 RRC 레이어는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절차로 바로 수행하는 대신 RRC 레이어에서의 특정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좀 더 기다렸다가 만약 여전히 MAC 레이어에서 랜덤 액세스를 성공적으로 수행안되면 그때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절차의 일 예로서 RRC 연결 재형성(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과, 그 이후의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6, the RRC layer that is notified of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waits a little longer until a specific timer in the RRC layer expires instead of immediately performing a procedure for resetting the RRC connection. If not successful, then the procedure to reset the RRC connection may be performed. As an example of the procedure for resetting the RRC connection, an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and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procedure thereafter may be used.

상기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절차는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링크가 끊겼음을 가정하여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와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를 재설정하고 라디오 인터페이스 상의 보안 (security, 암호화와 무결성체크 동작을 일컫음)을 재시작하기 위함이다. The procedure for resetting the RRC connection is to reset the signaling radio bearer and the data radio bearer assuming that the link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s broken, and to restart the security (referring to security, encryption and integrity check operations) on the radio interface. .

또한 P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시에는 RRC 레이어에서 MAC 레이어로 랜덤 액세스 절차 중지를 지시하기 전에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 탐지 후에도 RRC 레이어에서의 중지 조건이나 지시가 있을 때까지 계속 (재)전송될 수 있다. RRC 레이어의 랜덤 액세스 중지 조건의 일예로 RRC 연결 재형성(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의 시작이나 PCell의 변경이나 RRC 레이어의 특정 타이머의 종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도6에서는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 발생 시, PCell에서의 랜덤 액세스인지 SCell에서의 랜덤 액세스 인지에 따라 차별적인 별도 핸들링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P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더 중요할 것임을 가정하였으나 도6과 반대의 핸들링 방안도 적용가능하다 (도6의 P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시의 핸들링 방안과 S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시의 핸들링 방안의 스와핑도 적용 가능함).
In addition, in case of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for the PCell, the random access procedure may continue until the RRC layer instructs the MAC layer to stop the random access procedure. That is, the random access preamble may be continuously (re) transmitted even after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detection until there is a stop condition or an indication in the RRC layer. As an example of the random access stop condition of the RRC layer, the start of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the change of the PCell, or the termination of a specific timer of the RRC layer may be used. In conclusion, in FIG. 6, when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occurs, a separate handling scheme is discrimin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random access is performed in the PCell or the random access in the SCell.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random access to the PCell will be more important, but a handling scheme opposite to that of FIG. 6 is also applicable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handling scheme and the random access problem to the SCell of FIG. Swapping of handling methods in case of failure is also applicable).

도 6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일 실시예로서 PCell에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되는 경우나 SCell에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되는 경우 모두 MAC 레이어가 RRC 레이어로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가 있음을 RRC 레이어로 공지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RRC 레이어로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가 있음을 RRC 레이어로 공지할 때에 어떤 셀의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가 있었는지 또는 어떤 TAG에 해당하는 셀에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가 있었는지 추가 정보를 알려줘야 하며, 상기 정보를 수신받은 RRC 레이어는 PCell의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한 경우에는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반면 SCell의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한 경우에는 기지국에게 RRC 메시지로 어떤 SCell에서 또는 어떤 STAG에 포함된 셀에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했음을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6,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random access is a problem / failure in the PCell or when the random access is a problem / failure in the SCell, the MAC layer is an RRC layer. It may be known. In this case, however, when the RRC layer announces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to the RRC layer, which cell has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or which TAG has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should be informed, and the RRC layer receiving the information performs the RRC connection resetting procedure when the random access of the PCell is a problem / failure. Or, it may signal that random access has a problem / failure in a cell included in a certain STAG.

상기 정보를 수신받은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수행을 재명령하거나 또는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한 셀을 해제시키거나 (release) 반송파 집적화를 위한 셀들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등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information may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re-commanding random access, releasing a cell having a random / failed random access, or 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cells for carrier integration.

도 7은 도6 실시예에 대한 단말기 동작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terminal operation flow diagram for the FIG. 6 embodiment.

701에서는 MAC 레이어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문제/실패를 탐지한다.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의 문제/실패 탐지의 일 실시예는 (재)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횟수가 일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랜덤 액세스에 문제/실패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의 문제/실패가 탐지되면 상기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가 PCell의 랜덤 액세스에 대한 문제/실패인지 S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인지를 판단한다 (711). 만약 S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라면 MAC 레이어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단/종료한다 (721).In 701, the MAC layer detects a problem / failure of a random access procedure. An embodiment of problem / failure detection of the random access procedure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problem / failure in random access when the number of (re) transmitted random access preambles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When a problem / failure of a random access procedur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is a problem / failure for random access of the PCell or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for the SCell (711). If random access to the SCell is a problem / failure, the MAC layer stops / terminates the random access procedure (721).

반면 만약 PCell에 대한 랜덤 액세스가 문제/실패라면 MAC 레이어는 상기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를 RRC 레이어로 공지하는 한편 랜덤 액세스 절차는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731). On the contrary, if the random access to the PCell is a problem / failure, the MAC layer may announce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to the RRC layer whil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731).

MAC으로부터 상기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 정보를 공지받은 RRC 레이어는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며 특정 조건 만족시 MAC에게 랜덤 액세스 절차 중단/종료을 지시한다 (741). The RRC layer, which is informed of the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information from the MAC, performs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procedure and instructs the MAC to abort / end the random access procedure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741).

상기 특정 조건의 일예로서 RRC 연결 재형성(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의 시작이나 PCell의 변경이나 RRC 레이어의 특정 타이머의 종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7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랜덤 액세스 문제/실패를 공지받은 RRC 레이어는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절차로 바로 수행하는 대신 RRC 레이어에서의 특정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좀 더 기다렸다가 만약 여전히 MAC 레이어에서 랜덤 액세스를 성공적으로 수행안되면 그때 RRC 연결을 재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RRC로부터 랜덤 액세스 절차 중단/종료를 지시받으면 MAC은 랜덤 액세스 절차가 여전히 수행중이었다면 중단/종료한다.
As an example of the specific condition, a start of an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a change of a PCell, or an end of a specific timer of an RRC layer may be used. Although not shown in FIG. 7, the RRC layer that is notified of a random access problem / failure waits a little longer until a specific timer in the RRC layer expires instead of immediately performing a procedure for resetting the RRC connection. If not successful, then the procedure to reset the RRC connection may be performed. If instructed to abort / terminat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from the RRC, the MAC abort / terminate if the random access procedure was still running.

도 8은 도6 실시예에 대한 단말기 장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erminal device block diagram for the FIG. 6 embodiment.

단말기는 송수신부 (801)을 통해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transceiver 801.

RRC 레이어 (821)에서는 RRC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부를 통해 기지국에게 전송하거나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RR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해독하고 수신된 정보에 의해 관련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RRC 레이어에서는 MAC 레이어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절차 문제/탐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으면 관련 절차를 수행하며 MAC 레이어로 랜덤 액세스 절차 중단/종료 등을 지시할 수 있다. The RRC layer 821 generates an RRC control message and transmits it to a base station through a transceiver, or receives an RRC control message received through a transceiver, decrypts it, and performs a related procedur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RRC layer receives information on a problem / detection of a random access procedure from the MAC layer, the RRC layer performs a related procedure and may instruct the MAC layer to stop / end the random access procedure.

MAC 랜덤 액세스 수행 및 관리부 (811)에서는 송수신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을 지시받거나 단말기 내부에서 RRC로부터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 시작을 지시받거나 MAC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유발되면 해당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며 랜덤 액세스 절차에 문제/실패가 탐지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중단/종료하거나 또는 RRC 레이어로 랜덤 액세스 절차 문제/실패를 공지한다. When the MAC random access performing and managing unit 811 is instructed to perform a random access procedure for a specific cell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transceiver, or is instructed to start perform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from an RRC inside a terminal, or a random access procedure is triggered from a MAC, the corresponding random access is performed. When the procedure is performed and a problem / failure is detected in the random access procedur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is automatically stopped or terminated or a random access procedure problem / failure is notified to the RRC layer.

한편, 도 8의 단말기 장치 블록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한 모든 과정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terminal device block diagram of Figure 8, it should be noted that all the above process can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이 경우, 제어부는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에 대한 실패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보는 상기 실패 감지된 랜덤 액세스가 상기 제1 셀에 대한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셀에 대한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여부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계속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performs random access on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and detects a failure for the random access. The control beam determines whether the failure-detected random access is for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and continues the random access procedure according to whether the random access to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fails. Determine whether or not.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1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1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 구동 완료 전까지 상기 랜덤 액세스 실패 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controls to perform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when detecting a random access failure for the first cel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rive a timer when detecting a random access failure for the first cell and perform the RRC connection resetting procedure upon the random access failure until the timer is completed.

반면, 상기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제어부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upon detecting a random access failure for the second cell, the controller controls to stop performing the random access procedure.

Claims (10)

제1 셀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을 집적하여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에 대한 실패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실패 감지된 랜덤 액세스가 상기 제1 셀에 대한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셀에 대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여부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계속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
A random access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first cell and at least one second cell are integrated and used,
Performing random access to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Detecting a failure for the random access;
Determining whether the failed detected random access is for the first cell or for the second cell;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according to whether the random access to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has fai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덤 액세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The random access control method for random access to the first cel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resetting procedure.
제2항에 있어서,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 구동 완료 전까지 상기 랜덤 액세스 실패 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Driving a timer upon detection of a random access failure for the first cell; And
And performing the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when the random access fails before completion of the timer dri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And stopping the execution of the random access procedure when detecting a random access failure for the second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설정된 횟수 이상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시, 상기 랜덤 액세스 실패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And determining that the random access has failed when transmitting the random access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제1 셀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셀을 집적하여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에 대한 실패를 감지하며, 상기 실패 감지된 랜덤 액세스가 상기 제1 셀에 대한 것인지 또는 상기 제2 셀에 대한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셀 또는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여부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계속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A terminal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to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first cell and at least one second cell are integrated and used,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And
Perform a random access to the first cell or a second cell, detect a failure for the random access, determine whether the failed detected random access is for the first cell or for the second cell,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the random access procedure according to whether the random access to the first cell or the second cell has fail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detecting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 when detecting a random access failure for the first cel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 구동 완료 전까지 상기 랜덤 액세스 실패 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The apparatus of claim 7,
And a timer is driven when the random access failure is detected for the first cell and the RRC connection resetting procedure is performed when the random access fails until the timer is comple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셀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실패 감지 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n the random access failure is detected for the second cell,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stop performing the random access proced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횟수 이상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시, 상기 랜덤 액세스 실패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transmitting the random access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etermining that the random access has failed.
KR1020120035228A 2011-04-05 2012-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KR101975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40,152 US8824310B2 (en) 2011-04-05 2012-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U2012240726A AU2012240726B2 (en) 2011-04-05 2012-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JP2014503595A JP5992995B2 (en) 2011-04-05 2012-04-05 Random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2/002556 WO2012138135A2 (en) 2011-04-05 2012-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CN201280027583.6A CN103597901B (en) 2011-04-05 2012-04-05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Stochastic accessing is controlled in carrier aggreg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2767522.1A EP2695470B1 (en) 2011-04-05 2012-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US14/449,617 US10264618B2 (en) 2011-04-05 2014-08-0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US14/604,183 US9380632B2 (en) 2011-04-05 2015-01-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US14/604,196 US9398632B2 (en) 2011-04-05 2015-01-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1872P 2011-04-05 2011-04-05
US61/471,872 2011-04-05
US201261592568P 2012-01-30 2012-01-30
US61/592,568 2012-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171A true KR20120114171A (en) 2012-10-16
KR101975901B1 KR101975901B1 (en) 2019-05-08

Family

ID=4728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228A KR101975901B1 (en) 2011-04-05 2012-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5901B1 (en)
ES (1) ES2740350T3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7924B2 (en) 2013-11-19 2021-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4228A2 (en) * 2009-04-23 2010-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4228A2 (en) * 2009-04-23 2010-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 (E-UTRA);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0)", 3GPP TS 36.321 V10.0.0 (2010.12.17.)* *
ZTE, "Consideration on SCell RLM in Carrier Aggregation", 3GPP TSG-RAN WG4 meeting AH#4, R4-103527 (2010.10.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7924B2 (en) 2013-11-19 2021-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901B1 (en) 2019-05-08
ES2740350T3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3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carrier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1627627B2 (e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US11743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992995B2 (en) Random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9591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1020725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carrier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20150043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61461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908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carrier
KR201100854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pport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in mobile system
KR1019759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CN110267355B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supporting random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18178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