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391A -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391A
KR20120107391A KR1020110025057A KR20110025057A KR20120107391A KR 20120107391 A KR20120107391 A KR 20120107391A KR 1020110025057 A KR1020110025057 A KR 1020110025057A KR 20110025057 A KR20110025057 A KR 20110025057A KR 20120107391 A KR20120107391 A KR 20120107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harger
signal
charg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89540B1 (en
Inventor
이성훈
곽봉식
서정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540B1/en
Publication of KR2012010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wireless charger and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wirelessly charged are provided to prevent confusion of a user by compartmentalizing announcement signals generating i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STITUTION: The charge of a battery is started using electricity which is wirelessly received from a wireless charger(S221). A mode for informing a user the receipt of a call or a message is changed into an acoustic mode. The battery performs data communications with the wireless charger. One or more signals among an audio signal, an image signal, and a data signal are transferred to the wireless charg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s when an error among the audio signal, the im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is generated(S223).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Yes; (CC) End; (DD) Communication is preformed with a charger; (EE) One or more signals among an audio signal, an image signal, and a data signal to be output are transferred to the charger; (S221) Wireless charging is started?

Description

무선 충전 방법, 무선 충전기, 무선 충전되는 전자 기기{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charger,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사용자의 각종 전자 기기들은 휴대성이 강조됨에 따라 점차 보다 배터리의 효율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고효율화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었다.As the portability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of the user is emphasized, battery efficiency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refore, various techniques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have been proposed.

이와 같이 배터리를 고효율화하고자 하는 시도들은 있었으나, 배터리의 충전에 있어서는 큰 진전이 없었다.While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ke the battery more efficien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progress in charging the battery.

특히, 각 전자 기기의 충전을 위해서는 전원 어댑터를 각기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는 매우 번거로운 노고가 아닐 수 없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charge each electronic device, a power adapter must be provided separately, which is very troublesome for the user.

최근에는 전자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various studies for wirelessly charging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conducted.

상기 무선 충전은 충전을 위한 선을 제거하고, 전자기적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획기적인 에너지 전달 개념이다.The wireless charging is a breakthrough energy transfer concept that can remove energy for charging and transfer energy electromagnetically.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효율적으로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efficiently charging the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전자 기기를 무선 충전할 때,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알림 신호들 간에 상호 구분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notification signal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when wirelessly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자 기기에서의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충전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중에, 출력해야 할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수립된 통신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power to charge a battery. The method includes using a power wirelessly received from a wireless charger to initiate charging of a battery;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harger; When charging the battery, if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to be outpu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one or more signals to the wireless charger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상기 전자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그리고 태블릿 형태의 기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ultimedia device, and a tablet type device.

상기 출력해야 할 오디오 신호는 콘텐츠의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알림 음향 신호, 통화에 의한 음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해야 할 영상 신호는 콘텐츠의 재생에 따른 영상 신호,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영상 신호, 통화에 의한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해야 할 데이터 신호는 재생중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 통화 또는 메시지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signal to be out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content, a notification sound signal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a call or a message, and a voice signal by a call.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to be outpu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a video signal for notifying the incoming call or message, and a video signal by the call. The data signal to be out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content being play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of a call or a message.

상기 데이터 신호는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수신 단계에서는 상기 충전중에 전화(call)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 상기 전화 또는 메시지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ignal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p, when a call or a message is received during the charging, one or mor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of the call or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harger.

상기 오디오 신호는 알림 음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수신 단계에서는The audio signal may be a notification sound. In this case,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p

상기 충전중에 전화(call)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알림 음향을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 송신할 수 있다.When a call or a message is received during the charging, the wireless charger may transmit a notification sound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the call or the message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기로 송신하는 도중, 출력해야 할 다른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해야 할 다른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pping the transmission when one or more of another audio signal, video signal, and data signal to be output occurs while transmitting the one or more signals to the wireless charg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nother one or more signals to be output to the charger.

상기 송신이 중단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는 음원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출력해야 할 다른 하나 이상의 신호는 전화 통화에 따른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The one or more signals from which the transmission is stopped may be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sound source content, and the other one or more signals to be output may be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phone call.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한 후,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모드를 음향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a mode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a call or a message to an acoustic mode after initiating charging of the battery.

상기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음향은 미리 설정된 음향, 상기 충전기에 의해서 지시되는 음향, 또는 랜덤하게 선택되는 음향일 수 있다.In the changing step, the sound may be a preset sound, a sound indicated by the charger, or a randomly selected sound.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자 기기가 제시된다. 상기 전자 기기는 배터리를 충전을 하기 위해 무선 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충전 회로부와; 상기 무선 충전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하는 통신부와; 상기 충전 회로부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중에, 출력해야 할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수립된 통신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charging a battery is provided.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circuit unit that wirelessly receives power from a wireless charger to charge a battery; A communication unit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harger; When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to be output are generated while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e one or more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harger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o transmit.

상기 전자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그리고 태블릿 형태의 기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ultimedia device, and a tablet type device.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충전 기기에서의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전자 기기에 대한 무선 전력 공급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수립된 통신을 통해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 기기와 송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n a charging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charging a battery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initiating wireless power supply to an electronic device;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Outputting one or more received signals.

상기 송수신 단계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알림 모드를 음향 발생 모드로 변경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p, a signal for requesting to change the notific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a sound generation mode may be transmitted.

상기 변경 요청 신호는 충전이 개시된 전자 기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각 전자 기기의 알림 음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nge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request to make a notification sound of each electronic devic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started charging.

상기 송수신 단계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알림 음향 신호, 통화에 의한 음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영상 신호,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영상 신호, 통화에 의한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 통화 또는 메시지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transmitting / receiving step, the audio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dio signal of a content reproduced by the electronic device, a notification sound signal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a call or a message, and a voice signal by a call. The video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deo signal of a content reproduced by the electronic device, a video signal for notifying reception of a call or a message, and a video signal by a call. In addition, the data sign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content being played in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of a call or a message.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도중, 다른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면, 상기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다른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stopping the output when receiving one or more of another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while outputting the received one or more signal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received one or more signals.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기는 오디오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전자 기기에 대해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부와; 상기 전자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하는 통신부와; 상기 충전 회로부, 상기 통신부, 상기 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이 개시된 이후 상기 전자 기기와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수립된 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or charging a battery. The charger includes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or video; A charging circuit unit for supplying wireless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One or more signals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utput unit to transmit / receive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after the charging is started. It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rough the output unit.

상기 충전기의 바디는 패드 형태 구조, 접이형 패드 형태 구조, 또는 슬라이드 패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of the charger may be formed in a pad form structure, a foldable pad form structure, or a slide pad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전자 기기를 효율적으로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efficient wireless charging of multiple electronic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전자 기기를 무선 충전할 때,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알림 신호들 간에 상호 구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irelessly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notification signal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ereby preventing user confusion.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충전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채용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기(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채용가능한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기(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일 태양에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접이형 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태양예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접이형 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태양예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접이형 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슬라이드형 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는 충전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가 멀티미디어 장치, 예컨대 태블릿에 해당할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기(100)의 동작을 제1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는 도 11에 도시된 일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기(100)의 동작을 제2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동작을 제1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동작을 제2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동작을 제3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conceptually showing a wireless charg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charger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at may be employ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harger 100 and an electronic device 200 of a magnetic resonance method that may be employ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illustrating a charger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 collapsible structure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 collapsible structure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 collapsible structure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 slide type structure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ger further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rresponds to a multimedia device such as a tablet.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er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FIG. 11 in detail.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er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second example.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third examp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incorrect technical terms that do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be replaced with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correctl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herei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는 휴대가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 예컨대 휴대폰, 셀루러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태블릿, 혹은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lectronic devices described herein include 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smart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tablets, and multimedia devices.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comprehensive sens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and the lik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the terminal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충전기 및 전자 기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er and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잇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0)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기기로, 상기 충전기(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1,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nd may receive a wireless power from the charger 100 to charge a battery.

상기 충전기(100)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과 특정 주파수에 전력을 실어 보내는 자기 공명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The charger 100 may use one or more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that loads power at a specific frequency.

유도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하나의 코일에서 다른 코일 쪽으로 자기장을 통해 전류를 유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원리를 이용하는 무선 충전을 말한다.Inductive wireless charging is a technology that transmits power wirelessly us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Wireless charging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that induces a current through a magnetic field from one coil to another coil is used. Say.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한 충전은 충전기의 공진 주파수와 전자 기기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일치시켜, 에너지가 충전기에서 전자 기기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Charging by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matches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charger with the resonant frequency in the electronic device, so that energy can be transferred from the charger to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상기 전자 기기(200) 및 충전기(100)는 일정한 거리(d)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충전기(100)와 상기 전자 기기(200)는 접점되지 않고, 일정한 거리(d)만큼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달리 동시에 여러 전자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charger 100 may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As such, since the charger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not be contacted an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the charger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charged at the same time as in the prior art.

이하에서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충전기와 전자 기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er and the electronic device when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채용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기(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charger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at may be employ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기(100)는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셀룰러폰)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가 이동단말기일 경우에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2A, the charger 100 may charge a battery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using an induction current.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g, a mobile phone, a cellular phone) or a multimedia device as described below.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a mobile terminal,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상기 충전기(100)는 전자 기기(20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송신기이다. The charger 100 is a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is a pow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ower required for charging the battery.

상기 충전기(100)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 회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 회로부(110)는 1차코일(111), 센서(112), 스위칭부(113), 비교부(114), 충전 제어부(115), 출력부(116)을 포함한다.The charger 100 may include a charging circuit unit 110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harging circuit 110 includes a primary coil 111, a sensor 112, a switching unit 113, a comparator 114, a charging controller 115, and an output unit 116.

상기 1차코일(111)은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상기 1차코일(111)은 솔레노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코일(111)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은 전자 기기(200)의 2차코일(2931)에 자기장을 유도하여 2차코일(2931)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primary coil 111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when power is applied. The primary coil 111 may be implemented as a solenoid.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rimary coil 111 may induce a magnetic field in the secondary coil 2927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in the secondary coil 2927.

센서(112)는 충전기(100) 위에 전자 기기(200) 올려지면 전자 기기(200)의 접촉을 감지하고, 충전기(100) 상에 전자 기기(200)의 위치를 확인한다.The sensor 112 detects contact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placed on the charger 100, and checks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on the charger 100.

또한, 상기 센서(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충전기(100) 위에 놓이면 충전효율이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충전기(100) 위에 전자 기기(200)가 놓였을 때, 1차코일(111)의 중심과 상기 2차코일(2931)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해야 충전효율이 가장 높다.In addition, the sensor 112 serves to help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be placed at the highest charging efficiency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placed on the charger 10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placed on the charger 100, the charging efficiency is highest when the center of the primary coil 111 and the center of the secondary coil 2929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따라서, 상기 충전기(100)의 1차코일(111)과 상기 전자 기기(200)의 2차코일(2931)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1차코일(111)의 중심에 자석을 설치하여 2차코일(2931)의 중심이 1차코일(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반경 내에 들어오면 자력으로 전자 기기를 끌어당겨 1차코일(111)과 2차코일(2931)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enter the primary coil 111 of the charger 100 and the secondary coil 2927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a straight line, a magnet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primary coil 111. When the center of the secondary coil (2931)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rimary coil (111), the electronic device is attracted by magnetic force so that the centers of the primary coil (111) and the secondary coil (2931) are installed. It can be located in a straight line.

여기서, 1차코일(111)과 2차코일(2931)의 중심간의 거리가 허용오차 범위 D를 벗어나면, 충전기(100)는 전자 기기(200)가 정렬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무선 충전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He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primary coil 111 and the secondary coil 2927 is outside the tolerance range D, the charger 100 recogniz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0 does not satisfy the alignment condition and wirelessly charges it. A signal indicating that this is impossible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즉, 충전기(100)는 1차코일(111)과 2차코일(2931)의 중심이 중첩될 때 상기 1차코일(111)과 2차코일(2931)의 중심간의 거리가 정렬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전자 기기(200)의 배터리 무선충전을 허가하지 않는다. 이때, 충전기(100)는 전자 기기(200)의 2차코일(2931)의 중심이 1차코일(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벗어난 방향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자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harger 100, when the centers of the primary coils 111 and the secondary coils 2931 overlap,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primary coils 111 and the secondary coils 2931 does not satisfy the alignment condition. If not, the wireless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not allowed. In this case, the charger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direction and a distance in which the center of the secondary coil 2927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deviates from the center of the primary coil 111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

스위칭부(111)는 상기 충전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1차코일(111)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witching unit 111 supplies or cuts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rimary coil 111 under the control of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상기 비교부(114)는 충전기(1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비교부(11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과 상기 검출된 전원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한다. The comparison unit 114 checks whether the charger 100 operates normally, detects the voltage or current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checks whether the detected voltage or current exceeds a threshold. The comparator 114 includes a comparator for comparing a resistance for detecting a voltage or a current of a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source and a threshold value with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of the detected power and outputting a comparison result.

예를 들어, 비교부(114)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5V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하여 그 확인결과를 충전 제어부(115)로 출력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115)는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5V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113)를 제어하여 2차코일(293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For example, the comparison unit 114 checks whether the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exceeds 5V and outputs the confirmation result to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When the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exceeds 5V,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13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secondary coil 2927.

상기 충전 제어부(115)는 상기 비교부(114)로부터 전송받은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13)를 제어한다. 또한, 충전 제어부(115)는 상기 전자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그 통신을 통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제어부(115)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자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므로 배터리(216)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13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comparison unit 114.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check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through the communication. For example, since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may check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216.

또한, 상기 충전기(100)는 복수 개의 전자 기기들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arger 100 may simultaneously charg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다시 말해서, 충전기(100) 상에 2개 이상의 전자 기기들을 올려놓고 충전이 가능하며, 전자 기기들은 서로 다른 기종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100)에 휴대폰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PDA 등을 동시에 올려놓고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can be placed and charged on the charger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s may be different models.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multimedia player, a PDA, etc. may be simultaneously placed on the charger 100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상기 출력부(116)는 상기 충전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출력부(116)는 발광소자 및/또는 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16 displays the charging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The output unit 116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emitting device and / or an LCD.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200)는 전원 공급부(29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배터리(291), 충전부(292), 무선 전력 수신부(293)을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B,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90. The power supply unit 290 includes a battery 291, a charging unit 292,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293.

상기 전력수신부(293)는 충전기(100)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receiver 293 serves to receive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from the charger 100.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293)은 2차코일(2931), 정류기(2932), 컨버터(2933), 통신제어부(2934)를 포함한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293 includes a secondary coil 2927, a rectifier 2932, a converter 2333,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2934.

상기 2차코일(2931)은 충전기(100)의 1차코일(111)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유도전류를 생성한다. 즉, 상기 2차코일(2931)은 상기 충전기(100)의 1차코일(111)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The secondary coil 2927 generates an induced curren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rimary coil 111 of the charger 100. That is, the secondary coil 2927 receives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from the primary coil 111 of the charger 100 to generate the induced current.

상기 정류기(2932)는 상기 2차코일(2931)을 통해 수신되는 유도전류를 직류전원(직류전압 또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이다.The rectifier 2932 is an AC-DC converter that converts an induced current received through the secondary coil 2927 to a DC power source (DC voltage or DC power source).

상기 컨버터(2933)는 상기 정류기(293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즉, 컨버터(2933)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적정한 전압으로 상기 직류전원을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류기(2932)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원이 9V이면 컨버터(2933)는 9V를 5V로 변환한다.The converter 2333 converts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rectifier 2932 into a predetermined voltage. In other words, the converter 2927 serves to convert the DC power to an appropriate voltage for battery charging. For example, if the DC power output through the rectifier 2932 is 9V, the converter 2333 converts 9V to 5V.

상기 통신제어부(2934)는 충전기(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제어부(2934)는 해당 단말기가 충전이 가능한 기기인지 상기 충전기(100)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시 상기 통신제어부(2934)는 배터리의 장치번호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충전기(10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34 communicates with the charger 100.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34 may request authentication from the charger 100 whether the terminal is a device capable of charging.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is made,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34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device number of a battery to the charger 100.

상기 충전부(292)는 2차코일(2931)을 통해 수신되는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291)를 충전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충전부(292)는 충전패드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 유도현상에 의해 2차코일(2931)이 생성하는 유도전류를 배터리(292)로 공급한다. 상기 충전부(292)는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회로, 과전류 및 과전압를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과전압 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292 charges the battery 291 using an induced current received through the secondary coil 2927. In other words, the charging unit 292 supplies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the secondary coil 2927 to the battery 292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generated in the charging pad. The charging unit 292 may include a charging circuit for controlling battery charging and an overcurrent /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preventing overcurrent and overvoltage.

한편,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한 충전기 및 전자 기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er and the electronic device by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채용가능한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기(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harger 100 and an electronic device 200 of a magnetic resonance method that may be employ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공명(resonance)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resonance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공명(resonance)이란, 진동계가 그 고유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공명은 역학적 진동 및 전기적 진동 등 모든 진동에서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중에서 전기적 공명일 때는 공진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진동계에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고유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그 진동은 심해지고 진폭도 커진다.Resonance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vibration system receives a periodic external forc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its natural frequency and increases in amplitude. Resonanc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all vibrations, such as mechanical vibrations and electrical vibrations, of which resonance is also called resonance. In general, when the external vibration force is applied to the vibration system, if the natural frequency and the external vibration force are the same, the vibration becomes severe and the amplitude increases.

같은 원리로, 일정 거리 내에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진동체들이 서로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은 상호 공명하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 간에는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전기회로에서는 코일과 콘덴서를 사용하여 공진기를 만들 수 있다. 공진기는 공명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때가 많으나, 보통은 전자파 또는 전기진동에 대한 것을 말한다. 전기회로에서는 안테나로 수신한 전파 속에서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회로로 공진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the same principle, when a plurality of vibrating bodies separ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vibrate at the same frequency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vibrating bodies resonate with each other, in which case the res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vibrating bodies decreases. In electrical circuits, resonators can be made using coils and capacitors. Resonators are often used in the same sense as resonators, but usually for electromagnetic waves or electric vibration. In an electric circuit, a resonator may be used as a circuit for selecting a specific frequency in a radio wave received by an antenna.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충전기(100)에서 발생하는 평면파 방사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3 may charge the battery using the coupling of plane wave radiation generated from the charger 100.

구체적으로, 도 3(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기(100)는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회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회로부(120)는 송신 안테나(121), 센서(122), 매칭부(123), 오실레이터(124) 및 충전 제어부(125)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기(100)는 출력부(12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3 (a), the charger 100 may include a charging circuit unit 120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The magnetic resonance charging circuit unit 120 includes a transmitting antenna 121, a sensor 122, a matching unit 123, an oscillator 124, and a charging control unit 125. In addition, the charg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126.

상기 송신 안테나(121)는 수신 안테나와 동일한 주파수 또는 동일한 주파수 근방에서 공진하도록 동조된다. The transmitting antenna 121 is tuned to resonate at or near the same frequency as the receiving antenna.

상기 센서(122)는 송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근접장의 근방에서 활성 수신기들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로서, 센서는, 송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근접장의 근방에서의 활성 수신기들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전류를 모니터링한다. 이 검출은, 전자 기기(200)와 통신하도록 에너지를 송신하기 위해 오실레이터를 인에이블시킬 지를 판정할 시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어부에 의해 모니터링된다.The sensor 122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ctive receivers in the vicinity of the near field generated by the transmit antenna. By way of example, the sensor monitors the current affec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ctive receivers in the vicinity of the near field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antenna. This detection is monitored by the control unit for use in determining whether to enable the oscillator to transmit energy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상기 매칭부(123)는 오실레이터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RF 신호를 유도하고, 전자 기기(200)에 커플링된 디바이스들의 자체-재밍을 방지하기 위한 레벨로 하모닉 방출을 감소시키며, 임피던스(예를 들어, 50옴)를 송신 안테나에 매칭시킨다.The matching unit 123 induces an RF signal as determined by the oscillator, reduces harmonic emissions to a level for preventing self-jamming of devices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improves impedance (e.g., 50 ohms) to the transmit antenna.

상기 오실레이터(124)는 원하는 주파수에서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조정 신호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도 있다.The oscillator 124 is configured to generate at a desired frequency and may be adjusted in response to an adjustment signal.

제어부(125)는 송신 페이즈 동안 오실레이터를 인에이블시키고, 오실레이터의 주파수를 조정하며, 이웃한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출력 전력 레벨을 조정한다.The controller 125 adjusts the output power level to enable the oscillator during the transmission phase, adjust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or, and implement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ing devices.

출력부(126)는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출력부는 발광소자 및/또는 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6 displays the charging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harging control unit. The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emitting device and / or an LCD.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200)는 전원 공급부(29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배터리(291), 충전부(292), 무선 전력 수신부(293)을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B,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90. The power supply unit 290 includes a battery 291, a charging unit 292,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293.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293)는 수신 안테나(2931’), 정류기(2932), 컨버터(2933), 통신제어부(2934)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93 includes a receiving antenna (2931 '), a rectifier (2932), a converter (2933),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934).

상기 수신 안테나(2931’)는 상기 충전기(100)의 송신 안테나와 동일한 주파수 또는 동일한 주파수 근방에서 공진하도록 동조된다. The receiving antenna 2927 'is tuned to resonate at or near the same frequency as the transmitting antenna of the charger 100.

상기 정류기(2932)는 수신 안테나(2931’)에서 수신된 RF 에너지 신호를 비-교류 전력으로 정류한다. 그리고, 상기 컨버터(2933)는 전자 기기(200)와 호환 가능한 에너지 전위(예를 들어, 전압)로 그 정류된 RF 에너지 신호를 변환시킨다.The rectifier 2932 rectifies the RF energy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ing antenna 2927 'with non-alternating power. The converter 2333 converts the rectified RF energy signal into an energy potential (eg, a voltage) compatible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상기 통신제어부(2934)는 충전기(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제어부(2934)는 해당 단말기가 충전이 가능한 기기인지 상기 충전기(100)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시 상기 통신제어부(2934)는 배터리의 장치번호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충전기(10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34 communicates with the charger 100.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34 may request authentication from the charger 100 whether the terminal is a device capable of charging.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is made,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34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device number of a battery to the charger 100.

상기 충전부(292)는 수신 안테나(2931’)를 통해 수신된 RF 에너지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291)를 충전한다. 다시 말해서, 충전부(292)는 충전기(100)에서 전송되는 RF 에너지 신호를 전자 기기(200)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배터리(291)로 공급한다. 상기 충전부(292)는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회로, 과전류 및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과전압 보호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292 charges the battery 291 using an RF energ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antenna 2927 ′. In other words, the charger 292 converts an RF energ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100 into a form usable by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supplies the converted RF energy signal to the battery 291. The charging unit 292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circuit for controlling battery charging and an overcurrent /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preventing overcurrent and overvoltage.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충전기의 외형 구조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charger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illustrating a charger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100)는 패드 형태일 수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4A, the charger 100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have a pad form.

그리고, 상기 패드 형태의 충전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윗면이 단이 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단진 부분 중 낮은 부분의 바디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낮은 부분의 바디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 회로부(110) 또는 상기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회로부(120)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이물질이 접촉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d-type charger may have a top surface of the body as shown in the figure. The lower part of the isolated part has the electronic device 200 placed thereon.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ccommodates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the magnetic resonance type charging circuit unit 120 to protect against external impact or foreign matter. can do.

상기 낮은 부분의 바디 상면은 상기 전자 기기와 전기가 도통되어 쇼트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물질,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절연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The lower body upper surface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in order to prevent electrical short with the electronic device. Or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coated.

상기 낮은 부분에는 상기 전자 기기가 놓여졌을 때 상기 윗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충전기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충전기의 상면 테두리 일부에 다수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art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placed. The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along an upper edge of the charger, or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edge of the charger.

상기 단진 부분 중 높은 부분에는 디스플레이부(1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정면이 지면과 수평되지 않도록 상기 단이 진 부분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정면이 지면과 수평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인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경사를 갖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단지 부분 중 높은 부분은 낮은 부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be mounted at a higher portion of the short part. In this case, the stepped portion may have an inclination such that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130 is not horizontal to the ground. In other words, whe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130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the visibility of the user may be a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130 is installed to have an inclination. For this purpose, the higher part of the only par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lower part direction.

또한, 상기 패드 형태의 충전기 상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홀의 내측에는 오디오 출력부(140)가 장착되어, 상기 오디오 출력부(140)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상기 다수 개의 홀을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d-shaped charger, and an audio output unit 140 is mounted inside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audio output unit 140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holes.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대안적으로, 상기 다수개의 홀은 상기 패드 형태의 충전기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에 형성도니 다수 개의 홀 내측에 상기 오디오 출력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pad charger, and the audio output unit 140 may be mounted inside the plurality of holes.

또한, 상기 패드 형태의 충전기 상면에는 전술한 출력부(116 또는 12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일 수 있고, 충전 상태에 따라서 점멸되거나 점등될 수 있다. 또는 충전 상태에 따라서 다른 색상의 빛을 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utput unit 116 or 126 may b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d charger. The output unit 116 may be a light emit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flashed or lit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Or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can emit a different color of light.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패드 형태의 충전기 측면에는 열을 교환하기 위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홀ㅇ느 상기 패드 형태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패드 형태의 충전기 저면에는 지면과 마찰력을 갖게하여, 지면으로부터 쉽게 미끄리지 않게 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holes for exchanging heat may be formed in the side of the pad-shaped charg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form.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support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ad-type charger to provid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so that the pad is not easily slipped from the ground. The support member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 형태의 충전기(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자 기기들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전자 기기들의 폭을 합한 것 보다 넓은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b), the pad charger 100 has a wider width than the sum of the width of the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so as to charge at least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Can be 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일 태양에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접이형 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태양예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접이형 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 collapsible structure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 folding structure to charge i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는 접이 형태일 수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charger may be folded.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기의 메인 바디는 힌지 결합되는 덮개형 바디(160)에 의해서 덮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메인 바디와 덮개 바디(160)의 측면에 힌지 체결 구조가 형성되어, 책(book)과 같이 상기 덮개 바디(160)가 열려지거나 혹은 덮혀지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5 (a),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may be covered by a lid-shaped body 160 which is hinged. In FIG. 5, a hinge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body 160, and the cover body 160 is opened or covered like a book.

그리고, 상기 충전기(100)의 메인 바디 상면은 단이 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100 may be formed to have a stage.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 회로부(110) 또는 상기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회로부(120)를 수용할 수 있다.Inside the main bod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the magnetic resonance type charging circuit unit 120 may be accommodated.

상기 덮개형 바디(160)의 상면은 상기 전자 기기와 전기가 도통되어 쇼트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물질,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절연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The top surface of the lid body 16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to prevent electrical short with the electronic device to become short. Or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coated.

상기 덮개형 바디(160)의 상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놓여졌을 때 상기 상면에서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충전기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충전기의 상면 테두리 일부에 다수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A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d body 160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0 does not slide off from the upper surfa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placed. The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harger, or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may be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upper edge of the charger.

상기 덮개형 바디(160)는 상기 메인 바디와는 별도로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 회로부(110) 또는 상기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회로부(120)를 추가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덮개형 바디(160)는 서로 동일한 방식의 충전 회로부를 수용할 수도 있고, 혹은 서로 다른 방식의 충전 회로부를 수용할 수도 있다.The lid body 160 may additionally accommodat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harging circuit 110 or the magnetic resonance charging circuit 120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In this case, the main body and the lid-shaped body 160 may accommodate the charging circuit portion of the same method, or may accommodate the charging circuit portion of the different method.

상기 덮개형 바디(160)에 의해서 상기 메인 바디가 덮혀질 경우,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수용된 충전 회로부(110 또는 120)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형 바디의 내측 또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면에는 덮힘과 열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혹은 덮힘/열림에 의해 on/off되는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다.When the main body is covered by the lid body 160,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120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may be controlled to be inoperative. To this end, an inner side of the lid-shaped body or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be equipp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covering and opening or a switch that is on / off by the covering / opening.

한편, 도 5(b)와 같이, 상기 덮개형 바디(160)는 펼쳐져게 되면, 상기 충전기의 메인 바디와 나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덮개형 바디(16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올려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형 바디(16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놓여졌을 때 상기 상면에서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b), when the cover type body 160 is unfolded, it may be parallel to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160 may be formed flat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be raised. In addition, a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160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0 does not slip away from the upper surfa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placed.

상기 덮개형 바디(160)는 펼쳐져게 되면, 전술한 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수용된 충전 회로부(110 또는 12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메인 바디 내에 수용된 충전 회로부(110 또는 12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충전 회로부(110 또는 120)내의 센서(112 또는 122)가 상기 충전기(100)의 메인 바디 위에 전자 기기(200) 올려져 있는 지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200)가 올려짐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메인 바디 내의 수용된 충전 회로부(110 또는 120)는 충전을 시작하게 된다.When the lid body 160 is unfolded,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120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is operated by the above-described sensor or switch. When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120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is operated, the sensor 112 or 122 in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120 is placed on the electronic device 200 on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100. Will be detect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detected to be raised,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120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starts charging.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와 덮개 바디(160)의 하단부에 힌지 체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폭이 좁은 테이블 위에서 공간적으로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조이다. 즉, 상기 덮개 바디(160)가 열려지더라도 장방향으로만 길어지므로, 폭이 좁은 테이블 위에서도 공간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6 (a) and 6 (b), a hinge fastening structure can b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body 160. This is a structure for spatially improving efficiency on a narrow table. That is, since the cover body 160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ly, even if the cover body 160 is opened, the spac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even on a narrow table.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태양예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접이형 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 collapsible structure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기(100)의 메인 바디에 복수의 덮개형 바디(161, 162)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덮개형 바디(161, 1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 회로부(110) 또는 상기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회로부(120)를 추가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덮개형 바디를 구비함으로써, 동시 충전 가능한 전자 기기의 개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7, a plurality of lid-shaped bodies 161 and 162 may be hinged to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100.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cover bodies 161 and 162 may additionally accommodat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the magnetic resonance charging circuit unit 120.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id-like bodies in this way,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charged simultaneously can be increased.

도 8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슬라이드형 구조를 갖는 충전기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having a slide type structure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100)는 슬라이드 형태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8A, the charger 100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be in a slide form.

상기 충전기의 메인 바디의 일 측면에는 슬라이드되는 확장 바디(17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확장 바디(170)는 사용자의 힘 또는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도 8(b)와 같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확장 바디(170)의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 바디가 무리한 힘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may be accommodated for the expansion body 170 that slides. The expansion body 170 may be slid by a user's force or elastic force to protrude outward as shown in FIG. 8 (b). Although not shown, one end of the extension body 170 is formed to prevent the extension body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even when the extension body is pulled by the excessive force.

상기 충전기(100)의 메인 바디 상면은 단이 지게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100 may be formed to have a stage.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 및 상기 확장 바디는,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 회로부(110) 또는 상기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회로부(120)를 수용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nsion body may accommodate the charging circuit part 110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or the charging circuit part 120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또한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확장 바디(170)의 상면은 상기 전자 기기와 전기가 도통되어 쇼트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물질,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절연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top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nsion body 17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to prevent electrical short with the electronic device. Or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coated.

상기 메인 바디 및 확장 바디(170)의 상면에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놓여졌을 때 상기 상면에서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충전기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충전기의 상면 테두리 일부에 다수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Guide members may be installed on upper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nsion body 170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0 does not slide off from the upper surfa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placed. The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harger, or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may be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upper edge of the charger.

도 9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는 충전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ger further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도 9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100)는 전술한 상기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 회로부(110) 또는 상기 자기 공명 방식의 충전 회로부(120)외에, 컨트롤러(120), 디스플레이부(130), 오디오 출력부(140),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9, the charger 100 includes a controller 120 and a display uni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the magnetic resonance type charging circuit unit 120. 130, the audio output unit 1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충전 회로부(110 또는 120),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상기 오디오 출력부(140), 통신부(15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or 120, the display unit 130, the audio output unit 1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LC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전자 기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블루투스TM,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an electronic device for any one or more of BluetoothTM, Zigbee,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USB,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It may include parts.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충전기(100)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charger 10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이와 같은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를 충전하는 중에,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아, 신호 처리한 후 상기 오디오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100)가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는 중인 경우,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200)의 식별 정보(예컨대, 휴대폰인 경우 전화 번호, 또는 기기명)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기기에서 알림이 필요하다는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상에 출력하거나, 상기 오디오 출력부(14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충전기(100)의 동작은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harger 100 may establis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50. In addition,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the charger 100 receives an audio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while charging the electronic device 200, processes the signal, and then processes the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output unit ( 140). In addition,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the charger 100 may re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display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130. Alternatively,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the charger 100 may process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transmit the audio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addition, when the charger 100 is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e charger 100 may identif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for example, a phone number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or Device name). When receiving a request that a notification is required from a specific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e charger 100 outpu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or outputs the audio output unit 140. Can be output through voice. The operation of the charg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onfiguration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90 illustrated in FIG. 2 or 3.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ing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memory 260, An interface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80.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0 are not essential, a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와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2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215 .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cent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및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center may refer to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DVF-H) And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not only the above-described digital broadcast system but also other broadcast systems.

방송 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terminal 200.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may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인텔사의 썬더볼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is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wireless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a wired local area communication may be used, such as USB (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Intel Thunderbolt.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상기 충전기(100)와 데이터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establish a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harger 100.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무선 충전하는 중에, 출력할 오디오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는 상기 충전기(10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예컨대, 휴대폰인 경우 전화 번호, 또는 기기명)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when there is an audio signal to be output during wireless charg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transmit the audio signal to the charger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when there i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harger 100. Alternatively,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receive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built in the charger 100. In addi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a phone number or device nam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he charger 100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위치정보 모듈(2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215 is a module for acquiring a location of a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도 10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A / V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221 and a microphone 222. The camera 2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video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1. [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2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t least two cameras 2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2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elimina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2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2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240)는 단말기(200)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의 방위, 단말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240)는 근접 센서(2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2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terminal 200, a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like.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2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ls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2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2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may be sensed. Meanwhile, the sensing unit 2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241.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및 햅틱 모듈(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includes a display unit 251, an audio output module 252, an alarm unit 253, a haptic module 254, and the like,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200. [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terminal 2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terminal 2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2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251 of the terminal body.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2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terminal 200. For example, in the terminal 20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251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51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280. Thus, the control unit 2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251 is touched or the like.

다시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back to FIG. 10, a proximity sensor 2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terminal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2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252 can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252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or a message reception sound) performed in the terminal 200. The sound output module 2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253)는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 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1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2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terminal 200 of an event occurrence.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253 may output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25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253. [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2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254 and the like are controllable.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2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254 may further include a pin array that ver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jett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an injection or inle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contact of an electrode, electrostatic force, and the like.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by the endothermic and the reproduction of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 or heat generation.

햅틱 모듈(2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단말기(2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2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ation of the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25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200.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2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또한, 상기 메모리(26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예: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한 무선 충전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어플리케이션은 배터리의 무선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무선 충전 시 또는 무선 충전 완료 시 착신 알림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신 알림 모드는 문자 메시지 또는 착신 호 등을 수신하였을 때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벨소리모드, 진동모드(매너모드), 무음모드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mory 260 may store a wireless charging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eg, an app store). The wireless charging application i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of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t the incoming notification mode when the wireless charging or wireless charging is completed through the program. Here, the incoming notification mode relates to a method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when receiving a text message or an incoming call, and includes a ringtone mode, a vibration mode (silent mode), a silent mode, and the like.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2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terminal 2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2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270)는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2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The interface unit 2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terminal 200 or transmits data in the terminal 2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270.

식별 모듈은 단말기(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terminal 2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and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2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terminal 2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2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2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2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2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80.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may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to recognize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 또는 내부 입력에 따라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내부 입력은 단말기 내부의 2차코일에서 생성되는 유도 전류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The control unit 280 performs wired charging 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an internal input. Herein, the internal input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il in the terminal is detected.

전술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어부(280)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동작에 관해서는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When the above-described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components by the controller 2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2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91)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216)를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90 may include a battery 291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200, and may include a charging unit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of the battery 21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가 멀티미디어 장치, 예컨대 태블릿에 해당할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rresponds to a multimedia device such as a tablet.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2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한다.The multimedia apparatus 200 ′ includes the power supply unit 290 illustrated in FIG. 2 or 3.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200’)는 컨트롤러(2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51) 및 음향 출력부(252)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multimedia apparatus 200 ′ may include a controller 281. In addition, the multimedia apparatus 200 ′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the display unit 251 and the sound output unit 252.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200’)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1), 상기 음향 출력부(252)의 상세한 설명은 도 10의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The multimedia apparatus 200 ′ may further include a data communication unit.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isplay unit 251 and the sound output unit 252 will apply mutatis mutandis to FIG. 10.

상기 컨트롤러(28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51) 및 음향 출력부(252)을 제어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281)는 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부(252)를 통해 출력한다. The controller 281 controls the display unit 251 and the sound output unit 252 to play cont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281 outputs a scree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to the display unit 251, and outputs a sound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52.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인텔사의 썬더볼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wireless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a wired local area communication may be used, such as USB (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Intel Thunderbolt.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충전기(100)와 데이터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may establish a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harger 100.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무선 충전하는 중에, 출력할 오디오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는 상기 충전기(10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는 멀티미디어 장치(200’)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명)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when there is an audio signal to be output during wireless charging, the data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audio signal to the charger 100. In addition,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when there i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harger 100. Alternatively,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receive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built in the charger 100.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device name) of the multimedia apparatus 200 ′ to the charger 100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이상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충전기(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media apparatus 200 'has been briefly described above. 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charger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기(200)의 동작을 제1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는 도 11에 도시된 일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er 2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FIG. 11 in detail.

도 1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예시에 따르면 상기 충전기(100)가 다수의 전자 기기(200)를 충전할 경우에,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알림 신호들 간에 상호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12,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when the charger 100 charges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the notification signal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o help.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상기 충전기(100)가 무선 충전을 개시하면(S100), 상기 충전기(100)는 전술한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S112). 상기 무선 충전의 개시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의 센서가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충전기의 바디 위에 올려짐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충전의 개시라 함은, 상기 충전기(100)가 상기 제1 코일(111)을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거나, 혹은 상기 송신 안테나(121)를 개시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charger 100 starts wireless charging (S100), the charger 100 may establis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data communication unit (S112). Initiating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of the charger detects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body of the charger. Alternatively, the initi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that the charger 100 operates the first coil 111 or may initiate the transmission antenna 121.

이어서,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알림 기능을 음향 발생 모드로 변경한다(S113). 이때,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가 상기 전자 기기(200)로 음향 발생 모드로의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harger 100 changes the notification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a sound generation mode (S113). In this case, the charger 100 may transmit a change request signal to the sound generation mode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이와 같이 상기 음향 발생 모드로 변경한 후 충전할 전자 기기가 복수개인 지 판단한다(S114). 상기 복수개인지의 판단은 상기 S111 과정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S111과정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After changing to the sound gener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be charged (S114).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re is a plurality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process S111, or may be performed after the process S111.

상기 충전할 전자 기기가 복수개 인 경우, 각 전자 기기의 음향이 서로 동일한지 판단한다(S115). 예를 들어, 각 전자 기기에서 발생할 음향이 음원인 경우, 음원들이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혹은 각 전자 기기에서 발생할 음향이 특정 신호음인 경우, 상기 신호음들이 서로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혹은, 각 전자 기기에서 발생할 음향이 음성인 경우, 상기 음성이 서로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동일 판단은 상기 음향에 대한 메타 데이터, 예컨대 파일 이름, 제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동일 판단은 S114 과정전에 수행될 수 잇다. 예를 들어, 상기 동일 판단은 상기 S111 과정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혹은 S112 과정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be charg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ounds of each electronic device are the same (S115). For example, when the sound to be generat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s a sound sour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ound sources are the same. Alternatively, when the sound generat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s a specific sound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ound signals are the same. Or, if the sound to be generat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s a vo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oices are the same. The same determination may be made through metadata regarding the sound, for example, a file name and a title. The sam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114 process. For example, the sam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step S111 or simultaneously with step S112.

각 전자 기기의 음향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충전기(100)는 각 전자 기기의 알림이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한다(S116). 상기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작은 예를 들어 각 전자 기기에게 음향 변경 요청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작은 예를 들어 각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예컨대 기기명 혹은 전화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상기 충전기(100)의 디스플레이부(130) 혹은 오디오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When the sounds of each electronic device are the same, the charger 100 starts an operation for distinguishing the notific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s from each other (S116). The operation for distinguishing may be, for example, transmitting a sound change request to each electronic device. Alternatively, the operation for distinguishing may include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device name or a phone number) of each electronic device, and using the obta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or the audio output unit of the charger 100. The output may be through 140.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자 기기의 음향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전자 기기(1151)와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각 전자 기기에서 출력 가능한 음향들에 대한 정보 획득할 수 있다(S1161). As shown in FIG. 13A, when the sounds of each electronic device are the same, the charger 100 is connected to the sounds that can be output from each electronic device through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151. Information may be obtained (S1161).

그리고, 상기 충전기(100)는 각 전자 기기의 음향이 서로 다르도록 각 전자 기기에게 음향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162). 이때, 상기 음향들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중복되지 않는 음향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음향에 정보를 상기 음향 변경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향들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지 않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스스로 랜덤하게 음향을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er 100 may transmit a sound change request signal to each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sounds of each electronic devi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1162). In this case,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nds is obtained, a sound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elected sound and transmitted in the sound change request signal. However,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nds is not obtained, the charger 100 may instruct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change the sounds at random.

대안적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는 각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S1167). 이어서, 각 전자 기기에서 알림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S1168), 해당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을 수행한다(S1169).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에서 알림을 수행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call)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전화의 착신에 대한 이벤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이벤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의 수행(S1169)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충전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혹은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3B,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the charger 100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S1167). Subsequently, when an event requiring notification occurs in each electronic device (S1168), the notification is performed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S1169). Whether the event occur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en an event for performing notific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occurs, the ev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 100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call is receiv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vent regarding the incoming call of the phone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 100. Alternative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message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vent for receiving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 100. The performing of the notification (S1169) may be to displa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charger or outp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voic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기(200)의 동작을 제2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er 2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second example.

도 1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예시에 따르면 상기 충전기(100)가 상기 전자 기기(200)를 무선 충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 기기(200)에서 출력해야 할 음향이 있는 경우, 상기 음향을 상기 충전기(100)가 대신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14, according to the second example, when there is a sound to be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while the charger 100 is wirelessly charging the electronic device 200. , So that the charger 100 can output the sound instead.

먼저, 상기 충전기(100)가 무선 충전을 개시하면(S121), 상기 충전할 전자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립한다(S122). 이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는지 모니터링한다(S123). 상기 이벤트 수신은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에서 알림을 수행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call)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전화의 착신에 대한 이벤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이벤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First, when the charger 100 starts wireless charging (S121), it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harged (S122). Thereafter, it is monitored whether an event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S123). The event reception may be confirmed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For example, when an event for performing notific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occurs, the ev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 100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call is receiv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vent regarding the incoming call of the phone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 100. Alternative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message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vent for receiving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 100.

상기 이벤트 수신한 후, 상기 충전기(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있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없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음향을 수신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S124). 이때, 상기 충전기(100)에 구비된 마이크가 있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S125). 또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도 있다(S126). After receiving the event, the charger 100 may receive the sound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output the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even if there is an operation from a user or no operation from the user ( S124).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charger 100,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S125). Alternatively,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harger (S126).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가 전화 착신이라고 하면, 사용자가 상기 충전기(100)를 전화 받기 위해 상기 충전기를 조작하거나 혹은 조작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기(100)는 전화를 받겠다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달하고,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100)는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여, 대화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충전기(100)는 스피커폰 처럼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이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기(100)는 통화 종료 요청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이벤트가 전화 착신이라고 하자. 이때, 사용자가 상기 충전기(100)를 일정 시간 동안 조작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충전기(100)가 전화를 받겠다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였고, 그로 인해 통화가 개시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기(100)는 통화 종료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vent is called, the charger 100 signals to answer the call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even if the user operates or does not operate the charger to answer the charger 100. Deli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to the charger 100, and the charger 100 output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In addition, the charger 100 transmits a voice signal of a user input through the provided microphon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conversation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charger 100 may operate like a speakerphone. In this case, when the voice of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harger 100 may transmit a call terminat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let's say the event is an incoming call. At this time, even if a user does not operate the charger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charger 100 transmits a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nswer the call, and thus the call is started. . In this situation, when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microphone provided in the charger, the charger 100 may transmit a call terminat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음원 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음원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출력되는 음성 또는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전화가 착신되면, 상기 음향과 영상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통화가 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play a sound source or a video. Therefore, the charger 100 may receive the audio or video output while playing the sound source or video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output the audio or video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When the phone is called while outputting as described above, output of the sound and video may be stopped and the call may be started.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전자 기기,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이벤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기(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있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없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와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의 번호(또는 이름)을 음성으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와 상기 상대방의 번호, 그리고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상기 충전기(10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a message is received at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vent for receiving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 100. After receiving the event, the charger 100 receives the mess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even if there is an operation from a user or no operation from the user, and receives the mess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number and the number (or name) of the counterpart who transmitted the message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by voice.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number of the counterpart, and the content of the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harger 100.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동작을 제1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상기 전자 기기(200)는 충전기(100)에 의한 무선 충전이 개시되면(S211),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매너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212). When the wireless charging by the charger 100 is started (S211), the electronic device 200 checks whether the notification mode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silent mode) (S212).

상기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설정된 진동 모드를 벨소리 또는 무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213).If the notification mode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change the set vibration mode to a ring tone or a silent mode (S213).

상기 벨소리 모드 또는 무음 모드로 변경하기 전에, 상기 전자 기기(200)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확인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벨소리 모드 또는 무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Before changing to the ring mode or the silent mode,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display a guide message and receive an acknowledgment from the user. When the acknowledgment is received,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change to the ringing mode or the silent mode.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동작을 제2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충전기(100)에 의한 무선 충전이 개시되면(S221), 상기 충전기(223)와 통신을 수립한다(S223).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200)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예컨대 출력해야 할 음향, 데이터, 영상 중 하나 이상이 있을 경우, 상기 음향, 데이터,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충전기(100)로 전달한다(S223).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call)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벨소리 및 통화를 위한 음향 신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기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전자 기기(200)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기기(200)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의한 음향 및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충전기로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when the wireless charging by the charger 100 is started (S221), the electronic device 200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charger 223 (S223). When the event occurs, for example, when there is at least one of sound, data, and image to be output, the electronic device 200 transmits one or more of the sound, data, and image to the charger 100 (S223). .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transmit the sound signal for the ring tone and the call to the charger 100. Alternatively,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deliver the message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Alternative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plays the content,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transmit one or more of the sound and the image generated by the content to the charger.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의 동작을 제3 예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third example.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충전기(100)에 의한 무선 충전이 개시되면(S221), 통신가능한 주변의 다른 단말기를 탐색한다(S232). 상기 통신 가능한 주변의 다른 단말기는 상기 전자 기기(200)와 근거리 통신, 예컨대 불루투스, 지그비, UWB, Wireless USB, Wireless LAN, NFC 등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when wireless charging by the charger 100 is initiated (S221), the electronic device 200 searches for other terminals in the vicinity of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S232). The other terminal around the communicable area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UWB, Wireless USB, Wireless LAN, NFC, or the like.

이어서, 상기 전자 기기(200)는 알림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S233), 상기 알림을 상기 다른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S234). 상기 알림이 필요한 이벤트는 전화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일 수 있다. 혹은 상기 알림이 필요한 이벤트는 사용자에 설정된 알람일 수 있다.Subsequently, when an event requiring notification occurs,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to the other terminal (S234). The event requiring notification may be a call reception or a message reception. Alternatively, the event requiring the notification may be an alarm set in the user.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들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들은 상기 충전기(100)의 컨트롤러(120)에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방법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200)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200’)의 컨트롤러(281)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s described so far a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processors (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20 of 100, or the method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281 of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multimedia apparatus 200 ′.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60)에 저장되고, 제어부(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28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ay be modified, modified, or improved.

Claims (18)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자 기기에서의 방법으로서,
무선 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충전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중에, 출력해야 할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수립된 통신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충전 방법.
A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wirelessly receive power and charge a battery,
Initiating charging of the battery using power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e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harger;
Transmitting one or more signals to the wireless charger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when at least one of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to be output occurs while charging the battery. Wireless charging method in electronic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그리고 태블릿 형태의 기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A wireless charging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which corresponds to any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ultimedia device, and a tablet typ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해야 할 오디오 신호는 콘텐츠의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알림 음향 신호, 통화에 의한 음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해야 할 영상 신호는 콘텐츠의 재생에 따른 영상 신호,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영상 신호, 통화에 의한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해야 할 데이터 신호는 재생중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 통화 또는 메시지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udio signal to be outpu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content, a notification sound signal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a call or a message, and a voice signal by a call.
The video signal to be out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a video signal for notifying the call or incoming of the message, a video signal by the call,
The data signal to be output may include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content being play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of a call or a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식별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송수신 단계에서는
상기 충전중에 전화(call)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 상기 전화 또는 메시지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무선 충전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signal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p
When a call or a message is received during the charging,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of the call o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harger. Charg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알림 음향일 수 있고,
상기 송수신 단계에서는
상기 충전중에 전화(call)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알림 음향을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기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udio signal may be a notification sound,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p
And when a call or message is received during the charging,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ound for notifying reception of the call or message through the established data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기로 송신하는 도중, 출력해야 할 다른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해야 할 다른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충전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opping the transmission when one or more of another audio signal, video signal, and data signal to be output occurs while transmitting the one or more signals to the wireless charger;
And transmitting the one or more signals to be output to the charg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이 중단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는 음원 콘텐츠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출력해야 할 다른 하나 이상의 신호는 전화 통화에 따른 오디오 신호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ne or more signals at which the transmission is stopped may be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sound source content,
The at least one other signal to be output may be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phone c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개시한 후,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모드를 음향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initiating charging of the battery,
And changing the mode for notifying the incoming call or the message to the acoustic mo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음향은 미리 설정된 음향, 상기 충전기에 의해서 지시되는 음향, 또는 랜덤하게 선택되는 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in the changing step
And the sound is a preset sound, a sound indicated by the charger, or a randomly selected sound.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서,
배터리를 충전을 하기 위해 무선 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충전 회로부와;
상기 무선 충전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하는 통신부와;
상기 충전 회로부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중에, 출력해야 할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수립된 통신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wirelessly receive power and charge a battery.
A wireless charging circuit unit which wirelessly receives power from a wireless charger to charge a battery;
A communication unit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harger;
When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to be output are generated while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e one or more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harger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transm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그리고 태블릿 형태의 기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mobile terminal, a multimedia device, and a tablet type device.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충전 기기에서의 방법으로서,
전자 기기에 대한 무선 전력 공급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수립된 통신을 통해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자 기기와 송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A method in a charging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charge a battery,
Initiating wireless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device;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And outputting one or more signals that are receiv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단계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알림 모드를 음향 발생 모드로 변경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requesting to change the notific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a sound generation mo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요청 신호는
충전이 개시된 전자 기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각 전자 기기의 알림 음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hange request signal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started charging,
And a request for the notification sound of each electronic device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단계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알림 음향 신호, 통화에 의한 음성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상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영상 신호, 통화 또는 메시지의 착신을 알리기 위한 영상 신호, 통화에 의한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 통화 또는 메시지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udio sign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of content play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notification sound signal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a call or a message, and a voice signal by a call.
The video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deo signal of a content reproduced by the electronic device, a video signal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a call or a message, and a video signal by a call.
The data sign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content being 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of a call or a messa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도중, 다른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면, 상기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다른 하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Stopping the output when receiving one or more of another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while outputting the received one or more signals;
And outputting the received one or more other signals.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충전 기기로서,
오디오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전자 기기에 대해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부와;
상기 전자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립하는 통신부와;
상기 충전 회로부, 상기 통신부, 상기 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이 개시된 이후 상기 전자 기기와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수립된 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
A charging device that wirelessly transmits power for charging a battery,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or video;
A charging circuit unit for supplying wireless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establish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One or more signals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utput unit to transmit / receive one or more of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after the charging is started. Wireless charg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rough the output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바디는
패드 형태 구조, 접이형 패드 형태 구조, 또는 슬라이드 패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8. The body of claim 17 wherein the body of the charger is
A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ad form structure, a folding pad form structure, or a slide pad structure.
KR1020110025057A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789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57A KR101789540B1 (en)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57A KR101789540B1 (en)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91A true KR20120107391A (en) 2012-10-02
KR101789540B1 KR101789540B1 (en) 2017-11-20

Family

ID=4727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57A KR101789540B1 (en)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540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72B1 (en) * 2013-03-27 2013-10-04 서강철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the advertisement equipment
KR20140060153A (en)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Laser pointer charged by non-contact method and wireless charger for laser pointer
WO2014137086A1 (en)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advertising function
KR101458712B1 (en) * 2013-06-28 2014-11-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Status check apparatus of wireless charger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WO2015099936A1 (en) * 2013-12-28 2015-07-02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base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20150094314A (en) 2014-02-11 2015-08-19 주식회사 세미시스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and mobile terminal
KR20190036184A (en)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state of external device mounted to electronic device
US11177859B2 (en) 2019-05-08 2021-11-1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data transfer
US11196304B2 (en) 2018-09-19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wireless charging
US11532950B2 (en) 2019-05-08 2022-12-2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data transfer for multipl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5119B2 (en) 2013-03-15 2020-12-01 Power Forward, Llc Multi-housing charging devices and methods
KR102648609B1 (en) 2019-02-19 2024-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3140394A1 (en) * 2022-01-19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media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90B1 (en) * 2007-12-12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menu providing function for radio charging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153A (en)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Laser pointer charged by non-contact method and wireless charger for laser pointer
WO2014137086A1 (en)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advertising function
KR20140110417A (en) *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advertisement function
KR101314772B1 (en) * 2013-03-27 2013-10-04 서강철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the advertisement equipment
KR101458712B1 (en) * 2013-06-28 2014-11-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Status check apparatus of wireless charger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WO2015099936A1 (en) * 2013-12-28 2015-07-02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base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s
US9247572B2 (en) 2013-12-28 2016-01-26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50094314A (en) 2014-02-11 2015-08-19 주식회사 세미시스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and mobile terminal
KR20190036184A (en)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state of external device mounted to electronic device
US11196304B2 (en) 2018-09-19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wireless charging
US11177859B2 (en) 2019-05-08 2021-11-1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data transfer
US11532950B2 (en) 2019-05-08 2022-12-2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data transfer for multip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540B1 (en)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540B1 (en)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US8903456B2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785456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charge service
CN102593883B (en) Mobile terminal
KR101768588B1 (en) Cotrol of audio output state dependent on wireless power charge
EP2406864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for chargeable devices
KR101810465B1 (en) Apparatus for Handling of Orientation Changing of Terminal during Wireless Power Transfer and Method Thereof
US9444276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being charg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KR10185082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120020661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EP266502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948082B (en) Collection of letters mode chang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utilize i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12831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078972A (en)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30028571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8803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ic aharging mobile of wireles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2584B1 (en) Wireless charging a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unication terminal
KR20120131584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100102834A (en) Wireless internet access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087138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KR101748667B1 (en) Data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70090896A (en) Wireless charge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8815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access point
KR1014902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34034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