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978A - 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 Google Patents

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978A
KR20120097978A KR1020110017608A KR20110017608A KR20120097978A KR 20120097978 A KR20120097978 A KR 20120097978A KR 1020110017608 A KR1020110017608 A KR 1020110017608A KR 20110017608 A KR20110017608 A KR 20110017608A KR 20120097978 A KR20120097978 A KR 20120097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robot
user
he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용관
이용철
박창우
김주형
류민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978A/en
Publication of KR2012009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9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PURPOSE: A robot kiosk is provided to offer convenience to small people or disabled people who sit down on a wheelchair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ight of a body unit according to the height of a user. CONSTITUTION: A body unit(10) is composed of a head unit and a body unit and constructs the body of a robot. A display unit(20) is included at one side of the body unit. A memory unit stores guide information and is embedded in the body unit. A supporting unit(40) is inclu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unit. A height control unit(70) lifts the body unit by locating between the body unit and the supporting unit. A body sensor(50) senses a user. A distance sensor(60)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unit.

Description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화점, 쇼핑몰, 극장, 전시관 등의 공공시설에서 스스로 이동하면서, 고객에게 안내 홍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이 요청하면 결제 및 티켓발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키가 작거나 너무 큰 사람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로봇 몸체의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는 로봇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kiosk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and more particularly, providing information for publicity information to customers while moving by themselves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theaters, exhibition halls, and paying customers when requested. And a ticket kiosk service, and in particular, relates to a robot kiosk in which the height of the robot body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for easy use even in the case of a person who is short or too large or a disabled person using a wheelchair. .

일반적으로 백화점, 쇼핑몰, 극장, 전시관 등의 공공시설에는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안내데스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공공시설에 찾아오는 고객들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안내데스크를 찾아가 안내 담당자에게 용건을 말한 뒤 해당 정보를 습득하게 된다.In general, public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theaters, and exhibition halls have complex internal structures, and information desks are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Therefore, customers who come to the public facilities go to the information desk to get the desired information, tell the information officer, and learn the information.

그러나, 이러한 안내데스크는 인건비의 문제로 공공시설 내에서 특정 장소에만 배치되어 있어, 고객을 위한 안내 서비스가 수월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However, the information desk is located in a specific place in a public facility due to labor costs, so the information service for the customer is not easily performed.

최근에는 편리한 안내 서비스를 위해 공공시설 내에 안내데스크 이외에도 다수의 키오스크가 여러 군데 설치되어 있으며, 고객들은 이러한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Recently, a number of kiosks have been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ies as well as information desks for convenient information services, and customers can use the kiosks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상기 키오스크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스크린(주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시스템으로서,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 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단말기를 가리킨다.The kiosk is a screen (mainly touch screen) typ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nd refers to an unmanned terminal installed in a public place for easy use by the public for unattended automation of information services and tasks.

즉, 고객들은 키오스크의 스크린을 통해 주변의 위치, 자신이 찾아가고자 하는 위치 등을 검색할 수 있고, 또한 해당 공공시설에서 판매하는 티켓을 키오스크를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other words, customers can search for nearby locations and locations they want to visit through the screen of the kiosk, and can also purchase tickets sold at the public facilities through the kiosk, and provide information other than the customer wants. I can receive it.

그러나, 이러한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안내서비스는 고객이 키오스크가 설치된 위치를 직접 찾아가야 하므로, 해당 공공시설을 처음 방문하는 고객의 경우에는 키오스크를 찾아 다니는 것부터가 안내서비스 이용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즉, 이러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안내서비스는 적극적인 안내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kiosk has a problem that the customer has to go directly to the location where the kiosk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visitor to the public facilities is a barrier to using the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kiosk. That is, the guidance service using the kiosk has a problem that does not provide an active guidance service.

또한, 상술한 종래의 키오스크는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게끔 일반인 체형에 맞추어 설계되어 있어, 평균 신장에 비해 키가 너무 큰 사람이나 키가 작은 사람, 또는 어린이가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의 경우에는 키오스크를 이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kiosk is designed for the general public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use it, and it is inconvenient for a person who is too tall for a mean height, a person who is too short, or a child. In the cas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 is considerable difficulty in using kiosk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백화점, 쇼핑몰, 극장, 전시관 등의 공공시설에서 스스로 이동하면서, 고객에게 안내 홍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이 요청하면 결제 및 티켓발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키가 작거나 너무 큰 사람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로봇 몸체의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는 로봇 키오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moving by themselves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theaters, exhibition halls, provides information for the publicity information to customers, payment and ticket release when the customer requests To provide a service, especially for people with short or too large heights or disabled people who use wheelchairs, the robot kiosk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height of the robot's bod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is provided.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에 있어서, 머리부와 몸통부로 이루어지며 로봇의 몸체를 구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안내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과;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사용자와 상기 몸체부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영상정보장치와; 상기 영상정보장치와 높이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하는 촬영각도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와 상기 몸체부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높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키높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kiosk is provided in the public facilities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the body portion consisting of the hea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robot; A displa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A memory unit embedded in the body and storing guide information; A support part provided below the body part; Height adjus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elevate the body por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detecting a user; A distance measuring sens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the body portion; An image information devic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and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the photographing angle at which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photographs the head of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height of the user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portion, an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to control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to lift the body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로봇 키오스크를 이용할 시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몸체부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키가 작거나 너무 큰 사람 또는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uses the robot kiosk, the height of the body part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a person who is short or too large or who is disabled in a wheelch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키오스크는 머리부의 전면에 구비된 감정표시부를 통해 웃거나 놀라는 등의 다양한 감정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근한 이미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공시설 내의 설치 위치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능동적인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obot kio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rvice in a user-friendly image by displaying a variety of emotions, such as laughing or surprised through the emotion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ead,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place in public faciliti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ctive service while moving regardless.

더불어, 인체와 유사한 로봇 형태로 설계되어 사람들의 시선을 모을 수 있어 티켓 판매를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몸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활용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을 찾아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designed in the form of a robot similar to the human body, which can attract people's eyes and facilitate the ticket sa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의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키오스크에서 거리측정센서와 영상정보장치를 이용하여 높이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height adjustable robot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able robot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able robot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using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in the robot kio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utomatic height adjustable robot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ollowing example, unless the summary is exc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의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height adjustable robot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able robot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able robot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100)는 로봇의 몸체를 구성하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안내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6)와, 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40)와, 지지부(40)로부터 몸체부(10)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70)과,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50)와, 사용자와 몸체부(10)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60)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장치(80)와, 영상정보장치(80)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하는 촬영각도 및 사용자와 몸체부(1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높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키높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높이조절수단(70)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robot kiosk 100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robot and a display provided in the body part 10. Height adjustment means for elevating the body portion 10, the memory unit 16, the guide information is stored, the support portion 4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40 70, the human body sensor 50 for detecting the user,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portion 10, and the head of the user to shoot the image information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is calculated based on the photographing angle at which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device 80 and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80 photographs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part 10, and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A control unit 90 for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It is configured together.

즉, 이와 같은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100)는 백화점, 쇼핑몰, 극장, 전시관 등의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안내 홍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로봇 키오스크(100)를 이용할 시에는 로봇 키오스크(100)가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로봇 몸체부(10)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키가 작거나 너무 큰 사람 또는 장애인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That is, such a robot height kiosk 100 that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is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theaters, exhibition halls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for information promotion, when the user uses the robot kiosk 100 The robot kiosk 100 detects the user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height of the robot body 1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so that a person who is short or too large or has a disability can be easily used.

상기와 같은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10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부(10)는 사용자에게 친근한 이미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체 외관이 인체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머리부(11), 몸통부(13)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전면에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20)가 구비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robot kiosk 100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as described above, the body portion 10 is the head in a form similar to the shape of the human body to provide a service in a user-friendly image The display unit 20 is configured to have a portion 11 and a body portion 13 and provides information to a customer on the front side.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고객을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로봇 키오스크(100)를 이용할 시에는 해당 로봇 키오스크(100)가 설치된 공공시설 내의 약도 및 시설물의 위치 등이 안내 메뉴로 표시되며, 로봇 키오스크(100)가 서비스 대기중일 시에는 광고 및 홍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 displays information for the customer. When the user uses the robot kiosk 100, the map and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in the public facility where the robot kiosk 100 is installed are displayed as a guide menu. When the robot kiosk 100 is waiting for service, an advertisement and a promotional image may be displayed.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0)는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정보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display unit 20 may be applied to various methods such as LCD or LED display,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panel that can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더불어, 몸체부(10)에는 디스플레이부(20)의 영상과 함께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스피커(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로봇 키오스크(100)를 이용할 시 디스플레이부(20)의 영상과 함께 안내 음성이 출력되며, 안내 음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 메뉴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안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ody part 10 may be provided with a voice speaker 14 for outputting a guide voice along with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20. That is, when the user uses the robot kiosk 100, the guide voice is output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user can easily use the guide service by operating a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according to the guide voice. Will be.

또한, 몸체부(10)에는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6)가 내장되어 있으며, 제어부(90)가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body unit 10 includes a memory unit 16 in which guide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controller 90 controls to display the guid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 on the display unit 20.

몸체부(10)의 머리부(11) 전면(前面)에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된 감정표시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감정표시부(12)는 다양한 패턴의 LED 점등방식에 따라 웃거나, 놀라는 등의 다양한 감정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로봇 키오스크(100)를 이용할 시 사용자에게 친근한 이미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front face 11 of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n emotion display portion 12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The emotion display unit 12 may provide a service in a friendly image to the user when the user uses the robot kiosk 100 by displaying various emotions such as laughing or amazement according to LED lighting methods of various patterns.

몸체부(10)의 몸통부(13) 전면(前面)에는 티켓발매 서비스를 위한 티켓 발행부(31)와, 티켓 구매에 대한 결제를 위한 카드 입력부(32)가 구비되어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3 of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ticket issuing portion 31 for ticket release service, and a card input portion 32 for payment for ticket purchase.

즉, 상기 티켓 발행부(31)에는 백화점, 쇼핑몰, 극장, 전시관 등의 공공시설에서 이용되는 티켓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는 티켓을 프린트하는 티켓 프린터가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ticket issuing unit 31 may be provided with a ticket us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shopping mall, a theater, an exhibition hall, or a ticket printer for printing a ticket.

상기 카드 입력부(32)는 신용카드가 투입되는 카드 투입구(34)와 상기 카드 투입구(34)에 투입된 신용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35)를 갖는 카드 리더기(33)와, 카드 인식부(35)에서 인식된 신용카드의 카드정보를 토대로 카드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모듈(36)로 이루어져 있다.The card input unit 32 has a card reader 33 having a card inlet 34 into which a credit card is inserted, a card recognition unit 35 to recognize a credit card inserted into the card inlet 34, and a card recognition unit ( It consists of a payment module 36 for performing the payment of the card based on the card information of the credit card recognized in 35).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로봇 키오스크(100)에서 티켓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에는, 카드 투입구(34)에 신용카드를 투입하여 카드 인식부(35)를 통해 신용카드를 인식시키고, 디스플레이부(20)의 안내 메뉴에 따라 조작하면, 인식된 카드정보를 토대로 결제모듈(36)이 결제서버에 해당 신용카드의 승인요청을 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서버로부터 결제정보가 결제모듈(36)에 전송되어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티켓 발행부(31)에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한 티켓이 배출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a user wants to purchase a ticket at the robot kiosk 100 using a credit card, the credit card is inserted into the card slot 34 to recognize the credit card through the card recognition unit 35, When operating according to the guide menu of the display unit 20, the payment module 36 requests the approval of the credit card to the payment server based on the recognized card information, and the payment is made, and the payment is completed from the payment server.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ayment module 36 and the ticket issuing ticket 31 is discharged by the ticket issuing unit 3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디스플레이부(20)의 측부 또는 하부에는 사용자를 위한 입력용 키패드(1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와 같은 키패드(15)를 조작하여 로봇 키오스크(1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An input keypad 15 for a user may be provided at a side or a bottom of the display unit 20. That is,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into the robot kiosk 10 by operating the keypad 15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user may receive a desired service.

또한, 키패드(15)는 상기와 같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터치 패드에 표시되는 키패드 이미지를 터치 조작하여 로봇 키오스크(10)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keypad 15 may be separate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touch pad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20, the keypad 15 may be touched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robot kiosk 10 by touching the keypad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pad. You can also type.

즉, 사용자는 이와 같은 몸체부(10)에 구비된 키패드(15) 또는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티켓 구매시 안내 메뉴 선택 및 신용카드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정보 검색시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 검색 메뉴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use the keypad 15 or the touch panel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20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0 to input a guide menu when purchasing a ticket and a password of a credit card.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a user may search for desired information by selecting a search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한편, 몸체부(10)의 하부에는 로봇 키오스크(100)의 하체부를 이루는 지지부(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40)는 몸체부(10)를 지지하며, 지지부(40)의 하부에는 로봇 키오스크(100)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41)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40 forming the lower body portion of the robot kiosk 100. The support part 40 supports the body part 10, and a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40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41 to move the robot kiosk 1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41)은 지지부(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42)와, 다수의 롤러(42)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43)와, 구동모터(43)의 동력을 다수의 롤러(4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44)과, 다수의 롤러(42)의 진행방향을 조향하는 조향부(4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moving means 41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42 for movably supporting the support part 40, a drive motor 43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rollers 42 to rotate, and , A power transmission means 44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43 to the plurality of rollers 42, and a steering portion 45 for steer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rollers 42.

즉, 지지부(40)의 저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다수에 롤러(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다수의 롤러(42)와 구동모터(43)가 동력전달수단(4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어, 구동모터(43)가 작동하면 구동모터(43)의 회전력이 동력전달수단(44)을 통해 다수의 롤러(42)에 전달되어 롤러(42)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로봇 키오스크(100)를 이동시키게 되며, 조향부(45)가 롤러(42)의 진행방향을 바꾸게 된다.That is,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40, a plurality of rollers 42 are rotatably provided and supported on the bottom,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42 and the driving motor 43 ar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44. When the driving motor 43 is operat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43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rollers 42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44 so that the rollers 42 rotate so that the robot kiosk ( 100 is moved, the steering portion 45 change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oller 42.

여기서, 동력전달수단(44)은 복수의 기어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 또는 풀리와 벨트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동력전달 구조로 이루어질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44 may be made of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power by engaging a plurality of gears, or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power by using a pulley and a belt, and of course, may be made of various power transmission structures.

상기와 같은 이동수단(41)은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데, 제어부(90)에 의해 구동모터(43)의 구동이 이루어지며,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조향부(45)가 롤러(42)의 진행방향을 바꿈으로써 로봇 키오스크(100)의 이동방향을 제어하게 된다.The moving means 41 as described above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the driving motor 43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90, the steering unit 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By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ller 42 is to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obot kiosk 100.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6)에는 안내정보와 더불어 로봇 키오스크(100)가 설지된 해당 공공시설의 지도정보 및 시설물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90)는 메모리부(16)에 저장된 공공시설의 지도정보 및 시설물의 위치정보에 따라 로봇 키오스크(100)가 공공시설 내에서 스스로 이동하도록 이동수단(41)을 제어하게 된다.The memory unit 16 embedded in the body 10 stores guide information, map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ublic facility where the robot kiosk 100 is install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controller 90 stores the memory unit. The robot kiosk 100 controls the moving means 41 to move itself in the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 map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stored in the 16.

지지부(40)의 전면 및 측면에는 이동시 장애물을 감지하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거리측정센서(60)는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ont and side of the support unit 40 is provided with a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for detecting an obstacle when moving and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user.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may be formed of an ultrasonic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이와 같이, 거리측정센서(60)를 이용하면, 로봇 키오스크(100)의 주행중 주위의 구조물의 위치와 형태를 식별하여 장애물, 고객 등과의 충돌 방지 및 안전주행이 가능해진다.As such, when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is used,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tructure around the robot kiosk 100 may be identified to prevent collisions with obstacles and customers and to drive safely.

더불어, 몸체부(10)에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50)가 구비되어 있다. 인체감지센서(50)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 또는 열 변화를 감지하는 열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human body sensor 50 for detecting the user. The human body sensor 50 may include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a motion or a heat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heat.

즉, 로봇 키오스크(100)가 이동중이거나 서비스 대기중에 사용자가 접근하면 인체감지센서(50)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안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robot kiosk 100 while moving or waiting for service, the robot kiosk 100 may detect the user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50 and provide a guide service to the user.

상기와 같은 로봇 키오스크(100)는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몸체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70)이 구비된다.The robot kiosk 10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ans 7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10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user.

높이조절수단(70)은 몸체부(10)와 지지부(40)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부(40)로부터 몸체부(1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Height adjusting means 70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10 and the support portion 40 serves to lift the body portion 10 from the support portion 40.

이러한 높이조절수단(70)은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 구동모터와 복수의 기어를 이용하는 구조,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구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height adjustment means 70 may be composed of a structure using a hydraulic pump and a hydraulic cylinder, a structure using a drive motor and a plurality of gears, or a structure using a linear actuator, and in addition to the various structures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70)이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로 구성될 경우에는, 제어부(90,도 1 참조)의 제어에 따라 유압펌프(71)를 구동시켜 지지부(40)와 몸체부(10)의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72)를 작동시킴으로써 유압실린더(72)의 실린더 로드(73)가 지지부(40)로부터 몸체부(10)를 승강시키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 is configured to use a hydraulic pump and a hydraulic cylinder, the hydraulic pump 71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see FIG. 1). By operating the hydraulic cylinder 72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40 and the body portion 10, the cylinder rod 73 of the hydraulic cylinder 72 raises and lowers the body portion 10 from the support portion 40.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조절수단이 구동모터와 복수의 기어를 이용하는 구조로 구성될 경우에는, 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 랙기어를 갖는 수직프레임을 설치하고, 랙기어와 맞물리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여,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기어에 맞물린 렉기어에 의해 수직프레임이 지지부로부터 몸체부를 승강시키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configured with a drive motor and a plurality of gears, a vertical frame having a rack gear is install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rack gear to rotate by the drive motor. With a drive gear, the vertical frame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support portion by the rack gear meshed with the drive gear by driving the drive motor and rotating the drive gea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또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조절수단이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구조로 구성될 경우에는, 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수직하게 설치하고,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작동부가 지지부로부터 몸체부를 승강시키게 된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configured as a structure using a linear actuator, the linear actuator is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the linear actuator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linear actu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elevating body por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70)은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승강함으로써 높이가 조절되는데, 로봇 키오스크(100)에 구비된 거리측정센서(60)와 영상정보장치(80)를 이용하여, 제어부(90)를 통해 로봇 키오스크(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키높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키높이 정보에 따라 높이조절수단(70)을 제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 is adjusted by raising and lower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by using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and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80 provided in the robot kiosk 100. Through the control unit 90,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robot kiosk 100 is calculated,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키오스크에서 상술한 거리측정센서와 영상정보장치를 이용하여 높이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using the above-described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in the robot kio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로봇 키오스크(100)에 구비된 인체감지센서(50)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거리측정센서(60)가 사용자와 로봇 키오스크 간의 거리(d)를 측정하고, 영상정보장치(80)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human body sensor 50 provided in the robot kiosk 100 detects a user,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measures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kiosk, and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 80 photographs the head of the user.

이때, 제어부(90,도 1 참조)는 영상정보장치(80)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하는 촬영각도(θ) 및 거리측정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와 로봇 키오스크 간의 거리(d)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높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키높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높이조절수단(70)을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see FIG. 1) is a photographing angle θ at which the image information apparatus 80 photographs the head of the user, and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kiosk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The height of the user is calculated based on (d),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영상정보장치(80)는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머리부(11) 상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영상정보장치(80)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81)와, 제어부(90,도 1 참조)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81)의 상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틸트수단(82)으로 구성된다.The image information device 80 is provided above the head portion 11 of the body portion 10 to photograph the head of the user.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80 is composed of a camera 81 for photographing the user, and a tilting means 82 for adjusting the vertical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8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see FIG. 1).

즉, 카메라(81)가 사용자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제어부(90,도 1 참조)에 전송하면, 제어부(90,도 1 참조)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인식하여 카메라(81)의 초점을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맞추도록 카메라(81)를 지지하는 틸트수단(82)의 상하 회전각도를 조절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camera 81 photographs the user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control unit 90 (see FIG. 1), the control unit 90 (see FIG. 1) recognizes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The vertical rotation angle of the tilting means 82 supporting the camera 81 is adjusted to adjust the focus to the head of the user.

이러한 구성으로, 카메라(81)를 통해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하고, 거리측정센서(60)를 통해 사용자와 로봇 키오스크 간의 거리(d)를 측정하여, 제어부(90,도 1 참조)에서 카메라(81)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하는 카메라(81)의 촬영각도(θ)와 거리측정센서(6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와 로봇 키오스크 간의 거리(d)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높이를 산출하고, 높이조절수단(70)의 승강을 제어하여 산출된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로봇 키오스크(100)의 몸체부(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몸체부(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도 2 참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head of the user i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81,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kiosk is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to control the controller 90 (see FIG. 1). The camera 81 of the user based on the photographing angle θ of the camera 81 to shoot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kiosk measured from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By calculating the height of the height, by controlling the lifting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10 of the robot kiosk 10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height of the user, the user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0 The display unit 20 (see FIG. 2) can be easily operated.

또한, 로봇 키오스크(100) 몸체부(10)의 높이조절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도 미세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몸체부에 구비된 키패드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 패드을 조작하여 높이조절수단(70)을 제어함으로써 몸체부(10)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ody portion 10 of the robot kiosk 100 can be finely manipulated manually by the user, and if desired by the user, the height can be controlled by manipulating a touch pad provided through a keypad or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finely adjusted by controlling the adjusting means 7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state of use of the automatic height adjustable robot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obot kiosk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키오스크(100)가 백화점, 쇼핑몰, 극장, 전시관 등의 공공시설 내에서 주행 중에 인체감지센서(50)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면, 거리측정센서(60)가 사용자와 로봇 키오스크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동시에 로봇의 머리부(11) 상측에 구비된 카메라(81)가 사용자를 촬영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robot kiosk 100 detects a user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50 while driving in a public facility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shopping mall, a theater, an exhibition hall,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0 i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kiosk is measured, and at the same time, the camera 81 provided above the head 11 of the robot photographs the user.

이때, 제어부(90,도 1 참조)는 카메라(81)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인식함으로써 카메라(81)의 초점을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맞추도록 카메라(81)를 지지하는 틸트수단(82)의 상하 회전각도를 조절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90 (refer to FIG. 1) recognizes the head of the user in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81 so that the focus of the camera 81 is adjusted to the head of the user. The vertical rotation angle of the tilt means 82 supporting the camera 81 is adjusted.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부(90,도 1 참조)는 카메라(81)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하는 촬영각도(θ) 및 사용자와 로봇 키오스크 간의 거리(d)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높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키높이 정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높이조절수단(70)을 제어함으로써 로봇 키오스크(100)의 몸체부(10)의 높이를 조절한다.Through this process, the controller 90 (see FIG. 1) determines the height of the user based on the photographing angle θ at which the camera 81 photographs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kiosk. 6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10 of the robot kiosk 100 by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7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몸체부(10)의 높이가 조절되면, 몸체부(10)에 구비된 음성스피커(14)에서 서비스 안내 음성이 출력되며, 사용자는 안내 음성에 따라 몸체부(10)에 구비된 키패드(15) 또는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 패드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안내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찾아가고자 하는 위치를 검색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티켓을 구매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guide voice is output from the voice speaker 14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0, the user according to the guide voice body 10 By selecting a guid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by manipulating the keypad 15 or the touch pad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20, the user may search for a location to be visited. You can purchase a ticket you want to purchase.

사용자가 티켓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0)의 안내 메뉴에 따라 몸체부(10)의 전면에 구비된 카드 투입구(34)에 신용카드를 입력하여 결제모듈(36,도 1 참조)을 통해 결제를 진행함으로써 티켓 발행부(31)를 통해 티켓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wants to purchase a ticket, the user inputs a credit card into the card slot 34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guide menu of the display unit 20 to receive the payment module 36 (see FIG. 1). By proceeding through the payment it is possible to receive a ticket through the ticket issuing unit 31.

로봇 키오스크(100)의 안내 서비스가 종료되면,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이동수단(41)을 구동하여 공공시설 내를 스스로 주행하며 다른 사용자에게 안내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When the guide service of the robot kiosk 100 is termin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the driving means 41 drives itself in the public facility and provides the guide service to other users.

또한, 로봇 키오스크(100)가 서비스 대기중 일 때에는 제어부(90,도 1 참조)의 제어에 따라 몸체부(10)에 구비된 영상정보장치(80)의 카메라(81)를 이용하여 주변을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에 따라 사람이 많이 모여있는 장소를 인식함으로써 사람이 많이 모여 있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로봇 키오스크(100)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는 장소를 찾아다니며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robot kiosk 100 is waiting for service, the surroundings are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81 of the image information apparatus 80 provided in the bod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see FIG. 1). By recognizing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are gathered according to the photographed image, the user can move to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are gathered. Through such control, the robot kiosk 100 finds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and guides a service. Can be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로봇 키오스크를 이용할 시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몸체부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키가 작거나 너무 큰 사람 또는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uses the robot kiosk, the height of the body part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a person who is short or too large or who is disabled in a wheelch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키오스크는 머리부의 전면에 구비된 감정표시부를 통해 웃거나 놀라는 등의 다양한 감정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근한 이미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공시설 내의 설치 위치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능동적인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obot kio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rvice in a user-friendly image by displaying a variety of emotions, such as laughing or surprised through the emotion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ead,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place in public faciliti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ctive service while moving regardless.

더불어, 인체와 유사한 로봇 형태로 설계되어 사람들의 시선을 모을 수 있어 티켓 판매를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몸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활용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을 찾아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designed in the form of a robot similar to the human body, which can attract people's eyes and facilitate ticket sales, and can provide services by visiting a lot of people using cameras provided in the body.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various substitu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

10 : 몸체부 11 : 머리부
12 : 감정표시부 13 : 몸통부
14 : 음성스피커 15 : 키패드
16 : 메모리부 20 : 디스플레이부
31 : 티켓 발행부 32 : 카드 입력부
33 : 카드 리더기 34 : 카드 투입구
35: 카드 인식부 36 : 결제모듈
34 : 카드 인식부 35 : 결제모듈
40 : 지지부 41 : 이동수단
42 : 롤러 43 : 구동모터
44 : 동력전달수단 45 : 조향부
50 : 인체감지센서 60 : 거리측정센서
70 : 높이조절수단 71 : 유압펌프
72 : 유압실린더 73 : 실린더 로드
80 : 영상정보장치 81 : 카메라
82 : 틸트수단 90 : 제어부
100 : 로봇 키오스크
10: body portion 11: head
12: emotion display unit 13: body
14: voice speaker 15: keypad
16 memory unit 20 display unit
31: ticket issuing unit 32: card input unit
33: card reader 34: card slot
35: card recognition unit 36: payment module
34: card recognition unit 35: payment module
40: support portion 41: moving means
42: roller 43: drive motor
44: power transmission means 45: steering unit
5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60: distance measuring sensor
70: height adjustment means 71: hydraulic pump
72: hydraulic cylinder 73: cylinder rod
80: video information device 81: camera
82: tilt means 90: control unit
100: Robot Kiosk

Claims (14)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에 있어서,
머리부와 몸통부로 이루어지며 로봇의 몸체를 구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부에 내장되며 안내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과;
사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사용자와 상기 몸체부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영상정보장치와;
상기 영상정보장치와 높이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촬영하는 촬영각도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와 상기 몸체부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높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의 키높이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Kiosk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to provide information to users,
A body part comprising a head part and a body part constituting a body of the robot;
A display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A memory unit embedded in the body and storing guide information;
A support part provided below the body part;
Height adjus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elevate the body por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detecting a user;
A distance measuring sens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the body portion;
An image information devic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and height adjustment means,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is calculated based on a photographing angle at which the image information apparatus photographs the head of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The robot height kiosk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to control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to increase the body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Robot height kiosk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uch pan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사용자로부터 신용카드를 입력받는 카드 입력부와;
사용자에게 티켓을 발행하는 티켓 발행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A card input unit which receives a credit card from a user;
A ticket issuing unit for issuing a ticket to a user;
Robot kiosk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입력부는,
신용카드가 투입되는 카드 투입구와, 상기 카드 투입구에 투입된 신용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를 갖는 카드 리더기와;
상기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된 신용카드의 카드정보를 토대로 카드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모듈;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rd input unit,
A card reader having a card insertion slot into which a credit card is inserted and a card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redit card inserted into the card slot;
A payment module for performing a payment of a card based on the card information of the credit card recognized by the card recognition unit;
Robotic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열감지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human body sensor,
Robot height kiosk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eat sensor or a motion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Robot heigh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ultrasonic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전면에는,
로봇의 감정을 표시하는 감정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front of the head,
A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robot kiosk, characterized in that the emo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emotion of the robot is provid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표시부는 다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motion display unit is a robot kiosk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음성스피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Robot height kiosk is adjus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speaker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머리부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상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틸트수단;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video information device,
A camera provided at the head of the body to photograph a user;
Tilt means for adjusting the vertical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Robot height kiosk is adjus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압식 구조, 기어식 구조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ight adjusting means comprises:
An automatic height-adjustable robot kiosk, comprising one of a hydraulic structure, a gear structure, or a linear actu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몸체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다수의 롤러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다수의 롤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다수의 롤러의 진행방향을 조향하는 조향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body por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rein,
A plurality of rollers for mov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 drive motor which drives the plurality of rollers to rotat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plurality of rollers;
A steering part for steer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rollers;
Robotic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로봇 키오스크가 서비스 대기중 일 때, 상기 영상정보장치를 제어하여 주변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 따라 사람이 많이 모여있는 장소를 인식하여, 사람이 많이 모여있는 장소로 로봇 키오스크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When the robot kiosk is waiting for service, the image information device is controlled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and the robot kiosk is moved to a place where many people are gathered by recognizing a place where many people are gathered according to the photographed image. Robotic kiosk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로봇 키오스크가 설치되는 해당 공공시설의 지도정보 및 시설물의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memory unit,
A robot kiosk capable of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 information of the relevant public facilities where the robot kiosk is install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re stored.
KR1020110017608A 2011-02-28 2011-02-28 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KR201200979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608A KR20120097978A (en) 2011-02-28 2011-02-28 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608A KR20120097978A (en) 2011-02-28 2011-02-28 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78A true KR20120097978A (en) 2012-09-05

Family

ID=4710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608A KR20120097978A (en) 2011-02-28 2011-02-28 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7978A (en)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7702A (en) * 2016-11-15 2017-05-31 上海木爷机器人技术有限公司 Robot and robot control method
KR20170003049U (en)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Height detection device using a camera
WO2018211472A1 (en) * 2017-05-19 2018-11-22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Usa,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KR20180130679A (en)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 한미네오텍 Kiosk capable of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CN110176080A (en) * 2019-05-17 2019-08-27 嘉兴缔华贸易有限公司 A kind of scenic spot self-service ticketing machine
CN110815240A (en) * 2019-11-11 2020-02-21 中国地质大学(武汉) Robot for growth of irrigation basket and figure cognition
KR102100704B1 (en) * 2019-12-09 2020-04-14 정원석 Kiosk with speech recognition
KR102100703B1 (en) * 2019-11-25 2020-04-14 정원석 Voice recognition kiosk with multiple input means
KR102140583B1 (en) * 2020-01-02 2020-08-05 (주)럭스콘 Multifunction kiosk
WO2020184734A1 (en) * 2019-03-08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N112589812A (en) * 2020-12-12 2021-04-02 安徽新博普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service robot capable of adjusting height
KR102237687B1 (en) * 2020-12-07 2021-04-08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Insect breeding robot
US11010854B2 (en) 2016-05-10 2021-05-18 Sita Ypenburg Bv Item handl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12894841A (en) * 2021-01-15 2021-06-04 广东趣买票科技有限公司 Ticket selling robot and ticket selling system
KR20210087645A (en) * 2020-01-03 2021-07-1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Vending device capable of ordering product via voice and mehod for controlling it
KR102306092B1 (en) * 2020-12-30 2021-09-28 주식회사 진승정보기술 Kiosk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voice
KR102400539B1 (en) * 2022-02-16 2022-05-20 샘랩 주식회사 Kiosk that generates korea internet-pass
KR102510412B1 (en) * 2022-01-21 2023-03-16 서정협 Bidirectio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generating system
KR102516736B1 (en) * 2022-12-01 2023-03-31 (주)엠나인파이브 Minting system to block bot transactions
KR20230056917A (en)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코렌 Kiosk installed shower system
KR102562693B1 (en) * 2023-02-27 2023-08-01 이경진 Kiosk system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CN110815240B (en) * 2019-11-11 2024-05-31 中国地质大学(武汉) Robot for basket irrigation and figure cognition and growth promotion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49U (en)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Height detection device using a camera
US11010854B2 (en) 2016-05-10 2021-05-18 Sita Ypenburg Bv Item handl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06737702A (en) * 2016-11-15 2017-05-31 上海木爷机器人技术有限公司 Robot and robot control method
WO2018211472A1 (en) * 2017-05-19 2018-11-22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Usa,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US11774961B2 (en) 2017-05-19 2023-10-03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Usa,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KR20180130679A (en)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 한미네오텍 Kiosk capable of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WO2020184734A1 (en) * 2019-03-08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US11385851B2 (en) 2019-03-08 2022-07-12 Lg Electronics Inc. Robot
CN110176080A (en) * 2019-05-17 2019-08-27 嘉兴缔华贸易有限公司 A kind of scenic spot self-service ticketing machine
CN110176080B (en) * 2019-05-17 2021-09-21 嘉兴卓十生物科技有限公司 Unmanned ticket vending machine in scenic spot
CN110815240A (en) * 2019-11-11 2020-02-21 中国地质大学(武汉) Robot for growth of irrigation basket and figure cognition
CN110815240B (en) * 2019-11-11 2024-05-31 中国地质大学(武汉) Robot for basket irrigation and figure cognition and growth promotion
KR102100703B1 (en) * 2019-11-25 2020-04-14 정원석 Voice recognition kiosk with multiple input means
KR102100704B1 (en) * 2019-12-09 2020-04-14 정원석 Kiosk with speech recognition
KR102140583B1 (en) * 2020-01-02 2020-08-05 (주)럭스콘 Multifunction kiosk
KR20210087645A (en) * 2020-01-03 2021-07-1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Vending device capable of ordering product via voice and mehod for controlling it
KR102237687B1 (en) * 2020-12-07 2021-04-08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Insect breeding robot
CN112589812A (en) * 2020-12-12 2021-04-02 安徽新博普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service robot capable of adjusting height
KR102306092B1 (en) * 2020-12-30 2021-09-28 주식회사 진승정보기술 Kiosk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voice
WO2022145864A1 (en) * 2020-12-30 2022-07-07 쿠팡 주식회사 Speech recognition kiosk device
CN112894841A (en) * 2021-01-15 2021-06-04 广东趣买票科技有限公司 Ticket selling robot and ticket selling system
KR20230056917A (en)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코렌 Kiosk installed shower system
KR102510412B1 (en) * 2022-01-21 2023-03-16 서정협 Bidirectional augmented reality content generating system
KR102400539B1 (en) * 2022-02-16 2022-05-20 샘랩 주식회사 Kiosk that generates korea internet-pass
KR102516729B1 (en) * 2022-12-01 2023-03-31 (주)엠나인파이브 NFT issuance system
KR102516736B1 (en) * 2022-12-01 2023-03-31 (주)엠나인파이브 Minting system to block bot transactions
KR102562693B1 (en) * 2023-02-27 2023-08-01 이경진 Kiosk system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7978A (en) Robot kiosk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KR102124694B1 (en) Height-adjustable and easy-to-move kiosk
KR101243262B1 (en) Intelligent display apparutus
KR102330793B1 (en) kiosk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s the height
US9760123B2 (en) Speech generation device with a projected display and optical inputs
US20220258357A1 (en) Method for operating moving robot
JP2005211359A (en)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system
AU2017259975B2 (en) Vending mechanism
EP2959679B1 (en) Mobile workstation having navigation camera
CN107320743B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ultraviolet sterilization by utilizing mobile terminal
US20180036879A1 (en) Robotic Camera System
KR20220012050A (en) Robot for restaurant service
CN110226843B (en) Intelligent lifting equipment cabinet
JP2020085547A (en) Data measurement system and building facility control system
JP2011156057A (en) Motor-driven vehicle, guiding system in facility and guiding method in facility
CN214896731U (en) Carry on intelligent automatic teller machine's mobile robot
WO2017066862A1 (en) Interactive event photography kiosk
KR20090000637A (en) Mobile intelligent robot having function of contents provision and location guidance
KR101095567B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s
KR20220002061A (en) Smart double motion desk
KR20160112662A (en) Method of controlling moving paths of a service robot having cleaning function and the service robot the method applied thereto
JP2020122364A (en) Parking reservation display unit
KR102400539B1 (en) Kiosk that generates korea internet-pass
US20240131718A1 (en) Autonomous drive through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2562693B1 (en) Kiosk system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