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693A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s,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s,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693A
KR20120097693A KR1020110017058A KR20110017058A KR20120097693A KR 20120097693 A KR20120097693 A KR 20120097693A KR 1020110017058 A KR1020110017058 A KR 1020110017058A KR 20110017058 A KR20110017058 A KR 20110017058A KR 20120097693 A KR20120097693 A KR 2012009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antic
list
content
uni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성열
송재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693A/en
Priority to PCT/KR2012/001414 priority patent/WO2012115476A2/en
Publication of KR2012009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6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Abstract

PURPOSE: A content generating and reproducing device, a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are provided to generate/reproduce content capable of navigation based on a meaning. CONSTITUTION: A parser(310) analyzes a file format of content to be reproduced. A content processing unit(330) processes the content according to a meaning list or a meaning separation unit list. A display unit(340) displays the content,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parser, on a screen. A meaning list processing unit processes a meaning list of content to be reproduced. [Reference numerals] (200) Broadcasting network/communication network; (300) Reproduction device; (330) Content processing unit; (340) Display unit; (350) Input unit; (400) Storage

Description

콘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그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S,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ntent is recorded, and th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content and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생성 및 재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미 기반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ent creation and reprod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 capable of meaning-based naviga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ntent is recorded.

일반적으로 콘텐츠는 비디오 트랙이나 오디오 트랙이 각각 혹은 결합되어 시작부터 끝까지 일관적(sequential)으로 재생되어 소비된다. 이에 부가하여 종래기술에서는 콘텐츠를 광고 등이 삽입되는 적당한 길이에 따라 챕터 단위로 나누어 구분하고, 재생중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음 챕터로 건너뛰어 재생하는 것이 지원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구간을 의미적으로 파악하거나 구간의 전후 관계를 파악하거나 일구간의 실행 이후 연속된 구간 이외에 내용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간이나 다른 콘텐츠로의 연결을 제공하지 않는다.In general, content is consumed by playing video tracks or audio track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from beginning to end.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content is divided into chapters according to a suitable length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and the like, and playback is skipped to the next chapter according to a user's input during playback. 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provide a link to other sections or other contents that are related to content other than a continuous section after semantic grasp of the section, grasping the front and r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ections, or the execution of one section.

콘텐츠의 재생도중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동일 콘텐츠의 다른 부분, 또는 다른 콘텐츠 중 재생중인 콘텐츠와 관련 있는 부분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예를 들어, 드라마의 시청 도중에 에펠탑이 배경으로 나오는 장면이 등장하면, 사용자는 에펠탑을 배경으로 사용자가 여행지에서 친구들과 찍었던 사진이 보고 싶어진다. 따라서 에펠탑을 배경으로 찍었던 사진들을 검색하고 그 사진들을 감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금문교가 등장하는 영화들을 검색하고, 그 중 'Psycho'라는 영화를 선택한 후에 금문교가 등장하는 바로 그 장면에서부터 곧바로 영화를 재생할 수도 있다.It is assumed that,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a part of the same content or a part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played among other contents is to be play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content. For example, when a scene with the Eiffel Tower in the background appears while watching a drama, the user wants to see a picture that the user took with friends at the destination with the Eiffel Tower as a background. Therefore, you can search for photos of the Eiffel Tower in the background and enjoy them. As another example, you can search for movies featuring the Golden Gate Bridge, select a movie called 'Psycho' and play the movie directly from the very scene where the Golden Gate Bridge appears.

종래의 콘텐츠 재생 기술은 이러한 사용 예에 대해 그러한 의미, 즉 컨텍스트를 파악하고, 그러한 의미에 해당하는 콘텐츠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알고 있어야 그 사용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사용자가 콘텐츠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아예 그러한 콘텐츠가 있다는 것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유연한 콘텐츠 소비가 불가능하다.Conventional content reproduction technology has been able to use such a usage example only by grasping the meaning, that is, the context, and knowing what kind of content corresponds to the meaning and where it is stored. However, this type of flexible consumption of content is not possible if the user does not remember the location of the content or does not know that such content exists.

종래의 유사한 기술로는 MPEG(Motion Picture Image Coding Experts Group)-4 BIFS(Binary Format for Scene)가 있다. 그러나 MPEG-4 BIFS는 앞에서 예시로 든 에펠탑이나 금문교와 같이 특정한 의미를 갖는 화면 구성요소들을 별도의 비디오 트랙으로 만들어서, 주인공이나 지나가는 차와 같은 다른 화면 구성요소가 들어있는 비디오 트랙과 함께 재생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으로,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 미리 그에 대한 고려를 해주지 않으면 실현될 수 없다.A similar technique in the related art is Motion Picture Image Coding Experts Group (MPEG) -4 Binary Format for Scene (BIFS). However, MPEG-4 BIFS makes certain video components, such as the Eiffel Tower and the Golden Gate Bridge, as separate video tracks, play with video tracks containing other screen components, such as the main character or a passing car. It can not be realized unless the consideration is given in advance in the production stage of the content.

또한 종래의 유사한 다른 기술로는 시한 메타데이터(Timed Metadata)가 있다. 그러나 Timed Metadata는 시간에 따른 콘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화면상의 어떤 부분이 어떤 의미에 대응되는지에 대한 정보나, 시간축 상의 겹치는 여러 구간에 대한 구분, 그리고 Timed Metadata 자체에 대한 검색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Another similar technique in the prior art is Timed Metadata. However, Timed Metadata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content over time, considering information on what part of the screen corresponds to what it means, division of multiple sections on the time axis, and search for Timed Metadata itself. It is no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콘텐츠를 의미적으로 분리되어 소비할 수 있는 단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t that can consume the content semantically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의미적으로 분리되어 소비될 수 있는 콘텐츠를 위한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 that can be semantically separated and consume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의미적으로 분리되어 소비될 수 있는 콘텐츠를 위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yback device for content that can be semantically separated and consu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는, 재생할 콘텐츠의 파일 포맷을 분석하는 파셔와, 상기 파셔에서 전달된 콘텐츠를 의미목록 또는 의미구분 단위목록에 따라 처리하는 콘텐츠 처리부와,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에 따라 상기 파셔에서 전달된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미목록은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것이며, 상기 의미구분 단위목록은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A playback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ser for analyzing a file format of a content to be played, a conten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content delivered from the parser according to a semantic list or a semantic unit list, and the conten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 delivered from the parse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result processed by the processor. It is characterized by a list of semantic division units to distinguis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은,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과,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의미 목록 및 상기 의미구분 단위 목록의 처리 결과를 참조하여, 소정의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들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antic list listing the meaning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and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enumerating the semantic division unit for distinguishing the meaning And reproducing contents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with reference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의미 목록과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포함하는 의미 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a meaning list that lists the meanings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stored content, the semantic division to distinguish the meanings And a content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listing units, and generating semantic based content including the generated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들이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의미 목록과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포함하는 의미 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reading the stored content, the process of generating a semantic list of the meaning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stored content, and distinguishing the meaning Generating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listing semantic division units, and generating semantic-based content including the generated semantic division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매체는,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과,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content is recor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antic list of the contents, the meaning list of the meanings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content, and a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of the semantic division unit for dividing the meaning It includes.

이하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effect obtained by the typical thing of the invention disclosed below is demonstrated briefly, it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를 의미기반으로 구분하여 소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미기반으로 해당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소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to be classified and used based on semantic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or consume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a semantic basis.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는 콘텐츠를 기존과 같이 처음부터 끝까지 연속되게 재생할 수도 있지만 의미적인 순서나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를, 의미상으로 연관된 다른 콘텐츠의 해당 부분과 연결해서 재생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reproduce the contents continuous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s before, but may also play the semantic order or selectively. In additio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present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n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part of semantically related other content to be played or select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가지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가지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생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장치의 동작의 일 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일 포맷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having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s having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generation method of a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file forma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operation princi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콘텐츠는, 의미를 기반으로 시간적 단위, 공간적 단위, 구조적 단위, 물리적 단위 등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단위를 의미구분 단위라 정의한다. Content is composed of temporal units, spatial units, structural units, physical units, and the like based on meaning. In this specification, such a unit is defined as a semantic division unit.

의미구분 단위 중 시간적 단위에서, 콘텐츠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언제부터 얼마 동안'과 같이 그 부분이 한정될 수 있다. In the temporal unit of the semantic division unit, the content may be limited such as when and when and when.

공간적 단위에서, 콘텐츠는 '사각형의 왼쪽 위 모서리 좌표가 어디부터 오른쪽 아래 모서리 좌표가 어디까지'와 같이 그 부분이 한정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자유 폐곡선에서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좌표가 어디인지'와 같이 그 부분이 한정될 수 있다.        In the spatial unit, the content may be limited in part, such as 'where the upper left corner coordinate of the rectangle is from where the lower right corner coordinate is.' Alternatively, the part may be limited, such as 'where is the coordinate corresponding to each vertex in an arbitrary free closed curve'.

구조적 단위에서, 콘텐츠는 트랙 1번, 트랙 2번과 같이 한 개 이상의 콘텐츠 컴포넌트를 지정하여 그 부분이 한정될 수 있다. In the structural unit, the content may be defined by designating one or more content components such as track 1 and track 2.

또한 구조적 단위에서, 콘텐츠는 '무비 프래그먼트(movie fragment)의 몇 번부터 몇 번까지'와 같이 그 부분이 한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al unit, the content may be limited in parts such as 'how many times to movie fragments'.

물리적 단위에서, 콘텐츠는 '오프셋 몇 번지부터 몇 번지까지'와 같이 그 부분이 한정될 수 있다.이러한 의미구분 단위들은 'AND' 조건으로 결합되어 그 의미가 더욱 한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적 단위와 공간적 단위를 결합한 시공간적 단위에서 콘텐츠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AND 왼쪽 위 모서리 좌표가 어디부터 오른쪽 아래 모서리 좌표가 어디까지'와 같이 그 부분이 한정될 수 있다.In the physical unit, the content may be limited in parts such as 'offset from to how many.' These semantic division units may be combined in an 'AND' condition to further define the meaning. For example, in the spatiotemporal unit combining temporal unit and spatial unit, the content may be limited in part, such as 'from when and when and from the upper left corner coordinate to the lower right corner coordinate.'

아래의 표 1은 의미구분 단위들을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a Uniform Resource Location (URL) representing semantic division units.

URL: protocol://filename#time('100s','200s')//시간적 의미구분 단위
URL: protocol://filename#area('0,0','100,100')//공간적 의미구분 단위
URL: protocol://filename#ffp(track_ID='3')//구조적 의미구분 단위
URL: protocol: // filename # time ('100s', '200s') // Time semantic unit
URL: protocol: // filename # area ('0,0', '100,100') // Spatial semantic unit
URL: protocol: // filename # ffp (track_ID = '3') // structure semantic unit

이와 같이 구분된 의미구분 단위들은 각각 식별자를 가진다. 이를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라 한다. 또한 콘텐츠는 그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의미들이 나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나열된 의미들은 각각 식별자를 가진다. 이를 의미 식별자라 한다. 각각의 의미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지시한다. 또한 각 의미구분 단위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의미 식별자를 지시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에 존재하는 의미들은 그 의미가 존재하는 부분들을 상호 참조하여 지시할 수 있다.The semantic division units separated in this way have identifiers. This is called a semantic identifier. In addition, the content may list the semantics of the content, and the semantics listed in this way each have an identifier. This is called a semantic identifier. Each semantic indicates one or more semantic unit identifiers. In addition, each semantic division unit indicates one or more semantic identifiers. As such, the meanings present in the content may be indicated by cross-reference to the portions in which the meanings exist.

한편, 의미 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은 파일의 형식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may be provided in an optimized form according to the file format.

의미 목록 또는 의미구분 단위목록은 호환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MPEG-4 part12 호환 포맷(ISO/IEC14496-12:ISO Base Media File Format)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The semantic list or semantic unit list may be provided using an existing MPEG-4 part12 compatible format (ISO / IEC14496-12: ISO Base Media File Format) in consideration of compatibility.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일 포맷(Base Media File Format)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file format (Base Media File Form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ISO Base Media File Format으로 구성된 컨텐트는 moov box와 mdat box로 구성된다. 멀티미디어 컨텐트는 mdat box에 수록되며, moov box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구성 및 상세 메타데이터 정보가 담긴다. Referring to FIG. 7, a content composed of a conventional ISO Base Media File Format includes a moov box and an mdat box. The multimedia content is stored in the mdat box, and the moov box contains configuration and detailed metadata information about the multimedia content.

의미 목록 또는 의미구분 단위목록은 각각 혹은 같이, 아래 표 2와 같은 'smtc'박스를 기존 ISO Base Media File Format내에 신설하여 저장 혹은 제공될 수 있다.본 발명에서 신설된 smtc box는 ISO 파일 내의 moov box나 mdat box와 같이 box형태로 작성되어 ISO 파일 아래의 moov box나 mdat box와 같은 위치 (sibling 관계), 또는 moov box나 다른 기존 박스의 하위 박스에 속하도록 위치한다.The semantic list or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may be stored or provided by newly adding the 'smtc' box as shown in Table 2 in the existing ISO Base Media File Format, respectively or in the same manner. It is created in the form of a box like box or mdat box, and plac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moov box or mdat box under the ISO file (sibling relationship), or belonging to a lower box of moov box or another existing box.

struct box ('smtc')
{
unsigned int semantic_identifier;
unsigned int32 namespace; //0:MPEG-7, 1:doublin core, 2:...
string type; //example: structure
string semantic; //example: tower, eiffel
unsigned int number_of_reference_id;
for(i=0;i<number_of_reference_id;i++){
unsigned int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의미구분단위식별자
}
}
struct box ('smtc')
{
unsigned int semantic_identifier;
unsigned int32 namespace; // 0: MPEG-7, 1: doublin core, 2: ...
string type; // example: structure
string semantic; // example: tower, eiffel
unsigned int number_of_reference_id;
for (i = 0; i <number_of_reference_id; i ++) {
unsigned int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 semantic identifier
}
}

표 2에서 semantic_identifer는 의미 식별자를 나타낸다. namespace는 사용하려는 의미를 기 정의하고 있는 의미 서술 표준을 지시한다. 즉, MPEG-7이나 더블린 코어(doblin core)와 같이 기존에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표준을 사용하기 위해서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고 namespace의 부분을 문자열로 대치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나 사용자가 임의의 의미 어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namespace의 값을 'undefined'와 같이 특수한 문자열이나 지정된 값을 지시하도록 하여 표현의 범위를 확장할 수도 있다. type은 의미가 포함되는 분류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덥다'와 같은 의미는 온도에 포함될 수 있다. semantic은 의미를 명시한다. number_of_reference_id는 해당 의미와 연결될 수 있는 의미 구분 단위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는 해당 의미와 연결될 수 있는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나타낸다.In Table 2, semantic_identifer represents a semantic identifier. The namespace indicates a semantic description standard that defines the semantics to be used. That is, in order to use an existing standard, such as MPEG-7 or the doblin core, a number may be assigned or a part of the namespace may be replaced with a string. In addition, when a content provider or a user wants to use arbitrary semantic vocabulary, the scope of expression may be extended by indicating a special string or a designated value such as 'undefined'. type indicates a classification range containing meaning. For example, the meaning of 'hot' may be included in the temperature. semantic specifies meaning. number_of_reference_id indicates the number of semantic division unit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semantic.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represents a semantic division unit identifier that can be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mean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의미구분 단위목록은 아래 표 3과 같이 기존 'iloc' 박스를 확장하여 저장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may be stored by expanding an existing 'iloc' box as shown in Table 3 below.

표 3은 종래의 iloc 박스의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변경을 포함한다. 즉, 종래 4비트의 reserved field 중 1비트를 이용하여 iloc 박스의 아이템이 의미구분 단위인지 표시하도록 한다. 만약 해당 비트의 값이 1이면 iloc 박스는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저장하게 된다. Table 3 contains the modification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iloc box. That is, by using 1 bit of the conventional 4-bit reserved field to indicate whether the item of the iloc box is a semantic unit. If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bit is 1, the iloc box stores the semantic unit list.

aligned(8) class ItemLocationBox extends FullBox('iloc', version = 0, 0) {
unsigned int(4) offset_size;
unsigned int(4) length_size;
unsigned int(4) base_offset_size;
unsigned int(3) reserved; //새롭게 추가된 부분
unsigned int(1) item_is_semantic_unit;
if( item_is_semantic_unit == 0)
{
unsigned int(16) item_count;
for (i=0; i<item_count; i++) {
unsigned int(16) item_ID;
unsigned int(16) data_reference_index;
unsigned int(base_offset_size*8) base_offset;
unsigned int(16) extent_count;
for (j=0; j<extent_count; j++) {
unsigned int(offset_size*8) extent_offset;
unsigned int(length_size*8) extent_length;
}
}
}
else
{
unsigned int(16) semantic_unit_identifier;
unsigned int(16) number_of_url;
for(i=0; i<number_of_url;i++)
{
string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
unsigned int number_of_semantic_identifier;
for(i=0; i<number_of_semantic_identifier;i++)
{
unsigned int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
}
}
}
aligned (8) class ItemLocationBox extends FullBox ('iloc', version = 0, 0) {
unsigned int (4) offset_size;
unsigned int (4) length_size;
unsigned int (4) base_offset_size;
unsigned int (3) reserved; // new addition
unsigned int (1) item_is_semantic_unit;
if (item_is_semantic_unit == 0)
{
unsigned int (16) item_count;
for (i = 0; i <item_count; i ++) {
unsigned int (16) item_ID;
unsigned int (16) data_reference_index;
unsigned int (base_offset_size * 8) base_offset;
unsigned int (16) extent_count;
for (j = 0; j <extent_count; j ++) {
unsigned int (offset_size * 8) extent_offset;
unsigned int (length_size * 8) extent_length;
}
}
}
else
{
unsigned int (16) semantic_unit_identifier;
unsigned int (16) number_of_url;
for (i = 0; i <number_of_url; i ++)
{
string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
unsigned int number_of_semantic_identifier;
for (i = 0; i <number_of_semantic_identifier; i ++)
{
unsigned int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
}
}
}

표 3에서 offset_size, length_size, base_offset_size 는 이하에서 사용될 base_offset, extent_offset, extent_length의 크기를 byte로 나타낸 것이다. 일괄적으로 32bit나 16bit의 크기로 주소, 길이 등을 나타내면 필드가 낭비되거나 필드의 크기가 모자랄 수 있으므로 필드를 탄력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것이다. Reserved field는 종래 4bit였으나 3bit로 줄이고 본 발명에서는 1bit를 item location box의 item이 의미구분 단위목록인지 기존의 아이템인지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만약 의미구분 단위목록이 아니면 (item_is_semantic_unit == 0) 조건문 안으로 들어가서 후술하려는 아이템의 개수 (item_count)를 나타내고, for loop안으로 들어가서 아이템의 ID(item_ID)와, 해당 아이템이 어떤 데이터 소스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data_reference_index, 그리고 각 데이터 소스에서 서술하려는 아이템의 시작이 어디인지를 나타내는 base_offset을 기술한다. 아이템은 여러 개의 extent로 구성될 수 있으며 extent_count로 그 개수를 나타내고, for loop에서 각 extent가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base_offset + extent_offset, 그리고 각 extent의 길이를 extent_length로 나타낸다.In Table 3, offset_size, length_size, and base_offset_size represent the sizes of base_offset, extent_offset, and extent_length to be used below in bytes. If the address, length, etc. are displayed in the size of 32bit or 16bit collectively, the field may be wasted or the size of the field may be insufficient, so the field is operated flexibly. The reserved field was 4 bits in the prior art, but reduced to 3 bits in the present invention. item location Use this item to distinguish whether the item in the box is a semantic list or an existing item. If it is not a list of semantic units (item_is_semantic_unit == 0), enter the conditional statement and indicate the number of items (item_count) to be described later. , And base_offset, which indicates where the start of the item you want to describe in each data source is. An item can consist of several extents,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extents in the extent_count, base_offset + extent_offset, and the length of each extent in the for loop where each extent exists.

한편, 본 발명에서 추가로 제안하는 파일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file furth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semantic_unit_identifier는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나타낸다. number_of_url은 의미구분 단위의 개수를 나타낸다. url_with_fragment_identifier은 의미구분단위를 지시한다. 복수개의 url_with_fragment_identifier은 지시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AND 조건으로 결합하므로 여러 개의 url_with_fragment_identifier을 사용하면 지시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더욱 한정할 수 있다. number_of_semantic_identifier는 해당 의미구분 단위가 연결되는 의미의 식별자의 개수를 나타낸다.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는 해당 의미구분 단위가 연결되는 의미 식별자를 나타낸다.semantic_unit_identifier represents a semantic unit identifier. number_of_url represents the number of semantic division units.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indicates a semantic division unit. Since a plurality of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combines the semantic units indicated by the AND condition, the plurality of url_with_fragment_identifiers can further limit the indicated semantic units. number_of_semantic_identifier represents the number of identifiers of meanings to which corresponding semantic division units are connected.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 represents a semantic identifier to which a corresponding semantic division unit is conn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을 사용하여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구비할 수 있다. 아래 표 4와 같이 의미목록을 XML형식의 'semantic document'를 신설해 ISO Base Media File Format에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인 'meta' box 내에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may be provided using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format. As shown in Table 4 below, the semantic list can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meta' box, which is a space for storing metadata in the ISO Base Media File Format, by establishing a 'semantic document' in XML format.

semantic document 의 예
<xml>
<semantic semantic_identifier="...">
<namespace:type="semantic">
<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
<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

</namespace>
</semantic>
</xml>
Example of semantic document
<xml>
<semantic semantic_identifier = "...">
<namespace: type = "semantic">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 ".."/>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 ".."/>
...
</ namespace>
</ semantic>
</ xml>

표 4에서 semantic_identifer는 의미 식별자를 나타낸다. namespace는 사용하려는 의미를 기 정의하고 있는 의미 서술 표준을 지시한다. 즉, MPEG-7이나 더블린 코어(doblin core)와 같이 기존에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표준을 사용하기 위해서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고 namespace의 부분을 문자열로 대치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나 사용자가 임의의 의미 어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namespace의 값을 'undefined'와 같이 특수한 문자열이나 지정된 값을 지시하도록 하여 표현의 범위를 확장할 수도 있다. type은 의미가 포함되는 분류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덥다'와 같은 의미는 온도에 포함될 수 있다. semantic은 의미를 명시한다. number_of_reference_id는 해당 의미와 연결될 수 있는 의미 구분 단위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는 해당 의미와 연결될 수 있는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나타낸다.In Table 4, semantic_identifer represents a semantic identifier. The namespace indicates a semantic description standard that defines the semantics to be used. That is, in order to use an existing standard, such as MPEG-7 or the doblin core, a number may be assigned or a part of the namespace may be replaced with a string. In addition, when a content provider or a user wants to use arbitrary semantic vocabulary, the scope of expression may be extended by indicating a special string or a designated value such as 'undefined'. type indicates a classification range containing meaning. For example, the meaning of 'hot' may be included in the temperature. semantic specifies meaning. number_of_reference_id indicates the number of semantic division unit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semantic. reference_semantic_unit_identifier represents a semantic division unit identifier that can be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meaning.

의미구분 단위 목록은 표 5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5.

<xml>
<semantic_unit semantic_unit_identifier="…">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href="…">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href="…">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 semantic_identifier="..">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 semantic_identifier="..">
</semantic_item>
</xml>
<xml>
<semantic_unit semantic_unit_identifier = "…">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href = "…">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href = "…">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 semantic_identifier = "..">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 semantic_identifier = "..">
</ semantic_item>
</ xml>

표 5에서 semantic_unit_identifier는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나타낸다. url_with_fragment_identifier은 의미구분단위를 지시한다. 복수개의 url_with_fragment_identifier는 지시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AND 조건으로 결합하므로 여러 개의 url_with_fragment_identifier을 사용하면 지시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더욱 한정할 수 있다.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는 해당 의미구분 단위가 연결되는 의미 식별자를 나타낸다.In Table 5, semantic_unit_identifier represents a semantic unit identifier.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indicates a semantic division unit. Since a plurality of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combines the semantic units indicated by the AND condition, the use of a plurality of url_with_fragment_identifier can further limit the semantic units indicated. reference_semantic_identifier represents a semantic identifier to which a corresponding semantic division unit is connected.

본 발명과 같이 콘텐츠가 의미구분 단위로 소비될 수 있도록 하면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고,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콘텐츠를 연관시켜 소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콘텐츠에는 해당 콘텐츠에 존재하는 의미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구분 단위(시간적 단위, 공간적 단위, 구조적 단위, 물리적 단위 등)로 나눈 의미구분 단위목록이 구비된다. 또한 콘텐츠에는 해당 콘텐츠에 존재하는 의미 자체의 목록이 구비된다.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의미 목록은 상호 참조하도록 구성되어 데이터의 리던던시(redundancy)를 줄일 수 있다.If the content can be consumed in a semantic uni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suming the content may be different, and it is possible to associate and consume several different contents. To this end, the content is provided with a list of semantic classification units divided into various semantic division units (temporal unit, spatial unit, structural unit, physical unit, etc.)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eaning existing in the content. In addition, the content is provided with a list of meanings existing in the content. The semantic unit list and the semantic list can be configured to cross-reference to reduce redundancy of the data.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의미와 의미구분 단위가 구비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준을, 종래와 같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적으로 소비할 것인지, 특정한 의미를 기반으로 소비할 것인지로 구분하여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s having a meaning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may consume a criterion for reproducing the contents consistent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s in the prior art or based on a specific meaning. It can be determined by divi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가지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having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가지는 콘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200)를 통해 콘텐츠 서버(10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콘텐츠 재생장치(300)를 통해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가지는 콘텐츠를 저장한 저장매체 (예를 들어 CD, DVD, BD)를 재생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server 100 provides content having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ser may access the conten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200 such as a broadcasting network or a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s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nd reproduces the content via the content playback device (30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300 plays a storage medium (eg, CD, DVD, BD) storing contents having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100)는 콘텐츠 생성부(110), 송수신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콘텐츠 생성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콘텐츠에, 상기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과,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추가한 의미 기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송수신부(120)를 통해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ent server 100 includes a content generator 110, a transceiver 120, and a storage 130. 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content, and the content generation unit 110 distinguishes the meaning from the meaning list in which the meanings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content are listed in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Generates a semantic based content added with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listing semantic division units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12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가지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s having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장치(300)는, 파일 포맷 파셔(310), 디코더(320), 콘텐츠 처리부(330), 표시부(340) 및 입력부(3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a content play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e format parser 310, a decoder 320, a content processor 330, a display unit 340, and an input unit 350. do.

파일 포맷 파셔(510)는 네트워크(200) 또는 저장소(4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파일 포맷을 분석하고 오류를 점검한 후 디코더(320)와 콘텐츠 처리부(330)로 전송한다. 이때 저장소(400)는 재생장치(30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330)는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또는 자동적으로 콘텐츠를 의미목록 또는 의미구분 단위목록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디코더(320)로 전송한다. 디코더(320)는 콘텐츠 처리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표시부(340)에 전달하고, 표시부(340)는 전달된 콘텐츠를 표시한다.The file format parser 510 analyzes the file format of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network 200 or the storage 400, checks for an error, and transmits the error to the decoder 320 and the content processor 330. In this case, the storage 40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layback apparatus 300. 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unit 330 refers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50 or automatically process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emantic list or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nd transmits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decoder 320. The decoder 320 decodes the content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content processor 330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display unit 340, and the display unit 340 displays the transferred conten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부(33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처리부(330)는 네비게이터(331), 의미목록 처리부(332), 구분단위 처리부(333) 및 관련의미 처리부(334)를 포함한다.4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cessing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ontent processing unit 330 includes a navigator 331, a semantic list processing unit 332, and a division unit processing unit. 333 and the associated meaning processor 334.

의미목록 처리부(3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에 포함된 의미목록들을 처리한다. 구분단위 처리부(33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에 포함된 의미구분 단위목록들을 처리한다. 네비게이터(331)는 입력부(35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의미목록 처리부(332)와 구분단위 처리부(333)에게 콘텐츠의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처리할 것을 지시한다. 그러면 관련의미 처리부(334)는 의미목록 처리부(332)와 구분단위 처리부(333)에서 처리한 내용을 토대로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들 중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재생 시작 전 또는 재생 중의 일 시점에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또는 재생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의미가 존재함을 알려주고, 또한 재생장치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소(400)에 위치한 다른 콘텐츠에도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또는 재생중인 콘텐츠와 일치 또는 관련된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의 일부가 존재함을 알려준다. The semantic list processor 332 processes the semantic lists included in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sion unit processing unit 333 processes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s included in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or 331 instructs the semantic list processor 332 and the division unit processor 333 to process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unit list of content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350. Then, the related meaning processing unit 334 before or after the playback of the content is started to the user among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unit list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based on the contents processed by the semantic list processing unit 332 and the division unit processing unit 333. Indicates that there is a meaning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hat is currently playing or is being played at a point in time, and also matches or is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hat is currently playing or is being played with other content located in the storage 400 accessible by the playback device. It indicates that there is a content or a part of the content that has meanin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콘텐츠를 처음부터 끝까지 소비하는 경우에는 현재 재생위치가 의미구분 단위 중 어떤 것에 해당하는지 확인한 후에 그 의미구분 단위에 해당하는 의미들을 찾아서 사용자에게 현재 재생위치와 일치하거나 관련된 의미들을 도시할 수 있다. 또한, 재생장치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소(400)에 저장된 다른 콘텐츠들도 확인하여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또는 재생중인 콘텐츠와 일치하는 의미, 또는 유사한 형식인지에 따라 사용자에게 연관된 다른 콘텐츠가 존재함을 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more detail, when the content is consum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fter identifying which of the semantic division units the current playback position corresponds to the semantic division unit, the semantics corresponding to the semantic division unit are searched to show the meanings corresponding to or related to the current playing position to the user. can do. In addition, other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400 accessible to the playback device may be checked to show that there is other content associated with the user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ent is similar to, or similar to, the content that is being played or is being played. It is possible to do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재생장치가 의미기반으로 검색하여 도시한 콘텐츠들 중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면, 재생장치는 현재 재생 지점으로부터 선택된 의미가 존재하는 콘텐츠의 다른 일 시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택된 의미가 존재하는 콘텐츠의 재생을 재개한다. 이때 재생장치는 연관된 다른 콘텐츠의 의미목록에서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찾고, 그 의미구분 단위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일부 재생함으로써, 존재하는 다른 콘텐츠의 해당 장면을 썸네일(thumbnail) 혹은 리스트와 같은 형태로 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해당 콘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에 이어서 재생을 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사용자의 선호환경에 따라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에 이어서 자동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a playback device searches a semantic basis and selects a specific content among the illustrated contents by the user's selection, the playback device moves to another point in time where the selected meaning exists from the current playback point and the selected meaning exists. Playback of the content is resumed. At this time, the playback apparatus finds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n the semantic list of other related contents, and plays a part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mantic division unit, thereby showing a corresponding scene of the existing other contents in the form of a thumbnail or a list. It is possible to. In this case, the playback device may receive the user's input and play the content following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or automatically play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environment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콘텐츠를 특정한 의미를 기반으로 소비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재생장치가 의미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콘텐츠들의 의미목록을 검색하여 일치하거나 관련된 의미를 가진 콘텐츠들을 찾아내고, 해당 콘텐츠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재생하게 된다. When the content is to be consumed based on a specific meaning, the user can set the playback device to play the content based on the meaning. Then, the playback apparatus searches the semantic list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finds the contents having the matching or related meaning, and plays some or all of the contents.

예를 들어 'wedding'이라는 검색어로 재생장치에 질의하면, 재생장치는 'wedding'이라는 의미를 가진 콘텐츠 또는 'ceremony'라는 상위의미를 가진 콘텐츠를 예상되는 결과물로서 검색목록에 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위의미는 콘텐츠에 주어지거나, 재생장치가 MPEG-7과 같은 메타데이터의 specification을 참고하여 연관 의미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거나, 재생장치가 제조사 고유로 구성된 의미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검색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검색된 결과를 하나 또는 여러 개 선택하고 선택된 결과들을 연속해서 재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querying a playback device with the search term 'wedding', the playback device may display content having a meaning of 'wedding' or content having a higher meaning of 'ceremony' in the search list as an expected result. At this time, the higher meaning may be given to the content, or the playback apparatus may have a database of related meanings by referring to the specification of metadata such as MPEG-7, or the playback apparatus may search using a semantic based database configured by the manufacturer. have. The user can then select one or several searched results and play the selected results consecutively.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생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generation method of a cont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501 과정에서 콘텐츠 서버는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들여서 502 과정에서 읽어들인 콘텐츠를 분석하여 콘텐츠를 구성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확인한다. 그리고 503 과정에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를 토대로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분하여 의미 목록과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작성하고, 504 과정에서 상기 작성한 의미 목록과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한다. Referring to FIG. 5, in step 501, the content server reads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nalyzes the content read in step 502 to identify a semantic division unit constituting the content. In operation 503, each scene of the content is divided based on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to create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n operation 504, a content including the created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generat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재생장치는 601 과정에서 네트워크 또는 내부/외부에 위치한 저장소로부터 재생할 콘텐츠를 읽어들이고, 해당 콘텐츠를 재생하기 전 또는 재생하는 도중에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의미목록과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읽어들인다. 602 과정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의미와 동일하거나 관련된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한다. 603 단계에서는 재생장치의 재생방법 설정 여부를 확인하며, 만일 재생장치가 의미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604 과정에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에 이어서 검색된 콘텐츠들을 연속하여 재생한다. 재생장치가 의미기반으로 재생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605 과정에서 상기 검색된 콘텐츠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재생장치는 연관된 다른 콘텐츠의 의미목록에서 의미구분 단위목록을 찾고, 그 의미구분 단위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일부 재생함으로써, 존재하는 다른 콘텐츠의 해당 장면을 썸네일(thumbnail) 혹은 리스트와 같은 형태로 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606 과정에서는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들 중 하나 또는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콘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에 이어서 재생하거나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환경에 따라 재생한다.Referring to FIG. 6, in operation 601, the playback apparatus reads content to be played back from a network or an internal / external storage, and reads a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unit list of the content to be played before or during the playback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Read. In step 602, it is searched whether there is content having the same or related meaning as that of the content to be played. do. In step 603, it is determined whether a playback method of the playback device is set. If the playback device is set to play content based on the meaning, the searched content is continuously played in step 604 after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f the playback apparatus is not set to play on a semantic basis, the searched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the user to check in step 605. At this time, the playback apparatus finds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n the semantic list of other related contents, and plays a part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mantic division unit, thereby showing a corresponding scene of the existing other contents in the form of a thumbnail or a list. It is possible to. In operation 606, when one or some of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are selected by the user, the selected contents are played after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s or according to a preset preference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미 기반 콘텐츠는 네트워크에서 접속 가능한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데이터 베이스 등에 저장되거나, 씨디롬, DVD(Digital Versatile Disc),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등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emantic-bas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 database, or the like, or may be a CD-ROM, a digital versatile disc (DVD), a RAM,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or an optical disk. It may be provide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disk, a universal serial bus (USB).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의미, 목록, 의미구분 단위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의미는 semantic, context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고, 목록은 database, list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의미구분단위는 partition, identifier, item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meaning, list, and semantic division unit are used, but the meaning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n semantic, context, and the like, and the lis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n database, list, and the like. In addition, semantic division units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s partitions, identifiers, items, and the like.

Claims (57)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할 콘텐츠의 파일 포맷을 분석하는 파셔와,
상기 파셔에서 전달된 콘텐츠를 의미목록 또는 의미구분 단위목록에 따라 처리하는 콘텐츠 처리부와,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에 따라 상기 파셔에서 전달된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미목록은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것이며, 상기 의미구분 단위목록은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In the playback device for playing content,
A parser that analyzes the file format of the content to be played,
A conten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content delivered from the parser according to a semantic list or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parse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result processed by the content processing unit.
And the semantic list lists the meanings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conten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lists the semantic division units for dividing the mean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처리부는,
상기 재생할 콘텐츠의 의미 목록을 처리하는 의미 목록 처리부와,
상기 재생할 콘텐츠의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처리하는 구분단위 처리부와,
상기 의미 목록 처리부 및 상기 구분단위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참조하여, 소정의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들을 검색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관련의미 처리부를 포함하는 재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processing unit,
A semantic list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semantic list of the content to be played;
A division uni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of the content to be played;
And a related meaning processor configured to search for and play contents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with reference to processing results of the semantic list processor and the division unit proces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의미 처리부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작 전 또는 재생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콘텐츠 내에 상호 관련된 의미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소에 위치한 다른 콘텐츠에 상기 의미와 일치 또는 관련된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가 존재함을 확인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elevant meaning processing unit,
At the time before or during the playback of the content,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mutual meaning within the content, and that the content having the same meaning as or related to the meaning exists in other content located in an internal or external storage. A playback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confirm and displ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의미 처리부는,
상기 재생 중의 일 시점에, 상기 표시된 콘텐츠 중 소정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에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levant meaning processing unit,
And when a predetermined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contents at a time point during the reproduction, controlling to play the selected content after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의미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선호환경에 따라, 상기 표시된 콘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에 이어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levant meaning processing unit,
And reproducing the displayed content after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environment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시간적 단위, 공간적 단위, 구조적 단위, 물리적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mporal unit, a spatial unit, a structural unit, and a physica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둘 이상의 단위들이 'AND' 조건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units are combined in an 'AND' cond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는 각각 의미 식별자를 가지고,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각각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의미 식별자와 상기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는 상호 참조하여 상호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nings each have a semantic identifier, and each semantic division unit has a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dentifier,
And the semantic identifier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identifier are mutually referr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각각 mdat박스 및 moov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hrough the mdat box and moov box,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smt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n smtc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변경된 ilo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modified iloc box.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iloc박스의 reserved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reserved area of an iloc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meta box.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 내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in XML format in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format.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방법에 있어서,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과,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의미 목록 및 상기 의미구분 단위 목록의 처리 결과를 참조하여, 소정의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들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재생 방법.
In the playback method for playing the content,
Processing a semantic list listing the meanings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listing the semantic division units for distinguishing the meanings;
And reproducing contents having a predetermined meaning by referr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작 전 또는 재생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콘텐츠 내에 상호 관련된 의미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소에 위치한 다른 콘텐츠에 상기 의미와 일치 또는 관련된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가 존재함을 확인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generation process,
At the time before or during the playback of the content,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mutual meaning within the content, and that the content having the same meaning as or related to the meaning exists in other content located in an internal or external storage. Playback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by check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재생 중의 일 시점에, 상기 표시된 콘텐츠 중 소정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에 이어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generation process,
And if the predetermined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content at one point in time during the playback, the selected content is played next to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선호환경에 따라, 상기 표시된 콘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에 이어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generation process,
And playing the displayed content after the currently playing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environment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시간적 단위, 공간적 단위, 구조적 단위, 물리적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mporal unit, a spatial unit, a structural unit, and a physical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둘 이상의 단위들이 'AND' 조건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mantic division unit is a playback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units are combined in an 'AND' condi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는 각각 의미 식별자를 가지고,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각각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의미 식별자와 상기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는 상호 참조하여 상호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meanings each have a semantic identifier, and each semantic division unit has a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dentifier,
And the semantic identifier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identifier are mutually referred to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각각 mdat박스 및 moov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en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hrough the mdat box and moov box, respectivel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smt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n smtc box.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변경된 ilo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the changed iloc box.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iloc박스의 reserved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reserved area of an iloc box.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meta box.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 내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in an XML format in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format.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의미 목록과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포함하는 의미 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생성 장치.
An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tent,
Generating a semantic list listing meanings of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stored content, generating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listing semantic division units for distinguishing the meanings, and including the generated semantic list and semantic division unit list And a content generator for generating semantic-based content.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시간적 단위, 공간적 단위, 구조적 단위, 물리적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oral unit, a spatial unit, a structural unit, and a physical unit.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둘 이상의 단위들이 'AND' 조건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semantic separat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units are combined in an 'AND' condition.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는 각각 의미 식별자를 가지고,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각각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의미 식별자와 상기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는 상호 참조하여 상호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meanings each have a semantic identifier, and each semantic division unit has a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dentifier,
And the semantic identifier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identifier are mutually referred to each other.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각각 mdat박스 및 moov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And the conten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re provided through the mdat box and moov box, respectively.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smt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n smtc box.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변경된 ilo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the changed iloc box.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iloc박스의 reserved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장치.
35. The method of claim 34,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reserved area of an iloc box.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meta box.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 내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in an XML format in an meta box.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들이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의미 목록과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포함하는 의미 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생성 방법.
In a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Reading the stored content,
Generating a meaning list listing meanings of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stored content;
Generating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listing semantic division units for dividing the meanings;
Generating a semantic based content including the generated semantic list and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시간적 단위, 공간적 단위, 구조적 단위, 물리적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oral unit, a spatial unit, a structural unit, and a physical unit.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둘 이상의 단위들이 'AND' 조건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units are combined in an 'AND' condition.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는 각각 의미 식별자를 가지고,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각각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의미 식별자와 상기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는 상호 참조하여 상호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The meanings each have a semantic identifier, and each semantic division unit has a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dentifier,
And the semantic identifier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identifier are mutually referred to each other.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각각 mdat박스 및 moov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The conten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gene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hrough the mdat box and moov box, respectively.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smt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n smtc box.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변경된 ilo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modified iloc box.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iloc박스의 reserved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44,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reserved area of an iloc box.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meta box.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 내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방법.
47. The method of claim 46,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in an XML format in the meta box.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의 각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의미를 나열한 의미 목록과,
상기 의미를 구분하는 의미구분 단위를 나열한 의미구분 단위 목록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매체.
I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content is recorded,
Content that contains data,
A meaning list listing meanings of elements constituting each scene of the content;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in a content including a semantic division unit list listing semantic division units for separating the meanings.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시간적 단위, 공간적 단위, 구조적 단위, 물리적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9. The method of claim 48,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oral unit, a spatial unit, a structural unit, and a physical unit.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둘 이상의 단위들이 'AND' 조건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9. The method of claim 48,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s a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units are combined in an 'AND' condition.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는 각각 의미 식별자를 가지고, 상기 의미구분 단위는 각각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의미 식별자와 상기 의미구분 단위 식별자는 상호 참조하여 상호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9. The method of claim 48,
The meanings each have a semantic identifier, and each semantic division unit has a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identifier,
And the semantic identifier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identifier are mutually referred to each other.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각각 mdat박스 및 moov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9. The method of claim 48,
The conten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a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hrough the mdat box and moov box, respectively.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smt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9. The method of claim 48,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n smtc box.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변경된 iloc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9. The method of claim 48,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modified iloc box.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iloc박스의 reserved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5. The method of claim 54,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divis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reserved area of an iloc box.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9. The method of claim 48,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emantic list and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through a meta box.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목록 및 의미구분 단위목록과 관련된 정보는 meta박스 내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7. The method of claim 56,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mantic list and the semantic classification unit list is provided in an XML format in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format.
KR1020110017058A 2011-02-25 2011-02-25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s,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 KR2012009769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058A KR20120097693A (en) 2011-02-25 2011-02-25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s,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
PCT/KR2012/001414 WO2012115476A2 (en) 2011-02-25 2012-02-24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reproducing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having the content recorded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058A KR20120097693A (en) 2011-02-25 2011-02-25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s,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693A true KR20120097693A (en) 2012-09-05

Family

ID=4672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058A KR20120097693A (en) 2011-02-25 2011-02-25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s,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97693A (en)
WO (1) WO2012115476A2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347B1 (en) * 2002-10-15 2006-04-17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Multimedia Contents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Preferences and Its Recording Media
KR100502429B1 (en) * 2003-02-06 2005-07-20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ser specified actor by using audio and visual features in drama genre video contents
KR100817744B1 (en) * 2005-10-11 2008-03-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creative contents
KR101025274B1 (en) * 2008-04-18 2011-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telecommunication 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data-information for Synchronization between broadcasting contents and data-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5476A2 (en) 2012-08-30
WO2012115476A3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1213B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from information memory medium
JP5048488B2 (en) Recording medium including meta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142453B2 (en) Playback device
EP2093767B1 (en) Reproduction method from storage medium storing metadata for providing enhanced search function
US20050223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multimedia play list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8699859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ing application for providing metadata,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viding metadata
KR20110056476A (en) Multimedia distribution and playback systems and methods using enhanced metadata structures
US20050169604A1 (en) Storage medium in which audio-visual data with even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JP2011087312A (en) Recording medium in which moving-image data containing mode information are recorded,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JP2007515735A (en) Recording medium including meta information for search,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KR20050041797A (en) Storage medium including meta data for enhanced search and subtitle data and display playback device thereof
KR201400712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 using screen composition information
JP4256401B2 (en)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200976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contents,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the contents
KR20070098395A (en) Media file format, method for playbacking media file, and apparatus for playbacking media file
CN101430915B (en) Reproducing apparatus
WO2006126836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ing application for providing metadata,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viding meta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