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485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485A
KR20120092485A KR1020110059417A KR20110059417A KR20120092485A KR 20120092485 A KR20120092485 A KR 20120092485A KR 1020110059417 A KR1020110059417 A KR 1020110059417A KR 20110059417 A KR20110059417 A KR 20110059417A KR 20120092485 A KR20120092485 A KR 20120092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screen
mode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1641B1 (en
Inventor
성진하
김민경
이성식
김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8155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36672B1/en
Priority to CN201611170797.5A priority patent/CN107102789B/en
Priority to EP12154904A priority patent/EP2487579A1/en
Priority to CA2826933A priority patent/CA2826933C/en
Priority to JP2013553365A priority patent/JP6002688B2/en
Priority to CN201280018049.9A priority patent/CN103492993A/en
Priority to AU2012214993A priority patent/AU2012214993B2/en
Priority to US13/370,568 priority patent/US9569090B2/en
Priority to BR112013020544A priority patent/BR112013020544A2/en
Priority to PCT/KR2012/000997 priority patent/WO2012108714A2/en
Priority to RU2013137438A priority patent/RU2607272C2/en
Publication of KR2012009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6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upplying a GUI of a portable terminal are provided to supply an execution screen of applications and to input an operation command about applications. CONSTITUTION: A control unit displays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on a display unit(401). The control unit receives selection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404). The control unit displays a reduction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405).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METHO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GUI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GUI related to application execution in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a multitasking function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

최근 터치스크린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태블릿(tablet) PC 등의 휴대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이용한다.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 단말기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켜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Recentl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touch screen-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tablet PC is widely used, and a user executes and use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Recently released portable terminals support a multitasking function, and a user can execut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use them at the same time.

그런데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멀티태스킹 기능 지원 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실행시키기는 하나,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만을 표시할 뿐,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데 불과했다. 즉, 사용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볼 수 없었다. 또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알림을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기는 하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only executes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t the same time when the multitasking function is supported, but displays only on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executes other applications in the background. That is, the user could not see the execution scree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currently being executed on one screen. In addition, although a function of displaying an event notification in a pop-up form when an event related to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background occurs during execution of one application is implemented, it does not provide an interface for simultaneously opera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구현할 수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capable of implemen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execution screens on one screen and an apparatus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ceiving a selection of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of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d displaying a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g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of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from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본 발명을 통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기능 이용 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되며,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터치 동작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종료, 숨김, 미니 모드에서 전체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태스킹 기능을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uses the multitask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can view execution scree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one screen, and can input operation commands for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one screen. do. In addition, since a user can input a command such as application execution, termination, hiding, switching from the mini mode to the full mode through a simple touch operation,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in using the multitask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복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UI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2.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UI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4.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UI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7.
9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when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de of switching from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to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are displayed on one screen for the same applica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UI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12.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mini mode execution screens displayed on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15 and 16 are views illustrating a mode in which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is switched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과 구분되어 형성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과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미니 모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전체 모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과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s an area where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is located and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may be composed of a 'mini mode execution icon area' and a 'full mode execution icon area'. The mini mode execution icon area is an area where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for mini mode execution is located and the full mode execution icon area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for full mode execution is located. The mini mode execution icon area and the full mode execution icon area are displayed at the same location and are configured to be switchable according to a user's input.

본 발명에서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가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며, 인디케이터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이전(back) 키, 홈(home) 키, 최근 실행 목록(recent) 키 및 검색(search)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인디케이터 영역이 다른 영역으로 전환 가능함을 나타내는 큐(cue)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area' is an area in which at least one function key is located and is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the indicator area and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re configured to be switch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 user input. do. The indicator area may include a back key, a home key, a recent execution key, a search ke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dicator area may include a cue image indicating that the indicator area can be switched to another area.

본 발명에서 '메뉴 바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인디케이터 영역이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bar area'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indicator area are located.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홈 화면,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구분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 또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s an area where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 home screen, and a menu screen are displayed, and is distinguished from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r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s displayed.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 형태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전체로 구성되는 실행 화면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홈 화면 또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a form of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corresponds to an execution screen composed of the entir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When the user touches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included in a home screen or a menu scree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 또는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다른 형태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일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실행 화면에 해당한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전체 모드 실행 화면 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며,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은 서로 다른 GUI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r 'collapse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another form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corresponds to an execution screen composed of a partial region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gi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may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may be configured with different GUIs for the same applica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included in the mini mode execution icon area,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bes only thos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가 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a multimedia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MP3 player, or the lik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저장부(120), 터치스크린부(130), 키 입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touch screen unit 130, a key input unit 140, and a controller 150.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rresponding data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data through a wireless channel, output the data to the controller 150, and transmit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50 through a wireless channel.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및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20 is a component that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torage unit 120 may boot an operating system (OS), an application and an image, audio, video, etc. to boot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can be saved.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센서부(131) 및 표시부(13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터치센서부(1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의 터치 감지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 터치센서부(1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The touch screen unit 130 includes a touch sensor unit 131 and a display unit 132. The touch sensor unit 131 is a component that detects a user's touch input. The touch sensor unit 131 may be a capacitive overlay or a resistive overlay touch sensing sensor, and all kinds of sensor devices capable of sensing a touch of an object other than the sensor may be provided. The touch sensor unit 131 may be configured. The touch sensor unit 131 detects a user's touch input,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The detection signal includes coordinate data input by a user. When the user inputs the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he touch sensor unit 131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including coordinate data of the touch position movement path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표시부(1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32)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선택 입력 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32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s), and the lik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100 or input data is visually provided to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32 displays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d when a selection of any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is selected, a mini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is displayed. Displays the mode execution scree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터치스크린부(130)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는 입력 장치로서, 터치센서부(131)와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별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키 입력부(140)는 버튼식 또는 터치센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The key input unit 140 is an input device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touch screen unit 130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50 like the touch sensor unit 131. To perform. The key input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including numeric keys and direction keys, and may be configured as individual keys. The key input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button type or a touch sensor metho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140 may be omitted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operated by only the touch screen unit 130.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controller 15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선택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The controller 1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 selection of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Mark the area.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며,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n indicator area including at least one function key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nd after touching the indicator area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the application. When the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o the execution screen area is received, the display unit 132 may be controlled to change and display the indicator area as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 및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하면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인디케이터 영역 표시를 유지한다.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터치 이동 위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indicator area an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32, and then touches the indicator area after touching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When the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the direction is received, the display unit 132 is controlled to move and displa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move and displa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determines whether the center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reaches the indicator reg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er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has reached the indicator area,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change the indicator area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if it is not reached, displays the indicator area. Keep it.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movement position reache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movement position is reached, terminates the application 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determines that the touch movement position has not reached the mini mode. Mainta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tatus on the execution screen.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포커스 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OK 키' 및 'Cancel 키'를 포함하는 팝 업(pop-up) 창을 표시한다.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OK 키'가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포커스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Cancel 키'가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etermine whether an event occurs in the application displayed as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while displaying the focused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 pop-up window including an 'OK key' and a 'Cancel ke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K key' is selected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move the focus to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nd displays the selected 'Cancel key'. If it is determined, the focus state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s maintain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멀티태스킹 기능 지원을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GUI for supporting the multitask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UI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표시부(132)의 하단에 바(bar) 형태로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의 상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In step 201,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 the form of a bar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132 and to display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on the upper part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can do.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i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는 메뉴 아이콘 또는 위젯으로 구성되는 홈(home) 화면, 메뉴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메뉴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포함될 수 있다. 대기 상태(standby)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홈 화면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may include a home screen composed of a menu icon or a widget, a menu screen composed of a menu icon, or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 home screen or a menu screen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n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tat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32. Displays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20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으로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터치를 입력하며,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인식한다. In operation 202,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 selection of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Whe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the user inputs a touch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to perform other tasks by multitasking, an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user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The application recognizes the touched ic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터치 입력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판단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내로 이동시킨 후 터치를 해제하는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user inputs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o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fter inputting a touch to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It can be determined and recognized a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input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may correspond to a drag and drop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d then moves it into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nd releases the touch.

2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구성하고 표시부(132)에 표시한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일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실행 화면으로서, 홈 화면, 메뉴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layer) 상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은 서로 다른 GUI로 구성될 수 있다. In step 203,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selected by the user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The controller 150 execut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selected by the user, and then configures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32.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s an execution screen composed of a partial region of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gion, and is displayed on an upper layer of a home screen, a menu screen, or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that can be displayed as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may be configured with different GUIs.

도 3은 도 2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2.

도 3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31),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 미니 모드 실행 화면(33)을 도시하고 있다. 3 illustrates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gion 31,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32, and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33.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31)에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33)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서,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33)은 전체 모드 전환 키(34) 및 종료키(3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을 전체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모드 전환 키(34)에 터치를 입력하며,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키(35)를 입력하게 된다.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31,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alculator' application is displaye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33 is a 'world tim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is displayed in the foreground of the 'calculator'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 FIG. 3,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33 includes a full mode switch key 34 and an end key 35. When the user wants to switch the 'world time' application to the full mode, the user inputs a touch to the full mode switch key 34, and when the user wants to terminate the 'world time' application, the user enters an end key 35.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들(321 내지 327)이 포함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빈번히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들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에 해당하는 아이콘(323)에 터치를 입력했을 때 표시되는 결과에 해당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을 다른 영역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328)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2) 영역은 기능키들로 구성되는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328)를 입력하여 전환시킬 수 있다..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32 includes a plurality of application execution icons 321 to 327.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list includ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32 may be reset by the user, and the user may configure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32 as application execution icons of frequently used applications. FIG. 3 corresponds to a result displayed when a user inputs a touch to an icon 323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icon of an application of 'world time'.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32 may include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end key 328 for switching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32 to another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32 area may be switched to an indicator area composed of function keys. In this case, the user may switch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end key 328.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인디케이터 영역이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 해당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UI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and an indicator region.

4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이전(back) 키, 홈(home) 키, 최근 실행 목록(recent) 키 및 검색(search) 키가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는 도 2와 같이 홈 화면, 메뉴 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된다. In step 401,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n indicator area including at least one function key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area may include a back key, a home key, a recent execution list key, and a search key.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 home screen, a menu screen, and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2.

40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다. 402단계에서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터치 이동 후 터치를 바로 해제하는 플릭(flick) 동작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In step 402,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touch sensor unit 131 to receive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gion after touching the indicator region. The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put in step 402 preferably corresponds to a flick operation of releasing the touch immediately after the touch movement over a preset speed.

4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막대(bar)가 회전하는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하게 된다. In step 403,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change the indicator area to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d display the chang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n effect image in which the bar rotates, and converts the indicator regio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404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으며, 405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In operation 404,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 selection of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In operation 405,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execute a mini mode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Display the scree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환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전환키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area may include a switch key for switching to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When a user inputs a touch to the switch key,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indicator 132 to display the indicator. The area can be displayed by switching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키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may include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end key.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to the key,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control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The display can be switched to the indicator area.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상에 터치 후 아래 방향(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플릭(flick) 동작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while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s displayed, and if the user inputs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a downward direction (opposite the direction toward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display unit 132. ) Can be displayed by switching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to an indicator area.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corresponds to a flick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한 후, 타이머(timer)를 구동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T)이 경과되는지 체크하며, T를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switch from the indicator area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drives a timer, and checks whether the preset time T has elap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apse of T passes, the display unit 132 may be controlled to convert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to an indicator area for display.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과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하부는 인디케이터 영역,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의 3가지 영역이 순차적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과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며,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132)에 표시하고,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132)에 표시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may include a mini mode execution icon region and a full mode execution icon region.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switch the three areas of the indicator area, the mini mode execution icon area, and the full mode execution icon area. The mini mode execution icon region and the full mode execution icon region include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When an icon included in the mini mode execution icon reg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50 configures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display unit 132 is displayed and an icon included in the full mode execution icon area is selected, the controller 150 configures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3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51)과 메뉴 바 영역(52)을 도시하고 있다. 메뉴 바 영역(52)은 입체적인 막대 형상의 메뉴 바를 포함하며, 메뉴 바는 3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바에는 인디케이터 영역(521),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522) 및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523)이 포함된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뉴 바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메뉴 바 영역(52)은 인디케이터 영역(521),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522) 또는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523)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5 illustrates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51 and a menu bar area 52. The menu bar area 52 includes a three-dimensional bar-shaped menu bar, and the menu bar is composed of three sides. The menu bar includes an indicator area 521, a mini mode execution icon area 522, and a full mode execution icon area 523.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e menu bar rotates upward or downward, and the menu bar area 52 is any one of the indicator area 521, the mini mode execution icon area 522, or the full mode execution icon area 523. The area is switched to and displayed.

도 6은 도 4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4.

도 6의 [a]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된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인디케이터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인디케이터 영역은 이전 키(61), 홈 키(62), 최근 실행 목록 키(63), 검색 키(64)를 포함한다. 또한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다른 영역으로 전환 가능함을 나타내는 큐(cue) 이미지(65)와 현재 시각이 포함되어 있다. 도 6의 [a]는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A] of FIG. 6 shows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and an indicator area composed of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The indicator area includes a previous key 61, a home key 62, a recent execution list key 63, and a search key 64. In addition, the indicator area includes a cue image 65 indicating that switching to another area is possible, and the current time. 6A illustrates a method in which a user inputs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o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fter touching the indicator area.

도 6의 [b]는 도 6의 [a]에서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의 [b]에서 인디케이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도 6의 [b]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도 6의 [b]는 사용자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23)을 선택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FIG. 6B illustrates a screen that is changed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fter touching the indicator area in FIG. 6A. In FIG. 6B, the indicator area is changed and displayed as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of FIG. 6B corresponds to the mini mode execution icon region. 6B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user selects the world time application execution icon 323.

도 6의 [c]는 도 6의 [b]에서 사용자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23)을 선택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의 [c]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layer) 상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서 다시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328)를 선택하게 된다.FIG. 6C illustrates a screen that is changed when the user selects the world time application execution icon 323 in FIG. 6B. 6C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world tim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upper layer of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video application. When the user wants to switch back from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to the indicator area, the user select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end key 328.

도 6의 [d]는 도 6의 [c]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328)를 선택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이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D] of FIG. 6 corresponds to a screen that is changed when the user select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end key 328 in FIG. 6c, and shows the form in which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is switched to the indicator region. hav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미니 모드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의 실시예에 해당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UI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terminating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mini mode.

7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과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701단계는 도 2의 203단계 또는 도 4의 405단계의 과정 이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이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다시 전환된 상태에 해당한다. In step 701,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indicator area an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Operation 701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is switched back to the indicator region after the operation 203 of FIG. 2 or operation 405 of FIG. 4.

70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현재 미니 모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위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다. In step 702,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touch sensor unit 131 to receive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indicator area after touching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e user inputs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indicator area after touching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o end the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in the mini mode.

7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In step 703,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move and displa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touch position shift operation.

704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의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하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하단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인디케이터 영역의 하위 레이어 상에 표시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단과 하단의 중심선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704,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center of the execution screen in the mini mode reaches the indicator reg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moves downwar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move and displa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when the bottom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reaches the indicator area, the mini The mode execu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lower layer of the indicator area.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center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reaches the indicator reg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center lin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reach the indicator region.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705단계로 진행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706단계로 진행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포커스를 표시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er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does not reach the indicator area, the controller 150 proceeds to step 705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maintain the indicator display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er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has reached the indicator area, the controller 150 proceeds to step 706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change the indicator area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display i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focus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mini mode.

70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터치 이동 위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종료를 위해 터치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까지 이동시킨 후 터치를 해제한다. 터치 이동 위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708단계로 진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유지하며, 터치 이동 위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7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In operation 707,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movement position reache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The user releases the touch after moving the touch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to terminate the appl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movement position does not reach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the controller 150 proceeds to step 708 to mainta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ta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movement position reache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step 709. Proceed to close the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축소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방향으로 수렴되는 효과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applica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n effect image in which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s reduced and converged in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execution ic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 종료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료키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영역에 포함된 이전(back) 키에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미니 모드로 실행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n application termination key.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to the application termination key, the controller 150 may terminate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to the back key included in the indicator area, the controller 150 may terminate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currently executed in the mini mode.

도 8은 도 7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7.

도 8의 [a]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된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된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및 인디케이터 영역을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에서 'a'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FIG. 8A illustrates a video playback application composed of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a world time application composed of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an indicator region. The user touches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n touches the indicator area toward the indicator region. The form which inputs a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s shown. In FIG. 8A, 'a' represents a dista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도 8의 [b]는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8의 [b]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도 8의 [a]와 비교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일부만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나머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밑으로 가려져 있다. 또한 도 8의 [a]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5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길이(b)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 전체 길이(a)의 절반(1/2*a)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b가 1/2*a보다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도 8의 [b]는 또한 현재 미니 모드로 실행 중인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에 포커스가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사용자는 터치 위치를 계속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8B illustrates a screen that is changed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toward the indicator area after touching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n [b] of FIG. 8,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s moved downward in comparison with [a] of FIG. 8, and only a part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nd the rest is hidden under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 addition, the indicator area of [a] of FIG. 8 is changed and displayed as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length b of the currently displayed mini mode execution screen corresponds to half (1/2 * a) of the full length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 and b is 1/2 * a. If it is determined to be smaller, the display unit 132 is controlled to switch the indicator area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for display. [B] of FIG. 8 also shows a form in which focus is displayed on an execution icon of a world time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in the mini mode. Thereafter, the user continuously moves the touch positio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도 8의 [c]는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까지 이동시켰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의 [c]에서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사라지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만이 표시된다. 도 8의 [c]는 도 8의 [b]와 비교하여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에 따라 현재 미니 모드 실행 중을 나타내는 포커스가 함께 삭제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8C illustrates a screen that is changed when the user moves the touch positio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In FIG. 8C,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world time application disappears, and only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video reproducing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gion. [C] of FIG. 8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focus indicating that the world time application is currently being executed is deleted together with the termination of the execution of the world time application as compared to [b] of FIG. 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8의 [a]에서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포함된 종료키(81)를 입력하거나 인디케이터 영역에 포함된 이전 키(82)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도 8의 [c]와 같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제거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end key 81 included i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r the previous key 82 included in the indicator area in FIG.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mini mode may be terminated and the display unit 132 may be controlled to remove and displa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s shown in FIG. 8C.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때,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축소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으로 수렴하는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선택이 입력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부터 확대되는 형태의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2 when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mini mode is terminated to reduce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display an effect image converged to the execution ic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addition, when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selection is input by a user,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n effect image in which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is enlarged from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향하는 방향으로 축소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9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when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world time application is reduc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world time application execution ic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는 전체 모드 전환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체 모드 전환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full mode switching key. When the user selects the full mode switching key,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n full mode. You can switch to the execution screen and display it.

도 10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de of switching from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to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도 10의 [a]에서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는 전체 모드 전환키(10)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전체 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모드 전환키(10)를 입력하게 된다.In FIG. 10A, the calculator application is displayed as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ncludes a full mode switch key 10.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alculator application in the full mode, the user inputs the full mode switch key 10.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서 사용자가 전체 모드 전환키(10)를 입력했을 때, 전환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0의 [b]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은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B] of FIG. 10 corresponds to a screen to be switched when the user inputs the full mode switching key 10 in [a] of FIG. In FIG. 10B,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cludes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alculator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전체 모드로 실행 중인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함께 표시하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may be displayed on one screen for the same application. When the user is running in the full mode for a specific applic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execution icon for the same applicatio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mini mode on the upper layer of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The execution screen is displayed together.

도 11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은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커스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미니 모드 실행 화면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며, 사용자는 포커스를 이동시켜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1에서 사용자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are displayed on one screen for the sam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gion of FIG. 11 includes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and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alculator application. The focus can be switched betwee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by moving the focus. That is, in FIG. 11, the user can use the calculator application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calculator application of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for different purposes.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체 모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는 과정의 실시예에 해당한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UI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processing when an event occurs in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full mode while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re displayed.

12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포커스 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1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전체 모드 실행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포커스를 표시한다. In step 1201,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focused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and displays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second application o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focus 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120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시간 또는 스케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이벤트는 알람 이벤트가 될 수 있으며,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이벤트는 통화 호 착신 이벤트가 될 수 있고,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이벤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될 수 있다. In step 1202,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in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If the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is an application related to time or schedule, the event may be an alarm event. In the case of a call application, the event may be a call call event, and in the case of a message application, an event May be a message receiving event.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12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OK 키' 및 'Cancel 키'를 포함하는 팝 업(pop-up) 창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OK 키'는 Ok, confirm, done, delete 등의 확인(confirmation) 명령을 입력하는 키에 해당하며, 'Cancel 키'는 No, cancel 등의 취소 명령을 입력하는 키에 해당한다. 이 때, 팝 업 창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 상에 표시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in step 1203,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 pop-up window including an 'OK key' and a 'Cancel ke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K key' corresponds to a key for inputting a confirmation command such as Ok, confirm, done, delete, etc., and the 'Cancel key' corresponds to a key for inputting a cancel command such as No, cancel. At this time,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on the upper layer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1204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 또는 키 입력부(140)를 통해 'OK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1205단계로 진행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포커스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사용자가 'OK 키'를 선택한 것은 이벤트를 확인하고자 하는 명령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이벤트를 발생시킨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를 맞추게 된다. In step 1204,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OK key' is input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or the key input unit 14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unit 150 is input, the control unit 150 proceeds to step 1205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move the focus to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the 'OK key' may be accepted as a command for confirming the event, the controller 150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that generated the event.

1204단계에서 'OK 키'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1206단계로 진행하고 터치센서부(131) 또는 키 입력부(140)를 통해 'Cancel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Cancel 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1207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Cancel 키'를 선택하는 것은 이벤트를 나중에 확인하고 우선적으로 현재 포커스 되어 있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용하겠다는 명령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204 that the 'OK key'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150 proceeds to step 1206 and determines whether the 'Cancel key' is input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or the key input unit 140.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ncel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in step 1207 to maintain the focus state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e user selecting the 'Cancel key' may be accepted as a command to confirm the event later and to use the currently-focused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execute the mini mode. The focus status of the screen is maintained continuously.

도 13은 도 12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FIG. 1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100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12.

도 13의 [a]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 팝업 창 및 인디케이터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현재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포커스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알람 이벤트를 알리는 팝업 창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어그라운드에 표시되어 있다. 팝업 창에는 'OK 키' 및 'Cancel 키'가 포함되어 있다. 13A illustrates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a world time application,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a calculator application, a pop-up window, and an indicator area. The focus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alculator application, and a pop-up window notifying the alarm event occurring in the world time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foreground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e pop-up window contains the 'OK key' and the 'Cancel key'.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사용자가 'OK 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3의 [b]에서 포커스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도 13의 [c]는 도 13의 [a]에서 사용자가 'Cancel 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하며,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는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13B corresponds to a screen that is changed when the user inputs an 'OK key' in FIG. 13A. In FIG. 13B, the focus is displayed by being moved to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world time application. [C] of FIG. 13 corresponds to a screen changed when the user inputs a 'Cancel key' in FIG. 13A, and the focus state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alculator applic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복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은 각각 레이어(layer)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최상위 레이어에 위치하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포커스가 위치할 수 있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실행 명령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최상위 레이어에 위치시키고 포커스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a plurality of mini mode execution screens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The plurality of mini mode execution screens may be displayed by different layers, respectively, and the focus may be located 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located on the top layer. When the user inputs an execution command of another application while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positi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execution command is input on the top layer. And display foc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현재 표시 중인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삭제하고, 실행 명령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an execution command of another application while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elete the currently displayed mini mode execution screen. In addition, the display may be replaced with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execution command is input.

도 14는 복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하위 레이어에 위치하고 있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mini mode execution screens displayed on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 FIG. 14,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a world tim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a top layer, and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another application is located on a lower layer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a world time application.

사용자는 좌우방향의 플릭(flick) 동작 또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터치 동작을 통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put a focus change command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rough a flick oper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a touch operation on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도 14에서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드래그(drag)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에 따라 표시되어 있는 모든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In FIG. 14, when a user inputs a drag operation after touching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move and display all displayed mini mode execution scree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uch position. can do.

도 14에서 사용자가 좌측 방향의 플릭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포커스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터치 입력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포커스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FIG. 14, when the user inputs a flick operation in a left direc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focus and displa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world time application. .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 touch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world time application,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focus and display the touch input mini mode execution screen.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두 지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두 지점 터치 후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즉시 터치를 해제하는 플릭(flick) 동작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두 지점 터치의 플릭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포함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 전체를 삭제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며, 미니 모드 실행 화면 숨김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indicator area is input after touching two points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In this case, the input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may correspond to a flick operation of immediately releasing the touch after moving the touch position beyond a preset speed after two touch poin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lick operation of the two-point touch is input,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delete and display all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s includ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continuously maintains the application execution state of the mini mode, and performs only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hiding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하나의 지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터치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indicator area is input after touching one point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is input, the controller 150 may terminat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ouch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는 미니 모드 전환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미니 모드 전환키 입력을 인식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종료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때,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종료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종료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삭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mini mode switch key, an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when the mini mode switch key input is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can be displayed by switching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termination key may be included i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application termination key is input for a preset time or more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and is input for a preset time or more. If it is determined, the display unit 132 may be controlled to convert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into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display the same. If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termination key is input within the preset time period through the touch sensor unit 131, the controller 150 may terminate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132 to delete the entire mode execution screen.

또한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모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 포함된 미니 모드 전환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면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삭제하거나 새로 생성되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하위 레이어로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mini mode switch key included i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while both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re displaye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32 to execute the full mode. While switching the screen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the currently displayed mini mode execution screen may be deleted or positioned as a lower layer of the newly created mini mode execution screen.

도 15 및 도 16은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5 and 16 are views illustrating a mode in which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is switched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도 15의 [a]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미니 모드 전환키에 터치가 입력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서 전환되는 화면으로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FIG. 15A illustrates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alendar application, in which a touch is input to the mini mode switch key. [B] of FIG. 15 is a screen which is switched in [a] of FIG. 15 and shows a form in which a calendar application is switched from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to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도 16의 [a]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종료 키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를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서 전환되는 화면으로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고,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위치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16A illustrates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a calendar application and a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a music playback application, and illustrates a form in which a user inputs a touch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o an application termination key. [B] of FIG. 16 is a screen switched from [a] of FIG. 16, wherein the calendar application is switched from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to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and the mini mode execution screen of the calendar application runs the mini mode of the music playback application. The figure is located on the upper layer of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기능 이용 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되며,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uses the multitasking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view execution scree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one screen, and can input operation commands for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one scree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부
131 : 터치센서부
132 : 표시부
140 : 키 입력부
150 : 제어부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storage unit
130: touch screen unit
131: touch sensor unit
132 display unit
140: key input unit
150:

Claims (16)

휴대 단말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In the GUI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ceiving a selection of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of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d
And displaying a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ing the area is
And displaying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previously selected by a user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상에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Display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is
And display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on the displayed full mode execution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상에 확대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대키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is
Displaying an enlarged key on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enlarged key; And
And convert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into a full mode execution screen and display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상에 축소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축소키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축소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Displaying the area is
Displaying a reduction key o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reduction key; And
And converting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into a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and displaying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ing the area is
Displaying an indicator area including at least one function key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Receiving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on the indicator region after touching the indicator region; And
And converting and displaying the indicator area into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터치 후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Converting and displaying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to the indicator area;
Receiving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indicator area after touch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Moving and display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touch position shifting operation;
Determining whether a center of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reaches the indicator area; And
And determining to reach the application area by displaying the indicator area a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제7항에 있어서,
터치 이동 위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터치된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movement position reaches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region; And
If it is determined to reach, the method of providing a GUI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touch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포커스(focus)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Changing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displaying
And focusing and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on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이 축소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수렴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erminating step is
And reduc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to display an image converging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execution ic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포커스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확인 키 및 취소키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인 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포커스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취소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ocusing and display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in an application of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occurs, displaying a pop-up window including a confirmation key and a cancel key on an upper layer of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If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moving and displaying a focus on the full mode execution screen; And
And if the cancel key is input, maintaining the focus state of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추가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현재 표시되어 있는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상기 추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Receiving an additional selection of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d displaying a reduced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ly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on an upper layer of the currently displayed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of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from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execution icon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When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an indicator area including at least one function key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nd the touch area is touch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receives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rea.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convert the indicator area into an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nd to display the indicator are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터치 후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If the display is controlled to switch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to the indicator area and display the touch screen, and if a touch position movement operation toward the indicator area is received after touching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through the input uni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move and display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touch position shift oper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enter of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reaches the indicator area,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center of the reduced mode execution screen reaches the indicator area, changes the indicator area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icon area and displays the changed area.
KR1020110059417A 2011-02-11 2011-06-2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1018316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70,568 US9569090B2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EP12154904A EP2487579A1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CA2826933A CA2826933C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JP2013553365A JP6002688B2 (en) 2011-02-11 2012-02-10 GUI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EP18155188.8A EP3336672B1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AU2012214993A AU2012214993B2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CN201611170797.5A CN107102789B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BR112013020544A BR112013020544A2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terminal graphical user interface
PCT/KR2012/000997 WO2012108714A2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RU2013137438A RU2607272C2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CN201280018049.9A CN103492993A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3044P 2011-02-11 2011-02-11
US61/463,044 2011-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85A true KR20120092485A (en) 2012-08-21
KR101831641B1 KR101831641B1 (en) 2018-04-05

Family

ID=4688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417A KR101831641B1 (en) 2011-02-11 2011-06-2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002688B2 (en)
KR (1) KR101831641B1 (en)
CN (2) CN107102789B (en)
AU (1) AU2012214993B2 (en)
BR (1) BR112013020544A2 (en)
CA (1) CA2826933C (en)
RU (1) RU2607272C2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536A (en) * 2012-08-29 2014-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43673A (en) * 2013-06-07 201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KR20190134580A (en) * 2019-11-27 201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WO2022108192A1 (en)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ulti-window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745585B2 (en) 2020-04-20 2023-09-05 Thinkware Corporatio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28A (en)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method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and sever for processing multi-modal input
CN107678654A (en) * 2017-09-30 2018-02-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display methods,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8089786B (en) * 2017-12-14 2019-12-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EP4318455A1 (en) * 2021-03-31 2024-02-0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9662T2 (en) * 1995-11-10 2004-06-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FUNCTION IN AN APPLICATION PROGRAM
US6078308A (en) * 1995-12-13 2000-06-20 Immersion Corporation Graphical click surfaces for force feedback applications to provide user selection using cursor interaction with a trigger position within a boundary of a graphical object
US7421657B1 (en) * 2000-11-14 2008-09-02 Microsoft Corporation Handling open browser requests in a single window environment
US7234114B2 (en) * 2003-03-24 2007-06-19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object previewer in a shell browser
JP2005250550A (en) * 2004-03-01 2005-09-15 Sharp Corp Application controller
US7761800B2 (en) * 2004-06-25 2010-07-20 Apple Inc. Unified interest layer for user interface
KR100700572B1 (en) * 2005-01-28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and a apparatus of selecting displaying icon class with size for mobile phone
US7673255B2 (en) * 2005-04-22 2010-03-02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e and system for manipulating thumbnails of live windows in a window manager
KR100714703B1 (en) * 2005-07-21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Integrated digital device
US7673240B2 (en) * 2005-12-30 2010-03-02 Polaroid Labs, Llc Ubiquitous navbar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heterogeneous digital media devices
KR20080006666A (en) * 2006-07-13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oft keyboard
US8549429B2 (en) * 2007-01-25 2013-10-01 Sharp Kabushiki Kaisha Multi-window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086785B2 (en) * 2007-06-08 2015-07-21 Apple Inc. Visualization object receptacle
CN101334725B (en) * 2007-06-29 2011-05-25 联想(北京)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windows display performance
KR101012300B1 (en)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of mobile station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JP2011018085A (en) * 2008-06-19 2011-01-27 Panasonic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00100824A1 (en) * 2008-10-16 2010-04-22 Claudio Bartolini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source management
KR101504210B1 (en) * 2008-10-17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0282408A (en) * 2009-06-04 2010-12-16 Sony Corp Control device, input device, control system,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US8555185B2 (en) * 2009-06-08 2013-10-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536A (en) * 2012-08-29 2014-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43673A (en) * 2013-06-07 201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KR20190134580A (en) * 2019-11-27 201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US11745585B2 (en) 2020-04-20 2023-09-05 Thinkware Corporatio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2108192A1 (en)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ulti-window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07272C2 (en) 2017-01-10
KR101831641B1 (en) 2018-04-05
CA2826933A1 (en) 2012-08-16
RU2013137438A (en) 2015-02-20
CA2826933C (en) 2019-04-30
CN107102789A (en) 2017-08-29
CN103492993A (en) 2014-01-01
CN107102789B (en) 2021-06-01
JP6002688B2 (en) 2016-10-05
AU2012214993B2 (en) 2016-11-24
JP2014508354A (en) 2014-04-03
BR112013020544A2 (en)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6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US11269486B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95690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1016801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EP37518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dl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KR101640464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103638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KR102020345B1 (e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EP3617861A1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JP5707035B2 (en) UI operation method based on motion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10152859A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083105A1 (en) List-editing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KR1018307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item
KR201200403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in mobile terminal
KR102270007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thereof
KR201100928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i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touch screens
EP35118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icture on a portable device
KR20100134948A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list in touch screen based device
CN107533424A (en) Subscriber terminal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JP2013145556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453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ask management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CN108700990A (en) A kind of screen locking method, terminal and screen locking device
KR2011001184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94728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0866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through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