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233A - 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 - Google Patents

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233A
KR20120090233A KR1020110010547A KR20110010547A KR20120090233A KR 20120090233 A KR20120090233 A KR 20120090233A KR 1020110010547 A KR1020110010547 A KR 1020110010547A KR 20110010547 A KR20110010547 A KR 20110010547A KR 20120090233 A KR20120090233 A KR 2012009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setting information
personal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9097B1 (en
Inventor
윤화영
서강석
김태호
이동주
강경태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1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097B1/en
Publication of KR2012009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2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ha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by managing personal setup information by dividing the personal setup information into a personal category and a sharing category. CONSTITUTION: A communication unit(142) communicates with a portable terminal(220) includ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wireless network. A profile unit(147) registers personal setup information for a control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set by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 environment setup unit(145) sets a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by interworking the registered personal setup information.

Description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

본 발명은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표시 장치와 접속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를 위한 개인화된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며, 이를 타 사용자와 일부 공유하도록 한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nd a method of sharing the same, and particularly, to set up a personalized user control environment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by access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rough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isplay device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to be partially shared with other users, and a sharing method thereof.

영상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 모니터, TV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TV는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점차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Typical example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e a monitor and a TV. Among these, TVs are gradually changing from the conventional analog method to the digital metho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technology.

이러한 추세에 맞춰 현재 세계의 TV 시장은 단순한 방송 수신, 동영상 시청 이외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을 요구받는 시점에 놓여 있으며, 최근에는 3D 방식의 TV 및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TV도 출시되었다.In line with this trend, the global TV market is in a position to demand new roles and functions beyond simple broadcasting and video viewing. Recently, 3D TVs and smart TVs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various digital devices have been released. .

스마트 TV에 적용된 스마트의 개념은 TV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스마트 카드, 스마트 요금제 등 다른 분야에 이미 적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아이폰과 같은 휴대 단말에도 그 개념이 적용되어 더욱 그 의미가 부각되고 있다.The concept of smart applied to smart TV has not only been limited to TV but has already been applied to other fields such as smart cards and smart plans, and recently, the concept has been applied to portable terminals such as the iPhone, and its meaning has been highlighted.

이처럼,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TV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전파를 수신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단 방향성인 것에 비해, 최근의 디지털 TV는 스마트 기능이 적용되어 종래의 아날로그 TV의 방송 수신 기능에 더하여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웹 브라우징이나 VOD 등 양방향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As such, the conventional analog TV is a unidirectional method of receiving broadcast radio waves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reproducing an image, whereas a recent digital TV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in addition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of a conventional analog TV. This enabled the use of interactive services such as web browsing and VOD.

이러한 스마트 기능이 적용된 디지털 TV에서는 TV 용으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양방향 서비스와 TV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스마트한 입출력 장치)을 갖추고 있다. Digital TVs equipped with these smart features can be used for applications developed for TVs, and have a convenient user interface environment (smart input / output device) that enables users to conveniently use interactive services and TV applications.

더불어, 최근의 스마트 디지털 TV는 인터넷 기능과 OS기능이 탑재된 PC와 TV의 중간 형태로 발전하면서, 웹, 모바일, TV 등을 한데 묶는 N 스크린(N-Screen) 즉, 공통된 운영체계를 탑재한 다양한 장치(PC, 태블릿 PC, 노트북, TV, Phone)에서 공통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진화되어 컨버전스의 정점에 위치하게 되었다.In addition, the recent smart digital TV has developed into an intermediate form between a PC and a TV equipped with Internet and OS functions, and is equipped with an N-Screen, or common operating system, that binds the web, mobile, and TV together. It has evolved to use common services in various devices (PCs, tablet PCs, laptops, TVs, phones), and is at the peak of convergence.

한편, 최근 이러한 스마트 기능을 적용한 휴대전화(스마트폰)의 보급으로 TV에서 별도의 게임기 없이도 TV용 앱스토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면 휴대전화 또는 아이패드 등이 단말기가 되어 리모컨 컨트롤 및 문자 입력 등이 매우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디지털 TV의 스마트화로 인해 사용자들은 휴대 전화 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TV로 개인화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On the other hand, with the spread of mobile phones (smartphones) that have applied such smart functions, if you download an application from the TV App Store without a separate game console on the TV, the mobile phone or iPad becomes a terminal, and the remote control and text input are very effective. An easy-to-use foundation is provided. As such, the smartization of digital TVs has opened an era in which users can personalize their own TVs using mobile phones or mobile terminals.

하지만, 오랜 기간 아날로그의 방식의 단 방향성 TV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이러한 개인화된 TV 시청 및 제어 환경으로의 변화에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TV를 개인화된 환경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의식변화 및 친화적인 입출력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users who have been accustomed to analog unidirectional TV for a long time are not familiar with the shift to this personalized TV viewing and control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TV into a personalized environment, it is required to change a user's consciousness and develop a friendly input / output device.

또한, PC나 휴대전화가 개인이 혼자 사용한다는 개인적 측면이 강조된다면, TV는 주로 거실에 설치되어 있어 가족 모두가 함께 시청하고, 공유하며 리모컨 하나로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유성이 보다 부각된다. In addition, if the personal aspect that the PC or mobile phone is used by individuals alone is emphasized, the TV is mainly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so that the whole family can watch together, share it, and share it with anyone with a remote control.

즉, 스마트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TV의 기능을 더욱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인화 기기인 휴대전화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가족 구성원에 알맞도록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모든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화와 공유성을 적절히 접목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better utilize the function of digital TV with smart technology, personalized and shared by automatically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suitable for family members using mobile phone, which is a personalized device, so that all members can share. The direction which suitably combines sex is preferable.

따라서, 스마트 기능이 적용된 디지털 TV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에서 개인화 기기를 통해 사용자 시청 및 제어 환경을 적절히 설정하여 개인 용도와 공유 용도로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perly setting a user viewing and control environment through a personalization device in a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 digital TV to which a smart function is applied, so that both a personal use and a sharing use can be utilized.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개인 항목 및 타 휴대 단말과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항목으로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개인 항목으로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개인화하며 공유 항목으로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사용자 간 공유하도록 한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o manage the user as a personal item by dividing it into a personal item that does not shar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for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a shared item set to be shared with other portable terminal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display device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part of a control environment is personalized and a part of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is shared among users as a shared item, and a method of sharing the same.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영상 표시장치가 어느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 타 휴대 단말이 자신의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을 요청할 경우, 각 휴대 단말의 각각의 공유 항목을 상호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작동하도록 한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tha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inked to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certain mobile terminal, when the other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interworking with its own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each mobil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different mobile terminals sharing some user contro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by sharing each shared item of each other, and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sharing thereof. To provide a way.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설정 정보의 등록시에 각각의 공유 항목에 따라 공유할 휴대 단말을 지정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공유 항목 또는 개인 항목의 설정을 휴대 단말에 따라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개인화 및 공유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to designate and store a mobile terminal to be shared according to each shared item at the time of registration of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r to separately set the setting of the shared item or personal item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display device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haring method thereof so as to provide a more detailed personalization and sharing function for the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프로파일부,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시, 상기 등록된 개인 설정 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 profile unit that registers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et by an application, and an environment for setting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by interworking the registere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trolled. It includes a setting unit.

상기 개인 설정 정보는 공유하지 않는 개인 항목 및 타 휴대 단말과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항목을 포함한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상기 개인 항목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개인화하며, 상기 공유 항목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휴대 단말 간 공유하도록 하는 정보이다.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tems including a personal item not shared and a shared item set to be shared with other mobile terminals, and personalize a part of a user control environment as the personal item, and among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s the shared item. Information for sharing a part between mobile terminals.

또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제1 휴대 단말의 제1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 제 2 휴대 단말이 제2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을 요청할 경우, 상기 제1, 2 휴대 단말의 제1, 2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항목을 상호 공유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작동하도록 한다.Further, when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interworking with the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is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devices are provided. The sharing items of the first and seco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re shared with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different portable terminals share some of the respective user control environments at the same time and operate the video display device.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사용자 제어 환경 중 공유 항목을 저장하되 각각의 공유 항목에 따라 공유할 휴대 단말을 지정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각각의 휴대 단말에 따른 공유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공유 정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sharing information unit configured to store a shared item in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nd to designate and store a mobile terminal to be shared according to each shared item, or to specify and store a shared item according to each mobile terminal. can do.

아울러,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개인 설정 정보의 항목 중 상기 공유 항목 또는 상기 개인 항목의 설정을 휴대 단말에 따라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file unit may be configured to individually register the shared item or the setting of the personal item among the items of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공유 항목은 사용자의 선호 채널을 지정하는 채널리스트, 명암 또는 모드를 지정하는 화면설정, 화면비율, 리모컨 제어 키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ring item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a channel list for designating a user's preferred channel, a screen setting for designating contrast or mode, an aspect ratio, and a remote control control key item.

또한, 상기 개인 항목은 휴대 단말의 문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거나,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ersonal item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items for storing a document file or an image file of a mobile terminal or playing an audio file or a video file.

이때,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document file, image file, audio file, and video file.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휴대 단말의 접속시 접속하는 휴대 단말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사용자 비밀번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or configured to authenticate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a MAC address, a user password, and a certificat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공유 방법은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하며 연동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의 접속시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의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시,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등록된 개인 설정 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ar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image display is performed by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onnecting to the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questing interworking; authenticating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by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isplaying an initial scree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registering, b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a control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set by an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ser of the image display device by interworking the registere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Establishing a control environment.

상기 공유 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제1 휴대 단말의 제1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 제 2 휴대 단말이 제2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상기 제1, 2 휴대 단말의 제1, 2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항목을 상호 공유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haring method,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nteroperating with the first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interworking with the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llowing a plurality of different portable terminals to share some user contro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so as to share the shared items of the first and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이때,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각각의 공유 항목에 따라 공유할 휴대 단말을 지정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각각의 휴대 단말에 따른 공유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gistering may further include designating and storing a portable terminal to be shared according to each shared item or designating and storing a shared item according to each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은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개인 항목 및 타 휴대 단말과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항목으로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개인 항목으로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개인화하며 공유 항목으로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사용자 간 공유하도록 하여 개인화되며 동시에 공유화된 영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ha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shar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for a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other personal terminals and other portable terminals. By dividing and managing the items into shared items, some of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is personalized as personal items, and some of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is shared among the users as shared items, which can be used as a personalized and shared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은 영상 표시장치가 어느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 타 휴대 단말이 자신의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을 요청할 경우, 각 휴대 단말의 각각의 공유 항목을 상호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영상 표시 장치의 작동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display device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haring method thereof may be used by another mobile terminal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When requesting interworking with information, each sharing item of each mobile terminal is shared with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different mobile terminals share a part of each user contro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nd operate the video display device by opera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It is effective to further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공유 방법은 개인 설정 정보의 등록시에 각각의 공유 항목에 따라 공유할 휴대 단말을 지정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공유 항목 또는 개인 항목의 설정을 휴대 단말에 따라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개인화 및 공유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제어 방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display device and personal sharing method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may be designated and stored according to each sharing item at the time of registration of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r may be stored or shared item or individual. By specifying and registering the setting of the item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detailed personalization and sharing function for the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reby providing a customized control scheme to each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설정 정보의 설정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방법의 순서도.
1 is an exemplary view of a video display device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sett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예시도로서, 휴대 단말(200,210)과 연동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 예를 들어, 스마트 디지털 TV)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or example, a smart digital TV) is linked to the portable terminals 200 and 210. It is shown to set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상기 휴대 단말(200,210)은 블루투스(120: Bluetooth) 또는 와이파이(130: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탑재된 전용 애플리케이션(201)을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와 연동하며,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한다.The mobile terminals 200 and 210 interoperate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201 mount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Bluetooth) 120 or Wi-Fi (130),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set.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인 경우, 동글키,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연동을 할 수 있으며, N-스크린(N-Screen)방식이 적용된 영상 표시 장치에 휴대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서 연동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Bluetooth or Wi-Fi, a dongle key, a MAC address, or the like may be linked to each other, and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n N-screen (N-Screen) type video display device. In this case, you can download and link the application.

또는, 좀 더 보안성을 강화하여 연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인증서 혹은 비밀번호 입력 등의 형식(201)을 취하여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여 연동하는 방법의 경우 휴대 단말에 해당 인증서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서 유효한 인증서인지 판별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임의의 비밀번호를 휴대 단말(200) 혹은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넘기게 되면 연동하는 상대 기기에서 확인 후 연동하게 된다.Alternatively, when it is necessary to interwork with more security, it can be interlocked by taking a form 201 such as a certificate or password input.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interworking using the certificate, a method of storing the certificate in the mobil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ertificate is vali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applied. In the case of using a password, if a random password is pass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associated device interworks after confirming the password.

상기와 같은 절차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와 상기 휴대 단말(200) 간 연동이 되면 양측의 화면에 메뉴(110)가 디스플레이된다. After the above procedure,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are interlocked, the menu 110 is displayed on the screens of both sides.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파일전송(이미지, 문서 등), Divx, MP3 파일 재생, 리모컨 등록, 개인화 설정 등의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 등록 항목은 휴대 단말(200)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로서, 기본적인 기능을 가진 키(상하좌우, 선택, 취소 등)를 개인이 원하는 버튼으로 등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동한 경우 호환 가능한 OS 환경을 취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리모컨 등록이 완료되면 기존 영상 표시 장치의 리모컨 기능과 유사하게 휴대 단말로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추후 동일한 휴대 단말(200)로 재연동시 리모컨 등록 절차 없이 저장된 버튼 기능으로 제어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items such as file transfer (image, document, etc.), Divx, MP3 file playback, remote control registration, personalization setting, and the like can be configured. The remote control registration item is a menu for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by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key having a basic function (up, down, left, right, select, cancel, etc.) may be registered as a button desired by an individual. . When linked through an application, it is in a compatible OS environment, so the application can provide these functions by default. When the remote control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by the mobile terminal similarly to the remote control function of the existing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stored button function without the remote control registration procedure when re-linking to the same mobile terminal 200 later. Can be controlled by

상기 개인화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기 연동한 휴대 단말(200)의 사용자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설정을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나 휴대 단말(200)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연동한 휴대 단말(200) 사용자에 따른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모드로 변경된다. 원하는 화면 설정, 화면비, 선호하는 채널 리스트 등을 새로 만들 수 있으며, 해당 휴대 단말 사용자에 따른 정보를 보유한다.When the personalization setting item is selected, the setting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linked with the personalization setting item may be stor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portable terminal 200. That is, it changes to a mode that can set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link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new screen setting, aspect ratio, favorite channel list, etc., and hol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또한, 선호 채널 리스트 저장 시 공유 항목으로 선택할 경우 타 휴대 단말 (210)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와 연동하면, 공유 항목으로 선택된 선호 채널 리스트가 팝업 형태로 표기되어 상기 타 휴대 단말(210) 사용자도 해당 공유 항목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공유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팝업 형태로 모든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선호 채널 리스트 항목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hared item when storing the favorite channel list, when the user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210 interworks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favorite channel list selected as the shared item is displayed in a pop-up form, and the other mobile terminal 210 is displayed. ) Users are also provided to view the shared items. In other words, when a shared item is selected, a favorite channel list item is provided to be shared by all users in a pop-up form.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모드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연동한 휴대 단말 사용자가 개인화 설정 및 시청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와 연동을 끊을 때 상기 기존의 모드로 돌아가게 된다.
In this case, the existing mode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maintained as it is, and when the linked mobile terminal user disconnects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fter personalization setting and viewing, the user returns to the existing mode. I will go.

한편, 연동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휴대 단말(200) 사용자가 기 연동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작동하고 있을 때 다른 휴대 단말(210)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와 연동을 요청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먼저 다른 휴대 단말(200)과의 연동 여부를 확인한 후 연동이 되지 않았을 경우 인증서 혹은 비밀번호 등의 인증을 거쳐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terworking,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quests the interworking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another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10 is opera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advanc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first check whether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nterlocked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200, and then interoperate through authentication such as a certificate or a password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not linked.

또는,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복수의 사용자(200,210)가 인증 절차를 거쳐 영상 표시 장치(100)에 동시에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인증시에는 동일한 기종의 휴대 단말이라도 각각의 맥 어드레스가 다르며, 개인마다 다른 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를 구별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없다.Alternatively,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users 200 and 210 may be configured to interwork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imultaneously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even if the same type of portable terminal has a different MAC address, and different individuals use different certificates, there is no problem in distinguishing users.

또한, 리모컨 컨트롤을 위해서 원하는 버튼에 원하는 기능을 취할 수 있도록 등록한다. 이후 개인화 설정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기존의 사용자처럼 개인화된 사용자 제어 환경의 영상 표시 장치(100)로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선호 채널리스트, 각종 설정 등을 해당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저장할 수 있다.It also registers to take the desired function to the desired button for remote control control. After selecting the personalization setting menu, it can be used a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f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personalized like the existing user, and can store the desired preferred channel list, various settings, etc.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210)의 사용자가 연동하여 시청 시에 기존 휴대 단말(200) 사용자의 등록 기록이 있으면, 기존 사용자가 설정하고, 공유항목을 선택한 선호 채널리스트 항목이 팝업으로 제공되게 된다. 해당 팝업을 선택하면 기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리스트를 볼 수 있으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리스트와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a registration record of the user of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200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210 is linked to the viewing, the existing channel set item selected by the existing user and the shared item is provided as a pop-up. If you select the pop-up, you can see the channel list selected by the existing user, and simultaneously select the channel list selected by the current user.

한편, 어떤 사용자(200, 사용자 1)에 의해 기 연동하거나 혹은 현재 작동 중인 영상 표시 장치(100)를 또 다른 사용자(210, 사용자 2)가 시청하고 싶다면, 간단히 사용자 1(200)에 해당하는 팝업을 선택하여 설정해 놓은 채널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의 설정을 위해 사용자 1의 휴대 단말(200)과 연동한 상태에서 사용자 2(210)가 시청이 필요할 때 상기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를 연동한 사용자 모두가 개인화된 설정을 불러올 수 있으며, 더불어 모두가 공유할 수 있다.Meanwhile, if another user 210 or user 2 wants to watc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at is pre-linked by a user 200 or user 1 or is currently operating, a popup corresponding to user 1 200 is simply displayed. Select to view the set channel. For example, when the user 2 210 is used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2 210 needs to watch while interlock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of the user 1 for set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image display device ( All users who linked 100 can bring up their personalized settings, and everyone can share them.

즉,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개개인의 설정 정보 및 채널리스트 등을 등록하고 저장하면, 이미 등록된 다른 사용자(200)의 채널리스트를 공유하거나 자동으로 해당 휴대 단말(200)을 검색하여 표시해 줄 수 있으므로, 복수의 사용자 등록이 되었을 경우라도, 각각의 사용자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채널 리스트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모두 표시할 수 있어 서로 내용을 공유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registers and stores individual setting information and channel list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e channel list of another user 200 that is already registered is shared or the mobile terminal 200 is automatically searched for and displayed. 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registered, the user can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to each user and simultaneously display a list of channels of other registered users on the corresponding video display device so that contents can be shared and used with each other.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도로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모듈(140)을 포함하며 상기 환경 설정 모듈(140)은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20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142), 상기 휴대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프로파일부(147), 상기 휴대 단말(200)의 제어시, 상기 등록된 개인 설정 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145) 및 제어부(143)를 포함한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environment setting module 140 for setting a user control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 The setting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200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42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et by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 profile unit 147 for registe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an environment setting unit 145 for setting a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by interworking the registere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controlled; The control unit 143 is included.

상기 환경 설정부(145)는 사용자 제어 환경의 설정을 통해 예를 들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나 재생부(150) 등의 환경을 설정한다.The environment setting unit 145 sets an environment such as the display unit or the playback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setting of a user control environment.

이때, 상기 개인 설정 정보는 공유하지 않는 개인 항목 및 타 휴대 단말과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항목을 포함한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상기 개인 항목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개인화하며, 상기 공유 항목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휴대 단말 간 공유하도록 하는 정보이다.In this case,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tems including a personal item which is not shared and a sharing item set to be shared with other mobile terminals, and personalizes a part of a user control environment as the personal item, and controls the user as the shared item. Information for sharing a part of the environment among the mobile terminals.

이처럼,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개인 항목 및 타 휴대 단말과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항목으로 구분하여 관리하여 개인 항목으로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개인화하며 공유 항목으로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사용자 간 공유할 수 있으므로 개인화되며 동시에 공유화된 영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As such, the video display device divides and manages a personal item that does not shar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nd a shared item that is set to be shared with other mobile terminals, and personalizes a part of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s a personal item, Since some of the user-controlled environment can be shared among users, it can be used as a personalized and shared video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환경 설정부(145)는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제1 휴대 단말의 제1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 제 2 휴대 단말이 제2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을 요청할 경우, 상기 제1, 2 휴대 단말의 제1, 2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항목을 상호 공유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145,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whe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requests the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the first The sharing items of the first and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may be shar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different portable terminals share some of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nd operate the video display device.

더불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사용자 제어 환경 중 공유 항목을 저장하는 공유 정보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 정보부(146)는 각각의 공유 항목에 따라 공유할 휴대 단말을 지정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각각의 휴대 단말에 따른 공유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haring information unit 146 for storing a shared item in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nd the sharing information unit 146 specifies and stores a portable terminal to be shared according to each shared item. Or, to specify and store the shared items according to each mobile terminal.

이로 인해, 개인 설정 정보의 등록시에 다양한 방식으로 지정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개인화 및 공유화 기능을 제공하므로 각각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제어 방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nd register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n various ways, and to provide a more detailed personalization and sharing function for the contro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reby providing a customized control method to each user.

상기 프로파일부(147)는 상기 개인 설정 정보의 항목 중 상기 공유 항목 또는 상기 개인 항목의 설정을 휴대 단말에 따라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ofile unit 147 may be configured to individually designate the shared item or the setting of the personal item among the items of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공유 항목은 다양한 설정 항목 중 사용자의 선호 채널을 지정하는 채널리스트, 명암 또는 모드를 지정하는 화면설정, 화면비율, 리모컨 제어 키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ring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hannel list for designating a user's preferred channel, a screen setting for designating a contrast or a mode, an aspect ratio, and a remote control control key item among various setting items.

또한, 상기 개인 항목은 휴대 단말의 문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거나,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sonal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tem for storing a document file or an image file of the mobile terminal or reproducing an audio file or a video file.

이때,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4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unit 148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document file, image file, audio file, and video file.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휴대 단말의 접속시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증은 상기 휴대 단말 인증은 접속하는 휴대 단말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사용자 비밀번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행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unit 144 for authenticating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he authent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MAC address, a user password, and a certific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erformed using at least one of.

상기 통신부(142)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2 may us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ing Bluetooth or Wi-fi.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또는 설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요청시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4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storage unit 141 for stor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or set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upon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통신부(142)를 통해 상기 개인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제어 환경을 타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transmit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r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to another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설정 정보의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ett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개인 설정 정보의 설정 방법은,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하며 연동을 요청하는 단계(S310),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의 접속시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S320), 상기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의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30),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340),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시,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등록된 개인 설정 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S3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in the method of sett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connects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quests interworking. (S310), the image display device authenticating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S320), and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ing an initial screen of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 operation S33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registers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set by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340). And setting a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 association with registere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S350). .

또한, 도 4에 도시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연동하기 위한 공유 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제1 휴대 단말의 제1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 제 2 휴대 단말이 제2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을 요청하는 단계(S410), 상기 제 2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S420), 상기 제 2 휴대 단말이 공유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S430), 상기 제 2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440),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상기 제1, 2 휴대 단말의 제1, 2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항목을 상호 공유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작동하는 단계(S450)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sharing method for simultaneously interlocking the video display device with a plurality of users illustrated in FIG. 4, the second mobi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Requesting interworking with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S410), authenticating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S420), selecting a shared item by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S430), and checking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Registering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S440), and allowing the video display device to share the shared items of the first and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with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different mobile terminals control each user; And sharing some of the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등록 단계(S440)는 각각의 공유 항목에 따라 공유할 휴대 단말을 지정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각각의 휴대 단말에 따른 공유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gistration step (S440)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signating and storing a portable terminal to be shared according to each shared item or by specifying and storing a shared item according to each portable terminal.

이처럼, 상기 공유 방법은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영상 표시 장치와 연동하여 개개인의 설정 정보 및 채널리스트 등을 등록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연동하는 다른 휴대 단말 사용자에게 기 등록된 사용자의 채널리스트를 공유할 수 있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작동하게 되므로 영상 표시 장치의 작동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plurality of different mobile terminals register individual setting information and channel lists in association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channel list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is registered to other mobile terminal users that interoperate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Since it is possible to share a part of each user contro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is operate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is opera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advantages are merely exempla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영상 표시 장치 140: 환경 설정 모듈
141: 애플리케이션 저장부 142: 통신부
143: 제어부 144: 인증부
145: 환경 설정부 146: 공유 정보부
147: 프로파일부 148: 데이터 저장부
200: 휴대 단말
100: video display device 140: configuration module
141: application storage unit 142: communication unit
143: control unit 144: authentication unit
145: environment setting unit 146: shared information unit
147: Profile section 148: Data storage section
200: mobile terminal

Claims (14)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프로파일부;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시, 상기 등록된 개인 설정 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 설정 정보는 공유하지 않는 개인 항목 및 타 휴대 단말과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항목을 포함한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상기 개인 항목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개인화하며, 상기 공유 항목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휴대 단말 간 공유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In the video display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A profile unit that registers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bout a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et by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registere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tems including a personal item not shared and a shared item set to be shared with other mobile terminals, and personalize a part of a user control environment as the personal item, and among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s the shared item. And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share a part of the inform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제1 휴대 단말의 제1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 제 2 휴대 단말이 제2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을 요청할 경우,
상기 제1, 2 휴대 단말의 제1, 2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항목을 상호 공유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When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interworking with the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is operating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By sharing the shared items of the first and seco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different mobile terminals share a part of each user control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is operated. A video display device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 환경 중 공유 항목을 저장하는 공유 정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유 정보부는 각각의 공유 항목에 따라 공유할 휴대 단말을 지정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각각의 휴대 단말에 따른 공유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haring information unit for storing a shared item of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The sharing information unit may designate and store a portable terminal to be shared according to each shared item, or designate and store a shared item according to each portable terminal.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개인 설정 정보의 항목 중 상기 공유 항목 또는 상기 개인 항목의 설정을 휴대 단말에 따라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등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file portion
And setting the sharing item or the setting of the personal item among the items of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to register the shared item or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항목은
사용자의 선호 채널을 지정하는 채널리스트, 명암 또는 모드를 지정하는 화면설정, 화면비율, 리모컨 제어 키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hared item
A video display device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hannel list for designating a preferred channel of a user, a screen setting for designating a contrast or a mode, an aspect ratio, and a remote control control key i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항목은
휴대 단말의 문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거나,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sonal item is
A video display device for sto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tem storing a document file or an image file of the mobile terminal or playing an audio file or a video fi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document file, the image file, the audio file, and the video file.
제 1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의 접속시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 인증은 접속하는 휴대 단말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사용자 비밀번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ertif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he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using at least one of a MAC address, a user password, and a certificate of a mobile terminal to be conn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A video display device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or Wi-fi.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요청시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storing the application, and sharing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n application storage unit for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upon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개인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제어 환경을 타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display device comprises:
And transmit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r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to another video display device.
영상 표시 장치의 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방법에 있어서,
a)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하며 연동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의 접속시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c) 상기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의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환경에 대한 개인 설정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e)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시,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등록된 개인 설정 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 설정 정보는 공유하지 않는 개인 항목 및 타 휴대 단말과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항목을 포함한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상기 개인 항목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개인화하며, 상기 공유 항목으로써 사용자 제어 환경 중 일부를 휴대 단말 간 공유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공유 방법.
In the sharing method of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questing interworking;
b) authenticating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c) displaying, by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 initial screen of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n a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d) registering, by the video display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et by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 controlling, by the mobile terminal, setting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by interworking the registere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tems including a personal item not shared and a shared item set to be shared with other mobile terminals, and personalize a part of a user control environment as the personal item, and among the user control environment as the shared item. And sharing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제1 휴대 단말의 제1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을 때 제 2 휴대 단말이 제2 개인 설정 정보로 연동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장치가 상기 제1, 2 휴대 단말의 제1, 2개인 설정 정보의 공유 항목을 상호 공유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이 각각의 사용자 제어 환경을 동시에 일부 공유하며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공유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Requesting,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second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nteroperating with the first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allowing the video display device to share shared items of the first and seco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with each other, thereby allowing a plurality of different mobile terminals to simultaneously share some user control environments. A method of sharing a video display device for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that includes the sam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각각의 공유 항목에 따라 공유할 휴대 단말을 지정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각각의 휴대 단말에 따른 공유 항목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개인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공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step d)
And specifying and storing a mobile terminal to be shared according to each shared item or specifying and storing a shared item according to each mobile terminal.
KR1020110010547A 2011-02-07 2011-02-07 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 KR101239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547A KR101239097B1 (en) 2011-02-07 2011-02-07 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547A KR101239097B1 (en) 2011-02-07 2011-02-07 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233A true KR20120090233A (en) 2012-08-17
KR101239097B1 KR101239097B1 (en) 2013-03-05

Family

ID=4688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547A KR101239097B1 (en) 2011-02-07 2011-02-07 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0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8034A (en) * 2014-06-24 2016-0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 configuration
WO2022231400A1 (en) * 2021-04-30 2022-11-03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Mapping profile provision system and mapping profile provis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1745A (en) * 2013-07-18 2015-0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igital television signal sha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379837B1 (en) * 2014-08-14 2022-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4618818B (en) * 2015-02-27 2018-08-07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V homepag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060A (en) * 2008-03-13 2009-09-17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f user authentication for providing individual broadcasting service using iptv
KR100924646B1 (en) * 2008-03-13 2009-11-02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 broadcasting service using iptv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8034A (en) * 2014-06-24 2016-0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 configuration
GB2528034B (en) * 2014-06-24 2017-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 configuration
WO2022231400A1 (en) * 2021-04-30 2022-11-03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Mapping profile provision system and mapping profile provis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097B1 (en)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7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y using NFC
KR1010857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data transfer
KR101660704B1 (en) Mobile device, av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55388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covering wireless devices thereof
US8863196B2 (en) Enhance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for viewed program and control of internet TV device using mobile device
US91312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in IPTV
US201700834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30031261A1 (en) Pairing a device based on a visual code
US9900651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service data thereof
US20140359477A1 (en) Universal environment extender
US201300721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JP6383109B2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network connection device,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connection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103044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edia Devices
US92885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239097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shar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moving terminal and the sharing method
EP3068104A1 (en) Sharing method and system for media file
US8458594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CN104202624A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picture
US20150222946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8035951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006950A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s using temporary keys and electric device
KR101853960B1 (en) Media device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KR2012002215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ducting wireless communicatoin among device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944840B2 (en)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TWI532373B (en) Set-top box and system set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