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563A -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563A
KR20120083563A KR1020110004740A KR20110004740A KR20120083563A KR 20120083563 A KR20120083563 A KR 20120083563A KR 1020110004740 A KR1020110004740 A KR 1020110004740A KR 20110004740 A KR20110004740 A KR 20110004740A KR 20120083563 A KR20120083563 A KR 20120083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page
browser
key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943B1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11000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9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을 추출하고, 도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추출된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등록된 도메인이 아닌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스크롤을 수행함으로써, 탑 키를 통해 브라우저 실행 중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op page according to occurrence of key event in browser}
본 발명은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 키 또는 인덱스 키를 구비하여 브라우저 실행 중에 최상위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도록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 의해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브라우저 실행 중에 예를 들어, http://news.nate.com에서 뉴스 기사 하나를 클릭해서 들어가는 경우, 웹 페이지 주소는 http://news.nate.com/view/20101220n00911로 이동되며, 브라우저 메인 화면에는 기사의 내용이 표시된다. 보통 기사의 내용은 브라우저에서 한 페이지로 보여줄 수 있는 양보다 크다. 더욱이 소형화된 휴대 단말기와 같은 기기의 화면에서는 대부분 스크롤을 하지 않고는 기사 하나를 다 읽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해당 기사를 다 읽고 나서 다시 목차로 돌아가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전 페이지로 가는 키(예를 들어, "← 아이콘", 백스페이스 등)를 누르거나 화면을 다시 위로 스크롤하여 링크가 걸려 있는 아이콘(예를 들어, 뉴스 아이콘 등)을 선택한다.
즉, 웹 사이트에서 기사 하나를 다 읽고 해당 페이지에 연결된 다른 기사를 읽을 경우 이전 페이지로 가는 키(예를 들어, "← 아이콘", 백스페이스 등)를 이용하여 목차로 돌아가려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링크 걸린 아이콘이나 문자 등을 클릭하여 이동하기 위해서도 화면을 다시 스크롤 해서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 키를 구비하여 브라우저 실행 중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도록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덱스 키를 구비하여 브라우저 실행 중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카테고리의 최상위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도록 하는 브라우저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은,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을 추출하는 단계, 도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추출된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이 아닌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등록된 도메인 확인 단계는,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에서 엔에스룩업(nslookup)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록된 도메인 확인 단계는,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에서 디그(dig)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탑 키 이벤트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웹 페이지 화면 밖에 표시된 브라우저 메뉴 중 탑 키 아이콘, 키보드의 탑 키 기능 단축키, 터치 패드의 탑 키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된 탑 키가 선택됨에 따라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록된 도메인 확인 단계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1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제1 도메인이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1 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상위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중에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2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제1 상위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2 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탑 키 이벤트가, 사용자가 탑 키를 연속으로 누르거나 기준 시간 이상 누름에 따라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에 대한 최상위 도메인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탑 키 이벤트가, 사용자가 탑 키와 별도로 구비된 트리 키를 선택함에 따라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탑 키 이벤트가, 사용자가 탑 키와 별도로 구비된 홈 키를 선택함에 따라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에 대한 최상위 도메인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록된 도메인 확인 단계 이후에, 웹 서버로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요청하고, 웹 서버로부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웹 서버 연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웹 서버 연동 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은,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인덱스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 주소와 각 웹 페이지 주소에 상응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며 카테고리별로 인덱스가 할당된 인덱스 맵을 참조하여, 추출된 웹 페이지 주소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인덱스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카테고리의 최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웹 페이지 주소 추출 단계 이전에, 웹 서버로부터 인덱스 맵을 제공받아 브라우저가 해석하는 코드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 페이지 카테고리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 내에서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 키를 구비하여 브라우저 실행 중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덱스 키를 구비하여 브라우저 실행 중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카테고리의 최상위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과정을 나타낸 화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과정을 나타낸 화면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시스템은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 하나 이상의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서버(200), 도메인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도메인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단말기로서, 휴대 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을 추출한다. 이때, 탑 키 이벤트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웹 페이지 화면 밖에 표시된 브라우저 메뉴 중 탑 키 아이콘, 키보드 또는 리모컨의 탑 키 기능 단축키, 터치 패드의 탑 키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된 탑 키가 선택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탑 키 이벤트가 발행하기 전이라도 미리 현재 페이지 도메인을 추출하여 캐싱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도메인 서버(300)와 연동하여 추출된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엔에스룩업(nslookup) 명령 또는 디그(dig)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가 "nslookup news.nate.com" 을 도메인 서버(300)로 전송하면, 도메인 서버(300)에서 news.nate.com에 상응하는 도메인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해당 도메인 정보를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확인 결과,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이 아닌 경우,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스크롤을 수행한다. 이는, 사용자가 메뉴 또는 로고 등으로 이동하기 쉽도록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스크롤을 수행한다.
한편,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1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제1 도메인이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1 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상위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중에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2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제1 상위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2 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사용자가 탑 키를 연속으로 누르거나 기준 시간 이상 누름에 따라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에 대한 최상위 도메인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사용자가 탑 키와 별도로 구비된 트리 키를 선택함에 따라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사용자가 탑 키와 별도로 구비된 홈 키를 선택함에 따라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에 대한 최상위 도메인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웹 서버(200)로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요청하고, 웹 서버로부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도메인 정보는 첫 메인페이지 즉, 최상위 페이지를 갖고 있어 도메인 서버와의 연동으로 해당 페이지를 불러오면 되지만, 도메인 서버에 해당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웹 서버와 연동하여, 최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과정은 시간이 부가적으로 길면 수초 걸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 선택(환경설정 또는 디폴트 설정)하에 생략하고 주소창을 통해 이미 브라우저가 알고 있는 도메인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인덱스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 주소를 추출하고, 인덱스 맵을 참조하여, 추출된 웹 페이지 주소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인덱스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카테고리의 최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인덱스 맵은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 주소와 각 웹 페이지 주소에 상응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며, 카테고리별로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카테고리는 하나의 인덱스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현재 페이지 카테고리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 내에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 150)는 웹 서버(200)로부터 인덱스 맵을 제공받아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는 코드 예를 들어,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코드에 미리 삽입하여 둘 수 있다.
즉, HTML 소스 안에 웹페이지 트리를 넣어두고, 이를 브라우저가 해석하거나 웹 페이지 내의 함수 호출 구조인 스크립트, "목록"에 해당하는 링크 자동 추출 기능으로 인덱스(INDEX)  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임의의 클릭을 하여 이동할 수 있는 트리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는 웹페이지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네이트의 최상위 트리인 http://www.nate.com/는 Index 0으로 맵핑하고, home.mail.nate.com은 Index 1.1로 맵핑하고, http://pann.nate.com은 Index 2로 맵핑하고, http://pann.news.nate.com/info/culture은 Index 3.1-1-1로 맵핑하고, http://pann.news.nate.com/info/beauty은 Index 3.1-1-2로 맵핑하고, http://pann.news.nate.com/info/review은 Index 3.1-1-3로 맵핑할 수 있다.
또한, http://ask.nate.com/은 Index 4로 맵핑하고, http://ask.nate.com/qna/index.html은 Index 4-1로 맵핑하고, http://ask.nate.com/buddyqna/index.html은 Index 4-2로 맵핑하고, http://c.ask.nate.com/best/index.html은 Index 4.1-1로 맵핑할 수 있다.
또한, http://www.cyworld.com/pims/mhsection/mh_index.asp은 Index가 필요 없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클릭 후 해당 페이지가 표시될 때 새로운 Index 트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http://blog.cyworld.com/ 또는 http://music.cyworld.com/도 Index가 필요 없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클릭 후 해당 페이지가 표시될 때 새로운 Index 트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http://news.nate.com은 Index 3으로 맵핑할 수 있고, http://news.nate.com/recent?mid=n0100은 Index 3-1-1로 맵핑할 수 있고, http://news.nate.com/section?mid=n0200은 Index 3-1-2로 맵핑할 수 있고, http://news.nate.com/section?mid=n0300은 Index 3-1-3로 맵핑할 수 있고, http://news.nate.com/section?mid=n0400은 Index 3-1-4로 맵핑할 수 있고, http://news.nate.com/recent?mid=n0401은 Index 3-1-4-1로 맵핑할 수 있고, http://news.nate.com/subsection?mid=n0402은 Index 3-1-4-2로 맵핑할 수 있고, http://news.nate.com/view/20101231n01161?mid=n0402은 Index 3-1-4-3로 맵핑할 수 있고, http://news.nate.com/view/20101230n13977?mid=n0402은 Index 3-1-4-3로 맵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웹페이지 주소와 인덱스에 대한 맵을 단순화시킨 트리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받아올 수 있다면, 인덱스 키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어느 페이지를 보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해당 서브페이지의 탑 위치 또는 리스트 페이지 위치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 맵 데이터는 HTML 등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는 코드 상에 넣어둘 수 있으며 해당 페이지가 열릴 때 캐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든 인덱스 맵 형식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사용자가 구성하려는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인덱스 맵 데이터를 한 덩어리로 코드 상에 포함하기에 크기 등으로 인해 무리가 있다면, 서버에만 인덱스 맵 데이터와 이를 처리할 페이지/프로그램이 존재하고, 브라우저에 로딩될 각 페이지에는 실제 최소한(예를 들어, 상위 인덱스 또는 주소 한 개)의 인덱스 정보만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 맵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를 별도로 둘 수도 있다. 해당 서버에는 현재 페이지 주소를 보내주면 자동으로 상위 주소를 알려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가 인덱스 키를 감지하면 페이지 내에서 "목록" 또는 "Index" 또는 "List" 등의 링크가 걸린 텍스트가 있는지 검사한 후, 있으면 해당 주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텍스트 목록은 사용자가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인덱스 키를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방법 및 주소를 추출할 수 있는 힌트를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또는 단말기 내의 프로그램(브라우저 등)에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브라우저가 탑 키 또는 인덱스 키 입력을 처리할 수 있지만, OS안에 돌고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입력을 처리하여 브라우저에게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GPS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이동통신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3)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망은 WiFi망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9)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3)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 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을 추출한다. 이때, 탑 키 이벤트는, 조작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웹 페이지 화면 밖에 표시된 브라우저 메뉴 중 탑 키 아이콘, 키보드 또는 리모컨의 탑 키 기능 단축키, 터치 패드의 탑 키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된 탑 키가 선택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추출된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엔에스룩업(nslookup) 명령 또는 디그(dig)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반면,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이 아닌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스크롤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1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제1 도메인이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1 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제1 상위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중에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2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제1 상위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2 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탑 키를 연속으로 누르거나 기준 시간 이상 누름에 따라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에 대한 최상위 도메인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탑 키와 별도로 구비된 트리 키를 선택함에 따라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탑 키와 별도로 구비된 홈 키를 선택함에 따라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에 대한 최상위 도메인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과정을 나타낸 화면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S302),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을 추출한다(S304).
예를 들어,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가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제1 주소창에(404)에 http://news.nate.com/view/20101220n00911을 표시하고, 제1 웹 페이지 표시 영역(406)에 http://news.nate.com/view/20101220n00911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제1 브라우저 화면(400)을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탑 키 아이콘(402)이 선택되면,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news.nate.com에 해당하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도메인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원격지의 도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추출된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한다(S306).
S306 단계의 확인 결과,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08).
즉,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제2 주소창(454)에 http://news.nate.com을 표시하고, 제2 웹 페이지 표시 영역(456)에 http://news.nate.com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제2 브라우저 화면(4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S306 단계의 확인 결과,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이 아닌 경우,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스크롤을 수행한다(S310).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탑 키를 통해 브라우저 실행 중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에서 탑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과정을 나타낸 화면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S502),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을 추출하고(S504),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S506), 등록된 도메인이면 해당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S506 단계의 확인 결과,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이 아닌 경우,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스크롤을 수행한다(S514).
예를 들어,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가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중에 탑 키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3 주소창에(604)에 http://epl.sports.naver.com을 표시하고, 제3 웹 페이지 표시 영역(606)에 http://epl.sports.naver.com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제3 브라우저 화면(6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3 브라우저 화면(600)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탑 키 아이콘(602)이 선택된 경우,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1 도메인(예를 들어, sports.naver.com에 해당하는 도메인)이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제1 도메인이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1 상위 페이지(예를 들어, sports.naver.com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제4 웹 페이지 표시 영역(616)에 표시하는 제4 브라우저 화면(6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08).
또한, 제4 브라우저 화면(610)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탑 키 아이콘(602)이 선택되어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510),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예를 들어, sports.naver.com에 해당하는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2 도메인(예를 들어, www.naver.com)이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2 상위 페이지(예를 들어, wwww.naver.com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제5 웹 페이지 표시 영역(626)에 표시하는 제5 브라우저 화면(6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12).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을 추출하는 단계;
    도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추출된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이 아닌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최상단으로 스크롤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도메인 확인 단계는,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에서 엔에스룩업(nslookup) 명령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도메인 확인 단계는, 브라우저 실행 단말기에서 디그(dig) 명령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탑 키 이벤트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웹 페이지 화면 밖에 표시된 브라우저 메뉴 중 탑 키 아이콘, 키보드의 탑 키 기능 단축키, 터치 패드의 탑 키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된 탑 키가 선택됨에 따라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도메인 확인 단계는,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1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상기 제1 도메인이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1 상위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상위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중에 탑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인 제2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인 경우, 상기 제1 상위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인 제2 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 키 이벤트가, 사용자가 탑 키를 연속으로 누르거나 기준 시간 이상 누름에 따라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에 대한 최상위 도메인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 키 이벤트가, 사용자가 탑 키와 별도로 구비된 트리 키를 선택함에 따라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전단계 도메인이 상기 도메인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도메인이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의 전단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 키 이벤트가, 사용자가 탑 키와 별도로 구비된 홈 키를 선택함에 따라 발생한 경우, 현재 페이지 도메인에 대한 최상위 도메인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도메인 확인 단계 이후에,
    웹 서버로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요청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웹 서버 연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웹 서버 연동 단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현재 페이지 도메인의 최상위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11. 브라우저 실행 중에 웹 사이트 내부 메뉴와 별도의 인덱스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 주소와 각 웹 페이지 주소에 상응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며 카테고리별로 인덱스가 할당된 인덱스 맵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웹 페이지 주소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인덱스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카테고리의 최상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 주소 추출 단계 이전에,
    웹 서버로부터 상기 인덱스 맵을 제공받아 브라우저가 해석하는 코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현재 페이지 카테고리는,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는 현재 페이지 도메인 내에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KR1020110004740A 2011-01-18 2011-01-18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KR10121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740A KR101212943B1 (ko) 2011-01-18 2011-01-18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740A KR101212943B1 (ko) 2011-01-18 2011-01-18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563A true KR20120083563A (ko) 2012-07-26
KR101212943B1 KR101212943B1 (ko) 2013-01-09

Family

ID=4671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740A KR101212943B1 (ko) 2011-01-18 2011-01-18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9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601A (ko) * 2001-11-23 2003-06-02 스타브리지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웹 서비스를 위한 전자 전화번호부 제작방법
KR100463208B1 (ko) * 2002-08-05 2004-12-23 (주)하우앤와이 로컬 네임 서버 중심의 내부 도메인 시스템 구현 방법
KR100509228B1 (ko) 2004-11-23 2005-08-22 (주) 디보스 전자앨범 및 초고속인터넷 기능이 부가된 인터넷 텔레비젼
KR20080036837A (ko) * 2006-10-24 2008-04-29 (주)네오위즈게임즈 웹 사이트의 로그인 정보 저장 방법, 그를 이용한 자동로그인 방법과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943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6725B2 (ja) コンテキスト認識型ヘルプ・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10276007B (zh) 用于提供信息的装置和方法
US9002699B2 (en) Adaptive input language switching
JP5912083B2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KR101911804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11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part of web page
US20110252302A1 (en) Fitting network content onto a reduced-size screen
CN101996047B (zh) 用户界面方法和电子设备
JP2016522483A (ja) ページロールバック制御方法、ページロールバック制御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40144104A (ko)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274777B (zh) 思维导图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7291465A (zh) 页面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60073714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US9582542B2 (en)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US89424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ersonalized contents
WO2015014138A1 (zh) 一种显示框显示的方法、装置和设备
KR102012501B1 (ko)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032320B (zh) 一种页面滚动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7220371A (zh) 页面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287644B (zh) 一种应用程序的信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7862728B (zh) 图片标签的添加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12943B1 (ko) 브라우저에서 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상위 페이지 제공 방법
KR20120011215A (ko)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단말기
EP271712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using inputted character in a user device
JP5661828B2 (ja) 端末装置、音声出力方法及び音声出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