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816A - Providing method of virtual touch pointe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viding method of virtual touch pointe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816A
KR20120078816A KR1020110000078A KR20110000078A KR20120078816A KR 20120078816 A KR20120078816 A KR 20120078816A KR 1020110000078 A KR1020110000078 A KR 1020110000078A KR 20110000078 A KR20110000078 A KR 20110000078A KR 20120078816 A KR20120078816 A KR 20120078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inter
image
output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기락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8816A/en
Publication of KR2012007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8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Abstract

PURPOSE: A virtual touch point operation method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onveniently select an area where a user designates on a touch screen. CONSTITUTION: A display panel(141) has a specific direction, length, and size in case interval between a touch object and a touch panel is within specific range. The display panel outputs an image of a virtual touch pointer. A controlling unit(160) controls user function processes about an area. The area is indicated by at least one preparato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Description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Providing Method of Virtual Touch Pointe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Provisioning Method of Virtual Touch Pointe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제어에 있어서 보다 명확한 지시 또는 선택 등이 가능한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ng method capable of more clearly indicating or selecting in touch control of a portable terminal based on a touch screen,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터치 패널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터치 패널에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 동작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a terminal that supports a call function based on mobility, and is used in a wide range of fields due to its convenience and ease of portability. Such portable terminals provide various input methods to provide user functions. For example, as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touch screen including a touch panel and a display unit, the touch panel may process an operation performed by a user to select a specific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 touch event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user's operation and controls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 user function based on the touch event.

한편, 휴대 단말기는 표시 영역이 이동성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른 장치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 휴대 단말기는 작은 표시 영역 상에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한 많은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작은 표시 영역 상에 많은 정보가 출력되는 환경 때문에 사용자는 특정 정보들을 지시하거나 운용하는데 대화면 휴대 단말기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이나 키버튼 등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 휴대 단말기에서는 주변 아이콘이나 키버튼 등이 함께 눌려지는 경우가 많아 오동작 발생 확률이 높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터치를 위한 손동작에 의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영역이 가려지는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터치 직전에 어떠한 영역을 선택하는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올바른 영역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has a feature that the display area is relatively smaller than other devices to support mobility and the like, and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outputs a lot of information for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n the small display area. . However, due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lot of information is output on a small display area, a user feels relatively inconvenient to instruct or operate specific information as compared to large screen portable terminals.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select a specific icon or a key butto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high probability of malfunction due to many cases in which peripheral icons or key buttons are pressed together.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has a problem that the area to be selected is covered by a hand gesture for touch, so it is difficult to properly select the area just before the touch and thus has difficulty in selecting the correct are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가 지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기반으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select a region that a user wants to designate on a touch screen, and a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ng method that can support a variety of functions based on this and a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In providing a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터치 물체에 대한 근접 센싱을 수행하는 센싱 과정, 상기 근접 센싱 결과 상기 터치 물체와 터치 패널과의 이격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인 터치 예비 동작이 센싱된 경우 일정 방향, 길이 및 크기를 가지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를 터치 패널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 영역에 출력하는 예비 이미지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nsing process in which a mobile terminal performs a proximity sensing for a touch object, the result of the proximity sensing between the touch object and the touch panel And a preliminary image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a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hav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length, and size to a display panel reg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n the touch panel when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having a separation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sensed.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의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는 터치 물체의 접근에 따른 터치 예비 동작 및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의 일정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방향, 길이 및 크기를 가지며 출력되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가 출력하며, 상기 터치 물체와 상기 터치 패널 사이의 이격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터치 예비 동작에 따른 터치 패널 상의 지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방향, 길이 및 크기를 가지며 출력되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 패널,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 및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지시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기능 처리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panel sensing at least one of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and a tou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a touch object, and when a certain point of the touch panel is touched, A real image of a virtual touch pointer that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length, and size is output based on a corresponding area,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object and the touch pane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touch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touch preliminary operation. At least one of a display panel outputting a preliminary image of a virtual touch pointer that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length, and size with respect to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int on the panel, a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a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Control the processing of user functions for the area indicated b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치 영역의 크기에 관계없이 표시 영역 상에서 사용자가 지시하고자 하는 또는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보다 정확하고 면밀하게 지시 및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According to a method of operating a virtual touch pointer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accurate and detailed description of a specific area to be indicated or selected by a user on a display area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touch area. To be instructed and sup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 및 실질 이미지 출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의 방향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의 방향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한 사용자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 preliminary image and a real image output form of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direction chan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reen example for explaining a direction change of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 user function operation using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urb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re appropriate to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터치스크린(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frequency unit 110, an input unit 120, an audio processor 130, a touch screen 140, a storage unit 150, and a controller 160. It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40)상에 터치 예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지시하고자 하는 또는 선택하고자 하는 일정 영역을 보다 명확하게 지시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제공에 관한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generates a virtual touch pointer corresponding to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or a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140 to more clearly identify a certain area to be indicated or selected by the user. Support instruction or selection. Hereinafter, functions and role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each compon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주파수부(110)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기능은 터치 패널(143)에서 생성되는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되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입력부(120)에서 생성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되어 활성화될 수 도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을 위하여 특정 아이콘 또는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맵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특정 아이콘 또는 상기 키맵의 특정 키를 선택하기 위한 가상 터치 포인터를 출력하고,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아이콘 또는 상기 키맵의 특정 키를 지시 또는 선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The radio frequency unit 110 per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voice call,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video call, and a communication channel for data transmission such as an image or a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hat is, the radio frequency unit 110 forms a voice call channel,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video call channel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o this end, the radio frequency unit 11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 radio frequency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frequency of a received signal. The user function based on the radio frequency unit 110 may be selected and activated by a touch event generated by the touch panel 143 or may be selected and activat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unit 120. hav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utput a keymap for inputting a specific icon or a phone number for the operation of the radio frequency unit 110, and in this process, selecting a specific key of the specific icon or the keymap.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output,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used to indicate or select a specific key of the specific icon or the keymap.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스크린(140) 상에 출력되는 쿼티 키 맵, 3*4 키맵, 4*3 키맵, 메뉴 맵, 제어키 맵 등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4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가상 터치 포인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도 있다. 가상 터치 포인터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되어 사용자의 추가 동작 예를 들면 이동 동작이나 클릭 동작, 아이콘 드래그 동작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function keys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 side key, and an accelerator key set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generates a key signal related to user setting and func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ntroller 160. The in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qwerty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 3 * 4 keypad, a 4 * 3 keypad,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qwerty key map, a 3 * 4 key map, a 4 * 3 key map, a menu map, a control key map, and the like output on the touch screen 140.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only a side key formed at the side of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when the touch screen 14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upported in the form of a full touch screen.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virtual touch pointer.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operation to support the user's additional operation such as a moving operation, a clicking operation, an icon drag operation, or the like.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표시 패널(141)에 가상 터치 포인터가 출력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가상 터치 포인터 동작에 따라 특정 입력 신호들이 입력되는 동안 그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터치 포인터 관련 효과음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or 130 is a speaker (SPK) for playing audio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during a call, audio data included in a received messag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layback of an audio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nd a call. A microphone (MIC) for collecting the user's voice or other audio signals. When the virtual touch pointer is output to the display panel 141, the audio processor 130 may output an effect sound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sound while specific input signals are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Can be. Such a virtual touch pointer related sound effect may be omitt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표시 패널(141)과 터치 패널(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40)은 표시 패널(141) 전면에 터치 패널(143)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의 크기는 터치 패널(143)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40 includes a display panel 141 and a touch panel 143. The touch screen 1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panel 143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141.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140 may be determined as the size of the touch panel 143.

상기 표시 패널(141)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 패널(141)은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14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1)은 터치 패널(143)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 패널(141)은 다양한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전 설정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가상 터치 포인터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143) 상에 터치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 예상 지점 또는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된다. 이러한 가상 터치 포인터는 터치 패널(143)의 터치 예상 지점 또는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41)로부터 일정 방향으로 일정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물체를 이동시켜 터치 예상 지점 또는 터치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일측 끝단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는 터치 유효 영역과 지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효 영역은 일정 형태를 가지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일측 끝단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지시 영역은 끝단을 이루기 위해 인접된 영역들이 표시되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는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터치하기 전 터치 예비 동작에 따른 터치 예상 지점에서는 예비 이미지 형태 예를 들면 투명도가 높거나 이미지의 테두리가 점선 등으로 표시되는 형태의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는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터치 동작에 따른 터치 지점에서는 실질 이미지 형태 예를 들면 투명도가 없는 일정한 색상을 가지는 형태 또는 이미지의 테두리가 실선 등으로 표시되는 형태의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예상 지점 및 터치 지점 연산을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143)이 정전용량 방식으로 형성된 경우 터치 패널(143)과 터치 물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고,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예를 들면 제1 일정 용량 변화를 가지는 터치 패널(143)의 터치 센서 영역을 터치 예상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1 일정 용량보다 큰 정전 용량 변화 예를 들면 제2 일정 용량 변화가 터치 패널(143)의 특정 지점에서 발생하는 경우 제2 일정 용량 변화가 발생한 터치 패널(143)의 터치 센서 영역을 터치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근접 센서를 휴대 단말기(100)의 일정 영역에 마련하고 근접 센싱을 통하여 터치 물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검출하고 해당 위치에 따라 터치 예상 지점 또는 터치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 출력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display panel 141 displays various menu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or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hat is, the display panel 141 may provide various screen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standby screen, a menu screen, a message writing screen, a call screen, and the like. The display panel 141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The display panel 141 may be disposed above or below the touch panel 143. In particular, the display panel 14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virtual touch pointer to one side of the screen according to a preset or user request while a screen related to various user functions is being output. The virtual touch pointer is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pected touch point or the touch point when the user wants to touch the touch panel 143. The virtual touch pointer is configur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iz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display panel 141 corresponding to the touch expected point or the touch point of the touch panel 143. Accordingly, the user may control to move one end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by moving the touch object and the touch predicted point or touch point. Here,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composed of a touch effective area and a pointing area. The touch effective area may be one end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indication area may be an image in which adjacent areas are displayed to form an end.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output as a preliminary image form, for example, an image having a high transparency or a border of an image displayed as a dotted line at a touch predicted point according to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before a user touches a specific point. In addition,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output as an image in a form of a real image, for example, a form having a certain color without transparency or a border of the image as a solid line at a touch point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a specific point. Can be. For the above-described touch prediction point and touch point calcul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panel 143 and the touch object when the touch panel 143 is formed in a capacitive manner.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area of the touch panel 143 having the first constant capacitance change may be determined as the touch expected point according to the capacitance chang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touch panel 143 in which a second constant capacitance change occurs, for example, when a change in capacitance larger than a first predetermined capacitance occurs, for example, at a specific point of the touch panel 143. The touch sensor area of may be determined as a touch poin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at least two proximity sensors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obile terminal 100, detect a position of a touch object, for example, a user's finger through proximity sensing, and predict a touch poin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Alternatively, the touch point may be determined. The screen output according to the user functio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virtual touch poin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상기 터치 패널(143)은 상기 표시 패널(141)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며 물체의 접촉 또는 물체의 접근 거리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43)을 구성하는 센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터치 패널(143)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터치 패널(143) 상의 해당 위치 정보와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패널(143)로부터 전달되는 터치 이벤트로부터 위치 정보와 터치 이벤트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에 매핑된 표시 패널(141)의 특정 정보를 확인한 이후 해당 특정 정보에 링크되어 있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치 패널(143)은 터치 물체와의 거리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4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전용량 변화 및 제2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값을 센싱하고, 해당 값을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143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panel 141, generate a touch event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object or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object, and transmit the generated touch event to the controller 160. . At this time, the sensors constituting the touch panel 143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formation on the touch panel 143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touch event with respect to the touch event occurring on the touch panel 143. 160). The controller 160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ouch event type from the touch event transmitted from the touch panel 143, checks specif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141 mapp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then links the user to the specific information. It can be controlled to activate the function. In particular, the touch panel 143 may be configured as a capacitive touch method that can generate a capacitance change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touch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panel 143 may sense a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capacitance change and the second capacitance change,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value to the controller 160.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4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 key map or a menu map for operating the touch screen 140 as well as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operat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key map and the menu map may be various types. That is, the key map may be a keyboard map, a 3 * 4 key map, a qwerty key map, or the like, or may be a control key map for operation control of an currently activated appli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menu map may be a menu map for controlling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The storage unit 150 may largel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가상 터치 포인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The program area support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playing various files, for example, a cal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web browser for accessing an Internet server, an MP3 application for playing other sound sources, an image output application for playing pictures, and a video playing application may be stored. In particular, the program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151.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프로그램(151)은 사전 설정된 특정 사용자 기능의 운용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하여 가상 터치 포인터가 적용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터치 물체의 위치에 따라 표시 패널(141) 상에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 또는 실질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즉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프로그램(151)은 특정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 설정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루틴,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메뉴 선택이나 특정 제스처 발생 시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 설정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기반으로 한 특정 제스처 검출을 위하여 동작 센서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151 generates an even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user function or a user request and 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is applied to the virtual touch pointer on the display panel 141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object. It supports to output preliminary image or real image. That is, 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151 controls to activate the virtual touch pointer application setting when a specific user function is activated, an input signal for setting the virtual touch pointer application setting, for example, a virtual touch when a menu selection or a specific gesture occurs. It may include a routine that controls to activate the pointer application set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ensor, for exampl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 specific gesture bas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또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프로그램(151)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터치 예상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를 터치 예상 지점을 기준으로 출력하는 루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일정한 터치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를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프로그램(151)은 가상 터치 포인터의 일정 부분 예를 들면 일측 끝단을 터치 유효 영역으로 설정하여 해당 영역을 기준으로 일정한 동작 효과 예를 들면 해당 터치 유효 영역에서부터 선 그리기를 수행하도록 지원하거나, 터치 유효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 선택, 선택된 아이콘의 끌기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프로그램(151)은 표시 패널(141) 상의 터치 지점의 위치에 따라 가상 터치 포인터의 형태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가상 터치 포인터에 의한 그리기 작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체 이미지 보기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프로그램(151)은 특정 입력 신호 발생 시 출력되고 있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표시 패널(141)로부터 제거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151 is a routine for outputting a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based on the expected touch point when the user's touch gesture is located at the touch predicted point. In this case, the method may include a routine for outputting a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based on the touch point. In addition, 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151 sets a certain por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for example, one end thereof as a touch effective area, so as to perform a line drawing from the touch effective area, for example, a predetermined motion effect based on the corresponding area. Or select an icon located in the touch effective area, or drag a selected icon. Meanwhile, 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151 may support to change the shap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daptive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on the display panel 141, and also to support the drawing operation by the virtual touch pointer. It can support image viewing function. 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151 may support to remove the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141 when a specific input signal is generated.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데이터,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터치 패널(143)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가상 터치 포인터가 적용된 사용자 기능 목록,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을 위한 입력 신호 또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 가상 터치 포인터 해제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가상 터치 포인터 프로그램(151)에 의하여 참조되어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The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data generated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is stored, and may store phone book data, at least one icon according to a widget function, and various contents. In addition, the data area may store a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touch panel 143. In particular, the data area may store a user function list to which the virtual touch pointer is applied, information on an input signal or gesture for applying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an input signal for releasing the virtual touch pointer. Such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by the virtual touch pointer program 151 and used for applying the virtual touch pointer.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동작이 가상 터치 포인터를 요청하는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 설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른 터치 예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그에 따라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 또는 실질 이미지를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each compon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support the initialization process.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forms a request for requesting a virtual touch pointer, and performs setting of applying a virtual touch pointer when a corresponding operation occurs. Thereafter,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o output the preliminary image or the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on the display panel 141 when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or a touch operation occurs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To this end,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 가상 터치 포인터 출력부(163), 기능 수행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event collecting unit 161, a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unit 163, and a function performing unit 165.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는 터치 패널(143)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는 터치 패널(143)의 특정 지점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지점의 정전용량 변화가 일정량 이상의 변화 예를 들면 제1 일정 용량 변화를 가지는 경우 그에 따른 이벤트 발생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는 터치 패널(143)의 특정 지점 정전용량 변화가 터치 물체의 접촉에 따른 변화 예를 들면 제2 일정 용량 변화를 가지는 경우 그에 따른 이벤트 발생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1 일정 용량 변화 및 제2 일정 용량 변화에 따른 신호 즉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정전 용량 변화량에 대한 신호는 가상 터치 포인터 출력부(163)에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일정 용량 변화 및 해당 지점의 위치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 기능 수행을 위하여 기능 수행부(165)에 전달될 수 있다.The touch event collector 161 collects touch events generated from the touch panel 143. In particular, the touch event collector 161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at a specific point of the touch panel 143, and an event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change in capacitance at the point has a change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for example, a first change in capacitance. Occurrences can be collected. In addition, the touch event collector 161 may collect an event occurrence when a change in capacitance of a specific point of the touch panel 143 has a change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touch object, for example, the second constant capacitance change. The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constant capacitance change and the second constant capacitance change, that is, a signal about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a specific point, may be transmitted to the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unit 163, and the second constant capacitance chan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oint may be transmitted to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65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출력부(163)는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 수집부(161)로부터 제1 일정 용량 변화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정전 용량 변화가 발생한 터치 패널(143)의 위치에 가상 터치 포인터 예비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출력부(163)는 제2 일정 용량 변화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정전 용량 변화가 발생하는 터치 패널(143)의 위치에 가상 터치 포인터 실질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출력부(163)는 가상 터치 포인터 실질 이미지의 일정 영역을 터치 유효 영역으로 설정하며, 일정 영역 이외의 이미지를 터치 유효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지시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When the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unit 163 receives the first predetermined capacitance change signal from the touch event collection unit 161 while the virtual touch pointer is applied, the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43 in which the corresponding capacitance change occurs. Support to output the preliminary image to the virtual touch pointer. When the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unit 163 receives the second constant capacitance change signal, the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unit 163 outputs the virtual touch pointer real image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43 where the capacitance change occurs. The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unit 163 may set a predetermined area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real image as a touch valid area, and set an image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area as an indication area for recognizing the touch valid area.

상기 기능 수행부(165)는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가 지시하는 일정 지점에 대하여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능 수행부(165)는 출력되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방향과 길이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터치 포인터의 터치 유효 영역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 수행부(165)는 확인된 터치 유효 영역 상에서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에 따른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터치 포인터 예비 이미지의 터치 유효 영역이 일정 아이콘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아이콘이 지시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아이콘의 형태나 이미지 등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수행하여 가상 터치 포인터 예비 이미지가 가상 터치 포인터 실질 이미지로 변경된 경우 해당 아이콘 선택에 따른 기능 예를 들면 아이콘에 링크된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능 수행부(165)는 가상 터치 포인터 예비 이미지가 표시 패널(141)의 특정 영역을 지시하는 것과 관계없이 실질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아이콘 등을 지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 수행부(165)는 추가적인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상 터치 포인터 실질 이미지를 생성하여 특정 아이콘을 지시하고, 중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143)의 일정 영역을 "탭"하는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실질 이미지가 지시하는 아이콘과 관련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수행부(165)와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기능 운용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65 is configured to support a specific user function at a specific point indicated by the virtual touch pointer. To this end,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65 may check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length, and size of the output virtual touch pointer, and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ouch valid area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65 may control to perform a user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on the identified touch effective area. For example, when the touch valid area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preliminary image indicates a certain icon, the user may control to change the shape or image of the ic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icon is indicated. When the virtual touch pointer preliminary image is changed to the virtual touch pointer real image by performing a touch operation, the user may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the icon selection, for example, to activate a user function linked to the icon. Alternatively,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65 may control to indicate an icon or the like when a real image is displayed regardless of whether the virtual touch pointer preliminary image indicates a specific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41.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65 generates a virtual touch pointer real image using an additional touch event, for example, an index finger to indicate a specific icon, and taps a certain area of the touch panel 143 using a middle finger. If a touch event is generated, the user may support a user function related to an icon indicated by the real image. Various user function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performing unit 16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가상 터치 포인터를 사용자의 터치 예비 동작 및 터치 동작에 따라 표시 패널(141) 상에 각각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등으로 인하여 가려지는 영역 없이 표시 패널(141)의 일정 영역을 지시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와 실질 이미지 출력을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 운용을 보다 정확하고 섬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를 실질 이미지 출력 이전에 출력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예비 이미지 출력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virtual touch pointers separately on the display panel 141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preliminary operation and the touch operation, thereby causing a finger or the like. It may be possible to indicate or select a certain area of the display panel 141 without covering the area. In addition,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output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can support the user's touch operation more accurately and delicately.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utput of the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before the actual image output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liminary image output may be omitt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60)는 공급된 전원을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공급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301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first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60 supplies the supplied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perform an initialization process. And outputs a standby screen as in step 301 according to preset schedule information.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303 단계에서 가상 터치 포인터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을 위한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을 위한 특정 입력 신호 또는 제스처 또는 메뉴 선택 등의 신호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발생된 입력 신호가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305 단계로 분기하여 일반 터치 기능 지원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터치 기능은 별도의 가상 터치 포인터 출력 없이 표시 패널(141)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고 해당 터치 이벤트 동작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이 될 수 있다.In operation 303,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signal for activating the virtual touch pointer function is generated.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an input signal for activating a specific user function for applying a virtual touch pointer or a signal input such as a specific input signal or gesture or menu selection for applying a virtual touch pointer is generated. have. In this process, if the generated input signal is not an input signal for activating the applic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305 to perform an operation for supporting a general touch function. In this case, the general touch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collecting a touch event occurring in the display panel 141 without outputting a virtual touch pointer and activating a use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touch event operation.

한편 상기 305 단계에서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307 단계로 분기하여 근접 센싱에 따른 동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센싱은 사용자가 터치 물체 예를 들면 손가락 등을 터치 패널(143)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킴으로써 터치 패널(143)의 특정 지점에 위치한 터치 영역의 정전용량이 일정 값 예를 들면 제1 일정 용량 변화를 가지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싱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다수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 설정 시 상기 근접 센서들을 활성화하여 터치 패널(143) 표면으로부터 터치 물체의 위치를 센싱하여 해당 근접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 예를 들면 제1 일정 범위 이내인지를 센싱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an input signal for applying a virtual touch pointer is generated in step 305,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307 to determine whether an operation according to proximity sensing occurs. In this case, proximity sensing is performed by a user approaching a touch object, for example, a finger, to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143, so that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area located at a specific point of the touch panel 143 is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the first. It may be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constant dose change. In addition, in the proximity sensing,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and when the applic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is set, the proximity sensors are activated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touch object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143 to increase the proximity distance. Withi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it may be a process of sensing whether it is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range.

상기 307 단계에서 근접 센싱에 따라 터치 물체가 제1 일정 용량 변화를 가지는 거리 또는 일정 범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3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터치 패널(143)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41) 상에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ouch object is located at a distance having a first predetermined capacitance change o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 to proximity sensing in step 307,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309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panel 143. The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311 단계로 분기하여 터치 센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싱은 터치 물체가 터치 패널(143)의 표면과 접촉하여 일정 정전용량 값 변화 예를 들면 제2 일정 용량 변화를 가지는지 검사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별도의 터치 센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3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311 단계에서 터치 센싱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313 단계로 분기하여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에 따른 기능 수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에 따른 기능 수행은 이후에서 설명하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311 to check whether touch sensing occurs. 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may be a process of inspecting whether the touch object has a constant capacitance value change, for example, a second constant capacitance change by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143. If no separate touch sensing occurs in this process, the controller 160 may branch to step 307 to perform the following process repeatedly. If touch sensing occurs in step 311,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313 to control to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31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기능 종료 예를 들면 사용자 기능 종료 또는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3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317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단말기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으면 3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307 단계에서 근접 센싱과 관련된 동작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315 단계 이전으로 바로 분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315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input signal generation for end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ending the user function or ending the applic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When there is no input signal for applying the virtual touch pointer,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307 and may support to repeatedly perform the follow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if an input signal for ending the function is generated, the controller 160 branches to step 317 to check whether an input signal for terminal termination occurs, and if there is no input signal for terminating a separate terminal, proceeds to step 301. The following process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again. If there is no operation related to proximity sensing in step 307,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o immediately branch to step 315.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와 실질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예비 이미지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되다가 실질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143)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손가락과 터치 패널(143)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예비 이미지의 흐릿함 정도가 점진적으로 변경되다가 손가락이 터치 패널(143)에 접촉되면 앞서 언급한 실질 이미지를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output. However, the preliminary image may be gradually changed to a real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apacitance.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143 using a finger, the degree of blur of the preliminary image is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nger and the touch panel 143, and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panel 143. If so, the aforementioned real image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 및 실질 이미지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 물체는 손가락을 대표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예비 이미지 및 실질 이미지의 형태는 펜촉 형태의 이미지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펜촉 형태의 이미지는 일정 부분이 첨단을 이루어 특정 영역을 지시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liminary image and a real image output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object performing a touch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a finger as a representative. The shape of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will be described using an image of a nib type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ib-shaped image may be any one of various other forms in which a certain portion may form a tip to indicate a specific reg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401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널(143)의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402 화면에서와 같이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51)를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143)이 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43)의 특정 지점에 손가락이 위치하는 경우 해당 지점 터치 영역의 터치 용량 변화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가 터치 예비 동작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가상 터치 포인터 예비 이미지(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402 화면에서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예를 들면 투명도가 높게 적용되어 흐릿한 형상의 특정 색상 및 특정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51)는 터치 패널(143)의 특정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에서 직하방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널(143)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정전용량 변화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51)는 표시 패널(14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s finger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touch panel 143 as shown in 401,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preliminary image 51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s shown in screen 402.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a capacitive touch panel 143. When a finger is located at a specific point of the touch panel 143, the user's finger position is changed by changing the touch capacitance of the touch area of the corresponding poin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touch preliminary operation. The virtual touch pointer preliminary image 51 may be displayed as a dotted line as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on the 402 screen, and a variety of images, for example, high transparency, may be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and a specific shape having a blurry shape. In this case, the preliminary image 51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located directly below the user's finger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pecific area of the touch panel 143. In this state, when the user's finger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14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o remove the capacitance change, the preliminary image 51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141.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이 403에서와 같이 터치 패널(143)의 표면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404 화면에서와 같이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를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는 예비 이미지(51)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되 실선으로 표시되거나 투명도가 낮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예비 이미지(51)와 실질 이미지(50)는 그 형태가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방향 및 일정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이 터치된 터치 지점을 중심으로 좌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펜촉 형태로 도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는 터치 지점의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터치 패널(143)과 손가락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예비 이미지(51)로 다시 변환된 후 표시 패널(141)로부터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상기 실질 이미지(50)는 별도의 예비 이미지(51) 변환 과정 없이 터치 해제 순간에 표시 패널(141)로부터 제거될 수 도 있다.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 중에서 터치 유효 영역은 펜촉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 예를 들면 펜촉의 끝단부가 될 수 있으며, 주변 이미지는 터치 유효 영역을 지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별도의 터치 동작과는 무관한 이미지가 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143 as in 403,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on the display panel 141 as in the screen 404. Can support Here,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have a similar shape to the preliminary image 51 but may be displayed in a solid line or in a specific color having low transparency. Alternatively, the preliminary image 51 and the real image 50 may have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appear in a form hav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ize with respect to the point where the user's finger is touched. For example, it may be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n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upper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touch point where the finger is touched.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move in the same mann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uch point, and when the touch is released, the real image 50 is converted back into the preliminary image 51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panel 143 and the finger. The display panel 141 may be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141. Alternatively, the real image 50 may be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141 at the time of touch release without a separate preliminary image 51 conversion process. The touch effective area of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a part of an image of the nib image, for example, the tip of the nib, and the surrounding image only serves to support the touch effective area and is different from a separate touch operation. It can be an unrelated imag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 출력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예비 이미지(51) 또한 상기 실질 이미지(50)와 유사하게 터치 패널(143)의 영역에 따라 방향이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실질 이미지(50)는 펜촉 형태의 이미지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form of a real image 50 of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liminary image 51 may also be changed in direction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touch panel 143 similar to the real image 5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al image 50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image of a pen tip.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143)의 전체 영역을 4개의 영역 즉 1, 2, 3, 4사분면 영역(Ⅰ,Ⅱ,Ⅲ,Ⅳ)으로 구분하고, 해당 사분면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143) 상에서 터치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그에 따른 실질 이미지(50)의 터치 유효 영역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1사분면 영역(Ⅰ)에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를 펜촉의 끝단이 우상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펜촉의 반대측 끝단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가 발생한 지점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obile terminal 100 divides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panel 143 into four areas, that is, 1, 2, 3, and 4 quadrant areas (I, II, III, and IV), and When a touch operation occurs on the touch panel 143 corresponding to the quadrant area, the display may change and display the touch effective area display direction of the real image 50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a touch occurs in the first quadrant region I,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in a form in which the tip of the pen points to the right upper diagonal direction. Here, the opposite end of the nib may be a point where a touch is generated by a user's finger.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2사분면 영역(Ⅱ)에 해당하는 터치 패널(143)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를 펜촉의 끝단이 좌상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며, 3사분면 영역(Ⅲ)에 해당하는 터치 패널(143)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를 펜촉의 끝단이 좌하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4사분면 영역(Ⅳ)에 해당하는 터치 패널(143)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를 펜촉의 끝단이 우하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touch occurs in the touch panel 14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adrant area II,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in a form in which the tip of the pen points to the left upper diagonal direction. When a touch occurs in the touch panel 143 corresponding to the three-quadrant region III,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output in a form in which the tip of the pen points in the lower left diagonal direction. Can be. When the touch occurs in the touch panel 143 corresponding to the quadrant region IV,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ms a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in which the tip of the pen tip points in the lower right diagonal direction. Can be printed as

추가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각 사분면 내에서도 그 위치에 따라 실질 이미지(50) 형태 즉 펜촉의 길이 또는 크기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실질 이미지(50) 표시를 위한 터치가 각 사분면의 중심점에서 발생하는 경우 각 사분면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거나 크기가 큰 형태의 펜촉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adjust the shape or size of the nib of the real image 50 differently according to its position within each quadrant. For example, when the touch for displaying the real image 50 is generated at the center point of each quadrant, the portable terminal 100 has a relatively long length or a larger nib than the case where the touch occurs at the edge of each quadrant. You can output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각 사분면의 경계선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 형태를 양 사분면의 중간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사분면 영역(Ⅰ)과 2사분면 영역(Ⅱ)의 경계선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휴대 단말기(100)는 펜촉이 상방향만을 가리키는 형태의 실질 이미지(50)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펜촉의 끝단이 각 경계선의 위치에 따라 좌방향, 우방향, 하방향만을 가리키는 형태의 실질 이미지(50)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touch occurs in the boundary area of each quadrant,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form of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in the middle of both quadrant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a touch is generated at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quadrant region I and the second quadrant region II may support to output the real image 50 having the pen tip pointing upward. Similarly,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support the tip of the pen tip to output the real image 50 having only a left direction, a right direction, and a down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boundary line.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사분면 방향에 따라 각각 휴대 단말기(100)의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 방향을 펜촉의 끝단이 가리키도록 실질 이미지(50)를 출력하는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설계자의 의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변경에 따라 각 사분면상에서의 펜촉의 끝단을 다른 방향을 가리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사분면 영역(Ⅰ)에 터치가 발생하여 실질 이미지(50)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펜촉의 끝단이 우상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도록 출력할 수 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터치 패널(143)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 영역 또는 좌측 및 우측 영역만을 포함하는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에 따른 실질 이미지(50)의 방향 전환을 적용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영역의 분할에 따라 보다 다양한 방향과 길이 및 크기를 가지도록 실질 이미지(50)의 표시 형태를 변경할 수 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orm of outputting the real image 50 so that the tip of the pen tip points to the edge or the edg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quadrant direction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adjust the tip of the pen tip in each quadrant to point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or the user's setting change. For example, when a touch occurs in the first quadrant region I and the real image 50 is output,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tip of the pen tip to point at the right diagonal side.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the touch panel 143 is divided into four areas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areas including only an upper and lower area or a left and right area based on a center point.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image and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eal image 50 accordingly, and to change the display form of the real image 50 to have more various directions, lengths, and sizes according to division of more region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의 출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도 실질 이미지의 방향이나 크기 및 길이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하 설명의 실질 이미지 방향, 크기 및 길이 변화는 예비 이미지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utput form of a real image 50 of a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size, and length of the real image will be described, but the real image direction, size, and length change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preliminary image.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는 그리는 방향에 따라 각각 실질 이미지(50)의 방향이나 크기 및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터치 패널(143) 상에서 일정 지점을 지시하는 경우 특정한 실질 이미지(50)가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휴대 단말기(1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서 터치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실질 이미지(50)에 대응하는 일정 이미지 예를 들면 펜촉의 끝단이 상측 방향을 가리키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real image 50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ifferent direction, size, and length of the real image 50 depending on a drawing direction. In more detail, when a user indicates a certain point on the touch panel 143, a specific real image 50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For example, when the user's finger generates a touch in the upper region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a cert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al image 50, for example, the tip of the pen tip. It can output in the form which points to this upward direction.

이때 사용자가 터치 방향을 우측으로 지정하여 터치 패널(143)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질 이미지(50)는 펜촉의 끝단이 좌상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방향을 좌측으로 지정하여 터치 패널(143) 상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질 이미지(50)는 펜촉의 끝단이 우상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performs a drag in the right direction on the touch panel 143 by designating the touch direction to the right, the real image 50 may be output in a form in which the tip of the pen tip points in the upper left diagon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drags the touch direction to the left and performs a drag on the touch panel 143 in the left direction, the real image 50 may be output in a form in which the tip of the pen tip points to the right upper diagonal direction.

한편 반대의 경우,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휴대 단말기(1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측 영역에서 터치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실질 이미지(50)에 해당하는 펜촉의 끝단이 하측 방향을 가리키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를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펜촉의 끝단이 좌하측 또는 우하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도록 출력할 수 있으며,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를 발생시키게 되면 펜촉의 끝단이 우하측 또는 좌하측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도록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펜촉의 끝단 형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즉 일정 방향으로 드래그 발생 시 펜촉의 끝단 방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pposite case, that is, when the user's finger generates a touch in the lower region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rtable terminal 100 has a lower end of the pen tip corresponding to the real image 50. It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 direction. Thereafter, when the drag is generated toward the user's left s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tip of the pen tip to point to the left lower side or the lower right diagonal direction. It can be output to point to the side or bottom left diagonal direction. And the tip shape of the nib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at is, when the drag occur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tip direction of the pen tip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즉, 상기 예비 이미지 및 상기 실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예비 이미지 및 상기 실질 이미지의 방향, 길이,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예비 이미지 및 상기 실질 이미지 출력을 위한 터치 예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이 발생한 터치 패널 상의 위치 또는 상기 터치 지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이미지 및 상기 실질 이미지의 방향, 길이,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치 물체의 이동 방향 즉 터치 패널(143)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의 이동 방향 또는 터치 패널(143)과 접촉된 상태에서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That is, at least one of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length, and a size of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and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or a touch operation for outputting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It may be outpu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mage or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In addition,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length, and a size of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may b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touch object,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panel 143 is mo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143. You can outpu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rag direction of.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터치 포인터의 사용자 기능 적용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r function application exampl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그림 그리기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림 그리기 사용자 기능이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 기능이거나 사용자가 가상 터치 포인터 적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예비 동작 및 터치 동작에 따라 예비 이미지 및 실질 이미지를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터치 패널(143)의 일정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실질 이미지(50)에 해당하는 펜촉을 해당 터치 지점을 중심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펜촉 형태의 실질 이미지(50)는 펜촉의 끝단에 해당하는 터치 유효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 예를 들면 선 그리기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user may control to activate a drawing function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is case, when the drawing user function is a function of applying a virtual touch pointer or the user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applying a virtual touch pointer,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reliminary image and a real image according to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and a touch operation. 141 can be output. In more detail, when the user touches a certain point of the touch panel 143,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utput a nib corresponding to the real image 50 with respect to the touch point. In this case, the real image 50 in the form of the nib may support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function, for example, a line drawing in the touch effective area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nib.

사용자가 상기 펜촉 형태의 실질 이미지(50)를 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형태의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 펜촉의 끝단을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해당 그림에 대하여 보다 세밀한 그림 그리기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실질 이미지(50)가 출력된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을 확대 표시 영역(70)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확대 표시 영역(70)은 실질 이미지(50)가 출력되는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이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대 표시 영역(70)은 예비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이 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패널(143)의 표면에 일정 거리만큼 손가락을 가까이 가져가서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패널(143)이 제1 일정 용량 변화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비 이미지를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디폴트 모드 또는 사용자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예비 이미지가 출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을 확대 표시 영역(70)으로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그림 그리기 기능에서 보다 면밀한 선 잇기 동작이나 세밀한 그리기 동작 등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f a user wants to draw a picture of "tree" shape as shown by operating the real image 50 in the form of the nib, a picture as shown may be drawn using the tip of the nib. In this case, when the user requests a detailed drawing of the corresponding pictur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signate a predetermined area as the enlarged display area 70 based on the area where the real image 50 is output. The enlarged display area 70 may be a predetermined area centered on the area where the real image 50 is output. In addition, a predetermined area may be selected for the enlarged display area 70 based on the area where the preliminary image is output. That is, when the user moves the finger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14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touch panel 143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detects the first predetermined capacitance chang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preliminary image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41.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area as the enlarged display area 70 based on a point where the preliminary image is output according to a default mode or a user setting mode. Then, the user will be able to perform more detailed line joining operations or finer drawing operations in the drawing functio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그림 그리기 기능에서 현재 자신이 그리고 있는 부분이 어느 부분을 그리고 있는지를 보다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화면 일측에 전체 보기 화면 영역(6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체 보기 화면 영역(60)은 투명도를 가지며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가 줌인 기능 등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을 보다 세밀하게 묘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전체 그림을 보여줌으로써 전체적인 그림에 대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전체 보기 화면 영역(60) 출력을 위하여 현재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을 다운 스케일링(Down Scaling)하고, 다운 스케일링된 화면을 상기 전체 보기 화면 영역(60)으로 표시 패널(141)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entire view screen area 60 on one side of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determine which part of the drawing function he or she is drawing. The entire view screen area 60 may be output with transparency. Such a function may provide an indicator of the overall picture by showing the entire picture to the user when the user wants to describe a specific area in more detail by using a zoom-in function. The mobile terminal 100 down scales the screen currently being output to the display panel 141 to output the full view screen area 60, and displays the down scaled screen in the full view screen area 60. ) To be output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panel 141.

한편 상기 확대 표시 영역(70) 및 전체 보기 화면 영역(60)의 출력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표시 패널(141)에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제스처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0)를 일정 횟수 이상 흔들거나 일정 각도 이상 기울이거나 일정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특정 메뉴를 활성화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상술한 확대 표시 영역(70) 및 전체 보기 화면 영역(60)을 적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일정 제스처 발생 시 상기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가상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50) 또는 예비 이미지(51)를 표시 패널(141)로부터 제거할 수 도 있다.Meanwhile, outputs of the enlarged display area 70 and the entire view screen area 60 may be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141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when the user shakes a certain gestur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by a certain number of times, inclines the predetermined angle, generates a certain touch event, or activates a specific menu,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the above-mentioned enlarged display area. 70 and the entire view screen area 60 may not be applied.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move the real image 50 or the preliminary image 51 of the virtual pointer output to the display panel 141 from the display panel 141 when a certain gesture occurs.

그리고 상기 확대 표시 영역(70)의 적용은 예비 이미지 출력 시에만 적용하고 실질 이미지(50) 출력 시에는 표시 패널(141)에서 제거할 수 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를 활용하여 그림 그리기의 시작 지점을 명확하게 선정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 선정 후 터치에 따른 실질 이미지(50) 적용 시에는 전체 그림을 확인하면서 그림 그리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 enlarged display area 70 may be applied only when the preliminary image is output and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141 when the real image 50 is output. Then, the user can clearly select the starting point of the drawing by using the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When selecting the point, the user performs drawing while checking the entire picture when applying the real image 50 according to the touch. You can do it.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그림 그리기 기능을 기준으로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와 실질 이미지 출력과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 및 실질 이미지 출력은 메뉴 화면, 대기 화면, 파일 검색 화면, 메시지 작성 시 키맵 출력 화면, 파일 편집 화면 등 다양한 화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utput and utilization of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based on the drawing function ar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output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may be applied to various screens such as a menu screen, a standby screen, a file search screen, a keymap output screen when creating a message, and a file editing scree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가상 터치 포인터 출력 기능은 사용자가 적은 표시 영역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보다 다양한 작업을 손쉽게 처리하면서 주변 환경 예를 들면 손가림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도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easily process various tasks on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small display area, for example, a hand. It can be supported for convenient opera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occlusion.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 still image / video of a subject, and data by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ovision form thereof. Configurations not mentioned above may be included, such as an interface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Internet network to perform an Internet function, and a digital broadcasting module for perform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nd playback function. These components may not be enumerated because all variations vary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trend of digital devices, but the mobile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components equivalent to those of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cluded from the above configuration or replaced by another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을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type of device supporting a touch panel.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perating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Digital communication play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usic player (e.g. MP3 player), mobile game terminal, smart phone, notebook and handheld PC, and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It may include an application device.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s such,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according to equival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50 : 가상 터치 포인터 실질 이미지
51 : 가상 터치 포인터 예비 이미지
60 : 전체 보기 화면 영역 70 : 확대 표시 영역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주파수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터치스크린 141 : 표시부
143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61 : 터치 이벤트 수집부
163 : 가상 터치 포인터 출력부 165 : 기능 수행부
50: Virtual Touch Pointer Real Image
51: Virtual Touch Pointer Spare Image
60: full view screen area 70: enlarged display area
100: portable terminal 110: radio frequency unit
120: input unit 130: audio processing unit
140: touch screen 141: display unit
143: touch panel 150: storage unit
160: control unit 161: touch event collection unit
163: virtual touch pointer output unit 165: function execution unit

Claims (19)

터치 물체의 접근에 따른 터치 예비 동작 및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의 일정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방향, 길이 및 크기를 가지며 출력되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가 출력되며, 상기 터치 물체와 상기 터치 패널 사이의 이격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터치 예비 동작에 따른 터치 패널 상의 지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방향, 길이 및 크기를 가지며 출력되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가 출력되는 표시 패널;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 및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지시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기능 처리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A touch panel configured to sense at least one of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and a tou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the touch object;
When a certain point of the touch panel is touched, a real image of a virtual touch pointer that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length, and size is output based o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int, and the touch object and the touch pan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display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 length and a size and outputting a preliminary image of a virtual touch pointer based on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int on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touch preliminary operation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user function processing of an area indicated by at least one of a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a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질 이미지의 방향, 길이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패널 상의 터치 지점 또는 상기 터치 이후 드래그 방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length, and a size of the real image to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touch point on the touch panel or a dragging direction after the tou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와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는 서로 구별되데 유사한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a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output in a similar for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이미지는
상기 실질 이미지와 구별되도록 점선으로 표시되거나 일정한 투명도를 가지며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liminary image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on, characterized by being displayed with a dotted line or having a certain transparency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real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이미지는
상기 터치 패널의 특정 지점에 위치한 터치 영역의 정전용량 변화가 일정 값 이상 변화한 지점을 중심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liminary image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touch area located at a specific point of the touch panel is output based on a point at which a change occur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이미지의 방향, 길이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한 터치 패널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length, and a size of the preliminary image to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display panel region corresponding to a touch panel in which the capacitance change occurs.
제1항에 있어서,
근접 센싱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근접 센서의 근접 센싱에 따라 터치 물체가 상기 터치 패널의 일정 지점 상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지점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와 구별되는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for performing proximity sensing,
The display panel
Outputting a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distinguished from a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when a touch object is positioned on a point of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proximity sensing of the proximity sensor;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비 이미지의 방향, 길이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근접 센서가 센싱한 지점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length, and a size of the preliminary image to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display panel area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the proximity sensor sen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질 이미지 및 상기 예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표시 패널의 영역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한 확대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enlarged display area on which the at least one of the real image and the preliminary image is output, the enlarged display area displayed by enlarging a predetermined range area on the display panel. Supported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질 이미지 및 상기 예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경우 표시 패널 상에 출력 중인 전체 화면을 일정 사이즈로 다운 스케일링한 화면을 보여주는 전체 보기 화면 영역을 상기 표시 패널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at least one of the real image and the preliminary image is output, the entire view screen area showing a screen down-scaled to a predetermined size of the entire screen being output on the display panel is controlled to output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panel. A mobile terminal that supports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물체와 상기 터치 패널과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 형태를 변화시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hange the preliminary image form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to output the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object and the touch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실질 이미지 및 상기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의 방향, 길이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변화시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controll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length and size of the real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and the preliminary image of the virtual touch poin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n the touch panel. Mobile terminal.
휴대 단말기가 터치 물체에 대한 근접 센싱을 수행하는 센싱 과정;
상기 근접 센싱 결과 상기 터치 물체와 터치 패널과의 이격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인 터치 예비 동작이 센싱된 경우 일정 방향, 길이 및 크기를 가지는 가상 터치 포인터의 예비 이미지를 터치 패널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 영역에 출력하는 예비 이미지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A sensing process of performing proximity sensing on the touch object by the mobile terminal;
As a result of the proximity sensing, when a touch preliminary operation in which a distance between the touch object and the touch panel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sensed, a preliminary image of a virtual touch pointer hav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length, and size corresponds to a position on a touch panel. And a preliminary image outputting step of outputting to the reg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물체가 상기 터치 패널에 터치되는 터치 동작이 센싱된 경우 상기 예비 이미지를 상기 표시 패널에서 제거하고 상기 예비 이미지와 구별되는 실질 이미지를 터치 패널 상의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출력하는 실질 이미지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n a touch operation in which the touch object touches the touch panel is sensed, the preliminary image is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and a real image distinguished from the preliminary image is output on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a touch point on the touch panel. And a virtual image output proces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이미지 출력 과정 및 상기 실질 이미지 출력 과정은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은
상기 예비 이미지 및 상기 실질 이미지의 방향, 길이,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패널 상의 위치 또는 상기 터치 지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출력하는 과정;
상기 예비 이미지 및 상기 실질 이미지의 방향, 길이,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다르게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t least one of the preliminary image output process and the real image output process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length, and a size of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according to a position on the touch panel or a position of the touch point;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 length, and a size of the preliminary image and the real image differently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touch object;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t least one of.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 또는 상기 실질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중심으로 인접된 일정 영역을 확대 표시하여 출력하는 확대 표시 영역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magnified display area output process of enlarged and displaying an adjacent predetermined area around at least one of the area where the preliminary image is output or the area where the real image is output. Wa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이미지 또는 상기 실질 이미지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출력되고 있는 전체 화면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과정;
상기 다운 스케일링된 전체 화면을 상기 표시 패널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전체 보기 화면 영역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Downscaling an entire screen output on the display panel when the preliminary image or the real image is output;
And a full view screen area outputting step of outputting the down-scaled full screen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pan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이미지 출력 과정은
상기 터치 물체와 상기 터치 패널과의 거리에 따라 출력 형태가 변화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eliminary image output process
And an output form is change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touch object and the touch pane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과정은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물체와의 이격거리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예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을 구분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다수개의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패널 상의 상기 터치 물체의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터치 예비 동작 또는 터치 동작을 구분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nsing process
Classifying the touch preliminary operation or the touch operation based on a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touch panel and the touch object;
Dividing the touch preliminary operation or touch operation by sensing a position of the touch object on the touch panel based on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Virtual touch pointer operat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t least one of.
KR1020110000078A 2011-01-03 2011-01-03 Providing method of virtual touch pointe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200788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078A KR20120078816A (en) 2011-01-03 2011-01-03 Providing method of virtual touch pointe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078A KR20120078816A (en) 2011-01-03 2011-01-03 Providing method of virtual touch pointe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816A true KR20120078816A (en) 2012-07-11

Family

ID=4671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078A KR20120078816A (en) 2011-01-03 2011-01-03 Providing method of virtual touch pointer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88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9209B2 (en) 2016-03-25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utputting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9209B2 (en) 2016-03-25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utputting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3098B2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812145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KR102091028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s interaction using multi hovering gesture
KR102020345B1 (e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1019952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i of touch device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20150077362A1 (en) Terminal with fingerprint reader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through fingerprint reader
KR1019748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EP2068235A2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input method,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10073585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CN111443842B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KR20160028338A (en) Potable terminal device comprisings bend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40017429A (en) Method of screen oper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of
US20140055398A1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KR1019293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keypad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KR20140126949A (en) Apparatus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8082657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icon, and terminal
KR20140125671A (en) Controlling Method fo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40019530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s interaction using mutil touch finger gesture
KR101559091B1 (en) Potable terminal device comprisings bend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3433713B1 (en) Selecting first digital input behavior based on presence of a second, concurrent, input
KR101920864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of image using touch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