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615A -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615A
KR20120076615A KR1020100124106A KR20100124106A KR20120076615A KR 20120076615 A KR20120076615 A KR 20120076615A KR 1020100124106 A KR1020100124106 A KR 1020100124106A KR 20100124106 A KR20100124106 A KR 20100124106A KR 20120076615 A KR20120076615 A KR 20120076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care
user
server
biometric informatio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이종립
김세운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615A/ko
Priority to US13/301,531 priority patent/US20120143014A1/en
Priority to CN2011104124122A priority patent/CN102542518A/zh
Publication of KR2012007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urgery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을 제공하는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을 제공한다. 건강관리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건강관리항목을 산출하는 서버, 건강관리항목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HEALTH CARE SYSTEM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 SAME}
환자용 단말기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헬스케어 또는 유헬스케어(U-health care)라 불리는 원격 의료서비스는 환자들이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가정에서 다양한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말한다.
원격 의료서비스에 사용되는 환자용 단말기인 게이트웨이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다양한 측정기기를 통해 수집하고 이를 병원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홈헬스케어는 환자로부터 측정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측정하고 해당데이터들로부터 환자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환자의 관리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방법은 질병의 종류와 상관없이 환자의 모든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취합하여 게이트웨이로 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환자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소수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불필요한 정보의 측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측정방법이 침습적이거나 구속적인 경우 환자가 큰 불편과 번거로움을 감수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과 번거로움들은 환자의 건강관리의 의욕을 감퇴시킬 수 있고 나아가 환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중도에 그만두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을 제공하는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강관리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기초로 건강관리항목을 산출하는 서버;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병원서버, 준 의료기관 서버,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 및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 의료기관 서버는 스마트케어센터 서버, 약국서버 및 보건소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의료진이 사용자를 진단하고 내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신상정보, 진단정보, 건강관리항목, 생체정보측정자료 및 생체정보측정자료의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은 Wifi, 유무선랜, CDMA, 와이브로,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및 공중교환전화망(PSTN)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건강관리항목이 수정될 경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항목은 사용자가 측정해야할 생체정보,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횟수,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시간대,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방법, 복용약물의 종류, 상기 약물의 복용 횟수, 상기 약물의 복용 시간대, 상기 약물의 복용방법, 식단표 및 사용자의 운동계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셋톱박스형, 스마트폰형, 휴대폰형, 와이브로 단말형, Wifi 무선공유기형, PC형, IPTV형, 생체정보측정센서 일체형 및 의료기기 일체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의 사용법, 데이터전송방법, 화상통화 및 설문조사를 포함하는 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는 혈압계, 혈당계, 혈액검사기, 전자청진기, 호기량분석기(peak flow meter), 운동량계, 식단분석기, 생활패턴분석기, 화상카메라, 체중계, 체지방분석계, 의료영상기기 및 뇨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는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Wifi, 유무선랜, Serial, Zigbee, RF 및 USB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건강관리방법은 건강관리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은,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인 게이트웨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생체정보측정센서;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기초로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기초로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주기가 도래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가 도래했으면, 사용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최대의 측정항목을 포함하는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사용자의 접속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속정보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접속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건강관리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에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정보측정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를 측정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항목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1회의 측정이 요구되는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1회 측정항목의 측정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회 측정항목의 측정이 이루어졌으면, 상기 1회 측정항목을 건강관리항목에서 삭제하여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다음 접속 시,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다음 접속 시,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삭제된 1회 측정항목을 포함하는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를 측정하면,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생체정보를 다시 측정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를 다시 측정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를 다시 측정할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의 재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측정오류가 발생한 생체정보에 대한 재측정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질병이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을 제공함으로써, 생체정보획득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불편이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질병이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들이 하기 바람직한 예시적 구체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들은 많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언급한 예시적 구체예들로만 한정되어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센서(1),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질병이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을 산출하는 서버(3) 및 서버(3)로부터 건강관리항목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2)를 포함한다.
생체정보측정센서(1)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로, 혈압계, 혈당계, 혈액검사기, 전자청진기, 호기량분석기(peak flow meter), 운동량계, 식단분석기, 생활패턴분석기, 화상카메라, 체중계, 체지방분석계, 의료영상기기 및 뇨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생체정보측정센서(1)를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측정하면, 생체정보측정센서(1)는 측정된 생체정보를 게이트웨이(2)에 전송한다.
 
게이트웨이(2)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2)란, 원격 건강관리시스템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용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게이트웨이(2)는 의료진이 사용자를 진단하고 내린 진단정보를 토대로 작성한 건강관리항목을 포함하는 건강관리서비스를 병원서버 등을 통해 전송받아 사용자, 예를 들면 환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정에서 건강관리서비스에 따라 생체정보측정센서(1)를 이용하여 각종 생체정보를 측정하면, 그 측정자료를 생체정보측정센서(1)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서버로 전송하여 의료진의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란 게이트웨이(2)의 사용자로 주로 신체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이에 해당하나 신체질환이 없더라도 건강관리를 위해 게이트웨이(2)를 사용하여 원격 건강관리서비스를 받는 사용자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2)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IP TV형, cable TV형, 셋톱박스형, 스마트폰형, 휴대폰형, 와이브로 단말형, Wifi 무선공유기형, tablet PC를 포함하는 PC형, 생체정보측정센서 일체형 및 의료기기 일체형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건강관리항목이란, 의료진이 사용자를 진단하고 내린 진단정보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항목들을 의미한다.
건강관리항목은 사용자가 가정에서 측정해야할 생체정보의 종류, 생체정보의 측정횟수, 생체정보의 측정시간대, 생체정보 측정센서의 이용법을 포함한 생체정보의 측정방법, 사용자가 건강관리 중에 복용해야할 약물의 종류, 약물의 복용 횟수, 약물의 복용 시간대, 상기 약물의 복용방법, 권장하는 음식목록과 섭취를 자제해야할 음식목록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식단표 및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계획 등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2)의 통신부는 서버(3)로부터 건강관리항목을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의료진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추가적인 지시사항 또는 권고사항을 서버(3)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서버(3)와 게이트웨이(2) 통신부 사이의 통신은 Wifi, CDMA, 유무선랜, 와이브로,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공중교환전화망(PSTN)의 통신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게이트웨이의 통신부는 사용자가 가정에서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측정센서(1)를 이용하여 측정한 각종 생체정보 측정자료를 생체정보측정센서(1)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의 통신부와 생체정보측정센서(1) 사이의 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Wifi, 유무선랜, Zigbee, RF, Serial 및 USB의 통신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의 표시부는 건강관리항목에 따른 사용자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정보와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종 입력버튼을 손으로 직접 터치함으로써 외부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이렇게 입력된 외부 정보에 따라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스크린방식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의 제어부는 통신부가 수신한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건강관리항목에 따른 관리정보들을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마이컴으로서, 사용자의 신상정보,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 서버로부터 전송된 건강관리항목, 건강관리항목의 진행상황, 생체정보측정센서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생체정보 측정자료, 사용자의 생체정보 측정자료의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변화추이,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추가적인 지시사항 또는 권고사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3)는 건강관리시스템이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게이트웨이(2)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같은 사용자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의료진에게 전달함으로써, 의료진이 원격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신상정보, 의료진이 사용자를 진단하고 내린 진단정보, 진단정보를 기초로 작성한 건강관리항목, 생체정보측정자료 및 생체정보측정자료의 분석결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3)는 건강관리시스템의 구성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서버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관리서비스의 제공 주체에 따라 서버는 병원서버, 사용자와 병원을 연결해줄 수 있는 스마트케어센터 또는 헬스케어센터에서 운영하는 관리서버, 약국에서 운영하는 서버,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서버, 국민건강보험공단(NHIC,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에서 운영하는 서버 또는 기업 등에서 제공하는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병원서버와 스마트케어센터 또는 헬스케어센터가 운영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건강관리시스템의 서버 구성의 일 예로 들어 서버의 역할을 설명한다.
우선 병원서버는 의료진이 사용자를 진단하고 작성한 사용자 진단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병원서버에서 관리서버로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전송하면, 관리서버는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건강관리항목을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산출된 건강관리항목을 병원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병원서버가 관리서버로부터 건강관리항목을 수신하면 이를 의료진에게 전달하여 의료진으로 하여금 관리서버에서 산출한 건강관리항목이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게끔 할 수 있다.
의료진이 건강관리항목이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수정하지 않거나,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보다 적합하도록 수정하면, 병원서버는 의료진의 확인을 거친 건강관리항목을 수신하여 이를 다시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병원서버로부터 건강관리항목을 수신하면 건강관리항목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생체정보측정센서, 게이트웨이 및 서버를 포함하는 전술한 건강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건강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은 서버에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건강관리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가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건강관리항목을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 및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건강관리항목을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를 순서도를 통해 알 수 있다.
우선, 서버는 의료진이 복수의 사용자를 진단하여 내린 각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수신한다(10). 서버는 사용자 진단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진단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들을 도출한다(11).
서버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데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진료에 임하는 의료진이 진단이나 치료방침을 결정하거나 판단할 때, 이에 필요한 기반지식을 제공하여 의료진이 적절한 추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들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즉 규칙화된 의료지식을 진료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단, 수술, 활력증후, 처방, 검사결과 등과 같은 모든 임상정보와 연계하여 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의료진에게 의학적 판단을 추천하거나 경고함으로써 진료행위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키고 의료사고를 최소화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서버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최소한의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것 외에 사용자가 가정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관리항목을 포함하는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미리 정해진 주기가 도래할 때(예를 들면, 6개월 또는 1년 간격의 주기)마다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자신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가정에서 측정할 수 있는 최대한의 관리항목을 포함하는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버는 미리 정해진 주기, 예를 들면 6개월 또는 1년 간격의 주기가 도래했는지를 판단한다. 서버는 미리 정해진 주기가 도래했다고 판단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종합적인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최대의 측정항목을 포함하는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건강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 주기적으로 병원의 종합검진에 준하는 종합적인 건강관리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강관리시스템이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를 받기 위해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가정에 보유하고 있는 게이트웨이(2)에 접속한다(12). 게이트웨이(2) 접속은 사용자 고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게이트웨이(2)에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게이트웨이(2)에 접속하면, 게이트웨이(2)는 사용자의 접속정보를 서버(3)에 전송한다(13). 서버(3)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접속정보를 게이트웨이(2)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계정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한다(14).
서버(3)는 게이트웨이(2)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접속정보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건강관리시스템으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신호를 게이트웨이(2)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한다(15). 건강관리시스템으로의 접속이 허용되면 사용자는 건강관리시스템이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버(3)는 게이트웨이(2)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접속정보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게이트웨이(2)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시스템으로의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16). 사용자는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다시 게이트웨이에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가 건강관리시스템에 재접속하게 되면 전술한 알고리즘이 다시 적용된다.
사용자가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면 게이트웨이(2)는 서버(3)로부터 건강관리항목을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전술한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예정된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생체정보측정센서(1)를 이용하여 건강관리항목에 예정된 생체정보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최적화된 건강광리항목을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 및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측정센서(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를 순서도를 통해 알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관리시스템으로의 접속이 허용되면, 서버는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정보를 서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매칭시켜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건강관리항목을 선택하고(17), 이를 게이트웨이에 전송한다(18).
게이트웨이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건강관리항목을 표시부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어떤 건강관리를 수행해야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19). 게이트웨이는 건강관리항목 외에도 사용자가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원활한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생체정보측정센서의 사용법, 각종 측정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의료진과 화상통화하는 방법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질문 또는 건강관리시스템을 통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설문조사를 포함하는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게이트웨이에 표시된 건강관리항목의 지시에 따라 생체정보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생체정보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20).
사용자의 생체정보 측정이 완료되면, 생체정보의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즉 생체정보측정에 오류가 존재하지는 않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생체정보측정센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생체정보측정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한 게이트웨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생체정보를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의료진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생체정보측정의 오류판단이 생체정보측정센서 또는 게이트웨이에서 이루어질 경우, 생체정보측정센서 또는 게이트웨이는 측정된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21).
여기서 미리 정해진 범위란, 해당 생체정보가 가질 수 있는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생체정보가 가질 수 있는 최소값과 최대값이란, 사용자가 정상상태 또는 질병을 앓고 있는 상태에서 각각 가질 수 있는 생체정보의 범위를 합했을 때 그 합한 범위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생체정보가 가질 수 있는 최소값과 최대값은 일반적인 의학지식과 축적된 임상자료들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서 측정된 생체정보 값은 사용자가 정상상태 또는 질병을 앓고 있는 상태에서 가질 수 없는 값에 해당하므로,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서 측정될 경우, 생체정보측정센서 또는 게이트웨이는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22).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생체정보측정센서 또는 게이트웨이는 생체정보측정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한다(23). 경고음 또는 음성신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생체정보측정에 오류가 발생하였다는 문구를 게이트웨이의 표시부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면, 오류가 발생한 해당 생체정보를 다시 측정할 것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24). 음성신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권고의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게이트웨이의 표시부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정보의 재측정이 이루어지고, 재측정된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포함될 경우, 그 생체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27). 서버로의 전송은 생체정보측정센서에서 게이트웨이로 생체정보가 전송되면 게이트웨이에서 서버로 그 생체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는 생체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한다(28). 즉 생체정보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변화를 파악하고, 그 변화정도에 따라 새로운 측정항목을 추가하거나 측정할 필요가 없어진 항목을 제거하는 등의 수정을 통해 생체정보측정 후의 변화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한 보다 최적화된 건강관리항목을 산출하는 것이다.
서버는 사용자가 다음에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였을 때, 사용자의 최근의 건강상태에 보다 적합하게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자신의 건강상태에 보다 최적화된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서버에서 생체정보를 기초로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는 단계(28)를 일 예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도 4 참조).
건강관리항목 중에 미리 정해진 기간(예를 들면 하루 또는 일주일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동안 1회의 측정만 요구되는 항목이 있을 경우,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통해 1회 측정항목의 측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29, 30). 확인결과, 1회 측정항목의 측정이 이루어졌을 경우, 서버는 1회 측정항목을 건강관리항목으로부터 삭제하여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한다(31). 그리고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사용자가 건강관리시스템에 재접속할 경우(32) 1회 측정항목이 삭제된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게이트웨이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33).
이렇게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사용자가 건강관리시스템에 재접속하였을 때, 1회 측정항목이 삭제된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불필요한 중복측정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소한의 관리항목으로 구성된 최적화된 건강관리항목을 통해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재접속이 전술한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된 후 이루어지면(34), 서버는 삭제한 1회 측정항목을 다시 건강관리항목에 포함시켜 이를 게이트웨이에 전송함으로써 다시 1회 측정항목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35). 매일 또는 일주일에 한 번씩 측정을 해야 할 항목이 건강관리항목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알고리즘으로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함으로써 중복없는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생체정보의 재측정 요구에 따라 생체정보의 재측정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돌아가면, 사용자의 생체정보 재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건강관리항목 상에 측정에 오류가 발생한 생체정보의 재측정 항목을 추가한다(26). 즉, 사용자가 생체정보 재측정의 권고를 무시하거나 권고를 확인하지 못하여 해당 생체정보를 재측정하지 못한 경우, 게이트웨이는 건강관리항목에 해당 생체정보의 재측정 항목을 추가하여 그 건강관리항목을 저장한다. 또는 게이트웨이는 해당 생체정보의 재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건강관리항목 상에 해당 생체정보의 재측정 항목을 추가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강관리항목에 생체정보의 재측정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생체정보의 재측정없이 건강관리시스템이 종료된 경우, 다시 사용자가 접속하였을 때 해당 생체정보의 재측정을 유도함으로써 정확한 건강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설명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서 이해되어 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1 : 생체정보측정센서 2 : 게이트웨이
3 : 서버

Claims (35)

  1.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기초로 건강관리항목을 산출하는 서버;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을 포함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통해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산출하는 건강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병원서버, 준 의료기관 서버,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 및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을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준 의료기관 서버는 스마트케어센터 서버, 약국서버 및 보건소서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의료진이 사용자를 진단하고 내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신상정보, 진단정보, 건강관리항목, 생체정보측정자료 및 생체정보측정자료의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건강관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은 Wifi, 유무선랜, CDMA, 와이브로,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및 공중교환전화망(PSTN)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건강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건강관리항목이 수정될 경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저장하는 건강관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건강관리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은 사용자가 측정해야할 생체정보,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횟수,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시간대,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방법, 복용약물의 종류, 상기 약물의 복용 횟수, 상기 약물의 복용 시간대, 상기 약물의 복용방법, 식단표 및 사용자의 운동계획을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인 건강관리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건강관리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셋톱박스형, 스마트폰형, 휴대폰형, 와이브로 단말형, Wifi 무선공유기형, PC형, IPTV형, 생체정보측정센서 일체형 및 의료기기 일체형을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의 사용법, 데이터전송방법, 화상통화 및 설문조사를 포함하는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는 혈압계, 혈당계, 혈액검사기, 전자청진기, 호기량분석기(peak flow meter), 운동량계, 식단분석기, 생활패턴분석기, 화상카메라, 체중계, 체지방분석계, 의료영상기기 및 뇨분석기를 포함하는 건강관리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는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건강관리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의 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Wifi, 유무선랜, Serial, Zigbee, RF 및 USB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건강관리시스템.
  20. 건강관리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은,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단말인 게이트웨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생체정보측정센서;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기초로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진단정보를 기초로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적합한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주기가 도래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가 도래했으면, 사용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최대의 측정항목을 포함하는 건강관리항목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사용자의 접속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속정보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접속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건강관리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측정센서에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정보측정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를 측정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항목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1회의 측정이 요구되는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1회 측정항목의 측정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회 측정항목의 측정이 이루어졌으면, 상기 1회 측정항목을 건강관리항목에서 삭제하여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강관리항목을 수정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다음 접속 시,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다음 접속 시, 상기 수정된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건강관리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삭제된 1회 측정항목을 포함하는 건강관리항목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건강관리방법.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따라 생체정보를 측정하면,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생체정보를 다시 측정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다시 측정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정보의 측정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정보를 다시 측정할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의 재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건강관리항목에 측정오류가 발생한 생체정보에 대한 재측정 항목을 추가하는 건강관리방법.
KR1020100124106A 2010-12-07 2010-12-07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20076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106A KR20120076615A (ko) 2010-12-07 2010-12-07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US13/301,531 US20120143014A1 (en) 2010-12-07 2011-11-21 Healthcare system and healthcare method
CN2011104124122A CN102542518A (zh) 2010-12-07 2011-11-30 保健系统和保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106A KR20120076615A (ko) 2010-12-07 2010-12-07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615A true KR20120076615A (ko) 2012-07-09

Family

ID=4616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106A KR20120076615A (ko) 2010-12-07 2010-12-07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43014A1 (ko)
KR (1) KR20120076615A (ko)
CN (1) CN102542518A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644A1 (en) * 2012-10-15 2014-04-24 ClinicalBox, Inc. Epoch of care-centric healthcare system
KR101417734B1 (ko) * 2014-01-07 2014-07-10 주식회사 에스코넥 3g 기반 모바일 요화학 분석시스템
WO2014159283A1 (en) * 2013-03-13 2014-10-02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9069887B2 (en) 2000-05-18 2015-06-30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9307907B2 (en) 2004-08-25 2016-04-12 CareFusion 303,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KR20160070029A (ko) * 2014-12-09 2016-06-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9427520B2 (en) 2005-02-11 2016-08-30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600633B2 (en) 2000-05-18 2017-03-21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WO2017065359A1 (ko) * 2015-10-13 2017-04-20 디노플러스(주)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US9741001B2 (en) 2000-05-18 2017-08-22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KR20180023350A (ko) * 2016-08-25 2018-03-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비만관리 시스템
US10029047B2 (en) 2013-03-13 2018-07-24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062457B2 (en) 2012-07-26 2018-08-28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notifications for adverse patient events
US10353856B2 (en) 2011-03-17 2019-07-16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430554B2 (en) 2013-05-23 2019-10-01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preparation queue
KR102029342B1 (ko) * 2018-03-20 2019-11-08 손영욱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US10867265B2 (en) 2013-03-13 2020-12-15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11087873B2 (en) 2000-05-18 2021-08-10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11182728B2 (en) 2013-01-30 2021-11-23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workflow management
KR102511579B1 (ko) 2022-03-22 2023-03-21 주식회사 지나웍스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467A (ko) *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혈압측정장치, 게이트웨이,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690578B1 (en) 2013-01-03 2014-04-08 Mark E. Nusbaum Mobile computing weight, diet, nutrition, and exercise tracking system with enhanced feedback and data acquisition functionality
US10404784B2 (en) * 2013-02-22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CN103169451B (zh) * 2013-03-26 2015-08-19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一种疾病诊断方法、装置及机顶盒
CN103902846A (zh) * 2014-04-23 2014-07-02 武汉久乐科技有限公司 人体管理服务系统及方法
CN106137123A (zh) * 2015-04-07 2016-11-23 青岛智德安信息科技有限公司 个人口腔健康诊疗系统
CN105049525A (zh) * 2015-08-19 2015-11-11 武汉卡普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远程医疗健康管理系统
CN107909782A (zh) * 2017-12-15 2018-04-13 长沙志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STM32和ZigBee便携医院呼救系统
EP4035171A1 (en) * 2019-09-27 2022-08-03 CardioRenal Overall loop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208A (en) * 1996-03-01 1998-08-11 Goltra; Peter S. Creating and using protocols to create and review a patient chart
TW587929B (en) * 2000-05-31 2004-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dical checkup network system
US20020188467A1 (en) * 2001-05-02 2002-12-12 Louis Eke Medical virtual resource network
US20030125983A1 (en) * 2001-12-27 2003-07-03 Flack John M.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atient healthcare and evaluating patient kidney function
US8738396B2 (en) * 2002-04-19 2014-05-27 Greenway Medic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medical software system with embedded transcription functionality
US20090146822A1 (en) * 2007-11-13 2009-06-11 Elevate Technologies Pty Ltd. Telemedicine Application for Remote Monitoring, Viewing and Updating of Patient Records
CN101520815B (zh) * 2008-07-05 2013-09-25 杭州义盛祥通信技术有限公司 个人运动管理系统及管理方法
US20100324937A1 (en) * 2009-06-23 2010-12-23 Sriyapareddy Priyanka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ustomized medication charts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0633B2 (en) 2000-05-18 2017-03-21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US11823791B2 (en) 2000-05-18 2023-11-21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11087873B2 (en) 2000-05-18 2021-08-10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9069887B2 (en) 2000-05-18 2015-06-30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275571B2 (en) 2000-05-18 2019-04-30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US9741001B2 (en) 2000-05-18 2017-08-22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10064579B2 (en) 2004-08-25 2018-09-04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US9307907B2 (en) 2004-08-25 2016-04-12 CareFusion 303,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US10668211B2 (en) 2005-02-11 2020-06-02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11590281B2 (en) 2005-02-11 2023-02-28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981085B2 (en) 2005-02-11 2018-05-29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427520B2 (en) 2005-02-11 2016-08-30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11734222B2 (en) 2011-03-17 2023-08-22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1366781B2 (en) 2011-03-17 2022-06-21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353856B2 (en) 2011-03-17 2019-07-16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062457B2 (en) 2012-07-26 2018-08-28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notifications for adverse patient events
WO2014062644A1 (en) * 2012-10-15 2014-04-24 ClinicalBox, Inc. Epoch of care-centric healthcare system
US11182728B2 (en) 2013-01-30 2021-11-23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workflow management
WO2014159283A1 (en) * 2013-03-13 2014-10-02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10867265B2 (en) 2013-03-13 2020-12-15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10937530B2 (en) 2013-03-13 2021-03-02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029047B2 (en) 2013-03-13 2018-07-24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1615871B2 (en) 2013-03-13 2023-03-28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430554B2 (en) 2013-05-23 2019-10-01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preparation queue
KR101417734B1 (ko) * 2014-01-07 2014-07-10 주식회사 에스코넥 3g 기반 모바일 요화학 분석시스템
KR20160070029A (ko) * 2014-12-09 2016-06-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17065359A1 (ko) * 2015-10-13 2017-04-20 디노플러스(주)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3350A (ko) * 2016-08-25 2018-03-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비만관리 시스템
KR102029342B1 (ko) * 2018-03-20 2019-11-08 손영욱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1579B1 (ko) 2022-03-22 2023-03-21 주식회사 지나웍스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2518A (zh) 2012-07-04
US20120143014A1 (en)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615A (ko)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Janjua et al. Telehealth interventions: remote monitoring and consultations for people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Evans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for older adults and those with heart failure: adherence and system usability
AbuDagga et al. Impact of blood pressure telemonitoring on hypertension outcomes: a literature review
KR101141425B1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CN102655516B (zh) 一种基于通用接入网络的远程医疗方法及系统
KR101051263B1 (ko) 만성질환자를 위한 재택 원격 가정 간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0493A (ko) 환자 간호 시스템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KR20060064885A (ko)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698A (ko) 건강 관리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13155002A1 (en) Wireless telemedicine system
WO2008020325A2 (en) Home based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JP2012008931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表示装置、遠隔診療システム、遠隔診療方法、処理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30414151A1 (en) Mobile electrocardiogram system
WO2013136611A1 (ja) 生体情報表示方法、生体情報表示画像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WO2013136600A1 (ja) 生体情報配信サーバ、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医療支援システム
US20140358571A1 (en) Healthcar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 clinical visit
Wood et al. Transition Readiness Assessment Questionnaire Spina Bifida (TRAQ-SB) specific module and its association with clinical outcomes among youth and young adults with spina bifida
JP2004135762A (ja) 健康管理端末
KR100693861B1 (ko)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측정 디바이스의 신체 측정 시스템및 그 방법과 신체 측정 디바이스
KR20120076695A (ko)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30007166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질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KR101684868B1 (ko)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