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055A -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055A
KR20120071055A KR1020100132640A KR20100132640A KR20120071055A KR 20120071055 A KR20120071055 A KR 20120071055A KR 1020100132640 A KR1020100132640 A KR 1020100132640A KR 20100132640 A KR20100132640 A KR 20100132640A KR 20120071055 A KR20120071055 A KR 20120071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earner
learning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락
위남숙
이두석
손정교
김행문
황성우
박용길
박근태
이동학
이종헌
이명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055A/en
Publication of KR2012007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0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and a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re provided to improve achievement of online learning by analyzing learner's contents use pattern and study result and mapping page information of a learner terminal with the analysis result. CONSTITUTION: A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comprises a learner terminal(110), a contents providing unit(120), and a learning page composing unit(130). The contents providing unit provides learning contents to the learn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learning page composing unit composes a basic page of contents provided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a learner page by determining recommended items using learning information of a learner.

Description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Learning Screen Automatic Composing System, Learning Screen Automatic Composing Device,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Its Learning Screen Automatic Composing Method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컨텐츠 이용 패턴과 학습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학습 시 사용하게 되는 단말장치의 화면 구성정보를 매핑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수행에 최적화된 학습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수행시에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 a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apparatus, a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the learning screen. More specifically, online learning is performed by analyzing learner's content usage pattern and learning result and mapping the analysis result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be used for learning to construct and provide the learner with a learning screen optimized for lear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 a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apparatus, a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a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method for improving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최근 인터넷과 컴퓨터 활용에 따른 다양한 주변환경의 변화를 통하여 우리의 교육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교육매체의 발달로 학습자는 보다 폭넓은 학습 방법을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 중 인터넷을 통한 교육서비스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저비용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각광받는 교수 학습 수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Recently, our educational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through various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use of the Internet and computers.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media, learners can select and use a wider range of learning methods. Among them, the teaching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overcomes the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the low-cost education enables the teaching and learning. It was established as one of the means.

이러한 경향에 부응하여 e-러닝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달하게 되었고, 이제는 제한된 인적?물적 자원으로 오프라인 교육에서는 불가능했던 맞춤형 교육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었다. 예컨대, 학습자의 개성과 능력에 따라 세분화된 수준별 학습을 제공함으로써, 과거의 획일적인 교육 방법에서 탈피하여 학습자의 개인 역량에 따른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In response to this trend, e-learning related technologie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and customized education services, which were not possible in offline education, are now possible with limited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For example, by providing the level-specific learning segmen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personality and abi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individual competence, breaking away from the past uniform method.

그러나, 이와 같은 맞춤형 교육서비스에 있어서도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교육 콘텐츠는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교수자가 먼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강의를 제공하면, 이를 수강한 학습자는 오프라인상에서 별도의 학습과정을 거친 후, 평가과정을 통해 학습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However, even in such customized education services, mos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provided up to now take the form of unilateral infusion education. In other words, if the instructor first provides a lecture for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learner can go through a separate learning process offline, then check the learning outcome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이와 같이 현재까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교육서비스는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의 오프라인상에서의 노력 여하에 따라 학습성과가 좌우된다는 점에서, 종래 오프라인상의 교수법과 별반 차이가 없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실질적인 실력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양방향 교육이 가능한 인터넷 교육환경에서 제대로 그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the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to date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ffline teaching methods in that learning outcomes are dependent on the offline efforts of the learners who take the lectures.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skills of the learn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is not properly utilized in the Internet education environment capable of interactive education.

이에 최근에는 학습자의 개성을 존중하고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능동적 학습 방법의 일 형태로서,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은 특정 학습 과정에서 개인이 솔선수범하여 고취된 학습 욕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학습에 대한 인적, 물적 자원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접근전략을 이용하여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는 개인화된 학습 자료를 구성하고, 학습자의 학습 현황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학습 내용이 생길 때마다 학습자가 스스로 자기 정보를 수정하여 학습자의 단말장치 별로 개인화된 학습 정보를 등록/생성한다.Recently, interest in self-directed learning methods has been increasing as a form of active learning methods to respect the individuality of learners and maximize the individual's potential. Self-directed learning consists of explor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learning in order to satisfy the learning needs inspired by an individual in a specific learning process, and evaluating learning outcomes using appropriate approaches. To this end, the learner constructs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s and registers / generates personalized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learner's terminal device by modifying his or her information whenever the learner's learning status changes or new learning contents are generated.

그런데, 이와 같은 자기 주도적 학습은 스스로 학습하는데 익숙한 학습자에게는 유용하지만, 스스로 학습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 또는 학습 현황이 자주 변경되는 학습자에게는 그럴 때마다 스스로 자기 정보를 수정하여 개인화된 학습 정보를 등록/생성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self-directed learning is useful for learners who are accustomed to learning by themselves, but for learners who are not used to learning by themselves or learners whose learning status changes frequently, they modify their own information whenever they do so to register / create personalized learning information. The problem is that doing so is a cumbersome task.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학습자의 컨텐츠 이용 패턴과 학습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학습 시 사용하게 되는 단말장치의 화면 구성정보를 매핑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수행에 최적화된 학습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수행시에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형 학습을 위한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자동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efficiently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learns the learner by analyzing the content usage pattern and the learning result of the learner, and mapping the screen com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be used in learning. By constructing and providing the learning screen optimized for performance, the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 the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device, the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the automatic configuration for customized learning that can improve th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when performing online learning.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etho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을 위한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학습자 단말기; 학습자 단말기에 학습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학습자 단말기의 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들의 기본화면을 구성하고,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기본화면으로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여 학습자 화면을 구성하는 학습화면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 for customiz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earner terminal connected via a network; A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ing content for learning to a learner terminal; And constructing a basic screen of contents provided based on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using 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priority learning content, learning order content, and menu providing content for the contents provided as the basic screen. The apparatus may include a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a learner screen by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characteristic valu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는, 단말기별 화면에 대한 화면 구성정보 및 학습자별 학습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시맨틱 DB 저장부; 마이닝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알고리즘 수행부; 학습자 단말기의 단말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며,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구성된 화면에 대한 학습자 화면을 생성하는 학습자화면 생성부; 및 학습자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학습자 화면을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화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structing a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semantic DB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metadata about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An algorithm performer which performs a mining algorithm; Call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configure a screen for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learner screen for a screen configured by calling a correlation algorithm of a mining algorithm based on metadata; And a screen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learner screen generated by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to the learner terminal.

여기서, 학습자화면 생성부는,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며 결정된 추천항목에 기초하여 학습자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learner screen generating unit may determine a recommendation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priority learning content, learning order content, menu providing content, and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provided contents, and generate a learner screen based on the determined recommendation item. have.

전술한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는, 마이닝 알고리즘의 수행결과에 따라 학습자 화면의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매핑하는 매핑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learning screens may further include a mapping processor that map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figuration of the learner screen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mining algorithm.

또한, 전술한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는, 학습자 화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시맨틱 DB 저장부를 업데이트시키는 데이터 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learning screen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data updater which generates metadata about the learner screen and updates the semantic DB storage based on the generated metadata.

또한, 전술한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는,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된 학습자 화면에 대하여 변경된 사항을 감지하여 업데이트시키는 화면 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the learning scree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upda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nd update the changed information on the learner screen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통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학습 화면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학습자 단말기의 종류별 화면에 대한 화면 구성정보 및 학습자별 학습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시맨틱 DB 저장부; 학습자 단말기의 단말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며,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에 대한 학습자 화면을 생성하는 학습자화면 생성부; 및 학습자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학습자 화면을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화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learning screen to the learner terminal through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the screen for the screen for each type of learner terminal Semantic DB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tadata for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Compose a screen for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metadata corresponding thereto A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learner screen; And a screen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learner screen generated by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to the learner terminal.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은, 학습자 단말기의 단말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구성된 화면에 대한 학습자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학습자 화면을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learning screen, by calling a classification algorithm of a mining algorithm based on terminal information of a learner terminal and corresponding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nstructing a screen for the fields; Generating a learner screen for a screen configured by calling a correlation algorithm of a mining algorithm based on learning information about a learner using a learner terminal and corresponding meta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earner screen to the learner terminal.

또한, 학습자화면 생성단계는,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며 결정된 추천항목에 기초하여 학습자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step may determine a recommendation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priority learning content, learning order content, menu providing content, and characteristic values for the provided contents, and generate a learner screen based on the determined recommendation item. Can be.

또한, 전술한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은, 마이닝 알고리즘의 수행결과에 따라 학습자 화면의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the learning screen may further include mapp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figuring the learner scre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mining algorith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컨텐츠 이용 패턴과 학습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학습 시 사용하게 되는 단말장치의 화면 구성정보를 매핑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수행에 최적화된 학습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수행시에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learner's content usage pattern and learning results, by mapp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be used in learning by constructing and providing the learner with the learning screen optimized for learning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when performing online lear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학습자 단말기와 학습자 화면 자동구성 장치 사이의 신호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학습자 화면 자동구성 장치에 의한 학습화면 생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학습자 화면 자동구성 장치에 의한 화면 서비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structing a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a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ignal processing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arner screen autoconfiguration devic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learning screen by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learner screens.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service by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learner scree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 a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device, a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a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은 학습자 단말기(110), 컨텐츠 제공부(120) 및 학습화면 구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학습자 단말기(110), 컨텐츠 제공부(120) 및 학습화면 구성부(13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부(120) 및 학습화면 구성부(130)는 하나의 서버 내의 구성요소를 이루거나, 각각이 독립적인 서버로 구성되어 상호 동작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단말기(110)는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형태별로 구분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스마트폰 등과, 통신 방식별로 구분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MBS 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차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네트워크(140)는 인터넷망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통신망과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 및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접속망을 통칭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컴퓨터 환경을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접속망은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환경 접속망을 의미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utomatic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system may include a learner terminal 110, a content providing unit 120 and a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each learner terminal 110, content providing unit 120 ) And the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140. Here,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0 and the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may be implemented to form an element in one server or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s an independent server. In addition, the learner terminal 110 may be applied to various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s, and may includ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ellular phone, a smart phone, and the like, and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GSM, which is classified by communication type. (Global System for Mobile) phone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DMA) phones, CDMA-2000 phones,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s, and the like. MBS phone refers to a terminal to be used in the next generation system currently being discussed. In addition to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140 may inclu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Long Term Evolution (LTE), and Evolved Packet Core (EPC). ), A network for accessing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and a cloud computing connection network between a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a terminal. Cloud computing refers to a computer environment where information is permanently stored on servers on the Internet and temporarily stored on client terminals such as desktops, tablet computers, laptops, netbooks, and smartphones. It refers to a computer-environmental access network that stores a server on a computer and makes this information available anytime, anywhere through various IT devices.

학습자 단말기(110)는 온라인을 통해 학습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강의 수강을 위한 동영상 플레이어, 투터(tutor) 프로그램, 자바 스크립트 등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The learner terminal 110 is a terminal that can take a learning lecture online, and a program such as a video player, a tutor program, and a javascript is installed.

컨텐츠 제공부(110)는 학습자 단말기(110)에 학습 컨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학습 컨텐츠는 동영상, 플래시(flash),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등과 같은 언어로 작성된 문서,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The content provider 110 provides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 terminal 110. Here, the learning content includes a document, an image, etc. written in a language such as a video, flash,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or the like.

학습화면 구성부(13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접속된 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는 학습 컨텐츠들의 기본화면을 구성하고, 학습자 단말기(110)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기본화면으로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여 학습자 화면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 학습화면 구성부(130)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에 대하여 단말기 사양에 따른 화면구성 정보(예를 들면, 화면의 크기, 해상도, 응답속도, 명암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단말정보에 매핑되는 화면구성 정보에 따라 학습자 단말기(110)를 이용하는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 컨텐츠들로 구성되는 기본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화면 구성부(130)는 학습자에 의해 이전에 학습된 각각의 학습 컨텐츠들에 대한 학습정보(예를 들면, 과목, 진도, 난이도, 수강 시간, 평가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학습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순위, 학습 순서, 메뉴, 특성정보 등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현재의 화면의 각각의 컨텐츠들의 배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The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constructs a basic screen of learning content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110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140, and the learner terminal 110. Using the learner's learning information using the learning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ecommendation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riority learning content, the learning order content, the menu providing content, the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contents provided as the base screen to configure the learner screen. To this end, the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stores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screen size, resolution, response speed, contrast ratio, etc.) according to the terminal specifications for various types of terminals, and learner terminals ( Based on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110 may generate a basic screen composed of the learning content selected by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stores learning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on subjects, progress, difficulty, class time, evaluation results, etc.) for each learning content previously learned by the learner, The stored learning inform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priority order, learning order, menu,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learning content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and accordingly, different arrangements of the contents of the current screen may be set.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200)는 시맨틱 DB 저장부(210), 알고리즘 수행부(220), 학습자화면 생성부(230), 화면 전송부(240), 매핑 처리부(250), 데이터 갱신부(260) 및 화면 갱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200)는 도 1의 학습화면 구성부(130)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때,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인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200)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통하여 학습자 단말기(110)에 학습 화면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로 동작할 수도 있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structing a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200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learning screen may include a semantic DB storage 210, an algorithm performing unit 220, a learner screen generating unit 230, a screen transmitting unit 240, and a mapping processing unit 250. The data updater 260 and the screen updater 270 may be included. The automatic learning screen apparatus 200 may operate as the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of FIG. 1.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the automatic learning screen display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server. The automatic learning screen apparatus 200 may operate as a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at provides a learning screen to the learner terminal 110 through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시맨틱 DB 저장부(210)는 단말기별 화면에 대한 화면 구성정보 및 학습자별 학습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시맨틱 DB 저장부(210)는 기 등록된 학습자 단말기(110)의 단말기 종류, 사용,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버퍼의 용량, 화면의 크기, 해상도, 응답속도, 명암비 등에 대한 정보와 해당 학습자 단말기(110)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수강과목, 진도, 난이도, 수강시간, 평가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기(110) 및 학습자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의미에서 저장되는 정보를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라고 명명한다.The semantic DB storage unit 210 stores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screen for each terminal and metadata for the learner-specific learning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mantic DB storage unit 210 and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type, use, capacity of the buffer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screen size, resolution, response speed, contrast ratio, etc. of the pre-registered learner terminal 110 The learner's course, progress, difficulty, class time,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learner's terminal 110 can be stored according to the learner's terminal 110 and the learner,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is sense is stored in the semantic database. Name it.

알고리즘 수행부(230)는 마이닝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마이닝 알고리즘은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위한 알고리즘을 말한다.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과거에는 알지 못했지만 데이터속에서 유도된 새로운 데이터 모델을 발견하여 미래에 실행 가능한 정보를 추출해 내고 의사결정에 이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데이터에 숨겨진 패턴과 관계를 찾아내어 광맥을 찾아내듯이 정보를 발견해 내는 것이다. 여기에서 정보 발견이란 데이터에 고급 통계분석과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유용한 패턴과 관계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The algorithm performing unit 230 performs a mining algorithm. The mining algorithm refers to an algorithm for data mining. Data mining refers to the process of discovering new data models derived from data from the database that have not been known in the past, extracting actionable information in the future, and using it in decision making. In other words, it finds patterns and relationships hidden in data and discovers information as if it were finding a vein. Information discovery is the process of applying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and modeling techniques to data to find useful patterns and relationships. It's a key technology in database marketing.

예를 들어, 한 백화점에서 판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금요일 오전에는 어떤 상품들이 잘 팔리는가, 그리고 팔리는 상품들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등을 발견하고 이를 마케팅에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마이닝의 필수 요소는 신뢰도가 높은 충분한 자료이다. 이것은 신뢰도 높은 충분한 자료가 정확한 예견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자료는 오히려 데이터 마이닝의 예견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최적의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다. For example, a department store analyzes data from a sales database to find out what products are selling well on Friday mornings and how they relate to marketing items. Therefore, an essential element of data mining is sufficient data with high reliability. This is because sufficient reliable data make accurate predictions possible. Too much data, however, can reduce the ability of data mining to predict, so it is necessary to have meaningful data that can yield optimal results.

데이터 마이닝은 대체로 수십 메가에서 수십 기가에 이르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살피는 것은 시간의 측면에서만 보아도 많은 인내를 요하게 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이때 고려하여야 하는 과정이 바로 샘플링이다. 샘플링이란 방대한 양의 데이터(모집단)에서부터 모집단을 닯은 작은 양의 데이터(샘플: 표본)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 마이닝을 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효율적인 작업진행을 돕고, 이를 통하여 데이터 마이닝 작업의 무게를 조금 가볍게 할 수 있는 절차이다. 그러므로, 샘플링이 적절한가에 대한 질문을 던져보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샘플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계학에서는 이미 샘플링하는 여러 가지 방법론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 단순임의 추출법(Simple Random Sampling)으로, 이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모집단을 골고루 섞어놓은 후 원하는 양만큼 무작위로 추출해 내는 것이다. 이외에도 층화추출법(Stratified Sampling), 계통추출법(Systematic Sampling) 등이 자주 거론되는 방법으로 각 상황에 맞는 샘플링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샘플링 과정에서 가장 유의할 점은 모집단을 닮지않은 한쪽으로 치우쳐진 샘플이 추출되는 경우로서, 이는 샘플링 후 기본적인 몇 가지의 자료 탐색을 거쳐 반드시 확인되어야 한다.Data mining is largely based on large volumes of data, ranging from tens of megabytes to tens of gigabytes. But looking at vast amounts of data can be a task that requires a lot of patience in terms of time. The process to consider is sampling. Sampling is the extraction of large amounts of data (samples) from small amounts of data (samples) divided by a population. This is a procedur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data mining to help efficient work progress, thereby lightening the weight of data mining work a little. Therefore, ask if the sampling is appropriate and generate sample data using the appropriate method if necessary. In statistics, several methodologi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for sampling, the most popular of which is the Simple Random Sampling, which is simply a random mixture of populations and randomly extracted as desired. In addition, Stratified Sampling and Systematic Sampling are frequently discussed, and sampling methods suitable for each situation are used. The most significant point in the sampling process is when a sample is biased to a side that does not resemble a population. This must be confirmed after searching some basic data after sampling.

데이터의 탐색과정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을 확인하여 수치화하는 작업을 시작으로 하여 보유하고 있는 수많은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보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백화점의 A 상품구매 고객들은 주로 특정요일에 집중되어 있다거나, B 상품의 구매고객은 주로 여자다 등의 모르고 있던 정보 또는 기존에 현업관계자의 느낌으로만 알고 있던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경우도 있고, 또 가끔은 현업에 있는 사람들이 확신하고 있던 사실들이 틀렸다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data, it is a step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facts that are already know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numerous variables. For example, department A's buyers are mainly focused on a specific day of the week, B's buyers are mainly women, etc. In some cases, you may find that the facts that people in your business were convinced were wrong.

예를 들어, 여성고객의 신용카드가 단란주점 등에서 거액으로 사용되면 그것은 주로 도난된 카드라는 고정관념은 실제로 국내 한 카드사의 데이터마이닝 과정에서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드러난 바 있다. 실제로 그러한 경우, 정상카드에 의한 사용이 더욱 많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탐색단계는 데이터의 모양을 면밀히 들러보아 정보화할 수 있는 기반을 잡아가는 과정이다. For example, if a female customer's credit card is used for a large amount of money in a reunion pub, it is revealed that the stereotype that it is mainly a stolen card is actually different from the data mining process of a domestic card company. In fact, in such a case, the use by the normal card was more frequent. As such, the exploration phase is a process of grasping the shape of data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information.

탐색 단게에서는 실제 한 모집단으로 알고 있던 것이 두 개 이상으로 나뉠 수도 있고, 수십 개 이상의 많은 변수를 실제 중요한 정보를 주는 소수의 변수로 축소시킬 수도 있으며, 기존에 있던 변수들 외에 새로운 변수를 생성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될 수도 있다.In the exploration step, you might divide two or more things into what you already know as a population, or you can reduce dozens or more of them to a few variables that really give you important information, and create new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es. You may find it necessary.

변형 및 조정단계는 기존의 변수를 이용하여 새로이 생성해야 할 변수를 고려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생성 또는 수정된 변수는 차후 모형화 단계에서 아주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The transformation and adjustment step is a step of considering a variable to be newly created by using an existing variable. Variables created or modified at this stage can be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in later modeling stages.

모형화 단계는 데이터 마이닝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로서, 앞서 선행되었던 단계에서 선정된 주요한 변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모형(Neural Network, CHAID, CART, 일반화 선형모형 등의 전통적인 통계적 모형 등)을 적합해 보는 단계이다. 모형을 생성하는 기법으로 연관성 측정(Associations), 클러스터링(Clustering), 의사결정수(Decision Trees), 신경망모형(Neural Networks)과 같은 기법들이 있다.The modeling step is the most important step in the data mining process, in which various models (such as traditional network models such as neural network, CHAID, CART, generalized linear models, etc.) are fitted using the main variables selected in the preceding steps. . Techniques for creating models include techniques such as associations, clustering, decision trees, and neural networks.

적합한 두 개 이상의 모형 효과를 비교하여 가장 좋은 모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모형은 실제 모집단에 반영하여 그 효과를 재평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여 이전작업을 다시 반복할 수도 있다. You can choose the best model by comparing two or more suitable model effects. The chosen model can then be reflected in the actual population and reassessed its effectiveness, thereby raising new problems and repeating previous work.

이러한 각 단계들은 데이터 마이닝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순서대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 번 이상 반복되거나 앞 단계로 피드백되면서 진행되기도 한다.Each of these step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perform data mining tasks, and in some cases, may be repeated two or more times or fed back to the previous step.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기(110)의 단말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학습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시맨틱 DB 저장부(210)에 저장된 단말기별 화면 구성정보에 대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학습자 단말기(110)의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한다. 또한,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기(110)를 이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구성된 화면에 대한 학습자 화면을 생성한다. 즉,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접속된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응하여 시맨틱 DB 저장부(210)로부터 학습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학습자 화면을 생성한다. 이때,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응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며, 결정된 추천항목에 기초하여 학습자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응하여 구성된 화면의 각 컨텐츠들에 대해 학습정보에 따라 우선적으로 학습해야 할 컨텐츠를 추천항목으로 결정하거나, 각 컨텐츠들에 대한 학습 순서 컨텐츠를 추천항목으로 결정하거나, 각 컨텐츠들에 대한 메뉴 제공 컨텐츠를 추천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각 컨텐츠들에 대한 특성값(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 동안에 수강해야 할 각 컨텐츠들에 대한 횟수, 수강 시간 등의 값일 수 있다)에 따라 추천항목을 결정할 수도 있다.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calls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configure a screen for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110. Can be. That is,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performs a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on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stored in the semantic DB storage 210 to configure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a learner screen for the screen configured by calling the correl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110 and the corresponding metadata. That is,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extracts learning information from the semantic DB storage unit 21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learner terminal 110, and correlates the mining algorithm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learning information and metadata corresponding thereto. A learner screen is created by performing a relational algorithm. In this case,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includes at least one of priority learning, content, learning order content, menu providing content, and characteristic values for contents provid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erminal 110. The recommendation item may be determined, and a learner scree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determined recommendation item. That is,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determines, as a recommendation item, content to be preferentially learned according to learning information on each of the contents of the screen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earner terminal 110, or a learning order for each content.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a recommendation item, or menu provision content for each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a recommendation item. Alternatively, the recommendation item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value of each of the contents (for example, it may be a value of the number of times, the time of attendance, etc. for each of the contents to be taken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화면 전송부(240)는 학습자화면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학습자 화면을 네트워크(140)를 통해 학습자 단말기(110)에 전송한다.The screen transmitter 240 transmits the learner screen generated by the learner screen generator 230 to the learn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140.

매핑 처리부(250)는 알고리즘 수행부(220)에 의한 마이닝 알고리즘의 수행결과에 따라 학습자 화면의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매핑한다. 즉, 매핑 처리부(250)는 시맨틱 DB 저장부(210)로부터 화면 구성에 필요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고, 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의 서비스 페이지 요청에 따라 수집된 정보와 마이닝 알고리즘의 수행결과에 따라 학습자 단말기(110)의 화면의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매핑한다.The mapping processor 250 map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structing the learner scre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ining algorithm performed by the algorithm performing unit 220. That is, the mapping processor 250 collects metadata information necessary for screen configuration from the semantic DB storage 210 and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min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service page request from the learner terminal 110. Map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figuration of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데이터 갱신부(260)는 학습자화면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학습자 화면에 대하여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며, 새로 생성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시맨틱 DB 저장부(210)를 업데이트시킨다. 즉,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학습자 화면과 현재 생성된 학습자 화면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학습자 화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갱신부(260)는 현재의 학습자 화면에 기초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이전의 학습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갱신한다.The data updater 260 generates new metadata for the learner screen generated by the learner screen generator 230 and updates the semantic DB storage 210 based on the newly generated metadata. That is, the previously generated learner screen and the currently generated learner screen with respect to the learner terminal 110 may be different. In this case, since the metadata of the learner screen may be changed, the data updater 260 may be a current learner. Meta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screen to update metadata about previous learning information.

화면 갱신부(270)는 학습자 단말기(110)에 제공된 학습자 화면에 대하여 이전의 학습자 화면과 달라진 사항을 감지하여 현재의 학습자 화면을 업데이트 시킨다. 즉, 화면 갱신부(270)는 학습자 단말기(110)에 표시되는 학습자 화면 중 변경되는 부분을 감지하여 학습자 화면의 업데이트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creen updater 270 detects a change from the previous learner screen with respect to the learner screen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110 and updates the current learner screen. That is, the screen updater 270 detects the changed part of the learner screen displayed on the learner terminal 110 so that the learner screen can be updated quickly.

도 3은 도 2의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에 의한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a learning screen by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learning screen of FIG. 2.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기(110)의 단말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학습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S301). 즉,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시맨틱 DB 저장부(210)에 저장된 단말기별 화면 구성정보에 대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학습자 단말기(110)의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한다. 2 and 3,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calls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provides the learner terminal 110 to the learner terminal 110. A screen of the contents may be configured (S301). That is,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performs a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on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stored in the semantic DB storage 210 to configure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또한,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기(110)를 이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구성된 화면에 대한 학습자 화면을 생성한다(S303). 즉,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접속된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응하여 시맨틱 DB 저장부(210)로부터 학습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학습자 화면을 생성한다. 이때,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응하는 화면의 구성을 위해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며, 결정된 추천항목에 기초하여 학습자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학습자화면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응하여 구성된 화면의 각 컨텐츠들에 대해 학습정보에 따라 우선적으로 학습해야 할 컨텐츠를 추천항목으로 결정하거나, 각 컨텐츠들에 대한 학습 순서 컨텐츠를 추천항목으로 결정하거나, 각 컨텐츠들에 대한 메뉴 제공 컨텐츠를 추천항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각 컨텐츠들에 대한 특성값(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 동안에 수강해야 할 각 컨텐츠들에 대한 횟수, 수강 시간 등의 값일 수 있다)에 따라 추천항목을 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a learner screen for the screen configured by calling the correl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110 and the metadata corresponding thereto ( S303). That is,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extracts learning information from the semantic DB storage unit 21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learner terminal 110, and correlates the mining algorithm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learning information and metadata corresponding thereto. A learner screen is created by performing a relational algorithm. In this case,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includes at least one of priority learning, content, learning order content, menu providing content, and characteristic values for contents provid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erminal 110. The recommendation item may be determined, and a learner scree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determined recommendation item. That is,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30 determines, as a recommendation item, content to be preferentially learned according to learning information on each of the contents of the screen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earner terminal 110, or a learning order for each content.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a recommendation item, or menu provision content for each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a recommendation item. Alternatively, the recommendation item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value of each of the contents (for example, it may be a value of the number of times, the time of attendance, etc. for each of the contents to be taken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화면 전송부(240)는 학습자화면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학습자 화면을 네트워크(140)를 통해 학습자 단말기(110)에 전송한다(S305).The screen transmitter 240 transmits the learner screen generated by the learner screen generator 230 to the learn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140 (S305).

도 4는 학습자 단말기와 학습자 화면 자동구성 장치 사이의 신호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ignal processing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learner screen autoconfiguration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기(110)는 학습자 화면의 자동구성 서비스를 받기 위해 구동 게이트웨이(150)에 로그인 과정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110)의 단말정보 및 사용자정보가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4, the learner terminal 110 may access the driving gateway 150 through a login process to receive an automatic configuration service of the learner screen, and through this process, termin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Is sent.

구동 게이트웨이(150)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200)에 학습자 화면의 자동구성 서비스를 요청하며,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단말정보를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200)에 전달한다.The driving gateway 150 requests an automatic configuration service of the learner's screen to the learning screen autoconfiguration device 200, and accordingly,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110 are transmitted to the learning screen autoconfiguration device 200. To pass.

이때,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200)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화면구성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학습정보를 추출하여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기(110)에 대응하는 학습자 화면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apparatus 200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the learning screen extracts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semantic database, extracts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learne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erminal 110 accordingly. You can do it.

도 5는 학습자 화면 자동구성 장치에 의한 학습화면 생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learning screen by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learner screens.

학습자 화면 생성부(230)는 매핑 처리부(250)를 통하여 학습자 단말기(110)의 화면구성 정보에 매핑된 구성요소(attribue)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learner screen generator 230 may be provided with an attribute mapped to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through the mapping processor 250.

또한, 학습자 화면 생성부(230)는 알고리즘 수행부(220)를 통해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수행시켜 학습자 단말기(110)의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하고,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수행시켜 학습자의 학습정보에 따른 학습자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습자 화면은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모션 맵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er screen generator 230 performs a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through the algorithm performer 220 to configure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10, and performs a correlation algorithm to perform the learner's operation. The learner scree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information. Such a learner screen may be implemented as a promotion map as shown.

도 6은 학습자 화면 자동구성 장치에 의한 화면 서비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service by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learner screens.

학습자 화면 생성부(230)는 알고리즘 수행부(220)에 의한 프로모션 맵을 데이터 갱신부(260)에 전송하며 그에 따라 메뉴 및 컨텐츠를 구성할 수도 있다. 구성된 메뉴 및 컨텐츠 구성정보는 매핑 처리부(25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매핑 처리부(250)는 그에 따라 화면 갱신부(270)에 화면 구성 및 메뉴 구성을 요청함으로써 화면 자동구성 서비스가 구동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학습자 단말기(110)로 시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learner screen generator 230 transmits the promotion map by the algorithm performer 220 to the data updater 260 and may configure menus and contents accordingly. The configured menu and cont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mapping processor 250, and the mapping processor 250 requests the screen updater 270 to configure the screen and menu configuration accordingly, so that the screen autoconfiguration service is driven by the gateway 150. Through the learner terminal 110 can be implemen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습자의 컨텐츠 이용 패턴과 학습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학습 시 사용하게 되는 단말장치의 화면 구성정보를 매핑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수행에 최적화된 학습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수행시에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learner's content usage pattern and the learning result, and maps the analysis result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be used in the learning to provide the learner with the learning screen optimized for performing the learning.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generate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achievement of learners when performing online learning by configuring.

110: 학습자 단말기
120: 컨텐츠 제공부
130: 학습화면 구성부
200: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210: 시맨틱 DB 저장부
220: 알고리즘 수행부
230: 학습자화면 생성부
240: 화면 전송부
250: 매핑 처리부
260: 데이터 갱신부
270: 화면 갱신부
110: learner terminal
120: content provider
130: learning screen composition
200: automatic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screen
210: semantic DB storage unit
220: algorithm execution unit
230: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240: screen transmission unit
250: mapping processing unit
260: data update unit
270: screen update unit

Claims (10)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학습자 단말기;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학습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의 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들의 기본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화면으로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여 학습자 화면을 구성하는 학습화면 구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시스템.
A learner terminal connected via a network;
A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ing content for learning to the learner terminal; And
Constructing a basic screen of the contents provided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using 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priority learning content, learning order content for the contents provided as the basic screen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a learner screen by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nu provision content and a characteristic value.
Automatic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system comprising a.
단말기별 화면에 대한 화면 구성정보 및 학습자별 학습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시맨틱 DB 저장부;
마이닝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알고리즘 수행부;
학습자 단말기의 단말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상기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닝 알고리즘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구성된 상기 화면에 대한 학습자 화면을 생성하는 학습자화면 생성부; 및
상기 학습자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학습자 화면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화면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A semantic DB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screens for each terminal and metadata about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learner;
An algorithm performer which performs a mining algorithm;
Call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configure a screen for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the learning for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A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learner screen for the screen configured by calling a correl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based on information and the meta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A screen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learner screen generated by the learner screen generator to the learner terminal;
Automatic learning screen device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화면 생성부는,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추천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uni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priority learning content, learning order content, menu providing content, and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provided contents, and generating the learner screen based on the determined recommendation item. Screen autoconfiguration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닝 알고리즘의 수행결과에 따라 상기 학습자 화면의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매핑하는 매핑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Mapping processing unit for mapp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learner scre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ining algorithm
Automatic learning scree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화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맨틱 DB 저장부를 업데이트시키는 데이터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data updater which generates metadata about the learner screen and updates the semantic DB storage based on the generated metadata
Automatic learning scree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된 상기 학습자 화면에 대하여 변경된 사항을 감지하여 업데이트시키는 화면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Screen update unit for detecting and updating the changes to the learner screen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Automatic learning scree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통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학습 화면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의 종류별 화면에 대한 화면 구성정보 및 학습자별 학습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시맨틱 DB 저장부;
상기 학습자 단말기의 단말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상기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대한 학습자 화면을 생성하는 학습자화면 생성부; 및
상기 학습자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학습자 화면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화면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
In the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learning screen to the learner terminal through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semantic DB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for each type of the learner terminal and metadata about the learner-specific learning information;
Comprising a screen for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erminal, the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metadata corresponding thereto A learner scree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learner screen for the screen based on the learner screen; And
A screen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learner screen generated by the learner screen generator to the learner terminal;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학습자 단말기의 단말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마이닝 알고리즘의 분류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컨텐츠들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학습자에 대한 학습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닝 알고리즘의 상관관계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구성된 상기 화면에 대한 학습자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학습자 화면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
Constructing a screen for contents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by calling a classification algorithm of a mining algorithm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erminal and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Generating a learner screen for the screen configured by calling a correlation algorithm of the mining algorithm based on learning information about a learner using the learner terminal and corresponding meta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earner screen to the learner terminal;
Automatic learning screen configuration method comprising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화면 생성단계는,
제공되는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우선 학습 컨텐츠, 학습 순서 컨텐츠, 메뉴 제공 컨텐츠, 특성값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항목을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추천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learner screen generation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recommendation i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priority learning content, learning order content, menu providing content, and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provided contents, and generating the learner screen based on the determined recommendation item. How to auto configure screen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닝 알고리즘의 수행결과에 따라 상기 학습자 화면의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화면 자동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Mapping information required to construct the learner's screen according to a result of performing the mining algorithm;
Learning screen automatic configu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00132640A 2010-12-22 2010-12-22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1200710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640A KR20120071055A (en) 2010-12-22 2010-12-22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640A KR20120071055A (en) 2010-12-22 2010-12-22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055A true KR20120071055A (en) 2012-07-02

Family

ID=4670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640A KR20120071055A (en) 2010-12-22 2010-12-22 Learning page automatic compo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05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34B1 (en) * 2019-02-08 2019-09-19 (주)데이터리퍼블릭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ervice implementation and system manage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34B1 (en) * 2019-02-08 2019-09-19 (주)데이터리퍼블릭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ervice implementation and system manage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2709B2 (en) Automated testing error assessment system
WO2021139701A1 (en) Applic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10713574B2 (en) Cognitive distributed network
US10311741B2 (en)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system and tool
CN103959745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supervision application program resource consumption
US11238375B2 (en) Data-enabled success and progression system
CN104808892B (en) A kind of application icon sort method, device, system and relevant device
CN110597962B (en) Search result display method an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126524B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device
US20200067967A1 (en) Network based intervention
US20210142118A1 (en) Automated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content recommendation
CN109933699A (en)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academic portrait model
JP69869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US20150243180A1 (en) Dynamic content manipulation engine
CN109194689A (en) Abnormal behaviour recognition methods,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12070310A (en) Loss user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7315833A (e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retrieval with downloading based on application program
US9818307B2 (en)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for a semantic-based creativity assessment
Boja et al. Analysis of m-learning applications quality
US20150228198A1 (en) Dynamic content manipulation engine
US20230325944A1 (en) Adaptive wellness collaborative media system
CN106600237A (en) Method and device helping people to memoriz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ook
JP69591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JP2024505316A (en) Application testing methods,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a
CN109901859A (en) Dynamic configuration official documents and correspondence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