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646A - 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 Google Patents

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646A
KR20120068646A KR1020100130354A KR20100130354A KR20120068646A KR 20120068646 A KR20120068646 A KR 20120068646A KR 1020100130354 A KR1020100130354 A KR 1020100130354A KR 20100130354 A KR20100130354 A KR 20100130354A KR 20120068646 A KR20120068646 A KR 20120068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smartphone
tag device
recognition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재덕
Original Assignee
(주)오픈브레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브레인테크 filed Critical (주)오픈브레인테크
Priority to KR102010013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8646A/en
Publication of KR2012006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6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2017/25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2017/2506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 H04M2017/2531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wireless, e.g. Bluetooth,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Identification(ID) recogniz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the Bluetooth function of a smart phone are provided to secure similar services in the smart pone without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or near field communication. CONSTITUTION: A tag device(104) stores characteristic ID information and implements Bluetooth communication to a smart phone(103). The I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smart phone. The application program implements a pre-determined func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D information. When the application searches surrounding Bluetooth devices, the tag device responds the searching signals from the application program and implements ID recognition.

Description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고유번호 인식 방법 및 장치{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ID 인식을 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무선인식(RFID)과 같이 스마트폰을 태그에 가까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태그의 고유 ID를 읽어내는 동작을 스마트폰에 별도의 장치를 부가함이 없이 스마트폰 자체에 내장된 블루투스 기능만으로 실현시킨 방법과 그 태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D recognition using a Bluetooth function of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smart phone is close to a tag, such as a conventional radio recognition (RFID), a unique ID of a tag is automatically obtai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tag device in which a reading operation is realized only by a Bluetooth function built in the smartphone itself without adding a separate device to the smartphone.

스마트폰은 일반 휴대폰의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컴퓨터에서나 가능했던 인터넷 검색이나 업무용 프로그램의 수행이 가능하고, 누구나 손쉽게 응용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는, 그야말로 이동통신 기기의 혁신을 가져온 휴대형 IT 기기의 총아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주변 환경을 인식하여 지능적으로 동작하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인터페이스(Interface)가 내장되어 있어 다른 스마트폰이나 주변기기와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무선랜(WiFi)과 블루투스(Bluetooth)인데, 이들을 이용하면 근거리에 있는 다른 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오디오 기기를 무선화 시킬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인터넷 연결과 같은 데이터 통신에는 무선랜이 주로 사용되고, 무선 헤드셋(Headset), 핸즈프리(Hands-free) 등의 오디오 연결에는 블루투스(Bluetooth)가 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of ordinary mobile phones, smart phones can perform internet search and business programs that were available on computers, and they are well equipped with an environment where anyone can easily create, use, or distribute applications. It is the quintessence of the handheld IT device. Smartphone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sensors that can be programmed to recognize the environment and operate intelligently. In addition, various interfaces are built-in to allow communication with other smartphones or peripherals. The most representative interfaces are WiFi and Bluetooth, which are very convenient because they can exchange data with other devices in a short distance or wirelessly make audio devices. Wireless LAN is mainly used for data communication such as Internet connection, and Bluetooth is mainly used for audio connection such as wireless headset (Headset), hands-free (Hands-free).

최근에는 근접거리에서 ID를 인식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바일 RFID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개발되어 휴대폰에 장착되고 있다. 모바일 RFID나 NFC는 단순히 휴대폰에 RFID 리더(Reader)가 내장되는 편리성 차원을 넘어 휴대폰의 효용성을 한 단계 올려줄 획기적인 서비스가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모바일 사업 영역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 획기적인 서비스란 다름 아닌 모바일 결재 서비스와 사물인식으로 대표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서비스이다. 주변의 모든 사물에 태그가 붙거나 내장되고, 그 태그에 휴대폰을 가져다 대면 그 사물에 대한 정보가 휴대폰에 바로 뜨는 놀라운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RFID로 인한 인터넷 정보량(Traffic)이 급격히 증가하여 조만간 기존의 모든 인터넷 서비스 정보량을 능가할 것이다. Recently, a mobile RFID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apable of recognizing ID or exchanging data at a close range has been developed and installed in a mobile phone. Mobile RFID or NFC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mobile business area in that a revolutionary service that can raise the usefulness of mobile phones will go beyond the convenience of simply embedding an RFID reader in the mobile phone. will be. The groundbreaking service is ubiquitous service represented by mobile payment service and object recognition. All the things around are tagged or embedded, and when you bring a cell phone to the tag, an amazing ubiquitous era is coming. This increase will soon exceed all existing Internet service information.

그러나 모바일 RFID나 NFC 서비스가 활성화되려면 이러한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의 보급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관련 서비스가 등장하고 관련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이 나오기 시작했다고 해도 기존 휴대폰을 가진 사용자들은 휴대폰을 바꾸지 않는 한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for the mobile RFID or NFC service to be activated, the dissemination of mobile phones with these functions must be preceded. In addition, even if a related service has appeared and a mobile phone with a related function has started to appear, users with existing mobile phones may not use the service unless they change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휴대폰을 통한 ID인식을 모바일 RFID나 NFC가 아닌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RFID나 NFC 기능이 내장되지 않은 휴대폰으로도 동일한 사물인식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implementing the ID recognition through the mobile phone via Bluetooth (Bluetooth) rather than the mobile RFID or NFC, the same thing as a mobile phone that does not have a built-in mobile RFID or NFC function The purpose is to implement a recognition service.

본 발명은, 거의 모든 스마트폰에 기본 내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RFID나 NFC에서만 가능한 ID 인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RFID나 NFC가 내장되지 않은 스마트폰으로도 유사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similar service to a smartphone without RFID or NFC by enabling ID recognition only by RFID or NFC using a Bluetooth function built into almost all smartphones.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ID인식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태그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태그 장치의 동작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의 동작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D recognition device using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t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t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of operation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ID 인식 장치는,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폰, 특정 블루투스 장치에 대한 검색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기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고유의 ID를 스마트폰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기능의 태그 장치로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D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ique in response to a smart phone with a built-in Bluetooth function, a smart phone application with a built-in search function for a specific Bluetooth device, and a Bluetooth device search request of the smart phone. It consists of a tagging device with a Bluetooth function to enable the smartphone to recognize the ID of the.

또한 상기의 구성 요소를 이용한 본 발명의 ID 인식 단계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ID 인식을 시작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 블루투스 기기 검색을 시작하는 제1단계, 태그 장치에 내장된 근접센서의 동작에 의해 스마트폰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단계, 스마트폰의 근접을 감지하였을 때 블루투스 기기 검색 신호 탐색을 시작하여 스마트폰의 기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이에 응답하는 제3단계, 기기 검색 중 태그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이 태그 장치의 고유 ID를 식별하여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등의 미리 예정된 동작을 하는 제4단계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ID recogni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bove components, the first step in which the user starts the ID recognition by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smartphone, and thus the smartphone starts to search for Bluetooth devices, built in the tag device A second step of detecting the proximity of the smartphone by the oper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a third step of initiating the search for the Bluetooth device search signal when detecting the proximity of the smartphone and responding to the reception of the device search signal of the smartphone; And a fourth step in which the smartphone, which has received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tag device during device search, identifies a unique ID of the tag device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cont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ID인식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ID recognition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D 인식 방법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시물 자동 안내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103)을 가진 사용자(102)가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전시물(101) 옆이 붙어있는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4)에 스마트폰(103)을 가져다 대면 스마트폰(103)의 화면에 그 전시물에 대한 자세한 소개가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ID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n automatic guide system for exhibiting using a smartphone, wherein a user 102 having a smartphone 103 is next to the exhibit 101 in a museum or an art gallery. When the smartphone 103 is brought to the tag device 10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introduction of the exhib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03.

도 2는 본 발명의 태그 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t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그 장치는 근접센서(201)와 마이크로 콘트롤러(202) 및 블루투스 송수신기(203)를 구비한다. 근접센서(201)는 사람의 신체나 스마트폰이 가까이 근접하면 이를 마이크로 콘트롤러(202)에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태그 장치가 실용적이 되려면 저전력으로 동작되어 소형 배터리를 내장하고도 수개월, 또는 수년간의 긴 시간 동안 동작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근접센서(201)로서, 평상시에는 태그 장치 내의 블루투스 송수신기(203)가 전원이 꺼져 있다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태그장치 가까이 근접시킬 때에만 블루투스 송수신기 전원을 켜고 최소한의 시간만 동작시킨다. 평상시 근접센서만 동작할 때에도 전원 절약을 위해서 마이크로 콘트롤러(202)는 항상 켜져있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의 시간은 깊은잠(Deep Sleep)에 빠져 있다가 주기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만 깨어나서 근접센서로부터의 입력 변화량을 읽는다. 이때 사용하는 근접센서는 현재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방식 중 한 가지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의 강도를 감지하는 방법, 적외선 LED와 센서를 조합하여 근접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의 강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근접센서(201)는 본 발명의 태그 장치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근접센서가 내장되지 않는 태그 장치도 구성 가능하다. 즉 근접센서(201)가 내장된 태그 장치는 전시물 안내시스템에서의 태그와 같이 초소형이면서 배터리로 구동되고 근접 인식이 필요한 분야에서 사용될 것이고, 상용 AC 전원에 항상 연결되고 원거리 인식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근접센서(201)가 내장되지 않은 태그 장치도 사용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t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ximity sensor 201, a microcontroller 202, and a Bluetooth transceiver 203. Proximity sensor 201 serves to inform the microcontroller 202 when a person's body or smartphone is in close proximity. In order to be practical, the t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operated at a low power and be able to operate for a long time for months or years even when a small battery is built in. For this purpose, the most important role is the proximity sensor 201. In general, the Bluetooth transceiver 203 in the tag device is turned off, but only when the user brings the smartphone close to the tag device, the Bluetooth transceiver is turned on and the minimum Only time runs. In order to save power even when only the proximity sensor is normally operated, the microcontroller 202 is not always turned on, and most of the time, the device is in deep sleep and periodically wakes up only for a short time to detect the input change amount from the proximity sensor. Read. At this time, the proximity sensor to be used can apply one of various methods currently used in various fields. That is, there is a method of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radiation emitted from the human body, a method using a combination of the infrared LED and the sensor to use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reflected from the proximity. The proximity sensor 201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t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ag device without a built-in proximity sensor may be configured. In other words, the tag device with the built-in proximity sensor 201 will be used in an area that is very small, battery-powered, and requires proximity recognition, such as a tag in an exhibition guide system. Tag devices that do not have 201 built in will also be used.

도 3은 본 발명의 태그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ta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그 장치는 평상시에는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끄고 근접하는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기만 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최소 전력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는데 성공(301)하면,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켜고 블루투스 접속 스캐닝(Inquiry Scan)을 시작(302)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접속 신호(Inquiry Signal)를 기다린다.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접속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을 완료(303)하면 블루투스 접속 스캐닝(Inquiry Scan)을 끝(305)내고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끈 다음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근접 감지 단계부터 시작한다. 근접 감지에 성공(301)하여 블루투스 장치를 켜고 접속 스캐닝(Inquiry Scan)을 할 때 오동작이나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시간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이 초과(304)되면 강제로 블루투스 접속 스캐닝(Inquiry Scan)을 끝(305)내고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끄는 과정을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의 제한 시간은 태그 장치 내의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켜져서 스마트폰의 접속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 보다는 충분히 길게 하여야 인식 실패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t minimum power by repeatedly turning off the Bluetooth transceiver and detecting only whether there is an object in proximity. At this time, if it succeeds in detecting an object in close proximity (301), the Bluetooth transceiver is turned on and starts a Bluetooth Inquiry Scan (302) to wait for an Inquiry Signal from the smartphone. Receiving a connection signal from the smartphone and completing a response thereto (303), the Bluetooth connection scanning (Inquiry Scan) (305), the end of the Bluetooth transceiver (Turn off) and then go back to the beginning to start from the proximity detection step. When the proximity detection is successful (301) and the Bluetooth device is turned on and the Inquiry Scan is performed, a time limit is set to minimize malfunction or battery consumption. End 305) and turn off the Bluetooth transceiver. The time limit should be long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Bluetooth transceiver in the tag device to turn on to receive and respond to the smartphone's access signal to minimize the recognition failure rate.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의 동작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of operation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ID 인식 동작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ID 인식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야 하는데,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스마트폰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접속(Inquiry) 동작을 시작(401)하여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찾기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본 발명의 태그 장치에 가까이 근접시키면 앞서 도 3에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태그 장치의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동작을 시작하여 접속 스캐닝(Inquiry Scan)을 시작하고, 스마트 폰의 상기 접속(Inquiry) 신호를 받으면 이에 응답하게 된다. 스마트폰이 이 응답 신호의 수신에 성공(402)하면 태그 장치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Bluetooth Device Address)를 획득하게 되고, 이를 유일한 ID로 사용하여 해당 태그 장치를 구별하여 이에 상응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응하는 동작이란 본 발명의 ID 인식 방법을 응용하는 분야에 따라서 각각 달리 제작된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알고리듬을 말한다. 즉 박물관의 전시물 안내 시스템과 같이 태그 장치가 붙어있는 대상의 상세 정보가 스마트폰에 뜨는 콘텐츠 브라우징(403)이 일어날 수도 있고, 정해진 전화 번호로 자동으로 전화가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콘텐츠 브라우징(403)은 응용프로그램 내에 내장된 오프라인 콘텐츠를 사용할 수도 있고, 무선랜(WiFi)이나 이동통신(3G)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에 담겨있는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가져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ID 인식 후 이에 상응하는 동작의 수행이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종료시키면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은 다시 ID를 인식하는 모드로 전환(404)되어 블루투스 접속(Inquiry)을 시작하여 다른 태그 장치의 인식을 시도하게 된다.For the ID recogni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Bluetooth function should be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In addi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ID,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must be execute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smartphone starts a Bluetooth connection (Inquiry) operation as shown in FIG. 4 and starts searching for a Bluetooth device in the vicinity. . At this time, when the user moves the smartphone closer to the t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Bluetooth transceiver of the tag device starts operation to start an access scan, and the connection of the smartphone ( Inquiry) responds when it receives a signal. When the smartphone successfully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402), it acquires the Bluetooth device address of the tag device, and uses the ID as a unique ID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tag device and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Corresponding operation refers to a user interface or algorithm of a smartphone application, which is produc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ield of application of the ID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tent browsing 403 i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f an object with a tag device, such as a museum exhibition guide system, is displayed on a smartphone may occur, or a call may be automatically made to a predetermined phone number. The content browsing 403 may use offline content embedded in an application program, or may bring content containe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online through a wireless LAN (WiFi) or a mobile communication (3G). As such, when the ID is completed an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completed or the user terminates,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is switched to the mode of recognizing ID again (404) to start the Bluetooth connection (Inquiry) to recognize the other tag device. Will try.

그런데, 블루투스는 원래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의 하나로써, RFID와 같이 무전원 태그를 이용하여 초 근접거리에서 ID 인식을 하는 것과는 용도가 다른 통신 수단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블루투스를 ID 인식하는 용도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블루투스는 통신 거리가 너무 멀어서 사용자가 원치 않는 태그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ID 인식이 일어날 수 있는 오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즉 사용자가 명백히 ID 인식을 원하는 태그와만 통신을 하기 위해 태그 장치에 근접 센서를 두고 스마트폰이 여기에 접근할 때에만 블루투스 장치가 켜지도록 하였지만, 동 시간 대에 근거리에서 두 대의 스마트폰이 각각 다른 태그 장치에 근접하였을 때에는 서로 교차로 인식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오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태그 장치와 스마트폰에 각각 아래와 같은 부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By the way, Bluetooth is one of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is a communication means different from that of ID recognition at a very close distance by using a non-powered tag such as RFID. The biggest problem in using Bluetooth as an ID recogni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ID recognition may occur by communicating with a tag device that the user does not want because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too long. . In other words, in order to communicate only with tags that the user obviously wants to recognize, the proximity sensor is placed on the tag device and the Bluetooth device is turned on only when the smartphone approaches it. When approaching other tag devices, the possibility of being recognized as crossing each other cannot be exclud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this error, the following additional functions can be added to the tag device and the smartphone, respectively.

우선 태그 장치에 부가할 수 있는 기능을 보면, 사용자가 ID 인식을 하려고 스마트폰을 가까이 근접한 태그 장치와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태그 장치를 구별하는 방법은 이들 태그 장치의 무선 송신 출력(RF Output Power)을 대폭 줄여서 초 근거리에서만 스마트폰이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실험적으로 정상적인 블루투스 송신 출력인 0dBm에서 30~40dB 정도까지 줄여도 초 근거리에서는 통신에 지장이 없었으며, 2~3m 떨어진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는 통신이 어려워져 상기와 같은 오류 가능성을 대폭 줄여주었다.First of all, the function that can be added to the tag devices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tag devices in close proximity of the smartphone and the other tag devices in the short distanc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D. This greatly reduces the smartphone's ability to receive signals at very short ranges. Experimentally, reducing the normal Bluetooth transmission power from 0dBm to 30 ~ 40dB did not interfere with the communication in the ultra short range, and it wa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other Bluetooth devices 2 ~ 3m away, great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he above error.

오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폰에 부가할 수 있는 기능으로는, 태그 장치로부터 오는 신호가 근접거리에서 오는 신호인지 멀리에서 오는 신호인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RSSI)를 분석하여 세기가 일정 수준보다 낮은 신호는 무시해버리는 알고리듬을 적용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ID 인식을 위해 근접시킨 초 근거리에 있는 태그 장치에서 오는 신호는 근처의 다른 태그 장치가 보내는 신호보다 월등히 큰 신호로 스마트폰에 수신되기 때문에, 예컨대 -60dBm 이상의 수신신호 세기(RSSI)를 갖는 신호만 근접 태그로부터 오는 유효한 신호로 간주하여 받아들일 경우 오류 가능성을 대폭 줄여준다.Functions that can be added to a smartphon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error include analyz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SSI) to distinguish whether the signal coming from the tag device is from near or far. Signals below the level are applied with an algorithm that ignores them. Since the signal coming from the tag device in the ultra short distance that the user is close to for ID recognition is received by the smartphone as a signal that is far greater than that of other nearby tag devices, for example, it has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60 dBm or more. Accepting only the signal as a valid signal from the proximity tag greatly reduces the likelihood of error.

상기와 같은 2가지 알고리듬을 태그장치와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에 적용할 경우 교차 인식으로 인한 오류를 대폭 줄여주어 본 발명의 ID 인식 방법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여준다. 이와 같은 오류 감소 방법까지 적용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ID 인식 방법은 모바일 결재와 같은 높은 보안을 요하는 분야에는 적용하지는 못하지만, 스마트폰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물 안내시스템과 같은 사물 인식 분야에는 충분히 실용적인 ID 인식 방법을 제공해줄 것이다.When the above two algorithms are applied to the tag device and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the error due to the cross-recognition is great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the ID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Bluetooth ID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pplies such an error reduction method, does not apply to a field requiring high security such as mobile payment, an ID recognition method that is practical enough for an object recognition field such as a museum exhibition guide system using a smartphone is used. Will provide.

103 : 스마트폰 104 : 본 발명의 태그 장치
201 : 근접센서 203 : 블루투스 송수신기
103: smartphone 104: t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Proximity sensor 203: Bluetooth transceiver

Claims (6)

스마트폰에 내장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ID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유의 ID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상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보유한 ID 정보를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태그 장치;
상기 태그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고유 ID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미리 결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이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를 탐색할 때 이를 수신한 주변의 태그 장치가 이 탐색 신호에 대해 응답함으로써 ID 인식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ID 인식 방법
As an ID recognition method using a Bluetooth function built into a smartphone,
A tag device that stores unique ID informa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smartphone via Bluetooth to transmit the held ID information to an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A smart phone application program that obtains unique ID information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tag device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based on the unique ID information;
When a smart phone application searches for a nearby Bluetooth device, an ID recognition method is performed by a tag device near the receiving device responding to the search signal to recognize the 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능 태그 장치의 동작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항상 기기 검색 신호 탐색(Inquiry Scan)을 하지 않고, 평상시에는 근접센서만 동작시키면서 스마트폰이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다가 그것이 감지되면 기기 검색 신호 탐색을 시작하고, 기기 검색 신호(Inquiry Signal)에 응답을 마쳤거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근접센서만 동작하는 최소 전력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태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function tag device,
In orde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e device does not always search the device (Inquiry Scan), usually operates only the proximity sensor to detect the smartphone approaching, if it detects the device search signal search, the device search signal After the response to the (Inquiry Signal) or after a certain time, the proximity sensor is back to the minimum power mode of operating only, characterized in that
Bluetooth function ta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적외선 방식, 정전용량 방식, 인체감지 센서 방식, 자기 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태그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ximity sensor,
Infrared method, capacitive method, human body sensor method, magnetic senso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using one of the ultrasonic method
Bluetooth function ta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 인식 과정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링크 연결의 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기 검색(Inquiry Scan) 및 이에 대한 응답(Inquiry Response)의 과정 만 수행하며, 이를 위해 블루투스 장치 주소(Bluetooth Device Address), 또는 장치 이름(Device Name)을 태그 장치마다 유일한 ID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및 블루투스 기능 태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speed up the ID recognition process, only the process of Inquiry Scan and Inquiry Response are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Bluetooth link connection, and for this, the Bluetooth Device Address is performed. ) Or using a device name as a unique ID for each tag device.
Smartphone application and Bluetooth function ta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 인식 시 동 시간 대에 복수의 태그장치에 복수의 스마트폰이 인식 동작을 함에 있어서 서로 간에 교차로 인식되는 오류를 피하기 위해,
상기 태그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의 기기 검색 신호(Inquiry Signal)에 대해 응답할 때 출력 전력을 통상적인 수준에서 대폭 낮추어 신호가 멀리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블루투스 기능의 태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avoid an error in which a plurality of smartphones are recognize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ID recognition when a plurality of smartphones are recognized at the intersec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tag device responds to the device inquiry signal (Inquiry Signal) of the smart phone has a function to significantly lower the output power at a normal level so that the signal does not reach far,
Tag device with Bluetooth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 인식 시 동 시간 대에 복수의 태그장치에 복수의 스마트폰이 인식 동작을 함에 있어서 서로 간에 교차로 인식되는 오류를 피하기 위해,
상기 태그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의 기기 검색 신호(Inquiry Signal)에 대해 응답한 것을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하여 그 유효성을 검사할 때 수신 신호 강도(RSS : Receive Signal Strength)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 강도가 작은 신호는 무시하고 일정 강도 이상의 신호만 가까이에서 발신한 태그 신호로 간주하여 받아들이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ID 인식 방법에 있어서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avoid an error in which a plurality of smartphones are recognize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ID recognition when a plurality of smartphones are recognized at the intersec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smart phone receives the tag device responding to the Inquiry Signal of the smart phone and checks its validity,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increased by using Receive Signal Strength (RSS) information. It ignores small signals and accepts only signals with a certain intensity as tag signals transmitted in the vicinity.
Smartphone application program in ID recognition method using a smartphone.
KR1020100130354A 2010-12-18 2010-12-18 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KR201200686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54A KR20120068646A (en) 2010-12-18 2010-12-18 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54A KR20120068646A (en) 2010-12-18 2010-12-18 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646A true KR20120068646A (en) 2012-06-27

Family

ID=4668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354A KR20120068646A (en) 2010-12-18 2010-12-18 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864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05A1 (en) * 2013-12-1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pairing, and mobile terminal
KR20150100969A (en) * 2014-02-24 2015-09-03 김관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on sound wave communication or BLE(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confirm
WO2020096142A1 (en) * 2018-11-08 2020-05-14 김민진 Contents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US11483673B2 (en) 2015-01-07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wirelessly connecting devices, and device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05A1 (en) * 2013-12-1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pairing, and mobile terminal
US10134357B2 (en) 2013-12-12 2018-11-20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pairing, and mobile terminal
KR20150100969A (en) * 2014-02-24 2015-09-03 김관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on sound wave communication or BLE(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confirm
US11483673B2 (en) 2015-01-07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wirelessly connecting devices, and device thereof
WO2020096142A1 (en) * 2018-11-08 2020-05-14 김민진 Contents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2817B2 (en)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establish NFC link between NFC enabled electronic devices based on proximate distance
US7643798B2 (en) Passive NFC activation of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JP5367847B2 (en) Terminal supporting enhancement typ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022666B1 (en) Method and divece for communication
JP5902358B2 (en) Device detection using load modulation in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40342671A1 (e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unit via magnetic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ethod
US20100045441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ctivation
US20140229246A1 (en) RFID Frequency Translator
US20090042565A1 (en) Connection point triggered scanning for positioning radios
JP4249033B2 (en) Portable device
RU2013103453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LOSS OF SUBJECT AND QUICK SEARCH FOR SUBJECT
AU201324553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yment function of input means
JP2008545312A (en) RFID capability optimization negotiation
JP2015503282A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in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s
JP40908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roximity transactions
CN112312372A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system
US20180107849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68646A (en) 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KR20160002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input fingerprint
JP2015023450A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short distance radio communication
KR101281832B1 (en) System for notifying location of missing dog
WO2018107530A1 (en) Intelligent identification system and intelligent bag
ES2732002T3 (en) Procedure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reactivation of a remote NFC-NFC-F based device
KR20140038034A (en) Method for choosing rfid communication mode and rfid device which supports near-field and far-field communication
EP3937062B1 (en) Electronic tag for data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