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675A -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675A
KR20120065675A KR1020100126929A KR20100126929A KR20120065675A KR 20120065675 A KR20120065675 A KR 20120065675A KR 1020100126929 A KR1020100126929 A KR 1020100126929A KR 20100126929 A KR20100126929 A KR 20100126929A KR 20120065675 A KR20120065675 A KR 20120065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put
mode
out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7930B1 (en
Inventor
손제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930B1/en
Publication of KR2012006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6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s is provided to monitor and multicast the state of the whole vehicle system by adding a function of checking the whole vehicle system. CONSTITUTION: A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s comprises a plurality of electric field devices(200), and input/output units(100). A plurality of the electric field devices is placed in the vehicles. The input/output units output status information on the electric field device. The command of users is inputted into the input/output units. The input/output units comprise a quick menu area, contents area, and a title area. A plurality of icons, in which the users prefer lists on the quick menu area. A plurality of mode areas, in which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 field device is assorted and outputted lists on the contents area. An edit button editing the contents area and the quick menu area is displayed on the title area.

Description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Vehicle user interface device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장장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grasping a state of an electric equipment of a vehicle and being convenient for a user.

자동차 기술이 점차 전자화 되어감에 따라 차량 내에 장착되는 전장장치의 수가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전장장치에는 공기조화장치, 미디어장치, 통신장치, 네비게이션장치 등이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장장치들을 통합하여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장치의 상호 연계된 편리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As automotive technology becomes more and more electronic,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mounted in vehicles is increasing. Such electronic devices include air conditioners, media devices, communication devices, and navigation devices. The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is a device for providing an interface to be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used by a user by integrating electric devices that perform these various functions and providing a user with convenient functions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종래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홈화면은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게이트 화면만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홈 하드키 또는 각 모드의 홈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키를 이용하여 홈화면으로 진입하거나 표시된 홈화면에서 가고자 하는 모드 진입키를 선택하여 모드를 천이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The home screen of a conventional vehicle user interface device is used only as a gate screen for changing a mode. In addition, by using a home hard key or a software key to enter the home screen of each mode, the system enters the home screen or selects a mode entry key to go from the displayed home screen.

이에 종래기술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장장치들을 멀티캐스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multicast electric device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또한,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능이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to manage the entire system is lack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전체시스템의 상태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easily grasp the state of the entire system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편리함을 개선하기 위해 버튼 순서 및 레이아웃 등의 편집적인 기능을 강화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editing functions such as button order and layout are enhanc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장장치와; 상기 전장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수의 아이콘이 나열되는 퀵메뉴영역과; 상기 전장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태정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모드영역이 나열되는 컨텐츠영역과; 상기 퀵메뉴영역과 상기 컨텐츠영역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버튼이 표시되는 타이틀영역를 포함한 화면을 출력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n input /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and receiving a user command, wherein the input / output device includes: a quick menu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icons preferred by a user are listed; A content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mode areas for dividing and outputting respectiv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re listed; A screen including a title area in which the quick menu area and an edit button for editing the content area is displayed is outpu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차량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차량의 전체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차량 전체시스템의 상태를 멀티캐스팅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it has the advantage of multicasting and monitoring the state of the whole vehicle system by adding the function to grasp the state of the entire system of the vehicle.

둘째, 진입모드의 버튼순서 및 레이아웃 등의 편집적인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개선하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reinforcing the editing functions such as button order and layout of the entry mode.

셋째,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users can quickly execute their favorite function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홈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영역과 퀵메뉴영역을 탐색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니터링영역을 탐색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버튼을 선택한 경우 전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편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영역의 나열순서를 변경하는 편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 장치에 표시되는 퀵메뉴영역에 아이콘을 추가하는 편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편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screen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searching a content area and a quick menu area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searching a monitoring area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is developed when a mode button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s selected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it screen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it screen for changing an order of arranging mode areas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it screen for adding an icon to a quick menu area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it screen for changing a layout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장장치(200)와; 전장장치(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출력장치(100)와 복수의 전장장치(200)와 입출력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00)를 포함한다. 1 and 2,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aratuses 200 provided in a vehicle; Outputs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stores the input and output device 100,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device 100, the user's command is input and stores the information A portion 400 is included.

복수의 전자장치에는 공기조화장치(230), 승객 감지장치(250), 네비게이션장치(240), 미디어장치(220), 통신장치(미도시), 타이어공기압측정장치(미도시), 에어백 장치(210) 등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e an air conditioner 230, a passenger sensing device 250, a navigation device 240, a media device 220, a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a tire air pressure measuring device (not shown), and an airbag device ( 210) and the like.

에어백 장치(210)는 차량 충돌시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여 승객을 보호한다. 에어백 장치(210)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운전석 앞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조수석 앞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및 승객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커튼에어백을 포함한다.The airbag device 210 protects the passenger by deploying the airbag cushion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The airbag device 210 includes a driver airbag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to protect the driver, a passenger seat airbag installed in front of the passenger seat to protect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and curtain airbag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vehicle to protect the passenger's side. .

공기조화장치(23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등을 조절한다. 공기조화장치(230)는 냉매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공기와 내부공기를 열교환시켜 차량의 난방 또는 냉방을 조절한다.The air conditioner 230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o adjust the temperature, humidity, cleanliness of the air, and the like. The air conditioner 230 controls the heating or cooling of the vehicle by heat-exchanging the outside air with the inside air of the vehicle using a refrigerant.

네비게이션 장치(240)는 위성항법장치인 GPS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준다.The navigation device 240 informs the driver of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using GPS, which is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미디어장치(220)는 차량의 오디오와 비디오장치를 제어하며, 저장부(400)에 음악정보나 동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호출하여 이를 재생한다.The media device 220 controls the audio and video devices of the vehicle, stores the music information or the video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400, and calls the music or video desired by the user to play it.

통신장치(미도시)는 차량 내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와이파이존을 형성하거나 블루투스기능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중에 안전하게 통화할 수 있게 한다.A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may form a Wi-Fi zone to use the Internet in a vehicle or use a Bluetooth function to allow a driver to safely talk while driving.

승객 감지장치(250)는 차량의 시트내에 승객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였는지를 감지한다. 감지한 정보는 에어백 장치(210)에 전달되고, 차량 충돌시 승객이 탑승한 좌석에만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한다.The passenger detection device 250 mounts a passenger detection sensor in the seat of the vehicle to detect whether the passenger is in the vehicle. The det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irbag device 210, an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airbag is deployed only in the seat of the passenger.

다만,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력을 나타내는 타이어공기압측정장치(미도시), 승객이 안전벨트를 장착하였는지를 알려주는 경고장치(미도시) 등의 기능을 가진 전장장치(2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lectric equipment 200 having a function such as a tire air pressure measuring device (not shown) indica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nd a warning device (not shown) indicating whether the passenger is fitted with a seat belt may be further included. have.

입출력장치(100)는 사용자가 쉽게 전장장치(200)에 대한 상태정보를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사용자인 운전자석 전방측에 배치된다.The input / output device 100 may be disposed at the driver's seat in front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may easily view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user may easily input a command.

또한, 입출력장치(100)는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또는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력장치(100)는 터치패드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인 경우이다. 입출력장치(100)는 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상태 정보를 보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visually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or a finger mouse. It may include an input device consisting of 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s a case in which the touch pad is a touch screen forming a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device.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display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rough which a user can view status information through a graphic and input a command.

입출력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수의 아이콘(131)이 나열되는 퀵메뉴영역(130)과; 전장장치(200)에 대한 각각의 상태정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모드영역(121)이 나열되는 컨텐츠영역(120)과; 퀵메뉴영역(130)과 컨텐츠영역(120)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버튼(111)이 표시되는 타이틀영역(110)를 포함한 화면을 출력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ncludes a quick menu area 130 listing a plurality of icons 131 preferred by a user; A content area 120 in which a plurality of mode areas 121 for dividing and outputting respectiv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re listed; A screen including a title area 110 in which an edit button 111 for editing the quick menu area 130 and the content area 120 is displayed is outpu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제어부(300)는 복수의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가 입출력장치(100)에 출력되도록 하거나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복수의 전장장치(20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aratuses 200 to outpu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aratuses 200 to the input / output apparatus 100 or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apparatus 100.

제어부(300)는 저장부(400)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부(400)에 저장된 정보를 호출한다The controller 300 stores information in the storage 400 or calls up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400.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는 복수의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나 저장부(4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호출하고, 상기 정보를 입출력장치(10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에 따라 전장장치(200)를 제어하거나 저장부(400)에 정보를 입력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00 calls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aratus 200 or the appl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and outputs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input and output device 100 In order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input selected by the user, or input information to the storage unit 400.

저장부(40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400)는 복수의 전장장치(200)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미디어장치(220)의 음악, 동영상 정보 또는 통신장치(미도시)의 전화번호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0 sto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unit 400 store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aratuses 200 or stores information input by a user. Therefore, music, video information of the media device 220 or phone number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may be sto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홈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screen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100)에 표시되는 홈화면은 하측에 표시되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수의 아이콘(131)이 나열되는 퀵메뉴영역(130)과; 상측에 표시되어 퀵메뉴영역(130)과 컨텐츠영역(120)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버튼(111)이 표시되는 타이틀영역(110)과; 타이틀영역(110)과 컨텐츠영역(120)사이에 표시되어 전장장치(200)에 대한 각각의 상태정보 및 저장부(4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정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모드영역(121)이 나열되는 컨텐츠영역(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home screen displayed o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uick menu area 130 listing a plurality of icons 131 preferred by the user displayed on the lower side; A title area 110 displayed on the upper side and displaying an edit button 111 for editing the quick menu area 130 and the content area 120; A plurality of mode areas 121 are displayed between the title area 110 and the content area 120 to distinguish and output respectiv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appl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The content area 120 is included.

제어부(300)가 복수의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호출하여 호출된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입출력장치(100)에 상술한 홈화면을 출력하도록 신호를 보내면, 입출력장치(100)는 상술한 홈화면을 표시한다.When the control unit 300 call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aratuses 200 and send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alled electrical apparatus 200 to the input / output apparatus 100 to output the aforementioned home screen, the input / output apparatus 100 ) Displays the aforementioned home screen.

퀵메뉴영역(130)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수의 아이콘(131)이 일렬로 나열된다. In the quick menu area 130, a plurality of icons 131 preferred by the user are arranged in a line.

아이콘(131)은 전장장치(200)의 종류, 사용자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을 바로 연결한다.The icon 131 directly connects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n application that the user prefers, music or a video that the user prefers, and the like.

또한, 아이콘(131)은 아이콘(131)의 내용을 상징하는 이미지 심벌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on 131 may be displayed as an image symbol symbolizing the contents of the icon 131.

컨텐츠영역(120)에는 전장장치(200)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 이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이 출력된다.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or 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s output to the content area 120.

전장장치(200)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에는 네비게이션 장치(240)에 대한 모드영역(121), 미디어장치(220)에 대한 모드영역(121), 통신장치에 대한 모드영역(121) 등을 포함한다. 다만, 화면에는 일부 전정장치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이 출력된다. 따라서 나머지 전장장치(200)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컨텐츠영역(120)을 플릭(Flick)하면 된다. 이하 나머지 전장장치(200)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mode area 121 for the navigation device 240, a mode area 121 for the media device 220, a mode area 121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It includes. However, 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some pruning devices is output to the screen. Accordingly, in order to output 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electronic device 200, the content area 120 may be flicked by hand.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outputting 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electronic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전장장치(200)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에는 전장장치(200)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영역(121b)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장장치(200)를 선택하는 모드버튼(121a)을 포함한 화면이 출력된다.   In 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equipment 200, a monitoring area 121b for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equipment 200 and a mode button 121a for selecting the electric equipment 200 to be used by the user. ) Is displayed.

애플리캐이션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에도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영역(121b)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모드버튼(121a)을 포함한 화면이 출력된다.A screen including a monitoring area 121b for outputt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a mode button 121a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to be used by the user is also output to 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모니터링영역(121b)에는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출력된다. 본 실시예의 미디어장치(220)의 모니터링영역(121b)에는 재생중인 노래제목, 다음 곡이나 이전곡을 선택하는 버튼 및 노래앨범의 표지그림이 출력된다.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re output to the monitoring area 121b. In the monitoring area 121b of the media device 2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ong title being played, a button for selecting a next song or a previous song, and a cover picture of a song album are output.

모드버튼(121a)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장장치(200)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모드버튼(121a)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300)는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저장부(400)에 저장된 정보나 전장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호출한다. 본 실시예의 미디어장치(220)의 모드버튼(121a)에는 "Media"라는 미디어장치(220)에 대한 모드영역(121)이라는 표시가 화면에 출력된다. 이후 모드버튼(121a)이 선택된 경우는 도 6에서 상술한다.The mode button 121a is a button for selecting the electronic device 200 or an application to be used by the user. When the user touches the mode button 121a, the controller 300 input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t receiv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or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ic equipment 200. In the mode button 121a of the media device 2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isplay indicating the mode area 121 for the media device 220 called "Media" is output on the screen. Subsequently, the mode button 121a is selec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타이틀영역(110)에는 모드영역(121)과 아이콘(131)의 나열순서를 변경하거나 퀵메뉴영역(130)에 아이콘(131)을 추가할 수 있거나 모드영역(121)의 나열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편집버튼(111)이 좌측에 출력된다.The title area 110 can be edited to change the order of the mode area 121 and the icon 131, to add the icon 131 to the quick menu area 130, or to change the mode of the mode area 121. The button 111 is output on the left side.

또한 타이틀영역(110)에는 우측에는 홈화면을 뜻하는 "Home"이라는 글자가 출력된다.In the title area 110, the word “Home”, which means a home screen, is output on the right side.

편집버튼(111)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모드영역(121)의 나열순서를 변경하거나, 퀵메뉴영역(130)에 복수의 아이콘(131)의 나열순서 변경 및 아이콘의 추가할 수 있는 편집화면을 입출력장치(100)에 출력되도록 한다. 편집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고하여 후술한다.When the edit button 111 is selected, input / output edit screens in which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mode areas 121 are changed or the order in which the icons 131 are changed and the icons can be added to the quick menu area 130 can be changed. Output to device 1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dit scree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영역과 퀵메뉴영역을 탐색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searching a content area and a quick menu area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영역(120)과 퀵메뉴영역(130)을 탐색하는 화면은, 상술한 타이틀영역(110), 컨텐츠영역(120)과 퀵메뉴영역(1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screen for searching the content area 120 and the quick menu area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itle area 110, the content area 120, and the quick menu area 130. It includes.

컨텐츠영역(120)에는 복수의 전장장치(200) 중 일부 전장장치(200)에 대응한 복수의 모드영역(121)이 나열되어 출력된다. The content area 120 lists and outputs a plurality of mode areas 121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이에 나머지 전장장치(200)에 대응한 상태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가 모드영역(121)이 나열된 일방향으로 플릭(Flick)하면 제어부(300)가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나머지 전장장치(200)에 상태정보를 호출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know the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user flicks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mode area 121 is listed,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the rest is received. Call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제어부(300)는 호출된 나머지 전장장치(2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입출력장치(100)에 출력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00 outputs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electronic device 200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따라서,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플릭(Flick)한 방향의 모드영역(121)은 화면옆으로 밀려나면서 화면에 출력되지 않게 하고, 사용자가 플릭(Flick)한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호출된 나머지 전장장치(200)에 대한 모드영역(121)이 입출력장치(100)에 출력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0 prevents the mode area 12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flicks the screen from being pushed out to the side of the screen and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ode area 121 for the device 200 is output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이에 입출력장치(100)는 사용자가 플릭(Flick)한 방향의 모드영역(121)은 화면옆으로 밀려나면서 화면에 출력되지 않게 하고, 사용자가 플릭(Flick)한 방향의 반대방향에 새로운 모드영역(121)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로서 복수의 전정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입출력장치(100)에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prevents the mode area 121 in a direction flicked by the user from being pushed to the side of the screen and is not outputted to the screen, and a new mode are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flicked by the user. 121)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result,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can outpu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runing apparatuses 200.

여기서 플릭(Flick)이라 함은 손가락으로 컨텐츠영역을 튀기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플릭(Flick)은 동일한 뜻을 의미한다.Here, the flick means to flip the content area with a finger. Hereinafter, Flick means the same thing.

본 실시예에서는 네비게이션장치(240)의 모드영역(121)쪽으로 플릭(Flick)을 하게 되면, 공조장치에 대응하는 모드영역(121)이 컨텐츠영역(12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장치(100)는 차량의 전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lick is performed toward the mode area 121 of the navigation device 240, the mode area 121 corresponding to the air conditioner may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content area 120. Therefore,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can outpu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ntire system of the vehicle on the screen.

이때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장치(240)의 모드영역(121)쪽으로 플릭(Flick)을 하게 되면 공조장치에 상태정보를 호출하게 되고, 공조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전달받으면 이를 컨텐츠영역(12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릭(Flick)의 방향이 다를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flicks toward the mode area 121 of the navigation device 240, the control unit 300 calls status information to the air conditioner, and when the user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air conditioner, the content area 120.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flick may be different.

퀵메뉴영역(130)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수의 아이콘(131) 중 일부 아이콘(131)만이 일렬로 나열되어 출력된다.In the quick menu area 130, only some icons 131 of the plurality of icons 131 preferred by the user are arranged in a line and output.

이에 나머지 아이콘(131)을 탐색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가 아이콘(131)이 나열된 일방향으로 플릭(Flick)하면 제어부(300)가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저장부(400)에 저정된 나머지 아이콘(131)에 대한 정보를 호출한다.When the user wants to search the remaining icons 131, when the user flicks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icons 131 are listed,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icon 131 is called.

이에 제어부(300)는 저장부(400)에서 호출된 나머지 아이콘(131)의 정보를 입출력장치(100)에 출력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300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icon 131 called from the storage 400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따라서,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플릭(Flick)한 방향의 아이콘(131)은 화면옆으로 밀려나면서 화면에 출력되지 않게 하고, 사용자가 플릭(Flick)한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호출된 나머지 아이콘(131)이 입출력장치(100)에 출력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300 prevents the icon 131 in the direction flicked by the user from being pushed to the side of the screen and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remaining icons ca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licked direction of the user ( 131 outputs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이에 입출력장치(100)는 사용자가 플릭(Flick)한 방향의 아이콘(131)은 화면옆으로 밀려나면서 화면에 출력되지 않게 하고, 사용자가 플릭(Flick)한 방향의 반대방향에 호출된 아이콘(131)이 출력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릭(Flick)의 방향이 다를 수 있다.Accordingly,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prevents the icon 131 in the direction flicked by the user from being pushed to the side of the screen and is not output on the screen, and the icon 131 ca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flicked by the user. ) Is output.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flick may be differ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니터링영역을 탐색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searching a monitoring area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영역(121b)을 탐색하는 화면은 컨텐츠영역(120)에 표시되는 모드영역(121)은 전장장치(200)에 대한 상태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영역(121b)과 전장장치(200)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모드버튼(121a)을 포함한 화면을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creen for searching the monitoring area 121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 area 121 displayed on the content area 120. A screen including a monitoring area 121b for outputting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a mode button 121a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is output.

제어부(300)는 전장장치(200)로부터 상태정보를 호출받아, 이를 모니터링 영역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다만,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하나의 상태정보만이 모니터링영역(121b)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300 receives the stat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area. However, whe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200 is plural, only one state information i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area 121b.

따라서, 모니터링영역(121b)에 출력되는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가 복수개있는 경우, 나머지 다른 상태정보를 사용자가 보기위해서는 복수의 모드영역(121)이 나열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플릭(Flick)하면 된다.Therefo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ate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output to the monitoring area 121b, the user may view the other state information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mode areas 121 are arranged. Flick in the direction.

사용자가 복수의 모드영역(121)이 나열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플릭(Flick)하면,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나머지 상태정보를 모니터링영역(121b)의 화면에 출력해달라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나머지 상태정보가 모니터링영역(121b)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flick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mode areas 121 are listed, the controller 300 inputs a user's input to output the remain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area 121b. The remaining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on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area 121b.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모니터링영역(121b)에 대해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미디어장치(220)의 상태정보가 출력된 모니터링영역(121b)을 플릭(Flick)하면, 재생시간, 이전곡이나 다음곡에 대한 노래제목 등에 대한 정보가 탐색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monitoring area 121b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flicks the monitoring area 121b in whic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media device 220 is output, the monitoring time 121b is recorded in the playback time, the previous song, or the next song. Information about a song title, etc. may be searched.

다만,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가 한개있는 경우, 복수의 모드영역(121)이 나열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플릭(Flick)하여도 상기 정보가 플릭(Flick)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재자리로 위치하게 된다.However, when there is only one state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information is in the flick direction even if the flick is per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mode areas 121 are arranged. It will move and reposition itself.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릭(Flick)의 방향이 다를 수 있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flick may be differe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버튼을 선택한 경우 전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is developed when a mode button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s selected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드버튼(121a)을 선택한 경우에 전개되는 화면은 모드영역(121)에 대응하는 전장장치(200)의 상세한 상태정보 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의 상세한 정보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6, a screen developed when the mode button 121a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ailed state information or the storage unit 400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mode area 121. Prin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stored in.

모드버튼(121a)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제어부(300)는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선택된 전장장치(200) 또는 애플리캐이션의 정보를 호출하고, 호출된 정보가 입출력장치(100)에 출력되도록 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mode button 121a,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calls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onic device 200 or an application, and the called information is input / output device 100. To be printed).

모드버튼(121a)에는 해당 전장장치(200)의 명칭 또는 약자가 출력된다. 또한 모드버튼(121a)에는 애플리캐이션을 의미하는 심볼, 명칭 또는 약자가 출력된다.The mode button 121a outputs a name or abbrevi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 device 200. In addition, the mode button 121a outputs a symbol, name, or abbreviation indicating an application.

본 실시에서 사용자가 "Media"라고 출력된 모드버튼(121a)을 선택한 경우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user selects the mode button 121a output as "Media".

사용자가 선택한 전장장치(200)는 미디어장치(220)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미디어장치(220)의 모드버튼(121a)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300)는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미디어장치(220)의 음악정보와 동영상정보가 저장된 저장부(400)에 상술한 정보를 호출하고, 미디어장치(220)에도 상세한 상태정보를 호출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mode button 121a of the media device 220 as the electronic device 200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3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receives the media.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is called to the storage unit 400 in which music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of the device 220 are stored, and detailed state information is also called to the media device 220.

이후 제어부(300)는 호출된 음악정보, 동영상정보 및 상세한 상태정보를 아이콘(131)형식으로 입출력장치(100)에 출력되도록 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300 outputs the called music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nd detailed state information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n the form of an icon 131.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정보나 동영상정보를 선택한다면, 제어부(300)는 미디어장치(220)에 원하는 음악 또는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미디어장치(220)를 제어한다.Therefore, if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music information or video information,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media device 220 to play the desired music or video on the media device 220.

또한 제어부(300)는 재생중인 미디어장치(220)에 상태정보를 호출하고, 호출된 미디어장치(220)의 상태정보를 입출력장치(100)에 출력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0 calls status information to the media device 220 that is playing, and outpu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alled media device 220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편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it screen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화면은 모드영역(121)의 나열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는 플러스마크(121c)를 출력한 컨텐츠영역과, 아이콘(131)의 나열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는 금지마크(132)를 출력한 퀵메뉴영역(130)과, 편집을 종료할 수 있는 마침(Done)버튼과 모드영역(121)의 나열방법을 선택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레이아웃버튼(112)을 출력한 타이틀영역(1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ed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ange the order of arranging the content area and the order of the icon 131 that output the plus mark 121c indicating that the order of the mode area 121 may be changed. Layout button 112 for outputting the Quick Menu area 130 that outputs the prohibition mark 132, a Finish button for finishing editing, and a screen for selecting a method of arranging the mode area 121. And a title area 110 outputted.

레이아웃버튼(112)은 타이틀영역(110)의 중간지점에 배치되고, 마침(Done)버튼은 타이틀영역(110)의 우측 일단에 표시되어 화면에 출력된다.The layout button 112 is disposed at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title area 110, and the finish button is displayed at one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title area 110 and output to the screen.

레이아웃버튼(112)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ase where the user selects the layout button 11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마침버튼(113)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제어부(300)는 입출력장치(100)의 명령을 입력받아 전장장치(200)의 상태정보와 저장부(400)에 저장된 애플리캐이션 정보를 호출하고, 호출된 정보를 입출력장치(100)에 출력되도록 한다. 즉, 홈화면으로 되돌아 간다.When the user selects the finish button 113,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command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call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The called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n other words, it returns to the home screen.

또한 금지마크(132)는 아이콘(131)의 좌측 위의 모서리에 표시되도록 화면에 출력되고, 플러스마크(121c)는 맨 좌측의 모드버튼(121a)에 표시되도록 화면에 출력된다.In addition, the forbidden mark 132 is output on the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icon 131, the plus mark 121c is output to the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leftmost mode button 121a.

상술한 금지마크(132)와 플러스마크(121c)는 컨텐츠영역(120)과 퀵메뉴영역(130)을 편집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The above-described prohibition mark 132 and the plus mark 121c inform the user that the content area 120 and the quick menu area 130 can be edi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영역의 나열순서를 변경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changing an arrangement order of mode areas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영역(121)의 나열순서를 변경하는 화면은 상술한 편집화면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8, the screen for changing the order of arranging the mode areas 12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diting screen.

사용자가 모드영역(121)의 나열순서를 변경하고픈 모드영역(121)을 선택하여 원하는 나열위치로 드래그(Drag) 경우, 제어부(300)는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입력된 명령대로 입출력장치(100)에 모드영역(121)의 나열순서를 출력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mode area 121 to change the order of the mode area 121 and drags the desired area area to the desired location position,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s the input command. The order of arranging the mode areas 121 is output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본 실시에서는 편집화면에서 나열순서의 변경을 통신장치의 모드영역(121)를 손으로 선택한다. 통신장치의 모드영역(121)을 선택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드래그(Drag)한다. 이때 통신장치의 모드영역(121)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미디어장치(220)의 모드영역(121)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릭(Flick)하여 모드영역(121)의 나열순서를 변경할 수 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de area 121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is selected by hand in order to change the arrangement order on the edit screen. The mode area 121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selected and dragged to the left. At this time, the mode area 121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oves to the left side, and the mode area 121 of the media device 220 moves to the right side.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arranging the mode regions 121 may be changed by flick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집화면에서 상술한 모드영역(121)의 나열순서를 변경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퀵메뉴영역(130)의 복수의 아이콘(131)의 나열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icons 131 of the quick menu area 130 may be chan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changing the order of arranging the mode area 121 in the edit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 장치에 표시되는 퀵메뉴영역에 아이콘을 추가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adding an icon to a quick menu area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le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메뉴영역(130)에서 아이콘(131)을 추가하는 화면은, 미디어장치(220)의 상세한 상태정보와 저장부(400)에 저장된 음악, 동영상정보를 아이콘(131)형식으로 출력된 컨텐츠영역과, 복수의 아이콘(131)이 출력된 퀵메뉴영역(130)과, 편집을 종료할 수 있는 마침(Done)버튼과 모드영역(121)의 나열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레이아웃버튼(112)을 출력한 타이틀영역(1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a screen for adding an icon 131 in the quick menu area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ailed state information of the media device 220 and music and video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A method of arranging a content area in which information is output in the form of an icon 131, a quick menu area 130 in which a plurality of icons 131 are output, a finish button for finishing editing, and a mode area 121 It includes a title area 110 that outputs a layout button 112 that can be changed.

사용자가 퀵메뉴영역(130)에 추가하기 원하는 아이콘(131)을 선택하여 퀵메뉴영역(130)으로 드래그(Drag)한 경우, 제어부(300)는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입력된 명령대로 입출력장치(100)에 선택된 아이콘(131)이 추가되어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selects an icon 131 to be added to the quick menu area 130 and drags the icon to the quick menu area 130, the controller 3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inputs the command. As such, the selected icon 131 is added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to be output.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영역(120)에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음악 또는 동영상정보가 복수의 아이콘(131)형식으로 화면에 출력된다. 이에 사용자는 퀵메뉴영역(130)에 추가되길 원하는 아이콘(131)을 손으로 선택하여, 퀵메뉴영역(130)으로 드래그(Drag)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릭(Flick)하여 퀵메뉴영역(130)에 선호하는 아이콘(131)을 추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usic or video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is output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icons 131 in the content area 120. Accordingly, the user selects by hand the icon 131 desired to be added to the quick menu area 130 and drags it to the quick menu area 130. However,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icon 131 may be added to the quick menu area 130 by flick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편집화면에서 상술한 퀵메뉴영역(130)에 아이콘(131)을 추가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모드영역(121을 추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d the mode area 121 preferred by the user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adding the icon 131 to the above-mentioned quick menu area 130 on the edit scree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편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it screen for changing a layout displayed on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vehicular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화면은모드영역(121)을 일렬로 나열하는 방법과 바둑판형식으로 나열하는 방법이 출력된 컨텐츠영역과,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수의 아이콘(131)이 출력된 퀵메뉴영역(130)과, 편집을 종료할 수 있는 마침(Done)버튼이 출력된 타이틀영역(1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a screen for changing a lay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area outputting a method of arranging the mode areas 121 in a line and a method of arranging the tiles in a form of a tile, and a plurality of user preferences. It includes a quick menu area 130, the icon 131 is outputted, and a title area 110, the output of the finish button (Done) to end the editing

출력장치에 출력된 복수의 나열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나열방법에 따라 복수의 모드영역(121)이 컨텐츠영역(120)에 나열된다.When one of the plurality of listing methods output to the output device is selected, the plurality of mode areas 121 are listed in the content area 120 according to the selected listing method.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영역(121)의 나열방법을 선택하고, 마침버튼(113)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300)는 입출력장치(10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입력된 명령대로 입출력장치(100)에 선택된 나열방법으로 모드영역(121)을 나열하여 출력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method of arranging the mode area 121 and presses the finish button 113, the controller 30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is selected by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s the input command. The mode area 121 is listed and output by the enumeration method.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많은 나열방법이 편집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arrangement methods may be output on the edit scree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출력장치 110: 타이틀영역
111: 편집버튼 112: 레이아웃버튼
113: 마침버튼 120: 컨텐츠영역
121: 모드영역 121a: 모드버튼
121b: 모니터링영역 121c: 플러스마크
130: 퀵메뉴영역 131: 아이콘
132: 금지마크 200: 전장장치
210: 에어백장치 220: 미디어장치
230: 공기조화장치 240: 네비게이션장치
250: 승객감지장치 300: 제어부
400: 저장부
100: input / output device 110: title area
111: Edit button 112: Layout button
113: Finish button 120: Content area
121: Mode area 121a: Mode button
121b: monitoring area 121c: plus mark
130: Quick Menu Area 131: Icon
132: prohibition mark 200: electric equipment
210: airbag device 220: media device
230: air conditioner 240: navigation device
250: passenger detection device 300: control unit
400: storage

Claims (13)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장장치와;
상기 전장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수의 아이콘이 나열되는 퀵메뉴영역과;
상기 전장장치에 대한 각각의 상태정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모드영역이 나열되는 컨텐츠영역과;
상기 퀵메뉴영역과 상기 컨텐츠영역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버튼이 표시되는 타이틀영역를 포함한 화면을 출력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A plurality of electric equipments provided in the vehicle;
It includes an input a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 the user's command is input,
The input and output device,
A quick menu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icons favored by a user are listed;
A content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mode areas for dividing and outputting respective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re listed;
And a title area including a title area on which an edit button for editing the quick menu area and the content area is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영역은 상기 복수의 전장장치 중 일부 전장장치에 대응한 복수의 모드영역이 나열되는 화면이 출력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area is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outputs a screen listing a plurality of mode area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영역은 상기 모드영역이 나열된 방향으로 플릭(Flick)하면 나머지 전장장치에 대응한 복수의 모드영역이 탐색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if the content area is flick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de areas are listed, a plurality of mode area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electronic devices are sear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영역은 상기 전장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영역과 상기 전장장치를 선택하는 모드버튼을 포함한 화면이 출력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e area is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outputs a screen including a monitoring area for outputting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and a mode button for selecting the electronic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장치에 대한 복수의 상태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영역은 상기 복수의 모드영역이 나열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플릭(Flick)하면 상기 전장장치에 대한 복수의 상태정보가 탐색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f there is a plurality of status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The monitoring area is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is searched for a plurality of status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flic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mode areas are arrang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모드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모드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한 화면을 출력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put / output device, when the mode button is selected,
And a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편집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타이틀영역에 레이아웃버튼과 마침버튼을 포함한 화면을 출력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edit button is selected, the input / output device
And a screen including a layout button and a finish button in the titl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편집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모드영역의 나열순서 변경,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나열순서 변경 및 상기 아이콘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할 수 있도록 편집화면을 출력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edit button is selected, the input / output device
And an editing screen to output at least one of changing the order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mode areas, the order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icons, and adding the ic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레이아웃버튼이 선택된 경우,
복수의 상기 모드영역의 나열방법이 표시되는 레이아웃화면을 출력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layout button is selected, the input / output device
And a layout screen displaying a method of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mode are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 output device is a user interface device for a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장치는 공기조화장치, 승객감지장치, 네비게이션장치, 미디어장치, 통신장치 및 에어백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er, a passenger sensing device, a navigation device, a media device,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airba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측에 상기 타이틀영역을 표시하고, 하측에 상기 퀵메뉴영역를 표시하고, 상기 타이틀영역와 상기 퀵메뉴영역사이에 상기 컨텐츠영역를 표시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and output device,
And a screen for displaying the title area on the upper side, the quick menu area on the lower side, and displaying the content area between the title area and the quick menu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영역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출력되는 모드영역을 포함한 화면이 출력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area is,
A vehicle user interface device outputs a screen including a mode area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KR1020100126929A 2010-12-13 2010-12-13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KR101697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29A KR101697930B1 (en) 2010-12-13 2010-12-13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29A KR101697930B1 (en) 2010-12-13 2010-12-13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75A true KR20120065675A (en) 2012-06-21
KR101697930B1 KR101697930B1 (en) 2017-01-19

Family

ID=4668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929A KR101697930B1 (en) 2010-12-13 2010-12-13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93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9675A1 (en) * 2017-07-28 2019-02-01 Psa Automobiles Sa DEVICE FOR PROVIDING A GRAPHICAL INTERFACE HAVING WIDGET PAGES IN A VEHICLE.
WO2019093624A1 (en) * 2017-11-13 2019-05-16 삼성전자(주)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10732760B2 (en) 2016-03-21 2020-08-0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473A (en) * 2004-10-04 2006-04-20 Pioneer Electronic Corp Information display device
WO2009032750A1 (en) * 2007-09-04 2009-03-12 Apple Inc. Editing interface
KR20100046049A (en) * 2007-08-21 2010-05-0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and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JP2010237784A (en) * 2009-03-30 2010-10-21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473A (en) * 2004-10-04 2006-04-20 Pioneer Electronic Corp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20100046049A (en) * 2007-08-21 2010-05-0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and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O2009032750A1 (en) * 2007-09-04 2009-03-12 Apple Inc. Editing interface
JP2010237784A (en) * 2009-03-30 2010-10-21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2760B2 (en) 2016-03-21 2020-08-0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FR3069675A1 (en) * 2017-07-28 2019-02-01 Psa Automobiles Sa DEVICE FOR PROVIDING A GRAPHICAL INTERFACE HAVING WIDGET PAGES IN A VEHICLE.
WO2019093624A1 (en) * 2017-11-13 2019-05-16 삼성전자(주)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10996824B2 (en) 2017-11-13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930B1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360B2 (en) Vehicle,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display device
KR101414850B1 (en) Operating method for a display device of a vehicle and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N102483680B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JP455014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restriction method in the same device
EP2726970B1 (en) Vehicle operation device and vehicle operation method
JP414032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U2011383475B2 (en) Operation apparatus
KR1014429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KR101575648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67110A (en) Menu operation device and method in vehicles
JP2013518768A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display and vehicle display system
WO2017111075A1 (en) On-board device, display area divid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control device
WO201608436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160105936A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or an application,and corresponding apparatus
CN105677163A (en) Concent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2013222214A (en) Display operation device and display system
KR20190068596A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interacting with proposed systems with automated operational behavior
KR101558354B1 (en) Bli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2007156991A (en) Onboard display apparatus
JP2009286175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1697930B1 (en)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KR20160052750A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particular in a vehicle and display unit for a vehicle
JP2015043144A (en) Display device
JP572895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92078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ultitude of planar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