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548A -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548A
KR20120064548A KR1020100125826A KR20100125826A KR20120064548A KR 20120064548 A KR20120064548 A KR 20120064548A KR 1020100125826 A KR1020100125826 A KR 1020100125826A KR 20100125826 A KR20100125826 A KR 20100125826A KR 20120064548 A KR20120064548 A KR 20120064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watermark
ccl
information
deforma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광
박지현
윤영석
유원영
서용석
서영호
이승재
김정현
김성민
이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548A/ko
Priority to US13/307,302 priority patent/US20120151215A1/en
Publication of KR2012006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88Multiple embedding, e.g. cocktail embedding, or redundant embedding, e.g. repea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image
    • H04N1/32304Embedding different sets of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32Robust embedding or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331Fragile embedding or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8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 H04N2201/3235Checking or certif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by comparison with data stored independent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 H04N2201/323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digital signature, watermark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는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장치와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로 구성되며,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장치는,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CCL 정보를 기초로 워터마킹하는 CCL 워터마크 적용부, 상기 CCL 워터마크 적용부에서 워터마킹된 디지털 콘텐츠에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적용부를 포함하고,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는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적용된 콘텐츠로부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에서 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로부터 CCL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CCL 워터마크 추출부 및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와 상기 추출된 CCL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내에 포함된 CCL 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CCL 진위 판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S}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과정에서 콘텐츠 및 콘텐츠에 포함된 저작권의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이 보호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기술로 흔히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사용되는데, 이는, 전자책, 음악, 비디오, 게임, 소프트웨어, 증권정보, 이미지 등의 각종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유통과 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보호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이렇게 보호된 콘텐츠를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관련 당사자에게 발생하는 이익을 관리하여 주는 상품이며 서비스이다.
한편, 저작물에 대한 이용자의 자유로운 이용을 허용하되 저작권자의 의사에 따라 일정 범위의 제한을 가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개념이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이다.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은 자신의 창작물에 대하여 일정한 조건하에 모든 이의 자유이용을 허락하는 내용의 라이선스이다. 즉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은 원칙적으로 모든 이에게 저작물의 자유로운 이용을 허용하되 몇 가지 이용방법 및 조건(저작자 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동일조건 변경허락)을 부가하는 개방적인 이용허락이다.
저작권자는 그 중 원하는 라이선스를 선택하여 저작물에 첨부하고 이용자는 첨부된 라이선스를 확인 후 저작물을 이용함으로써 당사자 사이에 개별적인 접촉 없이도 그 라이선스 내용대로 이용허락의 법률관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CCL이 포함된 콘텐츠의 이용자들은 라이선스에 제시된 이용방법 및 조건만 준수하면 법의 저촉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고, 저작권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배타적인 권리를 행사하지는 않지만, 저작자로서의 명성이나 인지도를 유지할 수 있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에 포함되는 CCL 자체가 위조되거나 변조되어, 저작자의 의도와 다르게 저작물이 변형되거나 재가공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저작물이 제대로 보호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CCL의 변조 여부를 판별하여, 관련 콘텐츠가 저작자의 의도에 따라 이용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콘텐츠의 위조나 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기존의 방법은 원본 콘텐츠의 위변조에 대한 판단은 가능 하지만,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경우, 해당 콘텐츠의 CCL정보의 위변조 여부, 즉 진위 판별은 하지 못한다. 따라서, CCL 정보를 위변조하여, 위 변조된 CCL정보에 따라서 콘텐츠가 이용함으로써, 저작권자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CCL 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CCL 정보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CCL 정보를 기초로 워터마킹하는 CCL 워터마크 적용부, 상기 CCL 워터마크 적용부에서 워터마킹된 디지털 콘텐츠에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CCL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발급하고, 발급된 워터마크 정보를 저장하는 워터마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는, 사용자가 자신이 업로드하는 콘텐츠에 CCL 정보를 워터마킹할지 여부에 대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콘텐츠 업로드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삽입된 콘텐츠는, 인터넷 공유게시판으로 업로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는 특정 변형에 깨지기 쉬운 준연성(semi-fragile)워터마킹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는 강인한(robust) 워터마킹 방법을 적용하고, 제공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워터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적용된 콘텐츠로부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에서 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로부터 CCL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CCL 워터마크 추출부 및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와 상기 추출된 CCL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내에 포함된 CCL 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CCL 진위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가시적인 CCL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CCL 정보를 파싱하는 CCL 파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CCL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적용된 콘텐츠는 인터넷 공유 게시판을 통해서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CCL 워터마크 및 변형탐지용 워터마크에 대한 발급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워터마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여기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는, 상기 워터마크 관리부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발급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되었다면 콘텐츠가 변형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되지 않았다면,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에 워터마킹된 콘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여기서, 상기 CCL 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은, 상기 추출된 CCL 워터마크와 상기 CCL 파서에서 파싱된 CCL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상기 CCL정보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가 불법적으로 변형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콘텐츠 불법변형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불법적 변형판단부는 상기 위변조 여부가 판단된 CCL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에서 콘텐츠가 변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저작자가 허용한 범위 내에서 변형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콘텐츠의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디지털 공간에서 공유되고 유통되는 콘텐츠로, 사용자로부터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CCL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공된 콘텐츠에 대하여 워터마크를 적용하는 CCL 워터마크 적용단계,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는 특정 변형에 깨지기 쉬운 준연성(semi-fragile)워터마킹 방법 또는 강인한(robust) 워터마킹 방법의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적용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워터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CCL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적용된 콘텐츠로부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단계, 상기 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로부터 CCL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에 가시적으로 저장된 CCL정보를 추출하여 파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CCL 정보와 상기 판단된 콘텐츠의 변형 여부 및 파싱된 CC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CCL 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의 판단은, 별도로 저장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발급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된 경우 콘텐츠가 변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되지 않았다면,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로 삽입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디지털 콘텐츠에 해당 콘텐츠에 포함되는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를 워터마킹하고, 또한 콘텐츠의 변형을 탐지할 수 있는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다중 워터마킹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CCL정보를 위변조하여 허용범위와 다르게 이용하는 경우 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를 판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퀀스 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콘텐츠와 함께 제공된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를 해당 콘텐츠에 워터마킹하고, 여기에 다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이중 워터마킹 과정을 통하여, 추후 콘텐츠 또는 CCL 정보가 변형되거나 위조되더라도 이를 탐지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 문서, 디지털 동영상, 디지털 오디오 파일, 아날로그 데이터의 디지털화된 정보 등 가상공간에서 유통되는 제반 디지털 콘텐츠를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를 판결하기 위한 디지털 콘텐츠 보호 장치는 인터넷 공유게시판 등과 같은 정보 공유를 위하여 제공되는 웹상의 동일한 컴퓨터 서버에서 워터마킹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할 수도 있고,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워터마킹을 위하여 특화된 별도의 하드웨어 서버에서 작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장치의 배치방법이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장치와 방법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변형이나 위조를 탐지하기 위하여 이중으로 워터마킹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장치 및 방법과 관련하여 먼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이중으로 워터마킹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과 처리과정을 살펴보고, 이중으로 워터마킹된 콘텐츠로부터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콘텐츠의 변형이나 위조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CCL 워터마크 적용부(110) 및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적용부(120), 및 워터마크 관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마크 적용부와 연동하여 워터마킹될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로더(140)와 워터마킹된 콘텐츠가 제공될 인터넷 공유게시판(15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각 구성은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CCL 워터마크 적용부(110)는 업로더(140)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CCL 정보를 워터마킹하는 부분이다.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는 압축이나 편집 등에 강인하도록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에 워터마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추후 CCL 원본과 콘텐츠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적용부(120)는 상기 CCL 워터마크 적용부에서 워터마킹된 디지털 콘텐츠의 CCL 워터마크가 변형되었는지를 탐지하기 위하여, 상기 CCL 워터마킹된 콘텐츠에 대하여,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부분이다.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는 특정 변형에 깨지기 쉬운 준연성(semi-fragile)워터마킹 방법 또는 제공된 콘텐츠 정보를 삽입하는 강인한(robust) 워터마킹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강인한 워터마킹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콘텐츠의 정보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에 적용되어, 상기 워터마킹된 콘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준연성 워터마킹 방법이 사용된다면 콘텐츠의 변형과 함께 워터마크도 깨지게 되므로, 워터마크의 변형 여부에 따라 콘텐츠의 변형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워터마크 관리부(130)는 워터마크를 발급해주고 관리해주는 서버이다. 이는 CCL 정보, 콘텐츠 정보 또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효율적으로 삽입하기 위해 워터마크를 생성하고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추출된 워터마크와 저장된 워터마크를 비교하여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업로더(140)는 블로그, UCC 등에서 파일을 게시해주는 인터페이스이다. 즉, 게시자의 콘텐츠를 해당 사이트에 알맞게 편집하거나 압축하여 올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이러한 업로더를 통해 CCL 정보를 콘텐츠에 추가하여 콘텐츠의 사용권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를 업로드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콘텐츠는 저작자가 표시된 상태로 사용되어야 하며, 상업적으로 사용될 수 없고, 동일조건에서만 변경을 허락하고 싶은 경우, 업로더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하는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업로드 하는 콘텐츠내에 선택한 CCL 정보가 포함됨으로써,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상기 CCL정보에서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콘텐츠를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CCL정보는 콘텐츠에 명백하게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업로더는 CCL의 위변조를 탐지하기 위한 워터마킹 작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CCL정보를 워터마킹할지 여부, 즉 비가시적으로 CCL정보를 콘텐츠 안에 포함시킬지를 여부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를지, 일률적으로 모든 콘텐츠에 동일한 보호정책을 적용할지 또는 등급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가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CCL 정보와 함께 업로드된 콘텐츠를 수신하면(S210), CCL 워터마크 적용부(110)는 상기 CCL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받은 콘텐츠에 대하여 워터마킹한다(S220).
이때, 압축에 강인하도록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영역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워터마킹으로 인해 콘텐츠의 품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DCT의 중간 영역에 삽입하는 것이 좋다. 이는 단조로운 영역보다는 복잡한 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콘텐츠를 훼손하지 않고 보존하는데 더 좋기 때문에다. 또한, 편집에 대해 객체가 주로 집중되어 있는 공간 영역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적용부(120)는 상기 CCL 워터마킹된 콘텐츠에 대하여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삽입한다(S230).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는 콘텐츠가 변형되었을 때, 그 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콘텐츠 변형과 동시에 삽입된 워터마크도 깨져야 한다. 예들 들면, 사소한 변형에도 쉽게 깨질 수 있는 LSB(Least Significant Bit) 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면, 콘텐츠가 변형되는 경우 워터마크도 같이 깨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특정 변형에는 강인하면서도, 그 외에 변형에는 깨지기 쉬운 워터마크, 즉 반연성 워터마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CCL이 적용되는 블로그, UCC, 또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등에 콘텐츠가 업로드 될 때, 콘텐츠가 압축되거나, 크기가 변하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도하지 않는 변형에는 강인해야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이 업로드된 컨텐츠가 나중에 다운로드 되어 압축이나 편집 등을 통하여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변형을 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이러한 의도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워터마크가 쉽게 깨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LSB 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면, 의도된 변형이 발생하던 의도되지 않은 변형이 발생하던, 모든 경우에 있어서 변형 탐지용 워터마크가 깨질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공격에는 강인하지만, 의도적인 공격에는 깨지기 쉬운 영역을 찾아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최종 업로드시의 콘텐츠의 정보를 변형에도 잘 깨지지 않는 강인한 워터마크 형태로 삽입하여, 추후 콘텐츠에 변형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강인한 워터마크에 내포된 최종 업로드시의 콘텐츠 정보와 비교판단하여 변형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CCL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콘텐츠에 삽입된 후에, 상기 워터마크 발급 정보는 워터마크 관리부(130)에 의하여 별도로 저장(S240)되어 추후 워터마크 추출과정에서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적용되어 이중으로 워터마킹된 콘텐츠는 인터넷 게시판과 같은 콘텐츠 공유 공간으로 업로드 된다(S250).
디지털 콘텐츠의 변형을 탐지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310), CCL 워터마크 추출부(320), CCL 진위 판별부(330), CCL 파서(340), 콘텐츠 불법변형 판단부(350) 및 워터마크 관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의 각 구성은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310)는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장치에서 워터마킹된 콘텐츠로부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워터마크 추출부(320)는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310)에서 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로부터 CCL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부분이다.
CCL 진위 판별부(330)는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310)에서 판단된 콘텐츠의 변형 여부와 상기 CCL 워터마크 추출부(320)에서 추출된 CCL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공받은 콘텐츠의 CCL 정보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부분이다.
CCL 파서(340)는 콘텐츠에 가시적으로 저장된 CCL 정보를 추출하여 파싱하는 부분이다.
콘텐츠 불법변형 판단부(350)는 위변조 여부가 판단된 CCL 정보를 참조하여,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에서 콘텐츠가 변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저작자가 허용한 범위 내에서 변형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이다.
워터마크 관리부(130)는 CCL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으로 사용될 워터마크를 발급해주고 관리해주는 서버이다. CCL 진위 판별부(330)에서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삽입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에 대한 발급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워터마크 관리부(130)는 요구된 콘텐츠에 대한 워터마크 발급정보를 CCL 진위 판별부(330)에 넘겨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를 판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를 판별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인터넷 공유 게시판(150)을 통하여 수집된 콘텐츠(S410)에 대하여,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310)는 상기 콘텐츠에 워터마킹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추출한다(S420).
다음으로 해당 콘텐츠에 대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발급내역을 조회한후(S430), 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워터마크가 변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이때 상기 워터마크 관리부(130)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발급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되었다면 콘텐츠도 변형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되지 않았다면,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에 워터마킹된 콘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콘텐츠의 변형여부 변형탐지 워터마크에 적용된 방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준연성 워터마크가 적용되었다면 해당 워터마크를 상기 콘텐츠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워터마크가 최초의 상태에서 변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만일 콘텐츠에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로서, 업로드 당시의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하는 강인한 워터마크가 삽입되었다면, 콘텐츠가 변형되었다고 하더라도 워터마크는 변형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워터마크에 포함된 업로드 당시의 콘텐츠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다면 콘텐츠가 변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CCL 워터마크 추출부(320)는 상기 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로부터 CCL 워터마크를 추출하고(S450), CCL 파서(340)는 상기 콘텐츠에 가시적으로 포함된 CCL 정보를 추출하여 파싱한다.
다음으로 CCL 진위 판별부는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310)에서 판단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의 변형 여부와 CCL 워터마크 추출부(320)에서 추출된 CCL 정보 및 상기 CCL 파서(340)에서 파싱된 CCL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집된 콘텐츠의 CCL정보가 위조되지 않았는지 판별한다(S460).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의 위조 여부는 콘텐츠에 가시적으로 삽입된 CCL 정보를 콘텐츠에 워터마킹된 CCL 정보와 비교하여 판별할 수 있다. 즉 CCL 워터마크 추출부(320)에서 추출된 CCL 정보(비가시적)를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 범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시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CCL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 위변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를 저작자가 허용한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70). 즉 위변조 여부가 판단된 CCL 정보를 참조하여,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에서 콘텐츠가 변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허용범위 내의 변형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CCL 정보를 기초로 워터마킹하는 CCL 워터마크 적용부; 및
    상기 CCL 워터마크 적용부에서 워터마킹된 디지털 콘텐츠에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CL 워터마크 및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발급하고, 발급된 워터마크 정보를 저장하는 워터마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는, 사용자가 자신이 업로드하는 콘텐츠에 CCL 정보를 워터마킹할지 여부에 대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콘텐츠 업로드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삽입된 콘텐츠는, 인터넷 공유게시판으로 업로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는 특정 변형에 깨지기 쉬운 준연성(semi-fragile)워터마킹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는 강인한(robust) 워터마킹 방법을 적용하고, 제공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워터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장치.
  7.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적용된 콘텐츠로부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에서 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로부터 CCL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CCL 워터마크 추출부; 및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와 상기 추출된 CCL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내에 포함된 CCL 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CCL 진위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가시적인 CCL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CCL 정보를 파싱하는 CCL 파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CL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적용된 콘텐츠는 인터넷 공유 게시판을 통해서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CL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에 대한 발급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워터마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는,
    상기 워터마크 관리부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발급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되었다면 콘텐츠가 변형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되지 않았다면,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에 워터마킹된 콘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CL 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은,
    상기 추출된 CCL 워터마크와 상기 CCL 파서에서 파싱된 CCL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상기 CCL정보가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불법적으로 변형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콘텐츠 불법변형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불법적 변형판단부는 상기 위변조 여부가 판단된 CCL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부에서 콘텐츠가 변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저작자가 허용한 범위 내에서 변형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장치.
  16. 콘텐츠의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디지털 공간에서 공유되고 유통되는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CCL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공된 콘텐츠에 대하여 워터마크를 적용하는 CCL 워터마크 적용단계;
    CCL(Creative Commons License) 정보와 함께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는 특정 변형에 깨지기 쉬운 준연성(semi-fragile)워터마킹 방법 또는 강인한(robust) 워터마킹 방법의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적용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워터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방법.
  18. CCL 워터마크와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적용된 콘텐츠로부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를 판단하는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추출단계;
    상기 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로부터 CCL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변형 여부가 판단된 콘텐츠에 가시적으로 저장된 CCL정보를 추출하여 파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CCL 정보와 상기 판단된 콘텐츠의 변형 여부 및 파싱된 CC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CCL 정보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변형 여부의 판단은, 별도로 저장된 변형탐지용 워터마크 발급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된 경우 콘텐츠가 변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가 변형되지 않았다면, 상기 변형탐지용 워터마크로 삽입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의 변형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진위 판별방법.
KR1020100125826A 2010-12-09 2010-12-09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20064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26A KR20120064548A (ko) 2010-12-09 2010-12-09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
US13/307,302 US20120151215A1 (en) 2010-12-09 2011-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 of digital conten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of digital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26A KR20120064548A (ko) 2010-12-09 2010-12-09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48A true KR20120064548A (ko) 2012-06-19

Family

ID=4620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26A KR20120064548A (ko) 2010-12-09 2010-12-09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51215A1 (ko)
KR (1) KR201200645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737A (ko) * 2018-01-10 2019-08-12 주식회사 마크애니 스마트방송 콘텐츠를 위한 인공지능으로 학습된 모델 데이터의 디지털 권리 보호에 관한 장치 및 방법
KR102239771B1 (ko) * 2019-12-30 2021-04-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종 콘텐츠 환경에서 딥러닝 기반의 워터마크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10085491A (ko) * 2019-12-30 2021-07-0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종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딥러닝 기반 워터마킹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06411A1 (en) * 2008-06-11 2015-01-01 James D. Bennett Creative work registry
CN104573413B (zh) * 2014-12-19 2018-01-09 北京音之邦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多媒体资源的保护方法和装置
KR102363433B1 (ko) 2015-01-15 2022-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US11809532B2 (en) * 2020-10-14 2023-11-07 Irdeto B.V. Detection of modification of an item of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0959B2 (ja) * 2002-11-08 2007-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と方法ならびに電子透かし抽出装置と方法
US20080240490A1 (en) * 2007-03-30 2008-10-02 Microsoft Corporation Source authentication and usage tracking of video
KR20090000898A (ko) * 2007-06-28 200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작권이 적용된 사용자 손수 저작물의 생성과 운용을 위한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737A (ko) * 2018-01-10 2019-08-12 주식회사 마크애니 스마트방송 콘텐츠를 위한 인공지능으로 학습된 모델 데이터의 디지털 권리 보호에 관한 장치 및 방법
KR102239771B1 (ko) * 2019-12-30 2021-04-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종 콘텐츠 환경에서 딥러닝 기반의 워터마크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10085491A (ko) * 2019-12-30 2021-07-0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종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딥러닝 기반 워터마킹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1215A1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Multimedia security: steganography and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for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steganography and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for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KR20120064548A (ko)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방법
US20190180007A1 (e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encode auxiliary data into text data and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obtain encoded data from text data
US79753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Tardos fingerprint codes
Ma Digital rights management: Model, technology and application
Rizzo et al. Content-preserving text watermarking through unicode homoglyph substitution
Kaur et al. An existential review on text watermarking techniques
JP2007207051A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配信方法、及び装置
Katariya Digital watermarking
Guru et al. Digital watermarking classification: a survey
JP2013093912A (ja) デジタルワークの分配及び利用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Natarajan et al. Safeguarding the digital contents: Digital watermarking
KR20140140928A (ko) 워터마크 삽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워터마크 검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문서 보호 시스템
Sunesh Watermark attacks and applications in watermarking
Jaiswal et al. Implementation of a new technique for web document protection using unicode
Saini A survey on watermarking web contents for protecting copyright
Fu et al. Text split‐based steganography in OOXML format documents for covert communication
Shaw Digital document integrity
Lou et al. Evolution of information-hiding technology
Deniesa et al. Copyright Protection for Creators of Digital Artwork
Kumar et al. Content characteristics based robust watermarking for relational database: a new approach to database security
KR100973220B1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Pandey et al. Alternative shift algorithm for digital watermarking on text
KR20030041501A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및 인증 방법
KR20080038759A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