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437A - 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437A
KR20120064437A KR1020100125666A KR20100125666A KR20120064437A KR 20120064437 A KR20120064437 A KR 20120064437A KR 1020100125666 A KR1020100125666 A KR 1020100125666A KR 20100125666 A KR20100125666 A KR 20100125666A KR 20120064437 A KR20120064437 A KR 20120064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portable terminal
location
identification imag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83681B1 (en
Inventor
김태년
전태연
김재현
김현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리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리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리얼스
Priority to KR102010012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681B1/en
Publication of KR2012006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4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06F21/335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for accessing specific resources, e.g. using Kerberos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check-in system of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perform check-in by photographing a QR code and an identification image in a specific location. CONSTITUTION: A portable terminal(100) includes a location sensor and an image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 check-in server(200) compa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image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in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he check-in server authenticates check-in about the user. A communication network(300) connects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eck-in server.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정 위치에서 QR코드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체크인이 가능하도록 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in system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A check-in system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인터넷 및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 구매, 이메일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is changing the life patterns of modern people. Nearly all homes, schools and offices have Internet-enabled personal computers that enable them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Web sites, purchase products using e-commerce, and exchange news via email. Only a few years ago, people could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use only voice communication-orient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Recently, however,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hat can receive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internet has appea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에는 셀룰러 폰, PDA,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서비스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중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가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인하여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위치에 따른 이동통신 요금의 선택적 부과,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위치 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 및 상황에 이용되고 있다.Recently, a location based service among wireless internet services that can be servic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a PDA, a laptop, and the like, has gained much attention due to its wide utility and convenience. Location-based services can include rescue requests, crime repor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providing proximity information, selective charging of telecommunication charges based on location, traffic information, vehicle navigation and logistics control, and location-base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and situations.

위치 기반 서비스는 서비스 방식에 따라 무선통신망에 구비된 기지국을 이용하는 셀 방식과 인공 위성을 활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 이하 'GPS'라 함) 방식으로 구분된다. Location-based services are classified into a cellular method using a base station provi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GPS (Global Positioning Service) method using an artificial satellite according to a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특정 위치에서 QR코드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체크인이 가능하도록 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ck-in system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by tak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at a specific location to enable check-in.

본 발명은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센서 및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이미지 촬영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에 대한 체크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체크인 서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체크인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position sensor for calculating its position and an image capturing module capable of captur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Receiving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identical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check-in server which performs check-in authentication processing for the user who has transmitted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eck-in serv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바코드(bar code) 및 2차원 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2차원 코드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및 Maxi Co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cludes at least one of a bar code and a two-dimensional code, wherein the two-dimensional code is one of a Quick Response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and Maxi Code. It may contain the ab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위치 센서에서 산출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및 상기 이미지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상기 체크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체크인 서버는, 상기 전송된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센서에서 산출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calculated by the position sensor and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module to the check-in server, and the check-in server transmits the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nd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calculated by the location sensor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인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 및 이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체크인 정보를 저장하는 체크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체크인 수행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에 대한 체크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in server, the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check-in database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hereto and check-in information of users who use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check-i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identical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a check-i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user who has transmitted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may be a GPS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ule, or a digital compass embedded in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인지 여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지 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the same,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Whether it is within an area defined by latitude / longitude, or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area defined by the predetermined latitude / longitude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have.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촬영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획득한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포함하는 체크인 인증 요청이 체크인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체크인 서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에 대한 체크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by a mobile terminal;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at the portable terminal,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including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hotographed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to a check-in server; And receiving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check-in server, and check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identical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check-in authentication processing for the user who has transmitted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바코드(bar code) 및 2차원 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2차원 코드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및 Maxi Co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cludes at least one of a bar code and a two-dimensional code, wherein the two-dimensional code is one of a Quick Response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and Maxi Code. It may contain the ab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n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GPS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ule, or a digital compass embedded in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It can be performed b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인지 여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지 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the same, wherei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Whether it is within an area defined by a predetermined latitude / longitude, or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an area defined by a predetermined latitude / longitude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Can b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특정 위치에서 QR코드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체크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서비스 이용 빈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tak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at a specific location to enable check-i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ducing the interest of the user and increase the frequency of using th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의 체크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eck-in system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eck-in server of the check-in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eck-i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eck-in system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1)은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100)들, 상기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100)들로부터 체크인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소정의 과정을 거쳐 체크인을 수행하는 체크인 서버(200) 및 상기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100)들과 상기 체크인 서버(200)를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heck-in system 1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100 and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from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100. It includes a check-in server 200 for receiving the check-in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100 and the check-in server 200.

본 발명에서 체크인이란, 어떤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를 방문했음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포스퀘어(http://www.foursquare.com/)와 같은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의 경우, 특정 장소에 대한 체크인은 체크인 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는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등의 방법으로 체크인을 수행하는 방법도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 해당 이미지를 촬영하는 장소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이미 촬영한 이미지를 여러 명이 공유하여 이를 전송하는 등의 편법이 가능하여, 원하는 광고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위치에서 QR코드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함으로써 체크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Checking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recording that a user has visited a specific plac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location-based service such as Foursquare (http://www.foursquare.com/), check-in for a specific place was generally performed by clicking a check-in button. In addition, a method of performing check-in by developing and recording a predetermined image has been develop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location of taking the image, several people share the already taken image and transmit it. Shortcuts are possible, resulting in problems that do not achieve the desired advertising effec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ck-in is possible by photograph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at a specific loca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먼저, 본 발명에서 활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변경되는 위치에 따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들을 가리킨다. 이 서비스는 고객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뿐만 아니라 교통 정보, 위치추적 정보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정보제공에 활용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는 크게 측위 기술(LDT: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위치 처리 플랫폼(LEP:Location Enabled Platform), 위치 응용 프로그램(LAP:Location Application Program)의 3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First, a location based service ut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ocation based service refers to wireless content services that provide a user with specific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changing location. This service can be used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hroughout life, such as traffic information,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as well as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customer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Based Services (LB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parts: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LDT), Location Enabled Platform (LEP), and Location Application Program (LAP).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1)에서,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상기 측위 기술이 적용되고, 체크인 서버(200)는 상기 위치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하며, 통신망(300)은 상기 위치 처리 플랫폼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Referring back to FIG. 1, in the check-in system 1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ing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check-in server 200 includes the abov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application program,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s to include the location processing platform.

상세히, 휴대용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면 가입자 정보를 체크인 서버(200)로 송신하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지국(301)을 경유해서 무선통신망(303)과 연결되어 다른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웹브라우저 등을 이용하여 체크인 서버(200)에 접속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In detail, the portable terminal 100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a web service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means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ransmits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check-in server 200 when a user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via the base station 301 to provide a voice call function for performing a normal voice call wirelessly with other portable terminals, and provides a web browser or the like. It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check-in server 200 by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휴대용 단말기(100)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303)을 경유하여 인터넷망(309)에 접속하며, 인터넷망(309)에 연결된 체크인 서버(200)와 연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된 웹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망(303)을 경유해 체크인 서버(200)로 접속을 요청하고, 체크인 서버(200)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을 마친 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로딩한다.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using a browser for internet access such as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hich is an internet access protocol, and a Microsoft Internet Explorer (MIE) based on HTML using an HTTP protocol. I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309, it is linked to the check-in server 200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309. When a user runs a web browser or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rtable terminal 100 requests a connection to the check-in server 2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and interworks with the check-in server 200. After completing the user authentication, the user interface required to use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loaded.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 촬영 모듈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이미지 촬영 모듈은 기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n image capturing module capable of captur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ince such an image capturing module is a known technique,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위치 센서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위치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GPS 모듈일 수 있으며,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로부터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이동통신 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 모듈일 수 있으며, 삼변측량법(Trilateration)으로 위치 좌표를 계산할 수도 있다. 또는 위치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일 수도 있다. 디지털 나침반을 구현하는 기술적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휴대폰과 같은 기기에는 '홀(Hall)효과'를 이용한 센서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홀 효과'란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자력'이 작용하면 전류가 도체의 한쪽으로 치우쳐 흐르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디지털 나침반은 X-Y-Z 3개의 축 각각에 대해서 자력을 측정하기 위해 3개의 '홀 소자(element)'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The position sensor may be a GPS module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y receive a signal from a GPS satellite and calculate a position coordinate from the signal. Alternatively, the position sensor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Fi module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y calculate position coordinates by trilateration. Alternatively, the position sensor may be a digital compass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 are many technical ways to implement a digital compass, and sensors using the Hall effect are widely used i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Here, the 'hole effec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current flows to one side of the conductor when 'magnetic force' is applied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nductor. That is, the digital compass may include three 'hole elements' for measuring magnetic force on each of three axes of X-Y-Z.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1)은 특정 위치에서 QR코드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체크인 서버(200)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체크인이 수행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하는바,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check-in system 1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image b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to a check-in server 200 at a specific loca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erform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100)들과 체크인 서버(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망(300)은 기지국(301), 무선통신망(303), 망간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305), WAP 게이트웨이(307) 및 인터넷망(309)을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connects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100 and the check-in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cludes a base station 301,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an inter-working function 305, a WAP gateway 307, and an internet network 309.

기지국(301)은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과 위치 기반 서비스 요청을 무선통신망(303)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통화 요청을 무선통신망(303)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base station 301 is a network termination devi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by performing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 / wireless conversion, and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wireless signal. Each of the base station 301 is arranged in units of cells. 100 to transmit the call request and location-based service reques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or to transmit a call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isting in the cell area in their jurisdic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or The device refers to a device for registering lo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isting in a cell area under jurisdiction.

또한, 기지국(301)은 체크인 서버(200)와 휴대용 단말기(100)를 중계하며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한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 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 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301 relays the check-in server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llocates and releases a radio channel for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soft hand off between cells for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hard handoff determination, transcoding and vocod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clock distribution,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s for the base station.

무선통신망(303)은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전화 교환망으로,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설비의 집합을 의미하며, CDMA-2000 서비스, WCDMA 서비스, 휴대 인터넷 서비스 등을 휴대용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동통신망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가입 및 가입 해제 등을 수행한다. 한편, 와이파이(WI-FI)망은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을 의미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Fi network. Her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telephone exchange network oper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means a set of communication facilities that provide voice telephone or data exchange service to an unspecified number of subscribers through an exchange office, and is a CDMA-2000 service, a WCDMA service, and a mobile Internet. The service and the like are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s basic and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processing of subscribers,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nd handoff procedure processing, interworking function with other networks, and subscription and release of location based services. On the other hand, WI-FI network means a local area network (LAN) capable of high-speed Internet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place where the wireless access device (AP) is installed.

망간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305)는 무선통신 시스템과 유선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망간 연동 장치(305)는 무선통신망(303)과 인터넷망(309)을 연결한다.The inter-working function 305 provides an interface for data exchange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d communication system and converts protocols, signals, and data into a form suitable for each network. In general, the manganese interworking device 305 connec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and the Internet network 309.

WAP 게이트웨이(307)는 무선통신망(303)을 경유해서 휴대용 단말기(100)와 체크인 서버(200) 상호 간에 무선으로 패킷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계하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결합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WAP 게이트웨이(307)는 인터넷망(309)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망(303)과 인터넷망(309)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무선통신망(303)과 인터넷망(309)을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307)는 WAP 프로토콜과 인터넷 TCP/IP 프로토콜을 상호 간 변환하여 준다. 따라서, 인터넷망(309)에 연결된 체크인 서버(200) 및 WAP 게이트웨이(307) 사이에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휴대용 단말기(100)와 WAP 게이트웨이(307) 사이에는 W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WAP 게이트웨이(307)는 WAP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망(303)으로부터 웹 사이트 주소 요청을 HTTP 요청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망(309)을 통해 HTTP 프로토콜에 따라 체크인 서버(200)로부터 해당 웹사이트 주소를 요청한다. 또한, WAP 게이트웨이(108)는 체크인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HTML 형식의 다양한 컨텐츠를 휴대용 단말기(1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WAP 게이트웨이(108)를 경유한 데이터는 이진 코드로 변환하기 때문에 데이터 양이 적어지고 무선통신망(303)으로 전송시 부담이 경감된다는 이점이 있다.The WAP gateway 307 refers to software for relaying and transmitting packet data wirelessly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heck-in server 2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and hardware coupled thereto. The WAP gateway 307 performs a process such as communication code conversion or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and the internet network 309 to quickly retrieve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network 309. And the internet network 309 are interconnected. That is, the WAP gateway 307 converts the WAP protocol and the Internet TCP / IP protocol. Therefore, the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 protocol is used between the check-in server 200 and the WAP gateway 307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309, and the WAP protocol is provid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WAP gateway 307.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s performed. The WAP gateway 307 converts a website address reques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into an HTTP request according to the WAP protocol, and then requests the website address from the check-in server 200 according to the HTTP protoco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309. do. In addition, the WAP gateway 108 converts various contents of the HTML format received from the check-in server 200 into binary codes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recognize them and transmits them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Since the data passing through the WAP gateway 108 is converted into a binary c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data is reduced and the burden on transmiss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is reduced.

전술한 바에서, WAP이란 휴대용 단말기(100)나 개인 정보 단말기 등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망(309)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프로토콜의 총칭이다. WAP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린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터넷망(309)상의 텍스트 코드(Text Code)로 변환해서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또한, WAP은 모델 설계부터 WAP을 이용할 컨텐츠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려해 설계하므로 사용자들이 무선 단말기만 갖고도 인터넷망(309)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AP is a general term for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enables the Internet network 309 to be used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ortable terminal 100 or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In order to solve the communication speed problem of the relatively slow wireless communication, the WAP is converted into a text code on the Internet network 309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since the WAP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use the WAP from the model design, users can use the Internet network 309 only with the wireless terminal.

여기서, 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체크인 서버(200) 상호 간에 무선으로 패킷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계하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결합되는 하드웨어로써 WAP 게이트웨이(307)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휴대용 단말기(100)와 체크인 서버(200) 상호 간에 무선으로 패킷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계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이와 결합되는 하드웨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although the WAP gateway 307 is illustrated as a software for relaying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check-in server 200 and hardware coupled there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oftware capable of relaying packet data wirelessly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check-in server 200 and hardware associated therewith are assumed to be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인터넷망(309)은 휴대용 단말기(100)가 무선통신망(303)을 거쳐 체크인 서버(2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The internet network 309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 connection path for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ransmit and receive packet data after connecting to the check-in server 2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3.

체크인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보내온 가입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체크인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식별 이미지(예를 들어 QR코드 등)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실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체크인 처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heck-in server 200 compares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ubscriber information sen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addition, when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for example, a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actual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t checks whether the information is the same or not and performs check-in processing.

도 2는 도 1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1)의 체크인 서버(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heck-in server 200 of the check-in system 1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크인 서버(200)는 인터페이스부(201), 메모리(203), 입/출력부(205), 프로그램 저장부(207), 제어부(209), 유저 데이터베이스(211) 및 체크인 데이터베이스(213)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heck-in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201, a memory 203, an input / output unit 205, a program storage unit 207, a control unit 209, and a user database 211. ) And check-in database 213 and the like.

상세히, 인터페이스부(201)는 인터넷망(309)과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detail, the interface unit 201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f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Internet network 309.

메모리(203)는 제어부(209)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입/출력부(205)는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뿐만 아니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The memory 203 temporarily stores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09 or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in a process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input / output unit 205 displays not only the processing status according to the key input but also the processing status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sion.

프로그램 저장부(207)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해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가입 절차를 마친 사용자 정보를 유저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하는 작업,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는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가입자 정보가 유저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파악하는 작업,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2차원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제공하는 작업,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체크인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실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 체크인 인증 요청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작업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The program storage unit 207 performs a service subscription procedur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receive the location-based service, stores the user information in the user database 211 that has completed the subscription procedure, and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Receiv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atabase 211 mutually, the user interface required to provide location-based services 2 The task of providing in the form of 3D and / or 3D graphics, when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actual portable terminal 100. Location information for a variety of operations, including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the sam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s, and the like. And with the control software to perform tasks that provide location-based services.

제어부(209)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체크인 서버(20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09)는 프로그램 저장부(207)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정상적으로 마친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요청되는 체크인 처리를 수행하는 등의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209 controls the entire process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from the check-in server 2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the control unit 209 drives the control software mount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207,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y the driven control software, and performs the check-in process request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has successfully completed user authentication. Provides a variety of location-based services, such as performing.

유저 데이터베이스(211)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체크인 서버(200)는 위치 인증을 요청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가 유저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The user database 211 stor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wants to use a location-based service.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such as the user's name, affili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login, such as an ID and a password. The check-in server 200 receives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ing location authentication, and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ored in the user database 211. Determine if they match with

체크인 데이터베이스(213)는 QR코드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 및 이에 할당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QR코드에 할당된 위치는 위도 X, 경도 Y인 A 커피 전문점의 B 지점이라고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1번 QR코드를 촬영하여 전송해왔을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A 커피 전문점의 B 지점일 경우에만 체크인 수행에 대한 인증 처리를 해주는 것이다. The check-in database 213 may store image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uch as a QR code and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hereto. For example, the location assigned to the QR code 1 may be stored as the B point of the A coffee shop with latitude X and longitude Y. In this case, when the user ha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he QR code 1, the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check-in is performed only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the B point of the A coffee shop.

또한, 체크인 데이터베이스(213)는 유저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되어 있는 각 사용자들의 체크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의 특정 장소에서의 체크인 일시, 체크인 횟수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체크인 가능한 장소의 상세 정보(위도, 경도, 상호, 전화번호 등)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체크인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로부터 체크인 인증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체크인이 특정한 위치에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체크인 데이터베이스(213)에 체크인 일시 및 체크인 횟수 등을 업데이트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heck-in database 213 may store check-in information of each user stored in the user database 211. For example, the user may store a check-in date and time, a check-in number, and the like at a specific place of each user. In addition, detailed information (latitude, longitude, business name, telephone number, etc.) of a place where check-in is possible may be stored. When the check-in server 200 receives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from a user who has completed user authentication, the check-in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check-in has been made by photograph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t a specific location, and check-in date and time in the check-in database 213. And check-in frequenc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서비스 이용 빈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nducing interest of users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using a ser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eck-i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check-i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을 이용하여 광고를 집행하고자 하는 광고 클라이언트는 체크인 서버(200)에 체크인 생성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체크인 생성 요청에는, 생성하고자 하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 및 이에 할당된 특정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dvertisement client that wants to execute an advertisement using a check-i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 check-in generation request to the check-in server 200. In this case, the check-in generation request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to be generated and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hereto.

여기서,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바코드(bar code) 또는 QR코드(QRcode)일 수 있다. 바코드(bar code)란 컴퓨터가 정보를 읽기 쉽도록 하기 위해 굵기가 다른 검은 막대와 하얀 막대를 조합시켜 문자나 숫자를 코드화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바코드가 보급되어 그 편리함이 널리 인식됨에 따라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코드", "보다 많은 문자종류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 "더 작은 공간에 인쇄" 등 시장에서는 다양한 요구의 목소리도 높아져 왔다. 이러한 요구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2차원 코드가 출현하였으며, 이중 대표적인 것이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code)이다. QR코드는 2차원 코드의 일종으로 "인식하기 쉬운 코드"를 주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바코드가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가지고 있는 반면 QR코드는 가로,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가짐으로써 기록할 수 정보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킨 코드이다. 이밖에도 PDF417, DataMatrix, Maxi Code와 같은 2차원 코드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2차원 코드는 문자뿐만 아니라 소리나 사진, 영상 정보 등을 담을 수 있어, 스캐너에 비추면 제품 정보를 보여주거나 입력된 웹 사이트로 연동될 수 있다. Here,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may be a bar code or a QR code. Bar code is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numbers that combines black and white bars of different thicknesses to make the information easier to read. On the other hand, as barcodes are spreading and the convenience is widely recognized, various demands are voiced in the market such as "codes that can contain more information," "codes that can represent more character types," and "print in smaller spaces." Has also risen.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demands and problems, two-dimensional code has emerged, and a typical one is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The QR code is a kind of two-dimensional code that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easy-to-recognize code. The barcode has information in only one direction, while the QR code has information in two direction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t's a big jump in code. In addition, two-dimensional codes such as PDF417, DataMatrix, and Maxi Code are being developed. Such a two-dimensional code may contain not only text but also sound, photographs, and image information, and when viewed in a scanner, produc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r linked to an input web site.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바코드(bar code) 또는 QR코드(QRcode)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와, 이에 할당된 특정한 위치 정보를 결합시켜서,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이에 할당된 특정한 위치에서 촬영되어 전송될 경우에만 체크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uch as a bar code or a QR code with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hereto, and when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at a specific location assigned thereto. One feature is to perform check-in authentication only.

다음으로, 체크인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100)상에서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러면 각 휴대용 단말기(100) 내에서 체크인 프로그램이 구동된다. Next, a user who wants to perform check-in executes a check-in application on his portable terminal 100. Then, the check-in program is driven in each portable terminal 100.

이와 같이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서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When the check-in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is way, each portable terminal 100 obtain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상세히,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GPS, A-GPS 방식이나 기지국 기반 방식을 혼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GPS 방식 또는 기지국 기반 방식 어느 한쪽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0)는 내장된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랜을 이용한 이동식 네트워크나 와이브로(Wibro) 등 새 규격의 이동식 네트워크 환경, 또는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 IP 주소 기준의 사용자 위치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PS, the A-GPS method or the base station-based method may be used to measure its own loca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ither the GPS method or the base station based method may be used.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determin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a built-in GPS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ule, or a digital compass. Furthermore, a user location recognition based on an IP address may be performed in a mobile network environment of a new standard such as a mobile network using Wi-Fi, Wibro, or a wired Internet environment.

이와 같이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나면, 통신망(300)을 이용하여 체크인 서버(20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상세히, 각 휴대용 단말기(100)는 내장되어 있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의 가입자 정보를 체크인 서버(200)에 송신하면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acquir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to the check-in server 200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 detail, each portable terminal 100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while transmitting subscriber information such as an ID and a password to the check-in server 200.

이와 같은 가입자 정보가 통신망(300)을 통해서 체크인 서버(200)에 전달되면, 체크인 서버(200)의 제어부(209)는 수신한 가입자 정보와 유저 데이터베이스(211)로부터 독출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수신한 가입자 정보와 독출한 인증 정보가 동일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로 인증 성공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한 가입자 정보와 독출한 인증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로 인증 실패 신호를 송신한다. When such subscrib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heck-i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e control unit 209 of the check-in server 200 compares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ad from the user database 211 and the user. Perform authentication. That is, when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read o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an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when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read o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not the sam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ent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Send an authentication failure signal.

다음으로, 가입자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는 각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서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대한 촬영을 수행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촬영하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상술한 바코드(bar code) 또는 QR코드(QRcode)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식별 이미지마다 특정한 체크인 수행 위치가 할당되어 있다. 즉, 1번 QR코드에 할당된 위치가 위도 X, 경도 Y인 A 커피 전문점의 B 지점일 경우, 사용자가 A 커피 전문점의 B 지점에서 1번 QR코드를 촬영하여 전송할 경우에만, 체크인 수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Next, a user who has successfully authenticated a subscriber performs shooting of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t a specific location by using each portable terminal. Here,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photographed by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the above-described bar code or QR code. In this case, a specific check-in position is allocated to each of the identification images. That is, if the location assigned to the QR code 1 is the B point of the A coffee shop with latitude X and longitude Y, the check-in is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photographs and transmits the QR code 1 from the B coffee shop of the A coffee shop. will be.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미션이 수행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체크인 서버(200)로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의 송신 이전 또는 송신과 동시에 위치 센서에서 획득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체크인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mission i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check-i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transmit it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location sensor to the check-in server 200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그리고, 체크인 서버(200)가 휴대용 단말기(100)들로부터 송신된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체크인 서버(200)는 상기 체크인이 지정된 특정 위치에서 지정된 방식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addition, when the check-in server 200 receives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s 100, the check-in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check-in is performed in the designated manner at the designated specific location.

즉,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고, 체크인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실제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송신한 휴대용 단말기(100) 자신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체크인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ognizes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tored in the check-in database 213, and the portable terminal actually transmitt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ir location information matche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eck-in is performed correctly.

이때, 전송된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100) 자신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전송된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 내인지 여부를 통해 체크인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일 경우, 체크인을 인증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identical. For exampl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within a predetermined latitude / longitude assigned to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image may determine whether the check-i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lternatively,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redetermined latitude / longitude assigned to the identification image, the check-in may be authenticated.

또는 특정 위도/경도 지점의 목록을 통해 생성된 영역(area) 내에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속하였는지 여부를 통해 체크인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블랙 리스트에 속할 경우, 체크인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check-in authentic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elongs to an area generated through the list of specific latitude / longitude points. Furthermore,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elongs to a predetermined black list, it may be determined that check-in has failed.

이와 같이, 체크인 수행 여부를 인증한 후, 체크인 서버(200)는 체크인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에 한하여, 각 사용자의 해당 체크인 장소에서의 체크인 일시, 체크인 횟수, 체크인 포인트 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As such, afte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check-in, the check-in server 200 may update the check-in date and time, check-in number, check-in point, and the like at each check-in place for each user who has successfully checked-in.

이와 같이 체크인 서버(200)에서 체크인 처리가 완료되면, 각 휴대용 단말기로 체크인 수행 결과가 송신된다. 즉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체크인 수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어, 체크인의 성공 여부 및 자신이 획득한 체크인 포인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check-in process is completed in the check-in server 200 as described above, the check-in performance is transmitted to each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result of the check-in is displayed on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100 to check whether the check-in is successful and the check-in point obtained by the us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서비스 이용 빈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nducing interest of users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using a service.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bu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described, equivalent means will also be referred to as incorpo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100: 휴대용 단말기 200: 체크인 서버
201: 인터페이스부 203: 메모리
205: 입/출력부 207: 프로그램 저장부
209: 제어부 211: 유저 데이터베이스
213: 체크인 데이터베이스
300: 통신망 301: 기지국
303: 무선통신망
305: 망간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
307: WAP 게이트웨이 309: 인터넷망
1: check-in system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100: portable terminal 200: check-in server
201: interface unit 203: memory
205: input / output unit 207: program storage unit
209: control unit 211: user database
213: checkin database
300: communication network 301: base station
303: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5: inter-working function
307: WAP gateway 309: Internet network

Claims (10)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센서 및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이미지 촬영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에 대한 체크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체크인 서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체크인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sition sensor for calculating its position and an image capturing module capable of captur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Receiving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identical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check-in server which performs check-in authentication processing for the user who has transmitted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d
And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eck-in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바코드(bar code) 및 2차원 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2차원 코드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및 Maxi Co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bar code and a two-dimensional code,
The two-dimensional code check-in system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QR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and Maxi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위치 센서에서 산출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및 상기 이미지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상기 체크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체크인 서버는, 상기 전송된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센서에서 산출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calculated by the position sensor and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module to the check-in server,
The check-in server checks in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s determined to be identical to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calculated by the location sensor.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인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 및 이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체크인 정보를 저장하는 체크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체크인 수행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에 대한 체크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heck-in server,
An interface unit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check-in database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hereto and check-in information of users who use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check-in execution authent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identical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eck-in is performed.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perform a check-in authentication process for a user who has transmitted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sensor is a GPS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ule or a digital compass built in each portab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인지 여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지 여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the sam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within an area defined by a predetermined latitude / longitude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r the predetermined latitude to whic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 Check-in system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whether or not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area defined by the longitude.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정의 식별 이미지가 촬영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획득한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포함하는 체크인 인증 요청이 체크인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체크인 서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크인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에 대한 체크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portable terminal;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at the portable terminal, a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including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hotographed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to a check-in server; And
The check-in server receives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identical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Determining, and performing a check-i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user who has transmitted the check-i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바코드(bar code) 및 2차원 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2차원 코드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및 Maxi Co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bar code and a two-dimensional code,
The 2D code check-i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QRcode), PDF417, DataMatrix and Maxi Cod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n the portable terminal,
Check-i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the GPS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WI-FI) module or a digital compass embedded in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위치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인지 여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에 할당된 소정의 위도/경도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지 여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the sam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within an area defined by a predetermined latitude / longitude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r the predetermined latitude to whic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is assigned to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Check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whether or not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area defined by the longitude.
KR1020100125666A 2010-12-09 2010-12-09 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83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666A KR101183681B1 (en) 2010-12-09 2010-12-09 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666A KR101183681B1 (en) 2010-12-09 2010-12-09 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437A true KR20120064437A (en) 2012-06-19
KR101183681B1 KR101183681B1 (en) 2012-09-21

Family

ID=4668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666A KR101183681B1 (en) 2010-12-09 2010-12-09 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68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8062A (en) * 2019-03-08 2019-11-14 一史 渡邉 Server and method for display of reception screen
US11935332B2 (en) 2018-05-09 2024-03-19 Kazufumi Watanabe Server and method for display of reception scre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494B1 (en) * 2014-02-05 2015-05-26 한정흠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auto check-i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O2016060425A1 (en) * 2014-10-14 2016-04-21 주식회사 넥스비즈코리아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recognition technology of mobile device
KR101996006B1 (en) * 2018-07-06 2019-07-04 주식회사 지앤톡 Authentication system for user 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76B1 (en) * 2004-12-28 2007-05-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for providing attestation service using commodity attestation code and Apparatu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5332B2 (en) 2018-05-09 2024-03-19 Kazufumi Watanabe Server and method for display of reception screen
JP2019198062A (en) * 2019-03-08 2019-11-14 一史 渡邉 Server and method for display of reception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681B1 (en)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681B1 (en) 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KR20130055794A (en) User device for sharing qr code information, and method of sharing qr code information using user device
CN105590382A (en) System and method of movement monitoring of POS terminal
US7013148B1 (en) Method for providing a current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12209A (en) A system for saving point using social network and a method for the same
US11902868B2 (en) Device provisioning for association with a user or a user account
KR101136145B1 (en) Check-in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eck-in method using the same
CN100471288C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sponsor party position information for target party
CN106772480A (en) Positioning terminal, alignment system and localization method based on Big Dipper short message
KR100647941B1 (en) The parking zone guidance service method interlocking with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car navigation
CN105933869A (e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as well as terminal server
KR1005419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sition detection informations using a member's identification and a mobile node
JP5057924B2 (en) Distribution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60135295A (en) Mobile service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and system thereof
KR100660472B1 (en) System for tracing the position of a lost article/missing person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1315133B1 (en) Mobile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beamed way
KR1010870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in mobile network, and storage media having program therefor
EP2249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assistant locating in a phs network
KR20040047276A (en) Method of providing community service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JP2008159005A (en) Portable terminal, congestion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congestion situation obtaining method
KR20120135755A (en) Car information check system and method using information code
KR102163676B1 (en) Method for Multi Authentication by using One Time Division Code
KR20090086502A (en) Server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members of mobile community
EP1482760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ferring an electronic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to a terminal
KR100729509B1 (en)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vital data sensing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appliable for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