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190A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190A
KR20120060190A KR1020120054836A KR20120054836A KR20120060190A KR 20120060190 A KR20120060190 A KR 20120060190A KR 1020120054836 A KR1020120054836 A KR 1020120054836A KR 20120054836 A KR20120054836 A KR 20120054836A KR 20120060190 A KR20120060190 A KR 2012006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creen
basic
consonants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성제
한종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190A/en
Publication of KR2012006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1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a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crease character input speed by perfect one letter on screen through a dragging operation. CONSTITUTION: A storage unit(110) stores plural basic consonants, related consonants, plural basic vowels, and related vowels. When a selec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sonants is inputted, a display control unit(120) displays character key array constituted of the basic vowels and the related consonants on a screen. When a selec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s is inputted,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character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the related vowels on the screen.

Description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의 최소 단위가 할당된 키의 터치에 의한 눌림 동작을 통해 화면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haracter on the screen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by the touch of a key assigned a minimum unit of the character.

최근 핸드폰, PMP 및 PDA와 같이 휴대용 기기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식 기기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키패드가 구비되지 않으며,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터치식 키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휴대성을 중시하는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는 그 크기가 사람의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 이내로 제한되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키패드의 크기 역시 제한된다.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MPs, and PDAs is accelerated, portable devices having a touch display are becoming more common. Such a touch device is not provided with a keypad implemented in hardware, and is usually provided with a touch keypad implemented in software and displayed through a display as necessary. However, the display of a portable device that emphasizes portability is limited in size to a size that can be grasped by a human hand, and thus the size of a keypad displayed on the display is also limited.

종래에 사용되는 터치식 키패드 중에서 보통 사용되는 키보드의 키 배열을 그대로 적용한 경우가 있으나,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많은 개수의 키를 배열해야 하므로 키 하나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 문자 입력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각 휴대용 기기의 제조업체에서는 기존에 하드웨어 형태로 생산하였던 키패드와 동일한 배열의 터치식 키패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효율성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ouch keypad, the key arrangement of the commonly used keyboard is applied as it is, but since a large number of keys must be arranged in a limited size display, a single key is too small and an error may occur when entering characters. Is higher. In addition, the manufacturer of each portable device uses a touch keypad of the same arrangement as the keypad produced in the hardware form, but this does not take advantage of the efficiency of the touch display.

터치식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키패드는 기존의 하드웨어 형태의 키패드와는 달리 동일한 위치를 터치하더라도 화면에 표시된 키의 형태에 따라 전혀 다른 입력으로 나타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는 다양한 키 입력방식이 제안되었다.Unlike a keypad of a hardware type, a keypad displayed on a touch display may appear as a completely different input depending on the type of keys displayed on the screen even if the same location is touched. Recently, various key input method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type display have been proposed.

그 중 하나로서 한 번의 드래그에 의해 초성과 중성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각각의 문자키에 할당된 키패드가 화면에 출력되고, 문자키들 중의 하나를 터치함과 동시에 드래그함으로써 해당 자음에 드래그 방향에 대응하는 모음이 결합된 글자가 화면에 출력된다.As one of them, a method of inputting both initial and neutral at the same time by a single drag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keypad assigned to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s is output on the screen, and by touching and dragging one of the character keys simultaneously, the letters in which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are combine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s output to

또 다른 방법으로서,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각각의 문자키에 할당된 키패드에서 하나의 문자키를 터치하면 해당 문자키의 주변에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이 각각 할당된 문자키들이 표시됨으로써 초성을 입력한 후 터치 스크린에서 손을 떼지 않고 바로 중성까지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As another method, touching one letter key on the keypad assigned to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letter causes the first letter to be entered by displaying the letter keys assigned to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Afterwards, a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neutral without suggesting a touch screen has been proposed.

한국공개특허 제2010-0073677호 (김정욱) 2010. 07. 01. 다수의 자음키와 단일의 모음키로 구성된 키입력부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자음키와 모음키의 터치 또는 누른 상태로 드래그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정보에 따라 한글의 음절을 완성하고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0073677 (Kim Jung-wook) 2010. 07. 01. A key input un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single vowel key, a display unit displaying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ouch of the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 Or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dragging direction in a pressed state and a control unit for completing and displaying the syllables of Hangul according to the sensed information.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6271호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2010. 07. 30.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키패드창의 터치 또는 드래그 앤 드롭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또는 드래그 앤 드롭 위치에 해당하는 키버튼에 연관된 연관 키버튼을 키패드창에 표시하는 구성을 구비한다.Korean Laid-Open Patent No. 2010-0086271 (Pantech & Curitel Co., Ltd.) 2010. 07. 30. Detects touch or drag and drop of a keypad window through a display unit and associates it with a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ouch or drag and drop position. A key button is displayed on a keypad window.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식 키패드에서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동작에 의해 완전한 하나의 글자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touch screen that can improve the character input speed by displaying a complete character on the screen by one touch and drag operation on the touch keypad. hav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터치식 키패드에서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동작에 의해 완전한 하나의 글자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ecute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a touch screen that can improve the character input speed by displaying a single character on the screen by one touch and drag operation on the touch keypa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는, 문자의 최소 단위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기본자음, 상기 각각의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택된 연관자음, 상기 문자의 최소 단위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기본모음 및 상기 각각의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택된 연관모음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관자음 및 상기 기본모음으로 구성된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관모음에 대응하는 문자키 배열을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haracter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selected from the minimum units of characters, an associated consonant selected to correspond to each basic consonant, and a minimum of the characters. A storage unit storing a plurality of basic collections selected from among units and an associated collection selected a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asic collections; And when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sonant is input, outputs a character key array composed of the related consonant and the basic vowel on a screen, and when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 is input, the character key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the related vowel Out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최초로 터치 동작이 이루어진 기본자음으로부터 순차적인 드래그 동작만으로 하나의 글자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의 편의성 및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음 및 모음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그룹에 대응하는 문자키 배열을 순차적으로 출력함에 따라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문자입력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ingle character can be completed only by a sequential drag operation from a basic consonant in which a touch operation is first performed, convenience and speed of character inpu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classifying consonants and vowels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sequentially outputting a character key array corresponding to each group, the touch type display can be efficiently used, and the accuracy of character inpu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문자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문자키 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기본자음의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2 문자키 배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기본모음의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화면에 출력되는 제3 문자키 배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음 호출키에 대응하는 선택신호에 의해 화면에 출력되는 제1 문자키 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문자키 배열이 화면에 출력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문자키 배열의 기본자음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화면에 출력되는 제2 문자키 배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문자키 배열의 기본모음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화면에 출력되는 제3 문자키 배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자음 호출키에 대응하는 제1 문자키 배열의 형태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동해'라는 단어를 입력할 때 화면에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문자키 배열의 형태 및 드래그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변형된 배치 형태를 가지는 문자키 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문자키 배열에서 문자키의 배치가 변형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character key array output in correspondence with a character input signal;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outputted in response to a selection signal of a basic consonan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ird character key arrangement output on a screen in response to a selection signal of a basic bar;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character key array output on a screen by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call key;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first letter key arrangement is output on a scree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displayed on a screen when one of the basic consonants of the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is selected;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hird character key arrangement displayed on a screen when one of the basic collections of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is selected;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orm of a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call key; FIG.
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hape and drag direction of a character key array sequentially displayed on a screen when a word 'East Sea' is inputted;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racter key arrangement having a modified arrangement form;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character keys is modified in the character key arrangement shown in FIG. 12;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100)는 저장부(110) 및 출력 제어부(120)를 구비하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폰(200) 외에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KIOSK) 등의 터치식 기기 및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nd an output control unit 120, and a smart phone having a touch display as illustrated in FIG. 1. In addition to the 200, a touch type device such as a kiosk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nd a portable device such as a tablet PC may be impleme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에 구현된 경우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where the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smart phone 200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mbodiment.

먼저 저장부(110)에는 문자의 최소 단위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기본자음, 각각의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택된 연관자음, 복수의 기본모음 및 각각의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택된 연관모음이 저장된다. 이때 연관자음 및 연관모음은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기본자음에 직접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 및 제1연관자음에 대응하는 제2연관자음과 같이 저장될 수 있다.First, the storage unit 110 stores a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selected from the minimum units of characters, an associated consonant selected as corresponding to each basic consonant, a plurality of basic vowels, and an associated collection selected as corresponding to each basic vowel. . In this case, the associated consonants and the related vowels may be classified into two or more groups and stored together with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second associated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s.

이와 같이 문자의 최소 단위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함으로써 화면에 출력된 키패드에서 기본자음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이 포함된 키패드를 화면에 출력하고, 다시 제1연관자음이 선택되면 해당 제1연관자음에 대응하는 제2연관자음이 포함된 키패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방법에 의해 단계적인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적인 문자 입력은 모음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basic consonants are selected on the keypad displayed on the screen by classifying the minimum units of characters into a plurality of groups, a keypad including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consonants is output on the screen, and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s If this is selected, stepwise character input may be enabled by a method of outputting a keypad including a second associate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on a screen. This stepwise character input can be equally applied to vowels.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100)는 한글뿐 아니라 외국어의 입력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언어의 종류에 따라 구체적인 구현 형태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100)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고, 이후 외국어의 입력에 적용하는 경우에 관하여도 설명한다.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not only to Korean but also to input of a foreign language. However, since a specific implementation form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language, the character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 case of inputting Korean by using 100 will be described, and a case of applying to foreign language input will be described later.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기본 단위 중에서 자음은 기본자음, 제1연관자음 및 제2연관자음의 세 그룹으로 분류되며, 글자 내에서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면에 출력된다. 예를 들면, 초성의 위치에 표시될 자음을 입력할 때에는 기본자음 및 제1연관자음만 차례로 화면에 출력되며, 종성의 위치에 표시될 자음을 입력할 때에는 기본자음, 제1연관자음 및 제2연관자음이 순차적으로 화면에 출력된다. 따라서 제2연관자음으로는 종성으로만 사용되는 'ㄳ', 'ㄵ', 'ㄶ' 등의 이중자음들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 basic units for inputting Hangul,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ic consonants, first associated consonants, and second associated consonants. For example, when inputting a consonant to be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sonant, only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first consonan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urn. Association consonant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uble consonants such as 'ㄳ', 'ㄵ', 'ㄶ' used only as the final consonant are selected.

다음으로 모음은 기본모음, 제1연관모음 및 제2연관모음의 세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본모음으로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및 'ㅣ'가 선택되며, 제1연관모음 및 제2연관모음으로는 이들 기본모음에 획을 추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모음이 선택된다.Next, the vowel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ic vowels, first associated vowels and second associated vowels. '모',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and 'ㅣ' are selected as the default collection. The vowels and the second associative collection are selected vowels that can be obtained by adding strokes to these basic collections.

도 2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of a Korean alphabet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도 2를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음은 7개의 기본자음(210), 제1연관자음(220) 및 제2연관자음(230)으로 분류되고, 모음은 6개의 기본모음(240), 제1연관모음(250) 및 제2연관모음(260)으로 분류된다. 다만, 자음의 경우에 초성의 위치에 해당하는 자음을 입력할 때에는 기본자음(210) 및 제1연관자음(220)만 키패드 형태로서 순차적으로 화면에 출력된다. 또한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들 중 'ㄴ'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220)으로 'ㄵ'과 'ㄹ'이 선택되었는데, 이는 'ㄴ'이 초성일 때 제1연관자음(220)으로 'ㄹ'만 선택된 것에 비해 종성으로만 입력 가능한 이중자음인 'ㄵ'이 추가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2, as described above, the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seven basic consonants 210,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s 220, and the second associated consonants 230, and the vowels include six basic vowels 240 and a first vowel. It is classified into a first association collection 250 and a second association collection 260. However, in the case of consonants, when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initial consonants, only the basic consonants 210 and the first consonants 220 are outputted sequentially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keypad. In addition, 'ㄵ' and 'ㄹ' were selected as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s 220 corresponding to 'b' among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final consonant, which is '1' as the first consonant 220 Compared with only 'L', '이중', which is a double consonant that can only be input as a final word, has been added.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기본자음(210)과 연관자음(220, 230), 그리고 기본모음(240)과 연관모음(250, 260)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어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연관자음(220, 230) 및 연관모음(250, 260) 역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두 개씩의 그룹에 한정되지 않고, 더 적거나 많은 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as shown in FIG. 2 is only an example, and the basic consonants 210 and the related consonants 220 and 230, and the basic vowel 240 and the associated vowels 250 and 260 are classified into various forms. I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10. In addition, associative consonants 220 and 230 and associative vowels 250 and 260 are not limited to two groups as shown in FIG. 2 but may be classified into fewer or larger groups.

출력 제어부(120)는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자음 및 모음의 각 그룹을 문자키 배열의 형태로 터치식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각각의 문자키에 대응하는 터치 동작에 의해 해당 터치 동작이 발생한 문자키의 자음 또는 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output control unit 120 outputs each group of consonants and vowels as described above to the touch type display screen in the form of an array of character keys, and generates a character key in which a corresponding touch operation is generated by a touch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key. Performs the function of displaying consonants or vowels on the screen.

구체적으로, 출력 제어부(120)는 문자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기본자음(210)으로 구성된 제1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하고, 제1 문자키 배열에 포함된 기본자음들(210) 중에서 선택된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연관자음(220, 230) 및 기본모음(240)들을 포함하는 제2 문자키 배열을 상기 화면에 출력하고, 제2 문자키 배열에 포함된 기본모음들(240) 중에서 선택된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연관모음(250, 260) 및 제1 문자키 배열을 호출하기 위한 자음 호출키를 포함하는 제3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In detail, the output controller 120 outputs a first character key array composed of basic consonants 210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and selects a basic selected from among basic consonants 210 included in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When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s input, a second letter key array including the associated consonants 220 and 230 and the basic collection 24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consonant is output to the screen and included in the second letter key array. A third signal including a consonant call key for calling the associated collections 250 and 26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vowel and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when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vowel from among the selected basic vowels 240 is input; Print an array of character keys on the screen.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을 사용하던 중 문자의 입력이 필요한 기능을 실행시키게 되면 스마트폰(200)의 문자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며, 그에 따라 문자입력 신호가 발생한다. 출력 제어부(110)는 문자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터치 동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저장부(110)에 저장된 자음 및 모음들을 문자키 배열의 형태로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문자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최초로 출력되는 문자키 배열은 도 2에 도시된 7개의 기본자음(210)으로 이루어진 문자키 배열이다. 한글의 특성상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글자는 존재하지 않으며, 문자를 입력할 때에는 항상 자음이 가장 먼저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초로 출력되는 문자키 배열에는 모음이 포함되어 있을 필요성이 낮다.When the user executes a function that requires input of a character while using the smartphone 200, the text input function of the smartphone 200 is activated, and a text input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output control unit 110 outputs consonants and vowe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in the form of a character key array so that a user may input a character by a touch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In this case, the first letter key array corresponding to the letter input signal is a letter key array composed of seven basic consonants 210 shown in FIG. 2.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there is no letter consisting of vowels only. When entering letters, consonants must always be entered first, so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vowels in the first letter key array.

도 3은 문자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문자키 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문자키 배열(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7개의 기본자음(210)이 각각 할당된 문자키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수 기능을 위한 옵션키로서 삭제키(310) 및 공백키(32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옵션키는 반드시 삭제키(310) 및 공백키(320)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할당된 키로 변경될 수 있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character key array output in correspondence with a character input signal.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300 includes character keys to which seven basic consonants 210 are assign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and a delete key (as an option key for a special function). 310 and a blank key 320 are further included. The option key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elete key 310 and the blank key 320, and may be changed to a key to which a function frequently used by a user is assigned as necessary.

도 3에 도시된 7개의 기본자음(210) 중에서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발생하면, 해당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출력 제어부(120)로 입력된다. 그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기본자음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선택된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220) 및 기본모음들(240)을 포함하는 제2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When a user's touch operation on one of the seven basic consonants 210 illustrated in FIG. 3 occurs,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sonant is input to the output controller 120. Accordingly, the output control unit 120 displays a basic consonant to which the selection signal is input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first consonant 220 and the basic vowels 24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consonant.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including the output to the screen.

도 4는 기본자음의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2 문자키 배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제1 문자키 배열(300)의 기본자음들(210) 중에서 'ㄷ'이 선택되었고, 그에 따라 'ㄷ'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220)인 'ㄸ' 및 'ㅌ', 그리고 6개의 기본모음(240)이 포함된 제2 문자키 배열(400)이 출력된다. 이때 제1 문자키 배열(300)에서 선택된 'ㄷ'은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유지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outputted in response to a selection signal of a basic consonant. Referring to FIG. 4, 'c' is selected from the basic consonants 210 of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shown in FIG. 3, and thus,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corresponding to 'c' is A second letter key arrangement 400 including 'ㄸ' and 'ㅌ' and six basic collections 240 is output. At this time, 'c' selected in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is maintained in its original position.

도 4와 같은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사용자가 제1연관자음(22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이미 화면에 표시되었던 'ㄷ'이 선택된 제1연관자음으로 변환되며, 사용자가 기본모음들(24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기본모음이 'ㄷ'에 대한 중성으로서 결합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하나의 문자키를 선택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최초로 선택한 'ㄷ'이 위치하는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2 문자키 배열(400)의 다른 문자키로 드래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ㄷ'을 초성으로 하는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터치 동작을 중간에 해제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만으로 초성의 변환 또는 중성의 입력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first associative consonants 220 i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as shown in FIG. 4, 'c', which is already displayed on the screen, is converted into the selected first associative consonants, and the user is selected from the basic collections. If one of 240 is selected, the selected basic bar is combined as a neutral for 'c'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selecting one letter key from the second letter key array 400 by dragging the letter key to another letter key of the second letter key array 400 while touching the point where the first 'c' is selected is located. By doing so. Therefore, the user performs the conversion of the initial formation or the neutral input only by the dragging operation without releasing the touch operation in the middle in order to input one letter of 'c' as the initial generation.

만약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만 화면에 표시된 상태, 예를 들면, 'ㄷ'만 표시된 상태 또는 'ㄷ'이 'ㄸ' 또는 'ㅌ'으로 변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해제한 경우에는 이미 표시된 자음을 초성으로 하는 글자의 입력이 중단되며, 출력 제어부(120)는 문자입력 과정을 초기화하고 다시 기본자음(210)으로 이루어진 제1 문자키 배열(300)을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If only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if the user releases the touch gesture when only 'c' is displayed or 'c' is converted to 'ㄸ' or 'ㅌ' The input of letters that make up the consonants is stopped, and the output control unit 120 initializes the character input process and again outputs the first letter key array 300 including the basic consonants 210 on the screen.

다른 실시예로서, 출력 제어부(120)는 이와 같이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만 화면에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해제되면 이미 화면에 표시되었던 초성의 자음을 삭제할 수 있다. 이때 기준시간은 0.1초 내지 0.5초의 짧은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문자입력의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초성만 입력된 상태에서 바로 터치 동작이 해제되면 화면에 표시된 초성을 삭제함으로써, 터치식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터치 동작의 오류로 잘못 표시되는 문자를 바로 정정할 수 있으며,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글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준시간 이상 터치 동작을 지속한 후 해제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output control unit 120 may delete the consonants that have already been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user's touch operation is released within a preset reference time from the time when only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reference time is preferably set to a short time of 0.1 seconds to 0.5 seconds so as not to affect the speed of the text input. As such, when the touch operation is released immediately in the state of inputting only the initial consonants, the initial consonants displayed on the screen are deleted, so that characters that are incorrectly displayed due to an error of the touch oper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display can be corrected immediately. In this case,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mproved since the touch operation may be continued after the reference time or mor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초성으로서 입력된 'ㄷ'에 결합되는 중성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ㄷ'을 터치한 지점으로부터 원하는 기본모음(240)의 위치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기본모음(240) 중에서 'ㅗ'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ㄷ'을 최초로 터치한 지점으로부터 터치 동작을 해제하지 않고 'ㅗ'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드래그하여 초성인 'ㄷ'에 'ㅗ'가 중성으로서 결합된 '도'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from the point where the 'c' is touched to the position of the desired main collection 240 to display the neutrality coupled to the 'c' input as the initial constellation on the screen.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input 'ㅗ' among the basic collections 240, the first touch of 'c' is dragged from the first touch point to the point where '해제' is located without releasing the touch opera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degree' combined with '성' as a neutral output on the screen.

이와 같이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키에 대응하는 선택신호의 입력은 제2 문자키 배열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지점, 즉 제1 문자키 배열에서 선택된 기본자음의 위치로부터 발생한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는 벡터의 종점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드래그 동작이 'ㄷ'의 위치로부터 'ㅗ'의 위치로 발생하였으므로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는 벡터의 종점은 'ㅗ'의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ㅗ'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출력 제어부(120)로 입력되고, 출력 제어부(120)는 그에 따라 'ㅗ'를 중성으로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input of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character keys i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is selected at the point at which the selection signal for inputting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to the screen is input, that is,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The end point of the vector corresponding to the drag operation generated from the position of the basic consonant is made.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since the drag operation occurs from the position of 'c' to 'k', the end point of the vector corresponding to the drag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k'. Therefore,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k' is input to the output controller 120, and the output controller 120 displays 'k' as neutral on the screen accordingly.

출력 제어부(120)는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기본모음(240) 중의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기본모음을 중성으로서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선택된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모음(250) 및 제1 문자키 배열(300)을 호출하기 위한 자음 호출키를 포함하는 제3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 앞의 설명과의 연결을 위해 제1 문자키 배열(300)에서 'ㄷ', 그리고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ㅗ'가 선택된 경우를 가정한다.When one of the main collections 240 is selected i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400, the output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corresponding main collection as neutral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first associated collection 25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ain collection. ) And a third character key array including the consonant call key for calling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on the screen. Assume a case where 'c' is selected in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and '에서' is selected i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for connection with the foregoing descrip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본모음 'ㅗ'에 대응하는 제1연관모음(250)은 'ㅛ' 및 'ㅚ'이다. 출력 제어부(120)는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ㅗ'가 선택되면 화면에 출력되었던 제2 문자키 배열을 삭제하고, 'ㅗ'에 대응하는 제1연관모음(250)인 'ㅛ' 및 'ㅚ'와 자음 호출키를 포함하는 제3 문자키 배열을 제1 문자키 배열(300)에 덮어쓰기 하는 형태로 화면에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associated collection 250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llection '모' is 'ㅛ' and 'ㅚ'. If 'ㅗ' is selected i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the output control unit 120 deletes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that was output on the screen, and the 'ㅛ' corresponding to 'ㅗ' is 'ㅛ'. A third character key array including 'and' ㅚ 'and a consonant call key is output on the screen in a form of overwriting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도 5는 기본모음의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화면에 출력되는 제3 문자키 배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선택된 기본모음 'ㅗ'를 제외한 제2 문자키 배열(400)은 삭제되었으며, 제1연관모음(250) 및 자음 호출키(510)를 포함하는 제3 문자키 배열(500)이 화면에 출력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ird character key arrangement displayed on a screen in response to a selection signal of a basic bar.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except for the default vowel 'ㅗ' selected from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is deleted, and the first associated vowel 250 and the consonant call key 510 are deleted. The third character key array 500 is included on the screen.

도 5에 도시된 제3 문자키 배열(500)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은 제1 문자키 배열(300)의 'ㄷ'에서 최초로 발생하여 제2 문자키 배열(400)의 'ㅗ'로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사용자는 터치 동작을 해제하지 않고 제3 문자키 배열(500)의 다른 키를 향하여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기본모음을 변환하거나 종성을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In the third character key array 500 shown in FIG. 5, the user's touch operation occurs first at 'c' of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and drags to 'ㅗ' of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The operation is made. The user may convert the basic collec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r additionally input the finality by performing a continuous drag operation toward another key of the third character key array 500 without releasing the touch operation.

먼저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제1연관모음(250) 중에서 'ㅛ'를 선택한 경우, 출력 제어부(120)는 이미 화면에 출력된 중성인 'ㅗ'를 'ㅛ'로 변환하고, 다시 'ㅛ'에 대응하는 새로운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 다만, 도 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ㅛ'에 대응하는 제2연관모음(260)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자음 호출키(510)만 포함하는 문자키 배열이 화면에 출력된다. 한편, 제1연관모음(250) 중에서 'ㅚ'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연관모음(260)으로 'ㅘ' 및 'ㅙ'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출력 제어부(120)는 제2연관모음(260)인 'ㅘ' 및 'ㅙ', 그리고 자음 호출키(510)를 포함하는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First, when the user selects 'ㅛ' from the first association collection 250 by the dragging operation, the output controller 120 converts the neutral '이미', which is already output on the screen, into ',', and then 'ㅛ' Print a new array of character keys corresponding to. However, as shown in FIG. 2, since there is no second associated collection 260 corresponding to 'ㅛ', a letter key array including only consonant call keys 510 is output on the screen. Meanwhile, when 'ㅚ' is selected from the first associated collection 250, 'ㅘ' and 'ㅙ' are stored as the second associated collection 260 as shown in FIG. 2, and thus the output controller 120 A character key array including 'ㅘ' and 'ㅙ', which are the second association bar 260, and the consonant call key 510, is output on the screen.

다음으로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제1연관모음(250)이 아닌 자음 호출키(510)를 선택하면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출력 제어부(120)로 입력되고, 출력 제어부(120)는 기본자음들(210)로 이루어진 제1 문자키 배열(300)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제1 문자키 배열(300)의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와는 달라지는데, 제1 문자키 배열(300)이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선택신호에 의해 출력되는 것이면 자음 호출키(510)를 중심으로 7개의 기본자음(210)이 배치된 형태로 출력된다.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sonant call key 510 instead of the first associated vowel 250 by a drag operation,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is input to the output controller 120, and the output control unit ( 120 outputs a first letter key array 300 composed of basic consonants 210 to the screen.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3, if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is output by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Seven basic consonants 210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call key 510.

도 6은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선택신호에 의해 화면에 출력되는 제1 문자키 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제1 문자키 배열(600)에서 자음 호출키(510)가 중심에 위치하며, 기본자음들(210)이 자음 호출키(5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letter key arrangement displayed on a screen by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Referring to FIG. 6, the consonant call key 51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letter key array 600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and the basic consonants 210 replace the consonant call key 510. It is arranged in a surrounding form.

사용자가 자음 호출키(510)로부터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기본자음들(21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출력 제어부(120)는 선택된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220)이 포함된 문자키 배열을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에 의해 제1연관자음(22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출력 제어부(120)는 선택된 제1연관자음에 대응하는 제2연관자음(230)이 포함된 문자키 배열을 출력한다. 다만, 제2연관자음(23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하지 않고,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과정이 종료된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basic consonants 210 by the drag operation from the consonant call key 510, the output control unit 120 includes a text key including a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consonant. Print an array.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first associative consonants 220 by the dragging operation, the output controller 120 outputs a character key array including the second associative consonants 23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rst associative consonants. . However, if the second associated consonant 230 does not exist, the process of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is terminated without outputting a new character key array on the screen.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한 문자입력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 해제에 의해 종료된다. 즉, 종성이 없는 글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240), 제1연관모음(250) 또는 제2연관모음(260)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동작을 해제함으로써 한 글자의 입력 과정이 종료되며, 종성이 있는 글자의 경우에는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제1 문자키 배열(300)에서 선택된 기본자음(210) 또는 제1연관자음(220)이나 제2연관자음(230)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동작을 해제함으로써 입력 과정이 종료된다.Character input by the above process is terminated by the user's touch operation release.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input a character without the finality, the input process of one letter is released by releasing the touch operation while the basic vowel 240, the first associated vowel 250 or the second associated vowel 260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case of a character having a finality, the basic consonant 210,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or the second associated consonant 230 selected from the first letter key array 300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is terminated. The input process is terminated by canceling the touch operation in the state displayed on this screen.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문자키 배열(300) 내지 제3 문자키 배열(500)의 배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른 형태로 화면에 출력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rrangement form of the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300 to the third character key arrangement 500 described above may be output to the screen in another form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도 7은 제1 문자키 배열(300)이 화면에 출력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두 개의 옵션키 중에서 하나가 제1 문자키 배열(300)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치 형태는 초성의 입력을 위한 제1 문자키 배열(300)과 종성의 입력을 위한 제1 문자키 배열(600)에서 기본자음(210)의 배치가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a 및 b로 표시된 위치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삭제키(310) 및 공백키(320) 등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가진 옵션키가 배치될 수 있다.FIG. 7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letter key array 300 is displayed on a screen. Unlike FIG. 3, one of two option keys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letter key array 300. Located. This arrangement may cause the arrangement of the basic consonants 210 to be identical in the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300 for initial entry and the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600 for final entry. In addition, in the positions indicated by a and b in FIG. 7, an option key having a function required by a user, such as a delete key 310 and a blank key 320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도 8은 제1 문자키 배열(300)의 기본자음들(210)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화면에 출력되는 제2 문자키 배열(4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a의 위치에는 제1 문자키 배열(300)에서 선택된 기본자음이 배치되며, b 및 c의 위치에는 선택된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220)이 배치된다. 대응하는 연관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옵션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문자키 배열(400)의 나머지 위치에는 도 8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기본모음들(240)이 배치된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output to the screen when one of the basic consonants 210 of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is selected. In FIG. 8, a basic consonant selected from the first letter key arrangement 300 is disposed at position a, and a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consonant is disposed at positions b and c.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sonant, the option key may be arrang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asic collections 240 are disposed in the remaining positions of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400 as shown in FIG. 8.

도 9는 제2 문자키 배열(400)의 기본모음들(240)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 화면에 출력되는 제3 문자키 배열(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는 제3 문자키 배열(500)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기본모음(240)에 대응하는 제1연관모음(250)은 두 개 이하이므로, 제3 문자키 배열(500)은 최대 4개의 키로 구성된다. 도 9에서 a의 위치에는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선택된 기본모음이 배치되며, b 및 c의 위치에는 선택된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모음(250)이 배치되거나, 또는 제1연관모음(250)이 없는 경우에는 옵션키가 배치될 수 있다. '종성'으로 표시된 키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제1 문자키 배열(300)을 호출하는 자음 호출키(510)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third character key arrangement 500 that is output on a screen when one of the basic collections 240 of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400 is selected. 9 illustrates various embodiments of the third character key arrangement 500. As shown in FIG. 2, since there are two or less first associated collections 250 corresponding to each basic collection 240, The three-character key arrangement 500 is composed of up to four keys. In FIG. 9, the basic collection selected i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400 is disposed at position a, and the first associated collection 25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collection is disposed at positions b and c, or the first association. If there is no collection 250, an option key may be arranged. The key marked as 'jongseong' is a consonant call key 510 for calling the first letter key array 300 to input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ed.

도 9와 같은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제1연관모음(250) 중의 하나가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제1연관모음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2연관모음(260) 및 자음 호출키(510)를 포함하는 문자키 배열이 화면에 출력된다. 이러한 경우의 문자키 배열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9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형태로 각각의 키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서 a의 위치에는 선택된 제1연관모음이 배치되고, b 및 c의 위치에는 제2연관모음(260) 또는 옵션키가 배치된다.When one of the first association vowels 250 is selected i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400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association vowel 260 and the consonant call key 510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lected first association vowel are selected. The array of character keys that it contains is printed on the screen. The character key arrangement in this case is not separately shown, but each key may be arranged in the same form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elected first associated vowel is disposed at the position a in FIG. 9, and the second associated vowel 260 or the option key is disposed at the positions b and c.

도 9의 제2 문자키 배열(400)에서 자음 호출키(510)가 선택되거나, 제1연관모음(250)이 선택되고 그에 대응하는 제2연관모음(260)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제2연관모음(260)이 포함된 문자키 배열에서 자음호출키(510) 또는 제2연관모음(260) 중의 하나가 선택된 경우, 출력 제어부(120)는 기본자음들(210)로 구성된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제1 문자키 배열(600)이라 한다. 그러나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제1 문자키 배열(600)은 이상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반드시 사용자가 자음 호출키(510)를 선택한 경우에만 화면에 출력되는 것이 아니고, 제1연관모음(250) 또는 제2연관모음(260)이 선택된 경우에도 출력 제어부(120)에 이해 화면에 출력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I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400 of FIG. 9, the consonant call key 510 is selected, or the first association vowel 250 is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association vowel 260 does not exist, or the second When one of the consonant call key 510 or the second associated vowel 260 is selected in the character key array including the associative vowel 260, the output controller 120 generates a character key array composed of the basic consonants 210. Print to the screen. This is referred to as a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600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600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is not necessarily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sonant call key 510 a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even if 250 or the second associated collection 260 is selected, it may be output on the understanding screen to the output control unit 120.

도 10은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제1 문자키 배열(600)의 형태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자음 호출키(510)에 대응하는 제1 문자키 배열(600)은 도 7에 도시된 제1 문자키 배열(300)과 기본자음들(210)의 배치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제1 문자키 배열(300)과는 달리 도 10에서는 a의 위치에 자음 호출키(510) 또는 마지막으로 선택된 모음이 배치되며, b의 위치에 옵션키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기본자음들(210)이 화면에 출력될 때마다 일정한 배치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m of the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600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The first letter key arrangement 600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 510 illustrated in FIG. 10 may confirm that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letter key arrangement 300 and the basic consonants 210 illustrated in FIG. 7 are the same. have. However, unlike the 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300 illustrated in FIG. 7, in FIG. 10, the consonant call key 510 or the last selected vowel is disposed at the position a, and the option key is disposed at the position b. As such, the basic consonants 210 are maintained every time the output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enabling intuitive input.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문자키 배열의 배치를 기초로, 실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inputting an actual wor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rrangement of each character key arrange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도 11a 및 도 11b는 '동해'라는 단어를 입력할 때 화면에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문자키 배열의 형태 및 드래그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11A and 1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hape and a drag direction of a character key array sequentially displayed on a screen when a word 'East Sea' is input.

먼저 도 11a는 '동'을 입력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a)와 같이 기본자음(210)으로 이루어진 제1 문자키 배열(300)이 화면에 출력되면, 사용자는 'ㄷ'이 위치하는 지점을 터치하고(①), 출력 제어부(120)는 화면에 초성인 'ㄷ'을 표시함과 동시에 (b)와 같이 'ㄷ'을 중심으로 하는 제2 문자키 배열(400)을 출력한다. '동'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2 문자키 배열(400)의 기본모음(240) 중에서 'ㅗ'를 선택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ㄷ'을 터치한 상태에서 'ㅗ'가 위치하는 지점을 향해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다(②). 그에 따라 출력 제어부는 화면에 표시된 'ㄷ'에 'ㅗ'를 결합하여 '도'라는 글자를 표시하고, (c)와 같이 'ㅗ'를 중심으로 하는 제3 문자키 배열(500)을 출력한다.First, FIG. 11A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step of inputting 'dong'. When the first letter key array 300 including the basic consonants 210 is outputted on the screen as shown in (a), the user is referred to as 'c'. Touching the location point (①), the output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initial letter 'c' on the screen and outputs the second letter key array 400 centering on 'c' as shown in (b). do.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dong', the user should select 'ㅗ' from the basic collection 240 of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Therefore, the user touches the point where 'ㅗ' is located while touching 'ㄷ'. Perform a drag operation (②). Accordingly, the output controller displays the letter 'degree' by combining 'ㅗ' on the screen with 'ㄷ', and outputs the third character key array 500 centering on 'ㅗ' as shown in (c). .

'동'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종성인 'ㅇ'만 더 입력하면 되므로, 사용자는 'ㅗ'까지의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다시 '종성'으로 표시된 자음 호출키(510)의 위치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고(③), 출력 제어부(120)는 자음 호출키(510)를 중심으로 하는 제1 문자키 배열(600)을 (d)와 같이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출력된 기본자음들(210) 중에서 '동'의 종성인 'ㅇ'을 선택하기 위해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다(④).In order to complete the 'dong', the user only needs to input the final 'ㅇ', so the user performs the drag operation to the position of the consonant call key 510 marked as 'the finality' while the drag operation is made up to 'ㅗ'. (3), the output control unit 120 outputs the first letter key array 600 centered on the consonant call key 510 to the screen as shown in (d).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to select 'O' which is the finality of 'East' among the output basic consonants 210 (④).

그 결과 출력 제어부(120)는 화면에 표시되었던 '도'에 종성 'ㅇ'을 결합하여 '동'이라는 글자를 화면에 표시하고, 'ㅇ'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220)인 'ㅎ'이 포함된 새로운 문자키 배열을 (e)와 같이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제1연관자음(220을 선택할 필요가 없으므로 문자키 배열이 존재하지 않는 빈 영역으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터치 동작을 해제한다(⑤). 도 11a의 (f)는 '동'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을 함께 나타낸 것으로, 한 번의 드래그에 의해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글자가 완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utput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word 'dong' on the screen by combining the finality 'ㅇ' with the 'degre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corresponding to 'ㅇ' 'ㅎ' Print a new character key array containing 'on the screen as shown in (e).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select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the touch operation is released by moving the touch point to an empty area where the letter key arrangement does not exist (⑤). It shows the drag direction of the user for input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a single letter consisting of initial, neutral, and finality is completed by one drag.

도 11b는 '해'를 입력하기 위한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a)와 같이 기본자음들(210)로 이루어진 제1 문자키 배열(300)에서 사용자는 'ㅇ'이 위치하는 지점을 터치하고(①), 출력 제어부(120)는 화면에 'ㅇ'을 표시함과 동시에 (b)와 같이 'ㅇ'을 중심으로 하는 제2 문자키 배열(400)을 화면에 출력한다. '해'의 초성은 'ㅇ'의 제1연관자음(220)인 'ㅎ'이므로, 사용자는 'ㅇ'으로부터 'ㅎ'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고(②), 출력 제어부(120)는 화면에 표시되었던 'ㅇ'을 'ㅎ'으로 변환하는 한편, (c)와 같이 기본모음들(240)로 이루어진 문자키 배열을 'ㅎ'을 중심으로 출력한다. '해'의 중성은 'ㅐ'이고, 그 기본모음은 'ㅏ'이므로, 사용자는 'ㅎ'의 위치로부터 'ㅏ'의 위치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③) 출력 제어부(120)가 화면에 표시된 'ㅎ'에 'ㅏ'를 결합하여 '하'를 표시하도록 한다.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step for inputting a 'solution'. In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composed of basic consonants 210 as shown in (a), the user touches a point at which 'ㅇ' is located (①), and the output control unit 120 displays 'ㅇ' on the screen. At the same time as the display (b),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y 400 centered on 'O' is output on the screen. Since the first consonant 220 of the 'year' is 'ㅎ',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from 'ㅇ' to 'ㅎ' (②), and the output controller 120 displays the screen. While converting the displayed 'ㅇ' to 'ㅎ', as shown in (c), the character key array consisting of the basic collections 240 is output based on 'ㅎ'. Since the neutral of the solution is 'ㅐ' and the default collection is 'ㅏ',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from the position of 'ㅎ' to the position of 'ㅏ' (③) and the output control unit 120 Combine 'ㅏ' with the displayed 'ㅎ' to display '하'.

또한 출력 제어부(120)는 선택된 기본모음인 'ㅏ'를 중심으로 (d)와 같이 제3 문자키 배열(500)을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는 '해'라는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 제1연관모음들(250) 중에서 'ㅐ'를 선택하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다(④). 그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화면에 표시된 '하'의 중성인 'ㅏ'를 'ㅐ'로 변환하여 '해'가 표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third character key array 500 on the screen as shown in (d) centering on the selected basic collection 'ㅏ', and the user associates the first to complete the letter 'Sea'. A drag operation of selecting 'ㅐ' from the collections 250 is performed (④). Accordingly, the output control unit 120 converts the neutral 'ㅏ' of the 'low' displayed on the screen into 'ㅐ' so that the 'solution' is displayed.

한편, 'ㅐ'에 대응하는 제2연관모음(26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ㅐ'는 마지막으로 선택된 모음이며, 출력 제어부(120)는 마지막으로 선택된 'ㅐ'를 중심으로 하여 기본자음들(210)로 이루어진 문자키 배열을 (e)와 같이 화면에 출력한다. '해'에는 종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문자키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향하여 드래그하거나 터치 동작을 해제함으로써(⑤) 글자의 입력 과정이 종료되도록 한다. 도 11b의 (f)는 전체 드래그 과정을 함께 나타낸 도면으로, 사용자는 좁은 범위 내의 드래그 동작만으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second associated vowel 260 corresponding to 'ㅐ', 'ㅐ' is the last selected vowel, and the output controller 120 has the basic consonants 210 around the last selected 'ㅐ'. The character key array consisting of)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e). Since there is no finality in the 'solution', the user ends the text input process by dragging toward the area where the letter key is not disposed or by releasing the touch operation (⑤). FIG. 11B (f) illustrates the entire drag process, and a user may input one letter only by a drag operation within a narrow rang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문자키 배열들은 모두 행렬 형태의 배치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100)는 이러한 행렬 형태의 배치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문자 입력의 편의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문자키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key arrays described above all have a matrix arrangement. However,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for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 of the matrix form, and may use various types of character key arrangement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user's character input.

도 12는 변형된 배치 형태를 가지는 문자키 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문자키 배열(300)을 구성하는 기본자음들(210) 외에 제1연관자음들(220)이 화면에 함께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문자키의 선택은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는 벡터의 방향뿐 아니라 거리까지 고려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문자키 배열에서 문자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자키들의 배치를 실시간으로 변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racter key arrangement having a modified arrangement. Referring to FIG. 12,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s 220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in addition to the basic consonants 210 constituting the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In this case, the selection of each character key is made by considering the distance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vector corresponding to the drag ope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character input in this type of character key arrangement, a method of modifying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 keys in real time may be used.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문자키 배열에서 문자키의 배치가 변형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 형태에서 'ㅂ'의 위치로부터 화살표의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화살표가 가리키는 영역에는 'ㅁ', 'ㄴ' 및 'ㄷ'이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문자키가 인접한 위치에 있으므로 잘못 입력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화살표의 방향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짐에 따라 (b)와 같이 'ㅁ', 'ㄴ' 및 'ㄷ'을 제외한 다른 문자키들은 비활성화되고, 'ㄴ' 및 'ㄷ'은 '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c)와 같이 원하는 문자키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다시 드래그함으로써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arrangement of character keys is modified in the character key arrangement shown in FIG. 12. In the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3A, when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rom the position of 'ㅂ', 'ㅁ', 'B' and 'c' are disposed in the area indicated by the arrow. Since each character key is in the adjacent position, it is likely to be mistyped. Therefore, as the drag is ma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letter keys other than 'ㅁ', 'ㄴ' and 'c' are deactivated as shown in (b), and 'b' and 'ㄷ' are moved away from 'ㅁ'. Are moved and placed. In this state, the user can accurately input characters by dragging agai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keys are located as shown in (c).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입력장치는 한글의 입력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언어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국어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itably used for input of Korean characters. However, the type of language used is not limited, and foreign languages can also be applied.

예를 들면, 알파벳을 사용하는 언어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자음과 모음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알파벳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서 선택된 알파벳을 서로 대응시켜 기본자음과 연관자음 및 기본모음과 연관모음과 같은 관계를 형성한다. 연관자음 및 연관모음이 다시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th, sh, ch, ing 등과 같이 복수의 알파벳이 결합되어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한글의 이중자음과 동일하게 취급하여 하나의 문자키로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문자키 배열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한 화면에 많은 수의 문자키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알파벳의 경우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anguage using an alphabet, the alphabet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the alphabet selected from each group is mapped to each other, similarly to the classification of a consonant and a vowel into a plurality of groups. Form relationships such as associative consonants and basic vowels and associative vowels. As described above, the association consonant and the association vowel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alphabets are combined and used conventionally, such as th, sh, ch, and ing, they may be treated as the Korean consonants and arranged as one letter key. Furthermore, when the character key arrangement has a form as shown in FIG. 12, a large number of character keys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and thus can be applied more efficiently in the case of the alphabet.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출력 제어부(120)는 문자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기본자음들(210)로 이루어진 제1 문자키 배열(300)을 화면에 출력한다(S1405).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기본자음들(210) 중 하나가 선택되면, 출력 제어부(120)는 선택된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220) 및 기본모음들(240)을 포함하는 제2 문자키 배열(400)을 화면에 출력한다(S1410).Referring to FIG. 14, the output controller 120 outputs a first character key array 300 including basic consonants 210 to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S1405). When one of the basic consonants 210 is selected by the user's touch operation, the output controller 120 may include a first character including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and the basic collection 24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consonant. The key arrangement 400 is output to the screen (S1410).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에 의해 제1연관자음(220) 중 하나를 선택하면(S1415), 기본모음들(240)로 이루어진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하고(S1420), 제1연관자음(220)을 선택하지 않으면 제2 문자키 배열(400)을 기초로 이후 과정이 진행된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first associative consonants 220 by the dragging operation (S1415), the character key array consisting of the basic collections 240 is output to the screen (S1420), and the first associative consonants 220 are displayed. If not selected, the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based on the second character key arrangement 400.

출력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기본모음들(240) 중에서 선택된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모음(250) 및 자음 호출키(510)를 포함하는 제3 문자키 배열(500)을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는 드래그 동작에 의해 제1연관모음(250) 또는 자음 호출키(510)를 선택한다.The output control unit 120 includes a third character key array 500 including a first association vowel 250 and a consonant call key 510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 selected from the basic vowels 240 by a user drag operation. Is output to the screen, and the user selects the first associated collection 250 or the consonant call key 510 by a dragging operation.

제1연관모음(250) 중 하나가 선택되고(S1430) 선택된 제1연관모음에 대응하는 제2연관모음(260)이 존재하면(S1435), 출력 제어부(120)는 제2연관모음(260) 및 자음 호출키(510)를 포함하는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S1440). 사용자가 제2연관모음(260) 중의 하나 또는 자음 호출키(510)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제1연관모음에 대응하는 제2연관모음(26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출력 제어부(120)는 종성의 입력을 위해 기본자음들(210)로 이루어진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S1445).If one of the first associated collections 250 is selected (S1430) and there is a second associated collection 26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rst associated collection (S1435), the output control unit 120 performs the second associated collection (260). And a character key array including the consonant call key 510 on the screen (S1440).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econd associated vowels 260 or the consonant call key 510 or there is no second related vowel 26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rst associated vowel, the output control unit 120 closes the terminal. A character key array consisting of basic consonants 210 is output to the screen for the input of (S1445).

사용자가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에 의해 기본자음들(210)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출력 제어부(120)는 선택된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제1연관자음(220)으로 이루어진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하고(S1450), 사용자는 제1연관자음(220)을 선택하거나(S1455) 터치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제1연관자음(220)이 선택되고 그에 대응하는 제2연관자음(230)이 존재하는 경우(S1460)에 출력 제어부(120)는 제2연관자음(230)으로 이루어진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제2연관자음(230)을 선택하거나, 제1연관자음(220)이 선택된 상태에서 터치 동작을 해제함으로써 글자의 입력 과정을 종료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basic consonants 210 by the continuous drag operation, the output control unit 120 outputs a character key array composed of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s 22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sic consonants on the screen ( In operation S1450,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in operation S1455 or may release the touch operation. When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is selected and the second associated consonant 230 corresponding thereto is present (S1460), the output controller 120 outputs a character key array consisting of the second associated consonants 230 on the screen. do. The user may end the input process of the letter by selecting the second associated consonant 230 or releasing the touch ope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associated consonant 220 is selected.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said invention is direct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110 - 저장부
120 - 출력 제어부 210 - 기본자음
220 - 제1연관자음 230 - 제2연관자음
240 - 기본모음 250 - 제1연관모음
260 - 제2연관모음 300 - 제1 문자키 배열
310 - 삭제키 320 - 공백키
400 - 제2 문자키 배열 500 - 제3 문자키 배열
510 - 자음 호출키
600 - 자음 호출키에 대응하는 제1 문자키 배열
100-Character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110-Storage
120-Output Control 210-Basic Consonant
220-First Associated Consonant 230-Second Associated Consonant
240-Default Collection 250-First Association
260-Second Association Collection 300-First Character Key Arrangement
310-Delete Key 320-Blank Key
400-Second Character Key Array 500-Third Character Key Array
510-Consonant Call Key
600-first character key array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call keys

Claims (3)

문자의 최소 단위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기본자음, 상기 각각의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택된 연관자음, 상기 문자의 최소 단위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기본모음 및 상기 각각의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택된 연관모음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기본자음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관자음 및 상기 기본모음으로 구성된 문자키 배열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기본모음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관모음에 대응하는 문자키 배열을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A plurality of basic consonants selected from the minimum units of characters, an associative consonant select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basic consonants, a plurality of basic vowels selected from the minimum units of the characters, and an associative vowel select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basic vowels The stored storage; And
When a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ic consonant is input, a character key array consisting of the related consonant and the basic vowel is output to the screen. When th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ic vowel is input, the character key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the related vowel is output. Character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comprising a; output control unit for outputting on the scre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대한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선택신호의 입력이 개시된 지점으로부터의 드래그 방향 및 드래그 거리를 기초로 상기 문자키 배열에 포함된 문자키들 중 상기 화면에 문자로서 표시할 문자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control unit selects a character key to be displayed as a character on the screen among the character keys included in the character key array based on the drag direction and the drag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input of the selection signal is started by the touch operation on the scre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의 최소 단위들은 한글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용 문자 입력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inimum unit of the character is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minimum units constituting the Hangul.
KR1020120054836A 2012-05-23 2012-05-23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KR201200601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36A KR20120060190A (en) 2012-05-23 2012-05-23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36A KR20120060190A (en) 2012-05-23 2012-05-23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10A Division KR101191408B1 (en) 2010-11-25 2010-11-25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190A true KR20120060190A (en) 2012-06-11

Family

ID=4661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836A KR20120060190A (en) 2012-05-23 2012-05-23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19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CN110168488A (en) Pressure sensitive dummy keyboard
JP2013515295A (en)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JP2013520878A (en) Configurable multilingual keyboard
US20140043239A1 (en) Single page soft input panels for larger character sets
CN104808807A (en) Method and device for Chinese phonetic input
KR1016578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and method for searching the chinese characters
KR101046914B1 (en)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1334692B (en) Link-up phonetic input method
US20110022956A1 (en)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2866826A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TWI475405B (en) Electronic device and text-input interface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20134580A (en) A letter input method of chinese with function of intonation choice for touch screen
CN106168880B (en) A kind of method and terminal of input control
KR20120063407A (en) Rapid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101191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KR1012168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chinese language in mobile device
CN102375655A (en) Alphabet input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201200601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touch screen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KR101269633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input type and method thereof
KR101665374B1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board
TW201931070A (en)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same
KR1010539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input implemented on mobile device
KR101231206B1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touch and dr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