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169A -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169A
KR20120053169A KR1020100114295A KR20100114295A KR20120053169A KR 20120053169 A KR20120053169 A KR 20120053169A KR 1020100114295 A KR1020100114295 A KR 1020100114295A KR 20100114295 A KR20100114295 A KR 20100114295A KR 20120053169 A KR20120053169 A KR 20120053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content
service
display environ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3169A/en
Publication of KR2012005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environment provid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manage a TV using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each user account. CONSTITUTION: An image display device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a user switching menu(S12). The image display device outputs the user switching menu(S13). The image display device receives signals for selecting one or more accounts(S14). The image display device searches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S15). The image display device outputs the searched display environment(S16).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영상 표시 기기 및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TECHNICAL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복수의 계정으로 영상 표시 기기에 로긴하여, 계정 사용자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video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suitable for an account user by logging into a video display device with a plurality of accounts.

특히, 본 발명은 계정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content service, application service, web service)와 연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Smart TV에 관한 것으로, 가족 entertainment 가전인 TV에서 구성원 개인별로 관심 서비스가 다를 경우 user switch를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계정별로 연동된 서비스의 예로 TV channel. Internet Media content, Application, Pot cast, Web page, SNS service 등과 이를 즐겨찾기로 관리하는 Bookmark를 다룰 수 있다. 본 발명 계정별로 서비스를 따로 관리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에 기여함은 물론 미성년자의 성인 컨텐츠 접근을 막을 수 있는 Smart TV용 parental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that provides a service interoperating with an Internet service (content service, application service, web service) that requires an account. It provides a function to make it easy to enjoy the desired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a service linked to each account TV channel. It can handle Bookmark, which manages Internet Media content, Application, Pot cast, Web page, SNS service and so on as favorites. By separately manag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rental service for Smart TV that can contribute to user's convenience and prevent minors from accessing adult content.

Smart TV는 기존 TV와 달리 기본 TV channel 외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사용자가 추가,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별로 관심사가 다를 경우 같은 TV라도 전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하지만 TV의 경우 휴대폰처럼 개인화 기기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여럿인 경우 본인이 원하는 대로 TV서비스를 구성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본인이 원하는 서비스를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많은 서비스들 중에서 본인의 서비스를 찾고 관리하기가 점점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관심사별 eMail, 컨텐츠 추천기능, SNS, messenger, 성인 컨텐츠 사용기록 등 가족들과 공유하기 싫은 개인적인 정보들도 공유해야 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기존의 Smart TV는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귀찮은 로그인 절차를 생략하도록 계정을 미리 TV에 등록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모든 계정의 사용자가 등록한 기능을 다 사용할 수는 있지만 오히려 본인이 원하는 기능만을 쓰기는 더 불편하다. 특히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비스를 등록하고, app을 다운 받고 하게 되면 Smart TV UI는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 Unlike conventional TV, Smart TV provides various Internet services besides basic TV channel, and users can add or delete them, so if the interests are different for each user, the same TV can be a device that provides a completely different service. However, since TV is not a personal device like a mobile phone, it is not only difficult to configure TV service as you want in case of multiple users, but even if you install the service you want,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find and manage your service among many services. Can los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sharing personal information that you do not want to share with family members such as eMail, content recommendation function, SNS, messenger, and adult content usage records by interest. In order to minimize user inconvenience, the existing Smart TV registers an account on the TV in advance so as to omit the troublesome login process. In this case, all the functions registered by the users of all accounts can be used, but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only the desired function. Uncomfortable. In particular, when the user registers various services and downloads the app, the Smart TV UI becomes more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정별로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재고하고, 또한 미성년자로부터 유해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한함으로써 PARENTAL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provide a PARENTAL SERVICE by reconsidering the user's convenience by separately managing the service or content for each accou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lso limiting harmful content or services from minors.

또한, 본 발명은 별도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의식적으로 선택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공유 모드의 계정에 포함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재고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onsiders user convenience by including a content or service consciously selected by logging into a separate account in an account of a sharing mode.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사용자 전환 메뉴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전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by using a user switching menu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selection of a user switching menu; Outputting the user switching menu; Receiving a selection for at least one account; Searching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 And outputting the retrieved display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사용자 전환 메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는, 사용자 전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선택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ideo display device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using a user switching menu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lection of a user switching menu and selects at least one account.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input; An image processor for outputting the user switching menu; And a controller for searching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 and outputting the searched display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은,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by using a plurality of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includes: receiving content by logging in by one account; Receiving a selection of content;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using the selected content; And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은,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by using a plurality of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includes: receiving content by logging in by one account; Receiving a selection of content;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using the selected content; And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는,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컨텐츠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display environment using a plurality of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or more accounts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which is logged in by one account and receives contents; A user interface to receive a selection of conten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using the selected content and to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using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는, 하나의 계정에 의한 로그인을 입력받고,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ideo display device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using a plurality of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or more accou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login by one account and inputs a selection of a content or a service. A receiving user interface unit; A controller configured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and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사용자 전환 메뉴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명령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코드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가, 사용자 전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고; 및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ing command code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by using a user switching menu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and code comprising: The controller of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es a selection of a user switching menu; Output the user switching menu; Receive a selection for at least one account; Search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 And code for outputting the retrieved display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명령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코드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가,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컨텐츠를 제공받고;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command codes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a plurality of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mmand codes are: The control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content is logged in by one account; Receive a selection of content;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And a cod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명령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하고;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command codes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By logging in; Receiving a selection of content or service;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And a cod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럿이 공유하는 TV를 사용자 별 계정으로 관리함으로써 일인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상 표시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suitable for a single user by managing a TV shared by multiple users with a user-specific accou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인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일부를 공유 계정에 등록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재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can be reconsidered by registering a part of content or service used by a single user in a shared accou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여야 할 특정 사용자의 보호를 위하여, 계정을 암호화하거나, 또는 해당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PRIVACY 또는 미성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tect a specific user who should restrict the content or service, to encrypt the account, or to encrypt the content or service to protect the user's PRIVACY or min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다른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가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접속하여 채널 정보 등을 수신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기기의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계정의 로그인 및 컨텐츠의 공유를 관리하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전환 메뉴를 제공하는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부 사용자 계정에 컨텐츠/서비스의 제한 설정을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부 사용자 계정을 암호화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컨텐츠 수신 도중 마킹(marking)저장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선택한 컨텐츠의 마킹이 공유 계정으로 공유되는 결과를 확인하는 화면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선택한 컨텐츠의 마킹에 대하여 공유 계정으로 공유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설치한 서비스가 공유 계정으로 공유되는 결과를 확인하는 화면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설치한 서비스를 공유 계정과 공유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설치한 서비스를 암호화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설치한 서비스를 암호화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ntire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ntire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in which the video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or 2 receives channel information and the like by accessing a service provider.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used in the steps illustrated in FIG. 3.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or 2 in more detail.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reen for managing login and sharing of content of a plurality of accou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user switch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environment is updated according to a us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environment is updated according to a us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environment is updated according to a us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n example of providing a limit setting of content / service to some user accou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llustrates an example of encrypting some user accou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llustrates an example of marking and storing a content while receiving content by logging in to an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A illustrates a screen for checking a result of marking a content selected by logging into one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hared to a shared account.
15B is a screen for providing a menu for determining whether to be shared with a shared account with respect to marking of selected content by logging into one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illustrates a screen for checking a result of sharing a service installed by logging into one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hared account.
16B is a screen for providing a menu for determining whether to share a service installed by logging into one account with a shared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is a screen for providing a menu for determining whether to encrypt a service installed by logging in to an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B illustrates an example of encrypting a service installed by logging in to one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module "and" part "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is faithful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but the Internet function, etc. are added, the handwriting type input device, touch screen Or it can be equipped with a more convenient interface, such as a space remote control. In addi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ing.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for example,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so that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In more detail,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or the like, and may be applicable to a smartphone in some cases.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ntire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4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HNED(40) 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인 클라이언트(100)에 대응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 해당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이다.As shown in FIG. 1, an entire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vider (CP) 10, a service provider (SP) 20, It may be divided into a network provider (NP) 30 and an HNED 40. The HNED 40 corresponds to, for example, the client 100 which is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100 correspond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is, for example, a network TV, a smart TV, an IPTV, or the like.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er 10 produces and provides various contents. 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provider 10 includes a terrestrial broadcaster, a cable system operator or a multiple system operator, a satellite broadcaster, and an internet broadcaster. An internet broadcaster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20 may provide a service package of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10.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20 of FIG. 1 may package and provide a first terrestrial broadcast, a second terrestrial broadcast, a cable MSO, satellite broadcast, various internet broadcasts, applications, and the like to a user.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20 may provide a service to the client 100 using a unicast or multicast scheme. The unicast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1: 1 between one sender and one receiver. For example, in the unicast method, when a receiver requests data from a server, the server may transmit data to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request. Multicasting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plurality of recipients of a specific group. For example, the server can send data to multiple pre-registered receivers at once. For such multicast registration, the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 protocol may be used.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network provider 30 may provide a network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client 100. The client 100 may establish a home network end user (HNED) to receive a service.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s a means for protecting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 conditional access or a content protection may be used. As one example for such a restriction reception or content protection, a scheme such as a cable card or a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DCAS) may be used.

한편,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클라이언트(10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ient 100 can also provide content through the network.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 the client 100 may be a content provider, and the content provider 10 may receive content from the client 100. In the case of designing as described above,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or a data service i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다른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ntire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 등이다.As shown in FIG. 2,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broadcast network and an internet network.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for example, a network TV, a smart TV, an HBBTV, or the like.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방송 인터페이스(101), 섹션 필터(102), AIT 필터(103),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부(104), 방송 데이터 처리부(111), 미디어 플레이어(106),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107), 인터넷 인터페이스(108), 그리고 런타임 모듈(109)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broadcast interface 101, a section filter 102, an AIT filter 103, an application data processor 104, a broadcast data processor 111, and a media player 106. ), An internet protocol processor 107, an internet interface 108, and a runtime module 109.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데이터, 실시간 방송 컨텐트,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그리고 스트림 이벤트가 수신된다. 한편,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트는,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Linear A/V Content)로 명명할 수도 있다.Through the broadcast interface 101,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AIT) data, real-time broadcast content, application data, and stream events are received. Meanwhile, the real-time broadcast content may be referred to as linear ave content (Linear A / V Content).

상기 섹션 필터(102)는,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수신된 4가지 데이터에 대한 섹션 필터링을 수행하여 AIT 데이터는 AIT 필터(103)로 전송하고,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방송 데이터 처리부(111)로 전송하고, 스트림 이벤트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부(104)로 전송한다.The section filter 102 performs section filtering on four pieces of data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interface 101 to transmit AIT data to the AIT filter 103, and the linear AV content is broadcast data processing unit 111. The stream event and the application data ar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data processor 104.

한편, 상기 인터넷 인터페이스(108)을 통해,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Non-Linear A/V Content)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수신된다. 상기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예를 들어, COD(Content On Demand)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Internet interface 108, non-linear AV content (Non-Linear A / V Content) and application data is received. The non-linear AV content may be, for example, a Content On Demand (COD) application.

상기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미디어 플레이어(106)로 전송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런타임 모듈(109)로 전송된다.The non-linear AV content is sent to a media player 106 and the application data is sent to a runtime module 109.

나아가, 상기 런타임 모듈(10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및 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컨대 AIT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프 싸이클을 컨트롤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우져는, 예컨대 상기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urther, the runtime module 109 includes, for example, an application manager and a browser as shown in FIG. 2. The application manager controls the life cycle for the interactive application using, for example, AIT data. The browser, for example,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nd processing the interactive application.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가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접속하여 채널 정보 등을 수신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도 3은 일 실시예이며, 도 3의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in which the video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or 2 receives channel information and the like by accessing a service provider. Of course, Figure 3 is an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method of Figure 3.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서비스 프로바이더 디스커버리 동작을 수행한다(S301). 영상표시기기는 SP 접속 요청(Service Provider Attachment Request) 신호를 전송한다(S302). SP 접속이 완료한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프로비져닝 정보(provisioning information)를 수신한다(S303). 나아가,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master SI 테이블을 수신하고(S304), Virtual Chnnanel Map 테이블을 수신하고(S305), Virtual Channel Description 테이블을 수신하고(S306), Source 테이블을 수신한다(S307).The service provider performs a service provider discovery operation (S301). The video display device transmits an SP connection request signal (S302). When the SP connection is completed,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es provisioning information (S303). Furthermore,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es a master SI table from the service provider (S304), receives a Virtual Chnnanel Map table (S305), receives a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S306), and receives a Source table ( S307).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ore detailed description is as follows.

상기 service provider discovery 는, IPTV 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들이 자신들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찾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discovery may refer to a process in which service providers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IPTV find a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ir services.

SD (service discovery) server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SP discovery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주소 목록을 찾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 3가지 이다. 첫째, 영상표시기기에 미리 설정된 주소 또는 사용자의 수동 동작으로 설정된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 DHCP 기반 SP discovery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DNS SRV-based SP discovery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위와 같은 3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획득한 주소의 서버에 접속하여, SP 별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service provider discovery record 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 탐색 단계를 진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들은, push mode 또는 pull mode 모두 가능하다.There are three ways to find an address list that can receive information (eg, SP discovery information) about an SD (service discovery) server. First, an address set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r an address set by a user's manual operation may be used. Second, DHCP-based SP discovery can be used. Third, the DNS SRV-based SP discovery method may be used. 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accesses the server of the address obtained by any one of the above three methods, and receives a service provider discovery record containing information required for service discovery for each SP. And, using this, the service search step is performed. These processes are available in either push mode or pull mode.

SP discovery record 의 SP attachment locator 로 지정된 SP attachment server 에 접속하여, 등록 절차(또는 service attachment 절차)를 수행한다. Access the SP attachment server designated as the SP attachment locator of the SP discovery record and perform a registration procedure (or service attachment procedure).

나아가, SP authentication locator 로 지정되는 SP 의 authentication service server 에 접속하여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다음, service authentication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Furthermore, after accessing the authentication service server of the SP designated as the SP authentication locator and performing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a service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한편, service attachment 절차 성공 이후에 서버에서 영상표시기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provisioning information table 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Meanwhil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video display device after the service attachment procedure is successful may be in the form of provisioning information table.

영상표시기기는, service attachment 과정에서,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자신의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고, Service attachment server 는 이를 바탕으로 영상표시기기가 가입한 서비스를 특정할 수가 있다. 나아가, 영상표시기기가 수신하고자 하는 Service Information 을 획득할 수 있는 주소 정보는, provisioning information table 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주소 정보는, master SI table의 접속 정보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가입자 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다.In the service attachment process, 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its ID an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service attachment server may specify a service subscribed to by the video display device based on this. Furthermore, address information for obtaining service information that the video display device wants to receiv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visioning information table. The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s to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master SI table. When using such a method, it is easy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subscriber.

그리고, 상기 Service Information 은, virtual channel map 에 대한 접속 정보 및 버전을 관리하는 master SI table record 와, 패키지 형태의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는 virtual channel map table, 그리고 각 채널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그리고 실제 서비스를 access 할 수 있는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source table 등을 포함한다.The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 master SI table record managing access information and a version of a virtual channel map, a virtual channel map table providing a list of services in a package form, and virtual channel description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of each channel. tables, and source tables that contain access information to access the actual services.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used in the steps illustrated in FIG. 3.

도 4는, 도 3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SI 내 데이터들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FIG. 3 in more detail. Herein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in the SI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Master SI table 은, 각 virtual channel map 을 받을 수 있는 위치 정보와, 각 virtual channel map 들의 버전 정보를 포함한다.The Master SI table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for receiving each virtual channel map and version information of each virtual channel map.

각 virtual channel map 은, virtual channel map identifier 로 유일하게 식별되며, virtual channel map version 은, virtual channel map 의 버전 정보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master SI table 로부터 시작된 화살표 방향으로 연결된 모든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테이블이 변경될 경우, 해당 테이블의 버전 증가와 함꼐 상위 모든 테이블(master SI table까지)의 버전이 증가한다. 따라서, master SI table 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전체 SI 테이블 상의 변화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Each virtual channel map is uniquely identified by a virtual channel map identifier, and the virtual channel map version indicates versi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annel map. When any one of all tables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tarting from the master SI table shown in FIG. 4 is changed, the version of all upper tables (up to the master SI table) increases with the version increase of the corresponding table. Therefore, by monitoring the master SI t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mediately see the change on the entire SI table.

예를 들어, source table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source table의 버전이 증가하고, 상기 source table 을 reference 하는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의 version 도 변경된다. 따라서, 하위 테이블의 변화는 상위 테이블의 변화를 야기시키며, 궁극적으로 master SI table의 버전이 변경된다.For example, when a change occurs in the source table, the version of the source table increases, and the version of the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that references the source table also changes. Therefore, the change of the lower table causes the change of the upper table, and ultimately the version of the master SI table is changed.

Master SI table은, 서비스 제공자 마다 하나가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서비스의 구성이 지역별 또는 가입자(내지는 가입자 그룹)별로 다를 경우, 각 단위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복수개의 master SI table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가입자의 지역 및 가입 정보 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master SI table 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 may be one Master SI table for each service provider. However, when the service configuration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or subscriber (or subscriber group), the service provider is designed to have a plurality of master SI tables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uni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according to the subscriber's region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aster SI table.

Virtual channel map table은, 하나 이상의 virtual channel 을 가질 수 있으며, 채널의 상세 정보를 virtual channel map 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virtual channel map table 의 virtual channel description location 은, 채널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의 위치를 알려 준다.The virtual channel map table may have one or more virtual channels, and does not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hannels in the virtual channel map, bu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from which the detailed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e virtual channel description location of the virtual channel map table informs the location of the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including channel detail information.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은 virtual channel 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며, virtual channel map table 의 virtual channel description location 을 이용하여, 상기 virtual channel desctiprion table 에 access 할 수가 있다.The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include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annel and can access the virtual channel desctiprion table using the virtual channel description location of the virtual channel map table.

Source table 은, 실제 서비스를 접속하는데 필요한 접속 정보(예를 들어, IP 주소, 포트, AV 코덱, 전송 프로토콜 등)를 서비스별로 제공한다. The source table provides connection information (eg, IP address, port, AV codec, transmission protocol, etc.) necessary for accessing a real service by service.

전술하여 설명한 master SI table, virtual channel map table,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그리고 source table 은, 논리적으로 4개의 분리된 flow 를 통해 전달되며, push mode 또는 pull mode 모두 가능하다. 한편, master SI table 은, 버전 관리를 위하여 멀티캐스트로 전송될 수 있으며, 멀티캐스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버전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The above-described master SI table, virtual channel map table, virtual channel description table, and source table are logically transmitted through four separate flows, and both a push mode and a pull mode are possible. Meanwhile, the master SI table may be transmitted by multicast for version management, and monitors version change by receiving a multicast stream.

도 5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일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도 5가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shown in FIG. 1 or 2 in more detail. 5 is only an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rather than the principles of FIG. 5.

영상표시기기(7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7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7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703), 디멀티플렉서(Demux)(705), PSI&(PSIP and/or SI) 디코더(704),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7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7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7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7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710),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712), SI&Metadata DB(711), UI 매니저(714), 그리고 서비스 매니저(71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The video display device 700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701, a TCP / IP manager 702, a service delivery manager 703, and a demultiplexer (Demux). 705, PSIP and / or SI decoder 704, audio decoder 706, video decoder 707, display A / V and OSD module 708 , Service Control Manager (709), Service Discovery Manager (710), Metadata Manager (712), SI & Metadata DB (711), UI Manager (714), and Services Manager 713 and the lik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01)는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망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컨텐츠 등을 수신한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701 receives packets received from the network and transmits the packets to the network.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701 receives a service, content, and the like from a service provider through a network.

TCP/IP 매니저(702)는, 영상표시기기(700)로 수신되는 패킷과 영상표시기기(700)가 전송하는 패킷에 대하여, 즉 소스로부터 목적지까지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그리고 TCP/IP 매니저(702)는 수신된 패킷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7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 서비스 제어 매니저(709) 및 메타데이터 매니저(712)로 분류된 패킷을 출력한다. The TCP / IP manager 702 is involved in the packet transmission from the source to the destination for the packet receiv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700 and the packet transmitt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700. The TCP / IP manager 702 classifies the received packet to correspond to an appropriate protocol, and classifies the packet into a service delivery manager 705, a service discovery manager 710, a service control manager 709, and a metadata manager 712. Output the printed packet.

서비스 전달 매니저(7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전달 매니저(7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디멀티플렉서(705)에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713)의 제어에 따라 SI&Metadata DB(711)에 저장한다. 그리고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The service delivery manager 703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received service data. For example, RTP / RTCP can be used to control real-time streaming data. When transmitting the real-time streaming data using the RTP, the service delivery manager 703 parses the received data packet according to the RTP and transmits it to the demultiplexer 705 or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ice manager 713. Accordingly stored in the SI & Metadata DB (711). Then, the RTCP is used to feed back the network reception information to a server that provides a service.

디멀티플렉서(7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706, 707), PSI&(PSIP and/or SI) Decoder(704)에 전송한다.The demultiplexer 705 demultiplexes the received packet into audio, video,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 data,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demultiplexer 705 to the audio / video decoders 706 and 707 and the PSIP and / or SI decoder 704, respectively. do.

PSI&(PSIP and/or SI) Decoder(704)는 예를 들어,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즉, PSI&(PSIP and/or SI) Decoder(704)는 상기 디멀티플렉서(705)에서 역다중화된 PSI 섹션, PSIP(Program and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섹션 또는 SI(Service Information) 섹션 등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PSIP and / or SI Decoder 704 decodes service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 That is, the PSIP and / or SI Decoder 704 receives and decodes the demultiplexed PSI section, the Program and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PSIP) section, or the Service Information (SI) section from the demultiplexer 705.

또한 상기 PSI&(PSIP and/or SI) Decoder(704)는 상기 수신된 섹션들을 디코딩하여 서비스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상기 서비스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SI&Metadata DB(711)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PSIP and / or SI Decoder 704 decodes the received sections to create a database of service information, and stores the database of service information in the SI & Metadata DB 711.

오디오/비디오 디코더(706/707)는, 상기 디멀티플렉서(705)에서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상기 오디오 디코더(706)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707)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7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An audio / video decoder 706/707 decodes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received at the demultiplexer 705. The audio data decoded by the audio decoder 706 and the video data decoded by the video decoder 707 ar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708.

UI 매니저(714) 및 서비스 매니저(713)는, 영상표시기기(7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한다.The UI manager 714 and the service manager 713 manage the overall stat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700, provide a user interface, and manage other managers.

UI 매니저(7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수신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채널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신호를 서비스 매니저(713)에 전송한다. The UI manager 714 provides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for a user by using an OSD (On Screen Display) and the like, and receives a key input from the user to perform a receiv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For example, upon receiving a key input related to channel selection from a user, the key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manager 713.

서비스 매니저(7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7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 서비스 제어 매니저(709) 및 메타데이터 매니저(7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The service manager 713 controls a manager associated with a service, such as a service delivery manager 703, a service discovery manager 710, a service control manager 709, and a metadata manager 712.

또한 서비스 매니저(7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만들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매니저(7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매니저(713)는 PSI&(PSIP and/or SI) Decoder(704)로부터 채널의 서비스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디멀티플렉서(705)에 설정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manager 713 creates a channel map and selects a channel using the channel map according to a key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interface manager 714. The service manager 713 receives service information of a channel from a PSSI and / or SI Decoder 704 and sets an audio / video PID (packet identifier) of the selected channel to the demultiplexer 7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713)로부터 채널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The service discovery manager 710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service. Upon receiving a signal for channel selection from the service manager 713, the service discovery manager 710 finds a service using the information.

서비스 제어 매니저(7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방식과 같은 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7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C 게이트웨이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service control manager 709 is in charge of selecting and controlling a service. For example, if a user selects a live broadcasting service like the conventional broadcasting method, IGMP or RTSP is used. If a user selects a service such as VOD (Video On Demand), RTSP is used to select and control the service. Perform The RTSP protocol may provide a trick mode for real time streaming. In addition, the service control manager 709 may initialize and manage a session through the IMC gateway using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or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he protocols are one embodiment, and other protocols may be used depending on implementation.

메타데이터 매니저(7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Metadata DB(711)에 저장한다.The metadata manager 712 manages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service and stores the metadata in the SI & Metadata DB 711.

SI&Metadata DN(711)는 PSI&(PSIP and/or SI) Decoder(7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7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710)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Metadata DB(711)는 시스템에 대한 셋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I & Metadata DN 711 selects service information decoded by the PSIP and / or SI Decoder 704, metadata managed by the metadata manager 712, and service providers provided by the service discovery manager 710. Save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I & Metadata DB 711 may store setup data for the system.

SI&Metadata DB(7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 NVRAM)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SI & Metadata DB 711 may be implemented using nonvolatile memory (NVRAM) or flash memory.

한편, 상기 IG(7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섭이트웨이이다. Meanwhile, the IG 750 is a gateway that collects functions necessary for accessing an IMS-based IPTV servi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영상 처리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unit 105 and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 135, a storage 140, a user interface 150, a controller 170, an image processor 180,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튜너(미도시), 복조부(미도시), 및 네트워크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면서 튜너와 복조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may include a tuner (not shown), a demodulator (not shown), and a network module (not shown). Of course,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tuner and the demodulator without including the network module, and conversely,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network interface without the tuner and the demodulator.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tuner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tuner can process both digital broadcast signals or analog broadcast signals.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튜너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uner may receive a single carrier RF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the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a multi-carrier RF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the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cheme.

한편,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The tuner may sequentially select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s.

복조부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receives a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is an ATSC scheme, the demodulator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for example. In addition, the demodulator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to perform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an decoding. Can be done.

예를 들어, 튜너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performs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COFDMA) demodulation, for example. The demodulator may also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soloman decoder, and the like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an decoding.

복조부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multiplexed wit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한편, 상술한 복조부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emodulation unit described above can be provi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TSC system and the DVB system. That is, it can be provided as an ATSC demodulation unit and a DVB demodulation unit.

복조부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영상 처리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image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 outputs an image to the image processor 180 and outputs an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for example,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wireless LAN (WLAN) (Wi-). 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like can be use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In particular,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transmitted to a user selected from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apparatus register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a selected electronic apparatus.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 인터넷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may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and provide an internet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send or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In addition,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may be received. That is, it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a movie,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 signal,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It may also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실시간 방송, VOD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content from a serve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may receive content including real time broadcasting, VOD,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서버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예컨대, SNS, 인터넷 전화, 화상 회의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상술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or download content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may download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er.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may be provided with a service provided by a server, for example, a service such as SNS, Internet telephony or video conferencing.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may download a program for receiv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gged in by one account and receive content.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or the like by wire / wireless.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ransmits an externally input image, audio or data signal to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output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to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may use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nd a DVI to input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RGB terminal,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주변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른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for exampl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Hardwar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a).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connected to various set top boxes and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 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 a neighboring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the received application or list to the controller 170 or the storage 140.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content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14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70, or may store a signal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130. In addition, the storage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130.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be,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RAM, ROM (e.g., EEPROM, etc.)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 user with a content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140.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계정 및 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환경은 예컨대, 영상 표시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빈도, 해당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여 배열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환경은 후술할 것이다.The storag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account. In addition, a plurality of accounts and corresponding display environments may be stored. The display environm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hod of configuring and arranging scree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ntent usage by the user who use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 display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0)는 수신 또는 제공받는 컨텐츠를 마킹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해당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마킹한 재생 위치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ark and store the received or provided content. The storage 14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marked playback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0)는 일 계정에 따른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계정 별로 저장할 수 있다. 별도의 사용자 선택이 없는 경우, 추가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은 디폴트 환경 또는 공유 모드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content or an application downloaded by a user according to one account for each account. If there is no separate user selection,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added account may be stored as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of the default environment or the shared mode.

또한,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추가한 계정 및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140 may store an account added by the user and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도 6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7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150 may be powered on / off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signals such as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or may be processed to transmit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ler 170 to the remote controller.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ler 170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 (Not shown).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n audio sensor, a position sensor, an operation senso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표시하여 저장하는 마크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마크 선택을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 예시되는 원격 조정 리모컨(200)에 특정 키가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mark selection for displaying and storing content being played. In order to receive the mark selection, a specific key may b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ler 200 illustrated by the user interface unit 150.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후술하는 사용자 전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 전환 메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대한 선택, 예컨대, 하나의 계정에 대한 로그인, 하나의 계정에 대한 관리를 위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전환 메뉴의 선택 경로는 원격 조정 장치(200)에 버튼을 통하여, 또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메인 화면에서 하위 메뉴로의 진입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lection of a user switching menu to be described later, and selects at least one account included in the user switching menu, for example, logging in to one account, for one account. You may receive a selection for management. The selection path of the user switching menu may be performed through a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r by entering a lower menu from the main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컨텐츠의 선택은, 컨텐츠를 표시하여 저장하는 마킹(Marking), 컨텐츠의 다운로드,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 서비스의 구독,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selection of content. The selection of content may include marking for displaying and storing content, downloading content, registering a service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subscribing to a service, downloading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and installing the application. have.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의 선택 행위는,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act of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ct of the user consciously selecting the content or a service.

제어부(170)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and output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by demultiplexing an input stream or processing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a tuner, a demodulator,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image processor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through audio.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tuner to control selecting of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 pre-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0. In particular, the user may access the network to download the desir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영상 처리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tuner so tha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is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50. Then,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The controller 170 allows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be output through the image processor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영상 처리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receive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amera or a camcorder,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0.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image processor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영상 처리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or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n imag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a tuner,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 image input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he control may be displayed at 180.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processor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reproduce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content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마크된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마크된 재생 위치와 함께 마크된 컨텐츠 오브젝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도록 영상 처리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he marked content as the marked content object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marked playback position. The controller 170 may search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 and control the image processor 180 to output the searched display environment.

영상 처리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image processor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or an image signal, data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Generate a drive signal.

영상 처리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or 180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한편, 영상 처리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mage processor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부(180)는 후술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메인 화면, 사용자 전환 메뉴,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 별로 메인 화면 및 컨텐츠의 배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main screen, a user switching menu, and an arrangement of main screens and contents for each logged-in user.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a voice signal. The voice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detect a gesture of a user, as described above, a sensing unit (not show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ha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0.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above is a fixed type of ATSC (8-VSB) digital broadcasting, DVB-T (COFDM) digital broadcasting, ISDB-T (BST-OFDM)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like.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계정의 로그인 및 컨텐츠의 공유를 관리하는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상에서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전체 화면(50)의 왼쪽에는 메인 화면임을 나타내는 Home(51), Bookmars(52), Application(53), MostVisited(54), Queqe(55), What'sOnTV(56), YouTube(57)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7 is a screen for managing login and sharing of content of a plurality of accou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a main screen is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n the left side of the full screen 50, Home (51), Bookmars (52), Application (53), MostVisited (54), Queqe (55), What'sOnTV (56), and YouTube (57) are displayed. It is becoming.

Application(53)은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뉴이다. 또한 복수의 계정 중 일부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경우, Application(53)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한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어플리케이션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 빈도, 날짜, 이름을 기초로 배열될 수 있다.Application 53 is a menu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downloaded and installed by a user. In addition, when installing an application by logging in with some of the plurality of accounts, the application 53 may display only the application downloaded and installed by the user logged in with the corresponding account. The applications displayed can be arranged based on frequency of use, date, and name.

MostVisited(54)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서비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계정 중 일부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이용한 서비스를 기초로 계정 별로 서비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메뉴는 일부 계정으로 로그인한 사용자가 사용한 횟수, 또는 사용 빈도를 기초로 서비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MostVisited 54 may provide a list of services the user has most us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st of services for each account may be provided based on a service used by logging in to some of a plurality of accounts. The menu may display a list of service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logged in with some account or the frequency of use.

Queqe(55)는, 일부 계정으로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알맞는 또는 적합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추천하는 메뉴이다. 사용자에게 알맞거나 적합한 지의 여부는, 해당 계정의 사용자가 기 사용한 컨텐츠의 장르, 서비스의 종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해당 계정의 사용 히스토리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계정을 등록할 때에 입력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또는 직업에 기초하여 추천 메뉴가 결정될 수 있다. Queqe 55 is a menu for recommending suitable or suitable content or services to a user logged in with some account. Whether it is appropriate or suitable for the us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genre of the content and the type of service used by the user of the account. That is, based on the usage history of the account. 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 menu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ge, gender, or occupation of the user input when registering the account.

What'sOnTV(56)는, 로그인되어 있는 계정 사용자가 즐겨 찾는 TV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예컨대, 문화, 스포츠, 레저 별로 TV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또는 카테고리의 배열 순서는 해당 계정의 사용가의 사용 빈도 횟수 등에 의존적일 수 있다.The What's OnTV 56 may display favorite TV contents of the logged-in account user. In addition, TV content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categories, for example, culture, sports, and leisure.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displayed content or category may depen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account.

YouTube(57)는, 로그인되어 있는 계정의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성향은, 사용자가 기 사용한 컨텐츠의 장르, 사용 빈도, 사용자의 성별, 나이 또는 직업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YouTube 57 may provide contents suitable for the user's disposition of the logged in account. The user's disposi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genre, frequency of use, gender, age, or occupation of the user.

도 7a에서 사용자는 원격 조정 장치(200)의 버튼(201)을 눌러서 계정 관리 메뉴(6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의 메인 메뉴의 하위 메뉴로의 진입을 통하여 계정 관리 메뉴(60)에 진입할 수 있다.In FIG. 7A, the user may select the account management menu 60 by pressing the button 201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n addition, the account management menu 60 may be entered through entry into a lower menu of the main menu of the video display device.

도 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 별로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리스트, 컨텐츠의 리스트로의 접속 메뉴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즉, 도 7a는 일 계정별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환경이 제공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7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display environment for setting and displaying a content or a list of contents and a connection menu to a list of contents is provided for each one of a plurality of accounts. That is, FIG. 7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ispla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each account.

도 7b는 사용자가 계정 관리 메뉴(60)를 선택하여 제공되는 계정 관리 화면을 나타낸다. 전체 화면(50)에는 계정 관리에 관한 세부 설정을 위한 계정 관리 옵션 메뉴(60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계정 관리 옵션 메뉴(600)는 공유 설정 메뉴(61), 사용자 로그인 메뉴(62), 사용자 추가 메뉴(63)를 포함할 수 있다.7B illustrates an account management screen provided by a user selecting an account management menu 60. The full screen 50 displays an account management option menu 600 for detailed settings related to account management. The account management option menu 600 may include a sharing setting menu 61, a user login menu 62, and a user adding menu 63.

공유 설정 메뉴(61)는 일부 계정으로 로그인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의 일부를 common 계정으로 공유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컨텐츠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자동 공유(611) 또는 수동 공유(612)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 공유(61)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예외적인 컨텐츠가 아닌 경우 common 계정으로 자동으로 등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외적인 컨텐츠는, 예컨대, 사용자의 개인적인 서비스, 예컨대 이메일, SNS, 등일 수 있고, 미성년자 등에게 제한되는 컨텐츠일 수 있고, 사용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수동 공유(62)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할 때마다 common 계정으로 공유할 것인지를 일일히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일 수 있다.The sharing setting menu 61 is a menu for determining to share a part of the content selected by a user who is logged in with some accounts to the common account. In the content sharing method, an automatic sharing 611 or a manual sharing 612 may be selected. The automatic sharing 61 may be set to automatically register with the common account whe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s not exceptional content. The exceptional content may be, for example, a user's personal service such as e-mail, SNS, etc., may be content limited to minors, etc., and may be a service charged for use. Manual sharing 62 may be a way to allow the user to enter each day to share the common account every time you select the content.

사용자 로그인 메뉴(62)는 영상 표시 기기상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 계정 중 일부를 선택하여 로그인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도 7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로그인 메뉴(62)를 선택하면, 복수의 계정 선택 메뉴(6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의 계정 선택 메뉴(620)는 Common 계정(621), 아빠(622), 엄마(623), 초등 아들(624)이라는 사용자로의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login menu 62 may be a menu for selecting and logging in some of a plurality of accounts register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7B,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r login menu 62, a plurality of account selection menus 620 may be displayed. The plurality of account selection menus 620 may include an account as a user of a common account 621, a father 622, a mother 623, and an elementary son 624.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계정 선택 메뉴(620)를 통하여 로그인하는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Common 계정으로 자동으로 로그인되어 디스플레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의 로그인 절차 없이 영상 표시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Common 계정으로 자동 로그인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automatically logged in to a common account to provide a display environment without going through a procedure such as logging in through a plurality of account selection menus 620. That is, when the user uses the video display device without a separate login procedure, the user may be automatically logged in with the common account.

사용자 추가 메뉴(63)는 복수 계정 선택 메뉴(620)에 포함된 사용자 이외의 계정을 추가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The add user menu 63 may be a menu for adding an account other than the user included in the multi-account selection menu 62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전환 메뉴를 제공하는 일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영상 표시 기기의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사용자가 Application(53)을 선택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계정의 사용자가 기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8에서는 Common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가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8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user switch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main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displayed while the user is logged in with one of a plurality of accounts, and the user selects Application 53. The application list 530 previously downloaded and installed by the user of any one account is displayed. 8 shows that a corresponding application list 530 is provided while logged in with a common account.

도 8을 참조하면, 원격 조정 장치(200)를 통하여 사용자 전환 메뉴(70)의 선택을 입력받고 있다. 도 8에서 사용자는 원격 조정 장치(200)의 버튼(201)을 이용하여 사용자 전환 메뉴(70)를 선택할 수 있다. 버튼(201)은 사용자 전환 메뉴(70)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어느 계정으로도 로그인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버튼(201)은 상술한 계정 관리 메뉴(60)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selection of the user switching menu 70 is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n FIG. 8, the user may select the user switching menu 70 by using the button 201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e button 201 may be a dedicated button for providing the user switching menu 70.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no account is logged in, the button 201 may be a button for selecting the account management menu 60 described above.

사용자 전환 메뉴(70)의 선택은 원격 조정 장치(200)의 버튼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서 행해질 수 있다. The selection of the user switching menu 70 may be performed through a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device, a touch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s well as a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도 8에서는 사용자가 Common 계정으로 로그인 된 상태에서 Application 리스트(530)를 열람하는 도중 사용자 전환 메뉴(70)를 선택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영상 표시기기를 턴-온할 때, 도 8에서와 같이 메인 화면을 제공하는 도중 어느 경우라도, 사용자 전환 메뉴(70)로의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전환 메뉴(70)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8 illustrates an example of selecting a user switching menu 70 while viewing an application list 530 while a user is logged in with a common accoun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user turns on the video display while watching a specific content, and in any case while providing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8, when a selection to the user switching menu 70 is input, the user switching The menu 70 may be output.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9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는 사용자 전환 메뉴(70)에 포함된 계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계정(71)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전환 메뉴(70) 중 아빠(71)라는 계정을 선택받고 있다. 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environment is updated according to a us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A,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es a selection of at least one account 71 among accounts included in the user switching menu 70. For example, the account of the father 71 is selected from the user switching menu 70.

사용자 전환 메뉴(70)는 사용자 전환 메뉴(70)에 포함된 복수의 계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한 로긴 메뉴일 수 있다. 복수의 계정 및 각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은 영상 표시 기기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user switching menu 70 may be a login menu by at least one account among a plurality of accounts included in the user switching menu 70. A plurality of accounts and display environments corresponding to each account may be pre-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 전환 메뉴(70)를 통하여 선택된 아빠(71) 계정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환경이 출력되고 있다. 영상 표시 기기는 아빠(71)라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고, 해당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가 아빠 계정에 따라 변경되어 아빠 계정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가 출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Common 계정에 따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는 App1. App2, App3, App4 등을 포함하고 있지만, 아빠 계정에 따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530`)는 App5, App6, App7, App8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a display environment is output based on the dad 71 account selected through the user switching menu 70.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search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father 71 and output the display environment. Referring to FIG. 9B, it can be seen that the application list 53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ather account so that the application list 530 ′ corresponding to the father account is output. That is, the application list 530 installed according to the common account is App1. Although App2, App3, App4, and the like are included, the application list 530` installed according to the father account may include App5, App6, App7, and App8.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전환 메뉴를 제공하는 일례이다. 도 10a을 참조하면, 복수의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영상 표시 기기의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사용자가 Bookmarks(52)을 선택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계정의 사용자가 기 마킹하여 저장하여둔 마크된 컨텐츠 리스트(52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10a에서는 Common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마크된 컨텐츠 리스트(520)가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마크된 컨텐츠 리스트(520)에는 실시간 방송에서 마킹하여 저장한 채널 정보, 구매한 컨텐츠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마크된 컨텐츠 리스트(520)의 컨텐츠 또는 채널 정보의 배열은 Common 계정에서 사용한 횟수, 빈도, 날짜에 의존적일 수 있다. 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environment is updated according to a us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llustrates an example of providing a user switch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A, the main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displayed while being logged in with one of a plurality of accounts, and the user selects Bookmarks 52. The marked content list 520 that the user of any one account has already marked and stored is displayed. In FIG. 10A, a marked content list 520 is provided while logged in with a Common account. The marked content list 520 displays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list of purchased contents, which are marked and stored in the real time broadcast. The arrangement of contents or channel information of the marked content list 520 may be dependent on the number, frequency, and date used in the common account.

도 10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는 사용자 전환 메뉴(70)에 포함된 계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계정(71)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전환 메뉴(70) 중 아빠(71)라는 계정을 선택받고 있다. 사용자 전환 메뉴(70)를 아빠(71)를 선택함으로써 아빠(71) 계정으로 로그인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the image display device receives a selection of at least one account 71 among accounts included in the user switching menu 70. For example, the account of the father 71 is selected from the user switching menu 70. By selecting the dad 71 in the user switching menu 70 can be logged into the dad 71 account.

도 10b는 전환된 계정(71)으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다. 영상 표시 기기는 아빠(71)라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고, 해당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마크된 컨텐츠 리스트(520)가 아빠 계정에 따라 재배열되어 아빠 계정에 해당하는 마크된 컨텐츠 리스트(520')가 출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Common 계정에 따라 저장된 도 10a의 마크된 컨텐츠 리스트(520)와 아빠(71)계정에 따라 저장된 도 10b의 리스트(530`)는 다를 수 있다.10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splay environment that is output while logged in to the switched account 71.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search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father 71 and output the display environment. Referring to FIG. 10B, it can be seen that the marked content list 520 i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father account, and the marked content list 520 'corresponding to the father account is output. That is, the marked content list 520 of FIG. 10A stored according to the common account and the list 530 ′ of FIG. 10B stored according to the father 71 account may be different.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전환 메뉴를 제공하는 일례이다. 도 11a을 참조하면, 복수의 계정 중 어느 하나의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영상 표시 기기의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사용자가 MostVisted(54)을 선택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계정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한 컨텐츠 리스트(54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11a에서는 Common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컨텐츠 리스트(540)가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컨텐츠 리스트(540)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한 서비스 또는 컨텐츠 중, 사용 빈도 등에 따라 Setting, Google, TV Channel11, YouTube를 배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environment is updated according to a us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llustrates an example of providing a user switch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A, a main screen of a video display device is displayed while being logged in with one of a plurality of accounts, and the user selects MostVisted 54. The content list 540 frequently used by the user of any one account is displayed. In FIG. 11A, the content list 540 is provided while logged in with the Common account. The content list 540 may arrange and provide Setting, Google, TV Channel 11, and YouTube according to a frequency of use among services or contents frequently used by a user.

도 11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는 사용자 전환 메뉴(70)에 포함된 계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계정(71)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전환 메뉴(70) 중 아빠(71)라는 계정을 선택받고 있다. 사용자 전환 메뉴(70)를 아빠(71)를 선택함으로써 아빠(71) 계정으로 로그인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es a selection of at least one account 71 among the accounts included in the user switching menu 70. For example, the account of the father 71 is selected from the user switching menu 70. By selecting the dad 71 in the user switching menu 70 can be logged into the dad 71 account.

도 11b는 전환된 계정(71)으로 로그인된 상태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다. 영상 표시 기기는 아빠(71)라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고, 해당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MostVisted 컨텐츠 리스트(540)가 아빠 계정에 따라 재배열되어 아빠 계정에 해당하는 MostVisted 컨텐츠 리스트(540')가 출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Common 계정에 따라 저장된 도 11a의 MostVisted 컨텐츠 리스트(540)와 아빠(71)계정에 따라 저장된 도 11b의 MostVisted 컨텐츠 리스트(540`)는 다를 수 있다.11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splay environment that is output while logged in to the switched account 71.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search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father 71 and output the display environment. Referring to FIG. 10B, it can be seen that the MostVisted contents list 540 i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dad account so that the MostVisted contents list 540 ′ corresponding to the dad account is output. That is, the MostVisted contents list 540 ′ of FIG. 11A and the MostVisted contents list 540 ′ of FIG. 11B stored according to the dad 71 account may be different.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부 사용자 계정에 컨텐츠/서비스의 제한 설정을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르 통하여 계정 관리(60)를 선택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정 관리 옵션 메뉴(601)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사용자가 제한 설정 관리 메뉴(64)를 선택하면, 제한 설정 관리 계정의 리스트(640)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제한 설정 관리 메뉴(64)를 통하여 복수의 계정 중 일부 계정에 대해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복수 계정 중 초등아들(644)을 선택할 수 있다. 12 illustrates an example of providing a limit setting of content / service to some user accou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ccount management 60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account management option menu 6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the limit setting management menu 64, a list 640 of limit setting management accounts is displayed.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content or a service for some of the plurality of accounts through the limit setting management menu 64.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elementary son 644 of the plurality of accounts.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한 설정 관리 메뉴(64)에 대해 복수 계정 중 초등 아들 계정을 선택함에 따라 제한 설정 메뉴(641)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컨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해 영상 표시 기기에서 검색한 결과에 대해 제한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또는, 영상 표시 기기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다운로드 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 설정 관리 메뉴(641)에 대해 도 12b에서 나타내는 것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한 설정 관리 메뉴(64)는 도 12에서 예시하는 내용을 넘어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검색 결과, 다운로드, 사용, 설치 등 각 항목별로 제한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as the user selects an elementary son account among a plurality of accounts with respect to the limit setting management menu 64, the limit setting menu 641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 12B, the content or service may be provided to be limited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search resul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content or service downloadable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limitedly downloade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limit setting management menu 641 shown in FIG. 12B. That is, the limit setting management menu 6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limit the setting for each item such as a search result, download, use, installation, etc. of the content or service beyond the contents illustrated in FIG. 12.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부 사용자 계정을 암호화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마크(52) 메뉴를 열람하는 도중, 원격 조정 장치(2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환 메뉴(70)를 선택, 제공받고 있다. 사용자 전환 메뉴(70)에 포함된 복수의 계정 중, Private(75)를 선택하고 있다.13 illustrates an example of encrypting some user accou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A, while the user views the bookmark 52 menu, the user switching menu 70 is selected and provided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included in the user switching menu 70, Private 75 is selected.

도 13b를 참조하면, Private(75) 계정으로 로긴을 위해 패스워드 입력 메뉴(700)가 제공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계정 중 일부 계정(75)을 암호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 전환 시에는 암호를 입력하여야만 해당 계정(75)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해당 계정의 암호화 설정 여부는 상술한 계정 관리(60)의 사용자 추가 시에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B, a password input menu 700 is provided for logging in to a Private 75 account.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crypt some of the accounts 75 of the plurality of accounts, and to log in to the corresponding account 75 only after entering a password when switching users. Whether to set the encryption of the corresponding account may be set when adding the user of the account management 60 described above.

따라서, 도 13b에서 나타내는 암호화된 계정의 로그인을 이용하여, 업무 비밀, 미성년자에 대해 제한적인 컨텐츠, 사생활과 관련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이용만을 위한 전용의 개인적인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암호화된 계정은 하나 이상 생성될 수 있으므로, 영상 표시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각각이 각자의 비밀 계정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login of the encrypted account shown in FIG. 13B, a personal account dedicated to the use of business secrets, limited contents for minors, contents or services related to privacy can be created. Since one or more encrypted accounts can be created, each user who uses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create and store their own secret account.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컨텐츠 수신 도중 마킹(marking)저장하고, 마킹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a에서는 하나의 계정, 예컨대, 아빠 계정에 의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다.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고 있다. 해당 컨텐츠의 선택은 도 14a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를 표시하여 저장하는 마킹(Marking)을 포함할 수 있다.FIG. 14 illustrates an example of logging in to one account, marking and storing content while receiving content, and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using the mark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4A, content is provided while logged in by one account, for example, a dad account. The user is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sele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include marking for displaying and storing the content as illustrated in FIG. 14A.

즉, 도 14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수신 도중 마크 선택 버튼(202)를 선택하여 컨텐츠를 마킹하여 등록하고 있다. 해당 컨텐츠는 정지되고, 마킹과 동시에 해당 재생 위치를 알려주는 프로그레시브바(301) 및 북마크 표시(30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해당 컨텐츠는 마킹되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Bookmarks(52)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마킹할 때 로그인되어 있는 아빠 계정을 참고하여, 사용자의 북마크 컨텐츠를 저장한 Bookmarks(52)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4b에서는 사용자가 마킹한 컨텐츠6(522)이 사용자의 북마크 컨텐츠 리스트인 '마크된 컨텐츠 리스트(521)'에 새롭게 포함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14A, the user selects the mark selection button 202 during content reception to mark and register content. The content may be stopped and a progressive bar 301 and a bookmark display 300 indicating a corresponding playback position at the same time as marking may be displayed. The content may be marked and stored on the bookmarks 52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bookmarks 52 storing the bookmark contents of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dad account which is logged in when the user marks. In FIG. 14B, the content 6 522 marked by the user is newly included in the marked content list 521, which is the bookmark content list of the user.

즉, 사용자가 마킹하여 선택된 컨텐츠(6)를 이용하여 아빠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고 있다.That is,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father account is updated using the content 6 marked and selected by the user.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빠 계정으로 로긴하여 선택한 컨텐츠6(522)의 마킹이 공유 계정으로 공유되는 결과를 확인하는 화면이다. 즉, 아빠 계정에서 마킹한 컨텐츠6(522)가 아빠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함과 더불어 공유 계정의 디스플레이 환경에도 포함되는 화면이다. 일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선택한 컨텐츠를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에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FIG. 15A illustrates a screen for checking a result of marking a content 6 522 selected by logging into a dad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hared account. That is, the content 6 522 marked in the daddy's account updates the daddy's display environment and is also included in the shared environment's display environmen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including the content logged in by one account and the selected content in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는 무조건적으로 선택한 컨텐츠를 Common 계정에 등록하지 않고, 기 선택된 컨텐츠6(522)를 이용하여 복수 계정 중 Common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은 선택된 컨텐츠6(522)의 특성, 예컨대, 컨텐츠의 등급, 장르, 컨텐츠의 이용 제한 설정 여부, 서비스의 성격, 요금 부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o update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using the preselected content 6 522 without registering the selected content unconditionally with the common account. can do. The determin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ntent 6 522, for example, a rating of the content, a genre, whether to limit the use of the content, the nature of the service, and a charge.

또한, 공유 여부의 판단은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이 상기 로그인되어 있는 하나의 계정에만 관련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인 경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이, e-mail,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같이 극히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기 로그인되어 있는 계정에만 등록시키고, 공유 모드의 계정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ther to share or no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case in which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 or service is content or service related to only one account to which the user is logged in. For example, if the application selected and installed by the user is a service that is used for an extremely personal purpose such as e-mail or SNS (Social Network Service), the content or service is registered only in an account that is already logged in, and the shared mode is used. 'S account can remain the same.

따라서, 컨텐츠의 특성에 기초하여 모든 계정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Common 계정인 공통 계정에도 해당 컨텐츠의 마크를 등록시킬 수 있고, 이 때, 공통 계정에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공유 결정 확인 메뉴(535)가 출력될 수 있다.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of all the accounts can be us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the mark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registered in the common account, which is a common account, and at this time, a sharing determination confirmation menu ( 535 may be output.

반면,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어느 한 계정의 사용자만이 이용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공유시키지 않고 공유 모드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of the shared mode, without sharing the service used only by the user of any one account.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선택한 컨텐츠의 마킹에 대하여 공유 계정으로 공유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80)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도 15a에서 영상 표시 기기가 컨텐츠의 공유 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때, 컨텐츠의 공유 여부에 대해 수동으로 결정하도록 계정 관리(60)에서 설정할 때, 컨텐츠의 공유 여부를 판단하기 애매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에, 도 15b에서와 같이 공유 결정 메뉴(8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공유 결정 메뉴(80)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기 선택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가 Common 계정에 등록될 수 있다.15B is a screen for providing a menu 80 for determining whether to share a shared account with respect to marking of selected content by logging in to one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5A,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cannot determine whether to share the content, when setting in the account management 60 to manually determine whether to share the content, the content or service that is ambiguous to determine whether to share the content is selected. In that case, the sharing decision menu 80 may be displayed as in FIG. 15B. When the user selects the sharing decision menu 80, the content or service selected by the user may be registered in the common account.

도 15에서는 컨텐츠의 선택 행위가 컨텐츠를 표시하여 저장하는 마킹(marking)으로서 예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의 선택 행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텐츠의 다운로드,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 서비스의 구독,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예컨대, 사용자가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일례를 나타낸다.In FIG. 15, the act of selecting content is illustrated as a marking for displaying and storing content. However, the act of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ubscription of a service, download of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and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may be included. Hereinafter, an example of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when a service selected by a user, for example, the user downloads and installs a service program, will be described.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설치한 서비스가 공유 계정으로 공유되는 결과를 확인하는 화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빠 계정으로 로긴하여 다운로드 설치한 App-NEW(531)가 공유 계정으로 공유되는 결과를 확인하는 화면이다. 즉, 아빠 계정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App-NEW(531)이 아빠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함과 동시에 공유 계정의 디스플레이 환경에도 포함되는 화면이다. 즉, 일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선택한 서비스를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에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5a에서와 같이, 영상 표시 기기는 선택한 서비스의 공유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판단은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16A illustrates a screen for checking a result of sharing a service installed by logging into one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hared account. FIG. 16A illustrates a screen for checking a result of sharing downloaded and installed App-NEW 531 by logging into a dad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App-NEW 531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father account updates the father's display environment and is also included in the display environment of the shared account. That is,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by including the service logged in by one account and selecting the selected service in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As shown in FIG. 15A,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selected service is shared. The determin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설치한 서비스를 공유 계정과 공유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80)를 제공하는 화면이다.16B is a screen for providing a menu 80 for determining whether to share a service installed by logging into one account with a shared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및 16b의 구성은, 도 15a 및 15b에서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고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5a 및 15b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다.The configuration of FIGS. 16A and 16B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FIGS. 15A and 15B except that a service is selected without selecting contents in FIGS. 15A and 15B.

도 15 내지 도 16에서는 아빠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15 to 16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environment is updated by logging in with the dad account and selecting contents or services.

한편, 공유 모드의 계정인 Common 계정으로 로그인 된 상태에서,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에는 영상 표시 기기상에서 자동으로 사용자 전환 메뉴(70)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깜빡 잊거나, 또는 귀찮아서 본인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지 않고 Common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컨텐츠 등을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한 컨텐츠를 자신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전환 메뉴(70)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when content is selected in a state of being logged in with a common account which is a shared mode account, the user switching menu 70 may be automatically output on the video display device. That is, when a user forgets or is bothered to log in to his or her account and selects content, etc., the user switching menu (70) can be applied to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his or her account. ) May be provided.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설치한 서비스를 암호화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도 17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Common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암호화 결정 메뉴(90)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17A is a screen for providing a menu for determining whether to encrypt a service installed by logging in to an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llustrates an example of providing an encryption decision menu 9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is to be maintained for a content or service selected by a user.

Common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영상 표시 기기상에서 선택한 컨텐츠 등의 특성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공유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ommon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공유 결정 메뉴(80)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is to be maintained, it may include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environment is not to be shar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select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is to be maintained, it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re is no user sel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ring determination menu 80.

도 17a를 참조하면, 새롭게 설치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인 App-NEW(531)에 의하여 아빠의 디스플레이 환경이 갱신되고 있고, 해당 컨텐츠(531)만을 암호화할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암호화 결정 메뉴(90)가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가 암호화(91)를 선택한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531)만을 암호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Private 계정으로 이동(92)을 선택한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531)만을 암호화된 계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암호화(91) 또는 Private 계정으로 이동(9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컨텐츠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인 사생활 보호가 가능해진다.Referring to FIG. 17A, the display environment of Dad is updated by App-NEW 531 which is newly installed content or service, and an encryption decision menu 90 is provided to select whether to encrypt only the corresponding content 531. . When the user selects encryption 91, only the corresponding content 531 may be encryp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move to the private account 92, only the corresponding content 531 may be moved to the encrypted account.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selects encryption 91 or move to a private account 92, the user can prevent other users from accessing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herefore, more specific privacy protection becomes possible.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계정으로 로긴하여 설치한 서비스를 암호화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b에서는 도17a에서 사용자가 암호화(91)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 컨텐츠만을 암호화하는 암호화 메뉴(910)가 제공되고 있다.17B illustrates an example of encrypting a service installed by logging in to one acc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7B, when the user selects encryption 91 in FIG. 17A, an encryption menu 910 is provided that encrypts only corresponding content.

도면에서 예시되고 있지 않지만, 도17a에서 사용자가 Private 계정으로 이동(92)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13b에서처럼 Private 계정으로의 로그인을 위한 암호를 입력하는 메뉴(700)가 출력될 수 있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17, when the user selects the move to the private account 92 in FIG. 17A, a menu 700 for inputting a password for logging in to the private account may be output as shown in FIG. 13B.

이상,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일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선택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공유 모드의 계정에도 적용 또는 포함시켜 공유 모드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일례를 설명하였다. 공유 모드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은 일 계정이 삭제될 때에도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계정에서 선택되어 공유 모드의 계정에 포함된 컨텐츠는, 일 계정이 삭제되는 경우에는 공유 모드의 계정의 디스플레이 환경에서만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계정에 포함된 일부 계정의 삭제 선택을 입력받는 경우에는, 삭제 선택된 일부 계정 및 상기 일부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과 관련되는 데이터만이 삭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IGS. 15 to 17 have described an example of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shared mode by applying to or including a shared mode account using a selected content or service by logging in with one account.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haring mode may be maintained even when one account is deleted. Therefore, the content selected in one account and included in the shared mode account may be provided only in the display environment of the shared mode account when the one account is deleted. When receiving a selection of deleting some of the accoun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accounts, only data related to the selected part of the deleted account and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ome of the accounts may be deleted.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8에서 예시되는 방법은, 복수 계정 중 일부 계정으로 로그인함에 따라 로그인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불러들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다.18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18 is a method of bringing up and display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logged-in account as a user logs in to some of a plurality of accounts.

단계(S11)에서, 영상 표시 기기를 턴온한다.In step S11, the video display device is turned on.

단계(S12)에서, 영상 표시 기기가 턴온 상태에서 사용자 전환 메뉴(70)가 선택된다. 사용자 전환 메뉴(70)의 선택은 컨텐츠의 수신 도중, 메인 화면의 디스플레이 도중 어느때나 가능하다.In operation S12, the user switching menu 70 is selected 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is turned on. The user switching menu 70 may be selected at any time during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or during the display of the main screen.

단계(S13)에서,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사용자 전환 메뉴에는 등록된 복수의 계정 및 계정으로의 로그인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In step S13, the user switching menu is output. The output user switching menu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gistered accounts and login paths to the accounts.

단계(S14)에서, 사용자 전환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In step S14, a selection for at least one account of the user switching menu is received.

단계(S15)에서, 선택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한다. 선택된 계정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계정과 동일 한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한다.In step S15,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 is searched. If the selected account is the same as the currently displayed account, the current display environment is maintained.

단계(S16)에서, 검색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한다.In step S16, the retrieved display environment is output.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수신 도중 선택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계정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고, 공유 모드의 디스플레이 환경에도 반영 또는 적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1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llustrates a method of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of a corresponding account by using a content or a service selected by a user while receiving content, and reflecting or applying the display environment in a shared mode.

단계(S21)에서 영상 표시 기기상에 기 등록된 복수의 계정 중 일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별도의 로그인 절차가 없는 경우 공통 계정, 예컨대, 공유 모드의 계정으로 로그인된다.In operation S21, one of the plurality of accounts previously register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is logged in. If there is no separate login procedure, the user is logged in with a common account, for example, a shared mode account.

단계(S22)에서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다.In step S22, content is provided while logged in by one account.

단계(S23)에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선택은, 컨텐츠를 표시하여 저장하는 마킹(Marking), 컨텐츠의 다운로드,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 서비스의 구독,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23, a selection of content or service is received. The selection of content or service includes marking for displaying and storing the content, downloading the content, registering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subscribing to the service, downloading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and installing the application. can do.

단계(S24)에서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로그인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한다.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logged in account is updated using the content or service selected in step S24.

단계(S25)에서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갱신할지 여부의 판단은 영상 표시 기기상에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갱신할 지 여부의 판단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is updated by using the content or service selected in step S25.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o upd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or service on the video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o update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selection.

단계(S26)에서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한다.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것으로 판단되지 아니한 경우 유지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6 that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is to be updated, the display environment is updated. If it is not determined to update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it is maintained.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or part may be optional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의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environment provid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영상표시기기
105: 방송 수신부
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부
185: 오디오 출력부
100: video display device
105: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network interface unit
135: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storage unit
150: user interface unit
170:
180: display unit
185: audio output

Claims (35)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사용자 전환 메뉴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전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by using a user switching menu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election of a user switching menu;
Outputting the user switching menu;
Receiving a selection for at least one account;
Searching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 And
Outputting the retrieved display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환 메뉴는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한 로긴 메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switching menu includes a login menu by at least one account,
And storing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accou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 중 일부 계정은 암호화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some of the at least one account are encryp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 중 일부 계정은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제공받도록 설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some of the at least one account can be set to receive limited content or services.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사용자 전환 메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전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선택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In the video display device to provide a display environment using a user switching menu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a selection of a user switching menu and receiving a selection of at least one account;
An image processor for outputting the user switching menu;
And a controller for searching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 and outputting the searched display environ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환 메뉴는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한 로긴 메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user switching menu includes a login menu by at least one accoun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accou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 중 일부 계정은 암호화되어 있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some of the at least one account are encryp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 중 일부 계정은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제공받도록 설정 가능한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5,
Some of the at least one account may be set to receive limited content or service.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or more accounts, the method comprising:
Logging in by one account and providing content;
Receiving a selection of content;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using the selected content;
And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는 컨텐츠를 표시하여 저장하는 마킹(Marking), 컨텐츠의 다운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ceiving of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arking for displaying and storing the content and downloading the content.
And including the selected content in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ntent.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하는 단계;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or more accounts, the method comprising:
Logging in by one account;
Receiving a selection of content or service;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 서비스의 구독,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상기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ceiving of the sele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gistering a service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subscribing to a service, downloading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and installing the application.
And apply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to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계정은 공유 모드의 계정 및 적어도 하나의 개인 모드의 계정을 포함하고,
상기 로그인된 하나의 계정이 공유 모드의 계정인 경우에는,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The plurality of accounts includes an account in shared mode and an account in at least one private mode,
If the logged in one account is an account of the sharing mode,
And providing a user switching menu.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상기 공유 모드의 계정에 포함시키는 공유 결정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providing a sharing decision menu to include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in the sharing mode accou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에 기초하여 공유 여부를 판단하고 공유 결정 확인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Determining whether to shar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and outputting a sharing determination confirmation menu.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암호화 결정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is to be maintained, providing an encryption determination menu of the selected content.
제10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은, 컨텐츠의 등급, 장르, 컨텐츠의 이용 제한 설정 여부, 서비스의 성격, 요금 부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or 12,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 or ser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ating, a genre of content, whether to limit usage of the content, a nature of a service, and a charg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이 상기 로그인되어 있는 하나의 계정에만 관련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공유 모드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n account in a shared mode when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 or service is content or service related to only one account to which the user is logged in.
제9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정에 포함된 일부 계정의 삭제 선택을 입력받는 경우 삭제 선택된 일부 계정 및 상기 일부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The display environment providing method of deleting the data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partial deletion account and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account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of deletion of some of the accoun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accounts.
제9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정 추가와 관련되는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추가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가된 계정 및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은 디폴트 환경 또는 공유 모드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Receiving a selection related to adding an account;
Cre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added account;
Storing the added account and the created display environment,
And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added accou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fault environment and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n account of a shared mode.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컨텐츠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A video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display environment using a plurality of account logins that are logged in by at least one or more accounts.
A network interface unit which is logged in by one account and receives contents;
A user interface to receive a selection of content;
An image display includ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using the selected content and to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using the selected content devic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선택은 단계는 컨텐츠를 표시하여 저장하는 마킹(Marking), 컨텐츠의 다운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에 포함시키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21,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arking for displaying and storing the content and downloading the conten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selected content in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ntent.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하나의 계정에 의한 로그인을 입력받고,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A video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display environment using a plurality of account logins that are logged in by at least one or more accounts.
A user interface that receives a login by one account and receives a selection of content or a service;
A controller configured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and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 서비스의 구독,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상기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에 적용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user interface unit receives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registering a service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subscribing to a service, downloading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and installing the application.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pply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to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계정은 공유 모드의 계정 및 적어도 하나의 개인 모드의 계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인된 하나의 계정이 공유 모드의 계정인 경우에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4,
The plurality of accounts includes an account in shared mode and an account in at least one private mode,
And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output a user switching menu when the logged in account is an account of a sharing mod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상기 공유 모드의 계정에 포함시키는 공유 결정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sharing determination menu to include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in the account of the sharing mod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에 기초하여 공유 여부를 판단하고 공유 결정 확인 메뉴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기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sh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and outputs a sharing determination confirmation menu.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암호화 결정 메뉴를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27,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an encryption determination menu of the selected cont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account is to be maintained.
제22항 또는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은, 컨텐츠의 등급, 장르, 컨텐츠의 이용 제한 설정 여부, 서비스의 성격, 요금 부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22 or 24, wherein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 or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rating, a genre of content, whether to limit usage of the content, the nature of a service, and a charg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특성이 상기 로그인되어 있는 하나의 계정에만 관련되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공유 모드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29,
And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n account in a shared mode when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 or service is content or service related to only one account to which the user is logged in.
제21항 또는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복수의 계정에 포함된 일부 계정의 삭제 선택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일부 계정 및 상기 일부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or 23,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receives a selection of deleting some account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accounts, the controller displays an image for deleting data related to the some accou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ome accounts. device.
제21항 또는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계정 추가와 관련되는 선택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으로서, 디폴트 환경 또는 공유 모드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추가된 계정 및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저장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or 23,
If the user interface receives a selection related to adding an account,
The controller generates a display environ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n account of a default environment or a shared mode as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added account,
The storage unit stores the added account and the generated display environment.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사용자 전환 메뉴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명령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코드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가,
사용자 전환 메뉴의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전환 메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계정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검색하고; 및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 환경을 출력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command code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a user switch menu logged in by at least one account,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The command code, the control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ing a selection of a user switching menu;
Output the user switching menu;
Receive a selection for at least one account;
Search for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ccou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mprising code for outputting the retrieved display environment.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명령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코드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가,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되어 컨텐츠를 제공받고;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command codes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or more accounts, the method comprising:
The command code, the control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Log in with one account and receive content;
Receive a selection of content;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And cod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정에 의해 로긴(log-in)하는 복수 계정 로그인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명령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하나의 계정에 의해 로그인하고;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계정 중 공통 계정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갱신할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command codes for providing a display environment on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account logins logged in by at least one or more accounts, the method comprising:
Login by one account;
Receiving a selection of content or service;
Updating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account by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And code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a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ommon account among the plurality of accounts using the selected content or service.
KR1020100114295A 2010-11-17 2010-11-17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200531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95A KR20120053169A (en) 2010-11-17 2010-11-17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95A KR20120053169A (en) 2010-11-17 2010-11-17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69A true KR20120053169A (en) 2012-05-25

Family

ID=4626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95A KR20120053169A (en) 2010-11-17 2010-11-17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316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781A1 (en) * 2013-09-16 2015-03-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Application service metho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service method is recorde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WO2015037780A1 (en) * 2013-09-16 2015-03-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Application service metho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for carrying out service method is recorde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20150032136A (en)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ethod for application servic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reforming the method and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781A1 (en) * 2013-09-16 2015-03-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Application service metho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service method is recorde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WO2015037780A1 (en) * 2013-09-16 2015-03-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Application service metho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for carrying out service method is recorde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20150032136A (en)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ethod for application servic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reforming the method and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20150032135A (en)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ethod for application servic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reforming the method and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668B2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in digital receiver thereof
US83752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aggregation in support of virtual channels
US9602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hannels
KR101850719B1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in a digital receiver thereof
KR101271996B1 (en) A Method for providing a external device lis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9900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set-top box management
US92411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ersonalized programming guide
US87890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network connectivity and consumption of broadband services
CN103181183A (en)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20080517A (en)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display device therefor
KR20120046988A (e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multimedia display device and voice recorder
KR20120053169A (en)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environment at video device, video devid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715945B1 (en) A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sound of an audio device
KR101923687B1 (en) Method for managing memory and display device therefor
US201202847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call services via a set-top box
US91853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content for presentation via a set-top box
KR101751054B1 (en) Method and video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vent information regarding text using selected text at the device
KR20120125939A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in a digital receiver thereof
KR20120089972A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contents in network tv and the network tv
US201200795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ross-system searches
KR20120029588A (en) Method for managing progra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video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1637352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managing a content
KR20120053910A (en) Method for recording displayed contents with marking,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video device therefor
KR20150061328A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KR101666895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managing a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