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580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580A
KR20120052580A KR1020100113806A KR20100113806A KR20120052580A KR 20120052580 A KR20120052580 A KR 20120052580A KR 1020100113806 A KR1020100113806 A KR 1020100113806A KR 20100113806 A KR20100113806 A KR 20100113806A KR 20120052580 A KR20120052580 A KR 2012005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user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9917B1 (en
Inventor
김지수
Original Assignee
김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수 filed Critical 김지수
Priority to KR102010011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917B1/en
Publication of KR2012005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smoothly maintain social life by systemically analyzing call information related to social activities of the user. CONSTITUTION: A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30) collects information. A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40) classifi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manages the frequency of the classified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50) stores the terminal usage frequency of a user in a memory unit. A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60) analyzes the usage pattern and usage tendency of the user. A terminal control unit(70) provides a display structure optimized by the user pattern.

Description

시간-위치공간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현재 주변상황 및 사용환경을 인지하고, 상기에서 인지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단말기의 각종 편의기능을 자동설정 하거나 사용자가 필요로 할 수 있는 기능들을 추천하는 시간-위치공간 적응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recognize a user's current surroundings and usage environment, and to automatically set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of a terminal suitable for the user's situation as described above, or to be required by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me-location space adapti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commends possible functions.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착신모드나 벨소리 크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 메뉴의 해당항목을 찾아가 일일이 수동으로 변경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했다. 또한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순히 사용자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선택이 아닌 단말기 제조사에 의해 미리 프로그램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였다. In order to change the setting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the incoming call mode or the ringtone siz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has to take the hassle of having to manually change the items manually. In addition, in providing a user interface, a user interface (UI) pre-programmed by a terminal manufacturer is provided, not merely a user's setting or a user's selection.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같은 기종의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모두에게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단말기 기능이 점차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화되는 추세에 따라 단말기 사용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성향이나 선호방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식 인터페이스를 할 수 없다. The user interface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same interface can be provided to all users who use the same type of terminal. As the terminal functions are gradually complicated and diversified, the user's inclination or preference according to the terminal usage situation is used. In some cases, you may not have a custom interface for your users.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의 일례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7411호에는 통화 정보나 사용 기능의 빈도에 따른 단말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시간에 적합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설정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As an example of a solution to this problem,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57411 analyzes the terminal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call information or the use function and sets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ropriately for the corresponding time. Display methods have been proposed.

상기와 같은 인공지능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 시간이나 사용 빈도가 많은 기능 메뉴나 통화 데이터 등을 단말기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줌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었으나, 단순히, 특정 기능이나 통화 정보의 시간에 따른 정보만을 기반으로하는 단순한 서비스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선호(user preference)에 따른 특화된 서비스 즉, 특정 장소(예; 집, 지하철, 사무실)에서의 특정 시간에 적합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terminal user by automatically displaying a function menu or call data having a high usage time or frequency of use on the terminal, but simply providing a specific function or call information. Because it provides only a simple service function based only on information over time of the user, it effectively provides a specialized service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that is, a service suitable for a specific time in a specific place (eg, home, subway, or office). There was a disadvantage of not doing it.

또한, 통화나 문자 사용의 빈도나 횟수만을 단순 분석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각종 사회 활동과 관련된 통화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service by simply analyzing the frequency or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call or tex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systematically provide call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social activitie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인공지능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행태를 시간별-위치공간별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서, 사용자의 주변상황 및 사용환경을 능동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얻어지는 부가적인 정보들을 통해, 다양하고 복잡한 사용자의 빈발상황(user-context)에 보다 적합한 세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age behavior by time-location space, the user's surrounding situation and usage environment Through the additional information obtained by actively recognizing the purpos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re granular service that is more suitable for the user-context of a variety of complex use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각종 사회 활동과 관련된 통화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서, 사회 생활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icator that helps to keep social life smoothly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providing call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social activities of a us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패턴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조작 입력부와;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수집하는 통화내역 수집부, 문자메시지(SMS) 발/수신 내역을 수집하는 문자메시지 내역 수집부,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조작정보 수집부 및 현재 시간정보를 수집하는 현재시간 정보 수집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정보 수집부와; 수집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 항목의 빈도수를 관리하는 최근빈도 모니터링부와;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기능별 빈도수를 메모리에 유지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와; 사용자의 사용패턴 및 사용성향을 분석하고 프로파일링하는 사용패턴 분석처리부와; 단말기의 환경설정 옵션에서 사용패턴에 따른 자동실행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패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구조를 제공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공간정보를 수집하는 위치공간정보 수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통화내역, 문자메시지(SMS) 발/수신 내역 및 단말기 조작정보를 시간별-위치공간별로 분석하여 메모리에 유지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별-위치공간별 단말기 정보 중 현재 시간 및 현재의 위치공간에 빈발하는 기능을 검색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설정하거나 해당 기능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unit comprising: a display unit; A user manipulation input unit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all histor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call history of the user, text message histor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text message (SMS) origin / reception history,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collecting A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having a current tim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classif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category and managing a frequency of each classified item; A user information manager which maintains a frequency of each terminal use function in a memory; A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and profiling a usage pattern and a tendency of the user; When the automatic execution mod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is set in the configuration options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controller for providing a display structure optimized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comprising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current location space of the user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spa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call history, text message (SMS) origin / reception history and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each time-location space analysis The terminal controller searches for a function frequently occurring in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 location space among the terminal information for each time-location space stored in the memory, and automatically sets a corresponding function or recommends a corresponding function.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위치공간정보 수집부는, 단순히 현재의 위치공간에 대한 정보만을 수집할 수 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말기가 신호를 수신 받는 기지국을 통해 현재 단말기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와, 특정장소에서 송출하는 무선주파수(RF) 정보를 읽어 들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황정보를 얻는 단계와; 사용자가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신호의 문턱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현재 공간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신호의 문턱값보다 신호의 세기가 큰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이름을 신호의 세기 순으로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무선 액세스포인트(AP)를 선택하여 공간의 이름과 매핑하여 단말기에 공간을 기억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기억된 공간에 진입했을 때 현재 공간을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공간정보를 조합하는 단계;를 통해 지하철이나 집, 사무실 등 구체적인 공간의 이름이 포함되는 위치공간 정보를 얻는 것이 바람직 한 바, 위치공간정보 수집부는 상기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location spa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simply collect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space, but preferably, the terminal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through a base station receiving a signal, and at a specific place. Read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adio frequency (RF)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user; Obtaining situation information of a location where a current terminal is located through data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Setting a threshold value of a signal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Displaying, by the terminal, the names of wireless access points (AP) whose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of the signal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P) in the current space, sorted in order of signal strength,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electing a wireless access point (AP)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and mapping the name to the name of the space to store the space in the terminal; Recognizing a current space when a user enters a space stored in the terminal; Comb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patial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obtain the location spac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a specific space, such as subway, home, office, ba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cludes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tep It is configured.

바람직하게, 단말기 정보 수집부는,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내역을 수집하는 인터넷 이용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를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내역 수집부,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열람내역을 수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열람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details of u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terminal, the application usage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ing the browsing history of the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terminal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multimedia data read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최근빈도 모니터링부는, 각 기능별 사용 빈도수를 검출하는 데 있어서, 최신의 정보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오래된 정보 일수록 가중치를 감쇄시켜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항목이 가장 최근에 발생한 시점과 현재 발생한 시점 사이의 발생 시간차이를 고려하여 감쇄율을 적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detecting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function,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preferably gives a high weight to the latest information and attenuates and applies the weight to the old information, and between the most recent occurrence and the current occurrence of the item. It is more preferable to apply the attenuation factor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difference of occurrence.

바람직하게, 사용패턴 분석처리부는, 전체 최근 통화수에 대한 단말기의 전화부에 등록된 그룹에 대한 최근통화수의 비율에 해당되는 비율을 산출하여 이를 특정지수로 저장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지수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 해당 그룹으로의 통화를 권유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Preferably,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calculates a ratio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the number of recent calls to the group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of the terminal to the total number of recent calls and stores it as a specific index, the terminal control unit, the specific If the index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 message recommending a call to the group is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행태를 시간별-위치공간별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서, 사용자의 주변상황 및 사용환경을 능동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얻어지는 부가적인 정보들을 통해, 다양하고 복잡한 사용자의 빈발상황(user-context)에 보다 적합한 세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age behavior by time and location space, through the additional information obtained by actively recognizing the user's surroundings and the use environment, various complex user's frequent situa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granular services that are more suitable for user-context.

또한, 사용자의 각종 사회 활동과 관련된 통화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사회 생활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providing call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social activities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help the user to keep the social life smoothly.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 다이어그램.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정보 수집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최근빈도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4는 최근빈도 모니터링부의 감쇄율 단위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패턴 분석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7은 사용패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의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decay rate unit time of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and a function according to a usage patter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시간-위치공간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조작 입력부(20),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정보 수집부(30), 수집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 항목의 빈도수를 관리하는 최근빈도 모니터링부(40),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기능별 빈도수를 메모리에 유지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50), 사용자의 사용패턴 및 사용성향을 분석하고 프로파일링하는 사용패턴 분석처리부(60) 및 단말기의 환경설정 옵션에서 사용패턴에 따른 자동실행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패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구조를 제공하는 단말기 제어부(70);를 구비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ystem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a time-space-space adaptive user interfa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10, the user's operation A user operation input unit 20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a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 for collecting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a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category, and managing the frequency of each classified item ( 40),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 for maintaining the frequency of each terminal use function in the memory,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0 for analyzing and profiling the user's use pattern and usage tendency and the use pattern in the environment setting options of the terminal Terminal that provides an optimized display structure to the user according to a usage pattern when the auto execution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And a; the control unit (70).

단말기 정보 수집부(30)는,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화 발신내역, 통화 수신내역, 문자 메시지 발신내역, 문자 메시지 수신내역, 단말기 조작 내역, GPS 및 무선 액세스포인트(AP) 정보(이하 위치공간정보 내역이라 한다.), 인터넷 이용정보내역,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내역, 멀티미디어 데이터 열람정보내역 등으로 카테고리화하여 수집되며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서로 다른 항목들을 수집하고 그 빈도를 관리한다. 즉, 통화 발신 내역 카테고리에서는 발신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문자 메시지 수신 내역 카테고리에서는 수신 메시지의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단말기 조작내역 카테고리에서는 구동된 메뉴가, 위치공간정보 내역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와 진입한 공간의 이름이, 인터넷 이용정보내역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방문한 사이트의 주소가,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내역 카테고리에서는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실행 시간이, 멀티미디어 데이터 열람정보내역 카테고리에서는 각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이 각각 해당 카테고리에서의 개개 항목이 되며 이러한 항목들 중에 빈발한 항목을 모니터링하게 된다.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 call origination history, call reception history, text message origination history, text message reception history, terminal operation history, GPS and wireless access point (AP)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history) It is collected by categorizing into Internet usage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multimedia data reading information, etc. and collects different items for each category and manages their frequency. That is, in the call origination history category, the called party's phone number is in the text message reception history category,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is in the received message category, the menu driven in the terminal operation history category is used, an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category, the user's location and The name of the space entered is the address of the site visited by the user in the Internet usage history category, the name and execution time of the application used i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category, and the file name of each data file in the multimedia data browsing information category. It becomes an individual item in the category and monitors the most frequent of these items.

도2는 위에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정보 수집부(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단말기정보 수집부(30)는, 통화내역 수집부(31), 문자메시지(SMS)내역 수집부(32), 단말기 (메뉴) 조작정보 수집부(33), 일정정보 수집부(34), 위치공간정보 수집부(35), 인터넷 이용정보 수집부(36), 현재시간 정보 수집부(37), 멀티미디어 데이터 열람정보 수집부(38)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내역 수집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항목에 대한 사용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항목별로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 the call history collecting unit 31, the text message (SMS) history collecting unit 32, the terminal (menu)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3, schedu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4,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5, Internet us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6, current tim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7 , The multimedia data read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8 and the application usage collecting unit 39 serve to extract information for grasping a usage pattern for various items of the user for each item.

통화내역 수집부(31)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다른 사람과 통화할 때 마다 통화내역 정보를 추출해 사용자 정보 관리부(50)에 저장하게 된다. 발신번호 카테고리에서는 빈발하게 발신한 발신번호들을, 수신번호 카테고리에서는 빈발하게 수신한 수신번호들을 파악하여 각각 해당 카테고리의 항목들로 간주한다.The call history collection unit 31 extracts call history information each time the user calls another person through the terminal and store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 In the calling number category, frequently called originating numbers are identified, and in the receiving number category, incoming numbers received frequently are regarded as items of the corresponding category.

문자메시지(SMS)내역 수집부(32)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서 빈발하게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의 상대방 목록을 추출해 사용자 정보 관리부(30)에 저장하게 된다. 발신 메시지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빈발하게 전송하는 메시지의 상대방 번호들을, 수신 메시지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빈발하게 수신한 메시지의 상대방 번호들을 파악하여 각각 해당 카테고리들의 항목들로 간주한다.The text message (SMS) history collecting unit 32 extracts a counterpart list of text messages that the user frequently exchanges through the terminal, and stores them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 In the outgoing message category, the counterpart numbers of the message frequently transmitted by the user are identified, and in the received message category, the counterpart numbers of the message frequently received by the user are identified and regarded as items of the corresponding categories.

단말기 조작정보 수집부(33)는, 사용자 조작 입력부(20)를 통해 들어오는 모든 종류의 단말기 조작신호를 감지하여 빈발하게 구동되는 신호들을 각 카테고리 별로 사용자 정보 관리부(50)에 유지한다. 단말기 메뉴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계층구조 상의 최하위 메뉴를, 단말기 모드전환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모드(예; 매너모드, 벨소리 모드, 자동응답 모드, 통화수신 모드 등)를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단축버튼을 항목으로 간주한다.
The terminal manipul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3 senses all kinds of terminal manipulation signals coming in through the user manipulation input unit 20 and maintains frequently driven signals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ing unit 50 for each category. In the terminal menu category, the lowermost menu in the menu hierarchy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and in the terminal mode switching category, a shortcut button used by the user to change the mode of the terminal (eg, silent mode, ring mode, auto answer mode, call reception mode, etc.) Is considered an item.

위치공간정보 수집부(35)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진입한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현재위치공간정보는 상기 각 부에서 각 카테고리별 빈발항목에 대한 세분화를 함에 있어 사용되는 위치정보와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빈발항목의 발생 공간을 구분하여 관리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항목으로 파악하여 빈발한 위치를 수집한다. 상기 발생 공간을 구분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간을 구분하는 단위는 단말기의 공간 등록 설정에 의해 어떠한 단위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공간의 등록은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보다 전파 신호의 세기가 큰 무선 액세스포인트 중 가장 세기가 큰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이름을 공간의 이름으로 매핑함으로써 수행된다.The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5 collects information for grasp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entered spatial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is a module that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sed in subdividing frequent items for each category in each unit, and manages the occurrence space of frequent items.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s frequent locations by identify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s an item through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method for classifying the generated space, the unit for classifying the space may be set in any unit by the space registration setting of the terminal. The registration of the space is performed by the user mapping the name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having the greatest strength among the wireless access points having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greater than the threshold set by the user at the current location to the name of the space.

상기와 같은 과정은 위치공간정보 수집부(30)에 해당되는 프로그램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바,위치 공간을 파악하는 프로그램 구체적인 수행단계는 다음과 같다.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by the program modul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al spa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 the specific steps of the program to determine the position space is as follows.

즉, 위치공간정보를 수집부는, 단말기가 신호를 수신 받는 기지국을 통해 현재 단말기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와, 특정장소에서 송출하는 무선주파수(RF) 정보를 읽어 들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황정보를 얻는 단계와, 사용자가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신호의 문턱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현재 공간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신호의 문턱값보다 신호의 세기가 큰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이름을 신호의 세기 순으로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무선 액세스포인트(AP)를 선택하여 공간의 이름과 매핑하여 단말기에 공간을 기억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기억된 공간에 진입했을 때 현재 공간을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공간정보를 조합하는 단계를 통해 위치공간정보를 얻게 된다.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terminal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signal, and read the radio frequency (R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specific place to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setting a threshold value of a signal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Displaying the name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s (AP) whose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of the signal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P) in the current space, in the order of the signal strength, and displaying the wireles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by the user. Selecting an access point (AP) and mapping the name of the space to store the space in the terminal; and storing the space in the terminal by the user. When the input through the step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current spatial position is obtained for the spatial information.

인터넷 이용정보 수집부(36)는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인터넷 이용내역을 추출하여 사용자정보 관리부(50)에 유지한다. 접속사이트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접속하는 사이트 주소를 항목으로 간주한다. Whe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6 accesses the Internet through the terminal,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6 extracts the Internet usage history of the user and maintains it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ing unit 50. In the access site category, the site address to which the user accesses is regarded as an item.

어플리케이션 사용내역 수집부(39)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내역과 실행시간을 수집하여 빈발한 항목을 사용자 정보 관리부(50)에 유지한다.The application usage collection unit 39 collects usage history and execution time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s terminal and maintains the frequent items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

멀티미디어 데이터 열람정보 수집부(38)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예; 사진, 동영상, MP3, 포토메일 등)의 사용내역을 수집하여 빈발한 항목을 사용자 정보 관리부(50)에 유지한다. 사진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빈발하게 열람하는 사진파일을, 동영상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빈발하게 재생하는 동영상 파일을, MP3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빈발하게 청취하는 MP3파일을, 포토메일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빈발하게 열람하는 포토메일을 항목으로 간주한다.The multimedia data read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8 collects usage history of all kinds of multimedia data (eg, photos, videos, MP3s, photomails, etc.)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and transmits frequent items to the user information managing unit 50. Keep it. In the photo category, the photo files frequently viewed by the user; in the video category, the video files played frequently by the user; in the MP3 category, the MP3 files frequently listened by the user; and in the photomail category, the photos frequently viewed by the user. Consider mail as an item.

현재시간 정보 수집부(37)는 현재의 시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각 부에서 각 카테고리별 빈발항목에 대한 세분화를 함에 있어 사용되는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빈발항목의 발생 시간대를 구분하여 관리한다. 상기 발생 시간대를 구분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대를 구분하는 단위는 단말기의 설정에 의해 어떠한 단위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7 collects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provides time information that is used in subdividing the frequent items for each category in each part, and manages the occurrence time zones of the frequent items. . In the method for classifying the generated time zone, the unit for classifying the time zone may be set in any unit by setting of the terminal.

단말기 정보 수집부(30)를 통해 수집되는 상기 기술된 여러 종류의 정보들은 카테고리 별로 각 항목의 발생빈도를 모니터링하여 빈발한 항목들에 대해서는 각 항목들의 발생요일, 발생 시간대, 발생 위치공간으로 세분화하여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요약정보를 유지한다. The above describe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 monito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item for each category, and the frequent items are subdivided into the days of occurrence, time of occurrence, and location of occurrence of each item. Maintain additional summary information, such as:

즉, 통화내역 수집부(31)에서는 각 카테고리별로 빈발항목에 대한 통화요일 및 통화 시간대, 전체 통화시간으로 세분화하여 평균과 편차 같은 그 요약정보를 유지하고, 단말기 조작정보 수집부에(33)서는 빈발한 항목에 대한 해당 항목의 구동 시간대, 구동 위치공간 등과 같은 세세한 정보를 유지하며, 인터넷 이용정보 수집부(36)에서는 빈발항목에 대해서는 항목별로 방문회수,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 및 이용시간과 같은 세세한 정보를 관리하며, 어플리케이션 사용내역 수집부(39)에서는 각 빈발항목에 대한 주 이용 시간대와 사용 위치공간으로 세분화하여 그 요약정보를 유지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열람정보 수집부(38)에서는 각 빈발항목에 대한 주 이용시간대 및 이용시간으로 세분화하여 그 요약정보를 유지한다.That is, the call history collecting unit 31 breaks down the call day, the call time zone, and the total call time for the frequent items for each category, and maintains summary information such as the average and the deviation.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driving time, driving location space of the corresponding item for frequent items is maintained, and in the Internet us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6, frequent items such as the number of visits per item, type of data exchanged and used time Detailed information is managed, and the application usage collection unit 39 maintains the summary information by subdividing the main use time zone and the use location space for each frequent item. The multimedia data readin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8 breaks down the main use time and use time for each frequent item and maintains the summary information.

상기 요약정보를 시간대별로 세분화함에 있어서 필요한 시간정보와 공간정보는 항목이 발생할 때 마다 현재시간 정보 수집부(37)로부터 해당 항목의 발생 시간대와 위치공간 정보 수집부(35)로부터 해당 항목의 발생 위치공간 이름을 전달받아 항목별로 발생 시간대, 발생 위치공간과 빈도수를 모니터링한다. 즉, 빈발항목들을 모니터링함에 있어 항목의 발생빈도뿐만 아니라 해당항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와 위치공간 역시 각 항목별로 관리된다.The time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necessary for subdividing the summary information by time zones are generated from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7 and the occurrence time of the corresponding item from the location spa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5 whenever an item is generated. It receives the space name and monitors occurrence time, location location space and frequency by item. That is, in monitoring frequent items, not onl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items but also the time zone and location space in which the corresponding items occur most are managed for each item.

도3은 도1의 최근빈도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최근 빈도 모니터링부(40)는, 단말기 정보 수집부(30)를 통해 얻은 각 항목들의 카테고리별로 발생하는 최근 발생빈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일정 횟수이상의 빈도를 갖는 빈발항목들을 계속적으로 탐색/유지하는 역할을 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of FIG. 1, wherein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40 continuously monitors the recent occurrence frequency for each category of the items obtain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 This function serves to continuously search / maintain frequent items having a frequency of a certain number or more.

각 카테고리에서 빈발항목을 추출하여 사용자 요약정보를 저장하는 데 있이서, 각 카테고리별로 과거로부터 현재시점까지 발생한 모든 항목의 빈발도를 저장/관리하면 너무 많은 메모리 공간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경향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최근의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발생한 항목들만을 저장/관리하는 경우 메모리 공간은 적게 사용하는 반면 빈발항목들이 너무 자주 변하고 최근의 경향성 밖에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store the user summary information by extracting frequent items from each category, storing / managing the frequency of all items that occurr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ime in each category not only uses too much memory space but also reflects the recent trend In case of storing / managing only the items that occurred during the recent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requent items change too frequently and only the recent tendency is know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근 정보와 오래된 정보 간에 가중치(weight)를 적용하되, 정보의 생성 시점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상이하게 적용하는 감쇄율을 사용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weight is applied between the latest information and the old information, and attenuation rate that uses different weight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information is used.

먼저, 시간에 따른 정보의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쇄율 d는 본 발명에서는 아래 함수와 같이 정의하지만 모든 단순 감소함수로 정의가 가능하다.First, in the method of applying the weight of information over time, the decay rate d is defined as the following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defined as any simple reduction function.

d =

Figure pat00001
(b>1, h≥1) d =
Figure pat00001
( b> 1 , h≥1 )

(여기서 b는 감쇄단위당 감소되는 가중치의 크기이며, h는 현재정보의 가중치를 1이라 할 때 현재의 가중치를 1/b로 만드는 감쇄단위의 수이다.)(Where b is the amount of weights reduced per attenuation unit, and h is the number of attenuation units that make the current weight 1 / b when the weight of the current information is 1).

특정 카테고리 P에 k번째로 발생한 항목 Tk (k≥2)이 발생했을 때 해당 카테고리에서 현재까지 발생한 총 항목의 개수

Figure pat00002
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When the kth item Tk (k≥2) occurs in a specific category P, the total number of items that occurred so far in that category
Figure pat00002
Is defined as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와 유사하게 특정 카테고리 P에서 특정 항목 e의 빈도수(count)

Figure pat00004
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Similarly, the frequency of a specific item e in a specific category P
Figure pat00004
Is defined as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감쇄율을 정의하는 경우 특정 카테고리 P에서 현재 발생한 항목의 발생시간

Figure pat00006
와 이 항목이 가장 최근에 발생한 발생시간
Figure pat00007
사이의 시간차에 상관없이 감쇄율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defining the attenuation rate as described above, the occurrence time of the current occurrence in the specific category P
Figure pat00006
And the most recent occurrence of this item
Figure pat00007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ttenuation rate is applied equally regardless of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본 발명에서는 해당 항목이 가장 최근에 발생한 시점과 현재 발생한 시점 사이의 발생 시간차이를 고려하여 감쇄율을 적용시키는 방법이 적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pplying attenuation rate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a difference in occurrence time between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corresponding item most recently occurred and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item occurred.

즉, 항목의 발생시간 간격을 고려한 차등 감쇄율 적용방법에 따라 특정 카테고리 P에 k번째로 항목 Tk (k≥2)가 발생했을 때, 현재 발생한 항목의 발생시간

Figure pat00008
와 이 항목이 가장 최근에 발생한 발생시간
Figure pat00009
사이의 시간차를
Figure pat00010
, 사용자가 정의한 감쇄율 적용 단위시간을
Figure pat00011
로 정의하면(도 5 참조), 현재 발생한 항목의 해당 카테고리에서 현재까지 발생한 총 항목의 개수
Figure pat00012
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That is, when the item Tk (k≥2) occurs in the kth category in the specific category P according to the method of applying the differential attenuation factor considering the occurrence time interval of the item, the occurrence time of the currently generated item
Figure pat00008
And the most recent occurrence of this item
Figure pat00009
Time difference between
Figure pat00010
, The unit time applied by the user
Figure pat00011
If defined as (see Figure 5), the total number of items that have occurred so far in that category
Figure pat00012
Is defined as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같은 방법으로 특정 카테고리 P에서 특정 항목 e의 빈도수(count)

Figure pat00014
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In the same way, the frequency of a specific item e in a specific category P
Figure pat00014
Is defined as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상기 항목의 빈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항목들의 수가 늘어날수록 메모리 공간의 제약을 받는 단말기 환경의 특성상 모든 종류의 항목들을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식(1)의 카테고리P의 특정 항목 e에 대한 현재의 지지도(support)

Figure pat00016
가 미리 설정해놓은 일정한 임계값(Scritical) 미만인 경우 해당 항목을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pruning)하므로 해 한정된 메모리공간을 적응적으로 활용한다. In the method of managing the frequency of the items, as the number of different items increases, it becomes impossible to store all kinds of item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environment that is limited by the memory spac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support for the specific item e of category P of the formula (1)
Figure pat00016
If p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S critical ), the item is excluded from the monitoring target. Therefore, the limited memory space is adaptively used.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일정 기간 동안 계속 발생하지 않는 항목의 빈도는 시간이 지나 k값이 커감에 따라 현재까지 발생한 항목 수인

Figure pat00018
는 커지고, 해당 항목e의 발생횟수
Figure pat00019
의 값은 작아지므로, 항목의 지지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The frequency of items that do not continue to occur over a period of time is the number of items that have occurred so far as the value of k increases over time.
Figure pat00018
Increases an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item e
Figure pat00019
As the value of becomes small, the support of the item gradually decreases over time.

메모리 상에 관리되는 항목의 개수는 지지도 감쇄곡선의 기울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메모리 공간의 크기에 따라 감쇄율d값을 조절함으로써 메모리상에 관리하는 항목들의 개수를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감쇄율 d값이 크면 메모리 상에 관리되는 항목들의 수가 줄어들게 되며 반대로 이 값이 작아지면 메모리상에 관리되는 항목들의 수는 늘어나게 된다.Since the number of items managed on the memory is determined by the slope of the support decay curve, the number of items managed on the memory can be adaptively changed by adjusting the attenuation rate 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emory space. If the reduction factor d is large, the number of items managed in the memory decreases. On the contrary, if the value decreases, the number of items managed in the memory increases.

만일 카테고리P에서 현재 빈도수를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은 항목e가 k시점에 최초로 발생하였을 때 해당 항목e의 빈도는 1로 성립되고 지지도는

Figure pat00020
이 되므로 새롭게 발생하는 항목의 빈도수 변화를 일정기간 모니터링하기위해서는 메모리상에 항목의 유지여부를 결정하는 임계치(Scritical) 값이 상기 항목의 지지도
Figure pat00021
보다 작은 값이어야 한다. 만약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모든 새로운 항목은 발생하자마자 메모리상에 유지되지 않고 삭제되므로 어느 항목도 빈발항목이 될 수 없다. 즉,
Figure pat00022
을 만족해야 한다. If category e is the first occurrence at time point k that does not currently monitor frequency in category P, the frequency of that category e is 1, and support is
Figure pat00020
Therefore, in order to monitor the frequency change of a newly occurring item for a period of time, a critical value (S critical )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keep the item in memory is the support of the item.
Figure pat00021
Should be less than If the above conditions are not met, all new items are deleted in memory as soon as they occur, so none of them can be frequent. In other words,
Figure pat00022
Must be satisfied.

따라서 처음으로 발생한 새로운 항목은 감쇄율이 적용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지도가 점점 낮아지더라도 무조건 일정기간 동안 즉, 해당 항목의 지지도가 Scritical 과 동일해 질 때까지 메모리 상에 유지되어 해당 항목의 발생빈도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 한다. 이때, 카테고리P에서 k시점에 새로 발생한 항목의 지지도가 Scritical가 되기까지 걸리는 최단시간은

Figure pat00023
가 된다.Therefore, even if the first occurrence of the new item is applied to the decay rate and the support becomes less and less over time, it is maintained in memor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e, until the support of the item becomes equal to Scritical. Monitor the trend of change. In this case, the shortest time it takes for the support of a newly generated item at time point k to be critical in category P
Figure pat00023
Becomes

상기와 같이 해당 항목의 지지도가 일정한 값 이하인 항목들을 메모리 상에서 제거하고, 지지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항목들의 최근 빈도만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통해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항목을 처리하기 위해 걸리는 연산시간(processing time)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removing items in the memory having a certain level of support or less from the memory and monitoring only the recent frequency of the items having a certain level or more of support, the memory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and all items are processed.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processing time.

메모리 상에 각 카테고리의 항목들의 요약정보를 관리하는 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메모리에 관리되는 항목들 중에 지지도가 일정수준(Smin) 이상이 되는 항목들은 빈발항목으로 간주하며 오직 빈발항목들만을 대상으로 앞서 기술한 해당 카테고리의 요약정보를 유지한다.In managing the summary information of the items of each category on the memory, the items with the support level (S min ) or more among the items managed in the memory through the above method are regarded as frequent items and only frequent items. Maintain a summary of the categories described above.

다음은, 사용패턴 분석처리부의 구성 및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us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5는 사용패턴 분석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사용패턴 분석처리부(60)는 상기와 같은 빈발항목 처리과정을 통해 각 카테고리에서 발생한 여러 항목들 중 최근빈도 모니터링부(40)에서 추출된 빈발한 항목들을 선택하여 분석대상으로 하며 각 빈발항목의 최근 빈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패턴을 분석한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the us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0 is a frequency extracted from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40 among the various items generated in each category through the above-described frequent items processing process One item is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user's terminal usage pattern is analyzed based on the recent frequency of each frequent item.

통화패턴 분석처리부(61)는, 통화이력정보, 즉 통화 상대방의 번호, 통화시간대 및 총 통화시간 등을 발신/수신 카테고리별로 각각 분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통화버튼을 눌렀을 경우 사용자가 최근 빈발하게 통화했던 상대방의 순서대로 전화번호를 정렬하여 제공한다.The call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1 analyzes call history information, that is, the number of the call counterpart, the call duration, the total call time, and the like, for each call origination / reception category. 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a call button for a call, the user arranges the phone numbers in the order of the counterpart to whom the user has called frequently.

문자메시지(SMS) 이용패턴 분석처리부(62)는, 문자 메시지 수신/발신 카테고리별로 통신 상대방과 재 열람 회수, 삭제시점 등을 분석하여 문자 메시지 이용패턴을 분석 저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발신 상대방 선택 메뉴 이용 시 사용자가 가장 빈번히 문자 메시지를 발송했던 상대방의 순서대로 전화번호를 정렬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메시지가 도착하자마자 확인 후 바로 지워버리는 광고 메시지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를 수신하자 마자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이를 자동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한 상대방으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빈발하게 수신되는 경우 해당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의 수신음을 자동으로 변경하거나 해당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물어 볼 수 도 있다. The text message (SMS)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2 analyzes and stores the text message usage pattern by analyzing the number of times of re-reading with the communication counterpart, the time of deletion, and the like for each text message reception / send category. For example, when using a text message sender selection menu, the user sorts the phone number in the order of the person who sent the text message most frequently, and the user deletes the message immediately after the message arrives. As soon as a message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delete it automatically by the user's settings. In addition, when a text message is frequently received from a specific counterpart, the user may automatically change the reception sound of a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or ask the user whether to register the counterpart's phone number in the phone book.

단말기 조작패턴 분석처리부(63)는, 단말기 조작정보 수집부(30)를 통해 얻은 단말기 조작정보를 메뉴구동과 모드전환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 패턴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메뉴구동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메뉴버튼을 눌렀을 경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의 순서를 사용자가 가장 빈발하게 이용한 메뉴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여주거나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되는 메뉴 계층구조 상의 최하위 메뉴들 중 빈발하게 사용되는 메뉴만을 선택적으로 골라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모드전환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빈발하게 사용하는 모드전환 단축버튼의 사용을 단말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얻는 다른 종류의 정보들과 함께 분석한다. The terminal manipulation pattern analysis processor 63 analyzes the terminal manipulation pattern of the user by dividing the terminal manipul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erminal manipul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 into menu driving and mode switching categories. For example, in the menu drive category, when the user presses the menu button on the terminal, the menu order displayed on the screen is sorted according to the menu order most frequently used by the user, or the lowest in the menu hierarchy that the user finally selects. Only frequently used menus among the menus can be selectively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mode switching category, the use of the mode switching shortcut button frequently used by the user is analyzed together with other types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일정패턴 분석처리부(64)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일정 정보로부터 장소, 시간, 지인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일정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후 3시에 서점에서 친구를 만날 경우 사무실을 나갈 때 자동으로 길 안내와 지인의 정보를 제공해 주고 지인에게 SMS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준다.The schedul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4 analyzes a schedule pattern of the user by grasping a place, time, and acquaintances from schedul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For example, when a user meets a friend at a bookstore at 3 pm, they automatically provide directions and contact information when they leave the office and send a notification via SMS to their friends.

이동패턴 분석처리부(65)는, 사용자가 이동 경로로부터 위치공간 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지하철→커피숍→사무실→공원의 경로로 이동하였다면 현재 위치로부터 자주 이용하는 경로와 공간 이름, 추천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의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The movement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5 analyzes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by grasping the location space information from the movement path. For example, if the user has moved to the path of home → subway → coffee shop → office → park, the user may provide the user with a route application, a space name, and a recommendation route that are frequently used from the current location.

인터넷 이용패턴 분석처리부(66)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사이트 및 사용시간,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종류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인터넷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눌렀을 경우 사용자가 가장 빈발하게 접속하는 사이트를 순서대로 정렬하여 바로가기 메뉴를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The Internet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6 analyzes the Internet usage pattern of the user by grasping the site and the usage time of the user connected through the terminal,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Internet access button of the terminal, the shortcut menu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arranging the sites most frequently accessed by the user in order.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 분석처리부(68)는,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름, 사용시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목록 보기 메뉴를 선택했을 때 사용자가 가장 빈발하게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름순으로 정렬하여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8 analyzes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application name and the usage time used by the user in th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n application list view menu on the terminal, the applications most frequently used by the user may be sorted by nam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멀티미디어 데이터 이용패턴 분석처리부(67)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접근횟수를 각 카테고리별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이용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진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된 사진보기 메뉴를 실행한 경우 사용자가 빈발하게 열람했던 순으로 사진파일을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MP3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MP3 Player 메뉴를 선택한 경우 저장된 MP3파일을 사용자가 자주 듣는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빈발하게 듣는 MP3파일이 재생목록의 최상위에 오도록 할 수 있다. 동영상 카테고리에서는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 메뉴를 선택한 경우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사용자가 자주 재생시켰던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빈발하게 재생시켰던 파일이 동영상 목록의 최상위에 오도록 할 수 있다.The multimedia data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7 analyzes the user's multimedia data usage pattern by analyzing the number of accesses of various types of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for each category. For example, in the photo category, when the user executes the saved photo view menu, the photo files can be sor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order that the user frequently viewed them. In the MP3 category, the stored MP3 file when the user selects the MP3 player menu. Can be arranged in the order in which the user listens most often so that the most frequently listened MP3 files are at the top of the playlist. In the video category, when the user selects the video play menu, the stored video files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in which the user frequently plays the video so that the most frequently played file is at the top of the video list.

이와 같이 단말기 정보 수집부의 각 모듈에서 얻는 정보를 단독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이용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패턴에 최적화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정보 수집부에 속하는 각 모듈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좀더 지능적이고 복합적인 기능의 제공 및 추천하는 단계까지 확장된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functions optimized for the user's usage pattern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each module of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lone, thereby analyzing the user's terminal usage pattern. Integrat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from each module extends to the offering and recommendation of more intelligent and complex functions.

도6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패턴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조 및 사용자 선호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하면 단말기 내부적으로 단말기 조작신호가 구동되며, 단말기 정보 수집부는 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단말기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항목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항목의 최근 빈도수를 갱신한다. 반면에 단말기 조작신호가 특정 카테고리에 대해요청할 경우 카테고리별 최근 빈발항목들을 추출하고 단말기 환경설정에서 사용패턴에 따른 동작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 후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카테고리에 적합한 동작을 실행한다. 즉,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버튼을 누르면 해당 시간대에 최근 빈발한 발신 전화번호를 지지도 순으로 목록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메뉴버튼을 누르면 최근 자주 이용한 메뉴 순으로 메뉴가 정렬되어 표시되며,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선택하면 현재위치공간에서 자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이름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되며, 특정기능(MP3, 사진, 동영상 등) 이용 시에는 최근 자주 이용했던 데이터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기능은 시간대와 위치공간별로 보다 세분화되어 요청한 시간대와 위치공간의 최근 빈도수별로 표시된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display structure and a user preference function according to a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a user manipulates a terminal, the terminal operation signal is driven internally by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onitors this. If an occurrence of an item of a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manipulation signal is detected, the latest frequency of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upd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operation signal requests for a specific category, the latest frequent items for each category are extracted, and if the operation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in the terminal environment setting, the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suitable for the category. That is, when the terminal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the list of the most frequently called outgoing phone numbers is output in the order of support degree,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menu button, the menu is sorted and displayed in order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nu, and the application menu is selected. If you use the application name used in the current location space is sorted and displayed, and when using a specific function (MP3, photos, videos, etc.)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recently used data. These features are further broken down by time zone and location space, and are displayed by the latest frequency of the requested time zone and location space.

이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this is described with a specific example as follows.

먼저, 사용자의 통화패턴 정보와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 현재 시간정보 및 스케줄정보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경우 통화 시간대와 통화 상대방을 고려한 복잡한 기능이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연인으로 등록된 상대방과의 통화가 최근 뜸해졌을 경우 사용자에게 최근 연애지수가 낮아 졌음을 알리고 통화를 권유하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통화를 유도 할 수 있다. 연애지수뿐만 아니라 우정지수, 사회지수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수행 가능하다.First, in the case of integrating and analyzing call pattern information of a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a terminal,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a complex function considering a call time zone and a call counterpart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f a call with a partner registered as a user's lover has recently been declining, the user may be notified that a recent love index has been lowered and a message inviting the call may be output to induce a call. Not only love index, but also friendship index and social index can be performed as above.

상기 통화패턴과 문자 메시지 이용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부가 적으로 아래와 같은 지수산출이 가능하다.By analyzing the call pattern and the text message usage pattern, the following index calculation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4

상기 언급된 지수 외에도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모든 그룹들에 대해서 동일한 방법으로 지수의 산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index, the index can be calculated in the same way for all groups registered in the phone book of the terminal.

한편, 단말기 조작내역 패턴을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얻은 위치정보, 개인 스케줄정보, 현재 시간정보와 단말기 조작 정보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by analyzing the terminal operation history patter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ersonal schedule information,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data obtain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예를 들어 위치공간정보 데이터와 현재시간 정보, 단말기 조작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시간대에 특정한 장소에서 단말기의 특정한 기능(예; 주말 오후 집에서 게임을 이용, 출근시간에는 MP3기능을 이용)을 사용하는 것을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by analyzing the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data,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data,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function of the terminal at a specific place in a specific time zone (e.g., play games at home on weekends and use MP3 function at work). You can analyze and save the use of.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근 시간대에 지하철을 타고 있는 경우 "MP3 기능을 사용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MP3기능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주말 오후 시간 집에 있는 경우 "핸드폰 게임 한번 어떠세요?" 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게임기능을 사용할 것을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케줄에 등록된 특정한 시간에 단말기 수신모드를 매너모드로 빈발하게 변환하는 경우 스케줄에 등록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매너모드로 전환하거나 사용자에게 모드변경 여부를 물어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is on the subway during the rush hour, a message such as "Do you want to use the MP3 function?" Can be output to encourage the user to use the MP3 function. Or, if you are at home on weekend afternoons, "How about playing a cell phone game?"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game function to the user by outputting a message such as, and when the user frequently converts the terminal reception mode to the silent mode at a certain time registered in the schedule, the silent mode is automatically applied when the time registered in the schedule is reached. You can switch to or ask the user to change the mode.

또한, 인터넷 이용패턴을 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함께 분석할 경우, 시간과 장소를 고려한 인터넷 이용의 추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퇴근시간에 특정사이트를 항상 접속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의 패턴으로 등록하고 퇴근시간에 사용자에게 해당 사이트 접속을 추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Internet use pattern together with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use of the Internet in consideration of time and place. For example, if a user always accesses a specific site at work, the user may register it as a user's pattern and recommend that the user access the site at work.

어플리케이션 사용패턴을 시간정보와 위치공간정보와 함께 분석할 경우, 시간과 장소를 고려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이나 삭제 추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전에 도서관에서 도서검색 어플리케이션을 항상 사용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의 패턴으로 등록하고 오전 시간에 도서관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거나 구동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영어학습 어플리케이션의 이동 빈도가 미리 정의한 빈도값 이하로 낮아질 경우 "영어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까요?"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여 어플리케이션 저장공간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f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is analyzed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nd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operation or deletion of the application considering the time and place. For example, if a user always uses a book search application in a library in the morning, the user may register it as a user's pattern and automatically run or recommend driving the application in the library in the morning. In addition, when the moving frequency of the English learning application lowers below a predefined frequency value, a message such as "Do you want to delete the English learning application?" May be output to help manage the application storage space.

멀티미디어 데이터 이용패턴을 단말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얻은 시간정보와 멀티미디어이용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접근하는 횟수를 분석하여 특정 시간대에 사용자가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 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근시간에 특정한 MP3 파일을 자주 듣는다면 출근 시간대에는 그 파일을 리스트의 제일 윗부분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By analyzing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accesses the multimedia data through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multimedia use data obtain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multimedia data usage pattern may be sorted in order of the data frequently accessed by the user at a specific time period and displayed to the user. For example, if a user frequently listens to a specific MP3 file during the rush hour, the file may appear at the top of the list during the rush hour.

10 : 디스플레이부 20: 사용자 조작 입력부
30: 단말기 정보 수집부 40: 최근빈도 모니터링부
50: 사용자 정보 관리부(50) 60: 사용패턴 분석처리부(60)
70: 단말기 제어부(70)
10: display unit 20: user operation input unit
30: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40: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50: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0) 60: us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60)
70: terminal control unit 70

Claims (7)

사용패턴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조작 입력부와;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수집하는 통화내역 수집부, 문자메시지(SMS) 발/수신 내역을 수집하는 문자메시지 내역 수집부,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 조작정보 수집부 및 현재 시간정보를 수집하는 현재시간 정보 수집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정보 수집부와;
수집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 항목의 빈도수를 관리하는 최근빈도 모니터링부와;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기능별 빈도수를 메모리에 유지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와;
사용자의 사용패턴 및 사용성향을 분석하고 프로파일링하는 사용패턴 분석처리부와;
단말기의 환경설정 옵션에서 사용패턴에 따른 자동실행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패턴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구조를 제공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공간정보를 수집하는 위치공간정보 수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통화내역, 문자메시지(SMS) 발/수신 내역 및 단말기 조작정보를 시간별-위치공간별로 분석하여 메모리에 유지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별-위치공간별 단말기 정보 중 현재 시간 및 현재의 위치공간에 빈발하는 기능을 검색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설정하거나 해당 기능을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user interface and a function optimized to the usage pattern,
A display unit;
A user manipulation input unit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all histor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call history of the user, text message histor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text message (SMS) origin / reception history,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collecting A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having a current tim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classif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category and managing a frequency of each classified item;
A user information manager which maintains a frequency of each terminal use function in a memory;
A usag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and profiling a usage pattern and a tendency of the user;
When the automatic execution mod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is set in the configuration options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control unit for providing an optimized display structur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urther includes a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current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of the user,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alyzes call history, text message (SMS) origination / reception history, and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each time-location space and maintains it in a memory.
The terminal controller may search for frequent functions in a current time and a current location space among terminal information for each time-location space stored in a memory, and display a message for automatically set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or recommend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공간정보 수집부는,
단말기가 신호를 수신 받는 기지국을 통해 현재 단말기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와;
특정장소에서 송출하는 무선주파수(RF) 정보를 읽어 들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얻는 단계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의 상황정보를 얻는 단계와;
사용자가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신호의 문턱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현재 공간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신호의 문턱값보다 신호의 세기가 큰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이름을 신호의 세기 순으로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무선 액세스포인트(AP)를 선택하여 공간의 이름과 매핑하여 단말기에 공간을 기억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기억된 공간에 진입했을 때 현재 공간을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공간정보를 조합하는 단계;를 통해 위치공간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spa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Determining, by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through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signal;
Reading radio frequency (R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specific plac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place where a user is located;
Obtaining situation information of a location where a current terminal is located through data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Setting a threshold value of a signal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Displaying, by the terminal, the names of wireless access points (AP) whose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of the signal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P) in the current space, sorted in order of signal strength,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electing a wireless access point (AP)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and mapping the name to the name of the space to store the space in the terminal;
Recognizing a current space when a user enters a space stored in the terminal;
And combin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to obtain location spatial informa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말기 정보 수집부는,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내역을 수집하는 인터넷 이용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정보를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내역 수집부,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열람내역을 수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열람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ternet us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details u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terminal, application histor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multimedia data reading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reading history of the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근빈도 모니터링부는,
각 기능별 사용 빈도수를 검출하는 데 있어서, 최신의 정보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오래된 정보 일수록 가중치를 감쇄시켜 적용시키되,
감쇄율 d는
d =
Figure pat00025
(b>1, h≥1)
(여기서 b는 감쇄단위당 감소되는 가중치의 크기이며, h는 현재정보의 가중치를 1이라 할 때 현재의 가중치를 1/b로 만드는 감쇄단위의 수이다.)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In detecting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function, high weight is given to the latest information and the weight is reduced to be applied to the old information.
Decay rate d is
d =
Figure pat00025
(b> 1, h≥1)
(Where b is the amount of weights reduced per attenuation unit, and h is the number of attenuation units that make the current weight 1 / b when the weight of the current information is 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efined a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근빈도 모니터링부는,
현재 발생한 항목의 발생시간 (
Figure pat00026
) 와 이 항목이 가장 최근에 발생한 발생시간(
Figure pat00027
) 사이의 시간차
Figure pat00028
, 사용자가 정의한 감쇄율 적용 단위시간을
Figure pat00029
로 정의할 때 현재 발생한 항목의 해당 카테고리에서 현재까지 발생한 총 항목의 개수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특정 카테고리 P에서 특정 항목 e의 빈도수(count)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에 의해 해당 항목이 가장 최근에 발생한 시점과 현재 발생한 시점 사이의 발생 시간차이를 고려하여 감쇄율을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cent frequency monitoring unit,
The occurrence time of the current occurrence (
Figure pat00026
) And the most recent occurrence of this item (
Figure pat00027
Time difference between
Figure pat00028
, The unit time applied by the user
Figure pat00029
When defined as, the total number of items that have occurred so far in that category
Figure pat00030
Is
Figure pat00031

Count of specific item e in specific category P
Figure pat00032
Is
Figure pat00033

And attenuation rate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a difference in occurrence time between the most recent occurrence of the corresponding item and the current occurrence of the corresponding i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패턴 분석처리부는,
전체 최근 통화수에 대한 단말기의 전화부에 등록된 그룹에 대한 최근통화수의 비율에 해당되는 비율을 산출하여 이를 특정지수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 pattern analysis processing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calculating a ratio corresponding to a ratio of recent calls to a group registered in a phone book of a terminal to a total number of recent calls, and storing the ratio as a specific index.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지수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 해당 그룹으로의 통화를 권유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when the specific index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displaying a message inviting a call to the corresponding group.
KR1020100113806A 2010-11-16 2010-11-1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 KR101179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806A KR101179917B1 (en) 2010-11-16 2010-11-1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806A KR101179917B1 (en) 2010-11-16 2010-11-1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580A true KR20120052580A (en) 2012-05-24
KR101179917B1 KR101179917B1 (en) 2012-09-05

Family

ID=4626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806A KR101179917B1 (en) 2010-11-16 2010-11-1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91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42B1 (en) * 2012-09-05 2014-05-14 주식회사 팬택 linkage appl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application loading
KR20200068825A (en) * 2018-12-06 2020-06-16 삼화디에스피주식회사 Control group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equipment
KR20220131508A (en) * 2017-09-18 2022-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erminal, recommendation ac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recommendation action providing method
US11556354B2 (en) 2019-02-01 202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based user-personalized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336B1 (en) 2017-12-12 2022-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0944B1 (en) 2018-01-31 2018-05-24 (주)베스트인포텍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59B1 (en) 2006-06-23 2007-03-02 (주) 엘지텔레콤 Method of chang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r's place in mobi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42B1 (en) * 2012-09-05 2014-05-14 주식회사 팬택 linkage appl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application loading
KR20220131508A (en) * 2017-09-18 2022-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erminal, recommendation ac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recommendation action providing method
KR20200068825A (en) * 2018-12-06 2020-06-16 삼화디에스피주식회사 Control group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equipment
US11556354B2 (en) 2019-02-01 202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based user-personalized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917B1 (en)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8979B2 (en) Inferring user availability for a communication
KR10117991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time-location information
KR100822029B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service using user's history in mobile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101902037B1 (en) Adaptive notifications
US96095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vacy-enabled mobile locator services with dynamic encounter horizon
US20050075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updating a mobile web log (blog) to reflect mobile terminal activity
US817608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resence of a user
KR101363609B1 (en) Social relationshi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3058213A5 (en)
CN101512568A (en) Likelihood-based storage management
CN104519205A (en)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record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09450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roxy presence of a user
CN104866505A (en) Applic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N102819607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mmending users
KR20110079893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organization mechanism
US8781994B2 (en) Personality / popularity analyzer
JP2008152578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5978793A (en) Issuing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on information
CN100463475C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provided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08287863A (en) A kind of method for cleaning and device of Message Record
CN102804736B (en) Record communication event daily record
KR1015895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communication history
CN105847313A (en) Method for implementing mobile phone smart cloud service address book
KR101199702B1 (en) Method of automated answ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TW201510898A (en) User profile generating server and user profile gen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