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128A - 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128A
KR20120052128A KR1020100113607A KR20100113607A KR20120052128A KR 20120052128 A KR20120052128 A KR 20120052128A KR 1020100113607 A KR1020100113607 A KR 1020100113607A KR 20100113607 A KR20100113607 A KR 20100113607A KR 20120052128 A KR20120052128 A KR 20120052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server
learning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혜영
한호현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이혜영
이상옥
한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영, 이상옥, 한호현 filed Critical 이혜영
Priority to KR102010011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2128A/en
Publication of KR2012005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1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PURPOSE: An exercise book learning method using AR(Augmented Reality) and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use existed exercise books as the content of a learning method by using question numbers and page numbers as markers. CONSTITUTION: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13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a server(200). A recognition unit(110) recognizes question numbers and page numbers. A control unit(120) transmits marker information created from the recognized the question and the page numbers to the server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The control unit receives ques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question to a display unit(140).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 방법과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Problem collection learning method and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문제집의 문항 번호와 쪽 번호를 마커로 이용하여 기존 문제집에의 부가적인 마커 삽입 작업 없이,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의 학습을 가능케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lem collection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ugmented reality.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a problem book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enables the study of a problem book using augmented reality without additional marker insertion work into the existing problem book using the item number and page number of the problem book as markers will be.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의 외부 객체와 부가 정보를 갖는 가상 객체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 현실의 일종이다. 증강현실 중 비전 기반 증강현실은 광학기반 시스템이나 영상기반 시스템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광학기반 시스템의 경우, 증강현실은 반투명 스크린인 HMD(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여 실제 환경에 가상 물체를 투영시킴으로써 구현된다. 반면, 영상기반 시스템의 경우, 증강현실은 카메라를 통하여 취득된 현실의 외부 객체의 영상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시킴으로써 구현된다.
Augmented reality is a kind of virtual reality that combines the external object of the reality that the user sees with the virtual object hav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one image. Vision-based augmented reality of augmented reality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optical-based system or an image-based system. In the case of optical-based systems, augmented reality is realized by projecting virtual objects into a real environment using a translucent screen, HMD (Head Mounted Display). On the other hand, in the image-based system, augmented reality is implemented by synthesizing virtual information with an image of an external object of reality acquired through a camera.

이러한 증강현실은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현실감과 인식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바탕으로 의학, 산업, 오락, 군사 분야는 물론 최근 휴대용 모바일 디바이스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그 활용 빈도 및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This augmented reality is based on the advantages that can provide users with improved realism and awareness, as well as the medical, industrial, entertainment, military sector, as well as the recent spread of portable mobile devices has been increasingly used frequency and field.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 현실 외부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증강현실의 외부 인식방법은 크게 AR(Augmented Reality) 마커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마커 기반 방법(marker based method)과,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물체로부터 수집되어진 특징을 인식하거나 3D 모델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마커리스 방법(marker-less method)으로 구분된다.
In order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a method of recognizing objects outside the reality is very important. In general, the external recognition method of augmented reality is mainly a marker based method that implements augmented reality using AR (Augmented Reality) marker, and recognizes a feature collected from an object in the real world or recognizes a 3D model. It is divided into a marker-less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마커 기반 방법의 경우, 현실 외부 객체는 모두 마커를 지니고 있어야 증강현실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존재하는 콘텐츠의 경우에는 별도의 마커를 부착하거나 새로이 마커를 표시하여야 증강현실의 구현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In the case of the marker-based method, augmented reality can be implemented only when all objects outside the reality have a marker. Therefore, in the case of existing content, augmented reality can be implemented by attaching a separate marker or displaying a new marker. Has bee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제집의 문항 번호 및 쪽 번호를 마커로 이용하여 기존 문제집에 부가적인 마커 삽입 작업 없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문제집의 학습을 가능케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item number and page number of the problem collection as a marker to enhance the learning of the problem colle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without additional marker insertion work to the existing problem collection I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a problem book using rea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상기 서버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문제집의 문항 번호와 문제집의 쪽 번호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문항 번호와 문제집의 쪽 번호를 포함하는 마커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송신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에 상응하는 문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제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gmented reality device connected to a server and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display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server;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item number of the problem collection and the page number of the problem collection; And marker information including the item number and the problem number of the item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to the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It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display unit.

여기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의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마커 정보에 상응하여 학습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and stores the learn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즐겨찾기, 오답노트 및 사용자 정의의 분류기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학습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The controller may classify the learning information into at least one of favorites, incorrect answer notes, and user-defin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tore the learn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정보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독출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학습 정보에 상응하는 마커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송신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문제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학습 정보와 상기 문제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reads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for each classification criterion and selects one of them, and transmits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rom the server. The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problem information.

또한, 상기 표시부는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The display unit may be a transparent display.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식부, 송수신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장치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문제집을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인식부를 통해 문제집의 문항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인식부를 통해 문제집의 쪽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문항 번호와 쪽 번호를 포함하는 마커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마커에 상응하는 문제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문제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learning a problem colle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comprising a recognition unit, a transceiver and a display connected to the server and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 a problem collection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the item number of the; (b) recognizing the page number of the problem book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c) transmitting marker information including the item number and the page number to a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d) receiving information of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marker from the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And (e) provides a problem collection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on the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증강현실장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즐겨찾기, 오답노트, 사용자 정의의 분류기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문제의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and after the step (e), (f) bookmark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by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favorites, incorrect notes, user-defined and the storage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the wealth.

또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정보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독출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학습 정보에 상응하는 마커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송신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문제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학습 정보와 상기 문제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after the step (f), (g) reading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for each classification criterion and selecting one of them, the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cei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problem information. have.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집의 문항 번호와 쪽 번호를 마커로 이용함으로서 별도의 마커 삽입 작업이 없더라도 기존 문제집을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방법의 콘텐츠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item number and the page number of the problem collection as a mark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xisting problem collection can be used as the content of the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even without a separate marker insertion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와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방법을 마커 정보를 이용하여 구현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방법을 저장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구현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a collection of problems using augmented reality using mark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a collection of problems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stored learn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100)와 서버(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and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증강현실 장치(100)는 인식부(110), 제어부(120), 송수신부(130), 표시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includes a recognition unit 110, a controller 120, a transceiver 130, a display 140, and a storage 150. It may include.

인식부(110)는 문제집의 문항 번호와 쪽 번호를 마커로서 인식한다. 마커란, 증강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외부 객체를 표상하는 정보에 해당된다. 마커로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하나의 외부 개체에 특정될 수 있어야 한다. 문항 번호는 각 문제집의 출판사마다 그 디자인이 상이하나, 한권의 문제집에는 같은 문항 번호가 다수개 포함될 수 있어, 쪽 번호와 함께 조합되면 하나의 문제에 대하여 특정된 마커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item number and the page number of the question collection as markers. A marker corresponds to information representing an external object in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To be used as a marker, it must be able to be specific to one external entity. The item number may have a different design for each publisher, but one book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same item number, and when combined with the page number, the item number may function as a marker specified for a single problem.

사용자가 인식부(110)를 통하여 문제집의 문항 번호와 쪽 번호를 인식시키면, 인식부(110)는 문항 번호와 쪽 번호의 조합에 의하여 마커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마커 정보는 제어부(120)로 전달된다.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item number and page number of the question collection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the recognition unit 110 generates marker information by a combination of the item number and the page number. The generated mark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20.

제어부(120)는 인식부(110)로부터 마커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송수신부(130)를 통해 서버(200)로 송신한다.
The controller 120 receives marker information from the recognizer 110 and transmits the mark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transceiver 130.

송수신부(130)는 증강현실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200)에 마커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200)로부터 마커 정보에 상응하는 문제의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The transceiver 130 transmits mark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connected to the AR apparatus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receives information on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do.

서버(200)는 수신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의 정보를 찾는다. 증강현실 장치(100)는 서버(200)에 의해 찾아진 문제의 정보를 송수신부(130)를 통해 수신 받는다.
The server 200 finds information of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arker information.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found by the server 200 through the transceiver 130.

제어부(120)는 전달받은 문제의 정보를 표시부(140)에 전달하면, 표시부(140)는 문제의 정보를 표시한다.
When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received problem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40,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problem information.

제어부(120)는 문제의 정보에 상응하는 마커 정보에 상응하여 학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제어부는 저장부에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즐겨찾기, 오답노트 및 사용자 정의의 분류기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학습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 question, and stores the generated learn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150. When the learn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ler may classify and store the learning information into at least one of favorites, incorrect notes, and user-defined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제어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학습 정보를 즐겨찾기, 오답노트 및 사용자 정의의 분류기준별로 독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 정보에 상응하는 마커 정보를 송수신부(130)를 통해 서버(200)에 송신하고, 선택된 학습 정보를 표시부(140)에 전달한다.
The control unit 120 reads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by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favorites, incorrect answer notes, and user definitions, and transmits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0. In operation 200,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40.

서버(200)는 수신된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의 정보를 찾는다. 증강현실 장치(100)는 서버(200)에 의해 찾아진 문제의 정보를 송수신부(130)를 통해 수신 받는다.
The server 200 finds information of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arker information.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found by the server 200 through the transceiver 130.

제어부(120)는 전달받은 문제의 정보를 표시부(140)에 전달하면, 표시부(140)는 문제의 정보와 학습정보를 표시한다.
When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received problem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40,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problem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방법을 마커 정보를 이용하여 구현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a collection of problems using augmented reality using mark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증강현실 장치(100)는 인식부(110)를 통하여 문제집의 문항 번호를 인식하고(S110), 쪽 번호를 인식한다(S120).
Referring to FIG. 2,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recognizes an item number of a collection of problems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10 (S110), and recognizes a page number (S120).

인식부(110)는 인식된 문항 번호와 쪽 번호를 조합하여 마커 정보를 생성하고(S130), 이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The recognition unit 110 generates marker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recognized item number and the page number (S13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20.

제어부(120)는 마커 정보를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서버(200)에 송신한다(S140).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mark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transceiver 130 (S140).

증강현실 장치(100)는 서버(200)에서 찾아진 문제의 정보를 송수신부(130)를 송하여 수신하고(S150), 이를 표시부에 전달한다.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on a problem found in the server 200 by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30 (S150),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unit.

표시부(140)는 문제의 정보를 표시한다(S160).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information of the problem (S160).

제어부(120)는 문제의 정보에 상응하는 학습정보를 생성하고(S170),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 question (S170)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15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방법을 저장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구현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a collection of problems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stored learning informa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학습 정보를 즐겨찾기, 오답노트 및 사용자 정의의 분류기준으로 독출한다(S210).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20 reads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50 as a classification criteria of favorites, incorrect notes, and user definitions (S210).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학습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학습 정보에 상응하는 마커 정보를 송수신부(130)를 통해 서버(200)로 송신하고, 학습 정보를 표시부(140)로 전달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learn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transceiver 130, and transmits the learn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40.

증강현실 장치(100)는 서버에서 찾아진 마커 정보에 상응하는 문제의 정보를 송수신부(130)를 통해 수신한다(S230).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found in the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130 (S230).

제어부(120)는 수신된 문제의 정보 정보를 표시부(140)에 전달하고, 표시부(140)는 학습 정보와 문제의 정보를 표시한다(S240).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received problem inform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problem information (S2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easily.

100 : 증강현실 장치
110 : 인식부
120 : 제어부
130 : 송수신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00: augmented reality device
110: recognition unit
120:
130: transceiver
140: display unit
150: storage unit

Claims (8)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상기 서버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문제집의 문항 번호와 문제집의 쪽 번호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문항 번호와 문제집의 쪽 번호로부터 생성된 마커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송신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에 상응하는 문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제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In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and wired and wireless network,
A display sec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server;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item number of the problem collection and the page number of the problem collection; And
After transmitting the marker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item number and the page number of the problem book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to the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information of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display unit
Augmented reali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의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마커 정보에 상응하여 학습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cluding a storage unit,
The controller generates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 question, and stores the learn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Augmented reali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즐겨찾기, 오답노트 및 사용자 정의의 분류기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학습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classifies the learning information into at least one of favorites, incorrect notes, and user-defin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tores the learn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Augmented reali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정보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독출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학습 정보에 상응하는 마커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송신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문제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학습 정보와 상기 문제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ler reads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elects one of them, and transmits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and then the marker from the server.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Augmented reali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투명 디스플레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isplay unit is a transparent display
Augmented reali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식부, 송수신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장치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문제집을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인식부를 통해 문제집의 문항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인식부를 통해 문제집의 쪽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문항 번호와 쪽 번호로부터 생성된 마커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마커에 상응하는 문제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문제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 방법.
In the method of learning a collection of problems using augmented reality in an augmented reality device comprising a recognition unit, a transceiver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a server and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 recognizing the item number of the question collection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b) recognizing the page number of the problem book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c) transmitting the marker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item number and the page number to the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d) receiving information of a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marker from the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And
(e)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on the display unit;
Problem collection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장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즐겨찾기, 오답노트, 사용자 정의의 분류기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문제의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further comprises a storage,
After step (e),
(f) classifying the problem information into at least one of favorites, incorrect notes, and user-defin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Problem collection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학습 정보를 상기 분류기준별로 독출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학습 정보에 상응하는 마커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송신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문제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학습 정보와 상기 문제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제집 학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fter step (f),
(g) reading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for each classification criterion and selecting one of them, and transmitting mark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then the marker from the server.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oblem;
Problem collection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00113607A 2010-11-15 2010-11-15 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 KR201200521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607A KR20120052128A (en) 2010-11-15 2010-11-15 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607A KR20120052128A (en) 2010-11-15 2010-11-15 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128A true KR20120052128A (en) 2012-05-23

Family

ID=4626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607A KR20120052128A (en) 2010-11-15 2010-11-15 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212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1921A (en) * 2012-05-11 2013-11-13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Book for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3489158A (en) * 2012-06-01 2014-01-01 索尼电脑娱乐欧洲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 of augmenting video
KR102112959B1 (en) 2019-09-09 2020-05-19 장원석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est shee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1921A (en) * 2012-05-11 2013-11-13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Book for augmented reality system
US9286724B2 (en) 2012-05-11 2016-03-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3489158A (en) * 2012-06-01 2014-01-01 索尼电脑娱乐欧洲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 of augmenting video
CN103489158B (en) * 2012-06-01 2018-07-31 索尼互动娱乐欧洲有限公司 Enhance the device and method of video
KR102112959B1 (en) 2019-09-09 2020-05-19 장원석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est shee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2610B (en) Selective identification and ordering of image modifiers
CN111881861B (en)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3572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CN10671639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nd matching objects depicted in an image
Biocca et al. Attention issues in spatial information systems: Directing mobile users' visual atten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465668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blogging thereof
US20180181810A1 (en) Hands-free contextually aware object interaction for wearable display
US20170053449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ontents to augment usability of real obj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9074164A (en) Use the object in Eye Tracking Technique mark scene
KR20200121357A (en) Object creation using physical manipulation
EP32159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annotations
CN107885823B (en) Audio information play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200058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generation of virtual marker
CN105432071A (en) Techniques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view
CN110199240A (en) The content navigation based on context for wearable display
KR20170125618A (en)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to be displayed at virtual area via augmented reality platform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30029766A (en) Remote display control
CN104541260A (en) Multiple-device screen capture
KR2012005212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studing using ae
CN104380345B (en) Data are presented using cinema technology
US20170034586A1 (en) System for content matching and triggering for reality-virtuality continuum-based environment and methods thereof
Roccetti et al. Day and night at the museum: intangible computer interfaces for public exhibitions
US11825375B2 (en) Locating content in an environment
KR102175519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ontents to augment usability of real obj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Antoniac Augmented reality based user interface for mobile applications and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