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066A - Electric cleaner - Google Patents

Electric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066A
KR20120046066A KR1020110111485A KR20110111485A KR20120046066A KR 20120046066 A KR20120046066 A KR 20120046066A KR 1020110111485 A KR1020110111485 A KR 1020110111485A KR 20110111485 A KR20110111485 A KR 20110111485A KR 20120046066 A KR20120046066 A KR 2012004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dust
electric
input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11028B1 (en
Inventor
마사미찌 우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2004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0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cleaner is provided to save energy by respectively controlling an electric blower and an electric motor corresponding to cleaning state and to improve cleaning performance by raking out dust from a target cleaned surface with the electric motor. CONSTITUTION: An electric cleaner(11) comprises a cleaner body, a wind passage, a dust amount detecting unit, a knob operating part, a operation detecting unit(45) and a control unit(37). The cleaner body accommodates an electric blower(18). The wind passage is communicated with an intake side of the electric blower. The dust amount detecting unit detects dust amount passing through the wind passage. The operation detecting unit detects operation of the knob operating part. Based on the dust amount detect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device and the operation of the knob operating part detected by the operation detecting unit, the control device controls ope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Electric Cleaner {ELECTRIC CLEA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 수단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dust amount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amount of dust which passes through the air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side of an electric blower.

종래, 예를 들어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를 갖는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집진부가 배치되어 있고, 이 집진부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를 내부로 구획하는 풍로 형성체가 접속된다. 이 풍로 형성체는,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에 호스체, 연장관 및 바닥 브러시가 순차 연통 접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풍로의 내부에는, 이 풍로의 내부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광센서가 배치되어 있고, 이 광센서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에 대응하여, 전동 송풍기, 혹은 바닥 브러시에 배치된 전동기 등의 입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for example,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includes a cleaner body having a body case accommodating an electric blower. The dust collector unit is arrang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and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which is configured to define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therein. The air passage forming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a hose body, an extension pipe, and a bottom brush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from the base end side. And inside the air path, an optical sensor as a dus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passing through the air path is disposed, and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light sensor, it is arranged in the electric blower or the floor brush. It is comprised so that input of an electric motor etc. may be controlled.

일본특허공개 (소)59-11812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9-118126 일본특허공개 (평)02-30742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2-307420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떻게 전기 청소기를 동작시키고 있는지 등의 청소 상태에 따라서도, 요구되는 전동 송풍기의 입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청소 상태에 적합한 입력으로 설정하는 것이 요망된다.In the vacuum cleaner, not only the dust amount detect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but also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require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leaning state such as how the user operates the vacuum cleaner. It is desirable to set the appropriate input.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소 상태에 적합한 전력으로 청소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vacuum cleaner which can clean with the electric power suitable for a cleaning state.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다. 이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풍로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 수단을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파지 조작되는 손잡이 조작부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손잡이 조작부의 동작을 검지하는 동작 검출 수단을 갖는다. 그리고, 이 전기 청소기는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및 동작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손잡이 조작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전동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The vacuum cleaner of embodiment has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which accommodated the electric blower. This vacuum cleaner has an air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The vacuum cleaner also has dus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passing through the air path. In addition, this vacuum cleaner has a handle operation part which is grip-operated. The vacuum cleaner also has mo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And this vacuum cleaner ha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an electric blower based on the dust amount detected by the dust amount detection means, and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handle operation part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도 5는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도 9는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도 13은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도 16은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도 18은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도 20은 상기와 같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of 1st Embodiment.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above electric cleane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bove electric cleaner.
4 is a matrix showing the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bove electric cleaner.
8 is a matrix showing the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of a third embodiment.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suction port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12 is a matrix showing the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of a fourth embodiment.
Fig. 15 is a matrix showing the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17 is a matrix showing control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19 is a matrix showing control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20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of the electr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3에 있어서, 참조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청소기 본체(12)와, 이 청소기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관부인 풍로 형성체(13)를 갖고 있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so-called canister-type electric vacuum cleaner, and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1 is a air passage forming body which is a vacuum cleaner body 12 and a pipe por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12. Has (13)

청소기 본체(12)는 피청소면 위를 선회 및 주행 가능한 중공 형상의 본체 케이스(15)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케이스(15)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본체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실이 전후에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실에는, 전동 송풍기(18)가 수용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이 본체 집진실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본체 집진실 내에는, 필터, 집진 주머니, 혹은 집진 장치(집진 컵) 등의 집진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5)의 전방부에는, 본체 집진실에 연통함과 함께 풍로 형성체(13)의 기단부측이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1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2 includes a hollow main body case 15 that can swing and run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 main body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n electric blower chamber (not shown) are partitioned before and after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15. It is. In addition, the electric blower 18 is accommodated in the electric blower chamber, and the suction side of this electric blower 18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dust collecting chamber. In the main body dust collecting chamber, a dust collecting unit such as a filter, a dust bag, or a dust collecting device (dust collecting cup) is disposed. A main body suction port 19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15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body dust collecting chamber and to be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air passage forming body 13.

또한, 풍로 형성체(13)는, 긴 형상의 호스체(21)와, 이 호스체(2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22)과, 이 연장관(2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23)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W)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풍로 형성체(13)는,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제거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바닥 브러시(23) 및 연장관(22)을 제거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air passage forming body 13 has an elongate hose body 21, an extension pipe 22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ose body 21, and a suction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2. The bottom brush 23 as a sphere is provided, and the air path W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18 is formed inside. In addition, this air path forming body 13 can also be used, for example by removing the bottom brush 23, and can remove and use the bottom brush 23 and the extension pipe 22, for example.

호스체(21)는 긴통 형상의 호스 본체(25)와, 이 호스 본체(25)의 일단부측인 기단부측(하류 단부측)에 연통해서 형성된 접속 헤드부(26)와, 호스 본체(25)의 타단부측인 선단측(상류 단부측)에 연통해서 형성되어 예를 들어 풍로 형성체(13)의 파지 조작용 손잡이 조작부(27)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The hose body 21 is a tubular hose main body 25, the connection head part 26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end side (downstream end side) which is the one end side of this hose main body 25, and the hose main body 25 It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end side (upstream end side) which is the other end side, and has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for gripping operation of the air passage forming body 13, for example.

호스 본체(25)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원통 주름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조작부(27)측과 청소기 본체(12)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이 내부와 풍로(W)의 외부에 나선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hose main body 25 is formed in cylindrical corrugated box shape by flexible synthetic resin etc., and the wiring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side and the cleaner main body 12 side is an interior and an air path. It is provided in the spiral shape outside the (W).

접속관부(26)는, 본체 흡입구(19)에 삽입 접속되는 부분이며, 호스 본체(25)보다도 경질의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관부(26)에는, 호스 본체(25) 내에 배치된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단자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단자가 접속관부(26)를 본체 흡입구(19)에 삽입 접속함으로써 청소기 본체(12)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접속관부(26)가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19)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로(W)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검출하기 위한 먼지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광센서(33)가 배치되어 있다.The connection pipe part 26 is a part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and is formed in cylindrical shape with synthetic resin harder than the hose main body 25.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terminal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wiring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se main body 25 is arrange | positioned at this connection pipe part 26, and these terminals insert-connect the connection pipe part 26 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This makes it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cleaner main body 12 side. And inside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to which the connection pipe part 26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2, the optical sensor 33 as a dust amoun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which passes through the air path W is arrange | positioned. It is.

여기서 광센서(3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외광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으로서의 발광부(35)와, 이 발광부(35)에 의해 발광된 적외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으로서의 수광부(36)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고, 발광부(35)로부터의 적외광의 수광부(36)에서의 수광량에 의해, 풍로(W) 중을 통과하는 먼지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수단(37)에 출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hotosensor 33 includes,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portion 35 as a light emitting means for emitting infrared light and an infrared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portion 35. The light-receiving portion 36 serving as a light-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light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in the light-receiving portion 36 of the infrared light from the light-emitting portion 35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dust passing through the wind path W.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signal to the control means 37.

발광부(35)는, 적외광 등의 광을 출력하는 LED 등의 발광 소자(35a)와, 이 발광 소자(35a)로부터의 발광을 풍로(W) 내로 유도하는 발광측 도광 부재로서의 한쪽 및 다른쪽의 발광측 렌즈(35b, 35c)를 갖고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35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35a such as an LED that outputs light such as infrared light, and one and the other as light emitting side light guide members for guiding light emission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into the air path W. Light emitting side lenses 35b and 35c.

발광 소자(35a)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의 상부에, 하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이 하방으로 적외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발광 소자(35a)는, 애노드측이 가변 저항기 등의 저항기(R1)를 통해서 전원부(3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캐소드측이 접지되어 있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is arrange | positioned downward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of the cleaner main body 12, for example, and is comprised so that it may output infrared light below this.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has an anode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38 via a resistor R1 such as a variable resistor, and the cathode side is grounded.

또한, 한쪽의 발광측 렌즈(35b)는, 발광 소자(35a)의 적외광의 출력측인 하방에서 본체 흡입구(19)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e light emitting side lens 35b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under the output side of the infrared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또한, 다른쪽의 발광측 렌즈(35c)는, 풍로 형성체(13)의 접속관부(26)를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에서 발광 소자(35a)(발광측 렌즈(35b))의 하방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쪽의 발광측 렌즈(35c)는, 접속관부(26)에 직경 방향을 따라 뚫어서 형성된 발광측 구멍부(35d) 내에, 이 발광측 구멍부(35d)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끼워 맞추고 있어, 일단부측이 발광 소자(35a)측(발광측 렌즈(35b)측)에 면하고, 타단부측이 풍로(W)의 내부에 면하고 있다. 즉, 발광측 구멍부(35d)로부터 풍로(W) 내의 공기가 풍로(W)의 외부로 유출되지는 않는다.Moreover, the other light emitting side lens 35c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light emitting side lens 35b) is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pipe part 26 of the air path forming body 13 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facing down. The other light emitting side lens 35c is fitted into the light emitting side hole 35d formed by drilling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6 along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close the light emitting side hole 35d in an airtight manner. One end side faces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side (light emitting side lens 35b side), and the other end side faces the air passage W. That is, the air in the air passage W does not flow out of the air passage W from the light emitting side hole 35d.

마찬가지로, 수광부(36)는, 발광부(35)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을 검출하는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수광 소자(36a)와, 발광부(35)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광 소자(36a)로 유도하는 수광측 도광 부재로서의 한쪽 및 다른쪽의 수광측 렌즈(36b, 36c)를 갖고 있다.Similarly,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6 guide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6a such as a photo transistor for detecting the infrared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35 and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35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6a. One light receiving side light guide member and the other light receiving side lenses 36b and 36c are provided.

수광 소자(36a)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의 하부에, 상방 즉 발광 소자(35a)측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이 발광 소자(35a)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수광 소자(36a)는, 전원부(38)에 대하여 저항기(R1)와 병렬로 접속된 저항기(R2)와 콜렉터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미터측이 접지된, 소위 이미터 접지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그의 출력부인 저항기(R2)와 콜렉터측과의 접속점이, 예를 들어 OP 증폭기 등에 의해 구성된 증폭부(39) 및 제어 수단(37)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light receiving element 36a is disposed above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of the cleaner body 12, for example, and is the infrared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In additi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6a has a resistor R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R1 with respect to the power supply unit 38, and the collector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emitter side is grounde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sistor R2 which is the output part, and the collector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part 39 and the control means 37 comprised by the OP amplifier etc., for example.

또한, 한쪽의 수광측 렌즈(36b)는, 수광 소자(36a)에 대한 적외광의 입력측인 상방에서 본체 흡입구(19)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e light receiving side lens 36b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from above, which is an input side of the infrared ligh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6a.

또한, 다른쪽의 수광측 렌즈(36c)는, 풍로 형성체(13)의 접속관부(26)를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에서 수광 소자(36a)(수광측 렌즈(36b))의 상방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쪽의 수광측 렌즈(36c)는, 접속관부(26)에 직경 방향을 따라 뚫어서 형성된 수광측 구멍부(36d) 내에, 이 수광측 구멍부(36d)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끼워 맞추고 있어, 일단부측이 수광 소자(36a)측(수광측 렌즈(36b)측)에 면하고, 타단부측이 풍로(W)의 내부에 면하고 있다. 즉, 수광측 구멍부(36d)로부터 풍로(W) 내의 공기가 풍로(W)의 외부로 유출되지는 않는다.The other light-receiving side lens 36c is formed of the light-receiving element 36a (light-receiving side lens 36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ipe portion 26 of the air passage forming body 13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facing upward. The other light-receiving side lens 36c is fitted in the light-receiving side hole 36d formed by drilling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6 along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close the light-receiving side hole 36d to be airtight. One end side face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6a side (the light receiving side lens 36b side), and the other end side faces the air passage W. That is, the air in the air passage W does not flow out of the air passage W from the light receiving-side hole 36d.

또한, 제어 수단(37)은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을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 제어 소자로서의 트라이액(Tr1)을 통해 위상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의 배기 풍로 내 등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전원 코드를 통해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37 phase-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18 through, for example, the triac Tr1 as the electric blower control element, and is arranged in, for example, an exhaust air path of the electric blower 18. It is. In addition, this control means 37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the commercial AC power supply e through the power cord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for example.

또한, 전원부(38)는 상용 교류 전원(e)에 전원 코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 즉 전원(전압)이 인가(투입)되었을 때, 바꾸어 말하면 플러그인되었을 때에,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의 전기 공급에 의해 소정의 정전압, 예를 들어 5V의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원이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38 is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AC power supply e when the power co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ercial AC power supply e, that is,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input), that is, plugged in. It is a constant voltage source which produces | generates predetermined | prescribed constant voltage, for example, 5V by electricity supply.

증폭부(39)는, 펄스 정형기(40)를 통해 제어 수단(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amplifier 3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37 via the pulse shaper 40.

또한, 손잡이 조작부(2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본체(25)보다도 경질의 합성 수지 등에 의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류 단부측으로부터 하류 단부측으로, 사용자에게 파지되는 파지부(41)가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41)에는, 전동 송풍기(18) 등의 동작을 제어 수단(37)(도 1)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설정 버튼(42)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설정 버튼(42)은, 호스 본체(25) 내의 배선을 통해 청소기 본체(12) 내의 제어 수단(37)(도 1)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파지부(41)의 내부에는, 손잡이 조작부(27)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동작 검출 수단(45)이 배치되어 있다. 이 동작 검출 수단(45)은, 예를 들어 경사 센서 등의 이미 알려져 있는 것으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는지(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손잡이 조작부(27)를 조작(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동작 검출 수단(4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 synthetic resin harder than the hose main body 25, and is gripped by the user from the upstream end side to the downstream end side. The branch part 41 protrudes and is formed. In this holding | gripping part 41, the some setting button 42 as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18 etc. to the control means 37 (FIG. 1) is arrange | positioned. These setting buttons 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37 (FIG. 1) etc. in the cleaner main body 12 via the wiring in the hose main body 25. As shown in FIG. Moreover, inside this holding part 41,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for detect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is arrange | positioned. The motion detecting means 45 is already known, for example, such as an inclination sensor, and whether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operating (stopped), in other words,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 Can be detected. And this motion detection means 4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37 as shown in FIG.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닥 브러시(23)는, 풍로(W)의 일부(상류 단부)를 구성 가능한 것이며, 연장관(22)의 선단측(상류 단부측)에 일단부측이 연통 접속되는 접속관(47)과, 이 접속관(47)의 타단부측에 상하 방향 혹은 둘레 방향 등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가로로 긴 케이스체(48)를 구비하고 있어, 피청소면 위를 주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48)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하부에는, 접속관(47)의 타단부측과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brush 23 shown in FIG. 3 can comprise a part (upstream end part) of the air path W, and the connection pipe which one end side communicates with the front end side (upstream end side) of the extension pipe 22 is connected. (47) and the horizontally long case body 48 connect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is connection pipe 47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in an up-down directio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etc., and can run on the to-be-cleaned surface. Moreover, the suction por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side of the connection pipe 47 is formed in the lower part which oppo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48.

이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 4에 도시하는 매트릭스 및 도 5에 도시하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atrix shown in FIG. 4 and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사용자가 집진부를 청소기 본체(12)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전원 코드를 벽면의 콘센트 등에 접속(플러그인)하면, 제어 수단(37) 및 전원부(38) 등에 대하여,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인가)된다.When the user connects (plugs in) the power cord to a wall outlet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12, the power source (e) Voltage) is supplied (applied).

제어 수단(37)은, 설정 버튼(42)의 조작 입력 대기가 되어, 사용자가 설정 버튼(42)의 조작에 의해 설정한 동작 모드로 전동 송풍기(18)를 구동 또는 구동하고 있는 전동 송풍기(18)를 정지한다. 이하, 전동 송풍기(18)를 자동 모드, 즉 제어 수단(37)에 의해 입력을 자동 제어하는 모드로 구동시킨 경우의 각 부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control means 37 waits for the operation input of the setting button 42, and drives or drives the electric blower 18 in the operation mode set by the user by the operation of the setting button 42. Stop).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part in the case where the electric blower 18 is driven in an automatic mode, that is, a mode in which the inpu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37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전동 송풍기(18)가 구동한 후, 파지부(41)를 통해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 위에서 전후로 주행시키고, 피청소면의 먼지를 구동한 전동 송풍기(18)의 부압에 의해 풍로(W)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해서 집진부에 포집한다.After the electric blower 18 is driven, the user moves the bottom brush 23 back and forth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hrough the holding part 41, and the air path is driven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electric blower 18 which has driven the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nhale with air through W) and collect in the dust collecting part.

또한, 이 청소 상태에 있어서,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광센서(33)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증폭부(39)에 의해 증폭해 펄스 정형기(40)에 의해 펄스 정형해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의해, 풍로(W) 내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감시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기 청소기(11)는 광센서(33)에 의해 먼지량을 검출하고 있다(스텝 1).Moreover, in this cleaning state, the control means 37 amplifies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ensor 33 by the amplification part 39, and inputs it by pulse shaping by the pulse shaper 40, for example. The amount of dust passing through the air path W is monitored by the signal. In other words, the vacuum cleaner 11 detects the amount of dust by the optical sensor 33 (step 1).

즉, 풍로(W) 내를 먼지가 통과하면, 발광부(35)의 발광 소자(35a)로부터의 발광을 먼지가 차단하기 때문에, 수광부(36)의 수광 소자(36a)에서의 수광량이 감소함으로써, 풍로(W) 내를 먼지가 통과하고 있는 것을 광센서(33)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풍로(W) 내를 통과하는 먼지량이 많을수록, 수광부(36)의 수광 소자(36a)에서의 수광량이 감소하므로, 광센서(33)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증폭부(39)에 의해 증폭되고 펄스 정형기(40)에 의해 펄스 정형되어 제어 수단(37)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상대적으로 작아짐으로써, 제어 수단(37)은 풍로(W) 내를 통과하는(청소하고 있는 피청소면의 위치에서의) 먼지량의 과다를, 상기 입력 신호의 대소에 의해 판단 가능해진다.That is, when dust passes through the air path W, since the dust blocks light emission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35a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35,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6a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6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detect by the optical sensor 33 that dust has passed through the air passage W. Therefore, as the amount of dust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W increases,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6a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6 decreases, so that the output signal from the optical sensor 33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39. As the input signal input to the control means 37 by pulse shaping by the pulse shaper 40 becomes relatively small, the control means 37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path W (at the position of the cleaning surface being cleaned). Excessive amount of dust can be judged by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그리고,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신호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 등에 의해,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2), 소정량 이상이 아니다(소정량 미만이다)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3).Then, the control means 37 judges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33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for example, by comparing the input signal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step). 2) When it judges that it is not more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the control means 37 judges whether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is operating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step 3). ).

이 스텝 3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 조작부(27)를 파지하고 있지 않고, 통상대로의 청소를 하고 있지 않은 상태,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를 구동시킨 채, 풍로 형성체(13)를 방치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가장 작은 소정의 최소값인 소정의 전동 송풍기용 제1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최저 입력인 소정의 제1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1)으로 동작시킨다(스텝 4).In step 3, when the control means 37 determin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not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stopped), for example, the user grips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t is assumed that it is a cleaning state in which the air passage forming body 13 is left unattended, and the electric cleaner 11 (electric blower 18) is driven while the normal cleaning is not performe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first value for the predetermined electric blower which is the smallest predetermined minimum value, and sets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first value. It operates with the predetermined 1st electric blower input (power 1) which is a lowest input (step 4).

또한, 스텝 3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지 않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상대로 전후에 바닥 브러시(23)를 왕복 이동시켜서 청소를 하고 있지만,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은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이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전동 송풍기용 제1 값보다도 큰 소정의 전동 송풍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제1 전동 송풍기 입력보다도 큰 소정의 제2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2)으로 동작시킨다(스텝 5).In addition, in step 3, when the control means 37 judg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not stopped), for example, a user uses the floor brush before and after as usual. Although the cleaning is carried out by reciprocating the 23,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and this control means 37 controls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The electric motor blower 18 is operated with a predetermined secon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2) larger than the first electric blower input, with the phase angle as the second value for the predetermined electric blower larger than the first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 Step 5).

한편, 스텝 2에 있어서,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소정량 이상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6).On the other hand, in step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33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the control means 37 determines whether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operated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It is judged whether or not (step 6).

이 스텝 6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벽 등에 부분적으로 먼지가 저류되어 있는 장소의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전동 송풍기용 제2 값보다도 큰 소정의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제2 전동 송풍기 입력보다도 큰 소정의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킨다(스텝 7).In step 6, when the control means 37 judg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not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stopped), for example, dust is partially stored in a wall or the like. Assuming that the place is in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to a predetermined electric blower third larger than the secon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Using the value,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with a predetermined thir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larger than the second electric blower input (step 7).

또한, 스텝 6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지 않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많으며, 사용자가 통상 그대로 전후에 바닥 브러시(23)를 왕복 이동시켜서 청소를 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이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전동 송풍기용 제3 값보다도 큰 소정의 전동 송풍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제3 입력보다도 큰 소정의 제4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킨다(스텝 8).In addition, in step 6, when the control means 37 judg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not stopped), for example, th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large, and the user Assumes that the bottom brush 23 is reciprocated before and after as it is and is being cleaned, and this control means 37 is the phas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with a predetermined four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larger than the third input, with the angle being the fourth value for the predetermined electric blower larger than the thir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step 8). .

즉,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및 동작 검출 수단(45)으로 검출한 손잡이 조작부(27)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청소 상태를 상정하고, 그의 상정한 청소 상태에 대응하여, 제어 수단(37)이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입력)을 제어함으로써, 광센서(33)로부터의 정보와 동작 검출 수단(45)으로부터의 정보와의 2개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소 상태를 고정밀도로 상정할 수 있어, 청소 상태에 적합한 전력으로 청소할 수 있다.That is, the cleaning state is assumed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photosensor 33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operating unit 27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means 45, and the control means corresponding to the assumed cleaning state. By controlling the driving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the cleaning state of the user is highly precisely based on two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light sensor 33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motion detecting means 45. It can be assumed as a road and can be cleaned with electric power suitable for the cleaning state.

이어서, 제2 실시 형태를 도 6 또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2nd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or FIG.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and effect | action similar to the said 1st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에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51)를 구비하는 것이다.This 2nd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rotary brush 51 as a rotary cleaning body in the bottom brush 23 in the said 1st Embodiment.

즉, 바닥 브러시(2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체(48)의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하면에 개구 형성된 가로로 긴 흡입구에 회전 브러시(5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브러시(51)는, 케이스체(48) 내에 수용된 전동기(52)에 대하여 벨트 등의 전달 수단(53)을 통해 연결되고, 이 전동기(5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bottom brush 23 is rotatably provided with the rotation brush 51 in the horizontally long suction opening formed in the lower surface which opposes the surface to be cleaned of the case body 48. As shown in FIG. This rotary brush 51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52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48 via the transmission means 53, such as a belt, and is rotationally driven by this electric motor 52. As shown in FIG.

회전 브러시(51)는, 피청소면에 인입하거나 달라붙은 먼지를 회전에 의해 긁어내는 것이다. 이 회전 브러시(51)는 임의의 구성으로 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털 브러시, 혹은 블레이드 등의 청소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ry brush 51 scrapes off the dirt which attracted or stuck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rotation. Although this rotating brush 51 can be made into arbitrary structure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cleaning members, such as a hair brush or a blade, for example.

전동기(5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37)에 의해 전동기 제어 소자로서의 트라이액(Tr2)을 통해 위상 제어된다. 또한, 이 전동기(52)는,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의 온 오프와 동시에(온 오프에 대응해), 온 오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들 제어 수단(37)과 전동기(52)(트라이액(Tr2))는, 풍로 형성체(13)의 내부를 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motor 52 is phase-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37 via the triac Tr2 as a motor control element. In addition, this electric motor 52 shall be turned on and off simultaneously with the on-off (corresponding to the on-off) of the vacuum cleaner 11 (electric blower 18). In addition, these control means 37 and the electric motor 52 (trial liquid Tr2)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wiring which is not shown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path forming body 13.

이어서,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 8에 나타내는 매트릭스 및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said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also to the matrix shown in FIG. 8, and the flowchart shown in FIG.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3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 조작부(27)를 파지하고 있지 않고, 통상대로의 청소를 하고 있지 않은 상태,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를 구동시킨 채, 풍로 형성체(13)를 방치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1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1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1)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가장 작은 소정의 최소값인 소정의 전동기용 제1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최저 입력인 소정의 제1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최저 회전수 인 소정의 제1 회전수(회전수 1)로 회전시킨다(스텝 11).In step 3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control means 37 determin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does not operate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stopped), for example,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The cleaning which does not hold | maintain and does not carry out normal cleaning, for example leaving the air path forming body 13 while driving the vacuum cleaner 11 (electric blower 18).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first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and sets the electric blower 18 to the first value. 1 operates at the electric blower input (power 1), and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as the first value for the predetermined electric motor which is the smallest predetermined minimum value. Operate 52 as the predetermined first motor input which is the lowest input In this way,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first rotational speed (rotational speed 1) which is the lowest rotational speed (step 11).

또한, 스텝 3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지 않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상대로 전후에 바닥 브러시(23)를 왕복 이동시켜서 청소를 하고 있지만,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은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이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2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2)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전동기용 제1 값보다도 큰 소정의 전동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제1 전동기 입력보다도 큰 소정의 제2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제1 회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2 회전수(회전수 2)로 회전시킨다(스텝 12).In addition, in step 3, when the control means 37 judg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not stopped), for example, a user uses the floor brush before and after as usual. Although the cleaning is carried out by reciprocating the 23,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and this control means 37 controls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With the phase angle set as the secon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as the secon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2), and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which is set by the triac Tr2. The rotary brush 51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motor 52 with a predetermined second motor input larger than the first motor input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motor as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for the motor larger than the first value for the motor. Predetermined second revolution greater than revolutions (times Be rotated to 2) (step 12).

또한, 스텝 6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융단의 벽 등 부분적으로 많은 먼지가 저류되어 있는 장소의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전동기용 제2 값보다도 큰 소정의 전동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제2 전동기 입력보다도 큰 소정의 제3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제2 회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3 회전수(회전수 3)로 회전시킨다(스텝 13).In addition, in step 6, when the control means 37 judg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not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stopped), for example, it is partly dusty, such as a carpet wall. Is assumed to be a cleaning state of a place where the air is stored, an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thir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The predetermined electric motor which operates the blower 18 as the said 3r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and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larger than the 2nd value for electric motors. By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52 at a predetermined third electric motor input larger than the second electric motor input as the third value for the second motor, the rotary brush 51 is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hird speed larger than the second speed (rotation speed 3 (Step 13).

그리고, 스텝 6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지 않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많으며, 사용자가 통상대로 전후에 바닥 브러시(23)를 왕복 이동시켜서 청소를 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이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4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전동기용 제3 값보다도 큰 소정의 전동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제3 전동기 입력보다도 큰 소정의 제4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제3 회전수보다도 큰 소정의 제4 회전수(회전수 4)로 회전시킨다(스텝 14).Then, in step 6, when the control means 37 determin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not stopped), for example, th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large, and the user Is assumed to be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that is cleaned by reciprocating the bottom brush 23 before and after as usual, and this control means 37 controls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With the phase angle set as the fourth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as the four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and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to be set by the triac Tr2. The rotary brush 51 is operated as a third by operating the motor 52 with a predetermined fourth motor input larger than the third motor input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motor as the fourth value for the predetermined motor larger than the third value for the motor. The predetermined fourth rotation speed greater than the rotation speed ( It rotates to transfer 4) (step 14).

이와 같이, 제어 수단(37)이,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및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검출된 손잡이 조작부(27)의 동작에 기초하여 청소 상태를 상정하고, 그의 상정한 청소 상태에 대응해서 전동 송풍기(18) 및 전동기(52)(회전 브러시(51))의 구동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전동 송풍기(18)뿐만 아니라, 전동기(52)(회전 브러시(51))도 청소 상태에 적합한 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 상태에 적합한 전력으로 청소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가 가능해질 뿐 아니라, 전동기(52)(회전 브러시(51))에 의해 피청소면의 먼지를 긁어낼 수 있으므로, 청소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us, the control means 37 assumes the cleaning state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33, and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and assum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18 and the electric motor 52 (rotary brush 51) in correspondence with the cleaning state, not only the electric blower 18 but also the electric motor 52 (rotary brush 51) are cleaned. Since it can be driven in a state suitable for a state, it can be cleaned with the electric power suitable for a cleaning state, and energy saving is not only possible, but the dust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can be scraped off by the electric motor 52 (rotary brush 51). ,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more.

이어서, 제3 실시 형태를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3rd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13.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and effect | action similar to said eac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에, 이 바닥 브러시(23)의 접지 상태를 검출하는 접지 검출 수단(55)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In this 3rd Embodiment, in the said 1st Embodiment,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which detects the ground state of this bottom brush 2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tom brush 23. As shown in FIG.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검출 수단(55)은, 케이스체(48)의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56)에 가동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접지 검출 수단(55)은, 접지부로서의 차륜(57)과, 이 차륜(57)의 접지/비접지에 의해 온 오프가 전환되는 도시하지 않은 전환 스위치를 갖고 있으며, 차륜(57)이 지지 부재(59)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軸支)되고, 이 지지 부재(59)가 케이스체(48)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에 접촉(접지)시키면, 차륜(57)이 피청소면에 접촉함으로써 이 차륜(57)이 지지 부재(59)와 함께 회동하여 개구부(56)에 수납되고, 이 회동한 지지 부재(59)가 전환 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바닥 브러시(23)의 접지가 검출되고,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이격시키면(비접지 상태로 하면), 지지 부재(59)와 함께 차륜(57)이 개구부(56)로부터 돌출되어, 전환 스위치에 대하여 지지 부재(59)가 이격되고, 전환 스위치가 오프됨으로써 바닥 브러시(23)의 비접지가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is movable in the opening part 56 formed in the lower surface which opposes the surface to be cleaned of the case body 48.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has a wheel 57 as a ground portion and a switch not shown not switched on and off by grounding / ungrounding of the wheel 57, and the wheel 57 The support member 59 is pivotally rotatable, and the support member 59 is pivotally rotatable to the case body 48. Then, when the bottom brush 23 contacts (grounds)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wheel 57 contacts the surface to be cleaned so that the wheel 57 rotates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member 59 to be stored in the opening 56. When the pivoted support member 59 turns on the changeover switch, the ground of the bottom brush 23 is detected, and when the bottom brush 23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if it is not grounded), the support member 59 The wheel 57 protrudes from the opening 56, and the support member 59 is spaced apart from the changeover switch, and the non-grounding of the bottom brush 23 is detected by switching off the changeover switch.

또한, 접지 검출 수단(5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접지 검출 수단(55)의 전환 스위치의 온 오프를 통해, 제어 수단(37)이 바닥 브러시(23)의 접지/비접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지 검출 수단(55)과 제어 수단(37)은, 풍로 형성체(13)의 내부를 통과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연장관(22)으로부터 제거한 경우, 혹은 연장관(22) 및 바닥 브러시(23)를 손잡이 조작부(27)로부터 제거하고 다른 흡입구체, 예를 들어 가늘고 긴 노즐 등을 손잡이 조작부(27)에 대하여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지 검출 수단(55)과 제어 수단(37)과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됨으로써, 제어 수단(37)은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접지 검출 수단(55)은, 바닥 브러시(23)의 접지/비접지를 검출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3)를 사용하고 있는지, 바닥 브러시(23)를 제거하고 다른 흡입구체를 사용하고 있는지도 간접적으로 판단하는, 접속 검출 수단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이하, 제어 수단(37)이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검출하는 접지/비접지는, 바닥 브러시(23)의 접속/비접속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37, as shown in FIG. 10, and the control means 37 is switched on and off through the switching switch of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FIG. It is comprised so that the grounding / ungrounding of this floor brush 23 can be recognized. In addition,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and the control means 37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wiring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which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path formation body 13. Thus, for example, when the bottom brush 23 is removed from the extension pipe 22, or the extension pipe 22 and the bottom brush 23 are removed from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and another suction port, for example, an elongated nozzle or the like, is removed. Is connected to the handle operating section 27,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and the control means 37 is cut off, so that the control means 37 is not grounded by the bottom brush 23. It is configured to judge. That is,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indirectly detects whether the ground brush 23 is grounded or ungrounded, thereby indirectly using the bottom brush 23 or removing the bottom brush 23 and using another suction port. It has the function of the connection detection means to judge. For this reason, below, it is assumed that the grounding / ungrounding which the control means 37 detects by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also includes the connection / nonconnection of the floor brush 23. As shown in FIG.

이어서,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 12에 나타내는 매트릭스 및 도 13에 나타내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atrix shown in FIG. 12 and the flowchart shown in FIG. 13.

우선, 스텝 3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는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이 제어 수단(37)은,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First, in step 3, when the control means 37 determin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does not operate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stopped), the control means 37 includes a ground detection means ( 55,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bottom brush 23 is earthed (step 21).

그리고, 이 스텝 21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고,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3)(및 연장관(22))를 제거하고 예를 들어 가늘고 긴 노즐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접속하거나, 사용자가 손잡이 조작부(27)를 파지하고 있지 않고, 통상대로의 청소를 하고 있지 않은 상태,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를 구동시킨 채, 풍로 형성체(13)를 방치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1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1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1)으로 동작시킨다(스텝 22).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1 that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has a small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and the user has the bottom brush 23 (and the extension pipe 22). )) And other suction inlets such as elongated nozzles or the like, or the user does not grip the handle operation unit 27 and does not clean as usual, for example, an electric vacuum cleaner 11 (The electric blower 18 in which the air blower 18 is being driven and the air passage forming body 13 is left in a cleaned state or the like, and the control means 37 is set by the triac Tr1).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by the first electric blower input (power 1)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as the first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step 22).

또한, 스텝 21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기는 하나,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에 접지시켜서 벽 등 부분적으로 먼지가 저류되어 있는 장소의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2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2)으로 동작시킨다(스텝 23).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1 that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has a small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but the bottom brush 23 is plac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ssuming that it is grounded and cleaned in a place where dust is partially stored, such as a wall,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for the electric blower. Using the second value,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by the secon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2) (step 23).

또한, 스텝 3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지 않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21과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37)은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4).In addition, in step 3, when the control means 37 judg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not stopped), the control means 37 is performed similarly to step 21.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determines whether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step 24).

그리고, 이 스텝 24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기는 하나,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및 연장관(22))를 제거하고 가늘고 긴 노즐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접속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2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2)으로 동작시킨다(스텝 25).And when it is determined in this step 24 that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has a small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the bottom brush 23 (and It is assumed that the extension pipe 22 is removed, and the cleaning state is being cleaned by connecting another suction port such as an elongated nozzle and the like, and the control means 37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Us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as the secon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with the secon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2) (step 25).

또한, 스텝 24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기는 하나,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에 접지시켜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킨다(스텝 26).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4 that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cleans by grounding the bottom brush 23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lthough th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mall,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leaning state or the like is being performe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thir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and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by the thir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step 26).

한편, 스텝 6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21, 24과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37)은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7).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means 37 determines that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is not operating in step 6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is stopped), it is the control means 37 similarly to step 21, 24. )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ground brush 23 is grounded by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step 27).

그리고, 이 스텝 27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가구와 벽과의 간극 등이 좁은 장소에서,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제거하고 가늘고 긴 노즐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접속하여, 흡입 풍량에 의해 저류되어 있는 먼지를 흡입하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 흡입구체를 정지시켜서 청소하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킨다(스텝 28).And in this step 27, when it is judged that the floor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is a floor brush 23, for example in the place where the clearance gap between furniture and a wall is narrow, for example. ), Another suction inlet such as an elongated nozzle is connected, and dust stored in the suction air is sucked in, so that it is assumed to be a predetermined time, a cleaning state in which the suction inlet is stopped and cleaned.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3rd value for the said electric blower, and turns the electric blower 18 into the said 3r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It operates (step 28).

또한, 스텝 27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코너, 혹은 벽 등을 바닥 브러시(23)에 의해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4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킨다(스텝 29).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7 that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the cleaning state of cleaning the corners, walls, etc.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bottom brush 23. Assume that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fourth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and sets the electric blower 18 to the fourth value. It operates by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step 29).

또한, 스텝 6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다(손잡이 조작부(27)가 정지하지 않고 있다)고 제어 수단(37)이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21, 24, 27과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37)은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30).In addition, in step 6, when the control means 37 determines that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operating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is not stopped), it is the control means similarly to step 21, 24, 27. 37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ground brush 23 is grounded by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step 30).

그리고, 이 스텝 30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먼지량이 많은 선반 위 등 광범위한 피청소면에 대하여,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및 연장관(22))를 제거하고 가구 브러시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4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킨다(스텝 31).And in this step 30, when it is judged that the floor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is a floor brush 23, for example with respect to a wide range of to-be-cleaned surfaces, such as on the shelf with many dust amounts. ), And the extension means 22 is assumed to be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that is being cleaned using another suction port such as a furniture brush, and the control means 37 is an electric blower (set by Triac Tr1).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18) as the fourth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by the four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step 31).

또한, 스텝 30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많으며,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3)를 접지시켜서 통상대로 전후에 바닥 브러시(23)를 왕복 이동시켜서 청소를 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전동 송풍기용 제4 값보다도 큰 최대값인 소정의 전동 송풍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제4 전동 송풍기 입력보다도 큰 최대 입력인 소정의 제5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5)으로 동작시킨다(스텝 32).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30 that the floor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has a larg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and the user grounds the floor brush 23 to the front and rear as usual. Assuming that the bottom brush 23 is reciprocated and cleane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to the electric blower agent.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with the predetermined fif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5), which is the maximum input larger than the fourth electric blower input, as the fifth value for the predetermined electric blower that is the maximum value larger than the four value (step 5). 32).

이와 같이, 바닥 브러시(23), 혹은 가늘고 긴 노즐 등의 흡입구체의 접지 상태(접속 상태)를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검출하고, 제어 수단(37)이,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검출된 손잡이 조작부(27)의 동작 및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검출한 흡입구체의 접지 상태(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청소 상태를 상정하고, 그의 상정한 청소 상태에 대응해서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청소 상태를, 광센서(33)로부터의 정보와 동작 검출 수단(45)으로부터의 정보와 접지 검출 수단(55)으로부터의 정보와의 3가지 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고정밀도로 상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청소 상태에 의해 적합한 전력으로 청소할 수 있어, 한층 에너지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즉,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을 때(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바닥 브러시(23)를 접지하지 않고 있을 때(접속하지 않고 있을 때)보다도 전동 송풍기(18)의 입력(파워(흡입력))을 증가시키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파워가 필요해지는 바닥 브러시(23)를 사용해서 바닥면 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와, 바닥 브러시(23)와 비교해서 개구 면적이 좁고 전동 송풍기(18)의 파워가 작아도 되는, 가늘고 긴 노즐 등의 흡입구체를 사용하여 청소할 때를 제어 수단(37)이 식별할 수 있고,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의해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ground state (connected state) of the suction port such as the bottom brush 23 or the elongated nozzle is detected by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and the control means 37 uses the optical sensor 33. A cleaning state is assumed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and the ground state (connected state) of the suction port detected by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18 in response to the assumed cleaning state, the cleaning state of the user is determined by the information from the optical sensor 33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and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On the basis of the three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from the above, it is possible to assume a higher precision, and the cleaning state can be performed at a suitable electric power, thereby further saving energy.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when it is connected),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is less than when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when not connected). Since the power (suction input) is increased, the opening area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loor brush 23 and the electric blower, for example, when clean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the floor surface using the floor brush 23 requiring power. The control means 37 can discriminate | determine when cleaning using the inlet body, such as an elongate nozzle, whose power of (18) may be small, and can be set suitably by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에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회전 브러시(51) 및 전동기(5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지만, 전동기(52)(회전 브러시(51))는 전동 송풍기(18)와 독립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aid 1st Embodiment and 3rd Embodiment, although the bottom brush 23 may be provided with the rotation brush 51 and the electric motor 52 of the said 2nd Embodiment, the electric motor 52 is carried out. (Rotation brush 51) shall be controlled independently from the electric blower (18).

이어서, 제4 실시 형태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4th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16.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and effect | action similar to said eac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 제4 실시 형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접지 검출 수단(55)을 구비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4, this fourth embodiment includes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of the third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그리고, 도 15에 도시하는 매트릭스 및 도 16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스텝 21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으며,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떨어뜨린 상태에서 풍로 형성체(13)를 방치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1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1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1)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41).Referring to the matrix shown in FIG. 15 and the flowchart shown in FIG. 16,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1 that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for example, th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mall, It is assumed that the user leaves the air passage forming body 13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as dropped the bottom brush 23 against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control means 37 is an electric blower set by the triac Tr1.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18) as the first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first electric blower input (power 1), and setting by the triac Tr2.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is set to 0, and the electric motor 52, ie, the rotating brush 51, is stopped (step 41).

또한, 스텝 21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에 접지시켜서 먼지량이 적은 벽 등에 가압해서 정지한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2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2)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상기 제2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제2 회전수(회전수 2)로 회전시킨다(스텝 42).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1 that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grounds the bottom brush 23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and presses the wall or the like with a small amount of dust to stop the cleaning.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secon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and sets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second value. The motor 52 is operated as the second value for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input (power 2) and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as the second value for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by the electric motor input, the rotating brush 51 is rotated by the said 2nd rotation speed (rotation speed 2) (step 42).

마찬가지로, 스텝 24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기는 하나,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및 연장관(22))를 제거하고 가늘고 긴 노즐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2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2)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43).Similarly,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4 that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has a small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but the bottom brush 23 (and the extension pipe, for example). (22) is removed, and is assumed to be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that is being cleaned using another suction port such as an elongated nozzle, and the control means 37 inputs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Of the electric motor 52 which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said 2n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2), and sets it with the triac Tr2, making the phase angle of the electric blower into the 2nd value for the said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motor 52, that is, the rotary brush 51, is stopped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to zero (step 43).

또한, 스텝 24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적기는 하나,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에 접지시켜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상기 제3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제3 회전수(회전수 3)로 회전시킨다(스텝 44).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4 that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cleans by grounding the bottom brush 23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lthough th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mall,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leaning state or the like is being performe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thir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and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as the thir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and the motor 52 is set as the third value for the electric motor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By operating with the third electric motor input,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at the third rotational speed (rotational speed 3) (step 44).

또한, 스텝 27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가구와 벽과의 간극 등이 좁은 장소에서,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제거하고 가늘고 긴 노즐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접속하여, 흡입 풍량에 의해 저류되어 있는 먼지를 흡입하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 흡입구체를 정지시켜서 청소하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45).In addition, in step 27, when it is judged that the floor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in the place where the clearance gap between furniture and a wall is narrow, for example, the floor brush 23 And other suction inlets such as elongated nozzles are connected to suck in the dust stored by the suction air volume, so that the control unit 37 assumes a predetermined time, a cleaning state in which the inlet is stopped and cleaned. )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thir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thir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In addition,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made into 0, and the electric motor 52, ie, the rotating brush 51, is stopped (step 45).

또한, 스텝 27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코너, 혹은 벽 등을 바닥 브러시(23)에 의해 청소하려고 하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4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상기 제4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제4 회전수(회전수 4)로 회전시킨다(스텝 46).In addition, in step 27, when it is judged that the floor brush 23 is earth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the cleaning state which tries to clean the corner of a surface to be cleaned, a wall, etc. with the floor brush 23, for example. Assume that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fourth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and sets the electric blower 18 to the fourth value. The motor 52 is operated by the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and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as the fourth value for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with the input,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at the fourth rotational speed (rotational speed 4) (step 46).

그리고, 스텝 30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먼지량이 많은 선반 위 등 광범위한 피청소면에 대하여,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및 연장관(22))를 제거하고 가구 브러시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4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47).And in step 30, when it is judged that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with respect to a wide range of to-be-cleaned surfaces, such as on the shelf with a lot of dust, for example, the bottom brush 23 (And extension pipe 22) Assuming that the cleaning state is being cleaned using another suction port such as a furniture brush or the like,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The electric motor 52 which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said 4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as a 4th value for the said electric blowers, and sets it by the triac Tr2. ), The electric motor 52, that is, the rotary brush 51, is stopped (step 47).

또한, 스텝 30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많으며,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3)를 접지시켜서 통상대로 전후에 바닥 브러시(23)를 왕복 이동시켜서 청소를 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5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5)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전동기용 제4 값보다도 큰 최대값인 소정의 전동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제4 전동기 입력보다도 큰 최대 입력인 소정의 제5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제4 회전수보다도 큰 최대 회전수인 소정의 제5 회전수(회전수 5)로 회전시킨다(스텝 48).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30 that the floor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has a larg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and the user grounds the floor brush 23 to the front and rear as usual. Assuming that the bottom brush 23 is reciprocated and cleane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for the electric blower. By setting the fifth value,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with the fif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5), and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fourth by operating the motor 52 as a predetermined fifth motor input which is the maximum input larger than the fourth motor input, using the fifth value for the predetermined motor that is the maximum value larger than the fourth value. Number of revolutions greater than To define a fifth rotational rotated by (revolutions 5) (step 48).

이와 같이, 바닥 브러시(23), 혹은 가늘고 긴 노즐 등의 흡입구체의 접지 상태(접속 상태)를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검출하고, 제어 수단(37)이,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검출된 손잡이 조작부(27)의 동작 및 접지 검출 수단(55)에 의해 검출한 흡입구체의 접지 상태(접속 상태)에 대응해서 전동 송풍기(18) 및 전동기(52)(회전 브러시(51))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청소 상태를, 보다 고정밀도로 상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청소 상태에 의해 적합한 전력으로 청소할 수 있어, 한층 에너지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즉,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을 때(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바닥 브러시(23)를 접지하지 않고 있을 때(접속하지 않고 있을 때)보다도 전동 송풍기(18)의 입력(파워)을 증가시키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파워가 필요해지는 바닥 브러시(23)를 사용해서 바닥면 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와, 바닥 브러시(23)와 비교해서 파워가 작을 수 있는, 가늘고 긴 노즐 등의 흡입구체를 사용한 청소시를 제어 수단(37)이 식별할 수 있어,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의해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접지 검출 수단(55)이 바닥 브러시(23)의 비접지(비접속)를 검출했을 때에는, 전동기(52)(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키므로,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억제하여, 보다 한층 에너지 절약화가 가능해진다.In this way, the ground state (connected state) of the suction port such as the bottom brush 23 or the elongated nozzle is detected by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and the control means 37 uses the optical sensor 33. The electric blower 18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and the ground state (connected state) of the suction port detected by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By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electric motor 52 (rotation brush 51), it is possible to assume a user's cleaning state with high precision, and it can clean with a suitable electric power by the cleaning state, and further energy saving is attained.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when it is connected),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is less than when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when not connected). Power, so that, for example, when clean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the floor surface using the floor brush 23, which requires power, the elongated nozzle may have a smaller power compared to the floor brush 23. The control means 37 can identify the cleaning time using the suction inlet body, etc., and it can set suitably by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In addition, when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detects ungrounding (no connection) of the floor brush 23, the electric motor 52 (rotary brush 51) is stopped, thereby suppress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further. Energy saving can be achieved.

이어서, 제5 실시 형태를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and effect | action similar to said eac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 제5 실시 형태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지만, 제어 수단(37)에 의한 제어가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상이한 것이다. This fifth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but the control by the control means 37 is different from the fourth embodiment.

구체적으로, 이 제5 실시 형태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45 내지 스텝 48의 각 제어 대신에, 이하의 스텝 51 내지 스텝 54의 각 제어를 행한다.Specifically, in the fifth embodiment, the control of the following steps 51 to 54 is performed instead of the control of the steps 45 to 48 of the fourth embodiment.

즉, 도 17에 나타내는 매트릭스 및 도 18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스텝 27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가구와 벽과의 간극 등이 좁은 장소에서,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제거하고 가늘고 긴 노즐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접속하여, 흡입 풍량에 의해 저류되어 있는 먼지를 흡입하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 흡입구체를 정지시켜서 청소하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5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51).That is, with reference to the matrix shown in FIG. 17 and the flowchart shown in FIG. 18,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7 that the floor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is a furniture and a wall, for example. In a place with a narrow gap, for example, the bottom brush 23 is removed, and another suction port such as an elongated nozzle is connected to suck in the dust stored by the suction air volume. Assuming that the sphere is stopped and cleane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fifth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The blower 18 is operated by the fif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and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to 0, thereby rotating the motor 52, that is, rotating. Still life brush (51) Thereby (step 51).

또한, 스텝 27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먼지량이 많은 피청소면의 코너, 혹은 벽 등의 위치에 대하여, 바닥 브러시(23)를 접지시켜서 집중적으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5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5)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상기 제5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제5 회전수(회전수 5)로 회전시킨다(스텝 52).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7 that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the bottom brush 23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corner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or the wall with a large amount of dust. Is assumed to be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which is intensively cleaned by grounding, an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fifth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as the fif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5), and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as the fifth value for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the electric motor 52 at the fifth electric motor input,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at the fifth rotation speed (rotation speed 5) (step 52).

또한, 스텝 30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먼지량이 많은 선반 위 등 광범위한 피청소면에 대하여,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및 연장관(22))를 제거하고 가구 브러시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53).In addition, when it is judged in step 30 that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with respect to a wide range of to-be-cleaned surfaces, such as on the shelf with a lot of dust, for example, the floor brush 23 (And extension pipe 22) Assuming that the cleaning state is being cleaned using another suction port such as a furniture brush or the like,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The electric motor 52 which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said 3r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sets it as the 3rd value for the said electric blowers, and sets it by the triac Tr2. ), The electric motor 52, that is, the rotary brush 51, is stopped (step 53).

그리고, 스텝 30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많으며,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3)를 접지시켜서 통상대로 전후에 바닥 브러시(23)를 왕복 이동시켜서 청소를 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4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상기 제4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제4 회전수(회전수 4)로 회전시킨다(스텝 54).Then, in step 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has a larg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and the user grounds the bottom brush 23 to back and forth as usual. Assuming that the bottom brush 23 is reciprocated and cleane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for the electric blower. By setting the fourth value,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with the four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and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for the electric motor. By setting the fourth value to operate the electric motor 52 with the fourth electric motor input,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at the fourth rotational speed (rotational speed 4) (step 54).

이와 같이,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소정량 이상이며,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청소면의 코너, 혹은 벽 등의 위치에 대하여, 바닥 브러시(23), 혹은 가늘고 긴 노즐 등의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집중적으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라고 제어 수단(37)이 상정하고, 이 제어 수단(37)이, 적어도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상대적으로 증가, 구체적으로는 전기 청소기(11)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입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청소 상태에 대응해서 효과적으로 먼지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Thus, whe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33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d it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that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is not operating, for example, a user will be cleaned. The control means 37 assumes that the cleaning state is intensively cleaned by using the suction port such as the bottom brush 23 or the elongated nozzl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corner, the wall, or the like, and the control means 37 At least by increasing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to a maximum input tha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acuum cleaner 11 or the like, so as to effectively clean dust in response to the cleaning state of the user. It becomes possible, and usability improves.

또한,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소정량 이상이며,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고 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접지 검출 수단(55)이 바닥 브러시(23)의 접지를 검출하고 있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청소면의 코너, 혹은 벽 등의 위치에 대하여,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에 접지시켜서 집중적으로 청소를 하고 있는 청소 상태라고 제어 수단(37)이 상정하고, 이 제어 수단(37)이, 전동 송풍기(18)와 함께 전동기(52)의 입력도 상대적으로 증가, 구체적으로는 전기 청소기(11)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의 입력으로 각각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청소 상태에 대응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먼지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In additi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photosensor 33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motion detecting means 45 detects that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not operating, and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When the grounding of the floor brush 23 is detected, for example, the cleaning is performed by intensively cleaning the ground brush 23 by grounding the floor brush 23 with respect to the corner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or the wall. The control means 37 assumes a state, and this control means 37 advances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with the electric blower 18 relatively,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vacuum cleaner 11, etc. in advance. By driving with the maximum input set, respectively, dust can be cleaned more eff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state of a user, and usability is further improved.

즉, 동작 검출 수단(45)만을 구비할 경우에는,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지 않고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에 제어 수단(37)이 입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센서(33) 및 동작 검출 수단(45)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사용자가 피청소면의 코너, 혹은 벽 등의 위치에 대하여, 바닥 브러시(23), 혹은 가늘고 긴 노즐 등의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집중적으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일 때에도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18) 및/또는 전동기(52)(회전 브러시(51))를, 청소 상태에 의해 적합한 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광센서(33) 및 동작 검출 수단(45)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청소 상태를 상보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That is, when onl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is provide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ontrol means 37 may reduce an input when it detects that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is not operating, but in this embodiment, an optical sensor ( 33) and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the user can concentrate on the position of the corner or wall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using the suction port such as the floor brush 23 or the elongated nozzle. Even when the cleaning state is being cleaned, it can cope. Therefore, the electric blower 18 and / or the electric motor 52 (rotation brush 51) can be driven by a suitable electric power by a cleaning state, and can reliably clean. In other words, by providing both the optical sensor 33 and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the cleaning state can be detected complementarily and can be cleaned effectively.

이어서, 제6 실시 형태를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and effect | action similar to said eac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 제6 실시 형태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지만, 제어 수단(37)에 의한 제어가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상이한 것이다.This sixth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but the control by the control means 37 is different from the fourth embodiment.

구체적으로, 이 제6 실시 형태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43 내지 스텝 48의 각 제어 대신에, 이하의 스텝 61 내지 스텝 66의 제어를 행한다.Specifically, in the sixth embodiment, the control of the following steps 61 to 66 is performed instead of the control of the steps 43 to 48 of the fourth embodiment.

즉, 도 19에 나타내는 매트릭스 및 도 20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스텝 24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예를 들어 샤시 등의 피청소면의 안쪽에 달라붙은 먼지를,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제거하고 가늘고 긴 노즐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접속해서 청소할 때 등, 먼지량은 비교적 적지만 강한 파워를 필요로 하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5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61).That is, with reference to the matrix shown in FIG. 19 and the flowchart shown in FIG. 20,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4 that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it adheres to the inside of the to-be-cleaned surface, such as a chassis,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dust is a cleaning state requir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dust but having a strong power, for example, when the bottom brush 23 is removed and other inlet bodies such as a thin nozzle are connected and cleaned.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5th value for the said electric blower, and turns the electric blower 18 into the 5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While opera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to 0, and the electric motor 52, that is, the rotating brush 51, is stopped (step 61).

또한, 스텝 24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융단 등의 피청소면에 달라붙은 실뭉치 등의 먼지를, 바닥 브러시(23)를 조금씩 이동시켜서 청소하려고 하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5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5)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기용 제5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상기 제5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제5 회전수(회전수 5)로 회전시킨다(스텝 62).In addition, in step 24, when it is judged that the bottom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removes dust, such as a bundle of yarn stuck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a carpet, for example. Assuming that it is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that is to be moved little by little,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fifth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The blower 18 is operated as the fif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5), and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as the fifth value for the electric motor. By operating the 52 as the fifth electric motor input,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at the fifth rotational speed (rotational speed 5) (step 62).

또한, 스텝 27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가구와 벽과의 간극 등이 좁은 장소에서,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제거하고 가늘고 긴 노즐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접속하여, 흡입 풍량에 의해 저류되어 있는 먼지를 흡입하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 흡입구체를 정지시켜서 청소하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2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2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2)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63).In addition, in step 27, when it is judged that the floor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in the place where the clearance gap between furniture and a wall is narrow, for example, the floor brush 23 And other suction inlets such as elongated nozzles are connected to suck in the dust stored by the suction air volume, so that the control unit 37 assumes a predetermined time, a cleaning state in which the inlet is stopped and cleaned. )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secon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2)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secon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In addition,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to 0, and the electric motor 52, ie, the rotating brush 51, is stopped (step 63).

또한, 스텝 27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코너, 혹은 벽 등을 바닥 브러시(23)에 의해 청소하려고 하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상기 제3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제3 회전수(회전수 3)로 회전시킨다(스텝 64).In addition, in step 27, when it is judged that the floor brush 23 is earth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the cleaning state which tries to clean the corner of a surface to be cleaned, a wall, etc. with the floor brush 23,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as the third value for the electric blower, and sets the electric blower 18 to the third value. The motor 52 is operated by the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as the third value for the electric motor, and the electric motor 52 is the third electric motor. By operating by input,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by the said 3rd rotation speed (rotation speed 3) (step 64).

또한, 스텝 30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먼지량이 많은 선반 위 등 광범위한 피청소면에 대하여,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및 연장관(22))를 제거하고 가구 브러시 등의 다른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l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3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3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3)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0으로 하여, 전동기(52) 즉 회전 브러시(51)를 정지시킨다(스텝 65).In addition, when it is judged in step 30 that the bottom brush 23 is not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for example, with respect to a wide range of to-be-cleaned surfaces, such as on the shelf with a lot of dust, for example, the floor brush 23 (And extension pipe 22) is assumed to be a cleaning state or the like that is being cleaned using another suction port such as a furniture brush, and the control means 37 inputs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riac Trl. Of the electric motor 52 which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18 as the said 3rd electric blower input (power 3), and sets it by the triac Tr2, making the phase angle of the electric blower the 3rd value for the said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motor 52, that is, the rotary brush 51, is stopped by setting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to zero (step 65).

또한, 스텝 30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수단(37)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먼지량이 많으며,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3)를 접지시켜서 통상대로 전후에 바닥 브러시(23)를 왕복 이동시켜서 청소를 하고 있는 청소 상태 등이라 상정하고, 제어 수단(37)은 트라이액(Tr1)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 송풍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상기 제4 전동 송풍기 입력(파워 4)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트라이액(Tr2)에 의해 설정하는 전동기(52)의 입력의 위상각을 상기 전동기용 제4 값으로 하여, 전동기(52)를 상기 제4 전동기 입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제4 회전수(회전수 4)로 회전시킨다(스텝 66).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30 that the floor brush 23 is grounded, the control means 37 has a large amount of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and the user grounds the floor brush 23 to the front and rear as usual. Assuming that the bottom brush 23 is reciprocated and cleaned, the control means 37 sets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set by the triac Tr1 for the electric blower. By setting the fourth value, the electric blower 18 is operated with the fourth electric blower input (power 4), and the phase angle of the input of the electric motor 52 set by the triac Tr2 is set for the electric motor. By setting the fourth value to operate the electric motor 52 with the fourth electric motor input, the rotary brush 51 is rotated at the fourth rotational speed (rotational speed 4) (step 66).

이와 같이, 제어 수단(37)이,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소정량 이하이며,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융단 등의 피청소면에 달라붙어서 떼어내기 어려운 실뭉치 등의 먼지를, 바닥 브러시(23), 혹은 가늘고 긴 노즐 등의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라고 제어 수단(37)이 상정하고, 이 제어 수단(37)이, 적어도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상대적으로 증가, 구체적으로는 전기 청소기(11)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입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청소 상태에 대응해서 효과적으로 먼지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Thus, in the case where the control means 37 detects that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33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handle operation unit 27 is operated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it is yes. For example, the control means 37 is a cleaning state in which dust such as a bundle of threads that the user sticks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a rug and is hard to be peeled off is cleaned using the bottom brush 23 or a suction port such as an elongated nozzle. Assuming that this control means 37 drives at least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relatively, for example, it drives by the maximum input pre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vacuum cleaner 11, etc. Corresponding to the state, dust can be cleaned effectively, and the ease of use is improved.

또한,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소정량 이하이며,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손잡이 조작부(27)가 동작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접지 검출 수단(55)이 바닥 브러시(23)의 접지를 검출하고 있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융단 등의 피청소면에 달라붙어서 떼어내기 어려운 실뭉치 등의 먼지를, 바닥 브러시(23)를 사용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라고 제어 수단(37)이 상정하고, 이 제어 수단(37)이, 전동 송풍기(18)와 함께 전동기(52)의 입력도 상대적으로 증가, 구체적으로는 전기 청소기(11)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입력으로 각각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청소 상태에 대응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먼지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photosensor 33 is not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motion detecting means 45 detects that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is operating, and the ground detecting means 55 is bottomed out. When the grounding of the brush 23 is detected, for example, the cleaning state in which the user is cleaning the dust such as a bundle of yarns that the user sticks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a rug and is hard to remove, is used by the floor brush 23. The control means 37 are assumed, and the control means 37 is set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electric cleaner 11 and the like. By driving each of the maximum inputs, the dust can be cleaned more effectively in response to the cleaning state of the user, and the usability is further improved.

즉, 광센서(33)만을 구비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실뭉치 등이 달라붙어 있는 융단 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 초기에 분진이 흡입됨으로써 먼지량이 소정량 이상이라 판단되지만, 실뭉치만이 피청소면에 남으면 먼지량은 소정량 이하로 오판단해서 제어 수단(37)이 입력을 저하시켜버릴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센서(33) 및 동작 검출 수단(45)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사용자가 융단 등의 피청소면에 달라붙어서 떼어내기 어려운 실뭉치 등의 먼지를, 바닥 브러시(23), 혹은 가늘고 긴 노즐 등의 흡입구체를 사용해서 청소하고 있는 청소 상태일 때에도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18) 및/또는 전동기(52)(회전 브러시(51))를, 청소 상태에 의해 적합한 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광센서(33) 및 동작 검출 수단(45)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청소 상태를 상보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That is, when only the optical sensor 33 is provided, when cleaning the to-be-cleaned surface, such as a carpet in which a thread bundle etc. adhere, for example, it is judged that dust amount is more than predetermined amount by suction of dust initially, but only a thread bundle is carried out. If it remain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amount of dust may be incorrectly judg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control means 37 may lower the input. The above-mentioned user can cope even when the cleaning state is cleaning the dust such as the thread sticking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a carpet by using a bottom brush 23 or an inlet such as an elongated nozzle. have. Therefore, the electric blower 18 and / or the electric motor 52 (rotation brush 51) can be driven by a suitable electric power by a cleaning state, and can reliably clean. In other words, by providing both the optical sensor 33 and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the cleaning state can be detected complementarily and can be cleaned effectively.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스텝 51의 제어 및 제6 실시 형태의 스텝 61의 제어는, 각각 접지 검출 수단(55), 혹은 바닥 브러시(23)를 갖지 않은 구성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스텝(7), 혹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스텝 13 대신에,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스텝 51의 제어를 해도 좋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5, 혹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스텝 12 대신에, 상기 제6 실시 형태의 스텝 61의 제어를 하여, 적어도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제어와 제6 실시 형태의 제어를 조합해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of step 51 of the said 5th embodiment and the control of step 61 of a 6th embodiment are applicable also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have the ground detection means 55 or the floor brush 23, respectively. That is, instead of step 7 of the first embodiment or step 13 of the second embodiment, step 51 of the fifth embodiment may be controlled, or step 5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above-mentioned. Instead of step 12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trol of step 61 of the sixth embodiment may be performed to increase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18 at least. Moreover, you may combine the control of the said 5th embodiment, and the control of a 6th embodiment.

그리고, 이상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37)이, 광센서(33)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및 동작 검출 수단(45)에 의해 검출된 손잡이 조작부(27)의 동작에 기초하여 적어도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광센서(33)로부터의 정보와 동작 검출 수단(45)으로부터의 정보와의 2가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소 상태를 고정밀도로 상정할 수 있고, 청소 상태에 적합한 전력으로 청소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가 가능해진다.And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ans 37 is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33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45.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18 at least, it is possible to assume the user's cleaning state with high accuracy based on at least two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light sensor 33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motion detecting means 45. It can clean with the electric power suitable for the cleaning state, and energy saving is attained.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손잡이 조작부(27)는, 풍로 형성체(13)를 파지 조작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하부에 바닥 브러시(23)를 접속한, 소위 업라이트형 전기 청소기 등의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2)를 파지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handle operation part 27 was supposed to hold and operate the air path formation body 13, what is called what connected the bottom brush 23 to the lower part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2,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or the lik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2 may be configured to be gripped.

또한, 각 전동 송풍기 입력 및 각 전동기 입력에 대해서는, 각 실시 형태에서 공통인 입력을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서로의 대소 관계를 유지하면, 실시 형태마다 다른 입력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each electric blower input and each electric motor input were demonstrated using the input common in each embodiment, if it maintains the magnitud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may be different input for every embodiment.

그리고,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신규한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여,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의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될 뿐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의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And although som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se embodiment is shown as an example and is not intending limiting the range of invention. These novel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are not only included 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but also included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 전기 청소기
12: 청소기 본체
18: 전동 송풍기
23: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
27: 손잡이 조작부
33: 먼지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광센서
37: 제어 수단
45: 동작 검출 수단
51: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
52: 전동기
55: 접지 검출 수단
W: 풍로
11: electric cleaner
12: cleaner body
18: electric blower
23: Floor brush as inlet
27: handle control panel
33: Optical sensor as dust amount detecting means
37: control means
45: motion detection means
51: rotary brush as a rotary cleaning body
52: electric motor
55: ground detection means
W: cooker

Claims (6)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와,
상기 풍로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 수단과,
파지 조작되는 손잡이 조작부와,
상기 손잡이 조작부의 동작을 검지하는 동작 검출 수단과,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및 상기 동작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손잡이 조작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s an electric cleaner,
The vacuum cleaner body which accommodated an electric blower,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Dust amou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amount of dust passing through the air path;
A grip operation part that is gripped,
Mo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전동기 및 상기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 청소체를 구비하고, 상기 풍로의 일부를 구성 가능한 흡입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및 상기 동작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손잡이 조작부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uction inlet body including a motor and a rotary cleaning body which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motor, and which can constitute a part of the air path.
And said control means controls driving of said electric blower and said electric motor respectively based on an amount of dust detected by said amount of dust detecting means and an operation of said handle operating portion detected by said motion detec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로의 일부를 구성 가능한 흡입구체와,
상기 흡입구체의 접지 상태를 검출하는 접지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상기 동작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손잡이 조작부의 동작 및 상기 접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흡입구체의 접지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 suction inlet constituting a part of the air passage,
A groun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ground state of the suction inlet;
Th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electric blower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means, and the ground state of the suction port detected by the ground detecting means. An electric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driv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의 접지 상태를 검출하는 접지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 상기 동작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손잡이 조작부의 동작 및 상기 접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흡입구체의 접지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A groun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ground state of the suction inlet;
The control means includes the electric blower and the electric motor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means, and the ground state of the suction port detected by the ground detecting means. The electric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소정량 이상이며, 또한 상기 동작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손잡이 조작부가 동작하지 않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전동 송풍기의 입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eans relatively increases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at least whe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operation detecting means detects that the knob operating portion is not operating. Electric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소정량 이하이며, 또한 상기 동작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손잡이 조작부가 동작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전동 송풍기의 입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relatively increase the input of the electric blower at least when detecting that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is operated by the motion detecting means. Electric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10111485A 2010-10-29 2011-10-28 Electric cleaner KR1014110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3615 2010-10-29
JP2010243615A JP5916990B2 (en) 2010-10-29 2010-10-29 Electric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066A true KR20120046066A (en) 2012-05-09
KR101411028B1 KR101411028B1 (en) 2014-06-30

Family

ID=4606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485A KR101411028B1 (en) 2010-10-29 2011-10-28 Electric clea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16990B2 (en)
KR (1) KR101411028B1 (en)
CN (1) CN102462452B (en)
RU (1) RU2486858C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8300B2 (en) * 2015-02-27 2020-01-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CN108814424B (en) * 2018-08-06 2020-06-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dust removal device and dust collector
JP7226965B2 (en) * 2018-10-26 2023-02-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vacuum cleaner
JP7246954B2 (en) * 2019-02-12 2023-03-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vacuum cleaner
GB2596862B (en) * 2020-07-10 2023-06-07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126A (en) * 1982-11-20 1984-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Electric cleaner
JPH02307420A (en) * 1989-05-23 1990-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power-controller for electric vacuum cleaner
JP2969729B2 (en) * 1990-02-15 1999-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JP2778252B2 (en) * 1990-12-17 1998-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Vacuum cleaner
JP3049878B2 (en) * 1991-10-24 2000-06-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JP2562752Y2 (en) * 1991-12-16 1998-02-16 株式会社テック Dust collector
JPH05329083A (en) * 1992-06-03 1993-12-14 Tok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JP2874473B2 (en) * 1992-09-10 1999-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ctric vacuum cleaner
JP3303450B2 (en) * 1993-08-11 2002-07-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JPH07213468A (en) * 1994-01-31 1995-08-15 Hitachi Ltd Control circuit for vacuum cleaner
JPH07327893A (en) * 1994-06-06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rol circuit of vacuum cleaner
JPH11313789A (en) * 1998-05-06 1999-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roller for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0300488A (en) 1999-04-23 2000-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3553424B2 (en) * 1999-06-22 2004-08-11 日本碍子株式会社 Ceramic honeycomb structure, ceramic honeycomb catalyst carrier, and ceramic honeycomb catalytic converter using the same
JP2001008871A (en) * 1999-06-30 2001-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2007143818A (en) * 2005-11-28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5071329B2 (en) * 2008-09-29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0094400A (en) * 2008-10-20 2010-04-30 Panasonic Corp Vacuum cleaner
JP2010194208A (en) * 2009-02-27 2010-09-09 Panasonic Corp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86858C1 (en) 2013-07-10
KR101411028B1 (en) 2014-06-30
RU2011143900A (en) 2013-05-10
JP5916990B2 (en) 2016-05-11
CN102462452A (en) 2012-05-23
CN102462452B (en) 2014-12-31
JP2012095700A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091B1 (en) A power-controlle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ic brush
CN106343921B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20050063547A (en) Robot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20046066A (en) Electric cleaner
JP5620127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WO2012133571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4236780A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535075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9033814A (en) Vacuum cleaner
JP2011183100A (en) Vacuum cleaner
JP2012055462A (en) Vacuum cleaner
JP562013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00001763A (en) Robot cleaner and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57533B1 (en) Suction nozzle,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uction nozz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vacuum cleaner
JP5722170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932074B1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4709690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1172746A (en) Vacuum cleaner
JP2014161542A (en) Vacuum cleaner
JP625814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20032440A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220121490A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7160128A (en) Cleaning device
JP2008110167A (en) Vacuum cleaner
JP2014171667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