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253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253A
KR20120043253A KR1020100104453A KR20100104453A KR20120043253A KR 20120043253 A KR20120043253 A KR 20120043253A KR 1020100104453 A KR1020100104453 A KR 1020100104453A KR 20100104453 A KR20100104453 A KR 20100104453A KR 20120043253 A KR20120043253 A KR 2012004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urchase
product
shoppi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해준
고정환
Original Assignee
인크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크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크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3253A/en
Publication of KR2012004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2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method are provided to promote the purchase of a user by uploading desired articles and new products according to purchase trends. CONSTITUTION: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100) manages and registers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hopping mall provider(700). A database(200) stores the registered product information. A product list providing unit(300) receives the selected product information of a user by transmi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list to a user searching apparatus(800). A purchase trend analysis unit(400) analyzes the purchase trends of the user.

Description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쇼핑 편의 제공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본 발명은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쇼핑 편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쉬운 입력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관심 품목에 대한 빠른 정보 전송 및 식료품 또는 생필품의 구매 시기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쇼핑의 편의를 향상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쇼핑 편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sy input function, analyzes a user's purchase trend, and provides fast information on a user's item of interest and purchases of groceries or daily necessiti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method for transmitting time to improve convenience of shopping by a user.

최근 들어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 쇼핑몰로 불리는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현재 이와 같은 전자 상거래 서비스는 편리성과 함께 과금 및 배송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상품 유통의 한 축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electronic commerce called an internet shopping mall has been activated, and such electronic commerce service has become a major part of the product distribution by securing reliability for billing and delivery as well as convenience. .

이러한 쇼핑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특정의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품 정보와 가격 정보를 취득한 후 구매를 결정하여야 했다. In order to purchase a product, the electronic commerce using the shopping mall had to determine a purchase after accessing a specific shopping mall, acquiring product information and price information.

또한, 최근에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스템이 대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모바일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전자거래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a system us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device as well as a computer is popularized, electronic transactions through an application of a mobile device are also actively performed.

하지만, 모바일 통신은 검색식의 입력 및 화면 검색이 어렵기 때문에 검색 절차가 복잡한 경우 또는 여러 품목을 검색하거나 관련 상품을 반복해서 검색하기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is difficult to search and input search scree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arch procedure is complicated, or it is troublesome to search several items or to repeatedly search for related products.

또한, 유행에 민감한 사람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브랜드 또는 스타일에 맞는 옷, 전자제품 등의 신상품 유무를 위하여 자주 쇼핑몰에 접속하여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people who are sensitive to fashion have a hassle to frequently check the shopping malls for the presence of new products, such as clothes or electronics, that fit the brand or style according to their taste.

이와 같이, 번거로운 검색절차를 반복하는 경우 구매자의 상품 구매 의욕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쇼핑몰의 매출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cumbersome search procedure is repe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yer's desire to purchase a product is reduced,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sales of the shopping mal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손쉬운 입력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관심 품목에 대한 빠른 정보 전송 및 식료품 또는 생필품의 구매 시기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쇼핑의 편의를 향상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쇼핑 편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rovides an easy input function, analyzes the user's purchase trends to quickly send information on the user's items of interest and the time of purchase of food or daily necessities to the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method for improving convenience of shopp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쇼핑몰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상품 정보 관리부; 상품 정보 관리부에서 등록되는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의 검색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품 정보 목록을 사용자의 검색장치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선택 상품 정보를 전송받는 상품 목록 제공부; 사용자의 구매 내역 또는 관심 품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는 구매 동향 분석부; 및 구매 상품에 대한 과금을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과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hopping mall provider; A database storing product information registered in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 product list providing unit which transmits a product information list to a user's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s search apparatus and receives the selected product information of the user; A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for storing a purchase history or items of interest in a database and analyzing a purchase trend of the user; And a billing processing unit for charging a user for billing of the purchased goods.

이때, 상품 목록 제공부는 상품 정보의 품목별 분류로 제공되는 표준 카테고리, 초성 검색 정보, 검색 상품의 관련 상품 카테고리 및 할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provides the user with at least one of a standard category, initial search information, a related product category of a search product, and discount information provided as an item-by-item classification of product information.

또한, 구매 동향 분석부는, 사용자의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 및 사용자의 비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the user's periodic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And an aperiodic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of the user.

또한, 사용자의 가족 또는 단체원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그룹의 상품 구입 또는 취소 내역을 관리하는 쇼핑 그룹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hopping group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product purchase or cancellation history of the user group consisting of the user's family or group members; further includes.

또한, 쇼핑 그룹 관리부는 사용자의 초대 또는 소정의 인증 방법을 통해 사용자 그룹을 선정한다.In addition, the shopping group manager selects a user group through an invitation of a user or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method.

또한, 쇼핑 그룹 관리부는 사용자 그룹의 구매 현황 정보를 사용자 그룹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hopping group management unit transmits the purchas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group to the user group in real time.

또한,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 또는 모바일 웹을 이용하여 통신한다.In addition, the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communicates using the Internet or mobile web.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정보 관리부가 쇼핑몰 제공자로부터 상품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품 목록 제공부가 사용자 검색장치의 검색에 따른 상품 목록을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품 목록 제공부가 사용자의 구매 상품 또는 관심 품목을 전송받는 제 3 단계; 과금 처리부가 사용자의 구매 상품에 대한 과금을 청구하는 제 4 단계; 및 구매 동향 분석부가 사용자의 구매 상품 또는 관심 품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s another catego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step of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shopping mall provider and stores in the database; A second step of providing, by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a product list according to a search of the user search apparatus; A third step of receiving, by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a user's purchased goods or items of interest; A fourth step in which the billing processing unit bills the user for the purchased goods; And a fifth step of the purchase trend analyzing unit storing the user's purchased product or the item of interest in a database and analyzing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이때, 구매 동향 분석부가 분석한 사용자의 구매 동향에 기초하여 관심 품목 관련 상품 업로드 정보 또는 식료품, 생필품 구매 시기 정보를 사용자 검색장치로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a sixth step of transmitting, to the user search apparatus, information uploading the goods related to the item of interest or purchasing time of the foodstuffs and daily necessities based on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analyzed by the purchase trend analyzing unit.

또한, 제 1 단계와 제 2 단계 사이에 쇼핑 그룹 관리부가 사용자의 가족 또는 단체원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그룹을 등록하는 제 1-5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the shopping group manager further includes steps 1-5 to register a user group composed of the user's family or group members.

또한, 쇼핑 그룹 관리부가 사용자 그룹의 구매 내용, 관심 목록 또는 사용자의 구매 동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각각의 사용자 그룹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shopping group manager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purchase contents, the interest list, and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group to each user group in real time.

또한, 제 6 단계 또는 제 7 단계는 사용자 이메일 또는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In addition, the sixth or seventh step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using a user email or text ser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장소에 제약 없이 쇼핑 및 물품 구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shopping and purchase of goods can be made without restriction in place by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as well as a computer.

또한, 검색어 입력 등이 불편한 스마트폰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초성 검색, 관련 상품 카테고리 또는 할인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쇼핑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요리 검색시 레시피 및 요리 재료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각각의 재료 구입을 위해 검색어를 변경하여 반복 검색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smart phone, which is inconvenient for inputting a search word, an initial search, a related product category, or discou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ereby improving shopping convenienc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recipe and cooking ingredients are automatically input during cooking search, thereby eliminating the hassle of repeatedly searching by changing the search word for each ingredient purchase.

또한,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여 관심 품목의 신상품 업로드 또는 구매 동향에 따른 식재료 또는 생필품 구매 시기 등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구매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by transmitting a new product of the item of interest or purchase of food or daily necessities according to the purchase tre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mote the user's purchase.

또한, 가족, 친구 또는 회사원 등의 그룹을 설정하여 그룹원들의 관심 품목 또는 구입 물품 등을 체크함으로써 그룹원의 무분별한 쇼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setting up a group of family members, friends or office workers, etc.,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ndiscriminate shopping of the group members by checking items of interest or purchased items of the group members.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 편의 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Shopping convenience servic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정보 관리부(100), 데이터 베이스(200), 상품 목록 제공부(300), 구매 동향 분석부(400), 과금 처리부(500) 및 쇼핑 그룹 관리부(600)로 구성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a database 200, a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a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400, The billing processing unit 500 and the shopping group management unit 600.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관리부(100)는 쇼핑몰 제공자(700)로부터 판매 상품 관련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장치이다. 이때, 입력되는 판매 상품 관련 정보는 판매 물품 명칭, 판매 가격, 할인 정보 및 관련 상품 리스트 등 사용자가 검색 시 필요한 모든 사항을 등록한다.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sales product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hopping mall provider 700. In this case, the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le product registers all the items necessary for the user to search, such as the sale product name, sale price, discount information, and a related product lis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200)는 상품 정보 관리부(100)에서 업로드 되는 상품 정보 및 후술하는 과정에서 설명되는 상품 목록 제공부(300), 구매 동향 분석부(400), 과금 처리부(500) 및 쇼핑 그룹 관리부(600)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The databas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oduct information upload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and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the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400, the billing processing unit 500, and the process described later. The device stores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shopping group manager 600.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목록 제공부(300)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사용자의 컴퓨터, 핸드폰 또는 PMP 등의 검색장치(800)가 요청하는 검색식에 따라 해당하는 상품 목록을 사용자의 검색장치(8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선택 상품 정보를 전송받는 장치이다. 이때, 상품 목록 제공부(300)는 초성 검색, 검색식 자동 완성, 관련 상품 카테고리 제공 또는 주제별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검색에 최대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주제별 검색의 일예로써,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과 식사 인원수를 입력하면 해당 음식의 재료의 종류 및 수량 등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상품 목록을 제시한다. 이렇게 자동으로 입력된 상품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추가 또는 취소가 가능하도록 상품 목록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한 예로써, 사용자가 검색장치(800)를 통해 카레라이스를 검색하면 감자, 근, 양파, 카레 및 고기 등의 재료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제공된다.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corresponding product list to the user's search apparatus 800 according to a search formula requested by the search apparatus 800 such as a computer, a mobile phone, or a PMP of a user having a shopping application. The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selected produc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provides the maximum convenience for the user search by providing initial search, automatic search completion, providing related product categories, or searching by topic.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a subject-specific search, a list of products is presented so that the type and quantity of ingredients of the corresponding food are automatically displayed when the number of foods to be cooked and the number of meals are input. This automatically entered product provides a list of products to be added or canceled at the user's convenience. As a more detailed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curry rice through the search apparatus 800, ingredients such as potatoes, roots, onions, curry, and meat are automatically input and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구매 동향 분석부(400)는 사용자가 검색하며 등록한 관심 상품 또는 구매 상품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하고,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구매 동향 분석부(400)는 식재료, 생필품과 같은 주기적인 구매가 필요한 물품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는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410) 및 가전제품, 의복 등과 같은 비 주기적 구매가 필요한 비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420)로 구성된다. The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nformation of a product of interest or a purchased product registered and searched by a user in the database 200, and analyzes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stored in the database 200. The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400 is a periodic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410 for analyzing the purchase trends of items that require periodic purchases, such as food and daily necessities, and non-periodical purchases that require non-periodic purchases such as home appliances, clothing, etc. The analysis unit 420 is configured.

이때,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410)는 사용자의 생필품의 구매 주기 및 수량을 파악하고, 구매 동향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최종 구매한 날로부터 평균 구매 시기가 지나면 해당 제품 구매를 알리는 메시지를 이메일 또는 문자 서비스 등을 통해 전송하여 준다.At this time, the periodic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410 grasps the purchase cycle and the quantity of the user's necessities, and notifies the purchase of the product when the average purchase time has passed since the user last purchased the product based on the purchase trend analysis data Send the message through e-mail or text service.

또한, 비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420)는 가전제품, 의류 등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고, 가전제품의 소모품 또는 관심 브랜드의 의류의 업로드 상황 등을 사용자에게 이메일 또는 문자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 구입을 촉진한다.In addition, the non-periodical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420 analyzes purchase trends of household appliances, clothing,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uploading status of the consumables of the household appliances or the brand of interest to the user by using an email or a text service, etc. Promote your product purchase.

본 발명 따른 과금 처리부(500)는 상품 목록 제공부(300)를 통해 주문한 제품의 요금을 청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과금 처리는 모바일 통신의 통신비에 포함되거나, 카드 결제, 인터넷 뱅킹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결제 방법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Billing process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billing the price of the product ordered through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Such billing processing may b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co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or may be processed through various mobile payment methods such as card payment and internet banking.

본 발명에 따른 쇼핑 그룹 관리부(600)는 사용자의 가족, 지인 또는 회사원을 그룹으로 묶어서 관리하는 장치이다. 쇼핑 그룹 관리부(600)는 사용자의 초대 또는 소정의 신분 확인 등과 같은 인증 방법을 통해 사용자 그룹을 선정한다. 일예로써, 사용자의 배우자를 그룹원 1(810), 자녀를 그룹원 2(820), n번 째 그럽원을 그룹원 n(800n)으로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쇼핑 그룹 관리부(600)는 그룹으로 묶인 사용자들의 구매 현황, 관심 물품 등록 상황 등을 각각의 그룹원들 또는 대표 그룹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실시간으로 전송된 물품 구매 현황 등을 확인하고 각각의 그룹원들 또는 대표 그룹원은 타 그룹원의 구매 내용 변경, 해지, 추가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The shopping group manage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manages a user's family, acquaintances or office workers in a group. The shopping group manager 600 selects a user group through an authentication method such as an invitation of a user or confirmation of a predetermined identity. As an example, a spouse of a user is registered and managed as a group member 1 (810), a child as a group member 2 (820), and an nth grrub member as a group member n (800n). The shopping group management unit 600 transmits the purchase status, interest item registration status, etc. of the users grouped into the group to each group member or the representative group member in real time. Check the purchase status of goods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each group member or representative group member can execute functions such as changing the contents of the purchase of other group members, canceling or adding them.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10)은 모바일 장치의 3G 통신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모바일 웹서버를 이용하거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통신한다.
The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uses a mobile web server such as 3G communication or Wi-Fi of a mobile device, or communicates with a user using an internet network.

<쇼핑 편의 제공 방법><How to provide shopping convenien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 편의 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대여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상품 정보 관리부(100)가 쇼핑몰 제공자(700)로부터 상품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한다(S100). 이때, 저장되는 상품 정보는 판매 물품 명칭, 판매 가격, 할인 정보 및 관련 상품 리스트 등 사용자가 검색 시 필요한 모든 사항을 등록한다. 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ook renta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first,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shopping mall provider 70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200 (S100). At this time, the stored product information registers all the items necessary for the user to search, such as the sales product name, sales price, discount information and the related product list.

다음으로, 쇼핑 그룹 관리부(600)가 사용자의 가족, 지인, 회사동료 또는 단체원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그룹을 등록하여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한다(S150). 이러한 쇼핑 그룹원 등록 단계(S150)는 선택적인 사항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Next, the shopping group management unit 600 registers the user group consisting of the user's family, acquaintances, company colleagues or group members and stores in the database 200 (S150). The shopping group member registration step S150 is optional and may be omitted if the user does not want it.

다음으로, 상품 목록 제공부(300)가 사용자 검색장치(800)의 검색어 입력에 따른 상품 목록을 데이터 베이스(20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검색장치(800)로 전송한다(S200).Next,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searches for the product list according to the search word input of the user search apparatus 800 in the database 200 and transmits the product list to the user search apparatus 800 (S200).

다음으로, 상품 목록 제공부(300)가 사용자 검색장치(800)에서 선택된 구매 품목 또는 관심 품목을 전송받는다(S300). 이때,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품목 또는 관심 품목은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다. Next,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receives the purchase item or the item of interest selected by the user search apparatus 800 (S300). At this time, the purchased item or item of interest purchas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database 200.

다음으로, 과금 처리부(500)가 사용자가 구매한 품목에 대한 과금을 청구한다(S400).Next, the billing processing unit 500 charges the bill for the item purchased by the user (S400).

마지막으로, 구매 동향 분석부(400)가 사용자가 지금까지 구매했던 구매 품목 또는 관심 품목 누적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한다(S500). 이때, 구매 동향 분석은 주기적 구매 물품 및 비주기적 구매 물품을 각각 구분하여 분석한다. 주기적 구매 물품 구매 동향 분석의 일예로써, 사용자가 그동안 쌀 한 포대를 며칠에 한 번씩 구매하는지, 치약 한통을 며칠에 한 번씩 구매하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비주기적 구매 물품 구매 동향 분석의 일예로써, 사용자가 드럼 세탁기를 언제 구매하였는지 등을 분석한다. Finally, the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400 searches the purchase item or interest item accumulation information database 200 that the user has purchased so far and analyzes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S500). At this time, the purchase trend analysis analyzes the periodic purchase goods and the non-periodic purchase goods respectively. As an example of the periodical analysis of purchasing items, it analyzes whether a user purchases a bag of rice once every few days or a toothpaste every few days.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an aperiodic purchase item purchase trend analysis, the user analyzes when the drum washing machine was purchased.

추가로, 구매 동향 분석부(400)가 분석한 사용자의 구매 동향에 기초하여 제품 구매 시기 또는 관심 등록 상품과 연관된 브랜드의 제품의 업로드 등의 내용이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되면 사용자 검색장치(800)로 구매 유도 정보 또는 업로드 정보를 전송한다(S600). 일예로써,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쌀 한 포대를 한 포대를 구입하였다면, 최종 쌀 구입일로부터 한 달에 근접한 날에 쌀 구입시기 메시지를 이메일 또는 문자 등을 통해 통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관심 물품으로 등록한 바지의 브랜드에서 신상품이 업로드 되었으면 해당 물품의 업로드 정보를 이메일 또는 문자 등을 통지하여 제품 구매를 촉진하고 쇼핑의 편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based on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analyzed by the purchase trend analyzing unit 400, when a product purchase time or upload of a product of a brand associated with a registered product of interest is stored in the database 200, the user search apparatus ( In step S600, the purchase induction information or the upload information is transmitted (S600). For example, if a user purchases a bag of rice on average, the user is notified of a rice purchase time message via e-mail or text on a day close to a month from the last rice purchase date. In addition, if a new product is uploaded from the brand of the pants registered by the user as a product of interest, the product upload information is notified by e-mail or text to facilitate product purchase and provide convenience of shopping.

또한, 사용자와 한 그룹으로 묶여 있는 그룹원이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 쇼핑 그룹 관리부(600)가 타 그릅원에게 물건 구매 그룹원의 구매 내용, 관심 목록 또는 사용자 구매 동향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700). 이와 같이, 그룹원의 구매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그룹원들의 과도한 과소비를 방지하고, 가족들이 동일한 물건을 구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group member who is grouped with a user purchases an item, the shopping group management unit 600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purchase contents, a wish list, or a user purchase trend of the object purchase group member to the other member in real time. (S700). As such, by grasping the purchase trend of the group members,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group members and to prevent the family from purchasing the same ite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100 : 상품 정보 관리부
200 : 데이터 베이스
300 : 상품 목록 제공부
400 : 구매 동향 분석부
410 :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
420 : 비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
500 : 과금 처리부
600 : 쇼핑 그룹 관리부
700 : 쇼핑몰 제공자
800 : 사용자 검색장치
810 : 그룹원 1
820 : 그룹원 2
800n : 그룹원 n
10: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system
100: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200: database
300: product list provider
400: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410: periodic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420: non-periodic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500: billing processing unit
600: Shopping Group Management Department
700: shopping mall provider
800: user search device
810 group member 1
820: Group 2
800n: group member n

Claims (12)

쇼핑몰 제공자(700)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상품 정보 관리부(100);
상기 상품 정보 관리부(100)에서 등록되는 상기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00);
사용자의 검색장치(8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정보 목록을 상기 사용자의 검색장치(8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상품 정보를 전송받는 상품 목록 제공부(300);
상기 사용자의 구매 내역 또는 관심 품목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는 구매 동향 분석부(400); 및
상기 구매 상품에 대한 과금을 사용자에게 청구하는 과금 처리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A product information manager 100 that registers and manages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hopping mall provider 700;
A database 200 for storing the produc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00;
A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transmi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list to the user's search apparatus 80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s search apparatus 800 and receiving the selected product information of the user;
A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400 storing the purchase history or the item of interest in the user in the database 200 and analyzing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And
The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 billing processing unit (500) for charging a user for the charges for the purchased goo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목록 제공부(300)는 상기 상품 정보의 품목별 분류로 제공되는 표준 카테고리, 초성 검색 정보, 검색 상품의 관련 상품 카테고리 및 할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provides the user with at least one of a standard category, initial search information, a related product category of a search product, and a discount information provided as an item-by-item classification of the product information. Offer servic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동향 분석부(400)는,
상기 사용자의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410); 및
상기 사용자의 비 주기적 구매 상품 분석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urchase trend analysis unit 400,
A periodic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410 of the user; And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 the user's periodic purchase product analysis unit (4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가족 또는 단체원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그룹의 상기 상품 구입 또는 취소 내역을 관리하는 쇼핑 그룹 관리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hopping group management unit (600) for managing the purchase or cancellation of the product of the user group consisting of the user's family or group member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그룹 관리부(600)는 상기 사용자의 초대 또는 소정의 인증 방법을 통해 상기 사용자 그룹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opping group manager 600 selects the user group through an invitation or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us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그룹 관리부(600)는 상기 사용자 그룹의 구매 현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 그룹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opping group manager 600 transmits the purchas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group to the user group in real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10)은 인터넷 또는 모바일 웹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10) is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or mobile web.
상품 정보 관리부(100)가 쇼핑몰 제공자(700)로부터 상품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하는 제 1 단계(S100);
상품 목록 제공부(300)가 사용자 검색장치(800)의 검색에 따른 상품 목록을 제공하는 제 2 단계(S200);
상기 상품 목록 제공부(300)가 사용자의 구매 상품 또는 관심 품목을 전송받는 제 3 단계(S300);
과금 처리부(500)가 상기 사용자의 구매 상품에 대한 과금을 청구하는 제 4 단계(S400); 및
구매 동향 분석부(400)가 상기 사용자의 구매 상품 또는 관심 품목을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분석하는 제 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방법.
A first step (S100) of receiving, by the product information manager 100, th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shopping mall provider 700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200;
A second step (S200) of providing, by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a product list according to a search of the user search apparatus 800;
A third step (S300) of receiving, by the product list providing unit 300, a user's purchase product or an item of interest;
A fourth step (S400) in which the billing processing unit 500 charges the user for the purchased goods; And
The shopping trend analysis unit 400 stores the user's purchased goods or items of interest in the database 200, and analyzing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S500); shopping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w to Provid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동향 분석부(400)가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구매 동향에 기초하여 관심 품목 관련 상품 업로드 정보 또는 식료품, 생필품 구매 시기 정보를 사용자 검색장치(800)로 전송하는 제 6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 sixth step S600 of transmitting product upload information related to the item of interest or purchase time of groceries and daily necessities to the user search apparatus 800 based on the purchase trend of the user analyzed by the purchase trend analyzing unit 400;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S100)와 제 2 단계(S200) 사이에 쇼핑 그룹 관리부(600)가 사용자의 가족 또는 단체원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그룹을 등록하는 제 1-5 단계(S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Between the first step (S100) and the second step (S200), the shopping group management unit 600 further comprises a first to fifth step (S150) for registering a user group consisting of a family member or a group member of the user How to provide shopping convenien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그룹 관리부(600)가 상기 사용자 그룹의 구매 내용, 관심 목록 또는 사용자의 구매 동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각각의 사용자 그룹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7 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eventh step (S700) of the shopping group manager 600 transmitting in real time to each user group at least one of purchase contents, a wish list, and a purchase trend of the user group. How to provide shopping convenience.
제 9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S600) 또는 상기 제 7 단계(S700)는 사용자 이메일 또는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편의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1,
The sixth step (S600) or the seventh step (S700) is a shopping convenien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elivered to the user using a user email or text service.
KR1020100104453A 2010-10-26 2010-10-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KR201200432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53A KR20120043253A (en) 2010-10-26 2010-10-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53A KR20120043253A (en) 2010-10-26 2010-10-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253A true KR20120043253A (en) 2012-05-04

Family

ID=4626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453A KR20120043253A (en) 2010-10-26 2010-10-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3253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63A1 (en) * 2012-06-11 201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shopping service and methods thereof
KR20140123642A (en) * 2013-04-12 2014-10-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finance suppor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inance supporting service in the system
KR20150145358A (en) * 2014-06-18 2015-12-30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20160069485A (en)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KR20160099894A (en) 2015-02-13 2016-08-23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lated product information to contents provided through network
US9483758B2 (en) 2012-06-11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251B2 (en) 2012-06-11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63A1 (en) * 2012-06-11 201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shopping service and methods thereof
US9483758B2 (en) 2012-06-11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039548A1 (en) 2012-06-11 2017-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11503B2 (en) 2012-06-11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shopping service and methods thereof
US10817871B2 (en) 2012-06-11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17458B2 (en) 2012-06-1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shopping service and methods thereof
US11284251B2 (en) 2012-06-11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21201B2 (en) 2012-06-11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23642A (en) * 2013-04-12 2014-10-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finance suppor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inance supporting service in the system
KR20150145358A (en) * 2014-06-18 2015-12-30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20160069485A (en)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KR20160099894A (en) 2015-02-13 2016-08-23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lated product information to contents provided through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25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lobal dynamic hierarchical ordering system
US20200320600A1 (en) Virtual Marketplace Enabling Machine-to-Machine Commerce
US201800609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 hybrid store
US20150220979A1 (en) Controlling a Commerce System with Omnipresent Marketing
US119079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management of a purchase order by intercepting order submission messages
KR2012004325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convenience service
US2015032488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lligent Personal Agents for Identifying Intent to Buy
WO2017156067A1 (en) Predictive shopping
JP7295202B2 (en) Server device, program and electronic receipt system
JP51789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cooking recipes to product sales
KR102116312B1 (en) Brokerage system for ordering product and brokerage method using the same
JP5881644B2 (en) Product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40249997A1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2014002453A (en) Sales system, sales server and sales method
KR1016124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JP2019144951A (en) Recommendation information specifying apparatus, recommendation information specifying system, recommendation information specifying method, and program
JP2001155088A (en) Material ordering system, material order managing device, material ordering terminal equipment, mediat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05258620A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sales promotion of sellout merchandise
US201500062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items in a retail store and computer programs thereof
KR1017418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US201203169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earching and purchasing of multiple products simultaneously
Kashima et al. Recommendation method with rough sets in restaurant point of sales system
US20220222732A1 (en) Themed Smart Basket For Online Shopping
JP2019117625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7355181B2 (en) Recommend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device, recommend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system, recommend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