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407A -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407A
KR20120040407A KR1020100101805A KR20100101805A KR20120040407A KR 20120040407 A KR20120040407 A KR 20120040407A KR 1020100101805 A KR1020100101805 A KR 1020100101805A KR 20100101805 A KR20100101805 A KR 20100101805A KR 20120040407 A KR20120040407 A KR 20120040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information
list
visibility
augmented reality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198B1 (ko
Inventor
김기남
양회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10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198B1/ko
Priority to US13/012,249 priority patent/US20120092369A1/en
Publication of KR2012004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객체정보들 각각의 배경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여 객체정보들 각각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은 중첩된 객체정보들에 대한 리스트 또는 지도를 출력해서 객체정보들 각각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은 객체들이 밀집된 복잡구역을 확대해서 중첩된 객체정보들의 중첩되는 확률을 줄인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at heighten visibility of augmented reality object}
기술분야는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란 실세계에 3차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 주는 것으로 현실에 기반을 두고 실세계 환경과 그래픽 형태의 가상 현실을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실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스포츠 중계 시 등장하는 선수가 소속된 국가의 국기나 선수의 정보를 보여 주거나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MD)로 사용자가 보는 실제 환경에 컴퓨터 그래픽스, 문자 등을 겹쳐 실시간으로 보여 주는 것 등이 대표적인 증강현실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증강현실에서 객체의 위치와 내용 등의 다양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기존의 방법은 2차원 지도 데이터에 특정 위치와 객체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과 위치 정보를 가지고 3차원 화면에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그리고 거리별 위치 데이터를 기본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하지만, 증강현실 서비스 시에 출력되는 객체가 많은 경우 객체들이 중첩(overlap)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객체들의 가시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증강현실 서비스 시에 사용자 주변의 조도(빛의 밝기)나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객체의 색, 밝기, 질감 등으로 인하여 객체가 쉽게 인지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객체정보들 각각의 배경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여 객체정보들 각각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때 중첩된 객체정보들에 대한 리스트를 출력해서 객체정보들 각각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때 중첩된 객체정보들에 대한 지도를 출력해서 객체정보들 각각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때 복잡구역을 확대해서 중첩된 객체정보들의 중첩되는 확률을 줄여서 객체정보들 각각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에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잡 구역을 기설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크기로 확대해서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중첩되는 확률을 줄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촬영하는 영상의 방향에 위치된 객체정보들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상기 촬영하는 영상에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해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고,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하는 복잡구역 확인부와,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하는 출력위치 확인부 및 상기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에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추가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고,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하는 복잡구역 확인부 및 상기 복잡 구역을 기설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크기로 확대해서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중첩되는 확률을 줄이는 복잡구역 확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영하는 영상의 방향에 위치된 객체정보들을 검색하는 객체 검색부와,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상기 촬영하는 영상에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확인하는 증강현실 처리부 및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해서 디스플레이하는 가시성 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증강 현실의 객체와 정보 표시에 있어서 객체의 밀집도가 높은 경우 각 객체들이 중첩되어 겹쳐져 표시되는 문제를 리스트 또는 지도 또는 복잡 구역의 확대를 통해 해결하였다. 그리고, 사용자 주변의 조도(빛의 밝기)나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객체의 색, 밝기, 질감 등으로 인하여 객체에 대한 태그 정보가 쉽게 인지되지 않는 문제를 조도와 배경을 고래해서 객체정보의 색깔을 보정함으로써 해결하여서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지도를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복잡구역을 확대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도 2에 따라 가시성을 높인 객체정보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다른 예로 색깔로 리스트의 객체정보들의 거리가 표시됨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또 다른 예로 숫자로 리스트의 객체정보들의 거리가 표시됨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또 다른 예로 리스트에 스크롤바가 적용되고,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가 표시됨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4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도 5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통해 출력되는 객체정보들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객체정보는 증강현실 서비스에 의한 증강현실 객체정보를 나타낸다. 이때, 증강현실 객체정보는 아이콘, 태그 및 객체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객체 검색부(111), 증강현실 처리부(112), 가시성 보정부(113), 복잡구역 확인부(114), 출력위치 확인부(115), 추가정보 처리부(116), 복잡구역 확대부(117), 카메라부(120), 위치 검출부(130), 방향 검출부(140), 데이터베이스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20)는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 촬영된 영상 또는 프리뷰 영상을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이때,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10)로 제공되기에 앞서 이미지 보정을 통해 보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리뷰 영상은 제어부(110)로 제공되기에 앞서 카메라 보정을 통해 보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촬영하는 영상은 쵤영된 영상과 프리뷰 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GPS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 주변의 3개 이상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방법, 위치를 알고 있는 주변 물체들과의 거리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방향 검출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을 검출한다. 방향을 검출하는 장치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등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지도 정보와 증강현실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의 특정위치와 맵핑되는 객체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객체 검색부(111)는 위치 검출부(130)를 통해 검출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와 방향 검출부(140)를 통해 검출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촬영하는 방향을 이용해서 촬영하는 영상의 방향에 위치된 객체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객체 검색부(111)는 객체들의 위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객체들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증강현실 처리부(112)는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촬영하는 영상 위에 디스플레이 될 때, 촬영하는 영상에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확인한다.
가시성 보정부(113)는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해서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가시성 보정부(113)는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에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보다 기설정한 크기만큼 큰 객체배경을 생성하거나,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의 그림자를 생성하거나,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을 디스플레이 되는 배경과 보색계열로 변경하거나, 검색된 객체정보들의 출력 밝기를 높이 것을 적어도 하나 포함해서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한다.
복잡구역 확인부(114)는 복잡도가 높은 구역인 복잡 구역을 확인하고,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한다. 이때, 복잡구역 확인부(114)는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출력위치 확인부(115)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에 대한 추가정보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출력위치 확인부(115)는 기설정된 위치, 사용자기 선택한 위치 또는 화면상에 객체가 없는 영역을 추가정보를 출력할 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정보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리스트 이거나 또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이 표시된 지도일 수 있다.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추가정보가 리스트인 경우, 추력위치 확인부(115)를 통해 확인한 추가정보를 출력할 위치에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이때,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를 리스트에 거리에 따른 기설정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를 리스트에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때, 리스트에 포함된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 따라 정렬하거나 또는 객체의 이름에 정렬해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갯수를 초과하는 경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만큼만 리스트로 출력하고 스크롤바를 출력하고, 스크롤바의 조정에 따라 리스트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가 선택되면, 복잡 구역에서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객체정보를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객체정보를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함을 스크롤바가 조정되는 경우 스크롤바의 조정에 따라 선택되는 리스트의 객체정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객체정보를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방법으로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가 가장 앞에 출력되도록 하거나,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의 크기를 다른 객체정보들보다 더 크게 출력하거나,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리스트가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이 배경과 구분되기 용의하도록 출력 색깔을 보정해서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이름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추가정보 처리부(116)는 추가정보가 지도인 경우, 추력위치 확인부(115)를 통해 확인한 추가정보를 출력할 위치에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출력한다.
복잡구역 확대부(117)는 복잡 구역의 확대 이벤트가 발생되면, 복잡 구역을 기설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크기로 확대해서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중첩되는 확률을 줄인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객체 검색부(111), 증강현실 처리부(112), 가시성 보정부(113), 복잡구역 확인부(114), 출력위치 확인부(115), 추가정보 처리부(116) 및 복잡구역 확대부(117)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 객체 검색부(111), 증강현실 처리부(112), 가시성 보정부(113), 복잡구역 확인부(114), 출력위치 확인부(115), 추가정보 처리부(116) 및 복잡구역 확대부(117)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객체 검색부(111), 증강현실 처리부(112), 가시성 보정부(113), 복잡구역 확인부(114), 출력위치 확인부(115), 추가정보 처리부(116) 및 복잡구역 확대부(117)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객체 검색부(111), 증강현실 처리부(112), 가시성 보정부(113), 복잡구역 확인부(114), 출력위치 확인부(115), 추가정보 처리부(116) 및 복잡구역 확대부(117)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10단계에서 증강현실 서비스 실행 시에 카메라를 프리뷰로 동작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12단계에서 촬영하는 영상의 방향에 위치된 객체정보들을 검색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14단계에서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촬영하는 영상에 디스플레이 될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16단계에서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해서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검색된 객체정보들의 가시성을 높이는 보정은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에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보다 기설정한 크기만큼 큰 객체배경을 생성하거나,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의 그림자를 생성하거나,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을 디스플레이 되는 배경과 보색계열로 변경하거나, 검색된 객체정보들의 출력 밝기를 높이 것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보정이다. 보정이 적용된 예를 아래 도 6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2에 따라 가시성을 높인 객체정보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보정전 증강현실 화면(610)을 살펴보면, 보정전 객체정보(612)는 배경과 보정전 객체정보(612)의 태그 색깔이 유사해서 가시성이 높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보정후 증강현실 화면(620)을 살펴보면, 보정후 객체정보(622)는 배경과 보색계열로 변경되어 가시성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설명으로 돌아와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18단계에서 추가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추가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220단계에서 추가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추가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그러면, 추가 이벤트에 따라 추가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아래 도 3에서 도 5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10단계에서 복잡도가 높은 구역인 복잡 구역을 확인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12단계에서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14단계에서 추가정보에 해당하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 기설정된 위치, 사용자기 선택한 위치 또는 화면상에 객체정보가 없는 영역을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16단계에서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에 리스트를 출력한다. 리스트는 아래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객체들이 중첩된 영역이 복잡 구역(710)으로 설정되고, 복잡 구역(710)에 포함된 객체들이 리스트(720)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316단계에서 리스트를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을 거리 따라 정렬하거나 또는 객체의 이름에 정렬해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316단계에서 리스트를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를 도 8과 같이 리스트에 거리에 따른 기설정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를 리스트에 숫자로 표시할 수 도 있다.
도 8은 도 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다른 예로 색깔로 리스트의 객체들의 거리가 표시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객체들이 중첩된 영역이 복잡 구역(810)으로 설정되고, 복잡 구역(810)에 포함된 객체들이 리스트(820)로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리스트(810)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정보를 색깔로 나타내는 거리 정보 바(822)가 리스트(810)의 각 객체 옆에 출력된다.
도 9는 도 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또 다른 예로 숫자로 리스트의 객체들의 거리가 표시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객체들이 중첩된 영역이 복잡 구역(910)으로 설정되고, 복잡 구역(910)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이 리스트(920)로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리스트(910)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거리 정보 바(922)가 리스트(910)의 옆에 출력된다.
도 3의 설명으로 돌아와서, 316단계에서 리스트를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갯수를 초과하는 경우, 아래 도 10과 같이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객체정보만 리스트로 출력하고 스크롤바를 출력하고, 스크롤바의 조정에 따라 리스트를 변경해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또 다른 예로 리스트에 스크롤바가 적용되고,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가 표시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객체정보들이 중첩된 영역이 복잡 구역(1010)으로 설정되고, 복잡 구역(1010)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이 리스트(1020)로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리스트(1010)는 복잡 구역(1010)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일부 정보와 스크롤바(1022)의 결합 형태로 출력된다.
다시 도 3의 설명으로 돌아와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18단계에서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318단계의 확인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가 선택되었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20단계에서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복잡 구역 내의 객체정보를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한다.
복잡 구역 내의 객체정보를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 함을 도 10를 통해 설명하면, 예를 들어 리스트(1020)에서 객체정보 ‘찌개’가 선택되면, 객체정보 ‘찌개’에 대응하는 복잡 구역(1010) 내의 대응하는 찌개객체정보(1012)가 다른 객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지도를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10단계에서 복잡도가 높은 구역인 복잡 구역을 확인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20단계에서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30단계에서 추가정보에 해당하는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 기설정된 위치, 사용자기 선택한 위치 또는 화면상에 객체정보가 없는 영역을 지도를 출력할 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40단계에서 지도를 출력할 위치에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출력한다. 지도는 아래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도 4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객체들이 중첩된 영역이 복잡 구역(1110)으로 설정되고, 복잡 구역(710)에 포함된 객체들 표시된 지도(1120)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복잡구역을 확대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10단계에서 복잡도가 높은 구역인 복잡 구역을 확인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20단계에서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30단계에서 복잡 구역을 확대할 크기를 확인한다. 이때, 복잡 구역의 확대 크기는 기설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크기 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40단계에서 복잡 구역을 기설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크기로 확대해서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중첩되는 확률을 줄인다.
도 12는 도 5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확대전 증강현실 화면(1210)을 살펴보면 객체정보들이 밀집되고 중첩된 영역이 복잡 구역(1210)으로 설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확대후 증강현실 화면(1220)을 살펴보면 복잡 구역(1210)이 화면 크기로 확대되어 객체정보들의 중첩 정도가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에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위치, 사용자기 선택한 위치 또는 화면상에 객체정보가 없는 영역을 상기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로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을 거리 따라 정렬하거나 또는 객체의 이름에 정렬해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를 상기 리스트에 거리에 따른 기설정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를 상기 리스트에 숫자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갯수가 기설정된 갯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객체정보들만 상기 리스트로 출력하고 스크롤바를 출력하고, 상기 스크롤바의 조정에 따라 상기 리스트를 변경해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복잡 구역에서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와 대응하는 객체정보를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객체정보를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가 가장 앞에 출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의 크기를 상기 다른 객체정보들보다 더 크게 출력하거나,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가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이 배경과 구분되기 용의하도록 출력 색깔을 보정해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객체정보들의 이름의 가시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에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잡 구역을 기설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크기로 확대해서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중첩되는 확률을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촬영하는 영상의 방향에 위치된 객체정보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상기 촬영하는 영상에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해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해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에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보다 기설정한 크기만큼 큰 객체배경을 생성하거나,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의 그림자를 생성하거나,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을 디스플레이 되는 배경과 보색계열로 변경하거나,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의 출력 밝기를 높이 것을 적어도 하나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고,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하는 복잡구역 확인부;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하는 출력위치 확인부; 및
    상기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에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추가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 처리부는,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를 상기 리스트에 거리에 따른 기설정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거리를 상기 리스트에 숫자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 처리부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복잡 구역에서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객체정보를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와 대응하는 객체정보가 다른 객체정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방법에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가 가장 앞에 출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의 크기를 상기 다른 객체정보들보다 더 크게 출력하거나,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객체정보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것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 처리부는,
    상기 리스트가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이 배경과 구분되기 용의하도록 출력 색깔을 보정해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객체정보들의 이름의 가시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위치 확인부는,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출력할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추가정보 처리부는,
    상기 리스트 대신에 상기 리스트를 출력할 위치에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들의 위치가 표시된 상기 지도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객체들의 밀집도가 기설정한 기준값보다 큰 구역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구역을 복잡 구역으로 확인하고,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을 확인하는 복잡구역 확인부; 및
    상기 복잡 구역을 기설정된 크기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크기로 확대해서 상기 복잡 구역에 포함된 객체정보들의 중첩되는 확률을 줄이는 복잡구역 확대부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촬영하는 영상의 방향에 위치된 객체정보들을 검색하는 객체 검색부;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상기 촬영하는 영상에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확인하는 증강현실 처리부; 및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이 출력될 위치의 배경 밝기, 배경 색깔 및 배경 질감을 적어도 하나 고려해서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해서 디스플레이하는 가시성 조정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성 보정부는,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에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보다 기설정한 크기만큼 큰 객체배경을 생성하거나,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의 그림자를 생성하거나,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 각각을 디스플레이 되는 배경과 보색계열로 변경하거나,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의 출력 밝기를 높이 것을 적어도 하나 포함해서 상기 검색된 객체정보들을 가시성이 높도록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101805A 2010-10-19 2010-10-19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266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805A KR101266198B1 (ko) 2010-10-19 2010-10-19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3/012,249 US20120092369A1 (en) 2010-10-19 2011-01-2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augmented reality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805A KR101266198B1 (ko) 2010-10-19 2010-10-19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407A true KR20120040407A (ko) 2012-04-27
KR101266198B1 KR101266198B1 (ko) 2013-05-21

Family

ID=4593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805A KR101266198B1 (ko) 2010-10-19 2010-10-19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92369A1 (ko)
KR (1) KR10126619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361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33150A (ko) * 2013-09-23 2015-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80085432A (ko)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카메라와 연계해서 증강현실 프리미티브와 이벤트를 연동시키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1940555B1 (ko) * 2017-09-01 2019-01-21 (주)비버스팩토리 인터넷 개인 방송에서 가상 컨텐츠 삽입 시스템 및 방법
KR102107340B1 (ko) * 2019-05-08 2020-05-07 이현주 디스플레이 내 객체표시 방법
US10950036B2 (en) 2018-03-27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3D) rendering
KR20210079976A (ko) * 2019-12-20 2021-06-3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증강 현실 기반 내비게이션 환경에서 객체의 그림자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55579A (ko) * 2020-10-27 2022-05-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4829B1 (ko) * 2022-12-13 2023-05-26 (주)로우코리아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지상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WO2024071776A1 (ko) * 2022-09-26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객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6912B2 (ja) * 2009-07-31 2013-10-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合成画像データ生成装置、及び、合成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KR101330805B1 (ko) * 2010-08-18 2013-11-18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606992B2 (en) * 2011-09-30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sonal audio/visual apparatus providing resource management
US8902344B2 (en) * 2011-12-28 2014-12-02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image capture apparatus control method
JP5891843B2 (ja) * 2012-02-24 2016-03-23 ソニー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端末、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83433A (ja) * 2012-03-05 2013-09-12 Sony Corp クライアント端末、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8957916B1 (en) * 2012-03-23 2015-02-17 Google Inc. Display method
US20150206349A1 (en) 2012-08-22 2015-07-23 Goldrun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virtual content platfor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140225922A1 (en) * 2013-02-11 2014-08-14 Rocco A. Sbardella System and method for an augmented reality software application
US10133342B2 (en) * 2013-02-14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Human-body-gesture-based region and volume selection for HMD
JP6287849B2 (ja) 2013-02-22 2018-03-07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5266426B1 (ja) * 2013-02-27 2013-08-21 イメージニ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245387B2 (en) * 2013-04-12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lographic snap grid
KR102098277B1 (ko) 2013-06-11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인성 개선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JP6264014B2 (ja) * 2013-12-17 2018-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
AU2014202574A1 (en) 2014-05-13 2015-12-03 Canon Kabushiki Kaisha Positioning of projec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US9684999B1 (en) * 2014-05-30 2017-06-20 Apple Inc. Easily computable object representations
US10056054B2 (en) 2014-07-03 2018-08-21 Federico Fraccaroli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optimising the augmentation of radio emissions
US9946361B2 (en) * 2014-08-14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for wearable display
KR102358548B1 (ko) * 2014-10-15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IL236243A (en) 2014-12-14 2016-08-31 Elbit Systems Ltd Visual enhancement of color icons is shown
US10335677B2 (en) 2014-12-23 2019-07-02 Matthew Daniel Fuchs Augmented reality system with agent device for viewing persistent cont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6344311B2 (ja) * 2015-05-26 2018-06-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8351736B (zh) * 2015-11-02 2022-01-28 索尼公司 可穿戴显示器、图像显示装置和图像显示系统
US10880716B2 (en) 2017-02-04 2020-12-29 Federico Fraccaroli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functionalities, and services in connection with the reception of an electromagnetic signal
US10477602B2 (en) 2017-02-04 2019-11-12 Federico Fraccaroli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functionalities and services in connection with the reception of an electromagnetic signal
WO2019026747A1 (ja) * 2017-07-31 2019-02-07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拡張現実画像表示装置
DE102017221488A1 (de) * 2017-11-30 2019-06-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nzeige des Verlaufs einer Trajektorie vor einem Fahrzeug oder einem Objekt mit einer Anzeigeeinheit,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owie Kraftfahrzeug und Computerprogramm
JP7335726B2 (ja) * 2019-05-31 2023-08-30 シュナイダーエレクトリ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US11423621B1 (en) * 2020-05-21 2022-08-23 Facebook Technologies, Llc. Adaptive rendering in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s
WO2022154299A1 (ko) * 2021-01-12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플랫폼 제공 장치와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1640700B2 (en) * 2021-02-26 2023-05-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rendering virtual objects in user-defined spatial boundary i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6401A1 (en) * 2000-10-16 2003-03-06 Abbott Kenneth H. Dynamically determing appropriate computer user interfaces
US20020044152A1 (en) * 2000-10-16 2002-04-18 Abbott Kenneth H. Dynamic integration of computer generated and real world images
JP3406965B2 (ja) * 2000-11-24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現実感提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098894B2 (en) * 2008-06-20 2012-01-17 Yahoo! Inc. Mobile imaging device as navigator
KR20110051393A (ko) * 2009-11-10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85737B1 (ko) * 2010-02-05 2010-10-06 (주)올라웍스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361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33150A (ko) * 2013-09-23 2015-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80085432A (ko)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카메라와 연계해서 증강현실 프리미티브와 이벤트를 연동시키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1940555B1 (ko) * 2017-09-01 2019-01-21 (주)비버스팩토리 인터넷 개인 방송에서 가상 컨텐츠 삽입 시스템 및 방법
US10950036B2 (en) 2018-03-27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3D) rendering
KR102107340B1 (ko) * 2019-05-08 2020-05-07 이현주 디스플레이 내 객체표시 방법
KR20210079976A (ko) * 2019-12-20 2021-06-3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증강 현실 기반 내비게이션 환경에서 객체의 그림자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55579A (ko) * 2020-10-27 2022-05-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4071776A1 (ko) * 2022-09-26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객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34829B1 (ko) * 2022-12-13 2023-05-26 (주)로우코리아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지상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198B1 (ko) 2013-05-21
US20120092369A1 (en)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198B1 (ko)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217288B2 (en)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s of interest in a view of a real environment on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JP5582548B2 (ja) 実環境視像における仮想情報の表示方法
KR101306286B1 (ko) X-레이 뷰 기반의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EP1404126B1 (en) Video combi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20120103A1 (en) Alignment control in an augmented reality headpiece
TWI592696B (zh) 動態顯示器標記
EP2772885A2 (en) Barcode visualization in augmented reality
WO2012118575A2 (en) Alignment control in an augmented reality headpiece
US11328493B2 (en) Augmented reality screen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screen display method
JP5955491B2 (ja) 情報重畳画像表示装置および情報重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9016044A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WO2014194501A1 (en) Combining a digital image with a virtual entity
JP5685436B2 (ja) 拡張現実提供装置、拡張現実提供システム、拡張現実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66495B2 (en) Multi-spectrum segmentation for computer vision
KR102161437B1 (ko) 증강현실의 공간맵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CN111052218B (zh) 光学设备控制装置、光学设备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04355494A (ja) 表示インタフェース方法および装置
JP6686319B2 (ja) 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EP35104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10119179A (ko) 파노라마 이미지의 갱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역 검색 서비스 방법
KR20180097913A (ko)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촬영 동작 가이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