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712A -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712A
KR20120037712A KR1020100099338A KR20100099338A KR20120037712A KR 20120037712 A KR20120037712 A KR 20120037712A KR 1020100099338 A KR1020100099338 A KR 1020100099338A KR 20100099338 A KR20100099338 A KR 20100099338A KR 20120037712 A KR20120037712 A KR 2012003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ace
image data
ser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원
강형모
박주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7712A/ko
Publication of KR2012003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얼굴인식기술을 통해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가상 체험하기 위하여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점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울어진 자신의 영상에 미리 헤어스타일 또는 메이크업을 시뮬레이션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진되고, 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온라인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신에게 적용하기 전에 적용 후의 모습을 미리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용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최적의 스타일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다.

Description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Imaginary beauty experie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인식기술을 통해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가상 체험하기 위하여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점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네트워크로서,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의 통신망이 포함된다. 또한, 최근 인터넷 보급이 보편화 됨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인터넷과 연계시켜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크게 확산되고 있다. 최근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단순히 벨소리나 배경화면 등을 다운로드 받는 수준을 넘어서서 인터넷 웹 페이지의 데이터와 동기화시킨다거나 각종 동영상 컨텐츠, 게임 컨텐츠 등을 서비스하여 사실상 유선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대부분 수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 단말기의 열풍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에 얼굴인식 기술이 탑재되고 이를 이용한 미용 등의 응용 기술 등이 널리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얼굴인식기술은 바이오 인식 기술의 한 종류로서 접촉식의 홍채와 지문 인식과는 달리 비 접촉성의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인식 기술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는 촬영된 영상이 기울어진 경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원활한 컨텐츠의 원활한 적용이 불가능 하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정면이 아니 측면의 얼굴 기울임이 생긴 상황에서 영상을 촬영하거나, 기울어진 화면의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되는 영상의 얼굴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여 각도 조절 및 위치 변형을 통해 컨텐츠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인식기술을 통해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가상 미용체험하기 위하여 눈, 코, 입 및 얼굴 윤곽에 대한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점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고,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고,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고,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중 적어도 하나의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를 위한 영상데이터를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고,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제어부는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중 적어도 하나의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제어부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제어부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하고, 변화된 컨텐츠를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은 단말기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중 적어도 하나의 얼굴요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계산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변화된 컨텐츠를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중 적어도 하나의 얼굴요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계산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변화된 컨텐츠를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영상데이터를 서비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서비스장치로부터 합성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술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울어진 자신의 영상에 미리 헤어스타일 또는 메이크업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자신에게 적합한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진되고, 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온라인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신에게 적용하기 전에 적용 후의 모습을 미리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용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최적의 스타일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서비스장치의 연동을 통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서비스장치의 연동을 통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중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서비스장치의 연동을 통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중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하거나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기기, 일반 유선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및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말기(10), 서비스장치(20) 및 통신망(30)으로 구성된다.
통신망(30)은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통신망(30)은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30)은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 중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1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단말기(10)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등에 대한 컨텐츠를 검색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등과 같은 얼굴요소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영상획득 기능, 잡음제거를 위한 영상처리 및 분할을 실행하는 전처리 기능, 입력 영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 기능, 특징 추출, 밝기 및 기하학적 표준화를 위한 얼굴 표준화 기능 및 검출된 영상과 데이터베이스 영상 간의 비교 및 인식을 위한 얼굴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을 가지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단말기(10)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여 기울기 정도를 확인한다. 즉, 단말제어부(11)는 각 특징점들의 좌표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징점들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여 얼굴데이터의 기울기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등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를 합성하는 시뮬레이션하고,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단말기(10)로부터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한다. 얼굴데이터가 인식되면, 서비스장치(20)는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등과 같은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장치(20)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등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출한다.
서비스장치(20)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등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와 합성하는 시뮬레이션하고, 합성 영상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울어진 자신의 영상에 미리 헤어스타일 또는 메이크업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자신에게 적합한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진되고, 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온라인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신에게 적용하기 전에 적용 후의 모습을 미리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용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최적의 스타일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단말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카메라부(14), 단말저장부(15), 오디오처리부(16) 및 단말통신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제어부(11)는 카메라부(14)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등에 대한 컨텐츠를 검색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등과 같은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단말제어부(11)는 카메라부(14)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영상획득 기능, 잡음제거를 위한 영상처리 및 분할을 실행하는 전처리 기능, 입력 영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 기능, 특징 추출, 밝기 및 기하학적 표준화를 위한 얼굴 표준화 기능 및 검출된 영상과 데이터베이스 영상 간의 비교 및 인식을 위한 얼굴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을 가지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단말제어부(11)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여 기울기 정도를 확인한다. 즉, 단말제어부(11)는 각 특징점들의 좌표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징점들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여 얼굴데이터의 기울기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등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와 합성하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이후, 단말제어부(11)는 합성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3)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변화된 컨텐츠를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2)는 카메라부(14)를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에서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카메라부(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에 따라 변화된 컨텐츠와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카메라부(14)는 사용자의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카메라부(14)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카메라부(14)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카메라부(14)는 수집되는 영상 데이터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한다.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부(14)는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는 카메라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는 카메라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3)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코덱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단말저장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단말저장부(15)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저장부(15)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카메라를 동작하는 프로그램, 영상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를 변화하는 프로그램,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 및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영상데이터와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컨텐츠로서,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등과 같은 컨텐츠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영역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특징점이 저장된다.
오디오처리부(16)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6)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제공에 따른 경고음이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17)는 단말기(1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단말통신부(17)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와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한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7)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단말통신부(17)는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데이터통신 케이블로 서비스장치(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서비스제어부(21), 서비스저장부(22) 및 서비스통신부(23)으로 구성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서비스장치(2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어부(21)는 단말기(10)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영상획득 기능, 잡음제거를 위한 영상처리 및 분할을 실행하는 전처리 기능, 입력 영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 기능, 특징 추출, 밝기 및 기하학적 표준화를 위한 얼굴 표준화 기능 및 검출된 영상과 데이터베이스 영상 간의 비교 및 인식을 위한 얼굴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을 가지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제어부(21)는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등과 같은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서비스제어부(21)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비스제어부(21)는 각 특징점들의 좌표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징점들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여 얼굴데이터의 기울기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서비스제어부(21)는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면, 서비스제어부(21)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등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와 합성하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합성 영상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서비스저장부(22)는 단말기(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저장부(22)는 영상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를 변화하는 프로그램,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 및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서비스저장부(22)는 영상데이터와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컨텐츠로서,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등과 같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등과 같은 특징점이 저장된다.
서비스통신부(23)는 단말기(10)와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단말제어부(11)는 S11 단계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S13 단계에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한다. 즉, 단말제어부(11)는 카메라부(14)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영상획득 기능, 잡음제거를 위한 영상처리 및 분할을 실행하여 전처리 기능, 입력 영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 기능, 특징 추출, 밝기 및 기하학적 표준화를 위한 얼굴 표준화 기능 및 검출된 영상과 데이터베이스 영상 간의 비교 및 인식을 위한 얼굴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을 가지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얼굴데이터가 인식되면, 단말제어부(11)는 S15 단계에서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등과 같은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등과 같이 될 수 있다.
컨텐츠가 검색되면, 단말제어부(11)는 S17 단계에서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제어부(11)는 각 특징점들의 좌표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징점들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여 얼굴데이터의 기울기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기울기 정도가 계산되면, 단말제어부(11)는 S19 단계에서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면, 단말제어부(11)는 S21 단계에서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등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와 합성하는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S23 단계에서 합성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4)를 통해 제공한다. 한편,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면, 단말제어부(11)는 S25 단계에서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변화 없이 합성하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울어진 자신의 영상에 미리 헤어스타일 또는 메이크업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자신에게 적합한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진되고, 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온라인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신에게 적용하기 전에 적용 후의 모습을 미리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용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최적의 스타일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서비스장치의 연동을 통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와 서비스장치(20)의 연동을 통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을 위한 데이터 흐름에 있어서, 단말기(10)는 S31 단계에서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33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35 단계에서 영상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한다.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장치(20)는 S37 단계에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한다. 즉, 단말제어부(11)는 카메라부(14)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영상획득 기능, 잡음제거를 위한 영상처리 및 분할을 실행하여 전처리 기능, 입력 영상으로부터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 기능, 특징 추출, 밝기 및 기하학적 표준화를 위한 얼굴 표준화 기능 및 검출된 영상과 데이터베이스 영상 간의 비교 및 인식을 위한 얼굴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을 가지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얼굴데이터가 인식되면, 서비스장치(20)는 S39 단계에서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등과 같은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등이 될 수 있다.
컨텐츠가 검색되면, 서비스장치(20)는 S41 단계에서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확인한다. 여기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단말제어부(11)는 각 특징점들의 좌표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징점들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여 얼굴데이터의 기울기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기울기 정도가 확인되면, 서비스장치(20)는 기울기 변화가 발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S43 단계에서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등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와 합성하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S45 단계에서 합성 영상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합성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47 단계에서 합성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서비스장치의 연동을 통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중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와 서비스장치(20)의 연동을 통한 단말기(10)는 S51 단계에서 카메라부(14)를 구동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53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영상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는 S55 단계에서 영상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20)로부터 합성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57 단계에서 합성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서비스장치의 연동을 통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중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와 서비스장치(20)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장치(20)는 S61 단계에서 단말기(10)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한다.
얼굴데이터가 인식되면, 서비스장치(20)는 S63 단계에서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등과 같은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컨텐츠가 검색되면, 서비스장치(20)는 S67 단계에서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기울기 정도가 계산되면, 서비스장치(20)는 S69 단계에서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면, 서비스장치(20)는 S71 단계에서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등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와 합성하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S73 단계에서 합성 영상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한편,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면, 서비스장치(20)는 S75 단계에서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변화 없이 합성하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이후, 서비스장치(20)는 합성 영상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부(14)를 구동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저장부(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를 로드(Load)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은 여성의 상반신 사진이 될 수 있으며, 사진에 포함되는 얼굴데이터를 통해 특징점을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10)는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즉, 단말기(10)는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등과 같은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등이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기(10)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한다. 여기서,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는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기울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기(10)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등을 변화하여 영상데이터와 합성하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PMP, PDA, 노트북 및 MP3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장치에 적용되어, 얼굴인식기술을 통해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가상 체험하기 위하여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점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컨텐츠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울어진 자신의 영상에 미리 헤어스타일 또는 메이크업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자신에게 적합한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진되고, 비용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온라인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신에게 적용하기 전에 적용 후의 모습을 미리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용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최적의 스타일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다.
10: 단말기
11: 단말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카메라부
15: 단말저장부
16: 오디오처리부
17: 단말통신부
20: 서비스장치
21: 서비스제어부
22: 서비스저장부
23: 서비스통신부
30: 통신망
100: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Claims (25)

  1.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2.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중 적어도 하나의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상기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를 위한 영상데이터를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중 적어도 하나의 얼굴요소를 확인하고, 상기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하고,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14. 단말기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은
    눈, 코, 입, 귀, 인중, 눈썹, 광대뼈 및 입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중 적어도 하나의 얼굴요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헤어스타일, 머리핀, 안경, 모자, 귀걸이, 머리띠 및 메이크업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20. 서비스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얼굴데이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얼굴데이터에 연관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기울기 정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시뮬레이션된 합성 영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얼굴데이터에 대한 얼굴크기, 얼굴형태 및 얼굴색 중 적어도 하나의 얼굴요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얼굴요소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얼굴데이터의 특징점에 대한 X축, Y축 및 Z축 좌표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추출된 좌표들과 특징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기울기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위치, 방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변화된 컨텐츠를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위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24. 단말기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데이터를 서비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합성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99338A 2010-10-12 2010-10-12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7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338A KR20120037712A (ko) 2010-10-12 2010-10-12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338A KR20120037712A (ko) 2010-10-12 2010-10-12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712A true KR20120037712A (ko) 2012-04-20

Family

ID=4613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338A KR20120037712A (ko) 2010-10-12 2010-10-12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77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55B1 (ko) * 2017-09-01 2019-01-21 (주)비버스팩토리 인터넷 개인 방송에서 가상 컨텐츠 삽입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3925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버츄어라이브 헤어 스타일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90085802A (ko) * 2018-01-11 2019-07-19 김지환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2433A (ko)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타키온비앤티 메이크업 이펙트의 선택적 적용과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바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55B1 (ko) * 2017-09-01 2019-01-21 (주)비버스팩토리 인터넷 개인 방송에서 가상 컨텐츠 삽입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3925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버츄어라이브 헤어 스타일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90085802A (ko) * 2018-01-11 2019-07-19 김지환 증강된 화장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2433A (ko)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타키온비앤티 메이크업 이펙트의 선택적 적용과 코스메틱 오브젝트의 바잉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980B1 (ko) 가상 동영상 통화 방법 및 단말
CN108525305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85819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imation effect on video telephony call
WO2020192465A1 (zh) 一种三维对象重建方法和装置
CN108712603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7832784B (zh) 一种图像美化的方法和一种移动终端
CN108076290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8198130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650379B (zh) 视频摘要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445583B (zh) 增强现实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170338B1 (ko) 화상 통화 방법 및 시스템
CN108259758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0827379A (zh) 虚拟形象的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600647A (zh) 拍摄预览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1385514B (zh) 人像处理方法和装置以及终端
US11386586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dding virtual item
JP2011228936A (ja) 動画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動画管理装置、送信プログラム、受信プログラム、及び動画管理プログラム
CN110807769B (zh) 图像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14037692A (zh) 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120037712A (ko) 가상 미용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2489036A (zh) 图像评价方法、图像评价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09859115A (zh) 一种图像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056694A1 (zh) 增强现实的通信方法及电子设备
CN107563353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9698908A (zh) 智能调用前后摄像头成像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