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659A -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659A
KR20120036659A KR1020100098452A KR20100098452A KR20120036659A KR 20120036659 A KR20120036659 A KR 20120036659A KR 1020100098452 A KR1020100098452 A KR 1020100098452A KR 20100098452 A KR20100098452 A KR 20100098452A KR 20120036659 A KR20120036659 A KR 20120036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dt
log
terminal
network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명철
권기범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9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6659A/en
Priority to PCT/KR2011/007462 priority patent/WO2012047070A2/en
Publication of KR2012003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6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information quantity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efficiently measure wireless call quality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coverage. CONSTITUTION: A log setup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from network(S1110). The terminal configures a log environment according to MDT(Minimization Driving Test) setup parameter. The terminal changes an MD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set predetermined conditions(S1230,S1240). The terminal measures MDT in the MDT operation mode(S1250).

Description

MDT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DT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운전 시험 최소화(Minimization Driving Test: MDT, 이하 ‘MDT’라 함) 환경을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driving environment (Minimization Driving Test (MDT)).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스루풋(throughput), 주파수 효율, 이동성, 커버리지(coverage) 및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media service)의 향상성 등을 항상 고려하여야 한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이런 각각의 요소들 역시 크게 변해왔다.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hould always consider throughput, frequency efficiency, mobility, coverage, and enhancement of multimedia broadcast / multimedia service (MBMS). 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evolved, each of these factors aff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has changed significantly.

예컨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하나의 대역폭을 이용하지만, 각 이동통신 세대별로 대역폭을 달리한다. 예를 들어, 2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200KHz ~ 1.25M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3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5MHz ~ 10 MHz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증가하는 송신 용량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IEEE 802.16m은 20MHz 또는 그 이상까지 계속 그 대역폭을 확장하고 있다.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enerally use one bandwidth for data transmission, but vary in bandwidth for each mobile generation. For example, the second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a bandwidth of 200KHz ~ 1.25MHz, the third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a bandwidth of 5MHz ~ 10MHz. To support the increasing transmission capacity, the recent Long Term Evolution (LTE) or IEEE 802.16m of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continues to expand its bandwidth to 20 MHz or more.

이처럼, 송신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대역폭을 늘리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주파수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큰 대역폭의 주파수 할당이 용이하지 않다.As such,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bandwidth in order to increase transmission capacity. However, except for some regions of the world, the allocation of a large bandwidth frequency is not easy due to the lack of frequency resources.

효과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 운용을 위해서 서비스 제공자는, 환경에 따라서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서비스 제공자는 예를 든 바와 같이 부족한 주파수 자원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 기지국을 구축할 때 어느 정도의 셀 반경을 갖게 할 것인지, 셀의 주파수 요구 사항은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In order to operate an effectiv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ervice provider must consider various condition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at is, the service provider should consider how to use the scarce frequency resources, for example, how much cell radius to have when establishing a base station, how much the frequency requirements of the cell, and the like.

높은 QoS(Quality of Service)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 서비스 제공자는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환경 예컨대, 셀 내 통화 품질 상태 혹은 신호 송수신 상태가 지역적으로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있는 것이 좋다.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system while maintaining a high quality of service (QoS), the service provider should be aware of the local coverage of the network's coverage environment, such as intra-cell call quality 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의 무선 통화 커버리지와 무선 통화 품질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vely measuring wireless call coverage and wireless call quality of mobile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직접 이동하면서 통화권역 내 통화 품질을 측정하지 않고도 무선 통화 커버리지와 무선 통화 품질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vely measuring wireless call coverage and wireless call quality without having to measure the call quality in the coverage area while moving directly.

본 발명은 이동 통신의 무선 통화 커버리지와 무선 통화 품질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ly and specifically measuring wireless call coverage and wireless call quality in mobile communications.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MDT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은 MDT(Minimization Driving Test)를 위한 로그(Log)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로그 리포트를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using MD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transmitting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for a minimization driving test (MDT) and requesting a log report.

상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의 대상(Measurement Object), MDT 측정의 기간(duration), MDT 측정의 주기(period), 로그의 보고(report) 방식, 로그의 보고 주기, 기지국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n MDT setting parameter, and the MDT setting parameter may include a measurement object, a duration of the MDT measurement, a period of the MDT measurement, and a report of the log. The method may include parameters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scheme, a reporting period of a log, and a time of a base station.

또한, 상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을 개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included in the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parameter related to generation of a triggering event for initiating MDT measurement.

상기 정보 수집 방법은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MDT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MDT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이를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DT setting after transmitting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DT setting needs to be changed, a new MDT setting parameter may be configured and transmitted. Can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MDT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은,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기반하여 로그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로그 환경에 따라서 MDT를 수행하고 로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작성된 로그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using MD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setting a log environment based on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performing MDT and creating a log according to the set log environment, and creating a log; Reporting the logs.

상기 MDT는 주기적 MDT 모드, 이벤트 트리거 MDT 모드, 주기적 MDT와 이벤트 트리거 MDT를 혼용하는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MDT may be any one of a periodic MDT mode, an event trigger MDT mode, and a mode in which a periodic MDT and an event trigger MDT are mixed.

상기 정보 수집 방법은, 로그 보고 단계 전에, MDT 모드의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MDT 모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MDT 모드를 변경하고 변경된 MDT 모드에 따라서 정보 수집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of the MDT mode is necessary before the log report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of the MDT mode is necessary, the MDT mode is changed and information is collected according to the changed MDT mode. Each step of the method can be performed.

상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의 대상(Measurement Object), MDT 측정의 기간(duration), MDT 측정의 주기(period), 로그의 보고(report) 방식, 로그의 보고 주기, 기지국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n MDT setting parameter, and the MDT setting parameter may include a measurement object, a duration of the MDT measurement, a period of the MDT measurement, and a report of the log. The method may include parameters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scheme, a reporting period of logs, and a time of a base station.

상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을 개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included in the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parameter related to generation of a triggering event for initiating MDT measurement.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의 무선 통화 커버리지와 무선 통화 품질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call coverage and wireless call qu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can be effectively measured.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권역을 이동하면서 직접 통화 품질을 측정하지 않고도 무선 통화 커버리지와 무선 통화 품질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call coverage and wireless call quality can be effectively measured without having to measure the call quality directly while moving the call area.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드라이빙 테스트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드라이빙 테스트 최소화 방식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MDT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주기적 MDT에서 로그를 형성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이벤트 트리거 MDT의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주기적 방식과 이벤트 트리거 방식의 혼합 방식에서 로그를 작성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MDT 측정에 대한 네트워크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MDT 측정에 대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al division between an E-UTRAN and an EPC.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structure for a user plan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architecture for a control plane.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cept of a driving test.
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cept of a driving test minimization method.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MDT setting method.
8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forming a log in periodic MDT.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n event trigger MDT.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 log in a mixture of a periodic method and an event trigger method.
11 is a flow chart that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 network for MDT measurement.
1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MDT measurement.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본 발명의 내용과 함께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xample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f a component is list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can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work perform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performed in a process of controlling a network and transmitting data by a system (e.g., a base station) Work can be done at a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3GPP LTE/LTE-A의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is may be a network structure of 3GPP LTE / LTE-A. The E-UTRAN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includes a base station 20 (BS) that provides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to a user equipment (UE) 10. do.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The terminal 10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called by other terms such as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mobile terminal (MT), and a wireless device. .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The base station 20 refers to a fixed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10, and may be referred to by other terms such as an evolved-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nd the like.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셀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릴레이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One or more cells may exist in one base station 20. In this case, the cell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mprehensive meaning representing a part of th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11 and encompasses various coverage areas such as a mega cell, a macro cell, a micro cell, a pico cell, a femto cell, and a relay.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traffic may be used between the base stations 20. The base stations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X2 interface.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AE 게이트웨이(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The base station 20 is connected to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through an Evolved Packet Core (EPC), more specifically, S1-MME through an S1 interface, and a Serving GateWay (S-GW) through S1-U. The S1 interface supports a many-to-many-rel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20 and the MME / SAE gateway 30.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다.Hereinafter, down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20 to the terminal 10, and up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terminal 10 to the base station 20. In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20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10. In addition, in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10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20.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functional split)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빗금 친 박스는 무선 프로토콜 계층(radio protocol layer)을 나타내고, 흰 박스는 제어 평면의 기능적 개체(functional entity)를 나타낸다. 각 기능적 개체의 기능을 설명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split between an E-UTRAN and an EPC. The hatched box represents the radio protocol layer and the white box represents the functional entity of the control plane. Describe the function of each functional entity.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The base station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허락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단말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능. (2) 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3) S-GW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4)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5)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6)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1) Radio resource management such as radio bearer control, radio admission control, connection mobility control, and dynamic resource allocation to a terminal ; RRM) function. (2) Internet Protocol (IP) header compression and encryption of user data streams. (3) Routing of user plane data to S-GW. (4) Scheduling and sending of paging messages. (5) Scheduling and transmission of broadcast information. (6) Set up measurements and measurement reports for mobility and scheduling.

MME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The MME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2) NAS 시그널링 보안(security). (3) 아이들 모드(idle mode) UE 도달성(Reachability), (4) 트랙킹 영역 리스트 관리(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5) 로밍(Roaming) 기능 (6) 인증(Authentication). (1) Non-Access Stratum (NAS) signaling. (2) NAS signaling security. (3) idle mode UE Reachability, (4) 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5) Roaming Functions (6) Authentication.

S-GW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S-GW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2) 합법적 감청(lawful interception). (1) mobility anchoring. (2) lawful interception.

P-GW(PDN-Gateway)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P-GW (P-Gateway)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단말 IP(Internet Protocol) 할당(allocation). (2) 패킷 필터링.(1) Terminal IP (Internet Protocol) allocation. (2) packet filtering.

도 3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데이터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architecture for a user plan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structure for a control plane. The data plane is a protocol stack for user data transmission, and the control plane is a protocol stack for control signal transmission.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3 and 4, a physical layer (PHY)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o a higher layer by using a physical channel.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which is a higher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 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 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 계층 사이는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물리 계층에서는 물리 제어 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 Data travels between the MAC and physical layers over the transport channel. Transport channe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how and with what characteristics data is transmitted over the air interface. Data moves between physical layers, that is, between physical layers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 the physical layer, a physical control channel may be us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informs the UE of resource allocation of Paging CHannel (PCH) and DownLink Shared CHannel (DL-SCH)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formation related to DL-SCH.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The PDCCH may carry an uplink scheduling grant informing the UE of resource allocation of uplink transmission.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The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informs the UE of the number of OFDM symbols used for PDCCHs and is transmitted every subframe.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PHICH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carries a HARQ ACK / NAK signal in response to uplink transmission.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carries up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HARQ ACK / NAK, scheduling request, and CQI for downlink transmission.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carries UL-SCH (UpLink Shared CHannel).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매핑 및 논리 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 채널 상으로 물리 채널로 제공되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Functions of the MAC layer include 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an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into transport blocks provided as physical channels on transport channels of MAC service data units (SDUs) belonging to the logical channels.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논리 채널은 제어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제어 채널과 사용자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로 나눌 수 있다.The MAC layer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The logical channel may be divided into a control channel for transmitting control region information and a traffic channel for delivering user region information.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을 포함한다. Functions of the RLC layer include 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 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 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In order to guarantee the various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d by the radio bearer (RB), the RLC layer uses a transparent mode (TM), an unacknowledged mode (UM), and an acknowledged mode. , Three modes of operation (AM). AM RLC provides error correction through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Functions of the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in the user plane include delivery of user data, header compression, and ciphering. Functions of the PDCP layer in the user plane include the transfer of control plane data and encryption / integrity protection.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The RRC (Radio Resource Control) layer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The RRC layer is responsible for the control of logical channels,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and release of radio bearers.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 refers to a logical path provided by the first layer (PHY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C layer, RLC layer, PDCP lay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The establishment of the RB means a process of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radio protocol layer and a channel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and setting each specific parameter and operation method.

RB는 다시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의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The RB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 signaling RB (SRB) and a data RB (DRB). The SRB is used a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RRC message in the control plane, and the DRB is used a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user data in the user plane.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non-access stratum (NAS) layer located above the RRC layer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한편, 이동 무선 통신의 셀 내에서 각 무선 링크의 품질은 빠르게 그리고 어느 정도는 무작위적으로 변화하며, 이런 변화는 통신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each radio link changes rapidly and to some extent randomly within the cell of mobile radio communication, and this change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communication system.

이런 무선 링크의 품질 변화를 다루기 위한 한 방법으로 스케줄러(Scheduler)가 있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러는 일반적으로, 채널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단말들이 공유 자원을 교대로 사용하는 RR(Round-Robin) 스케줄러, 절대적으로 가장 좋은 순방향 채널(Downlink Channel) 상태를 갖는 단말이 스케줄링되는 max-C/I 스케줄러(또는 maximum rate 스케줄러라고도 함), 공유 자원을 상대적으로 최고의 무선 링크 상태를 가진 단말에게 할당하되 단말 간 장기간의 서비스 품질 차이를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는 PF(Proportional-Fair) 스케줄러,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에서 주로 사용되는 greedy filling 스케줄러 등이 있다. A scheduler is one way to deal with this quality link change. The scheduler for the downlink is generally a round-robin scheduler in which terminals alternately use shared resources without considering the channel state, and the terminal with the absolute best downlink channel state is scheduled. -C / I scheduler (also known as maximum rate scheduler), a PF (Proportional-Fair) scheduler that allocates shared resources to the terminal with the highest radio link state but limits the long-term quality of service difference between terminals to a certain level or less. And the greedy filling scheduler, which is commonly used i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chemes.

전력자원이 기지국에 집중되어 있는 하향링크와 달리, 상향링크는 전력 자원이 단말들에게 나뉘어져 있다. 또한, 단일 단말의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출력보다 현저하게 낮다. 이런 점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은 하향링크 스케줄링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상술한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원리들은 일반적으로 상향링크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Unlike the downlink in which the power resources are concentrated in the base station, in the uplink, the power resources are divided among the terminals. In addition, the maximum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a single terminal is gener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utput of the base station. In this regard, uplink scheduling may be different from downlink scheduling, but the above-described scheduling principles for downlink may also be applied to uplink.

다양한 스케줄링 방식이 있지만, 스케줄링 알고리즘 또는 스케줄링 전략 자체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구현(implementation)의 문제이므로, 3GPP를 비롯해서 다른 규격에서도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표준화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거의 모든 서비스 제공자는 기지국 구축과 무선 통신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사용자 간에 적절한 QoS(Quality of Service)를 유지하면서 셀 내의 무선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모든 단말들에 대한 동일한 평균 사용자 스루풋(throughput) 혹은 적어도 모든 단말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최소 사용자 스루풋(throughput)을 보장하면서 단말들 사이의 채널 변화를 이용하여 비교적 유리한 채널 조건을 갖는 단말에게 스케줄링하는 것이 대부분 스케줄러들의 전반적인 목표가 된다.Although there are various scheduling schemes, the scheduling algorithm or the scheduling strategy itself is generally a matter of (base station) implementation, so other standards, including 3GPP, do not specifically standardize it. However, almost all service providers attempt to effectively use radio resources in a cell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quality of service (QoS) between users in base station constru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peration. Therefore, a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advantageous channel condition by using a channel change between terminals while guaranteeing the same average user throughput for all terminals or a certain minimum user throughput for at least all terminals. Scheduling is the overall goal of most schedulers.

이처럼, 채널의 상태가 스케줄링에 고려된다면 시스템 용량에서 상당한 이득을 볼 수 있다. 채널에 따른 스케줄링은 HSPA/HSUPA나 LTE 등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LTE의 경우에는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변화뿐만 아니라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변화까지 고려할 수 있다. As such, there may be a significant gain in system capacity if the state of the channel is taken into account for scheduling. Scheduling according to channels is used in HSPA / HSUPA or LTE. In case of LTE, not only the channel change in the time domain but also the channel change in the frequency domain can be considered.

하향링크에서 채널 상태에 따른 스케줄링을 하는 경우에, 단말을 채널 상태 보고(channel-status report)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상태 보고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순시 채널 품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다중화의 경우에는, 안테나 프로세싱을 위해 필요한 정보 역시 채널 상태 보고에 포함될 수 있다. In case of scheduling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in downlink, the terminal may transmit a channel-status report to the base station. The channel status report may include instantaneous channel quality in the time and / or frequency domain. In case of spatial multiplex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antenna processing may also be included in the channel status report.

채널 상태 보고는, 해당 단말에 DL-SCH 상으로 전송을 할 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단말이 판단한 전송 설정 및/또는 파라미터에 관한 보고이다. 단말은 하향링크 순시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전송 설정 및/또는 파라미터에 대해 판단한다. 채널 상태 보고는 설정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다음 지시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nnel status report is a report regarding transmission settings and / or parameters determined by the terminal to be suitable for use when transmitting the DL-SCH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UE determines transmission configuration and / or parameters based on the downlink instantaneous channel state. The channel status report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a setting, a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ndicators.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는 단말이 공간 다중화를 지원할 경우에만 전송되는 지시자로서, 채널의 랭크, 즉, 해당 단말로의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길 바라는 레이어(layer)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Rank indicator (RI) is an indicator transmitted only when the terminal supports spatial multiplexing,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rank of the channel, that is, the number of layers desired to be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do.

프리코더 행렬 지시자(Precoder Matrix Indicator: PMI)는 단말이 폐루프(closed-loop) 공간 다중화 모드인 경우에만 보고되는 지시자로서,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기를 바라는 프리코더 행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보고되는 프리코더 행렬은 랭크 지시자를 통해 보고하는 레이어의 수를 기반으로 정해진다.Precoder Matrix Indicator (PMI) is an indicator reported only when the UE is in a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mod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precoder matrix that is desired to be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this case, the reported precoder matrix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layers reported through the rank indicator.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Quality Indicator: CQI)는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길 바라는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을 알려준다.Channel-Quality Indicator (CQI) indicates a modulation scheme and coding rate that are desired to be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網)가 이 지시자들이 권고(recommand)하는 방식을 꼭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프리코더에 대하여,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이 채널 상태 보고를 따를 경우에는 프리코더 행렬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프리코더 설정이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만 해주면 된다.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이 채널 상태 보고를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되는 프리코더에 관한 정보를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에 명시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The base station or network does not necessarily follow the manner in which these indicators recommand. For example, when the base station or the network follows the channel status report, the precoder only needs to confirm that the precoder setting indicated by the precoder matrix indicator is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If the base station or network does not follow the channel status report, information about the precoder used should be explicitly included in the 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

LTE의 경우에 채널 상태 보고는 주기적(periodic)일 수도 있고, 비주기적(aperiodic)일 수도 있다. 비주기적인 경우에는,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명시적인 요청이 있을 때, 채널 상태 보고가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등에 채널 상태 보고를 요청하는 표시(flag)를 포함시켜 채널 상태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In the case of LTE, the channel status report may be periodic or aperiodic. In aperiodic cases, when there is an explicit request from a base station or network, a channel status report is sent to the base station or network. The base station or the network may request a channel status report by including a flag for requesting a channel status report in an uplink scheduling grant or the like.

주기적인 채널 상태 보고의 경우에는, 정해진 주기에 채널 상태 보고가 단말에서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상술한 서로 다른 정보들, 예를 들어 랭크 지시자, 프리코더 행렬 지시자, 채널 품질 지시자 등이 모두 같은 주기 또는 같은 회수로 보고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주기적인 채널 상태 보고는 PUCCH 물리 채널을 통해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로 전달될 수 있다.In the case of periodic channel status report, the channel status report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or the network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 above-mentioned different information, for example, rank indicator, precoder matrix indicator, channel quality indicator, etc., need not all be reported in the same period or the same number of times. In general, the periodic channel status report may be delivered to the base station or the network through the PUCCH physical channel.

채널에 따른 스케줄링은 일반적으로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지만,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에도 채널에 따른 스케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채널 상태에 따른 스케줄링을 하는 경우에, 기지국에서 채널 품을 추정하는데에는, 일반적으로 각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이용될 수 있다.Channel-based scheduling is generally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but channel-based scheduling may also be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In the case of scheduling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in the uplink,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transmitted from each terminal may be generally used for estimating the channel quality at the base station.

이처럼, 송신 측에서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은 전송 순간의 채널 상태를 반영하는 추정값이다. 즉, 순시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스케줄링하기 위해, 순시 채널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네트워크는 다른 목적을 위해서도 셀 내의 통신 상태를 알고 있어야 한다.As such, what is basically needed at the transmitting side is an estimate that reflects the channel state at the moment of transmission. That is, in order to schedule considering the instantaneous channel state, the instantaneous channel state information is required. However, the network must also know the state of communication within the cell for other purposes.

단말은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빙 셀(Serving Cell)의 통신 품질과 이 서빙 셀 주변의 이웃 셀(Neighbor Cell)의 통신 품질을 지속적으로 또는 특정 시점마다 측정한다. The terminal continuously or at a specific time point measure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a serving cell currently providing a service and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a neighbor cell around the serving cell.

단말은 측정한 셀들의 통신 품질을 네트워크의 요구나 단말 자신의 필요에 따라, 혹은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지시 등에 따라서 네트워크에 전달하고, 네트워크는 단말이 보고한 측정값에 기반해서 단말에게 핸드오버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는 단말이 측정한 해당 셀 내외의 통신 품질을 이용하여 단말의 이동성(mobility)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The terminal transmits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measured cells to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network, the terminal's own needs, or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or instructions, and the network sends a handover command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reported by the terminal. You can also get off. In this way, the network can effectively support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communication quality within and around the cell measured by the terminal.

하지만,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쓰이는 외에, 단말이 측정하는 네트워크의 통신 환경에 관한 측정값들을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용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However, in addition to being used to support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the measurement valu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network measured by the terminal may be used to construct and operate the network system.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사업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에, 단말의 무선 통화 품질이나 셀 반경과 관련한 통화권 이탈 여부나 커버리지(coverage hold) 등을 확인하여 기지국이나 셀 환경 등의 네트워크를 최적화한다. 예컨대, 기지국 신호의 세기를 파악하여 단말이 통화 가능한 위치를 파악하거나, 신호의 감쇠 등으로 인하여 단말이 통화가 어려워지는 위치를 파악하여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혹은 단말이 통화를 할 수 없는 위치인 음영 지역을 파악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비롯한 통신 품질의 측정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In general, a network operator optimizes a network such as a base station or a cell environment by confirming whether a coverage is lost or coverage hold related to a wireless call quality or a cell radius of a terminal when constru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can talk by identifying the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signal, or the terminal may identify the location where the call becomes difficult due to the attenuation of the signal, thereby effectively coping with this. Alternatively, a measurement value of communication quality including signal strength of a base station may be used to identify a shaded area that is a location where a terminal cannot make a call and to solve the problem.

도 5는 차량을 이용하여 무선 통화 품질 및/또는 커버리지 등을 측정하는 드라이빙 테스트(Driving Test)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네트워크 사업자 등은 구축된 기지국(500)의 통화권역, 즉 셀 내를 차량(510)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cept of a driving test for measuring wireless call quality and / or coverage using a vehicle. The network operator and the like move within the call area, that is, the cell, of the established base station 500 using the vehicle 510.

차량(510)의 이동 경로(520)에서 볼 수 있듯이, 차량(510)은 셀 내의 가능한 모든 곳을 거치면서 탑재하고 있는 단말 등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통화 품질을 수집한다. 셀 내의 통화 품질은 셀 내의 건물(530) 배치나 지형적인 높낮이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한다. 이를테면, 통화 가능한 지역(540, 550)이 있는 반면에, 통화 음영 지역(560)이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통화 가능한 지역 중에서도, 통화 품질이 좋은 지역(540)이 있을 수 있고, 통화 품질이 나쁜 지역(550)이 있을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he movement path 520 of the vehicle 510, the vehicle 510 collects call quality in a corresponding region by using a terminal mounted while going through all possible places in the cell. The call quality in the cell varies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layout of buildings 530 in the cell or the top and bottom of the terrain. For example, there may be callable areas 540 and 550, while there may be call shadowed areas 560. Furthermore, there may be regions 540 with good call quality, and regions 550 with poor call quality, among the callable areas.

일반적으로 통화 품질은 기지국(500)과의 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통화 품질이 좋은 지역(540)은 통화 품질이 나쁜 지역(550)보다 기지국(500)에 더 가까우므로, 송신 전력의 관점에서 통화 품질이 더 좋을 것으로 미리 예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통화 품질 또는 통화 상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건물(530)과 같은 지형적인 영향을 고려했을 때, 실제 지역별 통화 품질은 예상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하게 건물들 사이에 위치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이지만, 통화 음영 지역(560)일 수 있다. In general, call qual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500. For example, since the region 540 having a good call quality is closer to the base station 500 than the region 550 having a poor call quality, the call quality may be expected to be better in terms of transmission power. However, as mentioned above, call quality or call condition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Given topographical influences, such as building 530, actual regional call quality may be different than expected. For example, it may be the same, located between the buildings, not far from the base station, but in the call shading area 560.

따라서 네트워크를 실제로 최적화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내의 통신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셀 내의 필요한 모든 곳을 드라이빙 테스트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actually optimize the network,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the network is required. This requir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to drive the test wherever needed in the cell.

차량 등을 통해 셀 내의 가능한 모든 지역을 직접 이동해가면서 통화 품질을 측정하지 않고도, 네트워크 내의 통신 환경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드라이빙 테스트를 최소화하면서 네트워크 내의 통화 품질 등을 측정하는 방식(Minimization Driving Test: MDT, 이하 ‘MDT’라 함)을 고려할 수 있다. Considering how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 network without having to measure the call quality by moving all the possible areas in the cell directly through a vehicle or the like. That is, a method of measuring call quality in a network while minimizing driving test (Minimization Driving Test: MDT, hereinafter referred to as “MDT”) may be considered.

도 6은 MDT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통신 환경 즉, 무선 통화 품질 및/또는 커버리지 등을 측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measur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a network, that is, wireless call quality and / or coverage using MDT.

차량 등으로 직접 이동하면서 셀 내 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각 단말이 측정해서 보고하는 셀 내 여러 위치에서의 통신 품질을 통해 무선 통신 환경과 커버리지 상황을 확인한다. 여러 지역에 산재한 단말들에서 측정한 값을 활용함으로써 실제 드라이빙 테스트와 유사하게, 셀 내에서 단말의 통화가 가능한 지역, 신호의 감쇄 등에 의해 단말의 통화가 어려운 지역 혹은 단말의 통화가 불가능한 지역 등을 파악할 수 있다.Minimize the measurement of the call quality in the cell while moving directly to the vehicle, etc., and confirm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coverage situ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quality at various locations in the cell measured and reported by each terminal. Similar to the actual driving test by using the values measured by terminals scattered in various regions, the region where the terminal can make a call or the region where the terminal cannot make a call due to signal attenuation, etc. are similar to the actual driving test. I can figure it out.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셀 내에 산재한 다수의 단말(600)을 이용함으로써, 측정 차량(510)은 최소한의 경로(560)만 이동하면 된다.Referring to FIG. 6, by using a plurality of terminals 600 interspersed in a cell to measure wireless call quality, the measurement vehicle 510 needs only to move a minimum path 560.

이동하는 차량(510)에서 수행하는 측정 외에, 무선 환경에 대한 측정은 셀 내의 여러 곳에 있는 다수의 단말에서 수행된다. 각각의 단말은 MDT 설정에 따라 현재 위치에 따른 무선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measurements performed by the moving vehicle 510, measurements for the wireless environment are performed at multiple terminals in various places in the cell. Each terminal can measure the radio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the MDT configuration.

이때, 단말이 MDT를 위하여 무선 환경을 측정한 정보를 로그(Log)라고 한다. 단말은 무선 통신 환경의 상태를 측정할 때마다 로그를 계속 축적해서 새로운 로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은 현재 자신이 MDT 수행을 통해 축적된 로그(Log)를 가지고 있는 상태임을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로그에 대한 정보를 요구 받은 경우, 해당 로그 정보를 해당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rminal for the MDT wireless environment is called a log. The terminal may continuously accumulate logs and store them in a new log form whenever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measured. The terminal may transmit to the network or the base station that it currently has a log (Log) accumulated by performing the MDT.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log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or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log information to the network or the base station.

도 7은 MDT 설정(MDT Configuration)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순서도이다. 네트워크(Network)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구성한다(S710). 이때 네트워크는 단순한 망 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아니라, 기지국(eNB) 또는 기지국 상위의 3GPP의 UTRAN, LTE의 E-UTRAN, WCDMA의 UMTS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단순한 망 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아니라, 기지국(eNB) 또는 기지국 상위의 3GPP의 UTRAN, LTE의 E-UTRAN, WCDMA의 UMTS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서 MDT 설정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도 있고, 기지국 상위에서 MDT 설정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MDT configuration method. The network configures MDT setting parameters (S710). In this case, the network is not a simple network or a core network, but a concept including all of a base station eNB or a base station 3GPP UTRAN, LTE E-UTRAN, WCDMA UMTS.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etwork may not be a simple network or a core network, but may be used as a concept including all of a base station eNB or a base station 3GPP UTRAN, LTE E-UTRAN, WCDMA UMTS, and the like. Therefore,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configured at the base station, or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configured at the base station.

네트워크에서 구성되는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의 대상(Measurement Object), MDT 측정의 기간(duration), MDT 측정의 주기(period), 로그의 보고(report) 방식, 로그의 보고 주기, 기지국의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s configured in the network include the measurement object of MDT measurement, the duration of MDT measurement, the period of MDT measurement, the report method of log, the reporting period of log, the time of base station, etc. It may contain information about.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 또는 통화 품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단말(UE)이 측정해야 하는 대상을, MDT 측정의 대상에 관한 파라미터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MDT 측정 대상은 서빙 셀의 신호 품질에 한정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이웃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세기까지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The network may set, through a parameter about an object of MDT measurement, an object to be measured by the UE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communication state or call quality of the network. The MDT measurement target may be limited to the signal quality of the serving cell and may be set to include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neighboring cell as needed.

네트워크는, MDT 측정이 이루어지는 기간(duration)과 해당 측정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측정의 주기(period)를, MDT 측정의 기간과 주기에 관한 파라미터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소정의 기간 동안 MDT 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종료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일정한 시간마다 소정의 기간 동안 MDT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network may set the duration of the MDT measurement and the period of measurement performed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through parameters related to the duration and the period of the MDT measurement. In this regard, it may be set to perform the MDT measurem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o terminate it, or may be set to perform the MDT measurem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periodically at regular intervals.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로 MDT 측정의 결과를 전달하는 방식을, 로그의 보고 방식에 관한 파라미터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로그 정보의 보고는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로그의 보고를 요구(request)한 때 단말이 네크워크로 로그 정보를 보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단말은 현재 자신이 MDT 수행을 통해 축적된 로그를 가지고 있는 상태임을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로그에 대한 상태를 파악한 후에 단말에게 로그의 보고를 요구(request)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명시적인 요구(request)가 없더라도, MDT 측정을 시작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뒤에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로그 정보를 보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로그 정보를 주기적으로 일정한 시간마다 보고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network may set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result of the MDT measurement from the terminal to the network through a parameter related to a log reporting method. The reporting of the log information may take a manner in which the terminal reports the log information to the network when the network requests the report of the log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transmit to the network or the base station that it currently has a log accumulated through the MDT. The network may request the report of the log from the terminal after grasping the state of the log of the termi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request from the network,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MDT measurement, the terminal may take a method of reporting log information to the network. In addition, log information may be periodically reported at regular intervals.

네트워크는 로그 정보의 보고를 일정한 시간마다 하도록 설정한 경우에, 로그의 보고 주기에 관한 파라미터를 통해, 로그 정보의 보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상술한 MDT 측정 대상별로 MDT를 수행하고, MDT 측정 대상마다 로그 정보의 보고 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상술한 MDT 측정 대상 중 일부에 관한 로그는 주기적으로 보고하고, 일부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명시적인 요구가 있을 때에만 보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When the network is configured to report the log information every fixed time, the network may set the report period of the log information through a parameter related to the report period of the log. In this case, the network may perform the MDT for each of the MDT measurement targets described above, and set a reporting period of log information differently for each MDT measurement target. In addition, the network may be configured to periodically report the log of some of the above-described MDT measurement targets, and some only to report when there is an explicit request from the network.

네트워크는 기지국의 시간에 관한 파라미터를 통해, MDT 측정값에 관한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The network may set a reference time for the MDT measurement through a parameter regarding the time of the base station.

여기에서는 MDT 설정에 관련된 일부 파라미터를 설명하였으나, MDT 설정에 관한 파라미터는 상술한 파라미터 외에도 네트워크 최적화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로그의 보고 방식과 관련하여, 네트워크로부터 명시적인 로그의 보고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로그를 보고하도록 설정하였으나, 네트워크로부터의 명시적인 요구가 없을 때, 그동안 축적한 로그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MDT 설정 파라미터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거나, 기존의 MDT 설정 파라미터에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를 추가할 수도 있다. Although some parameters related to the MDT setting have been described herein,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MDT setting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eeds of network optimiz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arameters. For example, in relation to the log reporting method, the log is reported only when there is an explicit request for reporting the log from the network. However, when there is no explicit request from the network, a parameter regarding how to handle the accumulated log has been reported. You can also set In addition, an existing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modified or deleted, or a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added to the existing MDT configuration parameter.

기지국은 MDT 설정값을 로그 설정 요구(Log Configur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UE)에 전송한다(S720).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단말에서 MDT 측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MDT 측정을 개시하도록 하는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MDT 측정을 개시하도록 하는 지시자일 수도 있다. The base station includes the MDT setting value in a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UE) (S720).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ncludes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measuring the MDT in the terminal. The log setup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n indicator to initiate the MDT measurement.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may also be an indicator for initiating MDT measurement.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MDT 설정 파라미터, 예컨대 MDT 측정의 대상(Measurement Object), MDT 측정의 기간(duration), MDT 측정의 주기(period), 로그의 보고(report) 방식, 로그의 보고 주기, 기지국의 시간 등의 MDT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may include the MDT setting parameter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measurement object of MDT measurement, a duration of MDT measurement, a period of MDT measurement, a report method of log, a log of It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s such as the reporting period, the time of the base station.

단말(UE)은 기지국으로부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MDT 설정에 따라서 로그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S730). The terminal UE may receive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and set a lo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MDT setting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S730).

로그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네트워크는 단말에 로그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S740). 네트워크로부터 로그 정보 요구를 수신한 단말은 작성된 로그를 기반으로 로그 정보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S750). 혹은 단말은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따라 로그하여 최종으로 얻은 로그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며 저장된 로그 정보를 바로 로그 정보 리포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말은 작성된 로그 정보 리포트를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S760). 여기서,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로그 정보 요구(request)가 있는 경우에만 로그 리포트를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네트워크로부터의 명시적인 로그 정보 요구가 없더라도 로그 정보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If log information is needed, the network may request lo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740). Upon receiving the log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network, the terminal may create a log information report based on the created log (S750). Alternatively, the terminal stores the log obtained by logging according to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and may use the stored log information as a log information report. Subsequently,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generated log information report to the network (S760). Here, th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as delivering the log report to the network only when there is a log information request (request) from th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ccording to the preset conditions, the explicit log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network Log information can be reported to the network even if it is not present.

도 8은 주기적 MDT에서 로그를 형성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8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forming a log in periodic MDT.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MDT 측정 기간(Ton) 동안, MDT 측정 주기(TM)에 따라서, 매 측정 시점(T1~T5)에 네트워크 통신 환경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 MDT 측정 기간 및/또는 MDT 측정 주기는 주기적 MDT의 설정 파라미터로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during the MDT measurement period T on , the UE performs measurement for the network communication environment at every measurement time point T 1 to T 5 according to the MDT measurement period T M. The MDT measurement period and / or MDT measurement period may be configured by the network as a setting parameter of the periodic MDT.

도 8의 예에서는 MDT 측정 주기(TM)가 페이징 DRX 사이클(Td)의 배수로 설정되어 있다. 단말 수신회로에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LTE 등에서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을 지원하며, HSPA 등에서는 CPC(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기능이 이에 대응한다. DRX 사이클이 지정되면 단말은 한 DRX 사이틀 당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관찰하며, 다른 서브프레임에서는 슬립 모드(sleep mode)를 유지한다. 주기적 MDT에서 이 DRX 사이클을 MDT 측정 주기 설정의 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8, the MDT measurement period T M is set to a multiple of the paging DRX cycle T d .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the terminal reception circuit, LTE supports Discontinuous Reception (DRX), and HSPA, etc., corresponds to a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CPC) function. If a DRX cycle is specified, the UE observes downlink control signaling in one subframe per DRX cycle and maintains a sleep mode in another subframe. In periodic MDT, this DRX cycle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setting MDT measurement cycle.

단말은 MDT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측정을 하고, 측정 정보인 로그(Log)를 작성한다. 매 측정 시마다 로그는 계속 축적되어 새로운 로그 형태로 단말에 저장된다. 도 8에 도시된 로그의 일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로그에는 각각의 로그를 구별하기 위해 측정 시점에 따른 로그 넘버가 표시될 수 있으며, 측정한 무선 통신 환경의 값과 측정 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 측정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통신 환경에 대한 측정값, 타임스탬프, 그리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로그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easures the network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MDT setting, and creates a log, which is measurement information. At every measurement, the log is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terminal in a new log form. As shown in the example of the log shown in FIG. 8, a log number according to a measurement time point may be displayed in the log to distinguish each log, a timestamp for a value of a measured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 measurement time, Measurem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Herein, it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a measurement value, a time stamp,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log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s necessary.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운용되는 주기적(periodic) MDT의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단말이 네트워크 통신 품질을 측정하고 로그를 작성/저장/관리한다. In the case of the periodic MDT periodically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measures the network communication quality and creates / stores / manages logs according to the preset period during the preset period.

이런 주기적 MDT와 함께, 셀 내의 통화 품질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는 MDT를 이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With this periodic MDT, one may consider using an MDT triggered by an event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call quality in the cell.

도 9는 이벤트 트리거 MDT(Event Triggered MDT))의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n event triggered MDT (Event Triggered MDT).

네트워크는 이벤트 트리거 MDT의 방식을 설정한다(S910). 이때 네트워크는 단순한 망 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아니라, 기지국(eNB) 또는 기지국 상위의 3GPP의 UTRAN, LTE의 E-UTRAN, WCDMA의 UMTS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MDT 설정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기지국에서 구성할 수도 있고, 기지국 상위에서 구성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이벤트 트리거 MDT를 주기적 MDT과 구별되는 별도의 설정으로 할 수도 있고, 주기적 MDT의 설정을 통해 이벤트 트리거 MDT를 설정할 수도 있다. The network sets the method of event trigger MDT (S910). In this case, the network is not a simple network or a core network, but a concept including all of a base station eNB or a base station 3GPP UTRAN, LTE E-UTRAN, WCDMA UMTS. Therefore,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MDT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at the base station or may be configured at the base station. The network may set the event trigger MDT to be set separately from the periodic MDT, or may set the event trigger MDT through the setting of the periodic MDT.

이벤트 트리거 MDT를 설정하기 위해 구성되는 파라미터는 트리거링 이벤트(Triggering Event)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트리거 MDT를 설정하기 위해 구성되는 파라미터는 로그 작성 및/또는 로그 정보 보고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parameter configured to set the event trigger MD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type of triggering event. In addition, the parameter configured to set the event trigger MD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logging and / or reporting log information.

MDT 측정에 대한 트리거링 이벤트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이 중에서 필요에 따라 원하는 트리거링 이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트리거 MDT가 이용될 수 있는 이벤트로서 단말의 위치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단말에서 측정하는 네트워크 상태가 변하는 경우, 단말의 동작 또는 기지국의 동작이 실패한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There can be various triggering events for the MDT measurement, and the network can select the desired triggering event from among them. 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updated as an event that can use the event trigger MDT, the network state measured by the terminal change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or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may be considered.

네트워크는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 파라미터를 로그 설정 요구(Log Configur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UE)에 전송한다(S920).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 MDT 측정을 개시하도록 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 MDT 측정을 개시하도록 하는 지시자일 수도 있다. 여기서는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아닌 다른 메시지에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시켜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 파라미터만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 파라미터를 전송할 때, 필요에 따라 이 전송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별도로 통지할 수도 있다.The network includes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parameter in a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UE (S920). The log setup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n indicator to initiate an event trigger MDT measurement. In addition,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may be an indicator for initiating event trigger MDT measurement. Here,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parameter, bu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y including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parameter in a message other than the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In addition, the network may configure and send a message including only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parameter to the terminal. When the network transmits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parameter, the network may separately notify the terminal of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if necessary.

단말(UE)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반해서 로그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S930). 수신한 메시지가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에 관련된 파라미터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에 기반한 로그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한 메시지가 예컨대,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이고,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의 MDT 설정에 기반한 로그 환경을 설정함과 함께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에 기반한 로그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The UE may set a log environment based on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930). If the received message includes only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event trigger MDT setting, a log environment based on the event trigger MDT setting may be set. If the received message is, for example,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and includes a parameter related to the event trigger MDT setting, the log environment based on the MDT setting of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s set and the log environment based on the event trigger MDT setting is set. Can be set.

네트워크는 로그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단말에 대해 로그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S940). 네트워크로부터 로그 정보 요구를 수신한 단말은 작성된 로그를 기반으로 로그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S950). 이어서, 단말은 작성된 로그 리포트를 네트워크에 전달한다(S960). 로그 리포트는 단말이 설정된 로그를 통해 저장된 최종 로그 정보 일 수도 있다.If log information is needed, the network may request lo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940). Upon receiving the log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network, the terminal may create a log report based on the created log (S950). Subsequently, the terminal delivers the generated log report to the network (S960). The log report may be final log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log set by the terminal.

여기서는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로그 정보 요구(request)가 있는 경우에 로그 리포트를 네트워크에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네트워크로부터의 명시적인 로그 정보 요구가 없더라도 로그 정보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Herein, the terminal transmits a log report to the network when there is a log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networ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log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network. Log information can be reported to the network.

이벤트 트리거 MDT는 상술한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MDT 측정을 수행한다.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규칙 또는 지시에 따라서 MDT 측정을 하고 로그를 작성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기지국이나 네트워크로부터의 명확한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MDT 측정을 하고 로그를 작성할 수도 있다. The event trigger MDT performs MD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above-described triggering event. When the triggering event occurs,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MDT measurement and lo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rule or instruction. Or, when a triggering event occurs, MDT measurements and log generation may be made only when there is a clear request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network.

이벤트 트리거링 MDT의 경우에도, 네트워크가 단말에 로그의 보고를 요구(request)한 때 이에 대응하여 단말이 네크워크에 로그 정보를 보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로부터의 명시적인 요구(request)가 없더라도, MDT 측정을 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로그 정보를 보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In the event triggering MDT, when the network requests a report of the log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report the log information to the network in response thereto.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request from the network, log information may be reported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MDT measuremen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가 MDT 측정을 요구할 수 있는 트리거링 이벤트는 다양하게 존재하며, 네트워크는 이 중에서 필요에 따라 원하는 트리거링 이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트리거링 이벤트의 예로서 (1) 단말의 위치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2) 단말에서 측정하는 네트워크 상태가 변하는 경우, (3) 단말의 동작 또는 기지국의 동작이 실패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various triggering events in which the network may require MDT measurement, and the network may select a desired triggering event from among them. Hereinafter, as an example of a triggering event, (1) the case w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updated, (2) the case where the network state measured by the terminal changes, and (3)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or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fails.

(1) 단말의 위치 정보가 갱신된 경우.(1)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updated.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network-based) 방법과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네트워크에 기반한 방법의 측위 방식에 관한 기본 원리로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AOA(Angle of Arrival)와 RF 핑거프린트(Fingerprint)가 있으며, 핸드셋에 기반한 방법의 측위 방식에 관한 기본 원리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는 TOA(Time of Arrival)가 있다. 또한 이러한 측위 방식의 기본 원리들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측위 방식이 있다.Method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network-based method and a handset-based metho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ositioning method of the network-based method are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Angle of Arrival (AOA) and RF Fingerprint (RF Fingerprint). There is a Time of Arrival (TOA)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re is also a hybrid positioning method that combines the basic principles of such a positioning method.

두 개의 신호원으로부터 전파 도달 시각의 상대적인 차를 관찰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인 OTDOA(Observed TDOA)에 기반한 측위 방식이 표준화되었다. LTE에서는 LPP(LTE Positioning Protocol)을 이용한 위치 확인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WCDMA에서는 단말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method based on Observed TDOA (OTDOA), which measures the position by observing the relative difference of the radio wave arrival time from two signal sources, has been standardized. In LTE, a positioning method using an LTE Positioning Protocol (LPP) is used. In WCDMA,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can be confirmed using the terminal positioning method.

단말은 위치(position)나 측위(positioning)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등과 위치 정보나 위치 갱신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연결 설정(connection or session)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기지국 및/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서버일 수 있다. The terminal may have a connection or session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 update information, such as a network that provides a service based on position or positioning. Here, the network may be a server of a base station and / or location based service.

이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거나 새롭게 위치 정보 서비스를 받아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와 같이, 단말의 위치 정보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에, 단말은 상술한 연결 설정 등을 통해 변경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hanges, such as when the location is changed due to movement o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ewly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the terminal may acquire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setting. do.

단말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단말은 이를 MDT 측정을 위한 트리거링 이벤트로 보고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MDT 측정을 수행한 단말은 측정한 정보에 대한 로그를 작성한다. 로그는 측정 시의 위치 정보와 시간 스탬프(time stamp)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the terminal may report this as a triggering event for MDT measurement and perform MDT measurement. The terminal performing the MDT measurement creates a log of the measured information. The log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stamp at the time of measurement.

위치 정보의 변경을 트리거링 이벤트로 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통지하고, 이에 대하여 네트워크로부터 이벤트 트리거링 MDT 설정에 관한 파라미터로서 위치 정보 변경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MDT 측정을 할 수 있다. When the chang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used as a triggering event, the terminal notifies the network, and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a parameter about the location information change as a parameter related to event triggering MDT setting from the network and performs MDT measurement. .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위치 정보 변경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도, 위치 정보 변경을 트리거링 이벤트로 이용하여 MDT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는 위치 정보 변경에 관한 파라미터 대신 위치 정보 변경을 트리거링 이벤트로 이용하겠다는 지시만 단말에 전달하여 MDT 측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DT measurement may be perform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hange as a triggering event without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a parameter regar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hange from the network. In this case, the network may transmit only an instruction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change as a triggering event instead of a parameter rela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change to the terminal so that the MDT measurement is performed.

또한, 단말과 기지국 또는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위치 정보의 변경이 있으면 이를 트리거링 이벤트로 하겠다는 소정의 규정 또는 지시가 미리 있었던 때에는, 위치 정보의 변경 정보를 단말이 획득함과 함께 MDT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rule or instru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o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acquires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MDT measurement. It may be.

(2) 측정에 기반한 트리거링 이벤트(2) triggering events based on measurements

단말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혹은 특정 상황에서 측정(Measurement)을 통해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신호의 세기 또는 신호의 품질 등과 같은 무선 통신 상태를 파악한다. 이 단말의 지속적인 신호 측정(measurement) 동작을 기반으로, 단말 또는 네트워크는 단말에서 발생하는 특정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 특정 상황을 트리거링 이벤트로 설정하여, MDT 측정을 수행하고 그 측정값을 로그로 작성할 수 있다. 어떤 상황을 트리거링 이벤트로 볼 것인지는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The terminal continuously detects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such as signal strength or signal quality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measur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in a specific situation. Based on the continuous signal measurement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or the network can identify a specific situation occurring in the terminal, and set the specific situation as a triggering event to perform MDT measurement and log the measured value as a log. I can write it. Which situation to view as the triggering event may be set in adv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예를 들어, 단말은 DRX 주기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8과 같이, 트리거링 이벤트에 대한 측정의 주기를 DRX 주기의 배수로 설정한 경우에, 단말은 트리거링 이벤트 발생을 체크하는 주기마다,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ed) 방식의 MDT 로그(Log)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조건으로서 미리 설정된 트리거링 이벤트에 대한 문턱값(threshold) 혹은 오프셋(offset) 등 다양한 값이 이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measure whether a triggering event occurs continuously using a DRX cyc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period of measurement for the triggering event is set to a multiple of the DRX period,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condition that the triggering event has occurred is satisfied every time the triggering event is checked, and triggering is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an event triggered MDT log may be generated. In this case, as a condition for determining that the triggering event has occurred, various values such as a threshold or an offset with respect to the preset triggering event may be used.

측정에 기반한 트리거링 이벤트로서,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 변화를 생각할 수 있다. 단말 등이 측정하는 네트워크의 상태 등에 대한 측정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아지는지 혹은 커지는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 통신 상태 변화에 대한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 조건으로 활용할 수 있다. As a triggering event based on measurements, one can think of a change in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network.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network measured by the terminal, etc. is smaller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may be used as a condition for generating a triggering event for a network communication state change.

이하 서빙 셀의 네트워크 상태 등에 대한 측정치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커지는 경우,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그리고 이웃 셀에 대한 측정치와 비교하여 소정의 오프셋보다 그 차이가 커지는 경우를 트리거링 이벤트의 예로서 설명한다.
Hereinafter, when a measurement value for a network state of a serving cell or the like become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value that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a difference tha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offset in comparison with a measurement value for a neighboring cell are examples of triggering events. Explain.

- 트리거링 이벤트 1 : 네트워크 상태 등에 관한 측정값이 소정 문턱값(Threshold) 보다 큰 경우-Triggering event 1: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network status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네트워크 상태 등에 관해 단말이 측정한 측정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 경우를 트리거링 이벤트 1으로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ed) MDT 설정 파라미터(configuration parameter)로는 이벤트 유형(type), 해당 이벤트 유형의 문턱값, 해당 이벤트 유형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 등이 있다. The case where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terminal regarding the network state or the lik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will be described as the triggering event 1. In this case, event triggered MDT configuration parameters include an event type, a threshold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 hysteresis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nd the like.

미리 설정된 문턱값보다 측정값이 큰 경우에 트리거링 이벤트 1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measured value is larger than the preset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riggering event 1 has occurred.

트리거링 이벤트 1은 다양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유형이 신호 세기의 변화인 경우에, 이동하는 단말을 통해 신호 세기를 측정해서, 신호의 세기가 약한 지역에서 신호의 세기가 소정 값 이상인 지역으로 변경되는 경계 즉,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해당 셀의 커버리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벤트 유형이 신호 세기의 변화라면, 소정의 신호 세기를 문턱값(Threshold)로 설정하고,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문턱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Triggering event 1 may be used in various cases. For example, when the event type is a change in signal strength, the signal strength is measured by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boundary of the signal strength is changed from an area where the signal strength is weaker to an area where the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it may be used to check the coverage of the cell. As such, if the event type is a change in signal strength, the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may be set as a threshold, and whether or not a triggering event is generated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hreshold and the measured value.

이벤트 트리거 MD 설정 파라미터, 예컨대 이벤트 유형(type), 해당 이벤트 유형의 문턱값, 해당 이벤트 유형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 등은 네트워크(기지국 혹은 제어국) 등에서 설정할 수 있다.The event trigger MD configuration parameter, for example, an event type, a threshold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 hysteresis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nd the like may be set in a network (base station or control station).

트리거링 이벤트 1에서 트리거링 조건을 설명한다. Triggering Condition 1 describes the triggering conditions.

(a) Ms ≥ Thresh 혹은 Ms > Thresh (a) M s ≥ Thresh or M s > Thresh

이때, Ms는 서빙 셀에 대한 해당 이벤트 유형의 측정값으로서 예컨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일 수도 있으며, Thresh는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문턱값이다. 트리거링 조건 (a)의 경우에는 Ms값이 문턱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Ms값이 문턱값보다 큰 경우 트리거링 이벤트 1이 발생한 것으로 본다.In this case, M s may be, for example,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r a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s a measurement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for the serving cell, and Thresh is a corresponding event. The threshold for the type. In the case of the triggering condition (a), when the M s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or when the M s valu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triggering event 1 i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b) Ms - Hys > Thresh : 이벤트 트리거링 시작(b) M s -Hys> Thresh: Start event triggering

Ms + Hys < Thresh : 이벤트 트리거링 종료M s + Hys <Thresh: End event triggering

이때, Ms는 서빙 셀에 대한 해당 이벤트 유형의 측정값으로서 예컨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일 수도 있으며, Thresh는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문턱값이다. Hys는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값이다. In this case, M s may be, for example,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r a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s a measurement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for the serving cell, and Thresh is a corresponding event. The threshold for the type. Hys is the hysteresis value for that event type.

트리거링 조건 (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s 값과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의 차가 Thresh 보다 크면 이벤트 트리거링이 시작되며, Ms값과 히스테리시스 값의 합이 Thresh 보다 작으면 이벤트 트리거링이 종료한다.
When using the triggering condition (b), M s Value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hysteresis value is greater than Thresh, the event triggering starts. If the sum of the M s value and the hysteresis value is smaller than Thresh, the event triggering ends.

- 트리거링 이벤트 2 : 네트워크 상태 등에 관한 측정값이 소정 문턱값(Threshold) 보다 작은 경우-Triggering event 2: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network status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네트워크 상태 등에 관해 단말이 측정한 측정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를 트리거링 이벤트 2로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ed) MDT 설정 파라미터(configuration parameter)로는 이벤트 유형(type), 해당 이벤트 유형의 문턱값, 해당 이벤트 유형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 등이 있다. The case where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terminal regarding the network state or the lik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will be described as the triggering event 2. FIG. In this case, event triggered MDT configuration parameters include an event type, a threshold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 hysteresis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nd the like.

미리 설정된 문턱값보다 측정값이 큰 경우에 트리거링 이벤트 2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value is larger than the preset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riggering event 2 has occurred.

트리거링 이벤트 2은 다양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유형이 신호 세기의 변화인 경우에, 이동하는 단말을 통해 신호 세기를 측정해서, 신호의 세기가 강한 지역에서 신호의 세기가 소정 값 이하인 지역으로 변경되는 경계 즉,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해당 셀의 커버리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벤트 유형이 신호 세기의 변화라면, 소정의 신호 세기를 문턱값(Threshold)로 설정하고,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문턱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Triggering event 2 may be used in various cases. For example, when the event type is a change in signal strength, the signal strength is measured by a moving terminal, so that the boundary of the signal strength is changed from an area where the signal strength is strong to an area where the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corresponding. It may be used to check the coverage of the cell. As such, if the event type is a change in signal strength, the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may be set as a threshold, and whether or not a triggering event is generated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hreshold and the measured value.

이벤트 트리거 MD 설정 파라미터, 예컨대 이벤트 유형(type), 해당 이벤트 유형의 문턱값, 해당 이벤트 유형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 등은 네트워크(기지국 혹은 제어국) 등에서 설정할 수 있다.The event trigger MD configuration parameter, for example, an event type, a threshold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 hysteresis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nd the like may be set in a network (base station or control station).

트리거링 이벤트 2에서 트리거링 조건을 설명한다. Triggering condition will be described in Triggering Event 2.

(a) Ms ≤ Thresh 혹은 Ms < Thresh (a) M s ≤ Thresh or M s <Thresh

이때, Ms는 서빙 셀에 대한 해당 이벤트 유형의 측정값으로서 예컨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일 수도 있으며, Thresh는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문턱값이다. 트리거링 조건 (a)의 경우에는 Ms값이 문턱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또는 Ms값이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트리거링 이벤트 2가 발생한 것으로 본다.In this case, M s may be, for example,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r a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s a measurement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for the serving cell, and Thresh is a corresponding event. The threshold for the type. In the case of the triggering condition (a), it is assumed that the triggering event 2 occurs when the M s valu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or when the M s value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b) Ms + Hys < Thresh : 이벤트 트리거링 시작(b) M s + Hys <Thresh: Start event triggering

Ms - Hys > Thresh : 이벤트 트리거링 종료M s -Hys> Thresh: Event triggering ends

이때, Ms는 서빙 셀에 대한 해당 이벤트 유형의 측정값으로서 예컨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일 수도 있으며, Thresh는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문턱값이다. Hys는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값이다. In this case, M s may be, for example,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r a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s a measurement value of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for the serving cell, and Thresh is a corresponding event. The threshold for the type. Hys is the hysteresis value for that event type.

트리거링 조건 (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s 값과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의 합이 Thresh 보다 작으면 이벤트 트리거링이 시작되며, Ms값과 히스테리시스 값의 차가 Thresh 보다 크면 이벤트 트리거링이 종료한다.
When using the triggering condition (b), M s Value and Event triggering starts when the sum of hysteresis values is smaller than Thresh. Event triggering end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M s value and hysteresis value is larger than Thresh.

- 트리거링 이벤트 3 : 네트워크 상태 등에 관한 측정값이 이웃 셀(neighbor cell)에 대한 측정값과 소정 오프셋 이상 차이 나는 경우-Triggering event 3: When the measured value regarding the network state and the like difference from the measured value for the neighbor cell (Neighbor cell)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offset

네트워크 상태 등에 관해 단말이 측정한 측정값이 이웃 셀에 대한 측정값과 소정의 오프셋 이상 차이 나는 경우를 트리거링 이벤트 3으로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ed) MDT 설정 파라미터(configuration parameter)로는 이벤트 유형(type), 해당 이벤트 유형에 관하여 이웃 셀들의 측정치에 대한 소정의 오프셋값 등이 있다.A case in which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terminal regarding the network state or the like is different from the measured value for the neighbor cell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offset will be described as the triggering event 3. In this case, the event triggered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include an event type,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of a measurement of neighbor cells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nd the like.

이 트리거링 이벤트 3은 서빙 셀로부터 이웃 셀로 단말이 핸드오버하는 위치와 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한 이벤트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서빙 셀에 대한 측정값이 이웃 셀에 대한 측정값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오프셋보다 큰 경우에 이벤트가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이 이동하면서 측정한 네트워크 상태 등에 관한 측정값, 예를 들어, 무선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이 현재의 서빙 셀보다 이웃 셀의 값이 더 큰 경우에 이벤트가 트리거링될 수 있다.The triggering event 3 may be used as an event for identifying a position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UE handovers from the serving cell to the neighboring cell. The event can be triggered if it is greater than the offset. For example, an event may be triggered when a measurement value regarding a network state measured while the terminal moves, for example, a measurement value for a strength of a radio signal is larger than that of a current serving cell.

이벤트 트리거 MD 설정 파라미터, 예컨대 이벤트 유형(type), 해당 이벤트 유형에 관하여 이웃 셀들의 측정치에 대한 소정의 오프셋값 등은 네트워크(기지국 혹은 제어국) 등에서 설정할 수 있다.The event trigger MD configuration parameter, for example, the event type,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for the measurement of neighbor cells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nd the like can be set in the network (base station or control station) or the like.

트리거링 이벤트 3에서 트리거링 조건을 설명한다. Triggering condition is explained in triggering event 3.

(a) Mn ≥ Ms + Offset 혹은 Mn > Ms + Offset (a) M n ≥ M s + Offset or M n > M s + Offset

이때, Ms는 서빙 셀에 대한 해당 이벤트 유형의 측정값으로서 예컨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일 수도 있으며, Mn은 Ms와 동일한 이벤트 유형에 대한 이웃셀의 측정값이다. 또한 Offset은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소정의 오프셋값이다. 트리거링 조건 (a)의 경우에는 Mn값이 Ms값보다 오프셋 이상 크거나 같을 경우, 또는 Mn값이 Ms값보다 오프셋 이상 큰 경우 트리거링 이벤트 3이 발생한 것으로 본다.In this case, M s may be, for example,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r a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s a measurement value of a corresponding event type for the serving cell, and M n is M The neighbor cell's measurement for the same event type as s . In addition, Offset is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for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If the triggering condition (a), the M n values are considered as occurred in this case is greater than the offset value, than M s or greater, or a M n value is greater if the triggering event 3+ offset value than M s.

(b) Mn - Hys > Ms+Offset : 이벤트 시작(b) M n -Hys> M s + Offset: Event start

Mn + Hys < Ms+Offset : 이벤트 종료M n + Hys <M s + Offset: End event

이때, Ms는 서빙 셀에 대한 해당 이벤트 유형의 측정값으로서 예컨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일 수도 있으며, Mn은 Ms와 동일한 이벤트 유형에 대한 이웃셀의 측정값이다. 또한 Offset은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소정의 오프셋값이며, Hys는 해당 이벤트 유형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값이다. In this case, M s may be, for example,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r a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as a measurement value of a corresponding event type for the serving cell, and M n is M The neighbor cell's measurement for the same event type as s . In addition, Offset is a predetermined offset value for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and Hys is a hysteresis value for the corresponding event type.

트리거링 조건 (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n값과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의 차가 Ms값과 Offset의 합보다 크면 이벤트 트리거링이 시작되며, Mn값과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의 합가 Ms값과 Offset의 합보다 작으면 이벤트 트리거링이 종료된다.
In the case of using a triggering condition (b), M n value and Hysteresis (hysteresis) of the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event triggering the start value and the Offset M s, M n value and If the sum of hysteresis values is smaller than the sum of M s values and the offset value, the event triggering is terminated.

지금까지 서빙 셀의 네트워크 상태 등에 대한 측정치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커지는 경우,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그리고 이웃 셀에 대한 측정치와 비교하여 소정의 오프셋보다 그 차이가 커지는 경우를 트리거링 이벤트의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ed) MDT 방식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트리거링 이벤트는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트리거링 이벤트를 이용하여 이벤트 트리거 MDT 측정을 할 수 있다. An example of an event that triggers a measurement of the network state of a serving cell or the like become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 case in which the measurement become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a difference tha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offset compared to the measurement for a neighboring cell. As described above, the triggering event that can be used in the event triggered MDT method is not limited to this, and event trigger MDT measurement may be performed using various triggering events.

상술한 바와 같이 MDT의 설정 방식은 크게 주기적(Periodic) MDT 방식과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ed) MDT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MDT는 주기적(Periodic) MDT 방식을 사용한다. 이와 함께 단말이나 네트워크의 특정한 상황에 따라 네트워크 환경을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벤트 트리거 MDT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주기적 MDT 방식과 이벤트 트리거 MDT 방식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MDT 방식을 운용하는데 있어서, 단말의 MDT 동작 모드(mode)는 다음과 같은 3 가지 모드로 나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DT setting metho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periodic MDT method and an event triggered MDT method. In general, MDT uses a periodic MDT scheme.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more specifically understand the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a specific situation of the terminal or the network, the event trigger MDT method may be used. The periodic MDT method and the event trigger MDT metho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Therefore, in operating the MDT method, the MDT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three modes as follows.

(1) 주기적(periodic) 방식 (타입 1)(1) Periodic (Type 1)

(2)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ed) 방식 (타입 2)(2) Event triggered method (type 2)

(3) 주기적 방식과 이벤트 트리거 방식의 혼합 방식 (타입 3)(3) Mixed method of periodic method and event trigger method (Type 3)

이와 같은 MDT 동작 모드는 MDT 설정 과정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어떤 MDT 동작 모드를 설정해야 하는지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는 동일한 MDT 동작 모드를 유지하면서 설정값만을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The MDT operation mode may be set by the network in the MDT setting process. The network may transmit to the terminal which MDT operation mode should be set. In addition, the network may instruct to change only the set value while maintaining the same MDT mode of operation.

예를 들면, 도 7 및/또는 도 9에서 네트워크는 MDT 파라미터를 구성하거나(S710) 이벤트 트리거 MDT 방식을 설정하면서(S910) MDT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따로 단말에 전달하거나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 등에 포함시켜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7 and / or 9, the network configures the MDT parameter (S710) or sets the event trigger MDT scheme (S910), selects the MDT operation mode,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is to the terminal or requests log setting. It may be included in a message and delivered to the terminal.

또한 네트워크는, MDT 측정을 하는 도중 또는 MDT 측정 전후에, MDT 동작 모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새로운 MDT 설정 관련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이를 로그 설정 요구(Log Configur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UE)에 전송할 수도 있다. When the network determines that the MDT operation mode needs to be changed during or after the MDT measurement, or before and after the MDT measurement, the network configures a new MDT setting related parameter and includes the same in a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UE).

또한 네트워크는, 새로운 MDT 설정 관련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이를 별도로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소정의 미리 설정된 규칙 또는 지시에 따라서 특정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특정한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명시적인 지시가 없어도 단말이 MDT 동작 모드를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미리 설정된 규칙 또는 지시는 최초의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고, 새로운 조건이나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때에 네트워크가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may configure a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separately. In addition,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or a certain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et rule or indication, the terminal may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without an explicit indication from the network. Here, the predetermined preset rule or instruction may be included in the initial log setting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to the terminal,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new condition or setting is necessary.

MDT 동작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입 1: 주기적(Periodic Only) 방식, 타입 2: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 only) 방식, 타입 3: 주기적 방식과 이벤트 트리거 방식의 혼합 방식 등과 같이 분류된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DT operation mode may be any one of operation modes classified as Type 1: Periodic Only, Type 2: Event Trigger Only, Type 3: Mixing of Periodic and Event Trigger. It can be one.

이때, 네트워크는 이 3 가지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구성하여 따로 단말에 전달하거나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의 MDT 모드에 포함시켜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MDT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해당 MDT 동작 모드에 따라서 로그 환경을 설정(S730 및 S930 참조)하고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network may configure information indicating any one of these three types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eparately or include the information in the MDT mode of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MDT operation mode, the UE may set a lo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MDT operation mode (see S730 and S930) and perform MDT measurement.

상술한 3가지 MDT 동작 모드는 필요에 따라 새롭게 설정될 수도 있고, MDT 측정의 진행 중 또는 MDT 측정 전후에 서로 변경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three MDT operation modes may be newly set as needed, or may be changed while the MDT measurement is in progress or before and after the MDT measurement.

타입 1로 MDT 측정을 하는 도중 또는 MDT 측정 전후에 타입 2로 변경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주기적 MDT 설정을 종료하고, 소정의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Type 2 can be changed during or after MDT measurements with Type 1 or before or after MDT measurements. The terminal may end the periodic MDT configuration and perform the MDT measurement when a predetermined triggering event occurs.

타입 1로 MDT 측정을 하는 도중 또는 MDT 측정 전후에 타입 3으로 변경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주기적 MDT 설정에 따라서 MDT 측정을 지속하면서, 소정의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Type 1 can be changed during or after MDT measurements with Type 1 or before or after MDT measurements.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MDT measurement when a predetermined triggering event occurs while continuing the MD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eriodic MDT setting.

타입 2로 MDT 측정을 하는 도중 또는 MDT 측정 전후에 타입 1로 변경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을 종료하고 주기적 MDT 설정에 따라서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Type 1 can be changed during or after MDT measurements with Type 2 or before or after MDT measurements. The terminal may terminate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and perform the MD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eriodic MDT configuration.

타입 2로 MDT 측정을 하는 도중 또는 MDT 측정 전후에 타입 3으로 변경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에 따라서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기적 MDT 설정에 따라서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type 2 can be changed during or after the MDT measurement. The UE may perform the MDT measurement when the triggering event occurs according to the event trigger MDT setting, and may perform the MD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eriodic MDT setting.

타입 3으로 MDT 측정을 하는 도중 또는 MDT 측정 전후에 타입 1로 변경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과 주기적 MDT 설정을 종료하고, 새로운 주기적 MDT 설정에 따라서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만을 종료하고 주기적 MDT 설정만을 유지한 채로, MDT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새로운 주기적 MDT 설정은 기존의 주기적 MDT 설정과 동일할 수 있다. 새로운 주기적 MDT 설정은 기존의 주기적 MDT 설정과 상이할 수 있다.Type 1 can be changed during or after MDT measurements with Type 3 or before or after MDT measurements. The terminal may terminate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and the periodic MDT configuration, and perform the MD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new periodic MDT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terminate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only, and may perform the MDT measurement while maintaining only the periodic MDT configuration. The new periodic MDT setting may be the same as the existing periodic MDT setting. The new periodic MDT sett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iodic MDT setting.

타입 3으로 MDT 측정을 하는 도중 또는 MDT 측정 전후에 타입 2로 변경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과 주기적 MDT 설정을 종료하고, 새로운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에 따라서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주기적 MDT 설정만을 종료하고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만을 유지한 채로, MDT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새로운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은 기존의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과 동일할 수 있다. 새로운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은 기존의 이벤트 트리거 MDT 설정과 상이할 수 있다.Type 2 can be changed during or after MDT measurements with Type 3 or before or after MDT measurements. The terminal may terminate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and the periodic MDT configuration, and perform the MD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new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terminate the periodic MDT configuration only, and may perform the MDT measurement while maintaining only the event trigger MDT configuration. The new event trigger MDT setting may be the same as the existing event trigger MDT setting. The new event trigger MDT setting may differ from the existing event trigger MDT setting.

여기서는 MDT 동작 모드의 변경, 즉 MDT 타입이 변경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타입을 유지하면서 MDT 설정만을 변경할 수도 있다. Herein, a change in the MDT operation mode, that is, a case in which the MDT type is changed has been described. However, only the MDT setting may be chang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type.

도 10은 주기적 방식과 이벤트 트리거 방식의 혼합 방식에서 로그를 작성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 log in a mixture of a periodic method and an event trigger method.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MDT 측정 기간(Ton) 동안, MDT 측정 주기(TM)에 따라서, 매 측정 시점(T1~T5)에 주기적 MDT 설정에 따라서 네트워크 통신 환경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주기적 MDT의 측정 기간 및/또는 MDT의 측정 주기는 주기적 MDT 설정 파라미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주기적 MDT의 측정 주기나 측정 기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도 10의 예에서는 주기적 MDT의 측정 주기(TM)가 페이징 DRX 사이클(Td)의 배수로 설정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terminal performs measurement for a network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 periodic MDT setting at every measurement time point T 1 to T 5 , according to the MDT measurement period T M , during the MDT measurement period T on . Can be done. The measurement period of the periodic MDT and / or the measurement period of the MDT may be configured as a periodic MDT setting parameter. The measurement period or measurement period of the periodic MDT can be set variously as needed. In the example of FIG. 10, the measurement period T M of the periodic MDT is set as a multiple of the paging DRX cycle T d .

단말은 주기적 MDT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측정을 하고, 측정 정보인 로그(Log)를 작성할 수 있다. 매 측정 시마다 로그는 계속 축적되어 새로운 로그 형태로 단말에 저장된다. 도 10에 도시된 로그의 일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로그에는 각 측정시의 로그를 구별하기 위한 로그 넘버와 함께, 측정한 무선 통신 환경의 값과 측정 시각에 대한 타임스탬프, 측정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통신 환경에 대한 측정값, 타임스탬프, 그리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그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measure a network communication environment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periodic MDT setting, and create a log, which is measurement information. At every measurement, the log is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terminal in a new log form. As can be seen in the example of the log shown in FIG. 10, the log includes a log number for distinguishing the log at each measurement, and a timestamp for the value and measurement time of the measured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Herein, it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a measurement value, a timestamp,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og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s necessary.

단말은 이벤트가 트리거링되면,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ed) MDT 설정에 따라서 네트워크 통신 환경에 대한 측정을 하고, 이에 대한 로그를 작성할 수 있다. 로그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종류 등에 따라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링 이벤트가 단말의 위치 정보 변경인 경우에, 이벤트 트리거 MDT에 대한 로그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위치 정보와 측정 시의 타임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event is triggered,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network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vent triggered MDT setting, and create a log thereof. The log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riggering event. For example, when the triggering event is a change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log for the event trigger MDT may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a time stamp at the time of measurement.

주기적 MDT에 대한 로그와 이벤트 트리거 MDT에 대한 로그는 단말에서 서로 다른 설정에 따라 작성/저장/관리/보고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주기적 MDT에 대한 로그와 이벤트 트리거 MDT에 대한 로그의 작성/저장/관리/보고 등을 필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한 설정에 따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주기적 MDT의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명시적 보고 요구가 있으면 네트워크에 보고하고, 이벤트 트리거 MDT의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명시적 보고 요구가 없어도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면 네트워크에 로그 정보를 보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벤트 트리거 MDT의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명시적 보고 요구가 있으면 네트워크에 보고하고, 주기적 MDT의 경우에는 네트워크의 명시적 보고 요구가 없어도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면 네트워크에 로그 정보를 보고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Logs for periodic MDTs and event triggers The logs for MDTs can be created / stored / managed / reported according to different settings in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perform a log for the periodic MDT and the creation / storage / management / reporting of the log for the event trigger MDT according to some or all the same settings as necessary. For example, in case of the periodic MDT, if there is an explicit report request from the network, the event trigger MDT may report the log information to the network if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report request from the network. It may be. In addition, in case of an event triggered MDT, the network may report to the network if there is an explicit report request, and in the case of a periodic MDT, log information may be reported to the network if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without the network's explicit report request. have.

도 11은 MDT 측정에 대한 네트워크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1 is a flow chart that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 network for MDT measurement.

네트워크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구성한다(S1110). MDT 설정 파라미터는 주기적 MDT의 경우, MDT 측정의 대상(Measurement Object), MDT 측정의 기간(duration), MDT 측정의 주기(period), 로그의 보고(report) 방식, 로그의 보고 주기, 기지국의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트리거 MDT의 경우, MDT 설정 파라미터는 트리거링 이벤트(Triggering Event)의 종류, 로그 작성 및/또는 로그 정보 보고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network configures MDT setting parameters (S1110). In case of periodic MDT,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is a measurement object of MDT, duration of MDT measurement, period of MDT measurement, report method of log, report period of log, time of base station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the event trigger MDT,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include a type of a triggering event, information on logging, and / or reporting log information.

네트워크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1120). 네트워크는 MDT 측정 수행 중에 또는 MDT 측정 전후에 MDT 동작 모드를 변경할 필요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S1130). MDT 동작 모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단말에 MDT 동작 모드의 변경을 지시한다(S1140). MDT 동작 모드의 변경 지시는 새로운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전송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의 메시지를 단말에 전달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The network transmits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MDT setting parameter (S1120). The network may determine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during the MDT measurement or before or after the MDT measurement (S11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of the MDT operation mode is necessary, the network instructs the terminal to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S1140). The instruction to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may be performed by creating and transmitting a new log setting request message or by transmitting a separate message to the terminal.

MDT 동작 모드의 변경과 관련하여, 변경되는 MDT 설정은 네트워크에 의해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가 구성되고 이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가 로그 설정 요구(Log Configur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됨으로써 단말에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가 구성되고 이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가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와는 별도로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이, 소정의 미리 설정된 규칙 또는 지시에 따라서 MDT 설정을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미리 설정된 규칙 또는 지시는 최초의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가 새로운 조건이나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때에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In relation to the change of the MDT operation mode, the changed MDT configur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terminal by configuring a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by the network and including the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in a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 In addition, a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configured by the network, and the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parately from the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MDT sett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et rule or indication. The predetermined rule or instruction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log setting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to the terminal,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when the network determines that a new condition or setting is necessary.

본 설명에서는 네트워크가 MDT 동작 모드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MDT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지시를 단말에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네트워크는 하나의 MDT 동작 모드를 통해 MDT 측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network determines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and accordingly, the instruction for changing the MDT operation mode has been described as being transmitted to the termi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etwork uses one MDT operation mod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MDT measurements.

MDT 측정이 완료된 후에 또는 주기적 MDT의 측정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에, 네트워크는 단말에 로그 리포트를 요구할 수 있으며(S1150), 로그 리포트 요구에 대응하여 단말이 로그 리포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다(S1160). 여기서는 네트워크가 단말에 로그 리포트를 명시적으로 요구하고 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네트워크는 명시적인 로그 리포트 요구를 단말에 전달하지 않고도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조건이 만족할 때 단말로부터 로그 리포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After the MDT measurement is completed or while the measurement of the periodic MDT is being performed, the network may request a log report from the terminal (S1150), and if the terminal transmits a log report in response to the log report request (S1160). . Herein, the network explicitly requests and receives a log report from the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etwork is not limited to this.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log report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도 12는 MDT 측정에 대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for MDT measurement.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S1210). MDT 설정 파라미터는 주기적 MDT의 경우, MDT 측정의 대상(Measurement Object), MDT 측정의 기간(duration), MDT 측정의 주기(period), 로그의 보고(report) 방식, 로그의 보고 주기, 기지국의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트리거 MDT의 경우, MDT 설정 파라미터는 트리거링 이벤트(Triggering Event)의 종류, 로그 작성 및/또는 로그 정보 보고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terminal receives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from the network (S1210). In case of periodic MDT,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is a measurement object of MDT, duration of MDT measurement, period of MDT measurement, report method of log, report period of log, time of base station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the event trigger MDT,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include a type of a triggering event, information on logging, and / or reporting log information.

단말은 MDT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서 로그 환경을 구성한다(S1220). 예컨대, 단말은 MDT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서 MDT 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로그(log)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다.The terminal configures a lo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S1220). For example, the terminal configur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MDT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and logged according to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이어서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동작 모드 변경에 관한 지시가 있거나 또는, MDT 동작 모드 변경에 관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이 달성된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30). MDT 동작 모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지시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MDT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S1240). Subsequently,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nstruction for changing the operation mode from the network or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achieved regarding the MDT operation mode change (S12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DT operation mode needs to be changed, the MDT operation mod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network or a predetermined condition set in advance (S1240).

MDT 동작 모드의 변경과 관련하여, 변경되는 MDT 설정은 네트워크에 의해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가 구성되고 이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가 로그 설정 요구(Log Configur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UE)에 전송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가 구성되고 이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가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와는 별도로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이, 소정의 미리 설정된 규칙 또는 지시에 따라서 MDT 설정을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미리 설정된 규칙 또는 지시는 최초의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가 새로운 조건이나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때에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Regarding the change of the MDT operation mode, the changed MDT setting is obtained by configuring a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by the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to the UE by being included in a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May be In addition, a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configured by the network, and the new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eparately from the log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MDT sett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set rule or indication. The predetermined rule or instruction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log setting request message and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to the terminal,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when the network determines that a new condition or setting is necessary.

단말은 해당 MDT 동작 모드로 MDT 측정을 수행하고 로그를 작성/저장/관리한다(S1250). 주기적 MDT와 이벤트 트리거 MDT가 혼용되고 있는 경우라면, 단말은 주기적 MDT에 대한 로그와 이벤트 트리거 MDT에 대한 로그를 서로 다른 설정에 따라 작성/저장/관리/보고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은 주기적 MDT에 대한 로그와 이벤트 트리거 MDT에 대한 로그의 작성/저장/관리/보고 등을 필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한 설정에 따라 수행할 수도 있다. The terminal performs MDT measurement in the corresponding MDT operation mode and creates / stores / manages a log (S1250). If the periodic MDT and the event trigger MDT is mixed, the terminal may create / store / manage / report the log for the periodic MDT and the log for the event trigger MDT according to different settings.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perform a log for the periodic MDT and the creation / storage / management / reporting of the log for the event trigger MDT according to some or all of the same settings as necessary.

MDT 측정 및 로그의 작성/저장/관리 후에, 단말은 다시 MDT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60). MDT 동작 모드를 변경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MDT 동작 모드를 변경(S1240)하고 이에 따라 MDT 측정과 로그 작성/저장/관리를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S1250). After the MDT measurement and the creation / storage / management of the log,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again (S126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DT operation mode needs to be changed, the MDT operation mode may be changed (S1240), and MDT measurement and log writing / storing / management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S1250).

여기서는 단말이 MDT 동작 모드를 변경해야 하는지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MDT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단말은 하나의 MDT 동작 모드를 유지하면서 MDT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erein, the UE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and explains that the MDT operation mode is changed according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E may perform MDT measurement while maintaining one MDT operation mode.

단말은 MDT 로그 리포팅 요구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S1270), 이에 대응하여 MDT 로그 리포트를 네트워크에 전달한다(S1280). 여기서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로그 리포트 요구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해서 로그 리포트를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의 명시적인 로그 리포트 요구가 없어도,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조건이 만족할 때 네트워크로 로그 리포트를 송신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receives an MDT log reporting request from the network (S1270), and correspondingly transmits an MDT log report to the network (S1280).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receiving a log report request from the network and correspondingly delivering the log repo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rminal is not limited to an explicit log report request from the networ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or instruction. A log report may be sent to the network when certain conditions are met.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기지국(1300)은 프로세서(processor, 1310), 메모리(memory, 1320)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1330)를 포함한다. The base station 1300 includes a processor 1310, a memory 1320, and an RF unit 1330.

프로세서(13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3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30)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30)는 MDT 동작 모드의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단말에게 MDT 동작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30)는 로그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로그 정보를 단말에 요구하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된 로그 리포트를 처리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10 implements the proposed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1330. The processor 1330 may configure MDT setting parameters and write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n addition, the processor 1330 may determine whether the MDT operation mode needs to be changed, and accordingly, may generate a message instructing the terminal to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g information is required, the processor 1330 may create a message requesting the lo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may process a log repor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hereto.

메모리(1320)는 프로세서(13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3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MDT 측정과 관련하여, 메모리(1320)는 예컨대, 단말과의 사이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 또는 규칙이나 지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2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로그 리포트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3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3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310. In relation to the MDT measurement, the memory 1320 may store, for example, a predetermined condition, rule or instruction set with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memory 1320 may store a log report received from the terminal.

RF부(1330)는 프로세서(13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RF부(1330)는 프로세서(1310)가 작성한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 MDT 동작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 등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RF부(1330)는 단말이 전송한 로그 정보 리포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F unit 133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310 and transmits and / or receives a radio signal. The RF unit 1330 may transmit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a message instructing to change the MDT operation, and the like written by the processor 1310 to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RF unit 1330 may receive a log information repor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단말(1340)은 RF부(1350), 메모리(1360), 제어부(1370), 신호 측정부(1380), 로그 작성부(1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7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제어부(137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7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MDT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서, MDT 측정을 위한 로그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벤트 트리거 MDT의 경우, 제어부(1370)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terminal 1340 may include an RF unit 1350, a memory 1360, a controller 1370, a signal measuring unit 1380, a log generator 1390,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370 implements the proposed function, process, and / or method.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370. The controller 1370 may configure a log environment for measuring MDT according to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event trigger MDT, the controller 1370 may determine whether a triggering event occurs.

메모리(1360)는 제어부(1370)와 연결되어, 제어부(137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360)는 MDT 측정에 의해 작성된 로그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The memory 13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7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controller 1370. The memory 1360 may store / manage logs generated by MDT measurement.

RF부(1350)는 제어부(137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RF부(1350)는 기지국으로부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나 MDT 동작 모드 변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작성한 로그 정보 리포트 등을 전송할 수 있다.The RF unit 13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70 and transmits and / or receives a radio signal. The RF unit 1350 may receive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or a message instructing to change the MDT operation mode from the base station, and may transmit a log information report prepared therein.

신호 측정부(1380)는 제어부(1370)와 연결되어, MDT 설정에 따라서 MD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로그 작성부(1390)는 제어부(1370)와 연결되어, 신호 측정부(1380)에서 측정한 MDT 측정값에 따라 로그를 작성할 수 있다.The signal measuring unit 138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70 to perform MDT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MDT setting. The log generator 139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70 to create a log according to the MDT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ignal measurer 1380.

프로세서(1310)와 제어부(137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20, 136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330, 135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10 and the controller 1370 may include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other chipset, a logic circuit, and / or a data processing device. The memories 1320 and 1360 may include read-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memory card, storage media, and / or other storage devices. The RF unit 1330 and 1350 may include a baseband circuit for processing a radio signal.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에, 상술한 기법들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320, 136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310)와 제어부(13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320, 1360)는 프로세서(1310)와 제어부(137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310)와 제어부(1370)에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software,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may be implemented as modules (processes, functions, etc.) for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The module may be stored in the memories 1320 and 1360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1310 and the controller 1370. The memories 1320 and 1360 may b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1310 and the controller 137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1310 and the controller 1370 by various well-known means.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xemplary system described above, the methods are described based on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steps, and certain steps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or concurrently with other steps than those described above. Can b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s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s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clude examples of various aspects. While it is not possible to describe every possible combination for expressing various aspect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other combin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include all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9)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MDT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으로서,
MDT(Minimization Driving Test)를 위한 로그(Log)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로그 리포트를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
An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using MD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for a minimization driving test (MDT); And
Requesting a log re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의 대상(Measurement Object), MDT 측정의 기간(duration), MDT 측정의 주기(period), 로그의 보고(report) 방식, 로그의 보고 주기, 기지국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ncludes an MDT setting parameter,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set to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object of MDT measurement, a duration of MDT measurement, a period of MDT measurement, a report method of log, a report period of log, and a time of a base st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comprising a related para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을 개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ncludes an MDT setting parameter,
And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comprises a parameter relating to the occurrence of a triggering event initiating MDT measur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방법은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MDT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MDT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새로운 MDT 설정 파라미터를 구성하여 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is
After sending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determining whether the MDT setting needs to be chang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DT setting needs to be changed, the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comprising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a new MDT setting parameter.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DT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으로서,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에 기반하여 로그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로그 환경에 따라서 MDT를 수행하고 로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작성된 로그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
An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using MD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tting a log environment based on a log setting request message;
Performing MDT and creating a log according to the set log environment; And
And reporting the created lo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DT는 주기적 MDT 모드, 이벤트 트리거 MDT 모드, 주기적 MDT와 이벤트 트리거 MDT를 혼용하는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DT is one of a periodic MDT mode, an event trigger MDT mode, and a mode in which a periodic MDT and an event trigger MDT are mix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방법은,
상기 로그 보고 단계 전에, MDT 모드의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MDT 모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MDT 모드를 변경하고 변경된 MDT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정보 수집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Before the log report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hange of the MDT mode is necessar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DT mode needs to be changed, changing the MDT mode and performing each step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d MDT m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의 대상(Measurement Object), MDT 측정의 기간(duration), MDT 측정의 주기(period), 로그의 보고(report) 방식, 로그의 보고 주기, 기지국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ncludes an MDT setting parameter,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may be set to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object of MDT measurement, a duration of MDT measurement, a period of MDT measurement, a report method of log, a report period of log, and a time of a base st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comprising a related parame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설정 요구 메시지는 MDT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MDT 설정 파라미터는 MDT 측정을 개시하는 트리거링 이벤트의 발생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g setting request message includes an MDT setting parameter,
And the MDT configuration parameter comprises a parameter relating to the occurrence of a triggering event initiating MDT measurement.
KR1020100098452A 2010-10-08 2010-10-08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2003665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52A KR20120036659A (en) 2010-10-08 2010-10-08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PCT/KR2011/007462 WO2012047070A2 (en) 2010-10-08 2011-10-08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ing md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52A KR20120036659A (en) 2010-10-08 2010-10-08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59A true KR20120036659A (en) 2012-04-18

Family

ID=4613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452A KR20120036659A (en) 2010-10-08 2010-10-08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665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980B1 (en) * 2018-12-20 2020-01-23 에이미파이(주) Method for testing and quality measurement of wireless service through vehicles running on arbitrary routes, and an apparatus for said method
KR20220037878A (en)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of Performing Control for an MD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980B1 (en) * 2018-12-20 2020-01-23 에이미파이(주) Method for testing and quality measurement of wireless service through vehicles running on arbitrary routes, and an apparatus for said method
KR20220037878A (en)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of Performing Control for an MD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9225B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US10973041B2 (en) Resource selection method for V2X oper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US10869272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o hyper cell
CN109150451B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node and radio access network system
US10742300B2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143032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minimization of drive tests
CN107155200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super cell
US9935692B2 (en) Radio communicating system, radio communicating method, radio station, control station and program
US98607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ttern information
EP27027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
EP27273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environment
US20150163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ll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4606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8199223A (en) Base station device, user device and wireless bearer setting method
WO2015194276A1 (en) Device and method
CN105191401A (en) Method for determining mobility of user equipment with dual connections in communications system
KR20120080103A (en) Transition method of mdt mod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165491B1 (en) Controlling downlink handover-processing threshold based on uplink TTI bundling
KR20120036659A (en)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N107155189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super cell
US20230422071A1 (en) Method and nodes for handling beam measurements
KR201200488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dt(minimization driving t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30358A1 (en) Evaluation whether a not activated small cell should be activated to serve us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