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871A -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871A
KR20120035871A KR1020110100659A KR20110100659A KR20120035871A KR 20120035871 A KR20120035871 A KR 20120035871A KR 1020110100659 A KR1020110100659 A KR 1020110100659A KR 20110100659 A KR20110100659 A KR 20110100659A KR 20120035871 A KR20120035871 A KR 2012003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cooperative
information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정
이은종
육영수
이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878,17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201956A1/en
Priority to PCT/KR2011/007338 priority patent/WO2012047003A2/ko
Publication of KR2012003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망의 데이터 전송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머신 대 머신(Machine-to-Machine, M2M) 통신 및 높은 데이터 전송량을 요구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의 출현 및 보급 때문이다. 요구되는 높은 데이터 전송량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기술, 인지 무선(cognitive radio) 기술 등과 한정된 주파수 내에서 데이터 용량을 높이기 위해 다중 안테나 기술, 다중 기지국 협력 전송 기술 등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장비를 이용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망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하는 복수의 단말들이 서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통신 환경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들이 협력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단말들과의 연결되고 다른 단말들의 도움을 받아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하는 주체인 소스 기기(Source Device), 소스 기기(Source Device)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중계자 역할을 담당하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 및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 소스 기기(Source Device) 이외의 후보 협력 기기를 포함한다.
높은 밀도의 단말들을 갖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간의 협력에 의해 더 높은 시스템 성능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와 함께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고,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예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훨씬 우수한 시스템 성능을 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협력 체계를 구축한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Multi Radio Access Technology(RAT) System)이라 칭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이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다이렉트(direct)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방식이고,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접속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력(capability) 협상 요청 메시지는, 연결 RAT 타입 정보, 시스템 타입 정보, 시스템 버전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협력 단말 역할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한 제 1 활성화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다이렉트(direct)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방식이고,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접속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력(capability) 협상 요청 메시지는, 연결 RAT 타입 정보, 시스템 타입 정보, 시스템 버전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협력 단말 역할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상기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 및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과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방명의 일 양상인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무선 접속(Multi-RAT)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소스 기기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무선 접속(Multi-RAT)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는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협력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 LTE에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3GPP LTE에서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는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워드, 레이어 및 안테나의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복수의 기기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 교환 단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가 협력 기기의 도움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협상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협력 기기의 도움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협상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협력 기기의 도움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협상 단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지국 및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multiple access scheme)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LTE의 진화이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이다.
도 1은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은 기지국(100) 및 복수의 통신 기기(110, 120, 130, 1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통신 기기로 표시된 기기(110, 120, 130, 140)는 다른 통신 기기들과의 연결되고 다른 통신 기기들의 도움을 받아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하는 주체인 소스 기기(Source Device), 소스 기기(Source Device)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중계자 역할을 담당하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 또는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 소스 기기(Source Device) 이외의 후보 협력 기기가 될 수 있다.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110, 120, 130, 140)는 서로 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와 함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와 함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140)는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130)와 함께 데이터를 기지국(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기기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이 보장된다.
또한,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고,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데이터 수신에 참여하지 않고,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협력 체계가 구축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110)는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고,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120)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기기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소스 기기가 협력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기지국이 데이터를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도 1에서의 소스 기기(110, 140)는 협력 기기 또는 데이터의 전송에 참여하지 않는 이웃 기기가 될 수 있고, 협력 기기(120, 130)도 소스 기기 또는 데이터의 전송에 참여하지 않는 이웃 기기가 될 수도 있다.
도 2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은 기지국(210) 및 복수의 통신 기기들(220, 230)로 구성된다.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220, 230)은 802.11 (Wi-Fi)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서로 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통신 기기들(220, 230) 각각은 기지국(210)과 IEEE 802.16 (WiMAX)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직접적(direct)으로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소스 기기(220)의 현재 통신 품질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 소스 기기(220)는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고,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230)를 통해 데이터를 기지국(210)으로 간접적(indirect)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통신 기기는 기지국과 직접적(direct)으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의 도움을 받아 간접적(indirect)으로도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이 협력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선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사전 절차가 요구된다.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복수의 통신 기기 간에 수행되어야 할 정보교환단계는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에서 적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3GPP LTE에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프레임 구조 타입 1이라 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하는 슬롯(slot)으로 정의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무선 프레임의 시간 길이 Tf=307200*Ts=10ms이며, 20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슬롯의 시간 길이 Tslot=15360*Ts=0.5ms이며 0에서 19로 넘버링된다. 각 노드 또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하향링크와 단말이 각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는 주파수 영역에서 구분된다.
도 4는 3GPP LTE에서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프레임 구조 타입 2라 칭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ms의 길이를 가지며 5 ms의 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반프레임(half-frame)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반프레임은 1 ms의 길이를 가지는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 subframe),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L subframe),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된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하는 슬롯(slot)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분리시키는 특정 구간(period)이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며, 특수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 구간(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한다. DwPTS는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 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FDD 및 TDD 무선 프레임에서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SC-FDMA 심벌과 같이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자원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3GPP TS 36.211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4.1절 및 4. 2절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 OFDMA 심벌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RB)은 12×7개의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상술한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는 상향링크 슬롯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연속하는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내의 첫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채널에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포함된다.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임의의 UE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명령(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등을 가리킨다. PHICH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신호를 나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PDSCH는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이다. 단말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디코딩하여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도 7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LTE 상향링크 전송의 기본 단위인 1ms 길이의 서브프레임(700)은 두 개의 0.5ms 슬롯(701)으로 구성된다. 일반(Normal)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를 가정할 때, 각 슬롯은 7개의 심볼(702)로 구성되며 하나의 심볼은 하나의 SC-FDMA 심볼에 대응된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703)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 그리고 시간영역에서 한 슬롯에 해당되는 자원 할당 단위이다. LTE의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크게 데이터 영역(704)과 제어 영역(705)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데이터 영역은 각 단말로 전송되는 음성, 패킷 등의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일련의 통신 자원을 의미하며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 해당된다. 제어 영역은 각 단말로부터의 하향 링크 채널 품질보고,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 ACK/NACK,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등을 송신함에 있어 사용되는 일련의 통신 자원을 의미한다.
도 7에 보인 예와 같이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영역(706)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시간 축 상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SC-FDMA 심볼이 있는 구간이며, 주파수 상으로는 데이터 전송 대역을 통하여 전송된다.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로 전송되는 여러 단말의 사운딩 참조 신호들은 순환 이동 값에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한 서브프레임에서 DM(Demodulation)-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이 전송되는 영역은 하나의 슬롯에서 가운데 SC-FDMA 심볼 즉, 네 번째 SC-FDMA 심볼과 열 한번째 SC-FDMA 심볼이 있는 구간이며, 주파수 상으로는 데이터 전송 대역을 통하여 전송된다.
도 8은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워드, 레이어 및 안테나의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정보와 전송 심볼 사이에는 복잡한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 우선 데이터 정보로서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은 물리 계층으로 NC개의 전송 블록을 전달하고, 물리 계층에서 전송 블록들은 채널 코딩 과정을 거쳐 코드워드로 변환되며 펑처링(Puncturing) 또는 반복(Repetition) 과정과 같은 레이트 매칭을 수행한다. 여기서 채널 코딩은 터보 인코더 또는 테일 비트 컨볼루션 인코더와 같은 채널 코더에서 수행된다.
채널 코딩 과정과 레이트 매칭 과정을 거친 후, NC개의 코드워드는 NL개의 레이어로 맵핑된다. 여기서 레이어란 다중안테나 기술을 사용해서 보내는 서로 다른 정보 각각을 지칭하며, 레이어의 개수는 서로 다른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최대 수인 랭크 보다는 클 수 없다.
참고적으로, 일반적인 하향 링크 전송 방식인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과 달리,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향 링크 신호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영향을 일정 부분 상쇄하여 송신 신호가 단일 반송파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각 레이어마다 DFT 과정이 수행된다.
각 레이어에서 DFT 변환된 신호는 프리코딩 행렬이 곱해져 NT개의 송신 안테나로 맵핑되며, IFFT 과정을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일반적으로, 하향링크 참조 신호에는 공용 참조 신호와 단말 특정(UE specific) 참조 신호가 존재하며, 공용 참조 신호는 프리코딩이 적용되지 않는다. 즉, 한편, 단말 특정 참조 신호는 일반적인 데이터와 동일하게, 프리코딩 전단에서 삽입되어, 프리코딩 되어 단말 측으로 송신된다.
단말 특정(UE specific) 참조 신호 즉, 전용(dedicated)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비 의존적 공간 다중화 전송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몇 가지 제약 조건이 존재한다. 우선, 참조 신호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송 참조 신호는 변조된 데이터 심볼과 동일한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하여 프리코딩 되어야 한다. 또한, 공간적 채널 다이버시티를 획득하기 위하여, 프리코딩 행렬은 안테나 간에 스위칭 되어야 한다. 다만, 전용 참조 신호는 전제 전송 자원 영역 전반에 걸쳐 특정 규칙 혹은 임의적으로 전송되므로 상기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채널 측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특정 개수의 자원 요소 단위로 채널 측정이 이루어 지므로, 전용 참조 신호를 프리코딩하는 프리코딩 행렬은 자원 요소 단위로 변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이 협력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선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사전 절차가 요구된다.
상기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에서 각각의 통신 기기들은 세 가지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즉, 서로 연결되지 않은 제 1 상태, 상대 통신 기기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제 2 상태 및 상대 통신 기기와 결합하는 제 3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를 표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증( Authentication ) 결합( Association )
상태 1 X X
상태 2 O X
상태 3 O O
먼저, 제 1 상태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이 전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상태에서는 각각의 소스 기기들은 기지국과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통신해야 한다.
다음으로, 제 2 상태는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대 통신기기를 인증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예로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통해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동적인 방법 또는 프로브(prob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프로브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된 프로브(probe)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능동적인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각 통신 기기들은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대 통신 기기의 정보를 획득한 후, 상대 통신 기기와 인증 프레임을 교환(예를 들면, 인증(authentication) 요청 및 인증(authentication) 응답)하여 인증 확인 작업을 완료한다.
인증 확인 작업이 완료되면 각각의 통신 기기는 제 2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제 3 상태는 인증한 상대 통신 기기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각각의 통신 기기는 상대 통신 기기와 결합 프레임을 교환(예를 들면, 결합(association) 요청 및 결합(association) 응답)하여 결합 작업(예를 들면, AID 할당 등)을 완료한다.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기기들의 결합 작업이 완료되면, 이들 통신 기기는 서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에서의 통신 기기들에 대한 상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지국을 포함한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복수의 통신 기기 간에 수행되어야 할 정보교환단계는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별 주체는 소스 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단계별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기, 협력 기기 및 후보 협력 기기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복수의 기기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 교환 단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단, 소스 기기는 기지국과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S1000)를 거친다. 즉,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S1000)를 통해 소스 기기는 기지국과 연결되어 직접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S1000)는 이하 제 1 단계라고 칭한다. 제 1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기지국과 제 1 단계를 거친 소스 기기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S2000)를 거친다. 협상 단계(S2000)에서 소스 기기는 협력 동작을 위한 능력(capability)에 대해 기지국과 협의한다.
이때, 기지국과 소스 기기 사이에 송수신될 수 있는 정보는 연결 RAT 타입 정보, 시스템 타입 정보, 시스템 버전 정보, 위치 정보, 협력 기기 역할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협상 단계(S2000)는 이하 제 2 단계라고 칭한다. 제 2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 2 단계를 거친 기지국, 소스 기기 및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들은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S3000)를 거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S3000)는 이하 제 3 단계라고 칭한다.
제 3 단계에서 기지국, 소스 기기 및 복수의 후보 협력 기기들은 서로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기초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통신에 참여할 협력 기기를 선택한다. 상기 제 3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 3 단계를 거친 소스 기기는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S4000)를 거친다.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S4000)가 완료되면, 연결된 소스 기기 및 협력 기기는 서로 협동하여 기지국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S4000)를 제 4 단계라고 칭한다. 또한, 제 4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때,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 단계는 모든 통신 기기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기기들이 공통으로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는 소스 기기, 협력 기기 또는 후보 협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수행할 수 있으며 모든 통신 기기들이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를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단, 제 3 단계에서 후술할 일부 과정(예를 들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기기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모든 통신 기기들이 공통으로 수행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모든 통신 기기들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를 거친 통신 기기들은 서로 구분되지 않은 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제 3 단계를 거치면서 예비 소스 기기 및 예비 협력 기기로 취급되고, 제 4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는 소스 기기 및 협력 기기가 정해져 서로 협력하여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보 교환 사전 절차의 각각의 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제 1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단계(S1100)를 통해 소스 기기는 기지국과 연결되어 직접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소스 기기는 IEEE 802.16 무선 기술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진입 방식 또는 3GPP 무선 기술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진입 방식에 따라 제 1 단계(S1100)를 수행할 수 있다.
단,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스 기기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자신이 협력 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지국에게 알린다.
이때, 클라이언트 협력 지원 여부와 관련된 정보는 기존의 네트워크 진입 과정에서 주고 받는 MAC 관리 메시지 또는 RRC 관리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GPP 무선 기술에서의 네트워크 진입 방식에 따라 제 1 단계(S1100)가 수행되는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소스 기기는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소스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SCH: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부 동기 채널(S-SCH: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소스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소스 기기는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소스 기기는 물리 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상기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 정보에 따른 물리하향링크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여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소스 기기는 기지국에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스 기기는 물리임의접속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해 특징 시퀀스를 프리엠블로서 전송하고,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 및 이에 대응하는 물리하향링크공유 채널을 통해 상기 임의접속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Handover)의 경우를 제외한 경쟁 기반 임의접속의 경우 그 후 추가적인 물리임의접속채널의 전송 및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 물리하향링크공유 채널 수신과 같은 충돌해결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소스 기기는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 수신 및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소스 기기가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소스 기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에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PMI(Precoding Matrix Index)/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경우, 소스 기기는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 및/또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제 2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제 2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단계에서 소스 기기는 협력 동작을 위한 능력(capability)에 대해 기지국과 협의한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소스 기기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capability) 협상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100).
이에 대응하여, 기지국은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capability) 협상 응답을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S220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동작을 CC 동작이라고 호칭한다.
CC를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단계(S2100) 및 CC를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단계(S2200)에서 기지국과 소스 기기 사이에 송수신될 수 있는 정보는 연결 RAT 타입 정보, 시스템 타입 정보, 시스템 버전 정보, 위치 정보, 협력 기기 역할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협력 동작을 위한 능력(capability)을 협의하기 위해 기지국과 소스 기기는 연결 RAT 타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연결 RAT 타입 정보는 소소 기기와 협력 기기 간의 연결 RAT 타입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연결 RAT 타입 정보는 싱글(Single) RAT 타입 정보 또는 다중(Multi) RAT 타입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 타입 정보는 연결 RAT 타입 정보가 다중(Multi) RAT 타입 정보인 경우에 교환될 수 있다. 시스템 타입 정보는 소스 기기가 협력 기기와의 연결(connection)에서 사용 또는 지원하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n 무선 기술에서의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버전 정보도 연결 RAT 타입 정보가 다중(Multi) RAT 타입 정보인 경우에 교환될 수 있다. 시스템 버전 정보는 소스 기기가 협력 기기와의 연결(connection)에서 사용 또는 지원되는 시스템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협력 동작을 위한 능력(capability)을 협의하기 위해 기지국과 소스 기기는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교환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소스 기기의 현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위치 정보는 항상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협력 기기의 도움의 요청을 의미하는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가 1로 설정된 경우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스 기기가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획득하는 과정은 1로 설정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CC를 위한 능력 협상의 수행 이전, CC를 위한 능력 협상 수행 이전,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전송하기 이전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는 위치 정보 전송 시 전송되는 정보의 정확도를 기지국에 함께 알릴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협력 동작을 위한 능력(capability)을 협의하기 위해 기지국과 소스 기기는 협력 기기 역할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단, 협력 동작을 위한 능력(capability)을 협의하기 위해 기지국과 소스 기기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에 대해 전술한 내용은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정보가 기지국과 소스 기기 사이에 교환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제 2 단계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협력 기기의 도움을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누가 전송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소스 기지국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와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제 2 단계의 세부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는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가 1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1로 설정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가 포함된 정보는 활성화 요청 지시를 의미한다.
먼저,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소스 기지국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의 제 2 단계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제 2 단계에서 협력 기기를 결정하고, 바로 해당 협력 기기와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 소스 기기은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가 협력 기기의 도움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협상 단계(제 2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단계에서 협력 기기를 결정하고, 바로 해당 협력 기기와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 2 단계로 진입하기 이전에 기지국은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미리 수집하는 단계(S2310)를 거쳐야 한다.
이후, 제 2 단계로 진입하여, 소스 기기는 1로 설정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CC를 위한 능력 협상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320).
1로 설정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CC를 위한 능력 협상 요청을 기지국이 수신하면, 기지국은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 메시지를 수신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수행한다.
즉, 미리 수집한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후보 협력 기기들로 CC를 위한 협력 활성화 요청을 전송한다(S2330).
이후, 기지국은 후보 협력 기기들로부터 CC를 위한 협력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다(S2340).
후보 협력 기기들로부터 CC를 위한 협력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 기지국은 바로 소스 기기에 협력 활성화 명령(Activation command)을 전송하지 않고, CC를 위한 능력(capability) 협상 응답과 S2340 단계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2350). 즉, 기기는 CC를 위한 능력(capability) 협상 응답과 함께 협력 요청 결과(request result), 후보 협력 기기들의 다중(Multi) RAT 타입 정보(예를 들면, MAC 주소), 임의 접속 시점(예를 들면, 프레임 오프셋 또는 개수) 등에 대한 정보를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
도 12에서는 제 2 단계에서 협력 기기가 결정되고, 바로 해당 협력 기기와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 동작을 수행될 수 있으므로, 후술할 제 3 단계를 기지국, 소스 기기 및 후보 협력 기기가 수행하지 않는다.
이후, 소소 기기 및 선택된 협력 기기는 제 4 단계를 통해 연결되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이후의 제 4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기지국이 소스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 2 단계에서 기지국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기기들 간의 CC를 위한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을 수행하도록 트리거(trigger)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은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전송하게 된다.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기지국이 소스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에 따라 제 2 단계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 12의 절차와 동일한 절차가 수행된다. 즉,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소스 기지국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와 동일한 제 2 단계가 수행된다.
반면, 기지국이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소스 기기로 전송한 경우, 소스 기기는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협력 기기의 도움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협상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기지국이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단계에서 협력 기기를 결정하고, 바로 해당 협력 기기와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 2 단계로 진입하기 이전에 기지국은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미리 수집하는 단계(S2510)를 거쳐야 한다.
이후, 제 2 단계로 진입하여, 소스 기기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CC를 위한 능력 협상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520).
능력 협상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은 미리 수신한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후보 협력 기기들로 CC를 위한 협력 활성화 요청을 전송한다(S2530).
이후, 기지국은 후보 협력 기기들로부터 CC를 위한 협력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다(S2540).
후보 협력 기기들로부터 CC를 위한 협력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 기지국은 바로 소스 기기에 협력 활성화 명령(Activation command)을 전송하지 않고, CC를 위한 능력(capability) 협상 응답, 1로 설정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 및 S2540 단계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즉, 기지국은 CC를 위한 능력(capability) 협상 응답, 1로 설정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와 함께 협력 요청 결과(request result), 후보 협력 기기들의 다중(Multi) RAT 타입 정보(예를 들면, MAC 주소), 임의 접속 시점(예를 들면, 프레임 오프셋 또는 개수) 등에 대한 정보를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
이때에도, 제 2 단계에서 협력 기기가 결정되고, 바로 해당 협력 기기와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후술할 제 3 단계를 기지국, 소스 기기 및 후보 협력 기기가 수행하지 않는다.
이후, 소소 기기 및 선택된 협력 기기는 제 4 단계를 통해 연결되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다음으로,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협력 기기의 도움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협상 단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기지국이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모르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소스 기기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capability) 협상 요청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410).
이에 대응하여, 기지국은 CC를 위한 능력(capability) 협상 응답을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S2420). 이때, 기지국은 1로 설정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함께 소스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소스 기기의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제 2 단계에서 바로 협력 기기를 결정하고, 바로 해당 협력 기기와 연결을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소스 기기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거치고(S2430),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로 진입한다.
즉, 후술할 제 3 단계에서 기지국은 CC를 위한 협력 활성화 요청을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하고(S2440), 제 4 단계를 통해 연결되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의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활성화 요청 지시(Activation Request Indication)를 기지국이 소스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에 따라 제 2 단계의 내용이 달라진다.
다음으로, 제 3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3 단계는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제 3 단계는 CC를 위한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주체가 누군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협력 활성화 요청은 소소 기기 또는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협력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는 주체가 소스 기기인지 또는 기지국인지 여부에 따라 제 3 단계는 달라진다.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 전송 이후,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협력하기 위해 임의접속을 시도하는 주체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해당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의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접속을 시도하는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소스 기기가 임의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후보 협력 기기가 임의 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임의 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후보 협력 기기인 경우, 기지국은 CC 활성화 협의 과정에서 소스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후보 협력 기기가 소스 기기와 임의 접속을 시도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주체가 소스 기기인 경우와 기지국인 경우를 나누어 제 3 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주체가 소스 기기인 경우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제 3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소스 기기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110)를 거친다. 소스 기기는 GPS 장치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등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된 방식에 따라 위치 정보는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기기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소스 기기가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110)는 1로 설정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CC를 위한 능력 협상의 수행 이전, CC를 위한 능력 협상 수행 이전,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전송하기 이전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소스 기기가 위치 정보를 수집한 이후, 소스 기기는 CC 방식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하기 위해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120).
이때, 소스 기기는 미리 수집한 위치 정보를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과 함께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는 위치 정보를 수집한 방식에 따라 전송되는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함께 알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 기기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정보라는 사실을 기지국에 함께 알릴 수 있다.
소스 기기로부터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기지국은 함께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스 기기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후보 협력 기기를 선정한다.
이때, 기지국은 셀 섹터별 위치 정보 또는 전력제어를 통한 기지국으로부터의 단계적 위치 정보(예를 들면, 인접 영역, 중간, 셀 에지(cell edge) 영역) 등을 통해 후보 협력 기기를 선정할 수 있다.
후보 협력 기기를 선정한 경우, 기지국은 후보 협력 기기들에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전송하고(S3130), 후보 협력 기기들로부터 협력 활성화 응답(activation Response)을 수신한다(S3140).
이때, 기지국과 후보 협력 기기들은 CC를 위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RF 활성화 시점 및 CC 지원 가능 여부 등에 대해 협의한다.
이후, 기지국은 협의된 결과 정보를 CC를 위한 활성화 명령(activation command) 메시지를 통해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S3150).
이때, 소스 기기로 전송되는 협의된 결과 정보는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에 대한 결과 정보, 후보 협력 기기들의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MAC 주소, 시스템 타입, 시스템 버전 등), 임의접속 시점 정보(예를 들면, 프레임 오프셋(frame offset), 프레임 개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는 수신한 활성화 명령(activation command) 메시지에 후보 협력 기기들의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임의접속을 시도할 주체를 묵시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해당 메시지 내에 명시적으로 포함된 시도 주체를 통해 명시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주체가 기지국인 경우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기지국은 CC 방식을 이용하여 소스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S3210). 즉, 기지국은 소스 기기와의 통신 품질이 떨어진다는 등의 이유로 CC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의 수행을 소스 기기에 먼저 요구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수신한 소스 기기는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협력 활성화 응답(activation Response)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3230).
만약, 소스 기기가 자신의 최신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협력 활성화 응답(activation Response)을 기지국으로 전송(S3230)하기 이전에,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220)가 진행된다.
소스 기기는 GPS 장치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등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된 방식에 따라 위치 정보는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는 위치 정보를 수집한 방식에 따라 전송되는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함께 알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 기기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정보라는 사실을 기지국에 함께 알릴 수 있다.
소스 기기로부터 협력 활성화 응답(activation Response)을 수신한 기지국은 함께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스 기기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후보 협력 기기를 선정한다.
이때, 기지국은 셀 섹터별 위치 정보 또는 전력제어를 통한 기지국으로부터의 단계적 위치 정보(예를 들면, 인접 영역, 중간, 셀 에지(cell edge) 영역) 등을 통해 후보 협력 기기를 선정할 수 있다.
후보 협력 기기를 선정한 경우, 기지국은 후보 협력 기기들에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을 전송하고(S3240), 후보 협력 기기들로부터 협력 활성화 응답(activation Response)을 수신한다(S3250).
이때, 기지국과 후보 협력 기기들은 CC를 위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RF 활성화 시점 및 CC 지원 가능 여부 등에 대해 협의한다.
이후, 기지국은 협의된 결과 정보를 CC를 위한 활성화 명령(activation command) 메시지를 통해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S3260).
이때, 소스 기기로 전송되는 협의된 결과 정보는 협력 활성화 요청(activation Request)에 대한 결과 정보, 후보 협력 기기들의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MAC 주소, 시스템 타입, 시스템 버전 등), 임의접속 시점 정보(예를 들면, 프레임 오프셋(frame offset), 프레임 개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는 수신한 활성화 명령(activation command) 메시지에 후보 협력 기기들의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임의접속을 시도할 주체를 묵시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해당 메시지 내에 명시적으로 포함된 시도 주체를 통해 명시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제 4 단계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의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소스 기기가 임의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되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후보 협력 기기가 임의 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제 4 단계는 임의 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소스 기기인 경우와 후보 협력 기기인 경우에 따라 과정이 달라진다.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임의 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소스 기기인 경우, 제 4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나타낸다.
즉, 도 17에서는 제 3 단계에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통해 임의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소스 기기인 것으로 묵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결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소스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보 협력 기기들의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후보 협력 기기들과 해당 시스템에 따른 임의 접속을 시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RTS)를 전송한다(S4100).
이때, 임의 접속 시도에 따른 충돌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소스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된 임의 접속 시점에 임의 접속 시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임의 접속이 가능한 후보 협력 기기들은 임의 접속 시도에 대한 응답(예를 들면, CTS)를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S4200).
소스 기기는 임의 접속 시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을 준 후보 협력 기기와 CC를 위한 연결(connection) 동작을 수행한다(S4300).
CC를 위한 연결 동작이 완료되면, 협력 기기는 소스 기기와의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에 대한 결과를 기지국에게 알린다(S4402).
이때, 이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에 대한 결과의 보고는 협력 기기가 아닌 소스 기기가 수행할 수도 있다(S4401).
연결 설정 결과를 소스 기기 또는 협력 기기로부터 수신한 기지국은 CC 동작에 요구되는 어드레싱(addressing) 정보(예를 들면, CC를 위해서만 사용되는 논리 ID 또는 소스 기기의 논리 ID 등) 및 보안(security) 정보 등을 소스 기기 및 협력 기기에 전송한다(S4501, S4502).
만약, 기지국이 복수의 협력 기기로부터 연결 설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 기지국은 복수의 협력 기기 중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하나의 협력 기기에 대한 정보를 나머지 협력 기기들에 알릴 수도 있다.
도 18은 임의 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후보 협력 기기인 경우, 제 4 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나타낸다.
즉, 도 18에서는 제 3 단계에서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통해 임의접속을 시도하는 주체가 후보 협력 기기인 것으로 묵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결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후보 협력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소스 기기의 정보를 기초로 소스 기기와 해당 시스템에 따른 임의 접속을 시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RTS)를 소스 기기로 전송한다(S4110).
이때, 임의 접속 시도에 따른 충돌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후보 협력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된 임의 접속 시점에 임의 접속 시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소스 기기는 임의 접속 시도에 대한 응답(예를 들면, CTS)를 후보 협력 기기로 전송한다(S4210).
후보 협력 기기는 임의 접속 시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소스 기기와 CC를 위한 연결(connection) 동작을 수행한다(S4310).
CC를 위한 연결 동작이 완료되면, 협력 기기는 소스 기기와의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에 대한 결과를 기지국에게 알린다(S4422).
이때, 이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에 대한 결과의 보고는 협력 기기가 아닌 소스 기기가 수행할 수도 있다(S4411).
연결 설정 결과를 소스 기기 또는 협력 기기로부터 수신한 기지국은 CC 동작에 요구되는 어드레싱(addressing) 정보(예를 들면, CC를 위해서만 사용되는 논리 ID 또는 소스 기기의 논리 ID 등) 및 보안(security) 정보 등을 소스 기기 및 협력 기기에 전송한다(S4511, S4522).
만약, 기지국이 복수의 협력 기기로부터 연결 설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 기지국은 복수의 협력 기기 중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하나의 협력 기기에 대한 정보를 나머지 협력 기기들에 알릴 수도 있다.
전술한 제 1 단계 내지 제 4 단계(전술한 것과 같이, 경우에 따라 제 3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음)를 완료하면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Multi Radio Access Technology(RAT) System) 내에서 소스 기기와 협력 기기 간에 협력 체계가 구축된다. 이후, 소스 기기(Source Device)는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지 않고 현재 통신 품질이 우수한 협력 기기(Cooperative device)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기지국과 협력 체계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910) 및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192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단말, 통신 기기 및 통신 장치에 대한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하에서는 혼동을 막기 위해 단말 장치로 호칭하여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910)는, 수신모듈(1911), 전송모듈(1912), 프로세서(1913), 메모리(19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9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9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9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9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913)는 기지국 장치(19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910)의 프로세서(1913)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단말 장치들이 서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기지국과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전술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제 1 단계),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제 2 단계),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제 3 단계) 및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제 4 단계)를 수행하도록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910)의 프로세서(1913)는 그 외에도 기지국 장치(19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9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920)는, 수신모듈(1921), 전송모듈(1922), 프로세서(1923), 메모리(1924) 및 복수개의 안테나(19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9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9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모듈(19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923)는 단말 장치(19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장치(1920)의 프로세서(1923)는,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 내에서 다른 단말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기지국과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전술한 일반적인 네트워크 진입 단계(제 1 단계), 복수의 기기들이 협력하기 위한 협상 단계(제 2 단계), 소스 기기의 이웃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이웃 기기 중 협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제 3 단계) 및 선택한 협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제 4 단계)를 수행하도록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9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9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19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다이렉트(direct)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수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방식이고,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접속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capability) 협상 요청 메시지는, 연결 RAT 타입 정보, 시스템 타입 정보, 시스템 버전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협력 단말 역할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요청을 포함하는, 통신 수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한 제 1 활성화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7.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다이렉트(direct)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수행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접속 방식은 WiFi(Wireless Fidelity) 접속 방식이고, 상기 제 2 무선 접속 방식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접속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capability) 협상 요청 메시지는, 연결 RAT 타입 정보, 시스템 타입 정보, 시스템 버전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협력 단말 역할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요청을 포함하는, 통신 수행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상기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1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3.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4.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5.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 및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6.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 2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7.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18.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및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지국.
  19.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20.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Client cooperation: CC)을 위한 능력 협상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로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연결(connec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활성화 요청 지시자(Indicat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협력을 위한 능력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협력 단말 중 상기 연결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데이터가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 간에는 제 1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력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에는 제 2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110100659A 2010-10-05 2011-10-04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35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78,179 US20130201956A1 (en) 2010-10-05 2011-10-05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multi radio access system
PCT/KR2011/007338 WO2012047003A2 (ko) 2010-10-05 2011-10-05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014110P 2010-10-05 2010-10-05
US61/390,141 2010-10-05
US201161448184P 2011-03-01 2011-03-01
US61/448,184 2011-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871A true KR20120035871A (ko) 2012-04-16

Family

ID=4613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659A KR20120035871A (ko) 2010-10-05 2011-10-04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01956A1 (ko)
KR (1) KR201200358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87A1 (ko) * 2012-04-24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의 동적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27732A1 (en) * 2012-08-13 2014-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igger condition for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30887A1 (en) * 2012-08-22 2014-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84475A1 (ko) * 2012-11-27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Cellular-wifi 융합시스템에서 일반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wifi 망을 통해 access point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42077A (ko) * 2013-06-03 2014-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US9839062B2 (en) 2012-11-22 2017-12-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ort range communications method, device, a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7746A1 (en) 2012-12-26 2018-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access poi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144800B (zh) * 2013-04-26 2018-12-11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集成电路以及无线通信方法
GB2527262B (en) * 2013-05-10 2018-06-0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using channel frequencies in direct mode
EP3010271A1 (en) * 2014-10-13 2016-04-20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16059064A1 (en) 2014-10-13 2016-04-21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relaying cellular coverage
EP3207729B1 (en) * 2014-10-13 2024-02-21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A controller entity, a communication device, a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s
EP3010276A1 (en) * 2014-10-13 2016-04-20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Configura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CA3031381A1 (en) * 2016-07-27 2018-02-01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US10687291B2 (en) * 2017-10-02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haring between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9679D0 (en) * 2002-12-19 2003-01-29 Ibm Identification of a computing device
GB2396775B (en) * 2002-12-23 2005-04-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irect communication for mobil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76649A1 (en) * 2005-09-30 2007-04-0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heterogeneous radio cooperation
US8265550B2 (en) * 2007-09-28 2012-09-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utilizing a repeating function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
JP5251191B2 (ja) * 2008-03-19 2013-07-3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30153298A1 (en) * 2009-02-19 2013-06-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ell-edge user performance and signaling radio link failure conditions via downlink cooperative component carriers
CN102356670B (zh) * 2009-03-16 2015-07-01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和移动通信中的操作方法
CN102804890B (zh) * 2009-06-19 2016-05-25 黑莓有限公司 中继节点、接入设备和在中继节点中实现的方法
TWI454082B (zh) * 2009-06-29 2014-09-21 Htc Corp 處理行動裝置行動性的方法及其相關通訊裝置
US9007939B2 (en) * 2009-12-11 2015-04-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secondary usage of licensed cellular spectrum
WO2011103719A1 (en) * 2010-02-26 2011-09-01 Nokia Corporation Base station aided mobile-relay candidate pre-selection and pre-deployment
CN102948104B (zh) * 2010-04-02 2016-08-0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协作传输的自适应调度和harq管理
US8824436B2 (en) * 2010-05-19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migration of frequency spectrum blocks
WO2011162572A2 (ko) * 2010-06-24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간 협력 통신
WO2012039656A1 (en) * 2010-09-21 2012-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laying in mixed licensed and unlicensed carrier aggregatio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87A1 (ko) * 2012-04-24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의 동적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44884B2 (en) 2012-04-24 2017-0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resource block for search region of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4027732A1 (en) * 2012-08-13 2014-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igger condition for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13436B2 (en) 2012-08-13 2016-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igger condition for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30887A1 (en) * 2012-08-22 2014-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client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39062B2 (en) 2012-11-22 2017-12-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ort range communications method, device, and system
EP2916611B1 (en) * 2012-11-22 2022-05-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O2014084475A1 (ko) * 2012-11-27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Cellular-wifi 융합시스템에서 일반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wifi 망을 통해 access point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93675A (ko) * 2012-11-27 201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Cellular-wifi 융합시스템에서 일반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wifi 망을 통해 access point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9769802B2 (en) 2012-11-27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ccess point through WiFi network by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common device in cellular-WiFi convergence system
KR20140142077A (ko) * 2013-06-03 2014-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mac 구동 장치 및 방법
US9510279B2 (en) 2013-06-03 2016-1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lligent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1956A1 (en)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4129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channe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channel
JP696167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d2d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US20200177356A1 (en)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and base station
KR20120035871A (ko)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936486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port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receiv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US9609647B2 (en)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user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and base station
US20230328822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2385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US20150245323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EP364853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data and apparatus therefor
JP6325693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9891965B (zh) 上行传输控制方法及其装置、通信系统
KR101320676B1 (ko) 다중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71957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broadcast/multicast service,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broadcast/multicast service
KR20150108348A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0863398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 handover
KR20150105289A (ko)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WO2014168336A1 (ko)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5008992A1 (ko) 매시브 안테나를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안테나 상관도를 이용한 데이터 심볼 송수신 방법
KR201901203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50722B1 (ko)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91571B2 (en) Downlink signal receiv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KR2020000320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전송 블록에 대한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11112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rpt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84377B1 (ko)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d2d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