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075A -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075A
KR20120035075A KR1020100096569A KR20100096569A KR20120035075A KR 20120035075 A KR20120035075 A KR 20120035075A KR 1020100096569 A KR1020100096569 A KR 1020100096569A KR 20100096569 A KR20100096569 A KR 20100096569A KR 20120035075 A KR20120035075 A KR 20120035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portable terminal
natural languag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
권오욱
최승권
김창현
이기영
노윤형
박은진
서영애
양성일
황금하
신종훈
김영길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075A/ko
Publication of KR2012003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행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정보에 검색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웹을 통해 검색 대상을 검색하여 정보를 획득한 후, 분류된 정보 및 웹을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자연어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자연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로 기록하거나 편집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성격, 취미, 기호 등이 반영된 일기나 여행기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METHOD FOR GENERATING NATURAL LANGUAGE BASED O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연어 생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연어 처리에 관한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의료분야 및 웹 검색 등의 분야에서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먼저, 의료분야에서는 환자와 연결된 다양한 전자 의료 기기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텍스트 형식으로 요약한 후 담당 의사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생아 중환자실의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다양한 의료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그래프가 아닌 테스트 형식으로 요약하여 담당 의사에게 직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담당 의사로 하여금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최적의 시점에 적절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의료분야의 자연어 처리 기술은 여러 의료 전자 기기로부터 환자의 생리적 수치, 예를 들면 약물 투여 후 생리적 반응 수치를 산발적인 의료기기로부터 수집하여 환자의 상태를 정상 또는 이상 등의 정보로 요약하여 텍스트로 자동 생성해주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한 의료분야의 자연어 처리 기술은 의료 분야라고 하는 한정된 분야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주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연어를 생성하기 때문에 자연어 생성의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고 이로 인해 의료 분야 내에서는 효용성이 있으나 의료 분야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웹 검색 분야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하나의 주제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주제와 유사한 문서와 내용을 웹으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내용을 요약하여 요약한 내용에 상응하는 결과를 새로운 문장으로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웹 검색 분야의 자연어 처리 기술은 자연어 요약, 자연어 구문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하여 기술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정의, 관련 설명, 역사, 사례, 참조 템플릿을 정하고 템플릿을 구성하는 각 정보와 연관된 문장을 웹으로부터 검색하고 추출하여 기술하고자 하는 주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자연어 처리를 이용한 웹 검색 기술은 사용자가 제공한 특정 주제에 대해서 수동적으로 자연어 처리 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로부터 자동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연어를 생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자연어 처리 대상이 사용자가 제공한 주제에 종속적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제공되는 검색 결과를 위한 자연어 생성도 사용자가 선택한 주제와 연관된 범위 내로 제한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행태 및 행태와 연관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자연어를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행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정보를 분류하는 단계와, 분류된 정보에 검색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웹을 통해 상기 검색 대상을 검색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계 및 분류된 정보 및 웹을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자연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의 행태 즉, 사용자의 행위, 이동, 위치 등의 정보를 시간에 따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류하며, 웹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연어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로 기록하거나 편집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성격, 취미, 기호 등이 반영된 일기나 여행기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연어를 자동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언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언어로 확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국어 학습을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어 생성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의 행태에 기반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자연어 생성과정을 나타낸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 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자연어 생성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환경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 설정 정보를 제공받는다(단계 110).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 정보에는 서비스 실행 시간 간격, 정보 수집의 제외 대상 정보, 서비스 실행 제외 시간 등의 사용자 개인의 권리 또는 사생활 보호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10에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태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120).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행태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거나 사용하는 사용자의 행위, 움직임, 위치,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 또는 관련 하드웨어 구성요소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할 정보가 사용자의 행위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파일 계층 중 루트(root) 접근 권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행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음성 또는 영상 전화를 걸거나 받은 경우에는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명칭이나 전화번호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수집할 정보가 위치 정보인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 정보 서비스 기능 또는 GPS 등과 같은 위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위치 정보가 자연어 생성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의 위치에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 동안 머물러 있었거나, 환경 설정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특정 위치 정보를 설정한 위치에 현재 머물러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의미있는 정보로 간주하고 자연어 생성을 위해 사용한다.
또는, 수집할 정보가 사용자의 움직임(또는 이동)에 해당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또는 이동 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표준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단계 11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 설정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되어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후 정보 인식 및 정보 분류에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20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의 행태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수집된 정보를 인식하고 분류한다(단계 130).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사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인식하고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에서는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 간격에 따라 추출된 사용자 정보가 자연어 생성에 모두 사용되지 않고, 추출된 사용자 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를 통하여 필터링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되지만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에 머물러 있을 경우 중복되는 위치 정보는 필터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수집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제외되는 정보, 자연어 생성에 사용될 정보 및 웹을 통해 추가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추출할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명승지 또는 유명 음식점에 위치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웹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한 명승지 또는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행위 중에 특정 사람과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웹을 통한 지식 및 정보 획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130의 실행을 통해 수집된 정보가 분류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웹을 통해 추가적인 지식 또는 문장 등의 정보를 획득할 대상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고(단계 140), 웹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할 대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웹에 접속하여 획득할 대상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150). 상기 웹을 통한 추가적인 검색에는 웹 마이닝(Web mining)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50에서, 웹을 통한 정보 검색에는 사용자가 행위 도중 수행하는 검색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건물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정보 검색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검색에 사용된 다양한 질의어는 사용자의 취미와 사용자가 가진 정보의 한계를 반영하기 때문에 질의어와 그 검색 결과를 요약하여 이야기로 생성할 경우 사용자에게 흥미있는 추억과 통계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명승지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웹에서 상기 명승지에 대한 추가적인 지식 또는 문장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지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는 획득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국경일, 절기, 기념일 등의 특정일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웹을 통해 해당 특정일에 대한 지식이나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일이 '입춘'인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웹을 통해 '입춘'에 대한 유래 및 관련 지식을 획득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30의 실행을 통해 분류된 정보 또는 단계 130 및 단계 150을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자연어를 생성한다(단계 160). 여기서, 상기 생성되는 자연어는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사용자 개인의 이야기(story)가 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개인의 이야기는 시간 정보에 따라 생성되며 이벤트 기반 즉, 사용자의 행위,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움직임 등에 기반하여 생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에서 사용자의 행태에 따라 추출된 정보는 시간 정보와 동기되어 저장된 후, 사용자의 특정 행위에 대한 통계적 정보로 제공되거나, 그래프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에서는 추가적인 검색이 필요한 경우 웹을 통해 검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추가적인 검색이 웹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웹 이외에도 다양한 서버에 접속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어 생성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입출력부(210), GPS부(220), 무선 통신부(230), 제어부(240), 저장부(250), 카메라부(260) 및 음성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고, 자연어 생성과 관련된 환경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상응하는 키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240)에 제공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부(240)에 제공한다.
무선 통신부(230)는 예를 들어, WiBro, HSPA 및/또는 WiFi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240)의 제어에 상응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웹 서버 또는 데이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자연어 생성 서비스의 실행과 관련된 환경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출력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 설정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후,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GPS부(22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루트 접근 권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행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명칭이나 전화번호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집한 사용자의 행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수집된 정보를 인식 및 분류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인식하고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추출된 사용자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자연어 생성에 사용할 정보만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수집된 정보를 분류한 후, 분류된 정보 중에 웹을 통해 추가적인 지식 또는 문장 등의 정보를 획득할 대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웹에 접속하여 획득할 대상 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웹을 통한 추가적인 검색에는 웹 마이닝(Web mining)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자연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생성되는 자연어는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사용자 개인의 이야기(story)가 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개인의 이야기는 시간 정보에 따라 생성되며 이벤트 기반 즉, 사용자의 행위,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움직임 등에 기반하여 생성된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특정 행위에 대한 통계 정보를 입출력부(2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계 정보는 그래프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저장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상응하여 수집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5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부(26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상응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제어부(240)에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부(260)는 영상 통화시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음성 입출력부(270)는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40)에 제공하거나, 제어부(240)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 입출력부 220 : GPS부
230 : 무선 통신부 240 : 제어부
250 : 저장부 260 : 카메라부
270 : 음성 입출력부

Claims (1)

  1.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행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정보를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정보에 검색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웹을 통해 상기 검색 대상을 검색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분류된 정보 및 웹을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태에 상응하는 자연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KR1020100096569A 2010-10-04 2010-10-04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20035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69A KR20120035075A (ko) 2010-10-04 2010-10-04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69A KR20120035075A (ko) 2010-10-04 2010-10-04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75A true KR20120035075A (ko) 2012-04-13

Family

ID=4613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569A KR20120035075A (ko) 2010-10-04 2010-10-04 휴대용 단말기 기반 자연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0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27405A1 (en) Automated image processing and content curation
CN102782751B (zh) 社会网络中的数字媒体语音标签
US20170085547A1 (en) Storing, indexing and recalling data based on brain activity
US20170161382A1 (en) System to correlate video data and contextual data
CN109918669B (zh) 实体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446063B (zh) 视频封面的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8504727A (ja) 参考文書の推薦方法及び装置
KR2016005439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102744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cene metadata extraction device, loss recovery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s
KR20120028491A (ko) 이미지 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60048708A (ko) 통신 메시지 인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2006031379A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
US1051034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erpreting speech data
CN111930964B (zh) 内容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584685B1 (ko) 시청 데이터를 이용한 기억 보조 방법
KR20180081922A (ko) 전자 장치의 입력 음성에 대한 응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550643A (zh) 医学术语识别方法及装置
CN111898382A (zh) 一种命名实体识别方法、装置和用于命名实体识别的装置
KR20150092390A (ko) 음성기반 이미지 파일 태깅장치 및 그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이미지 파일 검색방법
WO2021088790A1 (zh) 用于目标设备的显示样式调整方法和装置
CN109002184A (zh) 一种输入法候选词的联想方法和装置
CN111428522A (zh) 翻译语料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8959296A (zh) 网页访问错误的处理方法和装置
JP2022093317A (ja) 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過去に提示された情報の認識および再構築)
KR20150117043A (ko) 미디어 컨텐츠를 선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