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949A -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949A
KR20120032949A KR1020100094524A KR20100094524A KR20120032949A KR 20120032949 A KR20120032949 A KR 20120032949A KR 1020100094524 A KR1020100094524 A KR 1020100094524A KR 20100094524 A KR20100094524 A KR 20100094524A KR 20120032949 A KR20120032949 A KR 20120032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eripheral
signal
peripheral devic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범준
김동일
정병덕
황찬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9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949A/en
Publication of KR2012003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9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office environment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construct environment similar with laptop environment by using peripheral apparatuses and a portable terminal. CONSTITUTION: A peripheral apparatus interface unit(210) connects a peripheral apparatus with an input apparatus, a display apparatus, or an output apparatus. A peripheral apparatus recognition unit(220)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peripheral apparatus. A portable terminal interface unit(250) wirelessly connects a portable terminal with the peripheral apparatus.

Description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

본 발명은 모바일 오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off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office environment and a connection device supporting the same.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폰(smartphone)이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폰에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탑재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음성/데이터 통신 등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가 탑재된다.As computers,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dvanced rapidly,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have been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developing not only voice service but also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Recently, smart phones that combine the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unction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have come into the spotlight. Smartphones are equipped with a large memory and a high performance CPU (Central Processing Unit), compared to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for supporting various application execution,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한편, 스마트폰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모바일 오피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오피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무실 밖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바일 오피스는 출장이나 외근 등으로 인해 사무실 밖에서 근무하는 시간이 많은 직원에게 특히 유용하다.Meanwhile, as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is accelerated, the demand for mobile offices is increasing. The mobile office means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handle busines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Mobile offices are especially useful for employees who have a lot of time away from the office, for example, due to business trips or outings.

다만,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 및 문자 입력 환경이 기존의 모니터 및 키보드에 비하여 불편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문서 작업에 불편함을 느낀다.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문서 확인 또는 간단한 문서 수정만을 수행할 뿐이다.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가 효용성을 가지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기존의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However, the screen size and character input environment of the smart phone is inconvenient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nitor and keyboard. Accordingly, users familiar with the existing desktop or notebook environment feel inconvenient for working with documents using a smartphone. Currently, most users only use the smartphone to perform document checking or simple document modification. In order for mobile office services to be useful,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build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an existing desktop or laptop using a smartphon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office environment and a connection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지원하는 연결장치는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연결된 주변기기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주변기기 인식부, 휴대단말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 상기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연결된 휴대단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휴대단말 인식부, 그리고 상기 주변기기의 신호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거나 상기 휴대단말의 신호를 상기 주변기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를 포함한다.A connecting device supporting a mobile offic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ipheral device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a peripheral device, a peripheral dev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unit, and wirelessly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nterface unit for recognizing,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nterface unit, and converts the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eripheral device It includes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so that it can be delivered to.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연결장치가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지원하는 방법은 입력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및 출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와 연결되는 단계, 연결된 주변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주변기기에 대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주변기기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upporting a mobile office environment by connecting to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of an input device, a display device, and an output device,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periphera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connecting, generating a channel for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and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channel.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연결장치가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지원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주변기기 세트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주변기기 세트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복수의 주변기기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 세트를 매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과 매핑한 주변기기 세트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upporting a mobile office environment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eripheral sets includ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peripheral sets, and a mobile terminal. And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mapp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set among the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and the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 sets, and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set mapped thereto.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단말 및 주변기기들을 이용하여 기존의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없이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사내외에서 효율적으로 업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vironment similar to an existing desktop or notebook may be constructed by using a mobile terminal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work in-house and out-of-house using a portable terminal without a desktop or a notebook.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3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오피스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주변기기, 연결장치 및 휴대단말이 연동하여 모바일 오피스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휴대단말에 출력된 가용한 주변기기 세트 리스트의 일 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offic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mobile off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office procedure in which a peripheral device, a connection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interwork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offic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list of available peripheral sets output to a mobile termina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연결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office environment and a connection device support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offic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모바일 오피스 지원 시스템(100)은 연결장치(110), 휴대단말(120) 및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30-1, 130-2, 130-3, 130-4, 13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office support system 100 includes a connection device 110, a mobile terminal 120, and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30-1, 130-2, 130-3, 130-4, and 130-5. ).

연결장치(110)는 휴대단말(120)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30-1, 130-2, 130-3, 130-4, 130-5)를 연결한다. 휴대단말(120)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 예를 들어 오피스 관련 어플을 구동할 수 있고, 연결장치(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30-1, 130-2, 130-3, 130-4, 130-5)들을 인식할 수 있다. 휴대단말(120)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PDA, PDA 폰, 태블릿 PC, 어플 구동 가능한 피처폰을 포함한다. 주변기기(130)는 입력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출력 기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기기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예를 들어 모니터, TV, 빔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출력 기기는 예를 들어 프린터를 포함한다. 연결장치(110)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30-1, 130-2, 130-3, 130-4, 130-5)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연결장치(110)와 휴대단말(120)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연결장치(110)와 휴대단말(120)이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휴대단말(120)은 도킹(docking) 형태로 연결장치(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장치(110)는 휴대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30-1, 130-2, 130-3, 130-4, 130-5)로 전달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30-1, 130-2, 130-3, 130-4, 130-5)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휴대단말(120)로 전달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device 110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120 and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30-1, 130-2, 130-3, 130-4, and 130-5. The mobile terminal 120 may drive various applications (hereinafter, an application), for example, an office-related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30-1, 130-2, 130-3,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110. 130-4, 130-5). The mobile terminal 120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phone, a PDA, a PDA phone, a tablet PC, and an application drive feature phone. The peripheral device 13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a display device, an output device, and the like. Input devices include, for example, keyboards and mice. Display devices include, for example, monitors, TVs, beam projectors. The output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printer. The connection device 110 and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30-1, 130-2, 130-3, 130-4, and 130-5 ar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110 and the mobile terminal 120 is connected by wireless or wired. When the connection device 110 and the mobile terminal 120 are wired, the mobile terminal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110 in a docking form.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110 chang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20 to a signal capable of transmitting to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30-1, 130-2, 130-3, 130-4, 130-5). Or, it may have a function of changing the signal received from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30-1, 130-2, 130-3, 130-4, 130-5) to a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20). .

이와 같이, 휴대단말(120)과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30-1, 130-2, 130-3, 130-4, 130-5)를 연결장치(110)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휴대단말(120)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130-1, 130-2, 130-3, 130-4, 130-5)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120) 사용자는 기존의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120)을 이용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사무실 내에서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연결장치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지칭한 것으로서 등가의 다른 용어(예, 휴대단말 게이트웨이)로 대체될 수 있다.As such, the mobile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30-1, 130-2, 130-3, 130-4, 130-5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110.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130-1, 130-2, 130-3, 130-4, or 130-5 may be recognized.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20 may perform work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existing desktop or notebook environment. Therefore, the utility of the mobile office ser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120 can be increased and the number of desktops or laptops in the office can be reduced. The term connection device is arbitrarily referred t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replaced with other equivalent terms (eg, a mobile terminal gateway).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연결장치(200)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10), 주변기기 인식부(220), 신호 변환부(230), 휴대단말 인식부(240),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nection device 200 includes a peripheral device interface 210, a peripheral device recognizer 220, a signal converter 230, a mobile device recognizer 240, a mobile device interface 250, and a controller. 260.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10)는 각종 주변기기를 연결장치(200)와 연결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10)는 각종 주변기기와 연결장치(200)를 호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10)는 주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포맷을 가진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10)는 직렬 포트, 병렬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블루투스, 적외선 포트, RGB(Red Green Blue) 포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포함한다.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unit 210 connects various peripheral devices with the connection device 200.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unit 210 may connect various peripheral devices and the connection device 200 by wire with a compatible interface method or wirelessly. The peripheral interface unit 210 may have various formats according to the type of peripheral device.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peripheral interface unit 210 may include a serial port, a parallel port,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Bluetooth, an infrared port, a red green blue (RGB) port,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and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주변기기 인식부(220)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연결된 주변기기를 인식한다. 주변기기 인식부(220)는 주변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한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 인식부(220)는 주변기기의 타입, 제조회사, 명칭, 식별 정보(예, 물리 주소/번호, 인터페이스 방식) 등을 식별할 수 있다.The peripheral device recognizer 220 recognizes the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210. The peripheral recognition unit 220 confirms and store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eripheral device. For example, the peripheral device recognition unit 220 may identify the type, manufacturer, n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physical address / number, interface method) of the peripheral device.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단말을 연결장치(200)와 연결한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25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 또는 WiFi Direct 기술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휴대단말을 연결장치(200)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250)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휴대단말을 연결장치(200)에 연결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interface 250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interface 250 forms a local network through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ZigBee, or WiFi Direct technology, and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interface 250 may connect the mobile terminal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through a USB (Universal Serial Bus).

휴대단말 인식부(240)는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연결된 휴대단말을 인식한다. 휴대단말 인식부(240)는 휴대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 인식부(240)는 휴대단말의 타입, 제조회사, 명칭, 식별 정보(예, 물리 주소/번호), OS(Operating System) 종류(예, iOS, 안드로이드, 심비안, 블랙베리 OS, 윈도우 모바일), OS 버전 등을 식별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r 240 recognizes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nterface 250.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r 240 confirms and store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recognition unit 240 may include a type of a mobile terminal, a manufacturer, a n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physical address / number), and an operating system (OS) type (eg, iOS, Android, Symbian, and BlackBerry). OS, Windows Mobile), OS version, and the like.

신호 변환부(230)는 주변기기의 신호를 휴대단말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거나, 휴대단말의 신호를 주변기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한다. 예를 들어, 신호 변환부(230)는 RGB, DVI, HDMI 등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장치(200)로 전송된 주변기기의 신호가 WiFi Direct 프로토콜에 따라 휴대단말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신호 변환부(230)는 WiFi Direct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장치(200)로 전송된 휴대단말의 신호가 RGB, DVI, HDMI 등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주변기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다. The signal converter 230 converts the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terminal, or converts the signal of the mobile device to be delivered to the peripheral device. For example, the signal converter 230 may convert a signal of a peripheral devi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through a physical interface such as RGB, DVI, HDMI, or the like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WiFi Direct protocol. . Alternatively, the signal converter 230 may convert the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WiFi Direct protocol to be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a physical interface such as RGB, DVI, or HDMI.

제어부(260)는 연결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와 연결되고, 연결장치(200) 내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60)는 휴대단말로 전송할 신호 또는 주변기기로 전송할 신호를 생성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60 is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and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260 may generate or process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mobile terminal or a signal to a peripheral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3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휴대단말(300)은 연결장치 인터페이스부(310), 연결장치 인식부(320), 주변기기 인식부(330), 주변기기 반응부(3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300 includes a connection device interface unit 310, a connection device recognition unit 320, a peripheral device recognition unit 330, a peripheral device reaction unit 340, and a controller 250.

연결장치 인터페이스부(310)는 연결장치를 휴대단말(300)에 연결한다. 예를 들면, 연결장치 인터페이스부(31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 또는 WiFi Direct 기술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연결장치를 휴대단말(3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장치 인터페이스부(250)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연결장치를 휴대단말(300)에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interface 310 connects the connection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connection device interface 310 forms a local network through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ZigBee, or WiFi Direct technology, and connects the connection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300. )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interface unit 250 may connect the connection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연결장치 인식부(320)는 연결장치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하여 연결된 연결장치를 인식한다.The connection device recognition unit 320 recognizes th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interface 310.

주변기기 인식부(330)는 연결장치를 통하여 주변기기를 인식한다. 이를 위하여, 연결장치는 주변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휴대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The peripheral device recognizer 330 recognizes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o this end, the connection device may transmit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eripheral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주변기기 반응부(340)는 연결장치를 통해 수신한 주변기기의 신호를 휴대단말에 적용한다.The peripheral reaction unit 340 applies a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350)는 휴대단말(300)의 각 구성요소와 연결되고, 휴대단말(3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휴대단말의 신호를 생성/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연결장치의 신호 또는 주변기기의 신호를 휴대단말(300)이 사용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50 is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300 and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350 may generate / process a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350 may perform a process for the mobile terminal 300 to use the signal of the connection device or the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오피스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휴대단말과 연결장치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이들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mobile office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mainly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device are wirelessly connected, but similarly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y are connected by wire.

도 4를 참고하면, 연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와 연결된다(S400). 예를 들면, 연결장치는 직렬 포트, 병렬 포트, USB, 블루투스, 적외선 포트, RGB 포트, DVI, HDMI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주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장치는 연결된 주변기기를 인식한다(S410). 예를 들면, 연결장치는 주변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할 수 있다.4, the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S400). For example, the connec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at least one of a serial port, a parallel port, a USB, a Bluetooth, an infrared port, an RGB port, a DVI, and an HDMI. The connection device recognizes the connected peripheral device (S410). For example, the connection device may identify and stor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eripheral device.

한편, 휴대단말은 연결장치를 검색한다(S420). 휴대단말은 주변에서 가용한 연결장치 리스트를 검색하고, 가용한 연결장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searches for a connection device (S420). The mobile terminal searches a list of available connection devices in the vicinity and selects one of the available connection device lists.

휴대단말은 검색한 연결장치와 연결된다(S430). 예를 들면, 휴대단말과 연결장치 간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WPAN 기술 또는 WiFi Direct 기술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arched connection device (S430). For example, a local network may be formed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ion device through a WPA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Zigbee, or WiFi Direct technology.

연결장치는 휴대단말이 주변기기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단말로 전송한다(S440). 주변기기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는 주변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generates a signal for the mobile terminal to recognize the peripheral devic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local network (S440). The signal for recognizing the peripheral device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eripheral device.

이에, 휴대단말은 주변기기를 인식하고(S450), 휴대단말과 연결장치 사이에 주변기기를 위한 채널을 생성한다(S460). 주변기기를 위한 채널은 주변기기 별로 생성되는 전용 채널이거나 복수의 주변기기에 대한 공용 채널일 수 있다.Thus,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the peripheral device (S450), and generates a channel for the peripheral devi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device (S460). The channel for the peripheral device may be a dedicated channel generated for each peripheral device or a shared channel for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이후, 연결장치는 주변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변환하여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변환하여 주변기기로 전송한다.Thereafter, the connecting device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eripheral devic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nd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peripheral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주변기기, 연결장치 및 휴대단말이 연동하여 모바일 오피스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연결장치는 주변기기인 입력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및 출력 기기와 물리적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고, 휴대단말과 WiFi Direct를 통해 형성된 로컬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office procedure in which a peripheral device, a connection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interwork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the display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which are peripheral devices, by a physical inte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local network form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WiFi Direct.

도 5를 참고하면, 휴대단말의 모바일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500), 휴대단말의 화면 정보가 WiFi Direct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장치로 전달된다(S502). 연결장치는 휴대단말의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하고(S504), 변환한 화면 정보를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달한다(S506). 디스플레이 기기는 수신한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08).Referring to FIG. 5, when the mobile offic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executed (S500),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device through the WiFi Direct protocol (S502). The connection device converts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to a form for transferring to the display device (S504), and transfers the converted scree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physical interface (S506).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received screen information (S508).

한편, 사용자가 입력 기기, 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면(S510), 입력 기기는 입력 정보를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장치로 전달한다(S512). 연결장치는 입력 기기의 입력 정보를 휴대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하고(S514), 변환한 입력 정보를 WiFi Direct 프로토콜을 통해 휴대단말로 전달한다(S516).Meanwhile, when a user inputs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device, for example, a mouse or a keyboard (S510), the input device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a connection device through a physical interface (S512). The connection device converts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input device into a form for transferring to the portable terminal (S514), and transfers the converted input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Fi Direct protocol (S516).

휴대단말은 수신한 입력 정보를 적용하고(S518), 입력 정보의 적용에 따른 화면 정보를 WiFi Direct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장치로 전달한다(S520). 연결장치는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하고(S522), 변환한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달한다(S524). 디스플레이 기기는 입력 정보가 적용된 휴대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26).The mobile terminal applies the received input information (S518) and transfers the scre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device through the WiFi Direct protocol (S520). The connection device converts the screen information into a form for transmitting to the display device (S522), and transfers the converted scree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S524).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input information is applied (S526).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휴대단말과 주변기기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xisting desktop or notebook environment using only a mobile terminal and a peripheral device.

이상, 연결장치와 휴대단말이 1대1로 연결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장치와 휴대단말이 1대 다수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하나의 연결 장치에 대하여 복수 개의 휴대단말 및 복수 개의 주변기기 세트가 연결되는 예를 설명한다.In the above,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on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are connected one-to-one has been describe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one to many.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 sets are connected to one conne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offic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1 will be omitted.

도 6을 참고하면, 모바일 오피스 지원 시스템(600)은 연결장치(610), 복수 개의 휴대단말(620-1, 620-2, 620-3) 및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주변기기 세트(630-1, 630-2, 630-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office support system 600 includes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 sets including a connection device 610,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620-1, 620-2, and 620-3 and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630-1, 630-2, 630-3).

각 주변기기 세트(630-1, 630-2, 630-3)는 입력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출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력 기기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예를 들어 모니터, TV, 빔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출력 기기는 예를 들어 프린터를 포함한다. 주변기기 세트(630-1, 630-2, 630-3)는 특정 휴대단말에 대한 전용 주변기기 세트이거나 공용 주변기기 세트일 수 있다. 전용 주변기기 세트인 경우, 각 주변기기 세트는 각 휴대단말에 대하여 1대1로 매핑될 수 있다.Each peripheral set 630-1, 630-2, and 630-3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put device, a display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put devices include, for example, keyboards and mice. Display devices include, for example, monitors, TVs, beam projectors. The output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printer. The peripheral set 630-1, 630-2, and 630-3 may be a dedicated peripheral set for a specific mobile terminal or a common peripheral set. In the case of a dedicated peripheral set, each peripheral set may be mapped one-to-one with respect to each mobile terminal.

연결장치(610)는 주변기기 세트와 휴대단말 간의 매핑 테이블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장치(610)가 휴대단말 A와 연결된 경우, 연결장치(610)는 휴대단말 A와 매핑되어 있는 주변기기 세트 C를 검색하고, 휴대단말이 주변기기 세트 C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610 may store a mapping table between the peripheral device set and the mobile terminal in advance.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device 6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 the connection device 610 may search for the peripheral device set C mapped with the mobile device A, and allow the mobile terminal to recognize the peripheral device set C.

연결장치(610)는 각 주변기기 세트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장치(610)가 휴대단말 A와 연결된 경우, 연결장치(610)는 휴대단말 A에게 가용한 주변기기 세트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휴대단말에 출력된 가용한 주변기기 세트 리스트의 일 예이다. 휴대단말 A의 사용자가 출력된 주변기기 세트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연결장치는 선택된 주변기기 세트를 휴대단말 A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device 61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each peripheral set in advance. 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device 6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 the connection device 610 may provide the portable device A with a list of available peripheral sets. 7 is an example of a list of available peripheral sets output to a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A selects one of the output peripheral set list, the connection device may allow the portable terminal A to recognize the selected peripheral set.

이와 같이,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이 없는 경우에도 휴대단말과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As such, even when there is no desktop or notebook, the existing desktop or notebook environment may be constructed by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peripheral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11)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지원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입력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및 출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연결된 주변기기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주변기기 인식부,
휴대단말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
상기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연결된 휴대단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휴대단말 인식부, 그리고
상기 주변기기의 신호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거나 상기 휴대단말의 신호를 상기 주변기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In the connection device supporting a mobile office environment,
Peripheral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of the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output device,
Peripheral dev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unit,
A mobile terminal interface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interface;
And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r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mobile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는 직렬 포트, 병렬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블루투스, 적외선 포트, RGB(Red Green Blue) 포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및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ipheral interface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rial port, a parallel port,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Bluetooth, an infrared port, a red green blue (RGB) port,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and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 인터페이스부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 또는 WiFi 다이렉트 기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연결장치 사이에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기 휴대단말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interface unit connects the portable terminal by forming a local network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necting device through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technology or a WiFi direct technology.
연결장치가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및 출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와 연결되는 단계,
연결된 주변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주변기기에 대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주변기기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supporting the mobile office environment,
Connecting to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among an input device, a display device, and an output device;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ed peripheral,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Creating a channel fo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and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chann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의 신호를 상기 주변기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변환한 신호를 상기 주변기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livering step,
Receiving a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device; an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peripheral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변기기의 신호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변환한 신호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livering step,
Receiving a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연결장치가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주변기기 세트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주변기기 세트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복수의 주변기기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 세트를 매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과 매핑한 주변기기 세트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supporting the mobile office environment,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peripheral sets including at least one peripheral,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peripheral sets;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Mapp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set amo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and
Transferring a signal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a mapped set of periphera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는,
복수의 휴대단말과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휴대단말과 상기 복수의 주변기기 세트를 각각으로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mobile terminal,
And connecting with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The mapping step,
And mapping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peripheral sets to each other by using a mapping table previously stored in the connect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주변기기 세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을 상기 선택된 주변기기 세트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pping step,
Receiving information of a peripheral device set select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Mapp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selected set of periphera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의 신호를 상기 매핑한 주변기기 세트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변환한 신호를 상기 매핑한 주변기기 세트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livering step,
Receiving a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delivered to the mapped peripheral set; and
Deliver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mapped peripheral s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매핑한 주변기기 세트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핑한 주변기기 세트의 신호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달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변환한 신호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livering step,
Receiving a signal of the mapped peripheral set;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mapped peripheral device set to be deliver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KR1020100094524A 2010-09-29 2010-09-29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 KR201200329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24A KR20120032949A (en) 2010-09-29 2010-09-29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24A KR20120032949A (en) 2010-09-29 2010-09-29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49A true KR20120032949A (en) 2012-04-06

Family

ID=4613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524A KR20120032949A (en) 2010-09-29 2010-09-29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94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4236B2 (en) 2013-04-01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based universal serial bus service and associate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4236B2 (en) 2013-04-01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based universal serial bus service and associate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US9516682B2 (en) 2013-04-01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based universal serial bus service and associate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0744B2 (en) Input interface providing USB apparatus and interface providing method
US8904051B2 (en) Controlling multiple external device coupled to user equipment
US91525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ireless peripherals and their states at a docking host for wireless docking
US20120156993A1 (en)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KR102250090B1 (en)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transmitting/receiving video data
US20140215358A1 (en) Screen sharing system and central apparatus
KR101226303B1 (en) Wireless Multitasking Keyboard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CN109309967B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file
KR102212768B1 (en) RF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 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Beacon and One of Multi-User Device in the System
KR20130023415A (en) The monitor which connecting with smartphone and display running programe, or smartphone which can connect with monitor or os or programe
KR201401367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 external de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92009B1 (en) Switching-type multi-conn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s
US20160216867A1 (en) Method for Launching Applications of Handheld Computer through Personal Computer
KR20150081643A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US20130172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sharing and playing device thereof
KR102550622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mobile terminal
CN106548574B (en) POS system and Bluetooth connection device
KR20120032949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obile office environment
US20130238820A1 (en) Mobile device and usb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758598B1 (en) Automated multi-client and multi-mode wireless device pairing and connection methods and systems
JP6208765B2 (en) Data transmission structure
KR20140000026A (en) Display mirroring system
KR101944051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multi function monitor
US10003941B2 (en) Electronic device and its wireless network connection method
WO2019179141A1 (en) Intelligent terminal, wireless network sha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