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548A -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548A
KR20120028548A KR1020100090460A KR20100090460A KR20120028548A KR 20120028548 A KR20120028548 A KR 20120028548A KR 1020100090460 A KR1020100090460 A KR 1020100090460A KR 20100090460 A KR20100090460 A KR 20100090460A KR 20120028548 A KR20120028548 A KR 20120028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address
internet site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548A/ko
Priority to US13/228,929 priority patent/US20120066619A1/en
Publication of KR2012002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사이트 주소 전송에 관한 것으로,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웹 서핑 수행 중에,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TV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TV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하고싶을 때 사용자가 큰 화면의 TV를 이용하여 계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인터넷 사용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V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TV 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TV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또는 TV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를 바꾸고자 할 경우, 이를 위한 방식은 개시된 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기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다른 기기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연속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TV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하고 싶을 때,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URL을 TV의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TV를 이용하여 계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웹 서핑 수행 중에,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TV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견지에 따르면,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TV의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로 접속하는 과정과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견지에 따르면,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모뎀과 TV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모뎀과 상기 제 1 모뎀을 통해 웹 서핑 수행 중에,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고,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상기 제 2 모뎀을 통해 TV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견지에 따르면,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TV의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뎀을 통해 수신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로 접속하고,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모뎀을 통해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TV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하고 싶을 때 사용자가 큰 화면의 TV를 이용하여 계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인터넷 사용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TTP GET METHOD를 이용하여 원하는 URL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식 사이트접속 중 TV의 웹 브라우저로 이어서 접속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를 이용하여 구글 사이트 접속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 이어서 접속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 접속 중 TV의 웹 브라우저로 이어서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 접속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 이어서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인터넷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TTP GET METHOD를 이용하여 원하는 URL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인터넷 페이지로 접속하는 방법은 HTTP GET METHOD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웹 브라우저도 결국은 북마크(즐겨찾기)나 URL 입력 창에서 접속하려는 URL을 추출하여, HTTP GET METHOD의 인자로 사용하여 원하는 인터넷 페이지로 접속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 페이지 접속 중, 큰 TV 화면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계속 인터넷을 하고 싶으면, 이러한 URL만 TV의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여 TV의 웹 브라우저를 가동하면 된다. 일부 포털 사이트의 경우, 인터넷 브라우징을 하다보면, URL이 복잡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http://www.google.com/m/search?q=%EC%9B%94%EB%93%9C%EC%BB%B5&aq=2&oq=%25EC%259B%2594&aqi=g5-k6d0t0&fkt=49&fsdt=9751&csll=&action=&ltoken=48acfb46"와 같은 URL이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해 보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에서 상기 URL만 TV의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접속하던 인터넷 사이트를 TV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계속 이어서 인터넷을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일반 브라우저의 기존 북마크(즐겨찾기)와는 확연히 구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식 사이트접속 중, TV의 웹 브라우저로 이어서 접속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주식 사이트를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는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서는 그래프나 표가 많은 주식사이트의 정보를 한눈에 얻기가 힘들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구현된 'TV' 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URL을 TV(250)의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화면에서의 웹 브라우저의 페이지를, 그대로 TV의 웹 브라우저로 이어서 접속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TV(250)의 Mobile 버튼을 이용한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를 이용하여 구글 사이트 접속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 이어서 접속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외출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사용자가 TV(350)에서 이용하던 인터넷을 이동통신 단말기(310)로 이어서 이용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TV(350)의 Mobile 버튼(TV(350)의 Touch Panel 또는 리모컨 상에 위치)을 누르면 현재 접속중인 URL이 이동통신 단말기(310)로 전송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310)에서 웹 브라우저가 가동되어, 사용자는 상기 TV(350)에서 보던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10)에서 이어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일부 인터넷 사이트의 경우, 페이지 이동(Link)을 하면 URL이 상당히 복잡해지는 경우에도 TV의 웹 브라우저에서 URL을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던 URL로 TV에서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다.
현재 일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되어있는 'TV-OUT' 기능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TV를 유선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접속 중인 URL만 추출하여 TV의 웹 브라우저로 무선 통신(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 등을 나타내고 특정한 프로토콜에 제한 받지 않는다)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하던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TV로 바뀌게 된다. 즉, 제어권이 TV의 웹 브라우저로 넘어가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전력 소모가 더 이상 없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북마크와의 차이점은, 북마크는 항상 정해진 사이트만 이동하는 것이지만, 본 제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하던 컨텐츠를 TV의 웹 브라우저가 그대로 이어받아 사용자가 인터넷을 큰 화면으로 이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TV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의 종류는 제한 받지 않으나, 일 실시 예로서 블루투스를 예를 들기로 한다.
이 경우, 여러 대의 TV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TV를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TV에는 타 기기와 연동성의 위해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되어있다. TV의 전원이 오프되어도, TV의 외부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는 한, TV 블루투스 모듈이 온 상태인 경우, TV의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고 않고 단순히 오프만 된 경우는 TV에서 블루투스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 접속 중 TV의 웹 브라우저로 이어서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서핑 수행 중(405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가 TV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410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의 URL을 저장한다(415 단계).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TV의 온 오프 여부를 알기 위해 TV ALIVE 신호를 TV로 전송한다(420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TV ALIVE 신호 및 URL 전송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블루투스를 그 일 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TV ALIVE 신호는 TV의 온 오프 상태를 요구하는 메시지이다.
여기서, TV의 블루투스 무선 통신 수단(예를 들어 모뎀)은 항상 온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TV ALIVE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즉, TV의 전원이 완전히 차단(shut down)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TV는 상기 TV ALIVE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TV ALIVE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TV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TV 가 오프된 경우(425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TV 온 신호를 TV로 전송한다(430 단계).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 구동신호를 상기 TV로 전송하고(435 단계) 저장한 URL을 상기 TV로 전송한다(440 단계).
이때, 현재의 인터넷 화면을 제어하는 주 웹 브라우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에서 TV의 웹 브라우저로 바뀌게 된다. 즉, 제어권의 변경이 발생하게 된다.
만약,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TV로부터 URL을 수신하는 경우(445 단계),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상기 URL로 접속한다(450 단계). 이 경우에도, 제어권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서핑을 수행할 수 있다(455 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 접속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로 이러서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TV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TV ALIVE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505 단계), 상기 TV는 현재의 온 오프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510 단계).
이후, TV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515 단계). 상기 TV는 TV를 온 한다(520 단계).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브라우저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525 단계), 웹 브라우저를 구동한다(530 단계).
만약,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URL을 수신하는 경우(535 단계), 상기 TV는 수신한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고(540 단계) 사용자는 웹 서핑을 수행할 수 있다(545 단계).
만약, 상기 TV가 사용자의 Mobile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550 단계), 상기 TV는 현재의 웹 브라우저의 URL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555 단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뎀1(610), 모뎀2(615), 제어부(620), 저장부(630), URL관리부(640), 표시부(650) 및 입력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뎀1(610) 및 모뎀2(615)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각각 무선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경로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1(610)의 무선 접속 기술은 제한받지 않는다. 즉, 3G 2G. 4G, WIMAX, WLAN 과 같은 무선 접속 기술이 제한받지 않고, 필요 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뎀2(610)의 무선 접속 기술은 제한 받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모뎀2(620)은 본 발명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블루투스를 그 일례로 사용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패킷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URL관리부(640)를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6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650)는 상기 제어부(620)가 화면에 출력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66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620)로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660)는 상기 표시부(650)위에 위치하고 투명한 터치 패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660)는 전술한 TV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서핑 수행 중 상기 URL관리부(640)가 TV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URL관리부(640)는 현재의 URL을 상기 저장부(63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URL관리부(640)는 TV의 온/오프 여부를 알기 위해 TV ALIVE 신호를 TV로 상기 모뎀2(615)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TV의 블루투스 무선 통신 수단(예를 들어 모뎀)은 항상 온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TV ALIVE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즉, TV의 전원이 완전히 차단(shut down)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TV는 상기 TV ALIVE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상기 TV ALIVE 신호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TV ALIVE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TV의 온 오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TV 가 오프된 경우, 상기 URL관리부(640)는 TV 온 신호를 TV로 상기 모뎀2(615)를 통해 전송한다. 이후, 상기 URL관리부(640)는 웹 브라우저 구동신호를 상기 TV로 상기 모뎀2(615)를 통해 전송하고 저장한 URL을 상기 모뎀2(615)를 통해 상기 TV로 전송한다.
이때, 현재의 인터넷 화면을 제어하는 주 웹 브라우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에서 TV의 웹 브라우저로 바뀌게 된다. 즉, 제어권의 변경이 발생하게 된다.
만약, 상기 URL관리부(640)는 TV로부터 URL을 상기 제 2 모뎀(615)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고 상기 URL로 접속한다. 이때도, 제어권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URL관리부(6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상기 URL관리부(640)의 기능 모두를 상기 제어부(6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능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6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TV는 모뎀2(715), 제어부(720), 저장부(730), URL관리부(740), 표시부(750) 및 입력부(760,7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뎀2(715)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각각 무선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경로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모뎀2(715)의 무선 접속 기술은 제한 받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모뎀2(715)는 본 발명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블루투스를 그 일례로 사용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URL관리부(740)를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730)는 상기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750)는 상기 제어부(720)가 화면에 출력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760, 765)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720)으로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760)는 상기 표시부(750)위에 위치하고 투명한 터치 패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760)는 전술한 Mobile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765)은 별도로 위치하는 리모컨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Mobile 버튼이 별도의 버튼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URL관리부(740)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TV ALIVE 신호를 상기 모뎀2(715)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URL관리부(740)는 현재의 온 오프 상태를 상기 모뎀2(715)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URL관리부(740)가 TV 온 신호를 상기 모뎀2(715)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URL관리부(740)는 상기 TV를 온한다.
상기 URL관리부(74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브라우저 구동 신호를 상기 모뎀2(715)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URL관리부(740)는 웹 브라우저를 구동한다.
만약, 상기 URL관리부(74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URL을 상기 모뎀2(715)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URL관리부(740)는 수신한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고 사용자는 웹 서핑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URL관리부(740)가 사용자의 Mobile 버튼 입력을 상기 입력부(760,765)을 통해 감지하는 경우, 현재의 웹 브라우저의 URL을 상기 모뎀2(715)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URL관리부(7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상기 URL관리부(740)의 기능 모두를 상기 제어부(7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능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7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모뎀1(610), 모뎀2(615), 제어부(620), 저장부(630), URL관리부(640), 표시부(650), 입력부(660).
모뎀2(715), 제어부(720), 저장부(730), URL관리부(740), 표시부(750), 입력부(760,765).

Claims (16)

  1.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웹 서핑 수행 중에,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TV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TV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TV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TV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에 접속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TV로 전송하는 과정 전에,
    TV가 오프 상태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TV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TV로 TV 온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TV로 웹 브라우저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TV가 오프 상태인지 검사하는 과정은,
    상기 TV로 TV ALIVE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TV ALIVE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TV가 오프 상태인지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V와 정보 교환을 위해 블루투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정보 교환 전에 상기 TV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TV의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로 접속하는 과정과,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지 검사하기 전에,
    TV의 온 오프 상태를 검사하는 메시지를 상기 아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TV의 온 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TV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TV를 온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브라우저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정보 교환을 위해 블루투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정보 교환 전에 상기 TV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모뎀과,
    TV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모뎀과,
    상기 제 1 모뎀을 통해 웹 서핑 수행 중에,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고,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상기 제 2 모뎀을 통해 TV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뎀을 통해 TV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TV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모뎀을 통해 상기 TV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뎀을 이용하여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TV로 전송하기 전에.
    TV가 오프 상태인지 검사하고,
    상기 TV가 오프 상태인 경우, TV 온 신호를 상기 제 2 모뎀을 통해 상기 TV로 전송하고,
    상기 TV로 웹 브라우저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뎀을 통해
    상기 TV로 TV ALIVE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TV ALIVE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TV가 오프 상태인지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V와 정보 교환을 위해 상기 2 모뎀에서 블루투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정보 교환 전에 상기 TV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TV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TV의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뎀을 통해 수신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로 접속하고,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특정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웹 서핑 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모뎀을 통해 저장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뎀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수신하는지 검사하기 전에,
    TV의 온 오프 상태를 검사하는 메시지를 상기 아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TV의 온 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TV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TV를 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웹 브라우저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정보 교환을 위해 상기 모뎀에서 블루투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정보 교환 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90460A 2010-09-15 2010-09-15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28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60A KR20120028548A (ko) 2010-09-15 2010-09-15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228,929 US20120066619A1 (en) 2010-09-15 2011-09-09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v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60A KR20120028548A (ko) 2010-09-15 2010-09-15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48A true KR20120028548A (ko) 2012-03-23

Family

ID=4580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460A KR20120028548A (ko) 2010-09-15 2010-09-15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66619A1 (ko)
KR (1) KR201200285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981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4137200A1 (en) * 2013-03-08 2014-09-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07897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휴대용 기기, 휴대용 기기에서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1383B2 (en) * 2011-12-13 2015-04-28 Lenovo (Singapore) Pte. Ltd. Browsing between mobile and non-mobile web sites
KR101982151B1 (ko) * 2012-08-24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N102866777A (zh) * 2012-09-12 2013-0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媒体内容播放转移的方法及播放设备及系统
US20140122644A1 (en) * 2012-10-29 2014-05-01 Google Inc. Computer-based exploration, research and control of tv
KR102111457B1 (ko) 2013-05-15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3607654A (zh) * 2013-11-15 2014-02-2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多屏协同系统的移动终端辅助输入装置及方法
CN104954318B (zh) * 2014-03-25 2018-02-16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数据的显示方法、浏览器及电视
US20170171595A1 (en) * 2015-12-15 2017-06-15 Le Holdings (Beijing) Co., Ltd. Data transmission controlling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controlling method for a mobile device
KR20180081390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924515B2 (en) * 2019-02-14 2024-03-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9270B1 (en) * 1998-09-04 2002-03-19 Ncr Corporation Communications module mounting for domestic appliance
US20010046366A1 (en) * 2000-04-11 2001-11-29 Susskind Robert Aaron System for controlling a remotely located video recording device
US7058356B2 (en) * 2000-06-15 2006-06-06 Benjamin Slotznick Telephone device with enhanced audio-visual features for interacting with nearby displays and display screens
US7899915B2 (en) * 2002-05-10 2011-03-01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multiple coordinated device sets
US7809386B2 (en) * 2005-06-29 2010-10-05 Nokia Corporation Local network proxy for a remotely connected mobile device operating in reduced power mode
EP2177010B1 (en) * 2006-12-13 2015-10-28 Quickplay Media Inc. Mobile media platform
US20090119328A1 (en) * 2007-11-05 2009-05-0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Bookmarks for program note information
US20090131152A1 (en) * 2007-11-19 2009-05-21 Verizon Data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ance tracking to modify content presented by a set-top box
US8069142B2 (en) * 2007-12-06 2011-11-2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on a network
GB2457140A (en) * 2008-02-07 2009-08-12 Wilico Wireless Networking Sol Providing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90129304A (ko) * 2008-06-11 200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기기의 전원 제어 방법
JP5409220B2 (ja) * 2008-09-11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源制御方法
US9961399B2 (en) * 2008-09-19 2018-05-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bookmarking content
US8789130B2 (en) * 2009-07-08 2014-07-2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et top box browser control via a wireless handset
US20110016490A1 (en) * 2009-07-16 2011-01-20 Germar Schaefer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in real-time
US8990404B2 (en) * 2009-11-16 2015-03-24 Apple Inc. Directing data in a web browser fro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981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4137200A1 (en) * 2013-03-08 2014-09-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10706A (ko) * 2013-03-08 2014-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7897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휴대용 기기, 휴대용 기기에서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6619A1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548A (ko)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672344B2 (en)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using retrieved login information
EP2840455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device, and plug-and-play device
US9241357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202599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CN104270662A (zh) 一种终端设备通过浏览器对智能电视进行控制的系统
JP2006109094A (ja)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WO2015024391A1 (zh) 一种对网络电视终端进行无线控制的方法以及设备
US1062185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32106A (ko) 휴대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4186663A (ja) 端末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CN108924806A (zh) 一种采用ble技术的家庭物联网数据通信方法及系统
JP2015012561A (ja) 表示装置、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US20150095956A1 (en) Electronic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nformation control method
KR20070074863A (ko) 냉장고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160006306A (ko) 원격에서 제어되는 디바이스간의 고속통신을 위한 통신전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1304805B1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700521B1 (ko) 휴대 보조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6631087B2 (ja) 制御端末、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オーディオ機器制御プログラム
KR102055783B1 (ko) 휴대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5159371A (ja) 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120004951A (ko) 데이터 서비스의 수신방법
KR101373368B1 (ko) 데이터 서비스의 수신방법
KR100423809B1 (ko) 홈 서버를 이용하여 가정 자동화 제어와 인터넷 접속을위한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19684A (ja) 無線通信装置、テレビ装置、製品取扱説明書およびrfタ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