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218A - 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218A
KR20120023218A KR1020100085286A KR20100085286A KR20120023218A KR 20120023218 A KR20120023218 A KR 20120023218A KR 1020100085286 A KR1020100085286 A KR 1020100085286A KR 20100085286 A KR20100085286 A KR 20100085286A KR 20120023218 A KR20120023218 A KR 2012002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auxiliary device
unit
vi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민
김효준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3218A/en
Publication of KR2012002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2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7Aspects relating to detection of stereoscopic image format, e.g. for adaptation to the display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2D and 3D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convert the display mode by the state of a user. CONSTITUTION: A 2D output unit(150) makes a video display unit(170) being operated as a 2D panel. A 3D output unit(160) makes the video display unit being operated as a 3D panel. An image sensor(120) converts an optical video of a watching area into a reference video data. A control unit(140) determines the existence of a 3D auxiliary device within a watching available area by the analysis of the reference image data.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2D output unit and the 3D output unit by the determination result.

Description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3D 보조 장치 및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모드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차원 영상의 시청을 도와주는 3D 보조 장치 및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reproducing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by automatically switching modes, a 3D auxiliary device for assisting in view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selective display method.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3차원(3D) 영상의 디스플레이 기술이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다양한 3차원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splay technology, display technology of 3D (3D) images has been attracting great attention, and various 3D image display methods have been studied.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은 시청자의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가 3차원 영상에서의 입체감을 구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양안시차를 이용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으로는 적청 안경, 셔터 안경 등과 같은 3차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안경을 착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피(stereoscopy) 방법과, 안경을 사용하지 않고 좌우 영상을 분리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피(autostereoscopy) 방법이 있다. 오토스테레오스코피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과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이 있다. In general, the 3D image may be implemented by the principle of stereo vision through the viewer's eyes. The binocular parallax, which appears because the eyes are about 65 mm apar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realizing three-dimensional effects in three-dimensional images.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using binocular disparity includes stereoscopy method of wearing glasse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such as red-blue glasses and shutter glasses, and three-dimensional images by separating left and right images without using glasses. There is an autostereoscopy method that displays. Autostereoscopic methods include, for example, a parallax barrier method and a lenticular method.

한편, 현재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고화질 2차원(2D)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장은 아직 충분히 성숙되어 있지 않다. 또한, 3차원 영상만을 구현할 수 있는 3D 전용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격도 고가인데다가 아직까지 3차원 영상 콘텐츠가 활발히 공급되고 있지 않아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지 3차원 영상만을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2차원 영상도 감상하고자 하는 시청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도 2D 및 3D 겸용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2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 넘어가는 과정 중에 일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Meanwhile, in the current display market, high-quality two-dimensional (2D) flat panel displays (FPDs) are mainstream,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arket is not mature enough. In addition, the 3D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implement only 3D image price is expensive and yet 3D image content has not been actively supplied to satisfy the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Moreover,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viewers who want to view two-dimensional images as well as to view only three-dimensional images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on the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t plays a role in the process of moving to a display device.

이와 같은 2D 및 3D 겸용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2D 모드 혹은 3D 모드로의 전환은 시청자가 일일이 지정해야 하거나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콘텐츠의 타입에 한정되는 한계가 있다. In such a 2D and 3D video display device, switching to the 2D mode or the 3D mode is limited to the type of video content that the viewer must specify or display.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시청자의 상태에 따라 2D 모드 및 3D 모드 중 하나로 자동 전환되어 시청자가 원하는 타입의 영상 출력을 제공해주는 디스플레이 장치, 3D 보조 장치 및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 3D auxiliary device and an optional display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o one of the 2D mode and the 3D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iewer to provide an image output of the type desired by the viewer.

또한, 본 발명은 시청자를 촬영한 영상의 해석을 통해 혹은 시청자가 착용/소지한 3D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시청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2D 모드 또는 3D 모드로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D 보조 장치 및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image output in the 2D mode or 3D mode by grasping the state of the viewer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image taken by the viewer o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3D auxiliary device worn / possessed by the viewer, To provide a 3D auxiliary device and an optional display method.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display device for both 2D and 3D capable of the selective display of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

일 실시예예 따른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2D 패널 및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패널 중 하나로 동작 가능한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2D 패널로 동작하게 하는 2D 출력부;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3D 패널로 동작하게 하는 3D 출력부; 시청 가능 지역의 광학 영상을 촬영하고 기준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서의 3D 보조 장치의 존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2D 출력부 및 상기 3D 출력부 중 하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An image display unit operable as one of a 2D panel displaying a 2D image and a 3D panel displaying a 3D image; A 2D output unit for allowing the image display unit to operate as the 2D panel; A 3D output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image display unit to operate as the 3D panel; An image sensor for capturing an optical image of a viewable area, converting the image into reference image data,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reference image dat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reference image data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3D auxiliary device in the viewable area, and to control one of the 2D output unit and the 3D output unit to operate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

상기 3D 보조 장치에 대한 장치 영상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한 영상 분석 정보와 상기 장치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영상 분석 정보 내에 상기 3D 보조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in which device image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is stored in advance, wherein the controller compares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analyzing the reference image data and the device image information to the 3D auxiliary device in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is present.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2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2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2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video signal inputted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is a 2D video signal,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3D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signal with respect to the 2D video signal. Process the image to be converted into a 3D image signal and output to the image display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is not present in the viewable area, operate the 2D output unit and transfer the 2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You can print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2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3D image signal, the controller operates the 3D output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and transmits the 3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And outputs the 3D auxiliary device to the image display unit by converting the 2D output unit into a 2D image signal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3D image signal. You can print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3D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Outputs a 3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does not exist in the viewable area, operates the 3D output unit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he 3D video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and output to the image display unit.

다른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2D 패널 및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패널 중 하나로 동작 가능한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2D 패널로 동작하게 하는 2D 출력부;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3D 패널로 동작하게 하는 3D 출력부; 3D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3D 보조 장치의 시청자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2D 출력부 및 상기 3D 출력부 중 하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3D 보조 장치는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센싱부와,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2D and 3D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An image display unit operable as one of a 2D panel displaying a 2D image and a 3D panel displaying a 3D image; A 2D output unit for allowing the image display unit to operate as the 2D panel; A 3D output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image display unit to operate as the 3D panel;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statu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3D auxiliary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state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3D auxiliary device is worn by a viewer, and to control one of the 2D output unit and the 3D output unit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wherein the 3D auxiliary device includes a viewer. The device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wearing, a devic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status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nd a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us signal by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Can be.

상기 3D 보조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3D 보조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in which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is stored in advance. The controller extra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header of the status signal and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uthenticate the 3D auxiliary device.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tatus signal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viewer wears.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2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2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2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video signal inputted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is a 2D video signal,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3D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and performs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2D video signal. Converts the image into a 3D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and when the viewer determines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is not worn, operates the 2D output unit and outputs the 2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2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imag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3D image signal, the controller operates the 3D output unit and outputs the 3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2D output unit may be operated and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the 3D image signal to convert the 2D image signal into a 2D image signal and output the same to the image display unit. .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3D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and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Outputs a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and if the viewer determines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is not worn, operates the 3D output unit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o autostereoscopic It can be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of the type and output to the imag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청자가 착용하여 3차원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3D 보조 장치로서, 상기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센싱부;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 및 상기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3D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auxiliary device for allowing a viewer to watch a 3D image, comprising: a device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iewer is wearing; An apparatus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status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nd a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us signal.

상기 상태 신호는 상기 3D 보조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The status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3D auxiliary device in a header.

상기 장치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감지 결과 상기 사용자의 착용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vic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state sig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when the wearing state of the user changes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a 2D image and a 3D image in a 2D and 3D display device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ar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시청 가능 지역을 촬영하여 기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D 보조 장치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display method including: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of both 2D and 3D; Photographing a viewable area to generate reference image data; Analyzing the reference image data to determine whether a 3D auxiliary device is present; And determining an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한 영상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분석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된 3D 보조 장치의 장치 영상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교 결과 상기 3D 보조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이 상기 영상 분석 정보 내에 있는 경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may include generating image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reference image data; And comparing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with device image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comparison result shows that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at of the 3D auxiliary device is in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the 3D auxiliary device may be used. It may be determined to exist in the viewable area.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output mode may include: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2D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the 2D video signal is 3D image by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The 2D video signal may be display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is not present in the viewable area.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output mode determin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3D video signal, the 3D video signal is display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does not exist in the viewable area, the 3D video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2D video signal and displayed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of the output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is display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does not exist in the viewable area,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and displayed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can do.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3D 보조 장치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3D 보조 장치의 시청자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D 보조 장치는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센싱부와,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와, 상기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display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of both 2D and 3D; Receiving a status signal from the 3D auxiliary device; Analyzing the status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3D auxiliary device is worn by a viewer; And determining an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wherein the 3D auxiliary device comprises a device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iewer is worn, and the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vic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and a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us signal.

상기 판단 단계 이전에, 상기 상태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된 3D 보조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3D 보조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수행 결과 인증이 실패한 경우 상기 출력 모드는 유지되며,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판단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header of the status signal before the determining step;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stored in a storage unit to perform authentic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but if the authentication fails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the output mode is maintaine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determination step and the determination step may be performed.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일 때,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output mode determin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2D video signal, the 2D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3D video signal by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When the viewer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2D video signal may be displayed.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output mode may include displaying the 3D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3D video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wearing the 3D video signal, the 3D video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2D video signal and displayed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output mode may include displaying the stereoscopic 3D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the stereoscopic 3D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and displayed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의 상태에 따라 2D 모드 및 3D 모드 중 하나로 자동 전환되어 시청자가 원하는 타입의 영상 출력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one of the 2D mode and the 3D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iewer, thereby providing an image output of the type desired by the viewer.

또한, 시청자를 촬영한 영상의 해석을 통해 혹은 시청자가 착용/소지한 3D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시청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2D 모드 또는 3D 모드로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mage output in the 2D mode or 3D mode by grasping the state of the viewer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image taken by the viewer o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3D auxiliary device worn / possessed by the vie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보조 장치와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보조 장치와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3D auxiliary device and 2D and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 selective display method of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3D auxiliary device and 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of a selective display method of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보조 장치와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3D auxiliary device and a 2D and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로서, 특히 시청자가 착용한 3D 보조 장치(10)의 존부에 따라 출력 모드(2D 모드 및 3D 모드 중 하나)가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여기서, 2D 모드는 2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3D 모드는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출력 모드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00 for both 2D and 3D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a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and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the 3D auxiliary device 10 worn by a viewer. The display device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one of the 2D mode and 3D mode). Here, the 2D mode is an output mode for displaying a 2D image and the 3D mode for displaying a 3D image.

또한, 3차원 영상은 후술할 3D 보조 장치(10)에 의해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3차원 영상의 경우 스테레오스코피 방법 혹은 오토스테레오스코피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3D image refers to an image that allows the viewer to feel different perspective by inputting different images to the viewer's left and right eyes by the 3D auxiliary apparatus 10 to be described later. The 3D image may be displayed by a stereoscopic method or an autostereoscopic method.

스테레오스코피 방법의 경우 적청 안경 혹은 셔터 안경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이 각각 구분되어 좌안과 우안에 보이도록 하는 방식이다. 색상차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을 구분하는 적청 안경 방식과, 좌우 영상을 짧은 시간 간격 동안 교번하여 보여주는 셔터 안경 방식이 있다. 오토스테레오스코피 방법의 경우 정해진 위치에서 효과를 느낄 수 있으며, 액정 패널 상에 좌영상을 표시하는 픽셀줄과 우영상을 표시하는 픽셀줄이 교대로 배치되어 좌우 영상이 분리되고 좌안과 우안에 각각 보이도록 하는 방식이다. 오토스테레오스코피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과 렌티큘러 방식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stereoscopic method,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eyes by using red and blue glasses or shutter glasses. There are a red and blue glasses method for distinguishing left and right images by using a color difference, and a shutter glasses method for alternately displaying left and right images for a short time interval. In the case of the autostereoscopy method, the effect can be fel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separated and left and right eyes are separated by alternately arranging pixel rows displaying the left image and pixel rows displaying the right image on the liquid crystal panel. This is how you do it. Autostereoscopy methods include, for example, parallax barrier and lenticular methods.

3D 보조 장치(10)는 시청자가 착용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하는 등 3차원 영상의 활용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장치이다. 3D 안경이 대표적인 3D 보조 장치(10)로서, 예를 들어 적청 안경, 셔터 안경 등이 전술한 것과 같이 3차원 영상의 시청 등에 이용될 수 있다. The 3D auxiliary device 10 is a device that can be worn by the viewer, and is a device that assists in utilizing the 3D image such as watching a displayed 3D image or playing a game using the displayed 3D image. 3D glasses is a representative 3D auxiliary device 10, for example, red-blue glasses, shutter glasses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viewing 3D image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서는 3D 보조 장치(10)가 3D 안경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3D 보조 장치는 시청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3D 헬멧이나 시청자가 소지하는 3D 조이스틱 등일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is 3D glass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3D auxiliary device may be a 3D helmet or a viewer worn on the head of the viewer. It could be your 3D joystick, etc.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 이미지 센서(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2D 출력부(150), 3D 출력부(160), 영상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image input unit 110, an image sensor 120, a storage unit 130, a controller 140, a 2D output unit 150, a 3D output unit 160, and an image display unit ( 170).

영상 입력부(11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다. The image input unit 110 receives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영상 입력부(110)에는 예를 들어 안테나,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의 TV 신호를 수신하는 TV 신호 수신부(112)가 연결되어 있어 TV 신호를 영상 신호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The image input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TV signal receiving unit 112 for receiving an external TV signal through, for example, an antenna, a cable, etc., so that the TV signal can be input as an image signal.

또는 영상 입력부(110)에는 인터페이스부(114)가 연결되어 있어 컴퓨터, PMP,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영상 데이터 저장 및 재생 기능을 구비하고 있거나 외장용 하드디스크, USB 메모리 등과 같이 영상 데이터 저장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14)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deo Interactive),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신호 전송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nterface unit 114 is connected to the image input unit 110 and has a video data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such as a computer, a PMP, an MP3 player, or the like, or has a video data storage function such as an external hard disk or a USB memory. The video signal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interface unit 114 may include, for example, a signal transmission interface such a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SUB (D-subminiature), DVI (Digital Video Interactive), or USB (Universal Serial Bus).

이미지 센서(120)는 렌즈를 통해 전달되는 미리 지정된 지역을 촬영한 광학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기준 영상 데이터로 출력한다. 미리 지정된 지역은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청이 가능한 지역(예를 들어, 전방 지역)으로서, 시청자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The image sensor 120 converts an optical image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area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reference image data. The predetermined area is an area where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can be viewed (eg, a front area), and is an area where the viewer is expected to be located.

이미지 센서(120)와 제어부(140) 사이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가 구비되어 있어 미리 지정된 신호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신호 처리로는, 블랙 레벨 보상(black level compensation), 노이즈 제거(noise reduction), 렌즈 셰이딩 보상(lens shading compensation), 색상 보간(color interpol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is provided between the image sensor 120 and the controller 140 to perform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Signal processing performed in the image signal processor may include black level compensation, noise reduction, lens shading compensation, color interpolation, and the like.

저장부(13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영상의 시청에 이용 가능한 3D 보조 장치(10)에 대한 장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장치 정보는 3D 보조 장치(10)의 형상을 나타내는 장치 영상 정보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3D auxiliary device 10 that can be used to view a 3D image displayed on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Here, the device information may be device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hape of the 3D auxiliary device 10.

이용 가능한 3D 보조 장치(10)에 대한 장치 정보는 제조사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시청자에 의해 갱신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이용 가능한 3D 보조 장치(10)에 대한 장치 정보를 제조사의 홈페이지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부(130) 내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시청자가 구매한 새로운 3D 보조 장치에 대하여 최초 사용 시 이미지 센서(120)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해당 3D 보조 장치에 대한 장치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부(130)에 새롭게 저장함으로써 장치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available 3D auxiliary device 10 may be stored in advance by the manufacturer or updated by the viewer. For example, device information on the 3D auxiliary device 10 that can be used in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may be downloaded from the homepage of the manufacturer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lternatively, by using the image sensor 120 when the viewer uses the new 3D auxiliary device purchased by the viewer, the device image information for the 3D auxiliary device is generated and new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o register the device. Could be

제어부(140)는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D 보조 장치(10)의 존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신호 타입을 유지하거나 전환하고 2D 출력부(150) 혹은 3D 출력부(160)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The controller 140 analyzes the reference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sensor 120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3D auxiliary device 10, and maintains or switches the image signal typ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2D output unit 150 or One of the 3D output units 160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operating.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영상 분석부(142), 판단부(144), 영상 신호 변환부(146), 제어 신호 생성부(148)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40 includes an image analyzer 142, a determiner 144, an image signal converter 146,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148.

영상 분석부(142)는 이미지 센서(120)로부터 입력된 기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영상 분석 기법(예를 들어 에지 검출(edge detection) 기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기준 영상 내의 피사체의 형상 등을 분석한 영상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기준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특성 정보(예를 들어, 휘도, 명도, 밝기 등 중 하나 이상)를 이용하여 기준 영상 데이터 내의 점, 선, 에지(edge) 등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 기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image analyzer 142 may determine the shape of the subject in the corresponding reference image by using a predetermined image analysis technique (for example, an edge detection technique) on the reference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sensor 120. Generates the analyzed image analysis information. Image analysis techniques for analyzing points, lines, edges, etc. in the reference image data by us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pixel constituting the reference image data (for example, one or more of brightness, brightness, brightness, etc.) As it is obvious to the us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판단부(144)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3D 보조 장치(10)의 장치 정보와 영상 분석부(142)에서 생성된 영상 분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기준 영상 데이터 내 3D 보조 장치(10)의 존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단부(144)는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termination unit 144 compare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1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with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mage analyzer 142 to determine whether the 3D auxiliary device 10 exists in the reference image data. Judge. In more detail, the determination unit 144 may also determine whether the viewer is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10.

또한, 기준 영상 데이터 내에 복수의 시청자가 존재하는 경우 판단부(144)는 하나 이상의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viewers exist in the reference image data, the determination unit 144 determines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exists when one or more viewers wear the 3D auxiliary device, and displays the 3D image. You can do that.

영상 신호 변환부(146)는 판단부(144)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 타입을 유지하거나 전환한다. The image signal converter 146 maintains or switches the image signal type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44.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판단부(144)에서의 판단 결과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는 경우 영상 신호 변환부(146)는 영상 신호를 소정의 신호 처리 방법에 따라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영상 신호 타입을 유지한다. When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 two-dimensional image signal, when the determination unit 144 determines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is present, the image signal converter 146 selects the image signal. The 3D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3D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the video signal type is maintained when the 3D auxiliary device 10 does not exist.

2차원 영상 신호를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소정의 신호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2차원 영상 신호에서 객체를 규정하고, 큰 객체가 가까이 있음을 이용하여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제1 규칙(크기에 의한 원근), 객체간 겹치는 부분을 구분하여 겹치는 부분의 배경과 전경을 이용하여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제2 규칙(겹침에 의한 원근), 객체간 선명도를 산출하여 선명한 객체가 가까이 있음을 이용하여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제3 규칙(선명도에 의한 원근) 등 중 하나 이상과 같은 규칙을 정하여 2차원 영상 신호를 가공함으로써 3차원 영상 신호로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수정 시간차(MTD, Modified Time Difference)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수정 시간차 방법은 2차원 영상 신호의 현재 영상과 짝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다수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이용한다. 현재 영상과 짝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선택된 이전 영상을 지연 영상(delayed image)라고 할 때, 현재 영상이 좌영상 혹은 우영상 중 어느 하나가 되고 지연 영상이 다른 하나가 됨으로써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2차원 영상 신호의 3차원 영상 신호로의 변환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converting a 2D video signal into a 3D video signal is as follows. For example, the first rule (perspective by size) that defines an object in a two-dimensional image signal and makes a sense of perspective by using a large object near, and the background and foreground of the overlapping part by distinguishing overlapping parts between objects One or more of the second rule (perspective due to overlapping) to feel the perspective by using, and the third rule (perspective by sharpness) to calculate the sharpness between objects to make the sense of perspective by using the near object. By converting a 2D video signal by setting a rule as described above, conversion to a 3D video signal can be performed. Alternatively, a modified time difference (MTD) method may be used. The correction time difference method uses one imag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vious frames as a frame paired with the current image of the 2D video signal. When a previous image selected as a frame paired with the current image is called a delayed image, the current image becomes either a left image or a right image, and the delay image becomes another one to be converted into a 3D image signal. Will be. Such a method of converting a 2D video signal into a 3D video signal is just one embodiment, and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in addition.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판단부(144)에서의 판단 결과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는 경우 영상 신호 변환부(146)는 영상 신호 타입을 유지하고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신호 처리 방법에 따라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When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 3D image signal, when the determination unit 144 determines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exists, the image signal converter 146 maintains the image signal type. If the 3D auxiliary apparatus 10 does not exist, the 3D auxiliary apparatus 10 converts the 2D imag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method.

3차원 영상 신호를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소정의 신호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3차원 영상 신호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 신호들로 구성되어 있는 바, 좌안 영상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 신호 혹은 우안 영상에 해당하는 서브 영상 신호 중 하나만이 선택되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3차원 영상 신호를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3차원 영상 신호의 2차원 영상 신호로의 변환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converting a 3D video signal into a 2D video signal is as follows. For example, the 3D image signal is composed of sub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nd only one of a sub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left eye image or a sub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right eye image is selected and output. By doing so, the corresponding 3D video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2D video signal. Such a method of converting a 3D video signal into a 2D video signal is just one embodiment, and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above.

또한, 만약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판단부(144)에서의 판단 결과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영상 신호 변환부(146)는 3D 보조 장치(10) 없이도 3차원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Also, if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he determination unit 144 determines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does not exist. ) May be converted into an autostereoscopic type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that enables display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without the 3D auxiliary apparatus 10.

제어 신호 생성부(148)는 판단부(144)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3D 출력부(160)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2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2D 출력부(150)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48 operates the 3D output unit 160 to display a 3D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exist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44.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does not exist,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2D output unit 150 to display a 2D image.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것과 같이 3차원 영상 신호를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48)는 3D 출력부(160)를 동작시켜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3D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48 operates the 3D output unit 160 to operate the 3D autostereoscopic type 3 signal. The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3D image signal may be generated and output.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2D 출력부(15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가 2D 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 표시부(170)가 2D 패널로서 동작하도록 영상 표시부(170)를 제어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2D output unit 150 controls the image display unit 170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unit 170 as a 2D panel when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is set to the 2D mode. do.

3D 출력부(16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가 3D 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 표시부(170)가 3D 패널로서 동작하도록 영상 표시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3D 출력부(160)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능, 예를 들면 영상 가속, 입체 효과 추가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3D output unit 160 controls the image display unit 170 so that the image display unit 170 operates as a 3D panel when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is set to the 3D mode. In addition, the 3D output unit 160 may perform a function required for displaying a 3D image, for example, image acceleration, adding a stereo effect, and the like.

영상 표시부(170)는 설정된 혹은 설정 전환된 출력 모드에 따른 영상 신호를 시청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영상 표시부(170)는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2D 패널 및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3D 패널로서 모두 동작 가능한 패널로서, 액정 패널, 액정 셔터, 광원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각 구성요소는 2D 출력부(150) 및 3D 출력부(16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2D 패널 혹은 3D 패널로서 동작하게 된다. The video display unit 170 display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which is set or changed in order to be viewed by the viewer. The image display unit 170 is a panel operable both as a 2D panel for displaying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3D panel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consists of components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a liquid crystal shutter, a light source, and the like.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2D output unit 150 and the 3D output unit 160 to operate as a 2D panel or a 3D panel.

2D 패널로서 동작하는 경우 2차원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3D 패널로서 동작하는 경우 3차원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3D 패널로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하는 3차원 영상 신호는 스테레오스코피 타입 및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 중 하나일 수 있다. When operating as a 2D panel displays a 2D video signal, when operating as a 3D panel displays a 3D video signal. When operating as a 3D panel, the 3D video signal to be displayed may be one of a stereoscopic type and an autostereoscopic type.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method of selectively displaying a 2D image and a 3D image in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각의 내부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ective display method of a 2D image and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by respective internal components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0에서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다.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신호는 안테나, 케이블 등을 통해 수신되는 TV 신호 혹은 인터페이스부(114)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저장 기능 혹은 재생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operation S300,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The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may be at least one of a TV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 cable, or the like, or an imag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having a video data storage function or a playback func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4.

단계 S310에서 이미지 센서(120)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지역을 촬영한 기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미리 지정된 지역은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지역으로서, 시청자가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In operation S310, reference image data of a predetermined region is generated by using the image sensor 120. The predetermined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image displayed by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can be viewed, and is an area where the viewer is expected to be located.

단계 S320에서 제어부(140)는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D 보조 장치(10)의 존부를 판단한다. 기준 영상 데이터의 분석은 미리 저정된 영상 분석 기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3D 보조 장치(10)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분석 정보 내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3D 보조 장치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3D 보조 장치(10)의 존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peration S320, the controller 140 analyzes the reference imag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3D auxiliary device 10 is present. Analysis of the reference image data may be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image analysis technique, and 3D having the same or similar shape in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by using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10 stored in the storage 13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3D auxiliary device 10 exists by checking whether the auxiliary device image exists.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30으로 진행하여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는 3D 모드로 설정되거나 설정 전환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exists, the flow proceeds to step S330 and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is set or switched in 3D mode.

3D 모드에서 제어부(140)는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며,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의 경우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3D 출력부(160)를 동작시켜 영상 표시부(170)가 3D 패널로서 동작되어 3차원 영상 신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3D mode,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nto a 3D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input image signal as it is in the case of a 3D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operates the 3D output unit 160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unit 170 as a 3D panel so as to display a 3D image signal.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40으로 진행하여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는 2D 모드로 설정되거나 설정 전환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does not exist, the flow proceeds to step S340 and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is set or switched to the 2D mode.

2D 모드에서 제어부(140)는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며,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의 경우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2D 출력부(150)를 동작시켜 영상 표시부(170)가 2D 패널로서 동작되어 2차원 영상 신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2D mode,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nto a 2D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input image signal as it is in the case of a 2D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operates the 2D output unit 150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unit 170 as a 2D panel so as to display a 2D image signal.

다른 실시예에서 3D 보조 장치(10)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50으로 진행하여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D 모드로 설정되거나 설정 전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10 does not exist, the flow proceeds to step S350 where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can be set or switched 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mode. Can be.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D 모드에서 제어부(140)는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3D 출력부(160)를 동작시켜 영상 표시부(170)가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D 패널로서 동작되어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3D mode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when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 3D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operates the 3D output unit 160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unit 170 as an autostereoscopic type 3D panel to enable display of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2D 모드 혹은 3D 모드로 설정되거나 설정 전환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310으로 되돌아가 단계 S310 이하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다가 미착용한 경우 변화된 현재 상태에 따라 3차원 영상 대신 2차원 영상을 보여주거나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10)를 미착용하고 있다가 착용한 경우 변화된 현재 상태에 따라 2차원 영상 대신 3차원 영상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being set or switched to the 2D mode or the 3D mod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10 to repeat the process of step S310 or less. This is because the viewer shows a 2D image instead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d current state when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10 or changes the current state when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10 without wearing it. This is to show 3D image instead of 2D image according to the state.

이상에서는 이미지 센서(120)를 이용하여 시청자가 착용한 3D 보조 장치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3D 보조 장치에 시청자의 착용을 감지하는 센싱부가 구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mode switching method for switching the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cting the 3D auxiliary device worn by the viewer using the image sensor 120 have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a case in which the 3D auxiliary device includes a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viewer's wearin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보조 장치와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3D auxiliary device and a 2D and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로서, 특히 시청자의 3D 보조 장치(400) 착용 여부에 따라 출력 모드(2D 모드 및 3D 모드 중 하나)가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selective display of 2D and 3D images similarly to the 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As a possible device, a display device in which an output mode (one of 2D mode and 3D mode) is switched according to whether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400.

3D 보조 장치(400)는 시청자가 착용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하는 등 3차원 영상의 활용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장치이다. 3D 안경이 대표적인 3D 보조 장치(400)로서, 예를 들어 적청 안경, 셔터 안경 등이 전술한 것과 같이 3차원 영상의 시청 등에 이용될 수 있다. The 3D auxiliary device 400 is a device which can be worn by a viewer, and is a device that assists in utilizing 3D images such as watching a displayed 3D image or playing a game using the displayed 3D image. 3D glasses is a representative 3D auxiliary device 400, for example, red-blue glasses, shutter glasses, etc. may be used for viewing 3D image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 따른 3D 보조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치 통신부(410), 장치 제어부(420), 장치 센싱부(430)를 포함한다. The 3D auxiliar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evice communication unit 410, a device control unit 420, and a device sensing unit 430 as shown in FIG. 4.

장치 센싱부(430)는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시청자에 의한 3D 보조 장치(4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장치 센싱부(430)가 시청자에 의한 착용 시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예를 들어, 3D 안경의 귀걸이 근처, 코받침대 근처 등)에 부착된 온도 센서인 경우 감지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센싱부(430)가 소형 카메라인 경우 소형 카메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동공 형상을 인식함으로써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The device sensing unit 430 detects whether the 3D auxiliary device 400 is worn by the viewer in a predetermined manner. For example, when the device sensing unit 430 is a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a part (eg, near an earring of a 3D glasses, near a nose stand, etc.) in contact with the skin when worn by the viewer, the viewer according to the detected temperature change Can be detected. In addition, when the device sensing unit 430 is a small camera, it may detect whether the viewer is worn by recognizing a pupil shape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ll camera.

장치 제어부(420)는 장치 센싱부(430)에서 출력되는 센싱값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현재 시청자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생성하고 장치 통신부(410)를 동작시켜 상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태 신호의 헤더에는 3D 보조 장치(4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해당 상태 신호의 출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vice controller 420 generates a status signal indicating a current viewer's wearing st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ensing value output from the device sensing unit 430 and operates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410 to transmit the status signal. In this case, the header of the status signal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3D auxiliary device 400 so as to determine the source of the status signal.

여기서, 장치 제어부(420)는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장치 제어부(420)는 센싱값을 분석한 결과 시청자의 착용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만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the device controller 420 may generate and transmit a status signal at predetermined cycles. Alterna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nsing value, the device controller 420 may generate and transmit a state signal only when the viewer's wearing state changes.

장치 통신부(410)는 장치 제어부(420)에 의해 동작 여부가 결정되며, 동작 상태에 놓이는 경우 상태 신호를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무선 통신의 경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410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is operated by the device controller 420, and when the device is in the operating state, transmits a state signal to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 through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Bluetooth, Wi-Fi, or the like.

본 실시예에 따른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 통신부(180), 저장부(130), 제어부(190), 2D 출력부(150), 3D 출력부(160), 영상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80, a storage unit 130, a controller 190, a 2D output unit 150, and a 3D output unit 160. ), And an image display unit 170.

영상 입력부(11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다. 영상 신호는 TV 신호 수신부(112)에서 수신한 외부의 TV 신호 혹은 인터페이스부(114)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 저장 기능 혹은 재생 기능을 가지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일 수 있다. The image input unit 110 receives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 The video signal may be an external TV signal received by the TV signal receiver 112 or an imag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having a video data storage function or a playback function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4.

통신부(180)는 전술한 3D 보조 장치(400)의 장치 통신부(410)와 통신을 수행하며, 장치 통신부(410)에서 송신한 상태 신호를 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80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410 of the 3D auxiliary device 400 described above, and receives the statu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vice communication unit 410.

저장부(13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영상의 시청에 이용 가능한 3D 보조 장치(400)에 대한 장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장치 정보는 3D 보조 장치(4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장치 고유 번호, ID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3D auxiliary device 400 that can be used to view a 3D image displayed on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 Here, the device information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400 (eg, at least one of a device unique number, an ID, and the like).

이용 가능한 3D 보조 장치(400)에 대한 장치 정보는 제조사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시청자에 의해 갱신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이용 가능한 3D 보조 장치(400)에 대한 장치 정보를 제조사의 홈페이지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부(130) 내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시청자가 구매한 새로운 3D 보조 장치에 대하여 최초 사용 시 통신부(180)를 이용하여 장치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3D 보조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부(130)에 새롭게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available 3D auxiliary device 400 may be stored in advance by the manufacturer or updated by the viewer. For example, device information on the 3D auxiliary device 400 that can be used in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 may be downloaded from the manufacturer's homepage and stored in the storage 130. Alternatively, the device may be newly registered in the storage 130 by registering the device using the communicator 180 for the new 3D auxiliary device purchased by the viewer for the first time.

제어부(190)는 상태 신호를 전송한 3D 보조 장치(400)를 인증한 후 인증된 3D 보조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3D 보조 장치(400)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신호 타입을 유지하거나 전환하고 2D 출력부(150) 혹은 3D 출력부(160)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the wearing state of the 3D auxiliary device 400 by analyzing the status signal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ed 3D auxiliary device 400 after authenticating the 3D auxiliary device 400 which has transmitted the status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 the control unit maintains or switches the image signal type and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operating either the 2D output unit 150 or the 3D output unit 160.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장치 인증부(192), 판단부(194), 영상 신호 변환부(196), 제어 신호 생성부(198)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90 includes a device authenticator 192, a determiner 194, an image signal converter 196,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198.

장치 인증부(192)는 통신부(180)를 통해 수신된 상태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장치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상태 신호를 전송한 3D 보조 장치(4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상태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저장부(130)에 저장된 장치 정보 중 하나와 동일한 경우 인증된 3D 보조 장치(400)로 판단하여 시청자의 착용 상태 여부에 따른 출력 모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저장부(130)에 저장된 장치 정보 중 어느 것과도 동일하지 않은 경우 미인증된 3D 보조 장치(400)로 판단하여 별다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The device authentication unit 192 extra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statu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compares the de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tatus signal to the 3D auxiliary device ( 400).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status signal is the same as one of the de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it is determined by the authenticated 3D auxiliary device 400 to control the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viewer's wearing state, If none of the de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is the same, it is determined as an uncertified 3D auxiliary device 400 so that no other operation is performed.

판단부(194)는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3D 보조 장치(400)에 대한 시청자의 착용 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복수의 3D 보조 장치(400)가 존재하는 경우 판단부(194)는 하나 이상의 일부 3D 보조 장치(400)에 대해서라도 시청자가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194 analyzes the state signal to determine a viewer's wearing state of the 3D auxiliary device 400.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3D auxiliary devices 400, the determination unit 194 may determine that the viewer wears even one or more of the 3D auxiliary devices 400 to display a 3D image.

영상 신호 변환부(196)는 판단부(194)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 타입을 유지하거나 전환한다. The image signal converter 196 maintains or converts the image signal type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94.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판단부(194)에서의 판단 결과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한 경우 영상 신호 변환부(196)는 영상 신호를 소정의 신호 처리 방법에 따라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영상 신호 타입을 유지한다. 2차원 영상 신호를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소정의 신호 처리 방법은 앞서 설명하였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When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 2D image signal, when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40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determination unit 194, the image signal converter 196 may output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 3D image signal is converted and the image signal type is maintained when the 3D auxiliary device 400 is not worn. Since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converting a 2D video signal into a 3D video signal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판단부(194)에서의 판단 결과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한 경우 영상 신호 변환부(196)는 영상 신호 타입을 유지하고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신호 처리 방법에 따라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3차원 영상 신호를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소정의 신호 처리 방법은 앞서 설명하였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When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 3D image signal, when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40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determination unit 194, the image signal converter 196 is an image signal type. If the viewer does not wear the 3D auxiliary device 400, the viewer converts the 2D video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method. Since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converting a 3D video signal into a 2D video signal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만약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판단부(194)에서의 판단 결과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영상 신호 변환부(196)는 3D 보조 장치(400) 없이도 3차원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Also, if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he determination unit 194 determines that the viewer does not wear the 3D auxiliary device 400. The 196 may convert the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o display the 3D image without the 3D auxiliary device 400.

제어 신호 생성부(198)는 판단부(194)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3D 출력부(160)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2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2D 출력부(150)를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94,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98 may use the 3D output unit 160 to display a 3D image.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perate, and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2D output unit 150 to display a 2D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400. do.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것과 같이 3차원 영상 신호를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98)는 3D 출력부(160)를 동작시켜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3D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98 operates the 3D output unit 160 to generate an autostereoscopic type 3 signal. The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3D image signal may be generated and output.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2D 출력부(15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가 2D 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 표시부(170)가 2D 패널로서 동작하도록 영상 표시부(170)를 제어한다. Referring back to FIG. 4, when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 is set to the 2D mode, the 2D output unit 150 operates the image display unit 170 to operate as the 2D panel. To control.

3D 출력부(16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가 3D 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 표시부(170)가 3D 패널로서 동작하도록 영상 표시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3D 출력부(160)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능, 예를 들면 영상 가속, 입체 효과 추가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3D output unit 160 controls the image display unit 170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unit 170 as a 3D panel when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 is set to the 3D mode. In addition, the 3D output unit 160 may perform a function required for displaying a 3D image, for example, image acceleration, adding a stereo effect, and the like.

영상 표시부(170)는 설정된 혹은 설정 전환된 출력 모드에 따른 영상 신호를 시청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영상 표시부(170)는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2D 패널 및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3D 패널로서 모두 동작 가능한 패널로서, 액정 패널, 액정 셔터, 광원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각 구성요소는 2D 출력부(150) 및 3D 출력부(16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2D 패널 혹은 3D 패널로서 동작하게 된다. The video display unit 170 display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mode which is set or changed in order to be viewed by the viewer. The image display unit 170 is a panel operable both as a 2D panel for displaying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3D panel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consists of components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a liquid crystal shutter, a light source, and the like.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2D output unit 150 and the 3D output unit 160 to operate as a 2D panel or a 3D panel.

2D 패널로서 동작하는 경우 2차원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3D 패널로서 동작하는 경우 3차원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3D 패널로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하는 3차원 영상 신호는 스테레오스코피 타입 및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 중 하나일 수 있다. When operating as a 2D panel displays a 2D video signal, when operating as a 3D panel displays a 3D video signal. When operating as a 3D panel, the 3D video signal to be displayed may be one of a stereoscopic type and an autostereoscopic type.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method of selectively displaying a 2D image and a 3D image in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각의 내부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ective display method of a 2D image and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by respective internal components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 shown in FIG. 4.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0에서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다.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 신호는 안테나, 케이블 등을 통해 수신되는 TV 신호 혹은 인터페이스부(114)를 통해 영상 데이터 저장 기능 혹은 재생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operation S600,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 receives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2D and 3D display apparatus 100 ′. The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may be at least one of a TV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 cable, or the like, or an imag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having a video data storage function or a playback func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4.

단계 S610에서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해 인증된 3D 보조 장치(400)로부터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인증 여부는 상태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저장부(130)에 저장된 장치 정보의 비교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In operation S610,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a statu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3D auxiliary device 400 authentic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The authentication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status signal with the de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30.

인증된 3D 보조 장치(400)로부터 상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현재 출력 모드를 유지하면서 단계 S610으로 되돌아가며, 인증된 3D 보조 장치(400)로부터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단계 S620으로 진행한다. If the status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ertified 3D auxiliary device 40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0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output mode. If the statu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ertified 3D auxiliary device 40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20.

단계 S620에서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해 수신된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620, the controller 190 analyzes the statu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to determine whether the viewer is wearing.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630으로 진행하여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는 3D 모드로 설정되거나 설정 전환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40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30 and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 is set or switched to the 3D mode.

3D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며,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의 경우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3D 출력부(160)를 동작시켜 영상 표시부(170)가 3D 패널로서 동작되어 3차원 영상 신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3D mode, the controller 190 converts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nto a 3D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input image signal as it is in the case of a 3D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operates the 3D output unit 160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unit 170 as a 3D panel to enable display of a 3D image signal.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640으로 진행하여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는 2D 모드로 설정되거나 설정 전환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400, the flow proceeds to step S640 and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 is set or switched to the 2D mode.

2D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며,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의 경우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2D 출력부(150)를 동작시켜 영상 표시부(170)가 2D 패널로서 동작되어 2차원 영상 신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2D mode, the controller 190 converts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nto a 2D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input image signal as it is in the case of a 2D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operates the 2D output unit 150 to allow the image display unit 170 to operate as a 2D panel to display a 2D image signal.

다른 실시예에서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650으로 진행하여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모드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D 모드로 설정되거나 설정 전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40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50 and the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 is set 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mode. Or can be switched.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D 모드에서 제어부(190)는 영상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인 경우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3D 출력부(160)를 동작시켜 영상 표시부(170)가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D 패널로서 동작되어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3D mode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the controller 190 converts the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when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 3D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operates the 3D output unit 160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unit 170 as an autostereoscopic type 3D panel to enable display of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2D 모드 혹은 3D 모드로 설정되거나 설정 전환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610으로 되돌아가 단계 S610 이하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착용하고 있다가 미착용한 경우 변화된 현재 상태에 따라 3차원 영상 대신 2차원 영상을 보여주거나 시청자가 3D 보조 장치(400)를 미착용하고 있다가 착용한 경우 변화된 현재 상태에 따라 2차원 영상 대신 3차원 영상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I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being set or switched to the 2D mode or the 3D mod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0 and repeats the steps S610 and below. This is because when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400 and does not wear it, the viewer shows a 2D image instead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d current state, or when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400 and wears it. This is to show 3D image instead of 2D image according to the state.

도 3 혹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은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혹은 100'), 특히 제어부(140 혹은 190)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The optional display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or 6 is an automated procedure in time-series order by a 2D and 3D display device 100 or 100 ′, in particular a software program embedded in the controller 140 or 190. It is obvious that it may be performed by.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the program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400: 3D 보조 장치
100, 100':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110: 영상 입력부
120: 이미지 센서
130: 저장부
140, 190: 제어부
150: 2D 출력부
160: 3D 출력부
170: 영상 표시부
180: 통신부
10, 400: 3D auxiliary device
100, 100 ': display device for both 2D and 3D
110: video input unit
120: image sensor
130: storage unit
140, 190: control unit
150: 2D output
160: 3D output unit
170: video display unit
180: communication unit

Claims (24)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2D 패널 및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패널 중 하나로 동작 가능한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2D 패널로 동작하게 하는 2D 출력부;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3D 패널로 동작하게 하는 3D 출력부;
시청 가능 지역의 광학 영상을 촬영하고 기준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서의 3D 보조 장치의 존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2D 출력부 및 상기 3D 출력부 중 하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A 2D and 3D disp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An image input unit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An image display unit operable as one of a 2D panel displaying a 2D image and a 3D panel displaying a 3D image;
A 2D output unit for allowing the image display unit to operate as the 2D panel;
A 3D output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image display unit to operate as the 3D panel;
An image sensor for capturing an optical image of a viewable area, converting the image into reference image data,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reference image data; And
2D and 3D including a controller for analyzing the reference image data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3D auxiliary device in the viewable area,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one of the 2D output unit and the 3D output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Combined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보조 장치에 대한 장치 영상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한 영상 분석 정보와 상기 장치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영상 분석 정보 내에 상기 3D 보조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in which device image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is stored in advance.
The controller compares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analyzing the reference image data with the device imag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at of the 3D auxiliary device is present in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2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2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2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two-dimensional image signal,
If the 3D auxiliary device is determined to exist in the viewable area, the controller operates the 3D output unit,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2D image signal, converts the 3D image signal to a 3D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image to the image display unit. ,
And displaying the two-dimensional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by operating the 2D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does not exist in the viewabl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2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3D output unit and outputs the 3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does not exist in the viewable area, the 2D output unit is operated and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3D image signal to convert the 2D image signal into a 2D image signal and output the image to the image display unit. 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3D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and outputs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does not exist in the viewable area, the 3D output unit is operated, and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o generate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2D and 3D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o the image display unit.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2D 패널 및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패널 중 하나로 동작 가능한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2D 패널로 동작하게 하는 2D 출력부;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3D 패널로 동작하게 하는 3D 출력부;
3D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3D 보조 장치의 시청자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2D 출력부 및 상기 3D 출력부 중 하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3D 보조 장치는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센싱부와,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A 2D and 3D displa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An image input unit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An image display unit operable as one of a 2D panel displaying a 2D image and a 3D panel displaying a 3D image;
A 2D output unit for allowing the image display unit to operate as the 2D panel;
A 3D output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image display unit to operate as the 3D panel;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statu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3D auxiliary device;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the state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3D auxiliary device is worn by a viewer, and to control one of the 2D output unit and the 3D output unit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The 3D auxiliary device includes a device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viewer is worn, a device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state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nd a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tate signal. 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D 보조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3D 보조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in which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3D auxiliary device is stored in advance,
The controller extra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status signal,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alyzes the status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viewer is worn. 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2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2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2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two-dimensional image signal,
If the viewer determines that the viewer wears the 3D auxiliary device, the controller operates the 3D output unit,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2D image signal, converts the 3D image signal to a 3D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3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2D and 3D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2D output unit and outputs the two-dimensional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2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If the viewer determines that the viewer is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controller operates the 3D output unit and outputs the 3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2D output unit is operated and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3D image signal to convert the 2D image signal into a 2D image signal and output the same to the image display unit. 2D and 3D combined displa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제어부는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3D 출력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s a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iewer is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controller operates the 3D output unit and outputs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3D output unit is operated, and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to convert to a 3D image signal of an autostereoscopic type. 2D and 3D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o the image display unit.
시청자가 착용하여 3차원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3D 보조 장치로서,
상기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센싱부;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 및
상기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3D 보조 장치.
A 3D auxiliary device which allows a viewer to watch a 3D image.
A device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viewer is worn;
An apparatus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status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nd
3D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us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신호는 상기 3D 보조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헤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atus signal is a 3D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3D auxiliary device is included in the head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감지 결과 상기 사용자의 착용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device controller generates the state sig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when the wearing state of the user changes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시청 가능 지역을 촬영하여 기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D 보조 장치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A method of selectively display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in a 2D and 3D display device,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by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Photographing a viewable area to generate reference image data;
Analyzing the reference image data to determine whether a 3D auxiliary device is present; And
And determining an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한 영상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분석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된 3D 보조 장치의 장치 영상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교 결과 상기 3D 보조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이 상기 영상 분석 정보 내에 있는 경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Generating image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reference image data; And
Comparing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with the device image information of the 3D auxiliary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at of the 3D auxiliary device is in the image analysis information, the 3D auxiliary device is present in the viewable are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output mod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two-dimensional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the 2D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3D video signal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ed.
And the 2D image signal is display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is not present in the viewable are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output mod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3D video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the 3D video signal is display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does not exist in the viewable area, the 3D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2D video signal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3D 보조 장치가 상기 시청 가능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output mod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stereoscopic type 3D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exists in the viewable area, the 3D video signal of the stereoscopic type is display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3D auxiliary device does not exist in the viewable area,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and displayed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ptional display method.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될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3D 보조 장치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3D 보조 장치의 시청자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2D 및 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D 보조 장치는 시청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센싱부와,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와, 상기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A method of selectively display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in a 2D and 3D display device,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by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Receiving a status signal from the 3D auxiliary device;
Analyzing the status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3D auxiliary device is worn by a viewer; And
Determining an output mode of the 2D and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3D auxiliary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ensing unit detecting whether the viewer wears the device, a device control unit generating the state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nd a device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state signal. Display metho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 이전에,
상기 상태 신호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된 3D 보조 장치에 대한 장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3D 보조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수행 결과 인증이 실패한 경우 상기 출력 모드는 유지되며, 상기 인증 수행 결과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판단 단계 및 상기 결정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Prior to the determining step,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header of the status signal;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3D auxiliary device stored in a storage unit to perform authentication on the 3D auxiliary device,
And if the authentication fails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the output mode is maintained,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the determining step and the determining step are performe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2차원 영상 신호일 때,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2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output mod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two-dimensional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2D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3D video signal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ed.
And displaying the 2D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3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2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output mod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3D video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3D video signal is display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3D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2D video signal and displayed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가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일 때,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시청자가 상기 3D 보조 장치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에 의해 오토스테레오스코피 타입의 3차원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output mode determination step,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stereoscopic type 3D video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stereoscopic type 3D video signal is display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er is not wearing the 3D auxiliary device, the 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tostereoscopic type 3D image signal and displayed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ptional display method.
제1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 24.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of instructions, which can be executed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tangibly embodied and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electiv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23.
KR1020100085286A 2010-09-01 2010-09-01 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KR201200232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286A KR20120023218A (en) 2010-09-01 2010-09-01 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286A KR20120023218A (en) 2010-09-01 2010-09-01 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218A true KR20120023218A (en) 2012-03-13

Family

ID=4613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286A KR20120023218A (en) 2010-09-01 2010-09-01 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32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8126A (en) * 2018-08-30 2018-12-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Video broadcast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wearabl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8126A (en) * 2018-08-30 2018-12-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Video broadcast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wearable device
CN109068126B (en) * 2018-08-30 2021-03-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weara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4041B2 (en) Method for changing play mode, method for changing display mode,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10221746A1 (en) 3d eyeglasses, method for driving 3d eyeglasses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US8749617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applied to the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EP2202991A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1125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weet spot for viewing multi-view image
US20110248989A1 (en) 3d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setting display mode, and 3d display system
JP2011193460A (en) Method for adjusting 3d-image quality, 3d-display apparatus, 3d-glasses, and system for providing 3d-image
JP2007097129A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0258583A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3d image playback apparatus, and 3d image viewing system
KR20120016408A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display system outputting 3 dimensional contents and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WO2022267573A1 (en) Switching control method for glasses-free 3d display mode, and medium and system
JP2012005125A (en) Display device and three-dimensional video recognition diagnosis method for the same
EP2453662A2 (en) Computer, monitor,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thereof
US9124883B2 (en) 3D shutter glasses synchronization signal through stereo headphone wires
JP2014011804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02410B1 (en) Detection system
KR1012289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3 dimensional image in multi vision
US841628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20023218A (en) Display device for 2d and 3d, 3d auxiliary device and optional display method
JPWO2012131937A1 (en) Measuring devic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asuring method
KR20110136326A (en) System for rendering of stereoscopic
KR100855040B1 (en) 3d lcd monitor control system
KR20130079044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43736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620969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preview applied to the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