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215A - 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215A
KR20120011215A KR1020100072938A KR20100072938A KR20120011215A KR 20120011215 A KR20120011215 A KR 20120011215A KR 1020100072938 A KR1020100072938 A KR 1020100072938A KR 20100072938 A KR20100072938 A KR 20100072938A KR 20120011215 A KR20120011215 A KR 2012001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class
display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혜진
김윤정
유현선
이효정
문윤정
노혜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1215A/en
Publication of KR2012001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2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displaying a time table in a terminal and a terminal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fficiently prepare a class and manage a planned schedule by offering a class related content and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time table. CONSTITUTION: A display unit(150) displays a time table with a icon of class related content, and the content. A storage unit stores a content database(141) with content information. A control unit(170) searches the class related content in the content database, and generates an icon linked to the content which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searches the content by using metadata of the content database.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content by selecting or touching the icon.

Description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단말기{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Method of displaying timetab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업 시간표상에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 또는 강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timetable in a terminal and a terminal using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of displaying a timetable in a terminal providing content or lecture 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ubject on a class timetable and a terminal using the metho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In general, a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and data storage.

그리고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The terminal is implemented as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have.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상기 단말기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디지털 시간표에 대하여 단순히 시간별 강의 과목만의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업과 연관된 강의 교재, 노트, 과제물 등의 컨텐츠 및 강의 장소 등의 강의 관련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The digital timetable displayed on the terminal is not onl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lecture courses by hour, but also to provide lecture-related information such as lecture texts, notes, and homework-related contents and lecture location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업 시간표상에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 또는 강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imetable display method and a terminal using the method in a terminal that provides contents or lecture 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on a class timetab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소정의 아이콘을 상기 수업 과목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displaying a timetabl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arching for a content related to a class set by a user in a content database,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one of the searched contents.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predetermined ic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on which the class subject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메타 데이터(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trieving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set by the user in the content database is to search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using metadata (tag information) of the content database. Can b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아이콘에 입력되는 선택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아이콘에 입력된 선택 또는 터치에 따라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ng a selection or touch input to the predetermined icon, and displaying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 touch input to the predetermined icon It may further include.

여기서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는 강의 교재, 강의 노트, 강의 메모, 강의실 위치정보 및 강의 관련 게시물(RSS 형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may be at least one of a lecture textbook, a lecture note, a lecture memo, lecture room location information, and lecture related posts (RSS forma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단말기는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시간표 및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 정보를 갖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ncludes a timetable including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content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A storage unit storing a content database and a control unit for searching for contents related to the class subject in the content database,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the searched content and displaying the icon on the display uni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단말기는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시간표 및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metable including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content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 an external server, and data through a network. Search for contents related to the class subject in the content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the searched content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는 강의 교재, 강의 노트, 강의 메모, 강의실 위치정보 및 강의 관련 게시물(RSS 형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may be at least one of lecture textbooks, lecture notes, lecture notes, classroom location information, and lecture-related posts (RSS format).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표시되는 시간표상에 강의 관련 컨텐츠 및 관련 부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수강과목에 따른 시간표를 작성할 경우, 해당 수강 과목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간편하게 이용하여 효율적인 수업준비 및 자신만의 계획적인 스케쥴링을 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lecture-related content and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timetable displayed on the terminal, when the user prepares a timetable according to the desired course, the user can efficiently use various contents provid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urs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save time by preparing and planning your own sche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업 과목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표를 표시하는 단말기의 이미지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업 과목과 연관된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말기의 이미지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content from an externa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imetable display method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mage diagram of a terminal displaying a timetable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image views of a terminal displaying various contents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re applicable only to th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전원공급부(16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includes a user input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 power supply unit 160, and a control unit.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so a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1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constant voltag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통신부(120)는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와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and the lik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위치정보 모듈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terminal.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인터페이스부(130)는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30 serves as a passag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interface unit 13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transfers the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terminal, or transmits data within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The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the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30.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설정한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1)를 저장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강의 교재, 강의 노트, 강의 메모, 강의실 위치정보 및 강의 관련 게시물(RSS 형식)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1)는 다수의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7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 content database 141 including metadata (tag information) representing information on contents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set by a user. Here, the content may be a lecture textbook, a lecture note, a lecture note, classroom location information, and a lecture related post (RSS format). The content database 141 may include tag information in the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in order to efficiently find and use content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class subjects.

예를 들어, 미적분학과 관련된 강의 교재, 강의 노트, 강의 메모 등의 컨텐츠에 상기 미적분학과 연관된 태그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1)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간표 작성시, 상기 미적분학을 설정할 경우, 제어부는 상기 미적분학에 관련된 컨텐츠를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1)에서 쉽게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For example, by configuring the content database 141 including ta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alculus in contents such as lecture textbooks, lecture notes, lecture notes, etc. related to calculus, when the user sets the calculus at the time of creating a timetable, the controller The content related to the calculus may be easily searched for in the content database 141 using tag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terminal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it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디스플레이부(15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0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device.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0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0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7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70 can determine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0 has been touched.

전원 공급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제어부(controller, 17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text and an image,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설정한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1)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1)의 태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content database 141 to search for contents related to a class set by a user, generate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the searched contents, and display the predetermined icon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ler 170 may use tag information of the content database 141 when searching for content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수업 과목과 링크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소정의 아이콘에 선택 또는 터치가 있는 경우, 상기 소정의 아이콘에 링크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간단한 정보만을 전달하는 프리뷰 형태로 또는 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 selection or a touch on a predetermined icon displaying content linked to the class of su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content linked to the predetermined icon on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displayed conten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 the content in a preview form or a full screen to deliver only simple information to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content from an externa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는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 외부 서버(200, 여기서는 컨텐츠 제공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설정한 수업 과목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에 위치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컨텐츠와 링크정보를 갖는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database 210 may be stored in a storage unit of an external server 200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a network, in this case, a content providing server. In this case, when there is an input for a class subject set by the user,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terminal 100 searches the contents database 210 locat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by using a communicator to class the subject.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and can generate a predetermined icon having the content and link information.

또한 단말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생성된 소정의 아이콘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링크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terminal 100 may receive the link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nd display the linked content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generated icon has a touch inpu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7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7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applications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4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70.

이하 본 발명의 수업 시간표상에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 또는 강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a timetable in a terminal for providing content or lecture 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urse subject on the class time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imetable display method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수업 시간표에 설정된 각각의 수업 과목을 검색 키워드로 지정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메타 데이터(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한다(S31). 다음으로 제어부는 검색된 수업과목과 연관된 컨텐츠 (예를 들어 강의 교재, 강의 노트, 강의 메모, 강의실 정보, 관련 게시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검색된 각각의 컨텐츠와 링크 정보를 갖는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한다(S33).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소정의 아이콘을 수업 시간표에 표시된 수업 과목과 근접한 위치에 표시한다(S34).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designates each class subject set in the class schedule set by the user as a search keyword, and uses the metadata (ta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to store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Search for (S31). Next, the controller collects information 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earched class (for example, textbooks, lecture notes, lecture notes, classroom information, and related posts),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icon having link information with each found content. (S33). Next,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generated predetermined icon at a position close to the class subject displayed on the class schedule (S34).

이후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아이콘을 선택 또는 터치하였을 경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아이콘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가 위치한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37,S39).
When the user selects or touches the predetermined icon, the control unit reads data from th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located and displays the data on the display unit by using the content link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icon (S37, S39). .

따라서 본원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간표는 시간에 따른 수업 과목이 표시됨과 아울러,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아이콘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수업 과목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시간표를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imetab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class subjects according to time, and displays information on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icon,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ubject subject. You can easily check through.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업 과목과 연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표를 표시하는 단말기의 이미지도이다. 4 is an image diagram of a terminal displaying a timetable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상에 각각의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410,420,430,440)을 포함하는 수업 시간표(400)를 표시한다. 여기서 소정의 아이콘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수집된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들에 대한 표시객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시간표(400)에 월요일 일반화학1 과목에 대하여 검색된 강의 교재에 링크된 강의 교재 아이콘(411), 강의 메모에 링크된 강의 메모 아이콘(412) 및 강의실 위치정보가 링크된 강의실 아이콘(413)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는 시간표(400)에 화요일 일반화학실험1 과목에 대하여 검색된 강의 노트에 링크된 강의 노트 아이콘(421) 및 영어1 과목에 대하여 검색된 게시물 주소정보에 링크된 게시물 아이콘(441)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게시물에 대한 정보는 RSS 형식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수업 과목에 대한 공지 사항이 기록된 웹사이트에 새로운 게시물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웹사이트를 방문할 필요없이 게시물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수업 과목과 관련된 게시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displays a class timetable 400 including predetermined icons 410, 420, 430, and 440 linked to content associated with each class. Here, the predetermined icon is a display object for contents related to the class subject collected by searching the content database.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lecture textbook icon 411 linked to a lecture textbook searched for the subject of General Chemistry 1 on Monday, a lecture memo icon 412 linked to a lecture memo, and a classroom location information on a timetable 400. The icon 413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displays a lecture note icon 421 linked to a lecture note searched for a Tuesday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1 subject and a post icon 441 linked to the searched post address information for the English 1 subject on the timetable 400. 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t may be provided using an RSS format. Therefore, when a new post information is updated on a website where a notice about a class subject is recorded, a user may check po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ass subject by touching a post icon without visiting the website.

이하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 또는 터치하였을 경우,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 user selects or touches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content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will be described.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업 과목과 연관된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말기의 이미지도이다. 5 to 9 are image views of a terminal displaying various contents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강의 교재 컨텐츠를 설명하는 단말기 이미지도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의 교재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강의 교재 아이콘이 가지고 있는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강의 교재 화면(51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강의 교재 화면(510)은 페이지 슬라이드 화면(520) 및 쪽 바로가기 아이콘(5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 화면(520) 및 쪽 바로가기 아이콘(530)을 이용하여 해당 페이지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업 시작 전 간편하게 강의 교재를 본원 발명의 단말기를 통하여 학습할 수 있다.
FIG. 5 is a terminal image illustrating lecture textbook contents. As shown in FIG. 5, when a user touches a lecture textbook icon, the controller uses a link textbook of the lecture textbook icon to display a textbook screen 510. ) Is displayed on the display. Here, the lecture textbook screen 510 may include a page slide screen 520 and a page shortcut icon 530. The user may use the slide screen 520 and the page shortcut icon 530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page. You can move easily.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learn the teaching material through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start of the class.

도 6은 강의 메모를 설명하는 단말기 이미지도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의 메모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강의 메모 아이콘이 가지고 있는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강의 메모 화면(61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업 과목과 관련된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FIG. 6 is a terminal image illustrating a lecture memo, and as shown in FIG. 6, when a user touches a lecture memo icon, the controller uses the lecture memo screen 610 by using link information of the lecture memo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ass.

도 7은 강의 노트를 설명하는 단말기 이미지도로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의 노트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강의 노트 아이콘이 가지고 있는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강의 노트 화면(71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업 중에 별도의 노트 필기 없이 강의 노트를 본원 발명의 단말기를 통하여 활용할 수 있다.
FIG. 7 is a terminal image illustrating a lecture note. As shown in FIG. 7, when a user touches a lecture note icon, the controller uses the link information of the lecture note icon to display a lecture note screen 7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erefore, the user can utilize the lecture notes through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aking separate notes during class.

도 8은 강의실 위치를 설명하는 단말기 이미지도로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의실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강의실 아이콘이 가지고 있는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강의실 위치(820)가 표시된 화면(51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강의실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 별도의 안내판을 보지 않고서도, 본원 발명의 단말기를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FIG. 8 is a terminal image illustrating a classroom location. As shown in FIG. 8, when a user touches a classroom icon, the controller displays a screen of a classroom location 820 using link information of the classroom icon. 5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rough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ooking at a separate guide plate where the classroom is located.

도 9는 게시물 정보를 설명하는 단말기 이미지도로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게시물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게시물 아이콘이 가지고 있는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수업 과목에 대한 정보가 있는 웹사이트의 게시물 정보 표시화면(910)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웹사이트에 새로운 게시물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웹사이트를 방문할 필요없이 수업 과목과 관련된 게시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FIG. 9 is a terminal image diagram illustrating pos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9, when a user touches a post icon, the control unit uses the link information of the post icon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class subjects. The post information display screen 910 of the sit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refore, when a new post information is updated on a website, the user can check post information related to a class subject without visiting the websi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processor-readabl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applied thereto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optionally combined.

Claims (13)

사용자가 설정한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소정의 아이콘을 상기 수업 과목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영역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Retriev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set by a user from a content database;
Generating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any one of the retrieved contents; And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predetermined ic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in which the class is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메타 데이터(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arching the content database for content related to the class set by the user
A timetable display method in a terminal for searching for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using metadata (tag information) of the content data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아이콘에 입력되는 선택 또는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아이콘에 입력된 선택 또는 터치에 따라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nsing a selection or touch input to the predetermined icon;
And displaying content related to a class subject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election or a touch input to the predetermined ic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프리뷰 또는 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Displaying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on the display unit
The timetable display method of th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display in a preview or full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는 강의 교재, 강의 노트, 강의 메모, 강의실 위치정보 및 강의 관련 게시물(RSS 형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ntent related to the class is at least one of a lecture textbook, lecture notes, lecture notes, lecture room location information and lecture-related posts (RSS form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외부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databas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terminal,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external server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network timetable display method in the terminal.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시간표 및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 정보를 갖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a timetable including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content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and the content;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ontent database having cont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And
And a control unit for searching for contents related to the class subject in the contents database,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the found contents and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icon on the display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메타 데이터(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 terminal for searching for contents related to a class subject using metadata (tag information) of the contents databas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아이콘에 입력되는 선택 또는 터치에 따라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terminal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r touch input to the predetermined ic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브리뷰 또는 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review or full scree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는 강의 교재, 강의 노트, 강의 메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is at least one of a lecture textbook, lecture notes, lecture notes.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시간표 및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와 링크된 소정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a timetable including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content associated with a class subject and the conten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n external server and a network;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arch for contents related to the class subject in a content database stored in a storage unit of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generate a predetermined icon linked to the found contents and display the predetermined icon on the display unit.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 과목과 연관된 컨텐츠는 강의 교재, 강의 노트, 강의 메모, 강의실 위치정보 및 강의 관련 게시물(RSS 형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lass subject is at least one of a lecture textbook, lecture notes, lecture notes, lecture room location information, and lecture-related posts (RSS format).
KR1020100072938A 2010-07-28 2010-07-28 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200112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38A KR20120011215A (en) 2010-07-28 2010-07-28 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38A KR20120011215A (en) 2010-07-28 2010-07-28 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215A true KR20120011215A (en) 2012-02-07

Family

ID=4583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938A KR20120011215A (en) 2010-07-28 2010-07-28 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121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8630B2 (en) 2012-07-16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books
WO2022139356A1 (en) * 2020-12-21 2022-06-30 주식회사 펍플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timetable,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KR20220150558A (en) * 2021-05-04 2022-11-11 정진우 Electronic Timeta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8630B2 (en) 2012-07-16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books
WO2022139356A1 (en) * 2020-12-21 2022-06-30 주식회사 펍플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timetable,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KR20220150558A (en) * 2021-05-04 2022-11-11 정진우 Electronic Time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12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5213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7633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web page information
US10048833B2 (en) Mobile terminal providing an improved memo function for various separat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96509A1 (en) Display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es
US20150262583A1 (en) Information terminal and voice operation method
US20100058212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locations on a map
US9477392B2 (en) Presentation of tabular information
KR201400110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text
JP2011238220A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text recognition-type help content
KR20150007760A (e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application using received data
KR20150026022A (en) Apparatas and method for supplying content according to field attribute
JP2014527238A (en) Schedul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CN103473253B (en) The detection of data through geocoding and the user interface for it
CN114117282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416122B2 (en) Location text
US20150019522A1 (en)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401256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related to image displayed on device
JP2012113722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book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US9336242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07016013A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40090114A (en) Keyword search method and apparatus
KR102030691B1 (en)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searching method thereof
KR20120011215A (en) Method for displaying a class schedule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N105763911A (en) Method and terminal for video pla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