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930A -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930A
KR20120009930A KR1020100071072A KR20100071072A KR20120009930A KR 20120009930 A KR20120009930 A KR 20120009930A KR 1020100071072 A KR1020100071072 A KR 1020100071072A KR 20100071072 A KR20100071072 A KR 20100071072A KR 20120009930 A KR20120009930 A KR 2012000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response message
case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10007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930A/ko
Publication of KR2012000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가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해당 문장성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를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및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러한 응답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통신단말기가 소개된다. 그러한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문장을 빠르고 간편하게 자유로이 작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며, 응답메시지의 활용도가 높아진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METHOD FOR RESPONSE MESSAGE SERVICE I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종래의 유선통신에 더하여 무선통신단말기가 대중화되어 있고, 단말기의 종류 역시 일반폰(=피처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등으로 다양하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환경 하에서 사용자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상대방과 연락할 수 있지만, 회의중이나 운전중을 포함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이하에서, "제1사용자"는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를 의미하고, "제2사용자"는 응답메시지를 받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1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회의중이나 운전중 자신이 부득이 상대방과 통신할 수 없는 상황임을 알릴 필요가 있었고,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다음의 1번째 또는 2번째와 같은 방법이 제시되었다.
종래의 1번째 방법
종래의 1번째 방법은, 제1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나 통화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미리 제1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에 자동응답메시지를 선택하여 두고, 제2사용자로부터 제1사용자에게 전화가 오면 즉,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고도 제2사용자에게 미리 선택되었던 응답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자동응답메시지 서비스는 제1사용자가 호 연결을 요청한 제2사용자에게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임을 음성 또는 문자를 통해 자동으로 알릴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에 자동응답메시지를 받은 제2사용자가 제1사용자에게 음성녹음을 남길 수 있도록 하여 제1사용자가 나중에 그 음성녹음을 듣고 용건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1번째 방법은, 도 11과 같은 설정화면을 통하여 전화가 오기 전에 제1사용자가 미리 상황에 관한 항목별 케이스를 선택하여 두고, 전화가 올 경우 제1사용자에 의한 제1사용자 단말기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설정된 항목별 케이스의 문자메시지 등이 전송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는 회의에 참석하기 전에 미리 도 11과 같은 종래의 설정화면을 통하여 "회의"라는 항목별 케이스를 단말기에 설정하여 두고 나서, 전화가 오면 제1사용자의 조작이 없이도, "회의중이니 나중에 연락하겠습니다"라는 내용 정도의 자동응답메시지가 자동으로 제2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관하여는 도 12와 같이 이미 완성된 문장이 제시된 화면에서 제1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을 선택하여 자동응답메시지로 설정하여 둘 수도 있었다.
종래의 2번째 방법
종래의 2번째 방법은, 제1사용자의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오는 상황에서, 제1사용자가 통화를 원하지 않거나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 도 11과 같은 종래의 설정화면을 통하여 다수의 항목별 케이스들 중에서 적절한 항목별 케이스를 선택하여 응답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가 현재 회의 중인데 전화가 오고 있는 상황에서, 제1사용자가 도 11과 같은 종래의 설정화면을 통하여 "회의" 라는 항목별 케이스를 선택하면 "회의중이니 나중에 연락하겠습니다"라는 내용 정도의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도 도 12와 같이 이미 완성된 문장이 제시된 화면에서 원하는 문장을 선택하여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종래 방법의 문제점
그러나, 종래의 1번째 및 2번째 방법에 따르면, 제1사용자가 응답메시지를 전송함에 있어서 제1사용자는 미리 마련된 메시지들 중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할 수만 있을 뿐, 구체적인 응답메시지의 내용을 작성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여, 응답메시지의 내용이 갖는 정보가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인 문제점을 기재하면 하기와 같다.
1) 제1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없는 이유
상기의 "회의중이니 나중에 연락하겠습니다"라는 응답메시지에서, "연락하겠습니다"라는 문구는 "(내가)연락하겠습니다"라는 뜻으로서 연락의 주체가 제1사용자인 "나"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락의 주체를 당신(=제2사용자) 또는 상호간(=연락주체 미정)으로 하고 싶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연락의 주체가 당신(=제2사용자)이라면 "(당신이)연락주십시오" 정도를 의미하는 응답메시지가 작성되어야 할 것이며, 연락 주체를 상호간(=미정)으로 하고 싶다면 "(누가 먼저 연락하자는 것을 정하지는 않지만 상호 간에)연락합시다" 정도를 의미하는 응답메시지가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연락주체를 제1사용자로 하여 "(내가)연락하겠습니다"라고 하는 것이 유용한 경우의 예로는, 제1사용자가 제2사용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거나 제1사용자가 제2사용자에게 도움을 받고 싶은 경우일 것이다. 또는, 연락주체를 제2사용자로 하여 "(당신이)연락주십시오"라고 하는 것이 유용한 경우의 예로는, 제1사용자가 제2사용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제1사용자가 제2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연락주체를 제2사용자로 하고 싶은 경우에도, 응답메시지의 전송시 연락주체에 관한 선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제1사용자는 프로그램에 따라 강제적으로 "(내가)연락하겠습니다"라는 한가지의 메시지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제1사용자는 응답메시지 사용을 꺼리게 되며, 응답메시지의 사용률은 현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연락주체를 "상호간"으로 하여 "(상호간에)연락합시다"라고 하는 것이 유용한 경우의 예로는, 제1사용자가 먼저 연락을 하고 싶은 마음은 없으면서도 제2사용자에게 연락을 주라고 하기에는 약간 불편한 경우, 또는 어떠한 일이 완료되어야 연락하는 것이 의미가 있게 되는 상황에서 그 일이 특정 시점까지 완료될지 말지 불확실한 상황 등이 있을 것이다. 즉, 제1사용자 또는 상호 간의 공통된 생각으로 현재 상황을 대충 넘어가고 싶은 경우에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연락주체를 "상호간"으로 하고 싶더라도, 제1사용자는 응답메시지의 전송시 "(내가)연락하겠습니다"라는 정해진 한 가지의 문장만을 강제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어, 제1사용자의 응답메시지 사용률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밖에 없었다.
2)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없는 이유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회의중이니 나중에 연락하겠습니다"라는 응답메시지에서 "나중에"라는 문구가 매우 애매한 문구이기 때문이다. "나중에"라는 것이, 5분 후인지, 10분 후인지, 30분 후인지, 1시간 후인지, 2시간 후인지, 3시간 후인지, 5시간 후인지, 1일 후인지, 1주일 후인지, 제2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알 수 없는 시간의 개념이고, 특히 제2사용자가 제1사용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제1사용자가 제2사용자에게 도움을 받고 싶은 상태라면, 제2사용자는 "나중에"라는 시간 개념을 보고 얼마만큼 기다릴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제1사용자로서는 불안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나중에"라는 불확정적 시간 개념이 포함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에게 보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제2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제1사용자가 처음부터 "2시간 후"라는 명확한 시간개념을 알려주었다면, 제2사용자는 2시간을 다른 일을 하면서도 기다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1사용자가 "나중에"라는 불명확한 시간개념을 전달한 경우에는 제2사용자가 "나중에"라는 문구를 보고 상당 시간을 기다렸음에도 불구하고 제1사용자로부터 연락이 없을 경우 기다리는 시간을 허비하게 되며, 일정을 계획하는데 있어 매우 애매해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혹은, 제2사용자는 "나중에"라는 불확정적인 시간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 자체를 싫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1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응답메시지를 안 보내는 것보다 더 못한 결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나중에"라는 불확정적인 시간개념이 포함된 응답메시지만을 선택할 수밖에 없어,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가 응답메시지의 이용을 꺼리게 되고, 응답메시지 이용률이 현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나중에" 대신 "즉시"라는 시간개념을 문장에 포함하여 응답메시지를 마련해두더라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왜냐하면,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차피 "그 즉시" 연락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응답메시지의 사용을 꺼려하게 될 것이고, 그 결과 응답메시지의 사용률이 현격히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즉시"라는 시간 개념도 "나중에"라는 시간개념과 같이 상황 또는 사람에 따라 여러 가지의 오해와 불편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제1사용자가 제2사용자에게 뭔가 실수를 하였거나 창피한 일이 있을 때, 3시간 이내 또는 오늘 이내에 전화통화 하기가 면목이 없거나 겸언쩍을 경우에, 제1사용자 입장에서 "3시간 후" 또는 "1주일 후"라고 하고 싶은 경우를 포함하여 제1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변경해가면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간" 케이스가 포함된 "시간" 항목이 없어서, "시간" 항목에 대한 케이스를 선택할 수 없으면, 제1사용자도 만족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응답메시지를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미리 마련된 메시지들 중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밖에 없어 구체적인 응답메시지의 내용을 작성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여 응답메시지의 내용이 갖는 정보가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응답메시지의 사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발송하는 응답메시지의 내용을 호 연결 요청 즉시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의미의 응답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상대방의 응답메시지 내용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응답메시지의 이용률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일정시간 이내에 수락하지 않아 부재중 전화 상태에 해당하게 된 경우,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 중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리스트 중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거나 제2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받아,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지정을 입력받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단계는 전송된 응답메시지를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하는 응답메시지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계는 저장된 응답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빈도순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제1사용자로부터 응답메시지의 선택을 입력받으며, 상기 전송단계는 선택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단계는 저장되는 문장성분 항목이 상황, 시간, 주체, 행동 항목 중 어느 2개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단계는 응답메시지에 시간 항목에 관한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된 경우, 해당 시간의 경과 후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단계는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에 어구, 단어, 조사 또는 스펠링을 포함한 글자를 추가, 삭제 또는 변형을 하여 올바른 어법의 응답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단계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 중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문장성분 항목에 대응되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생성단계는 입력단계에서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문장성분 항목에 대하여서는 저장된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호출하여 다른 항목별 케이스와 조합함으로써 응답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단말기는,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출력된 문장성분 항목과 해당 문장성분 항목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에 따르면, 단말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및 상대방의 응답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응답메시지를 문장성분별로 선택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즉시 빠른시간 내에 간단하게 응답메시지를 작성하여 보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의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의 조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의 실행을 위한 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문장성분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상황" 항목별 케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시간" 항목별 케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도 2에 도시된 "주체" 항목별 케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따라 완성된 응답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종래의 응답메시지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또 다른 종래의 응답메시지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그러한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저장단계(S100)에서는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300)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300)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40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도면 미도시)에 저장된다. 여기서, 응답메시지는 음성녹음, 문자메시지, 영상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제1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통신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제1사용자의 입력에 관하여 보면, 물리적인 버튼을 구비한 버튼식 키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방향키나 숫자키를 포함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사항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아이콘을 포함한 가상의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속도 센서가 구비된 경우에는 단말기를 거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레이져패드가 구비된 경우에는 레이져패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바, 제1사용자의 입력수단은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사용자의 선택이 단말기에 반영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응답메시지는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으로 구성되는바, 응답메시지의 생성을 위해서는 그러한 문장을 이루는 각 문장성분의 내용을 확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문장성분을 문장성분 항목(300)이라 하고,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에서 선택될 수 있는 구체적인 단어나 어구를 항목별 케이스(400)라 한다.
문장성분 항목(300)은 상황항목, 시간항목, 주체항목, 행동항목을 포함한 각각의 항목이 여러 가지 항목별 케이스들을 거느리는 포괄적인 개념이고, 항목별 케이스(400)는 각 문장성분 항목(300)에 해당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의미한다. 그래서, 각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들을 조합하여, "현재 어떤 상황인데, 얼마의 시간 후에, 누가, 어떻게 하자"라고 하는 응답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를 설명하면, "상황"항목에는 "회의, 운전, 운동, 식사, 출장"의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될 수 있고, "시간"항목에는 "숫자"와 "분, 시, 일"의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처럼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1일, 2일, 1주일, 2주일과 같이 "숫자"와 "분, 시, 일"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된 채로 하나의 시간 항목별 케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2처럼 숫자를 먼저 선택하고, "분, 시, 일" 등의 시간 단위를 나중에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여 숫자와 시간 단위를 따로 분리한 후에 선택하면서 하나의 시간 항목별 케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주체" 항목에는 "나, 당신, 상호간"이라는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도 9 참조) "행동" 항목에는 "연락하다, 처리하다"라는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미도시)
제1사용자는 문장성분 항목(300)마다 항목별 케이스(400)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항목별 케이스(400)들, 즉, 단어들을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하며 그 문장이 바로 응답메시지가 되는 것이다. 항목별로 선택된 항목별 케이스들은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스펠링, 조사, 단어, 어구를 포함한 글자를 추가 또는 삭제 또는 변형을 포함한 조치를 하여 어법에 맞는 문장을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장성분 항목(3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지 않은 또 다른 문장성분 항목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으며, 항목별 케이스(400) 역시 실시예에서 제시되지 않은 또 다른 다양한 항목별 케이스가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황 항목에 대한 케이스로서, 도 7에 도시된 항목별 케이스들인 "1-회의, 2-수업, 3-상담, 4-업무, 5-운전, 6-식사"라는 항목별 케이스들 외에 7번 이후로, "7-준비, 8-수면"과 같은 추가적인 항목별 케이스들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시간 항목에 대한 케이스로서, 도 8에 도시된 항목별 케이스들인 "1-5분, 2-10분, 3-30분, 4-1시간, 5-2시간, 6-1일"이라는 항목별 케이스들 외에 7번 이후로, "7-3시간, 8-5시간, 9-잠시 후, 10-즉시, 11-나중에"와 같은 추가적인 항목별 케이스들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주체 항목에 대한 케이스로서, 도 9에 도시된 항목별 케이스들인 "1-당신, 2-나, 3-상호간"이라는 항목별 케이스들 외에 4번 이후로, "4-담당자, 5-선생님"과 같은 추가적인 항목별 케이스들도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로 든 "상황, 시간, 주체, 행동" 중 "주체"와 "행동" 항목은 필요에 따라 하나의 문장성분 항목으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응답메시지에서는 "행동" 항목에서는 "연락하다"라는 항목별 케이스가 가장 많이 필요할 것이므로, "행동" 항목이 없다고 하더라도, "주체" 항목의 특정의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면, "주체"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에 "연락하다" 라는 행동이 자동으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체" 항목에서 "나"라는 항목별 케이스를 선택할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내가)연락하겠습니다"라는 의미의 어구가 생성된 응답메시지에 포함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문장성분 항목(300)들과 항목별 케이스(400)들은 제1사용자 단말기(100)의 저장부에 직접 저장되어 응답메시지의 작성시마다 호출되어 조합될 수도 있고, 단말기와 외부 통신이 가능한 서버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제1사용자가 응답메시지 작성시 제1사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을 포함한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호출되어 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버에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를 저장하여 필요시마다 단말기로 호출할 경우 연령별, 또는 직업별 등으로 차별화된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새로운 필요에 따라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를 변경 또는 추가 또는 삭제할 경우에도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서버는 통신망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가 가장 적합할 것이나, 단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이 선택되고, 선택된 각각의 해당 문장성분 항목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를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수신(S210)될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에는 호 연결 요청상태가 디스플레이됨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100)에 호 연결 요청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제1사용자의 아무런 조치없이 자동응답메시지가 제2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하거나, 제1사용자가 호 연결 요청을 수락하여 통화를 할 것인지, 제1사용자가 호 연결 요청을 수락하지 않고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S220). 따라서, 제1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를 하거나, 응답메시지 작성을 선택하여 응답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할 수 있게 된다(S222).
이 경우 자동응답메시지도 전송되지도 않고, 제1사용자가 통화도 하지 않고, 응답메시지도 작성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는 부재중 상태로 돌입하게 된다(S700). 부재중 상태란, 호 연결 요청이 일정시간 수락되지 않은 경우 호 연결 요청을 해제하고 단말기에 부재중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것이다(자동응답메시지가 제2사용자에게 전송된 경우에도 제1사용자가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부재중 상태로 돌입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자동응답메시지 전송 또는 통화 또는 응답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는 방법은 제1사용자의 단말기 형태에 따라, 일반적인 버튼식은 물리적인 버튼을 조작하여 선택되게 하고, 터치식은 디스플레이화면상의 아이콘을 포함한 가상의 버튼을 터치하여 선택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1사용자가 자동응답메시지를 포함한 응답메시지를 작성할 때, 사용 빈도가 높은 응답메시지를 다시 불러내어 사용할지, 아니면 새로운 응답메시지를 작성할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S226). 새로운 응답메시지 작성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에 따른 항목별 케이스들이 디스플레이된다(S230, S240). 입력단계(S200)에서는 이를 통해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에 따른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어 응답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는 기본적인 단어들이 입력된다.
도 3은 디스플레이(120) 상에 구현된 문장성분 항목(300)과 항목별 케이스(40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먼저, "상황"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들인 회의, 운전 등의 항목별 케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황"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 항목으로 자동으로 커서가 넘어가게 할 수도 있다. "시간" 항목에서는 "5분" "10분" "1시간"처럼 숫자와 시간단위를 결합하여 항목별 케이스가 주어질 경우에는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시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를 입력할 수도 있고, 5, 10, 1을 포함한 "숫자"와 "분, 시, 일"을 포함한 시간단위를 분리하여 항목별 케이스가 주어질 경우 구체적인 숫자와 시간단위를 구분하여 선택함으로써 "시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를 입력하게 된다. 그 후, "주체" 항목으로 자동으로 커서가 넘어가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체" 항목에서는 "나" 또는 "당신" 또는 "상호간"이라는 항목별 케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추후 연락의 주체를 정할 수도 있게 된다.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러한 문장성분 항목(300)마다 항목별 케이스(400)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항목별 케이스(400) 즉, 단어들을 조합하여 어법에 맞는 하나의 올바른 문장을 생성할 경우 그 문장이 바로 응답메시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문장성분 항목(3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상황, 시간, 주체 항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높임말 또는 낮춤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항목 등과 같이 문장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항목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임말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가 연락하겠습니다"로 문장이 구성될 것이며 낮춤말을 선택할 경우에는 "연락해라"라는 문장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항목별 케이스(400) 역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어들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어 행동 항목에는 "연락하자" "연락해라" "연락할께" "연락하지마" "처리하겠습니다" "처리해주십시오" 등의 표현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결국 제1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것인바, 선택이 필요한 항목별 케이스만을 문장성분의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첫 화면에서는 상황 항목에 관한 "운전, 식사, 회의"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스킵할 경우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여 시간 항목에 관한 항목별 케이스들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성분 항목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하위의 항목별 케이스을 그룹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제1사용자로 하여금 문장성분 항목을 자유로이 선택하고 그에 따라 문장성분 항목간을 이동하며 정해진 순서 없이 하위의 항목별 케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사용자는 상기 모든 문장성분 항목(300)을 각각 선택한 후에 그에 따른 항목별 케이스(400) 선택을 강요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겠지만, 제1사용자가 일부 문장성분 항목(300)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400)만을 선택할 경우에도 문장을 충분히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는바, 이에 관하여는 후술토록 한다.
한편, 상기 입력단계(S200)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저장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저장단계(S100)가 수행될 것이고,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여 상기 입력단계(S200)가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내용은 응답메시지가 필요한 경우 중의 하나인 전화가 오고 있는 상태 즉,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여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이 선택되고, 선택된 각각의 해당 문장성분 항목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만약 호 연결 요청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응답메시지가 상대방에게 전송되었다면, 더 이상 제1사용자에게 호 연결요청을 알릴 필요는 없을 것인바 통화 호를 해제함이 바람직하다(S410). 하지만, 응답메시지가 전송됨과 거의 동시에 제2사용자 단말기로 도착하지 않고 한참의 시간이 경과 한 후에나 도착하는 경우에는, 제2사용자는 아무 이유없이 호 연결요청이 끊긴 줄로 잘못 판단하여 다시 호 연결 요청을 시도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호 연결 요청을 강제적으로 끊지 말고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로 처리하는 과정 중에서 호 연결 요청이 끊기도록 내버려 둘 수도 있다.
상기 생성단계(S300)에서는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생성단계(S300)에서는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에 어구, 또는 단어, 또는 조사, 또는 스펠링을 포함한 글자를 추가 또는 삭제 또는 변형을 포함한 조치를하여 올바른 어법의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입력단계(S200)에서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들이 입력되면, 선택된 항목별 케이스들을 이용하여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단계(S300)에서는 상기 선택된 항목별 케이스들에 어구, 단어, 조사, 스펠링을 포함한 글자를 추가, 삭제, 변형을 포함한 조치를 하여 상황에 걸맞고 어법에 맞는 문장을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문장 생성의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상황, 시간, 주체" 라는 각각의 항목 중에서 "회의, 5분, 나"라는 각각의 항목별 케이스가 입력될 경우 "회의중이니 5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라는 문장이 생성된다(a). 또한, "운동, 1시간, 당신"이라는 항목별 케이스가 입력될 경우에는 당신이라는 주체의 선택에 따라 연락의 주체가 상대방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운동중이니 1시간 후에 (당신이)연락주십시오"라는 문장이 생성된다(b). 또한, "출장, 5시간, 상호간"이라는 항목별 케이스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호간이라는 주체의 선택에 따라 연락의 주체가 상호간이기 때문에 "출장중이니 5시간 후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라는 문장이 생성된다(c). 즉, 상황 항목의 하위의 항목별 케이스에는 "중이니"라는 조사를 추가함으로써 문장이 완성될 수 있고, 시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에는 "후"라는 말을 붙일 수 있으며, 주체 항목에 따라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 또는 "(당신이)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또는 "(상호간에)연락합시다" 등의 말로 문장을 맺는 규칙들을 정하여둠으로써 제1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자연스러운 문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장단계(S100)에서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들 중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항목에 대하여는 응답메시지 생성시 포함되어야할 대표 항목별 케이스가 미리 지정되어 저장되고, 그에 따라 입력단계(S200)에서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된 대표 항목별 케이스가 자동으로 호출되어, 다른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들과 조합되어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일부의 문장성분 항목에 대하여만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될 경우에도 응답메시지 생성시에 완벽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문장성분 항목 자체가 선택되지 않거나 항목은 선택되었는데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럴 경우를 대비하여 해당 항목을 빼고 응답메시지가 생성되게 할 수도 있고, 각각의 항목별로 미리 지정된 특정의 대표 항목별 케이스가 자동으로 호출되어 응답메시지가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다른 항목별 케이스란 대표 항목별 케이스도 포함하는 것으로서, 모든 문장성분 항목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들만으로 조합되어 문장이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특정의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미리 지정하는 방법은, 항목별 케이스 리스트에 있는 항목별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항목별 케이스를 대표 항목별 케이스로 지정할 수도 있고, 항목별 케이스 리스트에는 없는 항목별 케이스 또는 어구를 따로 대표 항목별 케이스로 입력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항목별 케이스가 입력되지 않은 문장성분 항목에 대입될 수 있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미리 지정하여 둘 경우, 제1사용자는 항목별 케이스 선택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적은 수의 항목만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항목별 케이스만을 선택하여 신속히 문장을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황" 항목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업무중"이라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대입하고, "시간" 항목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나중에 또는 추후에"라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대입하며, "주체" 항목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라고 연락의 주체로서 "나"라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대입함으로써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대입되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는 앞서 살핀 저장단계(S100)에서 함께 미리 지정하여 저장하여 둔 후에, 생성단계(S300)에서 필요시 이를 자동으로 호출하여 대입함으로써 문장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부 문장성분 항목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만이 선택된 경우 나머지 문장성분 항목에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대입하는 대신 걸맞는 문장 자체를 저장하여 두고 호출할 수도 있을 것이며, 자동 선택되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의 경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에 따라 각각의 상황별로 저장하여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장, 5시간"이라는 항목별 케이스만이 선택될 경우에는 제1사용자가 연락의 주체를 지정하지 않았는바, 연락의 주체로서 "나"라는 항목별 케이스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출장중이니 5시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라는 문장을 생성하는 것이 제1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식사"라는 "상황"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와 "상호간"이라는 "주체"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만이 선택되고 "시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는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응답메시지 생성시에, "시간" 항목이 아예 빠진 상태로, "식사중이오니 (상호간에)연락합시다"라는 문장을 생성할 수도 있고, "시간" 항목은 미리 지정된 대표 항목별 케이스인 "나중에"라는 문구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식사중이오니 나중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라는 문장을 생성할 수도 있다(d). "30분"이라는 시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만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황" 항목은 "업무"라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가 자동으로 선택되고, "주체" 항목은 "나"라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업무중이오니 30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라는 문장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e).
한편, 상기 전송단계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저장단계(S100), 입력단계(S200), 생성단계(S300)가 수행되고,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상기 전송단계(S400)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이는 자동응답메시지에 관한 것이다.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저장단계(S100), 입력단계(S200), 생성단계(S300)가 수행되고,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상기 전송단계(S400)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유선전화기에서도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던 자동응답메시지를 본원의 상기 저장단계(S100), 입력단계(S200), 생성단계(S300)를 적용하여 개선한다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응답메시지 서비스는 제2사용자의 호 연결 요청시 제1사용자가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응답메시지가 보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호 연결 요청이 있기 전에 미리 저장단계(S100), 입력단계(S200), 생성단계(S300)를 거치고, 제2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될 경우 미리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사용자의 단말기에는 자동응답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자동응답메시지 작성을 통해 제1사용자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원하는 문구의 자동응답메시지를 간단히 작성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2사용자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자동으로 응답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편하게 현재 상황에 집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자동응답메시지에서는 제1사용자가 시간 항목을 입력하여 둘 경우 호 연결 요청이 들어오는 시점에 따라 그 시간이 변경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따라서, 시간 항목이 문장에 포함된 경우에는 현재시간을 반영하여 시간을 갱신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1시간 후 연락하겠습니다"라는 응답메시지를 미리 작성하였을 경우, 작성시점부터 40분이 경과된 상황에서 호 연결 요청이 접수될 경우에는 자동으로 "20분 후 연락드리겠습니다"라는 자동응답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갱신 기능은 제1사용자의 관여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제1사용자의 단말기 클릭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자동응답메시지 설정에서는 "현재시각" 항목을 더 추가하는 방법도 있다. "현재시각" 이란 자동응답메시지가 작성되는 시점의 시각을 말한다. 이는 자동응답메시지가 작성되는 시점의 시각이 몇 시였는지 제2사용자가 알 수 있어야만, 상황, 시간, 주체 항목으로 이루어진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 중이니까, 얼마의 시간후에, 누가 연락을 할것인지"에 대한 응답메시지에서 "얼마의 시간 후"라는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자동응답메시지에서 현재시각을 명시하지 않는다면 "시간" 항목은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시각" 항목이 없는 자동응답메시지인 "회의중이오니, 1시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읍니다."라는 자동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가 자동응답메시지임을 알 수 있는 상태로 받게 된다면, 그 자동응답메시지가 작성된 시점의 시각을 제2사용자가 정확히 알 수 없으므로, "1시간 후"라는 시점의 시각도 알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현재시각"이라는 항목을 추가하여, "현재시각 2시43분이며, 회의중이오니, 1시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라는 자동응답메시지를 3시30분에 제2사용자가 받게 되면, 1시간 후라는 시점이 앞으로 13분 후인 3시43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재시각"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는 제1사용자가 시각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고, "현재시각" 입력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현재시각이 입력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하여 "현재시각"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자동응답메시지에서 현재시각을 명시하지 않는다면, "시간" 항목을 생략하여 "회의중이오니 (내가)연락드리겠읍니다."정도의 자동응답메시지만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전송단계(S400)는 전송된 응답메시지를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하는 응답메시지 저장단계(S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계(S200)는 저장된 응답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빈도순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제1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입력받으며, 전송단계(S400)는 선택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송단계(S400)에서 전송한 응답메시지들을 별도로 저장하고 저장된 메시지들의 사용 빈도수를 세어 갱신할 경우, 제1사용자가 빈번히 사용하는 응답메시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빈도가 높은 응답메시지를 알게 된다면, 이를 제1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좀 더 빠른 응답메시지의 작성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단계(S400)에서 전송된 응답메시지들 중 전송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1개 이상의 응답메시지들을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사용자의 단말기에서는 제1사용자가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새롭게 작성할 것인지 아니면 사용빈도가 높은 응답메시지를 선택하여 작성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빈도가 높은 응답메시지를 다시 불러내어 사용하기로 하는 경우(S226), 저장된 응답메시지들을 빈도순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제1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제1사용자가 전송할 메시지를 선택하였다면, 제2사용자 단말기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토록 한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일정시간 이내에 수락하지 않아 부재중 전화 상태에 해당하게 된 경우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에 있는 1개 이상의 제2사용자들 중에서 어느 1개 이상의 제2사용자가 선택되어 지정된 제2사용자의 단말기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부재중 상태란, 호 연결 요청이 일정시간 수락되지 않은 경우 호 연결 요청을 해제하고 제1사용자의 단말기의 통신기록 상에 부재중 호 요청을 기록하여 부재중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것을 말하며, 부가적으로, 제2사용자가 제1사용자에게 음성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추후 제1사용자가 그 기록을 보거나 음성메시지를 듣고, 상대방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게끔 할 수도 있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말한다. 호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있는 상태 또는 부재중전화 상태를 확인하고 있는 상태에서 저장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거의 불가능 또는 불합리하므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저장단계(S100)가 수행될 것이다.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일정시간 이내에 수락하지 않아 부재중 전화 상태에 해당하게 된 경우,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여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응답메시지를 받을 제2사용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는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로서,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란 제1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내역 리스트(수신, 발신 및 부재중 전화 목록을 포함하는 리스트로서 일반적인 휴대폰의 통화키를 누를 경우 나타나게 된다) 또는 부재중 전화만이 나타나는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부재중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리스트를 말한다.
이러한 부재중 상태는 자동응답메시지도 전송되지도 않고, 제1사용자가 상대방의 호 연결요청을 장시간 수락하지도 않고, 응답메시지도 작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재중 상태로 돌입하게 된다.(자동응답메시지가 제2사용자에게 전송된 경우에도, 제1사용자가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부재중 상태로 돌입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부재중 상태 역시 제1사용자가 부득이 연락을 받지 못하는 상태이거나 연락을 받기 싫은 상태일 것인바, 통신기록 상에 부재중 상태로 기록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응답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사용자를 선택하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는 응답메시지의 상대방을 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장단계 내지 전송단계의 사이에서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입력단계(S200)에서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호 연결 요청을 일정시간 이내에 수락하지 않아 부재중 상태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도(S700), 응답메시지의 작성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S720), 부가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메시지의 재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S226),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S230, S240), 하나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해당 문장성분 항목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를 입력받아 응답메시지의 생성(S300) 및 전송(S400)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단지 제1사용자의 의도하에 전화를 받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제1사용자가 미처 호 연결 요청을 인식하지 못한 상황에서 부재중 전화목록을 보고 추후에 응답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리스트에 있는 1개 이상의 제2사용자들 중에서 어느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거나 제2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받아,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지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화번호 리스트란, 통화내역 리스트 또는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리스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통화내역 리스트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신, 발신 및 부재중 전화를 포함한 내역을 말하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리스트란 사용자에 의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연락처들을 의미한다. 이는, 수신자 또는 발신자가 될 수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 상의 제2사용자에게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고 싶은 시점에서 저장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거의 불합리하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고 싶은 시점 전에 상기 저장단계(S100)가 수행될 것이고,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리스트에 있는 1개 이상의 제2사용자들 중에서 어느 1개 이상의 제2사용자가 선택하여 상기 제2사용자 지정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제2사용자의 지정은 단말기에 직접 제2사용자의 전화번호 숫자를 입력하여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화번호 리스트에 의한 제2사용자의 지정 또는 제2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제2사용자를 지정하는 단계 역시 저장단계(S100)와 전송단계(S400)의 사이에서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는 단계이다.
상기 전송단계(S400)는 응답메시지에 시간 항목에 관한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된 경우 해당 시간의 경과 후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된 응답메시지에 "시간" 항목에 관한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시간의 경과 후 제1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단계(S6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사용자가 잊지 않고 상대방에게 연락을 하거나 제1사용자에게로 연락이 올 상황임을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응답메시지 상에 "10분 후"라는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되어 있었을 경우, 전송시부터 10분을 카운트하여 제1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제1사용자가 연락을 해야하거나 제1사용자에게로 연락이 올 상황임을 제1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알람 수단 방법은 음성, 텍스트, 진동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항목이라는 개념이 없는 상태로 획일적인 응답메시지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상황"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들 중에서 "회의"라는 항목별 케이스를 선택한다고 해도 "회의 중이오니 나중에 연락드리겠습니다" 정도의 1가지 응답메시지만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 항목과 "주체" 항목에서 어떤 항목별 케이스를 선택하는냐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정보를 가진 21가지 예의 응답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1번째로, "주체" 항목별 케이스 중 "나"를 선택한 경우 즉, 내가 연락드리겠다는 내용을 포함한 응답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7가지의 예가 있다.
1. "회의 중이오니 5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
2. "회의 중이오니 10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
3. "회의 중이오니 30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
4. "회의 중이오니 1시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
5. "회의 중이오니 2시간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
6. "회의 중이오니 1일 후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
7. "회의 중이오니 나중에 (내가)연락드리겠습니다."
2번째로, "주체" 항목별 케이스 중 "당신"을 선택한 경우, 즉, 당신이 연락을 주라는 내용을 포함한 응답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7가지의 예가 있다.
8. "회의 중이오니 5분 후에 (당신이)연락주십시요."
9. "회의 중이오니 10분 후에 (당신이)연락주십시요."
10. "회의 중이오니 30분 후에 (당신이)연락주십시요."
11. "회의 중이오니 1시간 후에 (당신이)연락주십시요."
12. "회의 중이오니 2시간 후에 (당신이)연락주십시요."
13. "회의 중이오니 1일 후에 (당신이)연락주십시요."
14. 회의 중이오니 나중에 (당신이)연락주십시오.
3번째로, "주체" 항목별 케이스 중 "상호간"을 선택한 경우, 즉, 연락을 누가 먼저 해야하는 지는 정하지는 않았지만, 어쨌든, 연락해보자는 내용을 포함한 응답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7가지의 예가 있다.
15. "회의 중이오니 5분 후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
16. "회의 중이오니 10분 후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
17. "회의 중이오니 30분 후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
18. "회의 중이오니 1시간 후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
19. "회의 중이오니 2시간 후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
20. "회의 중이오니 1일 후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
21. "회의 중이오니 나중에 (상호간에)연락합시다."
도 5는 이러한 응답메시지의 서비스를 위한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저장되는 저장부(110); 상기 저장된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2); 상기 출력된 문장성분 항목과 해당 문장성분 항목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이 입력되는 입력부(124); 상기 입력부(124)에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생성하는 생성부(130);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전송부(140);를 포함토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110)에는 문장성분 항목, 항목별 케이스, 전송된 응답메시지와 빈도수 또는 선택되지 않은 문장성분 항목에 대입될 미리 지정된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포함한 본원의 방법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이 저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22)는 제1사용자가 응답메시지를 작성시에 필요한 각종 상황이나 항목들을 표시하며, 제1사용자는 입력부(124)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제1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함에 의해 입력을 수행하는 방식의 일명 터치폰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124)가 디스플레이부(122)에 통합(120)되는 구성이 될 것이다. 생성부(130)는 각 항목들에서 선택되어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들 또는 항목별 케이스가 입력되지 않은 항목에 대하여 미리 대체되는 것으로 지정된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포함한 각 항목들에서 선택되어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들을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고, 전송부(140)가 이를 제2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0 : 저장단계 S200 : 입력단계
S300 : 생성단계 S400 : 전송단계
S600 : 알람단계 100 : 제1사용자 단말기
110 : 저장부 122 : 디스플레이부
124 : 입력부 130 : 생성부
140 : 전송부 200 : 제2사용자 단말기
300 : 문장성분 항목 400 : 항목별 케이스

Claims (14)

  1.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2.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3.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일정시간 이내에 수락하지 않아 부재중 전화 상태에 해당하게 되는 단계;
    상기 저장단계(S100), 하기 입력단계(S200) 또는 하기 생성단계(S300) 후에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 하기 전송단계(S400) 전에만 수행되면 되는 단계로서,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 중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4.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일정시간 이내에 수락하지 않아 부재중 전화 상태에 해당하게 되는 단계;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 중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5.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을 일정시간 이내에 수락하지 않아 부재중 전화 상태에 해당하게 되는 단계;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 중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부재중 전화번호 리스트에서 선택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6.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상기 저장단계(S100), 하기 입력단계(S200) 또는 하기 생성단계(S300) 후에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 전송단계(S400) 전에만 수행되면 되는 단계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리스트 중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거나 제2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받아,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지정을 입력받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7.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리스트 중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거나 제2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받아,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지정을 입력받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8.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저장되는 저장단계(S100);
    상기 문장성분 항목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문장성분 항목별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단계(S200);
    상기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300);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리스트 중 제2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거나 제2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받아, 1개 이상의 제2사용자의 지정을 입력받는 제2사용자 지정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40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S400)는 전송된 응답메시지를 제1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하는 응답메시지 저장단계(S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계(S200)는 저장된 응답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빈도순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제1사용자로부터 응답메시지의 선택을 입력받으며, 상기 전송단계(S400)는 선택된 응답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S100)는 저장되는 문장성분 항목이 상황, 시간, 주체, 행동 항목 중 어느 2개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S400)는 응답메시지에 시간 항목에 관한 항목별 케이스가 포함된 경우, 해당 시간의 경과 후 제1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S300)는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에 어구, 단어, 조사 또는 스펠링을 포함한 글자를 추가, 삭제 또는 변형을 하여 올바른 어법의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S100)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 중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문장성분 항목에 대응되는 대표 항목별 케이스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생성단계(S300)는 입력단계(S200)에서 1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의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항목별 케이스가 선택되지 않은 문장성분 항목에 대하여서는 저장된 대표 항목별 케이스를 호출하여 다른 항목별 케이스와 조합함으로써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14.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문장성분 항목과 각각의 문장성분 항목별로 선택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항목별 케이스가 저장되는 저장부(110);
    상기 저장된 문장성분 항목과 항목별 케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2);
    상기 출력된 문장성분 항목과 해당 문장성분 항목에 대한 항목별 케이스의 선택이 입력되는 입력부(124);
    상기 입력부(124)에 입력된 항목별 케이스를 조합하여 응답메시지의 문장을 생성하는 생성부(130); 및
    상기 생성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전송부(140);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
KR1020100071072A 2010-07-22 2010-07-22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KR20120009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072A KR20120009930A (ko) 2010-07-22 2010-07-22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072A KR20120009930A (ko) 2010-07-22 2010-07-22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930A true KR20120009930A (ko) 2012-02-02

Family

ID=4583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072A KR20120009930A (ko) 2010-07-22 2010-07-22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9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22B1 (ko) * 2015-05-29 2017-03-14 시아오미 아이엔씨. 메시지 송신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22B1 (ko) * 2015-05-29 2017-03-14 시아오미 아이엔씨. 메시지 송신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4939B2 (en) Method and apparatus initiating instant messaging with a party during a telephone call where instant messaging address and telephone number are associated in a database
US20050101338A1 (en) Message exchange handling concept
JP5139807B2 (ja) プレゼンス表示端末装置およびプレゼンス管理システム
CN101361353A (zh) 用于通信通道选择的方法和设备
JP2009532971A (ja) 指名リストの構成
EP2169927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1180631B1 (ko)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US8340640B2 (en) Transcription systems and methods
JP6338166B1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7852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친밀도 표시 방법
KR20120009930A (ko)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KR20060086138A (ko) 송,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한 화면에 표시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US980722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all handling
KR20120009943A (ko)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
KR100735362B1 (ko)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90006771A (ko) 응답메시지 방법
KR100828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4683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착신전환 제어방법
KR100731619B1 (ko)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CA2727135C (en) Multi-tap keyboard user interface
KR100663568B1 (ko) 이동단말기의 문자메시지 머리글 혹은 바닥글 작성 장치및 방법
KR100989272B1 (ko) 통화중에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38417B1 (ko) 주소록을 이용한 버디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TR201516070A2 (tr) Çağri öncesi̇nde çağri onayi alinmasini sağlayan bi̇r si̇stem
JP2005286672A (ja) 自動音声応答方法並びに自動音声応答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構成する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