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737A -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737A
KR20120002737A KR1020100063403A KR20100063403A KR20120002737A KR 20120002737 A KR20120002737 A KR 20120002737A KR 1020100063403 A KR1020100063403 A KR 1020100063403A KR 20100063403 A KR20100063403 A KR 20100063403A KR 20120002737 A KR20120002737 A KR 2012000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audio
data
portable terminal
analysi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완재
김병규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737A/ko
Priority to US13/173,023 priority patent/US20120004913A1/en
Publication of KR2012000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 모드에 따라 오디오 인식 모드를 구동하여 마이크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설정 정보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PORTABLE TERMINAL USING MIC}
본 발명은 마이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액션에 기인하여 발생된 소리를 잡음 제거 및 증폭 과정을 통해 오디오 분석 데이터로 추출하여 이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현된 음성인식 기술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의 검색이나 다이얼링뿐만 아니라, 메뉴 명의 인식이나 음성/텍스트 변환에 기반한 메시지 입력, 오디오 파일 재생 시 곡목 선택 및 기능 제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구현된다.
이와 같은 음성인식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인식 동작은 미리 등록된 특정한 목소리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결과를 제시하거나 상기 인식 결과에 해당되는 기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음성인식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는 인식 대상이 되는 음성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오디오 신호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인식에 있어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예를 들어, 기기 주변의 소음이 마이크로 입력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가 음악 재생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서 음악 재생 및 출력을 하는 중이라면 여기에서 출력되는 음악 신호가 마이크로 입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서관이나 음악회 같은 소리를 낼 수 없는 장소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한 음성인식 동작은 시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아닌 상기 마이크에 접촉된 사용자 액션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발생된 소리 타입을 인식하기 위해 잡음 제거 및 증폭 처리 과정을 통해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UI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소리를 낼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나 특정 환경에서도 마이크에 공급 가능한 신호를 입력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 모드에 따라 오디오 인식 모드를 구동하여 마이크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설정 정보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UI 설정 정보 타입별로 미리 설정된 메뉴 실행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의 오디오 특성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입력된 신호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 모드에 따라 오디오 인식 모드를 구동하여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에서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UI설정 정보의 존재 여부를 상기 메모리를 통해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 저장된 정보게 기반하여 상기 검색된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아닌 상기 마이크에 접촉한 사용자 액션에 기인하여 발생 되는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발생된 소리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잡음 제거 및 증폭 처리 과정을 통해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UI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소리를 낼 수 없는 위급한 상황이나 특정 환경에서도 간단한 손동작만으로도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파형을 보인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마이크(MIC)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액션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발생된 소리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잡음 제거 및 증폭 처리 과정을 통해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이나 장소에 상관없이 상기 마이크 접촉에 기인한 사용자의 간단한 액션(예컨대, 손 동작)에 의한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여 이와 대응되는 메뉴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음성입력 혹은 사용자 액션에 의해 발생 되는 소리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 105),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Digital Converter, 이하 A/D, 110),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12), 제어부(114) 및 메모리(116)를 포함하는 것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메라, 스피커 및 메모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A/D 변환부(110)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소정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 가능한 사람의 음성 신호, 상기 음성 이외의 신호 즉, 사람의 액션에 의해 발생 되는 소리, 그 밖의 잡음 등을 의미하는 모든 소리 음이고,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액션은 마이크 혹은 그 주변부를 손가락 혹은 사용자 입력 수단(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해 긁거나 두드리는 포인트 동작 즉, 탭(tap), 드래그(drag), 클릭(click) 및 스크래치(scratch)중 어느 하나임을 의미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12)는, 상기 A/D 변환부(11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에서 오디오 특성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12)는, 상기 A/D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간섭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 제거부와, 상기 잡음이 제거된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상기 마이크(105)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오디오 특성을 검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마이크(105) 혹은 그 주변부를 손가락 혹은 사용자 입력 수단(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해 긁거나 두드리는 포인트 동작을 수행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트 동작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파형이 생성되며, 상기 포인팅 동작에 의해 발생 되는 소리는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조한 후 잡음 제거 및 증폭을 통해 상기 마이크(105)로부터 입력된 사용자가 의도한 신호의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잡음 제거 이유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외부의 잡음 여부에 따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신호의 타입에 따라 상호 구분 가능한 파형을 형성할 수 있으나, 외부의 잡음이 심한 경우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입력된 신호로부터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여 해당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잡음 제거 동작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잡음이 제거된 신호는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를 통해 증폭한 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잡음이 제거되고, 증폭되어 검출된 오디오 특성은,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 타입에 따라 상호 구분되는 특성을 갖는다. 예컨대, 도 3의 (a)에 도시된 파형과 같이, 입력된 신호로부터 상호 구분되는 "클릭 10회", "드래그 10회"와 같은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여 출력하면, 이를 "클릭" 혹은 "드래그"라고 타입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해당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분석 데이터가 추출된다.
상기 메모리(116)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UI 설정 정보 타입별로 미리 설정된 메뉴 실행을 저장한다. 상기 UI 설정 정보는, 상기 각 오디오 분석 데이터별 특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실행 명령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긴급 통화, 긴급 호출 및 긴급 메시지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기능이다.
상기 제어부(114)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재 구동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 모드에 따라 오디오 인식 모드를 구동하여 상기 마이크(105)를 활성화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12)에서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UI 설정 정보의 존재 여부를 상기 메모리(116)을 통해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116)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검색된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12)에서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UI 설정 정보 존재 여부 검색 결과,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새로운 UI 설정 정보를 부여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가 "클릭"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인 "클릭"에 대응되는 UI 설정 정보의 존재여부를 상기 메모리(116)를 통해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116)에 "클릭"이라는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클릭"에 대응하는 새로운 UI 설정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새로 부여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초기 구동 시, 상기 각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별로 매칭되는 UI 설정 정보가 사용자 혹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오디오 인식 모드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114)의 제어 하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부(미도시)등을 통해 현재 마이크(105)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오디오 특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지 않음을 안내하고, 사용자에게 현재 입력된 신호의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해당하는 새로운 UI 설정 정보를 부여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10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동작모드를 검출한다.
212 과정에서 상기 210 과정에서 검출된 동작 모드가 오디오 인식 모드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결과 오디오 인식 모드일 경우 216 과정으로 이동하여 마이크를 활성화한다.
218 과정에서 상기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신호가 입력된 경우 220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소정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 가능한 사람의 음성 신호, 상기 음성 이외의 신호 즉, 사람의 액션에 의해 발생 되는 소리, 그 밖의 잡음 등을 의미하는 모든 소리 음이고,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액션은 마이크 혹은 그 주변부를 손가락 혹은 사용자 입력 수산(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해 긁거나 두드리는 포인트 동작 즉, 탭(tap), 드래그(drag), 클릭(click) 및 스크래치(scratch)중 어느 하나임을 의미한다.
222 과정에서 상기 220 과정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에서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고, 224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검출된 오디오 특성은, 상기 220 과정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해당 데이터의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하여 획득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마이크를 이용하여 의도한 동작 타입에 따라 상호 구분되는 특성을 갖는다. 즉, 입력된 신호로부터 "클릭" 혹은 "드래그"라고 타입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분석 데이터가 추출된다.
계속해서, 226 과정에서는 상기 224 과정에서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UI 설정 정보의 존재 여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결과, 해당하는 UI 설정 정보가 존재할 경우 230 과정으로 이동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226 과정에서 UI 설정 정보 존재 여부 검색 결과, 존재하지 않을 경우, 228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새로운 UI 정보 설정 정보를 부여한다. 즉,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가 "클릭"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인 대응되는 UI 설정 정보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클릭"이라는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클릭"에 대응하는 새로운 UI 설정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새로 부여 가능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 구동 시, 상기 각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별로 매칭되는 UI 설정 정보가 사용자 혹은 개발자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오디오 인식 모드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등을 통해 현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오디오 특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지 않음을 안내하고, 사용자에게 현재 입력된 신호의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해당하는 새로운 UI 설정 정보를 부여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228 과정에서 상기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새로운 UI 설정 정보가 부여되면 230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부여된 UI 설정 정보의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A/D 변환부 112.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
114. 제어부 116. 메모리

Claims (12)

  1.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 모드에 따라 오디오 인식 모드를 구동하여 마이크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설정 정보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분석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에서 간섭 잡음(noise)을 제거한 후, 상기 잡음이 제거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상기 마이크에 접촉된 사용자 액션에 기인한 탭(tap), 드래그(drag), 클릭(click)중 어느 하나의 포인팅 동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설정 정보는,
    상기 각 오디오 분석 데이터 별 특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실행 명령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메뉴 실행 명령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 구동 시 미리 설정된 디폴트(default) 메뉴로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 타입 별로 재설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새로운 UI 설정 정보를 부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7.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UI 설정 정보 타입별로 미리 설정된 메뉴 실행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의 오디오 특성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입력된 신호 타입을 인식하기 위한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 모드에 따라 오디오 인식 모드를 구동하여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에서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대응되는 UI설정 정보의 존재 여부를 상기 메모리를 통해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 저장된 정보게 기반하여 상기 검색된 설정 정보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분석 데이터에 대응되는 UI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추출된 오디오 분석 데이터 타입에 새로운 UI 설정 정보를 부여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간섭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와,
    상기 잡음이 제거된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잡음 제거부와 증폭기를 이용하여 오디오 특성을 검출하여 오디오 분석 데이터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I 설정 정보는,
    상기 각 오디오 분석 데이터별 특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실행 명령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상기 마이크에 접촉된 사용자 액션에 기인한 탭(tap), 드래그(drag), 클릭(click) 및 스크래치(scratch)중 어느 하나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 되는 소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분석 데이터는,
    탭(tap), 드래그(drag), 클릭(click), 스크래치(scratch)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기 위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1020100063403A 2010-07-01 2010-07-01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02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03A KR20120002737A (ko) 2010-07-01 2010-07-01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173,023 US20120004913A1 (en) 2010-07-01 2011-06-3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ing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03A KR20120002737A (ko) 2010-07-01 2010-07-01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37A true KR20120002737A (ko) 2012-01-09

Family

ID=4540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403A KR20120002737A (ko) 2010-07-01 2010-07-01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04913A1 (ko)
KR (1) KR2012000273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507A1 (ko) * 2012-05-23 2013-11-28 한국과학기술원 소리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및 정보 전달 장치
KR101448896B1 (ko) * 2012-05-24 2014-10-17 한국과학기술원 소리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
KR20150012577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의 음성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 장치
US9628892B2 (en) 2013-01-24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US9696901B2 (en) 2013-10-23 2017-07-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ouch of user terminal based on acoustic wave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7441B2 (ja) * 2010-10-28 2012-09-05 株式会社東芝 携帯型電子機器
KR101309794B1 (ko) * 2012-06-27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대화형 시스템
CN112420031A (zh) * 2019-08-23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20210037987A (ko) 2019-09-30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비음성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3714A (en) * 1985-11-26 1989-10-10 Kabushiki Kaisha Toshiba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an accurate recognition function
JPH0784592A (ja) * 1993-09-14 1995-03-31 Fujitsu Ltd 音声認識装置
US5903867A (en) * 1993-11-30 1999-05-1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access system and recording system
DE69531861T2 (de) * 1994-03-18 2004-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prachgesteuertes fahrzeugalarmsystem
US6263311B1 (en) * 1999-01-11 2001-07-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ity using voice recognition
US7286990B1 (en) * 2000-01-21 2007-10-23 Openwave Systems Inc. Universal interface for voice activated access to multiple information providers
US6999923B1 (en) * 2000-06-23 2006-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lights, signals, alarms using sound detection
US7409349B2 (en) * 2001-05-04 2008-08-05 Microsoft Corporation Servers for web enabled speech recognition
GB2380556A (en) * 2001-10-05 2003-04-09 Hewlett Packard Co Camera with vocal control and recording
GB2414369B (en) * 2004-05-21 2007-08-0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Processing audio data
WO2006036262A2 (en) * 2004-09-23 2006-04-0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phone
US20060173681A1 (en) * 2005-02-01 2006-08-03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emi-covert emergency transmitter
US7707035B2 (en) * 2005-10-13 2010-04-27 Integrated Wave Technologies, Inc. Autonomous integrated headset and sound processing system for tactical applications
US8041026B1 (en) * 2006-02-07 2011-10-18 Avaya Inc. Event driven noise cancellation
GB0709329D0 (en) * 2007-05-15 2007-06-20 Ipsotek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US8542857B2 (en) * 2008-03-31 2013-09-24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device with a movement sensor
JP4727763B2 (ja) * 2008-08-20 2011-07-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補聴器および補聴器システム
US9197736B2 (en) * 2009-12-31 2015-11-24 Digimarc Corporation Intuitive computing methods and systems
US8341669B2 (en) * 2010-05-26 2012-12-2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EP3654147A1 (en) * 2011-03-29 2020-05-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or the rendering of shared digital interfaces relative to each user's point of view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507A1 (ko) * 2012-05-23 2013-11-28 한국과학기술원 소리를 이용한 정보 전달 방법 및 정보 전달 장치
KR101448896B1 (ko) * 2012-05-24 2014-10-17 한국과학기술원 소리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장치
US9628892B2 (en) 2013-01-24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KR20150012577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의 음성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 장치
US9696901B2 (en) 2013-10-23 2017-07-0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ouch of user terminal based on acoustic wave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04913A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2737A (ko)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JP6811758B2 (ja) 音声対話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CN109144360B (zh) 屏幕点亮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935484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oice input i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voice recognition
US10049665B2 (en) Voic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video recognition
KR101929301B1 (ko) 필기 제스처 인식을 통한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61439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recording apparatus
CN104571498B (zh)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
CN108538291A (zh) 语音控制方法、终端设备、云端服务器及系统
CN101714057A (zh) 用于便携式装置的触摸输入装置和方法
US98544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voice user interface and selectively managing incoming communications
CN103634559A (zh) 用于基于消息收发器的视频通话服务的移动设备和方法
US20130252571A1 (en) Speech recognition based emergency situation alert service in mobile terminal
US201503108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motion information from user voice
CN107370772A (zh) 账号登录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100460A (zh) 一种声音操控智能终端的方法及系统
CN103279381A (zh) 在移动终端中提供剪贴板功能的装置和方法
KR101971008B1 (ko) 상황 인지를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CN110085222A (zh) 用于支持语音对话服务的交互装置和方法
CN111986689A (zh) 音频播放方法、音频播放装置和电子设备
CN110097895B (zh) 一种纯音乐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7700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N109245997A (zh) 语音消息播放方法及装置
CN104091601A (zh) 音乐品质检测方法和装置
CN107172258A (zh) 一种保存联系人信息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