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397A -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pc implementing application selectively and controlling server of mobile device and pc and controlling metho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pc implementing application selectively and controlling server of mobile device and pc and control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397A
KR20120002397A KR1020100104914A KR20100104914A KR20120002397A KR 20120002397 A KR20120002397 A KR 20120002397A KR 1020100104914 A KR1020100104914 A KR 1020100104914A KR 20100104914 A KR20100104914 A KR 20100104914A KR 20120002397 A KR20120002397 A KR 20120002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ortable terminal
server
information
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7971B1 (en
Inventor
김용한
조성석
Original Assignee
(주) 애니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애니테일 filed Critical (주) 애니테일
Publication of KR2012000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9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successively execute application using a personal computer by managing user interface for the personal computer. CONSTITUTION: A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105)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to a server in order to activate application which is interlocked with a personal computer. When a sensing unit senses movement information,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 transmits breakaway information in order to deactivate the application interlocked with the personal computer. In case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a data processing unit(107) deactivates the application.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 transmits the breakaway informa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activates the applica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stores processing result data in the server.

Description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PC IMPLEMENTING APPLICATION SELECTIVELY AND CONTROLLING SERVER OF MOBILE DEVICE AND PC AND CONTROLLING METHOD}Portable terminal, PC, server controlling 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ternatively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PC를 이용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와 PC에서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권한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PC, and more specifically, a technology for alternatively controlling the execution right of an applic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C is disclosed.

최근 들어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인터넷접속 등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스마트폰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은 PC에 버금가는 기능을 갖추도록 개발되고 있다.Recently, smart phones, which combine the advantages of mobile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integrate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schedule management and Internet access, are gaining sensation. Unlike conventional mobile phones, these smartphones can install, add, or delete hundreds of different applications. Smartphones are being developed with features comparable to PCs.

스마트폰과 일반 PC를 비교해 보면, 스마트폰은 휴대성이라는 장점을 갖추고 있는 반면 일반 PC에 비해 화면이 작고, UI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일반 PC는 화면이 크고, UI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동 중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PC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Comparing smartphones with regular PCs, smartphones have the advantage of portability, while the screens are smaller and the UI is inconvenient than the average PCs. On the other hand, general PCs have a large screen and a convenient UI, but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are inconvenient to carry. As a result, people typically use their smartphones on the go and PCs in the office or at home.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일반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동 중에는 다시 스마트폰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연속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able to run the application running on a smartphone on a general computer, while on the move back to study the technology that can run the application continuously through the smartphone.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PC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와 PC 간에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Applications running on portable devices can also run on a PC. In addition, applications can be alternatively execut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PC가 접속된 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PC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여부를 감시하는 감지부와 PC에 가까워지는 경우 그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도록 서버로 접근정보를 전송하고, 감지부를 통해 이동이 감지되면 그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시키도록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이동정보 보고부와 접근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고,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며, 서버에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interworking with a P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erver to which the PC is connected in real tim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er, and a sensing unit for monitoring the movement away from the PC. The mobile information reporting unit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server to activate the linked application of the PC when approaching the PC, and transmits the departure information to deactivate the linked application of the PC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deactivating the application when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and activating the application when transmitting the departur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processing result data in th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는 휴대용 단말기가 접속된 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명령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그 처리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명령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고, 서버로부터 활성화명령을 수신대기하고, 수신시 데이터 처리부를 활성화하는 권한상실 처리부와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경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A PC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erver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in real time, and receives an activation command of the application from a serv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erver. Deactivation of the application by receiving the deactivation command of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that stores the processing result data in the server and the processing result data in the server, waiting for the activation command from the server, and upon loss of authorization to activate the data processing unit upon receipt When the processing unit and the application is deactivated,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전송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C로의 접근정보를 수신하면 휴대용 단말기에는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을 PC에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PC에서 멀어지는 이탈정보를 수신하면 PC에는 비활성화명령을 휴대용 단말기에는 활성화명령을 전송하는 권한제어부와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수신한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When the server connected to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pplication is lin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C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the application is deactiv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PC to activate the application, and when receiving the departure information away from the PC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authorization control unit to send a deactivation command to the PC and the activation command to the portable terminal, either the PC or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storing processing result data of application execution in response to one request.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PC에서 편리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시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PC 사용환경에서는 PC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어 연속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된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로그인될 수 있다.Users can conveniently run applications running on portable terminals on various PC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applicatio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when moving, and to execute the application through a PC in a PC using environment, so that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automatically log in to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accessed P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된 PC의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된 PC의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된 PC의 마우스를 이용한 패턴 형태의 접근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접근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접근된 PC의 마우스와 결합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택일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C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an associated application, a PC, and a serve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arcode of a PC to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ac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ultrasound of a PC to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ac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n exemplary diagram of transmitting a pattern type access information to a server using a mouse of a PC accessed by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mouse of an accessed PC to generate access informa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 PC, and a server controlling the same, which selectively executes the link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f specifically defined herei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100), PC(200)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3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는 서버(300)와 무선 접속이 가능한 3G(3rd generation), 4G(4th generation) 형식의 휴대폰, PDA, 스마트 폰일 수 있다. PC(200)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로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서버(300)와 접속된다. PC(200)는 인터넷이 가능한 데스크탑, 노트북(laptop), 키오스크(kiosk),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는 실시간으로 서버(300)와 접속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100, a PC 200, and a server 300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capable of executing an associ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a 3G generation, 4G generation mobile phone, PDA, or smart phone capable of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server 300. The PC 200 is a general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the server 300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PC 200 may be a desktop, a laptop, a kiosk, or a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capable of intern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300 in real time.

또한, PC(20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다수의 컴퓨터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는 서버(300)와 접속되며 그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다가 주변의 PC(200)방에 들어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컴퓨터를 통해서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200)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PC(200)를 통해 편리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C 200 may be a plurality of computers on which applications are installed. Such a computer is connected to the server 300 and the number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while executing an applic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through a computer in whic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installed while entering the surrounding PC 200 room. Accordingly, in an environment where the PC 200 can be used, the application can be conveniently executed through the PC 2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대상은 반드시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 간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다른 휴대용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제어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 또는 IPTV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권한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와의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적 실행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on which the application is selectively execut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control an application execution right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other portable terminal, and the execution authority of the application between the kiosk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IPTV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selective execution of applications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is possible.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에는 서버(300)가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서버(300)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애플의 아이폰 OS, 구글의 안드로이드, 노키아의 심비안, 삼성전자의 바다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영체제와 PC(200)의 운영체제가 다른 경우에는 버전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비록 단말기에 따라 버전이 다른 경우에도 실행되는 내용은 동일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ar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controlled by the server 300. Various kinds of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through the server 300.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Apple's iOS, Google's Android, Nokia's Symbian, Samsung's sea,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application may be set differently whe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C 200 are different. Even if the vers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rminal, the content to be executed may be the same.

예를 들어,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지도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다가 PC(200)로 애플리케이션 설정권한이 변경되면, 곧바로 구글 싸이트를 통해 지도를 검색할 수 있다. PC(200)의 운영체제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영체제가 다른 경우에도 각 운영체제별 애플리케이션 버전이 다르므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pplication setting authority is changed to the PC 200 while executing the map search appl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Google's Android operating system, the map can be searched through the Google site immediately. Even whe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C 200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different, the application version for each operating system is different, so that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이동 중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아바타가 나타나 사용자의 일정관리 등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앱 스토어 등에서 아바타의 옷을 구입할 수도 있다. PC(2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던 아바타가 그 PC(200)의 바탕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이동하게 되면, PC(200)의 바탕화면에 존재하던 아바타는 다시 휴대용 단말기(100)로 이동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n executed application may display an avatar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while moving, and may schedule a user's schedule, and the user may purchase clothes of the avatar in an app store.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PC 200, the avatar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appear on the desktop of the PC 200. When the user moves again, the avatar existing on the desktop of the PC 200 may move back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부(101), 감지부(103), 이동정보 보고부(105), 데이터 처리부(107), 메모리(109)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모듈일 수 있다. 통신부(101)는 서버(30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데이터 처리부(107)와 이동정보 보고부(105)와 연결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01, a detection unit 103, a movement information report unit 105, a data processing unit 107, and a memory 109. The communication unit 101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Zigbee, Bluetooth, WiBro, or Wi-Fi. The communication unit 101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300 to communicate in real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01 is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7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 unit 105.

감지부(103)는 G센서(Gravity Sensor),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직선방향으로의 단위시간 당 속도 증감비를 파악하거나 단위시간 당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03)는 이동정보 보고부(10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에서 이동을 하거나,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움직임을 보이면 이러한 이동정보를 이동정보 보고부(105)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의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패턴인식에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03 may be a G sensor (Gravity Sensor) or a gyro sensor. This may determine the speed increase / decrease ratio per unit time in the linear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detect the rotation angl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 unit time. The detector 103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er 105. 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moves in a stationary state or shows a movement forming a specific pattern, the portable terminal 100 outputs the movement information to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 105. Accordingly, various movem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detected and used for pattern recognition.

이동정보 보고부(105)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연산모듈일 수 있다. 이동정보 보고부(105)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 접근하는지, PC(200)로부터 이탈하는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이동정보 보고부(105)는 감지부(103)와 통신부(101)와 연결될 수 있다. 감지부(103)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의 내용을 분석하여, PC(200)로 접근 또는 이탈 여부를 결정한다. 감지부(103)는 서버(300)에 분석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접근정보를 통신부(101)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 105 may be a calculation module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 105 may store a program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PC 200 or leaves the PC 200.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 105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103 and the communication unit 101. The sensor unit 103 receives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movement to determine whether to approach or leave the PC 200. The detector 103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alyzed by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1.

예를 들어, 이동정보 보고부(105)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상실한 이후, 일정시간 정지해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동이 감지되면 이를 PC(200)로부터 이탈하는 이탈정보로 인식하고 서버(300)에 보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 상실 후 1분 동안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동여부를 판단하지 않다가, 그 이후의 일정 속도 이상의 움직임은 PC(200)로부터 멀어짐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연속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mobile information reporting unit 105 stop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portable terminal 100 loses the right to execute an application from the server 300 and then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ognized as departure information leaving from) can be reported to the server (30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not be moved for one minute after the loss of the right to execute the application, and the movement beyond the predetermined speed thereafter may be recognized as moving away from the PC 200. Accordingly, the user may continuously execute the applic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또한, 이동정보 보고부(105)는 카메라 모듈(도시되지 않음), 음성녹음 모듈(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하는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녹음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하는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녹음하여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PC(200)로의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에 택일적인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vement information reporting unit 105 may be connected to a camera module (not shown) and a voice recording module (not shown). The camera is mounted on a general portable terminal 100, which is to photograp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PC 200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voice recording module is to reco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PC 200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esses and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Accordingly, by using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various types of PC 200, it is possible to alternatively execute the application between the PC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데이터 처리부(107)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CPU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데이터 처리를 하기 위해 CPU의 처리속도는 1GHz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한 서버(300)로부터 인증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107 may be a CPU that controls an application. This is used for general smartphones or mobile phones, and can control the execution of applications. For example, the processing speed of the CPU for executing various applications and processing data may be 1 GHz or more. Accordingly, various applications authenticated from the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executed.

데이터 처리부(107)는 통신부(101)와 메모리(109)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7)는 통신부(101)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입력받고, 휴대용 단말기(100)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에 애플리케이션이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107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01 and the memory 109. The data processor 107 may receive an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from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1, and activate an applic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ddition, when receiving an application deactivation command from the server 300,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may be terminated. Accordingly, an application may be selectively executed between the PC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또한, 데이터 처리부(107)는 메모리(109)에 데이터 처리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부(101)를 통해 서버(300)로 데이터 처리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결과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있어서, 현재 진행 중인 데이터 처리상황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당시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PC(200)로 또는 그 반대의 경우로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권한이 변경된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이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107 may store the data processing result in the memory 109 and transmit the data processing result to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1. The data processing result may include a data processing situation currently in progress or an execution progress of the application at the time of termination of the application. Accordingly, even when the execution authority of the applic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PC 200 or vice versa is changed,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continuous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된 PC(200)의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400a)를 획득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의 바탕화면에 생성된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400a)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정보는 서버(300)로부터 부여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의 접근했음을 인식하고, 해당 PC(200)의 접속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400a in the form of a barcode of a PC 200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c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photograph the barcode 4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400a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PC 200 through the camera. Su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n identifier given from the server 300.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ata access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Accordingly, the server 300 may recognize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has approached the PC 200 and may grasp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C 200.

바코드의 형태로는 단순히 숫자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는 막대형 바코드뿐만 아니라 숫자 정보와 문자 정보를 모두 저장할 수 있는 QR 코드의 형태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PC(200)의 바탕화면에 생성되거나 본체에 인쇄된 QR 코드를 촬영한다. 이를 서버(300)로 전송하게 되면, QR 코드에 저장된 정보가 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barcode may be in the form of a QR code that can store both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s well as a bar barcode that can only store numeric information. Using the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shoot a QR code generated on the desktop of the PC 200 or printed on the main body. When thi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QR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rough this, the security of the application authority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300 can be further improved.

PC(200)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410)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아이콘(410)을 클릭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430)가 팝업된다. 이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실행준비 단계로 서버(300)로부터 권한인증을 기다리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서버(300)로 접근정보를 전송하면, 서버(300)는 이를 통해 해당 PC(20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의 택일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An icon 410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PC 200. When the icon 410 is clicked, the application execution window 430 pops up.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waits for authorization from the server 300 in preparation for execu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grants the right to execute the application of the PC 200 through this. Accordingly, an alternative application between the PC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executed.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접근된 PC(200)에서 접속되는 웹 사이트의 로그인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접근된 PC(200)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로그인이 필요한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웹 사이트에 QR 코드 형태의 식별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된 QR 코드를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이를 서버(300)로 전송하면 해당 PC(200)로의 접근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웹사이트의 접속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iven a login right of a web site accessed from the accessed PC 200. The accessed PC 200 may access a web site requiring login using a web browser. In this ca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QR code may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website. After photographing the displayed QR code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300,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website as well as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PC 200 can be transmitted together.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해당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로 해당 웹 사이트의 QR 코드를 촬영하고, 이와 함께 해당 웹 사이트의 로그인 정보를 함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QR 코드에는 해당 웹 사이트의 URL 주소와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된 PC(20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300)는 QR 코드에 포함된 PC(200)로의 접근을 인식하고, 해당 웹 사이트의 로그인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웹 사이트에 별도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도 로그인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store login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web site.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hotograph the QR code of the web site and transmit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web site to the server 300 together. The QR code may include a URL address of the web site and information of the PC 200 connected to the web site. The server 300 receiving this information recognizes the access to the PC 200 included in the QR code, and recognizes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website. Accordingly, the user can log in to the corresponding web site without inputting an ID and password separately.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버(300)에 웹 사이트 로그인 정보를 미리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전송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웹 사이트의 QR 코드를 전송받음으로써 그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PC(200)에서 실행 중인 웹 사이트는 새로고침이 되어 로그인된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website logi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in advance. The server 300 may store the transmitted login information and allow login to the web site by receiving the QR code of the web sit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web site running on the PC 200 is refreshed and appears as logged in.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부터 이탈하는 이탈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면, 서버(300)는 PC(200)에서 로그인된 상태로 실행중인 웹 사이트를 로그아웃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 밖에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이탈 보고가 없더라도 일정 시간 로그인된 웹 사이트의 윈도우 창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로그아웃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그인된 웹 사이트이 사용자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departure information leaving the PC 200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changes the web site running in the logged-in state of the PC 200 to the logout state. Can be.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departure repor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if the window of the web site logged in for a certain time is not activated, it may be automatically logged out. Accordingly, the logged in web site can protect the user privacy.

한편, PC(200)에 생성되는 식별정보는 PC(200)의 바탕화면, 바탕화면의 트레이 또는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PC(200)와 서버(300) 간에는 미리 세션을 주고 받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100)로 PC(200)의 식별정보를 촬영하여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는 접속된 PC(200)와 세션과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식별정보의 세션을 매칭을 시도한다. 이 경우, 매칭이 되는 PC(200)가 있으면 그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로그인이 실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C 200 may be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PC 200, the tray of the background screen or the connec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PC 200. In this case, the session between the PC 200 and the server 300 may be in advance. In this cas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C 200 is photograph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identifies an input input from the connected PC 200 and the sess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ttempt to match a session of information. In this case, if there is a PC 200 to be matched, an application driven on the PC 200 may be automatically logged i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된 PC(200)의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400b)를 획득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C(200)는 스피커(210)를 통해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영역의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400b)를 생성할 수 있다.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400b)는 일정한 주기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해당 초음파를 녹음기 모듈을 통해 이를 녹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400b of an ultrasound form of a PC 200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cc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PC 200 may generate, via the speaker 2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400b in the ultrasonic form of the high frequency region inclu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e ultrasonic wa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400b may be repeatedly execu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record the corresponding ultrasound through the recorder module. Through this, the security of the application authority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300 can be further improved.

휴대용 단말기(100)는 일정시간 동안 근접한 PC(200)의 초음파를 녹음하여 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접근정보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의 접근했음을 인식하고, 해당 PC(200)의 접속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이를 통해 해당 PC(20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의 택일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record the ultrasound of the PC 200 in close proximit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ransmit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ccess information processed data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may analyze the access information to recognize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has approached the PC 200, and grasp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C 200. The server 300 grants the right to execute the application of the PC 200 through this. Accordingly, an alternative application between the PC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executed.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된 PC(200)의 마우스(230)를 이용한 패턴 형태의 접근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는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PC(200)의 마우스(230)와 동일한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해당 PC(200)로의 접근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접근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접근된 PC(200)의 마우스(230)와 결합하는 예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PC(200)의 마우스(230)에 올려진 상태로 마우스(2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5A is an exemplary diagram of transmitting the access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pattern using the mouse 230 of the PC 200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Referring to FIG. 5A,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generate the same pattern as the mouse 230 of the PC 200, and may generate the same pattern as access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PC 200. 5B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mouse 230 of the accessed PC 200 to generate access information. Referring to FIG. 5B,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move together with the mouse 230 while being placed on the mouse 230 of the PC 200.

휴대용 단말기(100)는 감지부(103)에 의해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마우스(230)를 통해 입력된 패턴이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전송한 패턴과 PC(200)가 전송한 패턴을 매칭하여 일치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과 함께 해당 PC(200)의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recognize the pattern by the sensor 103 and transmit the pattern to the server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pattern input through the mouse 23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When the server 300 matches and matches the pattern transmitt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the pattern transmitted by the PC 200, the server 300 executes an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PC 200 together with an application deactivation command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transmit

또한, PC(200)의 마우스(23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패턴 형성은 반드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서버(300)는 일정한 구역 안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입력되는 PC(200) 및 마우스(230)의 패턴 입력을 비교하여, 접근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접근정보로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PC(200)로의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pattern formation of the mouse 23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C 20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performed at the same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 server 300 may compare the pattern input of the PC 200 and the mouse 230 which are inpu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ithin a predetermined region, and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is access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as access information, the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to the corresponding PC 200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is, the security of the application authority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300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접근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PC(200)의 키보드(250)를 이용한 키 입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바탕화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410)을 클릭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430)가 팝업되어 권한 인증을 위한 번호 입력을 요구하게 되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식별번호인 전화번호, 기기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PC(200)로의 접근을 알리는 키 입력 형태의 접근정보(400d)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a key input using the keyboard 250 of the PC 200 may be used to generate access information. When the application icon 410 installed on the desktop is clicked, the application execution window 430 pops up to request input of a number for authorization, and the user inputs a phone number and a device number which ar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inputting, the access information 400d in the form of a key input indicating the access to the corresponding PC 200 may be generated.

또한, 접근된 PC(200)의 키보드(250)를 통한 키 입력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100)에서의 키 입력을 통해 이를 전송하면, 서버(300)는 키 입력을 비교하여 접근된 PC(20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key is input through the keyboard 250 of the accessed PC 200 and transmitted through a key input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erver 300 compares the key input and approaches the PC 200.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또한, PC(200)의 키보드(25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키 입력을 통해, 아이디/패스워드(ID/PW)를 입력함과 별도로 앞서 설명한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 제스쳐 동작에 의해 패턴 형태의 식별정보를 추가적으로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권한설정시 2중 보안이 이뤄지게 된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input of the keyboard 250 of the PC 200 or th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ID / password (ID / PW) is input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barcode ty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ltrasonic ty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additionall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pattern by the gesture operation to the server 300, the double security is achieved when setting the user authority for the application. Through this, the security of the application authority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300 can be further improv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200)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C(200)는 통신부(201), 데이터 처리부(203), 권한상실 처리부(205), 정보 생성부(207), 하드디스크(20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1)는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통신부(201)는 무선, 유선으로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C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PC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01, a data processing unit 203, a loss of privilege processing unit 205,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7, and a hard disk 209. The communication unit 201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communication unit 201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by wire or wirelessly. Accordingly,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server 300 via the Internet.

데이터 처리부(203)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03)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실행에 대해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하드디스크(209)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이에 대한 각종 처리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203 may generally be a microprocessor CPU used in a computer. The data processor 203 controls the execution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data is processed and the processing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1. An application is stored in the hard disk 209, and various processing results thereof may be store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데이터 처리부(203)는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203)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애플리케이션 실행정보는 하드디스크(209)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C(20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에 택일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203 may receive an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from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1.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03 executes the stored application. Application execu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hard disk 209 while the application is running. Accordingly, an alternativ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etween the PC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또한, 데이터 처리부(203)는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로그인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PC(200)의 바탕화면 또는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되는 식별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촬영하여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는 접근된 PC(200)에서 실행되는 웹 사이트 등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자동으로 실행하게 된다. 이 경우, 식별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정보와 함께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203 may receive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300 and automatically execute the logi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his is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PC 200 or the access screen of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PC 200 is photograph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e server 300 is accessed PC The login of the application such as the web site executed at 200 is automatically executed.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ogether with the application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권한상실 처리부(205)는 통신부(201)와 데이터 처리부, 정보 생성부(207)와 연결될 수 있다. 권한상실 처리부(205)는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비활성화 명령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명령이므로, 권한상실 처리부(205)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와 접속된 서버(300)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의 제어가 가능하다.The loss of privilege processing unit 205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1,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7. The privilege loss processing unit 205 may receive an application deactivation command from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1. Since the deactivation command is the termination command of the application, the loss of privilege processing unit 205 terminates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ccordingly, the application execution authority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server 300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권한상실 처리부(205)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정보 생성부(207)를 통해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에는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이 수신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수신하면, 데이터 처리부(203)를 활성화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is inactivated, the permission loss processing unit 205 may control to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PC 200 through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7. When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it may be periodically checked whether an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When the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1, the data processing unit 203 may be activat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정보 생성부(207)는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207)는 모니터, 스피커(210)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식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코드 형태, 초음파 형태, 패턴을 형성하는 제스쳐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가 PC에 접근한 경우에는 접근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generator 207 may generate various typ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PC 200. The information generator 207 may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using the monitor, the speaker 210,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barcode form, an ultrasonic form, or a gesture form forming a pattern.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PC, the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using the access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제어하는 서버(300)는 통신부(301), 권한 제어부(303), 데이터 처리부(305), 데이터 베이스(307)를 포함한다. 통신부(301)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각종 PC(200)와 접속할 수 있다. PC(200)와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와는 인터넷 전화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server 300 that controls application execution authority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01, an authority control unit 303, a data processing unit 305, and a database 307. It includes. The communication unit 301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various PCs 200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PC 200 may us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use an Internet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권한제어부(303)는 통신부(301)와 데이터 처리부(305), 데이터 베이스(307)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301)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접근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권한제어부(303)는 접근정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특정 PC(200)로의 접근을 판단하고, 접근정보로부터 PC(200)의 접속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hority control unit 303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301, the data processing unit 305, and the database 307.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1. The authority control unit 303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access to the specific PC 200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the access information and extract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PC 200 from the access information. It may include.

또한, 통신부(301)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 간에 택일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을 각각 전송하게 된다. 권한제어부(303)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PC(200)로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알리는 이탈정보를 수신하면, PC(200)의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고, 휴대용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명령을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01 transmits a command for selectively activating an appl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respectively. When the authority control unit 303 receives departu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deactivate the linked applic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PC 200, the authority control unit 303 deactivates the application of the PC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Send an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한편, 권한제어부(303)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PC(200)의 바탕화면 또는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된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PC(200)와 세션 매칭을 하여 매칭이 되면, 그 PC(20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로그인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식별정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특정 PC(200)에 접근시킨 후, 식별정보를 촬영하여 서버로 보냄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별도의 인증 없이도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desktop screen of the PC 200 or the access screen of the application driven on the PC 200 is in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authority controller 303 matches the session with the PC 200. If a match is found, the automatic login authority of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PC 200 may be granted. In this case, the server 300 may receive the logi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access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he owns to the specific PC 200, photograp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nd it to the server, so that the application can be automatically logged in without additional authentication.

데이터 처리부(305)는 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307)에 저장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의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 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PC(200)로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나 PC(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서버(300)와의 접속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러나 서버(400)와 휴대용 단말기(100)는 항상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접속정보, 이동정보 전송시에만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data processor 305 may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database 307 of the server 300 to be downloaded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In this case, a program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he PC 200 through an authenticator (not shown).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he PC 200 may be updated in real time when the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server 300. However, the server 4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do not always need to be connected, and may be temporarily connected only when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and mobile information.

데이터 처리부(305)는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PC(200) 중 어느 하나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이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담당한다. 데이터 처리 결과는 데이터 베이스(307)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05)는 실행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PC(200)로 변경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 연속적인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The data processor 305 is responsible for data processing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either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PC 200. The data processing result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307. The data processor 305 changes the execution termi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PC 200 or vice versa, and processes the data in real time for continuous application execution.

인증부(도시되지 않음)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로부터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에 각각 식별자를 보낼 수 있다. 해당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정보가 인증부로 전송되면, 인증부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근접한 PC(200)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인증정보로는 실행하고자 하는 PC(200)를 통한 아이디/패스워드 입력과 PC(200)에서 생성되는 고유의 식별정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애플리케이션 권한 인증에 대한 보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not shown) may receive a signal for requesting connec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Accordingly, the server 300 may send an identifi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respectively.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er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unit, the authentication unit may grant an application execution right to the PC 200 in proximity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D / password input through the PC 200 to be execu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C 20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this, the security of the application authority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300 can be further improv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택일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100), PC(200)와 이를 제어하는 서버(300)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는 서버(300)와 접속하게 된다(1001, 1002). 먼저 서버(30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을 부여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1001, 1003).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와 서버(3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만, PC(2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다(2003). 8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100, a PC 200, and a server 300 controlling the same, which alternatively executes the link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are connected to the server 300 (1001 and 1002). First, when the server 300 grants an application execution right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rtable terminal 100 activates the application (1001, 1003).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300 transmit and receive data. However, the application is deactivated in the PC 200 (2003).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100)가 PC(200)로 접근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접근되는 PC(200)부터 PC(200)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획득하게 된다(1007). 휴대용 단말기(100)에 탑재된 카메라, 녹음기 모듈을 이용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식별정보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접근정보를 생성한다(1009). 생성된 접근정보는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1011). 서버(300)는 접근정보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와 PC(200)에 동시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권한과 관련된 명령을 전송한다.Next,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pproaches the PC 200, the portable terminal 100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of the PC 200 from the accessed PC 200 (1007). .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using a camera and a recorder module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ess information is generated by processing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1009). The generated acces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1011). The server 300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a command related to an application execution right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C 200 simultaneously.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PC(200)에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하게 된다(1013, 2007).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PC(200)로 실행권한이 변경되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1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PC(2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다(1015, 2009). 다음으로, 서버(300)와 PC(200)간에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관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2011).An application deactiv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PC 200 (1013 and 2007). Accordingly, the execution authority of the application is chang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PC 200.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in the PC 200 (1015 and 2009). Next, data about application execu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rver 300 and the PC 200 (2011).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PC(200)로부터 이탈하는 이탈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서버(300)로 보고하게 된다(1017).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이탈신호가 수신되면 휴대용 단말기(100)에 다시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PC(200)에는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1019, 2013).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PC(2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된다(1021, 2015). 이 경우, 서버(3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1023).Next, if a departure signal detected from the PC 200 is detected, the portable terminal 100 reports this to the server 300 (1017). When the departur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erver 300 may transmit an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gain and may transmit an application deactivation command to the PC 200 (1019, 2013). Accordingly,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application is deactivated in the PC 200 (1021, 2015). In this case, the server 3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regarding application execu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1023).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which are intended to cover obvious vari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휴대용 단말기
101 :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부
103 : 감지부
105 : 이동정보 보고부
107 :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부
109 : 메모리
200 : PC
201 : (PC의) 통신부
203 : (PC의) 데이터 처리부
205 : 권한상실 처리부
207 : 정보 생성부
209 : 하드디스크
210 : 스피커
230 : 마우스
250 : 키보드
300 : 서버
301 : (서버의) 통신부
303 : 권한 제어부
305 : (서버의) 데이터 처리부
307 : 데이터 베이스
400a :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
400b :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
400c : 패턴형태의 식별정보
400d : 키 입력 형태의 식별정보
410 : 애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430 :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100: portable terminal
101: communication unit (portable terminal)
103: detector
105: moving information reporting unit
107: data processing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109: memory
200: PC
201: (PC) Communications
203: (PC) Data Processing Unit
205: loss of privilege processing unit
207: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9: hard disk
210: speaker
230: mouse
250: keyboard
300: server
301: communication server
303: authority control unit
305: data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307 database
400a: Barcode ty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400b: Ultrason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400c: pattern information identification
400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key input form
410: Run application icon
430 application execution window

Claims (22)

PC가 접속된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PC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여부를 감시하는 감지부;
상기 PC에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서버로 접근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PC의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시키도록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이동정보 보고부; 및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가 접근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가 이탈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상기 서버에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 server to which a PC is connected, and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the PC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erver;
A sensing unit that monitors a movement away from the PC;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to the server to activate the linked application of the PC when approaching the PC, and transfers departure information to deactivate the linked application of the PC when a movement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Reporting unit; 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deactivate an application when the mobile information reporter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activate an application when the mobile information reporter transmits departure information, and store processing result data in the server;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PC,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의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를 촬영하여,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로의 접근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information report unit,
Tak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ar code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PC displayed on the desktop of the PC,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cces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ata to the server to report access to the PC.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a PC,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에서 발생되는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를 녹음하여, 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로의 접근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information report unit,
Recor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ultrasonic waves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PC generated from the PC,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ata-processed access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erver to report the access to the PC.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a P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의 마우스와 동일한 움직임의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로의 접근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information report unit,
Generating a pattern of the same movement as that of the mouse of the PC, and selectively accessing the PC by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PC to the server to report the access to the PC. Handhel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의 키 입력 또는 마우스의 특정 아이콘 클릭에 대응하여 일정시간 내에 키 입력 또는 마우스의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로의 접근을 보고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information report unit,
In response to a key input of the PC or a specific icon click of the mouse, a key input or a movement pattern of the mouse is gen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PC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o report access to the PC.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a P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보 보고부는,
상기 PC의 바탕화면 또는 상기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된 식별정보를 촬영하고, 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자동 로그인 권한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information report unit,
PC, characterized in that to tak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desktop of the PC or the connec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PC,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the automatic login authority is granted to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PC;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vely executing the linked application.
휴대용 단말기가 접속된 서버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며,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명령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그 처리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명령을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활성화명령을 수신대기하고, 수신시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활성화하는 권한상실 처리부; 및
상기 권한상실 처리부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In a PC that is connected in real time to the server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selectively running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portabl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erver;
A data processing unit receiving an activation command of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activate the application, and storing the processing result data in the server;
Deprivation processing unit for deactivating the application by receiving the deactivation command of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aiting for the activation command from the server, and activates the data processing unit when receiving; And
A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with the server when an application is deactivated by the loss of privilege processing unit;
PC to selectively run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비활성상태에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를 바탕화면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or,
And selectively executing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arcode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server is generated on the desktop in an inactive sta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비활성상태에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or,
And a personal computer for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ultrasonic wave includes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server in an inactive sta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비활성상태에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일정한 키 입력을 식별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or,
And a computer configured to selectively execute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predetermined key input inclu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server is generat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n inactive sta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비활성상태에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동일한 움직임의 패턴을 식별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generator,
And a personal computer that selectively executes an application link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same pattern of movement as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server is generat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n inactive sta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PC.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data processing unit comprises:
And selectively log in the application by receiving logi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PC와 휴대용 단말기와 실시간으로 접속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PC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로의 접근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애플리케이션 비활성화명령을 상기 PC에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에서 멀어지는 이탈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PC에는 비활성화명령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활성화명령을 전송하는 권한제어부; 및
상기 권한제어부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명령을 수신한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처리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In the server connected to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in real tim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When receiving th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C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n application deactivation comman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to the PC, and receives the departure information away from the PC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C An authority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comman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storing processing result data of application execu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ny one of a PC or a portable terminal receiving an application activation command from the authority control unit;
Server connected to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접근정보를 수신시 이를 분석하여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3,
The authority control unit,
A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PC by analyzing the access information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Server connected to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the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PC의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형태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4,
The authority control unit,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pplication is linked, characterized in that for analy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ar code including the access information to the PC displayed on the desktop of the PC and the access information proces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ata; Server connecte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PC에서 발생되는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형태의 식별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데이터 처리한 접근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4,
The authority control unit,
The server connected to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pplication is link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ltrasonic form includ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C and the access information proces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nalyzed.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PC의 마우스를 통해 입력되며, 상기 PC로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패턴 형태의 접근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4,
The authority control unit,
A server connected to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pplication is link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mou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C and analyzes the same pattern of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PC.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PC로부터 설정된 키 입력 또는 특정 아이콘의 클릭이 있은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며, 설정된 키 입력 또는 패턴 형태의 접근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4,
The authority control unit,
After the key input or the click of a specific icon set from the PC, in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linked to the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analyz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set key input or pattern form Server connect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의 바탕화면 또는 상기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화면에 생성된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PC와 세션 매칭을 하여 매칭이 되면, 상기 PC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로그인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4,
The authority control unit,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PC or the access screen of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PC is in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ession is matched with the PC, the automatic login authority of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PC is matched. Server connected to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granting.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PC로의 접근시 접근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PC로부터 이탈시 이탈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PC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selectively running the application linked with the PC,
Communicating data with a server;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accessing the PC;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server;
Transmitting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leaving the PC; And
Initiating application execu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server;
A method for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to a PC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와의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접근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는 명령을 수신 대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에서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selectively executing the application link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ng data with a server;
Generating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information with the server;
Initiating application execu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server;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server; And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server to initiat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nd selectivel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ersonal computer, comprising: a.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C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로의 접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PC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PC로의 이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개시하고, 상기 PC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PC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PC and a portable terminal running the linked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the PC and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C;
Terminating the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nstructing the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PC to start;
Receiving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C; And
Initiating an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nstructing the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PC to end;
Method for controlling a PC and a portable terminal running an application in the server comprising a.
KR1020100104914A 2010-06-30 2010-10-26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pc implementing application selectively and controlling server of mobile device and pc and controlling method KR1011379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2949 2010-06-30
KR1020100062949 201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97A true KR20120002397A (en) 2012-01-05
KR101137971B1 KR101137971B1 (en) 2012-04-20

Family

ID=4560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914A KR101137971B1 (en) 2010-06-30 2010-10-26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pc implementing application selectively and controlling server of mobile device and pc and controll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97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28B1 (en) * 2014-05-07 2014-09-29 주식회사 나인트리 Managing method and system of valid session using mobile phone
WO2015002476A1 (en) * 2013-07-03 2015-01-08 주식회사 퍼플즈 Application activating system using ultrasonic wa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892B1 (en) * 2015-11-06 2017-05-02 원준희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Login Processing and Providing Printing Service using Beacon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80B1 (en) * 2005-11-28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lication link system between personal compu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 method
KR100858650B1 (en) * 2007-01-08 2008-09-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tents between computer and mobile
KR20090070022A (en) * 2007-12-26 2009-07-0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A system for and a method of providing instant messanger services, an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of a server and terminal units in th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a in which programs for executing the methods are record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476A1 (en) * 2013-07-03 2015-01-08 주식회사 퍼플즈 Application activating system using ultrasonic waves
KR101445228B1 (en) * 2014-05-07 2014-09-29 주식회사 나인트리 Managing method and system of valid session using mobile phone
WO2015170847A1 (en) * 2014-05-07 2015-11-12 주식회사 나인트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alid session using posture of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971B1 (en)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1372B1 (en) Contextual based gesture recognition and control
EP2605170B1 (en)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US201602487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dential management between electronic devices
EP2836957B1 (en) Location-based access contro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339288B2 (en) User authentication for mobile devices using behavioral analysis
EP312201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376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nfiguration and behavior control by proximity enabled devices
KR201200499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reless network in a digital device
WO2018010021A1 (en) Pointer control in a handheld computer by way of hid commands
WO2015055095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475304B (en) Method and device for associating application program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bile terminal
EP3440537B1 (en) Providing a remote keyboard service
TW201516913A (en) Gesture control mobile terminal payment methods
KR101395289B1 (en) Server certification method of smart-device remote-controlled by internet and server cert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method
CN105808042B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17054585A1 (en) Network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137971B1 (en)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pc implementing application selectively and controlling server of mobile device and pc and controlling method
TW201533602A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encing a process based on motion detection,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7231338A (en) Method for connecting network, device and the device for network connection
KR2021002253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9033806A (en) The data setting method of biological information analytical equipment
US10936710B1 (en) Interaction based posture assessment
JP2017182242A (en) Authent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514535B1 (en) Method of inputting to mobile device through personal computer and system thereof
US20190041997A1 (en) Pointer control in a handheld computer by way of hid comm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