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946A -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 Google Patents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946A
KR20120001946A KR1020100062585A KR20100062585A KR20120001946A KR 20120001946 A KR20120001946 A KR 20120001946A KR 1020100062585 A KR1020100062585 A KR 1020100062585A KR 20100062585 A KR20100062585 A KR 20100062585A KR 20120001946 A KR20120001946 A KR 20120001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sonant
vowel
finger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명종
박치원
Original Assignee
정명종
박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종, 박치원 filed Critical 정명종
Priority to KR102010006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946A/en
Publication of KR2012000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haracter inputting method, a terminal device,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provided to input a corresponding charact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ngers which touch a screen and stop or touch release positions. CONSTITUTION: One of all touch modes is distinguished wherein the one is made by combining first to third fingers or at least two fingers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A location in which an initial touch is made is determined as a reference area. Touch release is made in a specific area without a drag action when the initial touch is made. The specific area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area,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nd an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 consonant, a vowel, or other character/symbol/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re inputted.

Description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이 조합되어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 중에서 최초의 터치가 어떤 터치모드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고,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이러한 특정 영역이 기준 영역,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또는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한글 자음, 한글 모음,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 terminal device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ich touch mode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among all touch modes that can be derived by combin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or at least two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was made as the reference area and then releasing the touch in the specific area with or without dragging in the initial touch state, the specific area is the reference area, the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or the reference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which region of a region which is not adjacent to a region, and to input a Korean consonant, a Korean vowel, and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a terminal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근래에 들어, 정보통신의 발달로 휴대폰을 포함하여 PDA, UMPC등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는 첨단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의 모바일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공간과 문자 입력 공간을 별개로 구분하여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Recently, various mobile terminals such as PDAs and UMPCs, including mobile phones, are being u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se mobile terminals are gradually miniaturized with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In the past, it was common for mobile terminals to separate display space and character input space separately.

소형화된 모바일 단말기는 그 공간 자체가 협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공간도 같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선호하는 현재의 추세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The miniaturized mobil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display space is also narrowed as the space itself is narrow. This is not only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 of favoring large display screens, but also causes visual discomfort for the user.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식 입력 키패드 방식을 채용한 모바일 단말기가 시장에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은 터치스크린 상에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키패드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손 또는 입력 펜과 같은 보조 수단으로 자음 및 모음을 터치하면 해당되는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이러한 터치식 입력 키패드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문자 입력 요청 시에만 키패드가 표시되기 때문에 그 외의(예를 들면, 위성 DMB 프로그램 시청) 시간에는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provide more convenience to the user, a number of mobile terminals employing a touch input keypad method have been introduced to the market. Character input of such a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a keypad composed of consonants and vowels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layed when the user touches the consonants and vowels with an auxiliary means such as a hand or an input pen. . In the case of employing the touch input keypad method, since the keypad is displayed only when a user inputs a character inp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elatively large display screen can be used at other times (eg, watching a satellite DMB progra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문자 입력 요청에 따라 터치식 입력 키패드가 화면에 표시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uch input keypad is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request of a us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에 도시된 터치식 입력 키패드를 살펴보면 자음과 모음 영역이 지나치게 작아 반드시 입력 펜과 같은 보조 수단을 사용해야만 할뿐만 아니라 오타율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러한 터치 패드 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Referring to the touch input keypad illustrated in FIG. 1, the consonant and vowel regions are too small to use an auxiliary means such as an input pe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typo rate is greatly increased.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a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r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ll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터치되는 손가락의 개수, 손가락의 정체 및 손가락의 터치 해제 위치에 따라 각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키패드 배열을 보지 않고도 문자 입력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 to input characters without looking at the keypad arrangement by inputt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ngers touched on the screen, the congestion of the fingers and the touch release position of the fingers. .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드 환경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각 버튼을 일일이 누르지 않고도 터치 및 드래그만으로 기존의 천지인, 나랏글, 스카이 등의 다양한 키배열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간편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ll the various key arrangements, such as the existing heaven and earth, naraggle, sky, etc. simply by touching and dragging each button to input characters in a touch pad environment. For other purpos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의 조합으로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즉, 제1 내지 제7 터치모드) 중 4 가지 터치모드(즉,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를 선택하고 최초의 터치를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 중 하나로 구분하고 -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경우,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경우 및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경우가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음 -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되,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이거나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comprising: (a) at least two fingers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mselves or the first to third fingers; Select four touch modes (i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among all the touch modes (that is, the first to seventh touch mode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combination, and make the first touch the first to fourth touches.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may be specified differently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for inputting Korean vowels, and for inputting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Determining a location where the touch is made as a reference area, and (b) the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area with or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wherein the specific area is the reference area; In the case of an area or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consonants, vowels, or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re input, and (i)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Assuming that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and the first touch is a touch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In the case that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present so that the third consonant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If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ted, and (ii)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than four numbers. Assuming that the first to fourth vowels are the first vowel touch mode,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ted, and the first touch is the second vowel touch. In the case of a touch by a mode,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third vowel touch mode, If a third vowel exists, the third vowel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ourth vowel touch mode,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displayed. The fourth vowel is input if present, and (iii)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digits, and the first to fourth characters. Assuming that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irst guitar touch mode,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second symbol. In the case of the touch by the other touch mode, if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and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by the third guitar touch mode. In the case of a touch, if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ourth guitar touch mode, If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area, the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causing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input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1 내지 제5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최초의 터치를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 중 하나로 구분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되,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이거나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to fifth fingers,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only by the second and third finger; Classifying into one of a touch, a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and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and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as a reference area, and (b) the first touch If the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area with or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state, and the specific area is the reference area or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consonants, vowels, or other characters / symbols / A number is inputted, but (i)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than four numbers, which is referred to as first to fourth consonan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the thir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The third consonant is inputted if there is a consonant; and if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ted (I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digits, and that the vowels correspond to the first to fourth vowels,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and the specific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owel is input, an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if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third vowel is input, and if the first vowel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the fourth vowel is input if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iii)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which is referred to as first to fourth letters / symbols / number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cond finger only,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the second and third finger only. In the case of touch by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f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In the case of the touch, if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And if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allowing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to be input.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단말 장치의 화면에 손가락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삼고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화면을 가상적으로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터치된 손가락이 상기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 중 어느 곳을 터치했는지를 판단하여 후속 동작을 대기하고,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이상이면 상기 화면을 가상적으로 분할하지 않은 채로 후속 동작을 대기하는 단계, (c) (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상기 좌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상기 우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일 때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기본자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자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음을 제외한 자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상기 좌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 또는 상기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 또는 제1 모음 및 제2 모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제1 자음 또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상기 우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 또는 상기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 또는 제1 모음 및 제2 모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제2 자음 또는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일 때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키(key)에 기본자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자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음을 제외한 자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키에 기본모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모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모음을 제외한 모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inputting Hangul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a) when a finger touches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the touched position is used as a reference area; Determining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b) if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one, the screen is virtually divided into a left screen and a right screen, and the touched finger is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screen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ouched and waits for a subsequent operation, and if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 is two or more, waiting for the subsequent operation without virtually dividing the screen, (c) (i) of the touched finger When the number is one, when the touch is released as the subsequent operation while touching the left screen, it is determined how many consonants correspond to the reference area, If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egion is one, the consonant is input; if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egion is two a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the first consonant is input; (ii) When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one, when the touch is released as the subsequent operation while being touched on the right screen, it is determined how many consonants correspond to the reference area, and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are 1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a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as two first consonants and the second consonant as the first consonant, and (iii)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s is two. Or when the touch release is performed as the subsequent operation when three,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are excluded as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when there is a basic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egion. Inputting the consonants if there is at least one consonant; and (d) (i) specifying a region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the subsequent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left screen is touched when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s is one; When the drag action is made to the area and the touch is released, the number of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determined. When the consonant or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one, the consonant or the vowels are inputted. If the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re two a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or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the first consonant or the first vowel may be input, and (ii) the touch Drag row to a specific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the subsequent operation while touching the right screen when the number of fingers is one Is made and the touch is released, it is determined how many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 to the specific area, and if there is only on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the consonant or the vowel is input, and the specific area If two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 to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or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the second consonant or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and (iii)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s. Is 2 or 3 when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to a specific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the subsequent operation and the touch is released,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basic consonant exists in a key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f at least one consonant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exist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inputted and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If there is a default collection In a coll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if there is a second bar, except for at least 2 ba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he bar so that the input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의 조합으로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즉, 제1 내지 제7 터치모드) 중 4 가지 터치모드(즉,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가 선택되면 -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경우,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경우 및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경우가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음 - 최초의 터치를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 중 하나로 구분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 또는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터치 감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 또는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기타터치모드 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minal device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mselve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fingers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If four touch modes (i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are selected among all the touch modes (ie, the first to seventh touch modes) that can be derived,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are inputted with Hangul consonants. For a case, a case for inputting Korean vowels and a case for inputting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may be differently specified.-The first touch is divided into one of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and the first touch. After determining that the position is made as a reference region, if the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region with or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the specific region is the reference region Or a touch sens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ne of the areas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area, and if the specific area is one of the reference area or the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 Vowels or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to be input, but (i) assumes that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pecific touch is input. If there is a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an area,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may be input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and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ourth consonant touch mode. And if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 (i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digits, and the first to fourth vowel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rst vowel touch mode,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cond vowel touch mode, the first vowel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rea. If the second vowel exists,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ased on a third vowel touch mode, the third mod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present if the third vowel is input;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ourth vowel touch mode, the fourth vowel is input if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ii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letters / symbols / numbers. When the touch is a touch by the first guitar touch mode,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cond guitar touch mode, If the corresponding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present,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third guitar touch mode,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rea. If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is present,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an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ourth guitar touch mode, the fourth letter /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management unit for allowing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to be input if a symbol / number is present.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1 내지 제5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최초의 터치를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동시 터치, 제2 내지 제5 손가락만에 의한 동시 터치 중 하나로 구분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 또는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터지 감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 또는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minal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to fifth fingers, the first touch is touched only by the second finger and the touch only b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And dividing into one of the simultaneous touches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and the simultaneous touches by onl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and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as a reference area, and then dragging in the first touch state. When the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region with o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uch panel, the touch sens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one of the reference region or the region adjacent to the reference reg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ouch sensing unit, Consonants, vowels, or other characters /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f the reference region or one of the regions adjacent to the reference region When the call / number is input, (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When the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rea.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if the second consonant exists, and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The third consonant is inputted, and if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if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fourth consonant is And (i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digits and is the first to fourth vowels, the first touch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nput when the touch is performed using only two fingers,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when the first touch is touched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The second vowel is input if the vowel exists, and the third vowel is input if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only. If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the fourth vowel may be input if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And (ii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letters / symbols / number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In the case that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present so that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may be input if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and the specific touch may be performed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Harm to area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if exists, that terminal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unit that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to be input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에 터치되는 손가락의 개수, 손가락의 정체 및 손가락의 터치 해제 위치에 따라 각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므로 사용자가 좁은 화면 상에서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화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re in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ngers touched on the screen, the congestion of the fingers, and the touch release position of the fingers, the user can easily input the characters on a narrow screen, thereby effectively saving the display screen space. It can be used a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천지인, 나랏글, 스카이 등의 키배열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터치 및 드래그만으로 지극히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put characters extremely simply by touching and dragging, while using the existing key arrangements such as Naragle and Sky.

도 1은 사용자의 문자 입력 요청에 의해 종래의 터치식 입력 키패드가 화면에 표시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으로 키패드 배열이 설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패드 배열이 "나랏글" 배열로서 설정된 경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패드 배열이 "천지인" 배열로서 설정된 경우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문자 및 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how a conventional touch input keypad is displayed on a screen by a user's text input request.
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pad arrangement is set by way of examp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when the keypad arrangement is set as a "naratgle"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Korean consonant and a Korean vowel when the keypad arrangement is set as an “Cheonjiin”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and symbo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국부적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국부적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local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local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해당 터치스크린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 적은 수의 손가락만으로 문자를 입력토록 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해당 터치스크린의 사이즈가 작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내지 제5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여 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를 위주로 기술하고, 뒤에 제1 내지 제5 손가락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racter is desired to be input by using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nly the first to third fingers are used to input the character using only a few fingers. Character can be input.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touch screen is not small, characters may be input using all of the first to fifth finger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a character is input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a case in which all of the first to fifth fingers are used later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는 표시부(210), 터치 감지부(220), 입력 관리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210, a touch detector 220, an input manager 230, a communicator 240, and a controller 250. It can be configured a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10)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터치, 드래그, 터치 해제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에 따라 해당되는 한글 자음, 한글 모음,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0)는 설정되어 있는 키패드 배열의 각 영역에 해당되는 한글 자음, 한글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 등을 나타내는 키스킨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10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general touch panel. When a user performs a touch, drag, or release of a touch, a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 and a Hangul vowel accordingly ,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10 may or may not display a kiskin indicating a Korean consonant, a Korean vowel, or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each area of the set keypad arra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감지부(220)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이 조합되어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총 7 가지의 터치모드, 즉, 제1 손가락만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제2 손가락만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제3 손가락만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제1 손가락 및 제2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제1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제2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제1 손가락 내지 제3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중에서 4 가지 터치모드, 즉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가 선택되면(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되거나 디폴트 값으로서 선택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음), 사용자에 의한 최초의 터치가 어떤 터치모드에 해당하는지를 소정의 손가락 인식 기술을 이용해 판별하고,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unit 220 includes all the touch modes that can be derived by combining at least two fingers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mselves or the first to third fingers. In the touch mode of the branch, that is, when touched by only the first finger, when touched by only the second finger, when touched by only the third finger, when touched by the first finger and second finger, Touched by the first finger and the third finger, touched by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touched by the first to third fingers) 4 When the touch mode is selected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or selected as the default value), it is necessary to use a predetermined finger recognition technique to determine which touch mode the first touch by the user corresponds to. It can be determined,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etermining the reference area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여기서, 터치모드를 판별하기 위한 소정의 손가락 인식 기술로서는, 한국특허출원 제2005-0091493호의 명세서 등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상기 명세서의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명세서에는 장갑형 키입력 기기를 이용하여 각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이 접촉되면 해당 접점에 대한 키신호를 발생시켜 각종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Here, as a predetermined finger recognition technique for determining a touch mode,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specification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5-0091493 (the content of the above spec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orporated herein in its entirety). ). The specification describes a method of processing various character inputs by generating a key signal for a corresponding contact when a contact provided on each finger is contacted using an armored key input device.

물론,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손가락 인식 기술이 상기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갑형 키입력 기기를 이용하지 않는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finger recognition technique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using a glove-type key input device may be envisioned.

예를 들어, 한국특허출원 제2003-0090765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기저장되어 있는 손가락들에 대한 지문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각 손가락을 인식하는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상기 명세서의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For example,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3-0090765, a technique of recognizing each finger with reference to fingerprint data on pre-stored fingers may be utilized.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orporated herein in its entirety).

그 밖에도, 화면을 가상적으로 두 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터치된 손가락이 복수의 구역 중 어느 곳을 터치했는지를 판단하여 터치된 손가락을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상적으로 화면을 분할하여 손가락을 인식하는 기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i) 화면을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으로 분할하여 좌측화면에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2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우측화면에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3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에 각각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2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이 경우 그냥 손가락이 두 개 터치되면 좌우측화면을 가리지 않고 제2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는 변형예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ii) 화면을 좌상측화면, 우상측화면, 하측화면으로 분할하여 하측화면에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1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좌상측화면 및 하측화면에 각각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1 손가락 및 제2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우상측화면 및 하측화면에 각각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1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좌상측화면, 우상측화면 및 하측화면에 각각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되면 제1 손가락 내지 제3 손가락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화면을 2 개나 3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터치된 손가락을 인식하는 것은 터치 시 사용되는 손의 모양을 참조로 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7 가지의 터치모드를 분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제1 손가락이 좌하측화면에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인식 기술이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후술할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1 손가락이 좌하측화면에 터치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도시하였으며, 화면이 가상적으로 4 개의 구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한글의 입력은 7 가지 터치모드 중 6 가지 터치모드만을 이용하여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후술할 도 4 및 도 5에 대한 설명 부분 참조), 한글을 제외한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경우 7 가지 터치모드를 다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후술할 도 6에 대한 설명 부분 참조).In addition, the touched finger may be recognized by virtually dividing the screen into two or more zones and determining which of the zones the touched finger has touched. Specifically, a technique of virtually dividing a screen to recognize a finger may include: i) dividing a screen into a left screen and a right screen, and when one finger is touched on the left screen, the touched by the second finger; When the finger of touch is touched by the third finger, when one finger touches each of the left and right screens, it can be recognized as being touched by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in this case, two fingers Can be assumed to be touched by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without covering the left and right screens.), Ii) The screen is divided into an upper left screen, an upper right screen, and a lower screen. Is touched by the first finger when one finger is touched. When one finger is touched on the upper left screen and the lower screen, the first finger is touched. Touched by the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when one finger is touched on the upper right screen and the lower screen, respectively, touched by the first finger and the third finger, one finger on the upper left screen, the upper right screen and the lower screen, respectively When touched, it may be recognized as touched by the first to third fingers. In this way, dividing the screen into two or three zones and recognizing the touched finger refers to the shape of the hand used for the touch, whereby seven touch modes can be distinguished.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first finger touches the lower left screen, the recognition technology may be applied. Accordingly, in FIGS. 4 to 6 to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finger is assumed to be touched on the lower left screen. It is shown as being virtually divided into four zones. In addition, the input of Hangul may also be implemented using only six touch modes among the seven touch modes (see description of FIGS. 4 and 5 to be described later), and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except Hangul 7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ll kinds of touch modes (see the description of FIG. 6 to be described later).

한편,‘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문자,‘기준 영역’에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되는 문자의 예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문자 배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키패드의 중앙 지점에 해당하는 ‘ㄴㄹ’ 은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문자라고 할 수 있고(즉, 사용자에 의한 최초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를 ‘ㄴㄹ’ 문자에 해당되는 기준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ㄴㄹ’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8 개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문자가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해당되는 문자라고 할 수 있으며, ‘ㄴㄹ’ 영역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채 분리되어 있는 영역에 포함된 ‘ㅇㅁ’이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되는 문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러한 도 3과 같은 문자 배열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고, 도 3과 같은 문자 배열의 예는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reference area' and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 area adjacent to or not adjacent to a 'reference area' is set up as shown in FIG. 3. If it is set, 'ㄴㄹ'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int of the keypad may be referred to a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that is, the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by the user is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ㄴㄹ'). The character included in each of the eight regions surrounding the 'ㄴㄹ' region may correspond to the region adjacent to the reference region, and is separated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ㄴㄹ' region. 'ㅇㅁ'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may be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mentioned above, the character arrangement as shown in FIG. 3 may not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example of the character arrangement as shown in FIG. 3 may assume various modifica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부(220)는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혹은 드래그 행위를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이러한 특정 영역이 기준 영역,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또는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as a reference region, and then touches in a specific region with or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When releasing is performed,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 reference area,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or an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may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220)는 최초의 터치가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지 않고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기준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며, 최초의 터치가 상기 4 가지 터치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모드, 즉 제5 내지 제7 터치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touch detector 220 determines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reference area when the touch is released without performing a drag ac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When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When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other touch modes except the touch mode, that is, the fifth to seventh touch mode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an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have.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터치 감지부(220)는, 최초의 터치가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지 않고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즉,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와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위치가 동일한 경우) 기준 영역인 ‘ㄴㄹ’ 영역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영역인 것으로 판단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가령 아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아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ㅅㅎ’ 영역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영역인 것으로 판단하며, 최초의 터치가 제5 내지 제7 터치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가령 아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아래쪽에 존재하되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인 ‘ㅇㅁ’ 영역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영역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드래그 행위에는 직선이나 곡선 형태의 드래그 행위가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when the first touch is released without performing a drag a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that is,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first). When the touched position of the touched position is the same as the position where the touch is released) is determined as the region where the touch is released, and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For example, when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is per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ㅎ' area, which is an area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reference area, is the area where the touch is released, and the first touch is the fifth to seventh.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downward in the touch mode, it is located below the reference area. The region 'ㅇㅁ', which is not adjacent to the quasi-region, may be determined as the region where the touch is released. In this case, the drag action may include both a straight or curved drag action.

여기서,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경우(자음터치모드),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경우(모음터치모드),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경우(기타터치모드)에 따라 다르게 지정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1)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경우의 제1 자음터치모드는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제2 자음터치모드는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제3 자음터치모드는 제2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제4 자음터치모드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 모두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2)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경우의 제1 모음터치모드는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제2 모음터치모드는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제3 모음터치모드는 제1 손가락 및 제2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제4 모음터치모드는 제1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3)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경우의 제1 기타터치모드는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제2 기타터치모드는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제3 기타터치모드는 제2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제4 기타터치모드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 모두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include a case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consonant touch mode), a case of inputting Korean vowels (vowel touch mode), and a case of inputting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other touch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touches only the second finger, and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ouches only the third finger.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indicates touch by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and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indicates touch by both the first to third fingers, and 2) the first case for inputting Korean vowels. The vowel touch mode uses only a second finger to touch, the second vowel touch mode uses only a third finger, and the third vowel touch mode uses only a first finger and a second finger, and the fourth vowel touch. The mode is on the first and third fingers 3) In the case of inputting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the first guitar touch mode uses only a second finger, and the second guitar touch mode uses only a third finger. It is assumed that the third guitar touch mode represents touch by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and the fourth guitar touch mode indicates touch by both the first to third finger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관리부(230)는 상기 터치 감지부(220)가 손가락의 터치 해제가 이루어진 영역에 대해 감지한 결과를 참조로 하여 해당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anager 230 refers to the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with reference to the result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unit 220 for the touch release of the finger. Alternatively, other functions such as letters / symbols / numbers can be input.

구체적으로, 입력 관리부(230)는,Specifically, the input manager 230,

1) 손가락의 터치 해제가 이루어진 영역(이하, 특정 영역이라 함)이 기준 영역이거나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이면, (i)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한글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2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3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4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한글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2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3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4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2 기타터치모드 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3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4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1) If the area where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ou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area) is one of the reference area or one of the areas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i) the number of Korean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When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In the case of the touch by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if there is a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the touch by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f there is a consonant, the third consonant is input.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 if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exists. (i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Hangul vowel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vowels,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by the first vowel touch mode. In the case of a touch, a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in the second vowel touch mode, a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exists. If the touch of the touch is in the third vowel touch mode, if there is a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the third vowel is input. If the first touch is the touch in the fourth vowel touch mode, the touch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rea. If a fourth vowel exists, the fourth vowel is inputted, and (iii)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digits. Assuming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rst guitar touch mode,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the second guitar. In case of touch by touch mode, if there is a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touch by third touch mode, a specific area If a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is present,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ourth guitar touch mode, the fourth letter / symbol / If a number exists, make sure that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is entered,

2) 특정 영역이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이면, (iv)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한글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최초의 터치가 제5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6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7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v)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한글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최초의 터치가 제5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6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7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vi)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최초의 터치가 제5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6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7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2) If the specific region is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region, (iv)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Korean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3 or less numbers, which is the first to third consonan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in the fifth consonant touch mode, a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in the sixth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a specific region. If a second consonant exists,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te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venth consonant touch mode, if a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exists, the third consonant is inputted; Assuming that the number of Hangul vowels corresponding to the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3 or less numbers and is the first to third vowels,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fth vowel touch mode.When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region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ixth vowel touch mode,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vowel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pplied. 7 In case of touch by vowel touch mode, if there is a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the third vowel is inputted. Assuming that the first touch is the first to third letters / symbols / numbers, the first letter / symbol /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fth guitar touch mode.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ixth other touch mode, if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7th Other If the case of a touch by the value mode is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it may perform the function such that the input is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여기서, 제1 자음은 한글의 특정 기본자음일 수 있고, 제2 자음은 해당 특정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파생 기본자음일 수 있고, 제3 자음은 특정 기본자음이나 파생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거센소리 자음일 수 있으며, 제4 자음은 특정 기본자음 또는 파생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된소리 자음에 해당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될 도 5 등과 같은 경우에는 다른 변형예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Here, the first consonant may be a specific basic consonant of the Hangul, the second consonant may be a derived basic consonant which may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specific basic consonant, and the third consonant may be a specific basic consonant or the derived basic consonant The consonant may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consonant, and the fourth consonant may correspond to a consonant consonant which may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a specific basic consonant or a derivative basic consona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FIG. 5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other modifications may be assumed.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키패드 배열 및 입력예를 위주로 하여 문자의 입력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keypad arrangement and input examples shown in FIGS. 4 to 6.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키패드 배열에 따라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4 and 5,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according to each keypad arrange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키패드 배열이 "나랏글" 배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된 경우에는,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고 도 4의 키패드 배열의 중앙 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ㅁ’ 문자를 기준 영역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후, First, referring to FIG. 4, when the keypad array is set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narrow" arrangement, when the first touch is made, the corresponding region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region,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int of the keypad array of FIG. The 'ㅁ' character included in the can be mapped to the reference region. after,

1)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 없이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에는 도 4의 키패드 배열의 중앙 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문자를 참조로 하여 제1 자음인 ‘ㅁ’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에는 ‘ㅁ’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파생 기본자음인 ‘ㅂ’ 자음이 제2 자음(파생 기본자음)으로서 입력되도록 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2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는 ‘ㅁ’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거센소리 자음인 ‘ㅍ’ 자음이 제3 자음(거센소리 자음)으로서 입력되도록 하고, 제4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1 내지 및 제3 손가락 모두에 의한 터치)에는 ‘ㅁ’ 또는 ‘ㅂ’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된소리 자음인 ‘ㅃ’ 자음이 제4 자음(된소리 자음)으로서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1) When the touch is released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reference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in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for example, only by the second finger) Touch) so that the first consonant 'ㅁ' consonant is input with reference to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int of the keypad arrangement of FIG. 4, and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for example, only the third finger). Touch) to input a consonant 'ㅂ' consonant, which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ㅁ', as a second consonant (derived consonant), and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eg, Touch by two fingers and third finger) inputs a consonant consonant that is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ㅁ to be input as a third consonant (rough consonant), and a fourth consonant touch mode. Was To the right (e.g., touch by both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 'ㅃ' consonant, which is an old consonant that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ㅁ' or 'ㅂ', is input as the fourth consonant (the consonant sound) You can,

2)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왼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ㄹㅇ’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에는 ‘ㄹㅇ’ 영역의 제1 자음인 ‘ㄹ’ 자음이 입력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에는 ‘ㄹㅇ’ 영역의 제2 자음인 ‘ㅇ’ 자음이 입력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2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는 ‘ㄹㅇ’ 영역의 제3 자음인 ‘ㅎ’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이러한 경우 제1 자음인 ‘ㄹ’ 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자음이 존재하지 않고 제2 자음인 ‘ㅇ’ 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할 수 있는 자음이 존재하며 이를 제3 자음으로 함),2)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to the left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ㅇ ㅇ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case of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for example, the touch by the second finger only), the consonant 'ㄹ' consonant, which is the first consonant in the 'ㄹ' region, is input, and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for example, the third finger only). Touch), the second consonant 'ㅇ' consonant in the 'ㄹ' region is input, and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for example, the touch b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A consonant 'ㅎ' consonant can be input (in this case, a consonant that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first consonant 'ㄹ' consonant does not exist and is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second consonant 'ㅇ' consonant There are consonants Also in the third consonant),

3)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오른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ㅗㅜ’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에는 ‘ㅗㅜ’ 영역의 제1 모음인 ‘ㅗ’ 모음이 입력되고, 제2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에는 ‘ㅗㅜ’ 영역의 제2 모음인 ‘ㅜ’ 모음이 입력되고, 제3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1 손가락 및 제2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는 ‘ㅗㅜ’ 영역의 제3 모음(제1 모음인 ‘ㅗ’ 모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모음)인 ‘ㅛ’ 모음이 입력되고, 제4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1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는 ‘ㅗㅜ’ 영역의 제4 모음(제2 모음인 ‘ㅜ’ 모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모음)인 ‘ㅠ’ 모음이 입력될 수 있고,3)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ㅗ TT'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case of the first vowel touch mode (for example, the touch by the second finger only), the 'vowel' vowel, which is the first vowel in the 'ㅗ' area, is input, and in the second vowel touch mode (for example, the third finger only). Touch), the second vowel 'TT' vowel is input, and in the third vowel touch mode (for example, touch by the first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When the 'vowel' vowel, which is 3 vowels (vowel that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vowel' of the first vowel), is input and is in the fourth vowel touch mode (for example, by the first finger and the third finger), Touch) is the fourth in the 'ㅗ TT' area. You can enter the ‘ㅠ’ vowel, a vowel (vowel that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vowel vowel, the second vowel).

4)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위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위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ㄴ’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ㄴ’ 영역의 제1 자음인 ‘ㄴ’ 자음이 입력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ㄴ’ 영역의 제2 자음인 ‘ㄷ’ 자음이 입력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ㄴ’ 영역의 제3 자음인 ‘ㅌ’ 자음이 입력되고, 제4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ㄴ’ 영역의 제4 자음인 ‘ㄸ’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4)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upward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b'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upper area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b' consonant of the 'b' region is input, and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econd consonant 'c' consonant of the 'b' region is inputted.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ㅌ' consonant in the 'b' region may be input, and in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the fourth consonant 'ㄸ' consonant in the 'b' region may be input. There is,

5)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좌상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좌상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ㄱ’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ㄱ’ 영역의 제1 자음인 ‘ㄱ’ 자음이 입력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ㄱ’ 영역의 제3 자음(거센소리 자음)인 ‘ㅋ’ 자음이 입력되고, 제4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ㄱ’ 영역의 제4 자음(된소리 자음)인 ‘ㄲ’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ㄱ’ 영역의 제2 자음, 즉 ‘ㄱ’ 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파생 기본자음은 존재하지 않음),5)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in the upper left dire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b' area adjacent to the upper left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a' consonant, the first consonant of the 'a' region, is input, and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heavy sound consonant) of the 'a' region is 'ㅋ'. When the consonant is input, and in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the 'ㄲ' consonant, which is the fourth consonant (old sound consonant) of the 'B' area, may be input (the second consonant of the 'B' area, that is, the 'A' consonant) There is no derived basic consonant that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6)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우상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우상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ㅏㅓ’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ㅏㅓ’ 영역의 제1 모음인 ‘ㅏ’ 모음이 입력되고, 제2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ㅏㅓ’ 영역의 제2 모음인 ‘ㅓ’ 모음이 입력되고, 제3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ㅏㅓ’ 영역의 제3 모음인 ‘ㅑ’ 모음이 입력되고, 제4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ㅏㅓ’ 영역의 제4 모음인 ‘ㅕ’ 모음이 입력될 수 있고,6)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ㅏㅓ' area adjacent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case of the first vowel touch mode, the first vowel of the 'ㅏ' region is input, and in the second vowel touch mode, the second vowel of the '영역' region is input. In case of the third vowel touch mode, 'ㅑ' vowel, the third vowel of the 'ㅏㅓ' region, is input. In the fourth vowel touch mode, the 'ㅕ' vowel, the fourth vowel of the 'ㅏㅓ' region, is input. Can,

7)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아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아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ㅈ’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ㅈ’ 영역의 제1 자음인 ‘ㅈ’ 자음이 입력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ㅈ’ 영역의 제3 자음인 ‘ㅊ’ 자음이 입력되고, 제4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ㅈ’ 영역의 제4 자음인 ‘ㅉ’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ㅈ’ 영역의 제2 자음, 즉 ‘ㅈ’ 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파생 기본자음은 존재하지 않음),7)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downward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area of 'ㅈ' which is an area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ㅈ' consonant in the 'ㅈ' region is input, and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ㅊ' consonant in the 'ㅈ' region is input. In the case of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the 'ㅉ' consonant, which is the fourth consonant of the 'ㅈ' region, may be input (that is,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second consonant of the 'ㅈ' region, that is, the No derived basic consonants exist),

8)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좌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좌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ㅅ’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ㅅ’ 영역의 제1 자음인 ‘ㅅ’ 자음이 입력되고, 제4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ㅅ’ 영역의 제4 자음인 ‘ㅆ’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ㅅ’ 영역의 제2 자음, 즉 ‘ㅅ’ 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파생 기본자음 및 제3 자음, 즉 ‘ㅅ’ 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거센소리 자음은 존재하지 않음),8)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lower left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area 'ㅅ', which is adjacent to the lower left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ㅅ' consonant in the 'ㅅ' region is input, and in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the fourth consonant 'ㅆ' consonant in the 'ㅅ' region is input. Coarse sounds that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second consonant of the 's' region, i.e., the 's' consonant, No consonants exist),

9)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우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우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ㅣㅡ’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ㅣㅡ’ 영역의 제1 모음인 ‘ㅣ’ 모음이 입력되고, 제2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ㅣㅡ’ 영역의 제2 모음인 ‘ㅡ’ 모음이 입력되고, 제3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ㅣㅡ’ 영역의 제3 모음인 ‘ㅢ’ 모음이 입력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서는 ‘ㅢ’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3 모음터치모드가 제2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어 ‘ㅗㅜ’ 영역이나 ‘ㅏㅓ’ 영역의 제3 모음 입력을 위한 제3 모음터치모드(제1 손가락 및 제2 손가락에 의한 터치)와 상이한 점이 있으나, 이는 ‘ㅢ’ 모음이 ‘ㅡ’ 모음과 ‘ㅣ’ 모음이 결합됨으로써 구성되는 과정을 고려한 결과에 따른 것이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달리 ‘ㅢ’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3 모음터치모드로서 ‘ㅗㅜ’ 영역이나 ‘ㅏㅓ’ 영역의 제3 모음 입력을 위한 제3 모음터치모드와 동일한, 제1 손가락 및 제2 손가락에 의한 터치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9)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ㅣ ㅡ'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lower right of the reference area. When the touch is in the first vowel touch mode, the first vowel 'ㅣ' in the 'ㅣ ㅡ' area is input. When the touch is in the second vowel touch mode, the 'ㅡ' vowel is the second vowel in the 'ㅣ ㅡ' area. When the third vowel touch mode is input, the third vowel 'ㅢ' vowel may be input. However, in FIG. 4, the third vowel touch mode for inputting the 'vowel' is shown as a touch by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so that the third vowel input in the 'vot' region or the 'vo' region is input.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third vowel touch mode (touch by the first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this is based on a result of considering a process in which the 'ㅢ' vowel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ㅡ' vowel and the 'ㅣ' vowel. Unlike in FIG. 4, the first finger and the first vowel touch mode for inputting the 'vowel' vowel are the same as the third vowel touch mode for the third vowel touch mode for inputting the vowel region or the vowel region. Of course, a touch by two fingers may be used.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키패드 배열이 "천지인" 배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된 경우에는,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고 도 5의 키패드 배열의 중앙 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ㄴㄹ’ 문자를 기준 영역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후, Next, referring to FIG. 5, when the keypad arrangement is set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heavenly” arrangement, when the first touch is made, the corresponding region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region and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int of the keypad arrangement of FIG. 5. The 'b ㄹ' character included in the region may correspond to the reference region. after,

1)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 없이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ㄴㄹ’ 영역의 제1 자음인 ‘ㄴ’ 자음이 입력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ㄴㄹ’ 영역의 제2 자음인 ‘ㄹ’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1) When the touch is released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reference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in the 'B' area 'B' consonant is input, and whe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econd consonant 'ㄹ' consonant in the 'ㄴㄹ' region may be input.

2)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왼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ㄱㅋ’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ㄱㅋ’ 영역의 제1 자음인 ‘ㄱ’ 자음이 입력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ㄱㅋ’ 영역의 제2 자음인 ‘ㅋ’ 자음이 입력되고("나랏글" 배열의 경우와 달리 ‘ㅋ’ 자음이 ‘ㄱㅋ’ 영역에서 제2 자음인 것으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거센소리 자음임에도 불구하고 제2 자음에 해당함),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ㄱㅋ’ 영역의 제3 자음인 ‘ㄲ’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2)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to the left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AB'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AB' consonant in the 'ㄱㅋ' region is input, and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econd consonant 'ㅋ' consonant in the 'ㄱㅋ' region is input ( Unlike the case of "Naragle" array, 'ㅋ' consonant is defined as the second consonant in the 'ㄱㅋ' area, so it corresponds to the second consonant despite being a strong consonant), and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ㄱㅋ' A third consonant 'ㄲ' consonant of the region may be input,

3)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오른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ㄷㅌ’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ㄷㅌ’ 영역의 제1 자음인 ‘ㄷ’ 자음이 입력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ㄷㅌ’ 영역의 제2 자음인 ‘ㅌ’ 자음이 입력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ㄷㅌ’ 영역의 제3 자음인 ‘ㄸ’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3)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ㄷ' area, which is an area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c' consonant in the 'c' region is input, and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econd consonant '영역' consonant in the 'c' region is input,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a third consonant 'ㄸ' consonant of the 'ㄷ' region may be input.

4)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위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위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

Figure pat00001
’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Figure pat00002
’ 영역의 제1 모음인 ‘
Figure pat00003
’ 모음이 입력될 수 있고,4)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upward in the initial touch state, the adjacent area above the reference area is'
Figure pat00001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area. When the first touch was the first vowel touch mode,
Figure pat00002
'The first collection of zones'
Figure pat00003
'Vowel can be entered,

5)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좌상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좌상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ㅣ’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ㅣ’ 영역의 제1 모음인 ‘ㅣ’ 모음이 입력될 수 있고,5)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upper left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ㅣ' area adjacent to the upper left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case of the first vowel touch mode, the first vowel 'ㅣ' of the 'ㅣ' area may be input.

6)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우상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우상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ㅡ’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ㅡ’ 영역의 제1 모음인 ‘ㅡ’ 모음이 입력될 수 있고,6)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 area adjacent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case of the first vowel touch mode, the first vowel 'ㅡ' of the 'ㅡ' area may be input.

7) 최초의 터치가 제1 내지 제4 자음터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아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아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ㅅㅎ’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ㅅㅎ’ 영역의 제1 자음인 ‘ㅅ’ 자음이 입력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ㅅㅎ’ 영역의 제2 자음인 ‘ㅎ’ 자음이 입력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ㅅㅎ’ 영역의 제3 자음인 ‘ㅆ’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7) When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first touch is i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 touch modes, the touch is released and the region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reference area is 'ㅅㅎ'. When the first touch is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ㅅ' consonant of the 'ㅅㅎ' region is input and the second touch is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When the second consonant 'ㅎ' consonant of the 'ㅅㅎ' region is input, and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ㅆ' consonant of the 'ㅅㅎ' region may be input.

8)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좌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좌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ㅂㅍ’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ㅂㅍ’ 영역의 제1 자음인 ‘ㅂ’ 자음이 입력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ㅂㅍ’ 영역의 제2 자음인 ‘ㅍ’ 자음이 입력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ㅂㅍ’ 영역의 제3 자음인 ‘ㅃ’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8)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in the lower left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kpt'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lower left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ㅂ' consonant in the 'k' region is input, and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econd consonant in the 'k' region is input. In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a third consonant 'ㅃ' consonant of the 'ㅂ' area may be input.

9)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우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우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ㅈㅊ’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ㅈㅊ’ 영역의 제1 자음인 ‘ㅈ’ 자음이 입력되고, 제2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ㅈㅊ’ 영역의 제2 자음인 ‘ㅊ’ 자음이 입력되고, 제3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ㅈㅊ’ 영역의 제3 자음인 ‘ㅉ’ 자음이 입력될 수 있고,9)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ㅈ'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s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ㅈ' consonant in the 'ㅈ' area is input, and in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econd consonant 'ㅊ' consonant in the 'ㅈ' area is input. In case of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ㅉ' consonant in the 'ㅈ' area can be input.

10) 최초의 터치가 제5 자음터치모드(가령, 제1 손가락 및 제2 손가락에 의한 터치)나 제6 자음터치모드(가령, 제1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인 상태에서 아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아래쪽으로 인접하지 않은 영역인 ‘ㅇㅁ’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5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ㅇㅁ’ 영역의 제1 자음인 ‘ㅇ’ 자음이 입력되고, 제6 자음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ㅇㅁ’ 영역의 제2 자음인 ‘ㅁ’ 자음이 입력될 수 있다.10)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uch is the fifth consonant touch mode (for example, the touch by the first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or the sixth consonant touch mode (for example, the touch by the first finger and the third finger) When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the touch may be determined to be released in the 'ㅇㅁ' area, which is not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reference area, but the first touch is the fifth consonant touch mode. In the case of the sixth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ㅇ' consonant of the 'ㅇㅁ' region may be input, and the first consonant 'ㅁ' consonant of the 'ㅇㅁ' region may be input.

다음으로, 도 6을 참조로 하여 영문자 및 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키패드 배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된 경우에는,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고 도 6의 키패드 배열의 중앙 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jkl’ 문자를 기준 영역에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후, Next, a method of inputting an alphabetic character and a symbo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case where the keypad arrangement is set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6, when the first touch is made, the corresponding region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region, and the 'jkl' character includ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int of the keypad arrangement of FIG. 6. May correspond to the reference region. after,

1)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 없이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에 해당하는 ‘jkl’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에는 ‘jkl’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j’ 가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에는 ‘jkl’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k’ 가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가령, 제2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에는 ‘jkl’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l’ 이 입력될 수 있고,1) When the touch is released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jkl' area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but the first touch was the first other touch mode (eg , 'J', which i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jkl' area, is input to the second touch mode (for example, the third finger only). 'k' which i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of the 'jkl' area is input, and when the third guitar touch mode (for example, touch by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is entered, the third letter / 'L' which can be a symbol / number can be entered,

2)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왼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ghi’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ghi’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g’ 가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ghi’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h’ 가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ghi’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i’ 가 입력될 수 있고,2)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to the left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ghi'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case of the first other touch mode, 'g', which i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of the 'ghi' region, is input. In the case of the second other touch mode,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of the 'ghi' region is' h 'is input, and in the third other touch mode,' i 'which is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of the' ghi 'area may be input.

3)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오른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mno’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mno’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m’ 이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mno’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n’ 이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mno’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o’ 가 입력될 수 있고,3)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mno' area that is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n the first other touch mode, 'm', which i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mno' area, is entered. In the second other touch mode, 'm', which i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mno' area, is entered. n 'is input, and in case of the third other touch mode,' o 'which is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of the' mno 'area may be input,

4)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위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위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abc’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abc’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a’ 가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abc’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b’ 가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abc’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c’ 가 입력될 수 있고,4)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upward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abc'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upper area of the reference area. In case of the first other touch mode, 'a', which i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abc' area, is input. In case of the second other touch mode, 'a' i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abc' area. b 'is input, and in the third other touch mode,' c 'which is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of the' abc 'area may be input.

5)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좌상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좌상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qz@’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qz@’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q’ 가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qz@’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z’ 가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qz@’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될 수 있고,5)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in the upper left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qz @'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upper left of the reference area. If the touch is in the first other touch mode,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q' in the 'qz @' area is input, and in the second other touch mode,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in the 'qz @' area is entered. / Number 'z' is entered, and in the third other touch mode,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 in the 'qz @' area can be entered.

6)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우상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우상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def’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def’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d’ 가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def’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e’ 가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def’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f’ 가 입력될 수 있고,6)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in the initial touch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def' area, which is adjacent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def' area if it is in the first other touch mode, and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def' area is entered in the second other touch mode. 'e' is input, and in the third other touch mode, 'f' which is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of the 'def' area may be input.

7) 최초의 터치가 제1 내지 제3 기타터치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아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아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tuv’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tuv’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t’ 가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tuv’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u’ 가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tuv’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v’ 가 입력될 수 있고,7)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first touch has been dragged downward in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other touch modes, the touch is released from the 'tuv' area, which is an area below the reference area. When the first touch was the first guitar touch mode, 't', which i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tuv' area, is input, and in the second guitar touch mode, 'tuv' is entered. 'U' which is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of the 'area' is input, and 'v' which is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of the 'tuv' area may be input when the third other touch mode is entered,

8) 최초의 터치가 제1 내지 제4 기타터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좌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좌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prs’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prs’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p’ 가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prs’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r’ 이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prs’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s’ 가 입력될 수 있고,8)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first touch has been dragged in the lower left direction in a stat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other touch modes, 'prs' is a region adjacent to the lower left of the reference area.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area'. If the first touch was the first guitar touch mode,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p' of the 'prs' area is input and the second guitar touch is input. In the mode, 'r' i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prs' area, and in the third other touch mode, 's' is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prs' area. Can be,

9) 최초의 터치가 제1 내지 제4 기타터치모드에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우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우하쪽으로 인접한 영역인 ‘wxy’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wxy’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w’ 가 입력되고, 제2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wxy’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x’ 가 입력되고, 제3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wxy’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y’ 가 입력될 수 있고,9)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first touch is dragged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in a stat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other touch modes, the area adjacent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reference area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wxy'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the first other touch mode, 'w', which i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wxy' area, is input, and the second other In the touch mode, 'x',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wxy' area, is entered, and in the third other touch mode, 'y',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in the 'wxy' area is entered. Can be input,

10) 최초의 터치가 제5 기타터치모드(가령, 제1 손가락 및 제2 손가락에 의한 터치)나 제6 기타터치모드(가령, 제1 손가락 및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나 제7 기타터치모드(가령, 제1 내지 제3 손가락 모두에 의한 터치)인 상태에서 아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아래쪽으로 인접하지 않은 영역인 ‘.,?’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5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되고, 제6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되고, 제7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될 수 있고,10) The first touch may be the fifth guitar touch mode (eg, touch by the first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or the sixth touch mode (eg, touch by the first finger and the third finger) or the seventh other touch. In a mode (for example, a touch by all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when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action is per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 Area that is not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reference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the fifth guitar touch mode,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 In the '.,?' Area is input, and the sixth other touch mode is determined. In the case of,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in the '.,?' Area is entered, and in the seventh other touch mode,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n the '.,?' Area is entered. 'Can be entered,

11) 최초의 터치가 제5 내지 제7 기타터치모드 중 하나인 상태에서 좌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좌하쪽으로 인접하지 않은 영역인 ‘*/!’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5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되고, 제6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되고, 제7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될 수 있고,11) If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first touch is in one of the fifth to seventh other touch modes and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lower left direction, '* /!' Is an area not adjacent to the lower left of the reference area.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region. When the first touch is the fifth guitar touch mode, the first character / symbol / number '*' in the '* /!' Region is input, and the sixth guitar In touch mode,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in the '* /!' Area is entered, and in the seventh other touch mode,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n the '* /!' Area is entered. '!' Can be entered,

12) 최초의 터치가 제5 내지 제7 기타터치모드 중 하나인 상태에서 우하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의 우하쪽으로 인접하지 않은 영역인 ‘#:;’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5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1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되고, 제6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2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되고, 제7 기타터치모드였던 경우에는 ‘#:;’ 영역의 제3 문자/기호/숫자인 ‘;’ 가 입력될 수 있다.12) If the first touch is one of the fifth to seventh other touch modes and the release of the touch is performed after the dragging is performed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the area that is not adjacent to the lower right of the reference area is '#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region. When the first touch is the fifth guitar touch mode, the first character / symbol / number '#' in the '# :;' region is input, and the sixth guitar is input. In case of touch mode, ':' which is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in the '# :;' area is input. In case of the seventh other touch mode,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n the '# :;' area is input. ';' May be input.

한편, 상기에서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이 조합되어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 중에서 최초의 터치가 어떤 터치모드에 해당하는지를 소정의 손가락 인식 기술을 이용해 판별하고,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드래그 행위를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이러한 특정 영역이 기준 영역,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또는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한글 자음, 한글 모음,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는데, 상기 소정의 손가락 인식 기술 중, 특히, 가상적으로 화면을 분할하여 터치된 손가락을 인식함으로써 터치모드를 판별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해 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의 화면에 손가락이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삼고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를 판단하여 i)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이면 화면을 가상적으로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으로 분할하고 터치된 손가락이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 중 어느 곳을 터치했는지를 판단하여 후속 동작을 대기하고, ii)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이상이면 상기 화면을 가상적으로 분할하지 않은 채로 후속 동작을 대기한 후,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a predetermined finger recognition technique is used to determine which touch mode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among the touch modes in which at least two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or the first to third fingers are combined.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was made as the reference area, and then releasing the touch from the specific area without performing the drag action or the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the specific area is applied to the reference area and the reference area. It has been described assuming a case in which a Korean consonant, a Korean vowel, and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are input by determining which area among the adjacent area or the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is input. Among the recognition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 screen is touched by virtually splitting the scree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assumed for the technique of determining the touch mode by the equation. For example, if a finger is touch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the touched position is used as a reference area, and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determined. I) If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one, the screen is virtually left and right. After dividing, it determines whether the touched finger has touched the left screen or the right screen and waits for the subsequent operation. Ii) If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two or more, the subsequent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virtually dividing the screen. After waiting

1)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후속 동작으로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i)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이고 좌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여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1개이면 해당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으로서 2개이면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이고 우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여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1개이면 해당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으로서 2개이면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인 상태에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기본자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자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음을 제외한 자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1) If the touch is released as a subsequent opera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reference area. I) If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1 and the touch is released in the state of touching the left screen, the reference is determined. Determines how many consonants are in the area, and if there is one consonant in the reference area,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inputted, and if the consonants in the reference area are two as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the first consonant is And (ii) when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one and the touch is released while the right screen is touched, it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The consonant is input, and if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egion are two a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ii) i) When the touch is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two or three, when there is a basic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egion, at least one consonant except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exists as a corresponding consonant If so, make sure that the consonant is entered,

2) i)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좌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후속 동작으로서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1개이면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 또는 제1 모음 및 제2 모음으로서 2개이면, 해당 제1 자음이나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우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후속 동작으로서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1개이면 해당 자음이나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 또는 제1 모음 및 제2 모음으로서 2개이면, 해당 제2 자음이나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일 때 후속 동작으로서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키(key)에 기본자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자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음을 제외한 자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키에 기본모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모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모음을 제외한 모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경우를 상정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2) i) When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one, dragging to a specific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a subsequent operation in the state of touching on the left screen is performed. When touch is released,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re displayed. Judge how many, if there is one consonant or vowel in a particular region, the consonant or vowel is input, and the consonant or vowel in that specific region i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or the first vowel and If the second vowel is 2, the first consonant or the first vowel is inputted, and (ii) when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1, the touched screen is moved to a specific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a subsequent operation. When the drag action is performed and the touch is released, the number of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determined. If one consonant or vowel is inputted, the consonant or vowel is inputted. If th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two a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or the first and second vowels, the second When consonants or second vowels are input, and (iii) when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two or three, dragging is performed to a specific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a subsequent operation, and when the touch is released, the corresponding area is applied. If a basic consonant exists in a key,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input if there is at least one consonant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and the basic vowel is applied to a key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f there is at least one vowel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vowels as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vowel, the vowel is inputted. It will also try to assume.

위와 같은 변형예에 있어서는,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라고 하더라도 후속 동작으로서 기준 영역과 인접하지 않은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여, i)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1개이면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해당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각각 제1 자음 및 제2 자음 또는 제1 모음 및 제2 모음으로서 2개이면, 화면을 가상적으로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으로 분할해서 터치된 손가락 중 하나가 최초에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 중 어느 곳을 터치했는지를 참조로 하여, 터치된 손가락 중 하나가 최초로 좌측화면에 터치되었다면 해당 제1 자음 또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터치된 손가락 중 하나가 최초로 우측화면에 터치되었다면 해당 제2 자음 또는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modified example, even if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two, if a drag action is performed to a specific area which is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a subsequent operation and the touch is released,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re generated. Determining how many, i) if there is only one consonant or vowel in a particular region, the consonant or vowel is input, and ii)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Or two as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the screen is virtually divided into a left screen and a right screen, and touched with reference to which of the left and right screens has one of the touched fingers first touched. If one of the fingers is touched on the left screen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consonant or the first vowel is inputted, and the touched finger If one is first right touch on the screen it will be the second consonant or the second bar can be added to the process to be entered.

또한, 이상에서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5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도 상정해 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given of the case in which the characters are input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haracters are input using the first to the fifth fingers. Can b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부(220)는,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이러한 특정 영역이 기준 영역,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또는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최초의 터치가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동시 터치, 제2 내지 제5 손가락만에 의한 동시 터치 중 하나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지 않고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준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최초의 터치가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동시 터치, 제2 내지 제5 손가락만에 의한 동시 터치 중 하나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며, 최초의 터치가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 중 하나에 해당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친 후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ouch sensing unit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as the reference region, the touch sensing unit 220 in the first touch state with or without the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When the release is perfo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 reference area,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or an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wherei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second and the third. When the touch is released without performing a drag action in a state corresponding to one of only a finger touch, a simultaneous touch using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and a simultaneous touch using onl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the reference region Determines that the touch is released, and the first touch is touched only by the second finger, but not b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only. , Touch is per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when the touch is released after dragging in a state corresponding to one of simultaneous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and simultaneous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only, the first and third fingers only, the first and fourth fingers only, and the first to fifth touches. When the touch is released after the dra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simultaneous touches by a fing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leased in an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관리부(230)는 위와 같은 터치 감지부(220)의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진 특정 영역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입력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와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input management unit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onant, vowel or oth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pecific area where the touch of the touch sensing unit 220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may be input, and each example of input is similar to the case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본 발명의 단말 장치(200)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communicat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to allow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표시부(210), 터치 감지부(220), 입력 관리부(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의/로의 또는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표시부(210), 터치 감지부(220), 입력 관리부(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Next, the controller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display unit 210, the touch detector 220, the input manager 230, and the communicator 240. . That is, the controller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of data from / to or from each component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ereby displaying the display unit 210, the touch sensing unit 220, and the input managing unit 23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0 controls to perform a unique function.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입력 관리부(230)에 의해 입력된 문자에 관한 정보 및 키패드의 배열 정보를 기초로 어떠한 글자가 조합되는지를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글자가 표시부(210)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최종적으로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하나의 글자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터치 및/또는 드래그 입력의 일련의 순서에 해당되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의 발음을 조합하거나 기타 문자/기호/숫자 등을 조합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ich characters are comb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s input by the input management unit 230 and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keypad, and finally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You can perform the function to make it displayed. At this time, one letter fin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combines the pronunciation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of at least one touch and / or drag input of the user, or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It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국부적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ocal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se descriptions.

200: 단말 장치
210: 표시부
220: 터치 감지부
230: 입력 관리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200: terminal device
210: display unit
220: touch detection unit
230: input management unit
240: communication unit
250: control unit

Claims (23)

제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의 조합으로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즉, 제1 내지 제7 터치모드) 중 4 가지 터치모드(즉,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를 선택하고 최초의 터치를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 중 하나로 구분하고 -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경우,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경우 및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경우가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음 -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되,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이거나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a) four touch modes among all the touch modes (that is, the first to seventh touch mode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mselve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fingers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at is,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are selected and the first touch is divided into one of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In the case of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the Hangul vowel input is input for the Hangul consonant input. And a case for inputting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may be specified differently-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as a reference area, and
(b) if a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area with or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and if the specific area is the reference area or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llow vowels or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to be input, but (i)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than four digits and is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second consonant touch mode, the specific area.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sonant is present, and the specific touch is performe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is input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an area exists, and if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according to a fourth consonant touch mode. 4 consonants are input, and (ii) the first touch when assuming that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digits and is the first to fourth vowels. Is a touch in the first vowel touch mode to input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in the second vowel touch mode, the second vowel in the specific area If a vowel exists,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an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third vowel touch mode,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third vowel is inputted, and if the first vowel is the touch by the fourth vowel touch mode, if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fourth vowel is input; and (iii) When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than four numbers, and the first to fourth letters / symbols / numbers are the first touche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in the case of the touch by the first guitar touch mode, and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if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present, and the third do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third guitar touch mode.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if / symbol / number is present, and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ourth guitar touch mode. Allowing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to be entered if present
How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음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2 자음터치모드는 상기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3 자음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 및 상기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4 자음터치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모두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is a touch by only the third finger, and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is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By touch, wherein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indicates touch by all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2 모음터치모드는 상기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3 모음터치모드는 상기 제1 손가락 및 상기 제2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4 모음터치모드는 상기 제1 손가락 및 상기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vowel touch mode is a touch by the second finger only, the second vowel touch mode is a touch by the third finger only, and the third vowel touch mode is the first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Touch by the fourth vowel touch mode indicates touch by the first finger and the third fi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타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2 기타터치모드는 상기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3 기타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 및 상기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4 기타터치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모두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guitar touch mode is touched by the second finger only, the second guitar touch mode is touched by the third finger only, and the third guitar touch mode is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Touch by the fourth guitar touch mode indicates touch by all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자음은 한글의 특정 기본자음이고 상기 제2 자음은 상기 특정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파생 기본자음이고 상기 제3 자음은 상기 특정 기본자음 또는 상기 파생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거센소리 자음이고 상기 제4 자음은 상기 특정 기본자음 또는 상기 파생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된소리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b),
The first consonant is a specific basic consonant of Hangul and the second consonant is a derived basic consonant which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specific basic consonant, and the third consonant has a stroke on the specific basic consonant or the derived basic consonant. Wherein the fourth consonant is a consonant consonant tha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and the fourth consonant is an old consonant that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specific basic consonant or the derived basic consonant.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되,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의 조합으로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 중 상기에서 선택된 4 가지 터치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모드를 제5 내지 제7 터치모드 - 상기 제5 내지 제7 터치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경우,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경우 및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경우가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음 - 라고 할 때,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5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6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7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5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6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7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5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6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7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 If the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area with or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and the specific area is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 consonant, a vowel or Letters / symbols / numbers are input, except for the four touch modes selected above among all the touch mode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mselve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fingers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 fifth to seventh touch modes may be designated differently for the Korean consonant input, the Korean vowel input, and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May be-(i)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3 or less numbers, Assuming a third consonan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in the fifth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in the sixth consonant touch mode. In the case of a touch,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seventh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present, the third consonant is input, and (ii) when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three or less digits, and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to third vowels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fth vowel touch mode, and the first touch is input to the sixth vowel touch mode. In the case of one touch,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vowel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ased on the seventh vowel touch mode,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f the vowel exists, the third vowel is inputted, and (iii)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three or less digits, and the first to the third vowels. Assuming 3 letters / symbols / number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ifth guitar touch mode, the first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re inputted, and the first touch is In the case of the touch by the sixth other touch mode, if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and the first touch is the seventh other. In the case of a touch by a touch mode, if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allowing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to be inputted.
How to include mo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터치 및 상기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화면 상에는,
상기 기준 영역,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및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문자/기호/숫자를 도시하는 키스킨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On the screen where the first touch and the touch are released,
And a kiskin showing consonants, vowels, o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the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nd the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행위는,
직선 형태의 드래그 행위 또는 곡선 형태의 드래그 행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g action,
And at least one of a linear drag action or a curved drag action.
제1 내지 제5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최초의 터치를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 중 하나로 구분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되,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이거나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to fifth fingers,
(a) The first touch is divided into one of only a second finger, a touch using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a touch using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and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second to fifth fingers.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as a reference region; and
(b) if a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area with or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and if the specific area is the reference area or an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llow vowels or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to be input, but (i)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than four digits and is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ted, and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In this case,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third consonant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the fourth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f there is a consonant,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ted, and (ii)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digits, and the first to fourth vowel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If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exists, the third vowel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displayed. The fourth vowel is input if present, and (iii)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digits, and the first to fourth characters. Assuming that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ted, and the first touch is the first touch. In the case of the touch b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only, if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the second touch. To the fourth finger only, if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and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by the second to third. In the case of simultaneous touch by five fingers, if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allowing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to be inputted
How to inclu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터치는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를 더 포함하고,
(c)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되,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touch further includes a touch by only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third finger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fourth fingers, and a simultaneous touch by the first to fifth fingers. Including,
(c) If the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area with or without a drag action in the first touch state, and the specific area is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 consonant, a vowel or A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but (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third fingers.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fourth fingers,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exists, the third consonant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first to fifth fingers,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f present,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 and (i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digits, and it is the first to fourth vowel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third fingers.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fourth fingers, If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area exists, the third vowel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first to fifth fingers,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displayed. The fourth vowel is input if present, and (iii)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digits, and the first to fourth characters. Assuming that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ted, and the first touch is assumed.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third fingers, if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In the case of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fourth fingers, if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by the first touch. In the case of simultaneous touch by 1 to 5 fingers, if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allowing the fourth letter / symbol / number to be inputted
How to include more.
제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단말 장치의 화면에 손가락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삼고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이면 상기 화면을 가상적으로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터치된 손가락이 상기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 중 어느 곳을 터치했는지를 판단하여 후속 동작을 대기하고,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이상이면 상기 화면을 가상적으로 분할하지 않은 채로 후속 동작을 대기하는 단계,
(c) (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상기 좌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상기 우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일 때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기준 영역에 해당되는 기본자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자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음을 제외한 자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상기 좌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 또는 상기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 또는 제1 모음 및 제2 모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제1 자음 또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일 때 상기 우측화면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 또는 상기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제1 자음 및 제2 자음 또는 제1 모음 및 제2 모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제2 자음 또는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일 때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키(key)에 기본자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자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음을 제외한 자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키에 기본모음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모음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모음을 제외한 모음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면 해당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a) when a finger touches a screen of a terminal device,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 by using the touched position as a reference area;
(b) If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one, the screen is virtually divided into a left screen and a right screen,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uched finger has touched one of the left and right screens to wait for a subsequent operation. If the number of touched fingers is two or more, waiting for a subsequent operation without virtually dividing the screen;
(c) (i) When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s is one, when the touch is released as the subsequent operation while being touched on the left screen, it is determined how many consonants correspond to the reference area, and the reference area If one consonant corresponds to the consonant, and if two consonants correspond to the reference region a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the first consonant is input, and (ii) the touched When the number of fingers is one, when the touch is released as the subsequent operation while touching the right screen, it is determined how many consonants correspond to the reference area. If a consonant is input, and if two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egion are two a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and (iii) the touched finger. If the touch is released as the subsequent operation when the number is two or three, if there is a basic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egion, if there is at least one consonant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Allowing consonants to be input, and
(d) (i) When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s is one, the dragg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the specific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s the subsequent operation while touching the left screen and the touch is released to the specific area. Determining how many consonants or vowels are applicable, if on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nput, the consonant or vowel is inputted, and th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the first consonant and the vowel. If two consonants or two first vowels and two vowels are present, the first consonant or the first vowel is inputted, and (ii) when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s is one, in the state of being touched on the right screen. As a subsequent operation, when a drag action is performed to a specific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nd a touch is released,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Determines the number of vowels, and if th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one, the consonant or the vowel is input, and th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the first consonant or the second consonant or I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are two, the second consonant or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and (iii) when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s is two or three, the subsequent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reference region. When a drag action is performed to the adjacent specific region and the touch is released, when a basic consonant exists in a key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at least one consonant except the first and second consonants exists as a corresponding consonant. If the consonant is input, the first and second vowels correspond to a vowel corresponding to a key ba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f at least one vowel exists except for the vowel
How to include.
제11항에 있어서,
(e) (i) 상기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2개라고 하더라도 상기 후속 동작으로서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하지 않은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행위가 이루어지고 터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몇 개인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1개이면 상기 자음 또는 상기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모음이 각각 제1 자음 및 제2 자음 또는 제1 모음 및 제2 모음으로서 2개이면, 상기 화면을 가상적으로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터치된 손가락 중 하나가 최초에 상기 좌측화면 및 우측화면 중 어느 곳을 터치했는지를 참조로 하여, 상기 터치된 손가락 중 하나가 최초로 상기 좌측화면에 터치되었다면 상기 제1 자음 또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터치된 손가락 중 하나가 최초로 상기 우측화면에 터치되었다면 상기 제2 자음 또는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e) (i) Even if the number of the touched fingers is two, when the drag action is performed to the specific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nd the touch is released as the subsequent operation,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or Determining how many vowels there are, if there is one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the consonant or the vowel is input, and the first consonant and the second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are respectively If there are two as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the screen is virtually divided into a left screen and a right screen, with reference to which of the left and right screens was touched by one of the touched fingers. The first consonant or the first vowel may be input when one of the touched fingers is first touched on the left screen. Allowing the second consonant or the second vowel to be input if one of the touched fingers is first touched on the right screen
How to include more.
제1 내지 제3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의 조합으로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즉, 제1 내지 제7 터치모드) 중 4 가지 터치모드(즉,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가 선택되면 -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경우,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경우 및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경우가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음 - 최초의 터치를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 중 하나로 구분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 또는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터치 감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 또는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2 기타터치모드 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3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4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 관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In the terminal device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to third fingers,
Four touch modes (ie, first to seventh touch mode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first to third fingers themselve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fingers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1 to 4 touch modes)-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may be specified differently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for inputting Korean vowels, and for inputting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Yes-The first touch is divided into one of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and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is determined as a reference area, and then the touch is made in a specific area with or without dragging in the first touch state. A touch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one of the reference area or the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when the releasing is performed;
If the specific region is one of the reference region or the region adjacent to the reference region, the consonant, vowel, or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may be input. Assuming that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an area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second consonant touch mode,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te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third consonant touch mode, the third consonant may be input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 if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and (ii)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Assuming that the number corresponds to one or more than four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vowel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rst vowel touch mode, When the first vowel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cond vowel touch mode,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vowel is input. In the case of the touch by the third vowel touch mode, if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third vowel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is the fourth vowel touch hat. In case of touch by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f the fourth vowel is input, and (iii)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one or more. Assuming that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following numbers and is the first to fourth letters / symbols / number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first guitar touch mode, the first lett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 Sign / number is input, an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cond other touch mode, if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nput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f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third guitar touch mode; Group first touch the fourth other when the touch by the touch mode if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area is present so that the input management unit for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input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음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2 자음터치모드는 상기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3 자음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 및 상기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4 자음터치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모두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consonant touch mode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second consonant touch mode is a touch by only the third finger, and the third consonant touch mode is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Touch by the fourth consonant touch mode,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by all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2 모음터치모드는 상기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3 모음터치모드는 상기 제1 손가락 및 상기 제2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4 모음터치모드는 상기 제1 손가락 및 상기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vowel touch mode is a touch by the second finger only, the second vowel touch mode is a touch by the third finger only, and the third vowel touch mode is the first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Touch by the fourth vowel touch mode indicates the touch by the first finger and the third fing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타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2 기타터치모드는 상기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3 기타터치모드는 상기 제2 손가락 및 상기 제3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상기 제4 기타터치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모두에 의한 터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guitar touch mode is touched by the second finger only, the second guitar touch mode is touched by the third finger only, and the third guitar touch mode is the second finger and the third finger. Touch by the fourth guitar touch mode, the first to the third finger by the thir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음은 한글의 특정 기본자음이고 상기 제2 자음은 상기 특정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파생 기본자음이고 상기 제3 자음은 상기 특정 기본자음 또는 상기 파생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거센소리 자음이고 상기 제4 자음은 상기 특정 기본자음 또는 상기 파생 기본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획득될 수 있는 된소리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consonant is a specific basic consonant of Hangul and the second consonant is a derived basic consonant which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specific basic consonant, and the third consonant has a stroke on the specific basic consonant or the derived basic consonant. And the fourth consonant is a consonant consonant which can be obtained by adding a stroke to the specific basic consonant or the derived basic consona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자체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 중 적어도 두 손가락의 조합으로 도출될 수 있는 모든 터치모드 중 상기에서 선택된 4 가지 터치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모드를 제5 내지 제7 터치모드 - 상기 제5 내지 제7 터치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경우,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경우 및 기타 문자/기호/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경우가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음 - 라고 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모드가 아닐 때 상기 최초의 터치를 상기 제5 내지 제7 터치모드 중 하나로 추가적으로 더 구분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쳐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관리부는,
상기 터치 감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5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6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7 자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5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6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7 모음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3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3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5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6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7 기타터치모드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touch sensing unit,
The fifth to seventh touches touch modes other than the four touch modes selected above among all the touch modes that may be derived from the first to third finger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fingers of the first to third fingers. Mode-the fifth to seventh touch modes may be specified differently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inputting Korean vowels, and inputting other characters / symbols / numbers. When the touch is not the first to fourth touch modes, the first touch is further divided into one of the fifth to seventh touch modes, and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as a reference area,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When the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area by dragging in the touch state, the specific area corresponds to an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Judging whether
The input management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area is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the consonant, vowel, or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may be input, and (i)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Assuming that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than three and the first to third consonants,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fth consonant touch mode. The first consonant to be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ixth consonant touch mode,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and the first consonant When the touch is a touch by the seventh consonant touch mode,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third consonant is inputted (ii) Assuming that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the stat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3 or less digits and is the first to third vowels,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fifth vowel touch mode.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sixth vowel touch mode, the second vowel is inputted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ased on a seventh vowel touch mode,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if the third vowel exists, and (iii) other characters /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Assuming that the number of symbols / numbers corresponds to any one or more than one and three or less numbers, and that the first to third letters / symbols / numbers are used,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by the fifth guitar touch mode. In the case of a touch,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a sixth other touch mode, the second letter / symbol / If the number exists,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venth other touch mode, the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And a third letter / symbol / numb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터치 및 상기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화면 상에는 상기 기준 영역,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및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문자/기호/숫자를 도시하는 키스킨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On the screen on which the first touch and the touch are released, a kiskin showing consonants, vowels o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area, the area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and the area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is displayed.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행위는,
직선 형태의 드래그 행위 또는 곡선 형태의 드래그 행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ag ac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linear drag action or a curved drag action.
제1 내지 제5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최초의 터치를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동시 터치, 제2 내지 제5 손가락만에 의한 동시 터치 중 하나로 구분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 또는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터치 감지부, 및
상기 터지 감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 또는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한 영역 중 하나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기타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및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2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 관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In the terminal device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to fifth fingers,
The first touch is divided into one of only a second finger, a second and a third finger only, a second and a fourth finger only, and a second and a fifth finger only. After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region, when the touch is released in a specific region with or without dragging in the first touch state, the specific region is the reference region or the region adjacent to the reference region. A touch sen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one of
If the specific region is one of the reference region or the region adjacent to the reference region, the consonant, vowel, or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may be input. Assuming that the numbe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an area corresponds to any one of one or more and four or less numbers, and that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are the first,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consonant is The third touch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A sound is inputted,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if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ted (ii) the When the number of vowel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gion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digits and is the first to fourth vowels,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finger.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vowel Input the third vowel if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only. If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if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fourth vowel is inputted, and (iii) to the specific region. Assuming that the number of other corresponding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the first to fourth letters / symbols / numbers are the first touches, the second finger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in the case of a touch by only the touch.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the touch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rea. If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present,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second to fourth fingers,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 if three letters / symbols / numbers are present, and the fourth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second to fifth fingers. An input management unit for inputting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if / symbol / number exists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최초의 터치가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 중 하나인 경우도 더 구분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기준 영역으로 결정한 후, 상기 최초의 터치 상태에서 드래그 행위를 거쳐 특정 영역에서 터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관리부는,
상기 터지 감지부의 판단 결과 상기 특정 영역이 상기 기준 영역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이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 모음 또는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자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자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자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자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모음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모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모음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모음이 입력되도록 하고, (iii)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기타 문자/기호/숫자의 개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를 제1 내지 제4 문자/기호/숫자라고 가정할 때,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및 제2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3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2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4 손가락만에 의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3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최초의 터치가 상기 제1 내지 제5 손가락에 의한 동시 터치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존재한다면 상기 제4 문자/기호/숫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1,
The touch sensing unit,
Additionally, the first touch may be performed only by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only, by the first to third fingers only, by the first to fourth fingers only, and simultaneously by the first to fifth fingers. If the first touch is further divid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area, and the touch is released from the specific area by dragging in the first touch state, the specific area is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rea
The input management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area is not adjacent to the reference area, the consonant, vowel o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may be input, and (i)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The specific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assuming that the number corresponds to any one of 1 to 4 or less and is the first to fourth consonants.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 an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third fingers, if the secon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second consonant is inputted.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fourth fingers, the third consonant may be input if the third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first to fifth fingers, if the fourth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fourth consonant is input, and (ii) corresponds to the specific region. Assuming that the number of vowels is one or more than four and the first to fourth vowels,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The first vowe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is input,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third fingers, if the secon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the second vowel appears. And inputting the third vowel if the third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exists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fourth fingers. If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first to fifth fingers, if the fourth vowe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exists, the fourth vowel is inputted, and (iii) the corresponding region. Assuming that the number of other letters / symbols / numbers corresponds to any one of 1 or more and 4 or less numbers, and the first to fourth letters / symbols / numbers are used, the first touch is the first and the first. In the case of a touch by only two fingers, the first letter / symbol /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input.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third fingers, it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rea.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input if the second letter / symbol / number is present, and the first touch corresponds to the specific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a touch by only the first to fourth fingers. The third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 if three letters / symbols / numbers are present, and the fourth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when the first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by the first to fifth fingers. And the fourth character / symbol / number is inputted if the / symbol / number is present.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KR1020100062585A 2010-06-30 2010-06-30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KR201200019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85A KR20120001946A (en) 2010-06-30 2010-06-30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85A KR20120001946A (en) 2010-06-30 2010-06-30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46A true KR20120001946A (en) 2012-01-05

Family

ID=4560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585A KR20120001946A (en) 2010-06-30 2010-06-30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94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79A1 (en)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heating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79A1 (en)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heating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274B2 (en) Handwriting entry on an electronic device
US9678943B2 (en) Partial gesture text entry
KR101085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US20110320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gesture recognition overlay
KR101718881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ultistage menu selection
KR20110098729A (en) Soft keyboard control
JP2009064437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KR20130113622A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20140073245A (en) Method for inputting back surf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080097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101085702B1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ouch screen
KR20170004220A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000273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JP2014518486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00024471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initial phoneme, a medial vowel or a final phoneme of hangul at a time using a touch screen
KR20110082956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KR1005062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20001946A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JP5345609B2 (en) Touch panel terminal, word deletion method and program
KR20050043541A (en) Fingertip touchscreen with five perceiving area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2260468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Vowels Using Software Keypad
KR101231206B1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touch and drag
KR102530995B1 (en) Character input device implemented in software
KR1010756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KR101165376B1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vowel of the korean alphabet using input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