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023A - 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 - Google Patents

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023A
KR20110136023A KR1020100055779A KR20100055779A KR20110136023A KR 20110136023 A KR20110136023 A KR 20110136023A KR 1020100055779 A KR1020100055779 A KR 1020100055779A KR 20100055779 A KR20100055779 A KR 20100055779A KR 20110136023 A KR20110136023 A KR 20110136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nsor
sensor node
power consump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33081B1 (en
Inventor
오훈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081B1/en
Publication of KR20110136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0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a sensor network is provided to control the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by the preset power consumption standard. CONSTITUTION: A sensor node unit(110) collects data by sensing a basic situa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The sensor node unit transceives data which is collected through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120). A central management part(130) is connected to the sensor node unit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s network. The central management part receives data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unit and collects the received data. The central management part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by the preset poser consump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stat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외의 온도, 습도, 조도,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전력소비량, 전기기기별 운전상태, 특정공간별 사용 스케쥴 및 인원수 등의 기초 상황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따라 각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infrared signal, ultrasonic signal, power consumption, operation status for each electric device, usage schedule for each specific space and number of peo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based on a preset power consumption criterion based on basic situation information.

최근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건물의 수가 늘어가고 있으며, 각 건물은 냉난방 및 시설의 운영에 많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과도한 전력소비로 인하여 발전설비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대도시나 산업 현장에 대형 정전 사고 발생 위험이 초래하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buildings is increasing as the industry develops, and each building uses a lot of electric energy for air conditioning and operation of facilities. Moreover, excessive power consumption may cause breakdowns i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resulting in the risk of large power outages in large cities or industrial sites.

실 예로, 한국의 경우, 2009년과 같이 강추위가 계속되는 경우 전력예비율이 9%까지 떨어지면서 정부가 정해놓은 6%를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며, 전력예비율이 6%까지 떨어질 경우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각종 산업생산이 위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Korea, when the cold continues, as in 2009, the electricity reserve ratio drops to 9%, threatening 6% set by the government, and when the electricity reserve ratio falls to 6%, a massive power outage may occur. And various industrial production may be contracted.

또한, 천연자원을 이용한 화력(석탄, 석유, 천연가스)발전으로 인한 환경오염 발생 및 지구 온난화 가속되고 있는데, 현재 한국도 세계 9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7%가 전력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lobal warming are accelerat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rmal power (coal, petroleum, and natural gas) using natural resources. Currently, Korea is the 9th largest greenhouse gas emitter in the world, accounting for 27%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power sector. It is happening.

석유 10L로 발전을 할 경우 실제 4L의 기름만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고 나머지 6L는 낭비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CO2 배출권 및 높은 전기요금(누진세)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되며, 한국은 온실가스 규제에 따라 2013년 교토의정서 2차 감축 대상국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서 CO2배출권을 수입해야 할 경우에 수출전략에 영향이 클 것이다.When generating 10 liters of oil, only 4 liters of oil are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remaining 6 liters are wasted, which leads to low energy efficiency, and economic burden due to CO2 emission rights and high electricity rates (progression tax). As the gas regulation is expected to be the target of the second reduction of the Kyoto Protocol in 2013, the export strategy will be greatly affected when CO2 emission rights must be imported.

현재 온실가스와 관련된 배출권 선물거래와 관련되어 시카고 기후거래소는 CO2 배출권 선물거래가 상장되어, 월 평균 26,900계약(일평균 1,400계약)이 거래되고 있으며 월간 거래대금은 1백 10만 달러에 이르고 있다.Currently, the Chicago Climate Exchange is listed on the CO2 Emissions Futures deal with greenhouse gas-related emissions trading, with an average of 26,900 contracts per month (1,400 daily averages) and monthly trading value of $ 1.1 million.

한편, 전력소비가 많은 전기기기들이 비효율적으로 혹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사용하지 않더라도 대기전력이 계속적으로 낭비되고 있다. 한국에너지 시민연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컴퓨터를 켜놓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낭비되는 비용이 컴퓨터 당 연간 2만 원 이상으로 한국의 경우 1천 5백만 가구로 가정할 때 연간 낭비되는 전력의 환산 금액은 가정마다 한 대의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할 때 약 3,000억 원 정도에 이르고 있다.On the other hand, many electric devices that consume a lot of power are inefficiently or unnecessaryly operated, and standby power is continuously wasted even when not used.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Korea Energy Citizen's Solidarity,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per year is estimated to be more than 20,000 won per computer without the computer on and 15 million households in Korea. Assuming there is one computer in each household, it is about 300 billion won.

그리고, 대학에서 강의 시간 외에 컴퓨터, 에어컨, 히터, 빔 프로젝트 등이 작동하는 시간, 과도하게 낮게 혹은 높게 온도 설정으로 인한 가동시간 증가 혹은 소수의 인원이 큰 룸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o the lecture time at the university, computers, air conditioners, heaters, beam projects, etc. are operating time, excessively low or high temperature setting increases the operating time or use a small number of rooms.

사무실의 경우에 점심시간이나 퇴근 시간 후에 에어컨 혹은 히터가 작동되는 경우 혹은 전등이 켜져 있는 경우에 경비가 관리하며, 실내 적정온도보다 높거나 낮음에도 불구하고 에어컨이나 히터가 가동되는 경우에 전력이 낭비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office, the guard is managed when the air conditioner or heater is operated after lunch or after work, or when the lamp is turned on. It is becoming.

에어컨을 많이 사용하는 여름철이나 히터를 많이 사용하는 겨울철에 피크 전력 값이 급격히 올라가서 국가적으로는 전력 공급의 균형적 관리가 어렵고, 사업장 내에서 연간 전력소비량의 피크 전력 값을 기반으로 다음 해에 요금 책정 기준을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하게 과다한 전력소비료를 지불하게 되는 상황이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공통의 문제점으로 노정되고 있다.The peak power value rises sharply in the summer when air conditioners are used or in the winter when heaters are used a lot, so that it is difficult to balance the power supply in the country, and the following year is based on the peak power value of annual power consumption in the workplace Because of setting the standar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unnecessarily paying excessive power consumption. This may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but is presenting as a common problem.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에 비추어서 전력소비량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view of th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실·내외의 온도, 습도, 조도,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전력소비량, 전기기기별 운전상태, 특정공간별 사용 스케쥴 및 인원수 등의 기초 상황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따라 각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량을 조절하여 막대한 양의 절전 및 전기요금 절약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basic situ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infrared signal, ultrasonic signal, power consumption, operation status for each electric device, usage schedule for each specific space and number of people Based on the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t power consumption criteria, it provides a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that can generate enormous amounts of power savings and electricity cost savings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ts purpose is t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특정공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인 기초 상황정보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센서노드부; 및 상기 센서노드부와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노드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하며,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따라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중앙관리부;를 포함한다.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t least one or mor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the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A sensor node configured to detect basic situation information, which is data for controlling power, to collect data, an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collected data through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and collec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by being connected to the sensor node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 preset power consumption criterion corresponding to th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It includes; Central management unit for controlling.

여기서, 상기 기초 상황정보는, 실·내외의 온도, 습도, 조도,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광 신호, 열감지 신호, 적외선 신호, 모션감지 신호, 전력소비량, 전자기기별 운전상태, 특정공간별 사용 스케쥴 및 특정공간별 인원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infrared signal, ultrasonic signal, optical signal, heat detection signal, infrared signal, motion detection signal, power consumption, operation state for each electronic device, specific spa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use schedule and the number of people per specific space.

또한, 상기 센서노드부는, 상기 실외에 장착되어 외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집된 외부온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온도 센서노드와, 상기 실·내외의 출입구 일측에 장착되되, 초음파 신호를 발산하여 상기 출입구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집된 초음파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출입확인 센서노드와, 상기 실내에 장착되어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집된 내부온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내부온도 센서노드 및, 상기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측정하는 전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집된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기기기에 전원(Vcc)을 전달하는 전력제어 센서노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node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mounted at the outside and configured to sense an external temperature,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external temperatur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one or more entrances inside and outside the room. And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a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e entrance by radiating an ultrasonic signal, and an entrance confirmation sensor n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signal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mounted inside the room.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nal temperatur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ower sensor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to measur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Sending and receiving power consumption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May receive the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t least one of a power control sensor node for transmitting power (Vcc) to the electric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sensor node.

또한, 상기 센서노드부는, 상기 외부온도 센서노드, 출입확인 센서노드, 내부온도 센서노드, 조도 센서노드 및 전력제어 센서노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센서노드로 라우팅(Routing)하여 전송하는 센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node unit receives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at least one or more sensor nodes of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access confirmation sensor nod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illuminance sensor node, and power control sensor node, the other sensor node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by routing (Routing).

또한,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는, 상기 전력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전기기기의 현재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전기기기가 가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소비를 차단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may determine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based on current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ic device detected by the power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device does not operate, By cutting off the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 device,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of the electric device may be cut off.

또한,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는,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설정값이 저장된 별도의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특정공간에 설치된 전기기기를 상기 중앙관리부의 제어없이 개별적으로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 가능하다.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a predetermined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setting value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individually without the control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of the electric device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또한, 상기 중앙관리부부는, 상기 센서노드부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설정값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센서노드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수신된 기초 상황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어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management unit may receive and store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node unit, and the preset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nd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of the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A database storing a control setting value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node unit,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control setting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basic situ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특정공간의 크기별 적정인원 설정값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확인 센서노드의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특정공간 내에 인원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특정공간 내의 인원수가 상기 적정인원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stores an appropriate number of persons for each size of the specific space,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erson in the specific space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of the access check sensor node. It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specific space is less than the appropriate number of people set value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또한, 상기 중앙관리부는, 상기 센서노드부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되, 상기 센서노드부가 장착된 일정 공간별 현황, 누적 데이터 현황 및 전체 데이터 현황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node to display on the display device, the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status including the predetermined space status, cumulative data status and overall data status equipped with the sensor node uni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기기기의 일정 전력소비량별 대응하는 CO2 배출량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 현황과 함께 CO2 배출량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The database may store CO 2 emission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 output unit may display a CO 2 emission state together with a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특정공간 또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이 운용되는 건물의 중앙홀, 입구에 전광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전기기기별, 특정공간별 전력소비량과 CO2 배출량 현황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gnboard in the central hall,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specific space or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is operated, the power consumption by the electric device, specific space and CO 2 emissions status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신호연결되는 근거리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edit or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control setting valu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input to a short rang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modifi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 신호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electric devices for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inpu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at a long distance and connected to a remote signal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You can edit or modify the settings.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과 신호연결하는 프로세싱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할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저장되며, 각 전기기기의 개별적인 작동현황 및 특정공간별 환경 현황을 포함한 상기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and stored an application program programmed to edit or modify the control setting value, including processing for signal connection wit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he individual operation status of each electric device and for each specific space The overall operating status of the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environmental status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중앙관리부는, 상기 특정공간 내에 설치된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전력소비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중 피크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when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peak power threshold of the preset power consumption criteria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cut off the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al device By cutting of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또한, 상기 중앙관리부는, 상기 전기기기의 사용용도, 설치된 위치 또는 상기 전기기기의 종류별로 각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우선순위 테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전기기기의 현재 전력소비량이 상기 피크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the priority data for cutting off the power to be delivered to each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lectric device, the installed position or the type of the electric device is stored,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is the peak When the power threshold is exceeded, the power to the respective electric devices may be sequentially cut according to the priority data.

또한,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방기 및 난방기 등의 공조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관리부는, 상기 센서노드부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ic machine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such as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an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based on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node.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중앙관리부는,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 설정시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작동 설정시간 데이터에 따라 스케쥴링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에만 상기 전기기기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may store the operation setting time data of the electric device, and transmit power to operate the electric device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schedul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ting time data.

한편,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AC전원부와, 상기 AC전원부에 인가된 AC전원을 정류하여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실시간 측정하는 전력센서와, 상기 전기기기의 구동과 신호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차단부와, 전력제어 센서노드의 작동을 구현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MCU) 및,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용IC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an AC power source to which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and converting the AC power applied to the AC power source to the DC pow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device of the electrical device A power sensor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in real time, a power cutoff unit for driving and signal transmission of the electric device, a microcontroller (MCU) for implementing an operation of a power control sensor nod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llected power amount data I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communication IC.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따라 각 전기기기의 작동상태가 자동제어되므로 용이하게 전력소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전력소비량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First, since the operating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sumption criteria,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ower consumption,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ower consumption.

둘째, 전기기기의 현재 운전되고 있는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전기기기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사용 중 낭비전력" : 전기기기가 켜져있으나 실제로는 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하여 해당 전기기기의 소비전력 전체가 낭비되는 상태) 및 OFF 후 대기전력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Second, if the electric device is not operated by check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the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 device can be cut off completely. In fact, by not using 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equipment) and standby power consumption after the OFF.

셋째, 원거리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로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because the control setting valu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can be edited or modified by a user input signal inpu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at a long distance.

넷째, 상기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피크전력 임계치를 포함하여 피크전력량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데이터베이스에 전기기기의 작동 설정시간 데이터를 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한하여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료를 절감할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limit the peak power amount by including the peak power threshold in the preset power consumption criteria, as well as to store the operation setting time data of the electrical device in the database to operate the electrical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You can save fertiliz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센서노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온도 센서노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확인 센서노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온도 센서노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통신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노드부가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전력소비량 및 전기기기의 동작상태가 출력되는 화면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서 중앙관리부의 위치, 센서노드부의 신호 통달거리에 따른 센서네트워크에서 신호전달 체계를나타낸 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USN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이 센서네트워크에 신호연결되는 신호전달 체계를 나타낸 예시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센서노드의 전원 공급 및 차단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제어 센서노드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온도 센서노드 및 중앙관리부의 동작에 따라 전기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N-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control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trance check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d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e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node unit forms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outputting power consumption and an operating state of an electric device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in the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the signal communication distance of the sensor node in the USN-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nsor network in a USN-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ety of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and shutdown circuit configuration of a power control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an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특정공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센서노드부(110) 및 중앙관리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node unit 110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o control power consumption of at least one or more electric devices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It is provided by.

여기서, 상기 특정공간은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전기기기가 설치된 장소를 의미하며, 가정, 사무실, 강의실 및 사업장 등 전기기기가 설치 및 운용되는 장소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공간적인 의미에서 하나의 방(호실), 하나의 층, 하나의 건물 등 일정범위를 갖는 구역을 의미하며, 시스템이 적용되는 구성에 따라서 공간의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Here, the specific space means a place where the electric device operating by using the power is installed, and includes all places where the electric device is installed and operated, such as home, office, lecture room and business place. In addition, in a spatial sense, it means an area having a certain range such as one room (room), one floor, and one building, and the range of the space may vary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o which the system is applied.

또한, 상기 전기기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되는 기기로서,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히터, 조명기구, 전산기기, 냉장고, TV, 세탁기, 복사기, 복합기, 팩스 및 프로젝터 등 상기 특정공간에 설치되는 모든 전기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특정공간에 설치되는 모든 전기기기를 대상으로 하거나 상기 모든 전기기기 중 전력사용량이 큰 일부 전기기기만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device is a device that operates using electric power, and is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such as an air conditioner, a fan, a heater, a heater, a lighting device, a computer, a refrigerator, a TV, a washing machine, a copy machine, a multifunction printer, a fax machine, and a projector. An electric device may be used, and may be targeted to all electric devices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or only some electric devices having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 among all the electric devices.

상기 센서노드부(110)는, 실·내외의 온도, 습도, 조도,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광 신호, 열감지 신호, 적외선 신호, 모션감지 신호, 전력소비량, 전자기기별 운전상태, 특정공간별 사용 스케쥴 및 특정공간별 인원수 등의 기초 상황정보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온도 센서노드(112), 출입확인 센서노드(113), 내부온도 센서노드(114), 전력제어 센서노드(115) 및 센서 통신모듈(111)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sensor node unit 110, the inside and outsid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infrared signal, ultrasonic signal, optical signal, heat detection signal, infrared signal, motion detection signal, power consumption, operation state for each electronic device, specific space Detect basic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usage schedule and number of people by specific space, collect data, and transmit / receive collected data through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access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a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and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is provided.

상기 외부온도 센서노드(112)는, 외부온도를 감지하도록 실외에 설치되어 외부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외부온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온도 센서노드(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온도 센서노드(112)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외부온도 센서노드(112)의 작동을 구현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MCU) 및 감지된 외부온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용I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is installed outdoors to sense external temperature, collects external temperature data, and transmits and receives external temperatur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s shown in FIG. 2B,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ambient temperature in which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is installed, a microcontroller (MCU)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and It includes a communication I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ensed external temperature data.

여기서, 상기 외부온도 센서노드(112)에서 수집된 정보는 다른 센서노드(113,114,115) 및 센서 통신모듈(111) 중 최적의 경로를 따라 중앙관리부(130)로 전달되는데,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전달된 외부온도 데이터를 취합하여 내부온도를 증감시키기 위한 비교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along an optimal path among the other sensor nodes 113, 114, and 115 and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wherei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is The transmitted external temperature data can be collected and used as comparative data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상기 출입확인 센서노드(113)는, 실·내외의 출입구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도록 상기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되, 초음파를 발산하여 출입하는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검출하여 수집된 초음파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출입확인 센서노드(113)가 설치된 출입구 주변으로 초음파를 발산하여 초음파의 특성으로 상기 출입구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상기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의 작동을 구현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MCU) 및 수집된 초음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용I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entrance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way to detect a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e doorway inside and outside the room, and emits ultrasonic waves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erson entering and exiting and det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2, the ultrasonic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s shown in FIG. 2C, a battery providing power to the entrance and exit sensor node 113 and the ultrasonic wave are emitted around the entrance and the entrance, in which the entrance and exit sensor node 113 is installed.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a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e entrance and exit, a microcontroller (MCU)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access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and a communication I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llected ultrasonic data.

여기서, 상기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서 수집된 정보는 다른 센서노드(112,114,115) 및 센서 통신모듈(111) 중 최적의 경로를 따라 중앙관리부(130)로 전달되는데,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전달된 초음파 신호 데이터를 취합하여 특정 구역 내부의 인원수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ccess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along an optimal path among the other sensor nodes 112, 114, and 115 and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The transmitted ultrasonic signal data may be collected and used as basic data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people in a specific area.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의 인원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출입구의 양측 즉, 2개의 출입확인 센서노드(113)가 특정공간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앙관리부(130)의 제어부(131)는 상기 2개의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서 감지되는 초음파 신호의 순서 및 시각에 따라 상기 특정공간의 내부에 있는 사람이 외부로 나갔는지 아니면 외부의 사람이 특정공간 내부로 들어왔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3a, in ord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located in a particular space,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of the entrance, that is, two entrance confirmation sensor nodes 113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specific space. Therefore, the control unit 131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according to the order and time of the ultrasonic signals detected by the two entrance check sensor nodes 113, the person inside the specific space went out or outsid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has entered a specific space.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내부의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이어서 외부의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는 내부의 사람이 외부로 나간 상황이며, 외부의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이어서 내부의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는 외부의 사람이 상기 특정공간의 내부로 들어온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erson's movement is detected in the entrance check sensor node 113 and then a person's movement is detected in the outside entrance sensor node 113, a situation in which the inside person has gone outwards. When a person's movement is detected after the movement of a person is detected at the outside entrance sensor node 113, a situation where the outside person enters the inside of the specific space is detected. It can be judged that

따라서, 상기 출원확인 센서노드(113)에서 감지한 정보를 통해 내외부 출입현황 및 내부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 인원수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내부에 인원이 없는 상황에서 전기기기가 동작되는 경우, 또는 특정공간 내의 인원이 미리 정해진 인원수(전기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최소 인원수)보다 적은 인원이 감지될 경우에는 중앙관리부(130)를 통해 상기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특정공간을 사용하기로 예정된(스케줄링) 인원들의 대표자에게 이러한 내용을 안내 및 경고할 수 있다.Therefore, internal and external access status and internal number of peopl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pplication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and when the electric device is operated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person based on the internal number of people, Alternatively, when the number of people in a specific spa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minimum number for using the electronic device) is detecte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or to use a specific space (Scheduling) Representatives of personnel may inform and warn of this.

여기서, 상기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초음파 센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초음파 센서 외에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및 열감지 모션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ultrasonic sensor using the ultrasonic signal as the mean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 person in the entrance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to the ultrasonic sensor, infrared sensor, radar sensor and heat sensing motion. Of course, a sensor or the like can be used.

상기 내부온도 센서노드(114)는, 실내온도를 감지하도록 실내에 설치되어 내부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내부온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온도 센서노드(11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내부온도 센서노드(114)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내부온도 센서노드(114)의 작동을 구현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MCU) 및 감지된 내부온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용I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is installed indoors to detect the indoor temperature to collect internal temperature data and transmit and receive the collected internal temperature data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s shown in Figure 2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ambient temperature in which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is installed, a microcontroller (MCU)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and It includes a communication I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ensed internal temperature data.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상기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로부터 전원(Vcc)을 인가받아 상기 전기기기에 전원을 전달한다.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collects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ic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collected power consumption data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receives power (Vcc) from the outside. Deliver power to the electrical device.

또한, 상기 전력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전기기기의 현재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전기기기가 가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사용 중 낭비전력" : 전기기기가 켜져있으나 실제로는 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하여 해당 전기기기의 소비전력 전체가 낭비되는 상태)과 대기전력(Standby Power : 전기기기가 OFF 되었으나 전원플러그를 뽑지 않음으로 하여 낭비되는 전력)의 소비를 완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ic device detected by the power sensor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device is not operating, the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 devic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by blocking (= "waste power during use": the electric device is turned on, but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is wasted by not using it) and standby power (Standby Power: electricity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cut off the consumption of power, which is wasted by turning off the device but not unplugging the power supply.

더불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AC전원부와, 상기 AC전원부에 인가된 AC전원을 정류하여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실시간 측정하는 전력센서와, 상기 전기기기의 구동과 신호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차단부와,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의 작동을 구현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MCU) 및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용I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전원차단부는 릴레이, 트라이악 및 SSR 등의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A,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includes an AC power supply unit to which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 rectifying unit rectifying AC power applied to the AC power supply unit, and converting the AC power unit into a DC power source; A micro sens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evice to measu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in real time, a power cut-off unit for driving and signal transmission of the electric device, and a microcontroller for operating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It includes a controller (MCU) and a communication I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llected power amount data. The power cut-off unit may be a device such as a relay, triac and SSR.

여기서,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적외선을 발산하여 상기 적외선 특성에 따라 전기기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리모콘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sensor that emits infrared rays and transmits a signal to an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infrared characteristic, and may perform a remote controller controller function through the infrared sensor.

또한,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가 제어되는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거나 차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device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the electric device may be supplied with power or cut off depending on the controlled state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여기서, 상기 전기기기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Her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will be described.

여기서, 상기 전기기기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Here,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전기기기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전력사용량 정보는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를 통해 중앙관리부(13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부(132)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2)에는 평상시 상기 전기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일 때와 전기기기가 동작하는 실행상태일 때의 전력사용량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First,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measur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in real time, and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to the database unit 132. Stored. In this case, the database unit 132 stores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in a standby state in which the electric device does not operate normally and in an execution state in which the electric device is operated.

이후, 상기 전력센서에서 측정된 전력사용량의 크기가 상기 실행상태일 때의 전력사용량의 크기에서 대기상태일 때의 전력사용량의 크기로 변화하게 되며,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상기 전력사용량의 크기 변화가 없을 경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상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전기기기에 의한 대기전력 소모를 차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magnitude of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power sensor is changed from the magnitude of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running state to the magnitude of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magnitude change of the power consumption within a preset time limit is changed. If not, the microcontroller may cut off standby power consumption by the electrical device by cutting off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al device.

한편,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상기 중앙관리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중앙관리부(130)의 데이터베이스부(13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공간의 사용스케줄이나, 특정공간의 크기 및 인원수에 따른 지능적인 제어.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계획의 변화(예,작동시간 : 10:00 ~ 10:30) 및 상기 전기기기에서 소비하는 전력의 크기가 피크전력을 초과하려 할 때 등과 같은 상황에서 상기 전기기기를 컨트롤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he schedule of use of the specific spac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32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Intelligent control based on size and number of people. To control the electric device in a situation such as a change in the operation plan of the electric device (eg, operating time: 10:00 to 10:30) and whe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electric device is about to exceed the peak power. do.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초 상황정보 및 상기 특정공간의 전기기기에 작동과 관련된 기초 데이터에 따라,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제어신호를 수신한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구성된 마이크로 콘트롤러(MCU)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분석하게 되고, 분석된 결과에 대한 지시를 해당회로(도 6a 참고)에 High 또는 Low 신호를 보내게 된다.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ccording to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d the basic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evice of the specific space.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analyzes the control signal through a configured microcontroller (MCU), and sends an indication of the analyzed result to a corresponding circuit (see FIG. It will send a low signal.

여기서, 상기 High 신호일 경우에는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며, Low일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한다.In this case, when the high signal is supplied,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When the signal is low, the power is cut off.

또한,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삽입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전달받는 전원삽입부(115-1)와, 상기 전기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삽입되어 상기 전기기기로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플러그 삽입부(115-2) 및,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is inserted into a power outlet for supplying power by inserting a power plug of an electric device on one side, as shown in FIG. 6B,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insertion unit 115-1. And a power plug insertion unit 115-2 for inserting a power plug of the electric device to transfer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에서 실시간 측정된 전기기기의 전력사용량 현황, 미리 설정된 제한시간 정보 등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의 동작 상태 및 제어설정값의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창(115-3)과,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의 현재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표시램프(115-4)가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is a screen window showing the operation status and control setting value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such as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the time limit information previously set by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An operation state display lamp 115-4 indicating a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may be provided.

상기 동작상태 표시램프(115-4)는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에 의해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에는 적색램프, 전원공급이 원활할 경우에는 청색램프 및, 에러 또는 고장여부를 나타내는 황색램프 등으로 구분하여 현재 제어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에는 적색, 청색 및 황색 등 세 개의 표시램프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색변환 램프를 이용하여 하나의 램프를 통해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적색, 청색 및 황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The operation state display lamp 115-4 is a red lamp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by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a blue lamp when the power supply is smooth, and a yellow lamp indicating whether an error or failure occurs. It can be divided into and the like to indicate the state currently being controlled. In the drawing, three display lamps, such as red, blue, and yellow,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d, blue, and yellow colors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through one lamp using a color conversion lamp. .

또한, 상기 중앙관리부(130)의 데이터베이스부(132)에는 계절별 또는 일자별로 설정된 적정온도 데이터 및 적정온도별 전기기기의 동작제어 설정값이 저장되며, 상기 내부온도 센서노드(114)를 통해 감지된 특정공간의 현재 내부 온도 정보는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관리부(130)로 전송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2)에 저장된다.In addition, the database unit 132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stores the appropriate temperature data set by season or date and the operation control setting valu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appropriate temperature, and is sens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Current in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specific spac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hrough the sensor network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32.

상기 중앙관리부(130)의 제어부(131)는, 상기 내부온도 센서노드(114)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현재 내부온도 정보와 상기 적정온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전기기기가 불필요하게 가동되고 있을 경우, 해당 전기기기의 제조회사의 리모트 데이터코드(온도데이터)를 전송하여 내부온도 센서노드(114)에 부착된 리모콘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131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compares the current in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with the appropriate temperature data in real time, and when the electric device is unnecessarily operated. By transmitting a remote data code (temperature data) of the manufacturer of the electric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by using a remote control unit attached to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여기서, 최초에 중앙관리부(130)에서 전송받은 데이터코드는 내부온도 센서노드(114)에 저장하여 불필요한 트래픽잼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ata code initially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is preferably stored in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to reduce unnecessary traffic jams.

또한,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설정값이 저장된 별도의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특정공간에 설치된 전기기기를 상기 중앙관리부(130)의 제어없이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is a separate memory in which power setting reference data and control setting value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r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It is preferred that the unit is provided to be able to individually control the electric equipment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without the control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상기 센서 통신모듈(111)은, 상기 외부온도 센서노드(112), 출입확인 센서노드(113), 내부온도 센서노드(114) 및 전력제어 센서노드(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기초 상황정보를 다른 센서노드로 라우팅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초 상황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중앙관리부(130)로 전달하며,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통신모듈(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각 센서노드로부터 전달된 기초 상황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기초 상황정보 데이터를 타 센서노드 또는 중앙관리부(130)로 송수신하는 통신용IC 및, 센서 통신모듈(111)의 작동을 구현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MCU)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r more sensor nodes of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the access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and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By receiving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by routing the received basic situation information to another sensor node and transmitting the data for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as shown in Figure 2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 111,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 communication IC for receiving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nod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received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ata to another sensor node or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and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A microcontroller (MCU)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111 is provided.

이와 같은 센서노드부(1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노드(112,113,114,115) 및 하나 이상의 센서 통신모듈(111)이 상호 조합되어 하나의 센서네트워크 통신망을 구현하며, 하나의 센서노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가장 근접한 센서노드 또는 라우팅되어 선택된 최적경로상의 센서노드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중앙관리부(130)로 전달한다.As shown in FIG. 3A, the sensor node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12, 113, 114, and 115 and one or more sensor communication modules 111 to implement on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one sensor nod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 node is transferred to the nearest sensor node or routed sensor node on the selected optimal path and finally transferr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여기서, 도 3a는 3층이라는 특정공간 내에서 301호라는 일부공간에 설치된 전기기기(에어컨)의 소비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센서노드부(110)의 각 센서노드(112,112,113,114) 및 센서 통신모듈(111)가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한 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3A illustrates sensor nodes 112, 112, 113, and 114 and sensor communication modules 111 of the sensor node unit 110 to control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 devic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part space called No. 301 in a specific space called the third floor.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ensor network is forme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온도 센서노드(112)는 실외 즉, 건물외부에 설치되, 출입확인 센서노드(113)는 각 호의 출입구 내부 및 외부 등 각각 1개가 설치되며, 내부온도 센서노드(114)는 301호의 내부에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301호의 내부 중 해당 전기기기인 에어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 3a,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is installed outdoors, that is,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entrance sensor node 113 is installed one each, such as inside and outside the door of each door,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30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that is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equipment of the interior of the 301.

또한, 각 센서노드(112,112,113,114) 및 센서 통신모듈(111)로부터 기초 상황정보 데이터를 전달받는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301호의 맞은 편 호에 위치한 것으로 예시하였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hat receives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ata from each sensor node (112, 112, 113, 114) and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has been illustrated as located in the opposite number of the 301.

먼저, 외부온도 센서노드(112)에서 감지된 외부온도 데이터는 점선 표시와 같이 가장 근접한 3개의 센서 통신모듈(111)을 거쳐 중앙관리부(130)로 전송된다.First, the external temperature data dete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via the three closest sensor communication modules 111 as shown by the dotted line.

또한, 301호의 출입구에 장착된 출입확인 센서노드(113) 중 외부의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에서 감지된 초음파 신호는 가장 근접한 센서 통신모듈(111) 또는 라우팅(Routing)되어 최적의 경로로 설정된 센서 통신모듈(111)을 통해 상기 중앙관리부(130)로 전송된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signal detected by the external access check sensor node 113 of the access check sensor node 113 installed in the doorway of No. 301 is set to the closest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or routing (Routing) to the optimal path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더불어, 내부온도 센서노드(114)에서 감지된 301호의 내부온도 데이터와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에서 측정된 에어컨의 전력소비량 데이터는, 각각 근접한 전력제어 센서노드(115) 또는 출입확인 센서노드(113)를 거쳐 복도에 설치된 센서 통신모듈(111)을 통해 중앙관리부(130)로 전달된다. In addition, the internal temperature data of No. 301 detect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and the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air conditioner measured by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are respectively adjacent to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or the access confirmation sensor node ( 113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hrough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installed in the hallwa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는 상술한 센서 통실모듈(111), 외부온도 센서노드(112), 출입확인 센서노드(113), 내부온도 센서노드(114) 및 전력제어 센서노드(115) 외에 상기 특정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중앙관리부(130)로 감지된 내외부 조도정보를 송신하는 조도 센서노드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ensor room module 111,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the entrance check sensor node 113,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and the power control sensor In addition to the node 115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sensor node for detecting the internal or external illumination of the specific space to transmit the internal and external illumin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이러한 조도 센서노드의 내외부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조도에 대비하여 상기 특정공간의 적정 내부조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By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u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illumination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sensor nod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djust the appropriate internal illumination of the specific space in preparation for the external illumination.

한편,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센서노드부(110)와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노드부(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하며,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따라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Meanwhile,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sensor node unit 110 and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to receive and collect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unit 110, and the basic contex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ata of the function to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al de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wer consumption criteria.

여기서, 상기 전력소비 기준은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에너지절약 기준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Here, the power consumption standar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nergy saving standard proposed by the government.

또한,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노드부(110)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설정값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32)와, 상기 센서노드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며, 수신된 기초 상황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어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3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receives and stores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node unit 110, as shown in FIG. 1, and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et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And a database 132 in which a control setting value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is stored, and the operation of the sensor node unit 110 is controlled, and the database corresponds to the received basic situ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131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tored in 132 and the control set value.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는, 본 발명의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 의해 전력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해 각 전기기기에서 소비될 수 있는 전력소비 한계치에 대한 데이터이며, 상기 제어설정값은 상기 전력소비 한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각 전기기기에 전원을 전달할 것인지 차단할 것인지에 대해 미리 정해진 설정값을 의미한다.Here, the preset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is data on a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at can be consumed by each electric device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t means a predetermined set value for whether to transmit or cut off power to each of the electric devices.

더불어,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센서노드부(110)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되, 상기 센서노드부(110)가 장착된 일정 공간별 현황, 누적 데이터 현황 및 전체 데이터 현황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출력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displays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node unit 110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present state of each predetermined space, the cumulative data state, and the overall state in which the sensor node unit 110 is mounted. The display unit 133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133 which displays the data status.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출력부(133)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각 현황을 근거리 사용자단말(140) 또는 이동통신 단말(150)에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3a는 3층이라는 특정공간을 예시로 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건물전체 소비전력량, 3층 전체 소비전력량 및 각 호별 설치된 전기기기(에어컨, 히터 및 기타)의 동작상태(On 또는 Off)를 나타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refers to a device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us in the short-range user terminal 14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unit 133. 3A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display unit using a specific space of three layer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unit may indicat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build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third floor, and an operating state (on or off) of electric devices (air conditioners, heaters, and the like) installed for each door.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특정공간 중 해당 일정구역에 대한 정보 또는 특정공간 전체에 대한 대양한 출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C and 5D, the display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region or specific output information of the entire specific space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상기 데이터베이스(132)는, 상기 전기기기의 일정 전력소비량별 대응하는 CO2 배출량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출력부(133)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기기 전력소비량 현황과 함께 상기 CO2 배출량 현황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base 132 stores CO2 emission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 output unit 133 includes the electric device power consumption state as shown in FIGS. 5A and 5B. It is desirable to be equipped to display the status of CO2 emissions.

상기 CO2 배출량 데이터는, 소비전력당 단위 CO2 배출량을 계산해둔 데이터로서 상기 CO2 배출량 데이터를 사용자들에게 표시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The CO2 emission data is data that calculates unit CO2 emission per power consumption, thereby displaying the CO2 emission data to users, thereby raising awareness of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또한, 상기 출력부(133)는, 상기 특정공간 또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이 운용되는 건물의 중앙홀, 입구에 전광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전기기기별, 특정공간별 전력소비량과 CO2 배출량 현황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gnboard in the central hall,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specific space or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is operated,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ic device, specific space and CO 2 Emission status can be displayed.

이로 인하여, CO2 저감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표시되는 특정공간별 즉, 각 호실, 층, 건물의 중앙홀, 입구 등에 설치된 전광판을 확인함으로써 전력소비와 환경운동을 연계하여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Due to this, CO 2 Participation can be increased by linking power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movements by checking the signboards installed in each room, floor, building's central hall, entrance, etc. displayed by calculating the reduction amount in real time.

더불어,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신호연결되는 근거리 사용자단말(140)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1,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nd the power consumption stored in the database 132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ignal input to the short-range user terminal 140 is connected via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It is preferably provided to edit or modify the control set valu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reference data.

여기서, 상기 제어부(131)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원거리에서 신호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150)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 unit 131, as shown in Figure 4c, the database 132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ignal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that is remotely connected via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It may be provided to edit or modify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control settings of the electrical device for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150)에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과 신호연결하는 프로세싱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할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저장함으로써, 각 전기기기의 개별적인 작동현황 및 특정공간별 환경 현황을 포함한 상기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includes processing for signal connection wit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installs and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programmed to edit or modify the control setting value, thereby individually Of course,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operation status and the environment of each specific space can be checked.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을 중앙 제어하는 관리실 및 중앙통제실 등에 근거리 위치하여, 전기기기가 설치된 각 장소별로 수집된 기초 상황정보에 근거하여 각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 상기 중앙관리부(130)에 신호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150)을 통해 상기 전기기기가 설치된 각 장소별로 수집된 기초 상황정보에 근거하여 각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is located near the management room and the central control room for central control of the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lies power to each electric device based on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place where the electric devices are installed. Power supply or cut off power to each electric device based on basic situation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place where the electric device is install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at a long distance. Can be.

여기서, 상기 근거리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 형성된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의 신호통달 거리에 포함되는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원거리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의 신호통달 거리에 포함되지 않으나 이동통신 기지국, 이통통신 라우터 및 센서네트워크 서버의 구성을 통해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에 신호연결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 the short distance means a position included in the signal communication distance of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formed in the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ng distance means the signal communication distance of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lthough no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through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 mobile communication router, and a sensor network server is described.

즉,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서는, 중앙관리부(130)가 설치된 위치 및 각 센서노드(112,112,113,114) 및 센서 통신모듈(111)의 신호 통달거리 및 이동통신 단말(150)을 통한 제어유무에 따라 게이트웨이, 기지국, 라우터 및 센서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특정공간의 범위를 다양하게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a to 4c, in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where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is installed and the signal of each sensor node (112, 112, 113, 114) and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reduce the range of a specific space through a gateway, a base station, a router, and a sensor network server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distance and the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노드부(110) 및 중앙관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특정공간 내에 설치된 전기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equipment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by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ensor node 110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The way to reduce the cost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현재 동작되고 있지 않은 전기기기를 대상으로 해당 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의 소비를 차단하여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First,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power consumption by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 device that is not currently operating,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피크전력 임계치를 초과하여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전기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해당 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피크전력 임계치 이상으로 피크전력량이 소비되어 과다한 전력소비료가 책정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device for the electrical device that consumes power exceeding the predetermined peak power threshold value, the peak power amount above the peak power threshold value This can be provided so that excessive power consumption is not formulated.

여기서, 일반적으로 단위 전력소비량별 요금은 연간 전력소비량의 피크전력 값을 기반으로 다음 해에 요금 책정 기준이 설정되는데, 이러한 피크전력값을 제한하기 위해여, 상기 중앙관리부(130)에서, 상기 특정공간 내에 설치된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전력소비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중 피크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Here, in general, the charge per unit power consumption is set in the following year based on the peak power value of the annual power consumption, the rate setting criteria, in order to limit the peak power value, i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he specific When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peak power threshold among preset power consumption criteria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in the spa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may be cut off by cutting off the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al equipment. It is.

이때, 상기 중앙관리부(130)의 데이터베이스(132)에는, 상기 전기기기의 사용용도, 설치된 위치 또는 상기 전기기기의 종류별로 각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우선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31)는, 특정공간 내에 설치된 모든 전기기기의 전체 전력소비량이 상기 피크 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n the database 132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priority data for cutting off power transmitted to each electric device by use of the electric device, installed location or type of the electric device is stored, and the controller 131, whe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all th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exceeds the peak power threshold, it is preferable to cut off the power delivered to each electrical device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priority dat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기기의 범위에는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방기 및 난방기 등의 공조기기가 포함될 수 있는 데, 상기 중앙관리부(130)의 제어부(131)는 상기 센서노드부(110)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온도 센서노드(112) 및 내부온도 센서노드(114)으로부터 감지된 외부온도 데이터 및 내부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ng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ontrolled by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ir conditioning equipment such as air conditioners and heater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oom, the control unit 131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 Is based on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external temperature data and internal temperature data detected from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detected by the sensor node unit 110. Can control the operation status of air conditioner.

여기서, 일반적으로 여름 또는 겨울 시기의 경우에, 건물에 설치된 전기기기 중 가장 많은 소비전력을 요구로 하는 전기기기에는 에어컨, 선풍기 등의 냉방기 및 온풍기, 히터 등의 난방기가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상기 냉방기 및 난방기 등의 공조기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여름 또는 겨울 시기의 소비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Here, generally, in the case of summer or winter time, the electric devices that require the most power consumption among the electric devices installed in the building may be air conditioners such as air conditioners and fans, and heaters such as warmers and heaters. Accordingly,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during summer or winte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such as the air conditioner and the he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특정공간별 또는 전기기기의 용도별로 미리 설정된 스케쥴링에 의해 정해진 시간 동안에만 해당 전기기기가 작동되도록 중앙관리부(130)가 상기 특정공간별(룸, 층 또는 건물 전체) 또는 전기기기별로 전원공급 제어 또는 전원차단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for the specific space (room) to operate the electric device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predetermined scheduling for each specific space or purpose of the electric device. , Power consumption control by power supply control or power cut control for each floor or building) or electrical equipment.

이는, 중앙관리부(130)의 데이터베이스(132)에는 특정공간별 또는 전기기기별로 해당 전기기기가 동작되어야 하는 작동 설정시간 데이터 즉, 스케쥴링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작동 설정시간 데이터에 따라 스케쥴링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에만 상기 전기기기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전달하는 구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This, in the database 132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is stored the operation setting time data, that is, the scheduling data that is to operate the electrical device for each specific space or for each electrical device, the control unit 131 is the operation setting time data According to the scheduling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power to operate the electrical device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예를 들어, 상기 전기기기가 복사기인 경우 한 번 전원을 켜면 예열하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복사기를 사용하는 시간(스케쥴링)을 고려하여, 퇴근시간인 오후 9시 이후부터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출근시간인 오전 8시에 대기전력을 연결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lectric device is a copier, it takes time to warm up when the power is turned on onc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ime of use of the copier (scheduling), after standby time after 9 pm, off time, In order to connect the standby power at 8 am can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은,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공장소에서 작동되는 전기기기의 제어에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공장소에 배치된 다수의 가로등에 각 센서노드를 장착하여 센서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통합관제 센터에서 가로등의 개별적 제어, 장소별 그룹제어, 지역별 그룹제어 및 도시 전체의 제어 등을 시간에 따라 통합적으로 전력제어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ontrol of the electrical equipment operated in a public place operated by the local government, for example, each sensor node in a plurality of street lights disposed in public places It is also possible to build a sensor network and to configure the system so that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can control the street lights individually, place group control, area group control, and the whole city control over time.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통하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따라 각 전기기기의 작동상태가 자동제어되므로 용이하게 전력소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전력소비량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전기기기의 현재 운전되고 있는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전기기기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대기전력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ing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t power consumption criteria,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easily adjusted, and further, the power consumption amount. In addition to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as well as check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if the electrical equipment is not running, it can cut off the power to the electrical equipment, can reduce the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

또한, 원거리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150)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로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피크전력 임계치를 포함하여 피크전력량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데이터베이스에 전기기기의 작동 설정시간 데이터를 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한하여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료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setting valu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can be edited or modified with a user input signal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located at a long distance, the user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and the preset power consumption refere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imit the peak power amount by including the peak power threshold, as well as to save the power consumption by storing the operation setting time data of the electrical equipment in the database to operate the electrical equipment for a preset ti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10...센서노드부 111...센서 통신모듈
112...외부온도 센서노드 113...출입확인 센서노드
114...내부온도 센서노드 115...전력제어 센서노드
120...센서네트워크 통신망 130...중앙관리부
131...제어부 132...데이터베이스
133...출력부
110 Sensor node 111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2 ...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3 ... Access check sensor node
114 ...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5 ... Power control sensor node
120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30 Central Management Department
131 control unit 132 database
133 ... output

Claims (19)

특정공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인 기초 상황정보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센서노드부(110); 및
상기 센서노드부(110)와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노드부(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합하며,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에 따라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중앙관리부(130);를 포함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In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sensor network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t least one or mor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A sensor node unit (110) configured to detect basic situation information, which is data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to collect data, and to transmit and receive the collected data through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Connected through the sensor node 110 and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to receive and collect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110,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set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entral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상황정보는,
실·내외의 온도, 습도, 조도,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광 신호, 열감지 신호, 적외선 신호, 모션감지 신호, 전력소비량, 전자기기별 운전상태, 특정공간별 사용 스케쥴 및 특정공간별 인원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infrared signal, ultrasonic signal, light signal, heat detection signal, infrared signal, motion detection signal, power consumption, operating status for each electronic device, usage schedule for each specific space, number of people per specific space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부(110)는,
상기 실외에 장착되어 외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외부온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온도 센서노드(112)와,
상기 실·내외의 출입구 일측에 장착되되, 초음파 신호를 발산하여 상기 출입구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초음파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와,
상기 실내에 장착되어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내부온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내부온도 센서노드(114) 및,
상기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측정하는 전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수집된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기기기에 전원(Vcc)을 전달하는 전력제어 센서노드(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node unit 110,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mounted at the outside and having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n external temperatur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external temperatur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n ultrasonic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and the outside of the room and the inside and having an ultrasonic sensor that detects a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e entrance by radiating an ultrasonic sign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ultrasonic signal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The sensor node 113,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mounted in the room and having a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an internal temperature,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nal temperatur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 power sensor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and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ower consumption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sensor node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for transmitting (Vcc).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부(110)는,
상기 외부온도 센서노드(112), 출입확인 센서노드(113), 내부온도 센서노드(114), 조도 센서노드 및 전력제어 센서노드(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센서노드로 라우팅(Routing)하여 전송하는 센서 통신모듈(1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or node unit 110,
Receiv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at least one sensor node of the ex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2, the access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node 114, the illuminance sensor node and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111) for transmitting by routing to another sensor nod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상기 전력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전기기기의 현재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전기기기가 가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소비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Determine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based on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ic device detected by the power sen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al device is not operating, th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senso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o cut off the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al device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Standby Power) of the electrical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설정값이 저장된 별도의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특정공간에 설치된 전기기기를 상기 중앙관리부(130)의 제어없이 개별적으로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The electric device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emory unit for storing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et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setting values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al device individually without the control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부(130)부는,
상기 센서노드부(110)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기초 상황정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결정하는 제어설정값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32)와,
상기 센서노드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며, 수신된 기초 상황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제어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Receives and stores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node unit 110, and determines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nd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prese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of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A database 132 in which control setting values are stor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node 110,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al device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nd the control set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132 in response to the received basic situation information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13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는 상기 특정공간의 크기별 적정인원 설정값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출입확인 센서노드(113)의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특정공간 내에 인원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특정공간 내의 인원수가 상기 적정인원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atabase 132 stores the appropriate number of people set by size of the specific space,
The controller 131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erson in the specific space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information of the entrance confirmation sensor node 113, and in the specific spac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when the number of people is smaller than the appropriate number of people set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센서노드부(110)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되, 상기 센서노드부(110)가 장착된 일정 공간별 현황, 누적 데이터 현황 및 전체 데이터 현황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Display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node unit 110 on the display device, the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by a predetermined space, the cumulative data status and the total data status equipped with the sensor node 110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32)는, 상기 전기기기의 일정 전력소비량별 대응하는 CO2 배출량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 현황과 함께 CO2 배출량 현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database 132 stores CO 2 emission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electric device,
The output unit,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and CO 2 emission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특정공간 또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이 운용되는 건물의 중앙홀, 입구에 전광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전기기기별, 특정공간별 전력소비량과 CO2 배출량 현황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output unit includes: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gnboard in the central hall,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specific space or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is oper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by each electric device, specific space and CO 2 emission status is displayed.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신호연결되는 근거리 사용자 단말(140)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131,
Control setting values of electric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32 and electric devices for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input to the near field user terminal 140 connect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editing or modifying.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1)는,
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을 통해 원거리 신호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150)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 및 상기 전력소비 기준 데이터별 전기기기의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131,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32 and electricity for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reference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inpu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located at a long distance and connected to a remote signal throug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editing or modifying the control settings of the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50)에는 상기 센서네트워크 통신망(120)과 신호연결하는 프로세싱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설정값을 편집 또는 수정할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저장되며,
각 전기기기의 개별적인 작동현황 및 특정공간별 환경 현황을 포함한 상기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is installed and stored an application program programmed to edit or modify the control setting value, including processing for signal connection with th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20,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overall operating status of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individual operating status of each electrical equipment and the environmental status for each specific space.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특정공간 내에 설치된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현재 전력소비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기준 중 피크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When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peak power threshold among the preset power consumption criteria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ic equipment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is cut off by cutting off the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 equipment.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ut off.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전기기기의 사용용도, 설치된 위치 또는 상기 전기기기의 종류별로 각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우선순위 테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전기기기의 현재 전력소비량이 상기 피크전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 전기기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Priority data for cutting off power delivered to each electric device is stor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lectric device, the installed location, or the type of the electric device.
When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exceeds the peak power threshold,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o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each electrica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iority data.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방기 및 난방기 등의 공조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센서노드부(110)에서 감지된 기초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기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The electric device includes an air conditioner such as a cooler and a heat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oom,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he sensor network based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based on the basic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node (110).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부(130)는,
상기 전기기기의 작동 설정시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작동 설정시간 데이터에 따라 스케쥴링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에만 상기 전기기기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30,
The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stores the operation setting time data of the electric device, and transmits power to operate the electric device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schedul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ting time dat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 센서노드(115)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AC전원부와,
상기 AC전원부에 인가된 AC전원을 정류하여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전기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기기의 전력소비량을 실시간 측정하는 전력센서와,
상기 전기기기의 구동과 신호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차단부와,
전력제어 센서노드(115)의 작동을 구현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MCU) 및,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용IC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An AC power supply unit to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AC power applied to the AC power unit and converting the DC power into DC power;
A power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to measur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in real time;
A power cut-off unit for driving and transmitting signals of the electric device;
A microcontroller (MCU)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control sensor node 115,
Sensor network-based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I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llected power amount data.
KR1020100055779A 2010-06-14 2010-06-14 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 KR1014330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79A KR101433081B1 (en) 2010-06-14 2010-06-14 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79A KR101433081B1 (en) 2010-06-14 2010-06-14 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23A true KR20110136023A (en) 2011-12-21
KR101433081B1 KR101433081B1 (en) 2014-10-01

Family

ID=4550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779A KR101433081B1 (en) 2010-06-14 2010-06-14 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081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40B1 (en) * 2012-09-21 2014-02-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Usn-based power control system using context-aware computing technology
CN103686855A (en) * 2013-11-18 2014-03-26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Wireless sensor network data convergence method
KR101519616B1 (en) * 2014-08-27 2015-05-14 (주) 엔텍코아 Power management system
KR101538016B1 (en) * 2015-03-13 2015-07-22 원시스템주식회사 A smart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customized for personal living spac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60060883A (en) * 2014-11-20 2016-05-31 한국전기연구원 Apparatus for Decision of Energy Device in Demand Response Service and Method using thereof
KR20180056361A (en) * 2016-11-18 2018-05-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home controlling apparatus based intellect learning and method thereof
KR20180065415A (en) * 2016-12-07 2018-06-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 command automatic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10096138B2 (en) 2014-10-31 2018-10-09 Samsung Sds Co., Ltd. Control map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1107162A1 (en) * 2019-11-25 2021-06-03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 of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808B1 (en) * 2016-01-15 2017-11-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door Standby Power
KR102343957B1 (en) 2017-10-27 2021-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on transceiver for use in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51B1 (en) * 2005-05-13 2007-02-05 주식회사 아이웨어 ZigBee Structure Used Standby Power decreasing Method
US20080221714A1 (en) * 2007-03-07 2008-09-11 Optimal Licens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frastructure reporting
KR20100041259A (en) * 2008-10-13 2010-04-22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Energy integrated control syste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40B1 (en) * 2012-09-21 2014-02-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Usn-based power control system using context-aware computing technology
CN103686855A (en) * 2013-11-18 2014-03-26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Wireless sensor network data convergence method
CN103686855B (en) * 2013-11-18 2016-09-14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A kind of collecting network data of wireless sensor method
KR101519616B1 (en) * 2014-08-27 2015-05-14 (주) 엔텍코아 Power management system
US10096138B2 (en) 2014-10-31 2018-10-09 Samsung Sds Co., Ltd. Control map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60883A (en) * 2014-11-20 2016-05-31 한국전기연구원 Apparatus for Decision of Energy Device in Demand Response Service and Method using thereof
KR101538016B1 (en) * 2015-03-13 2015-07-22 원시스템주식회사 A smart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customized for personal living spac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80056361A (en) * 2016-11-18 2018-05-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home controlling apparatus based intellect learning and method thereof
KR20180065415A (en) * 2016-12-07 2018-06-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 command automatic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1107162A1 (en) * 2019-11-25 2021-06-03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 of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081B1 (en)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6023A (en) Power control system based sensor network
US11193652B2 (en) Lighting fixtures and methods of commissioning light fixtures
US8138690B2 (en) LED-based light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employing LED light bars, occupancy sensing, local state machine, and meter circuit
US8841859B2 (en) LED light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including rules-based sensor data logging
US8543249B2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modular sensor bus
US8536802B2 (en) LED-based light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employing LED light bars, occupancy sensing, and local state machine
US8805550B2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power source arbitration
USRE48372E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the use of utilities
US8339069B2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power metering
US8531134B2 (en) LED-based light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employing LED light bars, occupancy sensing, local state machine, and time-based tracking of operational modes
US8754589B2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temperature protection
US8823277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apping a network of lighting fixtures with light module identification
US8593135B2 (en) Low-cost power measurement circuit
US8866408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utomatic power adjustment based on energy demand information
US8368321B2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rules-based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US8373362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commissioning an LED lighting fixture with remote reporting
US8954170B2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multi-input arbitration
US20100301768A1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Real Time Clock
US20100301770A1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Lifetime Prediction
US20100295475A1 (en) Power Management Unit with Ballast Interface
AU2019204330A1 (en) A hybrid control system
US11674668B2 (en) Lighting fixtures and methods of commissioning lighting fixtures
Energy et al. Occupancy-based Thermostat Control for Commercial Off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