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604A -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 Google Patents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604A
KR20110135604A KR1020100055429A KR20100055429A KR20110135604A KR 20110135604 A KR20110135604 A KR 20110135604A KR 1020100055429 A KR1020100055429 A KR 1020100055429A KR 20100055429 A KR20100055429 A KR 20100055429A KR 20110135604 A KR20110135604 A KR 20110135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nnection
door lock
switching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동희
Original Assignee
조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희 filed Critical 조동희
Priority to KR102010005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5604A/en
Publication of KR2011013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6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by means of mobile telephon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are provid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in home by blocking power which is supplied from an electronic apparatus. CONSTITUTION: A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is comprised of steps: receiving a setting key through a door lock(S405);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to a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S410); bloc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ne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intercep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responding to a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switching on a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Description

도어락을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ing door lock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it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본원 발명은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을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ing a door lock, and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hereto.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와 같은 에너지 자원의 고갈에 따라서 에너지 자원 절약 및 대체 에너지 자원의 개발 문제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와 같은 에너지 자원의 이용으로 인하여, 지구 온난화, 오존층 파괴 등과 같은 환경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With the depletion of energy resources such as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the issue of energy resource saving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resources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social issue. In addition, due to the use of energy resources such as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ozone layer destruction, etc. are becoming more serious.

따라서, 에너지 절약 및 그에 따른 환경 오염의 방지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Therefore, energy saving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re therefore important issues.

가정 내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표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즉,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에너지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서버 장치 및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배선 구축이 필요하면, 이를 위하여 많이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A typical way to save energy in the home is to build a home network system to efficiently manage energy. In other words, by efficiently managing energy, energy use efficiency is increased. However, in order to construct a home networking system, if wire construction for configuring a server device and a network of the home networking system is required, this can be very expensive.

따라서, 사용자가 소정 공간(예를 들어, 가정, 사무실 등) 내에서 소비하는 전력 또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별도의 설비 및 큰 비용 지출 없이 전력 또는 에너지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의 제공이 요구된다. Accordingly, in order to save power or energy that a user consumes in a predetermined space (eg, home, office, etc.), an apparatus or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or energy without a separate facility and a large cost is required. Provision is required.

본 발명은 도어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인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waste of power that can occur in a home away from the user by using a door lock.

또한, 본 발명은 도어락을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at can be easily and easily implemented at a low cost by using a door lock and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도어락을 통하여 부재 설정 키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부재 설정 키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를 전력 공급 연결 소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스위칭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member setting key through the door lock;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mber setting key to a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And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being transmitted, switching off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such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신호를 전력 공급 연결 소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 설정 키를 상기 스위칭 신호로써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dvantageously, transmitting said switching signal to a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comprises transmitting said member setting key as said switching signal to said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신호를 전력 공급 연결 소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 설정 키 입력에 따라서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연결 해제 요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transmitting of the switching signal to a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comprises: generating a disconnect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absence setting key input;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The switching signal may be the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차단된 것을 해제하기 위한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스위칭 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outpu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releas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is blocked; And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switching o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을 통하여 사용자 부재 설정 해제 키를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입문으로 상기 도어락이 잠금 해제되면, 상기 부재 설정 해제 키 또는 상기 잠금 해제에 따라서 상기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outputting of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when the user member setting release key is input through the door lock or the door lock is unlocked by the user's introduction, the connec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member setting release key or the lock release. Outputting a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은, 도어락 및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하기 위한 전력 공급 연결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 조작 키를 포함하는 개폐 조작 키 부 및 및 사용자의 부재를 확인하기 위한 부재 설정 키를 포함하는 부재 확인 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부재 설정 키 입력에 따라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스위칭 오프 되도록 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including a door lock and a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power supply, the door lock is at least for locking or unlocking A user input unit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key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key and a member confirmation unit including a member setting key for identifying a member of the user;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witching signal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member setting key input; And a door lock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switchin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switching signal may be a signal for switching off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은 도어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인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waste of power that can occur in a home away from the user by using a door loc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은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과 통신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door lock and a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door lock simply and easily at a low cost and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락의 사용자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user input unit of the door lock of FIG. 2.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by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the simple te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은 도어락(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lock 11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120 may be further included.

도어락(door lock)은 문(door)(105)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을 문틀에 고정시키거나 문틀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보안용 개폐 장치이다.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도어락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어락은 작동 방식에 따라서 전자식(디지털 방식) 도어락 또는 기계식 도어락이 있다. A door lock is a security opening and closing device mounted on a door 105 to fix the door to the door frame or release the state fixed to the door fram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urrently, door locks are widely used in homes and offices. The door lock may be an electronic (digital) door lock or a mechanical door lock depending on the manner of operation.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 또는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보안성이 낮은 문제로 인하여 현재에는 전자식 도어락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the case of mechanical door locks, electronic door locks are currently widely used due to problems in which users are uncomfortable to operate or use and have low security.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락(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112)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111)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키들(112)이 조작됨에 따라서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 키들을 포함하는 키 세트, 지문 입력 기판, 또는 전자식 카드 접촉 기판 등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oor lock 110 includes a user input unit 111 including at least one key 112, and performs a opening / closing operation as a plurality of keys 112 are operated. Here, the user input unit 111 may be formed of a key set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numbers, letters, or symbol keys, a fingerprint input board, an electronic card contact board, or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1)가 키 세트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는 초기에 설정한 숫자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를 키 세트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도어락(110)이 열리도록(잠금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입력부(111)가 지문 입력 기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는 초기에 등록한 지문에 대응되는 손가락을 지문 입력 기판에 접촉함으로써, 도어락(110)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unit 111 is formed of a key set, the user may input the password, which is initially set through the key set, to allow the door lock 110 to be opened (unlock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unit 111 is formed of a fingerprint input substrate, the user may allow the door lock 110 to open by contacting the fingerprint input substrate with a finger corresponding to the fingerprint registered initially.

도 1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11)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 키들(112)을 포함하는 키 세트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였다.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input unit 111 is formed of a key set including at least one numeric, character, or symbol key 112.

그리고,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는 컨센트(concentic plug)가 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가 컨센트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onnecting device 120 may be a power plug. In FIG. 1, the power supply connecting device 120 is a power outlet.

전력 공급 연결 소자인 컨센트(120)는 전력 공급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들(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한 소자이다. 컨센트(120)는 전력 공급원과 하나의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단일 컨센트, 또는 전력 공급원과 다수개의 전자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컨센트 등이 있다. 도 1에서는 전력 공급원과 최대 3개의 전자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는 컨센트(120)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The outlet 120, which is a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is a device for connecting a power supply to at least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not shown). The outlet 120 may be a single outlet for connecting a power source and one electronic device, or a multi-outlet for connecting a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 FIG. 1, an outlet 120 capable of connecting a power supply and up to three electronic devices is illustrated.

컨센트(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 연결 소켓(131)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연결부(130), 연결 배선(140), 및 전력 공급원 연결 플러그(152)를 포함하는 전력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let 120 may include a power connection unit 150 including an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unit 130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ockets 131, a connection line 140, and a power source connection plug 152. Can be.

전력 공급원은 소정 공간(예로 들어, 하나의 도어락에 의하여 출입할 수 있는 공간)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들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기 공급원을 뜻한다. 도 1에서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원 소켓(160)으로 전력 공급원을 표현하였다. The power supply source refers to an electricity supply source capable of supplying electricity to at least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for example, a space accessible by one door lock). In FIG. 1, a power supply source is represented as a power socket 160 for power supply.

도어락(110)과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는 무선 통신(170)을 통하여 연결 해제 요청 신호 및 연결 요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door lock 110 and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a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and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170.

도 1의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이하의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of Figur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3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210)은 제어부(215), 사용자 입력부(220), 및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door lock 210 may include a controller 215, a user input unit 220, and a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사용자 입력부(22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user input unit 2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2의 도어락의 사용자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 user input unit of the door lock of FIG. 2.

도 3에 있어서, 300 구성은 소정 공간(예를 들어, 가정)의 바깥 쪽에 형성되는 문에 배치된 도어락의 외관을 나타내며, 350 구성은 소정 공간(예를 들어, 가정)의 안 쪽에 형성되는 문에 배치된 도어락의 외관을 나타낸다. In FIG. 3, the 300 configuration represents the appearance of the door lock disposed on the door formed out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eg, home), and the 350 configuration represents the door formed in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eg, home).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door lock arrange | positioned at is shown.

사용자 입력부(220, 305, 355)는 도어(105)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 조작 키를 포함하는 개폐 조작 키 부(310) 및 사용자의 부재를 확인하기 위한 부재 설정 키(321)를 포함하는 부재 확인 부(320)를 포함한다. The user input units 220, 305, and 355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key unit 310 including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key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105, and a member setting key 321 for checking the absence of the user. It includes a member identification unit 320 including a).

여기서, 부재 확인 부(320)는 소정 공간의 바깥 쪽에 형성되는 문에 형성되는 도어락(300)에 도 3의 300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소정 공간(예를 들어, 가정)의 안 쪽에 형성되는 문에 형성되는 도어락(350)에 도 3의 350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member identification unit 320 may be formed in the door lock 300 formed in the doo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300 of FIG. Alternatively, the door lock 350 may be formed in the door lock 350 formed in the door formed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eg, home), as shown in the 350 configuration of FIG. 3.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05)에 포함되는 개폐 조작 키 부(310)에 구비되는 소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소정 버튼에 대응되는 키들을 도어락(210)으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조작 키 부(310)는 사용자가 소정 공간(예를 들어, 가정) 내로 들어올 때 이용되므로, 소정 공간(예를 들어, 가정)의 바깥 쪽에 형성되는 문 상에 형성되는 도어락(300)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 공간으로 들어오려 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초기에 설정한 비밀 번호가 개폐 조작 키 부(310)의 조작을 통해 도어락(210)으로 입력됨으로써, 도어락(210)이 잠금 해제되게 된다. The user may input key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button into the door lock 210 by manipulating a predetermined button provided i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key unit 310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305.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key unit 310 is used when the user enters a predetermined space (for example, home), the door lock 300 is formed on the doo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redetermined space (for example, home) Is formed on the phase. For example, when the user tries to enter a predetermined space, the password initially set by the user is input to the door lock 21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key part 310, so that the door lock 210 is unlocked. Will be.

사용자 입력부(305)의 개폐 조작 키 부(310) 및 부재 확인 부(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 키들을 포함하는 키 세트, 지문 입력 기판, 또는 전자식 카드 접촉 기판 등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세트 내에 포함되는 키들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상에 형성되는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버튼 형태로 구비되는 하드 키(hard key)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key unit 310 and the member identification unit 320 of the user input unit 305 may include a key set, a fingerprint input board, or an electronic card contact including at least one numeric, character, or symbol key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made of a substrat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it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forms. In addition, the keys included in the key set may be formed of a soft key formed on a touch screen or a hard key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도 3에서는 사용자 입력부(305)의 개폐 조작 키 부(310) 및 부재 확인 부(3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문자, 또는 기호 키들을 포함하는 키 세트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였다.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key unit 310 and the member identification unit 320 of the user input unit 305 are formed of a key set including at least one numeric, character, or symbol key.

부재 설정 키(321)는 소정 공간 내에 모든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알리는 키로, 소정 공간(예를 들어, 가정) 내에 사용자가 아무도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스위칭 오프 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이다. The member setting key 321 is a key for notifying that all users are absent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member setting key 321 is a signal for switching of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when no user exists in the predetermined space (eg, a home).

부재 설정 키(321)가 입력되면,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를 통하여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가 스위칭 오프 되도록 하는 스위칭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가 스위칭 오프되면,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에 연결된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의 연결이 차단된다. When the member setting key 321 is input, a switching signal for switching of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250 is output through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Whe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is switched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is cut off.

여기서, 부재 설정키(321)가 입력됨에 따라서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는 부재 설정 키(321) 자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칭 신호는 부재 설정키(321)가 입력되면 생성되는 연결 해제 요청 신호가 될 수도 있다. 부재 설정 키(321)는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부(305) 조작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Here, the switching signal output as the member setting key 321 is input may be the member setting key 321 itself. In addition, the switching signal may be a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generated when the member setting key 321 is input. The member setting key 321 may be input by a user's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305.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부재 설정 키(321)를 누르거나 접촉하는 등의 조작을 하면, 상기 조작 동작에 따라 부재 설정 키(321)가 도어락(210)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215)에서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를 통하여 연결 해제 요청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출력된 연결 해제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가 스위칭 오프 된다. 구체적으로,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칭 부(270)가 턴 오프 된다. 즉, 연결 해제 요청 신호가 스위칭 부(270)를 턴 오프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되는 것이다.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가 스위칭 오프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의 연결이 차단된다. Specifically, when the user presses or contacts the member setting key 321, the member setting key 321 is input to the door lock 2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peration. Then, the controller 215 generates a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and controls the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250 is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output disconnect request signal. In detail, the switching unit 270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is turned off. That is, the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becom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switching unit 270. Whe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is switched of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또한, 제어부(215)는 부재 설정키(321)가 도어락(210)으로 입력되면, 부재 설정키(321)가 스위칭 신호로써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는 출력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오프된다. 즉, 출력된 부재 설정키(321) 자체가 스위칭 신호가 되며, 스위칭 부(270)를 턴 오프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락(210)이 부재 설정키(321)를 직접 출력하면, 전술한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ember setting key 321 is input to the door lock 210, the controller 215 may control the member setting key 321 to be output through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as a switching signal. The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250 is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output switching signal. That is, the output member setting key 321 itself becomes a switching signal and becom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switching unit 270. As such, when the door lock 210 directly outputs the member setting key 321, the above-described generating of the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may be omitted.

또한, 부재 확인 부(320)는 부재 설정 해제 키(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 설정 해제 키(323)는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키이다. 그리고, 연결 요청 신호는 사용자가 아무도 존재하지 않는 소정 공간(예를 들어, 가정)으로 사용자가 진입하게 된 경우, 부재 설정 키(321) 조작에 따라 스위칭 오프 된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다시 스위칭 온 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이다. In addition, the member checking unit 320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setting release key 323. The absence setting release key 323 is a control key for outpu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When the user enters a predetermined space (eg, a home) where no user exist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be switched on again when the switched-off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is switched 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member setting key 321. This is a signal to do.

또한, 부재 설정 해제 키(323)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개폐 조작 키 부(310)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도어락(210)이 잠금 해제되고 그에 따라 문(105)이 열린 경우, 상기 문 열림 또는 도어락(210)의 잠금 해제 동작이 이뤄짐에 따라서 연결 요청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락(210)이 잠금 해제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소정 공간 내로 진입하게 됨을 나타내므로, 부재 설정 해제 키(323)의 조작 없이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ember setting release key 323 may not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whe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key part 310 is operated by the user to unlock the door lock 210 and thus the door 105 is opene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be output as the door is opened or the lock release operation of the door lock 210 is performed. The unlocking of the door lock 210 indicates that the user enters a predetermined space, and thus output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without manipulation of the member setting release key 323.

제어부((215)는 부재 확인 키가 입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5)는 부재 확인 키가 사용자 입력부(220)를 통하여 입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스위칭 신호가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15 controls the switching signal to be output in response to the absence confirmation key being input.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15 controls the switch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absence confirmation key being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220. Control to be output through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와 소정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는 제어부(215)의 제어에 응답하여 스위칭 신호 또는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with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250. In detail,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outputs a switching signal or a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5.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는 인터페이스 부(255), 전원 연결부(260), 전자기기 연결부(265), 및 스위칭 부(270)를 포함한다.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includes an interface unit 255, a power connection unit 260, an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unit 265, and a switching unit 270.

인터페이스 부(255)는 도어락(210)과 소정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부(255)는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를 통하여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 및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The interface unit 255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with the door lock 210. In detail, the interface unit 255 receives a switching signal and a connection request signal output through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 및 인터페이스 부(255)는 무선 통신 모듈로써, 바람직하게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 및 인터페이스 부(255)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IR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루비(rubee)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이뤄질 수 있다.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and the interface unit 255 ar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may preferably b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and the interface unit 255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 IR communication module, an RF communication module, a ruby communication module,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여기서,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은 저전력, 초소형, 및 저가격 사양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이므로,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225) 및 인터페이스 부(255)를 지그비 통신 모듈로 구현할 경우, 최소 전력 및 최소 비용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Here, since the zigbee communication modul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roviding low power, small size, and low cost specifications, when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225 and the interface unit 255 are implemented as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the minimum power and minimum At a cost,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전력 연결부(260)는 전원 공급원(160)과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를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 도 1의 연결 플러그(1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connection unit 260 is a terminal fo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160 and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and may include the connection plug 152 of FIG. 1.

전자기기 연결부(265)는 전자기기와 전원 공급 연결 소자(250)를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 도 1의 연결 소켓(1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unit 265 is a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and may include the connection socket 131 of FIG. 1.

스위칭 부(270)는 전력 연결부(260)와 전자기기 연결부(265) 사이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부(270)는 전력 공급원과 전자기기의 연결을 차단 또는 설정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 인터페이스 부(255)를 통하여 전송되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고,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된다. The switching unit 270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connection unit 260 and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unit 265. In detail, the switching unit 270 is a switching element for cutting off or set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sour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 switching unit 270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55, and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t is turned on.

스위칭 부(270)는 전자 퓨즈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270 may be formed of an electronic fuse.

전력 공급 연결 소자의 블록 다이어그램(250)은 도 1에 도시된 컨센트(120)의 다수개의 전자기기 연결 소켓(131)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연결 부(13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연결 소자의 블록 다이어그램(250)은 전력 연결부(15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연결 소자의 블록 다이어그램(250)은 도 1의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 내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 및 형성될 수 있다. The block diagram 250 of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may be formed in an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portion 131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sockets 131 of the outlet 120 shown in FIG. In addition, a block diagram 250 o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may be formed in the power connection 150. In addition, the block diagram 250 o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may be arranged and form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120 of FIG.

또한,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로는 옥내 배선과 전력 공급원을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미도시)가 될 수 있다. 소정 공간 내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전원 소켓(160) 형태의 전력 공급 장치 이외에, 소정 공간을 설계 및 건축할 때 내부 옥내 배선을 형성하여 전력 공급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형광등과 같은 조명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건축물의 내부적으로 형성되는 옥내 배선을 통하여 전력 공급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는 이러한 옥내 배선과 조명 장치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120 may be a switching element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indoor wiring and the power supply source. In order to supply power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ddition to a power supply in the form of a power socket 160, an internal indoor wiring may be formed when a predetermined space is designed and built to form a power supply source. That is, the power supply source may be formed through indoor wirings that are internally formed in the building to supply power to lighting devi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Therefore,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120 may be a switch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such as indoor wiring and lighting devices.

전술한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와 연결되는 전자기기들은 사용자의 부재중에는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도 무관한 전자기기들이 된다. 즉, 작동중에 있지 않은 세탁기, 텔레비전, 컴퓨터, 오디오 등을 본 발명의 일 신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구비되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재중에도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안 되는 전자기기인 냉장고 등은 본 발명의 일 신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구비되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에 연결하지 않고, 일반 컨센트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120 are electronic devices that are irrelevant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in the absence of the user. That is, the washing machine, the television, the computer, the audio, etc. which are not in operation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120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refrigerator,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should not be cut off in the absence of a user,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120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nected to a general outlet. Will be avail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부재중에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120)를 스위칭 오프시켜 전력 공급원과 소정 전자기기들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전력 공급원과 전자기기들이 연결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witching of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120 in the absence of the user to cut off the connection of the power supply and the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s, it occurs when the power supply and the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his can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구성 도면 기호는 도 2에 기재된 도면 기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symbols used to describe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ymbols shown in FIG.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도어락(210)을 통하여 부재 설정 키를 입력받는다(405 단계).  Referring to 4,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member setting key through the door lock 210 (step 405).

입력된 부재 설정키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를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로 전송한다(410 단계). 여기서, 스위칭 신호는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와 연결되는 소정 전기기기들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를 스위칭 오프하도록 요청하는 신호가 된다. In operation 410, the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mber setting key is transmit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Here, the switching signal is a signal requesting to switch off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250 in order to block the power supply to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250.

전송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전력 공급 연결 소자(250)를 스위칭 오프한다(420 단계).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switching signal, the power supply connection device 250 is switched off (step 420) such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사용자 출입에 따라 도어락(210)이 잠금 해제되거나, 도어락(210)을 통하여 부재 설정 해제 키를 입력받는다(425 단계).The door lock 210 is unlocked or the member setting release key is input through the door lock 210 in step 425.

425 단계가 수행되면, 그에 따라서 420 단계에서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차단된 것을 해제하기 위하여,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 및 전송한다(430 단계). If step 425 is performed, accordingly, in step 420,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output and transmitted to release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source (step 430).

430 단계에서 전송된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스위칭 온 되어,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을 연결한다(435 단계).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in step 430,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is switched on to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step 43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과 기술적 사상 및 동작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technical spirit and operation configuration as th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inology)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skilled person in the relevant field, the definitions of which are used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based on.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5: 도어(door)
110, 210, 300: 도어락(door lock)
120, 250: 전력 공급 연결 소자
160: 전력 공급 소켓
215: 제어부
220: 사용자 입력부
225: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
255: 인터페이스 부
260: 전원 접속 단자
265: 전자기기 연결부
270: 스위칭 부
305: 키 세트
310: 개폐 조작 키 부
320: 부재 설정 키 부
105: door
110, 210, 300: door lock
120, 250: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160: power supply socket
215: control unit
220: user input unit
225: door lock interface unit
255: interface part
260: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265: electronics connection
270: switching unit
305: key set
310: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key part
320: part setting key part

Claims (12)

도어락을 통하여 부재 설정 키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상기 부재 설정 키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를 전력 공급 연결 소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스위칭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방법.
Receiving a member setting key through a door lock;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mber setting key to a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And
And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switching signal, switching off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전력 공급 연결 소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 설정 키를 상기 스위칭 신호로써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witching signal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And transmitting the member setting key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as the switching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전력 공급 연결 소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 설정 키 입력에 따라서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연결 해제 요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이용한 전력 공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witching signal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Generating a disconnect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absence setting key input;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disconnect request signal;
The switching signal is
The power supply method using a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release reques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차단된 것을 해제하기 위한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스위칭 온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utpu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releasing dis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a power supply source; And
And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switching the power supply connection element to a power supply using a door loc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을 통하여 부재 설정 해제 키를 입력받거나 상기 도어락이 잠금 해제되면, 상기 부재 설정 해제 키 또는 상기 잠금 해제에 따라서 상기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utputt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comprises:
And receiving the member setting release key through the door lock or outputt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member setting release key or the unlocking when the door lock is unlocked. Way.
도어락 및 전자기기와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하기 위한 전력 공급 연결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 조작 키를 포함하는 개폐 조작 키 부 및 및 사용자의 부재를 확인하기 위한 부재 설정 키를 포함하는 부재 확인 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부재 설정 키 입력에 따라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전력 공급원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가 스위칭 오프 되도록 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for connecting a door lock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a power supply,
The door lock
A user input unit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key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key for locking or unlocking, and a member identification unit including a member setting key for identifying a member of the user;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witching signal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member setting key input; 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door lock interface for outputting the switching signal,
The switching signal is
And a signal for switching off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부재 설정 키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재 설정 키가 상기 스위칭 신호로써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switching signal is
The member setting key;
The control unit
And the member setting key is output as the switching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재 설정 키 입력에 따라서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결 해제 요청 신호가 상기 스위칭 신호로써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generating a disconnect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absence setting key input and controlling the generated disconnect request signal to be output as the switching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확인 부는 부재 설정 해제 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부재 설정 해제 키를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입문으로 상기 도어락이 잠금 해제되면, 상기 부재 설정 해제 키 또는 상기 잠금 해제에 따라서 상기 연결 요청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어락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member confirming unit further includes a member setting release key.
The control unit
When the door lock is unlocked by receiving the user absence setting release key or entering the use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outputted according to the absence setting release key or release of the lock,
The door lock interface
And outputt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는
상기 스위칭 신호 또는 상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부;
상기 전력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
상기 소정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자기기 연결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와 상기 전자기기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오프 되고,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되는 스위칭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of claim 9, wherein
An interface unit to receive the switching signal or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 power conne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power supply;
An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And
And a switch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power connection unit and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unit, turned off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and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연결 소자는
콘센트(concentic plug) 또는 옥내 배선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스위칭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ower supply connecting element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element is formed connected to the outlet (concentic plug) or indoor wir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인터페이스 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IR 통신 모듈, RF 통신 모듈, 루비(rubee) 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oor lock interface unit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 IR communication module, an RF communication module, a ruby communication module, and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KR1020100055429A 2010-06-11 2010-06-11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KR201101356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429A KR20110135604A (en) 2010-06-11 2010-06-11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429A KR20110135604A (en) 2010-06-11 2010-06-11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604A true KR20110135604A (en) 2011-12-19

Family

ID=4550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429A KR20110135604A (en) 2010-06-11 2010-06-11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560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493A (en)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493A (en)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3208A1 (en) Wireles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building automation, lighting, security and appliances
CN109597314A (en) It is linked based on intelligent door lock and calls method and system, the smart home system of elevator
CN102664911A (en) Remote-management power informatio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473915A (en) Household appliance remote control device based on mobile phone Bluetooth technology
Sowah et al. Design of a secure wireless home automation system with an open home automation bus (OpenHAB 2) framework
CN102385327A (en) Control method for intelligent switch
KR20170010991A (en) Method for opening door lock using one-time password
EP2592810B1 (en) Terminal instrumentation node for a self-configuring and a secure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9537534B2 (en) Power line ethernet adaptor and power line ethernet communication kit
KR20110135604A (en) Controlling method for power supply by using a doorlock and controlling system for power supply thereof
JP4792912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ecurity system
CN202488501U (en) Remotely-managed electric power information network system
US7609153B2 (en) Control apparatus, security-supported device, power source control method for security-supported device and program
CN101321104A (en) Intelligent control local area network
CN106931719A (en) A kind of household electric refrigerator with bluetooth module
CN106304579A (en) A kind of intelligent control switch system
US20240047951A1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supply of power to loads
CN20572113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intellectual home control panel
CN209281507U (en) A kind of smart bluetooth access control system
TWI543488B (en) Integrated controller for electric apparatus
JP2009225357A (en) Intra-house energy management system
CN1012018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computer system host as well as computer system thereof
CN109358520B (en) Local dynamic unlocking system for smart home Internet of things
US20170310644A1 (en) Separated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3914002A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