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969A -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 Google Patents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969A
KR20110134969A KR1020100054629A KR20100054629A KR20110134969A KR 20110134969 A KR20110134969 A KR 20110134969A KR 1020100054629 A KR1020100054629 A KR 1020100054629A KR 20100054629 A KR20100054629 A KR 20100054629A KR 20110134969 A KR20110134969 A KR 20110134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ower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창순
황찬수
박종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4969A/en
Publication of KR2011013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9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LC-resonance circuit in the main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Abstract

PURPOSE: A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and eliminat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henomena affecting near electronic devices,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malfunction affecting the near electronic devices. CONSTITUTION: A receiving part(310)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ffecting near electronic devices.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part(320) performs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process which considers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part includes a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part which reduces a power amount which is being wirelessly transmitted. A wireless transmission part(330) wirelessly transmits power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process and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process. Th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process includes a matching parameter compris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part.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및 방법{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t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ECHNICAL FIELD

기술분야는 무선 전력을 전송할 때, 전력수신을 원하지 않는 주변기기로의 전자기 간섭 발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genera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a peripheral device that does not want to receive power when transmitting wireless power.

무선 전력전송에 대한 연구는 휴대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기기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유선전력공급의 불편함 증가 및 기존 battery 용량의 한계 봉착 등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하지만,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전력송신기로부터 나오는 전자기 관련 신호는 전력수신을 원하지 않는 주변기기에 전자기 간섭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research 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as begun to overcome the inconvenience of wired power supply due to the explosive increase of various electric devices including mobile devices and the limitation of existing battery capacity. However,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electromagnetic related signals from power transmitters may caus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ffects on peripheral devices that do not want to receive power.

즉, 전력송신기로부터 방출되는 자계 등 전자기 관련 에너지장이 전력을 수신하고자 하는 전력수신기뿐만 아니라 전력수신을 원하지 않는 주변기기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렇게 전자기 에너지로 인해 주변기기에 미치는 간섭을 전자기 간섭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전자파 장애) 이라고 한다. 전자기 간섭은 주변기기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거나 원하지 않는 전력수신, 잡음 및 여러가지 장애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력송신기로부터 방출되는 자장(magnetic field)의 변화는 정지한 주변기기의 도체에 전자기 유도현상으로 인한 전류를 발생시켜 비정상적인 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전력송신기에서 발생된 static한 자장은 휴대기기 등이 자장의 주변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휴대기기에 전류를 발생시켜 장애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력송신기와 전력수신을 원하지 않는 주변기기가 공진조건이 비슷하게 되면 자기 공진 커플링(magnetic resonance coupling)이 발생할 수도 있어, 주변기기에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That is, electromagnetic fields related to electromagnetic fields, such as magnetic fields emitted from power transmitters, may affect not only power receivers intended to receive power but also peripheral devices that do not want to receive power.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electromagnetic energy on the peripheral device is call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an interfere with the normal operation of peripherals or cause unwanted power reception, noise and various disturbances. Specifically,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emitted from the power transmitter may cause abnormal operation by generating a current due to electromagnetic induction to the conductor of a stationary peripheral device. In addition, the static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ower transmitter may cause a failure by generating current in the portable device even when the portable device moves around the magnetic field. In addition, when the power transmitter and peripheral devices that do not want to receive power have similar resonance conditions, magnetic resonance coupling may occur, which may cause malfun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s.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송신 전력 조절 장치는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을 고려한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전송 제어부 및 상기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어에 따른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a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a peripheral device to the peripheral devic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the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상기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전송부를 구성하는 매칭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상기 매칭 파라미터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값과 다른 값으로 변경하는 매칭 파라미터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a matching parameter constitu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matching parameter change unit which changes the matching parameter to a value different from a current value.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를 다른 공진 주파수로 변경하는 공진 주파수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resonance frequency changing unit for changing a resonance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nother resonance frequency.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상기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frequency hopping scheme changing unit that changes the resonance frequency in a frequency hopping scheme that periodically changes a frequency with respect to a resonance pattern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무선 전송되고 있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송신 전력 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being wirelessly transmitted.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이 미치는 주변기기의 방향으로는 전력 전송을 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의 방향을 변경하는 송신 전력 방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power direction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so as not to transmit power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상기 무선 전송부는 이동체를 이용하여 이동하며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transmitter may move by using a moving object and transmit power.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에 대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한 경우, 상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ipheral device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periodically measur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a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has increased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with respect to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the preset threshold value. If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s increased,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전송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방식과 매칭이 되도록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매칭부 및 상기 매칭된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를 포함한다. In one aspect, an adaptive receiving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h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ransmitted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 receiving And a matching unit controlling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to be matched to the schem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 power receiving unit receiving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matched scheme.

상기 매칭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변경된 매칭 파라미터에 대응하여 임피던스 매칭의 방식으로 상기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matching unit may control the power receiver in an impedance matching manner in response to a matching parameter chang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상기 매칭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변경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matching unit may change the frequency of the power receiver to match the resonance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resonance frequency chang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상기 매칭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적용된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호핑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전력 수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matching unit may change the frequency of the power receiver in the same manner as the hopping scheme in response to a frequency hopping scheme that periodically changes the frequ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appli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은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을 고려한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어에 따른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a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adjusting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a peripheral device to the peripheral device, considering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상기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매칭 파라미터의 변경, 공진 주파수의 변경, 주파수의 호핑 방식에 의한 공진 주파수의 변경, 송신 전력의 감소, 송신 전력 방향의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control through at least one of changing a matching parameter, changing a resonance frequency, changing a resonance frequency by a frequency hopping method, decreasing a transmission power, and changing a transmission power direction. Can be done.

상기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한 결과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performing first power transmission contro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perform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pdated from the peripheral devic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ontrol. Performing the second power transfer control based on the control method.

상기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매칭 파라미터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값과 다른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를 다른 공진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first power transfer control may include changing a matching parameter constituting th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to a value different from a value currently being used, and the performing of the second power transfer control may include updat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lated information, the resonant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an be changed to another resonant frequency.

상기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이 미치는 주변기기의 방향으로는 전력 전송을 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의 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상기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changing a direction of transmission power such that power is not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The performing of the control may change the resonant frequency in a frequency hopping manner in which the frequency is periodically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with respect to the resonant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pdat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에 대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한 경우, 상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ipheral device periodically measure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has increased above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the peripheral device with respect to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the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preset threshold value. If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s increased, the method may include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방법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전송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방식과 매칭이 되도록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 aspect, an adaptive receiving power adjusting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may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ransmitted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trolling the power receiver to match the schem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matched scheme.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무선전력송신기가 주변의 전기기기들에게 미칠 수 있는 전자기 간섭 현상을 감소 및 제거하여, 주변기기에 미치는 불필요한 오동작이나 원하지 않는 전력수신, 잡음 및 장애현상 발생을 방지한다.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reduces and eliminate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at may affect surrounding electrical devices,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malfunctions, unwanted power reception, noise, and disturbances on the peripheral devices.

도 1은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측에 따른 전력전송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측에 따른 meta-structured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진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일측에 따른 meta-structured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커패시터의 삽입 위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송수신 전력 조절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2 is a diagram show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3 is a block diagram of a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4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one side.
5 is a block diagram of an adaptive receiving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a-structured resonator according to one sid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resonator illustrated in FIG. 6.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a-structured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side.
9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capacitor of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adjusting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apti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wer adjusting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이하, 일측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무선 전력전송 기술을 설명한다.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크게 전자기 유도 방식, 전파 수신 방식, 전장 혹은 자장의 공진방식 등 3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Firs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us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radio wave reception method, electric field or magnetic field resonance method.

첫째, 전자기 유도 방식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코일을 가까이 접근 시킨 후 한쪽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자속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다른 코일 한쪽에도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다. 전자기 유도방식은 전력 이용 효율이 대략 60~98%에 이르는 등 고효율 및 실용화가 가장 많이 진행되어 있다.First,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uses a phenomenon in which magnetic flux is generated when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in one coil after approaching two different coils close to each other, and thus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other coil.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has the most high efficiency and practical use, such as the power utilization efficiency is approximately 60-98%.

둘째, 전파 수신 방식은 전파 에너지를 안테나로 수신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교류 전파 파형을 정류회로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전력을 얻는다. 전파수신방식은 가장 긴 거리간(수 m 이상)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다.Second, in the radio wave reception method, radio wave energy is received and used by an antenna to convert an AC radio wave waveform into a direct current through a rectifier circuit to obtain power. Radio reception method is capable of transmitting wireless power over the longest distance (above several meters).

셋째, 공진방식은 전장 혹은 자장의 공진을 이용한 것으로 기기간에 동일 주파수로 공진하여 에너지를 전달한다. 자장의 공진을 이용하는 경우 LC공진기 구조를 활용한 자계공진(magnetic resonance coupling)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킨다. 자계공진방식은 사용 주파수의 파장에 비해 짧은 거리의 근접장(near field)효과를 이용하는 기술로써, 전파 수신 방식과는 달리 비방사형(non-radiative) 에너지 전송이며, 송수신부간의 공진주파수를 일치시켜 전력을 전송한다. 자계공진방식을 통해 전력 전송효율은 약 50~60% 정도로 높아지며, 이 정도의 효율은 전파 방사를 통한 전파 수신형 보다 상당히 높은 것이다. 송수신기간 거리는 약 수 m로써, 비록 전파 수신 방식보다는 근거리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나, 수 mm 이내의 전자 유도형 방식보다는 매우 먼 거리에서도 전력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Third, the resonance method uses resonance of an electric field or a magnetic field, and transmits energy by resonating at the same frequency between devices. In case of using the resonance of the magnetic field, electric power is generated by using magnetic resonance coupling using the LC resonator structure.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is a technology that uses a near field effect of a short distance compared to the wavelength of the used frequency. Unlike the radio wave reception method, it is a non-radiative energy transmission, and matches the resonance frequency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Send it.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increases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about 50 ~ 60%, which is much higher than the radio wave reception type through radio wave radiation. Alth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eriod distance is about several meters, although the technique used in the near field rather than the radio wave reception method, the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at a far distance tha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within a few mm.

도 1은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도 1의 예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은 공진 전력(resonance power)이라 가정한다. In the example of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resonance power.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와 타겟으로 구성되는 소스-타겟 구조이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에 해당하는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와 타겟에 해당하는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a source-target structure consisting of a source and a target. That i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resonance power transmitter 110 corresponding to a source and a resonance power receiver 120 corresponding to a target.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는 외부의 전압 공급기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스부(111) 및 소스 공진기(115)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의 전압 공급원은 AC, DC 및 배터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는 공진주파수 또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는 공진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resonance power transmitter 110 includes a source unit 111 and a source resonator 115 that generate energy by receiving energy from an external voltage supply device. In this case, the external voltage source may be AC, DC, a battery,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esonanc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10 may further include a matching control 113 that performs resonance frequency or impedance matching. In addition, the resonance power transmitter 110 may transmit data to the resonance power receiver 120 using the resonance frequency band.

소스부(111)는 외부의 전압 공급기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킨다. 소스부(111)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신호의 신호 레벨을 원하는 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AC-AC Converter, AC-AC Converter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정류함으로써 일정 레벨의 DC 전압을 출력하는 AC-DC Converter, AC-DC Converter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을 고속 스위칭함으로써 수 MHz ~ 수십MHz 대역의 AC 신호를 생성하는 DC-AC 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스부(111)는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이동체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타겟부(125)에 공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부(111)는 이동하는 로봇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The source unit 111 receives energy from an external voltage supply to generate resonance power. The source unit 111 rectifies an AC signal output from an AC-AC converter or an AC-AC converter for adjusting a signal level of an AC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to a desired level, thereby outputting a DC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It can include a DC-AC Inverter that generates an AC signal of several MHz to several tens of MHz band by fast switch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DC converter and the AC-DC converter. In addition, the source unit 111 may transmit the idle power to the target unit 125 while moving through the moving object rather than at a fixed position. For example, the source unit 111 may be included in a moving robot device.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소스 공진기(115)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소스 공진 대역폭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또는 소스 매칭 주파수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소스 공진 대역폭 설정부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한다. 소스 매칭 주파수 설정부는 소스 공진기(115)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소스 공진기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설정에 따라서 소스 공진기(115)의 Q-factor가 결정될 수 있다.The matching control 113 sets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source resonator 115 or the impedance matching frequency of the source resonator 115. The matching control unit 113 includes at least one of a source resonance bandwidth setting unit (not shown) or a source matching frequency setting unit (not shown). The source resonant bandwidth setting unit sets a resonance bandwidth of the source resonator 115. The source matching frequency setting unit sets the impedance matching frequency of the source resonator 115. In this case, the Q-factor of the source resonator 115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source resonator or the impedance matching frequency of the source resonator.

소스 공진기(115)는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타겟 공진기로 전달(transferring)한다. 즉, 소스 공진기(115)는 타겟 공진기(121)와의 마그네틱 커플링(101)을 통해 공진 전력을 타겟 장치(120)로 전달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115)는 설정된 공진 대역폭 내에서 공진한다.The source resonator 115 transfers electromagnetic energy to the target resonator. That is, the source resonator 115 transmits the resonance power to the target device 120 through the magnetic coupling 101 with the target resonator 121. At this time, the source resonator 115 resonates within the set resonance bandwidth.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는 타겟 공진기(121), 공진주파수 또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Matching control부(123) 및 수신된 공진 전력을 부하로 전달하기 위한 타겟부(125)를 포함한다. 또한,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는 공진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The resonance power receiver 120 includes a target resonator 121, a matching control unit 123 for performing resonance frequency or impedance matching, and a target unit 125 for transferring the received resonance power to a load. In addition, the resonance power receiver 120 may receive data from the resonance power transmitter 110 using the resonance frequency band.

타겟 공진기(121)는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수신한다. 이때, 타겟 공진기(121)는 설정된 공진 대역폭 내에서 공진한다.The target resonator 121 receives electromagnetic energy from the source resonator 115. At this time, the target resonator 121 resonates within the set resonance bandwidth.

Matching control부(123)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Matching control부(123)는 타겟 공진 대역폭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또는 타겟 매칭 주파수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타겟 공진 대역폭 설정부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한다. 타겟 매칭 주파수 설정부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때,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설정에 따라서 타겟 공진기(121)의 Q-factor가 결정될 수 있다.The matching control unit 123 sets at least one of a resonance bandwidth of the target resonator 121 or an impedance matching frequency of the target resonator 121. The matching control unit 123 includes at least one of a target resonance bandwidth setting unit (not shown) or a target matching frequency setting unit (not shown). The target resonance bandwidth setting unit sets a resonance bandwidth of the target resonator 121. The target matching frequency setting unit sets the impedance matching frequency of the target resonator 121. In this case, the Q-factor of the target resonator 12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target resonator 121 or the impedance matching frequency of the target resonator 121.

타겟부(125)는 수신된 공진 전력을 부하로 전달한다. 이때, 타겟부(125)는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타겟 공진기(121)로 수신되는 AC 신호를 정류하여 DC 신호를 생성하는 AC-DC Converter와, DC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정격 전압을 디바이스(device) 또는 부하(load)로 공급하는 DC-DC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부하에는 디지털 액자, 스피커, 청소기, 드라이기, 면도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가전제품, 노트북 PC, 컴퓨터 및 그 주변기기, 그리고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player, PDA 등 각종 휴대기기, 이밖에 펨토셀 기지국, 다양한 센서 및 조명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arget unit 125 transfers the received resonance power to the load. At this time, the target unit 125 rectifies an AC signal received from the source resonator 115 to the target resonator 121 to generate a DC signal, and an AC-DC converter to adjust the signal level of the DC signal to adjust the device voltage. It may include a DC-DC converter that supplies a device or a load. The load capable of receiving the resonance power includes various home appliances including a digital photo frame, a speaker, a vacuum cleaner, a dryer, a shaver, a laptop PC, a computer, a peripheral device thereof, a mobile phone,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n MP3 player, a PDA, and various portable devices. The device, in addition to the femtocell base station, various sensors and lighting equipment may be included.

소스 공진기(115) 및 타겟 공진기(121)는 헬릭스(helix)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스파이럴(spiral)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meta-structured 공진기로 구성될 수 있다. meta-structured 공진기에 대한 설명은 도 6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source resonator 115 and the target resonator 121 may be configured as a helix coil structure resonator, a spiral coil structure resonator, or a meta-structured resonator. The meta-structured resona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도 1을 참조하면, 큐-펙터의 제어 과정은,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및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을 설정하고,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상기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상기 타겟 공진기(121)로 전달(transferr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은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이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됨으로써, 소스 공진기의 BW-factor와 상기 타겟 공진기의 BW-factor는 서로 불평형(unbalance) 관계가 유지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process of the cue-factor sets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source resonator 115 and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target resonator 121, and the source resonator 115 and the target resonator 121. And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energy from the source resonator 115 to the target resonator 121 through magnetic coupling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source resonator 115 may be set to be wider or narrower than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target resonator 121. That is, since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source resonator 115 is set wider or narrower than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target resonator 121, the BW-factor of the source resonator and the BW-factor of the target resonator are maintained in an unbalanced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서, 공진 대역폭은 중요한 factor이다.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반사 신호 등을 모두 고려한 Q-factor를 Qt라 할 때, Qt는 수학식 1과 같이 공진 대역폭과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In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resonance bandwidth is an important factor. When Qt is a Q-factor that considers the distance change between the source resonator 115 and the target resonator 121, the change in the resonance impedance, the impedance mismatch, the reflected signal, and the like, Qt is equal to the resonance bandwidth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Have an inverse relationship.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f0는 중심주파수,

Figure pat00002
는 대역폭,
Figure pat00003
는 공진기 사이의 반사 손실, BWS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 BWD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BW-factor는 1/ BWS 또는 1/BWD를 의미한다.In Equation 1, f0 is the center frequency,
Figure pat00002
Is the bandwidth,
Figure pat00003
Is the reflection loss between the resonators, BW S is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source resonator 115, BW D is the resonance bandwidth of the target resonator 121.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W-factor means 1 / BW S or 1 / BW D.

한편,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간의 거리가 달라지거나, 둘 중 하나의 위치가 변하는 등의 외부 영향에 의하여,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간의 임피던스 미스 매칭이 발생할 수 있다. 임피던스 미스 매칭은 전력 전달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전송신호의 일부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함으로써, 임피던스 미스 매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반사파의 파형 분석을 통해 공진 포인트를 검출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반사파의 파형에서 진폭(amplitude)이 최소인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mpedance mismatching between the source resonator 115 and the target resonator 121 may occur due to external influences such as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source resonator 115 and the target resonator 121 or a change in one of the two positions. Can be. Impedance mismatch can be a direct cause of reducing the efficiency of power delivery. The matching control 113 may determine that impedance mismatch has occurred by sensing a reflected wave in which a part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reflected and return, and perform impedance matching. In addition, the matching control 113 may change the resonance frequency by detecting the resonance point through the waveform analysis of the reflected wave. Here, the matching control 113 may determine a frequency having a minimum amplitude as the resonance frequency in the waveform of the reflected wave.

즉,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는 공진 전력 수신 장치 (120)와 전력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교환도 가능하며 전력전송용 주파수대역을 동시에 같이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적인 주파수대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는 전력을 수신하여 부하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에서 방출된 에너지 장은 주변 시스템에 여러 가지 불필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That is, the resonant power transmitter 110 may exchange not only power but also data with the resonant power receiver 120, and may simultaneously use the power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r use a separate independent frequency band. The resonance power receiver 120 receives power and supplies the load to the load. In this case, the energy field emitted from the resonance power transmitter 110 may have various unnecessary effects on the peripheral system.

도 2는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도 2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 및 상기 전자기 간섭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교환을 나타낸다. 주변기기는 자신에게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측정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데이터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보고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주변기기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직, 간접적으로 전자기 간섭을 받는 전기기기를 의미한다.2 illustrate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a peripheral devi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exchange to solv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e peripheral device measure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ffecting itself and reports data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so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n adjust power. Here, the peripheral device refers to an electric device that receive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먼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주변기기간에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함을 전제한다. 주변기기는 자신에게 미치는 전자기간섭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모니터링한다. 측정된 결과의 모니터링은 주변기기의 정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기기내의 전류의 세기, 소모되는 전력의 크기 등을 관찰하여 비정상적인 수치가 관찰되거나, 기기내의 오동작 발생여부를 관찰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변기기는 상기 방법을 통하여 전자기 간섭을 모니터링 한 결과 이상징후가 관찰되면 상기 전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 간섭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기 간섭(EMI) 감소요청 신호 혹은 전자기 간섭(EMI) 발생기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기 간섭(EMI) 감소요청 신호의 송신은 예를 들면, 주변기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전자기 간섭이 증가했다고 판단하면 전자기 간섭(EMI) 감소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만약 기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다면 송신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First, it is assumed that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peripheral period. Peripheral devices periodically measure the electronic interference on them and monitor the measured results. The monitoring of the measured results may be performed by observing an abnormal value or observing a malfunction in the device by observing the strength of the current in the device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f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The periphera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en an abnormality is observed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request signal or location information of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generator.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peripheral device determines that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has increased by more than a preset threshold,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If not, you can use the method of not transmitting.

도 3은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도 3을 참조하면, 적응적 송신 전력 조절 장치는 수신부(310), 전력 전송 제어부(320), 무선 전송부(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adaptive transmission power adjusting apparatus includes a receiver 310, a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320, and a wireless transmitter 330.

수신부(310)는 주변기기로부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주변기기는 주기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측정하고 모니터링 한다.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주변기기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부(310)는 주변기기로부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는 전자기 간섭(EMI) 감소요청 신호 혹은 전자기 간섭(EMI) 발생기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310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the peripheral device to the peripheral device. Peripherals periodically measure and monit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wireless power transmitters. When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peripheral device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refore, the receiver 310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the peripheral devic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request signal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generator.

또한, 전력 전송 제어부(320)는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기 간섭을 고려한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한다.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는 주변기기로부터 전자기 간섭 감소요청 신호, 전자기 간섭이 발생하는 주변기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 제어부(320)는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 제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전송 제어의 다양한 수행 방법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performs power transmission control consider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du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peripheral devi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wher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ccurs, and the lik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may perform power transmission control in various ways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Various methods of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또한, 무선 전송부(330)는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 및 제어에 따른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무선 전송부(330)는 전자기 간섭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여기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는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전력 전송 제어부(320)에서 적용된 방식으로 매칭 파라미터의 변경, 주파수의 변경, 주파수의 호핑 방식에 의한 변경, 송신 전력의 감소, 송신 전력 방향의 변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는 무선 전송부(330)를 구성하는 매칭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파라미터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공진 주파수를 형성하는 임피던스, 리액턴스와 관련된 물리적 소자 값들을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transmitter 330 wirelessly transmits information on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wireless transmitter 33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sed to redu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is a method applied by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to reduc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the change of the matching parameter, the change of frequency, the change by the frequency hopping method, the decrease of the transmission power, the transmission power Change in orient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a matching parameter constituting the wireless transmitter 330. The matching parameter may refer to physical element values related to impedance and reactance that form a resonance frequ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또한, 무선 전송부(33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송부(330)는 이동체를 통하여 이동하며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고정된 위치에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체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영역에서 이동하면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로봇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transmitter 330 may transmit power or data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 addition, the wireless transmitter 330 may move through the moving object and transmit power. That is, instead of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t a fixed position, power may be transmitted while moving in a predetermined area to be movable using a moving object. In this case, 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robot device.

또한, 수신부(310)에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주변기기는 측정부, 판단부,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는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전자기 간섭을 측정함에 있어서 주변기기의 정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기기내의 전류의 세기, 소모되는 전력의 크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판단부는 측정된 전자기 간섭에 대하여 주변기기에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각 주변기기마다 정상적인 동작 가능 범위의 전자기 간섭에 대한 임계값이 기 설정될 수 있다. 정보 전송부는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측정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한 경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는 전자기 간섭(EMI) 감소요청 신호 혹은 전자기 간섭(EMI) 발생기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ipheral device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receiver 310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determination uni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e measurement unit may periodically measur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In measur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current in the device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necessary f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creased by more than a threshold value set in the peripheral device with respect to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or each peripheral device, a threshol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normal operable range may be preset. The information transmitter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hen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creases from the preset threshol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request signal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generator.

도 4는 일측에 따른 전력 전송 제어부(320)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according to one side.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전송 제어부(320)는 매칭 파라미터 변경부(410), 공진 주파수 변경부(420), 주파수 호핑 방식 변경부(430), 송신 전력 감소부(440), 송신 전력 방향 변경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includes a matching parameter change unit 410, a resonance frequency change unit 420, a frequency hopping scheme change unit 430, a transmission power reducer 440, and a change in the transmission power direction. It may include a portion 450.

매칭 파라미터 변경부(410)는 무선 전송부(330)를 구성하는 매칭 파라미터(임피던스, 리액턴스)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값과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매칭 파라미터는 현재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의 세기, 공진을 일으키는 주파수, 방출되는 자장 등과 관련된 물리적 값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무선 전송부(330)를 구성하는 회로의 저항, 인덕터,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임피던스, 리액턴스 성분일 수 있다. 매칭 파라미터 변경부(410)는 매칭 파라미터를 변경함에 따라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 및 주변기기로의 전력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matching parameter changing unit 410 may change the matching parameter (impedance, reactance) constituting the wireless transmitter 330 to a value different from that currently used. The matching parameter refers to physical values related to the strength of the power currentl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e frequency causing resonance, the magnetic field emitted, and the like. For example, an impedance and a reactance component including a resistor, an inductor, and a capacitor of a circuit constituting the wireless transmitter 330 may be included. The matching parameter changing unit 410 may reduc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and the amount of power transmission to the peripheral device as the matching parameter is changed.

또한, 공진 주파수 변경부(420)는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를 다른 공진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의 변경은 주변기기로 약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던 공진 현상들의 전자기 간섭 및 주변기기로의 전력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onant frequency changing unit 420 may change the resonant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nother resonant frequency. Changing the resonant frequency can reduc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power transmission to the peripheral devices of the resonance phenomena that were weakly affecting the peripheral devices.

또한, 주파수 호핑 방식 변경부(430)는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상기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주파수 호핑에서 일정 패턴이라 함은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대역폭으로 반복해서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주파수 호핑 방식은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주파수 호핑 방식 변경부(430)는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특정한 주변기기와 공진 주파수가 일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에서 동일한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인증된 전력 수신 장치에만 전력을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equency hopping scheme changing unit 430 may change the resonance frequency in a frequency hopping scheme in which the frequency is periodically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with respect to the resonance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constant pattern in frequency hopping may mean changing the frequency repeatedly with a predetermined bandwidth in a preset frequency band. The frequency hopping method may use a spread spectrum method. The frequency hopping method changing unit 430 may prevent the resonance frequency of a specific peripheral device from coinciding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by changing the resonance frequency. In addition, security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power to be transmitted only to a power receiving device that is authenticated by the same frequency hopping method in power transmission.

또한, 송신 전력 감소부(440)는 무선 전송되고 있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송신 전력 감소부(440)는 주변기기로 원하지 않는 전력 전송을 피하기 위해 송신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송신 전력 감소부(440)는 전력 수신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수신을 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전력량을 감소 시킬 수 있으므로 주변기기로의 전자기 간섭이 치명적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unit 440 may reduce the amount of power being wirelessly transmitted. The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unit 440 may reduce power transmitted to avoid unwanted power transmission to the peripheral device. The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unit 440 may reduce the amount of power receiv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for receiving power, and thus may be used wh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a peripheral device is fatal.

또한, 송신 전력 방향 변경부(450)는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이 미치는 주변기기의 방향으로는 전력 전송을 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는 전자기 간섭을 받는 주변기기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력 방향 변경부(450)는 주변기기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기기의 방향으로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 방향 변경부(450)는 주 송신 장치와 부 송신 장치로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전력 전송을 요청받은 경우에만 부 송신 장치를 통하여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송신 전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부 송신 장치는 주 송신 장치 주변에 복수 개 위치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전력 전송을 요청받은 부 송신 장치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주 송신 장치와 부 송신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송신 장치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전력 전송을 요청받은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방향으로 부 송신 장치가 회전하고, 주 송신 장치는 부 송신 장치를 통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ower direction changing unit 450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so as not to transmit power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subjec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e transmission power direction changing unit 450 may change the direction so that power is not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ower direction changing unit 450 transmits power through the secondary transmission device only when power transmission is reques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the primary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econdary transmission device. You can change the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ary transmitting apparatus may operate only the secondary transmitting apparatus that is located in a plurality of surroundings of the primary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es power transmission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main transmitter and the sub-transmitt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transmitter receives a request for power transmission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e secondary transmitte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e main transmitt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ary transmitter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또한, 전력 전송 제어부(320)에서 적용되는 제어 방법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혹은 여러 방법들이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전력 전송 제어부(320)는 매칭 파라미터 변경 후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다시 고려하여 주파수 변경의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사용될 경우, 먼저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사용되고 난 후, 주변기기로의 전자기 간섭 잔존여부를 다시 확인하고 그 다음의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효율적인 방법이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구현하기에 복잡도가 낮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간에 전력 송수신효율이 높게 유지될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s applied by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may be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several methods may be used sequentially.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may apply the method of changing the frequency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after changing the matching parameter. If the control method is used sequentially, first the most efficient method is used, and then check again whether there i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maining in the peripheral device, and then use the next efficient method. Here, the efficient method means a method that is low in complexity, relatively inexpensive to implement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aintains high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betwe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s.

도 5는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adaptive receiving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도 5를 참조하면,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장치는 수신부(510), 매칭부(520), 전력 수신부(5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adaptive reception power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receiver 510, a matching unit 520, and a power receiver 530.

수신부(51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전송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는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전력 전송 제어부(320)에서 적용된 방식으로 매칭 파라미터의 변경, 주파수의 변경, 주파수의 호핑 방식에 의한 변경, 송신 전력의 감소, 송신 전력 방향의 변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510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320 in order to reduc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such as changing the matching parameter, the frequency, the frequency hopping method, the transmission power decrease, the transmission power direction It may include a change of.

또한, 매칭부(520)는 수신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방식과 매칭이 되도록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한다. 매칭부(520)는 수신된 전력 전송 제어 방식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력 제어 방식에 따라 매칭이 되도록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한다. 따라서, 매칭부(52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적용된 매칭 파라미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전력을 최대로 수신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52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변경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전력 수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52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적용된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호핑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력 수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매칭부(52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적용된 전송 제어 방식과 매칭이 되도록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송수신 장치간에 전력 송수신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tching unit 520 controls the power receiver to match the schem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power transmission control. Since the matching unit 520 may have various power transmission control schemes, the matching unit 520 controls the power receiver to be match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scheme. Therefore, the matching unit 520 may match the impedance so as to receive the maximum power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matching parameter appli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addition, the matching unit 520 may change the frequency of the power receiver to match the resonance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resonance frequency chang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addition, the matching unit 520 may change the frequency of the power receiver in the same manner as the hopp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hopping scheme in which the frequency is periodically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appli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 matching unit 520 may continuously control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between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by controlling the power reception device to be matched with th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ppli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또한, 전력 수신부(530)는 매칭된 방식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전력 수신부(530)는 매칭된 상태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전력 송수신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receiver 530 receive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matched scheme. The power receiver 530 may continuously maintain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by receiving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a matched state.

도 6는 일측에 따른 meta-structured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a-structured resonator according to one side.

도 6을 참조하면, meta-structured 공진기는 전송 선로(610) 및 커패시터(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패시터(620)는 전송 선로(610)의 특정 위치에 직렬로 삽입되고, 전계(electric field)는 커패시터에 갇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meta-structured resonator includes a transmission line 610 and a capacitor 620. Here, the capacitor 620 is inserted in series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610, and the electric field is trapped in the capacitor.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ta-structured 공진기는 3차원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공진기는 전송 선로가 x, z평면에 배치된 2차원 구조로의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meta-structured resonator has a form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nlike the illustrated in FIG. 6, the resonator may be implemented in a two-dimensional structure in which transmission lines are arranged in x and z planes.

커패시터(62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예를 들어 interdigital 커패시터나 높은 유전율을 갖는 기판을 가운데다 둔 gap 커패시터 등의 형태로 전송 선로(610)에 삽입된다. 커패시터(620)가 전송 선로(61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공진기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capacitor 620 is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line 610 in the form of a lumped element and a distributed element, for example, an interdigital capacitor or a gap capacitor centered on a substrate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As the 620 is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line 610, the resonator may have a metamaterial characteristic.

여기서, 메타물질이란 자연에서 발견될 수 없는 특별한 전기적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인공적으로 설계된 구조를 갖는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의 전자기 특성은 고유의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지며, 대부분의 물질들은 양의 유전율 및 양의 투자율을 갖는다. 대부분의 물질들에서 전계, 자계 및 포인팅 벡터에는 오른손 법칙이 적용되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RHM(Right Handed Material)이라고 한다. 그러나, 메타물질은 1보다 작은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진 물질로서, 유전율 또는 투자율의 부호에 따라 ENG(epsilon negative) 물질, MNG(mu negative) 물질, DNG(double negative) 물질, NRI(negative refractive index) 물질, LH(left-handed) 물질 등으로 분류된다.Here, the metamaterial is a material having special electrical properties that cannot be found in nature, and has an artificially designed structure.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all materials in nature have inherent permittivity or permeability, and most materials have positive permittivity and positive permeability. In most materials, the right-hand rule applies to electric fields, magnetic fields and pointing vectors, so these materials are called RHM (Right Handed Material). However, metamaterials are materials with a permittivity or permeability of less than 1, and according to the sign of permittivity or permeability, ENG (epsilon negative) material, MNG (mu negative) material, DNG (double negative) material, NRI (negative refractive index) Substances, and left-handed (LH) substances.

이 때, 집중 소자로서 삽입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적절히 정해지는 경우, 상기 공진기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공진기는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는 MNG 공진기로 불려질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inserted as the lumped element is properly determined, the resonator ma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material. In particular,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the resonator may have a negative permeability, so that the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MNG resonator.

상기 MNG 공진기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가 0일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MNG 공진기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는 MNG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에 대해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MNG 공진기에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커패시터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MNG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The MNG resonator may have a zero-order resonance characteristic having a frequency when the propagation constant is 0 as a resonance frequency. Since the MNG resonator may have a zeroth resonance characteristic, the resonant frequency may be independent of the physical size of the MNG resonator.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in order to change the resonant frequency in the MNG resonator, it is sufficient to design the capacitor appropriately, so that the physical size of the MNG resonator may not be changed.

또한, 근접 필드(near field)에서 전계는 전송 선로(610)에 삽입된 직렬 커패시터(620)에 집중되므로, 직렬 커패시터(620)로 인하여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magnetic field)가 도미넌트(dominant)해진다. In addition, in the near field,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the series capacitor 620 inserted in the transmission line 610, so that the magnetic field is dominant in the near field due to the series capacitor 620.

또한, MNG 공진기는 집중 소자로의 커패시터(620)을 이용하여 높은 큐-팩터(Q-Factor)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NG resonator may have a high Q-factor by using the capacitor 620 as the lumped element,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wer transmission.

또한, MNG 공진기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매칭기(630)는 MNG 공진기와의 결합을 위해 자계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 가능(tunable)하고, 매칭기(630)에 의해 MNG 공진기의 임피던스는 조절된다. 그리고, 전류는 커넥터(640)를 통하여 MNG 공진기로 유입되거나 MNG 공진기로부터 유출된다.In addition, the MNG resonator may include a matcher 630 for impedance matching. At this time, the matcher 630 properly tunabl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for coupling with the MNG resonator, and the impedance of the MNG resonator is adjusted by the matcher 630. The current flows into or out of the MNG resonator through the connector 640.

또한, 도 6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MNG 공진기를 관통하는 마그네틱 코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는 전력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explicitly illustrated in FIG. 6, a magnetic core penetrating the MNG resonator may be further included. Such a magnetic core may perform a function of increasing a power transmission distance.

본 발명의 MNG 공진기가 갖는 특성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MNG reson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진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resonator illustrated in FIG. 6.

도 6에 도시된 공진기는 도 7에 도시된 등가 회로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7의 등가 회로에서 CL은 도 6의 전송 선로의 중단부에 집중 소자의 형태로 삽입된 커패시터를 나타낸다.The resonator shown in FIG. 6 may be modeled with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7.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7, C L represents a capacitor inserted in the form of a lumped element at the interrup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of FIG. 6.

이 때, 도 6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갖는다. 즉, 전파 상수가 0인 경우,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는

Figure pat00004
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때,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05
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MZR은 Mu Zero Resonator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resonato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hown in FIG. 6 has a zeroth resonance characteristic. That is, when the propagation constant is 0, the resonato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igure pat00004
Suppose we have a resonant frequency. At this time, the resonance frequency
Figure pat00005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Here, MZR means Mu Zero Resonator.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09
와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는 서로 독립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10
와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가 서로 독립적이므로,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는 충분히 작아질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2,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resonator
Figure pat00007
Is
Figure pat00008
Can be determined by the resonant frequency
Figure pat00009
It can be seen that the physical size of the and the resonator may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us, resonant frequency
Figure pat00010
Since the physical sizes of the and resonator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physical sizes of the resonators can be sufficiently small.

도 8은 다른 일측에 따른 meta-structured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a-structured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side.

도 8을 참조하면, meta-structured 공진기는 전송선로부(810) 및 커패시터(8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기는, 피딩부(8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meta-structured resonator includes a transmission line unit 810 and a capacitor 820. In addition, the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eeding unit 830.

전송선로부(810)는 복수의 전송 선로 쉬트(Sheet)가 병렬로 배치된다. 복수의 전송 선로 쉬트가 병렬로 배치되는 구성은, 도 9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기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transmission line unit 810,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 sheets are arranged in parallel.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 sheets are arranged in paralle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커패시터(820)는, 전송선로부(810)의 특정 위치에 삽입된다. 이때, 커패시터(820)는 전송선로부(810)의 중단에 직렬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공진기에 생성되는 전계(electric field)는 커패시터(820)에 갇히게 된다.The capacitor 820 is insert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unit 810. In this case, the capacitor 820 may be inserted in series at the interrup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unit 810. At this time,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in the resonator is trapped in the capacitor 820.

커패시터(82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예를 들어 interdigital 커패시터나 높은 유전율을 갖는 기판을 가운데다 둔 gap 커패시터 등의 형태로 전송선로부(810)에 삽입될 수 있다. 커패시터(820)가 전송선로부(810)에 삽입됨에 따라, 공진기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capacitor 820 may be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line unit 810 in the form of a lumped element and a distributed element, for example, an interdigital capacitor or a gap capacitor centered on a substrate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As the capacitor 820 is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line unit 810, the resonator may have a metamaterial characteristic.

피딩부(830)는 MNG 공진기에 전류를 공급(feeding)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피딩부(830)는, 공진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복수의 전송 선로 쉬트로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feeding unit 830 may perform a function of supplying current to the MNG resonator. In this case, the feeding unit 830 may be designed to distribute the current supplied to the resonator evenly to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 sheets.

도 9는 도 8의 커패시터(820)의 삽입 위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capacitor 820 of FIG.

도 9를 참조하면, 커패시터(820)는 전송선로부(810)의 중단부에 삽입된다. 이때, 전송선로부(810)의 중단부는 커패시터(8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픈(open)된 형태일 수 있으며, 각각의 전송 선로 쉬트들(810-1, 810-2, 810-n)은 중단부에서 서로 병렬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capacitor 820 is inserted into an interruption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unit 810. In this case, the interruption por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unit 810 may be open to allow the capacitor 820 to be inserted, and each of the transmission line sheets 810-1, 810-2, and 810-n may be open.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stop.

도 10은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의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adjusting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에 해당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타겟에 해당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orresponding to a source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corresponding to a target.

1010단계에서 소스는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는 전자기 간섭(EMI) 감소요청 신호 혹은 전자기 간섭(EMI) 발생기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1010, the source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the peripheral device to the peripheral devic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request signal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generator.

또한, 1020단계에서 소스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기 간섭을 고려한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한다. 소스는 전력 전송 제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전송 제어의 다양한 방법은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매칭 파라미터의 변경, 주파수의 변경, 주파수의 호핑 방식에 의한 변경, 송신 전력의 감소, 송신 전력 방향의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peration 1020, the source performs power transmission control in considerat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source may perform power transfer control in a variety of ways. Here, various methods of power transmission control are to redu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a peripheral device, and include at least one of a matching parameter change, a frequency change, a frequency hopping method, a decrease in transmit power, and a change in transmit power direction. can do.

또한, 제어 방법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혹은 여러 방법들이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한 결과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 방식 및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 방식은 매칭 파라미터의 변경, 주파수의 변경, 주파수의 호핑 방식에 의한 변경, 송신 전력의 감소, 송신 전력 방향의 변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스는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매칭 파라미터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값과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소스는 상기 변경된 값에 대하여 주변기기로부터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는 다시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를 다른 공진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소스는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기 간섭이 미치는 주변기기의 방향으로는 전력 전송을 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의 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값에 대하여 주변기기로부터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상기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주변기기는 주기적으로 전자기 간섭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several methods may be used sequentially. That is, the performing of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performing first power transmission contro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performing information on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pdated from the peripheral devic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ontrol. Performing the second power transfer control based on the control method. Here,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a change of a matching parameter, a change of frequency, a change by a frequency hopping method, a decrease in transmit power, a change in transmit power direction, and the like. Can be. Thus, for example, the source may change the matching parameter constituting th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to a value different from that currently used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power transfer control. The source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pdat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the peripheral for the changed value.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control again, the source may change the resonant frequency used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nother resonant frequency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ource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so that power is not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pdated from the peripheral device with respect to the changed value. The resonance frequency may be changed by a frequency hopping method in which frequency is changed periodic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with respect to the resonance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peripheral device may periodical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reby updating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또한, 1030단계에서 소스는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 및 제어에 따른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소스는 전자기 간섭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In operation 1030, the source wirelessly transmits information on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source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sed to redu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또한, 소스에 전자기 간섭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주변기기는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에 대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한 경우, 상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ipheral device that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source periodically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and whether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has increased beyond the threshold set in the peripheral device for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hen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creases from the preset threshold.

도 11은 일측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송수신 전력 조절 방법의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apti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wer adjusting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one side.

도 11은 주변기기, 무선 전력 전송부, 무선 전력 수신부간에 발생하는 기능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11 illustrates a function occurring between a peripheral device,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over time.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1103)할 때, 무선 전력 전송 장치 주변에 있는 전기기기들은 전자기 간섭(1101)을 받을 수 있다. 전자기 간섭을 받는 주변기기는 전자기 간섭(EMI)을 측정(1105)하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의 전자기 간섭범위인지 모니터링 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한다(1107). 이상이 있는 경우 주변기기는 전자기 간섭에 관련된 정보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한다(1109). 전자기 간섭에 관련된 정보, 즉, 전자기 간섭 감소요청 신호, 주변기기의 위치정보 등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전력 전송을 제어한다(1111). 전력 전송 제어 방식은 매칭 파라미터의 변경, 주파수의 변경, 주파수의 호핑 방식에 의한 변경, 송신 전력의 감소, 송신 전력 방향의 변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새롭게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하고(1117),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수신 효율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력 전송 제어 방식에 관한 정보도 전송한다. 이때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주변기기에 전자기 간섭을 줄 수 있으므로(1113) 주변기기는 주기적으로 전자기 간섭을 측정하고,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적용된 전력 전송 제어 방식에 매칭되도록 구성을 제어(1119)하여 전력 및 데이터의 수신 효율을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주변기기로부터 전자기 간섭 감소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상기 절차를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응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전력 전송을 제어함으로써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감소/제거할 수 있다.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103, electrical devices arou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rece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1101. Peripheral devices subject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easur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1105),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abnormality by monitoring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ange of the generally acceptable range (1107). If there is an error, the periphera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109).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ontrols the power transmis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at is,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duction reque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scheme may include a change of a matching parameter, a change of frequency, a change by a frequency hopping scheme, a decrease in transmit power, a change in a transmit power direction, and the lik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newly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1117, and also transmits information on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scheme so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ontinuously maintains the reception efficiency. In this case, sinc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g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o the peripheral device (1113), the peripheral device periodically measures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intains power and data reception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configuration 1119 to match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scheme appli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receives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duction request signal from a peripheral devic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repeat the procedure. Accordingl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daptively can reduce / remo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by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19)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을 고려한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전송 제어부; 및
상기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어에 따른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A recei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the peripheral device to the peripheral device;
A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power transmission control considering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the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전송부를 구성하는 매칭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상기 매칭 파라미터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값과 다른 값으로 변경하는 매칭 파라미터 변경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includes a matching parameter constituting the wireless transmitter,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r changes the matching parameter to a value different from a value currently being used.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를 다른 공진 주파수로 변경하는 공진 주파수 변경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Resonant frequency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resonant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nother resonant frequency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상기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 변경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Frequency hopping method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resonant frequency in a frequency hopping method for periodically changing the frequ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for the resonant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무선 전송되고 있는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송신 전력 감소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being transmitted wirelessly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이 미치는 주변기기의 방향으로는 전력 전송을 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의 방향을 변경하는 송신 전력 방향 변경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Transmitting power direction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so as not to transmit power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부는 이동체를 통하여 이동하며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transmitter is a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rough a mobile to transmit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에 대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한 경우, 상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ipheral device,
A measuring unit periodically measur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has increased by more than a threshold value set in the peripheral device with respect to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An informa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hen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creases from the preset threshold.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전송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방식과 매칭이 되도록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매칭부; 및
상기 매칭된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장치.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matching unit controlling a power receiving device to be matched with a schem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 power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matched scheme
Adaptive receiving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변경된 매칭 파라미터에 대응하여 임피던스 매칭의 방식으로 상기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tching unit,
Adaptive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power receiver in the manner of impedance matching in response to the matching parameter chang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변경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tching unit,
Adaptive reception power control devic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to match the resonant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resonant frequency chang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적용된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호핑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전력 수신 장치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tching unit,
In order to redu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opping scheme in response to a frequency hopping scheme that periodically changes the frequ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appli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daptive Receive Power Control.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을 고려한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어에 따른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the peripheral device to the peripheral device;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control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매칭 파라미터의 변경, 공진 주파수의 변경, 주파수의 호핑 방식에 의한 공진 주파수의 변경, 송신 전력의 감소, 송신 전력 방향의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performing of the power transfer control may inclu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changing a matching parameter, changing a resonance frequency, changing a resonance frequency by a hopping method of a frequency, reducing a transmission power, and changing a transmission power direction. Adaptive transmission power regulation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한 결과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performing of the power transfer control may include:
Performing a first power transfer control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Performing second power transfer control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pdated from the peripheral devic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power transfer control;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매칭 파라미터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값과 다른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를 다른 공진 주파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erforming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changing a matching parameter constitut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o a value different from a current value,
The performing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changing a resonant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nother resonant frequency based on updated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간섭이 미치는 주변기기의 방향으로는 전력 전송을 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의 방향을 변경하고,
상기 제2 전력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갱신된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에 대하여 일정 패턴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파수 변경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상기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erforming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changing a direction of transmission power so that power is not transmitted in a direction of a peripheral device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e performing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control may include performing resonance in a frequency hopping manner in which frequency is periodically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with respect to a resonant frequency us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sed on updated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hanging frequency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상기 주변기기에 미치는 전자기 간섭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에 대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상기 측정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한 경우, 상기 전자기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전송 전력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peripheral device,
Periodically measur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 the peripheral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more than a threshold value set in the peripher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hen the measur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creases from the preset threshold
Adap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전송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전력 전송 제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적용된 방식과 매칭이 되도록 전력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수신 전력 조절 방법.
Receiving information on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ontrolling a power receiving device to be matched to a scheme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matched scheme
Adaptive receive power control metho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KR1020100054629A 2010-06-10 2010-06-10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KR201101349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629A KR20110134969A (en) 2010-06-10 2010-06-10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629A KR20110134969A (en) 2010-06-10 2010-06-10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969A true KR20110134969A (en) 2011-12-16

Family

ID=4550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629A KR20110134969A (en) 2010-06-10 2010-06-10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496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1469B2 (en) 2013-01-14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and transceiving data using mutual resonan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and transceiving data using mutual resonance
US9515704B2 (en) 2012-04-12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energy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wireless energy transmitting apparatus
US11355970B2 (en) 2018-04-27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5704B2 (en) 2012-04-12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energy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wireless energy transmitting apparatus
US9391469B2 (en) 2013-01-14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and transceiving data using mutual resonan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and transceiving data using mutual resonance
US11355970B2 (en) 2018-04-27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973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889203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KR10174416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of matching of source-target structure
KR101718723B1 (en) Laptop computer system with wireless power transform function
AU2011332142B2 (en) Wireless power utilization in a local computing environment
KR101631198B1 (en) Adaptive impedance tuning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920347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ethod
US928773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thereof
KR102227504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nd device to trasmit power stably to plural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s
JP2017163834A (en) Wireless power utilization in local computing environment
KR20110134970A (en) Apparatus and method inducing wireless power receiver to power transmission area
US93557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elding leakage magnetic field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101355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CN105308829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120019578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transmit resonance power by multi-band
KR20150032366A (en) Resonator device with improved isoalation for stable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10131954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30128130A (en) Resonance coupling wireless energy transfer receiver and transmistter
KR20110134969A (en)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KR20110136015A (en) Adaptive frequency ho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KR20120005112A (en) Adaptive wireless power transmi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KR20110135539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1101349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 power beamforming using sub-transmitter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KR101587546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9729203B2 (en) Resonator having increased iso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