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342A - 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342A
KR20110133342A KR1020100053017A KR20100053017A KR20110133342A KR 20110133342 A KR20110133342 A KR 20110133342A KR 1020100053017 A KR1020100053017 A KR 1020100053017A KR 20100053017 A KR20100053017 A KR 20100053017A KR 20110133342 A KR20110133342 A KR 20110133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ublic facilities
public
user terminal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0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덕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3342A/en
Publication of KR2011013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3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providing information of a public facility for a blind person is provided to enable the blind person to easily use the public facility by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o the blind person. CONSTITUTION: When a driving command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 public facility control unit(100) executes a driving according to the driving command.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controls the user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a driving result. A first communication unit(120) perform 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nd transmits predetermined information. A signal input unit(11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of the public facility.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 {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들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각종 공공시설물들에 대한 현재 상태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various public facilities where the visually impaired are currently located.

보다 상세하게는 시작 장애인들이 버스 정류장, 엘리베이터 및 교통신호등을 비롯한 각종 소정의 공공 시설물의 근접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해당 공공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간단히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공공시설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disabled starter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various predetermined public facilities including bus stops, elevators and traffic signals,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ies can be easily obtained and the public facilities can be conveniently used using the acquired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에 대한 복지의 향상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 엘리베이터 및 교통신호등을 비롯한 각종 공공 시설물들을 불편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the society develops, interest in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people has become a lot of interest. Accordingly, various public facilities including bus stops, elevators, and traffic signals that are frequently used by many people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any inconvenience.

따라서 공공 시설물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관련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many related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rs of public facilities.

한편 시각 장애인은 시력이 약하거나 또는 사물을 볼 수 없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각 장애인들이 공공 시설물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공공 시설물을 사용하기가 어려웠다.On the other hand, the visually impaired refers to people who have low vision or cannot see objects, and it is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public facilities because they cannot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public facilities.

이에 대한 보안으로 점자 블록 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 점자 블록은 시각 장애인이 공공 시설물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줄 뿐으로서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시각 장애인이 정확히 인식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As a security for this, the braille block is installed, but the braille block only helps the visually impaired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it is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correctly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the public facilities.

그러므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시각 장애인이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and a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who can visually recognize the information about public facilities, and can us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공공 시설물에 설치되고, 공공 시설물에 대한 검색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수신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공공 시설물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와, 상기 검색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인접위치에 공공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경보하고,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로부터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알림과 아울러 상기 공공 시설물 관리장치로 동작명령을 전송하고, 동작명령에 따른 상기 공공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알리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and transmits a search signal for the public facilities, and operates the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received operation commands. And a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when the search signal is received, alerts that the public facilities are located in an adjacent loc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ies from the public facilities guide apparatus. Acquisition and notific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and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public facilities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to notify the visually impaired.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는 공공 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는 검색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작 명령이 수신될 경우에 동작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 수행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공공 시설물 제어부와,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제 1 통신부와,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a search signal indicating that a public facility is located,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on public facilities when a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operation command is received,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oper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a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ublic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상기 공공 시설물이 버스 정류장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는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로 버스 정류장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로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public facility is a bus stop,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bus stop is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y,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buses arriving at the bus stop a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It features.

상기 공공 시설물이 엘리베이터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는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로 엘리베이터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호출 및 도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public facility is an elevator,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transmits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elevator is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y, and transmits information informing the call and arrival of the elevator cage as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

상기 공공 시설물이 교통신호등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는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로 교통신호등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로 보행자 신호의 요청 및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public facility is a traffic light,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raffic light is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y, and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a request of a pedestrian signal and lighting of a pedestrian signal as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알리고, 공공 시설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와,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제 2 통신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신호 발생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inform the visually impaired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the user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 to use the public facilities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a key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key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voice under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ice signal output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to output to the speaker, and a vibr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vib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신호의 수신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부를 동작시켜 진동으로 공공 시설물이 있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rch signal is received, operates the vibration generator to guide the presence of public facilities by vibration.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의 알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가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를 제어하여 음성신호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otific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control unit to notify the voice signal by controlling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그리고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알리고, 공공 시설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와,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신호 발생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inform the visually impaired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User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 to enable the us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and key signal generation for generating a key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a voice signal output unit for generating a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a speaker, and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검색신호의 수신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부를 동작시켜 진동으로 공공 시설물이 있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p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s determined, operates the vibration generator to guide the presence of public facilities by vibration.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의 알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가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를 제어하여 음성신호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otific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control unit to notify the voice signal by controlling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이 공공 시설물의 인접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공공 시설물이 인접 위치에 있음을 알린다.According to the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 located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public facility, the public facilities are informed that they are in the adjacent position.

그러므로 시각 장애인은 자신의 인접 위치에 공공 시설물이 있음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Therefor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resence of public facilities in his immediate location.

또한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이 사용자 단말기의 키를 조작함에 따라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상태 등에 따른 정보를 음성신호로 알림으로써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상태 등을 정확하게 판단하면서 공공 시설물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voice signal to inform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current statu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s the visually impaired by operating the keys of the user terminal, while using the public facilities easily determine the informa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public facilities, etc. Can b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따라 공공 시설물에 설치되는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따른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n some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ublic facilities guide apparatus installed in a public facility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gnal flow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ublic facilities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signal flow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illustrative, and merely illustrate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most useful.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Accordingly, various form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s well as not intended to provide a detailed structure beyond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따라 공공 시설물에 설치되는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공공 시설물 제어부이다.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공공 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는 검색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외부로부터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외부로부터 동작명령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동작명령에 따른 해당 동작의 수행을 제어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facility according to the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transmits a search signal informing that the public facility is located. In addition,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on public facilities when a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execution of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when an operation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부호 110은 신호 입력부이다. 상기 신호 입력부(110)는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각종 신호를 입력한다.Reference numeral 110 is a signal input unit. The signal input unit 110 inputs various signals for the current state of public facilities.

부호 120은 제 1 통신부이다. 상기 제 1 통신부(120)는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Reference numeral 120 is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부호 130은 메모리이다. 상기 메모리(130)에는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의 동작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에는 상기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정보 및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의 작업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Reference numeral 130 is a memory. In the memory 130, an operation program of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is stor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ing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input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110 and job data of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ler 1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알리고, 공공 시설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반 동작의 수행을 제어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visually impai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user terminal controller. The user terminal control unit 20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inform the visually impaire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controls the execution of various operations to use the public facilities.

부호 210은 제 2 통신부이다. 상기 제 2 통신부(210)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의 제 1 통신부(1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정보를 상호간에 전송한다.Reference numeral 210 i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of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transmit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each other.

부호 220은 키신호 발생부이다. 상기 키신호 발생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Reference numeral 220 is a key signal generator. The key signal generator 220 inputs a key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provides the key signal to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부호 230은 데이터 저장부이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3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Reference numeral 230 is a data storage unit. The data storage 230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부호 240은 음성신호 출력부이다.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공공 시설물에 대한 현재상태에 대한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42)로 출력한다.Reference numeral 240 denotes an audio signal output unit.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240 converts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ublic facilities into a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242.

부호 250은 진동 발생부이다. 상기 진동 발생부(25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여 시각 장애인이 인접 위치에 공공 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Reference numeral 250 is a vibration generating unit. The vibration generator 250 generates a vib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recognize that the public facilities are located in an adjacent position.

부호 260은 메모리이다. 상기 메모리(26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의 동작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된다.
Reference numeral 260 is a memory. The operation program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is stored in the memory 260 in advanc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공공 시설물에 설치되는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의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 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검색신호를 전송한다(S300). 즉,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제 1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공공 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검색신호를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100 of the public facilities guide apparatus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ies transmits a search signal for notifying that the public facilities are located as shown in FIG. 3 (S300). That is,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to transmit a search signal for notifying that the public facility is located.

그리고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a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S30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304).When the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100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stored in the memory 130 and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To transmit to the external user terminal via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S304).

예를 들면,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버스 정류장일 경우에 상기 메모리(130)에는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130)에서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a public facility equipped with a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s a bus stop, information about the bus stop is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30, and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is a bus stop in the memory 130. Read the information abou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또한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엘리베이터일 경우에 상기 메모리(130)에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130)에서 엘리베이터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a public facility installed with a public facility guide device is an elevator, information about the elevator is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30, and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reads information about the elevator from the memory 13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또한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교통신호등일 경우에 상기 메모리(130)에는 교통신호등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130)에서 교통신호등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public facility equipped with a public facility guide device is a traffic light, the memory 13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traffic light in advance, and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traffic light in the memory 130. Reads and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reads information about public facilities stored in the memory 13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동작 명령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6).In addition,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S306).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작 명령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상기 수신되는 동작명령에 따른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고(S308), 수행 결과를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310).When the operation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operation command (S308), and performs a result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Through the transmission to the user terminal (S310).

예를 들면,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버스 정류장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현재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버스들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버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a public facility equipped with a public facility guide device is a bus stop,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obtains information on buses currently arriving at the bus stop, and obtains information on the acquired buses from the first bus.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또한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엘리베이터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호출하고,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도착하였을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의 도착을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public facilities equipped with a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s an elevator,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100 calls the cage of the elevator, and transmits the call of the elevato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and When the cage of the elevator arrives, the arrival of the cage of the elevator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또한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교통신호등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교통신호등 제어기에 보행자 신호를 요청하고, 보행자 신호의 요청을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In addition, when the public facility installed with a public facility guide device is a traffic light,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requests a pedestrian signal to the traffic light controller, and requests the pedestria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send.

한편, 사용자 단말기는 예를 들면, 케이스를 손목 시계의 타입으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검색신호가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0).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o make the case as a wrist watch ty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and use, the user terminal control unit 200 is a search transmitted by the public facilities guide apparatus as shown in FIG. It is determined whether a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S400).

상기 판단 결과 검색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키를 조작하여 키신호 발생부(220)로부터 소정의 키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2).When the search signal is not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signal generator 220 by manipulating a key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S402).

상기 판단 결과 키신호 발생부(220)로부터 소정의 키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현재시간을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시간을 음성신호 출력부(240) 및 스피커(242)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현재시각을 음성신호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04).When a predetermined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signal generator 2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determines a current time, and the determined current time is input to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240 and the speaker 242. By outputting as a voice signal through the visually impaired to check the current time as a voice signal (S404).

그리고 상기 단계(S400)에서 검색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진동 발생부(250)를 통해 진동을 발생하여 주변에 공공 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시각 장애인에게 경보한다(S406).When the search signal is received in step S400,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generates a vibration through the vibration generator 250 to alert the visually impaired that public facilities are located in the vicinity (S406). .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키신호 발생부(220)로부터 소정의 키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8).In this state,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signal generator 220 (S408).

상기 판단 결과 키신호 발생부(220)로부터 소정의 키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시각 장애인이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판단하고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로 전송한다(S410).When a predetermined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signal generator 2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visually impaired user requests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requests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S410).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하는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의 요청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의 제 1 통신부(120)가 수신하여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request signal for the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ies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is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of the public facilities guide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 to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100. As described above,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00 reads information on public facilitie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3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수신하고(S412), 수신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음성신호 출력부(240) 및 스피커(242)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음성신호로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S414).In this state,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transmitted by the public facilities guide apparatus (S412),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ublic facilities voice signal output unit 240 and the speaker 242. By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visually impaired to enabl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ies where he is currently located (S414).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신호로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키신호 발생부(220)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6).In a state in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is output as a voice signal,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signal generator 220 (S416).

상기 판단 결과 키신호 발생부(220)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00)는 공공 시설물에 대한 동작실행의 명령을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로 전송한다(S418).When the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signal generator 2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200 transmits a command for executing an operation to the public facilities to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S418).

상기 전송하는 공공 시설물에 대한 동작실행의 명령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의 제 1 통신부(120)가 수신하여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로 입력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308, S310)에서와 같이 동작명령 신호에 따른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 수행의 결과를 상기 제 1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and for executing the operation on the transmitting public facilities is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of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and input to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100. As in S308 and S310,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signal, and a result of the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동작 수행의 결과 즉, 동작명령에 따른 응답신호를 제 2 통신부(210)가 수신하고(S420), 수신한 응답신호를 음성신호 출력부(240) 및 스피커(242)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며(S422). 시각 장애인은 상기 스피커(24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로 현재 공공 시설물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receives a result of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hat is,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is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S420), and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is a voice signal output unit 240. And outputs a voice signal through the speaker 242 (S422).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may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public facility by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242.

예를 들면,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버스 정류장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는 현재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버스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버스들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42)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현재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를 확인하고, 원하는 버스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a public facility equipped with a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s a bus stop,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on buses currently arriving at the bus stop, and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buses currently arriving at the bus stop is output to the speaker 242 so that the blind person can check the bus currently arriving at the bus stop and board the desired bus.

또한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엘리베이터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호출하고,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호출 및 도착을 스피커(242)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호출 및 도착을 확인하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a public facility equipped with a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s an elevator,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calls an elevator cage and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ge of the elevator has arrived, and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he call and arrival of the elevator cage is output to the speaker 242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confirm the call and arrival of the elevator cage and use the elevator.

또한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설치된 공공 시설물이 교통신호등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는 교통신호등 제어기에 보행자 신호등을 요청하고, 보행자 신호등의 요청 및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242)로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보행자 신호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f the public facilities equipped with a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s a traffic light,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requests a pedestrian traffic light to the traffic light controll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quest of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and the lighting of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the user terminal The output of the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received from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the speaker 242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and cross the crosswalk.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공공 시설물 제어부 110 : 신호 입력부
129 : 제 1 통신부 130, 260 : 메모리
200 :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 210 : 제 2 통신부
220 : 키신호 발생부 230 : 데이터 저장부
240 : 음성신호 출력부 242 : 스피커
250 : 진동 발생부
100: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110: signal input unit
129: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260: memory
200: user terminal controller 210: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key signal generation unit 230: data storage unit
240: audio signal output unit 242: speaker
250: vibration generating unit

Claims (11)

공공 시설물에 설치되고, 공공 시설물에 대한 검색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수신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공공 시설물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 및
상기 검색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인접위치에 공공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경보하고,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로부터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알리고, 상기 공공 시설물 관리장치로 사용자의 동작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동작명령의 전송에 따른 상기 공공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알리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A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ies,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for the public facilities, operating the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received operation command, and providing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When the search signal is received, it alerts that a public facility is located in an adjacent location, acquires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y from the public facility guide device, and informs the visually impaired user, and commands the operation of the user to the public facility management device.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command and informing the visually impai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는;
공공 시설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는 검색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작 명령이 수신될 경우에 동작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 수행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공공 시설물 제어부;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및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 search signal indicating that a public facility is located, controlling transmission of information on public facilities when a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terminal. A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and to transmit an opera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public facility control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public facilities;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 시설물이 버스 정류장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는;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로 버스 정류장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로 상기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wherein when the public facilities are bus stops;
Transmitting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bus stop as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es arriving at the bus stop a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 시설물이 엘리베이터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는;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로 엘리베이터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호출 및 도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wherein when the public facilities are elevators;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elevator as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call and arrival of the elevator cage to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 시설물이 교통신호등일 경우에 상기 공공 시설물 제어부는;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로 교통신호등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현재 상태정보로 보행자 신호의 요청 및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ublic facilities control unit is configured when the public facilities are traffic lights;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omprising: transmitting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traffic light is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informing the request of the pedestrian signal and the lighting of the pedestrian traffic signal to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알리고, 공공 시설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신호 발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ublic facility guide device to notify the visually impaired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to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 to enable the public faciliti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A key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key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 voice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voice signal and output the same to a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And
And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신호의 수신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부를 동작시켜 진동으로 공공 시설물이 있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comprises: a;
When the reception of the search signal is determined to operate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ublic facilities by vibrating guidan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의 알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가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를 제어하여 음성신호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notific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public utilities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utilities;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controls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to notify the voice signal.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를 알리고, 공공 시설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신호 발생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A user terminal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inform the visually impaired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to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 to enable the public faciliti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facilities guide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A key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key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 voice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voice signal and output the same to a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And
And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The user terminal providing information of a public fac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 시설물 안내장치가 전송하는 검색신호의 수신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부를 동작시켜 진동으로 공공 시설물이 있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ser terminal control unit;
And a user terminal providing information of a public fac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by opera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when the reception of the search signal transmitted by the public facility guide device is determined, thereby guiding that there is a public facility by vibr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 시설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공 시설물의 현재 상태 정보의 알림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가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를 제어하여 음성신호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notification about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The user terminal controller provides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by controlling the voice signal output unit to inform the voice signal.
KR1020100053017A 2010-06-04 2010-06-04 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KR201101333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17A KR20110133342A (en) 2010-06-04 2010-06-04 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17A KR20110133342A (en) 2010-06-04 2010-06-04 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42A true KR20110133342A (en) 2011-12-12

Family

ID=4550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017A KR20110133342A (en) 2010-06-04 2010-06-04 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334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0189A1 (en) 2011-12-13 2013-06-13 Hyundai Motor Co. Door latch device of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0189A1 (en) 2011-12-13 2013-06-13 Hyundai Motor Co. Door latch device of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677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operation of accessible pedestrian signal (aps) systems
JP2008303071A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coustic command input for elevator installation
CN106133653A (en) Information processor
JP2013005213A (en) Display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system
JP2007320758A (en) Elevator hall guiding device
KR101328865B1 (en) Wrist watch for deaf and its control method
RU2519420C1 (en)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29465A (en) Missing child preventing system using wearable Bluetooth device
KR102066065B1 (en) Smart traffic ligh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9162702A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server, and cellular phone
JP4873723B2 (en) Evacuation guidance system, guidance device, and visually impaired person guidance device
KR20110133342A (en) Apparatus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blind man with information of public facilities
WO2013153804A1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26432B1 (en) System for Providing Bus Arrival Information for The Blind
KR200364127Y1 (en) Acoustic Signal System in Crosswalk for Blind People
JP2020109894A (en) Electronic apparatus
JP6302167B2 (en) Projection system
JP2016124635A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JP2011024920A (en) Visually disabled person guiding system
KR20160104817A (en) System for tracking bus position in real time
JP2008206834A (en) Nurse-call system
JP2003032732A (en) Guiding system and guiding method
KR20190042325A (en) Etiquette system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JP7075375B2 (en) Safety confirm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2200751B1 (en) Apparatus for relaying audio guid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