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993A -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993A
KR20110130993A KR1020100050581A KR20100050581A KR20110130993A KR 20110130993 A KR20110130993 A KR 20110130993A KR 1020100050581 A KR1020100050581 A KR 1020100050581A KR 20100050581 A KR20100050581 A KR 20100050581A KR 20110130993 A KR20110130993 A KR 2011013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unction
image
signal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60939B1 (en
Inventor
박기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939B1/en
Priority to US13/643,836 priority patent/US9055326B2/en
Priority to CN201180026544.XA priority patent/CN102918485B/en
Priority to EP11786947.9A priority patent/EP2579138A4/en
Priority to PCT/KR2011/003926 priority patent/WO2011149315A2/en
Publication of KR2011013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9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erform a function on a drag path corresponding to the dropped location by a drag and drop operation. CONSTITUTION: 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displays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reproducible content(S1).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receives a dropping operation in a first area through the drag of a first content image(S2).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performs a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dropped first area and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rag path of the first content image(S3).

Description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thereof}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using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재생되는 복수의 컨텐츠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ents to be played on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기존의 아날로그 TV보다 우수한 신호 처리 및 저장 능력을 가진 디지털 TV 와 유무선 네트워크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digital TV and wired / wireless network technology, which has better signal processing and storage capability than conventional analog TV, real-time broadcasting, contents on demand (COD) using the internet network connected to each househol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adio media. Various types of content services such as games, news, and video communication can be provided to users.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An example of providing a content service using the Internet network may be an Internet Protocol TV (IPTV). The IPTV refers to transmitting a variety of information services, moving picture content and broadcasting to a user's television using a high-speed Internet network.

최근에는 이러한 IPTV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네트워크 TV 형태로서, 브로드밴드(broadband) TV, 웹 TV 등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브로드밴드 TV 또는 웹 TV는 종래의 IPTV와는 달리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에게 개별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VOD, 게임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Recently, the concept of broadband TV, web TV, etc. has been proposed as a type of network TV which has been further developed in the IPTV. Unlike conventional IPTV, a broadband TV or a web TV has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and a user may individually access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to receive various VODs, games, and the lik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s.

위와 같은 네트워크 TV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끼리 정보 및 컨텐츠를 교환하며 필요시에는 서로 간에 화상을 통해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In the network TV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exchanging information and content between users and, if necessary, a method of making a call through each other.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텐츠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icient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컨텐츠 이미지들 중 제1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drag)하여 제1 영역에 드랍(drop)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기능 및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가 드래그되는 경로에 대응되는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Receiving an operation of dragging a first content image among the displayed content images and dropping the first content image in a first area; And performing a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nd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a path to which the first content image is dragged on the first cont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컨텐츠 이미지들 중 제1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제2 컨텐츠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드랍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가 드래그되는 경로 상에 제3 컨텐츠 이미지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컨텐츠를 상기 제1, 2 컨텐츠와 함께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Receiving an operation of dragging a first content image among the displayed content images and dropping the first content image in a region where a second content image is displayed; And playing the third content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when the third content image is positioned on a path along which the first content image is drag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들 중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제1 영역에 드랍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기능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operation of dragg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first content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and dropping the image in a first are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nd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area located on the drag path,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ent.

한편, 상기 컨텐츠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control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앤드 드랍(drag and drop) 동작으로 드랍된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뿐 아니라 드래그 경로상에 위치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기능들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ragging and dropping a content image displayed on a screen, not only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dropped position but also a function located on a drag path may be performed. A user interface (UI) for easily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컨텐츠에 대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복수의 컨텐츠들을 함께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0은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채널 브라우저에서 복수의 채널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on content.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on content.
6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other embodiments of a method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on content.
15 and 16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laying back a plurality of contents together.
17 to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still other embodiments of a method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on content.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2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channels in a channel brow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ent control method and a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내부에 저장된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content according to a signal input or stored therein.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는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may include an image and a sound, and accordingly, the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Can be.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However, the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performed by th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is for mobile phones, smart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digital broadcasts capable of playing content. It may be performed by various devices such as a termi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 장치는 재생 가능한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표시한다(S1 단계).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displays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reproducible contents (step S1).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은 실시간 방송 채널,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전화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컨텐츠 재생 장치는 유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ents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such as a real time broadcasting channel, contents on demand (COD), games, news, video telephony, etc., and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use the plurality of contents us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It may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한편,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게 개별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실시간 방송, COD, 게임, 동영상, 사진, 날씨 정보, 뉴스, 화상 전화 서비스 등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In this case,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may individually access the plurality of contents provider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and thus the contents. Various contents such as real-time broadcasting, COD, games, videos, photos, weather information, news, and video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providers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S1 단계에서, 컨텐츠 재생 장치는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컨텐츠 이미지뿐 아니라 문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S1,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display information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on the screen, for exampl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content image as described above, but also texts. have.

예를 들어,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명칭, 식별 번호, 컨텐츠 제공자, 내용 등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이거나, 해당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을 식별하고 각 컨텐츠의 내용을 간략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may be a character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such as a name, an identification number, a content provider, and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may be an image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a user may read the plurality of content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data to identify and briefly grasp the content of each content.

도 2를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재생 가능한 복수의 컨텐츠들, 즉 제1 내지 제4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정보(21, 22, 23, 24)가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정보(21, 22, 23, 24)는 해당 컨텐츠의 영상 중 특정 부분의 축소된 이미지인 썸네일(thumbnail) 이미지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reproducible contents, that is, information 21, 22, 23, and 24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ntent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The content information 21, 22, 23, and 24 may be a thumbnail image, which is a reduced image of a specific portion of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한편, 화면(10) 상에는 복수의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41, 42, 43, 44, 45)이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면(10)의 하단에 컨텐츠에 대해 수행 가능한 "A" 기능 영역(41), "B" 기능 영역(42), "C" 기능 영역(43), "D" 기능 영역(44) 및 "E" 기능 영역(45)들이 존재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regions 41, 42, 43, 44, and 45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unc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for example, the content is perform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10. Possible "A" functional regions 41, "B" functional regions 42, "C" functional regions 43, "D" functional regions 44 and "E" functional regions 45 may exist.

상기 기능 영역들(41, 42, 43, 44, 45) 각각에는 대응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기능의 명칭 또는 간략한 설명이나, 그를 나타내는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Each of the functional areas 41, 42, 43, 44, and 45 may display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a name or brief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or an image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기능들은 "재생", "녹화", "선호 등록", "쵸약 보기", "다운로드", "전송", "업로드", "편집" 등과 같은 컨텐츠에 대해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추가 또는 삭제 등과 같은 편집이 가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functions may be performed on content such as "play", "record", "favorite registration", "view summary", "download", "transfer", "upload", "edit", and the like. Various functions may be included and editing, such as addition or deletion,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그 후, 컨텐츠 재생 장치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 중 제1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drag)하여 제1 영역에 드랍(drop)하는 동작을 입력받는다(S2 단계).Thereafter,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receives an operation of dragging a first content image among the displayed plurality of content images and dropping the first content image to the first area (step S2).

상기 드래그 앤 드랍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환경에서 특정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스쳐(gesture)로서,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특정 객체를 선택하여 특정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하나의 동작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다.The drag and drop is a gesture made by a user using a specific input mea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The drag and drop is a user consisting of one operation of selecting a specific object and moving to a specific position using the input means. Interface method.

예를 들어, 상기 드래그는 입력 수단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입력 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객체를 특정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드롭은 상기 드래그를 할 때 누르고 있던 버튼을 해제시켜 상기 객체를 특정 위치에 놓는 것을 말한다.For example, the drag means to move the object to a specific position by moving the input means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provided on the input means, and the drop releases the button held down when the drag is made. To put the object in a specific position.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화면의 한 곳에 위치하는 객체를 선택한 다음 그대로 끌어서 화면의 다른 위치에 놓음으로서 상기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객체가 놓여진 위치에 대응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ag and drop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an object located on one screen of the screen by using the input means and dragging and dropping the object to another location on the screen, in which case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location where the object is placed. Can be performed.

상기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은 직관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로 연결되는 드래그 및 드랍 동작에 의해 특정 객체에 대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유용한 방식이다.The drag and drop operation uses an intuitive graphical interface, and as described above, the drag and drop operation enables a user to easily perform a desired operation on a specific object by dragging and dropping operations connected as 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구비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이미지 중 특정 컨텐츠 및 특정 영역에 대해 상기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perform the drag and drop operation on a specific content and a specific area among the content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provided input means.

한편, 상기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은 컨텐츠 재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연결된 원격 제어 장치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눈 등과 같은 신체 일부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means for performing the drag and drop operation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may be a device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user's finger or eyes. .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공간 리모컨 또는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an input means such a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or a mouse that recognizes a user's motion and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content player.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는 특정 물체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상기 접촉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또는 특정 물체를 이용해 화면에 접촉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touch panel that may sense a position touched by a specific object or a movement of the touched object, so that a user may use his or her finger or a specific object to display a screen. And drag and drop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한편, 컨텐츠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눈 움직임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sensing unit that detects a user's eye movement, and thus may receive a drag and drop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ser's eye movement.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21, 22, 23, 24)이 표시된 화면(10) 상에 상기 입력 수단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포인터(30)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포인터(30)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사용자가 포인팅(pointing) 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ointer 30 that move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input mea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on which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21, 22, 23, and 24 are displayed. The pointer 30 may indicate a position to which the user intends to point using the input means.

사용자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복수의 컨텐츠들 중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선택하여 특정 방향, 예를 들어 "A" 기능 영역(41)이 위치하는 방향(화살표로 표시됨)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The user selects the first content image 21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using the input means and drags and moves it in a specific direction, 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A” function region 41 is located (indicated by the arrow). Can be.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에 의해, 포인터(30)의 이동과 함께 제1 컨텐츠 이미지(21)가 "A" 기능 영역(41)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By the dra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ent image 21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 function region 41 is locat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pointer 3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선택한 후 드래그하기 시작하면 제1 컨텐츠 이미지(21)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21')가 생성되고, 상기 입력 수단을 움직여 포인터(30)를 이동시킴에 따라 제1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21')가 "A" 기능 영역(41)까지 이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content image 21 using the input means and starts to drag, a virtual image 21 ′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image 21 is generated. By moving the input means to move the pointer 30, the virtual image 21 ′ of the first content may be moved to the “A” function region 41.

이하, 특정 컨텐츠 이미지가 드래그된다 함은 화면(10) 상에 표시된 컨텐츠 이미지 자체가 드래그되어 이동되는 경우뿐 아니라, 상기 컨텐츠 이미지에 대응되는 가상 이미지가 드래그되어 이동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dragging of a specific content image may include not only a case where the content image itself displayed on the screen 10 is dragged and moved, but also a case where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mage is dragged and moved.

즉, 제1 컨텐츠 이미지(21)가 사용자에 의해 드래그되는 경우, 화면(10) 상에 표시된 제1 컨텐츠 이미지(21)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제1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21')가 이동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content image 21 is dragged by the user, the first content image 21 displayed on the screen 10 is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or the virtual image 21 'of the first content is moved. Can be moved.

또한, 상기 드래그되는 제1 컨텐츠 이미지(21) 또는 제1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21')가 위치하는 기능 영역은 다른 기능 영역들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area in which the dragged first content image 21 or the virtual image 21 ′ of the first content is located may be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functional areas.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21)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하는 "A" 기능 영역(41)은 테두리 부분이 하이라이트(high-light) 되거나 또는 특정 색으로 표시되어, 다른 영역들(42, 43, 44, 45)과 구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A” functional area 41 located on the drag path of the first content image 21 may have a high-light edge portion or It may be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areas 42, 43, 44, and 45.

제1 컨텐츠 이미지(21)가 드래그되어 "A" 기능 영역(41)까지 이동된 후, 사용자는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상기 "A" 기능 영역(41)에 드랍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After the first content image 21 is dragged and moved to the “A” function region 41, the user may drop the first content image 21 onto the “A” function region 41 to position it.

한편, 컨텐츠 이미지가 특정 영역에 드랍된다 함은 표시되는 컨텐츠 이미지 중 미리 설정된 지점이 상기 특정 영역 내로 이동하여 놓여짐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op of the content image in a specific area may mean that a preset point of the displayed content image is moved and placed in the specific area.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의 가상 이미지(21')의 특정 지점, 예를 들어 왼쪽 모서리 지점(26)이 "A" 기능 영역(41) 내에 놓여지는 경우, 제1 컨텐츠 이미지(21)가 "A" 기능 영역(41)에 드랍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a specific point of the virtual image 21 ′ of the first content, for example, the left corner point 26, is placed within the “A” functional area 41, the first content. Image 21 may be set to be dropped on “A” functional area 41.

상기와 같이 연결된 하나의 동작에 의해 제1 컨텐츠 이미지(21) 및 "A" 기능 영역(41)에 대한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The drag and drop operation on the first content image 21 and the “A” function region 41 may be performed by one operation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드래그 앤 드랍 동작에 응답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 상기 드랍된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기능 및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21)가 드래그되는 경로에 대응되는 제2 기능을 수행한다(S3 단계).Meanwhile, in response to the drag and drop operation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drag the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ropped first area and the first content image 21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ent. The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ath is performed (step S3).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드래그하여 "A" 기능 영역(41)에 드랍하면, 상기 드래그된 이미지(21)에 대응되는 제1 컨텐츠에 대해 상기 드랍된 영역(41)에 대응되는 "A"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user drags the first content image 21 and drops it onto the “A” functional area 41,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ragged image 21 is displayed. A function “A” corresponding to the dropped region 41 may be performed.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선택한 후 도시된 바와 같은 드래그 경로(화살표로 표시됨)를 따라 상기 선택된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fter the user selects the first content image 21, the user may move the selected first content image 21 along a drag path (indicated by an arrow) as illustrated.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드래그 경로를 통해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B" 기능 영역(42)에 드랍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된 이미지(21)에 대응되는 제1 컨텐츠에 대해 상기 드랍된 영역(42)에 대응되는 "B" 기능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하는 영역(41)에 대응되는 "A"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drops the first content image 21 to the “B” functional area 42 through the drag path as shown in FIG. 4, the user corresponds to the dragged image 21. The function “B” corresponding to the dropped area 42 and the function “A” corresponding to the area 41 positioned on the drag path may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ent.

상기한 바와 같은 드래그 앤 드랍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 상기 "A" 기능 및 "B"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시간차를 두고 특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기능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기능이 수행되는 순서를 지정하여 편집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drag and drop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 function and the "B" func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on the first content or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specific order with a time difference. Meanwhile, when the plurality of functions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 user may designate and edit the order in which the plurality of functions ar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면(10) 상에 표시된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특정 기능 영역에 드랍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해 드랍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만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컨텐츠 이미지가 드래그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drags a content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10 and drops it on a specific function area,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ropped area is not performed on the content, but the content is not performed. The function existing on the path to which the image is dragged may also be performed.

그에 따라, 특정 컨텐츠에 대해 2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이 위치하는 영역들을 모두 거치도록 해당 컨텐츠 이미지의 드래그 경로를 설정하여 한 번의 드래그 앤 드랍 동작으로 용이하게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user wants to perform two or more functions on a specific content, a drag path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mage is set to pass through all the areas where the functions are located to easily perform a plurality of functions in one drag and drop operation. Can be.

이하,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content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4.

도 6은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이용해 특정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제어 방법 중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with respect to a specific content by using a drag and drop operation,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s omitted. Let's do it.

도 6을 참조하면, 화면(10)의 하단에는 컨텐츠에 대해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 즉 "재생" 기능 영역(41), "다운로드" 기능 영역(42), "전송" 기능 영역(43), "선호 등록" 기능 영역(44) 및 "요약 보기" 기능 영역(45)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lower portion of the screen 10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on content, that is, a “play” function region 41, a “download” function region 42, The "transfer" function area 43, the "favorite registration" function area 44 and the "view summary" function area 45 may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 영역들(41 내지 45)의 개수, 각각의 위치 또는 대응되는 기능 등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functional areas 41 to 45 as described above, each position or a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changed by the use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드래그하여 "다운로드" 기능 영역(42)을 거친 후 "전송" 기능 영역(43)에 드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3 컨텐츠에 대해 상기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하는 영역(42)에 대응되는 "다운로드" 기능 및 상기 드랍된 영역(43)에 대응되는 "전송"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user may drag the third content image 23 through the "download" function area 42 and drop it in the "send" function area 43, thereby the third content image 23. A “download”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42 located on the drag path and a “se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ropped area 43 may be performed on content.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드래그 앤 드랍 동작에 의해, 상기 제3 컨텐츠가 다운로드 됨과 함께,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content may be downloaded and transmitted to an apparatus having an IP address registered by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user, by the drag and drop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복수의 기능들이 수행되는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드래그 앤 드랍 동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드래그하여 "다운로드" 기능 영역(42)을 거친 후 "전송" 기능 영역(43)에 드랍하는 경우, 제3 컨텐츠에 대해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다운로드" 기능이 상기 드랍된 영역의 "전송" 기능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The order in which the plurality of functions are perform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drag and drop operation input by a us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drags the third content image 23 through the "download" function area 42 and drops it to the "send" function area 43, the third content The "download" function on the drag path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end" function of the dropped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번의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해 3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perform three or more functions on specific content by using one drag and drop opera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드래그하여 "다운로드" 기능 영역(42) 및 "전송" 기능 영역(43)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선호 등록" 기능 영역(44)에 드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3 컨텐츠에 대해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다운로드" 기능 및 "전송" 기능과 함께 상기 드랍된 영역의 "선호 등록"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user drags the third content image 23 sequentially through the "download" function area 42 and the "send" function area 43, and then enters the "preferred registration" function area 44. Dropping may be performed, and thus, the “preferred registration” function of the dropped area may be performed on the third content together with the “download” function and the “send” function on the drag path.

도 8 내지 도 11은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8 through 11 illustrate other embodiments of a method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도 8을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21 내지 24)과 복수의 기능들, 즉 "재생, "다운로드" 및 "전송"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41, 42, 43)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reas 41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21 to 24 and a plurality of functions, that is, playback, download and transfer func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42, 43) may be displa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21 내지 24) 중 특정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기능 영역들(41, 42, 43) 중 어느 하나를 지나는 경우, 상기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하는 기능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과 함께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능이 화면(10)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drags a specific content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21 to 24 and passes one of the functional areas 41, 42, and 43, the drag path is on the drag path. At least one sub function that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area located a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4 컨텐츠 이미지(24)를 드래그하여 "전송" 기능 영역(43) 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화면(10) 상에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전송" 기능과 함께 수행될 수 있는 서브 기능들이 나타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drags the fourth content image 24 and places it on the “send” function area 43, the “send” on the drag path on the screen 10. "Sub-functions may appear that can be performed with the function.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4 컨텐츠 이미지(24)를 드래그하여 "전송" 기능 영역(43)을 지나는 경우, 화면(10) 상에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상기 "전송" 기능과 관련된 서브 기능들(50), 즉 "S1" 내지 "S5" 기능들이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user drags the fourth content image 24 and passes the "transfer" function area 43, the sub-function related to the "transfer" function that was not previ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10. 50, that is, functions "S1" to "S5"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이 경우, 사용자는 "전송" 기능 영역(43)을 지나 드래그되는 제4 컨텐츠 이미지(24)를 복수의 서브 기능 영역들(51 내지 54) 중 원하는 영역, 예를 들어 "S4" 기능 영역(54)에 드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4 컨텐츠에 대해 드래그 경로 상의 "전송" 기능 및 상기 드랍된 영역의 "S4"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move the fourth content image 24 dragged past the "transfer" functional area 43 to a desired area of the plurality of sub functional areas 51 to 54, for example, the "S4" functional area 54. ), And thus, the "send" function on the drag path and the "S4" function of the dropped area may be performed on the fourth content.

상기와 같은 서브 기능들의 자동 표시를 위해, 화면(10)에 최초 표시되는 복수의 기능들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능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sub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sub function may be pre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unctions ini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10.

한편, 상기 "전송" 기능과 함께 수행 가능한 서브 기능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수신자를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b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transfer" function may include a function for designating a receiver of the selected content.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4 컨텐츠 이미지(24)를 드래그하여 "전송" 기능 영역(43) 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화면(10) 상에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수신자들의 목록들(51 내지 54)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전송" 기능 영역(43)을 지나 드래그되는 제4 컨텐츠 이미지(24)를 상기 수신자 목록들(51 내지 54)들 적어도 하나에 드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user drags the fourth content image 24 and places it on the “send” function area 43, the lists 51 to 50 of recipients that were not previ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10. 54 may be displayed, such that the user may drop the fourth content image 24 dragged past the "transfer" functional area 43 to at least one of the recipient lists 51-54.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4 컨텐츠 이미지(24)를 드래그하여 "전송" 기능 영역(43)을 거쳐 화면(10) 상에 나타난 수신자 목록들(51 내지 54) 중 상기 제4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친구 3"에 대응되는 영역(53)에 드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4 컨텐츠가 "친구 3"에게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drags the fourth content image 24 to transmit the fourth content among the recipient lists 51 to 54 shown on the screen 10 via the “send” function area 43. The drop may be dropped in an area 53 corresponding to “friend 3”, and thus the fourth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friend 3”.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4 컨텐츠 이미지(24)를 드래그하여 "전송" 기능 영역(43) 및 화면(10) 상에 나타난 "친구 3" 영역(53)을 거친 후 "친구 4" 영역(54)에 드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4 컨텐츠가 "친구 3" 및 "친구 4"에게 전송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after the user drags the fourth content image 24 and passes through the "send" function area 43 and the "friend 3" area 53 shown on the screen 10, " Friend 4 " area 54, so that the fourth content can be transmitted to " friend 3 " and " friend 4 ".

상기 수신자 목록들, 예를 들어 "친구 1", "친구 2", "친구 3" 및 "친구 4"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수신자들일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외부 기기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IP 어드레스 또는 장치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recipient lists, for example, "friend 1", "friend 2", "friend 3" and "friend 4" may be recipients registered in advance by a user, and may be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cipients. Information, for example, an IP address or device information, may be stored.

그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컨텐츠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외부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수신자의 외부 장치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requests the content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may transmit the content to the externa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receiver by using the stored external device information.

또한, 상기 "재생" 기능과 함께 수행 가능한 서브 기능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지정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 function that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playback" function may include a function for designating a display resolution of the selected content.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드래그하여 "재생" 기능 영역(41) 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화면(10) 상에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디스플레이 해상도들(55 내지 58)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재생" 기능 영역(41)을 지나 드래그되는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상기 해상도들(55 내지 58)들 어느 하나에 드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user drags the third content image 23 to position it on the “playback” function area 41, display resolutions 55 to 58 that were not previ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10. ) May be displayed, such that the user may drop the third content image 23 dragged past the "playback" functional area 41 to any of the resolutions 55 to 58.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드래그하여 "재생" 기능 영역(41)을 거쳐 화면(10) 상에 나타난 해상도들(55 내지 58) 중 상기 제3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해상도 "720p"에 대응되는 영역(55)에 드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3 컨텐츠가 상기 "720p"의 해상도로 재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drags the third content image 23 to display the third content among the resolutions 55 to 58 shown on the screen 10 via the “playback” function area 41. It may be dropped in an area 55 corresponding to "720p", and thus the third content may be reproduced at a resolution of "720p".

상기 해상도들, 예를 들어 "1080p", "720p", "720i" 및 "480p"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해 해당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가 제공 가능한 해상도들일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컨텐츠 재생 장치는 해상 컨텐츠 제공자(CP)의 서버로부터 각 컨텐츠의 제공 가능한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solutions, for example, "1080p", "720p", "720i", and "480p" may be resolutions that can be provided by a corresponding content provider (CP) for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nd for the content playback The device may receive resolution information capable of providing each content from a server of a maritime content provider (CP).

도 12 내지 도 14는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12 to 14 illustrate still other embodiments of a method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21 내지 24)과 복수의 기능들, 즉 "재생, "다운로드" 및 "전송"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들(41, 42, 43)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regions 41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21 to 24 and a plurality of functions, that is, "play," download "and" transfer "functions, respectivel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0. 42, 43) may be displa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21 내지 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해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능이 화면(10)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21 to 24, at least one sub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selected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have.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컨텐츠 이미지(22)를 선택하는 경우, 화면(10) 상에 상기 선택된 제2 컨텐츠에 대해 수행될 수 있는 서브 기능들이 나타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content image 22, sub-functions that may be performed on the selected second content may appear on the screen 10.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컨텐츠 이미지(22)를 선택하면, 화면(10) 상에 이전에 표시되지 않았던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해 수행 가능한 서브 기능들(50), 예를 들어 상기 제2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는 수신자 목록들(51 내지 54)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content image 22, the sub-functions 50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second content that were not previ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10,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2 Recipient lists 51 to 54 to which content can be transmitted can be displayed.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 컨텐츠 이미지(22)를 선택하면,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21 내지 24)이 상기 선택된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그룹(21, 22)과 나머지 제2 그룹(23, 24)으로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content image 22,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21 to 24 include the first group 21 and 22 and the remaining second group including the selected second content. (23, 24) can be displayed separately.

한편, 상기 제1 그룹, 즉 제1, 2 컨텐츠 이미지들(21, 22)이 표시되는 영역과 상기 제2 그룹, 즉 제3, 4 컨텐츠 이미지들(23, 24)이 표시되는 영역 사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서브 기능들인 수신자 목록(50)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서브 기능의 선택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first group,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tent images 21 and 22 are displayed, and the region where the second group,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content images 23 and 24, are displayed. The recipient list 50, which is a sub function as shown, may be displayed, and thus the selection of the sub function may be easi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컨텐츠 이미지(22)를 선택한 후 화면(10) 상에 나타난 수신자 목록들(51 내지 54) 중 상기 제2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친구 3" 영역(53)을 거쳐 "전송" 기능 영역(43)에 드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가 "친구 3"에게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user selects the second content image 22 and passes through the "friend 3" area 53 to which the second content is to be transmitted among the recipient lists 51 to 54 displayed on the screen 10. It may drop in the "transfer" functional area 43, and thus the second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friend 3".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컨텐츠 이미지(24)를 선택하면, 화면(10)의 하단에 표시되었던 기능들, 즉 "재생" 기능, "다운로드" 기능 및 "전송" 기능이 상기 분리된 제1 그룹의 제1, 2 컨텐츠 이미지들(21, 22)과 제2 그룹의 제3, 4 컨텐츠 이미지들(23, 24) 사이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4,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content image 24, functions that we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10, that is, "play" function, "download" function and "transfer" function The first and second content images 21 and 22 of the separated first group and the third and fourth content images 23 and 24 of the second group may be displayed.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제2 컨텐츠 이미지(24)를 드래그하여 다른 컨텐츠 이미지들이 표시된 영역을 거치지 않고 용이하게 원하는 기능, 예를 들어 "다운로드" 기능 및 "전송"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drag the selected second content image 24 to easily perform a desired function, for example, a "download" function and a "transfer" function, without going through an area where other content images are displayed.

도 15 및 도 16은 복수의 컨텐츠들을 함께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5 and 16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laying back a plurality of contents toge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면(10)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 중 어느 한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다른 컨텐츠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드랍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드래그 앤 드랍 동작에 의해 상기 드래그된 이미지 및 상기 드랍된 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두 컨텐츠가 함께 재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10 may be dragged and dropped on an area where another content image is displayed, and the drag and drop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e dragged image and the two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ropped area may be played together.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컨텐츠 이미지(22)를 드래그하여 제3 컨텐츠 이미지(23)가 표시된 영역을 거쳐 제4 컨텐츠 이미지(24)가 표시된 영역에 드랍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경로에 대응되는 제3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및 제4 컨텐츠와 함께 재생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when the user drags the second content image 22 to drop over the area where the third content image 23 is displayed, the user drags the second content image 22 to the area where the fourth content image 24 is displayed. Third content corresponding to a path may be played together with the second content and the fourth content.

즉, 상기와 같은 드래그 앤 드랍 경로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10) 상에 제2 컨텐츠(62), 제3 컨텐츠(63) 및 제4 컨텐츠(64)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drag and drop path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6, images of the second content 62, the third content 63, and the fourth content 64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10. Can be.

도 17 내지 도 19는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17 to 19 illustrate still other embodiments of a method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on content.

도 17을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기능들은 각각 특정 컨텐츠 제공자(CP)에 대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a plurality of functions displayed on the screen 10 may correspond to specific content providers CP.

즉, 화면(10) 상에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 대응되는 CP 영역들(71, 72, 73)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복수의 CP 영역들(71, 72, 73) 중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영역에 드랍함으로써, 해당 컨텐츠 제공자(CP)가 제공하는 기능을 해당 컨텐츠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CP areas 71, 72, and 73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and the user drags a specific content image to the plurality of CP areas 71 and 72. , 73) by dropping in a region providing a desired function,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CP) can be performed on the conten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드래그하여 "CP 1" 영역(71)에 드랍하는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기 "CP 1"의 서버에 연결하여 상기 "CP 1"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기능을 상기 제3 컨텐츠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rags the third content image 23 to drop it in the "CP 1" area 71,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nnects to the server of the "CP 1" us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corresponding to the “CP 1” may be performed on the third content.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드래그하여 "CP 1" 영역(71)을 거쳐 "CP 2" 영역에 드랍하는 경우, 제3 컨텐츠에 대해 제1 컨텐츠 제공자(CP 1)이 제공하는 제1 기능 및 제2 컨텐츠 제공자(CP 2)가 제공하는 제2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7, when the user drags the third content image 23 and drops it to the “CP 2” area via the “CP 1” area 71, the first content with respect to the third content. The first function provided by the provider CP 1 and the second function provided by the second content provider CP 2 may be performed.

도 18을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복수의 기능들, 즉 "바탕화면" 기능, "홈페이지" 기능 및 "블로그"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a plurality of functions provided by one or more content providers, that is, a "desktop" function, a "home page" function, and a "blog" func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예를 들어, 상기 "바탕화면" 기능은 제1 컨텐츠 제공자(CP 1)에 의해 제공되는 바탕화면 설정 서비스일 수 있으며, 상기 "홈페이지" 기능은 제2 컨텐츠 제공자(CP 2)에 의해 제공되는 홈페이지 관리 서비스일 수 있고, 상기 "블로그" 기능은 제3 컨텐츠 제공자(CP 3)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 블로그 관리 서비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desktop" function may be a wallpaper setting service provided by the first content provider CP 1, and the "home page" function may be a homepage provided by the second content provider CP 2. It may be a management service, and the "blog" function may be a personal blog management service provided by a third content provider CP 3.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컨텐츠 이미지(23)를 드래그하여 "바탕화면" 영역(71)을 거쳐 "홈페이지" 영역(72)에 드랍하는 경우, 제3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1 컨텐츠 제공자(CP 1)이 제공하는 바탕화면 설정 서비스 및 상기 제2 컨텐츠 제공자(CP 2)가 제공하는 홈페이지 관리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when the third content image 23 is dragged and dropped to the “home page” area 72 via the “desktop” area 71, the first content provider is provided for the third content. The wallpaper setting service provided by (CP 1) and the homepage management service provided by the second content provider CP 2 may be applied.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컨텐츠의 영상이 컨텐츠 재생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경화면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3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제공자(CP 2)의 서버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업로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mage of the third content is set as the background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or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thir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of the second content provider CP 2 and uploaded to the home page of the user. Can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10)에 표시되는 복수의 기능들은 특정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음성 및 문자 중 일부를 추출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unctions displayed on the screen 10 may include a function for extracting some of an image, an audio, and a text included in specific content.

도 19를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로부터 문자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재생 또는 저장하는 "문자 추출" 기능,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재생 또는 저장하는 "영상 추출" 기능 및 음성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재생 또는 저장하는 "음성 추출"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text extraction" function of extracting and playing or storing only text data from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10, the "video extraction" function of extracting and playing or storing only video data, and audio data only. A "voice extraction" function may be displayed that extracts, reproduces or saves.

예를 들어,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드래그하여 "문자추출" 영역(81)에 드랍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중 문자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ent image 21 is dragged and dropped on the “character extraction” area 81, only text data of the first content may be extracted and played or stored.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 이미지(21)를 드래그하여 "문자추출" 영역(81)을 거쳐 "영상추출" 영역(82)에 드랍하는 경우, 제1 컨텐츠 중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추출되어 문자 및 영상이 재생되거나 또는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9, when the first content image 21 is dragged and dropped to the “image extraction” area 82 via the “character extraction” area 81, the text data and the image of the first content are dropped. Data may be extracted to reproduce or store text and imag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에 의해 재생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되는 방송 채널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reproduced by the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of a received broadcast channel.

도 20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0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도 20을 참조하면, 화면(10)에 수신 가능한 복수의 방송 채널들, 즉 제1 내지 제12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that can be received, that is, first to twelfth channel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상기 표시되는 방송 채널 정보는 해당 채널의 방송국 명칭, 채널 번호, 상기 채널에서 현재 또는 특정 시간대에 방송되는 컨텐츠의 명칭이나 내용 등을 문자 또는 영상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ed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may include a name of a broadcasting station, a channel number of a corresponding channel, a name or content of content broadcasted at a current or specific time zone in the channel, in the form of a text or an imag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화면(10)에 표시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는 각 방송 채널의 영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보다 상세하게는 썸네일 이미지 또는 무비 클립(movie clip) 등을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저(channel browser)로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displayed on the screen 10 includes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each broadcast channel, more specifically, a thumbnail image or a movie clip. It can be provided as a channel browser (channel browser).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화면(10) 상에 표시된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채널의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 information on the broadcast channels displayed on the screen 1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ntent of the desired channel is played.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이용해 포인터(30)를 이동시켜 원하는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에 위치시킴으로써, 해당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0, a user may select a corresponding channel by moving the pointer 30 to 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ired channel by using an input means.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mbodiment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on which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튜너(120), 제2 튜너(125), 외부신호입력부(128), 제1 복조부(130), 제2 복조부(135),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60),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 저장부(175), 디스플레이부(180) 및 음성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tuner 120, a second tuner 125,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a first demodulator 130, a second demodulator 135, and an analog. The digital converter 14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50, a controller 160, a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a storage unit 175, a display unit 180, and a voice output unit 185.

제1 튜너(12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first tuner 12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onvert to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1)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 1/SIF)로 변환한다. 즉, 제1 튜너(120)는 디지털방송 신호와 아날로그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 1/SIF)는 바로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1, and if it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1 / SIF. That is, the first tuner 120 may be a hybrid tuner capable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and analog broadcast signals. The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1 / SIF output from the first tuner 120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60.

또한, 제1 튜너(12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irst tuner 120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multiple carriers according to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cheme.

제2 튜너(125)는 제1 튜너(120)과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Similar to the first tuner 120, the second tuner 125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select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Converts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한편, 제2 튜너(125)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기억 기능을 통해 기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저장된 다른 채널의 영상도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썸 네일 형태로 도시하므로, 이에 따라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second tuner 125 sequentially and periodically selects corresponding RF broadcast signals of all stored broadcast channels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baseband video / audio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mages of other pre-stored channels are also shown in thumbnail form on at least part of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 periodically receive RF broadcast signals of all pre-stored channels.

예를 들어, 제1 튜너(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제2 튜너(125)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서브 RF 방송 신호) 또는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irst tuner 120 converts a main RF broadcast signal selected by a user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and the second tuner 125 performs all RF broadcasts except for the main RF broadcast signal. It is possible to select a signal (sub RF broadcast signal) or all RF broadcast signals sequentially / periodically and convert them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제1 복조부(130)는 제1 튜너(12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 1)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first demodulator 13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1 converted by the first tuner 12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 1)가 ATSC 방식인 경우, 제1 복조부(130)는 8-VSB (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복조부(1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DIF 1 output from the first tuner 120 is an ATSC scheme, the first demodulator 130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In addition, the first demodulator 13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이를 위해, 제1 복조부(13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demodulator 130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 solomon decoder, and the like. de-interleaving) and read solo decoding.

예를 들어,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 1)가 DVB 방식인 경우, 제1 복조부(13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복조부(1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DIF 1 output from the first tuner 120 is a DVB scheme, the first demodulator 130 performs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COFDMA) demodulation. In addition, the first demodulator 13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이를 위해, 제1 복조부(13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demodulator 130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soloman decoder, and the like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soloman decoding.

외부 신호 입력부(128)는 외부 장치와의 신호 입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외부신호입력부(128)는 A/V 입출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performs signal input with an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외부 신호 입력부(128)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 영상 신호, 외부 입력 음성 신호 및 외부 입력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60) 내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ray (Blu ray), a game device,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and the like to input an external input video signal, an external input audio signal, and an external input data.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60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the audio signal, and the data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ler 160 may be output to another external device.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와의 영상/음성 신호의 입/출력을 입력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section is for inputting / outputting video / audio signals to / from external devices, including Ethernet, USB,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VBS), Component, and S-Video (analog). It may include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RGB terminal, D-SUB terminal, IEEE 1394 terminal, SPDIF terminal, Liquid (HD) terminal.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신호 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 신호는 후술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썸네일 영상추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various input signals input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may be input to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to be described later to perform thumbnail image extraction processing.

예를 들어,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없이,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바로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he CVBS terminal and the S-video terminal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n input to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Digital signals input through other input terminals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without analog / digital conversion.

여기서, 외부 신호 입력부(12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Here,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may be a stream signal. For example, the MPEG-2 TS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nd the like. (Transprt Stream).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For examp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Wi-Fi),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the like may be used. .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한편, 외부신호입력부(128)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may be connect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arious set top boxes and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and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 top box.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 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 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t-top box is a set-top box for an Internet Protocol (IP) TV,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processed by the set-top box for IPTV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60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60 may be transferred to the set-top box for IPTV.

한편,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를 거쳐 제어부(160)에서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processed by the IPTV set-top box may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60 via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PTV may mean ADSL-TV, VDSL-TV, FTTH-TV, etc. according to the type of transmission network, and include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 (TVIP), and Broadband TV (BTV). ) And the like. In addition, IPTV may also mean an Internet TV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or a full browsing TV.

제1 복조부(13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 1)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의 스트림 신호(TS 1)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 1)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modulator 13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output a stream signal TS 1.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TS 1 may be a signal multiplexed wit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TS 1 may be an MPEG-2 TS (Transp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nd the like. In more detail,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스트림 신호(TS1)는 제어부(160)에 입력되어,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이 수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60)에 입력되기 전에,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채널 브라우징을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 채널 브라우징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stream signal TS1 is input to the controller 160 to perform demultiplexing and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is input to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170 before the input to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processing for channel browsing is performed. Channel browsing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술한 제1 복조부(13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first demodulator 1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TSC method and the DVB method. That is, it can be provided as an ATSC demodulation unit and a DVB demodulation unit.

제2 복조부(135)는 제2 튜너(12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 2)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 2)를 출력한다. 제2 복조부(135)의 동작은 상술한 제1 복조부(130)의 동작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The second demodulator 135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2 converted by the second tuner 125 to perform a demodulation operation, and outputs a stream signal TS 2.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emodulator 135 is omitt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emodulator 130.

한편, 제2 튜너(125)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신호(CVBS 2)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에서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작업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tuner 125 is an analog baseband video signal CVBS 2,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40 into a digital signal.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되는 신호가 영상 신호인 경우, 샘플링 및 양자화가 수행되어 디지털 영상 신호(DV)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부호화되지 않은 신호일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DV)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처리되게 된다.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40 converts the input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When the input signal is an image signal, sampling and quantization may be performed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image signal DV.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may be an uncoded signal. The converted digital image signal DV is input to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and processed.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to the controller 16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6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50 may be configured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etc.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The user input signal may be received or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6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r 200.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demultiplex the input stream and signal-process the demultiplexed signals to generate and output signals for video and audio output. In additio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controlled.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사용자 입력 신호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illustrated,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 voice processor, and a user input signal processor.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 예를 들어 MPEG-2 TS 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demultiplex an input stream signal, for example, an MPEG-2 TS, and divide the input stream signal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respectively.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it may be decoded. Specifically,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of MPEG-2 standard, it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cheme or DVB-H, it may be decoded by the H.264 decoder.

또한, 제어부(16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process brightness, tint, and color adjustment of the image signal.

제어부(16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60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to be displayed.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to an external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perform voic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coded speech signal, it can be decoded. Specifically,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speech signal of MPEG-2 standard, it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speech signal of MPEG 4 Bit Sliced Arithmetic Coding (BSAC) standard according to th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cheme, it may be decoded by an MPEG 4 decoder. In addition,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audio signal of the AAC (Advanced Audio Codec) standard of MPEG 2 according to the satellite DMB scheme or DVB-H, it may be decoded by the AAC decoder.

또한, 제어부(16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process base, treble,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85), 예를 들어 스피커로 입력되어 음성 출력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60 is input to the voice output unit 185, for example, a speaker, and outputs voice.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to an external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n encoded data signal, it may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t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in each channel.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ATSC scheme, and may include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 the DVB scheme. The ATSC-PSIP information or the DVB-S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stream, that is,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TS.

또한, 제어부(16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신호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perform an on screen display (OSD) process. In detail, the controller 160 based on the image processed image signal, at least one of the data processed data signal, and a user inpu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 It can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a graphic or text. The generated signal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long with an image processed image signal and a data processed data signal.

상기 그래픽 또는 텍스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생성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ed for the graphic or text display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various menu screens, widgets, and icons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수신되는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 및 외부 신호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입력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브라우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may perform a browsing process on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received channel and various input image signals input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구체적으로, 복조부(130, 135)에서 복조 및 채널 복호화된 스트림 신호(TS 1 또는 TS 2)를 입력받거나, 외부입력신호입력부(128)에서의 스트림 신호를 입력받거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DV)를 입력받아, 스트림 신호(TS 1, 또는 TS 2)를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들 중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새로운 스트림 신호(TS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a 또는 TSb)는 MPEG 2 TS 일 수 있다.In detail, the demodulation unit 130 or 135 receives the demodulated and channel decoded stream signal TS 1 or TS 2, receives the stream signal from the external input signal input unit 128, or receiv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 An image signal including the digital signal DV converted in operation 140, demultiplexing the stream signal TS 1 or TS 2, extracting some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s, and including the extracted image signal The new stream signal TSa may be output by multiplexing on the basis of.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TSa or TSb may be MPEG 2 TS.

또한,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중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메인 스트림 신호(TSb)는 별도의 처리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중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서브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서브 스트림 신호(TS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브라우징 처리를 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may output the main stream signal TSb corresponding to the main video signal displayed in the main area among the video signal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The sub stream signal TSa corresponding to the sub video signal displayed in the sub region among the video signals displayed on 180 may be output by performing channel browsing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를 통해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 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채널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른 채널에서 방송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nnel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by extracting a partial image of the broadcast signal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through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170 and re-coding the stream in the form of a stream, the broadcast signal of the multiple channel is displayed.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in the form of a thumbnail.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contents broadcast in the other channel.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외부 신호 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외부 입력 영상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외부 입력 장치에서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170 extracts some images of various external input images input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and re-encodes them in a stream form so that the external input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input image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thumbnail.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content input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한편,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상술한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및 상술한 외부 입력 영상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 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채널 목록 및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및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extracts the broadcast signal image of the channel and the partial image of the external input image and re-encodes the image in a stream form, thereby displaying the channel list and the external input list on the display unit 180. In this case, at least a part of a broadcast signal image of a plurality of channels and an external input image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devices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in a thumbnail form.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복수의 채널 및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content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external input device.

저장부(175)는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60, or may store a signal processed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75)는 외부 신호 입력부(12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75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한편, 저장부(175)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해 해당하는 방송 채널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a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and for this purpos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nd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may be used.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a RAM, or a ROM (EEPROM, etc.) of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도면에서는 저장부(175)가 제어부(16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60) 내에 포함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drawing, the storage unit 175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75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60.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75)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provide a user with a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신호입력부(128)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unit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or an image signal, data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28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and the driving signal. Create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부(3D display)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8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o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성 출력부(185)는 제어부(16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voice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6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The voice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interface unit 150.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use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ltra Wideband (UWB), ZigBee (ZigBee), and the like.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receive an image signal, an audio signal, a data signal, etc. from the interface unit 150 and output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일 수 있으며,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해 화면 상에 표시된 포인터(30)를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an input means for performing a user inpu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9, for example, a drag and drop operation, that is, a user. May move the pointer 30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한편, 도 2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2개의 튜너들(120, 12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 개 또는 3 이상의 튜너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FIG. 21,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two tuners 120 and 12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ne or three tuners.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으며,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display apparatus 100 is a fixed typ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TSC (8-VSB) digital broadcasting, DVB-T (COFDM) digital broadcasting, ISDB-T (BST-OFDM)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like.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one, and is also mobile, terrestrial DMB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DMB digital broadcasting, ATSC-M / H digital broadcasting, DVB-H digital broadcasting (COFDM),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media broadcasting (Media Foward Link Only) type digital broadcasting. It may also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cable, satellite communications, or IPTV.

도 22는 화면에 표시되는 채널 브라우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2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channel browser displayed on a screen.

도 22를 참조하면, 화면(300)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a channel browser including thumbnail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receivable by the display apparatu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300.

이와 같이, 채널 브라우저가 복수의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복수의 채널들에서 방송되는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As such, the channel browser includes thumbnail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so that the user may intuitively recognize contents broadcast in the plurality of channels.

한편,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채널 브라우저는 기능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메뉴는 선택된 채널에 대한 "재생" 기능, "녹화" 기능, "선호 채널 등록" 기능, "간편 보기" 기능 및 "재생+녹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annel brows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menu. The function menu may include a "play" function, a "record" function, a "preferred channel registration" function, a "simple view" function, a "play + record" function, and the like for the selected channel.

한편, 상기 채널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해당 채널에서 현재 수신되는 컨텐츠의 영상 또는 미리 저장된 컨텐츠의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thumbnail image displayed on the channel browser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and may be an image of a content currently received from a corresponding channel or an image of pre-stored content.

한편,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Meanwhile, the thumbnail images may be images processed and output by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as described above.

상기 채널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이 화면(3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ed thumbnail images is selected while the channel browser is displayed, a broadcast signal image of a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300.

또한, 상기 채널 브라우저 내에서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은 채널 번호, 기설정된 선호 채널, 최근 재생 채널, 및 기설정된 삭제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umbnail images displayed in the channel browser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any one of a channel number, a preset favorite channel, a recently played channel, and a preset delete channel.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브라우저상에 포인터(30)가 표시될 수 있으며, 공간 리모컨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포인터(30)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하,좌,우 등의 이동 방향에 따라 포인터(30)가 이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pointer 30 may be displayed on the channel browser, and when there is a movement input of the pointer 30 by a user input means such a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the user may move up, down, left, right, or the like. The pointer 30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한편, 도 22에서는 상기 채널 브라우저가 화면(3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특정 영상이 화면(30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저가 표시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22, the channel browser is shown to be display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3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artial browser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a specific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300. FIG. A channel browser includ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may be displayed in the.

또한,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기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업데이트 동작은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thumbnail images may be periodically or randomly updated, and such an update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17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입력 수단, 예를 들어 공간 리모컨을 이용하여 화면(300) 상에 표시된 포인터(30)를 이동시켜 채널 브라우저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oves one of the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included in the channel browser by moving the pointer 30 displayed on the screen 300 using an input means, for example, a spatial remote controller. You can choose.

한편, 사용자는 공간 리모컨을 이용해 원하는 채널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한 후 특정 방향(화살표로 표시됨)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select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 desired channel by using a spatial remote controller and drag it in a specific direction (indicated by an arrow) to move it.

예를 들어, 사용자는 채널 브라우저에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하여 각 채널의 내용을 인지한 후, 그에 따라 "CADTV 35-1" 채널에 대해 "시청" 기능 및 "녹화" 기능을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may check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displayed in the channel browser to recognize the contents of each channel, and then perform the "view" and "record" functions on the "CADTV 35-1" channel accordingly. You can decide.

이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CADTV 35-1" 채널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310)를 드래그하여 "시청" 기능 영역(320)을 거친 후 "재생" 기능 영역(330)에 드랍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2, the user drags the thumbnail image 310 corresponding to the "CADTV 35-1" channel to go through the "view" function area 320 and then the "playback" function area 330. Can drop on.

상기와 같은 드래그 앤 드랍 동작이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력됨에 따라, "CADTV 35-1" 채널의 영상이 화면(300) 상에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상기 채널이 저장 매체에 녹화될 수 있다.As the drag and drop operation is input to the display device, an image of the channel “CADTV 35-1” is displayed on the screen 300 and the channel may be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컨텐츠 제어 방법은 3D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컨텐츠들, 예를 들어 복수의 방송 채널들의 영상들은 각각 3D 영상으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y 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is, the plurality of content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2, for example, images of the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3D images.

상기 3D 라는 용어는 깊이의 착시 효과를 갖는 3차원의 동영상을 재생하려고 하는 시각적 표현 또는 표시 기술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좌안의 영상과 우안의 영상에 대해, 관찰자의 시각 피질(Visual Cortex)은 두 영상을 하나의 3차원 영상으로 해석한다.The term 3D is used to describe a visual expression or display technique that attempts to reproduce a three-dimensional video having an optical illusion of depth. For the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image of the right eye, the observer's visual cortex interprets the two images into one three-dimensional image.

3차원(3D) 표시 기술은 3D 영상 표시가 가능한 장치에 대해 3D 영상 처리 및 표현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3D 영상 표시가 가능한 장치는 관찰자에게 3차원 영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특수한 관찰장치를 사용해야 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3D) display technology may employ the technology of 3D image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 for the device capable of 3D image display. Optionally,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3D images may require the use of a special viewing device to effectively provide the viewer with three-dimensional images.

3D 영상 처리 및 표현의 예로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비디오 캡처,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다시점 영상/비디오 캡처, 이차원 영상과 깊이 정보의 처리 등이 있다. 3D 영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의 예로는, 3D 표시 기술을 지원하는 적절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지털 TV 화면, 컴퓨터 모니터 등이 있다. 특수한 관찰장치의 예로는, 특수화 안경, 고글, 헤드기어, 안경류(Eyewear) 등이 있다.Examples of 3D image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 include stereoscopic image / video capture, multi-view image / video capture using multiple cameras, and processing of two-dimensional image and depth information. Examples of display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3D image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digital TV screens, and computer monitors having appropriate hardware and / or software supporting 3D display technology. Examples of special observation devices include specialized glasses, goggles, headgear, eyewear,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3D 영상 표시기술은 애너글리프(Anaglyph) 입체 영상(통상적으로 수동형 적청 안경을 함께 사용), 편광 입체 영상(통상적으로 수동형 편광 안경과 함께 사용), 프레임-교대 시퀀싱(Alternate-Frame Sequencing)(통상적으로 능동형 셔터 안경/헤드기어와 함께 사용),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배리어(Barrier) 스크린을 사용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Autostereoscopic Display) 등이 있다.Specifically, 3D image display technology includes anaglyph stereoscopic images (commonly used with passive red blue glasses), polarized stereoscopic images (commonly used with passive polarized glasses), and alternating-frame sequencing. (Typically used with active shutter eyeglasses / headgear),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or Barrier screens.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3D 영상 표시기술은 회전하거나 교대로 동작하는 광학장치, 예를 들면 컬러필터 휠(Wheel)에 부착된 분할 편광기(Segmented Polariz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는 서로 간에 동기화가 요구된다. 다른 3D 영상 표시기술은, 표시할 영상의 픽셀과 대응하는 사각형 배열로 배치된, 회전가능한 마이크로스코픽 미러(Micorscopic Mirror)를 사용하는 디지털 미소 반사 표시기(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에 기반한 디지털 광처리기(Digital Light Processor; DLP)를 이용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image display technology may use an optical device that rotates or alternately operates, for example, a segmented polarizer attached to a color filter wheel, in which case they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s required. Another 3D image display technology is a digital light processor based on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using a rotatable Microscopic Mirror, arranged in a rectangular array corresponding to the pixel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Digital Light Processor (DLP) can be used.

한편, 입체영상의 렌더링(Rendering) 및 표시 기술(특히, 3D TV)와 관련된 새로운 유형의 표준이, 현재 다양한 기업, 컨소시엄, 및 기구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SMPTE(The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CEA(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 3d@Home 컨소시엄,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등이 있다. 이외에도, DVB, BDA, ARIB, ATSC, DVD 포럼, IEC 등과 같은 다른 표준화 그룹들이 참여하고 있다.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은, 다시점 영상,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및 깊이 정보를 갖는 이차원 영상의 3D 영상 코딩에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는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에 대한 다시점 영상 코딩 확장(Multiview Video Coding Extension)이 표준화 진행 중이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코딩 및 스테레오스코픽 분배 포맷팅은 컬러 시프팅(Anaglyph), 픽셀 서브 샘플링(Pixel Sub-Sampling)(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체커보드(Checkerboard), 오점형(Quincunx)), 및 고도 비디오 코딩(Enhanced Video Coding)(2D + 델타(Delta), 2D + 메타데이터(Metadata), 깊이정보를 갖는 2D)와 관련있다.On the other hand, new types of standards related to the rendering and display technology of stereoscopic images (particularly 3D TV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by various companies, consortiums and organizations, such as The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CEA),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 (CEA), 3d @ Home Consortium, and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In addition, other standardization groups such as DVB, BDA, ARIB, ATSC, DVD Forum, IEC, etc. are participatin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is involved in 3D video coding of multidimensional video, stereoscopic video, and two-dimensional video with depth information, and is now multiview video coding for MPEG-4 Advanced Video Coding (AVC). The Multiview Video Coding Extension is being standardized. Stereoscopic image coding and stereoscopic distribution formatting include color shifting, pixel sub-sampling (side-by-side, checkerboard, and quincunx). , And Advanced Video Coding (2D + Delta, 2D + Metadata, 2D with Depth Information).

한편, 기존의 2D 영상 표시장치(2D Display)에서는 하나의 영상만을 만들어 낸다. 반면에 3D 영상 표시장치에서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으로 하나의 3D 영상을 만들 수 있다.Meanwhile, a conventional 2D display generates only one image. On the other hand, in the 3D image display device, one 3D image may be made of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3D 영상의 구현을 위해 좌 영상과 우 영상이 화면에 교대로 표시되는 방식에는, 프레임별 분할(Frame by Frame) 방식, 좌우 분할(Side by Side) 방식 및 상하 분할(Top-Down) 방식이 있다.In order to display 3D images, left and right images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a screen, such as a frame by frame, a side by side, and a top-down. .

상기 프레임별 분할 방식은 화면 전체에 좌 영상과 우 영상이 교대로 주사되는 방법이다. 프레임별 분할 방식은 프레임 시퀀셜(Frame Squential) 방식이라고도 불리며, 좌 화면과 우 화면을 번갈아 표시하는바 표시장치의 원 최대 해상도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을 풀 해상도(Full Resolution)라 한다.The frame divis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re alternately scanned on the entire screen. The frame-by-frame division method is also called a frame sequential method, and the left and right screens are alternately displayed, and the original maximum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used. This characteristic is called full resolution.

상기 좌우 분할 방식은 화면을 좌우로 분할하여 좌 영상과 우 영상이 각각 화면에 주사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하 분할 방식은 화면을 상하로 분할하여 좌 영상과 우 영상이 각각 화면에 주사되는 방법이다.The left and right division method divides a screen from side to side and scan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vertical division method divides a screen vertically and scan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on the screen.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duced as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ROM, RAM, CD- 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broadcast reception method may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컨텐츠 이미지들 중 제1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drag)하여 제1 영역에 드랍(drop)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기능 및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가 드래그되는 경로에 대응되는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Receiving an operation of dragging a first content image among the displayed content images and dropping the first content image in a first area; And
And performing a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nd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a path to which the first content image is dragged on the first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function is
And a content control method corresponding to a second area located on the drag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functions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가 드래그되어 상기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을 지나는 경우, 상기 제2 기능과 함께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at least one sub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second function when the first content image is dragged and passes a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기능은 상기 제1 기능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 function includes the first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능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at least one sub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first content when the first content image is sele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기능은 상기 제2 기능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ub function includes the second function.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1 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기능이며,
상기 서브 기능은 상기 제1 컨텐츠의 수신자 지정을 위한 기능인 컨텐츠 제어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The first function i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ub function is a function for designating a recipient of the first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그룹과 나머지 컨텐츠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2 그룹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separating and displaying a first group including the first content image and a second group including the remaining content images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imag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제1 그룹과 상기 제2 그룹 사이에, 상기 제1, 2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s between the displayed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제1, 2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의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function is performed.
Connecting to a server of a content provider (CP) that provides the function, fo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음성 및 문자 중 일부를 추출하기 위한 기능인 컨텐츠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s is
And a function for extracting a part of an image, a voice, and a text included in the first content.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컨텐츠 이미지들 중 제1 컨텐츠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제2 컨텐츠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에 드랍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가 드래그되는 경로 상에 제3 컨텐츠 이미지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컨텐츠를 상기 제1, 2 컨텐츠와 함께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Receiving an operation of dragging a first content image among the displayed content images and dropping the first content image in a region where a second content image is displayed; And
And reproducing the third content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when the third content image is positioned on a path along which the first content image is dragged.
복수의 컨텐츠들 중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제1 영역에 드랍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기능 및 상기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of dragg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and dropping the image in the first area;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nd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area positioned on the drag path,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e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에 각각 대응되는 컨텐츠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content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s, respectivel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가 드래그되어 상기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을 지나는 경우, 상기 제2 기능과 함께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능을 표시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t least one sub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second function when the first content image is dragged and passes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unc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 수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능을 표시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first content image is selected, displaying at least one sub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first content.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KR1020100050581A 2010-05-28 2010-05-28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thereof KR101760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81A KR101760939B1 (en) 2010-05-28 2010-05-28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thereof
US13/643,836 US9055326B2 (en) 2010-05-28 2011-05-27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CN201180026544.XA CN102918485B (en) 2010-05-28 2011-05-27 Contents controlling method and use the content player of this contents controlling method
EP11786947.9A EP2579138A4 (en) 2010-05-28 2011-05-27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PCT/KR2011/003926 WO2011149315A2 (en) 2010-05-28 2011-05-27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81A KR101760939B1 (en) 2010-05-28 2010-05-28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993A true KR20110130993A (en) 2011-12-06
KR101760939B1 KR101760939B1 (en) 2017-07-24

Family

ID=4549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581A KR101760939B1 (en) 2010-05-28 2010-05-28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9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919A (en)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3389B2 (en) * 2000-03-24 2006-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Image data editing op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60129945A1 (en) * 2004-12-15 2006-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inter drag path oper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919A (en)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939B1 (en)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781B1 (en) Method for playing contents
US9055326B2 (en)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KR101781861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text in the same
KR101735610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101349276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02550031B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11263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11254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20110037734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52308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3499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97773B1 (en) Stereo-scopic image capture appartus capable of selecting captuer mode with respect to stereo-scopic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176093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thereof
US20120281073A1 (en) Customization of 3DTV User Interface Position
KR10170045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20062428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72133A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KR101657564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45247B1 (en)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 channel
KR101680038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17650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736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88952A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a 3d object including a thumbmail image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24198A (en) Imag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134087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