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075A - 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 - Google Patents

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075A
KR20110125075A KR1020100044615A KR20100044615A KR20110125075A KR 20110125075 A KR20110125075 A KR 20110125075A KR 1020100044615 A KR1020100044615 A KR 1020100044615A KR 20100044615 A KR20100044615 A KR 20100044615A KR 20110125075 A KR20110125075 A KR 20110125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tems
grouping
resources
meta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13185B1 (en
Inventor
최현정
이유진
김동범
황영식
신창호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네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네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네크
Priority to KR102010004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185B1/en
Publication of KR2011012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0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semantic grouping based on surge metadata, semantic search service method capable of supporting a visual navigation and,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execute navigation as a text and a diagram type from a semantic link information list by applying an ontology modeling. CONSTITUTION: A search engine(130) extracts a search result which includes surge meta data of searched resources by searching the surge metadata category of resources in which are store in a database. A control unit(110) extracts a resource list in which is related to a grouping category by classifying the searched resources to grouping items. A visual navigation unit(150) displays schematically the grouping items. A text navigation unit(140) displays the resource list in which is related in the grouping items and surge metadata element as a text.

Description

서지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미적 그룹핑과 비주얼한 네비게이션을 지원하는 시맨틱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

본 발명은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서관에서 다루는 서지 메타데이터를 대상으로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온톨로지 모델링을 적용하여 서지 메타데이터 만의 의미를 기초로한 의미적 그룹핑을 통해, 작품(서명)과 그에 대한 저자, 주제, 관련 도서 등의 의미적 연계가 있는 각 그룹핑 항목에 대한 의미적 연계 정보 리스트를 텍스트 형식과 함께 비주얼하게 도식적 형태로도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한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rch service method and system, and to applying bibliographic records (FRBR) ontology modeling to bibliographic metadata handled by a library, through semantic grouping based on the meaning of bibliographic metadata. Retrieval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visually and graphically navigating the list of semantic linking information for each grouping item with (signature) and its author, subject, related book, etc. It is about.

인터넷 서점이나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검색 시스템에서는 서지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도서의 목록이나 요약 정보, KDC(Korea Decimal Classification)등 분류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검색 시스템은 인터넷 쇼핑몰이나 학술 정보 제공 사이트에서도 유사하게 검색어에 유사한 각종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Search systems used in internet bookstores and libraries provide class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catalogs of books, summary information, and Korea Decimal Classification (KDC) based on bibliographic metadata. Such a search system may similarly provide various materials similar to a search word in an internet shopping mall or an academic information providing site.

그러나, 기존의 일반적인 검색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베이스화된 리소스들을 참조하여 제한된 범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검색 결과의 네비게이션이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검색 시스템에서는 검색어에 대하여 서지 메타데이터 이외의 전체 리소스를 기반으로 풀 텍스트(full text)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검색 시간과 결과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검색 결과를 텍스트 형태의 리스트로만 보여주고 의미적 연관성에 대한 그룹핑이 관리되고 있지 않아 의미적 연계 정보 리스트의 제공이 일시적이며, 검색 결과를 비주얼하게 도식적 형태로 보여주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도서에 관한 연관 네비게이션 검색을 하기가 쉽지 않다. However, in the existing general search system, a limited range of search results are provided with reference to database resources, and navigation of the search results is not easy. For example, in a general search system, a full text search is performed based on all resources other than bibliographic metadata for search terms, which not only ha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search time and results, but also results in a text form. Since the list of semantic associations is not managed and the grouping of semantic associations is not managed, the provision of semantic linking information list is temporary, and the search results are not visually represented in a graphical form. Uneasy.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서관에서 다루는 서지 메타데이터를 대상으로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온톨로지 모델링을 적용하여 서지 메타데이터 각 요소들의 의미를 기초로한 의미적 그룹핑을 통해, 작품(서명)과 그에 대한 저자, 주제, 관련 도서 등의 의미적 연계가 있는 각 그룹핑 항목에 대한 의미적 연계 정보 리스트를 텍스트 형식과 함께 비주얼하게 도식적 형태로도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한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FRBR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ontology modeling to the bibliographic metadata handled in a library, thereby identifying the meaning of each element of the bibliographic metadata. Through the semantic grouping on the basis, the list of semantic linking information for each grouping item with the semantic linking of the work (signature) and the author, subject, related book, etc., in the form of text and visually To provide a search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on.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서지 메타데이터 기반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서 시맨틱 검색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 범주에서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으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검색 결과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의 리소스들이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들 간에 의미적 연계를 갖도록 각 리소스의 서지 메타데이터에 출현하는 키워드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핑 항목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화면의 일정 영역에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의 다른 영역에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irst,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the semantic search service in the bibliographic metadata-based search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to the database; Receiving a search term using a search term auto-completion function in a bibliographic metadata category of stored resources; Storing a search result including bibliographic metadata of resources searched for the search word in storage means; Classifying the search result resources into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based on a match degree of a keyword appearing in the bibliographic metadata of each resource so that the resources of the search result have a semantic link between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Extracting a related resource list belong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And graphical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user terminal screen, while displaying related resource lists and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n other areas of the user terminal screen as text. It includes a step.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 중 어느 하나가 클릭으로 선택되면, 해당 항목에 대한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상기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영역의 가장 위부분에 디스플레이한다.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s selected as a click in an area of the screen that graphically displays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a screen for displaying the related resource list and the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 for the item as the text. Display at the top of the area.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표시하는 방식은 중심에 하나의 항목 그리고 상기 중심의 원형 주위에 나머지 항목들을 배치하는 방식이다.In the area of the screen that visually displays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s a method of arranging one item in a center and the remaining items around the circle of the center.

상기 클릭으로 선택된 항목은 상기 중심으로 이동하며, 상기 원형 주위의 항목들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한칸씩 이동하며, 상기 중심에 있던 항목은 상기 원형 주위의 빈칸으로 돌아갈 수 있다.The item selected by the click moves to the center, the items around the circle move one spac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item at the center can return to the space around the circle.

상기 원형 주위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해당 관련 리소스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 주위에 디스플레이한다.A corresponding resource list for any one of the items around the circle is displayed around an area of the screen that graphically displays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상기 원형 주위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해당 관련 리소스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 하단부에 디스플레이한다.The corresponding resource list for any one of the items around the circle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an area of the screen which visually and graphically displays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상기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는 작품명, 저자명, 자료 유형, 장르, 언어, 표현 형태, 초록, 목차, 주기(note), 주제, 분류, 관련정보, 식별기호, 소장위치, 이용제한사항, 발행처, 발행일자, 또는 이용대상자를 포함한다.The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include the name of the work, the name of the author, the type of material, the genre, the language, the form of expression, the abstract, the table of contents, the note, the subject, the classification, the related information, the identifier, the location of the collection, the restrictions of use, the publisher and the publication. Date, or subject to use.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은, 작품, 작품에 대한 책임주체, 표현주체, 형태주체, 관련 주제, 관련 도서, 또는 관련 저자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may include a work, a person responsible for the work, an expression person, a form person, a related subject, a related book, or a related autho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서지 메타데이터 기반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리소스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 범주에서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으로 검색어를 입력받아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검색엔진; 상기 검색 결과를 저장하는 검색 결과 저장부; 상기 검색 결과의 리소스들이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들 간에 의미적 연계를 갖도록 각 리소스의 서지 메타데이터에 출현하는 키워드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핑 항목으로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어부; 사용자 단말 화면의 일정 영역에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비주얼 네비게이션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의 다른 영역에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텍스트 네비게이션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bibliographic metadata based search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storing resources; A search engine extracting a search result including bibliographic metadata of resources searched for the search term by inputting and searching a search term with a search term auto-completion function in a bibliographic metadata category of resources stored in the database; A search result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search result; The resources of the search result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based on the degree of coincidence of keywords appearing in the bibliographic metadata of each resource so that the resources of the search result have a semantic link between the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list; A visual navigation unit visually and graphical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 user terminal screen; And a text navigation unit displaying, in text, a list of related resources and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respectively, in different areas of the user terminal screen.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FRBR 온톨로지 모델링을 적용하여 서지 메타데이터 각 요소들의 의미를 기초로한 의미적 그룹핑을 통해, 작품(서명)과 그에 대한 저자, 주제, 관련 도서 등의 의미적 연계가 있는 각 그룹핑 항목에 대한 의미적 연계 정보 리스트를 텍스트 형식과 함께 비주얼하게 도식적 형태로도 네비게이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arch service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FRBR ontology modeling through the semantic grouping based on the meaning of each element of the bibliographic metadata, the work (signature) and its author, subject, related books, etc. The list of semantic association information for each grouping item with semantic association can be navigated visually and graphically along with the text form.

이에 따라, 기존에 단순 리스트로 보이는 정보를 의미적으로 묶어서 다양한 방법으로 도식화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작품에 대한 책임주체, 표현주체, 형태주체, 관련 주제, 관련 도서, 관련 저자 등을 비주얼 그래픽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때까지 용이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formation that appears to be a simple list can be grouped semantically, and the search results can be provided by various methods, and the responsible subject, expression subject, form subject, related subjects, related books, related authors, etc. By allowing the user to browse through the visual graphic, an easy search service can be provided until the user finds the desired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로 구현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 동작 개념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현한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텍스트 네비게이션에 대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례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arch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search service system of FIG. 1 is implemented as a server in a wired /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operation concept of a search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basic operation concept of a search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display scree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arch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arch word automatic comple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for text navigation in a search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맨틱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mantic search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맨틱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데이터베이스(111),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검색엔진(130), 검색결과 저장부(131), 텍스트 네비게이션부(140), 및 비주얼 네비게이션부(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의 위와 같은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에 해당하고, 위와 같은 구성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모바일 기기 포함) 등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키보드 등 자료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하고, 또한 이들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까지도 모두 포함하며, 도서관이나 인터넷 서점의 운영자 또는 관리자 등 사용자가 검색 서비스를 이용한 데 필요한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수단들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semantic search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database 111, a user interface 120, a search engine 130, and a search result storage unit 131. ), A text navigation unit 140, and a visual navigation unit 150. The controller 110 may correspond to a processor that is in charge of the overall control of the above components of the search service system 100 and may include some or all of the above components. The user interface 120 includes a display mean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cluding a mobile device), a data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also includes all applications for driving them, and includes an operator or administrator of a library or an internet bookstore. It includes all means necessary for processing to suit the user environment required for the user to use the search service.

이와 같은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는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각 구성요소를 구현하여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Each component of the search service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can be realiz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some case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read by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an application program in the form of code,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 corresponding function.

도 2는 도 1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로 구현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search service system of FIG. 1 is implemented as a server in a wired /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은 유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WCDMA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를 통해 연결된 서버로 구성되어,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이용자들의 단말(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아이폰, PMP 등)에, 도서관이나 인터넷 서점 등 도서 관련 분야에서 다루는 서지 메타데이터를 대상으로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온톨로지 모델링을 적용하여,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간 의미를 기초로한 의미적 그룹핑을 통해, 작품(서명)과 그에 대한 저자, 주제, 관련 도서 등의 의미적 연계가 있는 각 그룹핑 항목에 대한 의미적 연계 정보 리스트를 텍스트 형식과 함께 비주얼하게 도식적 형태로도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earch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Bro network, etc.) to connect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FRBR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ontology modeling is applied to bibliographies that are handled in book-related fields such as libraries and Internet bookstores on users' terminals (eg, desktop PCs, notebook PCs, iPhones, PMPs, etc.). In addition, through semantic grouping based on the meaning between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a list of the semantic linking information for each grouping item with a semantic link between the work (signature) and its author, subject, and related books is presented in text format. In addition, the service can be visually and graphically navigated.

이를 위하여, 도 1의 제어부(110)는 소정 유무선 통신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동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 WCDMA, IMT-2000, 와이브로(휴대 인터넷) 등의 규격에 따라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 선택사항 등 필요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고 시스템(100)에서 생성되는 검색 결과 등의 데이터가 이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110 of FIG. 1 drives predetermine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to communicate with wired / wireless according to standards such as the Internet, WCDMA, IMT-2000, WiBro (mobile Internet), etc.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user interface 120 may support the user to input necessary data such as search terms and options input by the user on the wired /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 data such as search results generated by the system 100 to the user terminal. Can be supported.

도 3또는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에서는,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의 검색 결과에 FRBR 온톨로지 모델링을 적용하여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들의 의미를 기초로한 의미적 그룹핑을 통해, 작품(서명)과 그에 대한 저자, 주제, 관련 도서 등의 의미적 연계가 있는 각 그룹핑 항목에 대한 의미적 연계 정보 리스트를 텍스트 형식(210)과 함께 비주얼하게 도식적 형태(220)로도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과 같이 단순 리스트로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의미적으로 묶어서 다양한 방법으로 도식화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작품에 대한 책임주체, 표현주체, 형태주체, 관련 주제, 관련 도서, 관련 저자 등 각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 그래픽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도서 관련 정보를 찾을 때까지 용이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or 4, in the search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based on the meaning of the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by applying FRBR ontology modeling to a search result of a search word input by a user. Through the formal grouping, a visually schematic form 220 of the semantic linking information for each grouping item with the semantic linking of the work (signature) and the author, subject, related book, etc. together with the text format 210 is provided. You can also navigate with. Accordingly, instead of showing the search results in a simple list as before, the search results can be provided by semantically grouping them in various ways, and are responsible for the work, the subject of expression, the subject of form, the related subjects, and related books. By visually viewing each grouping item such as and related autho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sy search service until the user finds the desired information about the book.

여기서, 이용자들이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단말은,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등일 수 있고, 이 뿐만 아니라, WCDMA 등 이동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Here, the terminal for the user to use the services of the search service system 100 is a notebook PC, desktop PC, Palm Personal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smart phone (Smart phone) , 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mobile game-station (mobile play-station) and the like, as well as cellular phone (Cellular phone), PCS phone (PCS phone :) that supports mobile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WCDMA It refers to all electronic devices that can communicate using wired / wireless networks such as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and synchronous / asynchronous IMT-2000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이하,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의 동작 설명을 위하여 도 5의 흐름도가 참조된다. Hereinafter, a flowchart of FIG. 5 will be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search service system 100.

먼저, 데이터베이스(111)에는 DDC(Duwey Decimal Classification) 또는 KDC 등 일정 분류 체계에 따라 다양한 작품(서명)들에 대한 리소스가 저장 관리된다. 리소스들의 형식은 문서, 영화, 음반, 이미지, 비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 또는 텍스트 데이터 형식 등일 수 있고, 이와 같은 리소스들에는 각각 작품명, 저자명, 자료 유형, 장르, 언어, 표현 형태, 초록, 목차, 노트(note), 주제, 분류, 관련정보, 식별기호, 소장위치, 이용제한사항, 발행처, 발행일자, 또는 이용대상자 등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가 대응되어 저장 관리된다.First, the database 111 stores and manages resources for various works (signatures) according to a certain classification scheme such as Dudey Decimal Classification (DDC) or KDC. The resources may be in the form of documents, movies, recordings, images, video files, databases, or text data formats, each of which has a title, author name, material type, genre, language, presentation form, abstract, table of contents,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such as notes, subjects, classifications, related information, identifiers, collection locations, restrictions on use, issuer, issue date, or useee are mapped and managed.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1)에 관리되는 리소스는, 예를 들어, 어느 작품과, 이를 번역, 영화, 영상, 음향, 퍼포먼스, 발췌 등 다양한 표현 주체가 구현한 표현물이 산재하며, 또 각각의 표현물에 대하여 VOD, DVD, 책, 전자책, PDF, 화일, 슬라이드, CD, Tape 등 다양한 형태 주체가 구현한 형태 구현물이 산재하여, 이들을 의미적으로 묶어서 다양한 방법으로 도식화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받게 할 필요가 있으며, 작품에 대한 책임주체, 표현주체, 형태주체, 관련 주제, 관련 도서, 관련 저자 등 각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 그래픽으로 열람할 수 있게하여 용이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As such, the resources managed in the database 111 are interspersed with, for example, certain works and expressions embodied by various expression subjects such as translations, movies, images, sounds, performances, and excerpts, and for each expression. Form implementations implemented by various form entities such as VOD, DVD, books, e-books, PDFs, files, slides, CDs, and tapes are scattered, and they need to be grouped semantically to provide search result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each grouping item such as the subject responsible for the work, the subject of expression, the subject of form, the related subject, the related book, the related author, and the like must be visually viewed to enable easy searching.

시스템(100) 이용자는 단말 화면을 통해 도서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할 때, 검색엔진(130)이 지원하는, 도 6과 같은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으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S110). 이때, 검색엔진(130)은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리소스들의 위와 같은 서지 메타데이터 범주에서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으로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이용자는 편리하게 검색창에 텍스트를 입력할 때마다 입력된 텍스트가 포함된 서지 메타데이터 기반의 예시 검색어를 화면에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보면서 모든 텍스트를 입력하지 않고 그 중 선택하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완성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inputs a search word for book search through the terminal screen, the system 100 may input a search word by the search word auto comple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6 supported by the search engine 130 (S110). In this case, the search engine 130 may receive a search word as a search word auto completion function in the bibliographic metadata category of the resources stored in the database 111. In other words, whenever a user enters text into the search box,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n example search term based on bibliographic metadata including the input text. You can enter the completed search word.

이와 같이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으로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검색엔진(130)은 입력된 검색어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111)를 검색하여 검색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검색 결과를 추출하며, 검색 결과를 검색결과 저장부(131)에 저장한다(S120). 검색엔진(130)은 시멘틱(semantic) 방식을 기반으로 입력된 검색어와 연관된 리소스들을 데이터베이스(111)에서 검색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search word is input by the search word auto-completion function, the search engine 130 searches the database 111 for the input search word, extracts the search result including the bibliographic metadata of the searched resources, and stores the search result. Stored in the unit 131 (S120). The search engine 130 may search for resources related to the input search word in the database 111 based on a semantic scheme.

이와 같이 검색결과 저장부(131)에 검색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검색 결과가 저장되면, 제어부(110)는 검색 결과의 리소스들이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들 간에 의미적 연계를 갖도록 각 리소스의 서지 메타데이터에 출현하는 키워드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핑 항목으로 분류하며(S130), 분류된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도 3의 230참조)를 추출할 수 있다(S140). 여기서 복수의 그룹핑 항목은, 작품, 해당 작품에 대한 책임주체(예를 들어, 저자), 표현주체(예를 들어, 표현물 저자), 형태주체(예를 들어, 발행처), 관련 주제, 관련 도서, 또는 관련 저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 3의 220참조).As such, when the search result including the bibliographic metadata of the searched resources is stored in the search result storage unit 131,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bibliographic meta data of each resource such that the resources of the search result have a semantic link between the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Based on the degree of match of the keyword appearing in the data, it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S130), and a related resource list (see 230 of FIG. 3) belonging to the classified plurality of grouping items may be extracted (S140). Here,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may include a work, a person responsible for the work (for example, the author), an expression subject (for example, the author of the expression), a form subject (for example, the publisher), a related subject, a related book, Or related authors, etc. (see 220 of FIG. 3).

이와 같은 서지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결과의 리소스들이 의미적 연계를 갖도록하는 그룹핑하는 방식에, 서지 메타데이터를 대상으로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주제 온톨로지 모델링을 적용한 의미적 연계정보 추출 시스템이나, 기타 색인 추출의 정규화처리 시스템, 개인만의 소셜정보 및 기타요소를 바탕으로 한 가중치 부여 그룹핑 방법, 온톨로지 트리플관계에 의한 연결정보 추출 시스템 등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지 메타데이터의 다양한 정보를 모두 검색하여 일정 이상의 빈도로 출현하는 키워드들을 찾고, 키워드들이 일치한 횟수가 일정값 이상인 리소스들은 서로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으며, 이러한 키워드들이 속한 메타데이터 요소(작품명, 저자명, 자료 유형, 장르, 언어, 표현 형태, 초록, 목차, 주기(note), 주제, 분류, 관련정보, 식별기호, 소장위치, 이용제한사항, 발행처, 발행일자, 또는 이용대상자 등)에 따라 일정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Based on the bibliographic metadata, the semantic linkage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applying FRBR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thematic ontology modeling to the bibliographic metadata. It can be applied to technology such as normalization processing system of index extraction, weighted grouping method based on individual social information and other elements, and connection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based on ontology triple relationship. For example, all the various information in the bibliographic metadata can be searched to find keywords that appear at a certain frequency or more, and resources whose keywords match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can be grouped together in the same group. Elements (work name, author name, type of material, genre, language, form of expression, abstract, table of contents, note, subject, classification, related information, identifier, collection location, restrictions on use, publisher, publication date, or use) A certain weight may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subject).

이와 같이 그룹핑이 이루어진 후, 비주얼 네비게이션부(150)는 사용자 단말 화면의 일정 영역(도 3 또는 도 4의 220 참조)에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S150), 동시에 텍스트 네비게이션부(140)는 사용자 단말 화면의 다른 영역(도 3 또는 도 4의 210 참조)에 해당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S160). After the group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visual navigation unit 150 may visually display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n a predetermined area (refer to 220 of FIG. 3 or 4) of the user terminal screen (S150). The navigation unit 140 texts a list of related resources and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one or more metadata element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respectively, in another area of the user terminal screen (see 210 of FIG. 3 or 4).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S160).

제어부(110)는 220 영역에서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된 그룹핑 항목들의 네비게이션과 210 영역에서의 텍스트 네비게이션 간에 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0). 예를 들어,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220)에서 복수의 그룹핑 항목 중 어느 하나가 클릭으로 선택되면,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영역(210)의 가장 위부분에 해당 항목에 대한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o interwork between the navigation of the grouping items visually displayed in area 220 and the text navigation in area 210 (S170). For example,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s selected as a click in the area 220 of the screen that visually displays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t corresponds to the top portion of the screen area 210 that is displayed as text. You can control to display a list of related resources for the item and the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

여기서,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220)에서,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표시하는 방식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중심에 하나의 항목 그리고 중심의 원형 주위에 나머지 항목들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in the area 220 of the screen that visually displays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a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s based on one item and a circle around the cen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is can be done by placing the remaining items.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220)에서, 위와 같이 클릭으로 선택된 항목은 중심으로 이동하며, 원형 주위의 항목들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한칸씩 이동하고, 중심에 있던 항목은 위와 같이 원형 주위의 항목들이 한칸씩 이동 한 후 원형 주위의 빈칸으로 돌아가도록, 제어부(110)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다.In the area 220 of the screen that visually displays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the item selected by clicking moves to the center as above, and the items around the circle move by one space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in the center.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tems around the circle are moved one by on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items to return to the blanks around the circle.

또한, 원형 주위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예를 들어, 가장 하단에 위치한 항목)에 대한 해당 관련 리소스 리스트(230)를,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220) 주위, 예를 들어, 230의 하단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부(110)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an area 220 of the screen that graphically displays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corresponding to the relevant resource list 230 for any one item among the items around the circle (eg, the bottommost item). Control by the control unit 110 is possible to display around, for example, a lower end of 230.

도 7과 같이, 텍스트 네비게이션 영역(210)에는 기존과 같이 단순히 텍스트 테이블 형식으로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각 항목요소와 그 내용의 표현방식에서 의미적, 형태적으로 관련성 있는 서지정보들을 모아서 그룹 네비게이션 방법으로, 각 그룹핑 항목에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 요소)가 텍스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작품(W: Work)을 기준으로 하여 관련 주제, 책임주체(저자)의 정보를 기술할 뿐만아니라, 원작품과 관련된 번역본, 재판본, 영화, 영상, 음향, 퍼포먼스, 발췌본 등 다양한 표현물 (E: Expression)을 그룹핑으로 연결시켜, 표현물에 대한 사용언어, 원본언어, 표현주체(저자), 초록, 주기, 목차, 이용대상자 등의 서지기술정보를 열람시킬 수 있다. 각 표현물을 실제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형태로 구현된 실체(M: Manifestation)에 대한 형태기술사항, ISBN, 가격, 구현주체(형태 주체: 발행기관 또는 출판사), 그리고 발행연도 등을 묶어서 열람시킬 수도 있다. 서지메타데이터 구성요소 중에서 총서가 존재하는 경우, 총서들을 하나로 묶어서 좀더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7, the text navigation area 210 does not simply display a search result in a text table format as before, but collects bibliographic information that is meaningful and morphologically related to each item element and its expression. As a navigation method, a list of related resources belonging to each grouping item and a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 (one or more metadata elements) may be displayed as text. For example, based on the original work (W), not only describes the relevant subject and information of the responsible person (author), but also translations, trials, films, images, sounds, performances, and excerpts related to the original work. By linking various expressions (E: Expression), etc., you can browse bibliographic information such as language, original language, expression subject (author), abstract, cycle, table of contents, and target audience. Each representation is grouped together with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the entity (M: Manifestation) embodied in various media forms that can be accessed by real users, ISBN, price, subject of implementation (type of entity: publisher or publisher), and year of publication. You can also browse. If a bibliography exists among bibliographic metadata components, the bibliography may be grouped together to provide more access point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텍스트로 보여주고 있는 네비게이션의 정보 가운데 핵심 서지구성요소를 작품(저서) 이외에, 책임주체(저자), 표현주체, 형태주체에 대한 사람이나 기관정보, 그리고 기준이 되는 원작품에 기술된 정보와 의미적 연계를 가지는 관련주제 리스트, 관련저서 리스트, 관련저자 리스트 등을 비주얼하게 도식화하여 네비게이션을 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비주얼한 도식은 원형을 유지하면서 균형잡힌 회전방식을 취하도록 하였으며, 클릭으로 선택된 개체가 기준으로 중심 이동하면서, 연관정보들이 바뀌어 가면서 스텝 바이 스텝으로 열람을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며, 히스토리 백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단일 개체정보가 아닌 관련 리소스 리스트는 하단으로 중심 이동하여 리스트 형식으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work (the book), the core bibliographic component amo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shown in the text, the person or organization information on the responsible person (author), the expression subject, the form subject, and the original work as a standard Visualize the related topics list, related books list, and related author list that have semantic linkage with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is section. The visual scheme maintains a circular shape and takes a balanced rotation method. As the selected object is moved to the center with a click, the related information is changed and the step-by-step reading can be performed, and history back function is also provided. can do. The list of related resources instead of single entit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in the form of a list by moving to the bottom.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에서 사용되는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하드 디스크, 이동형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functions used in the methods and apparatus disclosed herei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hard disk, removable storage, and also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the implementation in the form of.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시맨틱 검색 서비스 시스템
110: 제어부
111: 도서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사용자인터페이스
130: 검색엔진
131: 검색 결과 저장부
140: 텍스트 네비게이션부
150: 비주얼 네비게이션부
100: semantic search service system
110: control unit
111: Book Information Database
120: user interface
130: search engine
131: search result storage unit
140: text navigation unit
150: visual navigation unit

Claims (9)

서지 메타데이터 기반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서 시맨틱 검색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 범주에서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으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검색 결과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의 리소스들이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들 간에 의미적 연계를 갖도록 각 리소스의 서지 메타데이터에 출현하는 키워드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핑 항목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화면의 일정 영역에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의 다른 영역에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맨틱 검색 서비스 방법.
A method for a semantic search service in a bibliographic metadata based search service system,
Receiving a search word in the bibliographic metadata category of the resources stored in the database via the user terminal with the search word autocomplete function;
Storing a search result including bibliographic metadata of resources searched for the search word in storage means;
Classifying the search result resources into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based on a match degree of a keyword appearing in the bibliographic metadata of each resource so that the resources of the search result have a semantic link between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Extracting a related resource list belong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And
While visual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n a certain area of the user terminal screen while displaying the related resource list and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n other areas of the user terminal screen as text. step
The semantic search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 중 어느 하나가 클릭으로 선택되면,
해당 항목에 대한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상기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영역의 가장 위부분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s selected as a click in an area of the screen that visually and graphically displays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And displaying the related resource list for the item and the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 at the top of the screen area displaying the tex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표시하는 방식은 중심에 하나의 항목 그리고 상기 중심의 원형 주위에 나머지 항목들을 배치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area of the screen that visually displays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s a method of arranging one item in a center and the remaining items around the circle of the center. Search service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으로 선택된 항목은 상기 중심으로 이동하며, 상기 원형 주위의 항목들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한칸씩 이동하며, 상기 중심에 있던 항목은 상기 원형 주위의 빈칸으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item selected by the click moves to the center, the items around the circle move one by on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items in the center return to the blanks around the circl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주위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해당 관련 리소스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 주위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corresponding resource list for any one of the items around the circle is displayed around an area of a screen which visually and graphically displays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주위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해당 관련 리소스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영역 하단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Th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rresponding resource list for any one of the items around the circle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an area of the screen visually and graphical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Wa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는 작품명, 저자명, 자료 유형, 장르, 언어, 표현 형태, 초록, 목차, 주기(note), 주제, 분류, 관련정보, 식별기호, 소장위치, 이용제한사항, 발행처, 발행일자, 또는 이용대상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include the name of the work, the name of the author, the type of material, the genre, the language, the form of expression, the abstract, the table of contents, the note, the subject, the classification, the related information, the identifier, the location of the collection, the restrictions of use, the publisher and the publication. Search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e, or the target audien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은, 작품, 작품에 대한 책임주체, 표현주체, 형태주체, 관련 주제, 관련 도서, 또는 관련 저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may include a work, a person responsible for a work, a subject of expression, a subject of form, a related subject, a related book, or a related author.
서지 메타데이터 기반의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리소스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 범주에서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으로 검색어를 입력받아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하여 검색된 리소스들의 서지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검색엔진;
상기 검색 결과를 저장하는 검색 결과 저장부;
상기 검색 결과의 리소스들이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들 간에 의미적 연계를 갖도록 각 리소스의 서지 메타데이터에 출현하는 키워드의 일치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핑 항목으로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어부;
사용자 단말 화면의 일정 영역에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을 비주얼하게 도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비주얼 네비게이션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의 다른 영역에 상기 복수의 그룹핑 항목에 각각 속하는 관련 리소스 리스트와 해당 서지 메타데이터 요소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는 텍스트 네비게이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맨틱 검색 서비스 시스템.
In the search service system based on bibliographic metadata,
A database for storing resources;
A search engine extracting a search result including bibliographic metadata of resources searched for the search term by inputting and searching a search term with a search term auto-completion function in a bibliographic metadata category of resources stored in the database;
A search result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search result;
The resources of the search result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ing items based on the degree of coincidence of keywords appearing in the bibliographic metadata of each resource so that the resources of the search result have a semantic link between the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A controller for extracting a list;
A visual navigation unit visually and graphical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 user terminal screen; And
A text navigation unit that displays, as text, a list of related resources and corresponding bibliographic metadata elements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grouping items, respectively, in different areas of the user terminal screen.
Semantic search service system comprising a.
KR1020100044615A 2010-05-12 2010-05-12 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 KR101113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15A KR101113185B1 (en) 2010-05-12 2010-05-12 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15A KR101113185B1 (en) 2010-05-12 2010-05-12 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075A true KR20110125075A (en) 2011-11-18
KR101113185B1 KR101113185B1 (en) 2012-02-16

Family

ID=4539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615A KR101113185B1 (en) 2010-05-12 2010-05-12 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1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866A (en) * 2010-12-27 2012-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n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based-on semantic knowledge structures for learners using books' contents and index and the system thereof
CN114936252A (en) * 2022-04-24 2022-08-23 贵州财经大学 Credit card customer attrition data dimension reduction visual analysis method based on semantic feature s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913B1 (en) * 1999-11-23 2004-02-11 고성민 System and method displaying the results of search
KR20100070774A (en) * 2008-12-18 2010-06-28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processing of semant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866A (en) * 2010-12-27 2012-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n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based-on semantic knowledge structures for learners using books' contents and index and the system thereof
CN114936252A (en) * 2022-04-24 2022-08-23 贵州财经大学 Credit card customer attrition data dimension reduction visual analysis method based on semantic feature set
CN114936252B (en) * 2022-04-24 2023-01-31 贵州财经大学 Credit card customer attrition data dimension reduction visual analysis method based on semantic feature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185B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7487B (en) Deconstructing documents into component blocks for reuse in productivity applications
US9613003B1 (en) Identifying topics in a digital work
US11030259B2 (en) Document searching visualized within a document
US20110072036A1 (en) Page-based content storage system
CN107111640B (en)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auxiliary content with image search results
US201403442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in databases
US11494822B2 (en) Content curation and product linking system and method
US9639518B1 (en) Identifying entities in a digital work
Jones et al. Using keyphrases as search result surrogates on small screen devices
TW201403445A (en) Content-based navigation for electronic devices
Spiess et al. Competitive interactive video retrieval in virtual reality with vitrivr-VR
Mukherjee et al. Integration of domain-specific metadata schema for cultural heritage resources to DSpace: a prototype design
KR101113185B1 (en) Semantic Search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eaningful Grouping and Visual Navigation Based on Bibliography Metadata
US8892560B2 (en) Intuitive management of electronic files
Batjargal et al. Linked data driven multilingual access to diverse Japanese Ukiyo-e databases by generating links dynamically
Blaz̆ek et al. Video hunter at VBS 2017
Adams Chronotopic information interaction: integrating temporal and spatial structure for historical indexing and interactive search
Burrows Reproducibility, verifiability, and computational historical research
US20200013091A1 (en) Automated curation of digital information and user interface for same
Kayest et al. A proposal for searching desktop data
Agrawal et al.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programs
Wakimoto Scope of the library catalog in times of transition
US20230259561A1 (en) Text analytics views for web site sources
Leggate User access to the hybrid library
Nicholls A survey of commercially available CD-ROM database ti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