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091A - Cloth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091A
KR20110121091A KR1020100040527A KR20100040527A KR20110121091A KR 20110121091 A KR20110121091 A KR 20110121091A KR 1020100040527 A KR1020100040527 A KR 1020100040527A KR 20100040527 A KR20100040527 A KR 20100040527A KR 20110121091 A KR20110121091 A KR 20110121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heater
processing unit
drawer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룡
김동원
김경환
유혜경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1091A/en
Priority to PCT/KR2011/003208 priority patent/WO2011136609A2/en
Priority to DE112011106123.4T priority patent/DE112011106123B9/en
Priority to DE112011106122.6T priority patent/DE112011106122B9/en
Priority to DE112011101522.4T priority patent/DE112011101522B4/en
Priority to CN201180019811.0A priority patent/CN102844486B/en
Priority to DE112011106124.2T priority patent/DE112011106124B9/en
Priority to US13/097,934 priority patent/US10081898B2/en
Publication of KR20110121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91A/en
Priority to US15/251,970 priority patent/US10179964B2/en
Priority to US16/217,683 priority patent/US11293132B2/en
Priority to US17/683,061 priority patent/US20220186423A1/en
Priority to US17/683,077 priority patent/US20220290355A1/en
Priority to US17/683,037 priority patent/US202201864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PURPOSE: A clothing managing device is provided to preferentially collect the washing water of a second tub in a heater sump. CONSTITUTION: A first processing unit launders laundry. A second processing unit is contiguous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A drawer prepares in the second processing unit. A tub prepares in the drawer. The tub accepts washing water. A heater sump(241)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tub.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is collected in the heater thump.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cloth treating apparatus}Clothing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lothes handling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보조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In general,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a device for washing laundry using mechanical friction with detergent. Such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may be used together with auxiliary apparatuses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a user may conveniently use the washing machine.

상기 보조장치는 세탁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보조장치들은 상기 세탁기에 독립적인 장치로서 설계 및 제조된다.The auxiliary device may be provided at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washing machine, and provide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o the user. However, the accessorie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devices independent of the washing machine.

따라서, 이러한 독립적인 보조장치를 세탁기에 설치하는 것은 많은 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가 설치된 세탁기는 좋은 외관을 갖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such an independent auxiliary device in the washing machine requires a lot of work. In addition,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auxiliary device generally does not have a good appearanc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생산성과 향상된 외관을 갖는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secondary garment treatment apparatus having high productivity and improved appearan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 상기 제 1처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 2처리부; 상기 제 2처리부에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구비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상기 터브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모이는 히터섬프가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하면은 상기 히터 섬프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processing unit for washing laundry; A second processing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A drawer provid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The tub is provided in the drawer and accommodates the wash water, and a heater sump for collect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ub, and a bottom surface of the tub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by the heater sump. It is desirable to be.

상기 터브는 그 외주면에 상기 터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ub is preferably formed with a rib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tub.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트랜싯볼트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transceiving bol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상기 트랜싯볼트 체결부에는 상기 드로워를 관통하는 트랜싯 볼트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ransit bolt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a transit bolt passing through the drawer.

상기 트랜싯볼트 체결부에는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제 2처리부를 관통하는 트랜싯 볼츠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it bolts passing through the drawer and the second processing part are fastened to the transit bolt fastening part.

상기 히터섬프의 하부에는 상기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ortion of the heater sump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rain pip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관의 상부로 분기되는 분기관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에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수위센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in pipe is formed with a branch pipe bran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pipe, the branch pip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essure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tub.

상기 분기관과 상기 압력수위센서의 사이에는 에어챔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ir chamber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branch pipe and the pressure level sensor.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상기 드로워에 지지되는 서스펜션이 결합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to which the suspension supported by the drawer is coupled.

상기 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 모서리 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upport is formed to protrude one or mor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edge of the drawer.

상기 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 모서리 방향으로 모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터브를 4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edge of the drawer to support the four points of the tub.

상기 지지대는 상기 터브의 일측에서 상기 드로워의 일측 양쪽 모서리부로 돌출되고, 상기 터브의 타측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브를 3점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ay protrude from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tub to one corner of the drawer, and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tub to support the tub three points.

상기 히터섬프는 일측방항에서 히터가 삽입되며, 내부 타측에는 상기 히터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er sump is a heater is inserted in one side, the inner sid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lamp for fixing the end of the heater.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섬프에 삽입될 때 상기 히터의 끝단부가 상기 히터섬프의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heater is inserted into the heater sump, the end of the heater is preferably inserted inclined upwardly of the heater sump.

상기 터브의 내측에는 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rum is provided inside the tub, and a bearing housing supporting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drum is provided below the tub.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터브의 하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earing housing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is injected.

상기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는 세탁수를 실링하기 위한 워터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seal for sealing the wash water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bearing housing.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rst cabinet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unit is installed, and a second cabinet in which the second processing unit is installed.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캐비닛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first cabinet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unit is installed, and a second cabinet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econd processing unit is installed, and wherein the first cabinet and the second cabinet are integrally formed. desira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lothes tre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처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의 제 2터브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터브의 히터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터브의 에어챔버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터브의 트렌싯볼트 체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processing unit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tub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ater mounting state of the second 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air chamber of the second 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ition bolt fastening portion of the second 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the elements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meaning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name defined in each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other names in the art.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rs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의류 처리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구비하며, 캐비닛(110)은 세탁 대상물을 처리하는 제 1처리부(121)가 형성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1캐비닛(120)에 인접하여 세탁 대상물을 처리하는 제 2처리부(131)가 형성되는 제 2캐비닛(13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first,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binet 110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the cabinet 110 includes a first cabinet 120 in which a first processing unit 121 for processing a laundry object is formed. ) And a second cabinet 130 in which a second processing unit 13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abinet 120 to process the laundry object.

즉, 사용자는 제 1캐비닛(120) 및/또는 제 2캐비닛(130) 내부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여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refreshe)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리프레쉬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향해 공기, 열풍, 스팀, 미스트(mist) 또는 수분 등을 제공하여 세탁대상물의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탈취(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방지 또는 세탁대상물을 따스하게 데우는(warming)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 세탁대상물에는 옷,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대상물을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input laundry objects into the first cabinet 120 and / or the second cabinet 130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washing, drying, or refreshing. In this case, the term "refresh" is referred to as "refresh," which provides air, hot air, steam, mist, or moisture to a laundry object to remove wrinkles, deodorizing, sanitizing, and static electricity. It may be defined as a meaning including a process of warming the object of prevention or washing. In addition, the clothes and laundry objects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not only clothes and clothes, but also objects that can be worn by a person, such as shoes, socks, gloves, hats, and the like. It may include.

한편, 제 1처리부(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대상물을 세탁, 즉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 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 1터브(미도시) 및/또는 제 1드럼(124)을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cessor 121 may include a first tub (not shown) and / or a first drum 124 therein for washing, washing, drying, or refreshing a laundry object.

그리고, 제 2처리부(121)도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 2터브(200) 및/또는 제 2드럼(134)을 구비할 수 있다(도 2참조). 제 2처리부(121)는 제 1처리부(121)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처리부(1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처리부(121)는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also include a second tub 200 and / or a second drum 134 that accommodates washing water therein (see FIG. 2). The second processor 121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processor 121, and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processor 121 for the user's convenience. For example,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또한,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121)와 함께 제 2처리부(121)를 구비하는 경우에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는 서로 동일한 세탁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for washing the laundry object,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washing capacity with each other. have.

하지만, 의류 처리장치(100)의 설치공간 등의 제약, 세탁장치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21) 중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하여 더 작은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However, one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is provided to have a smaller capacity than the other one in consideration of constraints such as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cost of the washing apparatus, and the like. Can be.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21)가 제 1처리부(121)에 비하여 세탁용량, 체적, 높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작도록 구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21)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be provid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washing capacity, volume, height is smaller than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nd use one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aundry object.

또한,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세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옷, 속옷 등과 같이 따로 구분하여 세탁이 필요하거나, 소량의 세탁 대상물들은 제 2처리부(121)를 이용하여 세탁하고, 그 이외의 세탁 대상물을 제 1처리부(121)에서 세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select and wash one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object. For example, separate washing such as baby clothes, underwear, etc. are required, or a small amount of laundry objects are washed using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and other laundry objects may be washed in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Can be.

한편, 제 2처리부(121)가 제 1처리부(121)에 비하여 더 작은 세탁용량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제 2처리부(121)는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 2처리부(121)가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1처리부(121)의 높이를 높여서 사용자가 제 1처리부(121)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또는 제 1처리부(121)에서 세탁대상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is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washing capacity than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be provided under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This is because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is provided below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the height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is raised so that the user inputs the laundry object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or the first processing unit ( This is because it is easier to work when removing the laundry object in 121).

또한, 의류 처리장치(100)가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21)을 구비하는 경우에 제 1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2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130)은 별개로 각각 제작되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the first cabinet 120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is installed, The second cabinet 130 to be installed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mbined.

하지만 제작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제 1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2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130)을 하나의 캐비닛(110)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캐비닛(110)을 공유하며 캐비닛(110) 내부에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를 구분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별도의 격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Howev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manufacture, the first cabinet 120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is installed, and the second cabinet 130 in which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is installed are configured as one cabinet 110. It can also be formed. That is, one cabinet 110 may be shared and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110. In this case, a separate partition wall (not shown) may be provided therebetween to distinguish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격벽에 의해 캐비닛(110)내의 공간이 제 1캐비닛과 제 2캐비닛(1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격벽은 소정의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를 통하여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Here, the space in the cabinet 1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abinet and a second cabinet 130 by the partition wall a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wall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opening (not shown) so that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opening.

추가적으로 제 2처리부(121)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 1처리부(1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처리부(121)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 2처리부(1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가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a component provided in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extend into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through the opening. On the contrary,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may extend into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through the openings.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are integrally described will be described.

제 1처리부(121)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도어(12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도어(125)를 개방하여 제 1처리부(121)에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21 may include a first door 125 provided to be selectively opened. The user may open the first door 125 to inject laundry objects into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한편, 제 2처리부(12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탁을 위한 각종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편의성, 추후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21)는 슬라이딩 가능한 드로워(132)를 구비할 수 있다. 드로워(13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는 드로워(132)를 잡아당겨 용이하게 제 2처리부(121)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elements for washing as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such a component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is easily accessible from the outside for the user's convenience and future maintenanc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econd processor 121 may include a drawer 132 that is slidable. The drawer 132 is provided to be slidable forward, and the user may easily access the inside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by pulling the drawer 13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처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processing unit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31)는 제 2캐비닛(130)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인입축이 가능한 드로워(132)가 마련되며, 드로워(132)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 2터브(200)와, 제 2터브(2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대상물의 세탁을 수행하는 제 2드럼(134)을 구비한다. 제 2터브(200)의 상부에는 제 2터브(200)를 개폐하기 위한 제 2도어(135)가 마련된다(도 1참조).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processing unit 131 is provided with a drawer 132 capable of drawing shafts into and out of the second cabinet 130, and a second tub in which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drawer 132. And a second drum 134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second tub 200 to wash the laundry object. A second door 1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tub 20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ub 200 (see FIG. 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21)가 드로워(132)에 의해 형성될 경우에는 세탁대상물의 투입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투입되는 탑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드로워(132)를 인출한 후 제 2드럼(134)에 용이하게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1 is formed by the drawer 132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s a top loading type (top loading type) in which the laundry object is injected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put or remove the laundry object into the second drum 134 after the drawer 132 is withdrawn.

한편, 제 2터브(200)의 하부에는 제 2터브(200)를 관통하는 회전축(136)이 마련된다. 회전축(136)의 상부에는 제 2터브(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드럼(134)이 회전축(13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제 2터브(200)의 하부에는 회전축(136)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37)가 설치된다.Meanwhile, a rotation shaft 136 penetrating the second tub 200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tub 200. The second drum 134 located inside the second tub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136 so as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136. A motor 137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136 is installed below the second tub 200.

한편 제 2터브(200)는 별도의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드로워(132)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어 설치된다. 제 2드럼(134)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어 제 2터브(200)로 전달되는 진동은 서스펜션에 의해 완충 및 감소된다. Meanwhile, the second tub 200 is elastically supported inside the drawer 132 by a separate suspension (not shown).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um 134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ub 200 is buffered and reduced by the suspension.

또한, 이러한 제 2처리부(131)에는 세탁대상물의 처리를 위하여 세탁수의 공급이 필요하다. 제 2처리부(131)로의 세탁수 공급은 제 1처리부(121)로 공급된 세탁수에서 분기되어 공급되거나, 별도의 공급원(예를 들어 수전 등, 미도시)에서 제 2처리부(131)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cessing unit 131 requires the supply of wash water for processing the laundry object. The washing water supply to the second processing unit 131 may be supplied by being branched from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121, or directly from a separate source (eg, a faucet, etc.) to the second processing unit 131. Can be supplied.

또한, 제 2처리부(131)에는 세탁 대상물을 처리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미도시)가 필요하다. 제 2처리부(131)에서 배수되는 세탁수는 별도의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되며, 세탁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별도의 배수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rocessing unit 131 requires a drainage device (not shown) for draining the wash water that processed the laundry object. The wash water drained from the second processor 131 may be drained through a separate drain pipe (not shown), and a separate drain pump may be provided for smooth drainage of the wash water.

한편 제 2처리부(131)의 경우 드로워(132)라는 일정 공간안에 설치되어야 되는 관계로 상술한 바와 같은 서스펜션, 급수장치, 배수펌프(200)의 설치위치가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사각 형태의 드로워(132)와 드로워(1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터브(200) 사이의 잉여공간(구체적으로는 드로워(13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서스펜션, 급수장치, 배수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131,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spension, the water supply device, and the drainage pump 200 as described above is very limited because the drawer 132 is to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refore, in the surplus space (specifically,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drawer 132) between the square drawer 132 and the second tub 200 installed inside the drawer 132, a suspension, a water supply device, A drainage device or the like can be install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처리부(131)에 마련되는 제 2터브(200)의 경우 드로워(132)라는 한정된 공간에 설치됨으로 새로운 구조의 제 2터브(200)가 요구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second tub 200 provided in the second processing unit 131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ub 200 having a new structure is required because it is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called the drawer 13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터브(2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의 제 2터브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Hereinafter, the second tub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tub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터브(2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터브(200)의 외주면에는 제 2터브(2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2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As shown, the second tub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enclosur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 plurality of ribs 211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 20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econd tub 200.

그리고, 제 2터브(200)의 외측에는 드로워(132)에 대하여 제 2터브(200)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미도시)이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대(2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21)는 제 2터브(20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221)는 제 2터브(200)와 드로워(13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2터브(200)와 드로워(132) 사이의 공간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드로워(132)의 내측 모서리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제 2터브(200)와 드로워(132) 사이의 4군데의 모서리에 서스펜션이 결합되어 제 2터브(200)를 지지한다. 즉 서스펜션은 제 2터브(200)를 4점지지하도록 마련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s 221 to which a suspension (not show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tub 200 with respect to the drawer 132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tub 200. The support 221 is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tub 200. In addition, the support 221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tub 200 and the drawer 132, the drawer is preferably formed with the widest space between the second tub 200 and the drawer 132 132 is formed on the inner edge side. In this case, the suspension is coupled to four corners between the second tub 200 and the drawer 132 to support the second tub 200. That is, the suspension is provided to support four points of the second tub 200.

한편, 드로워(132)의 내측 모서리측에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배수장치, 급수장치, 스팀발생장치 등)가 설치될 경우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는 드로워(132)의 내측일면에 하나의 지지대(221)가 형성되며, 하나의 지지대(221)의 대향되는 측에 2개의 지지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스펜션은 제 2터브(200)를 3점지지하도록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if a separate device (for example, drainage, water supply, steam generator, etc.) is installed on the inner edge side of the drawer 132, one on the inner side of the drawer 132 is installed a separate device The support 221 is formed, two support 221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one support 221. In this case, the suspension is provided to support three points of the second tub 200.

그리고, 제 2터브(200)의 중앙부에는 회전축(136)이 관동하는 관통공(201)이 형성된다. 또한. 제 2터브(200)의 하부에는 회전축(136)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231)이 제 2터브(200)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하우징(231)은 제 2터브(200)의 성형시 제 2터브(200)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2터브(200)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경우에는 제 2터브(200)의 사출성형시 베어링 하우징(231)이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201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136 is formed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tub 200. Also. A bearing housing 231 for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136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ub 2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ub 200. Preferably, the bearing housing 231 is preferably formed together with the second tub 200 when the second tub 200 is molded. Here, when the second tub 20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earing housing 231 is insert injection-molded when the second tub 200 is injection molded.

여기서 베어링 하우징(231)은 중앙부에 회전축(136)이 통과하는 회전축공(232)이 형성되며, 회전축공(232)에는 회전축(13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베어링(233)이 삽입된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231)의 회전축공(232)에는 회전축(136)에 접하여 회전축(136)과 제 2터브(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워터씰(234)이 마련된다. 워터씰(234)은 베어링 하우징(23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워터씰(234)의 내주면에는 회전축(136)으로 돌출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리브(235)가 형성된다(도 2참고).Here, the bearing housing 231 has a rotating shaft hole 232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136 passes, and a pair of bearings 233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136 are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hole 232. do. In addition, the rotary shaft hole 232 of the bearing housing 231 is provided with a water seal 234 for maintaining the airtight between the rotary shaft 136 and the second tub 200 in contact with the rotary shaft 136. The water seal 234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231, and a sealing rib 23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eal 234 to protrude to the rotating shaft 136 to maintain airtightness. (See Fig. 2).

그리고, 제 2터브(200)의 하부에는 베어링 하우징(231)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136)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137)가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축(137)는 제 2터브(200)의 회전축 외주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축에 고정되는 로터를 구비하는 아웃터 로터 타입의 모터가 사용된다. 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ub 20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137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136 supported by the bearing housing 231. Here, the outer shaft type motor having a stator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 200 and a rotor fixed to the rotating shaft in a form surrounding the stator is used.

한편, 제 2터브(200)의 내부 하면에는 히터섬프(241)가 형성된다. 히터섬프(241)에는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42)가 설치된다. 히터섬프(241)에는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46)이 연결된다. 배수관(246)에는 제 2터브(200)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에어챔버(248, 도 5참고)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er sump 241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ub 200. The heater sump 241 is provided with a heater 242 for heat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The heater sump 241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246 for drain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The drain pipe 246 is provided with an air chamber 248 (see FIG. 5) for sensing the amount of wash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여기서, 제 2터브(200)의 하면은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히터섬프(241)로 집결되도록 경사지도록 경사면(2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배수될 경우 제 2터브(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사면(251)에 의해 히터섬프(241)로 집수되고 히터섬프(241)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25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ub 200 such that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is inclined to be collected by the heater sump 241. That is, when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is drained, it is collected by the inclined surface 25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ub 200 to the heater sump 241 and drained through the heater sump 241. do.

또한, 경사면(251)은 제 2터브(200)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할 경우 히터섬프(241)에 최우선적으로 세탁수가 모이도록 하여 세탁수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세탁수의 가열시 세탁수가 부족하더라도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경사면에 의해 우선적으로 히터섬프(241)로 모이게 됨으로 히터(242)의 과열 및 과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251 allows the wash water to be heated first by collecting the wash water in the heater sump 241 when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is heated. In this case, even when the wash water is insufficient when the wash water is heated,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is preferentially collected by the heater sump 241 by the inclined surface,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overheating and overheating of the heater 242. hav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히터섬프(241)의 경우 제 2터브(200)가 드로워(132)라는 한정적인 공간에 의해 비교적 최소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즉, 히터섬프(241)를 형성하더라도, 히터(242)가 설치되는 최소한의 공간으로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heater sump 241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ub 200 may be formed in a relatively minimal space by a limited space called the drawer 132. That is, even if the heater sump 241 is formed, it is formed only with the minimum space in which the heater 242 is installed.

이러한 경우 히터(242)의 설치 자체가 문제될 수 있다. 히터(242)의 경우 전원이 연결되는 히터단자(243)와 가열로드(244)를 구비한다. 히터단자(243)의 경우 히터(242)를 고정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히터단자(243)의 크기는 가열로드(244)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또한 히터단자(243)의 경우 일반적으로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가열로드(244)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공간의 협소로 인하여 가열로드(244)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of the heater 242 itself may be problematic. The heater 242 includes a heater terminal 243 and a heating rod 244 to which power is connected. In the case of the heater terminal 243 serves to fix the heater 242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size of the heater terminal 243 is somewhat larger than the heating rod 244. In addition, the heater terminal 243 is generally formed in a direction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ating rod 244 for ease of installatio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ating rod 244 due to the narrow space. .

따라서, 히터섬프(241)가 제 2터브(20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더라도 히터(242)의 설치시 히터(242)의 히터단자(243)가 제 2터브(2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211)에 의해 걸려 히터(242)가 삽입되는 경로를 방해하여 히터(242)의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even when the heater sump 24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econd tub 200, the heater terminal 243 of the heater 242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second tub 200 when the heater 242 is installed. Interruption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heater 242 is inserted by the rib 211 causes a very difficult installation of the heater 242.

이에 히터(242)의 설치시 히터(242)의 설치방향을 히터섬프(241)의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하여 삽입한다. 즉, 히터(242)의 삽입시 가열로드(244)의 끝부분을 위로하고, 히터단자(243)를 아래로 하여 히터섬프(241)에 삽입하고, 가열로드(244)가 완전히 삽입된 후 가열로드(244)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히터단자(243)를 히터섬프(241)에 고정한다(도 4참조).Therefore, when the heater 242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heater 242 is inserted to be inclined from the bottom of the heater sump 241 to the top. That is, when the heater 242 is inserted, the end of the heating rod 244 is upward, the heater terminal 243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heater sump 241, and the heating rod 244 is completely inserted and then heated. The rod 244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ix the heater terminal 243 to the heater sump 241 (see FIG. 4).

한편, 히터섬프(241)의 내측면에는 삽입된 히터(242)의 가열로드(244)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클램프(245)가 설치된다. 이러한 클램프(245)는 히터의 좌우방향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er sump 241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lamp 245 for fixing the heating rod 244 of the inserted heater 242. The clamp 245 supports and fix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ter.

이러한, 클램프(245)는 제 2터브(200)와 별개로 제작되어 히터(242)의 설치 이전에 미리 히터섬프(241)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러한 클램프(245)는 히터(242)의 삽입방향에 대항되는 위치에 마련되여 히터(242)의 가열로드 끝부분을 고정한다. 한편, 클램프(245)는 히터섬프(241)에 마련되는 설치공에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어 설치되며, 설치공에 삽입되는 단부에는 삽입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이탈이 방지된다.The clamp 245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tub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heater sump 241 before installation of the heater 242. The clamp 245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heater 242 to fix the heating rod end of the heater 242. On the other hand, the clamp 245 is inserted and installed b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n the installation hole provided in the heater sump 241, the end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is projec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

추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242)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히터단자(243)에 전원단자(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하여 히터단자(243)의 방향을 가열로드(244)와 동일하게 하도록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nect a power terminal (not shown) to the heater terminal 243 becaus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eater 242 is narrow, the direction of the heater terminal 243 is the same as that of the heating rod 244. do.

즉, 히터단자(243)의 방향이 기존의 히터와 같이 가열로드(24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제 2터브(200)와 드로워(132) 하부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전원단자를 연결하기가 매우 어렵다.That is, when the direction of the heater terminal 243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eating rod 244 like the conventional heater,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tub 200 and the lower drawer 132 is narrow and the power terminal Very difficult to connect

하지만 히터단자(243)의 방향을 가열로드(244)와 동일한 방향으로 할 경우에는 히터(242)의 설치방향을 따라 전원단자를 삽입하여 히터단자(243)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direction of the heater terminal 243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eating rod 244, 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heater terminal 243 by inserting a power terminal alo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heater 242.

한편, 히터섬프(241)의 최하부에는 제 2터브(200)에 저수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46)이 연통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배수관(246)은 도시되지는 않은 배수장치에 연결되며, 배수장치에 마련되는 배수펌프에 의해 히터섬프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술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the bottom of the heater sump 241, a drain pipe 246 for draining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The drain pipe 246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device (not shown), it can be disposed of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heater sump by a drain pump provided in the drainage device.

여기서, 배수관(246)의 소정부에는 배수관의 상측으로 분기되는 분기관(247)이 형성되고, 분기관(247)에는 제 2터브(200)에 저장되는 세탁수 수위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수위센서(미도시,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압력감지센서)가 연결된다. 또한 분기관(247)과 압력수위센서의 사이에는 에어챔버(248)가 마련된다. 에어챔버(248)는 분기관(247)의 압력변화를 체적를 통하여 압력수위센서에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5참조).Here,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rain pipe 246 is formed with a branch pipe 247 branching to the upper side of the drain pipe, the branch pipe 247 is a pressure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sh water level stored in the second tub (200) Not shown, for example a diaphragm pressure sensor) is connected. In addition, an air chamber 248 is provided between the branch pipe 247 and the pressure level sensor. The air chamber 248 allows the pressure level sensor to easily detect the pressure change of the branch pipe 247 through the volume (see FIG. 5).

한편 제 2터브(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이동시 제 2터브(200)의 진동을 고정하기 위한 트랜싯볼트 체결부(261)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트랜싯볼트 체결부(261)는 제 2터브(200)의 후방에 형성된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0)의 이동시 제 2터브(200)의 후방에 형성되는 트랜싯볼트 체결부(261)에는 드로워(132)를 관통하는 트랜싯볼트(263)가 체결되어 제 2터브(200)의 진동을 방지한다(도 6참조). Meanwhile,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 200, a transit bolt fastening part 261 is further formed to fix the vibration of the second tub 200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moves. Preferably, the transit bolt fastening part 261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tub 200. Accordingly, the transit bolt 263 penetrating through the drawer 132 is fastened to the transit bolt fastening part 261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tub 200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moves to the second tub 200. To prevent vibration (see FIG. 6).

또한, 다르게는 트랜싯볼트 체결부(261)에는 드로워(132)와 제 2캐비닛(130)을 관통하는 트랜싯볼트(263)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의 이동시 드로워(132)와 제 2캐비닛(13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트랜싯볼트(263)에 의해 제 2터브(200)의 진동이 방지되고, 제 2캐비닛(130)으로부터 드로워(132)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Alternatively, a transit bolt 263 penetrating through the drawer 132 and the second cabinet 130 may be fastened to the transit bolt fastening part 261. In this case, vibration of the second tub 200 is prevented by the transit bolt 263 coupled through the drawer 132 and the second cabinet 130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moves, and the second cabinet ( The drawer 132 from 130 is prevented from opening.

추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트랜싯볼트(263)에 의한 제 2터브(200)의 고정은 제 2터브(200)의 수평방향에 대한 진동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의류 처리장치(100)의 이동시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진동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 2터브(200)의 수직방향에 대한 진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제 2캐비닛(130) 및 드로워(132)의 하부를 개방된 상태로 하고, 개방된 제 2캐비닛(130)과 드로워(132)의 하부에 삽입되는 별도의 진동방지부재(271)를 삽입하여 제 2터브(200)의 수직방향 진동을 방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of the second tub 200 by the transit bolt 263 as described above is to prevent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tub 200. However,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moves,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occur in comb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tub 200. Accordingly,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abinet 130 and the drawer 132 is in an open state, and a separate vibration preventing member 27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open second cabinet 130 and the drawer 132. It can be inserted to prevent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second tub 200.

이러한, 진동방지부재(271)는 제 2터브(200)와 드로워 사이의 잉여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의류 처리장치(100)(구체적으로는 제 2캐비닛(130))의 하부에서 드로워(13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 2터브(200)를 고정한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싯볼트(263)와 진동방지부재(271)에 의해 의류 처리장치의 이동시 제 2터브(200)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The vibration preventing member 271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yrofoam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plus space between the second tub 200 and the drawer, and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second cabinet ( 130) is inserted into the drawer 132 in the lower portion to fix the second tub 200.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of the second tub 200 may be prevented whe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s moved by the transit bolt 263 and the vibration preventing member 271.

100 : 의류 처리장치 110 : 캐비닛
120 : 제 1캐비닛 121 : 제 1처리부
130 : 제 2캐비닛 131 : 제 2처리부
200 : 제 2터브 231 : 베어링 하우징
241 : 히터섬프 242 : 히터
263 : 트랜싯볼트 271 : 진동방지부재
100: clothes handling apparatus 110: cabinet
120: first cabinet 121: first processing unit
130: second cabinet 131: second processing unit
200: second tub 231: bearing housing
241: heater sump 242: heater
263: transit bolt 271: vibration preventing member

Claims (19)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
상기 제 1처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 2처리부;
상기 제 2처리부에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구비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상기 터브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모이는 히터섬프가 형성되고, 상기 터브의 하면은 상기 히터 섬프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A first treatment unit for washing laundry;
A second processing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A drawer provid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Is provided in the drawer, having a tub for receiving the wash water,
The lower part of the tub is a heater sump collecting laundry water stored in the tub is formed,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the heater sump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그 외주면에 상기 터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b has ribs for reinforcing strength of the tub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트랜싯볼트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transit bolt fastening part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싯볼트 체결부에는 상기 드로워를 관통하는 트랜싯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ransit bolt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a transit bolt penetrating the draw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싯볼트 체결부에는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제 2처리부를 관통하는 트랜싯 볼츠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ransit bolt fastening part is fastened to the transit bolts passing through the drawer and the second process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섬프의 하부에는 상기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drain pip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is provided under the heater sump.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관의 상부로 분기되는 분기관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에는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수위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ain pipe is formed with a branch pipe bran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rain pipe, and the pressure pipe sensor is provided at the branch pipe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tub.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과 상기 압력수위센서의 사이에는 에어챔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8.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an air chamber is provided between the branch pipe and the pressure level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상기 드로워에 지지되는 서스펜션이 결합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the suspension is supported by the draw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 모서리 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pport is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on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edge of the draw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내측 모서리 방향으로 모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터브를 4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uppor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inner corner direction of the drawer to support the tub at four point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터브의 일측에서 상기 드로워의 일측 양쪽 모서리부로 돌출되고, 상기 터브의 타측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브를 3점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uppor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tub to both corners of one side of the drawer, and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tub to support the tub at three poin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섬프는 일측방항에서 히터가 삽입되며, 내부 타측에는 상기 히터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sump is provided with a heater inserted in one side thereof, and a clamp fixing the end of the heater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heater sump.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섬프에 삽입될 때 상기 히터의 끝단부가 상기 히터섬프의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heater is inserted inclined upwardly of the heater sump when the heater is inserted into the heater sum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측에는 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um is provided inside the tub, and a bearing housing supporting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drum is provided below the tub.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터브의 하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the bearing housing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into a lower portion of the tub.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는 세탁수를 실링하기 위한 워터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water seal for sealing the wash water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bearing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abinet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unit is installed, and a second cabinet in which the second processing unit is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캐비닛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abinet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unit is provided, and a second cabinet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econd processing unit is installed, wherein the first cabinet and the second cabinet are forme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ly formed.
KR1020100040527A 2010-04-30 2010-04-30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101210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27A KR20110121091A (en) 2010-04-30 2010-04-30 Cloth treating apparatus
CN201180019811.0A CN102844486B (en) 2010-04-30 2011-04-29 Clothes device
DE112011106123.4T DE112011106123B9 (en) 2010-04-30 2011-04-29 laundry device
DE112011106122.6T DE112011106122B9 (en) 2010-04-30 2011-04-29 laundry device
DE112011101522.4T DE112011101522B4 (en) 2010-04-30 2011-04-29 Laundry device
PCT/KR2011/003208 WO2011136609A2 (en) 2010-04-30 2011-04-29 Laundry apparatus
DE112011106124.2T DE112011106124B9 (en) 2010-04-30 2011-04-29 laundry device
US13/097,934 US10081898B2 (en) 2010-04-30 2011-04-29 Laundry apparatus
US15/251,970 US10179964B2 (en) 2010-04-30 2016-08-30 Laundry machine
US16/217,683 US11293132B2 (en) 2010-04-30 2018-12-12 Laundry machine
US17/683,061 US20220186423A1 (en) 2010-04-30 2022-02-28 Laundry machine
US17/683,077 US20220290355A1 (en) 2010-04-30 2022-02-28 Laundry machine
US17/683,037 US20220186422A1 (en) 2010-04-30 2022-02-28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27A KR20110121091A (en) 2010-04-30 2010-04-30 Cloth treat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364A Division KR20180002081A (en) 2017-12-22 2017-12-22 cloth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91A true KR20110121091A (en) 2011-11-07

Family

ID=4539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527A KR20110121091A (en) 2010-04-30 2010-04-30 Cloth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109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1938A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7119686A1 (en)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0616536A (en) * 2019-07-08 2019-12-27 温州欢歌智能科技有限公司 Clean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flexible washing and cleaning method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86A1 (en)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0738408B2 (en) 2016-01-04 2020-08-11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70081938A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7119641A1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08431324A (en) * 2016-01-05 2018-08-21 Lg电子株式会社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AU2016385317B2 (en) * 2016-01-05 2019-12-19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U2020201985B2 (en) * 2016-01-05 2021-09-09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149377B2 (en) 2016-01-05 2021-10-19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0616536A (en) * 2019-07-08 2019-12-27 温州欢歌智能科技有限公司 Clean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flexible washing and cleaning method
CN110616536B (en) * 2019-07-08 2024-05-24 江苏亿云博通智能科技有限公司 Clean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flexible washing and clean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8358B1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U2018273438B2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CN101617077B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598448B1 (en) A laundr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BRPI0822128B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KR101319879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having locking assembly
JP2013027415A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110121091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32067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962149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80002081A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36555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KR101387472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RU2446238C2 (en) Combine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its management
KR20100105198A (en)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80089688A (en) Control method for cloth treating apparatus
KR20130024369A (en) Laundry machine
KR102081654B1 (en) Laundry machine
KR101320671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and comtrolling for the same
KR102434105B1 (en)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18548B1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21058A (en) Laundry machine
KR101319885B1 (en) Pedestal washing machine
TR2021020218A2 (en) A built-in home appliance
KR20180052283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