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545A -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545A
KR20110120545A KR1020100039998A KR20100039998A KR20110120545A KR 20110120545 A KR20110120545 A KR 20110120545A KR 1020100039998 A KR1020100039998 A KR 1020100039998A KR 20100039998 A KR20100039998 A KR 20100039998A KR 20110120545 A KR20110120545 A KR 2011012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mputer
video
permiss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102010003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0545A/ko
Publication of KR2011012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피보호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유해 동영상으로의 접근을 근본적이고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의 컴퓨터 사용시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는 장치는, 상기 컴퓨터에서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컴퓨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피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요청파일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 검색하는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 모듈에 의해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harmful movie in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을 제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녀 등의 피보호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유해 동영상으로의 접근을 근본적이고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은 업무, 친교, 취미활동, 정보습득 등 다방면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와 인터넷은 이제는 개인과 사회 모두의 입장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 되었으며, 컴퓨터와 인터넷이 없는 사회는 더 이상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이 컴퓨터와 인터넷이 사회 전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이유 중 하나는, 다양하면서도 많은 양의 정보를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편리하고 간단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터넷의 특성은 현대 사회에서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어린이나 청소년과 같이 보호가 필요한 피보호자들이 성인 동영상이나 불법 동영상과 같은 유해 동영상에 무분별하게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자녀들은 각 가정 또는 PC방에 구비된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P2P 사이트, 블로그, 각종 다운로드 사이트 등을 통해 수많은 유해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의 발전은 개인과 사회에 많은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유해 동영상에 어린 자녀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과제 또한 남기고 있다.
물론 종래에도 자녀와 같은 피보호자들이 유해 동영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다양한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성인 사이트에 접속할 때에는 성인 인증을 위한 주민등록번호나 신용카드 정보 등을 입력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자녀가 부모나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성인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 자녀가 유해 동영상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없다. 더욱이, 유해 동영상이 반드시 성인 사이트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P2P 사이트와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쉽게 입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보호 수단은 그다지 실효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또다른 예로서, 유해 동영상이나 유해 사이트, 유해 검색어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유해 동영상이나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하도록 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인터넷에서 유포되고 있는 유해 동영상이 있다면 이를 검색하여 유해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피보호자가 유해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과 동일한 동영상에 접근하고자 할 때 해당 동영상으로의 접근을 차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이 그 효과를 제대로 갖기 위해서는, 유해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인터넷 상에서는 하루에도 수많은 동영상이 급속도로 생성 및 유포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유해 동영상을 모두 일일이 검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뿐만 아니라, 검색된 유해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유해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의 완전한 구축이 어려우므로, 피보호자가 모든 유해 동영상에 대하여 접근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
또한, 유해 동영상이 검색되어 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하더라도, 유해 동영상을 조금이라도 변경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해 동영상 파일과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를 쉽게 회피할 수 있으므로, 유해 동영상이 제대로 차단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자녀와 같은 피보호자가 유해 동영상을 실행하는 것을 차단하여 유해 동영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의 컴퓨터 사용시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는 장치는, 상기 컴퓨터에서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컴퓨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피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요청파일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 검색하는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 모듈에 의해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를 컴퓨터에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보호자의 컴퓨터 사용시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는 방법은, (S1) 상기 컴퓨터에서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S2) 피보호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S3) 상기 피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을 요청받는 단계; (S4)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요청파일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 검색하는 단계; 및 (S5)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녀와 같은 피보호자에 의해 성인 동영상이나 불법 동영상과 같은 유해 동영상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성이나 교육, 가치관 등의 측면에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동영상에 어린이나 학생, 청소년 등이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행이 금지되는 유해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실행이 허용되는 동영상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생성 및 유포되는 유해 동영상에 대하여 일일이 검색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 정보가 저장된 파일에 대해 일부 변경이 이루어지더라도 해당 파일에 대한 실행이 금지될 뿐, 유해 동영상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하면, 유해 동영상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특정 유해 동영상 파일에 대해 일부분이 변경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파일과 불일치하여 일부 변경된 유해 동영상이 차단되지 못하는 등, 차단 장치를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허가 동영상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 없이 유해 동영상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동영상이 피보호자에게 제공되어도 좋은지 여부에 대하여 부모와 같은 보호자가 직접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교육관이나 가치관, 자녀의 성장 정도에 따라 그에 적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피보호자의 동영상 실행을 선별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입력 모듈이 컴퓨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어 모듈에 의해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차단된 컴퓨터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에 의해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행이 차단된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피보호자로부터 실행 허가 신청을 수신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행이 허가되지 않은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피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행 허가 신청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행 허가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가 온라인 통신망을 통해 컴퓨터에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40), 입력 모듈(110), 검색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컴퓨터에서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저장한다. 즉,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중, 자녀 등의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은 것으로 부모 등의 보호자로부터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저장한다. 도 2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호자에 의해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정보, 즉 허가파일 정보로서 허가된 파일의 이름, 형식, 크기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0)에 의하면, 'AA' 파일, 'BB' 파일 및 'CC' 파일이 부모로부터 허가된 동영상 파일로 지정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데이터베이스(140)에 허가파일 정보로서 동영상 파일의 이름, 형식, 크기 등의 파일 속성이 저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파일 속성의 개수나 종류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개수나 종류의 파일 속성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40)에 허가파일 정보로서 동영상 파일의 이름만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피보호자란 유아, 어린이, 학생, 청소년, 자녀 등과 같이 컴퓨터의 유해 동영상으로부터 차단될 필요가 있는 보호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의미하고, 보호자란 이러한 피보호자를 돌보는 보호의 주체가 되는 사람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 모듈(110)은, 컴퓨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컴퓨터 사용자를 식별한다. 즉, 컴퓨터 사용자가 패스워드와 같은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면, 로그인한 사용자가 피보호자인지 보호자인지 식별한다. 도 3은, 입력 모듈(110)이 컴퓨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모듈(110)은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에 키보드나 마우스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입력된 정보는 입력 모듈(110)로 전송되어 로그인한 사용자가 피보호자인지 보호자인지 식별되는 자료가 된다. 비록, 도 3에서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입력 모듈(110)은 다양한 형태로 식별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만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다양한 공지 형태가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입력 모듈(110)이 컴퓨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이러한 식별정보는 데이터베이스(140) 또는 입력 모듈(110)의 내장 메모리 등과 같은 다른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유해 차단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가입시, 입력 모듈(110)은 피보호자 및 보호자로부터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리 입력받고 이를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컴퓨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입력 모듈(110)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이와 같이 저장 장치에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로그인한 사용자가 보호자인지 피보호자인지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 모듈(11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시점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모듈(110)은 컴퓨터가 부팅되는 경우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입력 모듈(110)은 컴퓨터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컴퓨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검색 모듈(120)은, 피보호자가 입력 모듈(110)을 통해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클릭 등의 방법으로 그 실행을 요청한 경우, 실행이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요청파일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 검색한다. 즉, 검색 모듈(120)은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보호자에 의해 허가된 허가파일 정보로서 존재하는지 데이터베이스(140)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자녀가 클릭한 동영상 파일의 이름이 'CC'이고 형식이 mov 파일이며 크기가 63.1MB인 경우, 검색 모듈(120)은 이러한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한다. 만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면, 자녀가 클릭한 동영상 파일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 중 일련번호 3에 해당하는 정보가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검색 모듈(120)은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할 수 있다. 하지만, 또 다른 예로서, 자녀가 클릭한 동영상 파일의 이름이 'ZZ'이고 크기가 31.3MB이며 형식이 rm 파일이라면, 이러한 요청파일 정보와 일치하는 허가파일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검색 모듈(120)은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할 수 없다.
한편, 검색 모듈(120)은 요청파일 정보와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할 때, 비교하는 파일 속성의 종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허가파일 정보로서 파일 이름, 형식, 크기 등의 파일 속성 종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색 모듈(120)은 요청파일과 허가파일의 파일 이름만 비교하여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또는, 검색 모듈(120)은 요청파일과 허가파일의 파일 이름, 형식 및 크기 등을 모두 비교하여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모듈(130)은,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검색 모듈(12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30)은, 검색 모듈(120)에 의해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된 경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컴퓨터에서 실행, 즉 재생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자녀가 'AA' 파일을 클릭하여 실행을 요청한 경우 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 모듈(130)은 자녀가 클릭한 'AA' 파일이 차단되지 않고 그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검색 모듈(120)에 의해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 모듈(130)은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컴퓨터에서 재생되지 않도록 실행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자녀가 'ZZ' 파일을 클릭하여 실행을 요청한 경우 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어 모듈(130)은 자녀가 클릭한 'ZZ' 파일이 재생되지 않도록 실행을 차단한다.
도 4는, 제어 모듈(130)에 의해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차단된 컴퓨터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보호자는 'DD' 파일을 실행하기 위해 해당 동영상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그러나, 제어 모듈(130)은 'DD' 파일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검색 모듈(120)로부터 수신하여, 'DD' 파일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하고, 이러한 차단 정보를 피보호자의 컴퓨터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130)이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도록 하거나 실행이 차단되도록 할 때에는, 다른 동영상 실행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30)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나 곰플레이어와 같은 상용화된 동영상 실행 프로그램을 통해 동영상이 실행되도록 하거나 실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130)은 이와 같이 상용화된 동영상 실행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동영상 실행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동영상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중 어느 파일이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동영상 파일인지에 대한 실행허가 명령을 보호자로부터 수신한다. 다시 말해, 보호자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을 통해 컴퓨터에 저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영상 파일을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은 동영상 파일로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140)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이와 같이 보호자에 의해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정보를 허가파일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0)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입력 모듈(110)을 통해 로그인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검색을 요청한 경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해당 컴퓨터에 어떠한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그리고, 해당 컴퓨터에서 검색된 모든 동영상 파일을 리스트로 제공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이러한 동영상 파일 리스트에서 보호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피보호자에 의한 실행을 허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실행을 허가할 수 있다. 도 5는,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에 의해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로그인된 보호자로부터 해당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검색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보호자가 사용 중인 컴퓨터에 'EE', 'FF', 'GG' 및 'HH' 파일을 포함한 다수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검색하였으며, 이와 같이 검색된 파일을 리스트화하여 보호자 화면으로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검색된 파일 리스트를 제공하면서 보호자가 일부 또는 전체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 파일, 'GG' 파일 및 'HH' 파일을 선택하고 그 실행을 허가하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FF' 파일, 'GG' 파일 및 'HH'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를 허가파일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따라서, 이후에 피보호자가 'FF' 파일, 'GG' 파일 및 'HH' 파일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그 실행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보호자가 파일의 실행을 허가하기 이전에, 해당 파일을 실행하여 확인해볼 수 있도록 하는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호자가 파일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자는 실행 허가 여부를 결정하기 직전에 동영상 파일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데이터베이스(140)에 허가파일 정보로서 저장되지 않은 동영상 파일, 즉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으나 보호자에 의해 실행이 허가되지 않은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피보호자로부터 실행 허가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가 로그인한 상태에서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고자 하였으나 허가파일 정보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 실행이 차단된 경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실행이 차단되었다는 정보와 함께 해당 동영상에 대한 실행 허가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피보호자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피보호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행이 차단된 동영상에 대한 실행 허가를 신청할 수 있다. 도 6은, 실행이 차단된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피보호자로부터 실행 허가 신청을 수신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보호자가 파일 'DD'를 실행하고자 하였으나 제어 모듈(130)에 의해 실행이 차단되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이 실행이 차단되었다는 정보를 피보호자 화면으로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이와 더불어 실행이 차단된 동영상 파일 'DD'에 대하여 실행 허가를 보호자에게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피보호자 화면으로 제공한다. 도 6에서, 피보호자가 '예'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파일 'DD'에 대한 실행 허가 신청을 수신하고 이를 보호자 로그인시 보호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실행이 허가되지 않은 모든 동영상 파일에 대한 리스트를 피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실행 허가를 신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실행이 차단된 경우가 아니라 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140)에 허가 파일 정보로서 저장되지 않은 동영상 파일을 리스트화하여 피보호자에게 제공하고, 허가 신청을 원하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실행이 허가되지 않은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피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중 보호자에 의해 실행을 허가받지 못한 'DD', 'EE', 'FF' 파일을 포함한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에 의해 피보호자 화면으로 제공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리스트된 동영상 파일 중 실행 허가를 신청하고자 하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피보호자는 리스트된 동영상 파일 중 일부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실행 허가를 신청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이러한 실행 허가 신청을 수신하여, 보호자 로그인시 이러한 신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피보호자로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 허가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이 피보호자로부터 일정한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실행 허가 신청을 수신하면, 실행 허가 신청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보호자로부터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한다. 도 8은, 실행 허가 신청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허가가 신청된 'DD' 및 'EE' 파일을 포함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 화면으로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리스트된 동영상 파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실행을 허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행 허가가 신청된 동영상 파일 중 특정 파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실행을 허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가 'DD' 파일을 선택하고 실행을 허가하도록 명령하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이러한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고, 'DD' 파일에 대하여 허가파일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한편, 도 8과 같은 컴퓨터 화면은 보호자가 로그인한 경우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피보호자로부터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실행 허가 신청이 있는 경우 즉시 보호자가 로그인하도록 사용자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에 의해 로그인되면 도 8과 같은 컴퓨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피보호자에 의한 컴퓨터 사용이 종료되고 보호자에 의해 로그인된 이후 도 8과 같은 컴퓨터 화면이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실행허가에 대한 취소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DD', 'FF', 'GG'를 포함하여 보호자에 의해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의 리스트가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에 의해 보호자 화면으로 제공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리스트된 동영상 파일 중 일부 또는 전체 동영상에 대하여 실행 허가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실행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 만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가 'GG' 파일을 선택하고 '예'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이러한 실행 허가 취소 명령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0)의 허가파일 정보에서 'GG' 파일을 삭제한다. 따라서, 이후에 피보호자가 'GG' 파일을 실행하기 위해 클릭하더라도 이 동영상 파일은 그 실행이 차단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실행을 허가한 이후에도 잘못 허가되었거나 실행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보호자가 그 허가를 취소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140)를 유동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실행 허가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피보호자에 의해 동영상 파일의 실행 허가가 신청되었으나 보호자에 의해 허가가 거부된 경우, 보호자로 하여금 실행 허가 거부를 철회할 수 있도록 실행 허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한다. 도 10은, 실행 허가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가 제공된 보호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BB', 'EE', 'GG'를 포함하여 보호자에 의해 실행 허가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의 리스트가 보호자 화면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실행 허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는 데이터베이스(140) 또는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의 내장 메모리와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실행 허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중 일부 또는 전체 동영상에 대하여 실행을 허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보호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전에 실행 허가를 거부했던 동영상 파일이라 하더라도 이후 다시 실행을 허가할 수 있다. 만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가 'BB' 파일을 선택하고 '예'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BB' 파일에 대하여 허가파일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자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동영상 파일의 실행을 허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자녀가 15세 미만이어서 부모가 15세 미만 관람 불가인 동영상의 실행 허가를 거부한 경우에도, 자녀가 15세 이상으로 성장하였다면 부모는 해당 동영상의 실행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컴퓨터 화면은 일례에 불과하며, 다양한 화면 구성이 가능하다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이 시도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자는 피보호자가 어떠한 동영상을 실행시키고자 시도하였는지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통해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교육 방향은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판단 자료로 삼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허가가 신청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실행이 시도된 동영상 파일을 보호자가 파악하여 그 실행을 허가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 및 피보호자로부터 실행 요청된 요청파일 정보는, 보호자에 의해 허가된 동영상 파일 및 피보호자로부터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일 수 있다. 해시값(hash value)은 일정 데이터에 대하여 해시 함수에 의해 도출된 값으로,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동영상 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해시값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은 보호자에 의해 특정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실행이 허가된 경우, 해당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해시값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 모듈(120)은 피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요청된 경우,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해시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해시값에 상응하는 해시값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이와 같이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을 허가파일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는 경우, 동영상 파일 자체를 저장하는 경우에 비해 적은 용량으로 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이 유해 동영상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140)가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영상 파일에 대한 해시값을 이용할 때 데이터 영역에서 일부만 바뀌더라도 해시값이 달라질 수 있어 유해 동영상 파일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 동영상 파일이 아닌 유해하지 않은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140)가 구축되므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일부가 변경되어 해시값이 변경되더라도 해당 동영상만 차단될 뿐, 유해 동영상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정보를 해시값으로 저장해도 좋다.
한편, 상기 해시값은 동영상 파일의 전체 영역에서 추출될 수도 있고, 동영상 파일의 일부 영역에서 추출될 수도 있다.
우선, 허가된 동영상 파일 및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전체 영역에서 해시값이 추출된다면, 유해 동영상의 차단이 확실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즉,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해시값과 동일한 해시값을 갖기 위해서는 동영상 파일의 전체 영역이 동일해야 하므로, 유해 동영상의 일부 영역에 대한 치환만으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해시값과 동일한 해시값을 가질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유해 동영상이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반면, 허가된 동영상 파일 및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일부 영역에서 해시값이 추출되는 경우, 해시값의 추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검색 모듈(120)이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을 추출하거나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이 보호자에 의해 실행 허가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을 추출하는 경우, 신속한 해시값 추출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검색 모듈(120)이나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에 의한 해시값 추출시 에러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즉 데이터베이스(140), 입력 모듈(110), 검색 모듈(120), 제어 모듈(130) 및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사용자 컴퓨터와 온라인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가 온라인 통신망(300)을 통해 컴퓨터(200)에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 모듈(110), 검색 모듈(120), 제어 모듈(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이 피보호자의 컴퓨터(200)와 온라인 통신망(300)으로 연결된 서버(400) 측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400)는 온라인 상으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 마련된 서버(400)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 컴퓨터(200) 측에는 이러한 입력 모듈(110), 검색 모듈(120), 제어 모듈(130) 및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150)이 컴퓨터(200)와 연결되어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그 정보를 입력 모듈(11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컴퓨터(200)에 저장된 동영상의 실행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는 구동 프로그램이 사용자 컴퓨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체 구성요소가 서버(400) 측에 마련된 경우,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의 관리가 서버(400)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 사용자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게 유해 동영상 차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컴퓨터(200)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가 컴퓨터(200)와 온라인 통신망(300)으로 연결된 서버(400)에 구축된 경우 자녀가 동영상 파일을 실행시킬 때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자녀가 컴퓨터(200)를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식별정보는 서버(400)의 입력 모듈(110)로 전송된다. 그러면 서버(400)는 입력 모듈(110)로 전송된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컴퓨터 사용자가 자녀임을 식별할 수 있고, 따라서 유해 동영상이 차단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자녀가 P2P 사이트를 통해 성인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해당 동영상 파일을 클릭하면, 검색 모듈(120)이 클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요청파일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 검색한다. 하지만 성인 동영상은 부모에 의해 실행이 허가되지 않았으므로 검색 모듈(120)은 자녀가 실행 요청한 성인 동영상 파일에 해당되는 허가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 모듈(130)은 자녀의 컴퓨터(200)에 설치된 동영상 차단 프로그램으로 자녀에 의해 실행 요청된 성인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실행이 차단되도록 명령한다. 그러면, 동영상 차단 프로그램은 해당 성인 동영상이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자녀는 유해 동영상인 성인 동영상 파일을 다운로드하였지만, 이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결국 성인 동영상 파일에 대한 접근이 차단된다.
또한, 상술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는 컴퓨터(200) 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는 온라인 통신망(300)을 통해 컴퓨터(200)에 연결된 서버(400) 측에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는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화되어 사용자 컴퓨터(200)에 설치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200)에서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 동영상 차단 프로그램은 피보호자의 동영상 파일 클릭시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검색하여 클릭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해 동영상 차단 프로그램은 컴퓨터(200)를 부팅시키거나 부팅 후 동영상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가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은 CD, DVD 또는 하드디스크와 같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컴퓨터(200)에서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0), 컴퓨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110), 피보호자로부터 컴퓨터(20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을 요청받은 경우, 요청파일 정보와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하는 검색 모듈(120) 및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된 경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도록 하고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130)을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는 CD, DVD 및 하드디스크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이 이러한 기록매체의 형식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가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은 CD나 DVD에 수록되어 배포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자 측의 서버(400)에 저장되어 온라인 통신망(300)을 통해 파일 형태로 배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가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컴퓨터(200)가 온라인 통신망(300)에 접속되어 있지 않더라도 유해 동영상 차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우선 컴퓨터에서 보호자에 의해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40)가 구축된다(S110). 다음으로, 입력 모듈(110)이 피보호자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와 같은 식별정보를 입력받고(S120), 피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 요청을 수신한다(S130). 그러면, 검색 모듈(120)이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요청파일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하여, 요청파일 정보가 허가파일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140). 이때,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된 경우, 제어 모듈(130)은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도록 한다(S150). 반면,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제어 모듈(130)은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S160).
바람직하게, 상기 요청파일 정보 및 상기 허가파일 정보는,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 및 허가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시값은 동영상 파일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는, 보호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11) 및 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는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112 단계는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12 단계는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허가가 신청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12 단계 이후에,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실행허가에 대한 취소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12 단계는 실행 허가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은 온라인 통신망(300)을 통해 컴퓨터와 연결된 서버(400) 측에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가 마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은 상술한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100)가 컴퓨터 프로그램화되어 사용자 컴퓨터 측에 설치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차단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PDA, 넷북과 같이 컴퓨터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컴퓨터'가 반드시 데스크탑이나 랩탑과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100: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110: 입력 모듈
120: 검색 모듈
130: 제어 모듈
140: 데이터베이스
150: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
200: 컴퓨터
300: 온라인 통신망
400: 서버

Claims (18)

  1. 피보호자의 컴퓨터 사용시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컴퓨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
    피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요청파일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 검색하는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 모듈에 의해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파일 정보 및 상기 허가파일 정보는,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 및 상기 허가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값은 동영상 파일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호자에 의해 컴퓨터에 저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은,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은, 피보호자로부터 실행 허가 신청을 수신하고, 상기 실행 허가 신청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은,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실행허가에 대한 취소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 모듈은, 실행 허가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기 입력 모듈, 상기 검색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컴퓨터와 온라인 통신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를 컴퓨터에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피보호자의 컴퓨터 사용시 유해 동영상을 차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S1) 상기 컴퓨터에서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S2) 피보호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S3) 상기 피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을 요청받는 단계;
    (S4)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요청파일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허가파일 정보를 비교 검색하는 단계; 및
    (S5)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요청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허가파일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파일 정보 및 상기 허가파일 정보는, 상기 실행 요청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 및 상기 허가된 동영상 파일의 해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값은 동영상 파일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S1-1) 보호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S1-2) 상기 보호자로부터 컴퓨터에 저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에 대한 허가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1-2 단계는,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1-2 단계는, 피보호자에 의해 실행 허가가 신청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1-2 단계 이후, 실행이 허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실행허가에 대한 취소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1-2 단계는, 실행 허가가 거부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상기 보호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실행허가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방법.
KR1020100039998A 2010-04-29 2010-04-29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110120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98A KR20110120545A (ko) 2010-04-29 2010-04-29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98A KR20110120545A (ko) 2010-04-29 2010-04-29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545A true KR20110120545A (ko) 2011-11-04

Family

ID=4539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98A KR20110120545A (ko) 2010-04-29 2010-04-29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05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73B1 (ko) 2019-09-30 2020-10-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유해성 분석 결과 기반 실시간 스트리밍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0631A (ko) * 2020-04-22 2021-11-01 이선미 유해 콘텐츠 재생 방지 및 시력 보호를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08915A (ko) * 2021-01-28 2022-08-04 김민석 영상 컨텐츠 실시간 유해성 검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73B1 (ko) 2019-09-30 2020-10-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유해성 분석 결과 기반 실시간 스트리밍 차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0631A (ko) * 2020-04-22 2021-11-01 이선미 유해 콘텐츠 재생 방지 및 시력 보호를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08915A (ko) * 2021-01-28 2022-08-04 김민석 영상 컨텐츠 실시간 유해성 검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480B1 (ko) 장치 정책 관리자
JP6568974B2 (ja) 複数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リソース・サービス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単一の資格認定セット
CN110463161B (zh) 用于访问受保护资源的口令状态机
JP6198231B2 (ja) デバイスデータのためのセキュリティポリシー
EP2909775B1 (en) Mobile application management
JP5992524B2 (ja) リソースアクセスの権限付与
US2019019089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internet preferences
US9430664B2 (en) Data protection for organizations on computing devices
EP2962244B1 (en) Discretionary policy management in cloud-based environment
US8640190B1 (en) Parental control policy generation
JP6543725B2 (ja) ファイル提出物を収集するための収集フォルダ
US201601038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online synchronized content from a sandbox domain via a temporary address
WO2017143879A1 (zh) 文件的权限管理方法及装置
US9990514B2 (en) Joint ownership of protected information
US10462008B2 (en) Cart mode provisioning of shared computing devices
US20220198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using containers
KR20110120545A (ko)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
US11425126B1 (en) Sharing of computing resource policies
US9936046B2 (en) Sampling for content selection
US11645382B2 (en) Sentinel system for an online device
US11968429B2 (en) Adaptive user interface based on profile data
KR102021351B1 (ko) 스마트 단말기와 가정에 설치되는 서버를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 방법
Stokes et al. Windows 10 for Enterprise Administrators
Morton Managing Security and Access Control
Miettinen Centralized Identity Management in a Decentralized Orga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