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073A - 개체지향적인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체지향적인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073A
KR20110118073A KR1020110009155A KR20110009155A KR20110118073A KR 20110118073 A KR20110118073 A KR 20110118073A KR 1020110009155 A KR1020110009155 A KR 1020110009155A KR 20110009155 A KR20110009155 A KR 20110009155A KR 20110118073 A KR20110118073 A KR 20110118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usiness card
search term
individual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11003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651B1/ko
Priority to PCT/KR2011/002783 priority patent/WO2011132909A2/ko
Publication of KR2011011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제공자가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구성된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하나의 묶음으로 된 집합체를 개별 식별자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개별 식별자를 매개변수로 하여 각기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지향적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구체적인 적용 서비스로서, 정보제공자가 상기 개별 식별자를 매개변수로 하여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가 저장된 웹사이트 주소(URL)를 기록하여 정보제공 받는 자의 유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URL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명함 또는 상품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사람들이 상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객체지향적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정보제공 받는자가 정보제공시스템에 접속되는 유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입력, 문자인식기술 또는 음성인식기술이 지원되는 입력프로그램을 통하여 제1/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입력하고 이것이 하나의 개별 식별자가 되어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제공시스템에 접속하여 입력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URL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거나 명함, 상품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을 입력하는데 있어서도, 손으로 직접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문자인식기술 또는 음성인식기술을 결합시켜, 이를 통해 식별자를 입력하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문자인식기술을 적용할 경우, 최근 정보서비스 분야에서 객체지향적인 URL 접근 방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QR코드를 대치하고 그 효과 또한 QR코드에 비해 뛰어나다.

Description

개체지향적인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n information offer service system and way of an object-oriented contiguity approch format}
본 발명은 정보제공자가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구성된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하나의 묶음으로 된 집합체를 개별 식별자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개별 식별자를 매개변수로 하여 각기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지향적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구체적인 적용 서비스로서, 정보제공자가 상기 개별 식별자를 매개변수로 하여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가 저장된 웹사이트 주소(URL)를 기록하여 정보제공 받는 자의 유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URL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명함 또는 상품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사람들이 상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객체지향적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정보제공 받는자가 정보제공시스템에 접속되는 유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입력, 문자인식기술 또는 음성인식기술이 지원되는 입력프로그램을 통하여 제1/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입력하고 이것이 하나의 개별 식별자가 되어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제공시스템에 접속하여 입력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URL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거나 명함, 상품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정보제공을 위한 객체지향 형식의 개별 식별자인 '제1/제2 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라 함은 우리가 흔히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회원 가입 시 등록하는 ID와 비밀번호 또는 인터넷 도메인과는 또 다른 매개변수로써 회원 가입 시 등록하는 ID나 인터넷 도메인은 사용자나 정보 제공자를 구분하는 용도로 이용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가 자신과 동일한 ID나 도메인을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상기에서 '제1/제2 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라 함은 검색어끼리는 용어의 중복 사용을 인정하되, 2개 이상의 검색어 단위가 묶여진 집합체의 구성은 다른 집합체와 중복이 되지 않는 각기 다른 개별 식별자로 구분되며, 어느 특정 인터넷 도메인에 구속되지 않고 각자의 명함정보, 상품정보, 홍보정보 등을 연결시켜 주는 객체지향적인 접근을 위한 매개변수이다. 또한, 상기 제1/제2 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로 구성된 개별 식별자는 정보제공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정하여 관리되며, 정보제공자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개별 식별자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제공자가 자신이 지정해 놓은 개별 식별자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추가 검색어라 함은 개별 식별자의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검색어로 제3검색어 또는 '제3검색어 및 제4검색어'를 말하고, 검색어는 아니지만 선택적 존재인 비밀번호도 별도로 존재한다. 이하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편의상 '닉네임'이라 칭한다.
상기와 같이 닉네임을 식별자로 하면, ID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많으면 많을 수록 동일한 ID의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해할 수 없는 문자형태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기도 힘들고 이를 전달받은 상대방도 연상되는 단어가 없다보니 기억하기도 용이하지 않다. 또, 인터넷 도메인의 경우는 메인 도메인 하나에 '.com', '.co.kr', '.net' 등을 붙여 그 가지 수를 늘리기는 했지만, 이를 전 세계적으로 이용하다 보니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용어를 다른 사용자도 이용하고 싶어할 확률이 상당히 높아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이나 기업 입장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도메인을 확보하기 어려워 하나의 도메인 홈페이지 안에 여러 정보를 담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자신이 찾고자 하는 개별 정보를 찾기가 그만큼 불편하지만, 본 발명의 닉네임 형태는 동일한 제1검색어 뒤에 수 많은 제2검색어를 만들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 검색어까지 지정할 수 있어 이렇게 결합된 닉네임은 중복된 용어가 발생할 확률이 그만큼 줄어들어 명함, 상품정보 제공자는 다수개의 서로 다른 닉네임을 붙일 수 있고, 정보제공을 받는 사람도 좀 더 객체적인 접근이 가능하여 한번의 연결로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닉네임을 입력하는데 있어서도, 손으로 직접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문자인식기술 또는 음성인식기술을 결합시켜, 이를 통해 닉네임을 입력하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문자인식기술을 적용할 경우,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QR코드를 대치하고 그 효과 또한 QR코드에 비해 뛰어나다.
한편, 상기에서 상품정보라 함은 유무형의 상품정보는 물론 지역별 상점정보도 이에 포함된다.
QR코드(Quick Response Code)는 기존 바코드에 비해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산업계는 물론 최근에는 스마트폰에 QR코드 인식기능이 내장됨에 따라 정보서비스 분야에서도 객체지향 접근 방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정보서비스 분야에서 이용되는 방식은 QR코드 자체에 모든 정보를 담기보다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저장된 웹사이트 주소(URL)를 담고 있어 해당 URL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는 형태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QR코드는 암호화된 방식의 코드이다보니 QR코드와 QR코드인식기를 통해서만 해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QR코드를 육안으로 봐서는 해당 URL을 알 수가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QR코드인식기가 없거나 QR코드가 오염되면 이를 대신할 다른 방법이 없고 방송에서는 음성을 통해 QR코드를 전달할 수도 없다. 특히, QR코드 전용 인식기가 아닌 스마트폰에서 인식하는 경우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런 경우의 대안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QR코드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웹사이트 주소(URL)의 내용을 주로 담고 있는 정보서비스 분야에서는 굳이 인식률이 낮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QR코드 인식 방식을 이용할 필요없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연결될 URL을 기록해 두고, 상기 URL에 대응되는 닉네임을 문자입력, 문자인식기술 또는 음성인식기술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정보 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훨씬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현재 스마트폰을 통한 명함인식률이 90% 정도이고 성명과 같이 큰 글씨는 거의 100%에 가까워 오히려 QR코드 정도의 공간을 차지하는 닉네임은 문자인식기술로 인식하는 것이 더 인식률이 높고, 문자인식이 되지 않더라도 해당 문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는 대안이 있어 QR코드를 대치해도 그 이상의 효과를 발휘한다.
다만, 닉네임을 통한 연결 방식이 QR코드에 비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를 한번 더 거친다는 단점은 있지만, 최근 인터넷 속도가 워낙 빨라져 사람들이 속도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이기 때문에 닉네임 방식을 통한 효과에 비해 아주 미미한 단점이라 하겠다.
또한, 닉네임 방식은 URL 연결 서비스 뿐만 아니라 명함정보 또는 상품정보 분야에도 아주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닉네임 방식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적용분야로서 명함 또는 상품정보서비스와 URL 연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 선행 발명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명함정보 제공 방법과 관련해서는 많은 선행발명이 출원되었는데, 여기서는 본 발명과 유사한 명함정보 제공자가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자신의 명함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방법의 형태만을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공개특허 10-2001-0072528 및 패밀리특허(10-2000-0030494,10-2000-0054371)의 경우, ①사용자 ID를 검색어로 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를 알려주면 상대방이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명함정보를 제공받거나, ②사용자가 상대방의 전화번호 등으로 자신의 명함정보 제공을 전송하면 발신자/수신자 관계가 형성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①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검색어로 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자신의 ID를 알려줘야 하는데 ID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용도로 이용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중복을 허용하지 않아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용어가 있어도 다른 사람이 이미 사용하고 있으면 이용할 수 없어 사용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ID의 문자 수와 표현 방식이 점점 더 복잡해져 차라리 상대방에게 성명과 전화번호를 알려주는 것보다 복잡해지고 기억하기도 나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②사용자가 상대방의 전화번호 등으로 명함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이미 상대방의 연락처를 안다는 것을 의미하여 쌍방이 이미 명함정보를 주고 받았을 가능성이 높고, 상대방이 명함정보 제공을 원할 경우는 모르지만 원하지도 않는데 굳이 자신이 상대방의 연락처를 안다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명함정보 전달을 강요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상기 방법을 홍보수단으로 악용하여 불특정 다수인에게 명함정보와 함께 홍보성 내용을 전송하면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스팸문자와 스팸메일에 이은 또 다른 스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공개특허 10-2005-0102564 의 경우, 상대방의 전화번호 및 성명이나 상호를 검색어로 하여 추가 명함정보를 제공받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의 방법은 전화번호와 성명(상호)을 사전에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이용되기 때문에 명함정보 입력의 용이성보다는 추가 명함정보가 필요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라는 점과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성명(상호)만 알면 누구나 상대방의 추가 명함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음식점, 회사 등과 같이 해당 명함정보를 마음대로 공개할 수 있는 직종은 가능하지만 일반 개인들이 이용하기에는 종사하는 직종에 따라 다소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개특허 모두 명함정보 제공자가 자신의 명함정보를 단 한가지 형태로만 제공할 수 있어 동일인이 2개의 직업이나 다수의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직업에 따라 2대의 휴대폰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상대방에 따라 자신의 명함정보의 수위를 조정해서 여러 형태로 알려주고 싶은 경우에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 10-2002-38925의 경우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영문 도메인을 대신하여 하나 이상의 리얼네임으로 특정 URL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닉네임을 이용하여 URL 정보를 제공받는 연결되는 방식과 유사한 것 같지만 그 구성원리와 목적이 전혀 다른 서비스 형태이다.
본 발명은 정보제공자가 반드시 정보제공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닉네임을 설정하고 이곳에 링크될 URL을 저장하는 방식이지만, 상기 공개특허는 인터넷 네임서버를 대신하여 영문으로된 도메인 네임을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리얼네임으로 대치한 것이기에 정보제공자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도메인과 관계없이 자신이 제공하고 싶은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용될 수 없는 시스템이다.
또, 상기 공개 특허는 복수로 된 리얼네임을 이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유사해 보이지만,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이를 계층 리얼네임이라 하여 본 발명과 같이 정보 제공자가 임의대로 제1/제2검색어 등 복수개의 검색어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화된 계층적 구조를 갖는 형태로, 이에 대해 상기 공개특허명세서에서는 "계층 리얼 네임 서버는 첨부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이라는 루트 네임 서버 아래에 '회사', '학교' 및 '기관' 이라는 제2 단계 네임 서버가 연결되고, '회사'라는 제2 단계 네임 서버 아래에 '삼성' 이나 '대우'라는 제3 단계 서버가 연결되고, '삼성' 이라는 제4 단계 네임 서버 아래에 '물산', '반도체', ' 전자' 등의 제4단계 네임 서버가 연결되어, 4단계로 이루어진 계층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라고 하여 본 발명과 같이 정보 제공자가 정보 제공의 편의를 위해 제1/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다.
공개특허 공개특허 10-2003-50615는 웹사이트 주소에 대응하는 문자코드를 생성하여 출판물에 기록하여 문자코드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출판물에 원하는 웹사이트의 문자코드를 인식시켜 접속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인터넷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웹사이트 주소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개별적인 명함이나 상품 등에 대하여 개별적이고 객체적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기에 문자 또는 문자코드를 인식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한다는 개념만 동일할 뿐 그 구성원리나 목적 자체가 전혀 다르다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단문 SNS(소셜네트워킹 서비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인터넷 웹사이트 주소(URL) 줄이기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그런데 URL 줄이기 서비스의 경우, 긴 URL에 대응되는 코드값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긴 URL을 저장해 둔 뒤 상기 코드값을 상기 서비스의 URL에 덧붙여 놓은 뒤 사용자가 상기 코드값을 덧붙인 URL로 접속하면 저장해 둔 긴 URL로 다시 연결시키는 원리여서 본 발명의 닉네임 처리 방식과 시스템 처리 방식은 유사점이 많으나, 상기 서비스의 경우에도 임의의 코드값을 자동으로 생성하다보니, 정보 제공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명함정보의 상징적 의미와 연상되는 단어의 이미지를 담을 수가 없고, 코드값이 비록 짧아지기는 했지만 이를 기록해 두기 전에는 기억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이를 음성으로 전달할 때도 문자 하나 하나를 읽어줘야 하기 때문에 코드값의 길이에 비해 전달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아직은 스마트폰 보급율이 낮아 이용량이 그리 많지 않아 코드값 길이가 짧은 편이지만 이용량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코드값 길이는 자연히 늘어날 것이고 점점더 복잡해져 앞서의 명함처리 방식에서 상대방이 자신의 ID를 알려주는 방식과 크게 다를 바 없다.
공개특허 10-2001-0072528, 공개특허 10-2005-0102564, 공개특허 10-2002-38925, 공개특허 10-2003-50615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제공을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정보제공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수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별 식별자가 도메인이나 ID에 비해 표현될 수 있는 용어의 구성이 훨씬 많아야 하고, 용어의 구성도 복잡하지 않고 단출하여 사람들이 기억하기 용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용어의 조합이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져야 한다는 것이 필수 사항인 것이다.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QR코드 인식기가 있어야만 가능했던 QR코드를 통한 정보제공방법을 대신할 방법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명함정보의 경우에는 명함정보를 받는 사람이 상대방의 성명과 전화번호 등을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한 입력 만으로 모든 명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제공받은 명함정보는 휴대폰(스마트폰)은 물론 정보제공시스템의 본인 계정에도 저장되어 휴대폰 분실이나 추후 PC를 이용한 이메일 전송 등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개인 사용자가 본 발명 서비스를 통해 상대방의 명함정보를 획득한 경우, 이를 자신의 휴대폰(스마트폰)과 정보제공시스템의 본인 계정뿐만 아니라 본인이 소속된 회사의 계정에도 저장시킬 수 있으면 더욱 좋을 것이다. 또, 명함정보 제공자가 자신의 전화번호 등이 변경되었을 시 정보제공 서버의 자신의 닉네임에 저장된 연락처만 변경하면 자신의 명함정보를 제공받은 사람들에게 자동으로 통보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한가지 기능을 더 추가하여 스토커 등 특정인으로 인해 전화번호를 변경한 경우, 닉네임과 전화번호를 변경한 후 특정인만 제외하고 자신의 명함정보를 제공받은 나머지 모든 사람들에게만 해당 명함정보가 전달되도록 선택적 명함정보 전달 방법도 제공된다면 이 또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품정보의 경우에는 사람들이 상품정보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검색하는 기능도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RL 연결 서비스의 경우에는 특정 상품에 대해 다수의 모델에 대하여 상품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는 기업에 대하여 정보제공자가 일일이 정보제공시스템에 URL을 등록하지 않고 해당 기업시스템 서버에 상품정보 및 해당 개별 상품이 저장된 URL를 기록해도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밖에 QR코드를 대신하여 문자인식기술을 적용할 경우, 다른 용도의 문자들과 구분되어 본 발명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닉네임임을 사람은 물론 스마트폰 등 스캐너를 통해 인식된 문자에 대해서도 다른 문자들과 구분하여 인식될 수 있도록 어떤 규칙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1) 먼저 본 발명의 개별 식별자인 제1/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는 정보제공시스템에 접속한 정보제공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검색어와 제2검색어를 지정하고 필요에 따라 제3검색어 또는 '제3검색어 및 제4검색어'를 추가 검색어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검색어는 아니지만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단, 예외적으로 특정 제1검색어에 대해 독점권을 인정받은 기업이나 단체의 경우에는 상기 기업/단체의 시스템 서버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된 경우에 한하여는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는 제1검색어만 대표 검색어로 지정되고,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는 상기 기업/단체의 시스템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해당 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닉네임 입력 방식은 제1/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 입력 방식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URL연결 방식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이후 하도록 하겠다.
또한, 추가 검색어인 제3검색어 또는 '제3검색어 및 제4검색어', 그리고 비밀번호는 정보제공자 편의에 따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비밀번호의 경우, 명함정보는 업무형태에 따라 보다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공개를 목적으로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연예인과 같이 개인정보 제공을 극도로 꺼리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용도로는 제1/제2검색어만 검색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인 명함정보만을 제공하고, 비밀번호까지 추가하여 검색할 시에는 집주소, 개인 홈피 주소, 개인 이메일, 사진 등 보다 상세한 개인정보를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명함정보 제공자가 상대방에 따라 제공하는 명함정보 제공 수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품정보와 관련해서는 거래처 등 특정인에게만 해당 상품을 보여줘야 하는 경우,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내용에서 말하는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정보제공서비스를 받기 위해 가입하는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와는 별개의 비밀번호를 말한다.
제3검색어, 제4검색어의 경우는 명함정보를 기업 또는 단체가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1검색어를 기업명 또는 단체명, 제2검색어를 부서명, 제3검색어를 직원명 등과 같이 제공하는 것이 오히려 편리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품정보나 URL연결서비스의 경우에는 상품의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담기 위해 제품의 모델명, 시리얼넘버 등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 제3검색어와 제4검색어까지 연결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2) 닉네임을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한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명함정보의 경우는 개인용과 기업/단체용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용의 경우, 명함정보 제공자에 따라 자신의 별명 또는 성명을 제1검색어로 전화번호를 제2 검색어로 설정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또 상대방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신의 성을 뺀 이름을 제1검색어로 전화번호 끝의 4자리만 제2검색어로 설정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또 자신의 직업적 특징을 살린 용어로 닉네임을 설정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또, 여러 직업을 가지고 있거나 협회, 단체 등의 명함이 별도로 필요한 사람은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다수의 닉네임을 설정하고 용도에 맞는 명함정보를 저장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기업/단체용의 경우에는 회사이름을 제1검색어로, 부서명 또는 직원명을 제2 검색어로 지정하는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회사 내부적으로는 직원이 변경될 때마다 비상연락망을 별도로 만들 필요없이 변경된 직원의 연락처만 변경하면 될 것이고, 이를 거래처 등에도 알려 거래처에서도 굳이 직원마다 연락처를 따로 주고 받을 필요없이 직원명만 알면 손쉽게 명함정보를 바로 받아 볼 수 있는 구조가 될 것이다. 다만, 이렇게 지정하는 것이 보안상에 다소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면 직원명 앞뒤에 추가 문자나 숫자를 붙이거나 회사 또는 부서별로 통일된 비밀번호를 붙여 거래처 등 꼭 필요한 사람들에게만 비밀번호를 알려주는 방법도 있다. 또 회사의 대표전화나 고객센터의 경우는 회사이름을 제1 검색어로 '대표전화' 또는 '고객센터'라는 용어 자체를 제2 검색어로 지정하면, 해당 회사의 대표전화나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알고 싶은 사람들이 굳이 114로 연락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회사의 대표전화나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명함정보를 적용함에 있어 대기업 등과 같은 큰 회사나 단체의 경우, 특정 제1 검색어를 자신들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도록 독점하기를 원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제1 검색어를 독점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 제1검색어를 독점한 기업은 자신들이 설정하고 싶은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마음대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들과 닉네임이 중복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
다만, 제1검색어를 회사명으로 하고 제2검색어를 직원명으로 하는 경우 동명이인이 회사 내에 존재하면 제1검색어와 제2검색어가 모두 동일해지는데 이런 경우에는 시스템 내부적으로는 구분 기호를 넣어 식별자를 달리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명함정보를 제공받는 자에게는 예외적으로 두 사람의 명함정보를 모두 제공해 주고 원하는 명함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검색어나 제2검색어를 특정 명칭으로 지칭하는 것을 국한하지는 않지만, 제1검색어 또는 제2검색어를 정보제공자의 성명이나 '성과 이름' 둘 중에 하나로 설정하고 나머지 제1/제2검색어에 대하여 정보제공자가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지정하는 통일된 형태를 취하는 것도 예외적으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시키도록 하겠다.
이밖에 중국, 인도의 경우에는 제1/제2검색어만으로는 선호하는 용어의 고갈 현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제3검색어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지만, 우선 제1/제2검색어만 사용하다가 고갈 현상이 일어나면 이후 제3검색어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제1/제2검색어는 물론 제3검색어도 필수구성으로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라는 설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3) 명함정보 받는 자가 닉네임을 통해 명함정보를 제공받을 시 정보제공시스템은 상기 명함정보 받는 자의 사용자 계정에 요청한 명함정보 제공자의 닉네임을 저장하여 관리토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지원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할 경우, 휴대폰(스마트폰) 분실로 인한 연락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명함정보 제공자가 자신의 연락처가 변경되었을 경우, 정보제공시스템에 자신이 등록해 놓은 닉네임에 저장된 연락처를 변경하기만 하면, 해당 닉네임으로 명함정보를 제공받은 사람들의 통신단말기나 정보제공시스템의 사용자 계정에 전달(자동 또는 명함정보 받은 자가 검색 또는 정보갱신 등을 통해)되어 상대방이 변경된 연락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의 방법을 좀더 응용하면, 헤어진 남자친구의 연락을 피하거나 스토커의 연락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전화번호를 변경했을 경우, 기존에는 전화번호 변경 음성메시지를 이용할 수 없어 다른 사람과의 연락 또한 두절되는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이 방법을 이용할 경우, 전화번호 변경과 함께 해당하는 닉네임도 변경하여 이를 특정인을 제외하거나 특정인에게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가능해져 선별적 연락처 변경 통보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4)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에 연결되는 통신단말기로는 휴대폰(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와 PC 등의 인터넷 접속 단말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이 중 이동통신단말기는 PC처럼 인터넷 접속을 통한 명함정보 검색도 가능하겠지만, 닉네임을 통해 해당 명함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시키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닉네임을 문자 입력에 있어 손으로 직접 입력하는 방법도 가능하겠지만 추가적으로 문자인식기술 또는 음성인식기술을 통해 입력하는 기능을 추가시키면 더욱 효과적이다.
또,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정보제공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정보제공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명함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명함정보가 저장되려면 닉네임을 포함한 명함정보 저장 DB가 존재해야 하는데, 여기에 저장되는 명함정보는 명함정보 받는 자가 검색한 닉네임을 포함하거나 또는 성명, 전화번호 등 명함정보 제공자의 일부 정보만 저장할 수도 있고, 명함정보 제공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단, 상기 명함정보가 일부만 저장되는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해당 명함정보의 추가 정보를 요청할 시 정보제공시스템에 접속하여 추가 정보를 가지고 올 수 있는 행태로 지원됨이 바람직하다.
(5) 그런데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닉네임 방식의 명함정보만 저장되고 관리되면, 닉네임을 사용하지 않는 명함이나 기존 휴대폰(스마트폰)의 연락처가 2중으로 분리 운용되는 불편함이 존재하므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이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닉네임을 사용하지 않는 명함을 일일이 손으로 입력하지 않고 휴대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여 명함인식기술을 통해 입력 방법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6) 또한, 상기 시스템을 좀더 응용하면 사용자 간에 명함정보를 공유하여 저장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사의 경우, 그 회사에 소속된 직원들이 자신의 통신단말기를 통해 닉네임에 해당하는 명함정보를 요청하거나 직접 명함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때, 사전에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특정 분류함(예를 들어 거래처로 분류한 분류함)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회사 계정에도 저장되게끔 설정해 놓거나 추가 저장 기능을 통해 회사 계정에도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을 좀더 응용하면 대기업의 경우 자신들의 연락처 또는 거래처나 고객의 연락처가 다른 시스템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꺼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 상기 기업의 시스템 서버와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 서버가 상호 연동을 통해 분리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7) URL연결서비스 방식도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와 정보제공자인 기업이나 단체의 서버와 분리되어 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동일한 제품의 모델명과 시리얼넘버가 기록되어야 하는 경우, 동일한 제1검색어 또는 제1/제2검색어에 뒤이어 제2검색어, 제3검색어 또는 제4검색어 등을 기록해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 정보제공자가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제품의 시리얼넘버 마다 이를 기록하기가 번거로울 것이므로 제1검색어 또는 제1/제2검색어는 정보제공시스템에 저장해 두고, 추가적인 검색어는 정보제공자의 기업/단체 서버에 저장해 두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검색어가 분리되어 저장된다 하더라도 정보제공받는 자가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닉네임 방식인 제1/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입력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8) 문자인식기술을 통해 닉네임을 인식할 때는 닉네임 검출용 문자인식프로그램이 다른 용도로 적힌 문자나 문장들과 구분되어 닉네임임을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제1검색어/제2검색어' 가운데 또는 좌우에 특수문자 또는 기호를 넣거나 상하로 검색어를 적어넣는 등의 방법으로 배열 규칙을 정해 다른 용도의 문자나 문장들과 구분하는 방법을 제공해 줌으로써 다른 문장들과 섞여 있는 검색어도 찾아내어 제1/제2 검색어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명함정보의 경우 <홍길동/짱구> 로 표시하고, 상품정보 또는 URL연결 서비스인 경우에는 [싱싱이*냉장고] 로 표시하여 다른 문자나 문장과 구별 지을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제4검색어까지 활용하면 [싱싱이*냉장고*SSNJ1*24921]이라고 표시할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되면 닉네임이 너무 길어져 인쇄물에 따라 적어 넣기가 불편할 수도 있고, 문자인식프로그램이 읽어들이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Figure pat00001
상기와 같이 사각형 안에 개별 식별자를 상하로 연이어 기록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중 우측 표시에 하단에 검은 점을 표시한 이유는 문자인식 시 촬영한 이미지의 각도가 비뚤어져 있을 경우 이의 위치를 보정하여 정확한 문자인식을 하기 위해 적용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줌으로써 정보제공자가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내용을 좀더 응용하면, 개인명함정보를 통해 개인 인터넷 홈페이지를 표시할 때는 <홍길동/짱구*홈피> 라고 표시하여 '홍길동/짱구'라는 닉네임을 가진 사람의 개인홈피의 URL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비밀번호가 추가된 경우에는 <홍길동/짱구#1234>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비밀번호를 명함 등에 표시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도 있지만, 비밀번호를 표시하지 않았을 때는 불특정한 사람이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닉네임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남이 이미 해당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원치 않는 사람이 본인의 명함정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비밀번호를 지정한 것이기에 비밀번호가 명기된 명함은 명함을 받은 사람만이 해당 명함정보를 볼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또, 음성인식기술을 통해 제1/제2 검색어를 인식할 때는 영문, 한글, 숫자 등을 구분하거나 잘못 입력되었을 경우 변환하는 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URL연결서비스나 상품정보의 경우에는 정보제공받는 자가 원하는 상품의 닉네임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보제공자가 상품 등록 시 해당 상품에 대한 키워드도 함께 저장토록하고 닉네임 검색용 상품정보 검색 기능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또한, 본 서비스는 국가별 서비스와 국제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제1/제2검색어만으로는 전 세계 인구가 이용하기에 영문자의 경우 용어의 고갈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렇다고 제3검색어까지 제공하면 너무 입력해야 하는 문자가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어 오히려 그것이 불편해지는 사항이 될 수 있어 차라리 국가별 서비스와 국제 서비스를 분류하면 국제 서비스는 해외와 관련된 기업/단체, 개인들만 이용할 것이므로 이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서비스는 국가별 서비스와 국제 서비스를 분류하는데, 국가가 달라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상호 접속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닉네임 마지막에 ':kr' 등의 국가 표시를 넣어 스마트폰으로 닉네임을 인식시킬 때 한국서버로 연결하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면 될 것이다.(예 : [싱싱이*냉장고:kr]) 만약, 뒤에 ':kr'이 없으면 해당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에 설정된 국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면 될 것이다. 국가별 표시방법은 사용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 인터넷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국가 기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닉네임 문자입력창에는 마지막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환경설정된 국가를 자동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제 서비스의 경우에는 인터넷 도메인에는 이를 나타내는 기호가 없으므로 마지막에 ':int'(international), ':gb'(global)와 같은 기호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예 : [singsingi*fridge:int], [singsing*fridge:gb])
단, 명함정보의 경우에는 국가별 서비스에 한글 명함과 영문 명함을 함께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고, 정보제공 받는 자가 명함제공자의 국가 서버의 기호로 변경하면 해당 명함 정보를 충분히 받을 수 있으므로, 굳이 국제 서비스에 이를 포함시키는 것은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제외하는 것이 좋겠고, 상품정보도 지역적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 또한 제외시키고, URL연결서비스로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11) 한편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정보제공자가 닉네임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정보제공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해야겠지만, 상기 정보를 제공받는 자는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고 비회원 상태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이용의 편의성 면에서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다만, 명함정보의 경우에 상기와 같이 지원하게 되면, 악의를 가진 자가 다른 사람의 명함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여러 닉네임을 검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정 IP주소 또는 사용자가 사용되지 않는 닉네임을 특정 횟수 이상 반복적으로 검색할 경우, 서비스를 차단하는 등의 보안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본 발명 서비스 초기에는 서비스 확산을 위해 비회원 상태에서도 명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겠지만, 악의적인 접속자가 발견될 경우, 회원으로 등록한 사람만이 상기 명함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 명함정보제공자에게 자신의 명함정보를 취득한 사람들의 명단을 제공하여 원치 않는 사람이 자신의 명함정보를 취득하고 있으면 이를 삭제할 수 있고, 상대방 휴대폰에 저장된 명함정보는 상기 휴대폰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와 연결 시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닉네임 방법을 이용하면, 정보제공자에게 보다 많은 개별 식별자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보제공자는 자신의 명함정보나 상품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자신이 선호하는 용어를 사용하더라도 다른 명함정보나 상품정보와 중복될 가능성이 상당히 낮고 정보를 제공받는 자도 간단한 닉네임 입력만으로 명함정보는 물론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닉네임 입력에 있어 문자인식기술을 결합시킴으로써 QR코드의 기능을 대치할 수 있으며, 문자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 직접 문자입력을 통해 닉네임 검색이 가능해져 정보서비스 분야에서 만큼은 QR코드를 완전 대치시켜도 전혀 문제가 없으며, 그 이상의 효과가 발생한다.
명함정보의 경우 휴대폰(스마트폰)에는 물론 정보제공시스템의 사용자 계정에도 상대방 명함정보가 저장되어 휴대폰 분실로 인한 연락처 분실 우려가 없어지고, 저장된 상대방 명함정보를 활용하여 이메일 발송, DM발송, 인맥관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연락처 변경 시 간단한 정보 변경 만으로 자신의 명함정보를 제공받은 사람들에게 변경된 연락처를 전달할 수도 있고, 기존 방식으로는 불가능했던 선별적 연락처 변경 통보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사나 단체의 경우 제1 검색어에는 회사나 단체명, 제2 검색어에는 부서명이나 직원명 등으로 지정하여 이러한 방법을 직원이나 거래처에 알려줌으로써 직원의 변동이나 거래처의 담당자 연락처를 문의할 필요없이 성명만 알면 바로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본 흐름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기본 흐름도를 기초로 한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a에서 명함정보서비스의 경우, 정보제공 받는 자가 무선통신단말기(220a)를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200a)로부터 명함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저장하고 정보제공시스템 서버(200a)의 정보제공 받는 자의 사용자 계정에도 이를 저장하는 단계가 추가된 흐름도의 실시 예이다.
도 2b는 도 1b에서 명함정보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별 상대방 제1/제2 검색어 저장 DB(213b)가 추가된 구성도이다.
도 3은 사용자 간의 명함정보를 공유 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 예이다.
도 4는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와 정보제공자 서버로 분리된 형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기본 흐름도로서,
(a) 상기 정보제공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단말기(110a)를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100a)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구성된 제1검색어 및 제2 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설정하고, 이것이 하나의 개별 식별자가 되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가 저장된 웹사이트 주소(URL), 명함정보 또는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단계(101a);와,
(b)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에서 문자입력, 문자인식 또는 음성인식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110a)가 설정한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가 개별 식별자로 입력되는 단계(121a);와,
(c)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100a)에 접속하여 상기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102a);와,
(d)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100a)가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에서 요청한 개별 식별자에 대응하는 정보가 명함정보 또는 상품정보인 경우, 관련 정보를 제공 받는 자의 통신 단말기(120a)로 전송하고,
상기 개별 식별자에 대응하는 정보가 URL 정보인 경우,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가 상기 URL로 연결될 것을 지시하여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가 상기 URL에 접속하여 관련 정보들 제공받는 단계(103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상기 정보 제공 방식 중 URL연결 방식은 정보제공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가 저장된 URL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정보제공자가 URL 줄이는 사이트를 통해 줄어든 URL을 저장해 두었을 경우, URL 줄이는 사이트로 한번 더 거치는 과정을 거치지만 이는 물론 이와 유사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상기 입력 단계에서 국가별 또는 국제 서비스의 기호를 기록 또는 수정하여 서로 다른 국가별 또는 국제 서비스 서버로 접속을 변경하여 변경된 국가별 또는 국제 서비스의 정보를 받아 볼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흐름도에 대한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의 구성도로, 사용자의 통신단말기와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01b), 인증부(102b), 사용자 닉네임 설정부(103b), 상대방 닉네임 검색부(104b)로 구성되며, 데이터베이스(110b)는 사용자정보 DB(111b)와 사용자 닉네임 저장 DB(112b)로 구성된다. 사용자의 명함정보, 상품정보, URL연결정보는 사용자 닉네임 저장 DB(112b)에 함께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도 1a에서 명함정보서비스의 경우에 대한 흐름도에서 제공받든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e)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200a)로부터 명함정보를 제공받은 단말기가 휴대폰(스마트폰) 등 무선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명함정보 DB에 상기 개별 식별자를 포함한 상기 명함정보 또는 상기 명함정보가 저장되는 단계(222a);와
(f) 상기 개별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220a)가 정보제공시스템 서버(200a)에 저장될 것을 지시하면,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사용자 계정의 상대방 명함정보 저장 DB(213b)에 상기 개별 식별자 또는 상기 명함정보가 저장되는 단계(204a);가
모두 또는 둘 중 하나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휴대폰(스마트폰) 등 무선통신단말기의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의 명함정보 DB에는 닉네임에 의한 명함정보 뿐만 아니라, 닉네임을 사용하지 않는 명함에 대한 명함정보도 함께 또는 독립된 DB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닉네임을 사용하지 않는 명함정보라 하더라도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200a)의 상대방 명함정보 저장 DB(213b)에 함께 또는 독립된 DB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대로 PC 등을 이용 인터넷 접속을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200a)에 직접 입력한 닉네임을 사용하지 않는 명함정보에 대하여도 상기 휴대폰 등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이를 제공받아 상기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의 명함정보 DB에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단, 여기서는 상기 사항은 공지 기술에 해당하여 별도의 그 구성원리에 대하여는 생략토록 한다.
도 2b는 도 2a의 흐름도에 대한 서버 구성도로, 도 1b에서 사용자별 상대방 닉네임 관리부(205b)와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별 상대방 닉네임 저장 DB(213b)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사용자별 상대방 닉네임 저장 DB에 사용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요청한 닉네임 또는 명함정보가 저장된다.
도 3은 사용자간 명함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도로서,
(a1) 상기 정보제공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310)의 통신단말기(301)가 정보제공시스템 서버(300)의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특정 분류함을 설정하고, 이곳에 저장되는 개별 식별자 또는 명함정보는 다른 특정 사용자의 계정에도 저장될 수 있도록 지정하는 단계(301);와
(g)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요청한 개별 식별자 또는 해당 명함정보를 자신의 사용자 계정의 특정 분류함에 저장될 때,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도 저장되는 단계(305);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도 3은
(f1) 사용자(310)가 정보제공 받는 자가 되어 통신단말기를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300)으로부터 요청한 개별 식별자에 대응하는 명함정보를 제공받아 정보제공시스템 서버(300)의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상기 개별 식별자 또는 명함정보의 저장을 지시할 때, 이를 다른 특정 사용자의 계정에도 저장될 수 있도록 지정하는 단계;와
(g1)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가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도 저장될 것을 지정한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도 저장되는 단계(305);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의 경우는 기업에서 영업사원들이 거래처 명함정보를 저장함에 있어 영업사원 개인 사용자 계정 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용자 계정에도 이를 저장하여 직원의 퇴직으로 인해 거래처의 연락처를 알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와 정보제공자 서버로 분리된 형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정보제공자가 닉네임의 일부인 제1검색어 또는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를 반복 사용을 전제로 한 대표 검색어로 하여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설정해 두고, 나머지 검색어 또는 닉네임을 정보제공자 서버에 설정하는 형태로 예를 들어 제1검색어를 회사명, 제2검색어를 제품명, 제3검색어를 모델명, 제4검색어를 시리얼 넘버로 지정하였을 시 매번 정보제공자가 본 발명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계속적으로 생성되는 시리얼 넘버를 기록할 수 없으므로, 설정한 닉네임의 제1검색어 또는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만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저장해 두고 이를 대표 검색어로 하여 이후 나머지 검색어 또는 닉네임 전체를 정보제공자 서버에 저장해 두고서 생산되는 제품의 시리얼넘버에 따라 계속적으로 새로운 닉네임이 부여될 수 있는 방법 등에 이용할 수도 있고, 명함정보의 경우를 예로 하여 제1검색어를 회사명으로 지정한 기업에서 경우, 상기 회사가 상기 회사명의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면 회사의 연락처가 외부의 서버에 있는 것을 꺼리는 대기업 특성 상 제1검색어는 본 발명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저장하여 대표 검색어로 설정하고, 나머지 검색어 또는 닉네임 전체를 상기 회사의 회사 서버에 저장해 두고서 나머지 검색어에 대하여 편의대로 추가 검색어를 부여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도 4의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a) 상기 정보제공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단말기(410)를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구성된 식별자를 설정함에 있어, 2개 이상의 검색어 단위가 개별 식별자로 제공되는 식별자 형태에서 반복 사용을 전제로 한 일부 검색어를 대표 검색어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 검색어를 포함하는 개별 식별자에 대하여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정보 요청을 하게 되면 정보제공자 서버(430)로 연결되도록 지정하는 단계(411);와,
(b) 상기 정보제공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단말기(410)을 통해 정보제공자 서버(430)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 설정한 상기 대표 검색어와 연결된 나머지 검색어 또는 상기 개별 식별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412);와,
(c)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문자입력 또는 문자인식 또는 음성인식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410)가 설정한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가 개별 식별자로 입력되는 단계(421);와,
(d)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402);와,
(e)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서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요청한 상기 개별 식별자의 일부 검색어가 상기 대표 검색어에 대응하면, 이에 해당하는 상기 정보제공자 서버(430)로 연결될 것을 지시하는 단계(401);와,
(f)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서 지시한 상기 정보제공자 서버(430)로 연결되어 상기 대표 식별자에 연결된 나머지 검색어 또는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423);와,
(g) 상기 정보제공자 서버(400)에서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요청한 상기 나머지 검색어 또는 상기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4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밖에 URL연결서비스나 상품정보의 경우에는 정보제공받는 자가 원하는 상품의 닉네임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보제공자가 상품 등록 시 해당 상품에 대한 키워드도 함께 저장토록하고 닉네임 검색용 상품정보 검색서비스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상기 내용의 기술적 적용 범위는 공지의 기술의 범주를 벗어나질 않아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하겠다.

Claims (10)

  1. 정보제공자가 휴대폰(스마트폰), 노트북, PC 등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단말기를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구성된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개별 식별자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개별 식별자를 매개변수로 하여 각기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는 2개 이상의 검색어 단위가 묶여진 문자나 숫자로 구성된 집합체 형태의 개별 식별자로서 개별적인 명함정보, 웹사이트 주소(URL), 상품정보 등을 연결시켜 주는 객체지향적인 접근을 위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에서 추가 검색어라 함은 제3검색어 또는 '제3검색어 및 제4검색어'로 구성되며, 이와 별도로 비밀번호가 존재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3검색어 또는 '제3검색어 및 제4검색어'는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에 연결시켜 묶인 집합체가 개별 식별자로 사용되며,
    비밀번호도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제공자가 정보제공 받는 자가 비밀번호까지 입력해야만 관련 정보를 제공받도록 하거나, 비밀번호 미 입력 시 제공된 정보에 비밀번호까지 입력하면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서비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별 식별자가 새겨진 인쇄물이나 화면을 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나 스캐너 등을 통해 읽혀진 이미지에 대하여 정보제공 받는자의 통신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연동하는 문자인식프로그램이 이를 개별 식별자로 인식시키는 방법이 더 포함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문자인식프로그램이 상기 인쇄물 등에 기록된 개별 식별자가 다른 용도의 문자나 숫자와 구별되어 개별 식별자임을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별 식별자 좌우, 상하 또는 검색어 간 사이에 특수 문자들을 삽입하거나, 사각형 안에 개별 식별자를 상하로 연이어 기록하거나, 명함정보, URL정보 또는 상품정보에 따라 기호를 달리하는 등의 규격화된 표시를 인식시키는 방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개별 식별자를 상기 문자인식프로그램을 통해 인식할 때 상기 개별 식별자에 국가 또는 국제 서비스를 나타내는 기호가 덧붙여 있으면 상기 기호가 나타내는 국가별 또는 국제 서비스 서버로 연결되거나,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국가별 또는 국제 서비스 서버에 해당하는 기호를 개별 식별자에 추가로 기록 또는 수정하여 상기 기호가 지정하는 국가별 또는 국제 서비스 서버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가 설정하는 상기 개별 식별자의 정보가 명함정보인 경우,
    상기 개별 식별자의 제1검색어 또는 제2검색어의 둘 중에 하나는 정보제공자의 성명 또는 '성과 이름' 둘 중 하나로 설정되고, 나머지 제1검색어 또는 제2검색어는 정보제공자가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에 있어서,
    (a) 상기 정보제공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단말기(110a)를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100a)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구성된 '제1검색어 및 제2 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를 설정하고, 이것이 하나의 개별 식별자가 되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가 저장된 웹사이트 주소(URL), 명함정보 또는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단계(101a);와,
    (b)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에서 문자입력, 문자인식 또는 음성인식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110a)가 설정한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가 개별 식별자로 입력되는 단계(121a);와,
    (c)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100a)에 접속하여 상기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102a);와,
    (d)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100a)가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에서 요청한 개별 식별자에 대응하는 정보가 명함정보 또는 상품정보인 경우, 관련 정보를 제공 받는 자의 통신 단말기(120a)로 전송하고,
    상기 개별 식별자에 대응하는 정보가 URL 정보인 경우,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가 상기 URL로 연결될 것을 지시하여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120a)가 상기 URL에 접속하여 관련 정보들 제공받는 단계(103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가 제공받는 정보가 명함정보인 경우,
    (e)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200a)로부터 명함정보를 제공받은 단말기가 휴대폰(스마트폰) 등 무선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명함정보 DB에 상기 개별 식별자 또는 관련 명함정보가 저장되는 단계(222a);와
    (f) 상기 개별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220a)에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200a)에 저장될 것을 지시하면,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사용자 계정의 상대방 명함정보 저장 DB(213b)에 상기 개별 식별자 또는 상기 명함정보가 저장되는 단계(204a);가
    모두 또는 둘 중 하나의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a1) 상기 정보제공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310)의 통신단말기(301)가 정보제공시스템 서버(300)의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특정 분류함을 설정하고, 이곳에 저장되는 개별 식별자 또는 명함정보는 다른 특정 사용자의 계정에도 저장될 수 있도록 지정하는 단계(301);와
    (g)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요청한 개별 식별자 또는 관련 명함정보에 대하여 자신의 사용자 계정의 특정 분류함에 저장될 때,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도 저장되는 단계(305);가
    더 포함되거나,
    (f1) 상기 정보제공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가 정보제공 받는 자가 되어 통신단말기를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로부터 요청한 개별 식별자에 대응하는 명함정보를 제공받아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의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상기 개별 식별자 또는 명함정보의 저장을 지시할 때, 이를 다른 특정 사용자의 계정에도 저장될 수 있도록 지정하는 단계;와
    (g1)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가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도 저장될 것을 지정한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도 저장되는 단계;가
    둘 중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9. 청구항 1 내지 5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가 상기 개별 식별자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검색어의 일부인 검색어를 반복 사용을 전제로 한 대표 검색어로 하여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에 설정하고, 상기 대표 검색어에 연결된 나머지 검색어 또는 상기 개별 식별자가 정보제공자 서버에 저장되도록 설정하여,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가 요청한 개별 식별자의 일부 검색어가 상기 대표 검색어에 대응이면,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가 정보제공자 서버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a) 상기 정보제공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단말기(410)를 통해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계정에 임의의 문자나 숫자로 구성된 식별자를 설정함에 있어, 2개 이상의 검색어 단위가 개별 식별자로 제공되는 식별자 형태에서 반복 사용을 전제로 한 일부 검색어를 대표 검색어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 검색어를 포함하는 개별 식별자에 대하여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정보 요청을 하게 되면 정보제공자 서버(430)로 연결되도록 지정하는 단계(411);와,
    (b) 상기 정보제공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단말기(410)을 통해 정보제공자 서버(430)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 설정한 상기 대표 검색어와 연결된 나머지 검색어 또는 상기 개별 식별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412);와,
    (c)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문자입력 또는 문자인식 또는 음성인식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410)가 설정한 제1검색어 및 제2검색어 또는 추가 검색어가 개별 식별자로 입력되는 단계(421);와,
    (d)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402);와,
    (e)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서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요청한 상기 개별 식별자의 일부 검색어가 상기 대표 검색어에 대응하면, 이에 해당하는 상기 정보제공자 서버(430)로 연결될 것을 지시하는 단계(401);와,
    (f)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상기 정보제공시스템 서버(400)에서 지시한 상기 정보제공자 서버(430)로 연결되어 상기 대표 식별자에 연결된 나머지 검색어 또는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423);와,
    (g) 상기 정보제공자 서버(400)에서 상기 정보제공 받는 자의 통신단말기(420)가 요청한 상기 나머지 검색어 또는 상기 개별 식별자에 해당하는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4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0009155A 2010-04-22 2011-01-31 개체지향적인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8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55A KR101148651B1 (ko) 2010-04-22 2011-04-19 객체지향적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1/002783 WO2011132909A2 (ko) 2010-04-22 2011-04-19 객체지향적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7358 2010-04-22
KR1020100037358 2010-04-22
KR1020110005896 2011-01-20
KR20110005896 2011-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73A true KR20110118073A (ko) 2011-10-28

Family

ID=4503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155A KR20110118073A (ko) 2010-04-22 2011-01-31 개체지향적인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80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373A1 (ko) * 2011-12-26 2013-07-04 Park Suk-Il 키워드 식별자 검색기반 auto id 서비스방법
WO2016080756A1 (ko) * 2014-11-18 2016-05-26 윤재근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정보 관리 방법
WO2016065153A3 (en) * 2014-10-24 2016-06-16 Revolut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scriptor provis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373A1 (ko) * 2011-12-26 2013-07-04 Park Suk-Il 키워드 식별자 검색기반 auto id 서비스방법
WO2016065153A3 (en) * 2014-10-24 2016-06-16 Revolut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scriptor provision
WO2016080756A1 (ko) * 2014-11-18 2016-05-26 윤재근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정보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6545B2 (en) Semantic note taking system
US8096477B2 (en) Semantic note taking system
KR100768127B1 (ko) 가독성 데이터로부터 인간 관계를 추론하는 방법과 가독성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 내의 인물 식별을 통해태그를 부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20117232A1 (en) Device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1243442A (zh) 使用公共描述符来注释共享联系人
US201000235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personalized social network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9251297B2 (en) Semantic note taking system
JP5574554B2 (ja) グローバルディレクトリサービ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041738B2 (en) Strongly typed tags
WO20180785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 internet identity based on the user&#39;s existing verifiable identity
JP2009043075A (ja) 名刺登録管理システム
CN105474203A (zh) 文档的上下文搜索
KR20160077031A (ko) 메시지 시스템
KR20110118073A (ko) 개체지향적인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48651B1 (ko) 객체지향적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843526A (zh) 一种基于输入法的帐号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US20170221478A1 (en) Digital messaging system
US202000899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0176473Y1 (ko)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시스템
KR20080017530A (ko) 개인이나 회사, 단체 등의 실제 정보를 하나의가상아이디로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방법
WO2016095348A1 (zh) 一种处理短信的方法及装置
KR20100050817A (ko) 네트워크 주소록 기반의 관심사 공유자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JP5118531B2 (ja) メッセージ管理方法及びメッセージ管理プログラム
WO2019246155A1 (en) Automated contact management
KR20000050178A (ko) 인터넷을 통하여 지역별로 선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